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4825A -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4825A
KR20130014825A KR1020110076514A KR20110076514A KR20130014825A KR 20130014825 A KR20130014825 A KR 20130014825A KR 1020110076514 A KR1020110076514 A KR 1020110076514A KR 20110076514 A KR20110076514 A KR 20110076514A KR 20130014825 A KR20130014825 A KR 20130014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using
nut
box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2277B1 (ko
Inventor
김종재
권정봉
Original Assignee
김종재
권정봉
주식회사 이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재, 권정봉, 주식회사 이룸 filed Critical 김종재
Priority to KR102011007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27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4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4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0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vehicles with loading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의 휠 하우스 후방에 브래킷이나 또는 별도의 수납체를 착탈가능하게 조립하여 그곳에 소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실을 갖춤으로써, 적재함에 적재되는 소품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적재함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적재함 내부를 미려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상기 수납체(9)를 개폐수단으로 개폐하는 덮개(10);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9)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5);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Sorage device for cargo box of pick-up truck}
본 발명은 화물차량 특히 픽업트럭의 화물 적재함에 소품을 보관할 수 있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재함의 휠 하우스 후방에 브래킷이나 또는 별도의 수납체를 착탈가능하게 조립하여 그곳에 소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실을 갖춤으로써, 적재함에 구비되는 소품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적재함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적재함을 미려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픽업트럭은 소형 화물차의 일종으로 적재함이 개방되어 있고, 이 적재함 양측에 뒷바퀴를 수용하기 위해 휠 하우스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므로, 종래 픽업트럭의 적재함은 돌출된 휠 하우스가 화물적재의 방해요소로 작용하여 픽업트럭의 종류에 따라 다르겠지만 휠 하우스의 후방 또는 전방 공간, 즉 휠 하우스의 폭과 높이에 해당하는 후방 또는 전방 공간은 물품을 거의 수납하지 못하여 공간활용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 픽업트럭의 적재함의 돌출된 휠 하우스가 후방에 공간을 두는 구조의 픽업트럭으로 한정하여 문제점을 설명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픽업트럭은 적재함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차량 출고 후 대다수 운전자는 별도의 비용을 들여 적재함 덮개를 장착하여 적재된 화물이 파손되거나 도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휠 하우스가 돌출됨으로 인하여 적재함 내부 공간의 활용도가 낮아 물품의 적재 효율성이 낮았다. 특히 돌출된 휠 하우스의 후방 공간은 부피가 큰 화물이나 물건 등을 적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크기가 작은 소품 예컨대, 세차용품과 같은 청소용품 및 공구 등을 보관할 경우에도 개방된 형태로 방치되므로 주행 중 상기 소품과 공구 등이 자유로이 움직여 파손되거나 손실되는 우려가 있음은 물론 주행 중 적재된 소품과 공구들이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인하여 소음을 발생시켜 탑승자에게 불쾌함을 유발시켰다.
이러한 픽업트럭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0471170호(2005.02.01.등록) "픽업차량의 화물실용 다목적 공구함"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도 1과 같이 몸체(100)에 함실(141)이 설치된 일체형 구조이기 때문에 적재된 무거운 화물이 이동하거나 진동하여 몸체(100)가 파손될 경우 몸체(100) 전부를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공수의 증가로 작업이 불편하고, 또한 교체 비용에 따른 고비용이 소요되어 유지 관리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교체에 따른 불필요한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함실(141)을 몸체(100) 일체로 제작함에 있어 큰 부피의 금형이 필요로 하므로 금형 작업에 따른 불량율이 증가하여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화물차량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적재함의 휠 하우스 후방에 브래킷이나 또는 별도의 수납체를 착탈가능하게 조립하여 그곳에 소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실을 갖춤으로써, 적재함에 적재되는 소품을 안전하게 보관하여 적재함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적재함 내부를 미려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의 구성은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돌출된 휠 하우스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브래킷; 및
상기 브래킷을 적재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돌출된 휠 하우스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브래킷;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 및
상기 브래킷을 적재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돌출된 휠 하우스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 및
상기 수납체를 적재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돌출된 휠 하우스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 및
상기 수납체를 적재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돌출된 휠 하우스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를 개폐수단으로 개폐하는 덮개; 및
상기 수납체를 적재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돌출된 휠 하우스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
상기 수납체를 개폐수단으로 개폐하는 덮개;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 및
상기 수납체를 적재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휠 하우스 후방에 위치한 활용도가 낮은 공간에 브래킷이나 또는 수납체를 이용한 별도의 소형 수납장치를 갖춤으로써, 이 소형 수납장치 내부에 소품을 안전하게 수납 보관하게 되므로 종래 적재 화물이 이동하여 적재함 바닥면이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제거하고, 또한 수납장치에 보관된 소품이 분실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납장치에 잡다한 소품을 수납 보관하게 되므로 적재함을 깨끗하게 정리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다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 나아가, 차량의 주행 중 보관된 소품과 물품 등에 의해 발생되는 적재함의 소음을 처음부터 제거함으로서 탑승자에게 보다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적재함에 설치된 수납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적재함 고정형 구조보다 더 활용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일체형 공구함이 탑재되기 전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납장치 확대도
도 4는 도 2의 수납장치 조립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브래킷이 적재함에 고정되기 전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레버의 회전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탄성부재가 브래킷을 적재함에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브래킷 측면에 그물망이 형성됨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수납체와 덮개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삽입돌기가 끼움공에 조립되기 전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덮개가 수납체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2는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수납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수납체 저면이 밀폐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9에 따른 실시예의 수납장치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수납체 저면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날개에 보조수납함이 형성됨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납체와 덮개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도 15 실시예에 따른 덮개가 수납체에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개폐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확대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체와 그물망의 분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의 다른 실시예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격판과 수납체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체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브래킷(3); 및
상기 브래킷(3)을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3)은 도면에서와 같이 휠 하우스(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판상의 형태를 가지고 길게 연장되는 제1패널(31)과, 상기 제1패널(31)이 적재함(1) 측벽에서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 수납공간을 갖도록 상기 제1패널(31)에서 연속되게 절곡되고 그 자유단부에 상기 적재함(1)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32a)이 형성된 제2패널(32)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3)의 제1,2패널(31)(32)에는 고정수단(4)의 보울트가 삽입되는 조립공(33)이 관통된다.
상기 브래킷(3)은 금속재를 사용하며, 적재함(1)이 노출됨을 감안하여 빗물에 녹슬지 않은 스테인레스 재질이 좋다.
그러나, 브래킷(3)은 적재함(1)과 동일한 재질인 합성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합성수지의 재질이 충격 흡수 및 브래킷(3) 제작 자유도 측면에서 일반 금속재 재질보다 더 자유롭고 제작의 편리성이 많기 때문이다.
상기 브래킷(3)의 폭과 높이는 휠 하우스(2)의 폭과 높이보다 같거나 또는 크지 않아야 한다. 만약 브래킷(3)의 폭과 높이가 휠 하우스(2)보다 크게 되면 휠 하우스(2)에 의해 형성된 후방 공간을 활용하는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게 되고, 이러한 구조는 적재함(1)의 용량을 더욱 줄이는 결과를 초래한다.
상기 브래킷(3)을 적재함(1)에 고정하는 고정수단(4)은 도 3, 도 5a,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보울트(41), 너트(42), 탄성부재(43), 및 레버(44)를 포함한다.
상기 보울트(41)는 제1,2패널(31)(32)에 형성된 조립공(33)과, 상기 각 조립공(33)과 맞대응되는 휠 하우스(2)에 관통된 제1고정공(2a) 및 적재함(1) 측벽에 형성된 제2고정공(2b)에 각각 삽입되어 후술하는 탄성부재(43)가 제1,2고정공(2a)(2b)에 걸림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너트(42)는 상기 각 보울트(41)의 일단부에 체결되어 상기 탄성부재(43)가 보울트(41)에서 빠지지 않도록 체결하는 것이며, 특히 후술되는 탄성부재(43)가 압착되는 과정에서 이를 지지하는 역할도 같이 수행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3)는 상기 각 보울트(41)에 끼워지고 너트(42)와 브래킷(3) 사이에 위치되어, 브래킷(3) 조립과정에서 사용자가 레버(44)를 회전 조작하여 보울트(41)를 레버(44) 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브래킷(3)에 압착되면서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제1,2고정공(2a)(2b)을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43)는 중공형상으로 구성되며, 도 5a 및 도 5b와 같이 브래킷(3)의 조립공(33)에 삽입된 보울트(41)에 단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보울트(41)가 조립공(33)에서 빠지지 않도록 외경이 상기 조립공(33)보다는 크고, 또한 상기 브래킷(3)을 적재함(1)에 고정시키기 위해 너트(42)와 함께 적재함(1)의 제1,2고정공(2a)(2b)에 삽입될 때 제1,2고정공(2a)(2b)에 간섭받지 않도록 상기 제1,2고정공(2a)(2b) 지름보다는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3)는 탄성이 좋으면서 질긴 재질, 예컨대, 고무, 우레탄, 연질의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재질은 모두 적용가능하다.
상기 레버(44)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하는 것으로, 브래킷(3) 조립과정에서 상기 보울트(41)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상기 각 보울트(41) 단부에 편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임의대로 복원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레버(44)가 편심상태로 조립되어야 하는 이유는 브래킷(3)을 적재함(1)에 고정시킬 때 브래킷(3)과 직각으로 회전하면 보울트(41)를 잡아당기고, 다시 펼쳐질 때 보울트(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레버(44)를 직각으로 회전하면 보울트(41)에 끼워진 탄성부재(43)가 볼록하게 변형되어 브래킷(3)을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4)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레버(44)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보울트(41)들을 브래킷(3)의 제1,2패널(31)(32)에 형성된 각 조립공(33)에 삽입한 후 이 보울트(41)에 탄성부재(43)를 끼우고 너트(42)를 체결하여 탄성부재(43)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이 상태는 브래킷(3)을 경계로 보울트(41) 일측에 레버(44)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타측에 탄성부재(43)와 너트(42)가 조립되어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43)의 외경이 조립공(33)의 지름보다 더 크기 때문에 보울트(41)는 조립공(33)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3)을 적재함(1)에 고정하기 위해 레버(44)를 펼친 상태에서 상기 보울트(41)에 조립된 너트(42)와 탄성부재(43)를 휠 하우스(2)에 형성된 제1고정공(2a)과 적재함(1) 측벽에 형성된 제2고정공(2b)에 각각 삽입한다. 이후, 펼쳐진 레버(44)를 직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보울트(41)는 레버(44) 방향으로 잡아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탄성부재(43)는 브래킷(3)에 압착되면서 제1,2고정공(2a)(2b)보다 더 크게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브래킷(3)을 휠 하우스(2) 및 적재함(1) 측벽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보울트(41), 레버(44), 탄성부재(43), 너트(44)의 고정수단(4)은 항상 브래킷(3)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이로 인하여 고정부재의 분실과 보관에 따른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6과 같이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브래킷(3);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3)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5); 및
상기 브래킷(3)을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3)과 고정수단(4)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그물망(5)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그물망(5)을 사용하는 것이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차별화된다.
상기 그물망(5)은 브래킷(3) 외측면에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브래킷(3) 외측면에 조립된다.
상기 그물망(5)은 공지의 같이 브래킷(3)에 스크류(미도시) 등으로 체결고정될 수 있고, 또한 도 19와 같이 합성수지로 구성된 연장돌기(5a)를 브래킷(3)의 구멍(3a)에 돌출되게 삽입한 후 그 돌출부분에 열을 가하여 상기 구멍(3a)을 폐쇄할 수 있도록 뭉뚝하게 스토퍼(5b)을 형성시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물망(5)은 도 18과 같이 브래킷(3)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브래킷(3)에 삽입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그물망(5)이 조립된 브래킷(3)의 외측면에는 안내부(6)가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6) 내측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용부(7)를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브래킷(3)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 면적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격판(81)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도 20과 같이 조절수단(8)을 더 갖는다.
상기 조절수단(8)은 상기 브래킷(3)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격판(81);
상기 격판(81)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3)의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슬롯(82);
상기 격판(81)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격판(81)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너트(42)가 형성되어 상기 슬롯(82)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83); 및
상기 슬롯(8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방지돌기(83)의 너트(42)에 체결되어 상기 격판(81)을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조절보울트(8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절수단(8)은 격판(81) 전방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83)가 슬롯(82)에 삽입되어 있고, 회전방지돌기(83)의 너트(42)에 조절보울트(84)가 체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조절보울트(84)의 조임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조절보울트(84)를 잡고 격판(81)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체결하여 수납공간의 면적을 분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4)을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수납체(9)를 자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도 후술되는 모든 수납체(9)에 설치되는 고정수단(4)은 앞의 브래킷(3)의 고정수단(4)과 동일하게 수납체(9)에 항상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는 수납체(9)를 적용하는 것이 특징으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차별화된다.
상기 수납체(9)는 함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자체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미 설명한 브래킷(3)이 휠 하우스(2) 및 적재함(1) 격벽과 서로 협력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것과 상이하다.
상기 수납체(9)는 도 7과 같이 상기 휠 하우스(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공(33)이 관통되는 측면패널(91);
상기 적재함(1) 측벽과 밀착되게 상기 측면패널(91)에서 절곡되고, 상기 적재함(1) 측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공(33)이 관통되는 내면패널(92); 및
상기 측면패널(91)과 내면패널(92)을 연결하는 외면패널(93);을 포함한다.
상기 내면패널(92)은 적재함(1)의 측벽에 밀착 고정되므로 접촉면이 그와 대응되는 적재함(1)의 측벽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면패널(93)은 측면패널(91)과 내면패널(92)을 연결하는 것이므로, 그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직각형태로 절곡하여 수납체(9)의 형상을 대략 사각형 형태로 구성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재함(1)의 측면 형상에 따라 수납체(9)의 측면패널(91)과 내면패널(92) 형상이 정해지기 때문에 설계 및 제작 자유도 측면에서 합성수지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체(9)는 도 12와 같이 하면(9b)을 형성하여 용기형태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도 13과 같이 하면을 개방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면(9b)을 갖는 수납체(9)는 상기 하면(9b)을 개방, 또는 폐쇄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21과 같이 폐쇄된 하면(9b) 하부에 격자형태의 바닥부재(9b-1)를 별도로 더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9b)이 부분적으로 관통될 수 있도록 하면(9b) 자체를 격자형태의 바닥부재(9b-1)로 형성할 수 있다.
바닥부재(9b-1)는 수납체(9) 자체의 강성과 비틀림 및 이에 따른 견고함을 증대시킴은 물론 수납물품의 충격으로부터 하면(9b)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9)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5);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체(9), 고정수단(4), 및 그물망(5)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그물망(5)이 수납체(9) 외측면에 조립되는 것이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차별화된다.
상기 수납체(9)의 고정수단(4) 역시 앞에서 기술된 고정수단(4)과 같이 후술되는 덮개(10)까지 포함하여 항상 이들과 함께 고정되어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 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그물망(5)은 도 18과 같이 수납체(9)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수납체(9)에 삽입된 형태로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그물망(5)이 조립된 수납체(3)의 외측면에는 안내부(6)가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6) 내측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용부(7)를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상기 수납체(9)를 개폐수단으로 개폐하는 덮개(10);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체(9), 고정수단(4)은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는 덮개(10)를 사용하는 것이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차별화된다.
상기 덮개(10)는 수납체(9)의 개구부에 씌움고정되어 수납체(9) 내부에 수용된 소품들을 밀폐되게 수납하여 외부에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개폐수단에 의해 수납체(9)에 착탈된다.
상기 덮개(10)를 수납체(9)에 개폐가능하게 조립하는 개폐수단은 2가지 실시예가 제시된다.
첫째 실시예는, 도 9와 같이 상기 덮개(10)의 일측면 단부에 돌출되는 삽입돌기(11);
상기 삽입돌기(11)와 대향되는 덮개(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1개폐공(12);
상기 수납체(9)의 수납공간 내부 일측면 상단부에 상기 삽입돌기(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끼움공(13);
상기 끼움공(13)과 대향되는 수납공간 내부 타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개폐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폐공(14a)이 관통되는 파지편(14);
상기 덮개(10)의 제1개폐공(12)을 관통하는 보울트(41);
상기 보울트(41)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42);
상기 보울트(41)에 끼워지고 너트(42)와 덮개(10)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43); 및
상기 보울트(41) 타단부에 편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덮개(10)를 수납체(9)에 고정시킬 때 회전하여 보울트(41)를 잡아당기고 덮개(10)를 해제할 때 보울트(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11)를 끼움공(13)에 삽입하여 수납체(9)에 덮개(10)를 폐쇄한 상태에서 레버(44)를 펼쳐 보울트(41)에 조립된 너트(42)와 탄성부재(43)를 제1,2개폐공(12)(14a)에 관통시킨 다음 상기 레버(44)를 회전시켜 보울트(41)를 잡아당길 때 너트(42)와 덮개(10)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43)가 압착되면서 측면이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파지편(14)의 제2개폐공(14a)에 걸림고정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이미 설명한 고정수단(4)과 유사한 구조이다.
상기 삽입돌기(11)는 도 10과 같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절곡된 단부가 상기 끼움공(13)에 삽입되어 덮개(10)의 일단부를 수납체(9)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상기 파지편(14)은 저면 양측에 형성된 리브(14b)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보울트(41)가 제2개폐공(14a)에 삽입되고 변형된 탄성부재(43)가 덮개(10)를 수납체(9)에 고정하더라도 파지편(14)은 덮개(10)를 안전하게 고정하게 된다.
한편, 개폐수단의 둘째 실시예는, 첫째 실시예와 유사하고 도 15와 같이 덮개(10)에 형성된 삽입돌기(11)와 상기 삽입돌기(11)를 수용하는 수납부재(15)에 차이가 있다.
즉, 개폐수단의 둘째 실시예는, 덮개(10)의 상기 덮개(10)의 일측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돌출되는 삽입돌기(11);
상기 삽입돌기(11)와 대향되는 덮개(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1개폐공(12);
상기 수납체(9)의 수납공간 내부 일측 상면에 상기 삽입돌기(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재(15);
상기 수납부재(15)와 대향되는 수납공간 내부 타측 상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개폐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폐공(14a)이 관통되는 파지편(14);
상기 덮개(10)의 제1개폐공(12)을 관통하는 보울트(41);
상기 보울트(41)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42);
상기 보울트(41)에 끼워지고 너트(42)와 덮개(10)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43); 및
상기 보울트(41) 타단부에 편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덮개(10)를 수납체(9)에 고정시킬 때 회전하여 보울트(41)를 잡아당기고 덮개(10)를 해제할 때 보울트(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돌기(11)를 수납부재(15)에 삽입하여 수납체(9)에 덮개(10)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44)를 펼쳐 보울트(41)에 조립된 너트(42)와 탄성부재(43)를 제1,2개폐공(12)(14a)에 관통시킨 다음 상기 레버(44)를 회전시켜 보울트(41)를 잡아당길 때 너트(42)와 덮개(10)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43)가 압착되면서 측면이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파지편(14)의 제2개폐공(14a)에 걸림고정된다.
상기 덮개(10)의 삽입돌기(11)는 도 16과 같이 탄성편(11a)으로 덮개(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삽입돌기(11)를 수용하는 수납부재(15)는 상부가 개구된 슬롯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9 내지 도 1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납체(9)의 덮개(10)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상기 덮개(10)는 사용상 필요에 따라 개방 위치가 달리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적재함(1)의 휠 하우스(2) 위치에 끼움공(13)을 두고 덮개(10)의 삽입돌기(11)를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는 미도시 되었지만 픽업트럭 쓰임 용도에 따라 수납체(9)의 측면에서 측면으로, 앞에서 뒤로, 뒤에서 앞으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상기 수납체(9)를 개폐수단으로 개폐하는 덮개(10);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9)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5);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납체(9), 덮개(10), 고정수단(4), 및 그물망(5)은 이미 설명하였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의 특징은 덮개(10)를 사용하고, 또한 수납체(9)의 외측면에 그물망(5)이 채용되는 것이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차별화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의 수납체(9)는 휠 하우스(2)에 고정되는 측면 상단에 상기 휠 하우스(2) 상단면과 일치되게 날개(94)가 연장된다.
상기 날개(94)는 휠 하우스(2) 단부가 라운딩처리고, 상기 라운딩 처리된 단부가 수납체(9)와 연결되므로 상기 연결부분을 매끈하게 처리하게 된다. 상기 날개(94)와 수납체(9) 측면 경계부에는 도 21과 같이 복수 개의 보강리브(94-1)가 형성되어 상기 날개(94)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날개(94)는 필요에 따라 적재함(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으며, 이는 수납체(9) 자체의 견고함을 증대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날개(94)에는 도 14와 같이 보조수납함(94a)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수납함(94a)은 자주 사용하는 소형 물품을 수납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서 수납체(9)는 적재함(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수납체(9) 측면에 조립공(33)이 관통되는 것을 보이고 있으나, 수납체(9)의 밀폐된 하면에 조립공이 관통되어 수납체(9)를 적재함(1) 바닥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수납체(9)를 적재함(1) 바닥면에 고정시킬 경우 도 8과 같이 적재함(1) 저면에 형성된 돌기(21)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체(9)의 저면에 수용홈(95)이 형성된다. 즉, 여기서 수납체(9)와 적재함(1) 바닥면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수납체(9)의 경우도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8)을 더 가진다. 상기 조절수단(8)은 상기 수납체(9)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격판(81);
상기 격판(8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수납체(9)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82);
상기 수납체(9)의 수납공간에 수용된 격판(81)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격판(81)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너트(42)가 형성되어 상기 슬롯(82)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83); 및
상기 슬롯(8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방지돌기(83)의 너트(42)에 체결되어 상기 격판(81)을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조절보울트(84);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수단(8)은 수납체(9)에 적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수납체(9)에 적용하는 상기 조절수단(8)과 이미 설명한 브래킷(3)에 적용한 조절수단은 동일하고, 다만 수납체(9)와 브래킷(3)에 적용하는 것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는 브래킷(3)을 휠 하우스(2)와 적재함(1) 측벽에 고정수단(4)으로 조립하여 휠 하우스(2) 후방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거나, 또는 수납체(9)를 휠 하우스(2) 후방에 조립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종래 수납용도로 거의 사용하지 않는 휠 하우스(2) 후방을 소품 수납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 발명과 차별화된 유익한 발명이다.
3 : 브래킷 4 : 고정수단
5 : 그물망 6 : 안내부
7 : 수용부 8 : 조절수단
9 ; 수납체 10 : 덮개
11 : 삽입돌기

Claims (22)

  1.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브래킷(3); 및
    상기 브래킷(3)을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2.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브래킷(3);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3) 외측면에 조립되는 그물망(5); 및
    상기 브래킷(3)을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3)은 상기 휠 하우스(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공(33)이 관통되는 제1패널(31);
    상기 제1패널(31)에서 절곡되고, 상기 적재함(1)의 측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공(33)이 관통된 고정편(32a)이 형성되는 제2패널(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은 제1,2패널(31)(32)에 형성된 조립공(33) 각각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보울트(41);
    상기 각 보울트(41)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42);
    상기 각 보울트(41)에 끼워지고 너트(42)와 브래킷(3)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43); 및
    상기 각 보울트(41) 타단부에 편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브래킷(3)을 적재함(1)에 고정시킬 때 회전하여 보울트(41)를 잡아당기고 브래킷(3)을 해제할 때 보울트(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44);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레버(44)를 펼친 상태에서 보울트(41)에 조립된 너트(42)와 탄성부재(43)를 조립공(33)과 휠 하우스(2)에 관통된 제1고정공(2a) 및 적재함(1) 측벽에 형성된 제2고정공(2b)에 각각 관통시킨 후, 상기 레버(44)를 회전시켜 보울트(41)를 잡아당길 때 너트(42)와 브래킷(3)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43)가 압착되면서 측면이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제1,2고정공(2a)(2b)에 걸림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3)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8)을 더 가지며,
    여기서, 상기 조절수단(8)은 상기 브래킷(3)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격판(81);
    상기 격판(81)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3)의 가로방향에 형성되는 슬롯(82);
    상기 격판(81)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격판(81)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너트(42)가 형성되어 상기 슬롯(82)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83); 및
    상기 슬롯(8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방지돌기(83)의 너트(42)에 체결되어 상기 격판(81)을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조절보울트(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5)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물망(5)이 조립되는 브래킷(3) 외측면에 안내부(6)가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6) 내측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용부(7)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7.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8.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9)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5);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9.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상기 수납체(9)를 개폐수단으로 개폐하는 덮개(10);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0.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도록 측면이 폐쇄 또는 측면과 하면이 폐쇄되고, 화물차량의 적재함(1)에 돌출된 휠 하우스(2)와 인접된 후방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수납체(9);
    상기 수납체(9)를 개폐수단으로 개폐하는 덮개(10);
    내부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체(9) 외측면에 형성되는 그물망(5); 및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9)는 상기 휠 하우스(2)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공(33)이 관통되는 측면패널(91);
    상기 적재함(1) 측벽과 밀착되게 상기 측면패널(91)에서 절곡되고, 상기 적재함(1) 측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조립공(33)이 관통되는 내면패널(92); 및
    상기 측면패널(91)과 내면패널(92)을 연결하는 외면패널(9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9)는 휠 하우스(2)에 고정되는 측면 상단에 상기 휠 하우스(2) 상단면과 일치되게 날개(94)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3.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9)는 적재함(1)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밀폐된 측면 또는 하면에 조립공(33)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4.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9)는 적재함(1)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밀폐된 하면(9b)에 적재함(1)의 돌기(21)를 수용하는 수용홈(95)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5.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은 수납체(9)의 각 조립공(33)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보울트(41);
    상기 각 보울트(41)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42);
    상기 각 보울트(41)에 끼워지고 너트(42)와 수납체(9)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43); 및
    상기 각 보울트(41) 타단부에 편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수납체(9)를 적재함(1)에 고정시킬 때 회전하여 보울트(41)를 잡아당기고 수납체(9)를 해제할 때 보울트(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44);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레버(44)를 펼친 상태에서 보울트(41)에 조립된 너트(42)와 탄성부재(43)를 수납체(9)의 각 조립공(33)과 휠 하우스(2)에 관통된 제1고정공(2a) 및 적재함(1) 측벽에 형성된 제2조립공(33)에 관통시킨 후, 상기 레버(44)를 회전시켜 보울트(41)를 잡아당길 때 너트(42)와 수납체(9)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43)가 압착되면서 측면이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제1,2조립공(33)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6.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9)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분할할 수 있도록 조절수단(8)을 더 가지며,
    여기서, 상기 조절수단(8)은 상기 수납체(9)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격판(81);
    상기 격판(8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수납체(9)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롯(82);
    상기 수납체(9)의 수납공간에 수용된 격판(81)이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격판(81)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너트(42)가 형성되어 상기 슬롯(82)에 삽입되는 회전방지돌기(83); 및
    상기 슬롯(82)을 관통하여 상기 회전방지돌기(83)의 너트(42)에 체결되어 상기 격판(81)을 고정 또는 해지시키는 조절보울트(8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덮개(10)의 일측면 단부에 돌출되는 삽입돌기(11);
    상기 삽입돌기(11)와 대향되는 덮개(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1개폐공(12);
    상기 수납체(9)의 수납공간 내부 일측면 상단부에 상기 삽입돌기(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끼움공(13);
    상기 끼움공(13)과 대향되는 수납공간 내부 타측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개폐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폐공(14a)이 관통되는 파지편(14);
    상기 덮개(10)의 제1개폐공(12)을 관통하는 보울트(41);
    상기 보울트(41)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42);
    상기 보울트(41)에 끼워지고 너트(42)와 덮개(10)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43); 및
    상기 보울트(41) 타단부에 편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덮개(10)를 수납체(9)에 고정시킬 때 회전하여 보울트(41)를 잡아당기고 덮개(10)를 해제할 때 보울트(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44);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삽입돌기(11)를 끼움공(13)에 삽입한 후 수납체(9)에 덮개(10)를 폐쇄한 상태에서 레버(44)를 펼쳐 보울트(41)에 조립된 너트(42)와 탄성부재(43)를 제1,2개폐공(12)(14a)에 관통시킨 다음 상기 레버(44)를 회전시켜 보울트(41)를 잡아당길 때 너트(42)와 덮개(10)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43)가 압착되면서 측면이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파지편(14)의 제2개폐공(14a)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8.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덮개(10)의 일측면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돌출되는 삽입돌기(11);
    상기 삽입돌기(11)와 대향되는 덮개(10)의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1개폐공(12);
    상기 수납체(9)의 수납공간 내부 일측 상면에 상기 삽입돌기(11)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납부재(15);
    상기 수납부재(15)와 대향되는 수납공간 내부 타측 상면에 돌출되고 상기 제1개폐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개폐공(14a)이 관통되는 파지편(14);
    상기 덮개(10)의 제1개폐공(12)을 관통하는 보울트(41);
    상기 보울트(41)의 일단부에 체결되는 너트(42);
    상기 보울트(41)에 끼워지고 너트(42)와 덮개(10)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부재(43); 및
    상기 보울트(41) 타단부에 편심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덮개(10)를 수납체(9)에 고정시킬 때 회전하여 보울트(41)를 잡아당기고 덮개(10)를 해제할 때 보울트(41)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레버(44);를 포함하며,
    여기서, 삽입돌기(11)를 수납부재(15)에 삽입한 후 수납체(9)에 덮개(10)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44)를 펼쳐 보울트(41)에 조립된 너트(42)와 탄성부재(43)를 제1,2개폐공(12)(14a)에 관통시킨 다음 상기 레버(44)를 회전시켜 보울트(41)를 잡아당길 때 너트(42)와 덮개(10) 사이에 위치한 탄성부재(43)가 압착되면서 측면이 볼록하게 변형되어 상기 파지편(14)의 제2개폐공(14a)에 걸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1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날개(94)는 보조수납함(94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2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그물망(5)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그물망(5)이 조립되는 수납체(9) 외측면에 안내부(6)가 삽입되고, 상기 안내부(6) 내측에는 물품을 수납하는 수용부(7)가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2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9)의 하면(9b)은 개방, 폐쇄, 격자형상을 갖는 바닥부재(9b-1)가 형성되어 부분 관통, 또는 폐쇄된 상태에서 이 폐쇄면 하부에 격자형상을 갖는 바닥부재(9b-1)가 더 형성되는 것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22.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날개(94)는 저면에 보강리브(94-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KR1020110076514A 2011-08-01 2011-08-01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KR101372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514A KR101372277B1 (ko) 2011-08-01 2011-08-01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514A KR101372277B1 (ko) 2011-08-01 2011-08-01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4825A true KR20130014825A (ko) 2013-02-12
KR101372277B1 KR101372277B1 (ko) 2014-03-18

Family

ID=47894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514A KR101372277B1 (ko) 2011-08-01 2011-08-01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2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601A (ko) 2014-06-25 2016-01-05 박희경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102049917B1 (ko) 2019-05-14 2019-11-28 서경민 픽업차량 적재함용 수납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72B1 (ko) * 2018-03-19 2019-03-07 김남수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4904B2 (ja) * 1988-01-21 1998-06-11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の小物入れ
KR100376334B1 (ko) * 2000-12-19 2003-03-15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콘솔용 네트배스킷
JP2006205804A (ja) 2005-01-26 2006-08-10 Toyota Motor Corp 収納構造
KR100832046B1 (ko) 2007-08-06 2008-05-27 경신공업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601A (ko) 2014-06-25 2016-01-05 박희경 차량용 화물 고정장치
KR102049917B1 (ko) 2019-05-14 2019-11-28 서경민 픽업차량 적재함용 수납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277B1 (ko) 2014-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94249C (en) Toolbox
KR101284307B1 (ko) 차량용 수납장치
WO2014014638A1 (en) Removable storage arrangement for a vehicle
US6027155A (en) Vehicle storage system
KR101372277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JP2004505848A (ja) 車両に荷物を格納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5389842B2 (ja) 車両用ボード
KR101506649B1 (ko) 차량 적재함의 수납함
US10703182B2 (en) Loading space cover and motor vehicle
KR20110006258U (ko) 자동차 트렁크용 수납박스
US11584319B2 (en) Vehicle bumper with storage arrangement
KR200391927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락어셈블리
KR20020088367A (ko) 자동차의 짐칸 수용장치
JP2000108793A (ja) 車両後部構造
US20070007787A1 (en) Vehicle glove box having a rotary-type partition
JP4238403B2 (ja) 車両のトランクボード構造
JP2015529594A (ja) 車両ドアの収納コンパートメント
KR20220095274A (ko) 차량용 루프박스
JP4239777B2 (ja) 車両の後部構造
JP5391180B2 (ja) トラック用収納構造
JP2009208485A (ja) 車両用小物入れ
JP4202341B2 (ja) タイヤリッド構造
CN110979191B (zh) 车用储物结构
KR200357160Y1 (ko) 차량용 공구보관함
JP5249880B2 (ja) 荷物入れ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