KR102085030B1 -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5030B1
KR102085030B1 KR1020190064240A KR20190064240A KR102085030B1 KR 102085030 B1 KR102085030 B1 KR 102085030B1 KR 1020190064240 A KR1020190064240 A KR 1020190064240A KR 20190064240 A KR20190064240 A KR 20190064240A KR 102085030 B1 KR102085030 B1 KR 102085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harmful
support
ankle
harmful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190064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5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5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5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245Auxiliary devices for spring traps, e.g. attaching syste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멧돼지나 고라니 등의 유해동물을 포획하거나 위치추적용 칩이 장착된 위치 추적밴드를 발목부에 장착하여 유해동물을 포획 관리하는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지지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부위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발판부와; 상기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되는 결박 밴드부; 및 상기 승강 발판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결박 밴드부의 내경을 환형 지지하며, 승강 발판부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승강 발판부가 하강되면 결박 밴드부의 환형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 밴드부가 결박되도록 하는 환형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harmful animals and equipping position detection band}
본 발명은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멧돼지나 고라니 등의 유해동물을 포획하거나 위치추적용 칩이 장착된 위치 추적밴드를 발목부에 장착하여 유해동물을 현장에서 포획하거나 이동경로를 추적 관리하는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멸종위기에 직면하였던 야생동물들의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생동물은 먹잇감을 찾아 서식지에서 벗어나서 농촌마을이나 도시에 출몰하여 농작물을 섭취하거나 훼손하고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는 등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멧돼지의 잦은 출몰로 농작물 등이 훼손되는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까지 멧돼지가 출몰하여 충돌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멧돼지를 포획 및 사살하고는 있으나, 멧돼지를 발견하기가 어렵고 멧돼지가 발견되어도 멧돼지의 민첩성으로 인해 사살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멧돼지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장치는 대부분 멧돼지를 가둘 수 있는 큰 우리 형태로 제작되므로, 무거워 운반 및 설치하기가 힘들어 멧돼지가 자주 출몰하는 장소에 숨겨서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운반을 위해 트럭과 지게차에 실어 운반하여야 하므로 운반 작업에도 어려움이 존재한다.
대형 포획틀의 경우 먹이를 넣어두고 포획틀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2주이상 적응기간을 거쳐 포획하므로 상당한 인적 시간적 비용이 소요된다.
뿐만 아니라, 멧돼지의 이동경로나 서식지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멧돼지에게 위치추적기를 장착하고자 할 경우, 멧돼지를 생포하기도 어려우며 산 채로 위치 추적기를 장착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 및 장비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2012-0115730 A KR 10-2018-0123899 A KR 10-2010-0115337 A KR 20-2009-0009670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유해동물 특히 멧돼지 등의 우재류의 출몰이 빈번한 장소에 설치되어, 유해동물을 포획하거나 위치 추적이 가능하여 유해동물을 포획 관리하는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는,
지지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부위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발판부와; 상기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되는 결박 밴드부; 및 상기 승강 발판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결박 밴드부의 내경을 환형 지지하며, 승강 발판부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승강 발판부가 하강되면 결박 밴드부의 환형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 밴드부가 결박되도록 하는 환형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박 밴드부는 환형단부에 타단에 형성된 당김단부를 관통시켜, 일단부에 당김단부의 당김에 의해 조임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조임림부가 형성된 올무로 구성되거나, 상기 결박 밴드부는 탄성에 의해 수축하여 조임되는 조임링 부재에, 위치 추적칩이 장착된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으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박 밴드부는 올무로 구성되며, 상기 당김단부에는 환형단부를 탄성 가압하여 조임림부에 조임력을 제공하는 탄성 조임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탄성 조임부재는 일단은 조임림부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과, 상기 당김단부의 일지점에 고정되어 지지 스프링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당김단부에는 신축작용에 의해 유해동물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신축 스프링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환형 유지부는 한 쌍의 분할 지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 지지체는 승강 발판부에 상하 힌지구조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어서,
상기 분할 지지체들은 승강 발판부의 하강에 의해 지지부와 간섭되면서 상향 선회하여 외경에 견착된 결박 밴드부를 이탈시킴으로써, 이탈된 결박 밴드부에 의해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가 조임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를 이용하면, 매설하여 설치되므로 숨기는 작업이 용이하고, 우리 형태가 아니므로 설치장소로 운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설치가 간편하다.
그리고, 멧돼지를 포획하기 위한 올무 대신에 위치추적 밴드를 사용할 경우 생포하여 작업자가 위치추적 밴드를 장착하지 않더라고 작업자의 개입없이 위치추적 밴드의 장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압착 조절유닛을 통해 특정 무게 이상의 동물을 포획하도록 구성된 관계로, 포획을 요하지 아니하는 무게가 가벼운 야생동물의 포획이 예방되고, 또 발목부를 단순히 결박하여 포획하는 관계로 유해동물에게 상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 안전하게 포획할 수 있다.
또한, 유해동물의 포획시 GPS 모듈이 탑재된 외부 알림유닛을 통해 관리자가 소지한 스마트폰 등의 외부 알림 단말기로 실시간 전송하므로, 유해동물의 포획 후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한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위치추적용 탄성 조임링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것이고,
도 7a,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올무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이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압착 조절유닛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에 있어, 포획 알림유닛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를 상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A'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 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위치추적용 탄성 조임링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를 상부에서 내려다본 것이고, 도 7a,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올무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의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이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장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에 있어, 또 다른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압착 조절유닛의 세부 구성 및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에 있어, 포획 알림유닛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해동물이 출몰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이 지나가면서 설치된 포획장치에 발굽을 디딜 때 발목부위에 올무를 결박하여 포획하거나, 올무 대신 위치 추적밴드를 사용하여 작업자의 개입없이 간편하게 유해동물에게 위치 추적밴드를 장착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1)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10)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이동경로를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부위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발판부(20)와; 상기 승강 발판부(20)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되는 결박 밴드부(40); 및 상기 승강 발판부(2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결박 밴드부(40)의 내경을 환형 지지하며, 승강 발판부(20)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승강 발판부(20)가 하강되면 결박 밴드부(40)의 환형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승강 발판부(20)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 밴드부(40)가 결박되도록 하는 환형 유지부(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결박 밴드부(40)는 도 2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단부(41a)에 타단에 형성된 당김단부(41c)를 관통시켜, 일단부에 당김단부(41c)의 당김에 의해 조임하여 직경이 축소되는 조임림부(41b)가 형성된 올무(41)로 구성되거나,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박 밴드부(40)는 탄성에 의해 수축하여 조임되는 조임링 부재(43b)에, 위치 추적칩(43a)이 장착된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은 유해동물에 장착시 유해동물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밴드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박 밴드부(40)는 올무(41)로 구성되며, 상기 당김단부(41c)에는 환형단부(41a)를 탄성 가압하여 조임림부(41b)에 조임력을 제공하는 탄성 조임부재(4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조임부재(42)는 일단은 조임림부(41b)를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42a)과, 상기 당김단부(41c)의 일지점에 고정되어 지지 스프링(42a)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토퍼(4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탄성 조임부재(42)의 스토퍼(42b)는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올무(41)가 결박될 때 조임림부(41b)에 조임력을 제공하여서, 당김단부(41c)가 당겨져 환형단부(41a)를 탄성 가압하여 환형단부(41a)의 직경이 축소되면서 올무(41)가 결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42b)는 고정볼트를 통해 당김단부(41c)의 일지점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관리자는 스토퍼(42b)의 고정위치 변경에 따라 지지 스프링(42a)의 탄지력을 증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를 통해 올무(41)의 조임직경의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올무(41)의 조임직경 조절을 통해 상대적으로 발목부위가 가는 야생동물들이 포획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올무(41)를 구성하는 당김단부(41c)에는 신축작용에 의해 유해동물로부터 제공되는 작용력을 일시적으로 완화시키는 신축 스프링(44)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신축 스프링(44)을 거쳐 고정단(45)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단(45)은 지면이나 나무와 같은 단단한 장소에 고정된다.
상기 신축 스프링(44)은 결박된 유해동물이 올무(41)로부터 도망가고자 힘을 가할 시에 신축적으로 작용하여 지면 등에 고정된 고정단(45)이 지면 등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3과 같이 유해동물의 발목부위가 올무에 의해 결박하여 포획되면 포획된 사실을 관리자 등에 외부 알림하는 포획 알림유닛(46)을 배치하여, 포획 알림유닛(46)을 통해 관리자는 유해동물의 포획사실과 지점을 신속히 인지하여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올무에 의해 포획된 유해동물의 당김에 의해 길이가 신장되는 결박 밴드부(40)의 신축 스프링(44)에 포획 알림 유닛(46)을 설치하여, 유해동물의 포획 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유해동물이 포획된 위치를 휴대폰 등으로 자동으로 알림해주도록 하여 사용자가 포획된 유해동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포획 알림 유닛(46)은 도 10과 같이 신축 스프링(44)의 일지점에 설치되어 유해동물이 포획되어 신축 스프링(44)이 신축되는 과정에서 접점이 떨어져 유해동물의 포획이 인지되도록 하는 포획 감지모듈(46a)과, 유해동물의 포획시 포획이 이루어지는 위치정보를 인식하는 GPS 모듈(46b)와, 상기 GPS 모듈(46b)에서 인지되는 유해동물의 위치정보를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등의 외부 알림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모듈(46c), 및 이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6d)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46c)은 지그비 방식, RF 방식, CDMA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 포획 감지모듈(46a)로는 진동센서 등 다양한 센서들이 채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신축 스프링(44)의 신장에 의해 접점이 전환되는 자성센서를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올무(41)에 의해 포획된 유해동물의 움직임에 의해 올무에 형성된 신축 스프링(44)이 당겨져 신장되면, 포획 알림 유닛(46)의 제어모듈(46d)은 자성센서로 이루어진 포획 감지모듈(46a)을 통해 유해동물의 포획사실을 인지하는 한편, 통신모듈(46c)을 통해 GPS 모듈(46b)로부터의 위치정보를 외부로 자동 전송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의해 포획된 유해동물은 장시간 발목부위가 올무에 묶여진 상태로 방치되지 아니하고, 외부 알림 단말기를 소지한 관리자에 의해 신속한 후속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박 밴드부(40)를 올무(41) 대신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으로 사용할 경우,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은 조임링 부재(43b)의 신축작용에 의해 축소되면서 장착되며, 신축 스프링(44)을 거쳐 고정단(45)에 연결되지 않아,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장착된 채로 유해동물은 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개입없이 간편하게 유해동물에게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의 장착이 가능하며, 장착이 완료된 후에는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에 장착된 위치 추적칩(43a)에 의해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이 장착된 유해동물의 위치와 이동경로 등이 확인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환형 유지부(30)는, 한 쌍의 분할 지지체(30a, 30b)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 지지체(30a, 30b)는 승강 발판부(20)에 힌지구조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분할 지지체(30a, 30b)들은 승강 발판부(20)의 하강에 의해 지지부(10)와 간섭되면서 상향 선회하여 외경에 견착된 결박 밴드부(40)를 이탈시킴으로써, 이탈된 결박 밴드부(40)에 의해 승강 발판부(20)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가 조임된다.
그리고, 상기 결박 밴드부(40)를 구성하는 분할 지지체(30a, 30b)의 외경에는 결박 밴드부(40)를 견착하는 견착홈(3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10)는 승강발판부(20)를 내부에 수용하며 승강발판부(20)가 유해동물의 하중에 의해 하강할 때 승강발판부(20)가 원활하게 하강하도록 지지 및 가이드하는 역활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의 상부 외주면인 지지턱(11)에는 승강발판부(20)의 상부에 배치된 환형유지부(30)의 일부가 지지된다.
즉,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부(10)의 지지턱(11)과 환형유지부(30)가 겹쳐진 부분인 'b'와, 지지턱(11)과 환형유지부(30)가 겹쳐지지 않고 승강발판부(20)와 겹쳐진 부분인 'a'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승강발판부(20)가 유해동물의 하중에 의해 하강할 때 지지턱(11)과 환형유지부(30)가 겹쳐진 부분인 'b'는 지지턱(11)에 지지되어 하강되지 않고, 지지턱(11)과 환형유지부(30)가 겹쳐지지 않고 승강발판부(20)와 겹쳐진 부분인 'a'부분이 하강하면서 접철된다.
그리하여, 승강발판부(20)의 하강에 의해 환형유지부(30)가 접철되고 환형유지부(30)에 장착된 결박 밴드부(40)는 환형유지부(30)로부터 분리되어 유해동물의 발굽에 씌어진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환형유지부(30)는 힌지구조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승강발판부(20)의 하강에 의해 승강발판부(20)로부터 분리되면서 결박 밴드부(40)가 분리되는 구조로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승강발판부(20)의 상부에 형성되는 막대형태의 지지구조에 의해 결박 밴드부(40)를 지지하고 있다가 승강발판부(20)의 하강에 의해 결박 밴드부(40)가 막대 형태의 지지구조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유해동물의 포획시 포획을 원하는 유해동물의 하중에 따라 승강발판부(20)가 하강하도록 구성하여 포획을 원하지 않는 동물은 승강발판부(20)를 밞더라도 하강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4a와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10)에는 승강 레일(12)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발판부(20)에는 승강 레일(12)에 승강구조로 배치되는 압착 조절유닛(21)이 배치되어서, 상기 승강 발판부(20)가 승강 레일(12)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착 조절유닛(21)는 조절볼트(21a)와, 상기 조절볼트(21a)에 장착되는 압착 스프링(21b)과, 상기 조절볼트(21a)와 체결되어 압착 스프링(21b)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지지너트(21c)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조절볼트(21a)의 조임량에 따라 압착 스프링(21b)의 압착정도가 달라져 승강발판부(20)와 지지부(10) 사이의 결합력이 조절되어서 유해동물의 하중에 따라 승강발판부(20)의 하강여부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10)에 승강구조로 설치된 승강 발판부(20)를 탄력적으로 상향 탄지하는 탄지유닛(13)이 배치되어, 상기 승강 발판부(20)는 설정압력 이상의 가압력이 가해지면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지유닛(13)은, 지지부(10)와 승강 발판부(20)를 상향 탄지하는 거상 스프링(13a)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또 다른 실시형태로 제안하고 있는 압착 조절유닛(22)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승강발판부(20)와 지지부(10)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승된 승강 발판부(20)를 탄력적으로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압착 지지구(22a)와 견착 고정구(22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견착 고정구(22b)는 일면, 또는 양면에 견착홈(22b-a)이 형성된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발판부(20)에 견착 고정구(22b)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견착 고정구(22b)를 탄력적으로 구속하는 압착 지지구(22a)는 탄성을 통해 견착 고정구(22b)를 탄력적으로 구속하는 수단으로, 일측이 개방된 진퇴공간이 형성된 케이싱(22a-a)과; 단부가 개방된 케이싱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부재(22a-b)와; 상기 케이싱(22a-a)의 진퇴공간 내에 배치되어 지지부재(22a-b)를 일측으로 탄지하는 압착 스프링(22a-c)과; 상기 케이싱(22a-a)에 체결을 통해 고정되어 체결량에 따라 압착 스프링(22a-c)에 의해 지지부재(22a-b)의 탄지력을 조절하는 조절볼트(22a-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압착 지지구(22)를 지지부(10)에 형성된 승강 레일(12)의 좌우 양편에 각각 대칭되게 배치하여, 승강 발판부(20)에 고정된 견착 고정구(22b)의 양면이 동시에 탄성 가압하여 구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발판부(20)는 견착 고정구(22b)와 압착 지지구(22a) 사이의 탄성 구속력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탄성 구속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가압력이 제공되면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관리자는 상기 압착 지지구(22a)에 마련된 조절볼트(22a-d)의 체결량을 조절하여서 견착 고정구(22b)와 압착 지지구(22a) 사이의 탄성 구속력의 조절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포획을 요하지 아니하는 유해동물이 무단으로 포획되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유해동물을 포획하고 위치 추적밴드를 장착하는 과정은, 도 7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해동물이 포획장치(1)가 설치된 위치에 발굽을 디디면 유해동물의 하중에 의해 승강 발판부(20)가 하강하고, 하강과정에 환형유지부(30)가 간섭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향 선회하여 결박 밴드부(40)가 환형유지부(30)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탈된 결박 밴드부(40)의 환형의 형상이 변형 축소되면서 유해동물의 발목 부위에 조임되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환형유지부(30)가 올무일 경우에는 포획상태를 유지하지만, 환형유지부(30)가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일 경우에는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이 발목부위에 조임된 상태로 유해동물은 이동하고, 관리자는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43)의 위치 추적칩(43a)에 의해 유해동물의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G는 지면임 ***
1.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10. 지지부 11. 지지턱
12. 승강 레일 13. 탄지유닛
13a. 거상 스프링
20. 승강발판부 21. 압착 조절유닛
21a. 조절볼트 21b. 압착 스프링
21c. 지지너트 22. 압착 조절유닛
22a. 압착 지지구 22a-a. 케이싱
22a-b. 압착 스프링 22a-c. 조절볼트
22b. 견착 고정구 22b-a. 견착홈
30. 환형유지부
30a, 30b. 분할 지지체 31. 견착홈
40. 결박 밴드부
41. 올무 41a. 환형단부
41b. 조임림부 41c. 당김단부
42. 탄성 조임부재 42a. 지지 스프링
42b. 스토퍼 43.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
43a. 위치 추적칩 43b. 조임링 부재
44. 신축 스프링 45. 고정단
46. 포획 알림유닛
46a. 포획 감지모듈 46b. GPS 모듈
46c. 통신모듈 46d. 제어모듈
G. 지면

Claims (4)

  1. 지지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이동경로를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부위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발판부와;
    상기 승강 발판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되는 결박 밴드부; 및
    상기 승강 발판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결박 밴드부의 내경을 환형 지지하며, 승강 발판부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승강 발판부가 하강되면 결박 밴드부의 환형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 밴드부가 결박되도록 하는 환형 유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에는 승강 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발판부에는 승강 레일에 승강구조로 압착 조절유닛이 배치되어서, 상기 압착 조절유닛에 의해 미리 설정된 무게 이상의 유해동물을 포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압착 조절유닛은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장착되는 압착 스프링과, 상기 조절볼트와 체결되어 압착 스프링의 압착력을 조절하는 지지너트를 포함하여, 상기 조절볼트의 조임량에 따라 상기 압착 스프링의 압착 정도가 달라져 승강 발판부와 지지부 사이의 결합력이 조절됨으로써 유해동물의 하중에 따라 승강 발판부의 하강 여부가 결정되도록 구성되고,
    이동 중인 유해동물이 상기 승강 발판부를 내딛으면 승강 레일을 따라 승강 발판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환형 유지부로부터 이탈된 결박 밴드부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결박 밴드부는, 탄성에 의해 수축하여 조임되는 조임링 부재에 위치 추적칩이 장착된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으로 구성되며,
    이동중인 유해동물이 상기 승강 발판부를 내딛으면, 상기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이 상기 환형 유지부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탈된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이 조임링 부재의 신축작용에 의해 환형의 형상이 변형 축소되면서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조임되어 자동 장착되는 위치 추적칩 자동 장착 구조가 되어,
    상기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은 위치 추적칩이 장착된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이 관리자의 개입없이 자동으로 발목부위에 조여진 상태로 이동하게 되어 위치 추적칩을 통해 유해동물의 위치와 이동경로를 확인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발판부가 유해동물의 하중에 의해 하강할 때, 지지부의 상부 외주면인 지지턱과 환형유지부가 겹쳐진 부분은 지지턱에 의해 하강하지 않고, 지지턱과 환형유지부가 겹쳐지지 않고 승강발판부와 겹쳐진 부분이 하강하면서 환형유지부가 접철되어서, 상기 위치 추적용 탄성 조임링이 상기 환형유지부로부터 이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유지부는 한 쌍의 분할 지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분할 지지체는 승강 발판부에 힌지구조로 배치되어서,
    상기 분할 지지체들은 승강 발판부의 하강에 의해 지지부와 간섭되면서 상향 선회하여 외경에 견착된 결박 밴드부를 이탈시킴으로써, 이탈된 결박 밴드부에 의해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가 조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KR1020190064240A 2019-05-31 2019-05-31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KR102085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40A KR102085030B1 (ko) 2019-05-31 2019-05-31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240A KR102085030B1 (ko) 2019-05-31 2019-05-31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5030B1 true KR102085030B1 (ko) 2020-03-05

Family

ID=6980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240A KR102085030B1 (ko) 2019-05-31 2019-05-31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50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304B1 (ko) 2020-11-03 2021-04-01 권태용 유해동물 포획장치
KR102270804B1 (ko) * 2020-10-21 2021-06-28 최진호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832A (ko) * 2001-03-30 2001-06-05 백무창 지피에스를 이용한 동물 관리방법 및 그 관리시스템
JP2002142649A (ja) * 2000-11-08 2002-05-21 Kazunari Toyoda 独立重量調整式足くくり捕獲罠
KR20090009670U (ko) 2008-03-21 2009-09-24 김진우 동물 포획용 올무
KR20100115337A (ko) 2010-10-06 2010-10-27 남진호 동물의 포획장치
KR20120115730A (ko) 2011-04-11 2012-10-19 박진용 멧돼지 포획장치
JP3183576U (ja) * 2013-03-07 2013-05-23 山田 勉 罠装置
JP3207491U (ja) * 2016-09-02 2016-11-10 作人 櫻井 動物捕獲装置
KR20180123899A (ko) 2017-05-10 2018-11-20 왕항종 야생동물 포획장치
JP3219738U (ja) * 2018-04-18 2019-01-24 瀬尾 小百合 獣類捕獲機上下伸縮装置長円筒踏下脚括り罠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649A (ja) * 2000-11-08 2002-05-21 Kazunari Toyoda 独立重量調整式足くくり捕獲罠
KR20010044832A (ko) * 2001-03-30 2001-06-05 백무창 지피에스를 이용한 동물 관리방법 및 그 관리시스템
KR20090009670U (ko) 2008-03-21 2009-09-24 김진우 동물 포획용 올무
KR20100115337A (ko) 2010-10-06 2010-10-27 남진호 동물의 포획장치
KR20120115730A (ko) 2011-04-11 2012-10-19 박진용 멧돼지 포획장치
JP3183576U (ja) * 2013-03-07 2013-05-23 山田 勉 罠装置
JP3207491U (ja) * 2016-09-02 2016-11-10 作人 櫻井 動物捕獲装置
KR20180123899A (ko) 2017-05-10 2018-11-20 왕항종 야생동물 포획장치
JP3219738U (ja) * 2018-04-18 2019-01-24 瀬尾 小百合 獣類捕獲機上下伸縮装置長円筒踏下脚括り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0804B1 (ko) * 2020-10-21 2021-06-28 최진호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KR102234304B1 (ko) 2020-11-03 2021-04-01 권태용 유해동물 포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030B1 (ko)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US96684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pping animals
US104704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pping animals
US8661726B2 (en) Humane animal trap
US8887435B2 (en) Wall-less trap systems and methods
US6732471B2 (en) Trap
JP6427148B2 (ja) 動物捕獲装置及び動物捕獲方法
JP3219738U (ja) 獣類捕獲機上下伸縮装置長円筒踏下脚括り罠
KR102082959B1 (ko) 유해 동물 퇴치 장치
KR102234304B1 (ko) 유해동물 포획장치
KR102270804B1 (ko)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JP6239801B1 (ja) 動物捕獲用罠
KR101939909B1 (ko) 유해동물 포획기구
KR20200022629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JP7244932B2 (ja) 有害動物の捕獲通報システム
KR102429314B1 (ko) 개량된 압축 조임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JP6644991B1 (ja) 動物捕獲用括り罠装置
KR102295254B1 (ko)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KR102165053B1 (ko) 동물 포획장치
JP2006055158A (ja) 獣捕獲罠
KR102537071B1 (ko) 야생동물 포획 장치
US1464453A (en) Animal trap
NZ522009A (en) Trap
CN118020738A (zh) 一种柑桔种植用快速定位害虫灭杀装置
CA1111252A (en) Animal tr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