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6317A -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6317A
KR20120136317A KR1020120120020A KR20120120020A KR20120136317A KR 20120136317 A KR20120136317 A KR 20120136317A KR 1020120120020 A KR1020120120020 A KR 1020120120020A KR 20120120020 A KR20120120020 A KR 20120120020A KR 20120136317 A KR20120136317 A KR 20120136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hassis
light emitting
substrate
backligh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3432B1 (ko
Inventor
다케하루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36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6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3Direct backlight with LE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12Electrical details

Abstract

발광 소자가 장착되어 있는 발광 소자 기판이 샤시의 전면에 배열된다. 발광 소자 기판은 제 1 커넥터에 연결되어 있다. 발광 소자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 기판이 샤시의 후면에 배열되어 있다. 제 2 커넥터가 급전 기판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어서, 급전 기판이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 기판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 2 커넥터는 하니스를 통해 급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BACKLIGHT ASSEMBLY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LIGHT-EMITTING ELEMENT VIA A CONNECTOR, AND A BACKLIGHT UNIT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WHICH USE THE BACKLIGHT ASSEMBL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캐소드 광 튜브 등의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비교하여 경량이고, 더 얇고 더 적은 전력을 소비하기 때문에 액정을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용 장치, 컴퓨터, 와이드-스크린 텔레비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은 그 자체로는 광을 발산하지는 않는다. 이에 따라, 액정 뒤로부터 광을 발산하기 위해서 백라이트 유닛이 사용되고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다. 일반적으로,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 다이오드 (LEDs) 등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기판, 발광 소자에 전력 및 제어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급전 기판, 및 발광 소자 기판과 급전 기판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기 도전대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샤시, 상기 샤시의 전면에 고정된 발광 소자 기판, 상기 샤시의 후면에 고정된 급전 기판, 및 상기 샤시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는 하니스 (harness) 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알려져 있다. 하니스는 발광 소자 기판과 급전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대로서 사용된다. JP-A 2009-295587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샤시의 구멍은 미립자 등의 먼지가 백라이트 유닛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폐쇄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구조와 상이하나 유사한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예가 도 31 ~ 도 33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1 및 도 32a ~ 도 32c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샤시 (103) 의 전면의 주변부에 형성된 프레임 (103b) 을 갖는 샤시 (103) 를 갖는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프레임 (103b) 에 나사결합되는 발광 소자 기판 (123a ~ 123f) 을 포함한다. 도 32a ~ 도 32c 에는, 발광 소자 기판 (123d, 123e 및 123f) 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각 발광 소자 기판 (123a ~ 123f) 은 LED 등의 발광 소자 (131), 및 발광 소자 커넥터 (133) 를 포함한다.
한편, 도 3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샤시 (103) 의 후면에 나사결합되는 급전 기판 (237) 을 갖는다. 급전 기판 (237) 은 발광 소자 기판 (123a ~ 123f) 에 전력 및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급전 기판 (237) 은 급전기판에 장착되는 급전 기판 커넥터 (235) 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 기판 (123a ~ 123f) 및 급전 기판 (237) 은 하니스 (233) 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하니스 (233) 는 하니스 (233) 의 일측에 형성된 발광 소자 커넥터 (143) 및 하니스 (233) 의 다른 측에 형성된 급전 기판 커넥터 (도시되지 않음) 를 갖는다. 발광 소자 커넥터 (143) 는 발광 소자 커넥터 (133) 에 연결된다. 급전 기판 커넥터는 급전 기판 커넥터 (235) 에 연결되어 있다.
샤시 (103) 는 하니스 (233) 가 구멍 (234) 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샤시 (103) 에 형성된 구멍 (234) 을 갖는다. 구멍 (234) 은 고무 플러그 (231) 로 채워진다. 고무 플러그 (231) 는 하니스 (233) 가 구멍 (231a) 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슬릿형의 작은 구멍 (231a) 을 갖는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조립하기 위해서, 이하의 단계들이 요구된다:
1) 발광소자 기판 (123a ~ 123f) 이 샤시 (103) 에 부착된다.
2) 하니스 (233) 의 발광 소자 커넥터 (143) 가 발광 소자 기판 (123a ~ 123f) 의 발광 소자 커넥터 (133) 에 연결된다. 그 다음, 하니스 (233) 가 샤시 (103) 의 후면을 향해 구멍 (234) 외부로 인출된다.
3) 구멍 (234) 은 고무 플러그 (231) 로 채워진다.
4) 급전 기판 (237) 은 샤시 (103) 의 후면에 고정된다.
5) 급전 기판 (237) 의 급전 기판 커넥터 (235) 가 하니스 (233) 의 급전 기판 커넥터에 연결된다.
상기 구조에서, 샤시의 전면 및 후면 상의 기판 (발광 소자 기판 (123a ~ 123f) 및 급전 기판 (237)) 은 하니스를 샤시의 구멍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커넥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고무 플러그 (231), 발광 소자 커넥터 (133), 급전 기판 커넥터 (235), 및 양측에 커넥터를 갖는 하니스 (233) 를 필연적으로 요구한다.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에 요구되는 부품의 수를 더 감소시켜서 비용 절감을 달성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조립될 때, 상기의 구조는 하니스를 샤시의 구멍을 통해 통과시키고 하니스를 샤시의 전면 및 후면 상의 기판에 연결하는 공정을 요구한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등의, 구성부품이 적층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에 있어서, 하니스를 구멍을 통해 통과시키는 공정은 작업성을 현저히 악화시키고 맨-아워 (man-hour) 를 증가시킨다. 그 결과, 제작 비용이 문제가 있게 증가된다.
또한, 어떤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따라 동일한 하니스 및 발광 소자 기판을 사용하고, 상이한 급전 기판을 사용한다. 상기에 설명된 구조를 이용하면, 하니스의 커넥터에 대응하는 커넥터는 급전 기판의 종류에 상관없이 급전 기판에 장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급전 기판의 설계의 융통성이 감소되어서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대표적인 목적은 종래의 기술과 비교하여 비용 감소를 용이하게 해주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명이 진행됨에 따라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양태에 따르면,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샤시, 상기 샤시의 전면에 배열되고 발광 소자를 장착하는 발광 소자 기판, 상기 발광 소자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샤시의 후면 상에 배열되는 급전 기판, 상기 샤시에 고정되고 상기 발광 소자 기판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급전 기판 및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가 제공되고, 상기 전력은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통해 급전 기판에서부터 발광 소자 기판으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다른 대표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에 언급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샤시의 전방에 배열되는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표적인 양태에 따르면, 상기에 언급된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되고,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액정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상기 광학 시스템이 배열된다.
도 1 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샤시에 제 1 커넥터를 부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가 샤시 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 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샤시에 부착되는 발광 소자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 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5a 는 제 1 실시형태에서 히트 싱크 부재가 발광 소자 기판에 부착되어 있는 부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 는 도 5a 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6a 는 도 5a 에 도시되는 부분이 샤시에 부착되는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b 는 도 6a 의 일부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7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샤시에 제 2 커넥터를 갖는 급전 기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의 주요 부분의 부분적인 단면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에서 급전 기판이 샤시에 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a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b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c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d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 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에 포함되는 제 1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에 포함되는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a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b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3c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3d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커넥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e 는 다른 방향에서 본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커넥터에 포함되는 제 2 접촉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커넥터에 포함되는 홀드-다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게 되는 단면도이다.
도 17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제 1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 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제 2 연결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와 급전 기판 사이의 연결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 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샤시에 부착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샤시의 전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 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샤시에 부착된 제 1 커넥터에 발광 소자 기판을 연결하는 공정을 설명하는, 샤시의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2 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샤시에 부착된 제 2 커넥터에 발광 소자 기판이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 21 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23 은 도 22 에 도시되는 발광 소자 기판을 도시하는, 샤시의 후방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 는 제 2 커넥터가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 23 과 유사한 사시도이다.
도 25 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a 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6b 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후면도이다.
도 26c 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d 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하부도이다.
도 26e 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커넥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27 은 도 26a 의 라인 A-A 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8 은 제 1 커넥터와 샤시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 27 과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29 는 도 26a 의 라인 B-B 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0 은 제 2 실시형태에서 제 1 커넥터와 발광 소자 기판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1 은 종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2a 는 도 31 에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α) 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2b 는 도 31 에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β) 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2c 는 도 31 에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γ) 을 도시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3 은 도 31 의 하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
우선 도 1 을 참조하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0) 의 전체 구조에 대해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0) 는 액정을 이용하고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0) 의 전방측에 배열되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부 (300), 액정 디스플레이부 (300) 에 광을 발사하기 위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0) 의 후방측에 배열되는 백라이트 유닛 (200), 및 내부에 액정 디스플레이부 (300) 및 백라이트 유닛 (200) 을 수용하거나 장착하는 프레임 (15) 을 갖는다. 백라이트 유닛 (200) 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1)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1) 의 전방에, 즉 백라이트 어셈블리 (1) 와 액정 디스플레이부 (300) 사이에 배열되는 광학 시스템을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1) 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샤시 (3) 를 포함한다. 광학 시스템은 반사 시트 (sheet) (5), 광 안내 플레이트 (7), 확산 시트 (sheet) (9), 프리즘 시트 (sheet) (11), 및 콘덴싱 시트 (sheet) (13) 를 포함하고, 이들은 열거된 순으로 샤시 (3) 의 전방에 적층된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0) 는 텔레비전 리시버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 모니터에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에 관해 설명될 것이다.
도 2 에서, 샤시 (3) 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부 (3a)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부 (3a) 의 각 측 또는 그 근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프레임 플레이트부 (3b) 를 포함한다. 베이스 플레이트부 (3a) 는 베이스 플레이트부 (3a) 의 전면에 리세스된 리세스부 (3c) 를 갖는다. 리세스부 (3c) 는 베이스 플레이트부 (3a) 의 일측 상에서 프레임 플레이트부 (3b) 근처에 위치된다. 리세스부 (3c) 는 샤시 구멍부 (3d) 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을 갖는다. 이후에 설명될 제 1 커넥터 (24) 는 샤시 구멍부 (3d) 안으로 삽입되어 샤시 구멍부 (3d) 에 고정된다. 도 3 은 제 1 커넥터 (24) 가 샤시 (3) 상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커넥터 (24) 가 장착되는 전체 샤시 (3) 가 도 6a 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2 개의 신장된 발광 소자 기판 (26) 이 준비된다. 도 4a 및 도 4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LEDs) 등의 다수의 발광 소자 (25) 가 각 발광 소자 기판 (26) 의 표면 상에 연이어 장착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 기판 (26) 이 일 히트 싱크 부재 (27) 에 연속하여 배열되어 있다. 이들 발광 소자 기판 (26) 은 동일한 폭 방향을 향해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도록 서로 인접한 발광 소자 기판 (26) 의 단부에 형성된 기판 돌출부 (26a) 를 갖는다. 히트 싱크 부재 (27) 는 발광 소자 (25) 가 장착되는 발광 소자 기판 (26) 의 표면과 대향하는 표면과 마주하는 백라이트부 (27a), 상기 백라이트부 (27a) 에 수직인 히트 싱크부 (27b), 및 히트 싱크부 (27b) 에 형성된 돌출 삽입 슬롯 (27c) 을 포함한다.
발광 소자 기판 (26) 은 기판 돌출부 (26a) 가 돌출 삽입 슬롯 (27c) 에 삽입된 상태에서 히트 싱크 부재 (27) 에 부착된다. 발광 소자 기판 (26) 은 종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나사 구멍 (26b) 을 사용하여 히트 싱크 부재 (27) 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각각의 기판 돌출부 (26a) 는 돌출 삽입 슬롯 (27c) 을 통해 히트 싱크부 (27b) 의 대향측에 대해 노출되는 2 개의 전도 접촉부 (26c) 를 갖는 표면을 갖는다. 상기 접촉부 (26c) 는 발광 소자 기판 (26) 의 회로를 통해 발광 소자 (25) 에 연결된다.
히트 싱크 부재 (27) 는 발광 소자 기판 (26) 에 부착되어서 발광부 (28) 를 형성한다. 도 6a 및 도 6b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부 (28) 는 제 1 커넥터 (24) 가 장착되어 있는 샤시 (3) 의 전면에 배열된다. 기판 돌출부 (26a) 는 제 1 커넥터 (24) 안으로 삽입되고, 히트 싱크 부재 (27) 는 샤시 (3) 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제 1 커넥터 (24) 를 통해 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다수의 발광 소자 (25) 가 배열되고 도 1 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 (1) 의 전방측에 있는 에지를 따르는 샤시 (3) 의 일 에지 근처에 고정된다.
한편,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발광 소자 기판 (26) 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백라이트 어셈블리 (1) 의 후방측에 급전 기판 (31) 이 제공된다. 급전 기판 (31) 은 샤시 (3) 의 후면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샤시 (3) 에 나사결합된다.
도 7 및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후에 상세하게 설명될 제 2 커넥터 (32) 가 급전 기판 (31) 의 후면에 장착된다. 제 2 커넥터 (32) 는 제 1 커넥터 (24) 에 끼워맞춤되거나 합치되어 제 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제 2 커넥터 (32) 는 그 사이에서 끼워맞춤되는 제 1 커넥터 (24) 와 함께 전기 연결부를 제공한다. 급전 기판 (31) 은, 제 1 커넥터 (24) 가 제 2 커넥터 (32) 와 합치하도록 해주기 위해서 제 2 커넥터 (32) 에 대응하는 합치 구멍 (mating hole: 31a) 을 갖는다.
도 9 는, 제 1 커넥터 (24) 와 제 2 커넥터 (32) 의 합치에 의해 샤시 (3) 의 후면에 급전 기판 (31) 이 배열되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제 제 1 커넥터 (24) 가 도 1 ~ 도 9 뿐만 아니라 도 10a ~ 도 12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커넥터 (24) 는 샤시 (3) 를 천공하거나 관통하는 제 1 하우징 (34) 및 상기 제 1 하우징 (34) 상에 유지되는 4 개의 제 1 접촉부 (35) 를 포함한다. 제 1 하우징 (34) 은 절연 물질로 만들어져서 비전도성을 띠게 되는 반면, 제 1 접촉부 (35) 는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져서 전도성을 띠게 된다.
제 1 하우징 (34) 은 2 개의 기판 돌출부 (26a) 가 삽입되는 2 개의 기판 삽입 슬롯 (34a), 제 1 커넥터 (24) 가 제 2 커넥터 (32) 와 합치되도록 해주는 한 쌍의 삽입 안내부 (34b), 제 1 커넥터 (24) 가 샤시 구멍부 (3d) 에 삽입될 때 샤시 (3) 와 접하는 샤시 접합면 (34c), 제 1 커넥터 (24) 를 샤시 (3) 에 결합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해서 스프링 특성을 갖는 한 쌍의 샤시 결합 후크 (34d), 및 제 1 커넥터 (24) 가 제 2 커넥터 (32) 와 합치될 때 기판 (31) 과 접하는 커넥터 접합면 (34e) 을 갖는다. 샤시 결합 후크 (34d) 는 샤시 접합면 (34c) 과 함께 작용하여 샤시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각각의 삽입 안내부 (34b) 는 삽입 및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모따기된 단부를 갖는다.
도 1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 1 접촉부 (35) 는 제 1 하우징 (34) 에 압입되는 2 개의 압입부 (35a 및 35b) 를 갖는다. 제 1 접촉부 (35) 의 중간에 위치되는 압입부 (35a) 는 제 1 하우징 (34) 과 결합하는 결합부로서도 불릴 것이다. 제 1 접촉부 (35) 는 결합부 (35a) 의 일측에 위치된 스프링부 (35c) 및 결합부 (35a) 의 다른 측에 위치된 커넥터 접촉부 (35d) 를 갖는다. 커넥터 접촉부 (35d) 는 선형으로 연장하는 평평한 플레이트의 형태이다. 스프링부 (35c) 는 발광 소자 기판 (26) 의 기판 돌출부 (26a) 에 제공된 접촉부 (26c) 중 대응하는 하나의 접촉부와 접촉하게 되는 기판 접촉부 (35e) 를 포함한다. 스프링부 (35c) 는, 스프링부 (35c) 의 부세 (urge) 를 방지하거나 스프링부의 자유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1 하우징 (34) 과 결합하는 부세 방지부 (35f) 도 포함한다. 기판 접촉부 (35e) 는 기판 삽입 슬롯 (34a) 내에 배열된다.
제 2 커넥터 (32) 가 도 1 ~ 도 9 뿐만 아니라 도 13a ~ 도 15 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2 커넥터 (32) 는 제 2 하우징 (37), 상기 제 2 하우징 (37) 상에 유지되는 4 개의 제 2 접촉부 (38), 및 상기 제 2 하우징 (37) 에 고정되는 한 쌍의 홀드-다운부 (39) 를 포함한다. 제 2 하우징 (37) 은 절연 물질로 만들어져서 비전도성인 반면, 제 2 접촉부 (38) 는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져서 전도성을 띤다.
제 2 하우징 (37) 은 샤시 (3) 를 통해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커넥터 (24) 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합치 (mating) 리세스부 (37a) 를 갖는다. 제 2 하우징 (37) 은 제 1 하우징 (34) 의 한 쌍의 삽입 안내부 (34b) 를 수용하기 위해 합치 리세스부 (37a) 의 대향측에 형성된 한 쌍의 넓은 안내 리시버부 (37b) 도 갖는다. 각각의 합치 리세스부 (37a) 는 삽입 및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입구 주위에 모따기된 부분을 갖는다.
도 1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제 2 접촉부 (38) 는 제 2 하우징 (37) 에 압입되어 결합되는 2 개의 압입부 또는 결합부 (38a), 결합부 (38a) 의 일측에 위치된 스프링부 (38b), 및 결합부 (38a) 의 다른 측에 위치되는 단자부 (38c) 를 갖는다. 단자부 (38c) 는 급전 기판 (31) 에 형성된 관통 구멍 (도시되지 않음) 을 통해 납땜되고 급전 기판 (31) 에 연결된다. 스프링부 (38b) 는 구불구불해지도록 연장하고 커넥터 접촉부 (38d) 및 부세 방지부 (38e) 를 포함한다. 커넥터 접촉부 (38d) 는 제 1 접촉부 (35) 의 커넥터 접촉부 (35d) 와 접촉하게 된다. 부세 방지부 (38e) 는 스프링부 (38b) 의 부세를 방지하거나 또는 스프링부 (38b) 의 자유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제 2 하우징 (37) 과 결합한다.
금속 플레이트를 천공함으로써 홀드-다운부 (39) 가 형성된다. 도 1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홀드-다운부 (39) 는 제 2 하우징 (37) 에 압입되는 압입부 (39a), 제 2 커넥터 (32) 가 급전 기판 (31) 으로부터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승 방지부 (39b), 및 급전 기판 (31) 에 형성된 관통 구멍 (도시되지 않음) 에 납땜되고 급전 기판 (31) 에 고정되는 기판 납땜부 (39c) 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터 (24) 와 제 2 커넥터 (32) 사이의 연결이 도 16 ~ 도 18 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24) 는 제 2 커넥터 (32) 에 대하여 위치된다. 제 1 커넥터 (24) 는 도 17 에 도시된 제 1 형태 또는 도 18 에 도시된 제 2 형태와 같이 제 2 커넥터 (32) 와 합치되거나 제 2 커넥터에 끼워맞춤된다. 도 17 에서의 샤시 (3) 와 급전 기판 (31) 사이의 간격 (t1) 은 도 18 에서의 샤시 (3) 와 급전 기판 (31) 사이의 간격 (t2) 보다 작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제 1 커넥터 (24) 와 제 2 커넥터 (32) 사이에서 소망하는 전기 연결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커넥터 (24) 의 커넥터 접촉부 (35d) 가 긴 유효 접촉 길이를 갖기 때문에, 백라이트 어셈블리 (1) 는 제 1 커넥터 (24) 와 제 2 커넥터 (32) 의 접촉점을 변화시킴으로써 샤시 (3) 와 급전 기판 (31) 의 위치 변동에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조는 고무 플러그 또는 하니스가 필요하지 않다. 추가적으로, 상기의 구조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 가 조립될 때 하니스를 샤시 (3) 의 구멍을 통해 관통시키고 하니스를 전방 기판 및 후방 기판 (발광 소자 기판 및 급전 기판) 에 연결시키는 공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맨-아워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가 하니스를 샤시의 구멍을 통해 관통시키고 하니스를 각각 전방 기판 및 후방 기판에 연결시키는 공정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구조는 적층에 의해 구성부품이 조립되는 구조에 적절하다. 이에 따라,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1) 및 백라이트 유닛 (200) 의 제조 비용도 감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이 도 19 ~ 도 30 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 ~ 도 18 의 구성부품과 기능이 유사한 부분은 도 1 ~ 도 18 의 구성부품의 구조와 상이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들 부분의 설명은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 ~ 도 9 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에서, 제 2 커넥터 (32) 는 급전 기판 (31) 에 장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 2 커넥터 (32) 는 가요성 하니스를 통해 급전 기판 (31) 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3 커넥터 (42) 는 하니스 (41) 의 제 2 커넥터 (32) 와 대향하는 단부에 연결될 수도 있다. 제 3 커넥터 (42) 는 급전 기판 (31) 에 장착되어 연결되는 제 4 커넥터 (43) 와 합치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2 커넥터 (32) 는 하니스 (41), 제 3 커넥터 (42), 및 제 4 커넥터 (43) 를 통해 급전 기판 (31) 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하니스 (41), 제 2 커넥터 (32), 및 제 3 커넥터 (42) 의 조합은 하니스 커넥터로 불릴 수도 있다.
제 2 커넥터 (32) 가 가요성 하니스 (41) 를 통해 급전 기판 (31) 에 연결되는 구조에 의하면, 제 2 커넥터 (32) 는 급전 기판 (31) 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제 2 커넥터 (32) 의 위치는 샤시 (3) 에 고정된 급전 기판 (31) 에 대해 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샤시 (3) 에 고정된 제 1 커넥터 (24) 에 대한 제 2 커넥터 (32) 의 위치지정이 용이해진다.
백라이트 어셈블리 (1) 의 변형예에서의 샤시 (3) 상에서의 구성부품의 조립이 도 20 ~ 도 25 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도 20 에서, 제 1 커넥터 (24) 는 샤시 (3) 의 전면으로부터 샤시 (3) 의 샤시 구멍부 (3d) 안으로 삽입된다. 이때, 제 1 커넥터 (24) 의 제 1 하우징 (34) 의 주변에 형성되는 플랜지 (34f) 는 샤시 (3) 의 베이스 플레이트부 (3a) 에 접하여서, 제 1 커넥터 (24) 가 도 2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시 (3) 와 결합하게 된다.
도 21 에서, 히트 싱크 부재 (27) 가 다수의 발광 소자 (25) 를 갖는 발광 소자 기판 (26) 에 부착된 발광부 (28) 가 제 1 커넥터 (24) 가 제공된 샤시 (3) 의 전면에 배열된다. 이때, 도 2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개의 기판 돌출부 (26a) 는 제 1 커넥터 (24) 의 2 개의 기판 삽입 슬롯 (34a) 안으로 삽입된다.
도 22 에 도시된 상태에서, 히트 싱크 부재 (27) 는 샤시 (3) 에서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24) 를 통해 전류가 공급될 수 있는 다수의 발광 소자 (25) 가 백라이트 어셈블리 (1) 의 전방측에서 에지를 따르는 샤시 (3) 의 일 에지 근처에서 배열되고 고정된다. 플랜지 (34f) 가 베이스 플레이트부 (3a) 와 히트 싱크 부재 (27) 사이에 개재되어서, 제 1 커넥터 (24) 가 고정된다.
도 23 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 (24) 의 일부가 샤시 (3) 의 후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제 1 커넥터 (24) 의 일부는 내부에 형성된 2 개의 커넥터 삽입 슬롯 (34g) 을 갖는다. 한편, 제 2 커넥터 (32) 는 하니스 (41) 의 일 단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니스 (41) 의 다른 단부는, 샤시 (3) 의 후면에서 평행하게 배열되고 나사에 의해 샤시 (3) 에 고정되는 급전 기판 (31)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커넥터 (32) 는 도 2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 (24) 의 커넥터 삽입 슬롯 (34g) 안으로 끼워맞춤된다. 따라서, 전력은 하니스 (41), 제 2 커넥터 (32), 및 제 1 커넥터 (24) 를 통해 급전 기판 (31) 으로부터 발광 소자 기판 (26) 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5 는 도 24 에 도시된 제 1 커넥터 (24) 와 제 2 커넥터 (3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다. 도 25 에서, 제 2 커넥터 (32) 는 가동 레버 (32a) 를 갖고, 잠금 후크 (32b) 가 상기 가동 레버 (32a) 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잠금 후크 (32b) 는 제 1 커넥터 (24) 와 제 2 커넥터 (32) 의 합치 상태를 잠금하기 위해서 제 1 커넥터 (24) 의 잠금부 (34h) 와 결합한다. 외력 (F) 이 레버 (32a) 의 다른 단부에 가해질 때, 잠금 후크 (32b) 는 잠금부 (34h) 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제 1 커넥터 (24) 및 제 2 커넥터 (32) 는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제 1 커넥터 (24) 의 보충 설명이 도 19 및 도 26a ~ 도 30 을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도 10a ~ 도 12 에 도시된 제 1 커넥터와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고, 설명은 생략된다.
도 26a ~ 도 26e 및 도 27 을 참조하면, 제 1 커넥터 (24) 의 제 1 하우징 (34) 은 플랜지 (34f) 의 불연속부 (34j)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잠금부 (34h) 에 대향하는 단부 상에 형성된 탄성부 (34k) 를 갖는다. 도 2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 (34k) 는 플랜지 (34f) 와 함께 작용하여 샤시 (3) 에 대해 제 1 커넥터 (24) 를 묶거나 고정시킨다. 즉, 플랜지 (34f) 및 탄성부 (34k) 의 조합은 샤시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도 26a ~ 도 26e 및 도 29 를 참조하면, 제 1 하우징 (34) 및 상기 제 1 하우징 (34) 에 통합되는 제 1 접촉부 (35) 사이의 관계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제 1 하우징 (34) 은 박판 컨덕터로 형성된 제 1 접촉부 (35) 가 압입되는 4 개의 접촉 리시버 구멍 (44) 을 갖는다. 각 접촉 리시버 구멍 (44) 은 제 1 접촉부 (35) 와 유사한 좁은 슬릿의 형태이고 확장부 (44a) 를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확장부 (44a) 는 제 1 하우징 (34) 의 플라스틱 성형시에 접촉 리시버 구멍 (44) 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 1 하우징 (34) 은 도 29 에서 제 1 하우징의 우측 단부에 형성된 컷아웃부 (45) 를 포함한다. 컷아웃부 (45) 는 제 1 접촉부 (35) 가 가압되도록 한다. 제 1 하우징 (34) 은 도 29 에서 제 1 하우징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구멍 (46) 을 갖는다. 구멍 (46) 은 제 1 접촉부 (35) 의 검사 및 확인을 가능하게 해준다.
각 제 1 접촉부 (35) 는 제 1 하우징 (34) 에 압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결합부: 51), 상기 고정부 (51) 로부터 제 1 접촉부 (35) 의 일측을 향해 돌출하는 핀부 (접촉부: 52), 상기 고정부 (51) 로부터 제 1 접촉부 (35) 의 다른 측을 향해 구불구불하게 연장하는 스프링부 (53), 상기 스프링부 (53) 의 연장 단부에서 스프링부 (53) 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접합부 (55), 및 상기 접합부 (55) 로부터 연장하는 가동부 (57) 를 포함한다. 접합부 (55) 가 제 1 하우징 (34) 의 접합면 (54) 과 접하도록 스프링부 (53) 에 의해 접합부 (55) 에 프리로드 (preload) 가 적용된다. 가동부 (57) 는 제 1 하우징 (34) 의 안내 구멍 (56) 에 삽입된다. 접합부 (55) 는 원호형 단면을 갖는 둥근 에지 (58) 를 갖는다. 또한, 가동부 (57) 는 접촉점 (61), 슬로프부 (62), 및 직선부 (63) 를 갖는다. 상기의 제 2 커넥터 (32) 는 핀부 (52) 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프링부 (53), 접합부 (55), 가동부 (57), 둥근 에지 (58), 접촉점 (61), 슬로프부 (62), 및 직선부 (63) 의 조합은 스프링부로서 기능한다.
도 19 에 도시된 제 2 접촉부 (38) 와 관련하여서는, 도 14 의 제 2 접촉부와 기능이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여기에서 이들 부분의 설명은 생략된다.
도 3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 기판 (26) 의 기판 돌출부 (26a) 가 제 1 하우징 (34) 의 기판 삽입 슬롯 (34a) 에 삽입될 때, 가동부 (57) 가 스프링부 (53) 에 대항하여 뒤로 이동하도록 슬로프부 (62) 는 기판 돌출부 (26a) 에 의해 가압된다. 그 다음에 접촉점 (61) 은 기판 돌출부 (26a) 의 접촉부 (26c) 와 접촉하게 된다.
제 1 접촉부 (35) 는, 가동부 (57) 가 뒤로 이동되더라도 직선부 (63) 의 적어도 일부가 안내 구멍 (56) 으로 삽입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슬로프부 (62) 의 경사가 방지되면서 스프링부 (53) 의 좌굴 변형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접합부 (55) 가 둥근 에지 (58) 를 갖기 때문에, 직선부 (63) 가 약간 경사졌다면 접촉 리시버 구멍 (44) 의 내벽과 결합하는 접합부 (55) 의 에지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작동 결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커넥터 (24) 의 높이 (h) 는 비교적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 치수가 쉽게 감소될 수 있다.
이하의 예를 포함하는 다양한 변형이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발광 소자 기판 (26) 이 샤시 (3) 의 일측에만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발광 소자 기판 (26) 이 샤시 (3) 의 일측에만 제공되는 경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소자 기판 (26) 은 샤시 (3) 의 복수의 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 하우징 (34) 의 샤시 접합면 (34c) 은 제 1 하우징 (34) 에 제공되는 샤시 결합 후크 (34d) 에 의해 샤시 (3) 에 대해 위치된다. 그러나, 샤시 접합면 (34c) 은 샤시 (3) 에 고정되는 발광 소자 기판 (26) 에 의해 위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하우징 (34) 은 제 1 하우징 (34) 의 샤시 결합 후크 (34d) 없이 결합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샤시 접합면 (34c) 은 샤시 (3) 와 결합하는 샤시 결합부로서 기능한다.
제 1 하우징 (34) 은 샤시 (3) 에 결합되거나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고 라디에이터 플레이트 (히트 싱크) 등의 다른 부재에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일부 또는 전체는 이하의 보주로서도 설명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주 1)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샤시 (3),
상기 샤시의 전면에 배열되고 발광 소자 (25) 를 장착하는 발광 소자 기판 (26),
상기 발광 소자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샤시의 후면 상에 배열되는 급전 기판 (31),
상기 샤시 상에 유지되고 상기 발광 소자 기판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24), 및
상기 급전 기판 및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 (32) 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전력은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통해 급전 기판에서부터 발광 소자 기판으로 공급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1).
(보주 2)
보주 1 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급전 기판에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주 3)
보주 1 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 2 커넥터와 상기 급전 기판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니스 (41)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급전 기판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된다.
(보주 4)
보주 1 내지 보주 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비전도성이고 상기 샤시를 천공하는 제 1 하우징 (34), 및
전도성이고 상기 제 1 하우징 상에 유지되는 제 1 접촉부 (35) 를 포함한다.
(보주 5)
보주 4 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발광 소자 기판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 (34a), 및
상기 샤시와 결합하는 샤시 결합부 (34d) 를 포함한다.
(보주 6)
보주 4 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부 (35a),
상기 결합부의 일측에 제공되고 상기 발광 소자 기판과 접촉하게 되는 스프링부 (35c), 및
상기 결합부의 대향측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커넥터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부 (35d) 를 포함한다.
(보주 7)
보주 1 내지 보주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비전도성인 제 2 하우징 (37),
전도성이고 상기 제 2 하우징 상에 유지되는 제 2 접촉부 (38),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되는 홀드-다운부 (39) 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급전 기판에 납땜되어 고정된다.
(보주 8)
보주 7 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부 (38a), 및
상기 제 1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스프링부 (38b) 를 포함한다.
(보주 9)
보주 1 내지 보주 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샤시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200).
(보주 10)
보주 9 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으로서, 상기 광학 시스템은 샤시의 전방에서 적층되는 반사 시트 (5), 광 안내 플레이트 (7), 확산 시트 (9), 프리즘 시트 (11), 및 콘덴싱 시트 (13) 를 열거된 순서대로 포함한다.
(보주 11)
보주 9 또는 보주 10 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부 (300) 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100) 로서,
상기 광학 시스템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액정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열된다.
(보주 12)
보주 11 에 따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프레임 (15)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특별하게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서 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태 및 상세 사항의 다양한 변화가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자들은 알 것이다.

Claims (8)

  1. 전면 및 후면을 갖는 샤시,
    상기 샤시의 전면에 배열되고 발광 소자를 장착하는 발광 소자 기판,
    상기 발광 소자 기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샤시의 후면 상에 배열되는 급전 기판,
    상기 샤시 상에 유지되고 상기 발광 소자 기판에 연결되는 제 1 커넥터, 및
    상기 급전 기판 및 상기 제 1 커넥터에 연결되는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로서,
    상기 전력은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통해 급전 기판에서부터 발광 소자 기판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비전도성인 제 2 하우징,
    전도성이고 상기 제 2 하우징 상에 유지되는 제 2 접촉부,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고정되는 홀드-다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급전 기판에 납땜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2 접촉부는:
    상기 제 2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제 1 접촉부와 접촉하기 위한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는 급전 기판에 장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커넥터와 상기 급전 기판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니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커넥터는 급전 기판으로부터 기계적으로 분리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발광 소자 기판이 삽입되는 삽입 슬롯, 및
    상기 샤시와 결합하는 샤시 결합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 1 항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샤시의 전방에 배열된 광학 시스템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스템은 샤시의 전방에서 적층되는 반사 시트, 광 안내 플레이트,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콘덴싱 시트를 열거된 순서대로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광학 시스템은 백라이트 어셈블리와 액정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120020A 2010-06-25 2012-10-26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101323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44566 2010-06-25
JP2010144566 2010-06-25
JP2010283082A JP5100823B2 (ja) 2010-06-25 2010-12-20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JP-P-2010-283082 2010-12-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936A Division KR101255436B1 (ko) 2010-06-25 2011-04-26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6317A true KR20120136317A (ko) 2012-12-18
KR101323432B1 KR101323432B1 (ko) 2013-10-29

Family

ID=453522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936A KR101255436B1 (ko) 2010-06-25 2011-04-26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1020120120020A KR101323432B1 (ko) 2010-06-25 2012-10-26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936A KR101255436B1 (ko) 2010-06-25 2011-04-26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30430B2 (ko)
JP (1) JP5100823B2 (ko)
KR (2) KR101255436B1 (ko)
CN (1) CN102313202B (ko)
TW (1) TWI4740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6846B2 (ja) * 2011-04-18 2015-04-08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KR101842248B1 (ko) * 2011-08-08 2018-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엘이디 바 연결 방법
CN104321582A (zh) * 2012-07-03 2015-01-28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CN104061492A (zh) * 2014-05-23 2014-09-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灯条、背光源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1177A (ja) * 1985-01-25 1986-08-01 Stanley Electric Co Ltd Led光源体
JP3718128B2 (ja) * 2001-01-18 2005-11-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292961B (en) 2002-09-05 2008-01-21 Nichia Corp Semiconductor device and an optical device using the semiconductor device
JP2006038988A (ja) 2004-07-23 2006-02-09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実装構造体
JP4572694B2 (ja) * 2005-02-15 2010-11-04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KR20060131148A (ko) * 2005-06-15 2006-12-20 박영철 구겨져도 다리지 않고 입을 수 있는 양복의 가공방법
KR20080012693A (ko) 2006-08-04 200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일체형 램프 소켓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09037922A (ja) * 2007-08-02 2009-02-19 Jst Mfg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0496B1 (ko) * 2007-11-08 2014-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모듈,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표시장치
KR101519331B1 (ko) 2008-02-18 2015-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5090967B2 (ja) * 2008-03-05 2012-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Lcdモジュー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442006B1 (ko) 2008-06-05 2014-09-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TWM365433U (en) * 2009-02-25 2009-09-21 Wai Chi Electronics Ltd Light emitting diode (LED) illumination light source
TWM372021U (en) * 2009-07-13 2010-01-01 P Two Ind Inc The conductive terminal
CN101640338B (zh) 2009-08-28 2011-06-15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连接器及包括其的背光源和显示装置
KR101612469B1 (ko) * 2009-09-23 2016-04-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494A (ko) 2012-01-02
TW201202803A (en) 2012-01-16
KR101323432B1 (ko) 2013-10-29
US20110317089A1 (en) 2011-12-29
JP2012028300A (ja) 2012-02-09
KR101255436B1 (ko) 2013-04-17
TWI474083B (zh) 2015-02-21
CN102313202A (zh) 2012-01-11
JP5100823B2 (ja) 2012-12-19
CN102313202B (zh) 2014-10-15
US8730430B2 (en)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5979B1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中継コネク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8360591B2 (en)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714990B2 (en) Connector
US10305205B2 (en)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which are used in connector
JP5683284B2 (ja) 基板接続用端子
KR101323432B1 (ko) 커넥터를 통해 발광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디스플레이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KR101419459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듈 및 모듈에 포함되는 커넥터
JP4623735B2 (ja) コネクタ
US10498060B2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US7883351B2 (en) Socket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US1025655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613128B2 (ja) コネクタ
JP2009199992A (ja) コネクタ支持構造
WO2017064825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システム
KR20120129231A (ko) 커넥터
JP2011014408A (ja) 導電体、回路基板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US7749000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15620625A (zh) 显示设备
KR10133911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TW202027353A (zh) 中繼連接器
JP2006313697A (ja) コネクタ
KR20180019986A (ko) 백라이트용 엘이디모듈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