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7025A -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7025A
KR20120137025A KR1020110056307A KR20110056307A KR20120137025A KR 20120137025 A KR20120137025 A KR 20120137025A KR 1020110056307 A KR1020110056307 A KR 1020110056307A KR 20110056307 A KR20110056307 A KR 20110056307A KR 20120137025 A KR20120137025 A KR 20120137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torque
collision
wheel
collision avoi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6542B1 (ko
Inventor
정태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542B1/ko
Priority to CN201210181195.5A priority patent/CN102815298B/zh
Publication of KR2012013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7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60W3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and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55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 B60T8/17558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control the stability of the vehicle, e.g. taking into account yaw rate or transverse acceleration in a curve specially adapted for collision avoidance or collision mitig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ste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63Lane change; Overtaking manoeuv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2Steer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7Oversteer or underst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50B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60Y2300/022Stability in turns or during cornering
    • B60Y2300/0223Stability in turns or during cornering related to over-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8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 B60Y2300/09Taking automatic action to avoid collision, e.g. braking or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166Overtaking, changing 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물과의 충돌상황에서 충돌회피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충돌회피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COLLISION AVOIDANCE METHOD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조향 및 제동제어를 통해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하도록 보조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 및 제동을 통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을 회피 및 방지하는 충돌회피 시스템은 카메라, 레이더 또는 이들을 결합한 센서퓨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충돌회피 시스템은 충돌이 예측되면 적절한 목표 회피 궤적을 생성하고 이를 추종하도록 조향 또는 제동제어를 수행한다.
충돌회피 시스템은 장애물과의 충돌이 예측되면, 긴급제동 여부를 판단하여 급제동을 수행하고, 이때 옆 차선이 비어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으로 차선을 변경하여 충돌을 회피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충돌회피 시스템은 충돌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동 및 조향을 동시에 제어하거나 차선 변경 등을 통해 충돌회피 가능성이 있는 지를 판단한다.
이후,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 궤적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동 및 조향제어를 통해 회피 궤적을 추종한다.
그러나, 종래의 충돌회피 시스템은 자동으로 제동 및 조향제어를 수행하여 회피 궤적을 추종함으로써, 운전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제동 및 조향제어가 이루어지게 되고, 그 결과 운전자는 긴급상황에서 심한 위화감을 느낄 수 있었다.
게다가, 자동으로 목표 조향각 또는 회피 궤적을 산출하여 이를 추종하므로 자동 조향에 가까워지는 바, 이는 양산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과의 충돌 상황에서 충돌회피 가능성이 있으면, 차량의 조향 및 제동제어를 운전자의 조향 의지를 기반으로 수행하도록 한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은 장애물과의 충돌상황에서 충돌회피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돌회피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상황에서 충돌회피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충돌회피가 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장애물의 높이와 폭, 상대거리 및 상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가 토크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는 상기 조향휠의 조향 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는 상기 선회 방향으로의 모멘트를 증가시켜 충돌회피를 위한 횡변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는 상기 선회 방향의 내측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는 상기 조향휠의 조향 방향에 따른 횡변위가 횡변위 설정값 이상이 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의 조향 방향에 따른 횡변위가 횡변위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조향휠의 카운터 조향 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향휠의 카운터 조향 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인가하는 단계는 선회 외측률 제어를 통해 오버스티어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선회 외측률 제어를 통해 오버스티어를 방지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터 조향 방향의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 및 차선 변경 후, 상기 조향휠의 카운터 조향 방향과 반대 방향의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조향 의지에 따라 제동 및 조향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의 위화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운전자의 조향 의지에 따라 제동 및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충돌회피 시스템에 비해 손쉽게 양산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은 도 2 에 따른 충돌회피를 위한 차선 변경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의 차선 변경 상황을 시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 제어부(30) 및 액츄에이터부(20)를 포함한다.
감지부(10)는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여 차량이 장애물과 충돌 상황인 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충돌감지정보를 입력한다.
이를 위해, 감지부(10)는 전방의 장애물을 촬영하여 장애물의 높이와 폭 등을 입력하는 촬영부(11)와, 장애물의 존재 여부 및 장애물과의 거리 등을 통해 상대거리와 상대속도 등을 입력하는 레이더(12) 및 이들을 결합한 센서 퓨전(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감지부(10)는 차량내에 장애물을 감지하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부(11)와 레이더(12)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과의 충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기기가 모두 포함될 것이다.
액츄에이터부(20)는 충돌회피를 위해 차량의 조향제어 및 제동제어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액츄에이터부(20)는 제동 장치(21)와 조향 장치(22)를 포함한다.
제동 장치(21)는 차량의 주행 중에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동 장치(21)는 차량 제동시 각 차륜에 제동력을 균일하게 분배하거나 특정 차륜의 제동력을 선별적으로 제어하여 차량의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동 장치(21)는 각 차륜의 제동력을 유압으로 제어하는 유압식과 모터를 이용하는 전동식 등으로 구분되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각각의 차륜을 제어하여 차량을 제동시키는 다양한 제동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할 것이다.
조향 장치(22)는 조향 차륜인 전륜의 정렬상태를 전환시켜 주행중인 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꾸는 것으로써, 차량의 전륜 또는 4륜을 각각 적합한 각도로 조정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향 장치는 운전자가 조작하는 조향휠에 연결되어 차실내에서 엔진룸쪽으로 이어지는 조향컬럼(미도시)에 유니버셜조인트(미도시)를 매개로 엔진룸 내에서 조향기어박스(미도시)가 결합되고, 이 조향기어박스의 구동에 따라 차륜에 연결된 타이로드(미도시)를 조작해 차량의 진행방향을 바꾼다.
본 실시예에서, 조향 장치(22)는 차량의 조향휠의 회전에 따라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방식의 조향 장치(22)를 모두 포함한다할 것이다.
제어부(30)는 장애물과의 충돌상황에서 충돌회피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고, 충돌회피가 가능하면, 운전자의 조향 의지를 검출하고, 운전자의 조향 의지가 검출되면, 조향휠의 조향 방향에 따른 선회 방향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한다.
즉, 제어부(30)는 감지부(10)에서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통해 장애물을 인지하고, 장애물과 충돌 상황인 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충돌 상황이면, 충돌회피가 가능한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충돌 회피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 장치(22)의 조향휠을 통해 운전자의 조향의지를 검출하고 운전자의 조향의지에 따라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킨다. 이때, 제동 장치(21)를 통해 차륜의 각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30)는 운전자의 조향 의지에 따라 회피주행을 보조하여 빠른 시간내에 장애물을 회피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을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며, 도 3 은 도 2 에 따른 충돌회피를 위한 차선 변경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는 도 3 의 차선 변경 상황을 시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감지부(10)가 자차선에 있는 장애물을 감지(S10)하여 제어부(30)에 충돌감지정보를 입력한다.
충돌감지정보는 장애물과 충돌상황인 지를 판단하고, 충돌회피가 가능한 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로써, 장애물의 높이와 폭, 상대거리와 상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다.
제어부(30)는 감지부(10)로부터 충돌감지정보가 입력되면, 충돌감지정보를 분석하여 차량이 장애물에 충돌상황인지를 판단한다(S20).
제어부(30)는 충돌상황인지를 판단한 결과, 충돌상황인 것으로 판단되면, 충돌회피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30).
제어부(30)는 충돌회피가 가능한지 여부를 장애물의 높이와 폭, 상대거리 및 상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검출한다.
여기서, 제어부(30)는 상기 장애물의 높이와 폭, 상대거리 및 상대속도를 기반으로 충돌회피가 가능한지를 현재 차량의 주행환경 예를 들어, 자차선의 좌우 인접차선이 비어 있는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부(30)는 충돌회피가 가능하면, 조향휠을 이용하여 운전자의 조향 의지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30)는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와 기 설정된 토크 설정값을 비교하여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와 토크 설정값 이상인 지를 판단한다(S40).
여기서, 토크 설정값은 운전자가 조향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토크값으로써, 충돌감지정보를 고려하여 충분히 차선을 변경할 수 있을 정도의 토크값이다.
한편,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가 토크 설정값 이상이면, 현재 비어있는 차선으로 변경하여 충돌을 회피하기 위한 운전자가 조향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30)는 운전자가 조향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동 장치(21)와 조향 장치(22)를 제어하여 조향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30)는 조향 장치(22)를 제어하여 조향휠의 조향 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조향보조토크는 조향 방향으로의 조향력을 보조한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적은 힘으로 조향휠을 돌리더라도 조향 장치(22)의 모터(미도시)가 큰 토크를 발생시켜 운전자가 손쉽게 조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30)는 제동 장치(21)를 제어하여 선회 방향의 내측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켜 선회 방향으로 차량이 빠르게 회전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선회방향의 전륜과 후륜 제동으로 인해 감속도가 크게 발생될 수 있으나, 선회 방향으로의 큰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충돌회피를 위한 횡변위를 빠른 시간내에 발생시킬 수 있다(S50).
이와 같이, 조향 방향에 따른 선회방향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과정은 차량의 횡변위가 횡변위 설정값 이상이 될 까지 계속 수행한다(S60).
여기서, 횡변위 설정값은 선회 방향의 차선을 중심으로 차선이 충분히 변경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횡변위값이다.
즉, 제어부(30)는 차량의 횡변위와 횡변위 설정값을 비교하여 차량의 횡변위가 횡변위 설정값 이상이면, 운전자의 카운터 조향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킨다(S70). 여기서, 카운터 조향은 운전자의 최초 조향 방향과 반대인 조향 방향이다.
이러한 카운터 조향은 예를 들어 운전자가 최초 좌측으로 큰 조향으로 조향된 상태에서 최대한 빠른 카운터 조향으로 변경된 차선 내에서 차량의 거동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빠른 카운터 조향에 의해 최초 진행방향으로 오버스티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제동 장치(21)를 통해 오버스티어 방지 제어 즉, 선회 외측률 제어를 수행한다(S80).
예를 들어, 차량이 자차선에서 좌측 차선으로 변경할 경우, 최초 발생되는 시계방향 오버스티어는 우측휠의 제동제어를 수행하고, 차선 변경후 발생되는 반시계방향 오버스티어는 적은 양의 좌측휠 제동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차선 변경시 조향 및 제동제어를 통한 충돌회피를 위한 차선변경 상황을 시간대별로 나타내면, 도 3 과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최초, 장애물(Obstacle)과 충돌상황인 것으로 판단(Crash predicted)된 후, 조향컬럼토크의 측정값치(St_tq>x[NM])를 통해 운전자가 조향 의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보조토크(Ovly_tq)를 발생시킨다.
즉,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조향휠이 회전하고, 이때 조향컬럼토크의 측정값치(St_tq>x[NM])이면, 조향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킨다.
이때, 선회방향의 휠 즉, 좌측휠(파란색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킨다(Brk_prs[left]).
이와 같이, 좌측 조향이 된 상태에서 차량의 횡변위가 최초 위에서 횡변위 설정값(회색 점선) 이상이 되면, 운전자의 카운터 조향(우측 방향 조향)을 보조하기 위해 반향으로 조향보토토크(Ovly_tq)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차량은 목표로 하는 근접 차선을 넘어서지 않게 된다.
한편, 카운터 조향에 의해 오버스티어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최초 발생되는 시계방향 오버스티어는 좌측휠의 제동력을 제거하면서 우측휠(주황색)의 제동제어(Brk_prs[right])를 수행하고, 차선 변경후 발생되는 반시계방향 오버스티어는 적은 양의 좌측휠 제동제어(Brk_prs[left])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차선 변경이 완료되어 충돌회피 제어가 완료되면, 기존 제동 시스템으로 동작으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감지부 11: 촬영부
12: 레이더 20: 액츄에이터부
21: 제동 장치 22: 조향 장치
30: 제어부

Claims (10)

  1. 장애물과의 충돌상황에서 충돌회피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충돌회피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과의 충돌상황에서 충돌회피가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충돌회피가 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장애물의 높이와 폭, 상대거리 및 상대속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가 토크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는
    상기 조향휠의 조향 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는
    상기 선회 방향으로의 모멘트를 증가시켜 충돌회피를 위한 횡변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는
    상기 선회 방향의 내측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의 조향컬럼토크에 따른 선회 방향의 차선으로 차선 변경을 보조하는 단계는
    상기 조향휠의 조향 방향에 따른 횡변위가 횡변위 설정값 이상이 될 때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조향 방향에 따른 횡변위가 횡변위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조향휠의 카운터 조향 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휠의 카운터 조향 방향으로 조향보조토크를 인가하는 단계는
    선회 외측률 제어를 통해 오버스티어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외측률 제어를 통해 오버스티어를 방지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터 조향 방향의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 및
    차선 변경 후, 상기 조향휠의 카운터 조향 방향과 반대 방향의 휠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KR1020110056307A 2011-06-10 2011-06-10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KR101786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307A KR101786542B1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CN201210181195.5A CN102815298B (zh) 2011-06-10 2012-06-04 车辆的碰撞避免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307A KR101786542B1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7025A true KR20120137025A (ko) 2012-12-20
KR101786542B1 KR101786542B1 (ko) 2017-11-16

Family

ID=4729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307A KR101786542B1 (ko) 2011-06-10 2011-06-10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6542B1 (ko)
CN (1) CN102815298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4420B2 (en) 2015-12-11 2018-12-0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h of autonomous driving system
CN109318987A (zh) * 2018-11-01 2019-02-12 河南科技大学 一种车辆
CN110654377A (zh) * 2018-06-29 2020-01-0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防撞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20200032417A (ko) * 2018-09-18 2020-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스템 협조방식 회피조향제어방법
CN111587435A (zh) * 2017-11-21 2020-08-25 福特全球技术公司 对象位置坐标确定
CN112721922A (zh) * 2019-10-10 2021-04-30 操纵技术Ip控股公司 用于紧急转向的共享控制的系统和方法
CN114104003A (zh) * 2021-12-30 2022-03-01 东风汽车有限公司东风日产乘用车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
US11351990B2 (en) * 2016-10-11 2022-06-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werve assist in a transportation vehicle
US11813978B2 (en) 2013-11-06 2023-11-14 Frazier Cunningham, III Parking signaling system
CN117585056A (zh) * 2024-01-18 2024-02-2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转向车轮控制方法、车辆控制器及车辆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9404B (zh) * 2012-12-19 2016-08-31 财团法人车辆研究测试中心 可追踪移动物体的防撞警示方法及其装置
KR20140126975A (ko) 2013-04-24 2014-11-03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충돌 회피 장치 및 방법
KR101480610B1 (ko) * 2013-05-21 2015-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101509989B1 (ko) * 2013-11-26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9278713B2 (en) * 2013-12-11 2016-03-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llision avoidance control integrated with EPS controller
CN104085391B (zh) * 2014-06-28 2018-04-06 祖新华 汽车智能安全系统
CN104176054B (zh) * 2014-08-18 2016-07-06 大连理工大学 一种汽车主动防碰撞自动换道控制系统及其工作方法
JP6491596B2 (ja) * 2015-12-25 2019-03-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6330825B2 (ja) * 2016-01-26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衝突回避支援システム
KR102463694B1 (ko) * 2016-12-09 202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휠 시스템을 이용한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KR102452682B1 (ko) * 2016-12-1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방충돌회피성능 향상을 위한 통합제어방법 및 차량
CN108791283B (zh) * 2018-05-16 2019-11-05 江苏锡沂高新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用于无人驾驶电动汽车的驾驶辅助控制器
CN113085903A (zh) * 2018-08-15 2021-07-09 重庆好德译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混合控制指令的人车协同驾驶方法及系统
WO2020132942A1 (en) * 2018-12-26 2020-07-02 Baidu.Com Times Technology (Beijing) Co., Ltd. A mutual nudge algorithm for self-reverse lane of autonomous driving
KR20210042188A (ko) * 2019-10-08 2021-04-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7053707B2 (ja) * 2020-03-26 2022-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及びその制御装置
KR102360817B1 (ko) * 2020-07-02 2022-02-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컷인 차량의 충돌 방지를 위한 자율주행시스템 및 방법
US11427254B2 (en) * 2020-12-18 2022-08-30 Aptiv Technologies Limited Evasive steering assist with a pre-active phase
CN113479262B (zh) * 2021-07-01 2023-01-17 南通理工学院 一种用于快速通过限宽墩方法
CN114038196A (zh) * 2021-11-18 2022-02-11 成都车晓科技有限公司 车辆前向防撞预警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9984B2 (ja) * 1997-07-09 2002-09-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衝突回避装置
JP3738613B2 (ja) * 1999-08-10 2006-01-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追従装置
JP3870911B2 (ja) * 2003-02-10 2007-01-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線逸脱防止装置
JP2005254835A (ja) * 2004-03-09 2005-09-22 Hitachi Ltd 車両の走行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ユニット
DE102005023832A1 (de) * 2005-05-24 2006-11-30 Daimlerchrysler Ag Verfahren und System zur Vermeidung einer Kollision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Objekt
DE102006033145A1 (de) * 2006-07-18 2008-01-24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meidung und/oder Minderung der Folgen von Kollisionen
JP4254821B2 (ja) * 2006-08-15 2009-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制動制御装置
DE602006011630D1 (de) * 2006-11-29 2010-02-25 Ford Global Tech Llc Sicherheits-Lenksystem
JP4706654B2 (ja) * 2007-03-27 2011-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突回避装置
JP5309582B2 (ja) * 2007-05-11 2013-10-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走行制御方法及び走行制御装置
JP5272448B2 (ja) * 2008-03-04 2013-08-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運転支援装置及び車両用運転支援方法
JP5195079B2 (ja) * 2008-06-27 2013-05-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US20110279254A1 (en) * 2009-02-03 2011-11-17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an avoidance maneuve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3978B2 (en) 2013-11-06 2023-11-14 Frazier Cunningham, III Parking signaling system
US10144420B2 (en) 2015-12-11 2018-12-04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ath of autonomous driving system
US11351990B2 (en) * 2016-10-11 2022-06-0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werve assist in a transportation vehicle
CN111587435A (zh) * 2017-11-21 2020-08-25 福特全球技术公司 对象位置坐标确定
CN110654377A (zh) * 2018-06-29 2020-01-0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防撞控制方法及控制系统
KR20200032417A (ko) * 2018-09-18 2020-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스템 협조방식 회피조향제어방법
CN109318987A (zh) * 2018-11-01 2019-02-12 河南科技大学 一种车辆
CN112721922A (zh) * 2019-10-10 2021-04-30 操纵技术Ip控股公司 用于紧急转向的共享控制的系统和方法
CN114104003A (zh) * 2021-12-30 2022-03-01 东风汽车有限公司东风日产乘用车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
CN117585056A (zh) * 2024-01-18 2024-02-2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转向车轮控制方法、车辆控制器及车辆
CN117585056B (zh) * 2024-01-18 2024-05-10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转向车轮控制方法、车辆控制器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15298A (zh) 2012-12-12
KR101786542B1 (ko) 2017-11-16
CN102815298B (zh)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542B1 (ko) 차량의 충돌회피 제어방법
JP5783204B2 (ja) 運転支援装置および運転支援方法
CN107428374B (zh) 机动车中的驾驶员辅助系统
JP4759547B2 (ja) 走行支援装置
JP5831530B2 (ja) 車両制御装置
JP5426427B2 (ja) 走行支援装置
US11511741B2 (en) Lane keep assist device
JP5317940B2 (ja) 走行路逸脱防止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5554037B2 (ja) 車両用接触回避支援装置
JP4792289B2 (ja) 車輌の走行制御装置
KR20150050136A (ko) 운전자의 의지 판단을 포함하는 조향 제어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JP5773155B2 (ja) 車線逸脱防止装置
JP5248451B2 (ja) 車両用接触回避支援装置
JP2012501916A (ja) 非常操縦の際かじ取りを援助する方法
WO2014203334A1 (ja) 運転支援装置
JP2000072023A (ja) 自動車用かじ取りシステム
JP2016150593A (ja) 車両制御装置および車両制御方法
JP4389650B2 (ja) 自動操舵駐車支援装置
JP2004352120A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4185957B2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2004352110A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2004338636A (ja) 走行支援装置
JP5199205B2 (ja) 車両制御装置
JP4110937B2 (ja) 駐車支援装置
JP4097563B2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