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8280A -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 Google Patents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8280A
KR20120138280A KR1020110057626A KR20110057626A KR20120138280A KR 20120138280 A KR20120138280 A KR 20120138280A KR 1020110057626 A KR1020110057626 A KR 1020110057626A KR 20110057626 A KR20110057626 A KR 20110057626A KR 20120138280 A KR20120138280 A KR 2012013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power generation
generation circuit
switch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039B1 (ko
Inventor
김유신
백동현
윤선우
박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7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039B1/ko
Priority to EP12275076.3A priority patent/EP2536010B1/en
Priority to US13/494,920 priority patent/US8866466B2/en
Priority to CN201210200096.7A priority patent/CN102832790B/zh
Publication of KR2012013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8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 H04B2001/485Transmit/receive switching in circuits for connec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to a common transmission path, e.g. by energy of transmitter inhibiting unwanted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에 관한 것으로,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제1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POWER GENERATING CIRCUIT AND SWITCHING CIRCUI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전기 분야에서는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전력소모 감소를 통한 배터리 지속시간 연장 등이 화두가 되고 있다.
한편, 전력소모량이 비교적 작은 부품들의 경우에도,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을 공급받아야 했기 때문에 긴밀하게 연관된 각종 부품들과 온칩(ON-CHIP)화 하기가 어려웠고, 외부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별도의 핀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소형화에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외부전원이 공급될 경우에는 해당 부품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지속적인 전원이 공급되므로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는,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제1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에, 상기 출력단자에서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는 P형 또는 N형 모스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는, 제3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제1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1트랜지스터;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3트랜지스터; 상기 제3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4트랜지스터; 상기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3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5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5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6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트랜지스터, 제4트랜지스터 및 제6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제어신호, 제2제어신호 및 제3제어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에, 상기 출력단자에서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트랜지스터 내지 제6트랜지스터는 P형 또는 N형 모스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는,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어신호는 제어단자에 인가되며, 타단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트랜지스터의 제어단자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에, 상기 출력단자로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는,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소스에 인가되고, 다른 한 개의 제어신호는 게이트에 인가되며, 드레인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에, 상기 출력단자로 전원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는 P형 또는 N형 모스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는,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발생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입출력단 및, 상기 각각의 입출력단과 사이를 온/오프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각각의 입출력단과 안테나 사이를 온/오프하는 복수 개의 제1스위치, 및 상기 각각의 입출력단과 접지단자 사이를 온/오프하는 복수 개의 제2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에 인가되어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에 인가되어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중 상기 버퍼부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스위치에는 상기 버퍼부를 통과하지 않은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중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스위치에는 상기 인버터부를 통과한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는 시리즈 스위치, 제2스위치는 션트 스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상기 버퍼부 및/또는 인버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원발생회로는 제어신호만으로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각종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역시 종전보다 소형화 될 수 있다.
또한, 온 또는 하이에 해당하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경우에만 전원이 발생되므로, 종래와 같이 외부전원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 비하여 전력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회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버퍼부의 구성 및 신호전달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인버터부의 구성 및 신호전달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전원발생회로 입출력단의 신호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회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회로(100)는, 구동부(110)와 스위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110)는 전원발생회로, 버퍼부(112) 및 인버터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발생회로(111)는 각종 칩셋(chipset)으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인가 받아 버퍼부(112) 및/또는 인버터부(113) 등에 공급될 전원전압(VDD)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따라, 상기 버퍼부(112) 및 인버터부(113)는 별도의 외부 전원이 없이도 상기 전원발생회로(111)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될 수 있으므로 스위칭회로(100) 전체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스위치부(120)는 복수 개의 입출력단과 안테나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정 입출력단과 안테나를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버퍼부(112)의 구성 및 신호전달특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인버터부(113)의 구성 및 신호전달특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버퍼부(112)는 입력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인버터부(113)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인버팅하여 반전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전원발생회로(111)는 상기 버퍼부(112) 및/또는 인버터부(113)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도 버퍼부(112) 및 인버터가 구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120)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치부(120)는 복수 개의 입출력단, 안테나 및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는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스위치는 각각의 입출력단과 안테나 사이에 구비되어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여 특정 입출력단과 안테나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제2스위치는 각각의 입출력단과 접지단자 사이에 구비되어 온/오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입출력단과 접지단자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서, 제1 시리즈 스위치(121)와 제2 시리즈 스위치(122)가 상기 제1스위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1 션트 스위치(123)와 제2 션트 스위치(124)가 상기 제2스위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버퍼부(11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 Vca1는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121)에 인가되고, 제어신호 Vca2는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122)에 인가되어 해당 스위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버터부(113)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 Vca1'은 상기 제1 션트 스위치(123)에 인가되고, 제어신호 Vca2'는 상기 제2 션트 스위치(124)에 인가되어 해당 스위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퍼부(112)와 인버터부(113)에는 동일한 제어신호가 인가될 수 있으며, 상기 인버터부(113)는 입력된 제어신호를 인버팅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버퍼부(112)에서 출력되는 신호 Vca1, Vca2와 상기 인버터부(113)에서 출력된 신호 Vca1', Vca2'는 상보적인 관계일 수 있다. 즉, Vca1이 H신호이면, Vca1'는 L 신호인 관계일 수 있다.
이에따라,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121)와 제1 션트 스위치(123)는 상보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122)와 제2 션트 스위치(124)도 상보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입출력단이 3개인 경우의 스위치부(120)를 예시하고 있다.
이때, 도 5에서는 입출력단을 Tx, Rx 및 BT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버퍼부(112)를 통과한 제어신호 Vca1, Vca2, Vca3는 각각 입출력단인 Tx, Rx, BT 단자와 안테나(RFC) 사이에 구비된 제1 시리즈 스위치(121'), 제2 시리즈 스위치(122'), 제3 시리즈 스위치(125') 각각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각각의 입출력단과 안테나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버터에서 출력된 신호인 Vca1', Vca2', Vca3'는 입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구비된 제1 션트 스위치(123'), 제2 션트 스위치(124'), 제3 션트 스위치(126') 각각의 입출력단과 접지 사이를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Vc1, Vc2, Vc3는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신호가 H로 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입출력단자 Tx, Rx 및 BT는 동시에 안테나와 연결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Vca1'는 Vc1이 인버팅된 신호이므로 상기 제1, 2, 3 시리즈 스위치와 제1, 2, 3 션트 스위치는 상보적으로 온/오프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위치들은 오프 상태에서도 미세한 신호가 통과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2, 3 시리즈 스위치와 제1, 2, 3 션트 스위치가 상보적으로 동작함으로써 하나의 입출력단과 안테나가 연결되면, 다른 입출력단과 안테나 사이는 보다 완벽하게 차단될 수 있으므로 입출력단과 안테나 사이에 전송되는 신호의 노이즈가 감소되며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111)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와 한개의 출력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는 제어단자와 두개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단자와 나머지 단자 중 한 개의 단자에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에는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어신호는 제어단자에 인가되며 타단은 출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전원발생회로를 구성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의 제어단자에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는 모스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소스에 인가되고, 다른 한 개의 제어신호는 게이트에 인가되며, 드레인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는 P형 또는 N형 모스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두 개의 트랜지스터 또는 모스트랜지스터는 M1, M2로 볼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제어신호는 Vc1, Vc2로 볼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111)는 제1모스트랜지스터(M1)와 제2모스트랜지스터(M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스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에 제2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소스에 제1제어신호가 인가되며, 드레인이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모스트랜지스터(M2)는 제1제어신호가 게이트에 인가되며, 제2제어신호가 소스에 인가되고, 드레인이 출력단자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모스트랜지스터 및 제2모스트랜지스터는 P형 모스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Vc1 Vc2 OUT
H L H
L H H
L L L
상기 표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Vc1, Vc2가 H 또는 L 신호일 수 있는데,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111)에서 전원전압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Vc1이 H이고, Vc2가 L인 경우, 제1모스트랜지스터(M1)가 온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출력단자(OUT)로 H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Vc1이 L이고, Vc2가 H인 경우, 제2모스트랜지스터(M2)가 온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출력단자(OUT)로 H가 출력될 수 있다.
그러나, Vc1, Vc2가 모두 L인 경우에는 제1모스트랜지스터(M1)와 제2모스트랜지스터(M2)가 모두 오프 상태가 되며, 출력단자(OUT)로 L가 출력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원발생회로(111)를 예시한 도면으로써, 제어신호가 3개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전원발생회로(111)를 예시하고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발생회로(111)는, 제1모스트랜지스터(M1) 내지 제6모스트랜지스터(M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스트랜지스터(M1)는 게이트에 제3제어신호(Vc3)가 인가되고, 소스에 제1제어신호(Vc2)가 인가되며, 제2모스트랜지스터(M2)는 게이트에 제2제어신호(Vc2)가 인가되고, 소스에는 상기 제1모스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이 연결되며, 드레인은 출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모스트랜지스터(M3)는 게이트에 제1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소스에 제2제어신호가 인가되며, 제4모스트랜지스터(M4)는 게이트에 제3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소스에는 상기 제3모스트랜지스터(M3)의 드레인이 연결되며, 드레인은 출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모스트랜지스터(M5)는 게이트에 제2제어신호(Vc2)가 인가되고, 소스에 제3제어신호(Vc3)가 인가되며, 제6모스트랜지스터(M6)는 게이트에 제1제어신호(Vc1)가 인가되고, 소스에는 상기 제5모스트랜지스터(M5)의 드레인이 연결되며, 드레인은 출력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모스트랜지스터(M1) 내지 제6모스트랜지스터(M6)는 P형 모스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Vc1 Vc2 Vc3 OUT
H L L H
L H L H
L L H H
L L L L
한편, 상기 표2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제어신호 Vc1, Vc2, Vc3이 H 또는 L 신호일 수 있는데, 각각의 경우에 전원전압이 발생하는 원리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Vc1, Vc2, Vc3)이 (H, L, L)인 경우, 제1모스트랜지스터(M1)가 온 상태가 되고, 제2모스트랜지스터(M2)도 온 상태가 되어 H가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이때, 제3모스트랜지스터(M3) 내지 제6트랜지스터(M6)는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Vc1, Vc2, Vc3)이 (L, H, L)인 경우, 제3모스트랜지스터(M3)가 온 상태가 되고, 제4모스트랜지스터도(M4) 온 상태가 되어 H가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이때, 제1모스트랜지스터(M1), 제2모스트랜지스터(M2), 제5모스트랜지스터(M5) 및 제6트랜지스터(M6)는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Vc1, Vc2, Vc3)이 (L, L, H)인 경우, 제5모스트랜지스터(M5)가 온 상태가 되고, 제6모스트랜지스터(M6)도 온 상태가 되어 H가 출력단자(OUT)로 출력된다. 이때, 제1모스트랜지스터(M1) 내지 제4트랜지스터(M4)는 모두 오프 상태가 된다.
마지막으로, (Vc1, Vc2, Vc3)이 (L, L, L)인 경우, 제1모스트랜지스터(M5) 내지 제6모스트랜지스터(M6)은 모두 오프 상태가 되어 출력단자로(OUT)로 L가 출력되는 것이다.
도 8은 도 7에 따른 전원발생회로(111)의 입출력 단자의 신호를 보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스위칭 제어신호는 일반적으로 2 내지 3.5 V가 된다.
도 8에서는 제어신호 Vc1, Vc2, Vc3가 H일 때 2.5V 이고, L일때 0V인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Vc1, Vc2, Vc3 중 어느 하나라도 H인 구간에서 H가 출력되고, Vc1, Vc2, Vc3 모두가 L인 경우에 L가 출력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전원에 의하여 계속 H 상태에 있는 경우 보다 전력 소모가 절감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고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과 같은 다른 발명을 이용하는데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상태로의 실시, 그리고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위칭회로
110 : 구동부
120 : 스위치부
111 : 전원발생회로
112 : 버퍼부
113 : 인버터부
121 : 제1 시리즈 스위치
122 : 제2 시리즈 스위치
123 : 제1 션트 스위치
124 : 제2 션트 스위치
125 : 제3 시리즈 스위치
126 : 제3 션트 스위치
Vc1, Vc2, Vc3 : 제어신호
M1 ~ M6 : 모스트랜지스터

Claims (45)

  1.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제1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2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에, 상기 출력단자에서 전원이 출력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는 P형 또는 N형 모스트랜지스터인
    전원발생회로.
  4. 제3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제1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1트랜지스터;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3트랜지스터;
    상기 제3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4트랜지스터;
    상기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3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5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5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6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트랜지스터, 제4트랜지스터 및 제6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신호, 제2제어신호 및 제3제어신호 중 어느 한 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에, 상기 출력단자에서 전원이 출력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랜지스터 내지 제6트랜지스터는 P형 또는 N형 모스트랜지스터인
    전원발생회로.
  7.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어신호는 제어단자에 인가되며, 타단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트랜지스터의 제어단자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에, 상기 출력단자로 전원이 출력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
  10.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소스에 인가되고, 다른 한 개의 제어신호는 게이트에 인가되며, 드레인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온 신호인 경우에, 상기 출력단자로 전원이 출력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는 P형 또는 N형 모스트랜지스터인
    전원발생회로.
  14.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발생회로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입출력단 및, 상기 각각의 입출력단과 사이를 온/오프하는 복수 개의 스위치가 구비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
    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 및/또는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2. 제14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입출력단과,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와,
    상기 각각의 입출력단과 안테나 사이를 온/오프하는 복수 개의 제1스위치, 및
    상기 각각의 입출력단과 접지단자 사이를 온/오프하는 복수 개의 제2스위치,
    가 구비되는 스위치부;
    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
    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는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 및/또는 인버터부는 상기 전원발생회로에서 발생되는 전원을 인가받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에 인가되어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버퍼부; 및
    상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스위치부로 전달하는 인버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에 인가되어 온/오프를 제어하고,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중 상기 버퍼부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스위치에는 상기 버퍼부를 통과하지 않은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 중 상기 버퍼부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스위치에는 상기 인버터부를 통과한 신호가 인가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는 시리즈 스위치, 제2스위치는 션트 스위치인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상기 버퍼부 및/또는 인버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4. 제1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제1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2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 및 제2트랜지스터는 P형 모스트랜지스터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6. 제1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제3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제1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1트랜지스터;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3트랜지스터;
    상기 제3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4트랜지스터;
    상기 제2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3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5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5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일단에 연결되는 제6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트랜지스터, 제4트랜지스터 및 제6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상기 제1트랜지스터 내지 제6트랜지스터는 P형 모스트랜지스터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8. 제1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일단에 연결되고, 다른 한 개의 제어신호는 제어단자에 인가되며, 타단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상기 두 개의 트랜지스터의 제어단자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40. 제14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두 개의 제어신호 중 어느 한 개의 제어신호가 소스에 인가되고, 다른 한 개의 제어신호는 게이트에 인가되며, 드레인은 출력단자와 연결되는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상기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상기 두 개의 모스트랜지스터는 P형 또는 N형 모스트랜지스터인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43.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시리즈 스위치;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입출력단;
    상기 안테나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시리즈 스위치;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입출력단;
    접지단자;
    상기 접지단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입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션트 스위치;
    상기 접지단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입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션트 스위치;
    제1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로 전달하고, 제2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로 전달하는 버퍼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제1 션트 스위치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제2 션트 스위치로 전달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버퍼부 및/또는 인버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발생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발생회로는,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는 제2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상기 버퍼부를 통과해서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의 온/오프가 제어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상기 버퍼부를 통과해서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의 온/오프가 제어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상기 인버터부를 통과해서 상기 제1 션트 스위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션트 스위치의 온/오프가 제어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상기 인버터부를 통과해서 상기 제2 션트 스위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 션트 스위치의 온/오프가 제어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45. 안테나;
    상기 안테나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시리즈 스위치;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입출력단;
    상기 안테나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시리즈 스위치;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입출력단;
    접지단자;
    상기 접지단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입출력단에 연결되는 제1 션트 스위치;
    상기 접지단자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입출력단에 연결되는 제2 션트 스위치;
    제1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로 전달하고, 제2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로 전달하는 버퍼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제1 션트 스위치로 전달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인버팅하여 상기 제2 션트 스위치로 전달하는 인버터부;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1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며, 타단이 상기 버퍼부 및/또는 인버터부의 전원공급핀에 연결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제어단자에 인가되고, 상기 제2제어신호가 일단에 인가되며, 타단이 상기 버퍼부 및/또는 인버터부의 전원공급핀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상기 버퍼부를 통과해서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시리즈 스위치의 온/오프가 제어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상기 버퍼부를 통과해서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 시리즈 스위치의 온/오프가 제어되며,
    상기 제1 제어신호가 상기 인버터부를 통과해서 상기 제1 션트 스위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 션트 스위치의 온/오프가 제어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가 상기 인버터부를 통과해서 상기 제2 션트 스위치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2 션트 스위치의 온/오프가 제어되는 것인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KR1020110057626A 2011-06-14 2011-06-14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KR101332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626A KR101332039B1 (ko) 2011-06-14 2011-06-14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EP12275076.3A EP2536010B1 (en) 2011-06-14 2012-05-24 Power generating circuit and switching circuit
US13/494,920 US8866466B2 (en) 2011-06-14 2012-06-12 Power generating circuit and switching circuit
CN201210200096.7A CN102832790B (zh) 2011-06-14 2012-06-14 电力产生电路及开关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626A KR101332039B1 (ko) 2011-06-14 2011-06-14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280A true KR20120138280A (ko) 2012-12-26
KR101332039B1 KR101332039B1 (ko) 2013-11-22

Family

ID=4621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626A KR101332039B1 (ko) 2011-06-14 2011-06-14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66466B2 (ko)
EP (1) EP2536010B1 (ko)
KR (1) KR101332039B1 (ko)
CN (1) CN1028327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64496B (zh) * 2012-12-21 2016-08-03 加弘科技咨询(上海)有限公司 电源输出的控制电路
TWI499900B (zh) * 2012-12-24 2015-09-11 Celestica Technology Consultancy Shanghai Co Ltd 電源輸出之控制電路
US9991889B2 (en) * 2016-02-09 2018-06-05 Psemi Corporation High throw-count RF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846B1 (ko) * 1998-09-29 2001-05-15 윤종용 저 전력 소비의 전압 제어기
JP2001036337A (ja) 1999-03-05 2001-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ンテナ装置
US6512401B2 (en) 1999-09-10 2003-01-28 Intel Corporation Output buffer for high and low voltage bus
JP2004096441A (ja) * 2002-08-30 2004-03-25 Fujitsu Quantum Devices Ltd スイッチング回路、スイッチングモジュール及びその制御方法
ITMI20051027A1 (it) * 2005-06-01 2006-12-02 St Microelectronics Srl Architettura per implementare una capacita' integrata
US7899394B2 (en) * 2006-03-16 2011-03-01 Broadcom Corporation RFID system with RF bus
JP4854393B2 (ja) 2006-06-21 2012-01-18 三星電子株式会社 電圧発生回路
TWI331453B (en) * 2007-01-17 2010-10-01 Nanya Technology Corp Delay locked loop
US7994844B2 (en) * 2007-11-12 2011-08-09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ultiple-stage charge pump with charge recycle circuit
KR101036923B1 (ko) * 2009-12-30 2011-05-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6010A2 (en) 2012-12-19
CN102832790A (zh) 2012-12-19
EP2536010A3 (en) 2018-01-24
EP2536010B1 (en) 2019-01-09
CN102832790B (zh) 2015-07-22
KR101332039B1 (ko) 2013-11-22
US8866466B2 (en) 2014-10-21
US20120319671A1 (en)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8399B (zh) 用於高速類比開關的低漏動態雙向本體-攫取方法
US20140062577A1 (en) RF Switch with Adaptive Drain and Source Voltage
CN107257236B (zh) 用于电压电平转换的装置、系统和方法
US20140055191A1 (en) Low power rf switch
US8818298B2 (en) High frequency switch
KR101332039B1 (ko)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US7917778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101251832B1 (ko) 저항 공유 스위칭 회로
CN101247122B (zh) 分频器
JP6076725B2 (ja) レベルシフト回路
US8935551B2 (en) Supply voltage generator for a display timing controller with current reuse
US8604863B2 (en) Switch control circuit, semiconductor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963583B2 (en) Voltage level converter and RF switching driver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353212B1 (ko) 인버터 및 인버터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KR101376810B1 (ko) 인버터
KR101067330B1 (ko) 고속 rf신호 스위칭 장치
CN110932705A (zh) 一种电源轨切换电路
KR101214678B1 (ko)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KR20140084975A (ko) 슈트-스루 전류 방지 기능을 갖는 게이트 드라이버
KR101332109B1 (ko) 전원발생회로 및 전원발생회로가 구비된 스위칭회로
KR101454536B1 (ko) 반전 입력을 내장한 cmos 앤드-오아-인버터 회로
CN107579729B (zh) 差动式开关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