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4122A - 증가된 안정성을 위한 tisp 또는 tipp 시스템에서의 다중 프린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가된 안정성을 위한 tisp 또는 tipp 시스템에서의 다중 프린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4122A
KR20130004122A KR1020120069674A KR20120069674A KR20130004122A KR 20130004122 A KR20130004122 A KR 20130004122A KR 1020120069674 A KR1020120069674 A KR 1020120069674A KR 20120069674 A KR20120069674 A KR 20120069674A KR 20130004122 A KR20130004122 A KR 20130004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stress
printing
role
stress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702B1 (ko
Inventor
제임스 에이. 윈터스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30004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3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schedu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09Remote control of apparatus, e.g. by a hos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7Type of toner image to be fixed 
    • G03G2215/2083Type of toner image to be fixed  dupl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다중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에서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은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제 1 프린터의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프린터는 제 1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다. 상기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제 2 프린터의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가 또한 결정되고, 여기서 상기 제 2 프린터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과 상이한 제 2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다.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는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에 비교되고,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가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와 상이하다면,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은 상기 제 2 프린터에 재할당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은 상기 제 1 프린터에 재할당된다. 상기 방법을 구현한 프린팅 시스템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증가된 안정성을 위한 TISP 또는 TIPP 시스템에서의 다중 프린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PRINTERS IN A TISP OR TIPP SYSTEM FOR INCREASED STABILITY}
본 발명은 TISP 또는 TIPP 시스템에서의 다중 프린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두 개 이상의 프린터들(또는 "프린트 엔진들")이 보다 높은 용량 및 다른 이점들을 갖는 단일 프린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해 단단하게 통합된 직렬 프린팅(Tightly Integrated Serial Printing; TISP) 시스템 또는 단단하게 통합된 병렬 프린팅(Tightly Integrated Parallel Printing; TIPP) 시스템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알려진 시스템들에서, 각각의 프린터는 특정 전용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다. 예를 들면, TISP/TIPP 프린팅 시스템의 제 1 프린터는 페이지들의 "1쪽 프린팅"의 제 1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으며 상기 TISP/TIPP 프린팅 시스템의 제 2 프린터는 페이지들의 "2쪽 프린팅"의 제 2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다. 프린팅 역할들의 이러한 전용은 이점들을 제공하지만, 또한 문제들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프린터들은 종종 그에 의해 실행된 프린팅 역할들에서의 차이들로 인해, 상대적인 프린트 품질, 성능, 및 효율성의 상이한 전체 상태들(여기에서 "응력 상태들"로서 불리우는)로 바꾸게 한다. 상기 예에서,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을 규정하는 상기 1쪽 프린팅 임무들은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을 규정하는 상기 2쪽 프린팅 임무들에 비교하여 생성된 프린팅된 출력의 양에 대하여 보다 요구가 많을 수 있다. 프린팅된 출력의 양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종종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프린터들로 하여금 품질, 착색제(잉크 또는 토너)의 보충, 마모 부품들의 남아있는 유용한 수명 등에 관하여 서로로부터 어긋나도록 야기하고, 이것은 상기 TISP/TIPP 시스템에서의 안정성의 부족으로서 생각되어질 수 있다.
품질에서의 임의의 변화는 상기 이용자에게 매우 불쾌하고, 착색제의 소비에 관하여, 마모 부품들의 유용한 수명 등은 보급품 이용 및 유지 요건들과 관련되어 비효율성들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증가된 안정성을 위한 TISP 또는 TIPP 시스템에서 다중 프린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새롭고 개선된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식별되어 왔다.
본 개발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다중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은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제 1 프린터의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프린터는 제 1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다. 상기 방법은 상기 프린팅 시스템에서 제 2 프린터의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프린터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과 상이한 제 2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다.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는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와 비교되고,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가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와 상이하다면,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은 상기 제 2 프린터에 재할당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은 상기 제 1 프린터에 재할당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다중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에서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은 제 1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 제 1 프린터 및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과 상이한 제 2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 제 2 프린터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프린팅 사이클의 완료 후 상기 제 2 프린터에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을 재할당하고 상기 제 1 프린터에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을 재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다중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에서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시스템은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제 1 프린터의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1 프린터는 제 1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제 2 프린터의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 2 프린터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과 상이한 제 2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에 비교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가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와 상이하다면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을 상기 제 2 프린터에 재할당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을 상기 제 1 프린터에 재할당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TISP/TIPP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TISP/TIPP 프린팅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및 방법에 이용된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의 예들을 도시한 차트.
도 4는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트 작업(20)은 단단하게 통합된 직렬 프린팅(Tightly Integrated Serial Printing; TISP) 프린팅 시스템(30) 및/또는 단단하게 통합된 병렬 프린팅(Tightly Integrated Parallel Printing; TIPP) 프린팅 시스템(40)으로서 제공되는 다중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22)에 입력된다. 상기 프린트 작업(20)은 예로서, 각각의 페이지의 1쪽을 프린트하는 것으로서 규정되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 및 각각의 페이지의 2쪽을 프린트하는 것으로서 규정되는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 또는 텍스트를 프린트하는 것으로서 규정되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 및 이미지들 및 그래픽들을 인쇄하는 것으로서 규정되는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 또는 다중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에서의 역할들의 임의의 다른 분할을 갖는, 제 1 및 제 2 프린팅 역할들을 포함한다.
상기 TISP 프린팅 시스템(30)은 상기 프린트 작업(20)의 제 1 프린팅 역할이 제 1 프린터(32)(프린터 #1)에 의해 실행된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이 완료된 후 상기 프린트 작업(20)의 제 2 프린팅 역할을 실행하는 제 2 프린터(34)(프린터 #2)로부터의 업스트림에 위치해 있는 상기 제 1 프린터(32)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프린터(34)는 상기 프린트 작업을, 하드 카피 종이 프린팅된 출력을 원하는 물리적 장치 또는 패키지로 모으기 위한 프린팅된 출력 모듈(36)로 출력한다. 상기 TISP 프린팅 시스템(30)은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32, 34)로 및 그로부터 용지의 흐름(또는 다른 프린트 기록 미디어)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들, 인버터들, 크로스-오버샌드(cross-oversand) 등을 포함한 용지 경로 제어 시스템(38)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상기 TIPP 프린팅 시스템(40)에서, 상기 프린트 작업(20)의 제 1 프린팅 역할은 상기 제 1 프린터(42)(프린터 #1)에 의해 실행된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과 동시에 상기 프린트 작업(20)의 제 2 프린팅 역할을 실행하는 제 2 프린터(44)(프린터 #2)와 평행하게 배열되고 동작하는 제 1 프린터(42)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42, 44)은 상기 하드 카피 종이 프린트된 출력을 원하는 물리적 장치 또는 패키지로 모으기 위해 그것들 각각의 프린트 작업들을 프린트된 출력 모듈(46)로 출력한다. 상기 TIPP 프린팅 시스템(40)은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42, 44)로 및 그로부터 용지의 흐름(또는 다른 프린트 기록 미디어)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들, 인버터들, 크로스-오버샌드 등을 포함한 용지 경로 제어 시스템(48)을 포함한다.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34, 34 또는 42, 44)의 응력 상태들은 시간에 걸쳐 서로에 대해 종종 바람직하지 않게 갈라질 것이다. 도 2는 TISP 또는 TIPP 장치(도 2에서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의 상대적인 위치는 TISP 또는 TIPP 시스템 중 하나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에 배열된 상기 제 1 프린터(52)(프린터 #1) 및 제 2 프린터(54)(프린터 #2)를 포함한 본 개발에 따라 제공된 TISP 또는 TIPP 프린팅 시스템(50)을 도시한다. 도 1의 상기 TISP 및 TIPP 시스템들(30, 40)과 달리, 도 2에 도시된 다중-프린터 시스템(50)은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응력 상태 변화를 감소시키도록 조직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시스템(50)은 상기 프린트 작업(20)을 규정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을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은 상기 프린트 작업(20)을 적어도 제 1 프린팅 역할(62)(프린팅 역할 #1) 및 제 2 프린팅 역할(64)(프린팅 역할 #2)로 나눈다. 실선 화살표들(R1, R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또는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은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62)과 연관되고 이를 규정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64)과 연관되고 이를 규정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출력한다. 파선 화살표들(R1', R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제 2 또는 디폴트 상태에서,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은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62)과 연관되고 이를 규정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출력하고 상기 제 2 프린티 역할(64)과 연관되고 이를 규정하는 데이터를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출력한다. 상기 시스템(50)은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을 포함한다(예로서,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은 상기 제어 시스템(70) 자체에 구현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에 의헤 제공될 수 있거나, 그것은 별개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다).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 및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은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에 전용되고/전용되거나 여기에 개시된 이미지 프로세싱 동작들을 구현하도록 프로그램된 범용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는 전자 회로 및/또는 다른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의해 수신된 입력에 응답하여, 또는 임의의 또는 미리-규정된 스케줄에 따라,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이 상기 실선 화살표들(R1, R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제 1 상태 또는 상기 파선 화살표들(R1', R2')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그것의 제 2 상태를 선택하게 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에 입력을 제공한다. 달리 말하면,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은 주기적으로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이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62)을 상기 제 2 프린터(52)에 재할당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64)을 상기 제 1 프린터(54)에 재할당하게 하고,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은 또한 이하에 설명된 이유들을 위해 상기 프린트 작업(70)을 규정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모두를 수신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스템(50)은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로 및 그로부터 용지의 흐름(또는 다른 프린트 기록 미디어)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들, 인버터들, 크로스-오버샌드 등을 포함한 용지 경로 제어 시스템(58)을 포함한다. 상기 용지 경로 제어 시스템(58)은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의해 제어되고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58)에 피드백을 제공한다. 상기 시스템(50)은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센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과 연관된 다중 센서들(59)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 1 프린터(52)와 연관된 상기 센서들(59)은 제 1 프린터 응력 데이터 입력을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제공한다.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데이터는 상기 제 1 프린터의 응력 상태를 설명하고 이것과 관련된다. 상기 제 2 프린터(54)와 연관된 상기 센서들(59)은 제 2 프린터 응력 데이터 입력을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제공한다.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데이터는 상기 제 2 프린터의 응력 상태를 설명하고 이와 관련된다. 센서들(59) 및 그에 의한 상기 프린터 응력 데이터 출력의 예들은: (i) 환경 센서들(온도, 습도 등); (ii) 토너 이용, 토너 농도(toner concentration), 토너 저장소 데이터 센서들; (iii) 광수용기 상에서의 스트리크(streak)들을 검출하기 위한 스트리크 센서들; 및 (iv)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에 의해 실행되는 프린팅 동작 및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의 응력 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에 제공하는 개발 분야, 레이저 전력, 충전 레벨 등을 충전하기 위한 전기 센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들은 또한 상기 용지 경로에서의 용지 센서들 및 다른 센서들; 및 다른 알려진 센서들을 포함한다.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센서(59)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 1 프린터(52)의 응력 상태를 설명하거나 또는 표시하는 제 1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을 산출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도출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제 2 프린터(54)의 응력 상태를 설명하거나 또는 표시하는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을 산출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도출하기 위해 상기 프린트 작업(20)을 규정하고 설명하는 데이터를 이용한다. 도 3은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FP1 내지 FP7) 및 대응하는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SP1 내지 SP7)의 예들을 도시하는 차트이다. 각각의 제 1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FP1 내지 FP7) 각각은 대응하는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SP1 내지 SP7)에 관련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은 각각의 대응하는 쌍의 제 1 및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FP1 내지 FP7 및 SP1 내지 SP7) 간의 각각의 응력 파라미터 차이 또는 "델타"(△1 내지 △7)를 결정한다. 본 발명은 도 3에 리스트된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에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은 이들 및/또는 다른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여기에 개시된 특정 응력 파라미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각각의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FP1 내지 FP7, SP1 내지 SP7)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 제공된다.
토너 수명( FP1 , SP1 )
이 파라미터는 통상적으로 "평균 체류 시간"에 대하여 설명된, 그것이 현상 하우징/섬프(development housing/sump)에 존재하는 시간에 관하여 상기 토너(또는 다른 착색제)의 수명을 설명한다.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은 토너 수명 파라미터를 산출하기 위해 현상 하우징의 고정된 크기, 상기 현상 하우징으로의 토너 입력의 양, 및 알려진 시간 기간에 걸쳐 상기 현상 하우징으로부터 소비된 토너의 양을 이용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토너 수명에서의 변화는 프린터 응력 레벨들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토너 농도( FP2 , SP2 )
이 파라미터는 2-성분 현상 하우징 또는 섬프에서의 캐리어 비드들(carrier beads) 또는 다른 캐리어 재료에 대한 토너의 농도를 설명한다. 상기 토너 농도는 상기 센서들(59) 중 하나에 의해 측정되고 상기 프린팅된 출력의 이미지 밀도를 조정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토너 농도에서의 변화는 프린팅된 출력에서의 변화로 인한 프린트 응력 레벨들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영역 커버리지( FP3 , SP3 )
이 파라미터는 상기 토너 또는 다른 착색제에 의해 커버된 영역에 관하여 각각의 프린터(52, 54)에 의해 출력되는 토너의 양을 설명한다.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프린트 작업(20)을 규정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영역 커버리지 파라미터를 도출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영역 커버리지에서의 변화는 프린터 응력 레벨들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스트리크들( FP4 , SP4 )
이 파라미터는 전폭 어레이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터의 광수용기상에서의 스트리크들의 검출을 설명한다. 다른 것이 아닌 상기 프린터들(52, 54) 중 하나와 연관된 스트리크들의 검출은 프린터 응력 레벨들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현상 필드( FP5 , SP5 )
이 파라미터는 자기 롤러를 포함한 정전 복사 분야(xerographic field)의 전압들 및 다른 전기적 특성들을 설명한다. 상기 현상 필드는 센서들(59)에 의해 측정되고 및/또는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의해 알려지고 제어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상기 현상 필드에서의 차이들은 프린터 응력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레이저 전력/ROS( FP6 , SP6 )
소비된 상기 레이저(래스터 출력 스캐너(Raster Output Scanner; ROS)) 전력은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의해 알려져 있다. 레이저 전력 소비에서의 증가는 보다 큰 전력이 원하는 이미지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레이저 전력에서의 변화는 프린터 응력의 상이한 레벨들을 나타낸다.
전하 레벨( FP7 , SP7 )
상기 광수용기 상의 전하 레벨은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의해 알려져 있으며 및/또는 센서들(59)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전하 레벨들에서의 변화는 마모 부품 또는 다른 이유들로 인한 프린터 응력의 상이한 레벨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상기 TISP/TIPP 시스템(50) 또는 또 다른 다중-프린터 프린팅 시스템을 이용한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중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단계(S1)에서,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 응력 데이터, 즉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 및/또는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을 도출하기 위해 요구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S2)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제 1 프린터(52)를 위한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 및 상기 제 2 프린터(54)를 위한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를 산출하기 위해 단계(S1)에서 수신된 상기 프린터 응력 데이터, 상기 입력 프린트 작업(20)으로부터의 데이터, 및 상술된 바와 같이 그것에 이용가능한 다른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을 이용한다. 단계(S3)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 및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를 비교한다. 단계(S4)에서, 상기 제어 시스템(70)은 상기 제 1 및 제 2 응력 상태들 간의 차이가 선택 임계치보다 크다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에 대한 프린팅 역할들을 스와핑하도록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응력 상태들 간의 차이가 상기 선택 임계치보다 크다면,
-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의해 실행된다면, 상기 단계(S4)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의해 실행되게 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의해 실행되게 할 것이고;
-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의해 실행된다면, 상기 단계(S4)는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의해 실행되게 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의해 실행되게 할 것이다.
상기 단계들(S1 내지 S4)은 그 후 상기 프린팅 시스템(50)이 활성인 동안 계속해서 반복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계(S4)에서 이용된 상기 선택 임계치는 상기 응력 파라미터 델타들(△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가 0이 아니라면 초과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단계(S4)에서 이용된 상기 선택 임계치는 상기 응력 파라미터 델타들(△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가 상기 응력 파라미터 델타(△1 내지 △7)를 산출하기 위해 이용된 각각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FP 내지 FP7, SP1 내지 SP7) 중 어느 하나로부터 10% 이상만큼 변화하는 경우, 즉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가 상기 제 1 응력 파라미터로부터 10% 또는 상기 제 1 응력 파라미터로부터 그 이상만큼 변화하거나 그 역인 경우에 초과된다. 달리 말하면, 플러스 마이너스 10%의 허용 오차 범위가 상기 응력 파라미터 델타들(△1 내지 △7)의 각각에 할당되고, 각각의 응력 파라미터 델타(△1 내지 △7)는 그것이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밖에 있을 경우에만 프린터 응력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단계(S4)에서 이용된 임계치는 1, 1 이상, 또는 모든 이용가능한 응력 파라미터 델타들(△1 내지 △7)이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밖에 있을 경우에 초과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응력 파라미터 델타들(△1 내지 △7)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것에 의해 표시된 프린터 응력 변화는 상기 이용가능한 응력 파라미터 델타들(△1 내지 △7)의 선택 최소 수가 허용가능한 범위 밖의 프린터 응력 변화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허용 오차 범위 밖에 있을 때까지 무시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상기 단계(S4)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팅 역할들의 상술된 스와핑이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의 각각의 응력 상태들 간의 변화가 허용가능한 한계들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장할 것임을 인식할 것이다.
도 4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프린터 안정성 향상 방법을 위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어 시스템(70)이 미리 결정된 고정된 또는 임의로 가변적인 프린팅 사이클의 완료 후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에 대한 프린팅 역할들을 스와핑하기 위해 상기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60)을 제어하는 단계(T1)를 포함한다. 상기 프린팅 사이클은 시간, 시트들의 수, 토너 이용, 프린트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시스템(50)의 시간 및/또는 프린팅 활동에 관한 임의의 다른 파라미터에 관하여 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린트 사이클은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이 상기 프린터들 간의 응력 변화들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이용자에게 끊김 없는 방식으로 상기 프린터 제어 시스템(70)에 의헤 제어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역할들을 스와핑하도록 논의된 바와 같이 임의의 원하는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다. 프린팅 사이클은 선택된 수의 프린트 작업들, 페이지들, 시간(분들, 시간들, 날들 등) 또는 상기 프린팅 시스템(50)의 활동에 관련된 다른 기준들로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T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스는 상기 프린팅 시스템(50)이 활성인 동안 반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단계(T1)에 따르면:
-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의해 실행된다면, 상기 단계(T1)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의해 실행되게 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의해 실행되게 할 것이고;
-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의해 실행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의해 실행된다면, 상기 단계(T1)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1 프린터(52)에 의해 실행되게 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이 상기 제 2 프린터(54)에 의해 실행되게 할 것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 간의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팅 역할들의 이러한 주기적인 스와핑은 상기 제 1 및 제 2 프린터들(52, 54)의 각각의 프린터 응력 상태들 간의 변화가 요구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어된다는 것을 보장할 것이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프린터(52, 54)의 토너 수명(FP1, SP1)이 증가되는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토너 소비를 감소시킬 것이다. 알려진 시스템들(30, 40)에서, 상기 토너 수명이 최대 허용가능한 레벨에 도달할 때, 상기 시스템은 토너 수명을 허용가능한 레벨 아래로 이끌기 위해 상기 광수용기 상에 착색 패치들을 프린트하고 쓸모 없어진 토너 호퍼에 상기 패치들을 문지름으로써 폐기 목적들을 위한 토너를 이용하기 위해 최소 영역 커버리지(Minimum Area Coverage; MAC) 패치 및/또는 토너 퍼지 루틴(Toner Purge routine)을 실행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시스템(50) 및 방법은 어느 하나의 프린터에서의 토너 수명이 최대 허용가능한 레벨에 도달할 기회를 감소시키는데, 이는 양쪽 프린터들 모두가 서로에 대해 일정한 방식으로 이용될 것이기 때문이다.
22: 다중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 30: TISP 프린팅 시스템
32, 42, 52: 제 1 프린터 34, 44, 54: 제 2 프린터
36, 46: 출력 모듈
38, 48, 58: 용지 경로 제어 시스템
40: TIPP 프린팅 시스템 50: 다중-프린터 시스템
59: 센서들 60: 프린터 변화 제어 모듈
70 : 프린터 제어 시스템

Claims (10)

  1. 다중 프린터 프린팅 시스템에서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프린팅 시스템에서 제 1 프린터의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프린터는 제 1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 결정 단계;
    상기 프린팅 시스템에서 제 2 프린터의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프린터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과 상이한 제 2 프린팅 역할을 할당받는,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 결정 단계;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에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가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와 상이하다면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을 상기 제 2 프린터에 재할당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을 상기 제 1 프린터에 재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을 상기 제 2 프린터에 재할당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을 상기 제 1 프린터에 재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을 규정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제 2 프린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을 규정하는 프린트 데이터를 상기 제 1 프린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린팅 역할을 상기 제 2 프린터에 재할당하고 상기 제 2 프린팅 역할을 상기 제 1 프린터에 재할당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린터가 인쇄지의 제 1 측 상에 프린트하고 상기 제 2 프린터가 상기 인쇄지의 제 2 측 상에 프린트하는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프린터가 상기 인쇄지의 제 2 측 상에 프린트하고 상기 제 2 프린터가 상기 인쇄지의 제 1 측 상에 프린트하는 제 2 상태로 상기 제 1 프린터 및 상기 제 2 프린터 간의 용지 경로를 변경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린터로부터 제 1 프린터 응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데이터는, 제 1 프린터 토너 수명; 제 1 프린터 토너 농도; 제 1 프린터 영역 커버리지; 제 1 프린터 스트리크들(streaks); 제 1 프린터 현상 필드(development field); 제 1 프린터 레이저 전력; 및 제 1 프린터 충전 레벨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1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데이터는, 제 1 프린터 토너 수명; 제 1 프린터 토너 농도; 제 1 프린터 영역 커버리지; 제 1 프린터 스트리크들; 제 1 프린터 현상 필드; 제 1 프린터 레이저 전력; 및 제 1 프린터 충전 레벨의 각각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에 관련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프린터로부터 제 2 프린터 응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데이터는, 제 2 프린터 토너 수명; 제 2 프린터 토너 농도; 제 2 프린터 영역 커버리지; 제 2 프린터 스트리크들; 제 2 프린터 현상 필드; 제 2 프린터 레이저 전력; 및 제 2 프린터 충전 레벨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데이터는, 제 2 프린터 토너 수명; 제 2 프린터 토너 농도; 제 2 프린터 영역 커버리지; 제 2 프린터 스트리크들; 제 2 프린터 현상 필드; 제 2 프린터 레이저 전력; 및 제 2 프린터 충전 레벨의 각각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에 관련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에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 및 대응하는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의 것 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를 대응하는 선택 프린터 파라미터 임계치에 비교하고 상기 차이가 상기 대응하는 선택 프린터 파라미터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가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와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에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의 각각 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차이를 대응하는 선택 프린터 파라미터 임계치에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들 중 적어도 하나가 그것의 대응하는 선택 프린터 파라미터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는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와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를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에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프린터 응력 파라미터들의 각각 간의 차이를 산출하는 단계;
    각각의 상기 차이를 대응하는 선택 프린터 파라미터 임계치에 비교하는 단계; 및
    선택 수 이상의 상기 차이들이 그것의 대응하는 선택 프린터 파라미터 임계치를 초과한다면 상기 제 1 프린터 응력 상태는 상기 제 2 프린터 응력 상태와 상이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린터 안정성 향상을 위한 방법.
KR1020120069674A 2011-06-30 2012-06-28 증가된 안정성을 위한 tisp 또는 tipp 시스템에서의 다중 프린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42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73,136 US8948643B2 (en) 2011-06-30 2011-06-30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printers in a TISP or TIPP system for increased stability
US13/173,136 2011-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122A true KR20130004122A (ko) 2013-01-09
KR101942702B1 KR101942702B1 (ko) 2019-01-29

Family

ID=4739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674A KR101942702B1 (ko) 2011-06-30 2012-06-28 증가된 안정성을 위한 tisp 또는 tipp 시스템에서의 다중 프린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48643B2 (ko)
JP (1) JP5950102B2 (ko)
KR (1) KR101942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0896A1 (en) * 2013-12-05 2015-06-11 ARC Document Solutions, Inc. Print management and monitoring method
JP6896759B2 (ja) * 2016-03-23 2021-06-30 フォグホーン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Foghorn Systems, Inc. リアルタイムデータフロープログラミングにおけるパターン駆動型反応の合成
CN105912104A (zh) * 2016-04-01 2016-08-31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虚拟现实设备电源管理方法及装置
JP7071833B2 (ja) * 2018-02-01 2022-05-1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両面印刷システム
JP7155560B2 (ja) * 2018-03-22 2022-10-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7899A (ja) * 2005-11-04 2007-05-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JP2009078409A (ja) * 2007-09-26 2009-04-16 Fuji Xerox Co Ltd 重連印刷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9369B2 (ja) * 1990-07-18 2000-03-13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管理装置
JPH06102743A (ja) * 1992-09-18 1994-04-15 Fujitsu Ltd 現像装置
JP3514246B2 (ja) * 2001-03-30 2004-03-31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サーバ、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管理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3140518A (ja) * 2001-11-01 2003-05-16 Canon Inc クリーニング装置、潤滑剤塗布装置、クリーニング装置兼潤滑剤塗布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249622A (ja) * 2003-02-21 2004-09-09 Hitachi Printing Solutions Ltd 両面印刷プリンタ
US6814004B2 (en) 2003-03-05 2004-11-09 Xerox Corporation Face-to-face printing within booklet
JP4419451B2 (ja) * 2003-06-20 2010-02-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タンデム画像形成システム
US7649645B2 (en) * 2005-06-21 2010-01-19 Xerox Corporation Method of ordering job queue of marking systems
US7787138B2 (en) * 2005-05-25 2010-08-31 Xerox Corporation Scheduling system
JP2006259231A (ja) * 2005-03-17 2006-09-28 Ricoh Co Ltd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用トナー
JP2008065472A (ja) * 2006-09-05 2008-03-21 Ricoh Co Ltd 負荷分散方法、負荷分散システム、負荷分散装置及び負荷分散プログラム
US8693021B2 (en) * 2007-01-23 2014-04-08 Xerox Corporation Preemptive redirection in printing systems
US8074221B2 (en) * 2007-06-14 2011-12-06 Xerox Corporation Job allocation method for document production
JP5037269B2 (ja) * 2007-08-30 2012-09-26 株式会社リコー プリンタシステム
JP2010287112A (ja) * 2009-06-12 2010-12-24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1201082A (ja) * 2010-03-24 2011-10-13 Fuji Xerox Co Ltd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7899A (ja) * 2005-11-04 2007-05-2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JP2009078409A (ja) * 2007-09-26 2009-04-16 Fuji Xerox Co Ltd 重連印刷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50102B2 (ja) 2016-07-13
US20130004186A1 (en) 2013-01-03
JP2013015832A (ja) 2013-01-24
KR101942702B1 (ko) 2019-01-29
US8948643B2 (en) 201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702B1 (ko) 증가된 안정성을 위한 tisp 또는 tipp 시스템에서의 다중 프린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050576B2 (e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devic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7444088B2 (en) Printing system with balanced consumable usage
US74699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correction method
US10656585B2 (en) Consumable management apparatus, consumable management system, and consumable management method
US2011028601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200903719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3056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2478779A (zh) 图像形成装置及控制方法
JP20080267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03431A (ja) 画像形成装置
JP5251434B2 (ja) 画像形成装置
JP458688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00430839C (zh) 图像形成装置及控制图像浓度的方法
US2009004148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4865305B2 (ja) 画像形成プロセス制御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29314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1107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
JP200630107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ホストコンピュータ
JP2010054626A (ja) 画像形成装置、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00257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0029711A1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113104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1310141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特性調整方法
JP522222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特性調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