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0828B1 - 벨트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0828B1
KR101140828B1 KR1020100039862A KR20100039862A KR101140828B1 KR 101140828 B1 KR101140828 B1 KR 101140828B1 KR 1020100039862 A KR1020100039862 A KR 1020100039862A KR 20100039862 A KR20100039862 A KR 20100039862A KR 101140828 B1 KR101140828 B1 KR 101140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nveying
return
transfer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441A (ko
Inventor
황기복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82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8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벨트를 지지하고 이송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지지부와, 회송벨트를 지지하고, 회전되는 회송지지부 및 이송지지부와 회송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는 낙하물의 편적에 의해 이송벨트가 일방향으로 치우치더라도 회송벨트를 타방향으로 이동시켜 낙하물의 안정적인 적재 및 운반을 가능케 한다.

Description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낙하물의 편적에 의한 벨트의 사행을 보정하여 낙광현상을 방지하는 벨트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는 고무재질에 스틸코드가 삽입되어 장력을 유지하며, 수송물을 이동시키는 이송벨트 및 이송벨트로 복귀하며 이송벨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회송벨트로 구분된다.
즉, 이송물을 싣고 이동되는 벨트는 이송벨트가 되고, 이송물을 목적지로 이송한 후 되돌아오는 벨트는 회송벨트가 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낙하물로 인해 벨트가 일측으로 치우치더라도 자동으로 보정되어 안정적인 낙하물 운송이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벨트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지지부; 회송벨트를 지지하고, 회전되는 회송지지부; 및 상기 이송지지부와 상기 회송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상기 이송지지부는 상기 이송벨트의 진행방향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휠; 상기 이송휠과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송대; 및 상기 이송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벨트를 받쳐주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지지부는 상기 이송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송지지부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송대; 및 상기 회송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를 받쳐주는 회송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송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회송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이송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제1롤; 상기 제1롤의 수평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제2롤; 및 상기 제2롤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회송대의 수평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제3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는 이송벨트의 편적에 따라 회송벨트가 이동됨으로써, 이송물에 대한 편적을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는 이송벨트의 편적으로 인한 이동에 비례하여 이송대가 이동되고, 이송대의 이동에 비례하여 회송대의 회전각이 변경됨으로써, 이송물에 대한 편적 보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물이 일측으로 편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물의 편적에 따른 이송지지부와 회송지지부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물이 일측으로 편적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에서 낙하물의 편적에 따른 이송지지부와 회송지지부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벨트 컨베이어(1)는 한 쌍의 구동롤(2)이 회전되며, 구동롤(2)을 감은 벨트는 무한궤도 이동을 한다. 이러한 벨트는 기능과 위치에 따라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로 구분된다.
이송벨트(10)는 원료와 같은 낙하물(80)을 운반하고, 회송벨트(20)는 낙하물(80)을 운반한 후 되돌아간다. 통상 이송벨트(10)는 회송벨트(20)의 상방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1)에는 이송지지부(30), 회송지지부(40) 및 연결부(50)가 구비된다.
이송지지부(30)는 이송벨트(10)를 지지하고, 이송벨트(10)와의 접촉으로 인해 이동된다. 회송지지부(40)는 회송벨트(20)를 지지한다. 연결부(50)는 이송지지부(30)와 회송지지부(40)를 연결한다.
이송지지부(30)는 이송벨트(10)에 의해 이동되고, 연결부(50)를 통해 이송지지부(30)와 연동되는 회송지지부(40)는 회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지지부(30)에는 이송레일(31), 이송휠(32), 이송대(33) 및 이송롤러(34)가 구비된다.
이송레일(31)은 이송벨트(10)와 회송벨트(2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이송레일(31)은 이송벨트(10) 진행방향의 직각으로 배치되고, 미도시한 구조물에 고정 설치된다.
이송휠(32)은 이송레일(31)에 안착된다. 이러한 이송휠(32)은 회전하면서 이송레일(31)을 따라 이동된다.
이송레일(31)은 하나 이상이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휠(32)은 이송레일(31)의 개수에 대응된다. 복수개의 이송휠(32)은 바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송대(33)는 이송휠(32)과 결합된다. 이러한 이송대(33)에는 이송휠(32)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송대(33)는 이송휠(32)이 이동됨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롤러(34)는 이송대(3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이송롤러(34)는 이송벨트(10)를 받쳐주어 이송벨트(1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이송롤러(34)는 경사를 갖는 경사롤러 사이에 중앙롤러가 배치되어 이송벨트(10)를 받쳐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지지부(30)에는 가이드롤러(35)가 더 구비된다. 가이드롤러(35)는 이송대(3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한 쌍이 이송벨트(1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이격된다.
따라서, 이송벨트(10)가 가이드롤러(35)와 접촉되면서 일측으로 치우쳐 진행되면, 이송벨트(10)의 외력에 의해 이송지지부(30)는 일측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송지지부(40)에는 고정바(41), 회송대(42) 및 회송롤러(43)가 구비된다.
고정바(41)는 미도시한 구조물에 고정 설치되고, 회송벨트(20)의 하방에 위치된다.
회송대(42)는 고정바(4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회송대(42)에 구비되는 회전축(42a)은 고정바(4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회송대(42)는 회전축(42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송롤러(43)는 양단부가 회송대(4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회송벨트(20)를 받쳐준다. 이러한 회송롤러(43)는 회송벨트(20)가 쳐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50)에는 제1롤(51), 제2롤(52), 제3롤(53) 및 와이어(54)가 구비된다.
와이어(54)는 일단부가 이송대(33)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송대(42)의 양측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러한 와이어(54)는 각각 제1롤(51) 내지 제3롤(53)에 감겨 작동각이 변경된다.
제1롤(51)은 이송대(33)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롤(51)은 이송대(33)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제1롤(51)에 감긴 와이어(54)는 이송벨트(10)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롤(52)은 제1롤(51)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롤(52)은 이송벨트(10)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롤(52)에 감긴 와이어(54)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각각의 제2롤은 이송대(33)를 기준으로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제3롤(53)은 제2롤(52)과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3롤(53)은 제2롤(52)의 하방에 배치되고, 제3롤(53)에 감긴 와이어(54)는 회송벨트(20)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이송지지부(30)가 이송벨트(10)의 편적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면, 이와 연결된 와이어(54)는 회송지지부(40)를 회전시킨다.
제1롤(51) 내지 제3롤(53)은 고정물(55)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자체 회전되어 와이어(54)의 작동가을 변경한다. 이러한 제1롤(51) 내지 제3롤(53)에 대한 일실시예로 도르레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낙하물(80)이 a방향으로 치우쳐 이송벨트(10)에 편적되는 경우(도 3 참조), 낙하물(80)의 중량에 의해 이송벨트(10)는 b방향으로 이동된다(도 4 참조).
이송벨트(10)는 b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가이드롤러(35)와 접촉되어, 가이드롤러(35)를 b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때, 가이드롤러(35)는 이송대(33)와 연결되므로, 이송대(33)는 이송레일(31)을 따라 b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송대(33)가 b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와 연결된 a방향의 와이어(54)도 이동된다. 이때, 와이어(54)는 제1롤(51) 내지 제3롤(53)에 의해 작동각이 변경되어 a방향의 회송대(42)를 잡아당긴다. 이때, b방향의 회송대(42)와 연결되는 와이어(54)의 장력은 낮아진다.
따라서, 회송대(42)는 이송대(33)가 이동된 거리에 비례하여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낙하물(80) 이송을 완료한 이송벨트(10)는 회송벨트(20)가 되어 이송벨트(10)의 하방에서 이동된다.
이러한 회송벨트(20)가 회전된 회송대(42)를 통과하면서 a방향의 회송롤러(43)와 먼저 접촉되면, 마찰력에 의해 회송벨트(20)는 a방향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때, 회송벨트(20)는 회송대(42)의 회전각에 비례하여 이동된다.
a방향으로 치우친 회송벨트(20)가 이송벨트(10)가 되면, 이송벨트(10)는 이전의 경로보다 a방향으로 치우쳐 이동되므로, 낙하물(80)이 이송벨트(10)의 중앙으로 낙하된다.
만일, 이송벨트(10)가 a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a방향으로의 편적이 발생되면, 상술한 작동에 의해 이송벨트(10)는 편적이 종료될 때까지 a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이송벨트(10)가 과도하게 a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상술한 작동원리에 의해 이송벨트(10)는 b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낙하물(80)이 중앙으로 낙하될 때까지 보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이송벨트 20 : 회송벨트
30 : 이송지지부 31 : 이송레일
32 : 이송휠 33 : 이송대
34 : 이송롤러 35 : 가이드롤러
40 : 회송지지부 41 : 고정바
42 : 회송대 43 : 회송롤러
50 : 연결부 51 : 제1롤
52 : 제2롤 53 : 제3롤
54 : 와이어

Claims (5)

  1. 이송벨트를 지지하고, 상기 이송벨트에 의해 이동되는 이송지지부;
    회송벨트를 지지하고, 회전되는 회송지지부; 및
    상기 이송지지부와 상기 회송지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지지부는
    상기 이송벨트의 진행방향과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휠;
    상기 이송휠과 결합되어 이동되는 이송대; 및
    상기 이송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벨트를 받쳐주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회송지지부는
    고정바;
    상기 고정바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송대; 및
    상기 회송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회송벨트를 받쳐주는 회송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이송대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회송대에 타단부가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이송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제1롤;
    상기 제1롤의 수평선상에 위치되고, 상기 이송벨트의 진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제2롤; 및
    상기 제2롤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회송대의 수평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제3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이송벨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

  4. 삭제
  5. 삭제
KR1020100039862A 2010-04-29 2010-04-29 벨트 컨베이어 KR10114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862A KR101140828B1 (ko) 2010-04-29 2010-04-29 벨트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862A KR101140828B1 (ko) 2010-04-29 2010-04-29 벨트 컨베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441A KR20110120441A (ko) 2011-11-04
KR101140828B1 true KR101140828B1 (ko) 2012-05-03

Family

ID=4539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862A KR101140828B1 (ko) 2010-04-29 2010-04-29 벨트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2996A (zh) * 2015-10-29 2016-02-03 侯可中 皮带纠偏装置及皮带纠偏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436Y1 (ko) * 1995-04-27 1998-10-15 김만제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
KR20030048590A (ko) * 2001-12-12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KR20040044744A (ko) * 2002-11-22 2004-05-31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20090030288A (ko) * 2009-03-04 2009-03-24 박태진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436Y1 (ko) * 1995-04-27 1998-10-15 김만제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
KR20030048590A (ko) * 2001-12-12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교정장치
KR20040044744A (ko) * 2002-11-22 2004-05-31 주식회사 포스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20090030288A (ko) * 2009-03-04 2009-03-24 박태진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2996A (zh) * 2015-10-29 2016-02-03 侯可中 皮带纠偏装置及皮带纠偏方法
CN105292996B (zh) * 2015-10-29 2017-08-29 侯可中 皮带纠偏装置及皮带纠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441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27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5348366B2 (ja) 物品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20090000286U (ko) 단부 지지 높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장치
KR101140828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30002409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2005053662A (ja) 物品の方向変更装置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0946717B1 (ko) 컨베이어벨트
JP2005162477A (ja) 物品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システム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101129284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388038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090006177U (ko) 체인 콘베이어
KR2014004208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3002369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5800965B1 (ja) 搬送装置
KR101231796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320661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14006837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20110021506A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91548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894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스탠드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JP6155687B2 (ja) 基板搬送装置及び基板搬送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