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4744A -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4744A
KR20040044744A KR1020020072911A KR20020072911A KR20040044744A KR 20040044744 A KR20040044744 A KR 20040044744A KR 1020020072911 A KR1020020072911 A KR 1020020072911A KR 20020072911 A KR20020072911 A KR 20020072911A KR 20040044744 A KR20040044744 A KR 20040044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elt
meandering
pair
movable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1149B1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14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4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1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65G15/64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the position of the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 B65G2812/02168Belts provided with guiding means, e.g.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행 조정장치는 컨베이어 벨트 배면부 상측의 메인 프레임(36); 상기 메인 프레임(36)에서 상류로 돌출한 한 쌍의 다리(31)와 중간에 시브(34)가 있는 지지대(30); 상기 다리(31)의 단부에서 돌출하여 컨베이어 벨트 라인에 체결되는 브래킷(12, 14); 상기 브래킷(12, 14)의 구멍을 통해 각각 컨베이어 벨트(100)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가동 샤프트(16); 상기 가동 샤프트(16)의 대향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0)를 안내하는 한 쌍의 수직 롤(24); 상기 메인 프레임(36) 내측의 한 쌍의 가동 프레임(50); 양단이 각각 상기 가동 프레임(50)에 피벗 가능하고 상기 배면부와 접촉하는 롤(54); 및 각각의 상기 가동 프레임(50)의 상류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대 시브(34)를 거쳐 상응하는 위치의 각각의 가동 샤프트(16)의 외측 단부 쪽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W1, W2)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조정장치에 따라 수송물의 편기 및 편적 등으로 인한 벨트 손상과 설비 트러블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SKEWNESS OF CONVEYER BELT}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시 컨베이어 벨트의 배면부와의 접촉을 통해 자동으로 사행을 조정하고 사행된 컨베이어 벨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수송물의 편기 및 편적 등으로 인한 벨트 손상과 설비 트러블을 방지하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원료(연료 및 원료)의 수송은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을 하게되는데, 여러 개의 컨베이어 벨트가 조합되어 하나의 라인을 이루게 된다.
도 1은 통상의 컨베이어 벨트 라인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컨베이어 벨트(100)에 의해 운반되어 온 수송물(102)은 슈트(104)에서 하부 컨베이어 벨트(100)로 낙하되어 목적지 또는 다른 컨베이어 벨트(도시 생략)로 수송된다.
이 수송 과정에서 일단 사행이 발생하면, 컨베이어 벨트(100)는 자체 특성상 공 벨트에서도 사행을 지속하게 된다. 따라서, 슈트(104)에서 수송물(102)이 낙하할 때, 수송물은 사행된 형태로 낙하하여 착지한다. 이러한 사행의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행은 컨베이어 벨트(100)에 손상을 주므로 조정하여야 한다.즉 컨베이어 벨트(100)의 진행을 조정하여 컨베이어 벨트(100)가 풀리(106)를 통해 캐리어부에 진입할 때 중앙으로 유도해야 한다.
또한 사행이 발생하면, 컨베이어 벨트(100)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설비파손 및 낙광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초래하고 컨베이어 벨트(100)의 기동이 정지됨으로서 조업지연으로 인한 설비효율이 저하되어 원가상승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개선 방법의 일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캐리어 중심 조정 롤(110)과 자동 리턴 중심 조정 롤(120)이 있다. 캐리어 중심 조정 롤(110)은 컨베이어 벨트(100)의 상면에 수송물(102)이 착지 된 후 사행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리턴 중심 조정 롤(120)은 사행된 형태로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100)를 사행 조정하여 캐리어부로 주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들 중심 조정 롤(110, 120)은 리턴 컨베이어 벨트(100)의 사행 조정을 위하여 가이드 롤러(112)가 컨베이어 벨트(100)의 양측면을 안내하여 사행을 조정하거나, 리턴 롤 스탠드(122)를 강제로 밀어서 캐리어부의 컨베이어 벨트(100)에 수송물이 착지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면부호 116은 캐리어 롤을 나타내고, 126은 리턴 롤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들 중심 조정 롤(110, 120)은 수동으로 조정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또한 베어링 축(114, 124)이 롤러 스탠드(110, 120) 및 컨베이어 벨트(100)의 텐션 충격압력에 견디지 못하고 쉽게 파손된다. 아울러 리턴 컨베이어 벨트(100) 가이드 롤러(122) 역시 축 방향 밀림에 약하고 사행시 반대편 가이드 롤러(122)가 벨트(100)면에 간섭되어 사행조정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시 컨베이어 벨트의 배면부와의 접촉을 통해 자동으로 사행을 조정하고 사행된 컨베이어 벨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의 컨베이어 벨트 라인의 사시도.
도 2는 컨베이에 벨트의 사행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기 위한 자동 캐리어 중심 조정 롤 및 자동 리턴 중심 조정 롤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자동 조정장치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 4a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자동 조정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 자동 조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6: 가동 샤프트32, 34: 와이어 시브
40: 가이드 판48: 가이드 시브
54: 사행 조정 롤100: 컨베이어 벨트
W1, W2: 와이어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공되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컨베이어 벨트 배면부의 사행을 자동 조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컨베이어 벨트 배면부 상측에 위치되는 장방형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서 컨베이어 벨트의 상류 쪽으로 돌출한 한 쌍의 다리와 중간에 시브가 있는 지지대; 상기 다리의 단부에서 상향 돌출하여 컨베이어 벨트 라인의 고정 구조에 체결되는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구멍을 통해 각각 컨베이어 벨트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가동 샤프트; 상기 가동 샤프트의 대향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안내하는 한 쌍의 수직 롤; 상기 메인 프레임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동 프레임; 양단이 각각 상기 가동 프레임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배면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 및 각각의 상기 가동 프레임의 상류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대 시브를 거쳐 상응하는 위치의 각각의 가동 샤프트의 외측 단부 쪽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과 연계되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 및 장점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자동 조정장치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4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행 자동 조정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리턴 롤에서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부분 즉 컨베이어 벨트(100)의 배면부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수송물을 하역한 후 리턴되는 컨베이어 벨트(100)를 리턴시키기 위한 리턴부측 풀리(106)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한 쌍의 스탠드 체결용 브래킷(12)에 의해 통상의 컨베이어 벨트 라인의 스탠드 베이스 또는 다른 고정 구조에 부착되며, 각각의 스탠드 체결용 브래킷(12)은 "ㄱ"자 형태의 연결 브래킷(14)에 결합되고, 연결 브래킷(14)은 "ㄷ"자 형상의 지지대(30)의 양 다리(31)의 단부에 고정 부착되며,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지지대(30)로부터 컨베이어 벨트(100)의 하류로 연장된 장방형의 장치 메인 프레임(36)과 고정 결합된다. 이와 같은 체결 브래킷(12), 연결 브래킷(14), 지지대(30) 및 장치 메인 프레임(36)은 일체로 결합되어 본 발명의 조정장치의 프레임 유닛을 형성한다. 한편 체결 브래킷(12)은 편의상 한 쌍만 도시하였지만 필요한 경우 메인 프레임(36)의 하류 쪽에 더 설치할 수 있다.
연결 브래킷(14)의 하측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각각 가동 샤프트(16)가 관통되어 활주하도록 허용한다. 이들 가동 샤프트(16)의 내측 단부에는 롤 브래킷(22)가 각각 부착되어 있고, 외측 단부에는 가동 샤프트(16)와 대략 직각으로 컨베이어 벨트(100)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 지지대(28)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가동 샤프트(16)와 와이어 지지대(28) 사이에는 제1 완충 스프링(18)이 각각 설치되고, 가동 샤프트(16)와 롤 브래킷(22) 사이에는 제2 완충 스프링(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각각의 롤 브래킷(22)의 양단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0)의 폭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한 쌍의 수직 가이드 롤(24)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0)의 측방향 양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롤 브래킷(22)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100)를 상하에서 안내하면서 지지하는 한 쌍의 수평 가이드 롤(26)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편 지지대(30)의 양 단부에는 와이어 시브(32)가 각각 부착되고 중간 부위에는 이중 와이어 시브(34)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이중 시브(32, 34)는 지지대(30)로부터 장치 메인 프레임(36)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장치 메인 프레임(36) 내측에는 장공(62)이 형성된 연결부(64)가 상기 지지대(30)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36)을 지지한다. 상기 장치 메인 프레임(36)의 상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판(40)이 장치 메인 프레임(36)의 양단 가까이에 부착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판(40)은 각각 시브 활주용의 대각 슬롯(42)이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 메인 프레임(36) 내측의 상기 가이드 판(40) 하측에는 한 쌍의 조정 롤 프레임(50)이 컨베이어 벨트(100)와 나란히 설치된다. 각각의 조정 롤 프레임(50)의 양단 상부에는 수직 가이드 시브(48)가 각각 상향 될출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 수직 가이드 시브(48)는 전술한 가이드 판(40)의 대각 슬롯(42) 내에서 활주하도록 구성된다. 수직 가이드 시브(48)의 상단은 스프링(46)에 의해 가이드 판(40)의 양단 하측에 고정된 시브 핀(44)에 결합된다.
한편 대향된 조정 롤 프레임(50)은 한 쌍의 링크(60) 및 복수의 사행 조정 롤(54)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링크(60)는 조정 롤 프레임(50)의 양 단부에서 결합되는데, 이 결합은 조정 롤 프레임(50) 양 단부의 내측으로 돌출한 링크 브래킷(56) 및 링크 브래킷(56)과 링크(60)를 피벗 가능하게 체결시키는 링크 핀(58)에 의해 달성된다. 사행 조정 롤(54)은 또한 조정 롤 프레임(50) 중간의 개구에 설치된 베어링(52)에 체결됨으로써 조정 롤 프레임(50)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들 사행 조정 롤(54)은 하측의 리턴 컨베어 벨트(10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배치되므로 리턴 컨베어 벨트(100)가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하면 그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도면부호 W1 및 W2는 사행 조정용 와이어를 나타낸다. 이들 와이어(W1, W2)는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지만 편의상 W1 및 W2로 구분하여 지시하였다. 제1 와이어(W1)는 좌측 조정 롤 프레임(50)의 상단 또는 좌측 상단의 링크 브래킷(56)에 체결되고, 연결부(64)의 장공(62)을 통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시브(34)의 상측 시브에 감겨 방향을 바꾼 다음, 장치 메인 프레임(36) 좌측 상단의 시브 개구(38) 및 좌측 와이어 시브(32)를 통해 좌측의 와이어지지대(28)에 체결된다. 제2 와이어(W2)도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우측 조정 롤 프레임(50)의 상단과 우측 와이어 지지대(28) 사이에 체결된다. 와이어(W1, W2)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구성요소를 이동시키는 힘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갖는다면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사행 자동 조정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행 자동 조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100은 정상적으로 주행하는 컨베이어 벨트를 나타내고, 100'는 사행된 상태의 컨베이어 벨트를 나타낸다. 즉 사행된 컨베이어 벨트(100')는 B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B' 방향으로 변위 또는 사행되어 있다. 이와 같은 B' 방향으로의 컨베이어 벨트(100')의 변위는 수직 가이드 롤(24)에 힘을 가해 가동 샤프트(16)를 도면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가동 샤프트(16)는 b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와이어(W1)를 c 및 d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제1 와이어(W1)가 이와 같이 당겨지면, 그에 따라 제1 와이어(W1)에 연결된 사행방향(B') 반대쪽의 조정 롤 프레임(50)은 e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때 부착된 수직 가이드 시브(48)는 점선으로 표시된 가이드 판(40)의 사행 반대방향 대각 슬롯(42)을 따라 d 방향으로 활주함으로써 이러한 조정 롤 프레임(50)의 이동을 허용한다. 또한 링크(60)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링크(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지고 그에 따라 링크(60)의 사행방향(B')측 단부에 부착된 수직 가이드 시브(48)는 사행방향(B')측 슬롯(42)을 따라 g 방향으로 활주하고 사행방향(B')측 조정 롤 프레임(50)은 f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결과 제2 와이어(W2)가 g 방향으로 끌어 당겨져 제2 와이어(W2)의 느슨해짐이 방지된다.
위와 같이 조정 롤 프레임(50)이 이동하면, 사행 조정 롤(54)은 사행방향(B')측 단부가 벨트 주행방향(B) 즉 f 방향으로 변위하고 사행 반대방향측 단부가 벨트 주행의 반대방향 즉 e 방향으로 변위하여 기울어진 형상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울어진 사행 조정 롤(54)은 컨베이어 벨트(100')의 주행에 따라 회전할 때 그 회전 방향은 R이 된다. 사행 조정 롤(54)은 R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사행된 컨베이어 벨트(100')와 접촉하여 사행된 컨베이어 벨트(100')를 하측으로 끌어당기게 되고 그 결과 컨베이어 벨트(100')는 B" 방향으로 정상적인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사행 조정 롤(54)도 역시 컨베이어 벨트(100)를 정상 위치로 복구시키면서 자신도 역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만약 컨베이어 벨트가 전술한 것과 반대의 방향 즉 B"의 방향으로 사행되는 경우에는 제2 와이어(W2)가 당겨져서 전술한 것과 동등한 과정을 거쳐 컨베이어 벨트는 사행이 조정되고 정상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수송물을 하역한 컨베이어 벨트를 공 벨트로 리턴시키기 위한 풀리(106)의 하류에 설치되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캐리어부에 진입하기 직전에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을 조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컨베이어 벨트를 캐리어부로 진입시키기 위한 상기 풀리(106)와 대향된 풀리(도시 생략)에 인접하게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배면부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는 사행을 감지하는 부분 즉 가동 샤프트(16) 및 수직 및 가이드 롤(24, 26) 등이 상류를 향하도록 즉 컨베이어 벨트의 주행 방향과 반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벨트 사행 조정장치는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시 컨베이어 벨트의 배면부와의 접촉을 통해 자동으로 사행을 조정하고 사행된 컨베이어 벨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수송물의 편기 및 편적 등으로 인한 벨트 손상과 설비 트러블을 방지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컨베이어 벨트(100)의 배면부 상측의 장방형 메인 프레임(36);
    상기 메인 프레임(36)에서 컨베이어 벨트(100)의 상류 쪽으로 돌출한 한 쌍의 다리(31)와 중간에 시브(34)가 있는 지지대(30);
    상기 다리(31)의 단부에서 상향 돌출하여 컨베이어 벨트 라인의 고정 구조에 체결되는 브래킷(12, 14);
    상기 브래킷(12, 14)의 구멍을 통해 각각 컨베이어 벨트(100)에 수직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가동 샤프트(16);
    상기 가동 샤프트(16)의 대향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100)를 안내하는 한 쌍의 수직 롤(24);
    상기 메인 프레임(36) 내측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동 프레임(50);
    양단이 각각 상기 가동 프레임(50)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00) 배면부와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54); 및
    각각의 상기 가동 프레임(50)의 상류 단부로부터 상기 지지대 시브(34)를 거쳐 상응하는 위치의 각각의 가동 샤프트(16)의 외측 단부 쪽에 연결된 한 쌍의 와이어(W1, W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샤프트(16)의 대향 단부의 상하측을 서로 연결하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100)를 상하측에서 안내하는 한 쌍의 수평 롤(2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샤프트(16)의 둘레에서 상기 가동 샤프트(16)의 외측 단부와 브래킷(14) 사이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18) 및 수직 롤(24)과 상기 브래킷(14) 사이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2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36) 상부에 횡으로 부착되고 벨트 상류로 모아지는 한 쌍의 슬롯(42)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판(40)을 더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가동 프레임(50)은 각기 상기 슬롯(42)에서 활주 가능한 가이드 시브(48)를 양 단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1020020072911A 2002-11-22 2002-11-22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100931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11A KR100931149B1 (ko) 2002-11-22 2002-11-22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2911A KR100931149B1 (ko) 2002-11-22 2002-11-22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744A true KR20040044744A (ko) 2004-05-31
KR100931149B1 KR100931149B1 (ko) 2009-12-10

Family

ID=3734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2911A KR100931149B1 (ko) 2002-11-22 2002-11-22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1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81B1 (ko) * 2009-04-27 2012-03-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KR101140828B1 (ko) * 2010-04-29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KR20180114485A (ko) 2017-04-10 2018-10-18 이호상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530B1 (ko) * 2011-11-29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송물 공급장치
KR101692056B1 (ko) 2015-01-09 2017-01-04 폴텍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완충 가이드 장치
KR101675671B1 (ko) * 2015-03-26 2016-11-11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의 이송벨트용 가압장치
CN111531701B (zh) * 2020-04-30 2021-05-04 湖北北新建材有限公司 一种倒角皮带自动纠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436Y1 (ko) * 1995-04-27 1998-10-15 김만제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방지장치
KR200217550Y1 (ko) * 1995-07-25 2001-04-02 이구택 벨트 콘베어 사행 자동제어장치
NO306708B1 (no) * 1996-05-31 1999-12-13 Techno Track As Reversibel beltestyreenhet til sentrering av transportbelter
KR19990016303U (ko) * 1997-10-25 1999-05-25 이구택 벨트 콘베이어의 사행 방지장치
JP2000335716A (ja) * 1999-05-27 2000-12-05 B B S Systec Kk コンベアベルトの蛇行防止装置及びその蛇行防止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81B1 (ko) * 2009-04-27 2012-03-27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KR101140828B1 (ko) * 2010-04-29 2012-05-0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KR20180114485A (ko) 2017-04-10 2018-10-18 이호상 컨베이어 벨트의 사행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149B1 (ko) 200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9560B1 (ko) 제품운반용 이송장치
KR100931149B1 (ko)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940009026A (ko) 컨베이어 장치
KR100678855B1 (ko) 컨베어벨트 텐션조정장치
US3275126A (en) Safety device for suspended conveyor take-up mechanisms
US20030079958A1 (en) Sorting system
KR100684417B1 (ko)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KR20030054514A (ko) 벨트콘베어 장력 및 사행 자동 조정장치
KR100931148B1 (ko) 컨베이어 벨트 사행 자동 조정장치
US2909273A (en) Extensible conveyors
RU2183580C2 (ru) Конвейер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KR20020052738A (ko) 롤러마모 방지용 스탠드장치
KR19990013570U (ko) 가역벨트컨베이어의 사행자동조절장치
JP3389787B2 (ja) ベルトコンベヤのスカート装置
KR100323060B1 (ko) 컨베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
KR200176544Y1 (ko) 텐션 웨이트 낙하방지장치
KR100815800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887059B1 (ko) 벨트콘베어의 수송물 편적 교정장치
KR20010059363A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조정장치
KR100507668B1 (ko) 유동력이 구비된 롤러 스탠드
CN218967931U (zh) 一种果蔬输送单元和果蔬分选机
KR101482277B1 (ko) 벨트 컨베이어에 구비되는 벨트 지지 장치
KR100682087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방지장치
KR20040043797A (ko) 연속식 언로더의 하부슈트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30048587A (ko) 벨트 컨베이어의 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