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651U -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 Google Patents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651U
KR20130000651U KR2020110006536U KR20110006536U KR20130000651U KR 20130000651 U KR20130000651 U KR 20130000651U KR 2020110006536 U KR2020110006536 U KR 2020110006536U KR 20110006536 U KR20110006536 U KR 20110006536U KR 20130000651 U KR20130000651 U KR 201300006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late
unit
shap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강훈
Original Assignee
윤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강훈 filed Critical 윤강훈
Priority to KR2020110006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651U/ko
Publication of KR201300006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6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47J37/0682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gas-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24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A40/928Cooking stoves using biom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이요리가 가능한 구이류 요리부와 국물류 요리가 가능한 국물류 요리부와 완성된 요리를 덜어놓고 데울 수 있는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를 구비함으로써 동시에 조리 및 보온이 가능 하도록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구이판은, 판의 중앙에 형성되며 국물류의 요리를 하기 위한 "
Figure utm00008
"모양ㆍ형상의 국물류 요리부(11)와 상기 국물류 요리부의 좌우 측면에 "
Figure utm00009
" 모양ㆍ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이요리가 가능한 구이류 요리부(12a, 12b)와 상기 국물류 요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
Figure utm00010
" 모양ㆍ형상으로 형성되며 완성된 요리를 덜어 놓고 데울 수 있는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와 상기 구이 요리부로부터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부(14a. 14b)와 상기 상판을 들어 올리거나 이동을 위한 상판 손잡이(16a, 16b)를 구비하며, 상기 국물류 요리부와 구이류 요리부 및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의 경계를 구분 짓는 격벽 하부에는 폭 2~4mm, 깊이 25~30mm의 공간부(15)를 형성하여 요리부 상호간의 열전도도를 최소화시키도록 하고 전체 형상이 지름 450mm, 높이 40mm인 원형으로 제작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면과 하판의 상부면이 상호 밀착 결합되며, 상기 상ㆍ하판 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상ㆍ하판 유동방지부(24)와 상기 하판의 발열판에 열을 발생시키는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21a, 21b, 21c, 21d, 21e, 21f, 21g)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들의 전원 공급을 ON/OFF 시키도록 하는 메인 스위치(22)와 상기 메인 스위치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을 독립적으로 ON/OFF 시키도록 하는 제1 전열선 스위치 내지 제7 전열선 스위치(23a, 23b, 23c, 23d, 23e, 23f, 23g)를 구비하여 전체 형상이 지름 454mm, 높이 30mm인 원형으로 제작되는 하판(20)과; 상기 상판(10)에 숯을 이용하여 열을 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숯을 담을 수 있는 숯 받이(44)와 상기 숯 받이(44)에 공기를 공급하고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부(43)와 화덕을 이동시키기 위한 화덕 손잡이(41)와 상기 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 받침부(42)를 구비한 화덕(4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판의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감지부(53) 및 상기 온도감지부와 연결되며 사용자 온도설정부(52)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온도값(혹은 기준값)을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한 온도값과 비교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51)가 내장된 온도조절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국물류 및 찜 요리와 구이요리, 보조요리를 동시 또는 개별 조리는 물론 그릇의 기능을 갖고 보온이 유지되며, 야외 등의 전기사용이 곤란한 곳에서 전열기를 대체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The multipurpose roast pan that compound cooking is possible}
본 고안은 다기능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국물류 요리부와 구이요리부 및 완성된 요리를 덜어놓고 데울 수 있는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를 구비하여, 동시 또는 개별 조리는 물론 보온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류를 구워 조리하기 위한 불판은 숯불이나 가스불을 열원으로 하는 화덕 위에 얹혀서 후라이팬 형태의 것부터 중앙에 볼록한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에 다수의 화공이 천공된 원판형태의 불판 및 솥뚜겅 형태와 같은 다양한 불판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고기류나 생선류 등을 굽기 위해 육류구이판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의 육류구이판은 내부가 상측으로 약간 만곡되거나 평평하게 형성된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구이와 같이 한 가지 종류의 조리만을 할 수 있었다. 한편, 다수의 사람들이 메뉴를 선택할 때, 일률적으로 한 가지 종류의 메뉴를 선택하기보다는 각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식뷔페나 고기뷔페 등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특히, 한국 사람들은 국물 문화에 익숙하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육류를 취식하면서도 탕 종류의 음식을 찾게 된다.
이와 같은 개개인의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이미 사용한 육류구이판을 탕 종류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는 용기로 교체하거나, 조리기구를 음식 종류의 가지 수에 따라 준비해야만 할 뿐만 아니라, 조리되는 시간동안 기다려야하는 불편함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되고 불판 상면에서 고기가 오랫동안 있게 되면서, 상기 불판 상면은 부분적으로 타게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어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필요로 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99729호(2007. 10. 10)에는, 삼겹살이나 불고기, 생선, 소시지의 구이요리가 가능한 구이부재와 찌개, 탕, 찜 요리가 가능한 부요리부재가 구비되어 동시에 조리가 가능하여 복합 요리가 가능한 구이판에 관하여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 특허기술은 각기 다른 온도에서 복합적인 요리는 불가능하고 완성된 요리를 따로 용기에 덜어놓을 경우 음식을 데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도센서로부터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전원공급이 제어되는 다수개의 전열선이 내장된 하판과 상기 하판을 통해 가열되는 국물류 요리부와 구이류 요리부 및 완성된 요리를 덜어놓고 데울 수 있는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를 갖는 상판을 구성함으로써, 동시 또는 개별 조리는 물론 그릇의 기능을 갖고 보온이 유지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동 및 탈부착이 가능하며, 전열선이외의 다른 열원으로부터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을 제공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구이판은, 판의 중앙에 형성되며 국물류의 요리를 하기 위한 "
Figure utm00001
"모양ㆍ형상의 국물류 요리부(11)와 상기 국물류 요리부의 좌우 측면에 "
Figure utm00002
" 모양ㆍ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이요리가 가능한 구이류 요리부(12a, 12b)와 상기 국물류 요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
Figure utm00003
" 모양ㆍ형상으로 형성되며 완성된 요리를 덜어 놓고 데울 수 있는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와 상기 구이 요리부로부터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부(14a. 14b)와 상기 상판을 들어 올리거나 이동을 위한 상판 손잡이(16a, 16b)를 구비하며, 상기 국물류 요리부와 구이류 요리부 및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의 경계를 구분 짓는 격벽 하부에는 폭 2~4mm, 깊이 25~30mm의 공간부(15)를 형성하여 요리부 상호간의 열전도도를 최소화시키도록 하고 전체 형상이 지름 450mm, 높이 40mm인 원형으로 제작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면과 하판의 상부면이 상호 밀착 결합되며, 상기 상ㆍ하판 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상ㆍ하판 유동방지부(24)와 상기 하판의 발열판에 열을 발생시키는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21a, 21b, 21c, 21d, 21e, 21f, 21g)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들의 전원 공급을 ON/OFF 시키도록 하는 메인 스위치(22)와 상기 메인 스위치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을 독립적으로 ON/OFF 시키도록 하는 제1 전열선 스위치 내지 제7 전열선 스위치(23a, 23b, 23c, 23d, 23e, 23f, 23g)를 구비하여 전체 형상이 지름 454mm, 높이 30mm인 원형으로 제작되는 하판(20)과; 상기 상판(10)에 숯을 이용하여 열을 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숯을 담을 수 있는 숯 받이(44)와 상기 숯 받이(44)에 공기를 공급하고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부(43)와 화덕을 이동시키기 위한 화덕 손잡이(41)와 상기 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 받침부(42)를 구비한 화덕(4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판의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감지부(53) 및 상기 온도감지부와 연결되며 사용자 온도설정부(52)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온도값(혹은 기준값)을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한 온도값과 비교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51)가 내장된 온도조절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국물류 요리부(11)는, 다른 요리부에 비해 2배 높이로 형성하여 국물류 또는 찜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의 국물류 요리부(11)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수증기 증발을 억제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상판의 국물류 요리부와 중력에 의해 밀착시켜 미세한 수증기 증발구(31)를 형성하여 쪄서하는 찜 요리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름배출부(12a, 12b)는, 상기 구이류 요리부 저면에 일정한 경사를 주고 배출구를 형성하여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 기름배출부의 입구는 망을 설치하여 불순물에 의해 기름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는, 전원 공급이 없더라도 다른 요리부로부터 전도된 일부 열에 의해 완성된 요리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요리가 식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부(15)는, 각 요리부 간의 열전도도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의 각 요리부의 경계를 구분 짓는 격벽 하부에 폭 2~4mm, 깊이 25~30mm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여, 온도센서로부터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전원공급이 제어되는 다수개의 전열선이 내장된 하판과, 상기 하판을 통해 가열되는 동시 조리 및 그릇 기능을 갖고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수개의 요리부가 형성된 상판과, 상기 요리부를 구분 짓는 상판격벽 하부에는 온도가 상이한 각각의 요리부로 전달되는 열전도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일정한 공간부 및 상기 전열선 이외의 열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동 및 탈부착이 가능한 화덕을 구비함으로써,
(1) 상판에 다양한 요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국물류(찜 포함) 요리와, 구이류 요리 및 보조 요리를 짧은 시간에 동시 또는 개별 조리가 가능하다.
(2) 상판과 하판을 결합할 경우, 상판의 각 요리부와 하판의 제1 열선 내지 제7 열선과 정확하게 일치되기 때문에, 각 요리부에 열을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전달시켜 각각의 요리부를 가열할 수 있다.
(3) 하판의 제1 열선 내지 제7 열선은 메인 스위치 및 제1 열선스위치 내지 제7 열선스위치에 의해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으로 조리가 가능하여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4) 각 요리부의 열전도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판 격벽 하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각 요리부의 온도를 달리할 수 있기 때문에, 요리를 하면서 완성된 요리를 다른 요리부에 덜어놓고 데울 수 있다.
(5) 제1 열선 내지 제7 열선의 과열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감지부와 제어부 및 온도설정부를 내장한 온도조절기가 하판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열선 내지 제7 열선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값을 초과할 경우 온도조절기에서 전원을 제어하므로 전열선의 과열이나 화재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6) 상판과 하판 간에는 유동방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요리 중에 외부의 물리적인 요인에 의해 상하판의 분리를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요리가 가능하다
(7) 하판 하부에는 화덕과 숯을 탈부착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야외나 전기를 사용하기 힘든 곳에서도 화덕과 숯을 이용하여 상판 요리부를 가열시킬 수가 있으며, 공기조절부를 통하여 화덕에 주입되는 공기를 조절하여 불의 세기를 조절 할 수 있는 독특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복합요리가 가능한 구이판을 나타낸 도면.
도 2의 (가), (나), (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사시도, 평면도,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결합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을 구성하는 기능블럭도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하며 비록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호가 표시되더라도 종래기술은 그 자체로 해석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복합요리가 가능한 구이판을 나타낸 도면, 도 2의 (가), (나), (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사시도, 평면도, 단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의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결합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장치 및 제어방법을 구성하는 기능블럭도를 나타낸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의 핵심 기술적 구성은 상판(10), 하판(20), 덮개(30), 화덕(40), 온도조절기(50)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2의 (가) 내지 도 2의 (다)를 참조하여, 상기 상판(10)은, 요리를 하기 위한 불판 수단으로, 주철, 주강, 알루미늄합금, 구리합금, 스테인리스강이 사용되며 본 고안에서는 특히 구리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재질로 사용하여 다이캐스팅으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구이판(10)은 구이판의 중앙에 형성되며 "
Figure utm00004
" 모양ㆍ형상으로 국물류 요리를 하기 위한 국물류 요리부(11)와 구이요리 중 기름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기름배출부(14a. 14b)를 포함한 구이류 요리부(12a, 12b)와 국물류와 구이 요리 이외의 요리를 하거나 완성된 음식을 덜어 놓고 데울 수 있는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와 상기 상판을 들어 옮기기 위한 상판 손잡이(16a, 16b)와 각 요리부 사이는 열전도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폭 2~4mm, 깊이 25~30mm의 공간부(15)가 형성되어 복합요리가 가능하다.
또한, 도 2의 (가) 및 (다)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국물류 요리부(11)는, 다른 요리부에 비해 2배 높이로 형성하여 국물류 또는 찜 요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의 국물류 요리부(11)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수증기 증발을 억제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상판의 국물류 요리부와 중력에 의해 밀착시켜 미세한 수증기 증발구(31)를 형성하여 쪄서하는 찜 요리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30)를 구비한다.
또한, 도 2의 (가) 및 (다)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기름배출부(14a, 14b)는, 상기 구이류 요리부 저면에 일정한 경사를 주고 배출구를 형성하여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기름배출부의 입구는 망(미도시)을 설치하여 불순물에 의해 기름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2의 (가) 및 (나)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는, 전원 공급이 없더라도 다른 요리부로부터 전도된 일부 열에 의해 완성된 요리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요리가 식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후술하는 공간부(15)를 통해 알 수 있다.
여기서, 도 2의 (다)를 참조하여, 상기 상판(10)의 각 요리부의 경계를 구분 짓는 격벽 하부에 공간부(15)를 구비하는 이유는, 고체(금속)와 접촉한 열이 고체면을 따라 넓게 퍼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열이 상기 공간부(15)를 따라 전도됨으로써 다른 요리부의 하부면에 전달되는 열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공간부(15)는 국물류 요리부(11)와 구이류 요리부(12a, 12b) 및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요리부의 가열온도가 서로 다르므로 상기 각각의 요리부로 전달되는 열전도도를 최소화시킬 필요성이 있다. 즉, 하판(20)의 전열선을 통해 열이 전달되는 상판(10) 각각의 요리부를 구분 짓는 격벽 하부쪽에 홈을 내는 일정한 공간부(15)를 형성함으로써, 가열 온도가 서로 다른 인접하는 각각의 요리부에 고체(금속) 특성상 높은 온도와 중간온도 및 낮은 온도에 관계없이 높은 온도가 전도되어 동일온도 혹은 유사한 온도로 가열되는 상판(10)의 하부면으로 열이 전도되는 전도현상을 회피시키거나 혹은 상판(10)의 상부쪽으로 우회시켜 열전도도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요리를 하면서 동시에 완성된 요리를 다른 요리부에 덜어놓고 데울 수 있도록 하는데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하판(20)은, 구리합금이나 알루미늄합금을 재질로 사용하며, 상기 상판에 전열선을 통해 전열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열 공급원 수단으로써, 상판(10)과 하판(20)이 물리적인 요인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ㆍ하판 유동방지부(24)를 형성하여 상ㆍ하판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상판(10)의 국물류 요리부(11)와 구이류 요리부(12a, 12b) 및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와 같은 형태로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21a, 21b, 21c, 21d, 21e, 21f, 21g)을 배치하여 각 국물류 요리부와 구이류 요리부 및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보조요리부에 열을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수단은 상기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21a, 21b,21c, 21d, 21e, 21f, 21g)은 메인 스위치(22)를 통해 전체 전원을 공급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스위치(22) 후단에 제1 전열선 스위치 내지 제7 전열선 스위치(23a, 23b, 23c, 23d, 23e, 23f, 23g)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21a, 21b, 21c, 21d, 21e, 21f, 21g)을 개별적으로 ON/OFF를 제어하여 각기 다른 온도로 각각의 요리부에서 요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덮개(30)는 상판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되, 일정한 두께를 갖는 상기 덮개(30)를 통해 과다한 수증기 증발을 억제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상판(10)의 국물류 요리부(11)와 중력에 의해 밀착시켜 미세한 수증기 증발구(31)를 형성하여 소량의 수증기만 증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쪄서하는 찜 요리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화덕(40)은 옹기, 구리합금, 주물 재질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화덕의 외부는 구리합금 혹은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며 숯을 담거나 숯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부분은 구운 황토를 사용하여 화덕 외부로 나가는 열을 최소화하고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며, 상기 하판(20)에 전기 공급이 곤란한 야외에서 숯을 사용하여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숯을 담을 수 있는 숯 받이(44)와 화덕에 공기를 공급하고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부(43)와 상기 상판을 받치는 상판 받침부(42)를 구비하여 전열이 아닌 다른 열원으로 요리를 가능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온도조절기(50)는 전열선이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전원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하판의 제1 열선 내지 제7 열선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감지부(53)와 온도값을 사전에 설정하는 온도설정부(52)와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검출된 감지온도와 상기 온도설정부에서 설정된 온도값을 비교하여 메인 스위치(22)와 제1 전열선 스위치 내지 제7 전열선 스위치(23a, 23b, 23c, 23d, 23e, 23f, 23g)의 ON/OFF를 단속하여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21a, 21b, 21c, 21d, 21e, 21f, 21g)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51)가 내장된 온도조절기(50)를 구비하여 전열선의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국물류, 찜 요리와 구이요리 및 보조요리를 동시 및 독립적으로 조리할 수 있으며, 상판의 하부와 하판의 상부면이 서로 결합할 경우 상판의 각 요리부와 하판의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의 포지셔닝이 정확하게 일치되어 각 요리부에 열을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가열시켜 전달할 수 있고, 하판의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은 메인 스위치와 제1 전열선 스위치 내지 제7 전열선 스위치를 통해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각 요리부의 열전도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판 요리부를 구분 짓는 격벽 하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각 요리부의 온도를 달리함으로써 요리를 하면서 완성된 요리를 다른 요리부에 덜어놓고 데울 수 있다.
또한,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면,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이 과열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온도감지부와 온도설정부 및 제어부가 내장된 온도조절기를 하판에 내장함으로써, 전열선의 온도가 온도설정부에 기 설정된 온도 값을 초과할 경우 온도조절기를 통해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과열에 의한 화재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상판과 하판 간에는 유동방지부를 형성하여 요리 중에 외부의 물리적인 요인에 의해 상ㆍ하판의 분리를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요리가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하판 하부에는 탈부착 가능한 화덕과 숯을 통해 야외 등의 전기 사용이 곤란한 곳에서도 화덕과 숯을 이용하여 요리부를 가열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상판(구이판) 11: 국물류 요리부
12a, 12b: 구이류 요리부
13a, 13b, 13c, 13d: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
14a, 14b: 기름배출부 15: 공간부
16a, 16b: 상판 손잡이 20: 하판(전기히터)
21a, 21b, 21c, 21d, 21e, 21f, 21g: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
22: 메인 스위치
23a, 23b, 23c, 23d, 23e, 23f, 23g: 제1 전열선 스위치 내지 제7 전열선 스위치
24: 상ㆍ하판 유동방지부 25: 전원
30: 덮개 31: 수증기 증발구
40: 화덕 41: 화덕 손잡이
42: 상판 받침부 43: 공기조절부
44: 숯 받이 50: 온도조절기
51: 제어부 52: 온도설정부
53: 온도감지부

Claims (6)

  1.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 구이판은, 판의 중앙에 형성되며 국물류의 요리를 하기 위한 "
    Figure utm00005
    "모양ㆍ형상의 국물류 요리부(11)와 상기 국물류 요리부의 좌우 측면에 "
    Figure utm00006
    " 모양ㆍ형상으로 형성되며 구이요리가 가능한 구이류 요리부(12a, 12b)와 상기 국물류 요리부의 직경보다 작은 "
    Figure utm00007
    " 모양ㆍ형상으로 형성되며 완성된 요리를 덜어 놓고 데울 수 있는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와 상기 구이 요리부로부터 기름을 배출하는 기름배출부(14a. 14b)와 상기 상판을 들어 올리거나 이동을 위한 상판 손잡이(16a, 16b)를 구비하며,
    상기 국물류 요리부와 구이류 요리부 및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의 경계를 구분 짓는 격벽 하부에는 폭 2~4mm, 깊이 25~30mm의 공간부(15)를 형성하여 요리부 상호간의 열전도도를 최소화시키도록 하고 전체 형상이 지름 450mm, 높이 40mm인 원형으로 제작되는 상판(10)과;
    상기 상판(10)의 하부면과 하판의 상부면이 상호 밀착 결합되며, 상기 상ㆍ하판 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상ㆍ하판 유동방지부(24)와 상기 하판의 발열판에 열을 발생시키는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21a, 21b, 21c, 21d, 21e, 21f, 21g)을 내장하고, 상기 전열선들의 전원 공급을 ON/OFF 시키도록 하는 메인 스위치(22)와 상기 메인 스위치가 ON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을 독립적으로 ON/OFF 시키도록 하는 제1 전열선 스위치 내지 제7 전열선 스위치(23a, 23b, 23c, 23d, 23e, 23f, 23g)를 구비하여 전체 형상이 지름 454mm, 높이 30mm인 원형으로 제작되는 하판(20)과;
    상기 상판(10)에 숯을 이용하여 열을 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숯을 담을 수 있는 숯 받이(44)와 상기 숯 받이(44)에 공기를 공급하고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절부(43)와 화덕을 이동시키기 위한 화덕 손잡이(41)와 상기 상판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 받침부(42)를 구비한 화덕(4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하판의 제1 전열선 내지 제7 전열선의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감지부(53) 및
    상기 온도감지부와 연결되며 사용자 온도설정부(52)를 통해 사전에 설정된 온도값(혹은 기준값)을 상기 온도감지부에서 검출한 온도값과 비교하여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51)가 내장된 온도조절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국물류 요리부(11)는, 다른 요리부에 비해 2배 높이로 형성하여 국물류 또는 찜 요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국물류 요리부(11)는, 일정한 두께를 갖고 수증기 증발을 억제하여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상기 상판의 국물류 요리부와 중력에 의해 밀착시켜 미세한 수증기 증발구(31)를 형성하여 쪄서하는 찜 요리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배출부(14a, 14b)는, 상기 구이류 요리부 저면에 일정한 경사를 주고 배출구를 형성하여 기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 기름배출부의 입구는 망을 설치하여 불순물에 의해 기름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요리부 내지 제4 보조요리부(13a, 13b, 13c, 13d)는, 전원 공급이 없더라도 다른 요리부로부터 전도된 일부 열에 의해 완성된 요리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시켜 요리가 식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15)는, 상기 각 요리부 간의 열전도도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의 각 요리부의 경계를 구분 짓는 격벽 하부에 폭 2~4mm, 깊이 25~30mm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KR2020110006536U 2011-07-19 2011-07-19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KR201300006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36U KR20130000651U (ko) 2011-07-19 2011-07-19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36U KR20130000651U (ko) 2011-07-19 2011-07-19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651U true KR20130000651U (ko) 2013-01-29

Family

ID=5242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536U KR20130000651U (ko) 2011-07-19 2011-07-19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65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070B1 (ko) * 2014-11-25 2015-06-22 박해원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200482851Y1 (ko) * 2016-03-11 2017-03-09 김용관 다기능 육류 구이판
KR102327451B1 (ko) * 2020-07-13 2021-11-16 방두산 다용도 조리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0070B1 (ko) * 2014-11-25 2015-06-22 박해원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200482851Y1 (ko) * 2016-03-11 2017-03-09 김용관 다기능 육류 구이판
KR102327451B1 (ko) * 2020-07-13 2021-11-16 방두산 다용도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51518B (zh) 多功能早餐机
US9723954B2 (en) Combination griddle and teppanyaki cooking unit for a household cooking appliance
US20210282588A1 (en) Electric grilling plate and appliance
KR101167657B1 (ko) 회전형 구이용 그릴
WO2015109156A1 (en) Cooking device and method with temperature control
CN203195483U (zh) 电磁煎烤装置
KR20130000651U (ko) 복합요리가 가능한 다기능 구이판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CN103750733A (zh) 多功能电饭锅
JP2014023801A (ja) 加熱調理器
JP2017096609A (ja) 加熱調理器
JP4179252B2 (ja) 組込式誘導加熱調理器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JP2009284926A (ja) 加熱調理器
CN212037240U (zh) 烤箱
WO2003101267A1 (en) Apparatus for cooking toast
KR200317017Y1 (ko) 튀김 조리기용 구이장치
JP6010446B2 (ja) 複合加熱調理器
JP3193322U (ja) 固体燃料用携帯型コンロ
KR101953255B1 (ko) 유동 가능한 다수 개의 구이판과 발열기가 구비되는 구이장치
JP7137402B2 (ja) 調理器
CN213524877U (zh) 一种用于煤气卡式炉的烧烤器具
CN209996071U (zh) 一种烧烤用器具
CN206315005U (zh) 热源上设置一水循环聚温式烤炉
KR200291034Y1 (ko) 복합 히터 내장형 가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