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2046B1 -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2046B1
KR100832046B1 KR1020070078418A KR20070078418A KR100832046B1 KR 100832046 B1 KR100832046 B1 KR 100832046B1 KR 1020070078418 A KR1020070078418 A KR 1020070078418A KR 20070078418 A KR20070078418 A KR 20070078418A KR 100832046 B1 KR100832046 B1 KR 100832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attery terminal
terminal
fastening memb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규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2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2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2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8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 H01R11/281End pieces consisting of a ferrule or sleeve for connections 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단자가 삽입된 접속몸체의 절단부위를 체결부재로 결속하기 위해 한 쌍의 조임구를 결속하는 체결부재의 헤드부위에 단자가압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단자가압부의 회전으로 상기 체결부재를 밀어 배터리단자를 가압하는 접속몸체의 가압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단자가압부의 반대방향 회전으로 배터리단자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터미널, 레버, 스토퍼, 탄성부재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battery terminal of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단자가 삽입된 접속몸체의 절단부위를 체결부재로 결속하기 위해 한 쌍의 조임구를 결속하는 체결부재의 헤드부위에 단자가압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단자가압부의 회전으로 상기 체결부재를 밀어 배터리단자를 가압하는 접속몸체의 가압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단자가압부의 반대방향 회전으로 배터리단자를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는 전장 부품의 동작을 위한 전원공급원인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는 엔진룸 내부에서 브래킷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전장 부품들과 각종 케이블에 의해 연결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10)은 배터리 단자(미도시)와 결착되는 접속부(20)와, 상기 접속부(2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의 전기장치로 연결하는 케이블 결착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속부(20)는 배터리 단자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그 내측 중앙에 원형의 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24)의 일측에는 개구(26)가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로 일정 간격 이격된 이중 구조의 본체(22)와, 상기 개구(26)의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그 측방향으로 고정볼트(60)가 결합될 수 있도록 결착홈(28)이 형성된 조임구(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임구(32)는 상기 원형 공간(24)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제 1 조임구(34)와 제 2 조임구(36)로 구성되고, 상기 각 조임구(34, 36)의 상단 및 하단에는 내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플랜지(3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2)의 상단 및 하단에는 외측으로 일정 길이 절곡된 플랜지(38b)가 형성되며, 이때 본체(22)의 플랜지(38b)는 상기 조임구(32)의 플랜지(38a)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블 결착부(40)는 케이블 단자(42)와, 상기 본체(22)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각 플랜지(38b)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제 1 연결부재(44)와, 상기 제 1 연결부재(44)로부터 연장되고 내측이 상기 케이블 단자(4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2 연결부재(46)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재(46)의 상면에는 볼트(48)가 상향 돌출되고, 케이블(70)의 일단부에는 소정의 관통공(72)이 형성된 결속단자(74)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공(72)을 통해 상기 볼트(48)가 관통되어 너트(76)로 고정됨으로써 배터리 단자, 배터리 케이블 터미널(10) 및 케이블(70)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용 배터리 터미널은 원형 공간에 배터리 포스트의 단자를 삽착 후 마주하는 조임구에 함께 고정볼트를 삽입하고 나서 그 끝단에 너트를 전동툴을 이용하여 고정볼트와 체결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 전동툴로써 고정볼트와 너트를 죄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몸체의 조임구에 삽입된 체결부재의 헤드부위를 연결부재 및 레버로 회전시키며 반대방향으로 푸쉬(push)함으로써 접속몸체의 내부로 삽입된 배터리단자의 결속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재 및 레버의 반대방향 회전을 통해 배터리단자를 접속몸체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터리단자를 삽입하도록 링 형상이고 둘레면을 절개하여 마주하는 각 단부에 각각 결착홈을 갖는 조임구를 구비하며 링터미널을 연결하는 접속몸체, 상기 조임구 각각의 결착홈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 되는 체결부재, 상기 결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조임구에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 자체를 축방향으로 밀어 한 쌍의 상기 조임구를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배터리단자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자가압부 및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를 일단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에 따르면, 접속몸체의 조임구에 삽입된 체결부재를 연결부재 및 레버의 회전을 통해 쉽게 조임구의 간격을 좁힐 수 있어 좁은 작업공간에서 접속몸체 내부에 배터리단자를 용이하게 결속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구 결속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은 접속몸체(110), 체결부재(120), 너트부재(130) 및 단자가압부(14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접속몸체(110)는 배터리포스트(도시하지 않음)의 외측으로 돌출된 배터리단자(102)와 접속되고,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연결한 링터미널(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됨으로써 배터리의 전원을 케이블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접속몸체(110)는 내부에 배터리단자(102)를 삽입하도록 링 형상이고, 상기 배터리단자(102)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둘레면을 절개하며, 각 마주하는 절개면에 조임구(112)를 외측으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 조임구(112)는 각각 결착홈(114)을 통공한다.
또한, 상기 접속몸체(110)는 조임구(112)가 형성된 부위를 제외한 둘레면에 접속부재(116)를 연장 형성하고, 상기 접속부재(116)는 볼트(118)를 돌출 형성하여 케이블을 연결한 링터미널을 삽입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20)는 각각의 결착홈(11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20)는 헤드(122), 탭(124) 및 축심(126)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헤드(122)는 어느 하나의 조임구(112)에 해당되는 일측의 조임구(112) 외측으로 일부 돌출되는 부위이고, 결착홈(114)보다 작게 형성되어 결착홈(114)에 쉽게 삽입 및 이탈된다.
그리고, 상기 탭(124)은 다른 하나의 조임구(112)에 해당되는 타측의 조임구(112)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이다.
또한, 상기 축심(126)은 헤드(122)와 탭(124)을 연결하고, 조임구(112) 사이 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너트부재(130)는 체결부재(120)를 결착홈(114)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체결부재(120)와 체결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너트부재(130)는 상기 탭(124)과 나사 결합된다.
특히, 상기 체결부재(120)의 탭(124)이 너트부재(130)와 체결되기 때문에 체결부재(120)는 조임구(112)에서 헤드(122)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단자가압부(140)는 결착홈(114)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120)의 일단 즉, 헤드(122)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체결부재(120) 자체를 너트부재(130) 방향으로 밀어 한 쌍의 조임구(112)를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임구(112)가 단자가압부(140)의 작동으로 밀착됨에 따라 접속몸체(110)는 배터리단자(102)를 견고하게 고정한다.
특히, 상기 단자가압부(140)는 힌지홀(142), 연결부재(143) 및 삽입핀(147)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홀(142)은 체결부재(120)의 헤드(122)에 통공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43)는 끝단과 일측면을 동시에 개방한 수용홈(144)을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연결부재(143)는 헤드(122)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43)는 연장부재(141)의 힌지홀(142)과 일직선상이 되도록 삽입홀(145)을 통공한다.
특히, 상기 삽입홀(145)은 끝단까지의 거리와 일측면까지의 거리를 서로 달 리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삽입홀(145)에서 일측면까지의 거리(L1)가 삽입홀(145)에서 끝단까지의 거리(L2)보다 더 멀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핀(147)은 힌지홀(142)과 삽입홀(145)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143)는 연장부재(141)에 대해 삽입핀(147)을 기준으로 90도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43)는 인접한 조임구(112)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120)가 한 쌍의 조임구(112) 각각의 결착홈(114)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143)는 헤드(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조임구(112)의 간격은 유지된다.(도 3a 참조)
그리고, 사용자가 연결부재(143)를 헤드(122)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체결부재(120)는 연결부재(143)의 삽입홀(145)에서 일측면까지의 거리(L1)가 삽입홀(145)에서 끝단까지의 거리(L2)보다 더 멀기 때문에 연결부재(143)가 조임구(112)에 지지되어 헤드(122)의 끝단을 푸쉬(push)함으로 인해 상기 체결부재(120)는 너트부재(130) 방향으로 전진된다.
이때, 상기 헤드(122)와 접하는 조임구(112)가 반시계방향으로 연결부재(143)의 회전시 너트부재(13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도 3b 참조)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43)는 끝단과 일측면의 사이에 위치한 부위에 곡면(146)을 형성한다.
상기 곡면(146)은 연결부재(143)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143)는 체결부재(120)를 밀기 위해 회동 조작을 간편하게 하도록 끝단에서 수직된 방향으로 레버(150)를 연장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레버(150)는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해 체결부재(120)를 푸쉬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20)와 나란하게 배열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120)의 축심(126)은 스토퍼(162)를 형성한다.
상기 스토퍼(162)는 축심(126) 둘레면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축심(126)에는 탄성부재(164)가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164)는 코일 스프링으로써, 일단을 체결부재(120)의 헤드(122)에 지지되게 함과 동시에 타단을 조임구(112)의 내측면에 접하게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162)는 탄성부재(16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164)를 삽입한다.
상기 스토퍼(162)는 체결부재(120)의 탭(124)과 너트부재(130)의 최대 체결부위를 설정한다.
즉, 상기 너트부재(130)가 탭(124)과 가능한 한 최대로 죄여졌을 때, 한 쌍의 조임구(112)는 설정된 간격만큼 벌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조임구(112)의 설정된 간격이란, 상기 연결부재(143)가 연장부재(141)와 일직선상으로 나란한 단자가압부(140)의 미작동시의 조임 구(112) 사이의 간격을 말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연결부재(143)와 레버(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조임구(112)는 밀착된다.
그래서, 상기 접속몸체(110)는 배터리단자(102)를 견고하게 삽입 고정한다.
또한, 사용자가 연결부재(143)와 레버(15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부재(120)는 탄성부재(16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143)의 삽입홀(145)에서 일측면까지의 거리(L1)와 삽입홀(145)에서 끝단까지의 거리(L2) 차이만큼 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조임구(112)는 설정된 간격으로 벌어짐으로써 배터리단자(102)를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터미널의 조임구 결속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접속몸체 112: 조임구
114: 결착홈 116: 접속부재
120: 체결부재 122: 헤드
124: 탭 126: 축심
130: 너트부재 140: 단자가압부
142: 힌지홀 143: 연결부재
147: 삽입핀 150: 레버
162: 스토퍼 164: 탄성부재

Claims (8)

  1. 배터리단자를 삽입하도록 링 형상이고, 둘레면을 절개하여 마주하는 각 단부에 각각 결착홈을 갖는 조임구를 구비하며, 링터미널을 연결하는 접속몸체;
    상기 조임구 각각의 결착홈에 이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체결부재;
    상기 결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조임구에 지지되며 회동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 자체를 축방향으로 밀어 한 쌍의 상기 조임구를 밀착시킴에 따라 상기 배터리단자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단자가압부; 및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으로써 상기 체결부재를 일단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는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일측에 위치한 상기 조임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가압부와 연결되며, 상기 결착홈에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된 헤드;
    타측에 위치한 상기 조임구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타단부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너트부재와 체결되는 탭; 및
    상기 헤드와 상기 탭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임구 사이에 위치하는 축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압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헤드에 통공된 힌지홀;
    끝단과 일측면을 동시에 개방한 수용홈을 형성하여 상기 헤드를 삽입하고, 상기 힌지홀과 일치되게 삽입홀을 연통하며, 상기 삽입홀에서 끝단과 일측면의 거리를 서로 달리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로써 상기 헤드를 상기 조임구의 결착홈을 통해 상기 너트부재 방향으로 밀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체결부재의 축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삽입홀과 상기 힌지홀에 동시에 삽입되는 삽입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한 상기 조임구의 외측면에 지지되며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연장부재와 접하는 끝단과 일측면의 사이에 위치한 부위에 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재를 밀기 위해 회동 조작을 간편하게 하도록 끝단에서 수직된 방향으로 레버를 연장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체결부재를 푸쉬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축심은 스토퍼를 형성하고;
    상기 축심은 상기 단자가압부의 초기화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조임구의 사이를 벌리기 위해 일측이 상기 헤드에 지지됨과 더불어 타측이 상 기 조임구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20070078418A 2007-08-06 2007-08-06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KR100832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18A KR100832046B1 (ko) 2007-08-06 2007-08-06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418A KR100832046B1 (ko) 2007-08-06 2007-08-06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2046B1 true KR100832046B1 (ko) 2008-05-27

Family

ID=3966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418A KR100832046B1 (ko) 2007-08-06 2007-08-06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20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72B1 (ko) * 2009-06-23 2011-03-28 태성전장주식회사 조임너트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101214856B1 (ko) 2010-12-30 2012-12-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형상 복원이 가능한 배터리 터미널
KR101372277B1 (ko) 2011-08-01 2014-03-18 김종재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KR101385613B1 (ko) * 2012-08-17 2014-04-2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KR101417289B1 (ko) * 2012-06-19 2014-07-09 세방전지(주) 힌지 타입의 배터리 충전용 장치
KR101807235B1 (ko) * 2016-07-19 2017-12-08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배터리 단자 접속장치
CN117096415A (zh) * 2023-10-18 2023-11-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模组的加压装置、系统和更换压块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466A (en) * 1992-06-23 1995-02-1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Battery terminal
KR970004114A (ko) * 1995-06-20 1997-01-29 한승준 축전지 케이블의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9466A (en) * 1992-06-23 1995-02-14 Sumitomo Wiring Systems, Ltd. Battery terminal
KR970004114A (ko) * 1995-06-20 1997-01-29 한승준 축전지 케이블의 고정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572B1 (ko) * 2009-06-23 2011-03-28 태성전장주식회사 조임너트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 단자 결합구
KR101214856B1 (ko) 2010-12-30 2012-12-2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형상 복원이 가능한 배터리 터미널
KR101372277B1 (ko) 2011-08-01 2014-03-18 김종재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KR101417289B1 (ko) * 2012-06-19 2014-07-09 세방전지(주) 힌지 타입의 배터리 충전용 장치
KR101385613B1 (ko) * 2012-08-17 2014-04-2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KR101807235B1 (ko) * 2016-07-19 2017-12-08 주식회사 패커드코리아 배터리 단자 접속장치
CN117096415A (zh) * 2023-10-18 2023-11-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模组的加压装置、系统和更换压块的方法
CN117096415B (zh) * 2023-10-18 2024-04-0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电池模组的加压装置、系统和更换压块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2046B1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JP5733573B2 (ja) 機器用コネクタ
JPH07335193A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5594896B2 (ja) 迅速接続型バッテリ端子
KR101385613B1 (ko) 레버를 이용하는 배터리 포스트단자의 체결구조
KR100792416B1 (ko) 스프링 레버 타입의 축전지 단자 접속장치
JP5620203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及び、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を備えたコネクタユニット
US6231369B1 (en) Bolted type connector
JP2010045911A (ja) 短絡接地器具
KR200389587Y1 (ko) 체결지그가 구비된 와이어 콘넥타 조립구조
KR100691205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커넥터
KR20100131559A (ko) 차량용 배터리 터미널
JP6169895B2 (ja) 電動機用治具
JP2014023217A (ja) プロテクタ
JP4507910B2 (ja) 端子金具の取付構造
JP3520729B2 (ja) コネクタ
JP3749669B2 (ja) コネクタ取付け用治具
KR20090118537A (ko)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JP5560697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JP2007018740A (ja) 端子台装置
CN218770251U (zh) 一种方便装配的连接器
KR20090049458A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단자
CN103236610A (zh) 安全稳固的电源插头插座系统
CN215291875U (zh) 无基座执手
CN211116977U (zh) 一种便于箱体组合装拆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