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3606A -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3606A
KR20130013606A KR1020110075332A KR20110075332A KR20130013606A KR 20130013606 A KR20130013606 A KR 20130013606A KR 1020110075332 A KR1020110075332 A KR 1020110075332A KR 20110075332 A KR20110075332 A KR 20110075332A KR 20130013606 A KR20130013606 A KR 201300136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eturn belt
belt
deflection
deflection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1549B1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5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549B1/ko
Publication of KR2013001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7Other adaptations of sleeves
    • B65G39/071Other adaptations of sleeves for aligning belt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6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interrupting the drive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Braking or stopping loose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65G2203/0275Damage on the load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99Safety measures in case of driving element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08Pro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고정부와, 고정부에 결합되고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는 회송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고정부에 결합되고 회송벨트의 사행을 보정하는 보정부와, 고정부에 결합되고 회송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는 회송벨트의 사행이 감지되면 보정부가 구동되어 회송벨트의 사행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DEVIATION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으로 인해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이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는 고무재질에 스틸코드가 삽입되어 장력을 유지하며, 이송물을 이동시키는 이송벨트 및 이송벨트로 복귀하며 이송벨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회송벨트로 구분된다.
즉, 이송물을 싣고 이동되는 벨트는 이송벨트가 되고, 이송물을 목적지로 이송한 후 되돌아오는 벨트는 회송벨트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8-0057946호(2008.06.25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사행 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회송벨트가 사행되는 경우 이를 신속히 보정하여 줌으로써, 설비의 손상과 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는 회송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사행을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상측과 접촉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정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회송벨트 하방에 위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저면과 접촉되어 상기 회송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편향보정부; 및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저면과 접촉되어 상기 회송벨트를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편향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편향보정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편향보정바; 상기 제1편향보정바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편향보정롤러; 및 상기 제1편향보정롤러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송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편향보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편향보정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편향보정바; 상기 제2편향보정바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편향보정롤러; 및 상기 제2편향보정롤러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송벨트를 타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편향보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향보정돌기와 상기 제2편향보정돌기의 나선형상은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편향보정돌기와 상기 제2편향보정돌기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는 감지대; 상기 감지대에 결합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바; 및 상기 탄성바에 내장되고, 상기 탄성바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센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는 회송벨트가 일측으로 치우쳐 진행되는 경우, 보정부가 회송벨트와 접촉되면서 회송벨트를 타측으로 유도함으로써, 회송벨트의 사행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서 회송벨트가 사행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서 회송벨트를 일측 방향으로 보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서 회송벨트를 타측 방향으로 보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서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서 회송벨트가 사행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서 회송벨트를 일측 방향으로 보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서 회송벨트를 타측 방향으로 보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에서 감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1)에는 고정부(10), 지지부(20), 보정부(30), 감지부(40) 및 제어부(50)가 구비된다.
참고로, 벨트 컨베이어에는 이송물을 실어 나르는 이송벨트, 이송물을 싣기 위해 회송되는 회송벨트가 구비된다. 이송벨트와 회송벨트는 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 이동을 하고, 위치와 기능에 따라 구분된다. 통상 이송벨트는 회송벨트의 상방에 위치된다.
고정부(10)는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고정부(10) 사이에는 회송벨트(100)가 위치된다. 고정부(10)는 회송벨트(10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송벨트(100)를 지지하는 회송롤러가 고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20)는 고정부(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20)는 고정부(10) 사이에 위치되는 회송벨트(100)를 지지한다.
보정부(30)는 고정부(10)에 결합되어 회송벨트(100)의 사행을 보정하고, 감지부(40)는 고정부(10)에 결합되어 회송벨트(100)의 사행을 감지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감지부(4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보정부(30)를 제어한다.
따라서, 감지부(40)가 회송벨트(100)의 사행을 감지하면,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보정부(30)가 구동되어 회송벨트(100)의 사행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에는 지지바(21) 및 지지롤러(22)가 구비된다.
지지바(21)는 고정부(10)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바(21)는 고정부(1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지지바(21) 사이에는 회송벨트(100)가 배치된다.
지지롤러(22)는 지지바(2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롤러(22)는 회송벨트(100)의 상측과 접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정부(30)에는 회전축(31), 구동모터(32), 회전프레임(33), 제1편향보정부(34) 및 제2편형보정부(35)가 구비된다.
회전축(31)은 한 쌍의 고정부(10)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회전축(31)은 한 쌍의 고정부(10)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구동모터(32)는 회전축(31)과 결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32)는 회전축(31)의 양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회전축(31)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회전프레임(33)은 회전축(31)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프레임(33)은 회송벨트(100)의 하방에 위치되고, 한 쌍의 고정부(10) 사이에 배치된다.
제1편향보정부(34)는 회전프레임(33)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1편향보정부(34)는 회송벨트(100)의 저면과 접촉되어 회송벨트(100)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2편향보정부(35)는 회전프레임(33)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편향보정부(35)는 회송벨트(100)의 저면과 접촉되어 회송벨트(100)를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편향보정부(34)에는 제1편향보정바(341), 제1편향보정롤러(342) 및 제1편향보정돌기(343)가 구비된다.
제1편향보정바(341)는 회전프레임(33)에 결합되고, 한 쌍이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1편향보정롤러(342)는 제1편향보정바(34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송벨트(1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1편향보정돌기(343)는 제1편향보정롤러(342)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송벨트(100)와 접촉된다.
예를 들어, 제1편향보정돌기(343)는 제1편향보정롤러(342)의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감싸는 형상을 하며, 제1편향보정돌기(343)와 접촉된 회송벨트(100)는 제1편향보정돌기(343)와의 마찰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도 1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편향보정부(35)에는 제2편향보정바(351), 제2편향보정롤러(352) 및 제2편향보정돌기(353)가 구비된다.
제2편향보정바(351)는 회전프레임(33)에 결합되고, 한 쌍이 이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편향보정롤러(352)는 제2편향보정바(351)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송벨트(100)의 하측을 지지한다.
제2편향보정돌기(353)는 제2편향보정롤러(352)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회송벨트(100)와 접촉된다.
예를 들어, 제2편향보정돌기(353)는 제2편향보정롤러(352)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감싸는 형상을 하며, 제2편향보정돌기(353)와 접촉된 회송벨트(100)는 제2편향보정돌기(353)와의 마찰에 의해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도 1 참조).
따라서, 제1편향보정돌기(343)와 제2편향보정돌기(353)가 상반되는 나선형상을 가지고, 이들이 선별적으로 접촉되는 회송벨트(100)는 나선형상에 따라 좌우측으로 이동되어 편향된 상태가 보정된다.
제1편향보정돌기(343)와 제2편향보정돌기(353)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편향보정돌기(343)와 제2편향보정돌기(353)는 제1편향보정롤러(342) 및 제2편향보정롤러(352)에 각각 조립된다.
따라서, 제1편향보정돌기(343)와 제2편향보정돌기(353)가 회송벨트(100)와의 장시간 접촉으로 인해 마모되면,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40)에는 감지대(41), 탄성바(42) 및 센서바(43)가 구비된다.
감지대(41)는 고정부(10)에 각각 결합되고, 탄성바(42)는 감지대(41)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탄성바(42)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회송벨트(100)와 동일선상에 배치되어 회송벨트(100)의 사행 발생시 회송벨트(100)에 의해 가압되어 휘어진다.
센서바(43)는 탄성바(42)에 내장된다. 이러한 센서바(43)는 탄성바(42)의 휘어짐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부(10)에 지지부(20)가 결합되어 회송벨트(100)의 상측을 지지하고, 고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정부(30)가 회송벨트(100)의 하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회송벨트(100)의 사행을 감지하는 감지부(40)가 고정부(1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보정부(30)에는 한 쌍의 고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31), 회전축(31)을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2), 회전축(31)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회전프레임(33) 및 회전프레임(33)에 결합되어 회송벨트(100)를 양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제2편향보정부(34,35)가 구비된다.
제1편향보정부(34)는 지지부(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2편향보정부(35)는 지지부(20)의 후방에 배치되며, 회전프레임(3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편향보정부(34) 또는 제2편향보정부(35)가 회송벨트(100)의 저면과 접촉되어 사행된 회송벨트(100)의 위치를 보정한다(도 1 참조).
즉, 회송벨트(100)가 사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감지부(40)가 회송벨트(100)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회전프레임(33)은 회전되지 않고 제1편향보정부(34)와 제2편향보정부(35)는 회송벨트(100)의 하방에 이격되어 위치된다(도 1과 도 2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도 1을 기준으로 회송벨트(100)가 우측으로 치우쳐 감지부(40)에 감지되면, 감지부(4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50)에 전송하고, 제어부(50)는 보정부(30)를 구동시켜 우측으로 치우친 회송벨트(10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3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프레임(33)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편향보정부(34)가 회송벨트(100)의 저면에 접촉된다(도 3 참조).
그리하면, 제1편향보정부(34)에 구비되는 제1편향보정돌기(343)의 나선 형상에 의해 회송벨트(100)는 좌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사행이 해소된다.
한편, 도 1을 기준으로 회송벨트(100)가 좌측으로 치우쳐 감지부(40)에 감지되면, 감지부(40)는 감지신호를 제어부(50)에 전송하고, 제어부(50)는 보정부(30)를 구동시켜 좌측으로 치우친 회송벨트(100)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구동모터(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프레임(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2편향보정부(35)가 회송벨트(100)의 저면에 접촉된다(도 4 참조).
그리하면, 제2편향보정부(35)에 구비되는 제2편향보정돌기(353)의 나선 형상에 의해 회송벨트(100)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사행이 해소된다.
한편, 제1,제2편향보정롤러(342,352)가 선택적으로 회송벨트(100)의 저면을 받쳐줄 때, 지지부(20)의 지지롤러(22)가 회송벨트(100)의 상측을 지지함으로써, 제1,제2편향보정롤러(342,352)는 회송벨트(1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부 20 : 지지부
30 : 보정부 31 : 회전축
32 : 구동모터 33 : 회전프레임
34 : 제1편향보정부 35 : 제2편향보정부
40 ; 감지부 50 : 제어부

Claims (6)

  1.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는 회송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사행을 보정하는 보정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사행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보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상측과 접촉되는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는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회송벨트 하방에 위치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저면과 접촉되어 상기 회송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편향보정부; 및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저면과 접촉되어 상기 회송벨트를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편향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보정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편향보정바;
    상기 제1편향보정바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편향보정롤러; 및
    상기 제1편향보정롤러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송벨트를 일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편향보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편향보정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편향보정바;
    상기 제2편향보정바에 양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편향보정롤러; 및
    상기 제2편향보정롤러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회송벨트를 타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제2편향보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편향보정돌기와 상기 제2편향보정돌기의 나선형상은 상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향보정돌기와 상기 제2편향보정돌기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고정부에 각각 결합되는 감지대;
    상기 감지대에 결합되고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탄성바; 및
    상기 탄성바에 내장되고, 상기 탄성바의 휘어짐을 감지하는 센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20110075332A 2011-07-28 2011-07-28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91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332A KR101291549B1 (ko) 2011-07-28 2011-07-28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5332A KR101291549B1 (ko) 2011-07-28 2011-07-28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3606A true KR20130013606A (ko) 2013-02-06
KR101291549B1 KR101291549B1 (ko) 2013-08-08

Family

ID=4789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5332A KR101291549B1 (ko) 2011-07-28 2011-07-28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83337B (zh) * 2016-05-05 2018-03-13 安徽盛运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输送带跑偏检测急停装置
CN109607101A (zh) * 2018-12-10 2019-04-12 合肥沃工电气自动化有限公司 一种基于分压电路的长输送机拉绳跑偏故障定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478Y1 (ko) * 1996-11-11 2001-11-22 이구택 벨트콘베이어의자동사행방지장치
JP2000118663A (ja) * 1998-10-09 2000-04-25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ルトコンベアの蛇行修正装置
KR200267270Y1 (ko) 2001-12-19 2002-03-12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리턴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보정장치
KR20090072129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포스코 사행 보정 장치가 구비된 컨베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549B1 (ko) 201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987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9154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2007204205A (ja) パイプコンベヤの捩れ検出装置及び捩れ矯正装置
KR101295743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20150076018A (ko) 벨트 컨베이어
JP4477716B2 (ja) パイプコンベヤにおける捩れ矯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パイプコンベヤ
KR20210098001A (ko) 제품 정렬 이송 장치
KR101633984B1 (ko) 컨베이어 장치
KR101399880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3000240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090049213A (ko) 벨트 컨베이어장치용 벨트 쏠림 교정장치
KR101816116B1 (ko) 컨베이어의 사행방지 시스템
KR20110033731A (ko) 벨트 컨베이어
KR102201446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20160126758A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675668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4006837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140828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3002369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50109090A (ko) 컨베어벨트 사행조정 비접촉감지 제어장치
CN111573195A (zh) 能自动修正输送带偏移的输送设备
KR101466165B1 (ko) 벨트의 사행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