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644A -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644A
KR20120138644A KR1020120057981A KR20120057981A KR20120138644A KR 20120138644 A KR20120138644 A KR 20120138644A KR 1020120057981 A KR1020120057981 A KR 1020120057981A KR 20120057981 A KR20120057981 A KR 20120057981A KR 20120138644 A KR20120138644 A KR 20120138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carrier tape
holding
winding
sti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7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리 모리모토
유지 시라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ublication of KR20120138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22Changing the web roll in 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winding operations
    • B65H19/30Lifting, transporting, or removing the web roll; Inserting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9Winding, unwinding from or to storage, i.e. the storage integrating winding or unw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적인 처리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는 캐리어 테이프(T0)를 수직으로 유지한 릴(R0)에 권취하는 권취부(101)와, 권취부(101)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에 라벨(L0)을 첩부(貼付)하는 첩부부(104)와, 권취부(101)의 전면(前面)측에 설치된 유지판(105)을 구비하고 있다. 유지판(105)은 릴(R1)을 수직으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위치(α)와, 제1 유지 위치(α)에 대하여 90° 회전하여 릴(R1)을 수평으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위치(β)를 취한다. 반송 트레이(103)가 제2 유지 위치(β)를 취하는 유지판(105)으로부터 릴(R1)을 수취하여 첩부부(104)측으로 이동할 때, 동시에 반송 트레이(103) 상의 라벨 부착 릴(R2)이 반송 트레이(103)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고, 스토커(102) 내에 수납된다.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CARRIER TAPE WINDING STORAGE DEVICE AND CARRIER TAPE WINDING STORAGE METHOD}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여 스토커에 수납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卷取)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고, 이 권취를 마친 릴을 스토커에 수납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에 대하여, 전자 부품의 정보를 나타내는 라벨을 더 첩부(貼付)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에 대하여 라벨을 더 첩부할 경우, 라벨을 첩부하는 작업분 만큼 처리 시간이 길어지며, 이 때문에 처리 시간의 단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에 대하여 라벨을 더 첩부해도, 크게 처리 시간을 연장시키지 않고, 처리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고,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을 스토커에 수납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수직으로 유지한 릴에 권취하는 권취 수단과, 권취 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릴에 라벨을 첩부하여 라벨 부착 릴을 제작하는 첩부 수단과, 권취 수단으로부터의 릴을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위치와, 제1 유지 위치에 대하여 90° 회전하여 릴을 수평 방향으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유지 수단과,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의 하방에 설치되며, 라벨 부착 릴을 수납하는 스토커와,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과, 첩부 수단 사이에 수평 방향에 배치되고,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하여 첩부 수단에 반송하고, 첩부 수단으로부터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 상에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반송 수단이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할 때,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측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이다.
본 발명은, 제2 유지 위치에 있는 유지 수단은, 릴을 유지하는 상면과, 상면과 반대측에 있어서 반송 수단에 마주하는 하면을 갖고, 유지 수단의 하면에, 반송 수단이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에 맞닿아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측으로 낙하시키는 볼록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이다.
본 발명은, 반송 수단은 릴 및 라벨 부착 릴을 유지하는 반송판과, 반송판 중 첩부 수단과 반대측 단부(端部)에 설치되며, 제2 유지 위치에 있는 유지 수단 상의 릴과 맞닿은 프레임을 갖고, 이 프레임에 반송 수단이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유지 수단 및 라벨 부착 릴을 통과시키는 공극(空隙)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이다.
본 발명은, 반송 수단의 프레임에, 반송 수단이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제2 유지 위치에 있는 유지 수단 상의 릴에 맞닿아 반송판 상에서 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압출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이다.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여 스토커에 수납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에 있어서, 권취 수단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수직으로 유지한 릴에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유지 수단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을 권취 수단으로부터 수취하여 수직 방향의 제1 유지 위치에 유지함과 함께, 그 후 유지 수단이 90° 회전하여 수평 방향의 제2 유지 위치에 릴을 유지하는 유지 공정과, 첩부 수단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라벨을 첩부하여 라벨 부착 릴을 제작하는 첩부 공정과,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과, 첩부 수단 사이에 수평 방향에 배치된 반송 수단을 이용하여,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하여 첩부 수단에 반송하고, 첩부 수단으로부터 라벨 부착 릴을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에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구비하고, 반송 수단이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할 때,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을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 하방의 스토커측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 수단이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할 수 있고, 동시에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측으로 낙하하여 수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송 수단이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하는 작업과,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측으로 낙하시키는 작업을 동시에 행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의 X 방향에서 본 도면.
도 3은 도 1에서의 Y 방향에서 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9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10은 도 6 내지 도 9에서의 유지판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11은 도 6 내지 도 9에서의 유지판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12는 도 6 내지 도 9에서의 유지판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13은 도 6 내지 도 9에서의 유지판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14는 도 6 내지 도 9에서의 유지판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16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17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18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19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4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5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6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7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8의 (a), (b)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29는 도 24 내지 도 28에서의 반송 트레이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30은 도 24 내지 도 28에서의 반송 트레이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31은 도 24 내지 도 28에서의 반송 트레이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32는 도 24 내지 도 28에서의 반송 트레이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33은 도 24 내지 도 28에서의 반송 트레이 상의 릴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상태 천이도.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상태 천이도.
도 37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지판 하면의 볼록부의 다른 예.
도 3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지판 하면의 볼록부의 다른 예.
도 39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압출 수단의 다른 예.
도 40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프레임의 압출 수단의 다른 예.
도 41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42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43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44의 (a), (b)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45의 (a), (b)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46의 (a), (b)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47의 (a), (b)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48의 (a), (b)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49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0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1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2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3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54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5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6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7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8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59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0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1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2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3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4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5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6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7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8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69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0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1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2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3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4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5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6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7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8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9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0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1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2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3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4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5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6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7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8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89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90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91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상태 천이도.
도 92는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상태 천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 내지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는, 전자 부품 등의 워크(W)를 유지하여 수납한 장척(長尺) 형상의 캐리어 테이프(T0)(도 4 참조)를 원판 형상의 공(空)릴(R0)에 권취하며, 권취한 릴(R1)에 대하여 라벨(L0)을 첩부하여 라벨 부착 릴(R2)을 제작하고, 이 라벨 부착 릴(R2)을 스토커(102)에 낙하시켜 수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T0)를 수직으로 유지한 공릴(R0)에 권취하는 권취부(101)와, 권취부(101)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공릴(R0)에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하여 제작된 릴(R1)에 대하여 라벨(L0)을 첩부하여 라벨 부착 릴(R2)을 제작하는 첩부부(104)와, 권취부(101)로부터의 릴(R1)을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위치(α)와, 제1 유지 위치(α)에 대하여 90° 회전하여 릴(R1)을 수평 방향으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위치(β)를 취하는 유지판(105)과, 제2 유지 위치(β)를 취하는 유지판(105)의 하방에 설치되며 라벨 부착 릴(R2)을 수납하는 스토커(10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권취부(101)는 내부에 회전 가능한 모터를 설치한 회전 구동부(101a)를 갖고, 모터의 회전축(101b)은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前面)에 돌출하며, 모터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의 유지판(105)이 배치되어 있다. 유지판(105)은 장방형의 얇은 판이고, 그 한 변에는 위치 결정 블록(106)이 고착되어 있다. 위치 결정 블록(106)은 직방체 형상을 갖고, 중앙부에 유지판(105)의 판면측이며 판면에 대하여 직교하여 원호 형상의 위치 결정 오목부(10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오목부(106a)는 릴의 반경과 대략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고 있다.
유지판(105)은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수직이 되는 제1 유지 위치(α)와 수평이 되는 제2 유지 위치(β) 사이에서, 화살표 J 및 화살표 K와 같이 대략 90° 회전한다.
도 1에서, 유지판(105)이 제1 유지 위치(α)에 있을 경우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2 유지 위치(β)에 있을 경우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유지판(105)이 제1 유지 위치(α)에 있을 경우에는,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은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과 유지판(105) 사이에 수직으로 유지된다. 이때, 위치 결정 오목부(106a)는 상측을 향하여 개구한다. 또한, 유지판(105)이 제2 유지 위치(β)에 있을 경우에는,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R1)은 유지판(105)의 상면에 수평으로 재치(載置)된다. 유지판(105)의 한 면(제2 유지 위치(β)를 취하는 유지판(105)의 하면)에는, 첩부부(104)에 가까운 한 변의 약간 내측에 볼록부로서의 2개의 돌기(105a1, 105a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105a1, 105a2)는, 유지판(105)이 제1 유지 위치(α)에 있을 경우에는 회전 구동부(101a)의 반대측에 있고, 유지판(105)이 제2 유지 위치(β)에 있을 경우에는 하측에 온다.
첩부부(104)는 권취부(101)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에 캐리어 테이프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의 품명, 정격, 제조 로트 번호 등을 기재한 라벨을 첩부하는 첩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첩부부(104)는 내부에 회전 가능한 모터를 설치한 베이스(104a)를 갖고, 베이스(104a)의 상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한 스핀들(104b)을 갖는 턴 테이블(104c)이 설치되어 있다. 이 턴 테이블(104c)은 베이스(104a) 내부의 모터에 의해 화살표 U 방향으로 회전함과 함께,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F 및 화살표 G 방향으로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04a)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이 되는 위치에 프린터(104d)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104d)는 릴(R1)에 첩부하는 라벨을 인쇄하는 기능을 갖고, 프린터(104d)의 전면에는 인쇄된 라벨을 재치하기 위한 라벨 재치대(104e)가 설치되어 있다.
권취부(101)의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과, 첩부부(104)의 베이스(104a)의 상면 사이에,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D 및 화살표 E 방향으로 왕복하는 반송 수단으로서의 반송 트레이(103)가 설치되어 있다. 반송 트레이(103)는 장방형의 평판 형상을 이루는 반송판(103A)과, 반송판(103A) 중 첩부부(104)와 반대측 단부(端部)에 설치된 프레임(103b)을 갖고, 반송판(103A)에는 턴 테이블(104c)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는 통과 구멍(103a)이 개구해 있다.
반송 트레이(103)의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에 있어서의 정지 위치는 스토커(102)의 바로 위이며, 또한 제2 유지 위치(β)에 있는 유지판(105)과 대향하는 위치 즉 유지판(105)의 바로 아래이다. 또한, 반송 트레이(103)의 베이스(104a)의 상면에 있어서의 정지 위치는, 통과 구멍(103a)이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가 되는 위치이다.
도 1에서는, 반송 트레이(103)가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에 있어서의 정지 위치에 정지해 있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반송 트레이(103)는 그 상면에 권취부(101)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R1)을 수평으로 재치하여, 권취부(101)로부터 첩부부(104)를 향하여 반송하고, 첩부부(104)에 있어서 수평으로 유지되어 라벨을 첩부한 릴(라벨 부착 릴)(R2)을 수평으로 재치하여, 첩부부(104)로부터 권취부(101)를 향하여 반송한다. 반송판(103A)의 첩부부(104)로부터 먼 측의 단부가 되는 한 변에는 프레임(103b)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103b)은 반송판(103A)에 가까운 하측에 공극(103d)을 갖고, 프레임(103b)과 반송판(103A)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103b) 중 공극(103d)의 상측 부분에는, 압출 수단으로서의 압출판(103c1 및 103c2)이 설치되어 있다. 압출판(103c1 및 103c2)은 프레임(103b)으로부터 첩부부(104)측을 향하여 서로 반대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한 2매의 평판으로 이루어진다.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R1)이 제2 유지 위치(β)에 있는 유지판(105)의 상면에 수평으로 재치되고, 라벨을 첩부한 릴(R2)이 유지판(105)의 바로 아래 위치에 정지해 있는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수평으로 재치되어 있는 모양을, 도 1에서의 X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2에 나타낸다. 또한, 같은 모양을 도 1에서의 Y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3에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판(105)은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R1)을 상면에 수평으로 재치하고, 압출판(103c1, 103c2)은 유지판(105)의 상면측이며 또한 릴(R1)과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해 있다. 또한, 유지판(105)의 하면에 설치된 돌기(105a1, 105a2)는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수평으로 재치된 릴(R2)에 대하여, 반송 트레이(103)가 첩부부(104)를 향하여 이동하는 화살표 D 방향, 즉 첩부부(104)에 가까운 측에 위치해 있으며, 그 하단은 릴(R2)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수평으로 재치된 릴(R2)과 유지판(105)은, 프레임(103b)의 반송판(103A)에 가까운 하측에 설치된 공극(103d)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트레이(103)의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에 있어서의 정지 위치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첩부부(104)에 있어서 라벨을 첩부한 릴(R2)을 수납하는 스토커(102)가 배치되어 있다. 스토커(102)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화살표 B 및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재치 테이블(102a)을 갖는다.
스토커(102)의 재치 테이블(102a)은 3방향을 스토커 프레임(102b1, 102b2, 102b3)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재치 테이블(102a)의 장치 전면측은 해방되어 있다. 또한, 재치 테이블(102a)은 장치 전면측이 스토커 프레임(102b2)측보다 약간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100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설명에 관련하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도면 중의 유지판(105)은 투명체로서 그려져 있지만, 실제의 장치에 있어서는 유지판(105)을 특별히 투명체에 의해 형성할 필요는 없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의 작용, 즉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에 대해서, 도 4 내지 도 34를 이용하여 이하 상술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히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R1)」을 단순히 「릴(R1)」이라고 기재하고, 마찬가지로, 「라벨을 첩부한 릴(R2)」을 단순히 「릴(R2)」이라고 기재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릴(R0)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장치(100)에 공급되며, 제어부(100a)의 작용에 의해, 반송 기구(도시 생략)가 릴(R0)을 반송한다. 그리고, 반송 기구는 캐리어 테이프(T0)를 릴(R0)에 권취하는 권취 수단으로서의 권취부(101)를 구성하는 회전 구동부(101a) 내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101b)과, 릴(R0)의 대략 중심부에 마련된 단면이 원 형상인 중심 구멍(Rc)을 감합(嵌合)시키도록 릴(R0)을 위치 결정한다.
다음으로, 장착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릴(R0)의 중심 구멍(Rc)이 회전축(101b)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접속 기구(도시 생략)가 전자 부품 등의 워크(W)를 수납한 장척의 캐리어 테이프(T0)의 선단부를 릴(R0)의 홈부(도시 생략)에 삽입하여, 캐리어 테이프(T0)가 릴(R0)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제어부(100a)의 작용에 의해, 회전 구동부(101a) 내에 설치된 모터가 회전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회전축(101b)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릴(R0)이 수직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캐리어 테이프(T0)가 릴(R0)에 권취된다.
이때 유지판(105)은 제1 유지 위치(α)에 위치해 있으며, 반송 트레이(103)는 스토커(102)의 바로 위 위치에 정지해 있다. 반송 트레이(103) 및 재치 테이블(102a) 상에는 아무것도 재치되어 있지 않고, 재치 테이블(102a)은 스토커 프레임(102b1, 102b2, 102b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가장 높은 위치 즉 반송 트레이(103)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 이것이 재치 테이블(102a)의 초기 위치이다.
도 5에 캐리어 테이프(T0)의 권취가 완료된 직후의 모양을 나타낸다. 권취가 완료되었음을 제어부(100a)가 검지하면, 절단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여분의 캐리어 테이프(T0)가 절취(切取)된다. 그리고,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은, 반송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101b)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살표 M1 방향으로 반송되며,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과 제1 유지 위치(α)에 있는 유지판(105) 사이의 공간에 수직으로 유지된다.
이때, 유지판(105)의 하단에 고착된 위치 결정 블록(106)에 형성된 위치 결정 오목부(106a)는 상측을 향하여 개구해 있으며, 또한 이 위치 결정 오목부(106a)의 곡률 반경이 릴(R1)의 반경과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릴(R1)의 하단부와 위치 결정 오목부(106a)가 안정되게 접촉하고, 릴(R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제1 유지 위치(α)에 있어서 릴(R1)의 위치 결정이 행해졌음을 제어부(100a)가 검지하면, 반송 기구(도시 생략)가 다시 공릴(R0)을 권취부(101)를 향하여 반송하고, 장착 기구(도시 생략)가 회전축(101b)에 릴(R0)을 고정 장착한다. 이를 릴 교환이라고 부른다.
다음으로 도 6과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유지판(105)이 제1 유지 위치(α)로부터 화살표 J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하여, 제2 유지 위치(β)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릴(R1)도 대략 90° 회전하여 수평 위치를 취하고, 제2 유지 위치(β)에 있어서 수평으로 유지된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된다.
여기에서, 릴(R1)에 라벨을 첩부하는 위치는 미리 정해져 있으며, 도 6에서는 그 위치를 파선으로 둘러싸서 라벨 첩부 영역(La)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단, 실제의 릴(R1)에는 파선은 기재되어 있지 않고, 라벨 첩부 영역(La)의 위치는 첩부부(104)에 설치된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검지되고 있다.
제2 유지 위치(β)에 있어서 유지판(105)의 상면에 릴(R1)이 재치되었음을 제어부(100a)가 검지하면, 도 7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트레이(103)가 첩부부(104)를 향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트레이(103)의 화살표 D 방향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프레임(103b)에 설치된 압출판(103c1 및 103c2)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된 릴(R1)의 외주(外周)에 맞닿는다.
그동안,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판(105)은 프레임(103b)에 마련된 공극(103d)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해 있으므로, 반송 트레이(10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판(105)은 공극(103d)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R1)은 압출판(103c1 및 103c2)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으로 밀려, 유지판(105)의 상면으로부터 화살표 M2 방향으로 낙하하여,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이재(移載)된다.
도 6 내지 도 9에서의 유지판(105) 상의 릴(R1)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으로서,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낸다. 도 10은 도 6에서 릴(R1)이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된 모양을 나타낸다. 릴(R1)의 단부는 위치 결정 오목부(106a)와 접촉한 상태에 있다.
여기에서부터 반송 트레이(103)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판(103c1 및 103c2)은 유지판(105)의 상면측이며 또한 릴(R1)과 대략 동일 높이에 위치해 있다. 이 때문에, 이동 개시 후 잠시 후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판(103c1)이 릴(R1)의 외주에 점(γ1)에서 맞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반송 트레이(10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더 이동하면, 점(γ1)에서의 맞닿음에 기인하는 힘에 의해, 릴(R1)은 위치 결정 오목부(106a)로부터 이간(離間)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판(103c1 및 103c2)에 각각 점(γ1) 및 점(γ2)에서 맞닿으면서,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R1)은 유지판(105)의 상면으로부터 압출되어, 그 후 도 9 중의 화살표 M2와 같이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이재된다.
이상의 설명에 따라, 릴(R1)이 유지판(105)의 상면으로부터 압출되어,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이재될 때까지의 모양을, 도 6 내지 도 9에서는, 도 1에서의 X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6의 (b) 내지 도 9의 (b)로 표기하고 있다. 이 유지판(105)으로부터 반송 트레이(103)에의 이재시에, 반송판(103A)에 있어서 통과 구멍(103a)을 릴(R1)이 유지판(105)으로부터 이재되는 위치 근방에 개구함으로써, 반송 트레이(103)의 진행 방향에 따른 릴(R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지고,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된 릴(R1)의 외주가 압출판(103c1, 103c2)에 2점에서 맞닿아 압출됨으로써, 반송 트레이(103)의 진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릴(R1)의 위치 결정이 행해진다. 이들 위치 결정에 의해, 유지판(105)으로부터 반송 트레이(103)에 이재된 릴(R1)은, 반송판(103A)에 개구하는 통과 구멍(103a) 상에 재치된다.
그리고, 반송 트레이(103)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D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도 16과 같이, 첩부부(104)를 구성하는 베이스(104a)의 상측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판(103A)에 개구하는 통과 구멍(103a)(도 1)이 베이스(104a) 상에 설치된 턴 테이블(104c)(도 1)의 바로 위가 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위치 결정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릴(R1)의 중심 구멍(Rc)이 턴 테이블(104c)의 스핀들(104b)의 바로 위가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한편, 도 16에서 전체 사시도를 도 16의 (a)로서 표기하며, 위치 결정된 반송 트레이(103), 릴(R1)의 중심 구멍(Rc), 및 턴 테이블(104c)을 도 16의 (a)의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16의 (b)에 나타낸다.
이 시점에서 권취부(101)에 있어서의 릴 교환이 완료되고, 회전축(101b)과 새로운 공릴(R0)의 중심 구멍(Rc)의 위치 결정 및 고정 장착이 행해져, 캐리어 테이프(T0)와 릴(R0)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회전 구동부(101a) 내에 설치된 모터가 회전을 개시하여 회전축(101b)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캐리어 테이프(T0)의 공릴(R0)에의 권취가 개시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릴(R1)의 중심 구멍(Rc)과 턴 테이블(104c)의 스핀들(104b)의 위치 결정이 행해졌음을 제어부(100a)가 검지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턴 테이블(104c)이 화살표 F 방향으로 상승하여, 바로 위에 위치하는 반송판(103A)의 통과 구멍(103a)(도 1)을 관통한다. 그리고, 릴(R1)의 중심 구멍(Rc)이 스핀들(104b)에 감합하여 고정 장착된다.
다음으로, 릴(R1)에 설치된 라벨 첩부 영역(La)의 위치가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검출 정보가 제어부(100a)에 송부된다. 그리고, 이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100a)가 구동 기구(도시 생략)를 구동시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벨 첩부 영역(La)이 프린터(104d)의 직전 위치가 되도록 화살표 U 방향으로 턴 테이블(1O4c)이 회전하여 정지한다.
다음으로, 라벨 첩부 영역(La)이 프린터(104d)의 직전 위치가 되었음을 제어부(100a)가 검지하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 테이블(104c)이 화살표 G 방향으로 하강하고, 릴(R1)의 중심 구멍(Rc)이 스핀들(104b)로부터 벗어난다. 그리고, 그동안에 프린터(104d)가 라벨(L0)을 인쇄하여 라벨 재치대(104e) 상에 재치한다. 이때, 라벨(L0)의 하면에는 첩부용 풀이 부착되어 있지만, 라벨 재치대(104e)의 상면은, 풀에 의해 라벨(L0)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그동안에,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유지판(105)은 제2 유지 위치(β)로부터 화살표 K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하여, 제1 유지 위치(α)로 돌아간다. 또한,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장치의 사시도를 도 17의 (a) 내지 도 19의 (a)로서 표기하고, 도 17의 (a) 내지 도 19의 (a)에서의 V 방향에서 본 도면을 도 17의 (b) 내지 도 19의 (b)로서 표기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a)의 작용에 의해, 라벨 재치대(104e)에 재치된 라벨(L0)은 흡착 노즐(도시 생략)에 흡착된 상태에서, 화살표 N과 같이 릴(R1)의 라벨 첩부 영역(La)을 향하여 반송되고, 흡착 노즐은 라벨(L0)을 흡착한 채 라벨 첩부 영역(La)에 라벨(L0)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첩부한다. 그 후, 흡착 노즐은 흡착을 해제하여 라벨 첩부 영역(La)으로부터 이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첩부부(104)는 반송 트레이(103)에 릴(R1)을 수평으로 재치한 상태에서 라벨(L0)을 첩부한다.
라벨(L0)이 릴(R1)에 첩부되었음을 제어부(100a)가 검지하면, 라벨(L0)을 첩부한 릴(R2)을 재치한 반송 트레이(103)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부(101)를 향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4와 같은 스토커(102)의 바로 위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음으로, 권취부(101)에 있어서의 캐리어 테이프(T0)의 권취가 완료되고, 이를 제어부(100a)가 검지한다. 이 모양을 도 23에 나타낸다.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은, 도 5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절단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여분의 캐리어 테이프(T0)가 절취되고, 반송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101a)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살표 M1 방향으로 반송되고, 회전 구동부(101a)의 전면과 제1 유지 위치(α)에 있는 유지판(105) 사이에 수직으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유지판(105)이 제1 유지 위치(α)로부터 화살표 J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하여, 제2 유지 위치(β)로 이동한다. 이에 수반하여 릴(R1)도 대략 90° 회전하여 수평이 되고, 제2 유지 위치(β)에 있어서 수평으로 유지된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된다. 이 동작은 도 6에 나타내는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이지만, 도 24에서 릴(R1)이 제2 유지 위치(β)에 있어서 수평으로 유지된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되었을 때, 유지판(105)의 하면과 대향하는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는, 라벨(L)을 첩부한 릴(R2)이 재치되어 있다. 이 점은 도 6에 나타내는 경우와는 상이하다.
다음으로,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트레이(103)가 첩부부(104)를 향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이 점은 도 7에 나타내는 경우와 대략 마찬가지이며, 도 25 내지 도 28에서의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된 릴(R1)과 압출판(103c1 및 103c2)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9와 대략 마찬가지이다.
그동안, 도 25에서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재치되어 있는 라벨(L0)을 첩부한 릴(R2)은, 도 26에서 유지판(105)의 하면에 설치된 돌기(105a1, 105a2)와 맞닿아, 반송 트레이(103)와 함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R2)은 프레임(103b)의 반송판(103A)에 가까운 하측에 마련된 공극(103d)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해 있으므로, 반송 트레이(10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면, 반송 트레이(103)와 함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 상태인 채로, 도 26 내지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극(103d)을 통과할 수 있다.
그 후, 릴(R2)은 도 27에서의 화살표 M3 방향으로 낙하하여,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커(102)의 재치 테이블(102a) 상에 수납된다. 릴(R2)이 재치 테이블(102a) 상에 수납되었음을 제어부(100a)가 검지하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재치 테이블(102a)은 도 1에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하강한다. 그 후에도 재치 테이블(102a)은, 릴(R2)이 1개 재치될 때마다,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하강한다.
재치 테이블(102a)이 그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되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재치 테이블(102a) 상에 릴(R2)이 가득 채워졌음을 의미한다. 스토커(102)에는 그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그 검지 정보가 음(音)과 표시에 의해 외부에 통지되며, 캐리어 테이프 권취 장치(100)는 동작을 정지한다.
이 통지에 의해, 장치의 담당자는 스토커(102) 내의 릴(R2)을 전부 반출한다. 릴(R2)이 전부 반출되었음을 상기 센서가 검지하면, 재치 테이블(102a)은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릴(R2)이 가득 채워지는 수량은 20개 내지 30개 정도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도 24에서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된 릴(R1)은, 반송 트레이(103)가 도 25에 나타내는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하면, 도 26 내지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판(103c1, 103c2)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D 방향으로 밀려, 유지판(105)의 상면으로부터 도 28에 나타내는 화살표 M4 방향으로 낙하하여, 직전에 릴(R2)이 재치 테이블(102a)로 낙하하여 비워진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이재된다. 이때의 압출판(103c1, 103c2)의 작용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유지판(105)의 상면으로부터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릴(R1)이 이재되면, 반송 트레이(103)는 도 28에 나타내는 화살표 D 방향으로 더 이동하고,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부(104)를 구성하는 베이스(104a)의 상측에 있어서, 반송판(103A)에 개구하는 통과 구멍(103a)(도 1)이 베이스(104a) 상에 설치된 턴 테이블(104c)(도 1)의 바로 위가 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 후, 첩부부(104)의 작용에 의해, 도 17 내지 도 20과 마찬가지로 릴(R1)에 라벨 첩부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반송 트레이(103) 상의 릴(R2)의 거동을 이하 상술한다. 여기에서 도 24 내지 도 28에서의 반송 트레이(103) 상의 릴(R2)의 이동의 모양을, 도 1에서의 Z 방향에서 본 도면(평면도)으로서, 도 29 내지 도 33에 나타낸다. 단,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도 29 내지 도 33에서는 유지판(105)의 상면에 재치된 릴(R1)을 생략하고, 투시도로서 표기하고 있다.
도 29는 도 24에서 릴(R2)이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재치된 모양을 나타낸다. 우선 반송 트레이(103)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을 개시한다. 여기에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판(105)의 하면에 마련된 돌기(105a1 및 105a2)는,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수평으로 재치된 릴(R2)에 대하여, 반송 트레이(103)가 첩부부(104)를 향하여 이동하는 화살표 D 방향, 즉 첩부부(104)에 가까운 측에 위치해 있고, 그 하단은 릴(R2)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반송 트레이(103)의 이동 개시 후 잠시 후에,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105a1)가 릴(R2)의 외주에 점(δ1)에서 맞닿는다.
이 상태로부터 반송 트레이(103)가 더 이동하면, 점(δ1)에서의 맞닿음에 기인하는 힘에 의해, 릴(R2)은 도 31 및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105a1, 105a2)에 각각 점(δ1) 및 점(δ2)에서 맞닿으면서,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그리고,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R2)은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으로부터 압출되어, 그 후 도 27에서의 화살표 M3과 같이 스토커(102)의 재치 테이블(102a) 상으로 낙하한다.
이상과 같이, 릴(R2)이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으로부터 압출되어, 재치 테이블(102a) 상으로 낙하하고, 그 후, 릴(R1)이 유지판(105)의 상면으로부터 압출되어, 반송 트레이(103)의 상면에 이재된다. 그동안의 모양을, 도 24 내지 도 28에서는, 도 1에서의 X 방향에서 본 도면으로서, 도 24의 (b) 내지 도 28의 (b)로 표기하고 있다. 단, 간단하게 하기 위해, 재치 테이블(102a)을 비롯한 스토커(102)는 표기하고 있지 않다.
이상과 같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장치(100)의 동작을, 각 부의 명칭을 횡축에, 시각을 종축에 취한 상태 천이도로서 도 35에 나타낸다. 도 35에서 시각 t1 내지 t10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t1은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 완료이다. 또한, t2는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R1)의 회전축으로부터의 분리 개시이다. 또한, t3은 수평인 릴(R1)의 반송 수단에의 이재 개시이다. 또한, t4는 릴(R1)의 권취부로부터 첩부부에의 반송 개시이다. 또한, t5는 릴(R1)의 첩부부에의 반송 완료이다. 또한, t6은 라벨 첩부 개시이다. 또한, t7은 라벨 첩부 완료이다. 또한, t8은 릴(R2)의 첩부부로부터 권취부에의 반송 개시이다. 또한, t9는 릴(R2)의 권취부에의 반송 완료이다. 또한, t10은 릴(R2)의 스토커에의 수납이다. 시간은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경과하고 있다. 즉, 시각 t1, t2 순으로 시간이 경과하고, 시각 t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각 t5 및 시각 t6과 동일하며, 시각 t9 후의 시각 t1에서 1주기가 된다. 또한, 도 35에서 프레임 내에는 각 부의 상태 혹은 동작을 기재하고, 대응하는 도면이 있을 경우에는, 당해의 도면번호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릴(R1, R2)의 이동 경로를, 화살표(φ1) 내지 화살표(φ7)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35와 후술하는 비교예의 상태 천이도로서의 도 91을 비교하면, 도 91에서는 시각 t1에서 시각 t10까지가 이 순서로 직렬로 경과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도 35에서는 시각 t3과 시각 t4, 시각 t5와 시각 t6과 시각 t10, 시각 t7과 시각 t8이 각각 동일 시점에서 경과하고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시각 t3과 시각 t4, 즉 수평인 릴(R1)의 반송 수단에의 이재 개시와 릴(R1)의 권취부로부터 첩부부에의 반송 개시가 대략 동시에 실행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도 25 내지 도 28에서, 반송 트레이(10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2 유지 위치(β)에 위치하는 유지판(105) 상에 재치된 릴(R1)이, 반송판(103A)의 프레임(103b)에 설치된 압출판(103c1 및 103c2)에 의해 압출되어 반송 트레이(103) 상에 이재되는 것에 대응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시각 t5와 시각 t6에 대해서는, 도 16 내지 도 20에서, 첩부부(104)는 릴(R1)을 반송 트레이(103) 상에 재치한 상태에서 라벨 첩부를 행하고 있기 때문에, 릴(R1)의 첩부부(104)에의 반송 완료 시점인 시각 t5와 라벨 첩부 개시인 시각 t6이 동일 시점이 된다. 또한, 시각 t6과 시각 t10에 대해서는, 도 25 내지 도 28에서, 반송 트레이(103)가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반송 트레이(103) 상에 재치된 릴(R2)이 유지판(105)의 하면에 설치된 돌기(105a1, 105a2)와 맞닿고, 반송 트레이(103)와 함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며, 스토커(102)의 재치 테이블(102a) 상에 수납되기 때문에, 라벨 첩부 개시인 시각 t6과 릴(R2)의 스토커(102)에의 수납인 시각 t10이 동일 시점이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시각이 동일 시점이 되는 것은, 처리 시간이 단축되는 것에 다름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실제 처리 시간의 예를 들면, 시각 t1에서 시각 t6까지, 즉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 완료에서 라벨 첩부 개시까지의 시간은 약 12초이다.
비교예에 있어서는, 이 시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 38초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각 t7에서 시각 t9까지, 즉 라벨 첩부 완료에서 릴(R2)의 권취부에의 반송 완료까지의 시간은 약 2초이다. 비교예에 있어서는, 이 시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 19초이다. 또한, 비교예에 있어서의 시각 t9에서 시각 t10까지, 즉 릴(R2)의 권취부에의 반송 완료에서 릴의 스토커에의 수납까지의 시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약 8초이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릴의 스토커에의 수납은, 시각 t4에서 시각 t5까지, 즉 릴(R1)의 권취부에서 첩부부에의 반송 개시에서 릴(R1)의 첩부부에의 반송 완료까지 사이에 행해진다.
이 때문에 비교예에 있어서의 시각 t9에서 시각 t10까지, 즉 릴(R2)의 권취부에의 반송 완료에서 릴의 스토커에의 수납까지의 시간에 상당하는 시간은,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각 t4에서 시각 t5까지, 즉 릴(R1)의 권취부에서 첩부부에의 반송 개시에서 릴(R1)의 첩부부에의 반송 완료까지의 시간에 포함되어지기 때문에, 이 시간은 처리 시간에 가산되지 않는다. 또한, 시각 t6에서 시각 t7까지, 즉 라벨 첩부 개시에서 완료까지의 시간은 비교예와 동일한 약 27초이다. 그 이유는, 첩부부의 기능이 후술하는 비교예와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상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의 처리 시간의 1주기는, 시각 t9에서 시각 t10까지의 5초는 가산되지 않고, 12+27+2=약 41초이다. 이 값은 후술하는 비교예의 경우의 약 84초에 비해, 약 50% 단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의 1주기의 처리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교예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진퇴 가능한 고정 클로를 내장하는 고정 유닛을 장착한 상하 이동 가능한 반송 아암을 이용하여 릴(R1, R2)을 고정하는 것에 대하여, 유지판 혹은 반송 트레이 상에 릴(R1, R2)을 재치한 상태에서, 반송 트레이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유지판에 설치된 돌기의 작용에 의해 릴(R2)을 반송 트레이로부터 스토커에 수납하고, 아울러 반송 트레이에 설치한 압출판의 작용에 의해, 릴(R1)을 유지판으로부터 반송 트레이에 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비교예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 클로의 진퇴나 반송 아암의 상하 이동 등과 같이 시간을 요하는 동작에 의해 릴의 수납, 이재 등의 취급을 개별적으로 실행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송 트레이의 수평 방향의 이동시에 그 이동 방향으로 작동하는 힘을 이용하여, 릴의 수납, 이재 등의 취급을 동시에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대폭 단축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첩부부에 있어서 반송 트레이에 릴(R1)을 재치한 상태에서 라벨을 첩부하고 있다. 이는, 후술하는 비교예와 같이, 반송 아암으로부터 첩부대에 릴(R1)을 이재하고 나서 첩부부가 라벨 첩부를 행하는 것이 아니므로, 라벨 첩부가 완료될 때까지 반송 트레이(비교예에 있어서의 반송 아암)가 권취부에 퇴피하여, 라벨 첩부가 완료되고 나서 첩부부로 복귀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출판의 작용에 의해, 릴(R1)을 유지판으로부터 반송 트레이에 이재하기 때문에, 제2 유지 위치에서 반송 트레이를 유지판의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비교예와 같이, 유지판이 대략 90° 회전을 완료할 때 까지 반송 트레이(비교예에 있어서의 반송 아암)가 첩부부로 퇴피하여, 회전 완료 후에 권취부로 복귀할 필요가 없다. 이들 퇴피와 복귀를 불필요한 것으로 함으로써, 전체의 처리 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릴의 스토커에의 수납을, 릴(R1)의 권취부로부터 첩부부에의 반송 개시에서 릴(R1)의 첩부부에의 반송 완료까지 사이에 동시에 행하기 때문에, 그만큼 처리 시간이 단축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가 완료될 때까지의 시간이 변화되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릴에 권취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고, 다양한 길이이다. 이 때문에, 권취부가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에 요하는 시간도 다양하다. 도 35에서의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에 요하는 시간은, 시각 t3의 약간 후부터 시각 t1까지의 Ta이다. 이에 대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길이가 짧고, 도 35에서의 시간 Ta보다 짧은 시간에서 권취가 완료되었을 경우의 상태 천이도를 도 36에 나타낸다. 도 36에서의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에 요하는 시간은, 시각 t3의 약간 후부터 시각 t1까지의 Tb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 시간이 단축되고 있으며, 도 35 및 도 36의 시각 t9의 시점에서 반송 트레이는 릴(R2)을 재치한 상태에서 권취부에 정지해 있다. 이 상태는, 반송 트레이가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가 완료된 릴(R1)을 수취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도 36에서 시각 t9 직후의 시각 t1에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가 완료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바로 유지판의 회전에 의해 릴(R1)을 수평으로 유지하고, 반송 트레이를 권취부로부터 첩부부를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릴(R1)을 반송 트레이에 이재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릴(R1, R2)의 고정, 반송의 소요 시간을 단축한 것에 의한 처리 시간의 단축에 의해, 비교예에 비해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 시간의 변동에 대한 융통성이 향상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해서 기술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판(105)의 하면에 볼록부로서 2개의 돌기(105a1, 105a2)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볼록부의 형상은 2개의 돌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볼록부의 다른 예를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낸다.
도 37은 도 1에서 반송판(103A)의 프레임(103b)에 설치한 압출판(103c1 및 103c2)과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는 2개의 정지판(105b1 및 105b2)을 유지판(105)의 하면에 설치한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8은 도 1에서 위치 결정 블록(106)의 중앙부에 설치한 위치 결정 오목부(106a)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는 정지판(105c)을 유지판(105)의 하면에 설치한 모양을 나타낸다. 정지판(105b1, 105b2, 105c)은 모두, 유지판(105)의 하측에 위치하는 반송 트레이(103)가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반송 트레이(103)에 재치된 릴(R2)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릴(R2)을 스토커(102)로 낙하시켜 수납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송판(103A)의 프레임(103b)에 설치하는 압출 수단으로서, 프레임(103b)으로부터 첩부부(104)측을 향하여 서로 반대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한 2매의 평판인 압출판(103c1 및 103c2)을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압출 수단의 형상은 서로 반대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한 2매의 평판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압출 수단의 다른 예를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낸다.
도 39는 도 1에서 유지판(105)의 일면에 설치한 2개의 돌기(105a1, 105a2)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는 2개의 압출 돌기(103e1 및 103e2)를, 프레임(103b)의 첩부부(104)측을 향하여 설치한 모양을 나타낸다. 또한, 도 40은 도 1에서 위치 결정 블록(106)의 중앙부에 마련한 위치 결정 오목부(106a)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갖는 압출판(103f)을, 프레임(103b)의 첩부부(104)측을 향하여 설치한 모양을 나타낸다. 압출 돌기(103e1, 103e2), 압출판(103f)은 모두, 유지판(105)의 하측에 위치하는 반송 트레이(103)가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유지판(105) 상에 재치된 릴(R1)을 화살표 D 방향으로 압출하여 반송 트레이(103)에 이재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또한, 도 1에서 위치 결정 블록(106)의 중앙부에 마련한 위치 결정 오목부(106a)에 대해서도, 프레임(103b)에 설치한 서로 반대의 경사 방향으로 돌출한 2매의 평판인 압출판(103c1 및 103c2)과 동일 형상의 판을 이용하거나, 유지판(105)의 하면에 설치한 2개의 돌기(105a1, 105a2)와 동일 형상의 돌기를 이용함으로써 위치 결정 오목부(106a)와 마찬가지의 릴(R1)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비교예)
다음으로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비교예에 대해서 도 41 내지 도 9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1 내지 도 43은 캐리어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며, 이 권취를 마친 릴을 스토커에 수납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의 동작 설명도이다.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릴(R0)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X)에 공급되면, 제어부(100Xa)의 작용에 의해, 반송 기구(도시 생략)가 릴(R0)을 반송한다. 그리고, 반송 기구는, 캐리어 테이프(T0)를 릴(R0)에 권취하는 권취 수단으로서의 권취부(101)를 구성하는 회전 구동부(101a) 내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101b)과, 릴(R0)의 대략 중심부에 마련된 단면이 원 형상인 중심 구멍(Rc)을 감합시키도록 릴(R0)을 위치 결정한다.
다음으로, 장착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릴(R0)의 중심 구멍(Rc)이 회전축(101b)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Xa)의 작용에 의해, 접속 기구(도시 생략)가 전자 부품 등의 워크(W)를 수납한 장척의 캐리어 테이프(T0)의 선단부를 릴(R0)의 홈부(도시 생략)에 삽입하여, 캐리어 테이프(T0)가 릴(R0)에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릴(R0)의 원판 형상의 면은 수직 방향을 향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0Xa)의 작용에 의해 회전 구동부(101a) 내에 설치된 모터가 회전을 개시한다.
이에 따라, 회전축(101b)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여 캐리어 테이프(T0)가 릴(R0)에 권취된다. 권취가 완료되었음을 제어부(100Xa)가 검지하면,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여분의 캐리어 테이프(T0)가 절취된다. 그리고,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은, 반송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101b)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살표 M 방향으로 반송되고, 권취부(10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스토커(102)에 수납된다.
릴(R1)이 회전축(101b)으로부터 분리되었음을 제어부(100Xa)가 검지하면, 반송 기구(도시 생략)가 다시 공릴(R0)을 권취부(101)를 향하여 반송하고, 장착 기구(도시 생략)가 회전축(101b)에 릴(R0)을 고정 장착한다. 이를 릴 교환이라고 부른다. 스토커(102)는 릴(R1)을 재치 테이블(102a) 상에 겹쳐 재치한다. 재치 테이블(102a) 상에 릴(R1)이 전혀 재치되지 않을 때의 재치 테이블(102a)의 위치가 초기 위치이다.
재치 테이블(102a)은, 릴(R1)이 1개 재치될 때마다,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하강한다. 재치 테이블(102a)이 그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되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재치 테이블(102a) 상에 릴(R1)이 가득 채워졌음을 의미한다.
스토커(102)에는 그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그 검지 정보가 음과 표시에 의해 외부에 통지되며, 캐리어 테이프 권취 장치(100X)는 동작을 정지한다. 이 통지에 의해, 장치의 담당자는 스토커(102) 내의 릴(R1)을 모두 반출한다. 릴(R1)이 모두 반출되었음을 상기 센서가 검지하면, 재치 테이블(102a)은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도 41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릴(R1)이 가득 채워지는 수량은 20개 내지 30개 정도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재치 테이블(102a)의 장치 정면측은, 담당자가 릴(R1)을 반출하기 위해 해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재치 테이블(102a) 상의 릴(R1)이 장치 정면측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도록, 재치 테이블(102a)은 장치 정면측이 약간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캐리어 테이프 권취 장치(100X)의 모식도를 도 50에 나타낸다. 상기의 설명과 같이, 도 50에서 릴(R1)은 화살표 H1 방향 즉 위로부터 아래로 반송된다.
이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X)에 대하여, 캐리어 테이프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의 품명, 정격, 제조 로트 번호 등을 기재한 라벨을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에 첩부하는 기능을 부가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장치(100Y)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장치(100X)에, 도 44 내지 도 49에 나타내는 첩부 수단으로서의 첩부부(104X)를 부가한 것이다. 즉, 권취부(101)에 의해 공릴(R0)에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후,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을 첩부부(104X)까지 반송하고, 캐리어 테이프(T0)에 수납되어 있는 워크의 품명, 정격, 제조 로트 번호 등을 기재한 라벨을 릴(R1)에 첩부하며, 라벨을 첩부한 릴(R2)을 스토커(102)에 수납한다.
라벨을 릴(R1)에 첩부하는 첩부부(104X)의 구성을 도 44의 (a), (b)에 의해 설명한다. 도 44의 (a)는 첩부부(104X)의 전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첩부부(104X)의 하방에는 베이스(104a)가 배치되며, 수직 방향으로 위를 향한 스핀들(104b)을 갖는 턴 테이블(104c)이 설치되어 있다. 스핀들(104b)의 직경은 릴(R1) 중심 구멍(Rc)의 내경보다 약간 작다.
턴 테이블(104c)은 베이스(104a) 내에 설치된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F 및 G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며, 또한 스핀들(104b) 주위에 화살표 U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베이스(104a)의 상방에는, 지지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된 첩부대(104f)가 설치되어 있다. 첩부대(104f)에 있어서,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윗부분에는, 턴 테이블(104c)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통과 구멍(104g)이 개구해 있다.
첩부대(104f) 및 턴 테이블(104c)을, 베이스(104a)의 정면인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44의 (b)에 나타낸다. 턴 테이블(104c)은, 스핀들(104b)의 최상부가 첩부대(104f)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는 초기 위치에 있다. 또한, 베이스(104a)의 상방에 있어서, 후방이 되는 위치에 프린터(104d)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104d)는 릴(R1)에 첩부하는 라벨을 인쇄하는 기능을 갖고, 프린터(104d)의 전면에는 인쇄된 라벨을 재치하기 위한 라벨 재치대(104e)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첩부부(104X)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104Xa)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첩부부(104X)의 동작에 대해서, 도 45 내지 도 49를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한편, 도 45 내지 도 48에서 (a)는 사시도, (b)는 (a) 중의 화살표 V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2에 나타내는 권취부(101)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은,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축(101b)으로부터 분리되어, 도 44의 (a), (b)에 나타내는 첩부부(104X)를 향하여 반송되고, 도 4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대(104f)에 재치된다. 이 상태에서, 릴(R1)의 원판 형상의 면은 수평 방향이 된다. 릴(R1)은 통과 구멍(104g)을 막도록 첩부대(104f)에 재치되지만, 이때, 위치 결정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도 4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R1)의 중심 구멍(Rc)이 스핀들(104b)의 바로 위가 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이 행해졌음을 제어부(104Xa)가 검지하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도 46의 (a), (b)와 같이, 턴 테이블(104c)이 화살표 F 방향으로 상승하여 통과 구멍(104g) 내를 관통하고, 릴(R1)의 중심 구멍(Rc)을 스핀들(104b)이 관통한다.
그리고, 릴(R1)은 첩부대(104f)로부터 턴 테이블(104c)의 상면에 이재되어 상승하고, 턴 테이블(104c)은 릴(R1)의 하면이 첩부대(104f)의 상면보다 근소하게 높아지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위치는, 릴(R1)이 턴 테이블(104c)에 재치되어 있기 때문에, 턴 테이블(104c)의 회전에 의해 릴(R1)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위치이다. 이 회전 위치에서, 릴(R1)에 마련된 라벨 첩부 영역(La)의 위치가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검출되고, 그 검출 정보가 제어부(104Xa)에 송부된다.
다음으로 이 검출 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104Xa)가 구동 기구(도시 생략)를 구동시켜, 도 4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벨 첩부 영역(La)이 프린터(104d) 직전 위치가 되도록, 화살표 U 방향으로 턴 테이블(104c)이 회전하여 정지한다. 또한, 도 45 내지 도 47에서는 라벨 첩부 영역(La)을 파선으로 둘러싸서 표기하고 있지만, 실제의 릴(R1)에는 파선이 기재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라벨 첩부 영역(La)이 프린터(104d) 직전 위치가 되었음을 제어부(104Xa)가 검지하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도 48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턴 테이블(104c)이 화살표 G 방향으로 하강하고, 릴(R1)의 중심 구멍(Rc)으로부터 스핀들(104b)이 이간한다. 그리고, 릴(R1)은 턴 테이블(104c)의 상면으로부터 첩부대(104f)에 이재되고, 턴 테이블(104c)은 도 44의 (b)와 같은 초기 위치에서 정지한다.
그동안에 프린터(104d)가 라벨(L0)을 인쇄하고, 라벨 재치대(104e)에 라벨(L0)을 재치한다. 이때, 라벨(L0)의 하면에는 첩부용 풀이 부착되어 있지만, 라벨 재치대(104e)의 상면은, 풀에 의해 라벨(L0)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00Xa)의 작용에 의해, 라벨 재치대(104e)에 재치된 라벨(L0)이 흡착 노즐(도시 생략)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흡착되어, 화살표 N과 같이 릴(R1)의 라벨 첩부 영역(La)을 향하여 반송되고, 흡착 노즐은 라벨(L0)을 흡착한 채 라벨 첩부 영역(La)에 라벨(L0)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첩부한다. 그 후, 흡착 노즐은 흡착을 해제하여 라벨 첩부 영역(La)으로부터 이간한다. 그 후, 라벨(L0)이 첩부된 릴(R2)은, 반송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스토커(102)를 향하여 반송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첩부부(104X)를 권취부(101)와 조합하여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를 구성할 경우에, 제1 구성으로서 권취부(101), 첩부부(104X), 스토커(102)를 이 순서로 위로부터 아래로 나열하여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도 51에 모식도로서 나타낸다. 도 51에서 릴(R1, R2)이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H2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권취부(101)는 직경 약 180㎜의 릴(R0)을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스와, 상기의 접속 기구, 절단 기구, 반송 기구 등의 설치 스페이스에 의해, 장치의 상하 방향에 많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또한, 첩부부(104X)는 프린터(104d)나 상기의 흡착 노즐의 설치 스페이스를 상측에 확보함과 함께, 베이스(104a) 내에 턴 테이블(104c)의 구동 기구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린터(104d)는 라벨 용지나 잉크의 보충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주위에 어느 정도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첩부부(104X)도 또한 장치의 상하 방향에 많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또한, 스토커(102)는 릴(R2)을 20개 내지 30개 정도 겹쳐 수납하는 높이를 필요로 한다. 스토커(102)에 수납된 상태에서, 릴(R2)의 1개당 높이는 약 10㎜이기 때문에, 스토커(102)의 높이는 약 200㎜?300㎜ 정도 필요하다.
따라서, 권취부(101)와 첩부부(104X)와 스토커(102)를 상하 방향에 배치하면, 장치 전체의 높이가 높아져, 장치의 설치 장소의 천장 높이에 제약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릴(R1, R2)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가 권취부(101)와 첩부부(104X)와 스토커(102) 사이를 화살표 H2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또한 라벨 재치대(104e)에 재치된 라벨(L0)을 릴(R1)의 라벨 첩부 영역(La)까지 반송하는 흡착 노즐도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들 이동 범위가 중복하지 않도록 필요한 스페이스를, 장치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 넓게 취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권취부(101)와 첩부부(104X)와 스토커(102)를 상하에 배치하는 것은, 장치 전체의 점유 스페이스가 커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의 제2 구성으로서, 권취부(101)와 첩부부(104X)와 스토커(102)를 이 순으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나열하여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를 도 52에 모식도로서 나타낸다. 도 52에서 릴(R1, R2)이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H3으로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권취부(101)와 첩부부(104X)가 좌우로 늘어서기 때문에, 제1 구성에 있어서 생긴 권취부(101)와 첩부부(104X)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스페이스의 확보, 프린터(104d) 주변의 스페이스의 확보, 릴(R1, R2)을 반송하는 반송 기구와 라벨(L0)을 반송하는 흡착 노즐의 이동 범위가 중복하지 않은 스페이스의 확보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단, 장치의 좌우 방향의 크기는, 첩부부(104X)를 갖지 않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X)에 비해, 첩부부(104X)와 스토커(102)의 각 폭의 합에 상당하는 만큼이 증가한다. 그리고, 도 52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에 있어서 스토커(102)가 가장 우측에 배치되는 것에 대하여, 첩부부(104X)를 갖지 않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X)에 있어서는, 도 50과 같이 스토커(102)가 권취부(101)의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X)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에 있어서의 부재가 완전히 다른 것이 되며, 비용이 높아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의 구성으로서, 권취부(101)와 스토커(102)를 상하에 배치하고, 그 우측에 첩부부(104X)를 배치하는 제3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구성을 모식도로서 도 53에 나타낸다. 도 53에서 릴(R1, R2)이 반송되는 방향을 화살표 H4 및 화살표 H5로 나타낸다. 제3 구성에 있어서, 장치의 좌우 방향의 크기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X)에 비해 첩부부(104X)분 만큼 증가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또한, 권취부(101)와 첩부부(104X)가 좌우로 늘어서기 때문에, 제2 구성과 마찬가지로, 각종 스페이스의 확보에 관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3과 도 50을 비교하면, 권취부(101)와 스토커(102)의 상대 위치가 동일하므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X)의 부재의 일부를,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의 부재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즉,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에 있어서 제3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또한 부재의 일부를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X)와 공통화함으로써, 비용 절감을 짐작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 제3 구성을 채용한 비교예로서의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의 사시도를 도 54에 나타낸다. 도 54에서, 도 41 내지 도 49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의 좌측은 권취부(101)이다. 회전 구동부(101a) 내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축(101b)이 회전 구동부(1O1a)의 전면에 돌출해 있으며, 회전축(101b)은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한다.
권취부(101)의 전면의 바로 아래 위치에는 스토커(102)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커(102)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B 및 화살표 C 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재치 테이블(102a)을 갖는다. 재치 테이블(102a)은 좌측, 안측, 우측의 3방향을 스토커 벽면(102b1, 102b2, 102b3)에 의해 둘러싸이며, 장치 정면측은 해방되어 있다. 또한, 재치 테이블(102a)은 장치 정면측이 약간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권취부(101) 및 스토커(102)의 우측에는 첩부부(104X)가 설치되어 있다. 첩부부(104X)의 구성은 도 44의 (a), (b)와 동일하다.
또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에는,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와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 사이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하는 반송 아암(113)이 설치되어 있다. 반송 아암(113)은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화살표 D 및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화살표 P 및 화살표 Q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다.
반송 아암(113)의 상면에는, 릴(R1, R2)을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고정 유닛(114)이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송 아암(113)의 하면측에 있어서 릴(R1, R2)을 고정한다. 또한, 회전 구동부(101a) 전면에 있어서의 스토커(102)의 바로 가까운 위치에는,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수직이 되는 제1 고정 위치(ε)와 수평이 되는 제2 고정 위치(λ) 사이에서, 화살표 J 및 화살표 K와 같이 대략 90° 회전 가능한 회전판(11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판(115)의 일면측에는 릴(R1)을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 고정 유닛(116)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 유닛(116)은 제1 고정 위치(ε)에 있어서 회전판(115)의 회전 구동부(101a)와 반대측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판(115)의 회전 구동부(101a)측에 있어서 릴(R1)을 고정한다. 또한, 고정 유닛(116)은 제2 고정 위치(λ)에 있어서 회전판(115)의 하측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판(115)의 상측에 있어서 릴(R1)을 고정한다.
도 54에서, 회전판(115)이 제1 고정 위치(ε)에 있을 경우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회전판(115)이 제2 고정 위치(λ)에 있을 경우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를 구성하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100Ya)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의 작용에 대해서, 도 55 내지 도 9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5는 캐리어 테이프(T0)와 공릴(R0)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에 공급되며, 제어부(100Ya)의 작용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반송 기구 및 장착 기구가 공릴(R0)의 반송 및 회전축(101b)과 릴(R0)의 중심 구멍(Rc)의 위치 결정 및 고정 장착을 행하며, 접속 기구(도시 생략)가 캐리어 테이프(T0)와 릴(R0)을 접속하여, 릴(R0)을 수직으로 유지하여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낸다. 회전 구동부(101a) 내에 설치된 모터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축(101b)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캐리어 테이프(T0)는 릴(R0)에 권취된다. 회전판(115)은 제1 고정 위치(ε)에 있고, 반송 아암(113)은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에 정지해 있다.
캐리어 테이프(T0)의 릴(R0)에의 권취가 완료된 직후의 상태를 도 56에 나타낸다. 권취가 완료되었음을 제어부(100Ya)가 검지하면,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은, 절단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여분의 캐리어 테이프(T0)가 절취되고, 반송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101b)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살표 M1 방향으로 반송되며, 회전판(115)과 회전 구동부(101a) 사이에서, 위치 결정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위치 결정되고, 수직인 상태에서 고정 유닛(116)의 작용에 의해 고정된다.
이 모양을, 릴(R1)의 중심 구멍(Rc) 부근을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77 내지 도 79에 나타낸다. 도 77은 릴(R1)이 도 56에서의 화살표 M1 방향으로 반송되어, 위치 결정된 상태를 나타낸다. 회전판(115)과 고정 유닛(116)에는, 회전판(115)의 일면측에 개구하는 관로(115x, 116x)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관로(115x, 116x)는 길이 방향으로 수직인 단면이 원 형상을 이루며, 그 내경은 릴(R1)의 중심 구멍(Rc)의 내경보다 약간 크다. 또한, 관로(116x)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고정 클로(116a, 116b)가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77에서, 릴(R1)은 회전판(115)과 근소한 극간(隙間)을 두고 대향하며, 그 중심 구멍(Rc)의 중심과 관로(115x, 116x)의 중심이 동일 직선 상에 늘어서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제1 고정 위치(ε)에 있어서 릴(R1)의 위치 결정이 행해졌음을 제어부(100Ya)가 검지하면, 도시되지 않은 반송 기구, 장착 기구 및 접속 기구에 의한 릴 교환이 개시된다.
다음으로, 도 7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고정 클로(116a, 116b)가 화살표 S1a 방향으로 진출하고, 그 선단이 관로(115x)의 개구부로부터 비어져 나와, 릴(R1)의 중심 구멍(Rc) 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도 7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고정 클로(116a, 116b)가 화살표 S1b, S1c 방향으로 이간하고, 릴(R1)의 중심 구멍(Rc)의 내벽에 맞닿는다. 이때, 중심 구멍(Rc)의 내벽에 있어서 화살표 S1b, S1c의 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의 작용에 의해, 릴(R1)은 고정 클로(116a, 116b)와 일체가 되어 고정된다.
도 56에서, 이상과 같이 릴(R1)이 고정되면, 다음으로 도 5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115)이 화살표 J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하여 제2 고정 위치(λ)로 이동한다. 이 모양을, 릴(R1)의 중심 구멍(Rc) 부근을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80 및 도 81에 나타낸다.
도 80에서, 제2 고정 위치(λ)로 이동한 릴(R1)은, 그 하면이 회전판(115)의 상면과 근소한 극간을 둔 상태에서, 고정 클로(116a, 116b)의 작용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80의 상태가 된 후, 도 8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고정 클로(116a, 116b)가 화살표 S1d, S1e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하고, 릴(R1)의 중심 구멍(Rc)의 내벽으로부터 이간한다. 이 때문에, 릴(R1)은 해방되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My 방향으로 낙하하여, 회전판(115)의 상면에 재치된다.
릴(R1)이 회전판(115)의 상면에 재치되었음을 제어부(100Ya)가 검지하면, 도 5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로부터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를 향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릴(R1)에 라벨을 첩부하는 위치는 미리 정해져 있으며, 도 57에서는, 그 위치를 파선으로 둘러싸서 라벨 첩부 영역(La)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단, 실제의 릴에는 파선은 기재되어 있지 않고, 라벨 첩부 영역(La)의 위치는 첩부부(104X)에 설치된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시점에서 릴 교환이 종료하고, 회전축(101b)과 새로운 공릴(R0)의 중심 구멍(Rc)의 위치 결정 및 고정 장착이 행해져, 캐리어 테이프(T0)와 릴(R0)이 접속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구동부(101a) 내에 설치된 모터가 회전을 개시하여 회전축(101b)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하고, 캐리어 테이프(T0)의 공릴(R0)에의 권취가 개시된다. 또한, 반송 아암(113)은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의 반송 아암(113), 릴(R1), 회전판(115)의 모양을, 릴(R1)의 중심 구멍(Rc) 부근을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82에 나타낸다. 반송 아암(113)과 고정 유닛(114)에는, 상술한 회전판(115)과 고정 유닛(116)과 마찬가지로, 반송 아암(113)의 일면측에 개구하는 관로(113x, 114x)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관로(113x, 114x)의 형상은, 상술한 관로(115x, 116x)와 마찬가지이며, 관로(114x)의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2개의 고정 클로(114a, 114b)가 밀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 82에서 릴(R1)의 중심 구멍(Rc)의 중심과 관로(113x, 114x)의 중심이 동일 직선 상에 늘어서도록 위치 결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화살표 P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의 릴(R1)의 중심 구멍(Rc) 부근을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83에 나타낸다. 도 8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아암(113)은 릴(R1)과 근소한 극간을 두고 대향하는 위치까지 화살표 P 방향으로 하강하여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반송 아암(113)이 릴(R1)을 고정하는 모양을, 릴(R1)의 중심 구멍(Rc) 부근을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84 내지 도 86에 나타낸다.
처음에, 도 8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115) 상에 재치되어 있는 릴(R1)의 중심 구멍(Rc) 내의 고정 클로(116a, 116b)가 화살표 S1f 방향으로 하강하여 중심 구멍(Rc)으로부터 퇴출한다. 다음으로, 도 8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관로(114x) 내의 고정 클로(114a, 114b)가 화살표 S2a 방향으로 하강하여 중심 구멍(Rc) 내에 진입한다. 그리고, 도 8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고정 클로(114a, 114b)가 화살표 S2b, S2c 방향으로 이간하여, 릴(R1)의 중심 구멍(Rc)의 내벽에 맞닿는다. 그리고, 릴(R1)은 고정 클로(114a, 114b)와 일체가 되어 반송 아암(113)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도 6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릴(R1)과 함께 화살표 Q 방향으로 상승한다. 이 모양을, 릴(R1)의 중심 구멍(Rc) 부근을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87에 나타낸다. 반송 아암(113)은 화살표 Q 방향으로 상승한 후, 도 82와 같은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6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로부터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를 향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릴(R1)이 권취부(101)로부터 첩부부(104X)를 향하여 반송된다.
그리고, 도 6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아암(113)은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에서 정지한다. 또한,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115)이 화살표 K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하여 제1 고정 위치(ε)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도 6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화살표 P 방향으로 하강한다. 이때의 릴(R1)의 중심 구멍(Rc) 부근을 화살표 Y 방향에서 본 단면도를 도 88에 나타낸다. 도 8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아암(113)은 릴(R1)이 첩부대(104f)와 근소한 극간을 두고 대향하는 위치까지 화살표 P 방향으로 하강하여 정지한다. 그리고, 도 8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고정 클로(114a, 114b)가 화살표 S2d, S2e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착되고, 릴(R1)의 중심 구멍(Rc)의 내벽으로부터 이간한다.
이 때문에, 릴(R1)은 해방되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Mz 방향으로 낙하하여, 첩부대(104f)의 상면에 재치된다.
다음으로, 도 9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고정 클로(114a, 114b)가 화살표 S2f 방향으로 상승하여 관로(114x) 내로 퇴출한다. 이와 같이 하여 릴(R1)이 첩부대(104f)에 재치되었음을 제어부(100Ya)가 검지하면, 도 6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화살표 Q 방향으로 상승한다.
그리고, 도 6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로부터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를 향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의 이유는, 반송 아암(113)이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에 있으면, 릴(R1)이 반송 아암(113)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이 후에 첩부부(104X)에 의해 릴(R1)에의 라벨 첩부를 행할 때에 반송 아암(113)이 라벨 첩부의 동작의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즉, 반송 아암(113)은 한번 첩부부(104X)로부터 권취부(101)로 퇴피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아암(113)이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에서 정지하고,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턴 테이블(104c)이 화살표 F 방향으로 상승하여 통과 구멍(103a) 내를 관통하고, 릴(R1)의 중심 구멍(Rc)을 스핀들(104b)이 관통한다. 이 후, 첩부부(104X)의 작용에 의해, 릴(R1)의 라벨 첩부 영역(La)에 라벨을 첩부한다. 그 동작에 대해서는, 이미 도 44 내지 도 49를 이용하여 설명했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라벨이 릴(R1)에 첩부되었음을 제어부(100Ya)가 검지하면, 도 6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권취부(101)의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로 퇴피해 있던 반송 아암(113)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첩부부(104X)의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도 6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아암(113)은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에서 정지한 후, 도 7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은 릴(R2)과 근소한 극간을 두고 대향하는 위치까지 화살표 P 방향으로 하강하여 정지한다.
그 후, 도 84 내지 도 86에서의 고정 클로(114a, 114b)의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첩부대(104f) 상에 재치된 릴(R2)은 고정 클로(114a, 114b)와 일체화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도 7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릴(R2)과 함께 화살표 Q 방향으로 상승한다. 다음으로, 도 7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로부터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를 향하여,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릴(R2)이 첩부부(104X)로부터 권취부(101)를 향하여 반송된다. 그리고, 도 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송 아암(113)은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에서 정지한다.
다음으로, 도 89에서의 고정 클로(114a, 114b)의 동작과 마찬가지의 동작에 의해, 릴(R2)은 중력의 작용에 의해 도 74의 화살표 Mx 방향으로 낙하하고, 재치 테이블(102a) 상에 재치되며, 스토커(102)에의 수납이 완료된다. 릴(R2)이 재치 테이블(102a) 상에 재치되었음을 제어부(100Ya)가 검지하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재치 테이블(102a)은 도 54에서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하강한다. 그 후에도 재치 테이블(102a)은 릴(R2)이 1개 재치될 때마다,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B 방향으로 하강한다.
재치 테이블(102a)이 그 이상 하강할 수 없게 되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재치 테이블(102a) 상에 릴(R2)이 가득 채워졌음을 의미한다. 스토커(102)에는 그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고, 그 검지 정보가 음과 표시에 의해 외부에 통지되며,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는 동작을 정지한다. 이 통지에 의해, 장치의 담당자는 스토커(102) 내의 릴(R2)을 모두 반출한다.
릴(R2)이 모두 반출되었음을 상기 센서가 검지하면, 재치 테이블(102a)은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도 54에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상승하여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그 후, 권취부(101)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가 완료되고, 이를 제어부(100Ya)가 검지하면, 도 7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T0)를 권취한 릴(R1)은, 반송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축(101b)으로부터 분리되어 화살표 M1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회전판(115)과 회전 구동부(101a) 사이에서, 도 56과 마찬가지로 수직으로 위치 결정 고정된다.
동시에,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반송 아암(113)이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로부터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를 향하여,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의 이유는, 반송 아암(113)이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에 있으면, 이 후에 회전판(115)이 제2 고정 위치(λ)로 이동할 때에 반송 아암(113)과 충돌하기 때문이다. 즉, 반송 아암(113)은 한번 권취부(101)로부터 첩부부(104X)로 퇴피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회전판(115)이 화살표 J 방향으로 대략 90° 회전하여 제2 고정 위치(λ)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릴(R1)은 도 57과 동일한 상태가 되고, 첩부부(104X)의 턴 테이블(104c)의 바로 위 위치로 퇴피해 있던 반송 아암(113)은, 구동 기구(도시 생략)의 작용에 의해, 도 58의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여 권취부(101)의 재치 테이블(102a)의 바로 위 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이하 마찬가지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을 각 부의 명칭을 횡축에, 시간을 종축에 취하고, 상태 천이도로서 나타낸 것을 도 91에 나타낸다.
시간은 위로부터 아래를 향하여 경과하고 있다. 즉, 시각 t1, t2 순으로 시간이 경과하고, 시각 t10 후의 시각 t1에서 1주기가 된다. 프레임 내에는 각 부의 상태 혹은 동작을 기재하고, 대응하는 도면이 있을 경우에는, 당해의 도면번호를 기재하고 있다. 또한, 릴(R1, R2)의 이동 경로를 화살표(Φ11) 내지 화살표(Φ21)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시각 t1 내지 t10의 의미는 이하와 같다. t1은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 완료이다. 또한, t2는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R1)의 회전축으로부터의 분리 개시이다. 또한, t3은 수평인 릴(R1)의 반송 수단에의 이재 개시이다. 또한, t4는 릴(R1)의 권취부로부터 첩부부에의 반송 개시이다. 또한, t5는 릴(R1)의 첩부부에의 이재 완료이다. 또한, t6은 라벨 첩부 개시이다. 또한, t7은 라벨 첩부 완료이다. 또한, t8은 릴(R2)의 첩부부로부터 권취부에의 반송 개시이다. 또한, t9는 릴(R2)의 권취부에의 반송 완료이다. 또한, t10은 릴(R2)의 스토커에의 수납이다.
이와 같은 비교예에 의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제1 문제점은, 릴의 고정 수단으로서 고정 클로를 내장하는 고정 유닛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릴(R1, R2)의 고정과 해방에 시간을 요하는 것이다. 도 77 내지 도 9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릴을 고정할 때에는, 고정 클로를 릴의 중심 구멍에 진입시키고, 고정 클로를 이간시킨다는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하다.
또한, 고정된 릴을 해방할 경우에는, 고정 클로를 밀착시키고, 고정 클로를 릴의 중심 구멍으로부터 퇴출시킨다는 2단계의 동작이 필요하다. 도 91에서, 이와 같은 릴의 고정 및 해방에 따른 동작의 프레임을 이중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제2 고정 위치에 있는 회전판 상의 릴(R1)을 해방하고, 그것을 반송 아암에 고정하는 동작(시각 t3?t4의 2개소), 반송 아암으로부터 첩부대 상에 릴(R1)을 이재하는 동작(시각 t4?t5), 첩부대 상의 릴(R2)을 반송 아암에 고정하는 동작(시각 t7?t8) 등이며, 이들 동작에 시간을 요하고 있다.
제2 문제점은, 반송 아암의 동작이 복잡하며, 전체 처리 시간이 증가하는 것이다. 반송 아암은, 단순히 권취부와 첩부부 사이를 왕복할 뿐만 아니라, 수평으로 재치된 릴을 고정할 때에는, 고정 유닛을 릴에 접근시키기 위해 반송 아암을 하강시킬 필요가 있으며, 고정한 릴을 반송할 때에는, 반송 아암을 다시 원래의 위치까지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이들 동작에 의해, 전체 처리 시간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도 91에서 릴을 고정하여 권취부로부터 첩부부로 반송하는 동작(시각 t4?t5)이나 첩부부로부터 권취부로 반송하는 동작(시각 t8?t9)에 시간을 요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이 제1 고정 위치에서 제2 고정 위치까지 대략 90° 회전할 때에는, 회전판과 반송 아암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반송 아암이 권취부로부터 첩부부로 퇴피한 후에 회전판이 회전하고, 그 후에 다시 반송 아암이 첩부부로부터 권취부로 복귀하여 회전판 상의 릴을 고정하고 있다(도 91의 시각 t2?t3).
마찬가지로, 릴을 첩부부에 반송한 반송 아암이 첩부부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반송 아암이 첩부부로부터 권취부로 퇴피한 후에 첩부부의 동작을 개시하고, 첩부부의 동작이 완료된 후에 다시 반송 아암이 권취부로부터 첩부부로 복귀하여 첩부판 상의 릴을 고정하고 있다(도 91의 시각 t5?t6 및 시각 t7?t8).
도 91에서, 이와 같은 반송 아암의 퇴피 및 고정에 따른 동작의 프레임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퇴피와 복귀에 요하는 시간도 전체 처리 시간에 가산되어, 처리 시간의 증가를 초래한다. 실제 처리 시간의 예를 들면, 시각 t1에서 시각 t6까지, 즉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 완료에서 라벨 첩부 개시까지의 시간은 약 38초이다. 또한, 시각 t7에서 시각 t9까지, 즉 라벨 첩부 완료에서 릴(R2)의 권취부에의 반송 완료까지의 시간은 약 11초이다.
또한, 시각 t9에서 시각 t10까지, 즉 릴(R2)의 권취부에의 반송 완료에서 릴의 스토커에의 수납까지의 시간은 약 8초이다. 또한, 시각 t6에서 시각 t7까지, 즉 라벨 첩부 개시에서 완료까지의 시간은 약 27초이다. 즉, 비교예로서의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의 처리 시간의 1주기는 38+27+11+8=84초이다.
제3 문제점은,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 시간의 변동에 대한 융통성이 결여되는 것이다. 공릴에 권취되는 캐리어 테이프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고 다양한 길이이다. 이 때문에, 권취부가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에 요하는 시간도 다양하다. 도 91에서의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에 요하는 시간은, 시각 t3의 약간 후부터 시각 t1까지의 Ta이다. 이에 대하여, 캐리어 테이프의 길이가 짧고, 도 91에서의 시간 Ta보다 짧은 시간에서 권취가 완료됐을 경우의 상태 천이도를 도 92에 나타낸다.
도 92에서의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에 요하는 시간은, 시각 t3의 약간 후부터 시각 t7의 약간 후의 시각 t1까지의 Tb이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100Y)의 처리 시간의 1주기는 캐리어 테이프의 길이에 의하지 않고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도 92와 같이, 시각 t7의 약간 후의 시각 t1에서 캐리어 테이프의 권취가 완료되었을 경우에도, 반송 아암이 라벨을 첩부한 릴(R2)을 해방하여 스토커에 수납하는 시각 t10까지는,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R1)을 반송 아암에 고정할 수는 없다. 즉, 도 92에서 시각 t1에서 시각 t10까지의 시간 T0이 대기 시간이 되어, 처리 시간의 융통성이 결여된다. 그 원인은, 처리 시간의 1주기가 길기 때문이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 수단이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하고, 동시에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측으로 낙하하여 수납할 수 있어, 전체적인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100 :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1OOa : 제어부
101 : 권취부 1O1a : 회전 구동부
101b : 회전축 102 : 스토커
102a : 재치 테이블
102b1, 102b2, 102b3 : 스토커 프레임 103 : 반송 트레이
103A : 반송판 103a : 통과 구멍
103b : 프레임 103c1, 103c2 : 압출판
103d : 공극 1O4 : 첩부부
104a : 베이스 104b : 스핀들
1O4c : 턴 테이블 1O4d : 프린터
1O4e : 라벨 재치대 104f : 첩부대
105 : 유지판 106 : 위치 결정 블록
106a : 위치 결정 오목부 L0 : 라벨
R0 : 공릴
R1 :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 R2 : 라벨을 첩부한 릴
T0 : 캐리어 테이프

Claims (5)

  1.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고,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을 스토커에 수납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수직으로 유지한 릴에 권취하는 권취 수단과,
    권취 수단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릴에 라벨을 첩부(貼付)하여 라벨 부착 릴을 제작하는 첩부 수단과,
    권취 수단으로부터의 릴을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는 제1 유지 위치와, 제1 유지 위치에 대하여 90° 회전하여 릴을 수평 방향으로 유지하는 제2 유지 위치를 취할 수 있는 유지 수단과,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의 하방에 설치되며, 라벨 부착 릴을 수납하는 스토커와,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과, 첩부 수단 사이에 수평 방향에 배치되며,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하여 첩부 수단에 반송하고, 첩부 수단으로부터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 상에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구비하고,
    반송 수단이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할 때,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측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유지 위치에 있는 유지 수단은, 릴을 유지하는 상면과, 상면과 반대측에 있어서 반송 수단에 마주하는 하면을 갖고,
    유지 수단의 하면에, 반송 수단이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에 맞닿아 라벨 부착 릴을 스토커측으로 낙하시키는 볼록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반송 수단은 릴 및 라벨 부착 릴을 유지하는 반송판과, 반송판 중 첩부 수단과 반대측 단부(端部)에 설치되며, 제2 유지 위치에 있는 유지 수단 상의 릴과 맞닿는 프레임을 갖고,
    이 프레임에 반송 수단이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유지 수단 및 라벨 부착 릴을 통과시키는 공극(空隙)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반송 수단의 프레임에, 반송 수단이 첩부 수단측으로 이동할 때, 제2 유지 위치에 있는 유지 수단 상의 릴에 맞닿아 반송판 상에서 릴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압출판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5. 전자 부품을 유지한 캐리어 테이프를 릴에 권취하여 스토커에 수납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에 있어서,
    권취 수단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수직으로 유지한 릴에 권취하는 권취 공정과,
    유지 수단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을 권취 수단으로부터 수취하여 수직 방향의 제1 유지 위치에 유지함과 함께, 그 후 유지 수단이 90° 회전하여 수평 방향의 제2 유지 위치에 릴을 유지하는 유지 공정과,
    첩부 수단에 있어서, 캐리어 테이프를 권취한 릴을 수평으로 유지하여 라벨을 첩부하여 라벨 부착 릴을 제작하는 첩부 공정과,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과, 첩부 수단 사이에 수평 방향에 배치된 반송 수단을 이용하여,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하여 첩부 수단에 반송하고, 첩부 수단으로부터 라벨 부착 릴을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에 반송하는 반송 공정을 구비하고,
    반송 수단이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으로부터 릴을 수취할 때, 반송 수단 상의 라벨 부착 릴을 제2 유지 위치를 취하는 유지 수단 하방의 스토커측으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
KR1020120057981A 2011-06-13 2012-05-31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 KR20120138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31464A JP5628099B2 (ja) 2011-06-13 2011-06-13 キャリアテープ巻取収納装置及びキャリアテープ巻取収納方法
JPJP-P-2011-131464 2011-06-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644A true KR20120138644A (ko) 2012-12-26

Family

ID=4732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7981A KR20120138644A (ko) 2011-06-13 2012-05-31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28099B2 (ko)
KR (1) KR20120138644A (ko)
CN (1) CN102826399B (ko)
TW (1) TWI549876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9050A (zh) * 2013-11-22 2015-05-27 东京威尔斯股份有限公司 载带卷取收纳装置和载带卷取收纳方法
KR20210025142A (ko) * 2019-08-26 2021-03-09 (주) 인텍플러스 릴 자동 교체시스템
CN113135454A (zh) * 2021-03-23 2021-07-20 安徽庆丰余防伪科技有限公司 一种防伪标签生产用收卷机
CN116177276A (zh) * 2023-04-27 2023-05-30 昆明天谋科技有限公司 一种锂铜复合带的卷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5589B (zh) * 2012-12-27 2017-08-15 富士机械制造株式会社 连接装置及连接带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270A (en) * 1976-08-12 1977-11-15 Interlake, Inc. Strap dispensing system
JP2747417B2 (ja) * 1993-12-28 1998-05-06 日本リトル株式会社 テープ巻き取り装置およびその方法
MY126138A (en) * 1993-09-07 2006-09-29 Lintec Corp Tape winding apparatus and tape winding method.
JP2714344B2 (ja) * 1993-09-07 1998-02-16 日本リトル株式会社 テープ巻き取り装置
JP2747416B2 (ja) * 1993-12-28 1998-05-06 日本リトル株式会社 ラベル貼着装置
DE29617424U1 (de) * 1996-06-05 1996-12-05 Claußnitzer, Werner, 42329 Wuppertal Vorrichtung zum Aufbringen eines Etiketts auf eine Compactdisc o.dgl.
DE69807717T2 (de) * 1997-06-16 2003-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orrichtung zur speicherung und zuführung von behältern
CN100361565C (zh) * 1998-12-22 2008-01-09 麦戴塔自动控制股份公司 元件安装机中的带导向件和带盒
TWI330611B (en) * 2008-08-21 2010-09-21 Tecser Technologies Co Ltd An auto-pasting machine for label adhesion
JP5369318B2 (ja) * 2009-12-24 2013-12-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紙管の製造方法及び当該紙管を巻芯とするロール状衛生用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49050A (zh) * 2013-11-22 2015-05-27 东京威尔斯股份有限公司 载带卷取收纳装置和载带卷取收纳方法
KR20150059595A (ko) * 2013-11-22 2015-06-01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
KR20210025142A (ko) * 2019-08-26 2021-03-09 (주) 인텍플러스 릴 자동 교체시스템
CN113135454A (zh) * 2021-03-23 2021-07-20 安徽庆丰余防伪科技有限公司 一种防伪标签生产用收卷机
CN113135454B (zh) * 2021-03-23 2024-02-20 安徽庆丰余防伪科技有限公司 一种防伪标签生产用收卷机
CN116177276A (zh) * 2023-04-27 2023-05-30 昆明天谋科技有限公司 一种锂铜复合带的卷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9876B (zh) 2016-09-21
CN102826399B (zh) 2015-07-08
TW201313572A (zh) 2013-04-01
JP2013004582A (ja) 2013-01-07
JP5628099B2 (ja) 2014-11-19
CN102826399A (zh)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38644A (ko)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장치 및 캐리어 테이프 권취 수납 방법
TWI408089B (zh) 移載裝置
JP5308433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50121689A1 (en) Component Supply Device and Component Installation Device
TW201043417A (en) Robot having end effec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14087489A1 (ja) ダイボンダー装置
WO2012039172A1 (ja) テープフィーダ,部品供給装置および部品供給方法
JP4652487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その方法
US20170181969A1 (en) Medical tablet,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edical tablet
CN109246933B (zh) 一种具有双贴合系统的自动贴片机
TWI403447B (zh) 零件移送裝置及方法
KR20130033143A (ko) 캐리어 테이프 권취 유닛 및 이를 구비한 반도체 패키지의 포장 장치
CN111566026A (zh) 供给装置以及具备该供给装置的机器人系统
CN103298326A (zh) 电子部件供给装置及电子部件安装装置
US20220356041A1 (en) A wind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winding a product strip onto a reel
CN110615247A (zh) 一种集成式物料自动取放机构
TWI468692B (zh) 檢驗試管整備裝置
CN210914118U (zh) 集成式物料自动取放机构
JP2014099513A (ja) フィルムフィーダおよび組立作業機
JP6027398B2 (ja) シート挿着装置およびシート挿着方法
JP5112769B2 (ja) スパウト装着装置
KR20210072324A (ko) 반도체 패키지 자동 포장장치
KR102548018B1 (ko) 공급 장치 및 공급 방법
CN117719861B (zh) 一种石英晶体组装设备
CN113120806B (zh) 一种兼容手推车及agv的双料连续不停机收放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