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8451A - 휠 패러 장치 - Google Patents

휠 패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8451A
KR20230168451A KR1020220068918A KR20220068918A KR20230168451A KR 20230168451 A KR20230168451 A KR 20230168451A KR 1020220068918 A KR1020220068918 A KR 1020220068918A KR 20220068918 A KR20220068918 A KR 20220068918A KR 20230168451 A KR20230168451 A KR 20230168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
base
harness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원
Original Assignee
박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원 filed Critical 박진원
Priority to KR1020220068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8451A/ko
Publication of KR20230168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8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22Load suspension
    • B64D17/30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 패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러글라이딩의 숙련자가 단독으로 비행하거나 신체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초보자를 탑승자로 탑승시키고 비행 숙련자인 교관이 비행 파일럿으로 탑승하여 패러글라이딩을 할 때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하네스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고, 지상에서 이륙할 때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관의 안전은 물론 이륙 편의성을 향상시킨 휠 패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베이스바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레그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착석한 탑승자를 측면에서부터 보호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사이드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하네스(Harness)가 연결되는 하네스 연결수단이 각각 구비된 포스트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와 상기 연결바에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름 가능한 구름캐스터가 배치되어 이륙시 후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휠 패러 장치{Wheel para apparatus}
본 발명은 휠 패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패러글라이딩의 숙련자가 단독으로 비행하거나 신체 이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초보자를 탑승자로 탑승시키고 비행 숙련자인 교관이 비행 파일럿으로 탑승하여 패러글라이딩을 할 때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하네스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고, 지상에서 이륙할 때 후진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관의 안전은 물론 이륙 편의성을 향상시킨 휠 패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패러글라이더(Paraglider)는 바람을 이용하여 양력을 발생시켜 공중을 비행하는 활공수단의 하나로서, 이를 이용한 패러글라이딩(Paragliding)은 낙하산 활강과 행글라이딩의 원리를 포함한 것이다. 이러한 패러글라이딩의 이륙 요령으로는 맞바람이 불 때 기체의 맨 앞 줄을 잡고 전방으로 뛰면서 기체를 들어 올려 이륙하며, 이륙 후 기체의 뒤쪽에서 내려온 조종줄(브레이크선)을 조작하여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방향을 조정한다.
이러한 패러글라이딩은 상술한 바와 같이 행글라이더의 활공 특성과 낙하산의 강하 특성의 중간적인 특성을 지님에 따라 높은 활공 능력을 보유함과 동시에 높은 안전성을 겸비하여 보급이 확산되고 이용자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패러글라이딩은 일반적인 취미 활동에 비해서도 초기 진입 장벽이 매우 높은데, 이는 비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조정의 실수는 비행자의 신체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세밀하고 장시간의 연습을 진행해야만 단독으로 비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입문자나 초보자의 경우 비행 조정이 가능한 교관이 동승한 상태에서 같이 비행을 하게 되며, 이때 탑승자를 위한 하데스가 설치되고 교관이 직립한 상태에서 이륙하도록 구성된 휠 패러 장치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휠 패러 장치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2529호(2019.05.02., 공개)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래칫(ratchet) 구조가 부가되어 전방으로만 회전하는 후방 휠이 구비되어 이륙 과정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교관에게 충격을 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탑승자와 교관이 필수로 탑승해야 하는 2인승으로 구성된 것으로, 탑승자와 교관 사이에 배치된 탄성지지프레임에 의해 교관이 탑승자의 등부위와 밀착하기 어려워 이륙 및 착륙 과정은 물론 비행과정에서 불편함을 초래함은 물론 안전성도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휠 패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 휠이 전방으로만 구름 이동 되기 때문에 맞바람을 이용하여 이륙해야 하는 과정에서 휠 패러 장치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 탑승자 및 교관이 뒤집어지거나 옆으로 쓰러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2529호(2019.05.02., 공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탑승자와 교관이 함께 탑승하여 비행할 수 있는 휠 패러 장치를 제공하되, 탑승자와 교관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이륙, 활강, 착륙 과정에서 안전성을 향상시킨 휠 패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 및 교관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전방에 배치되는 레그프레임의 길이 및 수직하게 배치되는 포스트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정적인 탑승이 가능하도록 한 휠 패러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베이스바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를 연결하는 연결바를 포함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레그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착석한 탑승자를 측면에서부터 보호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사이드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하네스(Harness)가 연결되는 하네스 연결수단이 각각 구비된 포스트프레임;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와 상기 연결바에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름 가능한 구름캐스터가 배치되어 이륙시 후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프레임은, 상기 베이스바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관과, 상기 한 쌍의 지지관에 각각 결합되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를 연결하는 수평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바는, 상기 지지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네스 연결수단은,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하네스 연결끈이 인입되는 인입돌부와, 상기 인입돌부가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프레임에 절개 형성된 출입홈과, 상기 결합관과 상기 포스트프레임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레그프레임은,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의 길이 방향 단부에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탑승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도록 메쉬 형태의 지지망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레그프레임을 향해 돌출된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탑승자와 교관 사이를 간섭하는 방해물이 없어 이륙, 비행 및 착륙 과정에서 탑승자의 비행 안정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의 착석을 위한 하네스의 결합 및 분리 편의성을 향상시켜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하네스의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레그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하고, 교관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포스트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탑승자 및 교관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어 활용도를 극대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 패러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 패러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 패러 장치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레그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포스트프레임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하네스 연결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휠 패러 장치를 평면에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휠 패러 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휠 패러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베이스바(11)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를 연결하는 연결바(12)를 포함한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레그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착석한 탑승자를 측면에서부터 보호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사이드프레임(3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하네스(Harness)가 연결되는 하네스 연결수단(44)이 각각 구비된 포스트프레임(40) 및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50)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본 발명에 따른 휠 패러 장치(1)의 전체적인 길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길이는 탑승자와 교관의 신체 사이즈를 고려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도면 중 도시된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 또는 비율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한 쌍의 베이스바(11)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바(12)를 포함한 것으로,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베이스바(11)는 탑승자의 하중 및 비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금속을 소재로 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그 사이에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은 물론 교관이 직립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탑승영역(111)과 교관이 활동하는 교관영역(112)으로 구획되는데, 상기 탑승영역(111)의 폭은 탑승자의 착석을 위한 하네스(Harnesee)가 배치되는 영역이며, 상기 교관영역(112)은 비행을 조정하는 교관이 사용하는 공간으로써 이륙, 활강, 착륙 과정에서 교관의 하체가 활동해야 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상기 교관영역(112)의 폭은 상기 탑승영역(111)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어야 교관이 활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탑승영역(111)은 탑승자를 위한 하네스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네스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폭이 상기 교관영역(112)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바(11)는 상기 탑승영역(111)에서 상호 근접하도록 절곡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의 길이 방향 일단부는 각각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곡 형성되어 구름이 가능한 구름캐스터(13)가 배치되어 베이스프레임(10)을 지면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구름캐스터(13)는 후술하는 연결바(12)에 배치된 구름캐스터(13)와 함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함으로써 맞바람을 이용하여 이륙 하는 과정에서 맞바람에 의해 탑승자와 교관이 탑승한 휠 패러 장치 전체가 후방으로 밀리거나 적절한 맞바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후진하거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출원인인 제안했던 종래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32529호(2019.05.02., 공개)에서는, 후방 휠이 래칫(ratchet) 구조가 부가되어 전방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륙 과정에서 맞바람을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맞바람이 강한 경우 휠 패러 장치가 뒤집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탑승자 및 교관의 신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구비된 구름캐스터(13)를 전방 및 후방은 물론 측방으로도 구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륙 과정에서 맞바람의 활용이 가능하여 이륙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이륙 전 맞바람에 의한 위치 이동이 자유로워 휠 패러 장치가 뒤집어지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바(12)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를 연결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 양단이 한 쌍의 베이스바(11)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2)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구름 이동이 가능한 구름캐스터(13)가 배치되며, 상기 구름캐스터(13)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지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전방 및 후방은 물론 측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12)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바(11)를 연결하여 이들의 위치를 고정하며 탑승자의 하중 및 비행 중 상기 베이스바(11)로 전달되는 압력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12)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연장된 바(bar) 또는 관체 형태 이외에도 하중 및 압력 분산을 위하여 여러 번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레그프레임(2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일단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레그프레임(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이러한 레그프레임(20)은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구된 일측을 구성하는 한 쌍의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의 길이 방향 일단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레그프레임(20)의 형상은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면 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ㄷ’자 형태 이외에도 반원형, 웨이브형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레그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바(11)에는 상기 레그프레임(20)의 조절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레그프레임(2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된 고정공과, 상기 베이스바(11)에 형성된 관통공 및 상기 고정공과 관통공에 결합하여 이들의 위치를 고정하는 결합볼트와 너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레그프레임(20)에는 탑승자가 하네스에 탑승한 상태에서 하네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망(21)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지지망(21)은 이륙, 비행(활강), 착륙 과정에서 바람으로 인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바람의 저항을 줄여 이륙, 비행 및 착륙 과정에서 지지망(21)이 바람에 의해 들러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메쉬(Mesh)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망(21)은 도 2,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하체를 하방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착석한 탑승자를 측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을 구성하는 한 쌍의 베이스바(11)에 각각 배치되되,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사이드프레임(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또는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양단이 상기 베이스바(11)에 각각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되고, 중간부분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사이드프레임(30)의 길이 및 상방으로 돌출된 높이, 그리고 돌출되는 경사각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일 예로 탑승자가 파지하는 파지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단차를 이루면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30)에는 탑승자가 파지하는 부위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논슬립패드(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은,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어 탑승자가 탑승하는 하네스(Harness)가 연결되는 하네스 연결수단(44)이 구비된다.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은, 상기 베이스바(11)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관(41)과, 상기 한 쌍의 지지관(41)에 각각 결합되는 수직바(42)와, 상기 수직바(42)를 연결하는 수평바(43)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지지관(41)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되며, 각각의 베이스바(11)에서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41)은 상단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은 상기 베이스바(11)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수직바(4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또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단이 상기 지지관(41)에 출입 가능하게 삽입된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관(41)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42)는 상기 지지관(4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교관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수직바(42)의 하방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조절공(421)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41)에는 외부와 상기 수직바(42)가 인입된 내부를 연통시키는 고정공(41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411)과 상기 조절공(421)에 맞물리는 결합볼트(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바(43)는 상기 수직바(42)의 상단을 연결하여 한 쌍의 수직바(42)를 일체로 결합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수직바(42) 중 어느 하나의 상단을 수평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별도의 관체 또는 바로 구성한 후 한 쌍의 수직바(42) 상단이 각각 용접을 통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바(43)에는 탑승자를 위한 하네스가 연결되는 하네스 연결수단(44)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네스 연결수단(44)은, 상기 포스트프레임(40)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결합관(45)과, 상기 결합관(45)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하네스 연결끈이 인입되는 인입돌부(46)와, 상기 인입돌부(46)가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프레임(40)에 절개 형성된 출입홈(47)과, 상기 결합관(45)과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48)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관(45)은 상기 포스트프레임(4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수평바(43)의 단부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관체 또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 상기 인입돌부(4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관(45)에는 상기 수평바(43)에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로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논슬립패드(451)가 더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논슬립패드(451)는 마찰저항력이 높으면서도 자체 탄성복원력을 가진 실리콘, 고무, 우레탄, 직물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상기 결합관(45)의 외주면을 감싸며 배치된다.
상기 인입돌부(46)는 상기 결합관(45)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 하네스의 연결끈이 인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인입돌부(46)는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관(45)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비어있는 내부에 하네스 연결끈이 삽입된다.
상기 출입홈(47)은 상기 포스트프레임(4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수평바(43)의 단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어 상기 인입돌부(46)가 출입하는 것으로, 상기 인입돌부(46)의 배치 위치 및 직경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결합수단(48)은 상기 결합관(45)과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관(45)이 상기 출입홈(47)으로 인입된 이후 결합관(45)의 위치를 고정하여 하네스 연결끈을 고정한다.
이러한 결합수단(48)은 상기 결합관(45)에 형성된 볼트결합공(481)과, 상기 포스트프레임(40),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수평바(4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형성된 위치고정공(482)과, 상기 볼트결합공(481)과 상기 위치고정공(482)에 맞물려 결합하는 체결볼트(483)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결합수단(48)은 상기 결합관(45)에 배치된 상기 인입돌부(46)에 하네스 연결끈을 인입한 후 상기 인입돌부(46)를 상기 수평바(43)에 형성된 출입홈(47)에 삽입한 후 상기 결합수단(48)을 통해 결합관(45)을 고정하여 하네스 연결끈을 고정한다.
이러한 하네스 연결수단(44)은 종래 하네스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던 카라비너(karabiner)의 불편함을 개선한 것으로, 종래 카라비너를 이용하여 하네스를 연결할 때는 카라비너를 구성하는 스크류게이트를 개방한 후 하네스 연결끈을 카라비너의 몸체에 끼운 후 다시 스크류게이트를 폐쇄하는 동작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하네스 결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나아가 이륙, 비행, 착륙 과정에서 탑승자 또는 교관과의 마찰 또는 하네스 몸체와의 마찰 등에 이해 스크류게이트가 풀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스크류게이트가 해제되어 하네스 연결끈이 카라비너의 몸체에서 이탈하는 경우 심각한 인명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 또는 신체 조건에 대응하여 하네스를 변경하여 장착하는 경우 상술한 결합 작업의 번거로움 때문에 하네스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하네스 연결끈을 인입돌부(46)에 삽입한 이후 결합관(45)을 수평바(43)에 형성된 출입홈(47)에 밀어 넣어 삽입하고, 이후 결합수단(48)을 통해 일체로 고정함으로써 하네스의 연결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결합된 이후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극대화한 장점이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탑승자와 교관 사이의 공간을 구획함과 동시에 탑승자의 둔부(臀部)를 하방에서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에 의해 형성된 탑승영역(111)과 교관영역(112)을 구획하되, 탑승영역(111)에 탑승한 탑승자와 교관영역(112)에 직립한 교관 사이에 장애물을 배치하지 않으면서도 두 영역을 물리적으로 구획한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50)은 탑승자와 교관이 밀착한 상태에서 이륙, 비행 및 착륙이 가능하도록 하여 안전성 및 비행 운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탑승자의 둔부를 하방에서 지지함으로써 이륙, 착륙 및 비행 과정에서 탑승자의 무게 중심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비행 운동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은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개구된 위치가 상기 교관영역(112)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의 형태는 도면 중 도시된 반원형 이외에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일 예로 서로 이웃한 다수 개의 반원이 연결된 웨이브 형태로 이루어져 탑승자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착석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은 일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교관영역(112)에 배치된 교관이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휠 패러 장치
10 : 베이스프레임
11 : 베이스바 12 : 연결바
13 : 구름캐스터
20 : 레그프레임
21 : 지지망
30 : 사이드프레임
40 : 포스트프레임
41 : 지지관 42 : 수직바
43 : 수평바 44 : 하네스 연결수단
45 : 결합관 46 : 인입돌부
47 : 출입홈 48 : 결합수단
50 : 가이드프레임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베이스바(11)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를 연결하는 연결바(12)를 포함한 베이스프레임(1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길이 방향 일단에 배치되는 레그프레임(2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착석한 탑승자를 측면에서부터 보호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는 사이드프레임(30);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한 쌍이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며 하네스(Harness)가 연결되는 하네스 연결수단(44)이 각각 구비된 포스트프레임(40);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프레임(50);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와 상기 연결바(12)에 각각 전방 또는 후방으로 구름 가능한 구름캐스터(13)가 배치되어 이륙시 후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패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은,
    상기 베이스바(11)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지지관(41)과,
    상기 한 쌍의 지지관(41)에 각각 결합되는 수직바(42)와,
    상기 수직바(42)를 연결하는 수평바(43)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바(42)는,
    상기 지지관(41)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패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네스 연결수단(44)은,
    상기 포스트프레임(40)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는 결합관(45)과,
    상기 결합관(45)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네스를 구성하는 하네스 연결끈이 인입되는 인입돌부(46)와,
    상기 인입돌부(46)가 출입 가능하도록 상기 포스트프레임(40)에 절개 형성된 출입홈(47)과,
    상기 결합관(45)과 상기 포스트프레임(40)을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수단(48)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패러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프레임(20)은,
    일측이 개구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의 길이 방향 단부에 출입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탑승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도록 메쉬 형태의 지지망(21)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패러 장치.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50)은,
    상기 레그프레임(20)을 향해 돌출된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바(11)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패러 장치.
KR1020220068918A 2022-06-07 2022-06-07 휠 패러 장치 KR20230168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18A KR20230168451A (ko) 2022-06-07 2022-06-07 휠 패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918A KR20230168451A (ko) 2022-06-07 2022-06-07 휠 패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8451A true KR20230168451A (ko) 2023-12-14

Family

ID=8916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918A KR20230168451A (ko) 2022-06-07 2022-06-07 휠 패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84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529B1 (ko) 2017-10-23 2019-10-15 박진원 장애인용 휠패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529B1 (ko) 2017-10-23 2019-10-15 박진원 장애인용 휠패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7223A (en) Swing type amusement ride
EP0656801B1 (en) Amusement ride
US6440002B1 (en) Top loading swing type amusement ride
US8109523B2 (en) Skibob and method for riding a chairlift
US5931740A (en) Module-type amusement ride
US20180257773A1 (en) System for Tethered Airboarding
KR200453067Y1 (ko) 와이어를 이용한 활강 레포츠 안전 제동 장치
KR102227903B1 (ko) 체어리프트의 체어 상에 장착되는 승객 보호 디바이스
AU768764B2 (en) Multi-bay bungee-cord acrobatic suspension and trampoline structure
KR101877800B1 (ko) 동력 패러글라이더용 평형 유지 장치
KR101862286B1 (ko) 동력 패러글라이더
KR20230168451A (ko) 휠 패러 장치
US7465235B2 (en) Combined human catapult and safety landing apparatus
US20110006504A1 (en) Vehicle which slides on snow guided by a user and carrying a passenger
KR101839530B1 (ko) 보드형 짚라인
KR102032529B1 (ko) 장애인용 휠패러 장치
FR2750395A1 (fr) Systeme d'amortissement et de repartition des contraintes exercees sur le corps humain par des forces d'acceleration notamment lors d'une procedure d'urgence d'evacuation par siege ejectable
WO202003280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ove an object through space
KR102502215B1 (ko) 헬기 시뮬레이션 체험을 위한 장치
US6085682A (en) Strap assembly for parasailing
JPH07112700A (ja) ケーブルハンググライダー装置
KR200154745Y1 (ko) 리프트용 비상 구조장비
AT519336B1 (de) Gurtzeug
JP3059434U (ja) エンジンユニットキャスター
DE3877745T2 (de) Schutzvorrichtung fuer hohe "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