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372B1 -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 Google Patents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372B1
KR101955372B1 KR1020180031258A KR20180031258A KR101955372B1 KR 101955372 B1 KR101955372 B1 KR 101955372B1 KR 1020180031258 A KR1020180031258 A KR 1020180031258A KR 20180031258 A KR20180031258 A KR 20180031258A KR 101955372 B1 KR101955372 B1 KR 101955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andle
tray
pick
wheel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수
Original Assignee
김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수 filed Critical 김남수
Priority to KR102018003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07Connections of movable or detachable racks or stanchions to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휠 하우스 형태를 고려하여 공간의 활용에 유용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물건손상 및 충돌소음의 방지, 정리된 상태 유지 등을 구현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를 제시한다. 그 박스는 적재함의 휠 하우스 상에 설치되고, 다용도 박스의 저면은 휠 하우스를 수용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다용도 박스는 다용도 박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다용도 박스의 박스 측벽의 상부 또는 상면에 장착되는 박스 잠금부를 포함하며, 박스 잠금부는 액추에이터, 직선운동축, 결합부, 동력전달축 및 걸림부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직선운동축은 결합부를 통하여 동력전달축에 연결되며, 동력전달축은 걸림부와 결합된다.

Description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Multipurpose box of pickup truck}
본 발명은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휠 하우스(wheel house)를 구비한 픽업차량의 적재함에 장착되는 다용도 박스에 관한 것이다.
픽업차량은 적재함이 마련된 소형 트럭으로, 운송뿐 아니라 레저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픽업차량의 적재함은 다양한 물건, 예를 들어 공구, 세차용품, 삼각대 등을 적재하여 보관한다. 한편, 픽업차량은 주행 중에 급제동, 코너링 등에 의해 상기 물건이 적재함으로부터 이탈되어 비산되거나 낙하되지 않도록 덮개를 설치한다. 덮개를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적재함 내부에 있는 물건들은 주행 중에 서로 전후 또는 좌우로 유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충돌로 인한 물건손상, 충돌소음, 정리되지 않은 물건 상태 등이 야기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함에 다용도 박스를 설치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국내등록특허 제10-1352743호는 적재함의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다용도 박스인 사물함을 제시하고 있다. 이때, 가로방향이란 휠 하우스로부터 연장된 방향(세로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이다. 그런데, 상기 특허와 같이 다용도 박스를 설치하면, 공간 활용이 미흡하고, 박스도어 개폐의 곤란함 등이 있어서, 사용하는 데 불편함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용도 박스를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면, 공간 활용에 유용하고 도어 개폐의 용이함 등을 포함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한편, 다용도 박스를 휠 하우스를 덮는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려면, 휠 하우스 형태를 고려해야 한다. 나아가, 주행 중에 물건들이 서로 전후 또는 좌우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여, 물건손상 및 충돌소음의 방지, 정리된 상태 유지 등을 구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휠 하우스 형태를 고려하여 공간의 활용에 유용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물건손상 및 충돌소음의 방지, 정리된 상태 유지 등을 구현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는 적재함의 휠 하우스 상에 설치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박스의 저면은 상기 휠 하우스를 수용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박스는 상기 다용도 박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다용도 박스의 박스 측벽의 상부 또는 상면에 장착되는 박스 잠금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박스 잠금부는 액추에이터, 직선운동축, 결합부, 동력전달축 및 걸림부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운동축은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동력전달축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걸림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박스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휠 하우스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박스 덮개는 상기 적재함의 도어 및 적재함의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다용도 박스의 측벽에는 상기 박스 잠금부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비상용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직선운동축의 꺾인 부분에 연결된다.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동력전달축이 거치되는 거치홀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다용도 박스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박스의 측벽의 내부에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가 이동하는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레일에 위치하는 트레이 고정홀에 고정되는 트레이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 고정부는 링 또는 디스크 형태의 핸들, 상기 핸들과 결합되고 봉 형태의 푸시부, 상기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홀, 상기 푸시부에 의해 탄성력이 변화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와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 고정홀에 삽입될 수 있는 핸들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은 회전시켜서 상기 핸들 삽입홀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에 의하면, 휠 하우스 형태를 고려하여 잠금부 등의 구성요소를 배치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에 유용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휠 하우스 형태를 고려하고, 물건손상과 충돌소음 방지, 정리된 상태 유지 등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픽업차량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픽업차량을 적재함 도어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박스에 적용되는 박스 잠금부의 박스 측벽의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트레이가 장착된 다용도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트레이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트레이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다용도 박스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다용도 박스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휠 하우스 형태를 고려하여 잠금부 등의 구성요소를 배치함으로써, 공간의 활용에 유용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휠 하우스 형태를 고려하고, 물건손상과 충돌소음 방지, 정리된 상태 유지 등을 구현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휠 하우스 형태를 고려한 구성요소가 배치된 다용도 박스의 구조를 상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구성요소에 의하여 다용도 박스가 동작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박스는 다른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고 오직 휠 하우스가 있는 픽업차량에 최적화된 것이므로, 픽업차량용 다용도 박스라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픽업차량(200)을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픽업차량(200)을 적재함 도어(204)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도 2는 적재함 도어(204)가 닫힌 상태를 표현하였으나, 도 3은 적재함 도어(204) 중의 하나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었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픽업차량(200)의 적재함(210)은 칸막이(201), 적재함 측벽(202), 적재함 바닥(203), 적재함 도어(204) 및 휠 하우스(2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칸막이(201)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승차영역과 적재함(210)을 구분한다. 휠 하우스(205)는 픽업차량(200)의 바퀴가 적재함(210)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칸막이(201), 측벽(202) 및 바닥(203)에 의해 정의되는 적재함(210)의 양측 구석부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박스(100)는 적재함(210)의 양측의 휠 하우스(205)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고, 바람직하게는 측벽(202) 및 바닥(203)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즉, 다용도 박스(100)는 최대 2개가 설치된다.
다용도 박스(100)의 폭(W1)는 휠 하우스(205)의 일부 또는 전체를 덮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도면에서는 일부를 덮는 것을 포현하였다. 실질적으로, 다용도 박스(100)의 폭(W1)은 주행 중에 흔들리지 않은 안정성, 설치의 용이성 등을 참작할 때, 휠 하우스(205)의 폭(W2)보다 작은 정도인 일부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용도 박스(100) 사이의 간격(D)은 적재함(210)의 크기, 다용도 박스(100)의 용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절된다. 이렇게 되면, 적재함(210)은 다용도 박스(100)가 양측에 배치되고, 중간부분에는 다용도 박스(100)에 수납된 물품 이외의 다른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다용도 박스(100)의 높이(H)는 박스 덮개(12)가 적재함 도어(204)가 닫힌 상태에서, 적재함 도어(204) 및 측벽(202)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이 좋다. 도 3의 좌측에는, 박스 덮개(12)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박스 덮개(12)가 적재함 도어(204) 및 측벽(202)의 상단 위에 있으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박스 덮개(12)를 개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적재함 도어(204) 및 측벽(202)은 박스 덮개(12)를 여닫는 데에 걸림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용도 박스(100)는 폭(W1)이 휠 하우스(W2)보다 작고, 높이(H)는 적재함 도어(204) 및 측벽(202)의 상단보다 높은 것이 좋다.
다용도 박스(100)는 픽업차량(200) 및 업무에 필요한 다양한 물품, 예를 들어 작업공구, 세차용품, 삼각대, 우산 등을 보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물품은 가격이 비싼 것이 많으므로,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으면 도난당할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은 충돌로 인한 손상에 취약할 수 있으므로, 픽업차량(200)의 주행 중에도 정리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 좋다. 그 외 다용도 박스(100)는 정리 및 보관을 위하여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박스(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박스 덮개(12)가 없는 상태를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다용도 박스(100)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다른 기능을 부가하는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픽업차량(200)은 앞에서 설명한 바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다용도 박스(100)는 휠 하우스(205)를 수용하는 함몰부(a)가 존재하는 박스 저면(10) 및 박스 저면(10)과 연결되어 육면체의 박스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박스 측벽(11)을 포함한다. 박스 저면(10)은 제1 내지 제3 저면(10a, 10b, 10c)로 구성된다. 제1 저면(10a)는 함몰부(a) 상에 위치한다. 제1 저면(10a)은 평활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함몰부(a)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굽어질 수도 있다. 제3 저면(10c)는 적재함의 바닥(203)에 놓이며, 평활한 것이 좋다. 제2 저면(10b)은 제 1 및 제3 저면(10a, 10c)을 경사지게 연결한다. 제2 저면(10b)는 평활하거나 굽어진 형태일 수 있다.
함몰부(a)는 휠 하우스(205)를 수용하므로, 휠 하우스(205)에 부합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만일, 휠 하우스(205)가 육면체의 형상이라면, 제1 및 제2 저면(10a, 10b)는 평활하며, 제2 저면(10b)은 굳이 경사지지 않아도 된다. 함몰부(a) 부분을 제외하고, 다용도 박스(1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면, 함몰부(a)의 폭은 상술한 다용도 박스(100)의 폭(W1)과 동일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저면(10a, 10b, 10c)로 구분되는 박스 저면(10)의 폭은 다용도 박스(100)의 폭(W1)과 동일하다. 한편, 다용도 박스(100)를 사각뿔대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사각뿔대의 경우에는 박스 저면(10)은 상면의 폭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박스(100)는 육면체로 구현된다.
박스 측벽(11)의 일측은 칸막이(201)를 향하고, 타측은 적재함 도어(204)를 향한다. 상기 일측 및 타측에는 박스 손잡이(14)가 장착되고, 상기 타측에는 박스 손잡이(14), 홀마개(15) 및 비상용 홀(16)이 설치될 수 있다. 박스 손잡이(14)는 다용도 박스(100)를 휠 하우스(205) 상에 올려놓거나 내릴 때 사용된다. 비상용 홀(16)은 박스 잠금부(20)가 고장났을 때, 후크(hook)가 달려 있는 막대, 철사 등으로 박스 잠금부(20)를 수동을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홀마개(15)는 비상상황이 아닌 평상시에 비상용 홀(16)을 폐색시키는 마개이다. 박스 잠금부(20)의 작동방법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박스 잠금부(20)는 다용도 박스(100)의 내부에 내장되며, 박스 측벽(11)의 상부 및 박스 덮개(1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박스 잠금부(20)는 박스 측벽(11)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박스 측벽(11)의 상면은 박스 측벽(11)이 박스 덮개(12)를 마주보는 면을 말한다. 박스 잠금부(20)의 위치는 박스 잠금부(20) 및 다용도 박스(10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박스 덮개(12)는 덮개 개봉부(13)를 활용하여 열고 닫는다. 다시 말해, 박스 잠금부(20)의 잠금을 해체하고, 덮개 개봉부(13)를 잡고 박스 덮개(12)를 들어 올리면, 박스 덮개(12)는 열리게 된다.
덮개 개봉부(13)는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픽업차량(200)의 배터리의 전원이 제공하는 전자기적인 힘에 의해 동작하는 전기정(electromagnetic lock)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덮개 개봉부(13)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되는 플런저(plung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정 방식은 잠금력이 약해 도난 방지에 부적합할 수가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추에이터 방식을 적용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덮개 개봉부(13)는 전기정 방식 및 액추에이터 방식이 모두 가능하나, 상대적으로 큰 잠금력을 가지는 액추에이터 방식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박스에 적용되는 박스 잠금부(20)의 박스 측벽(11)의 정면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때, 다용도 박스(1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박스 잠금부(20)는 액추에이터(21), 직선운동축(23), 결합부(24), 동력전달축(25) 및 걸림부(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액추에이터(21)는 전원선(22)을 통하여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동작하며, 굳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픽업차량(200)의 도어에 적용되는 것과 같은 마그네틱 액추에이터가 바람직하다. 픽업차량(200)의 배터리는 액추에이터(21)에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원이다. 직선운동축(23)은 액추에이터(21)의 동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직선운동축(23)은 걸림부(28)에 대하여 가깝거나 멀어지는 왕복운동을 한다.
직선운동축(23)은 꺾쇠 형태를 가지며, 키(key)와 같은 결합부(24)를 통하여 동력전달축(25)과 연결된다. 결합부(24)는 직선운동축(23)의 꺾쇠 부분에 배치된다. 왜냐하면, 동력전달축(25)은 상대적으로 강한 압력을 받으므로 직선운동축(23)에 비해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므로, 원활한 결합을 위하여 꺾쇠 부분이 존재한다. 액추에이터(21)는 고정판(26)에 탑재되고, 고정판(26)에는 고정벽(27)이 직립되어 있다. 고정벽(27)에는 동력전달축(25)이 삽입되는 관통홀(27a)을 포함한다. 관통홀(27a)은 직선운동축(23)의 동력을 전달받은 동력전달축(25)의 왕복운동이 안정적으로 일어나게 하기 위하여, 동력전달축(25)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걸림부(28)는 덮개(12)에 고정되어 있으며, 동력전달축(25)을 수용하여 거치하는 거치홀(28a)이 존재한다. 즉, 동력전달축(25)은 거치홀(28a)에 삽입되거나 탈거된다. 거치홀(28a)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개방된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추에이터(21)에 의해 직선운동축(23)을 전진시키면, 직선운동축(23)은 전진하고, 상기 전진운동은 결합부(24)와 연결된 동력전달축(25)을 전진시킨다. 동력전달축(25)이 전진되면, 동력전달축(25)은 거치홀(28a)에 삽입되어 박스 덮개(12)는 잠긴 상태가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액추에이터(21)에 의해 직선운동축(23)을 후진시키면, 직선운동축(23)은 후진운동을 하고, 상기 후진운동은 결합부(24)와 연결된 동력전달축(25)을 앞에서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동력전달축(25)이 후진하면, 동력전달축(25)은 거치홀(28a)로부터 벗어나 박스 덮개(12)는 풀린 상태가 된다. 액추에이터(21)의 동작은 공지의 방식을 이용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품의 수납을 종류별로 다양하게 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트레이(40)를 별도로 도입할 수 있다. 트레이(4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크기가 작은 물품을 수납하기에 용이하다. 트레이(40)는 박스 형태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트레이(40)가 장착된 다용도 박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때, 다용도 박스(10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의하면, 다용도 박스(100)의 박스 측벽(11) 내부에는 트레이(40)가 이동하기 위한 레일(30)이 배치된다. 레일(30)에는 트레이(40)를 고정하기 위한 트레이 고정홀(31)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뚫려 있다. 트레이(40)의 양측에는 롤러(41)가 부착되어, 트레이(40)가 레일(3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트레이(40)의 일측에는 트레이(40)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레일(30)의 트레이 고정홀(31)에 고정시키는 트레이 고정부(50)를 포함한다. 트레이(40)는 박스 형태로 별도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다용도 박스(100)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트레이(40)가 고정되지 않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8의 트레이(40)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때, 다용도 박스(10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 고정부(50)는 핸들(51), 탄성체(53) 및 핸들 고정부(54)를 포함한다. 핸들(51)은 회전이 가능하며, 링(ring) 또는 디스크(disc) 형태의 핸들(51) 몸체에 봉 형태의 푸시부(51a)가 부착된 것이다. 푸시부(51a)는 핸들 삽입홀(52)에 삽입된다. 핸들(51) 몸체는 핸들 삽입홀(52)에 진입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링 또는 디스크이다. 즉, 핸들 삽입홀(52)은 핸들(51) 몸체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가진다. 탄성체(53)는 핸들 고정부(54)와 결합되며, 탄성체(53)의 탄성력은 핸들 고정부(54)에 직접 전달된다. 핸들 고정부(54)는 핸들 지지대(55)에 형성된 고정부 지지홀(56)에 삽입되어 있다. 핸들 고정부(54)가 고정부 지지홀(56)에 삽입되어 있으면, 트레이 고정부(5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부 지지홀(56)은 핸들 고정부(54)의 안정된 동작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트레이(40)를 고정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핸들(51)이 핸들 삽입홀(52)에 충분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핸들(51)을 돌린다. 핸들(51)을 돌리면, 핸들(51)의 폭이 좁은 부분은 핸들 삽입홀(52)에 진입될 수 있다. 그후, 핸들(51)을 핸들 삽입홀(52)에 밀어 넣는다. 핸들(51)을 밀어 넣으면, 탄성체(53)에 탄성력이 발생하여, 핸들 고정부(54)를 상기 탄성력에 의해 트레이 고정홀(31)에 삽입시킨다. 이렇게 되면, 핸들 고정부(54)가 트레이 고정홀(31)에 고정되어, 트레이(40)는 레일(30)을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트레이(40)의 고정을 해제하는 방법은 상기 설명한 것과 역순을 진행한다. 즉, 먼저, 핸들(51)을 핸들 삽입홀(52)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되면, 핸들 고정부(54)는 트레이 고정홀(31)로부터 벗어난다. 구체적으로, 탄성체(53)의 탄성력은 핸들 고정부(54)를 끌어 당겨 트레이 고정홀(31)로부터 벗어나도록 한다. 핸들 고정부(54)가 벗어나면, 트레이(40)는 레일(30)을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한편, 트레이(40)의 고정 및 해제는 탄성체를 예로 들었으나, 경우에 따라 다른 방식, 예를 들어 전자석을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시부(51a)는 영구자석으로 하고 핸들 고정부(54)를 전자석으로 하여, 트레이(40)를 고정할 때에는 상기 영구자석 및 전자석에는 척력을 발생시키고, 트레이(40)를 해제할 때에는 상기 영구자석 및 전자석에는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석의 극성을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박스 저면
10a, 10b, 10c; 제1 내지 제3 저면
11; 박스 측벽 12; 박스 덮개
13; 박스 개봉부 14; 박스 손잡이
15; 비상용 홀 16; 홀마개
20; 박스 잠금부 21; 액추에이터
22; 전원선 23; 직선운동축
24; 결합부 25; 동력전달축
26; 고정판 27; 고정벽
28; 걸림부 30; 레일
31; 트레이 고정홀 40; 트레이
41; 롤러 50; 트레이 고정부
51; 핸들 51a; 푸시부
52; 핸들 삽입홀 53; 탄성체
54; 핸들 고정부 55; 핸들 지지대
56; 고정부 지지홀 100; 다용도 박스
200; 픽업차량 205; 휠 하우스
210; 적재함

Claims (10)

  1. 적재함의 휠 하우스 상에 설치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박스의 저면은 상기 휠 하우스를 수용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박스는 상기 다용도 박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다용도 박스의 박스 측벽의 상부 또는 상면에 장착되는 박스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 잠금부는 액추에이터, 직선운동축, 결합부, 동력전달축 및 걸림부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운동축은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동력전달축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고,
    상기 다용도 박스의 측벽에는 상기 박스 잠금부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비상용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휠 하우스의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박스의 덮개는 상기 적재함의 도어 및 적재함의 측벽의 상단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직선운동축의 꺾인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동력전달축이 거치되는 거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7. 적재함의 휠 하우스 상에 설치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에 있어서,
    상기 다용도 박스의 저면은 상기 휠 하우스를 수용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용도 박스는 상기 다용도 박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다용도 박스의 박스 측벽의 상부 또는 상면에 장착되는 박스 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박스 잠금부는 액추에이터, 직선운동축, 결합부, 동력전달축 및 걸림부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직선운동축은 상기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동력전달축에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축은 상기 걸림부와 결합되고,
    상기 다용도 박스의 측벽의 내부에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가 이동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레일에 위치하는 트레이 고정홀에 고정되는 트레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고정부는 링 또는 디스크 형태의 핸들, 상기 핸들과 결합되고 봉 형태의 푸시부, 상기 핸들이 삽입되는 핸들 삽입홀, 상기 푸시부에 의해 탄성력이 변화하는 탄성체, 상기 탄성체와 결합되고 상기 트레이 고정홀에 삽입될 수 있는 핸들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회전시켜서 상기 핸들 삽입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KR1020180031258A 2018-03-19 2018-03-19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KR101955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258A KR101955372B1 (ko) 2018-03-19 2018-03-19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258A KR101955372B1 (ko) 2018-03-19 2018-03-19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372B1 true KR101955372B1 (ko) 2019-03-07

Family

ID=6576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258A KR101955372B1 (ko) 2018-03-19 2018-03-19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3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954A (ko) * 2007-12-17 2009-06-22 정민산 화물차량의 안전 공구함
KR101372277B1 (ko) * 2011-08-01 2014-03-18 김종재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4954A (ko) * 2007-12-17 2009-06-22 정민산 화물차량의 안전 공구함
KR101372277B1 (ko) * 2011-08-01 2014-03-18 김종재 화물차량의 적재함용 수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598B1 (en)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US10330436B2 (en) Handgun storage safe
US20210267368A1 (en) Storage Device
KR101506649B1 (ko) 차량 적재함의 수납함
JP2004505848A (ja) 車両に荷物を格納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955372B1 (ko) 픽업차량의 다용도 박스
CN102476376A (zh) 工具车
CA2708632C (en) Mobile drawer storage system
JP2826284B2 (ja) 可動棚
AU2011293080B2 (en) Locking arrangement
CN208947213U (zh) 货舱存储设备
JP7005011B2 (ja) 消火器ケース
KR101021970B1 (ko) 공구함
US20220381060A1 (en) Storage device for key
US20070224011A1 (en) Locking device for securing loads
CN208602578U (zh) 一种跨境电子商品运转装置
CN106427801B (zh) 车内储物系统
US7866469B2 (en) Storage device
CN114852215B (zh) 配送搁架和配送车辆
CN214678249U (zh) 储物装置和储物柜
CN115067653B (zh) 具有收纳型轮子的行李箱
JP2581638Y2 (ja) 連結装置を備えたロールボックスパレット
JP5434449B2 (ja) 保持部材
CN107642290A (zh) 用于机动车座底抽屉的闩锁机构
KR200386006Y1 (ko) 이동식 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