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218A -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5218A
KR20130005218A KR20120060183A KR20120060183A KR20130005218A KR 20130005218 A KR20130005218 A KR 20130005218A KR 20120060183 A KR20120060183 A KR 20120060183A KR 20120060183 A KR20120060183 A KR 20120060183A KR 20130005218 A KR20130005218 A KR 2013000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battery
peak shift
tim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0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1473B1 (ko
Inventor
노부타카 이시데라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성능 열화(劣化)를 억제하면서 유저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충전부(12)는 외부전원(2)에 의하여 배터리(11)를 충전한다. 전원상태 판정부(13)는 외부전원(2)에 의하여 전자기기(1)를 구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이력등록부(14)는 전원상태 판정부(13)에 의한 판정결과의 이력을 기억부(20)에 등록한다. 충전 제어부(15)는 판정결과의 이력에 의거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충전부(12)에 의한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배터리 잔량의 상한을 배터리(11)의 최대 용량으로 설정하고,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전역에 있어서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상한을 배터리(11)의 최대 용량보다 작은 소정량으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CHARG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트북 PC(Personalcomputer) 등의 가반형 전자기기를 구동하는 배터리에 관해서는, 과충전상태가 되는 것이 반복되면 만충전시의 배터리 용량이 저하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등 배터리의 성능이 열화(劣化)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배터리 충전량의 상한을 만충전시의 배터리 용량보다 낮은 소정량(예를 들면, 배터리 용량의 80%)으로 억제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의 충전량의 상한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서히 저하시키도록 한 정보처리장치가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제2005-182626호 공보
그러나, 배터리 충전량의 상한을 억제한 경우, 충전 가능한 최대 용량(정격값)이 될 때까지 충전한 경우와 비교하여, 배터리를 사용한 전자기기의 구동 가능 시간이 짧아져서 유저의 편의성을 해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터리의 성능 열화를 억제하면서, 유저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하면, 전원으로서 배터리와 외부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구동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이 전자기기는 충전부, 전원상태 판정부, 이력 기억부 및 충전 제어부를 가진다. 충전부는 외부전원에 의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전원상태 판정부는 외부전원에 의하여 전자기기를 구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이력 기억부는 전원상태 판정부에 의한 판정결과의 이력을 기억한다. 충전 제어부는 상기 판정결과의 이력에 의거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충전부에 의한 충전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는 배터리 잔량의 상한을 배터리의 최대 용량으로 설정하고,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전역(全域)에 있어서 전자기기가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 가능했던 경우에는, 상기한 상한을 배터리의 최대 용량보다 작은 소정량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기기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실행되는 충전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에 의하면 배터리의 성능 열화를 억제하면서 유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배터리의 충/방전 횟수와 배터리 용량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전력회사에 대한 1일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피크시프트(peak shift) DB에 등록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노트북 PC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노트북 PC의 전원에 관련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실현되는 노트북 PC의 처리 기능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전원상황 DB에 등록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충전모드의 설정처리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1은 어드바이스 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배터리의 충전제어 처리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3은 배터리 잔량의 추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1-1)
도 14는 배터리 잔량의 추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1-2)
도 15는 배터리 잔량의 추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1-3)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북 PC의 처리 기능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전모드의 설정처리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1-1)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전모드의 설정처리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1-2)
이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기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전자기기(1)는 전원으로서 배터리(11)와 외부전원(2)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구동된다. 외부전원(2)은 예를 들면 일반적인 상용AC (Alternating Current)전원이다. 또한, 전자기기(1)는 배터리(11)를 충전하는 충전부(12)를 구비한다. 충전부(12)는 외부전원(2)에 의하여 배터리(11)를 충전한다.
전자기기(1)는 전원상태 판정부(13), 이력등록부(14) 및 충전 제어부(15)를 더 구비한다. 전원상태 판정부(13)는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전원상태 판정부(13)는, 외부전원(2)으로부터 전압공급을 받기 위한 케이블이 전자기기(1)에 접속되고 또한 그 케이블에 외부전원(2)으로부터의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경우에,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 가능한 상태로 판정한다.
이력등록부(14)는 전원상태 판정부(13)에 의한 판정결과의 이력을 전원상태이력(21)으로서 기억부(20)에 등록한다. 한편, 기억부(20)는 전자기기(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외부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충전 제어부(15)는, 기억부(20)에 등록된 전원상태이력(21)에 의거하여, 충전부(12)에 의한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배터리 잔량의 상한(이하, 「충전량의 상한」이라 함)을 제 1 값과 제 2 값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제 1 값은 배터리(11)의 최대 용량(즉 용량의 100%)인 것에 대하여, 제 2 값은 최대 용량보다 작은 값(예를 들면 용량의 80%)이다.
이때, 도 2는 배터리의 충/방전 횟수와 배터리 용량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는 과충전을 반복하면 만충전시에 있어서의 배터리의 용량이 서서히 저하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지는 등,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용량의 최대값(100%)이 될 때까지 충전하는 동작을 반복한 경우보다,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용량의 최대값의 80%가 될 때까지 충전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편이 배터리 용량이 완만하게 저하된다.
이하, 도 1로 돌아가서 설명한다.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제 1 값, 즉 배터리(11)의 최대 용량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충전 종료 후에 있어서의 배터리(11)에 의한 구동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한편,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배터리(11)의 최대 용량보다 작은 제 2 값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배터리(11)가 만충전 상태가 되지 않으므로 배터리(11)의 과충전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만충전시에 있어서의 배터리(11)의 용량 저하나 배터리(11)의 수명 단축과 같은 배터리(11)의 성능 저하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충전 제어부(15)는 전원상태이력(21)에 의거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는지를 판정한다. 충전 제어부(15)는,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전역(全域)에 있어서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 가능했던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배터리(11)의 최대 용량보다 작은 제 2 값으로 설정한다.
이때,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전역에 있어서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 가능했던 경우에는, 전자기기(1)는 이후에도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 가능한 상태에서 사용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배터리(11)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을 길게 할 필요성이 낮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로부터, 충전 제어부(15)는 배터리(11)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보다 배터리(11)의 성능 열화(劣化)를 방지하는 것이 우선되도록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억제한다.
한편, 충전 제어부(15)는,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제 1 값, 즉 배터리(11)의 최대 용량으로 설정한다. 이때,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는 전자기기(1)가 배터리(11)만을 전원으로서 사용하여 구동되므로, 배터리(11)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이 긴 것이 바람직하다.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전자기기는 이후에도 마찬가지의 상태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로부터, 충전 제어부(15)는 배터리(11)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이 길어지도록 충전부(12)에 가능한 한 많은 양을 충전시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면, 배터리(11)의 성능 열화를 가능한 한 방지하면서도, 전자기기(1)의 사용상황(즉,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에서 사용되었는지)에 맞춰서, 배터리(11)에 의한 구동 시간이 전자기기(1)를 사용하는데 필요 충분한 시간이 되도록 충전 동작이 제어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11)의 성능 열화를 억제하면서 전자기기(1)를 사용하는 유저의 편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기기(1)는 잔량검출부(16)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잔량검출부(16)는 배터리(11)의 잔량을 검출한다. 이 경우, 이력등록부(14)는 잔량검출부(16)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배터리(11) 잔량의 이력을 잔량이력(22)으로서 기억부(20)에 등록해도 된다.
충전 제어부(15)는 예를 들면, 전원상태이력(21)에 의거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전자기기(1)가 외부전원(2)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잔량이력(22)으로부터 과거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배터리(11) 잔량의 최소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충전 제어부(15)는 추출된 최소값과 소정의 임계값(th1)의 비교 결과에 따라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설정한다.
충전 제어부(15)는, 잔량이력(22)으로부터 추출한 최소값이 임계값(th1)보다 큰 경우에는,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배터리(11)의 최대 용량보다 작은 제 2 값으로 설정한다. 상기 최소값이 임계값(th1)보다 큰 경우, 과거의 소정 기간에 전자기기(1)가 배터리(11)에 의하여 구동된 시간이 그다지 길지 않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로부터, 충전 제어부(15)는 배터리(11)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보다 배터리(11)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우선되도록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억제한다.
한편, 충전 제어부(15)는, 잔량이력(22)으로부터 추출한 최소값이 임계값(th1) 이하인 경우에는, 충전부(1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제 1 값, 즉 배터리(11)의 최대 용량으로 설정한다. 상기 최소값이 임계값(th1) 이하인 경우, 과거의 소정 기간에 전자기기(1)가 배터리(11)에 의하여 비교적 긴 시간 구동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로부터, 충전 제어부(15)는 배터리(11)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이 길어지게 되도록 충전부(12)에 가능한 많은 양을 충전시킨다.
이상과 같은 잔량이력(22)에 의거한 충전 제어부(15)의 충전제어처리에 의하면 유저의 편의성을 해치지 않고 배터리(11)의 성능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전자기기(1)는 배터리(11)와 전자회로가 일체화된 배터리팩을 탑재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낸 충전부(12), 이력등록부(14), 충전 제어부(15) 및 잔량검출부(16)의 각 처리는 배터리팩 내의 전자회로에 의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충전 제어부(15)는 제 1 값으로서 소정량보다 큰 값을 설정하고, 제 2 값으로서 소정량을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전자기기의 예로서 피크시프트(peak shift)에 대응한 노트북 PC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노트북 PC(100)는 전원으로서 내부의 배터리와 외부의 상용 AC전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구동 가능한 가반형 전자기기이다. 또한, 노트북 PC(100)는 상용 AC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이 노트북 PC(100)는 인터넷(200)을 통하여 피크시프트 DB(데이터베이스) 서버(210)와 통신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는 예를 들면 상용 AC전원을 공급하는 전력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이다.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는 상용 AC전원의 제공지역과 피크시프트 기간이 대응해서 등록되어 있다. 피크시프트 기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루 중에서 전력회사에 대한 전력 수요가 비교적 적은 소정의 시간대이다. 노트북 PC(100) 등의 전자기기는 인터넷(200)을 통하여 자신의 장치의 위치정보를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통지함으로써, 통지한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피크시프트 기간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노트북 PC(100)는 자신의 장치의 위치를 인식하는 수단의 예로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 기능을 구비한다. 노트북 PC(100)는 GPS 위성(220)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함으로써 자신의 장치의 위도·경도를 인식한다. 또한, 실제로는 노트북 PC(100)는 복수의 GPS 위성(220)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피크시프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전력회사에 대한 1일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전력회사에 대한 전력 수요는 시각에 따라 변동한다. 도 4의 예에서는 야간에 비하여 낮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가 많고, 14시부터 15시까지의 사이에 전력 수요가 최대가 된다. 이와 같은 수요 변동의 이유로서는 낮에는 냉방 혹은 난방에 의한 전력소비가 많아지는 이유가 크다.
피크시프트란, 전력의 공급을 받는 측이 전력 수요가 비교적 많은 시간대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줄임과 함께, 전력 수요가 비교적 적은 시간대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늘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피크시프트에 의하여, 1일에 있어서의 전력 수요를 평준화하여 전력 수요의 피크치를 낮출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노트북 PC(100)는 배터리의 충전을 전력 수요가 비교적 적은 시간대에 행함으로써 피크시프트 기능을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노트북 PC(100)는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간대를 「피크시프트 기간」으로서 기억하고, 현재 시각이 피크시프트 기간에 들어서면 배터리의 충전을 실행하는 한편, 피크시프트 기간 이외의 시간대에는 기본적으로 배터리의 충전을 실행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피크시프트 기간은 전력회사에 따른 전력 수요에 따라서, 노트북 PC(100)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피크시프트 기간은 적어도 전력 수요가 최대가 되는 시각을 포함하지 않는 기간으로 설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의 예와 같이, 피크시프트 기간은 전력 수요가 최소가 되는 시각(도 4에서는 5시경)을 포함하는 기간으로 설정된다.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접속된 피크시프트 DB(211)에는 전력 수요에 기초한 피크시프트 기간이 등록된다. 노트북 PC(100)는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액세스하여 피크시프트 DB(211)에 등록된 피크시프트 기간을 취득하고 자신의 장치 내에 설정한다.
또한, 예를 들면 전력회사는, 전력 수요의 예측에 기초하여 피크시프트 기간을 결정하고, 결정된 피크시프트 기간을 피크시프트 DB(211)에 등록한다. 이 경우, 피크시프트 DB(211)에는 피크시프트 기간이 전력회사마다 등록되어도 된다. 또한, 통상, 전력공급원인 전력회사는 지역별로 다르기 때문에, 피크시프트 DB(211)에는 전력공급처의 위치정보와 피크시프트 기간이 대응해서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피크시프트 DB(211)에 있어서 피크시프트 기간이 전력회사 또는 위치정보별로 대응해서 등록되는 것에 의하여, 노트북 PC(100)는 자신의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원인 전력회사가 결정한 피크시프트 기간을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를 통하여 취득할 수 있다.
도 5는 피크시프트 DB에 등록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피크시프트 DB(211)에는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이 위치정보 및 전력회사명에 대응해서 등록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피크시프트 DB(211)에는 위치정보의 예로서 그리드 좌표가 등록되어 있다. 그리드 좌표는 지도를 남북방향 및 동서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 간격의 위선 및 경선으로 분할하고, 분할하여 얻어진 각 그리드의 위치를 위도 및 경도로 표시한 것이다. 도 5의 예에서는, 그리드 좌표를 그리드 좌상(左上)(북서방향)의 정점에 대한 위도 및 경도와, 그리드 우하(右下)(남동방향)의 정점에 대한 위도 및 경도에 의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피크시프트 DB(211)에서는, 1개의 그리드 좌표에 대하여, 그 그리드 좌표가 나타내는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1개의 전력회사가 대응된다. 복수의 그리드에 대응하는 지역에 같은 전력회사가 전력을 공급하고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그리드 좌표에 대하여 같은 전력회사가 대응된다. 그리고, 피크시프트 DB(211)에서는 전력회사별로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이 대응된다. 따라서, 노트북 PC(100) 등의 전자기기는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대하여 자신의 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도 및 경도, 혹은 자신의 장치가 존재하는 지역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회사명을 통지함으로써, 자신의 장치의 위치에 적합한 피크시프트 기간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피크시프트 DB(211)에는 피크시프트 메리트가 등록된다. 피크시프트 메리트의 란에는 등록된 피크시프트 기간에 전력을 소비함으로써 유저측이 얻을 수 있는 메리트나, 환경에 미치는 메리트 등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재된다. 예를 들면, 피크시프트 기간에 전력을 소비함으로써 받을 수 있는 전기요금의 할인을 나타내는 정보나, 피크시프트 기간 이외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억제하는 것에 의한 환경보호에 대한 공헌에 대하여 나타내는 정보 등이 기재된다. 한편, 이와 같은 예들 중 후자에 관하여서는, 전력 수요가 많은 시간대에는 발전용 연료로서 석유의 사용 비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크시프트 기간 이외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억제함으로써 CO2의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노트북 PC(100)는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를 통해서 피크시프트 기간과 함께 피크시프트 메리트를 수신하여, 피크시프트 메리트에 기재된 정보를 모니터 등을 통하여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피크시프트 DB(211)에 있어서의 피크시프트 기간은, 예를 들면 전력회사에 의한 전력 수요 예측에 따라 적정하게 갱신된다. 예를 들면, 피크시프트 기간은 1일에 1회 갱신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는, 피크시프트 DB(211)에 등록된 어느 전력회사에 대응하는 피크시프트 기간의 종료시각에 도달하면, 그 전력회사로부터 통지된 익일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종료시각을 피크시프트 DB(211)에 덮어쓰기 하여 등록한다. 이에 따라,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는, 노트북 PC(100)로부터 피크시프트 기간의 송신 요구를 받았을 때, 상기 노트북 PC(100)의 위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회사에 대응하는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을 회신하게 된다. 혹은, 피크시프트 DB(211)에는, 일별, 월별, 계절별 등 소정의 기간별로 피크시프트 기간이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그런데, 노트북 PC(100)는 배터리를 충전할 때의 충전모드로서, 배터리가 배터리 용량의 100%가 될 때까지 충전하는 100% 충전모드와, 배터리가 예로서 배터리 용량의 80%가 된 시점에서 충전을 정지시키는 80% 충전모드를 구비한다. 즉, 100% 충전모드는 충전에 의하여 배터리 용량이 100%에 도달하였을 때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충전모드이며, 80% 충전모드는 충전에 의하여 배터리 용량이 80%에 도달하였을 때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충전모드이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100% 충전모드에서 충전을 행한 경우에는 배터리가 과충전이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80% 충전모드에서 충전을 행한 경우보다 배터리의 성능 저하가 빨라질 가능성이 있다. 그 반면, 100% 충전모드에서 충전을 행한 경우에는 80% 충전모드보다 배터리에 의한 노트북 PC(100)의 구동 가능 시간이 길어진다.
노트북 PC(100)는 상기한 피크시프트 기간에 있어서 배터리를 충전할 때에, 지금까지의 자신의 장치의 사용상황에 따라 100% 충전모드와 80% 충전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충전을 행할지를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노트북 PC(100)는 100% 충전모드와 80% 충전모드 중 어느 모드에서 충전을 행하는 편이 적절한지를 화면에 표시하여 유저에게 알림으로써,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에 따라 충전모드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노트북 PC(100)의 구성 및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6은 노트북 PC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노트북 PC(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1)에 의하여 장치 전체가 제어되고 있다. CPU(101)에는 버스(109)를 통하여 RAM(Random Access Memory)(102)과 복수의 주변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RAM(102)은 노트북 PC(100)의 주기억장치로서 사용된다. RAM(102)에는 CPU(101)에 실행시키는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RAM(102)에는 CPU(101)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버스(109)에 접속되어 있는 주변기기로서는, HDD(Hard Disk Drive)(103), 그래픽 인터페이스(I/F)(104), 입력 인터페이스(105), 광학드라이브장치(106),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 GPS 수신부(108) 및 전원제어회로(120)가 있다.
HDD(103)는 내장된 자기디스크에 대하여 자기적으로 데이터의 쓰기 및 읽기를 행한다. HDD(103)는 노트북 PC(100)의 2차 기억장치로서 사용된다. HDD(103)에는 OS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된다. 한편, 2차 기억장치로서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다른 종류의 비휘발성 기억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래픽 인터페이스(104)에는 디스플레이(104a)가 접속되어 있다. 그래픽 인터페이스(104)는 CPU(101)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화상을 디스플레이(104a)에 표시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104a)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이다.
입력 인터페이스(105)에는 입력장치(105a)가 접속되어 있다. 입력장치(105a)는 예를 들면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을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05)는 입력장치(105a)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CPU(101)에 송신한다.
광학드라이브장치(106)는 레이저광 등을 이용하여 광디스크(106a)에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낸다. 광디스크(106a)는 빛의 반사에 의하여 읽어낼 수 있도록 데이터가 기록된 가반형 기록 매체이다. 광디스크(106a)에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DVD-RAM,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Recordable)/RW (Rewritable) 등이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예를 들면 노트북 PC(100)가 설치된 건물 내의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는 그 네트워크를 통하여 인터넷(200)에 접속된 다른 기기와 통신한다.
GPS 수신부(108)는 GPS 위성(220)으로부터의 전파를 안테나(108a)를 통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전파로부터 추출한 정보를 기초로 노트북 PC(100)의 위도 및 경도를 산출하여 CPU(101)에 송신한다.
전원제어회로(120)에는 배터리(130) 및 전원회로(140)가 접속되어 있다. 전원회로(140)는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압, 또는 상용 AC전원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AC어댑터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를 노트북 PC(100) 내부에 공급한다. 전원제어회로(120)는 예를 들면 CPU(101)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배터리(130)에 있어서의 충/방전 동작의 제어나, 전원회로(140)가 노트북 PC(100)의 내부에 공급하는 전압 공급원의 전환을 행한다. 또한, 전원제어회로(120)는 배터리(130)의 잔량을 계산하여 CPU(101)에 통지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도 7은 노트북 PC의 전원에 관련되는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노트북 PC(100)는 예를 들면 AC어댑터(300)를 통하여 상용 AC전원의 공급을 받는다. AC어댑터(300)는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 잭에 접속된 콘센트 플러그(301)로부터 공급되는 AC전압을 DC(Direct Current)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원플러그(302)로부터 출력한다. 노트북 PC(100)에는 전원잭(141)이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플러그(302)는 전원잭(141)에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원회로(140)는 전원제어회로(120)에 의한 제어 하에서, 전원잭(141)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과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전원전압으로 변환하여 노트북 PC(100)의 내부에 공급한다. 또한 전자의 경우, 전원회로(140)는 전원잭(141)으로부터의 공급 전압에 기초하는 전원전압을 배터리(130)에도 공급한다.
또한, 전원회로(140)는 노트북 PC(100)가 전원 온인 상태뿐만 아니라 전원 오프인 상태이더라도 전원제어회로(120)에 대해서는 전원전압을 계속해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전원제어회로(120)는 노트북 PC(100)의 전원상태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노트북 PC(100)가 전원 오프인 상태」란, 적어도 도 6의 CPU(101)에 대하여 전원회로(140)로부터의 전원전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이다.
배터리(130)는 전하가 축적되는 배터리 셀(131)과 충/방전 회로(132)를 구비한다. 충/방전 회로(132)는 전원회로(140)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 배터리 셀(131)을 충전하는 충전 동작과, 배터리 셀(131)로부터 전원회로(140)로의 방전 동작을 전원제어회로(120)에 의한 제어 하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온/오프 한다. 또한, 충/방전 회로(132)는 충전시에 흐르는 전류량 및 방전시에 흐르는 전류량을 전원제어회로(120)에 통지하는 기능도 구비한다.
전원제어회로(120)는 AC접속 검지부(121), 잔량검출부(122) 및 전원제어부(123)를 구비한다. 이들 블록의 처리의 일부는, 예를 들면 전원제어회로(120)가 구비하는 CPU(도시하지 않음)가 소정의 펌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원제어회로(120)의 내부에는 비휘발성의 메모리(124)가 설치되어 있다. 메모리(124)에는 충전모드(151) 및 피크시프트 기간(152)이 기억된다. 충전모드(151)는 배터리(130)의 충전모드가 100% 충전모드와 80% 충전모드 중 어느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이다. 피크시프트 기간(152)은 상기한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로부터 수신한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을 포함한다.
AC접속 검지부(121)는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플러그(302)를 통하여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는지의 여부(즉, 노트북 PC(100)가 상용 AC전원에 의하여 구동 가능한 상태인지의 여부)를 검지한다. AC접속 검지부(121)는 검지 결과를 CPU(101) 및 전원제어부(123)에 출력한다.
잔량검출부(122)는 배터리 셀(131)의 잔량(이하, 배터리 잔량이라 함)을 산출한다. 잔량검출부(122)는 예를 들면 충/방전 회로(132)로부터 충전시 및 방전시의 각 전류량을 취득하고, 충전시의 전류량을 적산함과 함께 방전시의 전류량을 감산함으로써 배터리 셀(131)의 충전량을 산출한다. 잔량검출부(122)는 산출된 충전량을 기초로 배터리 셀(131)에 축적된 전력 잔량(Capacity, 단위는 mWh)과, 만충전시에 있어서의 배터리 셀(131)의 전력량(Full Charged Capacity, 단위는 mWh)을 산출하고, 만충전시의 전력량에 대한 전력 잔량의 비를 배터리 잔량(%)으로서 CPU(101) 및 전원제어부(123)에 출력한다. 한편, 예를 들면 최종적인 배터리 잔량을 CPU(101)나 전원제어부(123)가 산출해도 된다.
전원제어부(123)는 전원회로(140)에 있어서의 전원선택 동작이나, 충/방전 회로(132)에 있어서의 충전 동작 및 방전 동작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전원제어부(123)는, AC접속 검지부(121)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을 때, 전원회로(140)에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에 의한 전원전압을 출력시킨다. 한편, 전원제어부(123)는,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 전원회로(140)에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압에 의한 전원전압을 출력시킨다.
또한, 전원제어부(123)는 시간 계측 기능을 구비하며, 현재 시각이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들어가면 충/방전 회로(132)에 있어서의 충전 동작을 허가하여 배터리 셀(131)의 충전을 개시시킨다. 또한, 전원제어부(123)는 잔량검출부(122)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포함되지 않은 시간대이더라도 배터리 잔량이 일정 비율보다 낮아지면 배터리 셀(131)의 충전을 개시시킨다.
전원제어부(123)는 충/방전 회로(132)에 의한 충전량의 상한을 충전모드(151)에 의거하여 제어한다. 충전모드(151)가 100% 모드를 나타낼 때, 전원제어부(123)는 잔량검출부(122)가 검출하는 배터리 잔량이 100%가 될 때까지 충/방전 회로(132)에 충전 동작을 실행시킨다. 한편, 충전모드(151)가 80% 모드를 나타낼 때, 전원제어부(123)는 배터리 잔량이 80%에 도달하면 충/방전 회로(132)에 충전 동작을 종료시킨다. 한편, 충전모드(151)는 CPU(101)에 의하여 설정된다.
다음으로, 도 8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하여 실현되는 노트북 PC의 처리 기능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노트북 PC(100)는 전원감시부(161),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 전원상황 분석부(163) 및 UI(User Interface) 제어부(164)를 구비한다. 이들 처리 블록에 의한 처리는 예를 들면, CPU(101)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하여 실현된다.
전원감시부(161)는 AC접속 검지부(121)에 의한 검지 결과와, 잔량검출부(122)가 출력하는 배터리 잔량의 각각의 이력을 HDD(103)에 저장된 전원상황 DB(데이터베이스)(171)에 등록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전원상황 분석부(16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GPS 수신부(108)에 대하여 노트북 PC(100)의 위치를 검출하게 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GPS 수신부(108)에 의하여 검출된 위도·경도를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통지하여 피크시프트 기간을 조회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로부터, 노트북 PC(100)의 위치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회사에 대응하는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과 피크시프트 메리트를 수신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가 수신한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을 전원제어회로(120)의 메모리(124) 내의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덮어쓰기 하여 등록한다. 이때,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전원상황 DB(171)에 등록된 이력을 기초로 과거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노트북 PC(100)의 사용상황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적절한 충전모드를 판정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HDD(103)에 저장된 UI 플래그(172)가 「0」인 경우, 사용상황의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판정된 적절한 충전모드를, 전원제어회로(120)의 메모리(124)의 충전모드(151)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설정한다. 한편,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UI 플래그(172)가 「1」인 경우에는, UI제어부(164)에, 충전모드의 설정에 대하여 유저에게 어드바이스하기 위한 어드바이스화면을 표시시키고, 유저가 설정 허가 조작을 행한 경우에 충전모드(151)의 설정을 행한다. 또한,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사용상황의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판정된 적절한 충전모드와 함께, 피크시프트 기간(152)이 수신한 피크시프트 메리트를 UI제어부(164)에 통지한다. 한편, UI 플래그(172)는 유저의 입력 조작에 의하여 설정된다.
UI제어부(164)는 UI 플래그(172)가 「1」인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디스플레이(104a)에 어드바이스화면을 표시시킨다. UI제어부(164)는 어드바이스화면에 전원상황 분석부(163)가 적절하다고 판정한 충전모드를 표시시킴과 함께, 피크시프트 메리트의 내용도 표시시켜서 충전모드의 설정을 재촉한다. 또한, UI제어부(164)는 어드바이스화면 이외에, 예를 들면 UI 플래그(172)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화면을 디스플레이(104a)에 표시시켜서 UI 플래그(172)의 설정 조작을 접수할 수도 있다.
한편, UI 플래그(172)가 「0」인 설정모드, 즉 전원상황 분석부(163)가 충전모드(151)를 자동 설정하는 설정모드를 「자동설정모드」라고 한다. 한편, UI 플래그(172)가 「1」인 설정모드, 즉 알림화면의 표시 후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 충전모드(151)를 설정하는 설정모드를 「수동설정모드」라고 한다.
도 9는 전원상황 DB에 등록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원감시부(161)는 AC접속 검지부(121)에 의한 검지 결과와 잔량검출부(122)에 의한 배터리 잔량의 검출 결과를 일정 시간마다 취득하여 전원상황 DB(171)에 등록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로서, 전원감시부(161)는, 이들 정보를 10분 마다 취득하여 전원상황 DB(171)에 등록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상황 DB(171)에는 상기 각 정보를 취득한 때의 일시와 AC접속상태 및 배터리 잔량이 대응해서 등록된다.
이들 등록 정보 중, AC접속상태는 AC접속 검지부(121)에 의한 검지 결과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이다. AC접속상태가 「1」인 경우,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며, AC접속상태가 「0」인 경우,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한편, 후자의 상태는 전원잭(141)에 전원플러그(302)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와, 전원잭(141)에 전원플러그(302)가 접속되어 있지만, 콘센트 플러그(301)가 콘센트 잭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등의 원인으로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노트북 PC(100)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 플로차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0은 충전모드의 설정처리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도 10의 처리는 노트북 PC(100)가 전원 온 상태일 때에 전원상황 분석부(163)의 제어 하에서 적어도 1일에 1회 실행된다.
[스텝 S11]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에 피크시프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요구한다. 요구를 받은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GPS 수신부(108)에 대하여 노트북 PC(100)의 위치정보(위도·경도)를 검출하게 하고, 이들 위치정보를 GPS 수신부(108)로부터 취득한다.
한편,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노트북 PC(100)의 위치정보를 GPS위성을 이용한 방법 이외의 다른 방법에 의하여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면,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인터넷(200) 상의 위치조사 서버에 대하여 패킷을 송신한다. 위치조사 서버는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로부터의 송신 패킷으로부터 송신원IP(Internet Protocol) 어드레스를 추출하고, 추출된 IP 어드레스로부터 노트북 PC(100)가 인터넷(200)으로의 접속에 이용하고 있는 인터넷 제공자를 특정한다. 위치조사 서버는 특정된 인터넷 제공자에 의한 서비스 제공지역을 노트북 PC(100)의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에 회신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회신된 서비스 제공지역을 위치정보로 하여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조회한다.
또한, 노트북 PC(100)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07)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인터페이스인 경우에는,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노트북 PC(100)의 위치정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취득할 수도 있다. 인터넷(200) 혹은 노트북 PC(100)가 접속된 로컬 네트워크에는, 무선 LAN 액세스포인트의 MAC 어드레스(Media Access Control address)와, 그 소재지정보가 대응된 DB를 가지는 DB 서버가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노트북 PC(100)와 무선통신중인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의 MAC 어드레스를 무선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MAC 어드레스를 상기한 DB 서버에 송신한다. DB 서버는 수신한 MAC 어드레스에 대응된 소재지정보를 노트북 PC(100)에 회신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회신된 소재지정보를 위치정보로 하여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조회한다.
[스텝 S12]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GPS 수신부(108)로부터 취득한 위치정보(위도·경도)를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송신하여 피크시프트 기간을 조회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로부터, 송신한 위치정보에 대응된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과 피크시프트 메리트를 수신하여 전원상황 분석부(163)에 통지한다.
한편,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예를 들면 노트북 PC(100)의 위치정보 이외에 상용 AC전원 공급원의 전력회사명을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송신함으로써, 송신한 전력회사명에 대응된 피크시프트 기간 및 피크시프트 메리트를 수신해도 된다. 혹은,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GPS 수신부(108)로부터 취득한 위치정보를 기초로 HDD(103)에 미리 등록된 DB를 검색함으로써, 위치정보 또는 전력정보를 취득하여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대한 조회를 실행해도 된다. 혹은,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는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대하여 조회를 실행하지 않고, 예를 들면 스텝 S12의 처리를 수행할 때에 유저의 조작에 따라 접수된 위치정보 또는 전력회사명을 이용하여 스텝 S13 이후의 처리를 실행해도 된다.
[스텝 S13]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전원상황 DB(171)에 등록된 정보 중, 현재의 일시 이전의 제 1 기간(예를 들면 현재의 일자를 기점으로 한 과거 1주간)에 있어서의 AC접속상태를 참조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제 1 기간에 있어서의 AC접속상태가 전부 「1」인 경우(즉, 소정 기간 중 전역에 있어서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었던 경우), 스텝 S16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AC접속상태 중 1개라도 「0」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즉,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가 존재한 경우), 스텝 S14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4]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전원상황 DB(171)에 등록된 정보 중, 현재의 일시 이전의 제 2 기간(예를 들면, 현재의 일자를 기점으로 한 과거 1주간)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의 최소값을 추출한다. 한편, 이 처리에서 참조하는 제 2 기간은 스텝 S13에서 참조하는 제 1 기간과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추출된 최소값과 배터리 용량의 100%보다 작은 소정 비율(여기에서는 예로서 30%로 함)을 비교한다.
추출된 최소값이 30% 이하인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스텝 S15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추출한 최소값이 30%보다 큰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스텝 S16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5] 과거의 제 1 기간에 있어서,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된 일이 있고(S13 : 아니오), 또한 과거의 제 2 기간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용량의 30% 이하로 저하된 일이 있는 경우(S14 : 예)에는, 예를 들면 노트북 PC(100)를 휴대하여 사용하는 등 비교적 긴 시간동안 상용 AC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노트북 PC(100)가 사용되는 일이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130)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을 길게 하는 편이 유저에게 편리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므로,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적절한 충전모드를 100% 충전모드로 결정한다.
[스텝 S16] 과거의 제 1 기간의 전역에 있어서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었던 경우(S13 : 예)에는, 노트북 PC(100)가 배터리(130)에 의하여 구동될 확률이 낮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의 제 1 기간에 있어서,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된 일이 있는 경우(S13 : 아니오)이더라도, 과거의 제 2 기간에 있어서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용량의 30% 이하로 저하된 일이 없는 경우(S14 : 아니오)에는, 노트북 PC(100)가 배터리(130)만으로 구동된 시간이 비교적 짧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들의 경우, 배터리(130)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을 길게 할 필요성은 낮으며, 배터리(130)의 성능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우선하여도 유저의 편의성에 대하여 특별히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적절한 충전모드를 80% 충전모드로 결정한다.
한편, 스텝 S16의 처리가 실행되는 것과 같은 조건에서는,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계속해서 공급되는 시간이 비교적 긴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80% 충전모드로 설정됨으로써, 배터리(130)가 과충전 상태가 되는 것이 방지되고, 배터리(130)의 성능 열화를 완만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배터리(130)의 안전성도 높아진다.
[스텝 S17]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UI 플래그(172)를 참조한다. UI 플래그(172)가 「0」인 경우, 즉 자동설정모드인 경우에는 전원상황 분석부(163)가 스텝 S18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UI 플래그(172)가 「1」인 경우, 즉 수동설정모드인 경우에는 전원상황 분석부(163)가 스텝 S19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8]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스텝 S15 또는 스텝 S16에서 결정한 적절한 충전모드에 의하여 전원제어회로(120)의 메모리(124)에 설정된 충전모드(151)를 갱신한다. 또한,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스텝 S12에서 수신한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종료시각을 이용하여 메모리(124)에 설정된 피크시프트 기간(152)을 갱신한다.
[스텝 S19]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스텝 S15 또는 스텝 S16에서 결정한 적절한 충전모드와, 스텝 S12에서 수신한 피크시프트 기간 및 피크시프트 메리트를, UI제어부(164)에 통지하여 어드바이스화면의 표시를 요구한다. UI제어부(164)는 전원상황 분석부(163)에 의하여 결정된 적절한 충전모드와,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종료시각과, 피크시프트 메리트의 내용을 포함하는 어드바이스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어드바이스화면을 디스플레이(104a)에 표시시킨다.
[스텝 S20] UI제어부(164)는 표시된 어드바이스화면을 확인한 유저에 의하여, 어드바이스화면에 표시된 충전모드 및 피크시프트 기간을 설정하는 것에 대하여 승낙하는 입력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취지를 전원상황 분석부(163)에 통지한다. 이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스텝 S19에서 UI제어부(164)에 통지한 충전모드 및 피크시프트 기간에 따라, 전원제어회로(120)의 메모리(124)에 설정된 충전모드(151) 및 피크시프트 기간(152)을 갱신한다.
한편, UI제어부(164)는, 예를 들면 어드바이스화면에 표시한 충전모드 및 피크시프트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취소하는 입력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그 취지를 전원상황 분석부(163)에 통지한다. 이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전원제어회로(120)의 메모리(124)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충전모드(151) 및 피크시프트 기간(152)을 갱신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9, S20의 처리는, 예를 들면 스텝 S15 또는 스텝 S16에서 결정된 충전모드가 메모리(124)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충전모드(151)와 다를 경우에만 실행되어도 된다.
이상의 도 10의 처리에서는, 스텝 S13, S14에서의 과거의 사용상황에 의거한 조건판정결과에 따라 충전모드를 결정함으로써, 유저의 사용상황에 따라 필요 충분한 배터리 잔량을 확보하면서 배터리(130)의 성능 열화를 가능한 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트북 PC(100)의 위치에서의 전력 수요에 합치하는 피크시프트 기간을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로부터 자동적으로 취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설정모드에서는 노트북 PC(100)의 유저가 특별히 아무런 조작도 하지 않아도 적절한 충전모드 및 피크시프트 기간이 설정되므로 유저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1은 어드바이스화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UI제어부(164)는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은 어드바이스화면(164a)을 디스플레이(104a)에 표시시킨다. 도 11의 어드바이스화면(164a)에는 피크시프트 기간을 2:00 ~ 6:00로 설정함과 함께, 충전모드를 80% 충전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하는 문장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어드바이스화면(164a)에는 설정요구버튼(164b)과 표시취소버튼(164c)이 표시되어 있다. UI제어부(164)는 설정요구버튼(164b)에 대한 클릭 조작이 행해지면 설정처리가 승낙된 취지를 전원상황 분석부(163)에 통지한다. 한편, UI제어부(164)는 표시취소버튼(164c)에 대한 클릭 조작이 행해지면 설정처리의 취소가 요구된 취지를 전원상황 분석부(163)에 통지한다. 수동설정모드에서는, 이러한 어드바이스화면(164a)이 표시되므로, 유저는 적절한 충전모드나 피크시프트 기간의 설정 내용을 확인한 후 그 설정을 반영시킬 수 있다.
또한, 어드바이스화면(164a)에는 권장하는 설정을 행한 경우의 메리트(피크시프트 메리트)에 대해서도 표시된다. 도 11의 예에서는 전기요금이 1kW 당 3엔 할인되는 것이나, CO2의 발생량을 삭감할 수 있다는 피크시프트 메리트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피크시프트 메리트를 유저에게 통지함으로써, 피크시프트를 행하는 것의 동기 부여를 유저에게 줄 수 있다. 그 결과, 피크시프트가 실행되는 노트북 PC가 증가하고 전력 수요의 피크가 저감되어 발전에 의한 환경부하를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UI제어부(164)는 예를 들면 어드바이스화면을 통하여 충전모드의 설정 여부와 피크시프트의 설정 여부를 유저의 조작에 따라 각각 개별적으로 접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UI제어부(164)는 단순히 설정 여부의 입력을 접수할 뿐만 아니라 유저의 조작에 따라 설정값을 접수하도록 해도 된다.
도 12는 배터리의 충전제어 처리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또한, 전원제어회로(120)의 전원제어부(123)는,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는 것이 AC접속 검지부(121)에 의하여 검지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도 12의 처리를 일정 시간(예를 들면 30초)마다 반복하여 실행한다.
[스텝 S31] 전원제어부(123)는 잔량검출부(122)로부터 현재의 배터리 잔량을 취득하고, 취득된 배터리 잔량을 배터리 용량의 소정 비율(여기에서는 30%로 함)과 비교한다.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용량의 30% 이하인 경우, 전원제어부(123)는 스텝 S34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용량의 30%보다 큰 경우, 전원제어부(123)는 스텝 S32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32] 전원제어부(123)는 현재의 시각이 메모리(124)에 설정된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포함되는지를 판정한다. 현재의 시각이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포함될 경우, 전원제어부(123)는 스텝 S34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현재의 시각이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포함되지 않을 경우, 전원제어부(123)는 스텝 S33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33] 전원제어부(123)는 충/방전 회로(132)에서의 충전 동작을 금지한다.
[스텝 S34] 전원제어부(123)는 충/방전 회로(132)에서의 충전 동작을 허가한다. 이때, 전원제어부(123)는 잔량검출부(122)에 의하여 검출되는 배터리 잔량이 메모리(124)에 설정된 충전모드(151)가 나타내는 양에 도달할 때까지 충전 동작을 계속해서 허가한다. 예를 들면, 충전모드(151)로서 100% 충전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원제어부(123)는 배터리 잔량이 100%가 될 때까지 충전 동작을 허가한다. 한편, 충전모드(151)로서 80% 충전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원제어부(123)는 배터리 잔량이 80%가 될 때까지 충전 동작을 허가한다.
이상의 도 12의 처리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현재 시각이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포함될 때에는 배터리(130)의 충전이 행해지는 한편, 현재 시각이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포함되지 않을 때에는 배터리(130)의 충전이 실행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력 수요가 비교적 적은 시간대에 배터리(130)의 충전이 행해지게 되어, 전력 수요가 비교적 많은 시간대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으며, 1일의 전력 수요를 평준화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단,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포함되지 않는 시간대이더라도 배터리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저하된 경우에는 배터리(130)의 충전이 행해지므로, 배터리 부족에 의하여 노트북 PC(100)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일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전원제어부(123)는 메모리(124)에 설정된 충전모드(151)에 의거하여 배터리(130)에 있어서의 충전량의 상한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유저의 사용상황에 따라 필요 충분한 배터리 잔량이 확보되고, 또한 배터리(130)의 성능 열화가 가능한 한 방지되도록 배터리(130)의 충전량이 적정화된다.
한편, 전원제어부(123)는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뿐만 아니라,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따라 전원회로(140)에서의 전원선택 동작을 제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전원제어부(123)는, 피크시프트 기간(152)에 포함되지 않는 시간대에 있어서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더라도, 가능한 한 배터리(130)로부터의 전압을 기초로 전원전압을 출력하도록 전원회로(14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도 12의 처리에 있어서, 전원제어부(123)는 스텝 S33의 처리에서 충/방전 회로(132)에서의 충전 동작을 금지함과 함께 방전 동작을 허가한다. 그리고, 전원제어부(123)는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기초로 전원전압을 출력하도록 전원회로(140)을 제어한다. 한편, 전원제어부(123)는 스텝 S34의 처리에서 충/방전 회로(132)에서의 충전 동작을 개시시킴과 함께 방전 동작을 금지한다. 그리고, 전원제어부(123)는 AC어댑터(300)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기초로 전원전압을 출력하도록 전원회로(14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하면, 노트북 PC(100)는 피크시프트 기간(152) 이외의 기간에는 배터리 잔량이 소정량 이하로 저하되지 않는 한 배터리(130)를 전원으로 하여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력 수요가 비교적 많은 시간대에 있어서의 전력소비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3 ~ 도 15는 배터리 잔량의 추이의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한편,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도 13 ~ 도 15에서는 피크시프트 기간 이외의 시간대에는 노트북 PC(100)가 배터리(130)를 전원으로 하여 구동되며, 이 구동시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의 저하율은 일정한 것으로 한다.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의 노트북 PC(100)는 특히, 피크시프트 기간의 종료에서부터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까지의 시간 간격이 크게 변동하지 않는 경우에, 배터리(130)에 있어서의 충전량의 상한을 유저의 편의성을 해치지 않도록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은 피크시프트 기간의 간격이 동등한 경우의 배터리 잔량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13에서는, 피크시프트 기간(PS1)의 종료시각부터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PS2)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과, 피크시프트 기간(PS2)의 종료시각부터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PS3)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이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피크시프트 기간(PS1)의 개시시각 이전 1주간 정도의 기간에도 피크시프트 기간의 간격은 도 13에서의 간격과 같은 것으로 한다.
노트북 PC(100)의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예를 들면 피크시프트 기간(PS1)의 종료시각부터 피크시프트 기간(PS2)의 개시시각까지의 기간에 있어서, 도 10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 전원상황 분석부(163)는, 예를 들면 그 시점으로부터 과거 1주간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의 이력을 기초로 하여, 도 10의 스텝 S14의 판정 처리를 실행하고, 그 판정결과를 기초로 충전모드를 결정한다. 도 13의 예에서는, 다음 피크시프트 기간(PS2)의 종료시각부터 더욱 그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PS3)의 개시시각까지의 간격은, 그 이전의 1주간에 있어서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간격과 같다. 따라서, 도 10에 따라 충전모드를 결정함으로써 피크시프트 기간(PS2)과 피크시프트 기간(PS3) 사이에서의 배터리(130)의 방전량을 정밀도 좋게 예측할 수 있다. 피크시프트 기간(PS3)이 개시되는 시점에서의 배터리 잔량은, 그 전의 피크시프트 기간(PS2)이 개시되는 시점에서의 배터리 잔량과 같게 되므로, 피크시프트 기간(PS2)과 피크시프트 기간(PS3) 사이의 기간에서 배터리 잔량이 모자라게 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전력회사에 대한 전력 수요는 매일마다 바뀌기 때문에, 전력회사가 설정하는 피크시프트 기간도 상황에 따라 변동되는 일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전력회사가 소정의 시간대에 정전을 예정하고 있는 경우에는 정전 예정일의 전후로 피크시프트 기간이 크게 변동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도 14의 예에서는, 피크시프트 기간(PS11)의 종료시각부터 피크시프트 기간(PS12)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보다, 피크시프트 기간(PS12)의 종료시각부터 피크시프트 기간(PS13)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이 길다. 이와 같은 경우, 노트북 PC(100)의 전원상황 분석부(163)가, 피크시프트 기간(PS12)의 개시 전까지의 배터리 잔량 이력을 기초로 충전모드를 결정하면, 도 14에서 굵은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크시프트 기간(PS13)의 개시시각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이, 그 전의 피크시프트 기간(PS12)의 개시시각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보다 크게 저하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피크시프트 기간(PS13)의 개시시각보다 전에 배터리 잔량이 부족하게 되어 유저의 편의성을 해치게 될 가능성도 있다.
한편, 도 15의 예에서는, 피크시프트 기간(PS21)의 종료시각부터 피크시프트 기간(PS22)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보다, 피크시프트 기간(PS22)의 종료시각부터 피크시프트 기간(PS23)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이 짧다. 또한, 상기 도 15의 예에서는 100% 충전모드에서 충전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노트북 PC(100)의 전원상황 분석부(163)가, 피크시프트 기간(PS22)의 개시 전까지의 배터리 잔량의 이력을 기초로 충전모드를 결정하면, 피크시프트 기간(PS23)의 개시시각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은, 그 전의 피크시프트 기간(PS22)의 개시시각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보다 많아지게 된다. 이것은, 피크시프트 기간(PS22)에 있어서, 피크시프트 기간(PS22)이 종료되고나서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PS23)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서 사용되지 않는 불필요한 양의 충전이 행해진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피크시프트 기간(PS22)에서는 본래 80% 충전모드에서 충전이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배터리(130)의 성능 열화를 야기할 우려가 있는 100% 충전모드에서 충전이 행해지게 된다.
이에 대하여, 다음에 설명하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북 PC에서는, 단위시간마다의 방전량의 평균값과,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종료시각부터 그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까지의 시간을 기초로 충전모드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피크시프트 기간이 크게 변동된 경우이더라도, 편의성의 저하나 배터리 성능의 열화를 야기하지 않도록 적절한 충전모드가 설정되게 한다.
도 16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북 PC의 처리 기능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상기 도 16에서는 도 8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북 PC(100a)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노트북 PC(100)와 마찬가지의 하드웨어 구성을 가진다.
도 16의 노트북 PC(100a)는 도 8에 나타낸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 및 전원상황 분석부(163) 대신에,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a) 및 전원상황 분석부(163a)를 구비한다. 한편,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a) 및 전원상황 분석부(163a)의 처리는, 예를 들면 전원감시부(161) 및 UI제어부(164)와 마찬가지로 노트북 PC(100a)의 CPU(101)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a)는 도 8의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와 마찬가지로,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로부터 노트북 PC(100a)의 위치에 대응하는 피크시프트 정보를 취득한다. 단,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a)는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에 대한 피크시프트 정보와, 더욱 그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에 대한 피크시프트 정보를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로부터 수신한다. 따라서, 피크시프트 DB(211)에는 적어도 다음의 2회분의 피크시프트 기간에 대한 피크시프트 정보가 전력회사별로 등록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단위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충전모드 설정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충전모드 설정처리에 있어서,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전원상황 DB(171)의 등록 정보를 기초로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방전량(배터리 잔량의 차분(差分))을 산출하여 HDD(103)에 저장된 단위방전량 DB(데이터베이스)(173)에 순차적으로 등록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단위방전량 DB(173)에 등록된 단위시간에 있어서의 방전량의 평균을 산출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산출된 평균 방전량과,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종료시각부터 더욱 그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까지의 기간(이하, 「비피크시프트 기간」이라 함)의 길이를 기초로,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종료시각부터 개시되는 비피크시프트 기간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필요 배터리 잔량을 산출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최종적으로 필요 배터리 잔량의 값을 기초로 적절한 충전모드를 결정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예로서 단위시간을 30분으로 한다. 또한, 이 단위시간은 전원상황 DB(171)에 이력이 등록되는 간격과 동일하거나, 혹은 그보다 긴 시간으로 한다.
도 17 ~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충전모드의 설정처리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도 17 ~ 도 18의 처리는 노트북 PC(100a)가 전원 온 상태일 때에, 전원상황 분석부(163a)의 제어 하에서 상기한 단위시간(30분)마다 반복 실행된다.
[스텝 S51]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전회의 피크시프트 기간이 종료된 후에 초기처리(스텝 S52 ~ S55)의 실행을 완료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전원제어회로(120)의 메모리(124)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피크시프트 기간(152)으로부터 종료시각을 읽어낸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읽어낸 종료시각이 현재 시각보다 전인 경우에는 초기 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하여 스텝 S52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읽어낸 종료시각이 현재 시각보다 후인 경우에는 초기처리가 이미 실행 완료되어 메모리(124)에는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152)이 이미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스텝 S56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52]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HDD(103)에 저장된 단위방전량 DB(173)의 등록 정보를 클리어한다.
[스텝 S53]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a)에 피크시프트 정보를 취득하도록 요구한다. 요구를 받은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a)는 도 10의 스텝 S11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GPS 수신부(108)에 대하여 노트북 PC(100a)의 위치정보(위도·경도)를 검출하게 하고, 이들 위치정보를 GPS 수신부(108)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54]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a)는 GPS 수신부(108)로부터 취득한 위치정보(위도·경도)를 피크시프트 DB 서버(210)에 송신하여 피크시프트 기간을 조회한다. 피크시프트 정보취득부(162a)는, 피크시프트 DB 서버(210)로부터, 송신된 위치정보에 대응된,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 및 종료시각과, 피크시프트 메리트를 수신함과 함께, 더욱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을 수신한다.
[스텝 S55]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차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의 길이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스텝 S54에서 취득한 2회 후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각으로부터,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종료시각을 감산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산출된 차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의 길이를 HDD(103)에 기록한다.
[스텝 S56]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도 10의 스텝 S13과 마찬가지의 순서로, 과거의 제 1 기간에 있어서의 AC접속상태에 의거한 판정을 행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제 1 기간에 있어서의 AC접속상태가 전부 「1」인 경우에는 스텝 S63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제 1 기간에 있어서의 AC접속상태 중 1개라도 「0」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7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57]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현재 배터리(130)가 방전중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예를 들면 전원제어회로(120)의 전원제어부(123)에 대하여 배터리(130)가 방전중인지를 조회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배터리(130)가 방전중일 경우에는 스텝 S58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배터리(130)가 방전중이 아닐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58]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전원상황 DB(171)로부터 현재의 시각을 기점으로 하여 과거의 단위시간(30분)분의 배터리 잔량의 이력을 추출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추출된 이력을 기초로, 30분 전의 배터리 잔량과 가장 새로운 시각의 배터리 잔량의 차분을 단위시간 방전량(단위:%)으로서 산출한다.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산출된 단위시간 방전량을 단위방전량 DB(173)에 등록한다.
여기에서, 피크시프트 기간이 종료되고 나서, 스텝 S58의 처리가 실행될 때마다, 단위방전량 DB(173)에는 단위시간의 방전량이 순차적으로 축적되어 간다. 단위방전량 DB(173)에 등록되는 방전량의 수는, 직근(直近)의 피크시프트 기간이 종료되고 나서 현재까지 배터리(130)의 전하가 방전된 누적 방전 시간을 나타내게 된다.
[스텝 S59]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직근의 피크시프트 기간이 종료되고 나서 현재까지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30분) 방전량(이하, 「기준방전량」이라 함)을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단위방전량 DB(173)에 등록된 모든 방전량을 가산하고, 방전량의 가산값을 단위방전량 DB(173)에 있어서의 방전량의 등록 수(즉 누적 방전 시간)로 나눔으로써, 단위시간 당 기준방전량(단위 : %)을 산출한다.
[스텝 S60]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스텝 S59에서 산출한 기준방전량과, 마지막으로 스텝 S55가 실행됨으로써 HDD(103)에 기록된 차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의 길이(시간)를 기초로, 차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에 있어서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산출한다. 스텝 S55에서 기록되는 시간의 단위가 「분」일 경우, 스텝 S60에서는 「기준방전량×비피크시프트 기간의 길이/30」이라는 식에 의하여 필요한 배터리 잔량(단위 : %)이 산출된다.
[스텝 S61]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스텝 S60에서 산출된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한다. 한편, 이 임계값은 배터리 용량이 100%가 되기 전에 충전을 정지하는 충전모드에서의 충전량의 상한값(여기에서는 80%) 이하의 값으로 설정된다.
필요한 배터리 잔량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스텝 S62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필요한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미만일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스텝 S63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62] 차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에 있어서 필요한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이상일 경우(S61 : 예), 차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에서의 방전량은 비교적 많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배터리(130)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을 길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적절한 충전모드를 100% 충전모드로 결정한다.
[스텝 S63] 차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시에 있어서 필요한 배터리 잔량이 임계값 미만일 경우(S61 : 아니오), 차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에서의 방전량은 비교적 적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배터리(130)에 의한 구동 가능 시간을 길게 할 필요성이 낮고, 배터리(130)의 성능 열화를 방지해야 하는 것으로 판정하여 적절한 충전모드를 80% 충전모드로 결정한다.
한편, 과거의 제 1 기간의 전역에 있어서 AC어댑터(300)로부터의 전압이 전원잭(141)에 공급되고 있었던 경우(S56 : 예)에도, 노트북 PC(100a)가 배터리(130)에 의하여 구동될 확률은 낮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적절한 충전모드를 80% 충전모드로 결정한다.
상기한 스텝 S62 또는 스텝 S63의 실행 후, 전원상황 분석부(163a)는 UI제어부(164)와 협동하여 도 10의 스텝 S17 ~ S20에서의 전원상황 분석부(163)의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취소 조작을 하지 않는 한, 스텝 S62 또는 스텝 S63에서 결정된 충전모드가 전원제어회로(120)의 메모리(124)에 있어서의 충전모드(151)로 설정됨과 함께, 스텝 S54에서 취득한 다음의 피크시프트 기간의 개시·종료시각이 피크시프트 기간(152)으로 설정된다.
이상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하면, 과거의 사용상황으로부터 다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에서 배터리(130)의 방전이 행해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피크시프트 기간의 변동 때문에 다음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이 그보다 전의 비피크시프트 기간의 길이와 크게 차이가 나는 경우이더라도, 유저의 편의성을 저해하지 않는 적절한 충전모드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자기기(1)나 노트북 PC(100, 100a)의 처리 기능 중 적어도 일부는 컴퓨터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그 경우, 상기 각 장치가 가져야할 기능의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함으로써, 상기 처리 기능이 컴퓨터 상에서 실현된다. 처리 내용을 기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어내기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해 둘 수 있다. 컴퓨터로 읽어내기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자기기억장치, 광디스크, 광자기기록매체, 반도체메모리 등이 있다. 자기기억장치에는, 하드디스크 장치(HDD), 플랙시블디스크(FD), 자기테이프 등이 있다. 광디스크에는, DVD, DVD-RAM, CD-ROM, CD-R/RW 등이 있다. 광자기기록매체에는, MO(Magneto-Opticaldisk) 등이 있다.
프로그램을 유통시킬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DVD, CD-ROM 등의 가반형 기록매체가 판매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서버 컴퓨터의 기억장치에 저장하여 두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 컴퓨터로부터 다른 컴퓨터로 그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는, 예를 들면 가반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 또는 서버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을 자기의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그리고, 컴퓨터는 자기의 기억장치로부터 프로그램을 읽어내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컴퓨터는 가반형 기록매체로부터 직접 프로그램을 읽어내서 그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서버 컴퓨터로부터 프로그램이 전송될 때마다 축차적으로 수신한 프로그램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전자기기 2 : 외부전원
11 : 배터리 12 : 충전부
13 : 전원상태 판정부 14 : 이력등록부
15 : 충전 제어부 16 : 잔량검출부
20 : 기억부 21 : 전원상태이력
22 : 잔량이력

Claims (10)

  1. 전원으로서 배터리와 외부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구동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구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전원상태 판정부와,
    상기 전원상태 판정부에 의한 판정결과의 이력을 기억하는 이력 기억부와,
    상기 판정결과의 이력에 의거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부에 의한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배터리 잔량의 상한을 상기 배터리의 최대 용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전역(全域)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 가능했던 경우에는, 상기 상한을 상기 최대 용량보다 작은 소정량으로 설정하는 충전 제어부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제어부는, 소정의 충전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 의한 충전 동작을 허가하고, 상기 충전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 의한 충전 동작을 억지(抑止)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충전 시간대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기억부는 배터리 잔량의 이력을 더 기억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판정결과의 이력에 의거하여, 상기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잔량의 이력에 의거하여, 전회의 상기 충전 시간대의 종료시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 방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방전량과, 차회의 상기 충전 시간대의 종료시각부터 더욱 그 다음의 상기 충전 시간대의 개시시각까지의 비충전 시간대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비충전 시간대의 개시시에 있어서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필요한 배터리 잔량과 소정의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상한을 상기 최대 용량 또는 상기 소정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기억부는 배터리 잔량의 이력을 더 기억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는,
    상기 판정결과의 이력에 의거하여, 상기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의 이력으로부터, 상기 과거의 소정 기간과 동일 기간 또는 다른 과거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의 최소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최소값이 소정의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상한을 상기 최대 용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추출한 최소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상한을 상기 소정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전원으로서 배터리와 외부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구동됨과 함께,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충전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상기 전자기기를 구동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정하여, 그 판정결과의 이력을 이력 기억부에 기억하고,
    상기 판정결과의 이력에 의거하여,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충전부에 의한 충전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배터리 잔량의 상한을 상기 배터리의 최대 용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전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 가능했던 경우에는, 상기 상한을 상기 최대 용량보다 작은 소정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소정의 충전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 의한 충전 동작을 허가하고, 상기 충전 시간대 이외의 시간대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에 의한 충전 동작을 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충전 시간대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이력 기억부에 대하여 배터리 잔량의 이력을 더 기억하고,
    상기 판정결과의 이력에 의거하여, 상기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 잔량의 이력에 의거하여, 전회의 상기 충전 시간대의 종료시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에 있어서의 단위시간당 방전량을 산출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방전량과, 차회의 상기 충전 시간대의 종료시각부터 더욱 그 다음의 상기 충전 시간대의 개시시각까지의 비충전 시간대의 길이를 기초로, 상기 비충전 시간대의 개시시에 있어서 필요한 배터리 잔량을 산출하고,
    산출한 상기 필요한 배터리 잔량과 소정의 임계값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상한을 상기 최대 용량 또는 상기 소정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어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이력 기억부에 대하여 배터리 잔량의 이력을 더 기억하고,
    상기 판정결과의 이력에 의거하여, 상기 과거의 소정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가 상기 외부전원에 의하여 구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경우, 상기 배터리 잔량의 이력으로부터, 상기 과거의 소정 기간과 동일 기간 또는 다른 과거의 소정 기간에 있어서의 배터리 잔량의 최소값을 추출하고,
    추출한 최소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상한을 상기 최대 용량으로 설정하고, 상기 추출한 최소값이 상기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상한을 상기 소정량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제어방법.
KR1020120060183A 2011-07-05 2012-06-05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 KR101441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9372A JP5772310B2 (ja) 2011-07-05 2011-07-05 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1-149372 2011-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218A true KR20130005218A (ko) 2013-01-15
KR101441473B1 KR101441473B1 (ko) 2014-09-17

Family

ID=47438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0183A KR101441473B1 (ko) 2011-07-05 2012-06-05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342127B2 (ko)
JP (1) JP5772310B2 (ko)
KR (1) KR101441473B1 (ko)
CN (1) CN1028667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54A (ko) * 2017-07-26 2019-02-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충방전 예상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FI20120149A1 (it) * 2012-07-17 2014-01-18 Sitael Spa Apparato e metodo per il monitoraggio, la diagnosi e la manutenzione remota di batterie.
KR102072421B1 (ko) * 2014-07-30 2020-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기 전력 정보와 요금제에 기반하여 기기를 운용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36856B1 (ko) * 2014-11-13 2021-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WO2017049551A1 (zh) * 2015-09-24 2017-03-3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和控制充电的方法
US10705583B2 (en) * 2016-02-05 2020-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ement of finite electrical cells
US10903665B2 (en) * 2016-11-01 2021-01-2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age data based battery charge or discharge time determination
US11656666B2 (en) 2016-11-16 2023-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power source selection, charging, and discharging
DE112017006365T5 (de) * 2016-12-19 2019-08-29 Fujifilm Corporation Stromversorgungssystem, elektronisches gerät undstromversorgungsverfahren
JP6915344B2 (ja) * 2017-03-28 2021-08-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CN108881630B (zh) * 2018-06-11 2021-08-1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反向充电管理方法、装置及终端
JP2020532936A (ja) * 2018-08-08 2020-11-12 株式会社東芝 充電制御装置、充電制御方法、プログラム、制御回路及び蓄電システム
JP7187973B2 (ja) * 2018-10-25 2022-12-13 株式会社デンソーウェーブ 携帯端末
TWI727264B (zh) * 2019-02-25 2021-05-1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裝置與其電池電量管理方法
CN110429672B (zh) * 2019-07-15 2021-06-08 百富计算机技术(深圳)有限公司 电池充电管理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1600355B (zh) * 2020-06-04 2021-09-28 西安易朴通讯技术有限公司 充电控制方法、装置及设备
KR102463898B1 (ko) * 2020-11-11 2022-11-0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4466B2 (ja) * 1999-11-24 2005-07-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圧検出装置、電池残量検出装置、電圧検出方法、電池残量検出方法、電子時計および電子機器
JP2002199616A (ja) * 2000-12-21 2002-07-12 Canon Inc 充電制御装置、充放電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充電制御方法、充放電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JP2002218668A (ja) * 2001-01-19 2002-08-02 Fujitsu Ltd 携帯型情報処理装置、充電装置及び方法
JP2002271992A (ja) 2001-03-14 2002-09-2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電力供給装置、電力供給方法、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における電力供給方法
WO2003021404A1 (fr) * 2001-09-03 2003-03-13 Fujitsu Limited Dispositif de commande de source d'energie pour dispositif electronique
JP3839382B2 (ja) * 2002-09-13 2006-11-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載蓄電装置の制御装置
JP2005025382A (ja) * 2003-06-30 2005-01-27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4331999B2 (ja) * 2003-09-09 2009-09-1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機器、コンピュータ装置、電力供給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038174B2 (ja) 2003-12-22 2008-01-23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760766B2 (ja) 2006-05-16 2011-08-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ピークシフト管理サーバおよび電力需要量ピークシフト方法
JP2008167562A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Corp 携帯用電子機器
US20080218125A1 (en) * 2007-03-09 2008-09-11 Ravi Prakash Bansal Battery Charging System
US7570015B2 (en) * 2007-03-09 2009-08-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ditional battery charging system
JP2008259256A (ja) * 2007-04-02 2008-10-23 Nec Saitama Ltd 携帯端末装置の充電制御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の充電制御方式
JP5360888B2 (ja) * 2009-04-15 2013-12-04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直流電源システムおよび出力制御方法
BR112012002579A2 (pt) * 2009-08-11 2016-03-15 Sony Corp dispositivo eletrônico, método para carregar um dispositivo eletrônico, programa, e, aparelho e método de controle de carga.
JP4837084B2 (ja) * 2009-11-30 2011-12-1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CN102130345A (zh) * 2010-01-15 2011-07-20 扬光绿能股份有限公司 燃料电池系统及其电源管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1954A (ko) * 2017-07-26 2019-02-08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충방전 예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42127B2 (en) 2016-05-17
KR101441473B1 (ko) 2014-09-17
CN102866759B (zh) 2015-02-11
JP2013017331A (ja) 2013-01-24
CN102866759A (zh) 2013-01-09
US20130009468A1 (en) 2013-01-10
JP5772310B2 (ja)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1473B1 (ko) 전자기기 및 충전제어방법
US8963504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harging electronic device, program,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charging control method
JP5279199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制御方法
EP1617316A2 (en) Power management for a portable computer system
JP5982736B2 (ja) 蓄電装置、蓄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7671566B2 (en) Method for predicting remaining capacity of a battery
JPWO2015122196A1 (ja) 在宅状況判定装置、配送システム、在宅状況判定方法、在宅状況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配送端末
JP2020145816A (ja) 充電装置、充電方法、プログラム、及び電池提供システム
JP2020102026A (ja) 充電システム
JP2006020830A (ja) 自走式掃除機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5678763B2 (ja) 電力平準化方法、電力平準化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60787A1 (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state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charging state thereof
US20200410578A1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2002315204A (ja) 充電管理装置
JP201605837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röbstl et al. Smart2: Smart charging for smart phones
JP6352624B2 (ja) 電池劣化判定装置、電池劣化判定方法および電池劣化判定プログラム
JP2007205883A (ja) 二次電池容量推定装置、プログラム及び二次電池容量推定方法
JP2018068052A (ja) 蓄電管理装置、蓄電管理方法、及び蓄電管理プログラム
JP5368355B2 (ja) 電子機器及び報知制御方法
JP2008271759A (ja) 2次電池のリ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6450168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方法、および電力管理プログラム
JP2006166534A (ja) 電源装置
JP2016070712A (ja) 蓄電装置、制御装置、蓄電システム、蓄電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4192611A1 (ja) コントローラ、情報表示方法、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