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254B1 -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 Google Patents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254B1
KR102295254B1 KR1020210010593A KR20210010593A KR102295254B1 KR 102295254 B1 KR102295254 B1 KR 102295254B1 KR 1020210010593 A KR1020210010593 A KR 1020210010593A KR 20210010593 A KR20210010593 A KR 20210010593A KR 102295254 B1 KR102295254 B1 KR 102295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tightening
fixed
sn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호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21001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245Auxiliary devices for spring traps, e.g. attach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24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 A01M23/26Spring traps, e.g. jaw or like spring traps of the double-jaw or pinc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이 지나가는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포획을 요하는 유해동물의 발목을 조임하여서 해당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단에 형성된 고리부에 견인단부를 관통하여 환형 조임되는 조임링이 형성된 올가미부와; 상기 올가미부의 견인단부와 고정지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링에 발목부위가 조임된 유해동물을 고정지물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와이어부는, 비신축성 재질로 제작되어 올가미부의 견인단부와 고정단부 사이에 설정된 길이로 이격되게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와; 신축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조임링에 발목부위가 조임하여 포획된 유해동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 와이어는 고정 와이어와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고정지물과 올가미부 사이에 일변은 고정 와이어로 하며 이변은 완충 와이어로 하는 환형 루프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완충 와이어의 신장길이가 고정 와이어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Harmful animals trapping device having injury preven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물이 지나가는 이동경로 상에 배치되어, 포획을 요하는 유해동물의 발목을 조임하여서 해당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멸종위기에 직면하였던 야생동물들의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야생동물은 먹잇감을 찾아 서식지에서 벗어나서 농촌마을이나 도시에 출몰하여 농작물을 섭취하거나 훼손하고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가 되는 등 사람들에게 많은 피해를 주고 있다.
특히, 멧돼지의 잦은 출몰로 농작물 등이 훼손되는 피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고속도로까지 멧돼지가 출몰하여 충돌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멧돼지를 포획 및 사살하고는 있으나, 멧돼지를 발견하기가 어렵고 멧돼지가 발견되어도 멧돼지의 민첩성으로 인해 사살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멧돼지를 포획하기 위한 포획장치는 대부분 멧돼지를 가둘 수 있는 큰 우리 형태로 제작되므로 무게가 무겁고, 운반 및 설치가 힘들어 멧돼지가 자주 출몰하는 장소에 숨겨서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운반을 위해 트럭과 지게차에 실어 운반하여야 하므로 운반 작업에도 어려움이 존재한다.
대형 포획틀의 경우 먹이를 넣어두고 포획틀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2주이상 적응기간을 거쳐 포획하므로 상당한 인적 시간적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최근 멧돼지 등의 유해동물의 통행이 예상되는 경로에, 지지부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경로를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부위의 가압에 의해 하강하는 승강 발판부와; 상기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되는 결박 밴드부; 및 상기 승강 발판부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결박 밴드부의 내경을 환형 지지하며, 승강 발판부에 연동되게 설치되어 승강 발판부가 하강되면 결박 밴드부의 환형 지지상태를 해제하여 승강 발판부를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결박 밴드부가 결박되도록 하는 환형 유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KR 10-2012-0115730 A KR 10-2018-0123899 A KR 10-2010-0115337 A KR 20-2009-0009670 U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획을 요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을 조임하여 포획함에 있어, 상기 조임되는 조임링의 최대 조임직경을 제안하여 포획을 요하지 아니하는 야생동물들의 포획을 예방하고, 또 발목부위가 조임된 상태로 포획된 유해동물이 현장을 벗어나려는 과정에서, 발목부위에 가해지는 과도한 압박 및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포획된 과정에 해당 유해동물에 가해지는 고통과 상해의 발생을 최소화하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는,
일단에 형성된 고리부에 견인단부를 관통하여 환형 조임되는 조임링이 형성된 올가미부와;
상기 올가미부의 견인단부와 고정지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링에 발목부위가 조임된 유해동물을 고정지물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와이어부는,
비신축성 재질로 제작되어 올가미부의 견인단부와 고정단부 사이에 설정된 길이로 이격되게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와; 신축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조임링에 발목부위가 조임하여 포획된 유해동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 와이어는 고정 와이어와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고정지물과 올가미부 사이에 일변은 고정 와이어로 하며 이변은 완충 와이어로 하는 환형 루프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완충 와이어의 신장길이가 고정 와이어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 와이어는 고정 와이어의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고정 와이어의 이지점에 고정하거나, 고정 와이어의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올가미부의 견인단부에 고정하여서, 고정 와이어와 병렬구조로 배치되 환형 루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가미부의 조임링은 견인단부에 배치된 탄성 압박부재를 통해 제공되는 탄성 압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조임되도록 구성되고,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부위의 가압에 의해 구덩이를 따라 하강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되어 환형 전개된 상태로 구덩이의 상부에 가장자리부를 견착하여 구덩이의 상부에 발판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발판이 가압에 의해 하강하면 절첩되는 절첩 지지틀을 포함하는 승강 발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올가미부의 조임링은 절첩 지지틀의 외경에 견착되어 직경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압박부재를 통해 제공되는 탄성 압박력에 의해 탄성 조임되는 올가미부의 조임링에는, 조임링의 최대 조임직경을 제한하는 조임 제한 가드부가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포획을 요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을 올가미부의 조임링을 통해 조임하여 포획함에 있어, 올가미부를 고정지물에 이격되게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부를 비신축성 재질의 고정 와이어와, 신축성 재질의 완충 와이어가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일변은 고정 와이어로 구성되고 이변은 완충 와이어로 구성된 환형 루프부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올가미부는 고정 와이어에 의해 고정지물에 정형화된 고정상태를 형성하면서, 상기 올가미부에 발목부위가 조임된 상태로 포획된 유해동물이 현장을 이탈하기 위해 발버둥치는 과정에 발생되는 충격을 환형 루프부를 형성한 완충 와이어에 의해 완충하여서, 포획된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 와이어는 고정 와이어에 의해 신장 길이가 제한된 관계로, 유해동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항복점 이상의 길이로 신장되어 탄성 복원력이 상실되는 현상이 예방되고, 결과적으로 지속적인 완충작용을 도모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 와이어부에 의해 고정지물에 간접적으로 고정된 올가미부의 조임링에는, 조임링의 최대 조임 직경을 제한하는 조임 제한 가드부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임 제한 가드부에 의해 조임되는 조임링의 최대 조임직경이 제한되므로, 포획을 요하지 아니하는 야생동물들의 포획을 예방할 수 있고, 또 발목이 조임된 상태로 포획된 유해동물이 현장을 벗어나려는 과정에서 발목에 가해지는 압박 및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포획된 과정에 해당 유해동물에 가해지는 고통과 상해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이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설치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통한 야생동물의 포획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와이어부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있어, 조임 제한 가드부가 형성된 올가미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있어, 패드형으로 구성된 조임 제한 가드부의 세부 구성 및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는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설치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통한 야생동물의 포획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를 구성하는 고정 와이어부의 세부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있어, 조임 직경 제한 가드부가 형성된 올가미부의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에 있어, 패드형으로 구성된 조임 제한 가드부의 세부 구성 및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해동물의 이동이 출몰이 예상되는 통행로 등지에 설치되어, 멧돼지와 같은 유해동물이 지나가면서 발부위를 내딛을 때 상기 발목부위를 결박하여 유해동물을 포획하는 장치이다.
상기 유해동물 포획장치(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단에 형성된 고리부(11)에 견인단부(12)를 관통하여 조임되는 조임링(13)이 형성된 올가미부(10)와; 상기 올가미부(10)의 견인단부(12)와 고정지물(F)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링(13)에 발목부위가 조임된 유해동물이 고정지물에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현장을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는 고정 와이어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올가미부(10)는 비신축성 재질의 강선 와이어로 구성되어, 조임링(13) 내에 진입된 유해동물의 발목을 조임하여 포획하며, 상기 올가미부(10)의 견인단부(12)에 직렬로 연결된 고정 와이어부(20)는 나무나 말뚝 등의 고정지물(F)에 올가미부(10)를 이격되게 간접 고정하여서, 올가미부(10)에 의해 포획된 유해동물이 현장을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올가미부(10)에는 조임링(13)에 탄성 압박하여 조임되도록 하는 탄성 압박부재(14)가 배치된다.
상기 탄성 압박부재(14)는 상기 올가미부(10)의 견인단부(12)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탄성 압축을 통해 조임링(13)을 탄성 조임하는 조임 스프링(14a)과, 상기 견인단부(12)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안내로를 통해 상기 견인단부(12)에 관통하여 조임 스프링(14a)을 압축하는 조임 스토퍼(14b)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임 스토퍼(14b)는, 올가미부(10)의 견인단부(12)를 관통하는 안내로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의 조임부시(14b-a)와, 상기 조임부시(14b-a)에 체결되어 안내로를 관통한 견인단부(12)의 일지점을 압착 고정하여 조임 스프링(14a)을 압축한 조임부시(14b-a)를 견인단부(12)의 일지점에 고정하는 고정볼트(14b-b)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바와 같이 환형 전개된 승강 발판부(30)의 절첩 지지틀(32) 외벽을 감싼 올가미부(10)의 조임링(13)은 조임 스토퍼(14b)에 의해 압축된 조임 스프링(14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조임되는 성향을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해동물의 이동경로 등지에 형성된 설정깊이의 구덩이에 상기 올가미부(10)의 조임링(13)이 확장된 상태로 견착하여 고정하는 승강 발판부(30)를 부가하여서, 상기 올가미부(10)의 조임링(13)은 평상시에는 유해동물의 발목부위가 안정되게 진입 가능하도록 충분하게 확장된 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 발판부(30)는, 상기 구덩이(H)에 승강구조로 배치되어 통행하는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부위의 가압에 의해 구덩이를 따라 하강하는 발판(31)과; 상기 발판(31)에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되어 환형 전개된 상태로 구덩이의 상부에 가장자리부를 견착하여 구덩이(H)의 상부에 발판(31)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발판(31)이 가압에 의해 하강하면 절첩되는 절첩 지지틀(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첩 지지틀(32)은 상기 발판(31)의 좌우 양편에 각각 힌지(32b) 구조로 좌우 대칭하여 배치된 한쌍의 지지틀 부재(32a)를 포함하고, 상기 올가미부(10)의 조임링(13)은 상기 환형 전개된 절첩 지지틀(32)의 가장자리부에 환형 견착되어 설정된 직경으로 확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올가미부(10)의 조임링(13)을 절첩 지지틀(32)에 견착한 다음 조임 스토퍼(14b)를 통해 조임 스프링(14a)을 압축하면, 도 3a와 같이 상기 절첩 지지틀(32)에 견착된 조임링(13)은 탄성 압박된 상태로 환형 전개된다.
그리하여, 상기 조임링(13)은 평상시에는 절첩 지지틀(32)에 의해 설정된 직경으로 확장되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유해동물의 발목부위가 진입되는 진입경로를 충분히 확보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상기 유해동물이 내딪은 발부위에 의해 발판(31)이 하강하여 절첩 지지틀(32)이 절첩되면, 탄성 압박부재(14)를 통해 제공되는 탄성 압박력에 의해 조임링(13)은 순간적으로 조임되고, 결과적으로 발판(31)을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는 조임되는 조임링(13)에 의해 조임하여 포획된다.
즉, 상기 조임링(13)은 절첩 지지틀(32)에 의한 환형 지지상태가 해제되면 절첩 지지틀(32)의 외경에 환형 견착된 올가미부(10)의 조임링(13)은 압축된 조임 스프링(14a)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조임되면서, 발판(31)을 내딛은 유해동물의 발목을 조임하여서 해당 유해동물을 포획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와이어부(20)를, 비신축성 재질로 제작되어 올가미부(10)의 견인단부(12)와 고정지물(F) 사이에 설정된 길이로 이격되게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21)와, 당김에 의해 탄력적으로 신장되는 신축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고정 와이어(21)에 병렬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조임링(13)에 발목부위가 조임된 상태로 포획된 유해동물이 발버둥치는 충격을 완화하여 조임링(13)에 조임된 유해동물 발목부위의 상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완충 와이어(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와이어(21)와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환형 루프부(R)를 형성하는 완충 와이어(22)는, 고정 와이어(21)의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고정 와이어(21)의 이지점에 고정하거나, 고정 와이어(21)의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올가미부(10)의 견인단부(12)에 고정하여서, 일변을 고정 와이어(21)로 하고 이변을 완충 와이어(22)로 하는 환형 루프부를 형성하여서, 완충 와이어(22)는 비신축성 재질로 제작된 고정 와이어(21)에 의해 항복점 이상으로 신장되어 영구변형되어 탄성 복원작용이 상실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유해동물의 포획에 의해 올가미부(10)의 당김 발생시, 최초 상기 완충 와이어(22)의 탄력적인 신장을 통해 유해동물이 현장을 이탈하기 위해 발버둥치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여 유해동물의 발목에 가해지는 충격이 완충되고 최종적으로는 고정 와이어(21)에 의해 고정지물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므로, 포획된 유해동물의 발목부위의 상해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충 와이어(22)는 고정 와이어(21)의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하여 고정 와이어(21)와 병렬구조를 형성한 관계로, 유해동물에 의한 순간적인 당김력을 탄력적으로 완화하므로 유해동물의 발목부위 뿐 아니라 고정지물(F)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을 완화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 와이어부(20)에 고정된 고정지물(F)이 올가미부(10)에 의해 발목부위가 조임하여 포획된 유해동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서 물리적으로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예방되므로, 상기 고정 와이어부(20)를 통해 고정 지물(F)에 유해동물이 포획된 올가미부(10)를 정형화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올가미부(10)는 기본적으로 고정지물(F)과 비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 와이어(21)를 통해 설정된 길이로 연결된 관계로 올가미부(10)가 이탈하는 현상이 예방된다.
또한, 상기 완충 와이어(22)는 고정 와이어(21)에 의해 신장 길이가 제한된 관계로, 발버둥치는 유해동물에 의해 제공되는 충격에 의해 완충 와이어(22)가 항복점 이상으로 전개되어서 탄성 복원력을 상실하지 아니하고, 지속적인 신축을 통해 유해동물을 당김력을 탄력적으로 상쇄하여서, 유해동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특이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를 조임하여 포획하는 조임링(13)의 최대 조임직경을 제한하여 포획을 요하지 아니하는 야생동물이 포획되는 현상이 예방하고, 또 발목부위가 조임된 조임링의 과도한 조임에 의해 유해동물의 발목부위가 상해를 입는 현상이 예방되도록 함으로써, 포획과정에 유해동물의 고통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와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 압박부재(14)를 통해 제공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 조임되는 올가미부(10)의 조임링(13)에, 상기 조임링(13)에 조임링(13)의 최대 조임직경을 제한하는 조임 제한 가드부(40)를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임 제한 가드부(40)는 확장된 조임링(13)의 외주 길이보다는 길이가 짧도록 구성되어, 조임링(13)에 의해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를 충분히 압박하여 조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기 조임 제한 가드부(40)의 자체 길이에 의해 조임링(13)의 최대 조임 직경이 제한되어 멧돼지 보다 발목이 가는 토끼나 고라니 등의 야생동물들은 포획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조임 제한 가드부(40)는, 하나 이상의 패드형 가드(41)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신축성 재질의 중공셀형 가드(42)들로 구성된다.
상기 패드형 가드(41)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경 지지패드(41a)와 외경 지지패드(41b)가 조임링(13)을 개재하여 조립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내경 지지패드(41a)와 외경 지지패드(41b)에는 조임링(13)을 길이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하는 조임링 정렬홈(41a-a, 41b-a)과, 상기 내경 지지패드(41a)와 외경 지지패드(41b)를 상호 압입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복수의 조립공(41a-b)과 조립돌기(41b-b)가 대응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링 정렬홈(41a-a, 41b-a)에 조임링(13)을 길이방향으로 정렬한 내경 지지패드(41a)와 외경 지지패드(41b)는 조립돌기(41b-b)를 조립공(41a-b)에 압입하여서 조임링(13)을 관통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와 같이 올가미부(10)의 조임링(13)에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를 조임하여 압박함에 있어, 상기 조임링(13)은 조임 제한 가드부(40)에 의해 최대 조임 직경이 제한되어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를 과도하게 압박하지 아니한다.
특히, 상기 포획된 유해동물의 발목부위는 신축성 재질의 조임 제한 가드부(40)에 의해 탄력적으로 감싸진 관계로, 포획된 유해동물의 발목부위가 강선 와이어로 이루어진 조임링(13)에 의해 직접적으로 과도하게 압박됨에 따라 유해동물이 과도한 고통을 느끼거나 발목부위에 상해를 입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1. 유해동물 포획장치
10. 올가미부 11. 고리부
12. 견인단부 13. 조임링
14. 탄성 압박부재 14a. 조임 스프링
14b. 조임 스토퍼 14b-a. 조임부시
14b-b. 고정볼트
20. 고정 와이어부 21. 고정 와이어
22. 완충 와이어
30. 승강 발판부 31. 발판
32. 절첩 지지틀 32a. 지지틀 부재
32b. 힌지
40. 조임 제한 가드부 41. 패드형 가드
41a. 내경 지지패드 41a-a. 조임링 정렬홈
41a-b. 조립공 41b. 외경 지지패드
41b-a. 조임링 정렬홈 41b-a. 조립돌기
42. 중공셀형 가드

Claims (4)

  1. 일단에 형성된 고리부에 견인단부를 관통하여 환형 조임되는 조임링이 형성된 올가미부와;
    상기 올가미부의 견인단부와 고정지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링에 발목부위가 조임된 유해동물을 고정지물에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와이어부는,
    비신축성 재질로 제작되어 올가미부의 견인단부와 고정단부 사이에 설정된 길이로 이격되게 고정하는 고정 와이어와; 신축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조임링에 발목부위가 조임하여 포획된 유해동물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 와이어는 고정 와이어와 병렬구조로 배치되어 고정지물과 올가미부 사이에 일변은 고정 와이어로 하며 이변은 완충 와이어로 하는 환형 루프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완충 와이어의 신장길이가 고정 와이어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올가미부의 조임링에는, 조임링의 최대 조임직경을 제한하는 조임 제한 가드부가 배치되고,
    상기 조임 제한 가드부는, 하나 이상의 패드형 가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와이어는 고정 와이어의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고정 와이어의 이지점에 고정하거나, 고정 와이어의 일지점에 일단을 고정하고 타단을 올가미부의 견인단부에 고정하여서, 고정 와이어와 병렬구조로 배치되 환형 루프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올가미부의 조임링은 견인단부에 배치된 탄성 압박부재를 통해 제공되는 탄성 압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조임되도록 구성되고,
    유해동물이 내딛은 발목부위의 가압에 의해 구덩이를 따라 하강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에 힌지 링크구조로 조립되어 환형 전개된 상태로 구덩이의 상부에 가장자리부를 견착하여 구덩이의 상부에 발판이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발판이 가압에 의해 하강하면 절첩되는 절첩 지지틀을 포함하는 승강 발판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올가미부의 조임링은 절첩 지지틀의 외경에 견착되어 직경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4. 삭제
KR1020210010593A 2021-01-26 2021-01-26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KR102295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93A KR102295254B1 (ko) 2021-01-26 2021-01-26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593A KR102295254B1 (ko) 2021-01-26 2021-01-26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254B1 true KR102295254B1 (ko) 2021-08-27

Family

ID=7750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593A KR102295254B1 (ko) 2021-01-26 2021-01-26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25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70U (ko) 2008-03-21 2009-09-24 김진우 동물 포획용 올무
KR20100115337A (ko) 2010-10-06 2010-10-27 남진호 동물의 포획장치
KR20120115730A (ko) 2011-04-11 2012-10-19 박진용 멧돼지 포획장치
JP3197593U (ja) * 2015-02-25 2015-05-28 有限会社ヒットビジネス 動物捕獲罠用ワイヤ装置
JP3207491U (ja) * 2016-09-02 2016-11-10 作人 櫻井 動物捕獲装置
JP3209859U (ja) * 2017-01-19 2017-04-13 有限会社沢田製作所 括り罠の衝撃吸収装置
JP2017143762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九州自然環境研究所 獣類の捕獲罠装置
KR20180123899A (ko) 2017-05-10 2018-11-20 왕항종 야생동물 포획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9670U (ko) 2008-03-21 2009-09-24 김진우 동물 포획용 올무
KR20100115337A (ko) 2010-10-06 2010-10-27 남진호 동물의 포획장치
KR20120115730A (ko) 2011-04-11 2012-10-19 박진용 멧돼지 포획장치
JP3197593U (ja) * 2015-02-25 2015-05-28 有限会社ヒットビジネス 動物捕獲罠用ワイヤ装置
JP2017143762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九州自然環境研究所 獣類の捕獲罠装置
JP3207491U (ja) * 2016-09-02 2016-11-10 作人 櫻井 動物捕獲装置
JP3209859U (ja) * 2017-01-19 2017-04-13 有限会社沢田製作所 括り罠の衝撃吸収装置
KR20180123899A (ko) 2017-05-10 2018-11-20 왕항종 야생동물 포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1726B2 (en) Humane animal trap
US6751901B2 (en) Humane animal trap,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295254B1 (ko) 상해 방지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EP0852460B1 (en) Animal foot trap
Leak et al. Use of insecticide‐impregnated targets for the control of tsetse flies (Glossina spp.) and trypanosomiasis occurring in cattle in an area of south‐west Ethiopia with a high prevalence of drug‐resistant trypanosomes
KR20200022101A (ko) 맷돼지로부터 농작물을 지켜라
KR102132159B1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102085030B1 (ko) 유해동물 포획 관리장치
JP6246409B1 (ja) 獣の足を二重に結束可能とした罠
KR20200065235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102429314B1 (ko) 개량된 압축 조임구조를 갖는 유해동물 포획장치
KR102270804B1 (ko) 유해동물 포획 시스템
KR102165053B1 (ko) 동물 포획장치
JP6239801B1 (ja) 動物捕獲用罠
KR101033842B1 (ko) 해충 통로차단 및 포획장치
KR20210035428A (ko) 유해 동물 포획장치
KR20200110529A (ko) 야생동물 포획장치
CN212573971U (zh) 一种坚果鼠类简易捕捉器
KR102362419B1 (ko) 유해동물 포획을 위한 안전 트랩
KR101235279B1 (ko) 해충 포획기
JP7135594B2 (ja) 蹄行性有害獣の方向誘導装置
JP2022055438A (ja) 指定管理鳥獣の方向誘導装置
US20240099292A1 (en) Modular Insect Barrier Device
JP2021114942A (ja) 捕獲罠装置を仕掛ける方法
Proulx et al. Assessment of the Kania® trap to humanely kill red squirrels (Tamiasciurus hudsonicus) in enclos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