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330A - 콘택트 및 소켓 - Google Patents

콘택트 및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330A
KR20130000330A KR1020120063885A KR20120063885A KR20130000330A KR 20130000330 A KR20130000330 A KR 20130000330A KR 1020120063885 A KR1020120063885 A KR 1020120063885A KR 20120063885 A KR20120063885 A KR 20120063885A KR 20130000330 A KR20130000330 A KR 20130000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traight
pair
contact pin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유메무라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저팬 지.케이.
Publication of KR2013000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3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콘택트 및 소켓을 제공한다. 소켓에 장착되는 콘택트는 한 쌍의 콘택트 핀과 용수철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콘택트 핀은 직선부와 클립부를 각각 갖는다. 직선부는 제1단부에서 제2단부를 향하여 직선상으로 뻗어 있다. 한 쌍의 콘택트 핀은 서로의 제1단부가 서로의 제2단부를 향하여 서로의 직선부가 겹치는 자세로 조합한다. 클립부는 제2단부에서 만곡하여 유턴하고 제2단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의 제1단부를 끼운다. 용수철부재는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직선부를 감는다.

Description

콘택트 및 소켓{Contact and Socket}
본 발명은 콘택트 및 소켓에 관한 것이다.
IC나 회로기판 등의 전자부품과 접속하는 소켓에는 전자부품의 전기접점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콘택트를 구비한 타입 등이 있다.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콘택트로서, 예를 들면, 관모양의 본체에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콘택트가 알려져 있다. 이 콘택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측 콘택트 핀, 하측 콘택트 핀 및 코일 용수철을 본체에 수용한 후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관 모양의 본체의 양단을 가늘게 변형시킨다. 이러한 가공은 노력이 많이 필요하고 제조 비용이 높다.
특허문헌 1에는 상측 콘택트 핀, 하측 콘택트 핀 및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전자 디바이스용 콘택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은 박판을 가공함으로써 제조되고, 서로 같은 형상을 갖는다.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의 각각은 양다리모양으로 뻗는 후크를 갖고 있다.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조합되는 것으로, 각각의 양갈래로 갈라진 모양의 후크가 상대 콘택트 핀을 끼우도록 결합한다.
용수철은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이 결합하는 부분을 휘감도록 배치되고,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촉구한다. 콘택트의 양단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이 용수철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서로 어긋나게 움직인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공개 특개2008-51639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상측 콘택트 핀 및 하측 콘택트 핀에서의 양다리 모양으로 뻗은 후크의 형상은 박판의 펀칭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후크의 상대방 콘택트 핀을 끼우는 면은 펀칭가공에 의한 파단면(破斷面), 즉, 거칠기면이다. 따라서 상대방 콘택트 핀의 접촉에 있어서의 신뢰성이 낮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신뢰성이 높은 콘택트 및 소켓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콘택트는 전자부품과 접속되는 소켓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이 전자부품의 전기접점에 접촉하는 콘택트에 있어서,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대략 직선상으로 뻗은 직선부를 갖고, 서로의 일단부가 서로의 타단부를 향해 서로의 직선부가 겹치는 자세로 조합하고, 더욱이 이 타단부에서 만곡하여 유턴하여 이 타단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의 일단부를 끼우는 클립부를 갖는 한 쌍의 콘택트 핀과,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상기 직선부를 휘감아 이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상기 클립부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촉구하는 용수철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콘택트는 콘택트 핀을 펀칭가공 및 휨가공함으로써 직선부의 타단부 및 클립부 쌍방에서의 상대 콘택트 핀과 접촉하는 면이 거칠어진 파단면을 피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고 게다가 한 쌍의 콘택트 핀끼리의 접촉신뢰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타단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의 상기 일단부를 끼우는 위치에 호모양으로 만곡하여 이 타단부를 향해 부풀어오른 호상부(弧狀部)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의 일단부가 클립부에 있어서의 부풀어오른 호상부에서 끼워지기 때문에 끼워진 상대의 일단부의 이동이 원할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의 각각은 펀칭가공과 서로의 상기 직선부가 겹치는 측의 면에 대한 이면의 양측가장자리의 모따기 가공을 거쳐 형성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콘택트 핀은 조합된 경우에 외측을 향하고 상기 이면의 양측가장자리가 모따기됨으로써 조합된 상태에서의 직경이 소형화된다. 따라서 콘택트가 수용되는 하우징의 구멍을 소경화할 수 있고, 고밀도 배치가 가능케 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은 서로의 상기 직선부가 겹치는 면의 프레스면이 되는 방향으로 펀칭가공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프레스면은 그 양 가장자리에 펀칭가공에 의한 역귀환(되돌려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직선부가 겹치는 면의 측이 프레스면이 됨으로써 따라서 한 쌍의 콘택트 핀의 직선부끼리의 움직임도 매끄러워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은 상기 직선부의 상기 타단부 근방에 이 직선부의 다른 부분보다 광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수철부재의 각 일방의 단을 빠짐 방지하여 이 용수철부재에 의한 촉구력을 받는 광폭부를 갖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콘택트 핀의 각각에 형성된 광폭부에 의해 용수철부재의 빠짐 방지가 행해지고, 또한 이 광폭부에 의해 하우징으로부터의 빠짐 방지도 가능케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소켓은 전자부품과 접속되는 소켓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부품의 전기접점에 접촉하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대략 직선상으로 뻗은 직선부를 갖고, 서로의 일단부가 서로의 타단부를 향해 서로의 직선부가 겹치는 자세로 조합하고, 더욱이 이 타단부에서 만곡하고 유턴하여 이 타단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의 이 일단부를 끼우는 클립부를 갖는 한 쌍의 콘택트 핀과,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상기 직선부를 휘감고 이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상기 클립부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촉구하는 용수철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소켓에 대해서 여기서는 그 기본형태만을 나타내는데에 머물지만, 이것은 단순히 중복을 피하기 위함이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소켓에는 상기 기본형태뿐만 아니라 전술한 콘택트의 각 형태에 대응하는 각종 형태가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가 용이하고 신뢰성이 높은 콘택트 및 소켓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켓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콘택트를 꺼내서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콘택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제1콘택트 핀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콘택트 핀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소켓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소켓(S)은 예를 들면 회로기판(미도시)에 실장되고, 전자부품(P)과 접속됨으로써, 회로기판과 전자부품(P)을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전자부품(P)은 예를 들면 BGA(Ball Grid Array)로 대표되는 전기접점(T)이 2차원 배열된 IC이다. 단지 소켓(S)의 접속대상은 IC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기접점을 갖는 회로기판도 포함된다.
소켓(S)은 전자부품(P)의 전기접점(T)에 접촉하는 콘택트(1)와, 콘택트(1)를 보호 유지하는 하우징(2)을 구비하고 있다. 콘택트(1)는 본 발명의 콘택트의 일실시 형태이다.
하우징(2)은 절연성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전자부품(P)을 받아들이는 수입면( 2a; 受入面)과 수입면(2a)의 반대 측면인 기판면(2b)을 갖는다. 소켓(S)은 회로기판에 기판면(2b)을 향해 실장된다. 하우징(2)에는 수입면(2a)으로부터 기판면(2a)까지 관통하는 복수의 콘택트(2h)가 설치되어 있다.
콘택트(1)는 하우징(2)의 콘택트홀(2h) 속에 수용되어 있다. 소켓(S)에는 복수의 콘택트(1)가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배치된 콘택트(1)의 1열분이 도시되어 있으나 콘택트(1)는 수입면(2a)의 평면 방향에서 볼때 종횡 복수열로 배열되어 있다.
콘택트(1)의 각각은 하우징(2)을 관통하고 있다. 콘택트(1)의 일단은 기판면(2b)에 노출되어 있고, 타단은 하우징(2)의 수입면(2a)에 노출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1)의 길이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하우징(2)의 수입면(2a)에서 기판면(2b)까지의 두께보다도 길다. 이 때문에 콘택트(1)는 하우징(2)의 수입면(2a)에서 돌출하고 있다. 또한 콘택트(1) 중의 기판면(2b)에 노출된 단에는 회로기판에 납땜 접속하기 위한 솔더볼(B)이 부착되어 있다. 다만 소켓(S)은 회로기판에 납땜접속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로기판에 하우징(2)이 밀어 붙여지도록 고정됨으로써 콘택트(1)의 기판면(2b)에 노출된 단이 회로기판에 접촉하는 형태도 채용할 수 있다.
복수의 콘택트(1)의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신축자재인 구조를 갖고 있다. 전자부품(P)의 접속 시 전자부품(P)은 하우징(2)의 수입면(2a)을 향해 눌린다. 이 때 하우징(2)의 수입면(2a)에서 돌출한 콘택트(1)의 단이 전자부품(P)의 전기접점(T)과 접촉하고, 전기접점(T)에 의해 하우징(2)을 향해 눌러져 들어간다. 콘택트(1)의 각각은 전자부품(P)의 전기접점(T)과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즉, 눌려 들어간 때의 탄성 에너지에 의한 반대 힘으로 전기접점(T)을 누른다. 따라서 콘택트(1)의 각각은 전자부품(P)의 왜곡이나 전기접점(T)의 치수오차를 흡수하고, 전기접점(T)의 각각에 적절한 접촉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콘택트]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콘택트를 꺼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콘택트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콘택트(1)는 한 쌍의 콘택트 핀(11, 12) 및 용수철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콘택트 핀(11)은 직선부(111)와 직선부(111)에 연속하여 설치된 클립부(112)를 갖는다.
직선부(111)는 제1단부(111a)에서 제2단부(111b)를 향해 직선상으로 뻗어 있다. 직선부(111)에서의 제1단부(111a)와 제2단부(111b)와의 사이, 보다 상세하게는, 제2단부(111b)근처에는 다른 부분보다도 넓은 폭의 광폭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단부(111a)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일단부의 일예에 상당하고, 제2단부(111b)가 본 발명에서 말하는 타단부의 일예에 상당한다.
클립부(112)는 소켓(S; 도 1참조)에 있어서, 전자부품(P)의 전기접점(T)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클립부(112)는 직선부(111)의 제2단부(111b)에서 만곡하여 유턴하고 있다. 클립부(112)의 제2단부(111b)에서 만곡하여 늘어난 앞에는 호(弧)모양으로 만곡하여 제2단부(111b)를 향해 부풀어오른 호상부(112e)가 설치되어 있다. 클립부(112)는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행부(斜行部:112a), 제1연장부(112b), 유턴부(112c), 제2연장부(111d) 및 호상부(112e)를 갖는다.
사행부(112a)는 직선부(111)의 제2단부(111b)에서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제1연장부(112b)는 사행부(112a)에 연속하고 직선부(111)와 같은 방향으로 뻗어 있다. 유턴부(112c)는 연장부(112b)에 연속하고 대략 180°로 유턴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제2연장부(112d)는 유턴부(112c)에 연속하고 제1연장부(112b)와 병행하여 뻗어 있다. 호상부(112e)는 제2연장부(112d)에 연속하고 호모양으로 만곡하여 직선부(111)의 제2단부(111b)를 향해 부풀어 올라와 있다.
호상부(112e)가 제2단부(111b)를 향해 부풀어 오른 부분과 제2단부(11b)와의 간격은 다른 개재물이나 외력이 없는 도 3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콘택트 핀(11)의 판두께보다 작다. 예를 들면 호상부(112e)와 제2단부(111b)와의 간격은 0 이어도 좋다. 즉 호상부(112e)는 제2단부(111b)에 접하고 있어도 좋다.
클립부(112)는 유턴하는 만곡을 갖고 이 만곡의 외측의 곡면에서 전기접점(T:도 1참조)과 접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립부(112)의 유턴하듯이 꺽인 유턴부(112c; 도 3참조)의 외측에서의 곡면에서 전기접점(T: 도 1참조)과 접촉한다. 따라서 전기접점(T)의 손상이 억제되고 전기접점(T)과의 접촉 신뢰성도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한 쌍의 콘택트 핀(11, 1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제2콘택트 핀(12)도 제1단부(121a)에서 제2단부(121b)를 향해 직선상으로 뻗은 직선부(121)와, 제2단부(121b)에서 만곡하여 유턴한 클립부(122)를 갖는다. 또한 제2콘택트 핀(12)에도 광폭부(123) 및 호상부(122e)가 설치되어 있다. 제2콘택트 핀(12)의 클립부(122)에서의 유턴부(122c)는 회로기판에 접속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콘택트 핀(11) 및 제2콘택트 핀(12)은 각각의 제1단부(111a, 121a)가 서로의 제2단부(121b, 111b)를 향해 서로의 직선부(111, 121)가 겹치는 자세로 조합되어 있다. 각각의 직선부(111, 121)는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서로 접촉하고 있다.
제1콘택트 핀(11)의 클립부(112)는 제2단부(111b)와의 사이에서 제2콘택트 핀(12)의 제1단부(121a)를 끼우고 있다. 한편, 제2콘택트 핀(12)의 클립부(122)는 제2단부(121b)와의 사이에서 제1콘택트 핀(11)의 제1단부(111a)를 끼우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콘택트 핀(11)의 클립부(112)는 호상부(112e)에서 제2단부(111b)와의 사이에 제2콘택트 핀(12)의 제1단부(121a)를 끼우고 있다. 한편, 제2콘택트 핀(12)의 클립부(122)는 호상부(122e)에서 제2단부(121b)와의 사이에 제1콘택트 핀(11)의 제1단부(111a)를 끼우고 있다.
제1콘택트 핀(11)의 클립부(112)는 제2콘택트 핀(12)의 직선부(121; 보다 상세하게는 직선부(121)의 제1단부(121a))가 삽입됨으로써 제2단부(111b)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있다. 이 탄성력으로 클립부(112)는 제2콘택트 핀(12)의 직선부(121)를 제2단부(111b)와의 사이에 끼운다. 이것은 제2콘택트 핀(12)의 클립부(12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1콘택트 핀(11) 및 제2콘택트 핀(12)은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가공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제1콘택트 핀(11)에 있어서, 제2콘택트 핀(12)의 직선부(121)를 끼우는 클립부(112)는 펀칭된 금속판을 직선부(121)에 대해 유턴하도록 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콘택트 핀(11)의 직선부(111) 및 클립부(112)는 제2콘택트 핀(12)의 직선부(121)를 끼우는 부분이 파단면이 아니라 재료가 되는 금속판의 판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제1콘택트 핀(11)의 직선부(111)를 끼우는 제2콘택트 핀(12)의 직선부(121) 및 클립부(122)도 동일하다.
용수철부재(13)는 나선형 코일용수철이다. 용수철부재(13)는 한 쌍의 콘택트 핀(11, 12) 쌍방의 직선부(111, 121)를 휘감고 있다. 한 쌍의 콘택트 핀(11, 12)이 각각 갖는 광폭부(113, 123)는 용수철부재(13)의 내경보다 넓은 폭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용수철부재(13)의 단은 광폭부(113, 123)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다. 용수철부재(13)는 압축용수철이다. 즉 용수철부재(13)는 한 쌍의 콘택트 핀(11, 12) 쌍방의 클립부(112, 122)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촉구한다.
또한 광폭부(113, 123)는 하우징(2: 도 1참조)의 콘택트홀(2h)로부터의 콘택트 핀(11, 12)의 빠짐방지 기능을 겸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하우징(2)의 콘택트홀(2h)은 수입면(2a) 및 기판면(2b)에 개구하는 양단이 콘택트 핀(11, 12)의 광폭부(113, 123)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콘택트 핀(11, 12)의 하우징(2)으로부터의 빠짐 방지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하우징(2)은 하측부재(21)와 상측부재(22)와의 2개의 부재를 갖고, 콘택트홀(2h)은 하측부재(21) 및 상측부재(22)의 쌍방에 걸쳐 뻗어 있다. 조립 시에 콘택트(1)는 하우징(2)의 상측부재(22)가 하측부재(21)에서 떨어진 상태로 콘택트홀(2h)에 삽입된다. 그 후 하측부재(21)에 상측부재(22)가 조합됨으로써 콘택트(1)가 하우징(2)에 수용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콘택트(1)는 하우징(2; 도 2참조)에 보호 유지된 상태에서 제2콘택트 핀(12)의 클립부(122)가 도시하지 않은 회로기판에 접속되고, 제1콘택트 핀(11)의 클립부(112)가 전자부품(P; 도 1참조)의 전기접점(T)에 눌려 붙여진다.이 때 콘택트(1)의 제1콘택트 핀(11) 및 제2콘택트 핀(12)은 콘택트(1)의 전체 길이가 줄어드는 방향, 즉 클립부(112, 122)가 서로 보다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한다. 제1콘택트 핀(11)의 클립부(112)는 탄성력에 의해 제2단부(111b)와의 사이에 제2콘택트 핀(12)의 직선부(121)를 끼우고 있으며, 제2콘택트 핀(12)의 클립부(122)는 탄성력에 의해 제2단부(121b)와의 사이에 제1콘택트 핀(11)의 직선부(111)를 끼우고 있다. 따라서 직선부(111, 121)의 각각은 탄성력에 의해 상대 콘택트에 계속 접속하면서 매끄럽게 슬라이딩한다. 이와 같이 클립부(112, 122)에 있어서의 회로기판(미도시)이나 전자부품(P)의 전기접점(T: 도 1참조)에 곡면으로 접촉하기 위한 만곡형상이 상대 콘택트 핀(12, 11)의 직선부(121, 111)를 보호 유지하는 기능에도 이용된다.
여기서 제1콘택트 핀(11)의 직선부(121) 및 클립부(112)는 파단면이 아니라 펀칭가공의 재료가 되는 금속판의 판면이며, 제2콘택트 핀(12)의 직선부(121)와 접촉한다. 따라서 접촉하는 부분이 매끄럽기 때문에 접촉신뢰성이 높고, 또한 서로 상처를 입히는 것이 억제된다. 이것은 제1콘택트 핀(11)의 직선부(111)를 끼우는 제2콘택트 핀(12)의 직선부(121) 및 클립부(122)에도 동일하다.
또한 직선부(111, 121)의 각각에는 클립부(122, 112)의 호상부(122e, 112e)에 형성된 곡면이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직선부(111, 121)는 매끄럽게 슬라이딩하고 손상도 억제된다.
제1콘택트 핀(11)의 광폭부(113) 및 제2콘택트 핀(12)의 광폭부(123)에 지지된 용수철부재(13)는 제1콘택트 핀(11) 및 제2콘택트 핀(12)이 이동하는 것에 따라 압축된다. 용수철부재(13)의 압축변형(탄성변형)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제1콘택트 핀(11)이 전기접점(T:도 1참조)을 누른다. 따라서 제1콘택트 핀(11)과 전기접점(T)과의 양호한 접촉이 유지된다.
[콘택트 핀의 모따기(모접기 또는 chamfering)]
여기서 한 쌍의 콘택트 핀(11, 12)의 형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콘택트 핀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제1콘택트 핀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제1콘택트 핀의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제1콘택트 핀(11)은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가공 및 절곡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콘택트 핀(11)의 형성에 있어서는 우선 금속판을 펀칭가공한다. 다음으로, 펀칭된 부재에 대해 펀칭가공에 있어서의 프레스면의 뒷면, 즉 역귀환면의 가장자리를 모따기한다. 다음으로 클립부(112)가 되는 부분에 대해 모따기한 가장자리의 면이 외측이 되도록 휨가공에 의해 만곡시키고, 클립부(112)가 되는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이와 동시 또는 전후로 하여 호상부(112e)나 다른 부분의 휨가공도 행한다.
이들 가공에 의해 제1콘택트 핀(11)은 직선부(111)의 제2콘택트 핀(12; 도 3참조)의 직선부(121)와 겹치는 면이 프레스면(Fp)이 되고, 이 뒷면인 역귀환면(Fb)의 양측 가장자리에 모따기(C)가 행해지고 있다.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모따기(C)는 클립부(112)에도 이어져 있다. 즉, 클립부(112)에 있어서 만곡의 외측이 되는 역귀환면(Fb)의 양측 가장자리에 모따기(C)가 행해져 있다.
제2콘택트 핀(12; 도 2, 도 3참조)의 형상도 도 4 내지 도 5에 나타낸 제1콘택트 핀(11)과 같다.
직선부(111)의 제2콘택트 핀(12; 도 3참조)의 직선부(121)와 겹치는 프레스면(Fp)의 뒷면인 역귀환면(Fb)의 양측 가장자리에 모따기(C)가 행해져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직선부(111, 121)가 겹친 상태로 외측을 향하는 4개의 가장자리가 모두 모따기되어 있다. 이 부분은 용수철부재(13)로 둘러싸이는 부분이다. 따라서 모따기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용수철부재(13)의 직경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펀칭가공으로 생기는 역귀환이 용수철부재(13)에 걸리는 사태가 회피된다.
또한 클립부(112)에 있어서, 만곡의 외측이 되는 역귀환면(Fb)의 양측 가장자리에 모따기(C)가 행해져 있다. 즉 클립부(112)의 제1연장부(112b) 및 제2연장부(112d; 도 3참조)가 병행하는 부분에 있어서 외측을 향하는 4개의 가장자리가 모두 모따기(C)가 행해진 것이 된다. 따라서 클립부(112)의 외경도 억제된다.
이렇게 용수철부재(13)의 직경을 소형화하고 또한 클립부(112)에서의 직경도 소형화함으로써 하우징(2)의 콘택트홀(2h: 도 1참조)을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소켓(S; 도 1참조)에서의 콘택트(1)의 좁은 피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콘택트 핀(11)은 직선부(111)의 제2콘택트 핀(12; 도 3참조)의 직선부(121)와 겹치는 측이 프레스면(Fp)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부(111, 121)끼리 겹치는 면은 그 양 가장자리에 펀칭가공에 의한 역귀환이 생기지 않는다. 오히려 프레스면(Fp)에는 칼날의 파고듬에 의한 압하(이른바 처짐현상)가 생기며, 가장자리가 무뎌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직선부(111, 121)끼리의 슬라이딩이 매끄럽다. 게다가 프레스면(Fp)의 반대측에 생기는 역귀환은 상술한 모따기 공정에서 제거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한 쌍의 콘택트 핀의 예로서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콘택트 핀(11) 및 제2콘택트 핀(12)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한 쌍의 콘택트 핀에는 서로 형상이 다른 부분이 있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의 소켓(S)은 1열에 8개의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켓은 예를 들면 1열에 7개 이하 또는 9개 이상의 복수의 콘택트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S 소켓
1 콘택트
 11, 12   콘택트 핀
111a, 121a 제1단부
111b, 121b 제2단부
111, 121 직선부
, 112, 122 클립부
112e, 122e 호상부
113, 123 광폭부
13 용수철부재
2 하우징

Claims (6)

  1. 전자부품과 접속되는 소켓의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부품의 전기접점에 접촉하는 콘택트에 있어서,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대략 직선상으로 뻗은 직선부를 갖고, 서로의 일단부가 서로의 타단부를 향해 서로의 직선부가 겹치는 자세로 조합하고, 더욱이 이 타단부에서 만곡하여 유턴하고 상기 타단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의 상기 일단부를 끼우는 클립부를 갖는 한 쌍의 콘택트 핀;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상기 직선부를 휘감아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상기 클립부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촉구하는 용수철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타단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의 상기 일단부를 끼우는 위치에 호모양으로 만곡하여 상기 타단부를 향해 부풀어오른 호상부(弧狀部)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의 각각은 펀칭가공과 서로의 상기 직선부가 겹치는 측의 면에 대한 이면의 양측가장자리의 모따기 가공을 거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4. 제1항 내지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은 서로의 상기 직선부가 겹치는 면의 프레스면이 되는 방향으로 펀칭가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5. 제1항 내지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은 상기 직선부의 상기 타단부 근방에 상기 직선부의 다른 부분보다 광폭으로 형성되고, 상기 용수철부재의 각 일방의 단을 빠짐 방지하여 상기 용수철부재에 의한 촉구력을 받는 광폭부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
  6. 전자부품과 접속되는 소켓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전자부품의 전기접점에 접촉하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가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대략 직선상으로 뻗은 직선부를 갖고, 서로의 일단부가 서로의 타단부를 향해 서로의 직선부가 겹치는 자세로 조합하고, 더욱이 상기 타단부에서 만곡하고 유턴하여 상기 타단부와의 사이에서 상대의 상기 일단부를 끼우는 클립부를 갖는 한 쌍의 콘택트 핀;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상기 직선부를 휘감고 상기 한 쌍의 콘택트 핀 쌍방의 상기 클립부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촉구하는 용수철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KR1020120063885A 2011-06-22 2012-06-14 콘택트 및 소켓 KR201300003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8572A JP5726651B2 (ja) 2011-06-22 2011-06-22 コンタクトおよびソケット
JPJP-P-2011-138572 2011-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330A true KR20130000330A (ko) 2013-01-02

Family

ID=47362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3885A KR20130000330A (ko) 2011-06-22 2012-06-14 콘택트 및 소켓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88520B2 (ko)
JP (1) JP5726651B2 (ko)
KR (1) KR20130000330A (ko)
CN (1) CN1028427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20B1 (ko) * 2013-11-08 2015-06-02 (주)아이윈 공차가 확대된 인너브릿지 타입 스프링 프로 브 핀
KR102183498B1 (ko) * 2019-05-31 2020-11-27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스프링을 이용한 도전성 핀과, 이를 이용한 테스트 소켓 및 인터포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9469B2 (en) 2010-08-02 2014-09-09 Protochips, Inc. Electron microscope sample holder for forming a gas or liquid cell with two semiconductor devices
WO2014078402A1 (en) * 2012-11-16 2014-05-22 Protochips, Inc. A method for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o a sample support in an electron microscope holder
JP6531438B2 (ja) * 2015-03-13 2019-06-19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ーブピン、および、これを備えたプローブユニット
JP6597393B2 (ja) * 2016-02-29 2019-10-30 住友電装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EP3471220A1 (en) * 2017-10-16 2019-04-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Bent electric contact element with chamfered edges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10468838B2 (en) * 2017-12-20 2019-11-05 North Inc. Magnetic connector
WO2019240489A1 (ko) 2018-06-12 2019-12-19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캐비티 필터 및 이에 포함되는 커넥팅 구조체
EP3809520A4 (en) * 2018-06-12 2022-03-16 KMW Inc. CAVITY FILTER AND CONNECTION STRUCTURE INCLUDED WITHIN
US11005204B2 (en) * 2018-07-17 2021-05-11 Carlisle Interconnect Technologies, Inc.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02020119282B4 (de) * 2020-07-22 2022-06-09 Md Elektronik Gmbh Kontaktvorrichtung
CN113571931B (zh) * 2021-07-14 2024-02-27 宁波吉利罗佑发动机零部件有限公司 一种电子元器件连接总成及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20545A (en) * 1994-11-21 1996-05-28 The Whitaker Corporation Variable orientation, surface mounted hermaphroditic connector
US5921787A (en) * 1996-07-17 1999-07-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US6074230A (en) * 1998-03-23 2000-06-13 Molex Incorporated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s
JP3287462B2 (ja) 1998-11-06 2002-06-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0584225B1 (ko) 2004-10-06 2006-05-29 황동원 전자장치용 콘택트
CN200959404Y (zh) * 2006-09-13 2007-10-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US7862391B2 (en) * 2007-09-18 2011-01-04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pring contact assembly
US7473104B1 (en) * 2007-12-12 2009-01-06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wo-half contacts for land grid array socket
TWM359094U (en) * 2008-09-01 2009-06-11 Hon Hai Prec Ind Co Ltd Contact of electrical connector
JP5291585B2 (ja) * 2008-11-07 2013-09-18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WO2011036800A1 (ja) * 2009-09-28 2011-03-31 株式会社日本マイクロニクス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JP5352525B2 (ja) * 2010-04-28 2013-11-2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ローブピン用コンタクト、プローブピン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接続治具
TWM398701U (en) * 2010-07-16 2011-02-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ta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120B1 (ko) * 2013-11-08 2015-06-02 (주)아이윈 공차가 확대된 인너브릿지 타입 스프링 프로 브 핀
KR102183498B1 (ko) * 2019-05-31 2020-11-27 주식회사 이노글로벌 스프링을 이용한 도전성 핀과, 이를 이용한 테스트 소켓 및 인터포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42794A (zh) 2012-12-26
JP5726651B2 (ja) 2015-06-03
JP2013008467A (ja) 2013-01-10
US20120329338A1 (en) 2012-12-27
US8888520B2 (en) 201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0330A (ko) 콘택트 및 소켓
US8647129B2 (en) Housingless connector
JP6090930B2 (ja) コネクタ
US9281584B2 (en) Connector
EP2913897B1 (en) Connector structure, female connector and male connector
JP5140125B2 (ja) コネクタ端子の製造方法およびコネクタ端子
JP5737361B2 (ja) コネクタ端子
JP2016173998A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US7247050B1 (en) Press-fit electrical contact
JP2014165066A (ja) コネクタ
TWI555280B (zh) Electrical connector
JP5851186B2 (ja) 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
JP4927454B2 (ja) コネクタ
JP2018085273A (ja) コンタクト、コネクタ部材、コネクタ及び被接続部材
JP5714183B2 (ja) ロック装置が組み込まれたダイレクトプラグインエレメント
JP5459266B2 (ja) 板状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17059352A (ja) コネクタ装置
US9093799B2 (en) Connector apparatus
KR101389064B1 (ko) 커넥터용 단자 장치
JP2011181419A (ja) コネクタ
JP2020202012A (ja) 端子及びコネクタ
WO2022049945A1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接続構造および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7326928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2019021443A (ja) 端子及び端子付き基板
JP6133136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