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46B1 -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46B1
KR102201446B1 KR1020190073748A KR20190073748A KR102201446B1 KR 102201446 B1 KR102201446 B1 KR 102201446B1 KR 1020190073748 A KR1020190073748 A KR 1020190073748A KR 20190073748 A KR20190073748 A KR 20190073748A KR 102201446 B1 KR102201446 B1 KR 102201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belt
worm gear
unit
ro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149A (ko
Inventor
유경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46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2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detecting dangerous physical condition of load carriers, e.g. for interrupting the drive in the event of over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66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물이 적재되는 벨트부와, 벨트부의 너비방향 일측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부와, 벨트부의 너비방향 타측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부와, 벨트부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와, 사행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의 기울기를 조정하며,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물적재공간부의 너비와 깊이를 조정하는 기울기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PATH OF CARRYING MATERIALS ON CONVEYER BEL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에 편적된 이송물를 컨베이어 벨트의 중간부로 유도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설비 및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컨베이어 벨트는 설정 위치에서 무한궤도로 이동되면서 상부에 적재된 이송물을 목적한 위치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이송물은 컨베이어 벨트의 너비방향 중간부에 낙하,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운반물의 비중, 수분함유상태 등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의 너비방향 일측에 편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21547호(2012.11.06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이송물이 컨베이어 벨트에 편적 시 이송물을 벨트컨베이어의 너비방향 중간부로 유도하여, 이송물의 편적으로 인한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보정하고 낙광을 방지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는, 이송물이 적재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일측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부;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타측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부; 상기 벨트부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 및 상기 사행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의 기울기를 조정하며,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물적재공간부의 너비와 깊이를 조정하는 기울기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롤러부는,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중간부를 하단지지하는 제1수평롤러;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좌측부를 하단지지하고, 상기 제1수평롤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경사롤러; 및 상기 제1수평롤러와 상기 제1경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기울기조정부와 연결되는 제1롤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롤러부는,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중간부를 하단지지하는 제2수평롤러;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우측부를 하단지지하고, 상기 제2수평롤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경사롤러; 및 상기 제2수평롤러와 상기 제2경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기울기조정부와 연결되는 제2롤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울기조정부는, 상기 제1롤러부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동지지부; 상기 제2롤러부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1회동지지부와 상기 제2회동지지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회동지지부와 치합되는 제1웜기어부와, 상기 제2회동지지부와 치합되는 제2웜기어부가 형성되는 웜기어축; 상기 웜기어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사행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동지지부는, 상기 벨트부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롤러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동축; 및 상기 제1롤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웜기어부와 치합되며, 상기 웜기어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롤러부와 동일한 각변위로 이동되는 제1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회동지지부는, 상기 벨트부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롤러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롤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웜기어부와 치합되며, 상기 웜기어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롤러부와 동일한 각변위로 이동되는 제2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제1입력스프라켓; 상기 출력축, 상기 제1입력스프라켓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2입력스프라켓;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웜기어축에 결합되는 제1출력스프라켓; 상기 모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웜기어축에 결합되는 제2출력스프라켓; 일단부가 상기 제1입력스프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출력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1체인; 및 일단부가 상기 제2입력스프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출력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는, 이송물이 벨트부의 너비방향 일측에 편적 시 기울기조정부를 이용해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이송물을 벨트부의 너비방향 중간부로 유도하여, 이송물의 편적으로 인한 벨트부의 사행을 보정하고 낙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를 이용해 이송물의 편적을 보정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에 의해 이송물의 편적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는 벨트부(10), 제1롤러부(20), 제2롤러부(30), 사행감지부(40), 기울기조정부(50)를 포함한다.
벨트부(10)는 무한궤도로 이동되면서 상부에 적재된 이송물(M)(도 4 참조)을 목적한 위치로 이송한다.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는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일측부와 타측부를 각각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벨트부(10)의 너비방향은 벨트부(10)의 연장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의미한다.
벨트부(10)는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일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는 벨트부(10)와 구름접촉되어, 벨트부(1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정위치에서 회전된다.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의 사이에는, 다른 표현으로는 벨트부(10)의 상측에는 이송물(M)을 적재할 수 있는 이송물적재공간부(S)가 형성된다.
사행감지부(40)는 벨트부(10)의 사행을 감지한다. 사행감지부(40)로는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터치센서 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벨트부(10)의 사행을 감지할 수 있다면, 공지기술을 포함하여 특정한 구조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므로, 그 구조와 형상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기울기조정부(50)는 사행감지부(4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의 기울기를 조정하며,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물적재공간부(S)의 너비와 깊이를 조정한다. 기울기조정부(50)의 작동 시 벨트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가 동시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된다.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는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방향으로 상호 대칭되게 배치되고, 기울기조정부(50)에 의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동시에 회동된다. 이러한 기울기조정부(50)의 작동과 제1롤러부(20), 제2롤러부(30)의 회동에 의해 이송물적재공간부(S)는 벨트부(10)의 폭방향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보다 오목하게 또는 보다 평탄하게 가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롤러부(20)는 제1수평롤러(21), 제1경사롤러(22), 제1롤러브라켓(23)을 포함한다.
제1수평롤러(21)는 수평되게 연장되는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중간부를 하단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수평롤러(21)는 벨트부(10)의 평탄한 중간부 중 좌측부를 하단지지한다. 제1경사롤러(22)는 제1수평롤러(21)의 좌측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좌측부를 하단지지한다. 제1경사롤러(22)는 제1수평롤러(21)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1수평롤러(21)와 제1경사롤러(22)는 벨트부(10)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롤러브라켓(23)은 제1수평롤러(21)와 제1경사롤러(2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롤러브라켓(23)의 일측부는 제1수평롤러(21)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제1롤러브라켓(23)의 타측부는 제1경사롤러(22)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1롤러브라켓(23)은 기울기조정부(50)의 제1회동지지부(51)(이하 설명)와 연결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롤러부(30)는 제2수평롤러(31), 제2경사롤러(32), 제2롤러브라켓(33)을 포함한다.
제2수평롤러(31)는 수평되게 연장되는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중간부를 하단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수평롤러(31)는 벨트부(10)의 평탄한 중간부 중 우측부를 하단지지한다. 제2경사롤러(32)는 제2수평롤러(31)의 우측에 이웃하여 배치되고,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우측부를 하단지지한다. 제2경사롤러(32)는 제2수평롤러(31)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2수평롤러(31)와 제2경사롤러(32)는 벨트부(10)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롤러브라켓(23)은 제2수평롤러(31)와 제2경사롤러(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롤러브라켓(33)의 일측부는 제2수평롤러(31)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롤러브라켓(33)의 타측부는 제2경사롤러(32)의 양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롤러브라켓(33)은 기울기조정부(50)의 제2회동지지부(52)(이하 설명)와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울기조정부(50)는 제1회동지지부(51), 제2회동지지부(52), 회동력전달부(53)를 포함한다.
제1회동지지부(51)는 제1롤러부(20)의 제1롤러브라켓(23)을 상향 또는 하향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상향 또는 하향된다는 것은 제1롤러브라켓(23)의 상단부, 즉 제1롤러브라켓(23)의 좌측단부가 상향 또는 하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회동지지부(51)는 제1회동축(511)과 제1웜휠(512)을 포함한다.
제1회동축(511)은 제1롤러브라켓(2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부로, 벨트부(1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1웜휠(512)은 제1롤러브라켓(23)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웜기어축(54)에 형성된 제1웜기어부(541)와 치합된다. 웜기어축(54)의 회전 시 제1웜기어부(541)가 동일한 각변위로 회전되고, 제1웜기어부(541)와 치합된 제1웜휠(512)이 제1회동축(511)을 중심으로 하여 웜기어축(54)의 축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된다.
제1웜휠(512)이 제1롤러브라켓(23)과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제1롤러부(20) 전체가, 즉 제1수평롤러(21)와 제1경사롤러(22)가, 상기와 같은 제1웜휠(512)의 회전, 이동에 연동되어, 제1회동축(511)을 중심으로 하여 제1웜휠(512)와 동일한 각도로 회동된다.
제2회동지지부(52)는 제2롤러부(30)의 제2롤러브라켓(33)을 상향 또는 하향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여기서, 상향 또는 하향된다는 것은 제2롤러브라켓(33)의 상단부, 즉 제2롤러브라켓(33)의 우측단부가 상향 또는 하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회동지지부(52)는 제2회동축(521)과 제2웜휠(522)을 포함한다.
제2회동축(521)은 제2롤러브라켓(3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부로, 벨트부(10)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제2웜휠(522)은 제2롤러브라켓(33)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웜기어축(54)에 형성된 제2웜기어부(542)와 치합된다. 웜기어축(54)의 회전 시 제2웜기어부(542)가 동일한 각변위로 회전되고, 제2웜기어부(542)와 치합된 제2웜휠(522)이 제2회동축(521)을 중심으로 하여 웜기어축(54)의 축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된다.
제2웜휠(522)이 제2롤러브라켓(33)과 일체로 연결됨에 따라, 제2롤러부(30) 전체가, 즉 제2수평롤러(31)와 제2경사롤러(32)가, 상기와 같은 제2웜휠(522)의 회전, 이동에 연동되어, 제2회동축(521)을 중심으로 하여 제2웜휠(522)와 동일한 각도로 회동된다.
회동력전달부(53)는 사행감지부(40)의 신호에 따라 제1회동지지부(51)와 제2회동지지부(52)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사행감지부(40)에 벨트부(10)의 사행이 감지되면, 회동력전달부(53)는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의 기울기를 가변시키는 작동을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동력전달부(53)는 웜기어축(54), 동력전달부(55), 제어부(56)를 포함한다.
웜기어축(54)은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의 하측에 벨트부(10)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웜기어축(54)의 좌측부에는 제1회동지지부(51)와 치합되는 제1웜기어부(541)가 형성되고, 웜기어축(54)의 우측부에는 제2회동지지부(52)와 치합되는 제2웜기어부(542)가 형성된다.
제1웜기어부(541)와 제2웜기어부(542)는 웜기어축(54)의 연장방향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대칭되는 기어치 형상을 가지고, 제1웜휠(512)과 제2웜휠(522) 또한 이에 대응되는 기어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웜기어축(54)의 회전 시 제1웜휠(512)과 제2웜휠(522)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동력전달부(55)는 웜기어축(54)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생성하여, 벨트부(10)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개의 웜기어축(54)에 전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부(55)는 모터(551), 제1입력스프라켓(552), 제2입력스프라켓(553), 제1출력스프라켓(554), 제2출력스프라켓(555), 제1체인(556), 제2체인(557)을 포함한다.
제1입력스프라켓(552)은 모터(551)의 출력축에 결합된다. 제1출력스프라켓(554)은 모터(551)의 일측에 배치되는 웜기어축(54)에 결합된다. 제1체인(556)은 일단부가 제1입력스프라켓(552)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출력스프라켓(55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551)의 구동에 연동하여 모터(551)의 일측(예를 들어, 벨트부(10)의 진행방향측)에 배치된 웜기어축(54)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입력스프라켓(553)은 모터(551)의 출력축, 제1입력스프라켓(552)과 동축상에 배치된다. 제2출력스프라켓(555)은 모터(551)의 타측에 배치되는 웜기어축(54)에 결합된다. 제2체인(557)은 일단부가 제2입력스프라켓(553)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출력스프라켓(555)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터(551)의 구동에 연동하여 모터(551)의 타측(예를 들어, 벨트의 진행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측)에 배치된 웜기어축(54)이, 모터(551)의 일측에 배치된 웜기어축(54)과 동일하게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를 이용해 이송물의 편적을 보정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에 의해 이송물의 편적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제어부(56)는 사행감지부(40)의 신호에 따라 동력전달부(55)의 작동을 제어한다. 모터(551)는 제어부(56)에 의해 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생성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력을 생성하게 그 작동이 제어된다.
이송물(M)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일측에 편적되어 벨트부(10)의 사행이 발생되면, 벨트부(10)가 사행감지부(40)와 접하게 되고, 사행감지부(40)에서는 감지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56)에 송출한다. 사행감지부(40)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은 제어부(56)는 모터(551)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는 모터(551)의 정방향 구동에 연동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적재공간부(S)가 보다 오목한 형상을 가지게 상향 회동된다.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동되면, 이송물(M)이 자연히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중간부측으로 이동, 유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설정시간 유지 후 다시 제어부(56)가 모터(55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적재공간부(S)가 보다 평탄한 형상을 가지게 하향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에 의하면, 이송물(M)이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일측에 편적 시 기울기조정부(50)를 이용해 제1롤러부(20)와 제2롤러부(30)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이송물(M)을 벨트부(10)의 너비방향 중간부로 유도하여, 이송물(M)의 편적으로 인한 벨트부(10)의 사행을 보정하고 낙광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벨트부 20 : 제1롤러부
21 : 제1수평롤러 22 : 제1경사롤러
23 : 제1롤러브라켓 30 : 제2롤러부
31 : 제2수평롤러 32 : 제2경사롤러
33 : 제2롤러브라켓 40 : 사행감지부
50 : 기울기조정부 51 : 제1회동지지부
52 : 제2회동지지부 53 : 회동력전달부
54 : 웜기어축 55 : 동력전달부
56 : 제어부 511 : 제1회동축
512 : 제1웜휠 521 : 제2회동축
522 : 제2웜휠 541 : 제1웜기어부
542 : 제2웜기어부 551 : 모터
552 : 제1입력스프라켓 553 : 제2입력스프라켓
554 : 제1출력스프라켓 555 : 제2출력스프라켓
556 : 제1체인 557 : 제2체인
M : 이송물 S : 이송물적재공간부

Claims (8)

  1. 이송물이 적재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일측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부;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타측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부;
    상기 벨트부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 및
    상기 사행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의 기울기를 조정하며,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물적재공간부의 너비와 깊이를 조정하는 기울기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조정부는,
    상기 제1롤러부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동지지부
    상기 제2롤러부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1회동지지부와 상기 제2회동지지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회동지지부와 치합되는 제1웜기어부와, 상기 제2회동지지부와 치합되는 제2웜기어부가 형성되는 웜기어축;
    상기 웜기어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사행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동지지부는,
    상기 벨트부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롤러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동축; 및
    상기 제1롤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웜기어부와 치합되며, 상기 웜기어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1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롤러부와 동일한 각변위로 이동되는 제1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부는,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중간부를 하단지지하는 제1수평롤러;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좌측부를 하단지지하고, 상기 제1수평롤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경사롤러; 및
    상기 제1수평롤러와 상기 제1경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기울기조정부와 연결되는 제1롤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롤러부는,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중간부를 하단지지하는 제2수평롤러;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우측부를 하단지지하고, 상기 제2수평롤러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2경사롤러; 및
    상기 제2수평롤러와 상기 제2경사롤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기울기조정부와 연결되는 제2롤러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동지지부는,
    상기 벨트부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롤러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동축; 및
    상기 제2롤러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2웜기어부와 치합되며, 상기 웜기어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제2회동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롤러부와 동일한 각변위로 이동되는 제2웜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8. 이송물이 적재되는 벨트부;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일측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롤러부;
    상기 벨트부의 너비방향 타측부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롤러부;
    상기 벨트부의 사행을 감지하는 사행감지부; 및
    상기 사행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의 기울기를 조정하며, 상기 제1롤러부와 상기 제2롤러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물적재공간부의 너비와 깊이를 조정하는 기울기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조정부는,
    상기 제1롤러부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회동지지부
    상기 제2롤러부를 상향 또는 하향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회동지지부; 및
    상기 제1회동지지부와 상기 제2회동지지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력전달부는,
    상기 제1회동지지부와 치합되는 제1웜기어부와, 상기 제2회동지지부와 치합되는 제2웜기어부가 형성되는 웜기어축;
    상기 웜기어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사행감지부의 신호에 따라 상기 동력전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되는 제1입력스프라켓;
    상기 출력축, 상기 제1입력스프라켓과 동축상에 배치되는 제2입력스프라켓;
    상기 모터의 일측에 배치되는 상기 웜기어축에 결합되는 제1출력스프라켓;
    상기 모터의 타측에 배치되는 상기 웜기어축에 결합되는 제2출력스프라켓;
    일단부가 상기 제1입력스프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출력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1체인; 및
    일단부가 상기 제2입력스프라켓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2출력스프라켓에 결합되는 제2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KR1020190073748A 2019-06-20 2019-06-20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KR102201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748A KR102201446B1 (ko) 2019-06-20 2019-06-20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748A KR102201446B1 (ko) 2019-06-20 2019-06-20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49A KR20200145149A (ko) 2020-12-30
KR102201446B1 true KR102201446B1 (ko) 2021-01-12

Family

ID=7408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748A KR102201446B1 (ko) 2019-06-20 2019-06-20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7225B (zh) * 2021-02-05 2022-03-29 淮北合众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立式梯形横摆自动纠偏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747Y1 (ko) * 1996-11-15 2001-11-22 이구택 상하강이가능한캐리어롤러스탠드
JP3562702B2 (ja) * 1998-12-10 2004-09-08 株式会社大林組 ベルトコンベヤのキャリアロー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9508A (ja) * 1981-11-18 1983-05-27 Yoshimori Nukaga 蛇行検出用被検体を有するベルトコンベア用ベルト並びにその蛇行修正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4747Y1 (ko) * 1996-11-15 2001-11-22 이구택 상하강이가능한캐리어롤러스탠드
JP3562702B2 (ja) * 1998-12-10 2004-09-08 株式会社大林組 ベルトコンベヤのキャリアロー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49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094546A (ja) ベルトコンベヤ蛇行修正装置
EP1556297A1 (en) Conveyor system with distributed article manipulation
KR102201446B1 (ko) 컨베이어 벨트의 편적 보정장치
JP4574670B2 (ja) キャリヤ側ベルト蛇行修正装置
KR101816116B1 (ko) 컨베이어의 사행방지 시스템
KR20210098001A (ko) 제품 정렬 이송 장치
KR10134433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2011032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CN215473235U (zh) 用于在运输方向上运输轮胎部件的运输装置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20160112428A (ko)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KR102181785B1 (ko) 벨트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KR1013880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633984B1 (ko) 컨베이어 장치
TWI677461B (zh) 可自動修正輸送帶偏移的輸送設備
KR10221396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5506081B2 (ja) 方向転換装置
KR101291549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80114485A (ko)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KR101295741B1 (ko) 사행 조정용 릴레이 벨트 컨베이어
KR200352834Y1 (ko)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장치
KR101975776B1 (ko) 편중 방지 기능을 갖는 석재 적재 장치
KR102383806B1 (ko) 벨트컨베이어 사행 조정 장치
KR2014006837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H0738248Y2 (ja) ベルト式熱処理炉の蛇行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