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678U - 열수축 튜브 가열기 - Google Patents

열수축 튜브 가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678U
KR20130003678U KR2020110011016U KR20110011016U KR20130003678U KR 20130003678 U KR20130003678 U KR 20130003678U KR 2020110011016 U KR2020110011016 U KR 2020110011016U KR 20110011016 U KR20110011016 U KR 20110011016U KR 20130003678 U KR20130003678 U KR 201300036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ink tube
heat shrink
heater
heater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696Y1 (ko
Inventor
천동진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100110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696Y1/ko
Publication of KR201300036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6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6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6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1/00Shaping by liberation of internal stresses; Making preforms having internal stresses; Apparatus therefor
    • B29C61/02Thermal shrinking
    • B29C61/025Thermal shrinking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or tubular art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2Sheathing; Armouring; Screening; Applying other protectiv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2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의 결속부위에 씌워져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여 수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히터와 모터를 이용하여 전선을 이송시키면서 열수축 튜브 내의 레진용액을 녹이는 방식을 채택하고, 특히 가열 후에 곧바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눌러서 마감하는 새로운 형태의 열수축 튜브 끝단 누름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은 물론, 무엇보다도 열수축 튜브 내의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어 수분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등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수축 튜브 가열기{Apparatus for heating thermal contraction tube}
본 고안은 열수축 튜브 가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의 결속부위에 씌워져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여 수축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수축 튜브는 가열 후에 경화시키면, 직경 또는 길이가 수축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피복전선이나 관로 등의 연결부위를 긴밀하게 커버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러한 열수축 튜브는 전선의 결속부위를 보호하기 위하여 결속부위에 씌워지는 것으로서, 열을 받으면 수축되면서 전선 결속부위의 바깥면에 밀착되는 형태로 씌워지게 된다.
보통 열수축 튜브의 사용 목적은 전선 결속부위, 예를 들면 동일 성분의 전선 여러 개를 조인트를 이용하여 하나로 합쳐서 묶은 부위에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나 장치에서 전원의 공급 등을 위한 배선에 사용되는 전선의 연결작업시 터미널에 연결되는 부분이나, 전선과 전선 간에 연결되는 부분은 수분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기밀유지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터미널이 연결되는 전선의 단부나 전선 간의 연결부위에 열수축 튜브를 끼우고, 히터를 사용하여 열수축 튜브를 가열 및 수축시키는 방식으로 전선 결속부위에 대한 기밀을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열수축 튜브를 가열 및 수축시킬 때 종래에는 작업자가 전선에 열수축 튜브를 끼운 후, 드라이어, 라이터, 버너 등과 같은 가열도구를 사용하여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함으로 인해 작업의 효율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전선에 끼워진 열수축 튜브를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히터 등으로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 10-0843071호 및 등록특허 10-0845432호에서는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의 경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벨트로 전선을 이송시키면서 상하로 배치되는 세라믹 히터를 이용하여 열수축 튜브를 가열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는 측면에서는 아직까지 미흡한 점이 많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에서는 히터와 모터를 적절히 이용하여 열수축 튜브 내의 레진용액을 녹여 작업물을 완성하게 되는데, 전선의 결속유형 중 주선과 결선의 비율이 1(주선) : 3(가지선)인 경우에 전선 내 열수축 튜브 레진용액이 완전히 스며들지 못해 공극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등 품질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즉, 레진용액이 공극을 완전히 채우지 못함으로 인해 수분이 유입되면서 일부 제품 수중 내전압 검사시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히터와 모터를 이용하여 전선을 이송시키면서 열수축 튜브 내의 레진용액을 녹이는 방식을 채택하고, 특히 가열 후에 곧바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눌러서 마감하는 새로운 형태의 열수축 튜브 끝단 누름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및 생산성 향상은 물론, 무엇보다도 열수축 튜브 내의 공극을 최소화할 수 있어 수분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등 제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기는 전선의 결속부위에 씌워지는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가열기 본체와, 상기 가열기 본체의 내측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와, 상기 가열기 본체의 내측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열수축 튜브가 끼워져 있는 전선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와, 상기 가열기 본체의 내측 후단부에 설치되어 가열을 마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눌러서 마감하는 누름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기는 누름장치의 가압작용에 의해 열수축 튜브 속의 레진용액이 전선 사이의 공극을 완전히 메워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분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누름장치는 가열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열수축 튜브의 끝단을 눌러주는 한쌍의 가동롤러와, 가열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가동롤러와 위아래로 짝을 이루면서 열수축 튜브의 끝단을 받쳐주는 한쌍의 고정롤러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장치의 경우, 히터가 속해 있는 가열부의 후단구간과 접해 있는 냉각부의 초입구간에 배치하여, 가열을 마친 열수축 튜브를 곧바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이 보다 효과적으로 마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열기 본체의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와 상부를 이루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와 덮개는 한쪽이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다른 한쪽으로 덮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히터 및 모터를 이용한 자동화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가열부를 통과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냉각부에서 롤러를 이용하여 가압함으로써, 레진용액이 전선 사이의 공극을 완전히 메워줄 수 있게 되고, 결국 완전히 밀폐된 구조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등 제품의 품질확보는 물론 제품의 기능에 대한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열수축 튜브 내 공극을 최소화하여 수분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제품을 구현함으로써, 최근 자동차 산업에 가장 대두시 되는 제품품질의 극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에서 열수축 튜브 끝단 누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수축 튜브 가열기는 히터를 통해 가열된 열수축 튜브 안의 레진용액을 원통형 롤러수단으로 눌러주어 전선 사이의 공극을 메워줌으로써, 완전히 밀폐된 구조의 완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서로 후단의 힌지구조로 개폐가능한 베이스(10b) 및 덮개(10a)의 조합형태로 이루어진 가열기 본체(10)가 마련되고, 상기 가열기 본체(10)의 내부, 즉 베이스(10b)와 덮개(10a)에는 각각 본체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되는 세라믹 히터 등의 히터(11)와 벨트 방식 등의 이송장치(12)가 구비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히터(11)와 이송장치(12)는 베이스(10b)와 덮개(10a)를 닫은 상태, 즉 가열기를 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서로 위아래에서 나란하게 마주 대하게 되고, 결국 그 사이를 지나가는 열수축 튜브를 포함하는 전선은 위아래의 이송장치(12) 및 히터(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진행되면서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송장치(12)는 본체 폭 중간을 따라 배치되는 히터(11)의 양옆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장치(12)는 체인 구동방식, 벨트 구동방식 등 다양한 형태의 것을 적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소음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벨트(21)와 풀리(22)를 조합한 벨트 구동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벨트 구동방식을 채용한 상기 이송장치(12)는 벨트(21)와 풀리(22) 이외에도 구동원으로서의 모터 등 다양한 공지의 동력전달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상기 히터(11)의 경우에도 기존 열수축 튜브 가열기에서 적용하고 있는 히터수단과 기능면이나 설치구조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관계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11)의 경우에는 베이스(10b)나 덮개(10a)의 내부 양측의 폭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된 이송장치(12)의 사이에 설치되는 집열판(미도시)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의 집열판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도록 하여 히터(11)로부터의 열이 이송장치(12)의 벨트측으로 복사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열수축 튜브가 위치되는 폭 중간쪽으로 집중시켜서 열수축 튜브가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기 본체(10)의 베이스(10b)에는 뒷쪽으로 홈구조의 회수부(23)가 형성되고, 이때의 회수부(23)는 가열 및 양단 가압을 마친 전선이 이송장치(12)로부터 낙하되어 쌓이는 곳으로서, 베이스(10b)와 덮개(10a)를 닫은 상태에서도 양측면부가 개방되어 있어 작업자가 완제품을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b)의 측면과 덮개(10a)의 상면에는 각각 가열부용 팬(17a)과 냉각부용 팬(17b)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각 팬들은 히터(11)가 속해 있는 가열부 내의 공기를 배출하거나, 또 후술하는 누름장치(13)가 속해 있는 냉각부 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가열부에는 덮개(10a)의 상면과 베이스(10b)의 측면에 각각 가열부용 팬(17a)이 마련되어 있고, 이때의 가열부용 팬(17a)이 가열부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빼내줌으로써, 히터(11)의 열로 인해 벨트가 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냉각부에는 덮개(10a)의 상면에 냉각부용 팬(17b)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때의 냉각부용 팬(17b)이 냉각부 내부로 외부의 찬 공기를 집어 넣어줌으로써, 가열 및 양단 가압을 마친 열수축 튜브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열부와 냉각부는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고 식혀주는 구간을 의미하며, 특별한 경계가 있는 것은 아니고, 히터가 배치되어 있는 구간을 가열부, 후술하는 누름장치(13)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부터 그 뒷쪽의 회수부(23)가 조성되는 위치까지의 구간을 냉각부로 각각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기 본체(10)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설비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설비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기,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속도조절기, 설비 보호를 위해 지정시간 전원공급은 물론 전원 OFF시 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타이머, 릴레이 타입 전원공급기 등이 탑재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히터(11)를 통해 가열이 완료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눌러서 마감하는 누름장치(13)를 제공한다.
상기 누름장치(13)는 롤러 가압방식을 이용하여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눌러줌으로써, 열수축 튜브 속의 레진용액이 전선 사이의 공극을 완전히 메워줄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열수축 튜브의 양단부를 위아래에서 눌러주기 위한 수단으로 한쌍의 가동롤러(14) 및 고정롤러(15)가 마련되고, 이때의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 사이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이 통과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가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동롤러(14)는 가열기 본체(10)의 내측 상부, 즉 덮개(10a)의 내측면에서 그 양단 축을 통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본체 폭방향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롤러(15)는 가열기 본체(10)의 내측 하부, 즉 베이스(10b)의 내측면에서 그 양단 축을 통해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이것 역시 본체 폭방향 양쪽에 각각 하나씩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4)는 위아래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그 사이를 지나가는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서로 협력하여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물론,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4) 간의 간격, 롤러의 폭방향 거리 등은 열수축 튜브의 규격에 맞게 미리 설정되므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동시에 정확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는 덮개(10a)와 베이스(10b)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롤러설치홈(20) 내에 일부 수용되는 구조로 설치되는데, 이때의 롤러축은 베어링(미도시) 등을 매개로 하여 홈 속에 위치되고, 롤러 둘레면(가압면) 일부만이 덮개(10a)와 베이스(10b)의 각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이렇게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통해 열수축 튜브를 눌러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덮개(10a)와 베이스(10b)에 형성되는 롤러설치홈(20)은 롤러의 설치 또는 분리 등을 용이하게 위한 적절한 구조로 가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동롤러(14)는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실질적으로 가압력을 발휘하는 롤러로서, 이를 위해 가동롤러(14)의 윗쪽으로는 한쪽은 홈 내에 지지되면서 다른 한쪽은 스프링판(19)을 사이에 두고 가동롤러(14)측에 지지되는 스프링(16)이 설치된다.
이때의 스프링(16)은 가동롤러(14)를 항상 아래쪽으로 눌러주는 탄성력을 발휘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롤러(14)는 열수축 튜브가 있는 홈 바깥쪽으로 탄력지지되면서 열수축 튜브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롤러(14)의 유동을 위하여 이때의 가동롤러(14)의 축은 롤러설치홈(20)의 양쪽 벽면에서 롤러 유동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슬롯(미도시) 내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누름장치(13)는 냉각부측에서 열수축 튜브를 가압할 수 있게 되는데, 예를 들면 히터(11)가 속해 있는 가열부의 후단구간과 접해 있는 냉각부의 초입구간에 배치됨으로써, 가열을 마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단부를 곧바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에서 열수축 튜브 끝단 누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위아래의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에 의해 열수축 튜브(100)의 양쪽 단부가 눌려지는 상태를 보여준다.
즉, 이송장치에 의해 진행되는 열수축 튜브(100)가 누름장치(13)의 위아래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 사이를 지나가게 되면, 열수축 튜브(100)의 양쪽 끝단이 좁은 상하 간격을 유지하고 있던 롤러 사이에 끼이게 되고, 이때의 가동롤러(14)가 약간 들려짐과 더불어 스프링(16)의 힘을 받아 열수축 튜브(100)의 단부를 아래로 누르게 되므로, 열수축 튜브(100)의 양쪽 끝단이 롤러 사이에서 가압되고, 결국 가열되어 있는 튜브 안의 레진용액이 튜브 내에서 길이 중앙쪽은 물론 내부 전체 공극에 걸쳐 퍼지면서 전선 사이의 공극을 메워줄 수 있게 된다(이때의 레진용액은 롤러의 가압력에 의해 일부가 튜브 바깥쪽으로도 대략 1mm 정도 돌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를 포함하는 누름장치(13)를 가열기 본체(10)에 착탈식으로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즉, 상기 누름장치(13)의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는 각각 가동롤러 블럭(24a)과 고정롤러 블록(24b)에 내장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가열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와 하부에는 히터(11)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의 뒤쪽으로 가동롤러 블록 설치홈(25a)과 고정롤러 블럭 설치홈(25b)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롤러 블럭(24a)은 가열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가동롤러 블럭 설치홈(25a)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되고, 상기 고정롤러 블럭(24b)은 가열기 본체(10)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롤러 블럭 설치홈(25b)에 삽입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가동롤러(14)가 설치되어 있는 가동롤러 블럭(24a)에는 스프링(16) 등 롤러를 눌러줄 수 있는 부품들이 함께 설치된다.
한편, 각 롤러 블록(24a)(24b)은 가열기 본체(10)에 나사 체결 또는 클립 체결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를 블록 구조로 이루어진 어셈블리 형태로 제작하고, 기존의 가열기 본체(10) 상부와 하부 뒤쪽에 마련된 빈 공간을 각 블록 설치홈(25a)(25b)으로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가열기 본체(10)에 구조를 변경함이 없이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를 포함하는 누름장치(13)를 가열기 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교체나 보수 등의 관리가 그만큼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열수축 튜브 가열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온도조절기와 속도조절기를 작업표준에 준하여 세팅한 후에 열수축 튜브(100)가 씌워져 있는 전선을 가열기 본체(10)의 앞쪽에서 투입한다.
이때, 전선의 길이중간에 씌워져 있는 열수축 튜브(100)가 가열기 본체(10)의 폭 중앙에 위치되도록 방향을 맞춘다.
이렇게 투입되는 열수축 튜브(100)는 이송장치(12)의 구동에 의해 가열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뒷쪽으로 이송되면서 위아래의 히터(11)에 의해 가열되고, 이에 따라 히터(11)의 열에 의해 열수축 튜브(100)가 수축되면서 그 속에 채워져 있던 레진용액도 녹게 된다.
계속해서, 열수축 튜브(100)가 가열부 구간을 지나는 동안에 튜브 속의 레진용액은 충분히 녹게 되고, 이 상태로 열수축 튜브(100)는 가열부의 후단과 연이어 배치되어 있는 냉각부로 진입한다.
즉, 누름장치(13)의 가동롤러(14) 및 고정롤러(15) 사이로 진입한다.
이렇게 가동롤러(14)와 고정롤러(15) 사이로 들어온 열수축 튜브(100)는 그 양쪽 끝단이 롤러에 의해 눌려지게 되고, 이에 따라 튜브 속의 레진용액이 전선 사이의 공극에 빈틈없이 채워지게 된다.
계속해서, 누름장치(13)의 롤러에 의해 양단이 눌려져 완전히 밀폐된 열수축 튜브(100)를 포함하는 전선이 가열기 본체(10)의 뒷쪽 회수부(23)로 낙하되면, 열수축 튜브 가열 및 수축 과정이 모두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열수축 튜브의 가열과 더불어 롤러를 이용하여 튜브 양단을 눌러줄 수 있는 누름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가열 작업과 누름 작업이 일련의 연계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따라서 열수축 튜브 내의 공극을 최소화시킨 완전히 밀폐된 구조의 완제품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제품의 품질을 극대화할 수 있다.
10 : 가열기 본체 11 : 히터
12 : 이송장치 13 : 누름장치
14 : 가동롤러 15 : 고정롤러
16 : 스프링 17a,17b : 가열부용 팬
18 : 냉각부용 팬 19 : 스프링판
20 : 롤러설치홈 21 : 벨트
22 : 풀리 23 : 회수부
24a : 가동롤러 블럭 24b : 고정롤러 블럭
25a: 가동롤러 블록 설치홈 25b : 고정롤러 블럭 설치홈
100 : 열수축 튜브 및 전선

Claims (7)

  1. 전선의 결속부위에 씌워지는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가열기 본체;
    상기 가열기 본체의 내측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는 히터;
    상기 가열기 본체의 내측 상,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열수축 튜브가 끼워져 있는 전선을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및
    상기 가열기 본체의 내측 후단부에 설치되어 가열을 마친 열수축 튜브의 양쪽 끝단을 누르는 가압작용에 의해 열수축 튜브 속의 레진용액이 전선 사이의 공극을 완전히 메워줄 수 있도록 마감하는 누름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는 가열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열수축 튜브의 끝단을 눌러주는 한 쌍의 가동롤러와, 가열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가동롤러와 위아래로 짝을 이루면서 열수축 튜브의 끝단을 받쳐주는 한 쌍의 고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는 가열기 본체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가동롤러 블럭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열수축 튜브의 끝단을 눌러주는 한 쌍의 가동롤러와, 가열기 본체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고정롤러 블럭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가동롤러와 위아래로 짝을 이루면서 열수축 튜브의 끝단을 받쳐주는 한 쌍의 고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는 가동롤러를 위아래로 움직여주는 수단으로 가동롤러측에 설치되어, 가동롤러를 항상 고정롤러측으로 탄력 지지해주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장치는 히터가 속해 있는 가열부의 후단구간과 접해 있는 냉각부의 초입구간에 배치되어, 가열을 마친 열수축 튜브를 곧바로 가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본체는 하부를 이루는 베이스와 상부를 이루는 덮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와 덮개는 한쪽이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다른 한쪽으로 덮개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 튜브 가열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상기 가열기 본체 폭 중간을 따라 배치되는 히터의 양옆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측 튜브 가열기.
KR2020110011016U 2011-12-12 2011-12-12 열수축 튜브 가열기 KR2004706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016U KR200470696Y1 (ko) 2011-12-12 2011-12-12 열수축 튜브 가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016U KR200470696Y1 (ko) 2011-12-12 2011-12-12 열수축 튜브 가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678U true KR20130003678U (ko) 2013-06-20
KR200470696Y1 KR200470696Y1 (ko) 2014-01-09

Family

ID=51417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016U KR200470696Y1 (ko) 2011-12-12 2011-12-12 열수축 튜브 가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6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227B1 (ko) * 2019-03-06 2020-01-08 허수범 실리콘케이블 제조장치
CN114450137A (zh) * 2020-08-13 2022-05-06 株式会社世元电子 可对热收缩管进行差别性加热的加热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472B1 (ko) * 2016-03-16 2017-01-12 농업회사법인 유기파크주식회사 인조볏짚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조볏짚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415B1 (ko) * 2005-01-26 2006-10-13 주식회사 삼광기공 열수축 튜브 제조 장치
KR100843071B1 (ko) 2007-05-31 2008-07-03 (주)티에이치엔 열수축 튜브 가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0227B1 (ko) * 2019-03-06 2020-01-08 허수범 실리콘케이블 제조장치
CN114450137A (zh) * 2020-08-13 2022-05-06 株式会社世元电子 可对热收缩管进行差别性加热的加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696Y1 (ko) 201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696Y1 (ko) 열수축 튜브 가열기
CN104909199B (zh) 适用于陶瓷ptc装配技术的拉膜与切膜装置
JP6806887B2 (ja) 真空断熱ガラスパネル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装置
EP1579943B1 (en) Improved resistance welding device
CN207104326U (zh) 保温管穿管机
TW496822B (en) Embossed carrier tape molding and sealing apparatus
CN107030485A (zh) 保温管穿管机
US7122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ile connection between two flexible tubes
KR100993806B1 (ko) 열수축튜브용 열성형장치
CN109803811A (zh) 侧壁接合机以及用于将侧壁接合到热塑性带的方法
RU2010113900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варивания пластмассовых профилей, упор, а также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зеркало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160128409A1 (en) Applicator for replacement hair strands
CN106128647B (zh) 硅烷交联聚乙烯绝缘电缆热修补设备
CN107470809A (zh) 焊缝焊前预热用加热支架
CN211807905U (zh) 一种管件焊接机
CN211492869U (zh) 一种用于热熔的治具组件、一种热熔机构
CN211390176U (zh) 一种b超机壳体热熔螺母固定治具
CN214027284U (zh) 快速冷却模具的气缸下置式热熔治具
CN212638175U (zh) 化工薄膜包装机中封加热自动离合机构
CN207808693U (zh) 层压机所用的上盖
CN111660553B (zh) 一种高效热缩加工设备
KR100782132B1 (ko) 카카스드럼용 조인트 성형장치
CN2546179Y (zh) 瞬间加热铆合装置
CN210100509U (zh) 轨枕预热成型模具
CN219076536U (zh) 一种穿热缩管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