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5238A -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 중합체 안정화제 - Google Patents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 중합체 안정화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5238A
KR20120135238A KR1020127021440A KR20127021440A KR20120135238A KR 20120135238 A KR20120135238 A KR 20120135238A KR 1020127021440 A KR1020127021440 A KR 1020127021440A KR 20127021440 A KR20127021440 A KR 20127021440A KR 20120135238 A KR20120135238 A KR 20120135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ite
tert
alkyl
but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1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467B1 (ko
Inventor
마이클 자쿱카
제이콥 엠. 랜스
도날드 스티븐슨
Original Assignee
도버 케미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버 케미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도버 케미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135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4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5/02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silicon, sulfur, nitrogen, oxygen, and carbon with or without the latter element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phosphorus
    • C08G79/04Phosphorus linked to oxygen or to oxygen and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4Additives containing two or more different additives of the same subgroup in C08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ther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4의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이 개시된다:
[화학식 4]
Figure pct00012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C1 -20 알킬, C3 -22 알케닐, C6 -40 시클로알킬, C7 -40 시클로알킬렌, C1 -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C1 -20 알킬 클리콜 에테르 및/또는 Y-OH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Y는 C2 -40 알킬렌, C2 -40 알킬 락톤, -R7-N(R8)-R9-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데, 여기서의 R7, R8 및 R9는 상기 R1, R2, R3 및 R4에 대하여 위에서 정의되고 H를 추가로 포함하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2 내지 100의 범위의 정수 값이고,
x는 1 내지 1,000의 범위의 정수 값이다. 상기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중합체 내에서 아인산염 이동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 중합체 안정화제{ALKYLPHENOL FREE -LIQUID POLYMERIC PHOSPHITE POLYMER STABILIZERS}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0년 2월 19일자 출원된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 61/306,01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를 참조로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모든 알킬 중합체성 아인산염류의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종의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 첨가제를 산화방지 첨가제로서 함유하는 개선된 중합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합체 수지에 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목적은 고온에서 가공 동안 그 수지로부터 유도된 중합체의 열화를 방지하고 사용 동안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분해 및 광분해에 대한 증가된 저항성에 따른 증가된 고유 품질을 갖는 제품의 제조를 가능하게 함에 있다.
많은 유기 아인산염(phosphite)이 안정화제로서 사용되어 왔고, 대부분 알킬페놀을 함유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아인산염인 트리스 (노닐페닐) 포스파이트 (TNPP) 및 트리스 (2,4-디-t-부틸페닐) 포스파이트가 있다. 통상적으로, TNPP가 플라스틱 및 고무 산업에서 사용된 주요한 저가 액상 인산염 안정화제였다. 그러나 최근에, 플라스틱 및 고무 제조업자들은 TNPP (노닐페놀)의 분해 생성물의 하나가 제노에스트로겐이라는 문제 때문에 그 배합에서 TNPP를 사용하는 것을 기피하여 왔다.
미국특허 제 6,541,549 B2호 및 미국특허 제 7,199,170 B2호는 중합체에 대한 비제노에스트로겐 안정화제로서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아인산염 화합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화합물들도 알킬페놀을 함유하고 있다.
Figure pct00001
미국특허 제 7,186,853 B2호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트리시클로데실메틸을 포함하는 아인산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아인산염은 지방족 아릴알킬 및 알킬아릴일 수 있는 특정의 알코올도 포함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 7,468,410 B2호 및 WO 07 009,916호는 각각의 R이 탄소수 1 내지 8의 동일 또는 상이한 알킬기인 하기 화학식 2의 트리스-(모노-알킬)페닐 포스파이트들 또는 이의 혼합물을 개시하고 있다. 이것도 알킬페놀을 함유하는 저분자량 일아인산염(monophosphite )이다.
상기 언급된 특허들에서 기재된 일아인산염 또는 저분자량 아인산염의 문제점은 그 아인산염이 여전히 몇몇 형태의 알킬페놀을 함유하고 있고 더욱 낮은 분자량의 아인산염이 그 중합체로부터 쉽게 추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알킬페놀은 피부 자극물일 수 있거나 제노에스트로겐 활성을 갖는다는 문제가 있다. 중합체로부터 쉽게 추출된다는 것은 아인산염 또는 이의 분해 생성물이, 더욱 낮은 분자량의 아인산염 또는 일아인산염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중합체와 접촉하는 식품 내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pct00002
WO 08 028,858호는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을 개시하고 있다.
Figure pct00003
상기 식에서, L은 C1-C24 알킬렌, C2-C24 알케닐렌, 및 산소, 황 또는 치환 질소(N-R)로 중절된(interrupted) C2-C24 알케닐렌을 포함하는 것으로, 반복 단위 n 사이의 결합이고, 정수 m은 0 및 1 이다.
이러한 개시의 중합체성 아인산염의 단점은 모든 중합체성 아인산염이 어떤 유형의 알킬페놀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알킬페놀을 함유하지 않는 중합체성 아인산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가공 동안 중합체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사용되는 하기 화학식 4의 신규한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C1 -20 알킬, C3 -22 알케닐, C6 -40 시클로알킬, C7 -40 시클로알킬렌, C1 -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C1 -20 알킬 클리콜 에테르 및/또는 Y-OH (말단 캡핑 부분(end capping moiety)으로 작용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Y는 C2 -40 알킬렌, C2 -40 알킬 락톤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카프릴락톤), -R7-N(R8)-R9- (예를 들어, C2 -40 알킬 디아민 및 C2 -40 알킬 트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데, 여기서의 R7, R8 및 R9는 상기 R1, R2, R3 및 R4에 대하여 위에서 정의되고 H를 추가로 포함하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2 내지 100의 범위의 정수 값이고,
x는 1 내지 1,000의 범위의 정수 값이다.
반응 조건 및 성분에 따라, 화학식 5를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m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화학식 4 및 5의 신규한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산화, 열 및 화학선 분해에 대한 유기 물질의 안정화를 위해 적당하다.
가장 바람직한 중합체성 이아인산염(diphosphite) 또는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방향족기 또는 알킬페놀 기를 갖거나 함유하지 않는 것들이다.
액상 고분자량 이합체성 및 중합체성 아인산염의 장점은 휘발성이 매우 낮고, 안정화되는 중합체의 외부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화되는 중합체로부터 추출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점은 중합체 압출 동안 플레이트 내로 유출되지 않고(다이의 립(lip)에 축적되지 않음), 식품 포장에서 사용되는 중합체로부터 식품 내로의 이동이 없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우수한 가수분해 안정성을 갖고 알킬페놀에 기반하지 않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을 제공하는 것이 아주 유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첨부도면,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를 살펴볼 때 명백하게 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상의 양태를 본 발명의 출원시 본 출원인에게 알려진 최상의 양태를 설명하는 목적으로 기재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도면은 오로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용어 "알킬"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경우, 직쇄 또는 측쇄의 포화 비고리형 탄화수소 일가기를 의미하는데, 상기 알킬기는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설프히드릴, 할로알킬, 알콕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적당한 치환체를 추가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의 특별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C1 -20 알킬,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테트라데실, 펜타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스테아릴기가 있다. 상기 알킬은 산소, 황 또는 질소로 중절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의 예로는 CH3-0-CH2CH2-, CH3-S-CH2CH2-, CH3-N(CH3)-CH2CH2-, CH3-0-CH2CH2-0-CH2CH2-, CH3-(0-CH2CH2-)20-CH2CH2-, CH3-(0-CH2CH2-)30-CH2CH2- 또는 CH3-(0-CH2CH2-)4O-CH2CH2-가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용어 "알케닐"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경우, 직쇄 및 측쇄의 불포화 비고리형 탄화수소 일가기를 의미하는데, 상기 알케닐기는 아미노, 할로겐, 히드록시, 설프히드릴, 알콕시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를 추가로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직쇄 또는 측쇄 알케닐기의 특별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소수가 2 내지 30인 것들이 있는데, 그 이중 결합의 위치는 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헵테닐, 옥테닐, 노네닐, 데세닐, 운데세닐, 도데세닐, 트리데세닐, 테트라데세닐, 펜타데세닐, 헥사데세닐, 헵타데세닐 및 옥타데세닐 기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알케닐은 산소, 황 또는 질소로 중절될 수 있는데, 이의 예로는 -CH2-0-CH2-, -CH2-S-CH2-, -CH2-N(CH3)-CH2-, -CH2-0-CH2CH2-, -CH2CH2-0-CH2CH2-, -CH2CH2-0-CH2CH2-0-CH2CH2-, -CH2CH2-(0-CH2CH2-)20-CH2CH2-, -CH2CH2-(0-CH2CH2-)30-CH2CH2-, -CH2CH2-(0-CH2CH2-)40-CH2CH2-, -CH2CH2-S-CH2CH2- 또는 -CH2CH2-N(CH3)-CH2CH2-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달리 나타내지 않는 경우, 용어 "고리지방족"은 탄소수가 3 내지 10인 일고리형 또는 다고리형 포화 탄화수소 일가기 또는 탄소수가 7 내지 10인 C7 -10 다고리형 포화 탄화수소 일가기를 의미한다. 치환체를 가질 수 있는 상기 고리지방족 또는 고리형 알킬기의 특별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헵틸기와 같은 탄소수가 5 내지 7인 시클로알킬기, 및 탄소수가 6 내지 11인 알킬시클로알킬기가 있는데, 여기서의 알킬기의 위치는 메틸시클로펜틸, 디메틸시클로펜틸, 메틸에틸시클로펜틸, 디메틸시클로펜틸, 메틸시클로헥실, 디메틸시클로헥실, 메틸에틸시클로헥실, 디에틸시클로헥실, 메틸시클로헵틸, 디메틸시클로헵틸, 메틸시클로헵틸, 및 디에틸시클로헵틸 기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고리지방족기는 산소, 황 또는 질소로 중절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고리"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경우, 탄소수가 2 내지 15이고, 하나 이상의 고리에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단일고리 또는 다중고리형 포화 또는 단일불포화 또는 다중불포화 일가 탄화수소기를 의미하는데, 상기 각각의 고리는 3 개 내지 10 개의 원자를 갖고(예를 들어 카르보닐 또는 티오카르보닐 또는 셀레노카르보닐 기의 형태로 상기 고리의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에 부착되고/되거나 상기 고리의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선택적으로 추가로 포함함), 상기 헤테로원자는 각각 질소, 산소, 황, 셀레늄 및 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상기 헤테로고리기는 이의 모든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를 포함하는데, 상기 헤테로고리의 각각의 탄소 원자는 할로겐, 니트로, C1 -7 알킬(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것, 특히 메틸), C3-7 알케닐, 트리플루오로메틸, C3 -10 시클로알킬, 히드록실, 설프히드릴, 알콕시(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것, 특히 메톡시), 티오알킬, 티오 C3 -10 시클로알킬, 시아노, 카르복시산 또는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고리에서의 불포화들의 수에 따라, 헤테로고리기는 헤테로방향족(또는 "헤테로아릴") 기 및 비방향족 헤테로고리로 나누어질 수 있고, 상기 비방향족 헤테로고리기의 헤테로원자가 질소인 경우, 그 헤테로고리는 알킬, C3 -10 시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및 알킬아릴(상기 기들은 각각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콕시"는 달리 나타내지 않는 경우, 알킬기가 단일 결합을 통해 산소 원자에 부착되어 있는 치환체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아이오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임의의 원자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아실"은 달리 나타내지 않는 경우, 유기 모노카르복시산, 카본산, 카르밤산(카르바모일 치환체로 얻어짐) 또는 상기 산에 해당하는 티오아세트산 또는 이미드산(카르바미도일 치환체로 얻어짐)과 같은 산으로부터 유도된 치환체를 의미하는데, 상기 산은 분자 내에서 지방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고리 기를 포함한다. 상기 정의의 범위 내에서 "아실"의 더욱 특별한 종류는 본원에서 정의된 것들과 같은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아릴알킬 또는 헤테로고리기에 인접한 카르보닐(옥소) 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가공 동안 중합체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사용되는 하기 화학식 4의 신규한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4]
Figure pct00006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C1 -20 알킬, C3 -22 알케닐, C6 -40 시클로알킬, C7 -40 시클로알킬렌, C1 -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C1 -20 알킬 클리콜 에테르 및/또는 Y-OH (말단 캡핑 부분(end capping moiety)으로 작용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Y는 C2 -40 알킬렌, C2 -40 알킬 락톤 (예를 들어, 에틸렌, 프로필렌, 카프릴락톤), -R7-N(R8)-R9- (예를 들어, C2 -40 알킬 디아민 및 C2 -40 알킬 트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데, 여기서의 R7, R8 및 R9는 상기 R1, R2, R3 및 R4에 대하여 위에서 정의되고 H를 추가로 포함하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2 내지 100의 범위의 정수 값이고,
x는 1 내지 1,000의 범위의 정수 값이다.
반응 조건 및 성분에 따라, 화학식 5를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화학식 5]
Figure pct00007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m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대표적으로 상기 화합물의 합성은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포함하는데, 이 반응에서 트리페닐 포스파이트(또는 임의의 다른 적당한 알킬 또는 아릴 포스파이트)를 20 ℃ 내지 2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85 ℃의 온도에서 적당한 염기 촉매의 존재하에 알킬 또는 알케닐 알코올 또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에테르 및 디올 또는 중합체 디올 H(OY)mOH (여기서 Y 및 m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와 반응시킨다. 모노 알킬 또는 알케닐 알코올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데셀, 이소데실, 라우릴, 트리데실, 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틸, 펜타데실, 팔밀, 스테아릴, 이소테아릴, 올레익 알코올, 모노 히드록실 글리콜에테르 등이 있다.
적당한 염기 촉매로는 수산화나트륨, 메톡시화나트륨, 페놀산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탄산칼륨이 있다. 사용되는 염기 촉매의 양은 장입되는 반응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그 양은 반응물 중량의 0.1 내지 1.0 중량% 이다.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에 대하여 화학식 4 또는 5의 이아인산염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사용된 알킬 알코올 또는 글리콜-에테르(알킬페놀을 함유하지 않음) 및 중합체 디올의 몰비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1 몰당 페놀 또는 알코올 또는 글리콜-에테르가 약 1.9 내지 2.2 몰이고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1 몰당 디올이 0.3 내지 0.6 몰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그 몰비는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1 몰당 알킬 또는 알케닐 알코올 또는 글리콜이 2.0 내지 1.0 몰이고 트리페닐 포스파이트에 대한 디올의 몰비는 0.5 내지 1.0 이다.
화학식 4의 중합체성 아인산염의 구조는 반응 조건, 예를 들어 온도, 반응물의 첨가 순서, 알킬 또는 알케닐 알코올 또는 글리콜 에테르가 이용되는지 또는 알킬 또는 알케닐 알코올 또는 글리콜 에테르의 혼합물이 사용되는지 또는 이들 중 몇몇 또는 전부의 조합이 사용되는지 여부, 알킬 또는 알케닐 알코올 또는 글리콜 에테르 및 중합체성 디올의 몰비 및 농도, 선택되는 중합체 디올의 분자량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중합체성 아인산염의 인 함량은 선택되는 알킬 또는 알케닐 알코올 또는 글리콜 에테르의 분자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폴리아인산염(polyphosphite)의 점도는 사용되는 디올의 분자량, 길이 및 구조, 디올이 직쇄인지 측쇄 인지의 여부 외에도, 사용되는 페놀 알킬 또는 알케닐 글리콜 또는 글리콜 에테르의 분자량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사용되는 바람직한 알킬 알코올은 C12 내지 C18 이다. 사용되는 바람직한 알케닐 알코올은 C16 및 C18 이다. 또한, 사용되는 바람직한 글리콜 에테르는 Carbowax 350 (폴리에틸렌 글리콜 MW 350의 모노메틸에테르)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이다.
상기 과정에서 사용되는 중합체 디올은 폴리 글리콜로 알려져 있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것들이다. 바람직한 폴리 글리콜은 200 내지 3000의 분자량을 갖고 실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300 내지 4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300 내지 10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다.
화학식 4의 중합체성 이아인산염 및 화학식 5의 중합체성 인산염은 산화적 분해, 열적 분해 또는 화학선 분해에 대한 유기 물질의 안정화를 위해 적당하다.
상기 유기 물질은 합성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하기의 것들이 있다:
모노올레핀 및 디올레핀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트-1-엔, 폴리-4-메틸펜트-1-엔, 폴리비닐시클로헥산, 폴리이소프렌 또는 폴리부타디엔, 시클로올레핀, 예를 들어 시클로펜텐 또는 노르보르넨의 중합체, 폴리프로필렌(선택적으로 가교될 수 있음),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고밀도 및 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HMW), 고밀도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HDPE-UHMW),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VLDPE) 및 (ULDPE), 그리고 그 제조 방법에 상관없이 전술한 중합체들의 배합물.
상기 중합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이소부틸렌의 혼합물,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예를 들어, PP/HDPE, PP/LDPE) 및 상이한 유형의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예를 들어 LDPE/HDPE).
모노올레핀과 디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과 다른 비닐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혼합물, 프로필렌/부트-1-엔 공중합체, 프로필렌/이소부틸렌 공중합체, 에틸렌/부트-1엔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에틸렌/메틸펜텐 공중합체, 에틸렌/헵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산 공중합체, 에틸렌/시클로올레핀 공중합체(예를 들어, COC와 같은 에틸렌/노르보르넨), 에틸렌/1-올레핀 공중합체(여기서 1-올레핀은 원위치에서 생성됨), 프로필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이소부틸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시클로헥센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염(이오노머), 에틸렌과 프로필렌과 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또는 에틸리덴-노르보르넨과의 삼원 중합체(terpolymer), 이러한 공중합체들의 혼합물 또는 이러한 공중합체들과 전술한 중합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LDPE/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LDPE/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EAA), LLDPE/EVA, LLDPE/EAA 및 교대 또는 랜덤 폴리알킬렌/카본 모노옥사이드 공중합체 및 이와 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와의 혼합물.
그의 수소화 변형물(예를 들어 점도부여제)을 비롯한 탄화수소 수지(예를 들어 C5-C9), 및 폴리알킬렌과 전분의 혼합물.
상기의 것들로부터 유도되고 신디오택틱, 이소택틱, 헤미-이소택틱 또는 아택틱을 비롯한 임의의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스테레오블록(stereoblock)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폴리스티렌 및 폴리(p-메틸스티렌) 및 폴리 (α-메틸스티렌).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의 모든 이성질체, 특히 p-비닐톨루엔, 에틸 스테렌, 프로필 스티렌, 비닐 비페닐, 비닐 나프탈렌 및 비닐 안트라센의 모든 이성질체를 비롯한 비닐 방향족 단량체로부터 유도한 방향족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택틱, 이소택틱, 헤미-이소택틱 또는 아택틱을 비롯한 임의의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테레오블록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니트릴, 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이미드, 비닐 아세테이트 및 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아크릴산 유도체 및 혼합물,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에틸렌 (인터폴리머), 스티렌/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아크릴레이트, 스티렌/부타디엔/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말레산 무수물,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된 비닐 방향족 단량체 및 공단량체, 고충격 강도 스티렌 공중합체와 또 다른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디엔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중합체의 혼합물, 스테렌의 블록 공중합체,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또는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과 같은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전술한 중합체들의 수소화로부터 유도한 수소화 방향족 중합체, 특히 폴리비닐시클로헥산(PVCH)이라고 흔히 나타내어지는 아택틱 폴리스티렌을 수소화하여 제조한 폴리시클로헥실에틸렌(PCHE). 또한, 전술한 중합체들의 수소화로부터 유도한 수소화 방향족 중합체도 포함된다. 상기 당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는 신디오택틱, 이소택틱, 헤미-이소택틱 또는 아택틱을 비롯한 임의의 입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테레오블록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스티렌 또는 알파-메틸스티렌과 같은 비닐 방향족 단량체들의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스티렌 또는 폴리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또는 메타크릴로니트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산 무수물;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말레이미드;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나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이들과 전술한 공중합체들의 혼합물, 예를 들어 ABS, MBS, ASA 또는 AES로 알려진 공중합체 혼합물.
할로겐 함유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이소부틸렌-이소프렌의 염소화 및 브롬화 공중합체(할로부틸 고무), 염소화 또는 설포-염소화 폴리에틸렌, 에틸렌과 염소화 에틸렌의 공중합체, 에피클로로히드린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특히 할로겐 함유 비닐 화합물의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플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이들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부타디엔 상의 스티렌 및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상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나트릴, 및 ABS, MBS 및 AES 중합체로 알려진 공중합체 배합물.
α, β-불포화 산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유도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충격 변형시킨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상기 단락에서 언급한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단량체들과 다른 불포화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αα아크릴로니트릴/비닐 할라이드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알킬 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삼원중합체.
불포화 알코올 및 아민 또는 이들의 아실 유도체 또는 아세탈로부터 유도한 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스테아레이트, 폴리비닐 벤조에이트, 폴리비닐 말레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알릴 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알릴 말레아민, 및 이들과 전술한 올레핀의 공중합체.
고리형 에테르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또는 이들과 비스클리시딜 에테르의 공중합체.
폴리아세탈,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 및 공단량체로서 에틸렌 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폴리옥시메틸렌;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MBS를 이용하여 변형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및 설파이드, 및 폴리페닐렌 옥사이드와 스티렌 중합체 또는 폴리아미드의 혼합물.
한편으로는 히드록시 종결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부타디엔으로부터 유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유도한 폴리우레탄, 및 이들의 전구체.
디아민 및 디카르복시산으로부터 유도되고/되거나 아미노카르복시산 또는 해당하는 락탐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4, 폴리아미드 6, 폴리아미드 6/6, 6/1 0, 6/9, 6/12, 4/6, 12/12, 폴리아미드 11 , 폴리아미드 12, m-실렌 디아민 및 아디프 산으로부터 출발하는 방향족 폴리아미드; 헥사메틸렌디아민 및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제조되고 변경제로서 탄성중합체를 갖거나 갖지 않는 폴리아미드, 예를 들어, 폴리-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테레프탈아미드 또는 폴리-m-페닐렌 이소프탈아미드; 전술한 폴리아미드와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 이오노머 또는 화학적으로 결합 또는 그라프트된 탄성중합체와의 블록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과의 블록 공중합체, EPDM 또는 ABS를 이용하여 변경한 폴리아미드; 가공 동안에 축합된 폴리아미드(RIM 폴리아미드 시스템).
폴리우레아,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히단토인 및 폴리벤즈이미다졸.
디카르복시산 및 디올 및/또는 히드록시카르복시산 또는 해당하는 락톤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디메틸올시클로헥산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알킬렌 나프탈레이트(PAN) 및 폴리히드록시벤조에이트, 히드록시 종결 폴리에테르로부터 유도한 블록 코폴리에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MBS를 이용하여 변경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
폴리설폰, 폴리에테르 설폰 및 폴리에테르 케톤.
한편으로는 알데히드로부터 유도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페놀, 우레아 및 멜라민으로부터 유도된 가교 중합체, 예를 들어 페놀/포름알데히드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 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건조 및 비건조 알키드 수지.
포화 및 불포화 디카르복시산과 가교제로서 다가 알코올의 코폴리에스테르로부터 유도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이의 낮은 가연성을 갖는 할로겐 함유 변형물.
치환된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렐레이트로부터 유도된 가교가능한 아크릴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가교된 알키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
지방족, 고리지방족, 헤테로고리 또는 방향족 글리시딜 화합물로부터 유도된 가교된 에폭시 수지, 예를 들어, 무수물 또는 아민과 같은 통성적인 경화제와 가교되고 가황제를 갖거나 갖지 않는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의 생성물.
천연 중합체,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고무, 젤라틴 및 이의 화학적으로 변형된 동족 유도체,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부티레이트, 또는 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에테르, 로진 및 이의 유도체.
전술한 중합체들의 블렌드 및 얼로이(폴리블렌드), 예를 들어, PP/EPDM, 폴리아미드/EPDM 또는 ABS, PVC/EVA, PVC/ABS, PVC/MBS, PC/ABS, PC/폴리에스테르, PBTP/ABS, PC/ASA, PC/PBT, PVC/CPE, PVC/아크릴레이트, POM/열가소성 PUR, PC/열가소성 PUR, POM/아크릴레이트, POM/MBS, PPO/HI PS, PPO/PA 6.6 및 공중합체, PA/HDPE, PA/PP, PA/PPO, PBT/PC/ABS 또는 PBT/PET/PC.
순수한 단량체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혼합물인 천연 및 합성 유기 물질, 예를 들어, 미네랄 오일, 동물 및 식물성 지방, 오일 및 왁스, 또는 합성 에스테르(예, 프탈레이트, 아디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멜리테이트)에 기반한 오일, 지방 및 왁스, 임의의 중량비의 합성 에스테르와 미네랄 오일의 혼합물, 대표적으로는 방사 조성물로서 사용된 것들, 및 이러한 물질들의 수성 에멀젼.
천연 또는 합성 고무의 수성 에멀젼, 예를 들어, 카르복시화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의 천연 라텍스 또는 라티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중합체성 이아인산염 및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안정화하고자 하는 유기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 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양으로 상기 안정화될 유기 물질에 첨가된다. 더욱 바람직한 첨가량 범위는 약 0.01 % 내지 2.0% 이다. 가장 바람직한 범위는 0.025% 내지 1 % 이다.
본 발명의 안정화제는 당 업계에 알려진 기법을 이용하여 성형체의 제조 이전에 임의의 통상적인 단계에서 유기 물질에 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정화된 중합체 조성물은 약 0.001 % 내지 5%, 바람직하게는 0.01 % 내지 2%,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5% 내지 1 %의 다른 통상적인 안정화제를 함유할 수도 있는데, 이의 비제한적인 예가 아래에 제공되어 있다.
힌더드(hindered) 페놀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2,6-디-3차-부틸-4-메틸페놀; 옥타데실 3,5-디-3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 테트라키스 메틸렌 (3,5-디-3차-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신나메이트)메탄, 및 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네이트.
티오에스테르, 예를 들어,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방향족 아민 안정화제, 예를 들어,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HALS 로 알려진 힌더드 아민 광 안정화제, 예를 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 세바케이트, N,N'-(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4-옥틸아미노-2,6-디클로로-s-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및 N,N'-(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N-모리폴리닐-2,6-디클로로-s-트리아진의 축합 생성물.
UV 흡수제, 예를 들어, 2-히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2'-히드록시-5'-메톡시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2'-히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아인산염, 예를 들어, 트리스(2,4-디-3차-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및 2,4-디큐밀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산 중화제,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락트산 칼슘, 락트산 스테아릴 칼슘, 에폭시화 대두유, 및 히드로탈사이트(천연 및 합성).
윤활제, 대전방지제, 안티블로킹제, 슬립제, 난연제, 핵화제, 핵생성제, 충격 보강제, 발포제, 가소제, 충진제, 염료 및 안료와 같은 다른 첨가제들은 알칸올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및 트리스이소프로판올아민과 같은 중합체의 선택된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중합체성 이아인산염들의 조합에서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4 및 5의 신규한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특히 페놀계 산화방지제, 광 안정화제 및/또는 가공 안정화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4 및 5의 중합체성 화합물 외에도, 신규 조성물은 예를 들어 하기의 것들과 같은 추가의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
알킬화된 모노페놀, 예를 들어, 2,6-디-3차-부틸-4-메틸페놀, 2-3차-부틸-4,6-디-메틸페놀, 2,6-디-3차-부틸-4-에틸페놀, 2,6-디-3차-부틸-4-n-부틸페놀, 2,6-디-3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콜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타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3차-부틸-4-메톡시메틸페놀, 직쇄 또는 측쇄의 노닐페놀, 예를 들어,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덱-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덱-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덱-1'-일)페놀 및 이들의 혼합물.
알킬티오메틸페놀, 예를 들어, 2,4-디옥틸티오메틸-6-3차-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히드로퀴논 및 알칼화 히드로퀴논, 예를 들어, 2,6-디-3차-부틸-4-메톡시-페놀, 2,5-디-3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3차-아밀히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3차-부틸히드로퀴논, 2,5-디-3차-부틸-4-히드록시아니졸, 3,5-디-3차-부틸-4-히드록시아니졸, 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토코페롤, 예를 들어,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이들의 혼합물(비타민 E).
히드록시화 티오디페닐 에테르, 예를 들어, 2,2'-티오비스(6-3차-부틸-4-메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6-3차-부틸-3-메틸페놀), 4,4'-티오비스(6-3차-부틸-2-메틸페놀), 4,4'-티오비스(3,6-디-2차-아밀페놀), 4,4'-비스(2,6-디메틸-4-히드록시페닐)-디설파이드.
알킬리덴비스페놀, 예를 들어, 2,2'-메틸렌비스(6-3차-부틸-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6-3차-부틸-4-에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6-노닐-4-메틸페놀), 2,2'-메틸렌비스(4,6-디-3차-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3차-부틸페놀), 2,2'-에틸렌비스(6-3차-부틸-4-이소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2,6-디-3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3차-부틸-2-메틸페놀), 1,1-비스(5-3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3차-부틸-5-메틸-2-히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3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3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머캅토부탄, 에틸렌 글리콜 비스[3,3-비스(3'-3차-부틸l-4'-히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3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3차-부틸-2'-히드록시-5'-메틸벤질)-6-3차-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3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머캅토부탄, 1,1,5,5-테트라(5-3차-부틸-4-히드록시-2-메틸페닐)펜탄.
O-, N- 및 S-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3,5,3',5'-테트라-3차-부틸-4,4'-디히드록시디벤질 에테르, 옥타데실-4-히드록시-3,5-디메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데실-4-히드록시-3,5-디-3차-부틸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아민, 비스(4-3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설파이드, 이소옥틸-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예를 들어, 디옥타데실-2,2-비스(3,5-디-3차-부틸-2-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3차-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머캅토에틸-2,2-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방향족 히드록시벤질 화합물, 예를 들어, 1,3,5-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2,4,6-트리메틸벤젠, 1,4-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페놀.
트리아진 화합물, 예를 들어, 2,4-비스(옥틸머캅토)-6-(3,5-디-3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아닐리노)-1,3,5-트리아진, 2-옥틸머캅토-4,6-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녹시)-1,2,3-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4-3차-부틸-3-히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히드로-1,3,5-트리아진, 1,3,5-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벤질포스포네이트, 예를 들어, 디메틸-2,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 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3차-부틸-4-히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포스폰산의 모노에틸 에스테르의 칼슘 염.
아실아미노페놀, 예를 들어, 4-히드록시아우라닐리드, 4-히드록시스테아닐리드, 옥틸 N-(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카르바메이트.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에 의한 β-(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에 의한 β-(5-3차-부틸-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3,9-비스[2-{3-(3-3차-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 [5.5]운데칸.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에 의한 β-(3,5-디클로로헥실-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일가 또는 다가 알코올, 예를 들어, 메탄올, 에탄올, n-옥탄올, i-옥탄올, 옥타데칸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티오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히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히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에 의한 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 아세트산의 에스테르.
β-(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 예를 들어, N,N'-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미드, N,N'-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지드, N,N'-비스[2-(3-[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옥사미드.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C).
아민 산화방지제, 예를 들어, N,N'-디-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N,N'-디-2차-부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4-디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에틸-3-메틸펜틸)-p-페닐렌디아민, N,N'-비스(1-메틸헵틸)-p-페닐렌디아민, N,N'-디시클로헥실-p-페닐렌디아민,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N,N'-비스(2-나프틸)-p-페닐렌디아민, N-이소프로필-N'-페닐-p-페닐렌디아민, N-(1,3-디메틸부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1-메틸헵틸)-N'-페닐-p-페닐렌디아민, N-시클로헥실-N'-페닐-p-페닐렌디아민, 4-(p-톨루엔설파모일)디페닐아민, N,N'-디메틸-N,N'-디-2차-부틸-p-페닐렌디아민, 디페닐아민, N-알릴디페닐아민, 4-이소프로폭시디페닐아민, N-페닐-1-나프틸아민, N-(4-3차-옥틸페닐)-1-나프틸아민, N-페닐-2-나프틸아민, 옥틸화 디페닐아민, 예를 들어, p,p'-디-3차-옥틸디페닐아민, 4-n-부틸아미노페놀, 4-부티릴아미노페놀, 4-노나노일아미노페놀, 4-도데카노일아미노페놀, 4-옥타데카노일아미노페놀, 비스(4-메톡시페닐)아민, 2,6-디-3차-부틸-4-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 디아미노디페닐메탄, N,N,N',N'-테트라메틸-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1,2-비스[(2-메틸페닐)아미노]에탄, 1,2-비스(페닐아미노)프로판, (o-톨릴)비구아니드, 비스[4-(1',3'-디메틸부틸)페닐]아민, 3차-옥틸화 N-페닐-1-나프틸아민, 모노- 및 디알킬화 3차-부틸/3차-옥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모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도데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이소프로필/이소헥실디페닐아민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3차-부틸디페닐아민의 혼합물, 2,3-디히드로-3,3-디메틸-4H-1,4-벤조티아진, 페노티아진, 모노- 및 디알킬화 3차-부틸/3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모노- 및 디알킬화 3차-옥틸페노티아진의 혼합물, N-알릴페노티아진, N,N,N',N'-테트라페닐-1,4-디아미노부트-2-엔, N,N-비스(2,2,6,6-테트라메틸페페리드-4-일-헥사메틸렌디아민, 비스(2,2,6,6-테트라메틸피페리드-4-일)세바케이트,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온,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올.
UV 흡수제 및 광 안정화제
2-(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3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차-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차-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2차-부틸-5'-3차-부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3차-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비스(α,α-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3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3차-부틸-2'-히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3차-부틸-2'-히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3차-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3차-부틸-2'-히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6-벤조트리아졸-2-일페놀]; 2-[3'-3차-부틸-5'-(2-메톡시카르보닐에틸)-2'-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과 폴리에틸렌 글리콜 300의 에스테르 교환반응 생성물; - [R-CH2CH2-COO-CH2CH2]2-, 여기서 R = 3'-3차-부틸-4'-히드록시-5'-2H-벤조트리아졸-2-일페닐, 2-[2'-히드록시-3'-(α,α-디메틸벤질)-5'-(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1,1,3,3-테트라메틸부틸)-5'-(,α,α-디메틸벤질)페닐]벤조에이트.
2-히드록시벤조페논, 예를 들어, 4-히드록시, 4-메톡시, 4-옥틸옥시, 4-데실옥시, 4-도데실옥시, 4-벤질옥시, 4,2',4'-트리히드록시 및 2'-히드록시-4,4'-디메톡시 유도체.
치환 및 비치환된 벤젠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4-3차-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페닐 살리실레이트, 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디벤조일 레조르시놀, 비스(4-3차-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 레조르시놀, 2,4-디-3차-부틸페닐, 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3차-부틸페닐-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보메톡시 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니켈 화합물, 예를 들어,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의 니켈 착물, 예를 들어 n-부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N-시클로헥실디에탄올아민과 같은 추가의 리간드를 갖거나 갖지 않는 1:1 또는 1:2 착물, 니켈 디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4-히드록시-3,5-디-3차-부틸벤질포스폰산의 모노알킬 에스테르(예, 메틸 또는 에틸 에스테르)의 니켈 염, 케톡심 (예를 들어, 2-히드록시-4-메틸페닐운데실케톡심)의 니켈 착물, 추가의 리간드를 갖거나 갖지 않는 1-페닐-4-라우로일-5-히드록시피라졸의 니켈 착물.
입체 장애(sterically hindered) 아민, 예를 들어,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n-부틸-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1-(2-히드록시에틸)-2,2,6,6-테트라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과 숙신산의 축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3차-옥틸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고리형 축합물, 트리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시레이트, 1,1'-(1,2-에탄디일)-비스(3,3,5,5-테트라메틸피페라지논), 4-벤조일-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비스(1,2,2,6,6-펜타메틸피페리딜)-2-n-부틸-2-(2-히드록시-3,5-디-3차-부틸벤질)말로네이트, 3-n-옥틸-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스피로[4.5]데칸-2,4-디온,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옥ㅌ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숙시네이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 디아민과 4-모르폴리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선형 또는 고리형 축합물, 2-클로로-4,6-비스(4-n-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2-클로로-4,6-디-(4-n-부틸아미노-1,2,2,6,6-펜타메틸피페리딜)-1,3,5-트리아진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의 축합물, 8-아세틸-3-도데실-7,7,9,9-테트라메틸-1,3,8-트리아자스피로[4.5]데칸-2,4-디온, 3-도데실-1-(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3-도데실-1-(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피롤리딘-2,5-디온, 4-헥사데실옥시- 와 4-스테아릴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혼합물,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4-시클로헥실아미노-2,6-디클로로-1,3,5-트리아진의 축합물, 1,2-비스(3-아미노프로필아미노)에탄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외에도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물, 1,6-헥산디아민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외에도 N.N-디부틸아민 및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축합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n-도데실숙신이미드, 2-운데실-7,7,9,9-테트라메틸-1-옥사-3,8-디- 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 7,7,9,9-테트라메틸-2-클로로운데실-1-옥사-3,8-디아자-4-옥소스피로-[4,5]데칸과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반응 생성물, 1,1-비스(1,2,2,6,6-펜타메틸-4- 피페리딜옥시카르보닐)-2-(4-메톡시페닐)에텐, N,N'-비스-포르밀-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 4-메톡시메틸렌말론산과 1,2,2,6,6-펜타메틸-4-히드록시피페리딘의 디에스테르, 폴리[메틸프로필-3-옥시-4-(2,2,6,6-테트라메틸-4- 피페리딜)]실록산, 말레산 무수물-α-올레핀 공중합체와 2,2,6,6-테트라메틸-4-아미노피페리딘 또는 1,2,2,6,6-펜타메틸-4-아미노피페리딘의 반응 생성물.
옥사미드, 예를 들어, 4,4'-디옥틸옥시옥사닐린, 2,2'-디에톡시옥사닐린, 2,2'-디옥틸옥시-5,5'-디-3차-부톡사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3차-부톡사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3차-부틸-2'-에톡사닐리드 및 이와 2-에톡시-2'-에틸-5,4'-디-3차-부톡사닐리드의 혼합물, o- 와 p-메톡시-이치환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및 o- 와 p-에톡시-이치환 옥사닐리드의 혼합물.
2-(2-히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 예를 들어, 2,4,6-트리스(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트리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옥틸옥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1,3,5-트리아진, 2-[4-(도데실옥시/트리데실옥시-2-히드록시프로폴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헥실옥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메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2,4,6-트리스[2-히드록시-4-(3-부톡시-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페닐)-4-(4-메톡시페닐)-6-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3-(2-에틸헥실-1-옥시)-2-히드록시프로필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4-(2-에틸에톡시)페닐]-4,6-디페닐-1,3,5-트리아진.
금속 불활성화제, 예를 들어, N.N'-디페닐옥사미드, N-살리실알-N'-실리실로일 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 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로일 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 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디아세틸아디포일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 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 디히드라지드.
아인산염(phosphite) 및 아포스폰산염(phosphonite), 예를 들어, 트리페닐 포스파이드, 디페닐알킬 포스파이트, 페닐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3차-부틸페닐) 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3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큐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3차-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3차-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3차-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3차-부틸페닐) 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틱옥시-2,4,8,10-테트라-3차-부틸-12H-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3차-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3차-부틸-6-메틸페닐)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3차-부틸-12-메틸-디벤즈[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 (3,3',5,5'-테트라-3차-부틸-1,r-비[로]헤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3차-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3차-부틸페녹시)-1 ,3,2-디옥사포스피란.
포스핀, 예를 들어,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2,2-디메틸-프로판.
히드록실아민, 예를 들어, N,N-디벤질히드록실아민, N,N-디에틸히드록실아민, N,N-디옥틸히드록실아민, N,N-디라우릴히드록실아민, N.N-디테트라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헥사데실히드록실아민, N.N-디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히드록실아민, 수소화 수지(tallow ) 아민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
니트론(nitrone), 예를 들어, N-벤질-α-페닐니트론, N-에틸-α-메틸니트론, N-옥틸-α-헵틸니트론, N-라우릴- α-운데실니트론, N-테트라데실-α-트리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펜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헥사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펜타데실니트론, N-헵타데실-α-헵타데실니트론, N-옥타데실-α-헥사데실니트론, 수소화 수지 이만으로부터 유도된 N,N-디알킬히드록실아민으로부터 유도된 니트론.
황 함유 상승제(thiosynergist), 예를 들어,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과산화물 포착제(scavenger), 에를 들어, β-티오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어, 라우릴, 스테아릴, 미리스틸 또는 트리데실 에스테르, 머캅토벤즈이미다졸, 2-머캅토-벤즈이미다졸의 아연염, 징크 디부틸디티오카르바메이트, 디옥타데실 디설파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폴리아미드 안정화제, 예를 들어, 요오드화물 및/또는 인화합물 및 이가 망간의 염과 조합된 구리 염.
염기성 보조안정화제(co-stabilizer), 예를 들어, 멜라민, 폴리비닐피롤리돈, 디시안디아미드,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우레아 유도체, 히드라진 유도체,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아연, 베헨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리시놀레산 나트륨 및 팔미트산 칼륨, 안티몬 피로카테콜레이트 또는 징크 피로카테콜레이트.
핵생성제, 예를 들어, 탤컴(talcum )과 같은 무기 물질, 이산화 티타늄 또는 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 산화물,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토금속의 인산염, 탄산염 또는 황산염, 모노- 또는 폴리카르복시산 및 이의 염과 같은 유기 화합물, 예를 들어, 4-3차-부틸벤젠산, 아디프산, 디페닐아세트산, 숙신산 나트륨 또는 벤젠산 나트륨, 이온성 공중합체(이오노머)와 같은 중합체 화합물, 예를 들어, 1,3:2,4-비스(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디(파라메틸디벤질리덴)소르비톨, 및 1,3:2,4-디(벤질리덴)소르비톨.
충진제(filler) 및 강화제(reinforcing agent), 예를 들어, 탄산칼슘, 규산염, 유리 섬유, 유리 벌브, 석면, 탤크, 카올린, 운모, 황산바륨, 금속 산화물 및 수산화물, 카본 블랙, 흑연, 나무 가루, 다른 천연 제품의 가루 또는 섬유, 합성 섬유.
기타 첨가제, 예를 들어, 가소제, 윤활제, 에멀션화제, 안료, 유동성 조절(rheology) 첨가제, 촉매, 유동 조절제, 발광제(optical brightener), 난연제, 대전방지제, 발포제, 및 적외선 (IR) 흡수제. 바람직한 IR 흡수제는 예를 들어 안료, 염료 또는 유기금속 화합물이다.
벤조푸라논 및 인돌리논, 예를 들어, 3-[4-(2-아세톡시에톡시)페닐]-5,7-디-3차-부틸벤조푸란-2-온, 5,7-디-3차-부틸-3-[4-(2-스테아로일-옥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3'-비스[5,7-디-3차-부틸-3-(4-[2-히드록시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5,7-디-3차-부틸-3-(4-에톡시페닐)벤조푸란-2-온, 3-(4-아세톡시-3,5-디메틸페닐)-5,7-디-3차-부틸벤조푸란-2-온, 3-(3,5-디메틸-4-피발로일옥시페닐)-5,7-디-3차-부틸벤조푸란-2-온, 3-(3,4-디메틸페닐)-5,7-디-3차-부틸벤조푸란-2-온, 3-(2,3-디메틸페닐)-5,7-디-3차-부틸벤조푸란-2-온 또는 3-(2-아세틸-5-이소옥틸페닐)-5-이소옥틸벤조푸란-2-온.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한 합성 중합체는 넓은 종류의 형태, 예를 들어 발포체, 필름, 섬유, 테이프, 성형 조성물, 프로필(profile)로 이용될 수 있거나, 코팅재(특히 분말 코팅재)용 결합제, 접착제, 퍼티(putty)로 이용될 수 있거나, 특히 추출 매체와 장기 접촉하는 후층(thick-layer) 폴리올레핀 성형물, 예를 들어, 액체 또는 기체용 파이프, 필름, 섬유, 지오멤브레인(geomembrane), 테이프, 프로필 또는 탱크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구체예에서, 바람직한 후층 폴리올레핀 성형물은 1 내지 50 mm, 특히 1 내지 30 mm, 예를 들어 2 내지 10 mm의 층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여러 가지 성형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최종 용도의 모범적인 비제한적인 목록은 하기의 것들이 있으나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부유 장치, 해양 용도, 부교(pontoon), 부표, 갑판용 플라스틱 판재, 부두, 보트, 카약, 노, 및 해변 보강재; 자동차 용도, 특히, 범퍼, 계기판, 배터리, 후방 및 전방 라이닝, 후드 아래의 성형 부품, 모자 걸이, 트렁크, 실내 라이닝, 에어 백 커버, 피팅(라이트)용 전자 성형품, 계기판용 창유리, 헤드램프 글라스, 계기 패널, 외부 라이닝, 가구류, 자동차 라이트, 헤드 라이트, 주차 라이트, 후방 라이트, 정지 라이트, 내부 및 외부 마무리재; 도어 패널; 가스 탱크; 창유리 전방면; 후방 윈도우; 시트 배킹, 외부 패널, 와이어 절연재, 밀봉용 프로필 압출재, 클래딩, 기둥 커버, 샤시 부품, 배기 장치, 연료 필터/필러, 연료 펌프, 연료 탱크, 차체 측면 성형물, 컨버터블 탑, 외부 미러, 외장재, 패스너/고정구, 전방 말단 모듈, 글라스, 힌지, 잠금 장치, 수하물/루프 랙, 가압/각인 부품, 밀봉부, 측면 충격 보호, 사운드 데드너/절연재 및 선루프; 도로 교통 장치, 특히 신호 포스팅, 도로 표시용 포스트, 자동차 액세서리, 경고 삼각대, 의료용 케이스, 헬멧, 타이어; 비품을 비롯한 비행기, 철도, 자동차(자동차, 모터바이크)용 장치; 항공용 장치; 특히 로켓 및 위성, 예를 들어, 재진입 차폐물; 건축 및 디자인용 장치, 광업용 장치, 소리 감소 장치, 거리 안전지대(street refuge), 및 임시 수용시설(shelter).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것들에도 이용된다: 일반 및 전기/전자 장치(퍼스널 컴퓨터, 전화기, 휴대폰, 프린터, 텔레비전 세트, 오디오 및 비디오 장치)의 기기, 케이스 및 커버; 화분, 위성 TV 보울, 및 패널 장치; 강재 또는 섬유와 같은 다른 재료용 피복; 전자 산업용 장치, 특히 플러그(특히 컴퓨터 플러그)용 절연재, 전기 및 전자 부품용 케이스, 인쇄 기판, 및 칩, 체크 카드 또는 신용 카드와 같은 전자 데이터 저장용 재료; 전기 기기, 특히 세탁기, 회전통, 오븐(극초단파 오븐), 식기 세척기, 믹서, 및 다리미; 라이트(예를 들어, 가로등, 램프 갓)용 커버; 와이어 및 케이블용(반도체, 절연 및 케이블 피복); 컨덴서, 냉장고, 가열 기기, 공기 조절기, 전자제품, 반도체, 커피 머신 및 진공 청소기용 호일.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것들에도 이용될 수 있다: 톱니바퀴(기어), 슬라이드 피팅, 스페이서, 나사, 볼트, 핸들 및 손잡이와 같은 기술적 제품; 로터 블레이드, 통풍기, 풍차 날개, 태양 장치, 수영장, 수영장 커버, 풀 라이너, 연못 라이너, 벽장, 옷장, 구획벽, 슬레이트 벽, 접히는 벽, 지붕, 셔터(예, 롤러 셔터), 피팅, 파이프 사이의 연결부, 슬리이브, 및 컨베이어 벨트; 위생 용품, 특히 샤워 탈의실, 세면장 시트, 커버, 및 싱크대; 청결 용품, 특히 기저귀(아기, 성인 실금), 여성용 청결 용품, 샤워 커튼, 브러시, 매트, 통, 이동 화장실, 치솔, 침대 팬; 물, 폐수 및 화학약품용 파이프(가교되거나 가교되지 않음), 와이어 및 케이블 보호용 파이프, 가스, 오일 및 하수용 파이프, 홈통, 다운 파이프, 및 배수 장치; 임의의 입체 형상(창유리) 및 사이딩의 프로필; 유리 대체물, 특히 압출 또는 동시 압출된 판, 빌딩용 창유리(모노리드, 이중 또는 다중벽), 항공기, 학교, 압출 시트, 건축물 창유리용 필름, 열차, 수송, 위생용품, 및 온실용 창 필름; 플레이트(벽, 커팅 보드), 압출 코팅물(사진지, 테트라펙 및 파이프 코팅재), 자일로, 나무 대체물, 플라스틱 판재, 나무 합성물, 벽, 표면, 가구, 장식용 호일, 바닥 피복재(실내 및 실외용), 바닥재, 덕 보드(duck board), 및 타일; 유입 및 유출 분기관; 시멘트용, 콘크리트용 및 합성물용 및 커버, 사이딩 및 클래딩, 핸드 레일, 난간동자, 주방 조리대, 루핑, 루핑 시트, 타일 및 타르칠한 방수천.
추가의 용도로는 하기의 것들이 있다: 플레이트(벽 및 커팅 보드), 트레이, 인공 유리, 인공잔디(Astroturf), 경기장(운동경기장)용 인공 피복재, 경기장(운동경기장)용 인공 바닥, 및 테이프; 연속적이거나 짧은 직포, 섬유(카펫/위생용품/지오텍스타일/모노필라멘트; 필터; 와이프/커튼 (차양)/의료용), 벌크 섬유(가운/보호 천과 같은 용도), 네트, 로프, 케이블, 스트링, 코드, 스래드, 안전 시트 밸트, 의류, 언더웨어, 장갑; 부츠; 고무 부츠, 내의, 의복, 수영복, 스포츠웨어, 우산(파라솔, 양산), 낙하산, 패러글라이드, 돛, 벌룬-실크(balloon-silk), 캠핑 용품, 텐트, 에어배드, 썬 배드, 벌크 백, 및 백; 지붕, 터널, 덤프, 연못용 멤브레인, 절연재, 커버 및 밀봉재, 벽 루핑 멤브레인, 지오멤브레인, 수영장, 커튼(차양)/햇빛 차단재, 바가리개, 천개, 벽지, 식품 포장 및 래핑재(유연하고 고체임), 의료용 포장재(유연하고 고체임), 에어백/안전 밸트, 암 및 헤드 레스트, 카펫, 센터 콘솔, 계기판, 조종석, 도어, 오버헤드 콘솔 모듈, 도어 트림, 헤드라이너, 실내 라이팅, 실내 미러, 수하물 선반, 후방 수하물 커버, 시트, 조종 칼럼, 조종 바퀴, 직물, 트렁크 트림.
추가의 용도로는 하기의 것들이 있다: 필름(포장, 덤프, 라미네이팅, 농업 및 원예, 그린하우스, 멀치(mulch), 터널, 목초보존), 화물 랩, 수영장, 폐기물 백, 벽지, 신축 필름, 라피아, 탈염화 필름, 배터리 및 커넥터; 식품 포장 및 래핑(유연하고 고체임), 병; 저장 시스템, 예를 들어, 박스(나무상자), 수하물, 금고, 가정용 박스, 팔레트, 선반, 트랙, 나사 박스, 팩 및 캔; 카트리지, 주사기, 의료용, 수송용 컨테이너, 폐기물 바스켓, 폐기물 빈, 폐기물 백, 빈(bin), 먼지 빈, 빈 라이너, 바퀴 빈, 일반적인 컨테이너, 물/사용된 물/화학약품/가스/오일/가솔린/디젤용 탱크; 탱크 라이너, 박스, 나무상자, 배터리 케이스, 홈통, 의료용 기기, 예를 들어, 피스톤, 안과용, 진단 기기, 및 제약 블리스터용 포장재.
추가의 용도로는 하기의 것들을 들 수 있다: 압출 코팅재(사진지, 테트라펙, 파이프 코팅재), 임의의 종류의 가정 용품(예, 전기제품, 보온병/의류 행거), 플러그, 와이어 및 케이블 클램프와 같은 고정 장치, 지퍼, 마감재, 자물쇠, 및 스냅-마감재; 지지 기구, 레저 용품, 예를 들어, 스포츠 및 피트니스 기구, 체조 매트, 스키 부츠, 인라인 스케이트, 스키, 빅 푸트, 운동경기용 표면(예, 테니스장); 병의 스크류 탑, 탑 및 마개, 캔; 일반적인 가구, 발포 제품(쿠션, 충격 흡수재), 발포체, 스폰지, 식기용 천, 매트, 정원용 의자, 경기장 시트, 테이블, 침상, 장난감, 빌딩 키트(보드/피겨/볼), 장난감 집, 슬라이드, 플레이 비히클(play vehicle); 광학 및 자기 데이터 저장용 물질; 주방용품(먹고, 마시고, 요리하고, 저장하는 용품); CD 카세트 및 비디오 테이프용 박스; DVD 전자 제품, 임의의 종류의 사무 용품(볼펜, 스탬프 및 잉크 패드, 마우스, 선반, 트랙), 임의의 체적 및 내용물의 병(드링크, 세제, 향수를 비롯한 화장품), 및 접착 테이프; 신발류(신발/신발창), 안창, 스팻, 접착제, 구조적 접착제, 식품 박스(과일, 채소, 육류, 어류), 합성 종이, 병의 라벨, 침상, 인공 관절(인간), 인쇄판(플렉소그라프), 인쇄 회로 기판, 및 디스플레이 기술; 및 충진된 중합체(탤크, 쵸크, 차이나 클레이(카올린), 월라스토나이트, 안료, 카본 블랙, TiO2, 운모, 나노복합체, 돌로마이트, 실리케이트, 유리, 석면)의 기기.
추가의 용도로는 하기의 것들을 들 수 있다: 의료용 부직포 및 관련 의류(수술용 가운, 드레이프, 밴드)에서 사용되는 섬유 및 직물을 성분(a)로서 포함하는 조성물, 구조 직물(가정용 래핑, 루핑, 수영장 래핑) 및 가정용 건구(카펫, 테이블 리넨, 샤워 커튼).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 특히, 필름, 파이프, 프로필, 병, 탱크 또는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보호하고자 하는 유기 물질은 유기 중합체, 특히 합성 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물질, 특히 폴리올레핀이 특히 유리하게 보호된다. 특히, 가공 안정화제(열 안정화제)로서 화학식 4의 중합체 화합물의 우수한 효과가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화합물은 중합체의 가공 이전 또는 가공 동안에 그 중합체에 첨가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다른 중합체(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또는 윤활제 또는 수력학적 유체도 분해, 예를 들어 빛에 의해 유도되거나 또는 열산화성 분해에 대하여 안정화될 수도 있다. 탄성중합체는 상기의 가능한 유기 물질의 목록에서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양태는 산화성 분해, 열분해 또는 빛에 의해 유도된 분해에 대하여 유기 물질을 보호하기 위한 화학식 4 또는 5의 액상 중합체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에 의해 피복되는 조성물의 합성으로부터 얻어지는 조성물들의 혼합물의 용도이다. 상기 신규한 중합체 화합물은 명백한 가수분해 안정성 및 유리한 착색 거동, 즉 가공 동안 유기 물질의 낮은 변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별된다.
이하, 일련의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PG 425 (55g, 0.129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45g, 0.145mol), Carbowax 350(35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63g, 0.1 89 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투명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PG 400 (95g, 0.237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73g, 0.235mol), 약 280의 히드록시가를 갖는 라우릴과 미리스틸 알코올의 혼합물(47g, 0.235 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투명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PG 400 (48g, 0.12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73g, 0.235mol), 디프로필 글리콜(16g, 0.12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투명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PG 400 (50.22g, 0.1256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40g, 0.129mol), Carbowax 350 (350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 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26g, 0.074 mol), 트리-이소프로판올 아민(4.5g 0.023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투명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PG 400 (100g, 0.25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78g, 0.2516mol), 약 211의 히드록시가를 갖는 세틸과 스테아릴 알코올의 혼합물(34g, 0.1285 mol),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틸에테르(32g, 0.129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투명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PG 400 (100g, 0.25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78g, 0.2516mol), 약 211의 히드록시가를 갖는 세틸과 스테아릴 알코올의 혼합물(34g, 0.1285 mol), 올레일 알코올(34g, 0.126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투명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PG 400 (95g, 0.237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73g, 0.235mol), Neodol 23 (C12와 C13 알코올의 혼합물)(57g, 0.266mol)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흐릿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PG 400 (100g, 0.25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155g, 0.5mol), 약 280의 히드록시가를 갖는 라우릴과 미리스틸 알코올의 혼합물(200g, 1.0 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투명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1,6 헥산디올(57g, 0.48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150g, 0.48mol), 약 280의 히드록시가를 갖는 라우릴과 미리스틸 알코올의 혼합물(97g, 0.48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흐릿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Poly THF 250MW (121 g, 0.48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150g, 0.48mol), 약 280의 히드록시가를 갖는 라우릴과 미리스틸 알코올의 혼합물(97g, 0.48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흐릿한 무색 액체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의 장치를 사용했다. 메틸디에탄올아민(58g, 0.48mol), 트리페닐 포스파이트(150g, 0.48mol), 약 280의 히드록시가를 갖는 라우릴과 미리스틸 알코올의 혼합물(97g, 0.48mol) 및 0.8 g의 수산화칼륨을 첨가했다. 그 혼합물을 잘 혼합하고 160 내지 162 ℃까지 질소하에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했다. 다음에, 압력을 0.3 mm Hg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온도를 1 시간에 걸쳐서 170 내지 172 ℃까지 상승시켰다. 그 반응물을 진공하에서 2 시간 동안 170 내지 172 ℃에서 유지시켰는데, 이때 페놀은 더 이상 증류 제거되지 않았다. 다음에, 진공을 질소로 파괴하고 그 미정제 생성물을 50 ℃까지 냉각했다. 그 생성물은 흐릿한 무색 액체였다.
상기 여러 가지 합성된 첨가제들의 특성은 하기의 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파라미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P 3.7 4.9 5.9 4.7 4.5 4.4 4.8 4.9
CPS/25℃ 960 3212 973 2156 3144 3894 642 215
AV 0.01 0.01 0.05 0.01 0.01 0.01 0.01 0.01
파라미터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P 8.9 6.4 6.4
CPS/25℃ 6528 659 37282
AV 0.01 0.01 0.01
파라미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MW 범위 1000-16,500 700-55,000 350-50,000 600-16,500 1000-55,000 800-55,000
평균 MW 6,125 9,111  7,250 6,155 21,243 10,666
파라미터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MW 범위 1200-55,000  630-6,500 800-320,000 630-16,500 850-8,000
평균 MW 12,024  2,550 31,515 8,157 1,530
분자량(MW) 데이터
실시예 1 내지 11의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알킬페놀을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큰 중요성이 있다.
하기의 표들은 폴리올레핀(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Exxon 또는 Nova LLDPE가 사용됨)에서 중합체성 아인산염 안정화제 1 내지 18의 성능을 열거하고 있다. 이러한 화합물들은 TNPP와 유사하거나 더욱 좋은 플라스틱 안정화제로서의 성능을 나타내고 있다. 용융 흐름 속도(MFR)와 관련하여, 양호한 플라스틱 안정화제는 낮은 초기 MFR에 기여한 다음 낮은 MFR을 유지한다. 헌터 b 색상 성능의 경우, 양호한 플라스틱 안정화제는 낮은 초기 색상을 초래한 다음 그 낮은 색을 유지한다.
시료 제조
폴리올레핀 분말(폴리에틸렌,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및 (폴리프로필렌, PP)을 Warring 블렌더를 이용하여 안정화제 제제와 건식 배합했다. 그 믹서는 약 60 rpm 또는 상기 물질이 보울의 외부로 튀기지 않는 속도로 5초마다 블렌더를 흔들면서 30초간 작동시킨다. 다음에, 그 매스터 배치를 예열된 동시 회전 이축 압출기에 첨가하여 그 플라스틱을 균일하게 혼합한다. 압출은 일반적으로 260 ℃에서 수행한다. 그 압출된 플라스틱을 차가운 물중탕으로 냉각하고, 완전히 건조시키고 펠릿화한다. 수득한 중합체 펠릿은 1차 통과 압출의 결과이고, 모든 시험 프로토콜에 대한 출발 물질이다. 그 분리된 펠릿을 압출기에 반복하여 첨가하여 삼차 및 사차 통과 물질을 얻었다.
용융 흐름 속도 분석
용융 흐름 속도의 분석을 21.6 Kg/190 ℃에서 ASTM 1238-90b 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했다. 그 용융 흐름 속도는 Tinius Olsen 압출 가소도계에서 종료했다.
색상 분석
Hunter Lab Ulstrascan XE 기기를 이용하여 압축 성형 필름 또는 플라크 상에서 색상 분석을 수행했다. D65 발광체 및 10 ° 관찰기를 이용하여 관찰했다.
황변 지수 측정을 ASTM D1925-70에 따라 수행했다. Yl (황변 지수)이 낮을 수록 색상이 좋다.
기체 페이드 노화(Gas Fade Aging)
기체 페이드 노화를 NOx 가스 오븐을 이용하여 ASTM 1925의 방법에 기초하여 수행했다. 60 ℃ 질소 오븐에 위치한 압축 성형 플라크 상에서 분석을 수행했다.
질소의 산화물에의 노출 동안 발색에 대한 황변 지수를 측정하여 관찰을 수행했다.
900 PPM의 아인산염 및 500 PPM의 일차 산화방지제인 Dovernox 76을 이용하거나 1800 ppm 아인산염, 300 ppm Dovernox 76, 200 ppm 스테아르산아연 및 100 ppm DHT4A를 중화제로서 이용하여 LLPE 제제를 시험했다.
900 ppm 아인산염, 500 ppm Dovernox 76 및 500 pp 스테아르산칼슘을 이용하여 HDPR 제제를 시험했다.
PP 제제는 500 ppm 아인산염, 500 ppm Dovernox 10 및 500 ppm 스테아르산칼슘을 이용하여 시험했다.
중합체성 아인산염 1차 통과 3차 통과 5차 통과
없음 15.3 13.6 12.8
TNPP 18.1 16.4 14.4
실시예 1 18.3 14.9 13.3
실시예 2 18.7 17.2 15.5
실시예 4 17.1 14.4 12.9
실시예 5 18.5 17.5 15.4
실시예 7 18.0 16.5 14.4
LLDPE, MFI
고부하 용융 흐름: 190 ℃/ 21.6 Kgs
(LLDPE, 900 ppm 아인산염 및 500 ppm Dovernox 76, 압출 온도 260 ℃)
상기 데이터는 TNPP가 양호한 MFI 안정성을 나타내고 중합체성 아인산염도 마찬가지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TNPP의 성능과 대등하거나 일부의 경우에는 그 성능을 초과한다.
중합체성 아인산염 1차 통과 3차 통과 5차 통과
없음 -3.7 -1.7 0.4
TNPP -4.7 -2.9 -0.1
실시예 1 -6.2 -3.3 -1.1
실시예 2 -5.4 -2.9 0.0
실시예 4 -4.6 -2.3 1.4
실시예 5 -4.4 -2.6 0.6
실시예 7 -5.3 -3.9 -2.2
LLDPE Yl 색상 데이터
상기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색상 안정성에소 TNPP의 성능과 아주 대등하거나 초과한다(Yl이 낮을수록 색상이 좋다).
아인산염 0 일 6 일 12 일 19 일 22 일 29 일
TNPP -1.2 7.0 26.5 34.5 362 39.6
실시예 2 -5.4 3.8 16.8 25.1 27.4 31.8
실시예 7 -6.0 0.7 14.0 23.6 26.7 33.1
1차 통과를 이용한 60 ℃ 기체 페이드, LLDPE, 일
기체 페이드 결과는 중합체성 아인산염의 경우에 더 좋다.
아인산염 1차 통과 3차 통과 5차 통과
없음 25.1 22.4 20.8
TNPP 26.6 25.3 25.1
실시예 2 26.1 25.8 22.9
실시예 5 25.6 24.0 22.3
고부하 용융 흐름: 190 ℃/ 21.6 Kgs
(HDPE: 900 ppm 아인산염, 500 ppm Dovernox 76, 및 500 ppm 스테아르산 칼슘)
압출 온도 260 ℃
아인산염 1차 통과 3차 통과 5차 통과
없음 5 9.6 12.6
TNPP 7.4 8.1 11.7
실시예 2 -2.4 1.2 4.0
실시예 5 -1.0 1.7 4.1
260 ℃에서 HDPE 압출의 경우 색상 Y1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특히 색상에 대하여 HDPE에 대한 안정화제로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
아인산염 1차 통과 2차 통과 3차 통과
없음 30.9 50.1 너무 높음
TNPP 18.0 25.2 36.2
실시예 2 20.7 26.8 39.0
실시예 5 18.9 28.2 46.9
Dovernox 10 대신에 비타민 E를 이용한 실시예 2 18.25 20.9 23.2
용융 흐름: 190 ℃/ 21.6 Kgs
(폴리프로필렌: 500 ppm 아인산염, 500 ppm Dovernox 10, 및 500 ppm 스테아르산 칼슘)
압출 온도 260 ℃
아인산염 1st pass 2nd pass 3rd pass
없음 9.8 12.9 17.6
TNPP 9 13.4 16.6
실시예 2 11.6 12.3 13.5
실시예 5 5.6 9.9 13.2
Dovernox 10 대신에 비타민 E를 이용한 실시예 2 10.4 14.5 18.9
색상, Yl
(폴리프로필렌: 500 ppm 아인산염, 500 ppm Dovernox 10, 및 500 ppm 스테아르산 칼슘)
압출 온도 260 ℃
상기 중합체성 아인산염은 PP에서 안정화제로서 양호한 성능을 나타낸다. Dovernox 10 대신에 일차 산화방지제로서 비타민 E를 사용하면 MFI가 크게 개선된다.
상기 데이터는 중합체성 아인산염들 중 몇몇이 TNPP와 동일하거나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가공 동안 및 기체 페이드 테스트 동안 양호한 용융 흐름 안정성 및 색상 안정성을 제공하는 외에도, 상기 중합체성 이아인산염 및 중합체성 폴리 아인산염은 LLDPE와의 우수한 양립성을 갖고 이동하지도 않는다. 이동하지 않는 것은 중합체 필름에서 사용되는 접착제 또는 식품 접촉을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또한, 이동하지 않는 것은 휘발성 첨가제로 인해 냉각 로울 상에 석출되거나 다이에 축적되는 것을 감소 또는 제거한다. 실시예 1, 2, 3, 4, 6, 7 및 8에서 예시된 중합체성 폴리 아인산염은 알킬페놀을 전혀 함유하지 않고 모두 생분해가능한 원료로부터 만들어지기 때문에 식품 접촉 플라스틱에 대한 특히 양호한 중합체 안정화제이다.
치환기가 모두 특히 지방족인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을 합성하는 능력이 예시되었다. 그 액상 아인산염은 폴리포스페이트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폴리포스페이트에서 아인산염 부분들 사이의 단편들은 폴리알킬렌 글리콜인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고 교체되는 구체예들을 참조로 설명되었다. 명백히,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할 때 다른 것들로의 변형 및 변경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모두 특허청구범위 또는 이의 균등물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하기 화학식 4를 포함하는,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
    [화학식 4]
    Figure pct00008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C1 -20 알킬, C3 -22 알케닐, C6 -40 시클로알킬, C7 -40 시클로알킬렌, C1 -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C1 -20 알킬 클리콜 에테르 및/또는 Y-OH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Y는 C2 -40 알킬렌, C2 -40 알킬 락톤, -R7-N(R8)-R9-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데, 여기서의 R7, R8 및 R9는 상기 R1, R2, R3 및 R4에 대하여 위에서 정의되고 H를 추가로 포함하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2 내지 100의 범위의 정수 값이고,
    x는 1 내지 1,000의 범위의 정수 값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4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아인산염:
    [화학식 5]
    Figure pct00009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m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인산염이 방향족 페놀 또는 알킬페놀을 함유하지 않는 아인산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인산염이 폴리알킬렌 글리콜로 구성되는 아인산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아인산염.
  6.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R2, R3 및 R4가 지방족이고, 알칸올아민을 추가로 포함하는 아인산염.
  7. 제 1 항에 있어서, 0.01 내지 2 중량%의 상기 아인산염 및 적어도 한 종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아인산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탄소계 중합체인 아인산염.
  9. 제 7 항에 있어서, 힌더드 페놀, 힌더드 아민 광 안정화제, 벤조트리아졸, 티오에스테르, 제2 아인산염, 금속 스테아레이트 및 히드로탈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의 다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아인산염.
  10. 아인산염을 첨가하지 않거나 트리스(노닐페닐) 아인산염을 첨가할 때와 비교하여 중합체의 황변 지수를 본질적으로 대등하게 하거나 초과시키는 방법으로서, 하기 화학식 4를 포함하는,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중합체성 아인산염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화학식 4]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C1 -20 알킬, C3 -22 알케닐, C6 -40 시클로알킬, C7 -40 시클로알킬렌, C1 -20 메톡시 알킬 글리콜 에테르, C1 -20 알킬 클리콜 에테르 및/또는 Y-OH로 이루어진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고,
    Y는 C2 -40 알킬렌, C2 -40 알킬 락톤, -R7-N(R8)-R9-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데, 여기서의 R7, R8 및 R9는 상기 R1, R2, R3 및 R4에 대하여 위에서 정의되고 H를 추가로 포함하는 군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m은 2 내지 100의 범위의 정수 값이고,
    x는 1 내지 1,000의 범위의 정수 값이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화학식 4가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방법:
    [화학식 5]
    Figure pct00011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R3 및 R4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Y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고,
    m은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인산염이 방향족 페놀 또는 알킬페놀을 함유하지 않는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인산염이 폴리알킬렌 글리콜로 구성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R2, R3 및 R4가 지방족이고, 알칸올아민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0.01 내지 2 중량%의 상기 아인산염 및 적어도 한 종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가 탄소계 중합체인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힌더드 페놀, 힌더드 아민 광 안정화제, 벤조트리아졸, 티오에스테르, 제2 아인산염, 금속 스테아레이트 및 히드로탈시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한 종의 다른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27021440A 2010-02-19 2010-10-19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고분자형 폴리아인산염 중합체 안정화제 KR101377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0601410P 2010-02-19 2010-02-19
US61/306,014 2010-02-19
PCT/US2010/053207 WO2011102861A1 (en) 2010-02-19 2010-10-19 Alkylphenol free - liquid polymeric phosphite polymer stabiliz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238A true KR20120135238A (ko) 2012-12-12
KR101377467B1 KR101377467B1 (ko) 2014-03-25

Family

ID=4448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1440A KR101377467B1 (ko) 2010-02-19 2010-10-19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고분자형 폴리아인산염 중합체 안정화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8563637B2 (ko)
EP (1) EP2536781B1 (ko)
JP (1) JP5771630B2 (ko)
KR (1) KR101377467B1 (ko)
CN (1) CN102985474B (ko)
CA (1) CA2789387C (ko)
ES (1) ES2674400T3 (ko)
IL (1) IL221351A (ko)
PL (1) PL2536781T3 (ko)
WO (1) WO20111028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83009A1 (de) * 2009-12-16 2011-07-14 Basf Se Flammschutzmittel
US20150203636A1 (en) * 2010-02-19 2015-07-23 Dover Chemical Corporation Cycloaliphatic polyphosphite polymer stabilizers
US9982112B2 (en) * 2010-02-19 2018-05-29 Dover Chemical Corporation Copolymeric polyphosphite polymer stabilizers
US9115312B2 (en) * 2010-04-01 2015-08-25 Basf Se Flame retardant
KR20130046974A (ko) * 2011-10-28 2013-05-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학 부재,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5914758B2 (ja) * 2012-06-22 2016-05-11 ドーヴァー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脂環式ポリホスファイトポリマー安定剤
US9745425B2 (en) * 2012-06-22 2017-08-29 Dover Chemical Corporation Cycloaliphatic polyphosphite
US20140080948A1 (en) * 2012-09-14 2014-03-20 Dover Chemical Corporation Polymer-additive carrier composition
JP2016525156A (ja) * 2013-06-19 2016-08-22 ドーヴァー ケミカル コーポレイション 脂環式ポリホスファイト
PL3049464T3 (pl) 2013-09-27 2020-11-30 Basf Se Kompozycje poliolefinowe do materiałów budowlanych
US9534107B2 (en) 2014-07-30 2017-01-0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lastomer containing combination of tris(nonyl phenyl) phosphite and tetramethylethylenediamine,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thereof
EP3262100A1 (en) 2015-02-27 2018-01-0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rocess to make low color polyetherimide by halo-displacement and low color polyetherimide
EP3262101A1 (en) 2015-02-27 2018-01-03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etherimide with improved color,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10435511B2 (en) 2015-05-29 2019-10-0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etherimide of improved color and process of preparing
TWI555781B (zh) * 2015-07-07 2016-11-01 Fdc Lees Chemical Industry Co Liquid phosphorus stabilizer and its preparation method
US10590263B2 (en) 2015-08-10 2020-03-17 Basf Se 3-phenyl-benzofuran-2-one derivatives containing phosphorus as stabilizers
RU2732401C2 (ru) 2016-01-21 2020-09-16 Басф Се Аддитивная смесь для стабилизации полиола и полиуретана
CA2953610A1 (en) * 2017-01-05 2018-07-05 Nova Chemicals Corporation Mixed phosphite stabilization of polyethylene film
JP7039604B2 (ja) * 2017-02-20 2022-03-22 ドーヴァー ケミカル コーポレーション 金属加工用高分子ポリリン潤滑添加剤
WO2018165445A1 (en) * 2017-03-08 2018-09-13 Graphene 3D Lab Inc. 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compositions and kit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180334550A1 (en) * 2017-05-19 2018-11-22 Dover Chemical Corporation Stabilized Polyolefin-Polymer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WO2019008002A1 (en) 2017-07-03 2019-01-10 Basf Se PHENOLIC METAL SALTS AND THEIR PHENOLIC ACIDS AS STABILIZERS OF POLYMERS
US11472928B2 (en) 2018-02-14 2022-10-18 Dover Chemical Corporation Use of a polymeric polyphosphite as a polymer processing aid
BR112020025321A2 (pt) 2018-06-21 2021-03-09 Basf Se Composição, processo para proteção de um material orgânico suscetível a degradação oxidante, térmica ou induzida por luz, uso de um composto, composto, composição de aditivo, e, composto intermediário
CA3107042A1 (en) 2018-08-22 2020-02-27 Basf Se Stabilized rotomolded polyolefin
US11008529B2 (en) 2018-12-13 2021-05-18 Dover Chemical Corporation Polymeric poly-phosphorus additives for: gear oil, grease, engine-oil, combustion-engine lubricant, automatic transmission fluid, anti-wear agents, two-cycle engine lubricant, or marine-engine lubricant
US20220282064A1 (en) 2019-07-30 2022-09-08 Basf Se Stabilizer composition
DE102020205100A1 (de) 2020-04-22 2021-10-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Additivzusammensetzung sowie deren verwendung, kondensationspolymerzusammensetzung, formmasse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massen und formteile und deren verwendung
DE102020205094A1 (de) 2020-04-22 2021-10-28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Additivzusammensetzung sowie deren Verwendung, Kondensationspolymerzusammensetzung, Formmasse und hieraus hergestellte Formmassen und Formteile und deren Verwendung
FR3112793B1 (fr) 2020-07-22 2023-04-28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lubrifiante pour transmission automobile.
FR3112792B1 (fr) 2020-07-22 2023-04-28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lubrifiante pour transmission automobile stable à l’oxydation.
FR3112791B1 (fr) 2020-07-22 2023-04-28 Total Marketing Services Composition lubrifiante pour transmission automobile aux propriétés anticorrosion améliorées.
CN112093280B (zh) * 2020-10-30 2022-06-24 济南市磐升组织细胞资源库有限公司 造血干细胞血袋冻存盒
EP4019570A1 (en) * 2020-12-23 2022-06-29 Ingenia Polymers International S.A. High concentration polymer masterbatches of liquid phosphite antioxidant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hydrolysis
KR20240017340A (ko) 2021-03-31 2024-02-07 네이쳐웍스 엘엘씨 아인산염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용융 안정성 폴리락타이드 수지 조성물
WO2023285888A1 (en) 2021-07-14 2023-01-19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Fluoropolymer free polymer processing aids
CN113651849A (zh) * 2021-07-23 2021-11-16 江苏常青树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聚合型无酚、低味的亚磷酸酯及其制备方法
CA3220464A1 (en) 2021-08-12 2023-02-16 Nova Chemicals Corporation Block copolymer polymer processing aids
WO2023081347A1 (en) * 2021-11-04 2023-05-11 Dover Chemical Corporation Phosphite antioxidants for fuels and related methods
WO2023117891A1 (en) 2021-12-21 2023-06-29 Basf Se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a product
WO2023141073A1 (en) 2022-01-19 2023-07-27 Galata Chemicals Gmbh Heat stabilizer for chlorine-containing polymers
EP4219617A1 (en) 2022-01-31 2023-08-02 Ingenia Polymers International S.A. Functionalized-silicone based polyolefin processing aids
WO2023238032A1 (en) 2022-06-10 2023-12-14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Fluorine free polymer processing aids
WO2023241955A1 (en) 2022-06-15 2023-12-21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Block copolymer polymer processing aids
FR3137684A1 (fr) 2022-07-05 2024-01-12 Totalenergies Onetech Utilisation d’un additif anti-usure pour améliorer la conductivité thermique d’un fluide de refroidissement pour véhicule électrique
FR3138243A1 (fr) 2022-07-25 2024-01-26 Totalenergies Onetech Procédé de management thermique et de sécurité de batteries et dispositif pour sa mise en œuvre.
WO2024068415A1 (en) 2022-09-29 2024-04-04 Basf Se Co-stabilizers for hydroxyphenyl triazine stabilized polymers
WO2024079553A1 (en) 2022-10-11 2024-04-18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Metal salt as a polymer processing ai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10319A (en) * 1958-02-19 1965-10-05 Union Carbide Corp Vinyl resins stabilized with an alkylene oxide and the reaction product of an aliphatic diol and a trihydrocarbyl phosphite
US3047608A (en) * 1960-09-15 1962-07-31 Weston Chemical Corp Phosphites
US3133043A (en) * 1960-09-15 1964-05-12 Rosett Chemicals Inc Composition comprising halogen-containing resin and a diphosphite stabilizer
US3246051A (en) 1964-05-28 1966-04-12 Weston Chemical Corp Phosphite esters having free hydroxyl groups
US3855360A (en) * 1972-08-21 1974-12-17 Stauffer Chemical Co Polyalkylene glycol alkyl or haloalkyl poly-phosphonates
JPS5571744A (en) * 1978-11-24 1980-05-30 Sakai Chem Ind Co Ltd Chlorine-containing resin composition
DD229995A1 (de) * 1984-12-13 1985-11-20 Greiz Doelau Chemie Fluessiges cadmiumfreies stabilisatorsystem fuer formmassen des polyvinylchlorids
JPH05214175A (ja) * 1992-02-04 1993-08-24 Nippon Petrochem Co Ltd 安定性の改良された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H0687984A (ja) * 1992-09-04 1994-03-29 Nippon Petro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フィルム
US5969015A (en) 1996-09-25 1999-10-19 Witco Vinyl Additives Gmbh Monomeric and oligomeric bisphosphites as stabilisers for polyvinyl chloride
ATE335759T1 (de) 1997-06-13 2006-09-15 Bio Rad Laboratories Verfahren und zusammensetzungen für die diagnose und die behandlung von krankheiten, die mit eisenüberschuss oder eisenmangel assoziiert sind.
WO1999048997A1 (en) * 1998-03-24 1999-09-30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Stabilisation of organic materials
US6770693B2 (en) 1998-07-13 2004-08-03 Dove Chemical Corporation Blends of phosphites and antioxidants
US6541549B2 (en) 1999-11-01 2003-04-01 Crompton Corporation Non-xenoestrogenic stabilizers for organic materials
US7320764B2 (en) * 2001-03-02 2008-01-22 Dover Chemical Corporation Phosphite ester additive compositions
US7186853B2 (en) 2003-06-05 2007-03-06 Crompton Corporation Polymer compositions containing stabilizer compounds comprising tricyclodecylmethyl groups
CN101228220B (zh) 2005-07-21 2012-12-12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使用液体三(单烷基)苯基亚磷酸酯稳定聚烯烃
CA2625376A1 (en) 2005-10-13 2007-04-19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Stabilization of polyolefins with liquid cyclic phosphites
US8008384B2 (en) 2006-06-20 2011-08-30 Chemtura Corporation Liquid butylaryl phosphite compositions
US7947769B2 (en) 2006-06-20 2011-05-24 Chemtura Corporation Liquid amylaryl phosphite compositions and alkylate compositions for manufacturing same
US8008383B2 (en) 2006-06-20 2011-08-30 Chemtura Corporation Liquid amylaryl phosphite compositions
US8178005B2 (en) 2006-06-20 2012-05-15 Chemtura Corporation Liquid phosphite compositions having different alkyl groups
US20100076131A1 (en) 2006-06-20 2010-03-25 Chemtura Corporation Liquid butylaryl phosphite compositions and alkylate compositions for manufacturing same
US20100004363A1 (en) 2006-06-20 2010-01-07 Chemtura Corporation Liquid phosphite blends as stabilizers
JP4955062B2 (ja) * 2006-09-08 2012-06-20 チバ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安定剤としての液状ポリマーのホスフィット及びホスホナイト
US20080071016A1 (en) 2006-09-14 2008-03-20 Ppg Industries Ohio, Inc. Polyureaurethan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olor stability
CN102089316B (zh) * 2008-07-11 2013-12-25 巴斯夫欧洲公司 氧亚烷基桥接双-和三亚磷酸酯的液体混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89387A1 (en) 2011-08-25
CA2789387C (en) 2015-07-07
US20110263760A1 (en) 2011-10-27
EP2536781B1 (en) 2018-04-04
JP2013533891A (ja) 2013-08-29
US20130225736A1 (en) 2013-08-29
JP5771630B2 (ja) 2015-09-02
US8563637B2 (en) 2013-10-22
IL221351A (en) 2017-08-31
PL2536781T3 (pl) 2018-10-31
WO2011102861A1 (en) 2011-08-25
KR101377467B1 (ko) 2014-03-25
CN102985474B (zh) 2014-08-20
EP2536781A4 (en) 2016-09-21
IL221351A0 (en) 2012-10-31
EP2536781A1 (en) 2012-12-26
CN102985474A (zh) 2013-03-20
ES2674400T3 (es) 2018-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467B1 (ko) 알킬페놀이 없는 액상 고분자형 폴리아인산염 중합체 안정화제
DE10316198B4 (de) Stabilisatorgemisch, enthaltend drei spezielle sterisch gehinderte Aminverbindungen, das Stabilisatorgemisch enthaltende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von organischem Material gegen durch Licht, Wärme oder Oxidation hervorgerufene Zersetzung
US8981042B2 (en) Cycloaliphatic polyphosphite polymer stabilizers
JP6768056B2 (ja) リンを安定剤として含む3−フェニル−ベンゾフラン−2−オン誘導体
US9745425B2 (en) Cycloaliphatic polyphosphite
KR102164030B1 (ko) 유기 물질의 안정화제로서의 폴리글리콜 비스-[3-(7-tert-부틸-2-옥소-3-페닐-3H-벤조푸란-5-일-)프로파노일] 유도체
KR102011678B1 (ko) 사이클로알리파틱 폴리포스파이트 폴리머 안정화제
US9982112B2 (en) Copolymeric polyphosphite polymer stabilizers
KR20130016250A (ko) 입체 장애 아민
AU2019289707A1 (en) 3-phenyl-benzofuran-2-one diphosphate derivatives as stabilizers
US20150203636A1 (en) Cycloaliphatic polyphosphite polymer stabilizers
EP2876126A1 (en) A stabilizer mixture
EP3010961A1 (en) Cycloaliphatic polyphosphites
KR20230116038A (ko) 유기 물질 기반의 성형 물품
CN116547346A (zh) 添加剂混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