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8135A -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8135A
KR20120128135A KR1020127022641A KR20127022641A KR20120128135A KR 20120128135 A KR20120128135 A KR 20120128135A KR 1020127022641 A KR1020127022641 A KR 1020127022641A KR 20127022641 A KR20127022641 A KR 20127022641A KR 20120128135 A KR20120128135 A KR 20120128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ancer
oligopeptide
cells
nucle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8518B1 (ko
Inventor
랄즈 프레스테가덴
Original Assignee
사이토베이션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토베이션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사이토베이션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12012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0Antimyc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00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viruses
    • C07K14/08RNA viruses
    • C07K14/15Retroviridae, e.g. bovine leukaemia virus, feline leukaemia virus human T-cell leukaemia-lymphoma virus
    • C07K14/155Lentiviridae, e.g.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visna-maedi virus or equine infectious anaemia virus
    • C07K14/16HIV-1 ; HIV-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C07K14/4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C07K14/4701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not used
    • C07K14/4702Regulators; Modulating activity
    • C07K14/4703Inhibitors; Suppress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12N15/62DNA sequences coding for fusion prote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Zoology (AREA)
  • Onc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DS & HIV (AREA)
  • Micro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의 제제,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치료, 특히 항미생물과 항암 치료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놀랍게도 세포, 특히 세균 및 암세포의 성장 및/또는 활성(viability)에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신규한 펩타이드-기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펩타이드들은 세균과 암 세포 상에 세포독성 효과를 가지며 및 종양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펩타이드 또는 이의 의태체 (mimetics)는 따라서 암의 치료에 또는 항미생물제로서, 특히 항종양 또는 항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및 비치료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Description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Oligopeptid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신규의 제제,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치료, 특히 항미생물과 항암 치료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놀랍게도 세포, 특히 세균 및 암세포의 성장 및/또는 활성(viability)에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신규한 펩타이드-기반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펩타이드들은 세균과 암 세포 상에 세포독성 효과를 가지며 및 종양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펩타이드 또는 이의 의태체 (mimetics)는 따라서 암의 치료에 또는 항미생물제로서, 특히 항종양 또는 항균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 및 비치료 방법이 또한 제공된다.
암은 세포가 미조절 성장과 주위 조직상에 칩입 및 주위 조직을 파괴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 특정의 경우, 암세포들은 전이하며 다른 부위로 옮겨가서, 암의 제2 부위를 형성한다. 암은 모든 연령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며, 대부분의 유형에서 나이가 들수록 위험이 높아진다. 암은 2007년도 모든 인간 사망의 약 13%를 담당하고 있다 (760만명). 사실, 미국에서만 매년 600,000 명의 사람이 암으로 죽는다.
암은 세포의 비정상적인 유전 물질에 의해 야기된다. 이러한 비정상은 흡연, 방사선, 화학물 또는 감염체와 같은 발암물질의 영향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암 조장 유전적 비정상은 DNA 복제에서의 오류를 통해 무작위적으로 발생될 수 있고 또는 유전되고 따라서 출생시부터 모든 세포에서 존재할 수 있다. 암의 유전성은 보통 발암물질과 숙주 게놈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인간 면역계는 주로 수용체-매개 기작을 통해 암세포를 인지하고 파괴한다고 알려져 있다 (1-3). 그러나, 면역 감시에도 불구하고 암세포들은 숙주 면역 조절을 회피할 수 있고 따라서, 암의 외과적 개입 또는 치료가 통상 필요하게 된다.
의학에서의 연구와 발전에 힘입어, 특정 유형의 대부분의 암들은 치료될 수 있고, 더 적은 수의 암들은 특정 유형, 부위 및 단계에 따라서, 치유될 수 있다. 일단 진단이 되면, 암은 통상 수술, 화학요법 및 방사선 요법의 조합으로 치료된다. 그러나, 현재 많은 수의 암들이 전통적인 방법으로 치유될 수 없고 따라서 암환자에 대하여 대안적인 치료가 요구되고 있다. 숙주 면역 조절은 가끔 숙주 방어-유래 세포용해 양이온성 폴리펩타이드에 의해 매개되며, 이것은, 결국, 다른 것들 중에서도, 암의 치료에 항암 펩타이드를 사용하게 하는 제안을 제시하게 되었다. 그러한 펩타이드들은 처음에는 세균 제거의 역할로 인하여 발견되었다 (4-7). 그러나, 종양이 아직 미지인 채이지만, 비수용체 매개 기작을 통해 숙주 제어 기작을 극복하는 것으로 보인다 (8-13).
암세포에 대항하여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펩타이드 (“저해 펩타이드”)는 음하전된 막에 강하게 결합하며 (4, 5, 14-18) 및 막의 용해가 이어서 발생한다 (19, 20)고 알려져 있다. 통상, 많은 항암 펩타이드들은 양이온성이다. 암세포의 원형질막은 음하전된 포스파티딜세린을 소량 함유하고 있고 (3-9%; 참조 21, 22), 암세포들은 따라서 대부분의 비악성 진핵 세포보다 약간 더 음이온성이다. 세포막 조성에서의 이러한 작은 차이가 암세포를 더 선호하여 죽이는 특정 양이온성 펩타이드의 능력에 대하여 설명을 제시하는 것인지는 아직 명확하지는 않다 (23-25).
표면-노출 포스파티딜세린은 또한 비록 완전히 상이한 (수용체-매개) 기작(26)을 통하기는 하지만, 단핵구와 같은 선천적 면역 주효세포 (effector)에 의해 혈류로부터 암세포 제거용 마커로서 사용된다. 당해 분야에서, 양이온성 펩타이드에 의한 종양 세포의 실제 파괴는 두 개 과정 중 하나의 결과이다: (i) 원형질막의 파괴에 기인한 괴사 유도 (20, 25) 또는 (ii) 상기 펩타이드의 마이토콘드리아 막에 결합함으로써 촉발된 어팝토시스의 유도 (9, 27). 당해 분야에 설명된 많은 항암 펩타이드들은 세포 용해를 위시한 기작으로 그들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특정의 그러한 펩타이드의 강력한 시험관내 항암활성에도 불구하고, 생체내 연구는 제한적이다. 현재, 암세포막을 붕괴시키고 그 후 암세포 사멸을 야기할 수 있는 펩타이드에 대한 오직 몇 가지 생체 내 연구만이 행하여 졌을 뿐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i) 용해성 펩타이드들로 고형 종양의 전신 치료하는 것으로, 이는 오직 상기 용해성 펩타이드들이 귀소 (타겟팅) 도메인과 접합되어 있을 때 또는 용해 본체(entity)가 혈청내에서 비활성화되고 종양 특이성을 상실함에 따라 프로펩타이드 (12, 17)로서 사용되는 경우; (ii) 마가이닌 및 이의 D-아미노산 거울상 이성질체로 난소암을 치료하는 것으로, 이것은 고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는 경우 (28); 및 (iii) 인간 유방암 이종이식체에 대하여 69-아미노산 공극 형성 펩타이드의 종양내 투여를 포함한다.
모든 이러한 치료들은 제한된 내재적 국소 활성 또는 영향을 받지 않은 동물에서 상당한 크기의 전이체에 도달 할 수 없는 능력으로 인해, 되었다고 해도 오직 약간 유포된 전이체에만 영향을 끼친다 (27). 오늘날, 세포독성 펩타이드의 암세포에 대한 선택성 및 다른 건강한 기관에 대한 독성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하나의 펩타이드, 즉 짧은 15-머 D, L-아미노산 펩타이드인 D-K6L9는 종양내 주사시, 비악성 인접 세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발성 인간 전립선 암종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3). 마우스에서, 펩타이드 D-K6L9는, 전신 투여시, 원발성 및 전이성 종양 특이적으로 과녁하고 그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펩타이드는 탈분극 용해성 기작을 통해서 세포막에서 포스파티딜세린 상에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항암 펩타이드들의 분야에서 일정 진보가 이루어졌지만, 암세포를 파괴하고 이의 성장을 저해하는 데 유효하며, 및 비 암세포를 향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신규한 펩타이드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항암 펩타이드의 개발에 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세포용해성 항-미생물 펩타이드 상에 집중되어 있고 많은 그러한 펩타이드들은 암세포의 상이한 유형에 대하여 시험관내에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펩타이드들은 곤충, 양서류 및 포유류를 위시한 생물의 선천적 면역성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인간 디펜신류, 세크로핀류, 세크로핀-마가이닌 하이브리드, 마가이닌 류, 및 그러한 펩타이드들이 귀소 도메인과 접합된 것들 및 프로펩타이드들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펩타이드들은 세균 원형질막의 주요 성분인, 음하전된 인지질 막에 선호적으로 결합하고 용해시킨다.
세균과 같은 미생물들은 많은 감염질환의 원인이고, 매년 많은 수의 사망에 관여한다. 예를 들어, 병원성 세균은 결핵과 같은 질환을 야기한다. 미생물이 많은 감염성 질환에 관여하고 병원성 미생물의 저항이 현대 의학에 직면한 심각한 문제가 됨에 따라서, 미생물에 대한 새롭고 대안적인 치료가 매우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에 관한 것으로 놀라운 효과가 있는 새로운 항암 및 항미생물제제로서 신규한 펩타이드 기반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신규한 펩타이드가 고안되었고, 이것에 기반한 펩타이드류는 시험관 내에서 암과 세균 세포 둘 다에 대해 유효하며 생체 내에서 종양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하기 실시예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신규한 펩타이드 서열에 기반한 펩타이드류는 다양한 암세포주에 대해 세포독성을 나타내나, 정상적인 세포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활성과 낮은 독성을 나타낸다. 세포독성 효과는 또한 그람 양성 및 그람 음성 세균 둘 다를 위시한 다양한 세균에 대해서 나타났다. 더욱이, 암의 동물 모델에서, 종양 성장에 대해 상당하고 유의한 저해 효과를 가지면서, 강력한 항종양 효과가 관찰되었다. 치료된 동물들은 미치료된 군에 비해 생존에서 상당히 유리하였고, 실제로 연구 결과, 동물은 그 종양에서 치유된 것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극적인 항암 또는 항종양 효과가 증명되었다 (이점에서, “항암”은 암세포, 특히 암세포의 성장 및/또는 활성(viability)에 부정적 효과를 의미하며, 특히, 암세포에서 세포독성 효과를 뜻한다).
1. Dunn GP, Bruce AT, Ikeda H, Old LJ, Schreiber RD. Cancer immunoediting: from immunosurveillance to tumor escape. Nat Immunol 2002;3:9918. 2. Mocellin S, Rossi CR, Nitti D. Cancer vaccine development: on the way to break immune tolerance to malignant cells. Exp Cell Res 2004;299:26778. 3. Blattman JN, Greenberg PD. Cancer immunotherapy: a treatment for the masses. Science 2004;305:2005. 4. Boman HG. Peptide antibiotics and their role in innate immunity. Annu Rev Immunol 1995;13:6192. 5. Hancock RE. Peptide antibiotics. Lancet 1997;349: 41822. 6. Ganz T, Lehrer RI. Antimicrobial peptides of vertebrates. Curr Opin Immunol 1998;10:414. 7. Zasloff M. Antimicrobial peptides of multicellular organisms. Nature 2002;415:38995. 8. Ohsaki Y, Gazdar AF, Chen HC, Johnson BE. Antitumor activity of magainin analogues against human lung cancer cell lines. Cancer Res 1992;52:35348 9. Chen Y, Xu X, Hong S, et al. RGD-Tachyplesin inhibits tumor growth. Cancer Res 2001;61:24348. 10. Street SE, Cretney E, Smyth MJ. Perforin and interferon-g activities independently control tumor initiation, growth, and metastasis. Blood 2001;97:1927. 11. Ellerby HM, Lee S, Ellerby LM, et al. An artificially designed pore-forming protein with anti-tumor effects. J Biol Chem 2003;278:353116. 12. Leuschner C, Enright FM, Gawronska B, Hansel W. Membrane disrupting lytic peptide conjugates destroy hormone dependent and independent breast cancer cells in vitro and in vivo. Breast Cancer Res Treat 2003; 78:1727. 13. Papo N, Braunstein A, Eshhar Z, Shai Y. Suppression of human prostate tumor growth in mice by a cytolytic D-, L-amino acid peptide: membrane lysis, increased necrosis, and inhibition of prostate-specific antigen secretion. Cancer Res 2004;64:577986. 14. Ganz T, Lehrer RI. Defensins. Curr Opin Immunol 1994;6:5849. 15. Epand RM, Vogel HJ. Diversity of antimicrobial peptides and their mechanisms of action. Biochim Biophys Acta 1999;15:12. 16. Shai Y. Mechanism of the binding, insertion and destabilization of phospholipid bilayer membranes by a-helical antimicrobial and cell non-selective membrane-lytic peptides. Biochim Biophys Acta 1999;1462: 17. Tossi A, Sandri L, Giangaspero A. Amphipathic, a-helical antimicrobial peptides. Biopolymers 2000;55:430. 18. Bulet P, Stocklin R, Menin L. Anti-microbial peptides: from invertebrates to vertebrates. Immunol Rev 2004; 198:16984. 19. Shai Y. Mode of action of membrane active antimicrobial peptides. Biopolymers 2002;66:23648. 20. Papo N, Shahar M, Eisenbach L, Shai Y. A novel lytic peptide composed of D, L amino acids selectively kills cancer cells in culture and in mice. J Biol Chem 2003;278:2101823. 21. Zwaal RF, Schroit AJ. Pathophysiologic implications of membrane phospholipid asymmetry in blood cells. Blood 1997;89:112132. 22. Zwaal RF, Comfurius P, Bevers EM. Surface exposure of phosphatidylserine in pathological cells. Cell Mol Life Sci 2005;62:97188. 23. Chen HM, Wang W, Smith D, Chan SC. Effects of the anti-bacterial peptide cecropin B and its analogs, cecropins B-1 and B-2, on liposomes, bacteria, and cancer cells. Biochim Biophys Acta 1997;1336:1719. 24. Chan SC, Yau WL, Wang W, Smith DK, Sheu FS, Chen HM. Microscopic observations of the different morphological changes caused by anti-bacterial peptides on Klebsiella pneumoniae and HL-60 leukemia cells. J Pept Sci 1998;4:41325. 25. Papo N, Shai Y. New lytic peptides based on the D, L amphipathic helix motif preferentially kill tumor cells compared to normal cells. Biochemistry 2003;42:934654. 26. Manno S, Takakuwa Y, Mohandas N. Identification of a functional role for lipid asymmetry in biological membranes: phosphatidylserine-skeletal protein interactions modulate membrane stability. Proc Natl Acad Sci U S A 2002;99:19438. 27. Ellerby HM, Arap W, Ellerby LM, et al. Anti-cancer activity of targeted pro-apoptotic peptides. Nat Med 1999;5:10328. 28. Baker MA, Maloy WL, Zasloff M, Jacob LS. Anticancer efficacy of magainin 2 and analogue peptides. Cancer Res 1993;53:30527.
일단, 본 발명자들은 공지된 종양 억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에 기반하여, “종양 억제자” 효과를 가지는 펩타이드를 고안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따라서, 종양 억제자의 수용체에 결합하며 이에 따라 종양 성장을 저해하는 펩타이드류를 고안하는 것을 희망하였다. 96개 펩타이드군을 준비하였고 항암 및 항미생물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발명의 근저가 되는 펩타이드를 이러한 조사로 동정하였고, 오직 3 개 중 하나만이 유의한 활성 수준을 보였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는 암세포 및 미생물 세포 둘 다에 대해, 암세포의 경우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둘 다에서 예상치 못한 높은 세포독성 활성을 나타냈다.
놀랍게도, 상기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를 고안하는 근거가 된다면, 상기 펩타이드는 용해 활성을 가지며, 암세포의 세포막을 붕괴하고 세균을 용균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어팝토시스 효과가 발견되었고, 이는 상기 펩타이드들이 어팝토시스를 촉발하거나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연구는 이러한 항암효과가, 비암성 세포들은 온전한 상태로 두면서, 암세포에 선택적일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고, 이는, 치료, 예를 들어, 화학요법의 부정적인 부작용이 가끔 상당한 경우, 암의 치료에 상당한 장점이다. 본 발명의 펩타이드-기반 화합물은 또한 몇 가지 세균 균주를 박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제내성 세균에 대하여 효과적인 도구를 공급할 수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놀랍고 예상치 못한 결과에 기반하여,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신규 펩타이드 서열, 즉 서열번호 1의 서열: KTLRVAKAIYKRYIE (서열 번호 1)에 기반한 펩타이드류 및 펩타이드-기반 화합물들이 암 및 미생물 감염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고, 더 일반적으로는, 예를 들어, 미생물 오염 또는 군체형성을 막는 데, 즉 소독제 등으로서 비치유적 용도를 포함한 항미생물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따라서,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i)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ii)서열 번호 1과 적어도 85%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서열 번호 1의 역서열의 전부 또는 부분인 (즉 서열번호 2: EIYRKYIAKAVRLTK의 전부 또는 부분) 또는 서열번호 1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의 역서열을 포함하며;
암 및/또는 미생물 세포의 성장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는 데 있어서 활성을 가지는 (저해할 수 있거나 저해하는 데 유효한)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화합물은 항종양 또는 항미생물 활성을 가질 수 있고, 후자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항균활성을 가진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바람직하게는 “세포 투과” 활성(후술하는 바와 같이)을 가지는 추가의 올리고펩타이드 서열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HIV-TAT 펩타이드에 기반한 세포 투과 올리고펩타이드 서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반 하에서 고안된 펩타이드가 하기 실시예에서 연구되며 특히 효율적이라는 것이 나타난다.
따라서, 바람직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i) 아미노산 서열 YGRKKRRQRRRGKTLRVAKAIYKRYIE (서열번호 40)의 전부 또는 부분; 또는
(ii) 서열번호 40과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또는
(iii) 서열번호 40의 역서열의 전부 또는 부분 (즉, 서열번호 41 EIYRKYIAKAVRLTKGRRRQRRKKRGY의 전부 또는 부분) 또는 서열번호 40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의 역서열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며;
암 및/또는 미생물 세포의 성장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는 데 있어서 활성을 가지는 (저해할 수 있거나 저해하는 데 유효한)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항종양 또는 항미생물 활성을 가질 수 있고, 후자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항균활성이다.
서열 번호 40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서열번호 1의 N-말단에 연결된 서열번호 36의 HIV-TAT 서열 (후술)에 상응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따라서, 세포, 특히 암 또는 미생물 세포, 특별히 세균의 성장 및/또는 활성에 저해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은 세포정지 또는 세포독성 활성, 바람직하게는 세포독성 활성을 특히 암 또는 미생물 세포, 예를 들어 종양에 대하여 가진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들은 정균 또는 살균성이며, 바람직하게는 살균성이다.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것”은, 세포의 크기 또는 그 구성분의 양 및/또는 부피에서의 증가, 특히 세포 수의 증가가 감소되는, 특히 측정할 수 있을 정도로 감소되는 상태에 있는 세포의 성장의 임의의 관점을 뜻한다. 용어 “성장”은 따라서 명백히 세포의 복제 또는 번식을 포함한다. 세포 성장율, 즉, 세포 수 증가에서의 속도는 감소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성장 (즉, 세포수 또는 성장속도)은 적어도 50, 60, 70, 80, 90 또는 95%만큼 감소될 수 있다. 특정의 경우, 성장은 100% 감소, 즉, 성장이 멈추거나 완전히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세포의 복제 또는 번식은 감소되거나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용어 “저해하다”는 임의의 정도의 성장 감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의 부재시 관찰될 수 있는 성장에 비해). 복제나 번식의 속도는 특히 미생물의 경우 세대 시간으로 산정되거나 표현될 수 있다 (즉, 미생물이 그 자신의 복제를 이루는 데 걸리는 시간). 암 세포의 경우, 성장은 세포 수를 결정하거나 또는 종양의 크기나 성장의 속도를 산정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세포의 “활성(viability)을 저해하는 것”은 세포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또는 세포가 생존하기에 덜 적합하도록 또는 비활성적으로 만드는 임의의 효과를 포함한다. 세포의 활성 (viability)은 주어진 조건하에서 생존하는 세포의 능력으로서 고찰될 수 있다. 특히, 그것은 세포를 사멸시키거나 파괴하는, 즉 세포를 사멸하도록 야기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멸은 복제하거나 영양분을 이용하거나 동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성장하는 데 실패하는 것 또는 세포나 그 세포가 포함된 조직, 예를 들어, 종양으로의 형태적 변화에 의해 평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괴사가 증거로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포막 흠결 상태인 경우 세포는 사멸한 것으로 간주된다.
용어 “세포정지” 및 “세포독성”은 유사하게 해석될 수 있다.
암 또는 미생물의 활성 또는 성장을 결정하는 방법은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세포가 살았는지 (활성적인지) 또는 사멸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 많은 통상적인 검정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옵션은 세포의 성장을 정상적으로 지원하고 그 세포의 성장을 적절한 표준 수단으로, 예를 들어, 세포의 크기, 세포의 형태, 시간에 따른 세포의 수, 배양액에서의 양분 소비 등을 검사함으로써, 관측하는 조건하에 세포를 두는 것이다. 다른 옵션은 세포 사멸의 형태적 특색, 예를 들어, 괴사성 또는 어팝토시스성 바디, 막성 거품 (membrane bleb), 핵 응축 (nuclear condensation), 및 DNA가 일정 크기의 분절체로 절단되는 것, 붕괴된 세포벽 또는 막, 및 세포 내용물이 세포외 환경으로 누출되는 것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은 사멸된 세포에서 세포막 온전성의 특징적인 소멸을 조사하는 것이다. 막 불투과 색소 (예, 트립판 블루 및 프로피디움 아이오다이드)을 막 온전성을 평가하는 데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색소들은 온전한 세포에서는 배제되며 따라서 그러한 세포에서는 염색이 일어나지 않는다. 세포막의 온전성이 손상될 경우, 이러한 색소들은 세포로 접근할 수 있고 세포내 성분을 염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온전한 세포막을 가진 세포만을 염색할 수 있는 색소를 사용하여 세포의 활성을 표시한다. 인비트로젠 사 (Invitrogen Ltd.)의 생/사 검정 키트 (Live/Dead Assay)는 두 개의 색소, 하나는 사멸 세포를 염색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생 세포를 염색하는 것을 사용하는 검정법이다. 막 온전성을 평가하는 다른 방법은 세포막 성분이 배양액으로 방출된 것, 예,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옵션은 세포의 대사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것은 수 많은 방법으로 통상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TP의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온전한 막을 가지는 살아있는 세포만이 ATP를 합성할 수 있고, 및 ATP는 세포에 저장이 안되기 때문에, ATP의 수준은 세포 사멸시 급격히 떨어진다. ATP 수준을 감시하는 것은 따라서 세포 상태에 대한 표지를 나타내게 된다. 양분을 대사하는 살아있는 세포는 환원 반응을 사용하며 따라서, 환원 또는 산화 형태냐에 따라서 상이한 출력을 세포에 나타내는 마커 (예, 형광 색소)를 적용함으로써, 세포의 환원능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마커를 환원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한 세포는 사멸한 것으로 간주된다. MTT 및 MTS 검정법이 이러한 유형의 검정법의 편리한 예이다.
“항종양” 효과 또는 활성은 종양의 성장 및/또는 활성에 대한 효과로서 보여질 수 있다. 상기 용어는 종양에 대한 임의의 부정적인 효과나 활성을 포함한다. 종양의 세포는 사멸 또는 붕괴될 수 있다. 종양의 성장은 저해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종양이 성장할 수 없게 되거나 종양 성장율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로 처리되기 전 종양에 또는 동일한 또는 상응하는 미처리 종양에 비하여). 종양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거나 또는 유리하게는, 상기 종양은 전부 사라질 수 있다 (예, 제거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항종양 효과는 특정의 경우 종양으로부터 암세포의 살포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 즉 종양의 전이능이 감소될 수 있는 효과를 포함한다. 종양의 다른 병원성 특성 또는 거동, 예를 들어, 주위 조직을 침입하거나 침윤할 수 있는 능력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정의를 참조하여, “항미생물” 활성은 미생물을 사멸시키거나 파괴시키고 또는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임의의 효과를 의미하며, 유사하게, 항균 활성은 세균을 사멸하거나 파괴하고 또는 세균의 성장을 저해하는 임의의 효과이다.
유사하게도,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데, 즉, 이들은 세포의 성장 및/또는 활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한다. “직접적으로”는 상기 화합물이 그들의 효과 (즉, 세포독성 또는 세포정지 효과)를 부여하는 데 생리적 시스템이나 기작 (즉, 면역 시스템)을 채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보다는, 상기 화합물은 세포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화합물이 그 효과를 발휘하는 데 돕기 위해 또는 용이하게하기 위해, 또는 특별한 경우, 그러한 효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화합물을 세포로 전달 (세포내 전달)하는 것을 용이, 향상 또는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세포 투과 서열 (세포 투과 펩타이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체예의 바람직한 관점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HIV-TAT 서열, 특히, 아미노산 47-58에 기반한 세포 투과 서열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러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세포 투과 서열 또는 펩타이드와 같이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즉, 포함하는) 작제물의 형태를 띨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세포 투과 펩타이드와 함께 본 발명의 올리고 펩타이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작제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 있다. “세포 투과 펩타이드”의 맥락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을 가지는 펩타이드에 단독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펩타이드-유사 또는 펩타이드-기반 화합물, 예를 들어, 펩티도미메틱 구조를 또한 포함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세포 투과 펩타이드”는 세포 투과 활성을 가지는 임의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포 투과 펩타이드는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을 세포내로 또는 세포막을 건너서 (즉, 세포내부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는 서열일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단백질 전달 도메인 (protein transduction domain: PTD) 또는 단백질 전달 서열로서, 당해 분야에 공지된 소위 “세포 투과” 서열 (또는 특히 “세포투과 펩타이드”)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는 (i)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및 (ii) 세포투과 서열 (더 상세하게는, 세포투과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작제물이다.
세포투과 펩타이드 (CPP) 기술은 최근 수년간에 걸쳐 크게 개발되었고, 다양한 세포투과 펩타이드들이 당해 분야에 공지되고 설명되어 있고, 실제 일정 범위의 그러한 펩타이드들이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세포투과 펩타이드들은 크기, 서열, 전하에서 매우 다를 수 있고, 실제 기능의 기작 (이는 특정 펩타이드들에 대해서는 현재 알려지지 않은 것이고 다른 것들에 대해서는 완전히 설명되어지 않는)에 있어서 다를 수 있지만, 원형질막을 넘어서 이동시키고 부착된 또는 동반된 분체 (소위 “화물”)을 세포질 내로, 심지어는 세포의 핵 내로 전달하는 공통의 능력을 공유한다. CPP는 따라서, 펩타이드-기반 전달 벡터이다.
CPP는 초파리 호메오박스 단백질 안테나페디아 (전사 인자)와 같은 단백질, HIV-1 전사인자 TAT 및 HSV-1에서 나온 캡시드 단백질 VP22와 같은 바이러스 단백질과 같이, 세포막을 투과하여 전달할 수 있는 천연 발생 단백질로부터 유도될 수 있거나, 키메라 단백질, 또는 폴리아르기닌과 같은 합성 폴리펩타이드로부터 합성적으로 유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transduction) 효과를 담당하는 단일 기작은 없고 따라서 CPP들의 고안은 상이한 구조 및 서열에 바탕을 둘 수 있다. 세포투과 펩타이드들은 Jarver 등, 2006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1758, 페이지 260-263에서 검토될 수 있고, 하기 표 1은 다양한 대표적인 펩타이들을 기록하고 있다. 미국 특허 번호 제6,645,501호는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세포투과 펩타이드들을 설명하고 있다.
CPP 서열 참조문헌
Antp
페네트라틴
(Penetratin)
RQIKIWFQNRRMKWKK (서열번호 3) Bolton (2000) Eur. J. Neuro. 12:287
페나트라틴
(Penatratin) 유도체
RRMKWKK (서열번호 4)
NRRMKWKK (서열번호 5)
QNRRMKWKK (서열번호 6)
FQNRRMKWKK (서열번호 7
RREKWKK (서열번호 8)
RRQKWKK (서열번호 9)
KRMKWKK (서열번호 10)
RKMKWKK (서열번호 11)
RROKWKK (서열번호 12)
RRMKQKK (서열번호 13)
RRMKWFK (서열번호 14)
RORKWKK (서열번호 15)
RRMWKKK (서열번호 16)
RRMKKWK(서열번호 17)
(표준 단일 아미노산 표시 사용, 오르니틴 (O), 디아미노부티르 산 (B), 노르루이신 (N))
미국특허번호 6472507
유럽특허번호4855781
국제공개특허번호 WO 97/12912
D-페네트라틴 rqikiwfqnrrmkwkk (서열번호 18) Rouselle, C. 등.(2000) Mol.Pharm 57:679
프로테그린( Protegrin ) 유형
페겔린(Pegelin) (SynB) RGGRLSYSRRRFSTSTGR (서열번호 19) Rouselle, C. 등. (2000) Mol. Pharm 57:679
HIV - TAT 유형
HIV-TAT GRKKRRQRRRPPQ(서열번호 20) Vives E.J Biol, Chem 1997, 272:16010
Snyder (2004) PLOS 2: 186
HIV-TAT의 47-57 YGRKKRRQRRR (서열번호 21) Potocky . (2003) JBC
VP22 DAATATRGRSAASRPTERPRAPARSASRPRRVD (서열번호 22) Elliott g. Cell 1997, 88:223-233
양친매성 펩타이드류
MAP KLALKLALKALKAALKLA (서열번호 23) Morris MC., Nat Biotechnol. 2001, 19:1173-1176
트랜스포탄(Transportan) GWTLNSAGYLLGKINLKALAALAKKIL
(서열번호 24)
Pooga M, FASEB J 1998, 12:67-77
트랜스포탄-10 AGYLLGKINLKALAALAKKIL (서열번호 25) Soomets U, Biochim Biophys Acta 2000, 1467:165-176
KALA WEAKLAKALAKALAKHLAKALAKALKACEA (서열번호 26) Oehike J., Biochim Biophys Acta 1998, 1414:127-139
Pep-1 KETWWETWWTEWSQPKKKRKV
(서열번호 27)
Wyman Biochemistry 1997, 36:3008-3017
Pep-2 KETWFETWFTEWSQPKKKRKV
(서열번호 28)
MPG GALFLGFLGAAGSTMGAWSQPKSKRKV
(서열번호 29)
Wagstaff KM Curr Med Chem 2006, 13:1371-1387
벡토셀(Vectocell) 펩타이드류 VKRGLKLRHVRPRVTRMDV (서열번호 30)
SRRARRSPRHLGSG* (서열번호 31)
LRRERQSRLRRERQSR* (서열번호 32)
GAYDLRRRERQSRLRRRERQSR (서열번호 33)
*운반될 물체와 연계를 위해 cys를 첨가한 것을 나타낸다
Coupade (2005) Biochem. J. 407
Wr-T 트랜스포터 KETWWETWWTEWWTEWSQ-GPG-rrrrrrrr
(서열번호 34)
r = D-에난티오머 아르기닌
Kondo (2004) Mol. Can. Thera 1623
기타 펩타이드류
R7 RRRRRRR (서열번호 35) Rothbard 등, Nat. Med 6 (2000) 1253-1257
HIV-TAT 서열 및 HIV-TAT에 기반한 서열 및 이의 단편물은 본 발명에 따른 용도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CPP 군을 나타낸다. 바람직한 TAT-기반 CPP들은 미국특허번호 5,656,122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예증적인 HIV-TAT 펩타이드는 YGRKKRRQRRRG (서열번호 36)이고 및 이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관점을 형성하지만, 더 길거나 더 짧은 TAT 단편물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즉시 이해될 수 있다. HIV-TAT의 아미노산 서열은 변형되고 및/또는 절단될 수 (truncated) 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펩타이드는 화학적으로 변형되거나, 또는 리트로-, 인베르소- 또는 리트로-인베르소 유사체가 세포 투과 활성을 지닌 채 만들어질 수 있다.
세포투과 펩타이드들의 다른 군은,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약 16 개의 아미노산 페네트라틴 서열에 기반한 안테나페디아-유도 CPP들이고 (Antp 군), 이들은 안테나페디아 단백질의 제3 루프에 상응하며, 단백질의 이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페네트라틴은 특히 약학적 용도를 위시한 전달 담체로서 광범위하게 개발되었고, 다양한 범위의 페네트라틴 유도체와 변형된 서열들이 제시되었고 설명되었다. 특히 국제특허번호 WO 91/1891, WO 00/1417, WO 00/29427, WO 2004/069279 및 미국특허번호 6,080,724를 참조할 수 있다. 따라서, 페네트라틴의 16 개 아미노산 서열들은 변형 및/또는 절단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펩타이드는 화학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또는 리트로-, 인베르소- 또는 리트로-인베르소 유사체들이 세포-투과 활성을 지닌 채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무런 특별한 구조적 특징 또는 서열 모티프가 모든 CPP들에 공통적인 것이 없다. 그러나, CPP들의 다양한 군들은, 예를 들어, 양쪽성이고 전체적 (net) 양하전된 펩타이드들과 같은 특별한 특징으로 동정될 수 있다. CPP의 다른 군은 높은 α-나선 함유도를 보이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군은 고 함유량의 염기성 아미노산으로 특징되는 펩타이드일 수 있다. CPP들은 따라서 아르기닌과 같은 염기성 아미노산의 올리고머, 예를 들어, 5 내지 20 개, 6 내지 15 개 또는 6 내지 12 개 R 잔기, 예, R7 (서열번호 35), R8 (서열번호 37) 또는 R11 (서열번호 38) 또는 QSR8 (서열번호 39)일 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프롤린이 풍부한 양쪽성 펩타이드들은 CPP의 다른 군이며, 프롤린으로부터 유도된, 피리롤리딘 고리의 존재로 특징되어진 그러한 펩타이드들은 Pujals 등. 2008 Advanced Drug Delivery Reviews 60, 페이지 473-484에 설명되어 있다.
다른 성공적으로 개발된 CPP들은 pVEC (Elmquist 등. 2003 Biol. Chem 384, 페이지 387-393; Holm 등. 2005 Febs Lett. 579, 페이지 5217-5222) 및 칼시토닌-유도 펩타이드들 (Krauss 등. 2004 Bioorg. Med. Chem. Lett., 14, 페이지 51-54)을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CPP들은 Pep-1 펩타이드에 기반한 채리엇 (Chariot) (Active Motif, France), 프로테그린 (protegrin) 펩타이드 PG-1에 기반한 Syn-B 벡터 (Syntem, France), 및 MPG 펩타이드에 기반한 Express-si Delivery (Genospectra, USA)를 포함한다.
공지되고 보고된 CPP들 외에, 신규 또는 유도성 CPP 펩타이드들이 공지 또는 보고된 기준(예, 전술한 바와 같은, 염기성 아미노산 함유량, α-나선 함유량 등과 같은 공지된 CPP 서열이나 특징)에 기초하여 고안되고 합성될 수 있다. 또한, 무작위적으로 고안된 또는 다른 펩타이드들을, 예를 들어, 리포터 분자, 예를 들어, 검출가능한 표지 또는 형광 태그와 같은 태그를 함유하는 그러한 펩타이드를 바람직한 화물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물)에 커플링하거나 부착시키고 및 예를 들어, 그러한 펩타이드들을 살아있는 세포에 첨가한 후 예를 들어 공촛점 현미경을 사용하여 세포내 유입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작제물이 세포막을 너머 이동되는냐를 보는 시험을 함으로써 CPP 활성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실제, CPP가 임의의 세포 유형을 실질적으로 투과하거나 세포에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이지만, 특정의 경우 성공적인 또는 효율적인 전달은 화물 (예, 화물 펩타이드 서열)의 정밀한 특성 및/또는 사용된 CPP에 의존적이거나 또는 이에 의존하여 변화할 수 있다. 최적의 펩타이드 서열 및 조합들을 결정하는 것 및 화물 및/또는 CPP 서열이나 구조들을 시험 및/또는 변형하는 것은 당해분야의 숙련자의 일상적인 기술에 속해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작제물)은 따라서:
(a)
(i)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 전부 또는 부분; 또는
(ii) 서열번호1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서열번호 1의 역서열의 전부 또는 부분 (즉, 서열번호 2: EIYRKYIAKAVRLTK의 전부 또는 부분)인 또는 서열번호1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의 역서열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1 올리고펩티드 서열; 및
(b) 세포투과 펩타이드 서열인 제2 올리고펩티드 서열을 포함한다.
성분 (b)는 상기 설정된 CPP들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및 더 상세하게는 HIV-TAT-기반 또는 유도된 서열 중 임의의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CPP (즉 상기 정의의 성분 (b))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의 N- 또는 C-말단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거나 제공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N-말단에 있다. 따라서, 성분 (a) 및 (b)는 임의의 순서로 부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a)-(b) 순서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작제물)의 성분이나 요소들은 당해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서 임의의 원하거나 편리한 방식으로 서로 부착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성분들 또는 개별적인 부분들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화학적으로 연결되거나 접합될 수 있고, 그 작제물은 유전 공학 기술, 예를 들어, 융합 단백질을 형성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단일성 전체물로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그것들은 예를 들어, 펩타이드 합성 기술을 사용하여 전체물로서 단순히 합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부분 또는 성분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또는 그것들은 하나 이상의 링커 (또는 스페이서) 서열을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링커 서열은 상기 화합물의 두 개 부분들 (또는 올리고펩타이드 작제물에서 두 개 개별 성분들)을 서로 떼어놓거나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링커 서열의 정확한 특징은 결정적인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길이 및/또는 서열일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그것은 0-15, 0-12, 0-10, 0-8, 0-6, 0-4 또는 0-3개 잔기, 예를 들어, 1, 2 또는 3 이상의 잔기를 가질 수 있다. 대포적인 예로서, 상기 링커 서열은, 존재한다면, 1-15, 1-12, 1-10, 1-8, 1-6 또는 1-4 개 잔기 등을 가질 수 있다. 잔기의 특성이 결정적인 것은 아니며, 이들은 예를 들어, 임의의 아미노산, 예, 중성 아미노산, 또는 양쪽성 아미노산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그것들은 소수성 또는 극성 또는 하전되었거나, 구조-형성적, 예를 들어, 프롤린일 수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링커 서열은 임의의 단일 아미노산 잔기, 예를 들어, A, I, L, V, G, R, Q, T, 또는 W, 또는 그러한 잔기로 구성된 디-, 트리- 테트라- 펜타- 또는 헥사-펩타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이 서열번호1의 역서열인 서열을 포함할 때 (또는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기능적-동등 변이체인), 상기 CPP의 서열 (예, 성분 (b))이 또한 역전된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이 역순으로 부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상기 두 개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화합물 (또는 작제물)의 서열이 역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부분들 중 하나만이 역전된 것 또는 둘 다 역전되지만 “비-역전” 순서로 부착된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서열을 가질 수 있다:
YGRKKRRQRRRGKTLRVAKAIYKRYIE (서열번호 40)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i) 서열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의 전부 또는 부분; 또는
(ii) 서열번호40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서열번호 40의 역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 (즉 서열번호 41 EIYRKYIAKAVRLTKGRRRQRRKKRGY의 전부 또는 일부)이거나 또는 서열번호40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의 역서열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화합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암세포는 임의의 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임의의 암에서 나온 세포일 수 있다. 그것은 종양세포일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임상적 종양 또는 암의 형태로 또는 거기서 출처된 세포일 수 있거나 또는 암세포주에서 출처된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미생물 세포”는 임의의 미생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세포는 세균, 진균, 조류 (algae), 고세균 및 원생생물을 위시한 진핵 또는 원핵생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어는 통상 단일세포성인 유기체를 포함하지만, 특정 조건하에서 필라멘트, 균사 (hyphae) 또는 균사체 (mycelia) (진정한 조직이 아닌)와 같은 단순한 협력 군체 (colonies) 또는 구조체로 조직화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미생물의 임의의 과, 속 및 종에서 출처되는 것일 수 있다. 원핵 미생물의 예는, 마이코플라즈마류 (예, 그람 양성, 그람 음성 세균 또는 그람 시험 비반응 세균), 및 원시박테리아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진핵 미생물은 진균, 조류, 및 분류학적으로 원생생물계로 분류된 또는 원생생물 (protist)로 간주되는 것들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프로토조아, 규조류 (diatoms), 프로토오피타 (protoophyta), 및 진균성 사상균를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은 호기성 또는 비호기성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병원성 또는 비병원성일 수 있고, 또는 부패성이나 오염지표 미생물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미생물은 병원성이다.
다제 내성 유기체 (MDRO)는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항생제의 임상적인 용량으로는 영향을 받지 않는 세균이다. 항생제의 세 개 이상의 군에 내성인 세균을 일반적으로 MDRO로 간주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MDRO들, 예를 들어, 다제내성(MDR)인 살모넬라류 (Salmonella spp.), 캄필로박터류 (Campylobacter spp.), 대장균 (Escherichia coli ), 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및 장내구균류 (Enterococcus spp)에 의한 감염의 치료나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MRSA는 다제 내성균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상기 미생물 세포들은 다제내성균이다.
세균 또는 진균은 미생물 세포의 바람직한 군을 나타내며, 특히 세균이 그러하다.
세균의 속 또는 종의 예는 아비오트로피아(Abiotrophia ), 아크로모박터 (Achromobacter), 아시다미노코커스 ( Acidaminococcus ), 아시도보락스 (Acidovorax), 아시네토박터 ( Acinetobacter ), 아시노바실러서 ( Actinobacillus ), 악티노바큘럼 ( Actinobaculum ), 악티노마듀라 ( Actinomadura ), 악티노마이세스 (Actinomyces), 에어로코커스 ( Aerococcus ), 에어로모나스 ( Aeromonas ), 아피피아 (Afipia), 아그로박테리움 ( Agrobacterium ), 알칼리게네스 ( Alcaligenes ), 알로이오코커스 ( Alloiococcus ), 알테로모나스 ( Alteromonas ), 아미콜라타 ( Amycolata ), 아미콜라톱시느 ( Amycolatopsis ), 언에어로보스피릴럼 ( Anaerobospirillum ), 언에어로랍더스 ( Anaerorhabdus ), 아라크니아 ( Arachnia ), 아르카노박테리움 (Arcanobacterium), 아르코박터 ( Arcobacter ), 아트로박터 ( Arthrobacter ), 아토포비움 ( Atopobium ), 아우레오박테리움 ( Aureobacterium ), 박테로이데스 (Bacteroides), 발네아트릭스 ( Balneatrix ), 바르토넬라 ( Bartonella ), 베르게옐라 (Bergeyella), 비피도박테리움 ( Bifidobacterium ), 빌로필라 ( Bilophila ), 브란하 멜라 ( Branhamella ), 보르렐리아 ( Borrelia ), 보르데텔라 ( Bordetella ), 브라키스피라 ( Brachyspira ), 브레비바실러스 ( Brevibacillus ), 브레비박테리움 (Brevibacterium), 브레분디모나스 ( Brevundimonas ), 브루셀라 ( Brucella ), 부르콜데리아 ( Burkholderia ), 부티옥셀라 ( Buttiauxella ), 부티리비리오 (Butyrivibrio), 칼림마토박테리움 ( Calymmatobacterium ), 캄필로박터 (Campylobacter), 카프노시토파가 ( Capnocytophaga ), 카디오박테리움 (Cardiobacterium), 카토넬라 ( Catonella ), 세데세아 ( Cedecea ), 셀룰로모나스 (Cellulomonas), 센티페다 ( Centipeda ), 클라미디아 ( Chlamydia ), 클라미도필라 (Chlamydophila), 클로모박테리움 ( Chromobacterium ), 키세오박테리움 (Chyseobacterium), 크리세오모나스 ( Chryseomonas ), 시트로박터 ( Citrobacter ), 클로스트리디움 ( Clostridium ), 콜린셀라 ( Collinsella ), 코마모나스 ( Comamonas ), 코리네박테리움 ( Corynebacterium ), 콕시엘라 ( Coxiella ), 크립토박테리움 (Cryptobacterium), 델프티아 ( Delftia ), 데르마박터 ( Dermabacter ), 데르마토필러스 ( Dermatophilus ), 데설포모나스 ( Desulfomonas ), 데설포비브리오 (Desulfovibrio), 디알리스터 ( Dialister ), 디첼로박터 ( Dichelobacter ), 돌로시코커스 ( Dolosicoccus ), 돌로시그라눌럼 ( Dolosigranulum ), 에드와드시엘라 (Edwardsiella), 에게르텔라 ( Eggerthella ), 에르리치아 ( Ehrlichia ), 에이케넬라 (Eikenella), 엠페도박터 ( Empedobacter ), 엔테로박터 ( Enterobacter ), 엔테로코커스 ( Enterococcus ), 에르위니아 ( Erwinia ), 에리시펠로트릭스 ( Erysipelothrix ), 에스체리키아 ( Escherichia ), 유박테리움 ( Eubacterium ), 에윙겔라 ( Ewingella ), 엑시구오박테리움 ( Exiguobacterium ), 팩클라미아 ( Facklamia ), 필리팩토 (Filifactor), 플라비모나스 ( Flavimonas ), 플라보박테리움 ( Flavobacterium ), 프란시셀라 ( Francisella ), 푸소박테리움 ( Fusobacterium ), 가드네렐라 (Gardnerella), 글로비카텔라 ( Globicatella ), 게멜라 ( Gemella ), 고르도나 (Gordona), 해모필라 ( Haemophilus ), 하프니아 ( Hafnia ), 헬리코박터 (Helicobacter), 헬로코커스 ( Helococcus ), 홀데마니아 ( Holdemania ), 이그나비그라늄 ( Ignavigranum ), 존슨넬라 ( Johnsonella ), 킹겔라 ( Kingella ), 크렙시엘라 (Klebsiella), 코큐리아 ( Kocuria ), 코세렐라 ( Koserella ), 쿠르티아 ( Kurthia ), 키토코커스 ( Kytococcus ), 락토바실러스 ( Lactobacillus ), 락토코커스 (Lactococcus), 라우트로피아 ( Lautropia ), 레클레르시아 ( Leclercia ), 레지오넬라 (Legionella), 레미노렐라 ( Leminorella ), 렙토스피라 ( Leptospira ), 렙토트리키아 (Leptotrichia), 루코노스톡 ( Leuconostoc ), 리스테리아 ( Listeria ), 리스토넬라 (Listonella), 메가스패라 ( Megasphaera ), 메틸로박테리움 ( Methylobacterium ), 마이크로박테리움 ( Microbacterium ), 마이크로코커스 ( Micrococcus ), 미추오켈라 (Mitsuokella), 모빌룬커스 ( Mobiluncus ), 모엘레렐라 ( Moellerella ), 모락셀라 (Moraxella), 모르가넬라 ( Morganella ), 미코박테리움 ( Mycobacterium ), 미코플라즈마 ( Mycoplasma ), 미로이데스 ( Myroides ), 네이세리아 ( Neisseria ), 노르카디아 (Nocardia), 노카르디옵시스 ( Nocardiopsis ), 오크로박트럼 ( Ochrobactrum ), 오에스코비아 ( Oeskovia ), 올리겔라 ( Oligella ), 오리엔티아 ( Orientia ), 패니바실러스 (Paenibacillus), 팬토에아 ( Pantoea ), 파라클라미디아 ( Parachlamydia ), 파스테우렐라 ( Pasteurella ), 페디오코커스 ( Pediococcus ), 펩토코커스 ( Peptococcus ), 펩토스트렙토코커스 ( Peptostreptococcus ), 포토박테리움 ( Photobacterium ), 포토랍더스 ( Photorhabdus ), 플레시오모나스 ( Plesiomonas ), 포르피리모나스 (Porphyrimonas), 프레보텔라 ( Prevotella ), 프로피오니박테리움 (Propionibacterium), 프로테우스 ( Proteus ), 프로비덴시아 ( Providencia ), 슈도모나스 ( Pseudomonas ), 슈도노카르디아 ( Pseudonocardia ), 슈도라미박터 (Pseudoramibacter), 사이크로박터 ( Psychrobacter ), 라넬라 ( Rahnella ), 랄스토니아 ( Ralstonia ), 로도코커스 ( Rhodococcus ), 리켓차 ( Rickettsia ) 로칼리마에아 (Rochalimaea) 로제오모나스 ( Roseomonas ), 로티아 ( Rothia ), 루미노코커스 (Ruminococcus), 살모넬라 ( Salmonella ), 셀레노모나스 ( Selenomonas ), 세르풀리나 (Serpulina), 세라티아 ( Serratia ), 쉬젤넬라 ( Shewenella ), 쉬겔라 ( Shigella ), 심카니아 ( Simkania ), 스랙키아 ( Slackia ), 스핑고박테리움 ( Sphingobacterium ), 스핑고모나스 ( Sphingomonas ), 스피릴럼 ( Spirillum ), 스타필로코커스 (Staphylococcus), 스테노트로포모나스 ( Stenotrophomonas ), 스토마토코커스 (Stomatococcus), 스트렙토바실러스 ( Streptobacillus ), 스트렙토코커스 (Streptococcus), 스트렙토마이세스 ( Streptomyces ), 석시니비브리오 (Succinivibrio), 수테렐라 ( Sutterella ), 수토넬라 ( Suttonella ), 타투멜라 (Tatumella), 티시에렐라 ( Tissierella ), 트라불시엘라 ( Trabulsiella ), 트렙포네마 ( Treponema ), 트로페리마 ( Tropheryma ), 차카무렐라 ( Tsakamurella ), 투리셀라 (Turicella), 우레아플라즈마 ( Ureaplasma ), 바고코커스 ( Vagococcus ), 베일로넬라 (Veillonella), 비브리오 ( Vibrio ), 위크셀라 ( Weeksella ), 울리넬라 ( Wolinella ), 크산토모나스 ( Xanthomonas ), 크세노랍두스 ( Xenorhabdus ), 예르시니아 (Yersinia), 및 요케넬라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 M. 투베르큘로시스 , M. 보비스 , M. 티피무리움 , M. 보비스 균주 BCG , BCG 서브스트아인스 , M. 아비움 , M. 인트라셀루라레 , M. 아프리카넘 , M. 캔사시 , M. 마리넘 , M. 울세란스 , M. 아비움 아종 파라투베르큘로시스 ,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 , 스타필로필로코커스 에퀴 , 스트렙토코커스 파이오게네스 , 스트렙토코커스 아갈락티아에 , 리스테리아 모노시토게네스 , 리스테리아 이바노비 , 바실러스 안트라시스, B. 서브틸리스 , 노르카디아 아스테로이데스 , 악티노마이세스 이스라엘리 , 프로피디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및 엔테로코커스 종과 같은 그람 양성 세균, 및 클로스트리디움 테타니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링겐스 , 클로스트리이움 보툴리넘 ,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 , 비브리오 콜레라, 악티노바실러스 플루오롭뉴모니아 , 파스테렐라 해모라이티카 , 파스테렐라 물토시다 ,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 살모넬라 티피 , 브루셀라 아보르투스 , 클라미디 트라코마티스 , 클라미디아 시타시 , 콕시엘라 부르네티, 에스체리키아 콜리 , 네이세리아 메밍기티디스 , 네이세리아 고노리아 , 해모필러스 인플루엔자, 해모필러스 두크레이, 예르시니아 페스티스 , 예르시니아 엔테로리티카 , 에스체리키아 콜리 , E. 히라에 , 부르콜데리아 세파시아 , 부르콜데리아 슈도모날레이, 프란시셀랄 투라렌시스 , 박체로디데스 프라길리스 , 푸소바스테리움 누클레아툼, 코우드리아 루미난티움과 같은 그람 음성 세균.
따라서, 대표적인 예로서, 상기 미생물 세포는 포도상구균, 수도모나스, 레지오넬라, 미코박테리움, 프로테우스, 클렙시엘라, 푸소박테리움 또는 다른 장내 또는 콜리폼 세균의 속에 속한 세균일 수 있다.
상기 미생물 세포는 또한, 원생생물 (protista)로 분류된 진균, 예를 들어, 캔디다, 아스퍼질러스 , 뉴노시스티스 , 페니실리움 푸사리움 속에 속한 진균일 수 있거나 이었던 진균이거나 이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대표적인 진균 종은 캔디다 알비칸스 , 캔디다 두블리니엔시스 , 크립토코커스 네오포르만스 , 히스토프라마 캡술라툼, 아스퍼질러스 푸미가투스 , 코시디오데스 임미티스 , 파라코시디오데스 브라실리엔시스 , 브라스토마이세스 데르미티디스 , 네오모시스티스 카르니, 페니실리움 마르네피 , 알테르나리아 알테르나테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생물 세포는 조류, 예를 들어, 원생생물로 분류된 조류 (algae)인,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세포일 수 있다. 대표적인 조류 종은 채토포라 (Chaetophora), 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데스 ( Chlorella protothecoides ), 콜레오채테 스쿠타아 ( Coleochaete scutata ), 콜레오채테 솔루타 ( Coleochaete solute ), 시아니디오스키존 메롤라에 ( Cyanidioschyzon merolae ) 아파노채에테 (Aphanochaete), 글로에토타에니움 ( Gloeotaenium ), 오에도고니움 ( Oedogonium ), 우시스티스 ( Oocystis ), 오실라토리아 ( Oscillatoria ), 파라독시아 멀티시티아 (Paradoxia multisitia ), 포르미디움 ( Phormidium ), 크루코커스 ( Chroococcus ), 파파노테세 ( Aphanothece ), 프라길라리아 ( Fragillaria ), 코코니스 ( Cocconis ), 나비큘라 ( Navicula ), 심벨라 ( Cymbella ), 파에오닥틸럼 ( Phaeodactylum )은 물론 시아노박테리아 ( 청녹 조류) 및 니츠쉬아 팔레아 ( Nitzschia palea )와 같은 규조류를 포함한다.
상기 미생물 세포는 원생동물 (protozoa), 예를 들어 아메바, 스포로조아, 섬모충류 (Ciliates) 및 편모충류 (Flagellates) 군의 일원일 수 있다. 대표적인 원생동물은 톡소플라즈마 ( Toxoplasma ), 예, 톡소플라즈마 곤디 ( Toxoplasma gondii), 플라스모디움 팔시파룸 ( Plasmodium falciparum ), 플라스모디움 비박스 (Plasmodium vivax ), 플라스모디움 말라리아에 ( Plasmodium malariae )와 같은 플라스모디움 종, 트리파노소마 브루세이 (Trypanosoma brucei ), 트리파노소마 크루지 (Trypanosoma cruzi )와 같은 트리파노소마 종, 레이쉬마니아 메이저 (Leishmania major)와 같은 레이쉬마니아 종, 및 엔타모에바 히스토라이티카 (Entamoeba histolytica)와 같은 엔타모에바 종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미생물 세포는 하기 속에서 선택되는 것이다: 시트로박터 , 엔테로박터, 에스체리키아 , 하프니아 , 세라티아, 예르시니아 , 펩토스트렙토코커스 , 박테리오데스 , 슈도모나스, 레지오넬라, 스타필로코커스 , 엔테로코커스 , 스트렙토코커스 , 클렙시엘라 , 캔디다, 프로테우스, 부르콜데리아 , 푸소박테리움 미코박테리움 , 예를 들어,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 스타필로코커스 에피에르미디스 ,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 캔디다 알비칸스 ,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 , 부르콜데리아 세파시아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즉, (i) 서열번호 1 또는 40의 아미노산 서열의 전부 또는 일부; 또는 (ii) 서열번호1 또는 40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서열번호 1의 역서열의 전부 또는 부분 (즉 서열번호 2 또는 41의 일부 또는 부분)이거나 또는 서열번호1 또는 40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의 역서열인 아미노산 서열을 가지거나 포함하는 펩타이드)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핵산 서열을 제공한다. 또한, 그러한 핵산 분자의 보체 (complement)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핵산 분자는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세포투과 펩타이드를 또한 암호화한다.
본 발명의 핵산 분자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개 뉴클레오타이드, 바람직하게는 800 이하의 뉴클레오타이드,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 이하, 650 이하, 600 이하, 550 이하, 500 이하, 450 이하, 400 이하, 350 이하, 300 이하, 250 이하, 200 이하, 150 이하, 100 이하 또는 50 이하의 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핵산 분자는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분자이다.
다른 관점은 본 발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벡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벡터는 복제 개시점, 항생제 내성과 같은 선택 마커 및/또는 다중 클로닝 부위와 같은 벡터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발현 벡터일 수 있고, 핵산 분자들의 발현에 필요한 전사 및/또는 번역 조절 또는 규제 요소와 같은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조절 요소들, 예를 들어, 프로모터, 리보좀 결합 부위, 인핸서, 종결인자 등은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널리 설명되어 있다.
상기 벡터는 예를 들어, 플라즈미드 또는 바이러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리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및 아데노바이러스-연관 바이러스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관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핵산 분자 및/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재조합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상기 숙주 세포는 동물세포, 예를 들어, 포유동물 세포, 즉, 래트, 쥐과 또는 인간세포일 수 있거나 미생물 세포, 즉 세균세포일 수 있다.
“재조합”은 핵산분자 및/또는 벡터가 숙주 세포에 도입된 것을 의미한다.
다른 관점에서, 상기 정의한 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상기 정의한 바 핵산 분자 및/또는 상기 정의한 바 벡터를 약리학적 (또는 약학적) 허용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부형제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부형제, 예를 들어, 임의의 담체나 희석제, 또는 완충액, 항산화제, 킬레이터, 결합제, 코팅제, 붕해제, 충전제, 향료, 착색제, 유동성개선제 (glidant), 활택제, 보존제, 흡수제 및/또는 감미제 등과 같은 임의의 다른 성분이제 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락트산, 덱스트로즈, 소듐 메타비설페이트, 벤질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미소결정성 셀룰로즈, 락토즈, 전분, 키토산, 전호화분 전분(pregelatinized starch), 탄산 칼슘, 황산 칼슘, 덱스트레이트, 덱스트린, 덱스프로즈, 제이인산 칼슘 이수화물, 제삼인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산화 마그네슘, 말토덱스트린, 만니톨, 분말 셀룰로즈, 염화 나트륨, 소르비톨 및/또는 탈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따라서, 그것이 치료하고 또는 예방하기를 원하는 상태에 및/또는 환자가 치료되는 등의 이루어지길 원하는 효과에 따라서, 상이한 경로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달 경로 또는 투여 방식은 전신 또는 국소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을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 경로를 통해 전달되도록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 바람직한 특정의 경우,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감염 또는 암의 부위에 국소적으로, 예를 들어, 종양에 국소적으로 전달되거나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암 (종양)의 부위에 대한 경로에 의존하여, 암부위에, 국부적으로 또는 직접 투여, 예를 들어, 주사 또는 주입 또는 흡입 등을 합으로써 전달될 수 있다. 국소 투여는 암의 치료에 바람직하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형태, 예를 들어, 정제, 캡슐, 코팅된 정제, 액체, 현탁액, 탭, 향낭 (sachet), 임플란트, 흡입물, 분말, 펠렛, 에멀젼, 동결건조체, 비등체, 스프레이, 고약, 에멀젼, 방향성 연고 (balm), 경고 (plaster)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그것은, 예를 들어, 위액-저항성 제제로서, 및/또는 지연 방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경구, 비경구, 국소, 직장, 생식기, 피하, 경요도, 경피, 비강내, 복강내, 근육내 및/또는 정맥내 투여용으로서 및/또는 흡입에 의한 투여용으로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리포좀 투여에 적절한 형태일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약학 조성물을 함유하는 리포좀들이 제공될 수 있다. 리포좀들이 사용될 때, 추가의 부형제를 포함하는 것이 불필요할 수 있고, 상기 정의한 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상기 정의한 바 핵산 분자 및/또는 상기 정의한 바 벡터를 포함하는 리포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암 및/또는 미생물 감염, 특히 미생물 감염과 싸우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필요한 대상체에 상기 정의한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상기 정의한 핵산 분자 (의 유효량을 투여)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관점에서, 치료 용도, 특히, 암 및/또는 미생물 감염, 특히 세균 감염과 싸우는 용도에 사용되는 상기 정의한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상기 정의한 핵산 분자를 제공한다.
다른 관점에서, 암 및/또는 미생물 감염, 특히 세균 감염과 싸우는 의약물의 제조에, 상기 정의한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상기 정의한 핵산 분자를 사용하는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바, 용어 “싸우다”는 치료적 처리 및 예방 둘 다를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그러므로 암을 치료하는, 예를 들어, 종양의 치료, 및/또는 미생물 감염, 특히 세균 감염과 싸우는 방법과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 (작제물을 위시한)은 따라서 암 및/또는 미생물 감염의 치료와 관리에 치료적 유용성을 가진다. 이것들은 따라서, 항암, 또는 특히 상세하게는 항종양 및/또는 항미생물, 특히 항균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세포독성 효과로부터 유익이 될 수 있는 상태(여기서 임의의 질병이나 질환 또는 임의의 임상적 상황을 포함하는 데 사용되는)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따라서 암세포, 즉 종양 세포, 및/또는 미생물, 특히 세균을 목적하는 임의의 요법 (또는 치료)에 유용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 용어 “치료”는 광범위하게는 임상적 상태를 관리하는 데 유익한 임의의 효과나 단계 (또는 중개)를 지칭한다. 치료는, 치료되고 있는 그러한 상태를, 치료 전의 상태나 징후에 비해서, 감소시키는 것, 완화하는 것, 개선하는 것, 그 발달을 늦추는 것, 또는 제거하는 것 또는 그러한 것들의 하나 이상의 징후, 또는 대상체의 임상적 상태를 개선 시키는 임의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치료는 치료 프로그램 또는 섭생법에 기여하거나 또는 그 일부인 임의의 임상적 단계나 중재를 포함한다.
“예방” 또는 “방지”는 예를 들어, 상기 화합물의 투여 전의 상태나 징후에 비해, 상태 또는 상태나 그 하나 이상의 징후의 개시를 지연시키는 것, 제한하는 것, 감소시키는 것 및 예방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방은 따라서 상태 또는 이의 징후의 발생이나 발전의 절대적인 방지 및 상태나 징후의 개시나 발전에서의 임의의 지연이나 상태나 징후의 발전이나 진보에 대한 감소나 제한을 명백히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는 따라서, 세포의 성장 또는 세포 집단의 크기 (예, 조직, 종양 또는 성장에서의 크기)를 죽이고, 저해하고 또는 늦추는 것, 세포 수를 감소시키거나 세포가 번지는 것(예, 다른 해부 부위로)을 막는 것, 세포 성장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치료”는 고치는 것 또는 세포 성장의 완전한 철폐나 제거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고형 종양 및 혈액암을 위시한 모든 유형의 암의 치료가 포함된다. 용어 “암”은 따라서 임의의 하기 신생물성 상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사용된다: 악성, 전악성 또는 비악성. 암의 대표적인 유형은 경부암, 자궁암, 난소암, 췌장암, 신장암, 담낭암, 간암, 두경부암, 편평세포암, 위장관 암, 유방암, 전립선암, 고환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비호지킨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급성 림프성 백혈병, 만성 림프성 백혈병, 급성 골수성 백혈병, 및 만성 골수성 백혈병), 뇌암 (예, 성상세포종, 교모세포종, 수모세포종), 신경아세포종, 육종, 결장암, 직장암, 위암, 항문암, 방광암, 췌장암, 자궁내막암, 형질세포종, 림프종, 망막모세포종, 윌름 종양, 유잉 육종, 멜라노마 및 다른 피부암을 포함한다.
사구 종양 (sinus tumor), 요도 및 비뇨 생식기 암, 식도암, 골수종, 내분비 암, 골육종, 혈관육종 및 섬유아종, 및 신경교종 및 신경모세포종을 위시한, 양성 또는 악성이든 말초 또는 중추 신경계의 종양을 언급할 수 있다.
특히 관심을 두는 암은 뇌, 폐, 유방과 대장암 및 흑색종을 포함한다.
하기 실시에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특히 암세포나 종양, 및/또는 미생물 세포 특히 세균에 대해서 세포독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합물들은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겨냥할 수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암세포에 선택적이고, 결론적으로 그것들은 정상 (비암)세포에 대하여 작용을 하지 않거나 최소 작용을 가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비암성 세포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은 세포독성 효과가 피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따라서 암세포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선택성을 나타낸다. 그러한 세포들은 고형 종양내에 있을 수 있거나 전이성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비암성 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또한, 암 요법의 맥락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실험 동물 모델, 즉 종양이 유도되었거나 종양 또는 종양 세포가 도입된 동물에서 평가되었을 때, 생존을 향상시키거나 연장하는 데 유효하다. 그러한, 동물 모델은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된다. 또한, 상기 화합물들은 바람직하게는, 종양 성장을 저해시키는 데, 즉, 전술한 바와 같은 동물 모델에서, 종양을 박멸하거나 종양 크기를 줄이거나 또는 종양의 성장을 정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데 유효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상기 화합물은 또한 종양의 전파, 또는 종양의 전이능을 예방하거나 감소하는 데 효과적이다. 다시,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동물 모델에서 평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세포의 용해 및/또는 어팝토시스를 유발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용해 효과 및 어팝토시스 효과 둘 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이 다양한 세포 유형에 적용될 때 관찰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 (종양) 세포의 용해를 야기할 수 있다. 용해는 세포막 붕해의 결과로서 발생하며 이는 세포 사멸을 결과한다. 세포 용해를 결정하는 방법은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어떻게 이러한 것이 수행될 수 있느냐를 나타내고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암세포의 어팝토시스를 야기할 수 있다. 어팝토시스 다세포 유기체에서 일어날 수 있는 프로그램화 세포사멸 (PCD)의 과정이다. 프로그램화 세포사멸은 특징적인 세포 형태와 사멸로 이끄는 일련의 생화학적 사건들을 포함한다: 농포발생 (blebbing), 세포막 비대칭과 부착 상실과 같은 세포막에 대한 변화, 세포 수축, 핵 단편화, 염색질 응축, 염색체 DNA 단편화를 포함한다. 세포가 어팝토시스 중인지 아닌지 또는 이미 수행하였는지를 결정하는 시험은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암세포에 대하여 용해성 및/또는 어팝토시스성이고, 바람직하게는 둘 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세균에 대하여 세포독성, 즉, 살균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유형의 세균의 용해는 실시예에서 증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술한 임의의 미생물을 포함한, 임의의 미생물,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임의의 세균을 위시한 세균에 의한 감염의 치료나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염은 병원성 감염일 수 있다. 시트로박터, 엔테로박터, 에스체리아키아, 하프니아, 세라티아, 예르시니아, 펩토스트렙토코커스, 박테리오데스, 슈도모나스, 레지오넬라, 스타필로코커스, 엔테로코커스, 스트렙토코커스, 클렙시엘라, 캔디다, 프로테우스, 부르콜레리아, 푸소박테리움 및 미코박테리움, 예를 들어,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스타필로코커스 에피데르미디스, 레지오넬라 뉴모필라, 캔디다 알비칸스, 슈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 부르콜레리아 세파시아 및 스트렙토코커스 피오게네스에 의해 야기된 감염이 특히 주목된다.
상기 감염은 급성 또는 대안적으로 만성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5 또는 적어도 10일간, 특히 적어도 20일간,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30일간, 가장 상세하게는 적어도 40일간 지속된 감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은 대상체가 감염을 발전시키는 위험에 있거나 기존 감염을 치료함으로써 유익을 얻을 수 있는 후보로서 진단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폐혈증 (septicaemea, 균 또는 균 독소 혈액 검출), 폐혈성 쇼크, 폐혈증 (sepsis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 뇌수막염 또는 미생물 독소, 예, 콜레라 독소 및 보툴리늄 독소에 의한 감염의 치료는 물론 더 국소화된 감염, 예, 특정 부위, 조직 또는 기관의 감염의 치료를 포함한다.
감염은 임의의 대상체에서 일어날 수 있으나, 특정 대상체는 다른 대상체보다 감염에 더 취약할 수 있다. 감염에 취약한 대상체는, 상피 및/또는 내피 장애물이 약화되었거나, 손상된 대상체, 미생물 감염에 대한 분비-기반 방어가 폐지, 붕괴, 약화 또는 손상된 대상체 및 면역손상, 면역결핍 또는 면역억제된 대상체 (즉, 질병이나 임상적 중재나 다른 치료 또는 어떤 이유에서건, 면역체계의 임의의 부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정상 이하 수준으로 작동하는, 환언하면, 면역 반응의 임의의 부분 또는 면역 활성이 감소하거나 손상된 대상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염에 취약한 대상체의 대표적인 예는 예비 확립된 감염 (예, 세균, 바이러스 진균 또는 프로토조아와 같은 기생충에 의해)이 있는 대상체, 특히 HIV를 가진 대상체, 패혈증을 가진 대상체와 패혈성 쇼크가 있는 대상체; 면역결핍이 있는 대상체, 예, 화학요법 및/또는 방사선요법을 준비중이거나, 겪고 있거나 그로부터 회복중인 대상체, 장기 (예, 골수, 간, 폐, 심장판막, 신장 등) 이식 대상체 (자가이식, 동종이식 및 이종이식 환자), AIDS를 가진 환자; 요양기관, 예를 들어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 특히, 중환자실 또는 응급 상황 (즉, 환자에 생명 지지 또는 장기 지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그러한 장치)에 있는 대상체; 외상을 겪고 있는 대상체; 화상을 가진 대상체, 급성 및/또는 만성 상처를 가진 대상체; 노인 대상체; 암이 있는 대상체, 특히, 면역 계통의 암을 가진 대상체 (즉, 백혈병, 림프종 및 다른 혈액암);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 상태, 제1형 당뇨병, 크론 병을 겪는 대상체, 특히, 그러한 질환으로부터 면역억제 치료중인 대상체; 상피 또는 내피 분비 (예, 점막, 눈물, 침) 및/또는 분비물 청소능이 감소되었거나 폐지된 대상체 (예, 점막 기관상에 부실하게 작동하는 섬모를 가진 대상체) 및/또는 고점도 점액을 가진 환자 (예, 흡연자 및 COPD, 기관지염, 낭포성 섬유증, 폐기종, 폐암, 천식, 폐렴 또는 부비동염을 가진 환자), 및 의료 기구를 착용중인 환자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감염증이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처리될 수 있는 대상체는 부실한 관류, 반복된 외상, 부실 영양, 부실한 산소공급 또는 백혈구 부전으로 인한 것이건 간에 손상된 환자를 포함한다.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육체적 외상을 겪은 환자이다. 외상 자체는 대상체의 상피 및/또는 내피 장애물에서의 약화 또는 손상을 야기할 수도 있는 것이거나 그 대상체는 외상에 반응하여 면역손상될 수 있다 (쇼크 반응). 용어 “외상”은 넓게는 외부 개체 및/또는 세포의 물리적 상해에 의한 세포성 공격을 지칭한다. 외부 개체에 포함되는 것으로는 미생물, 입자물질, 화학제제 등이 있다. 물리적 상해에 포함되는 것은 기계적 상해; 과도한 열이나 냉각에서 결과된 것들과 같은 열적 상해; 전원과의 접촉에 의해 야기된 것과 같은, 전기적 상해; 및 예를 들어, 적외선, 자외선 또는 이온화 방사선에 장기적으로 강하게 노출됨으로써 야기된 방사선 손상이다.
또한 특히 주목할 것은 화상을 가진 대상체이다. 임의의 화상, 특히 심한 화상은 대상체의 상피 및/또는 내피 장벽에 심각한 손상을 가하며 및 상기 대상체는 화상에 종종 면역손상될 것이다 (쇼크 반응).
통상적인 화상 유발 인자는 극도의 온도 (예, 불과 극도의 온도에 있는 액체 및 가스), 전기, 부식성 화학물, 마찰과 빛이다. 상기 요인의 정도/강도와 함께, 노출의 정도와 기간에 의해 다양한 정도의 화상이 결과된다. 데이는 것 (예, 고온 액체 및/또는 가스와 관련된 외상)은 화상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은 또한 급성이건 만성이건 상처의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급성 상처는, 시간적 활성변화(timecourse)가 연장되지 않고, 치유 과정의 세가지 인식된 단계(예, 염증 단계, 증식단계 및 재건단계)를 통해 규칙적으로 진행되는 상처이다. 만성 상처는, 그러나, 치유 과정의 생화학적 사건의 규칙적인 일련의 과정을 밟지 않는 상처인데 상처가 상기 치유 단계의 하나에서 정지되었기 때문이다. 공통적으로, 만성 상처는 염증상에서 정지된다. 만성 상처는 적어도 40일 내, 특히 적어도 50일 내, 더 상세하게는 적어도 60일 내, 가장 상세하게는 적어도 70일 내에 치유되지 않고 있는 상처로서 정의된다. 상처들은, 상치 장벽의 결핍과 미생물 부착과 군집화에 대한 물질과 표면의 이용가능성으로 인해서, 감염, 특히 만성 감염에 이상적인 환경이다. 문제시되는 것은, 상처의 감염이 종종 치유를 더 지연시키고 따라서 상처가 기존의 감염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상기 화합물들은 따라서, 신체 내 또는 신체 상 어디서 발생하건 간에 감염을 치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감염은 의료 기기의 감염, 특히 내재하는 의료 기기의 감염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경구 건강관리 제제로서, 예를 들어, 치아 플라그의 조절, 즉 이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플라그 내의 미생물을 사멸시킴으로써 또는 상기 미생물의 복제 나 성장을 저해시킴으로써 그 발달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고 또는 지연시키는 데 본 발명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알지네이트 올리고머들은 또한 구강에 발생할 수 있는 감염이나 감염성 질환, 예를 들어, 치은염과 치근막염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예방적 치료에 사용하여, 예를 들어 감염이나 오염 (예, 병원균에 의한)을 예방하거나 적어도 그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것은 병원 감염 (병원 연관/획득 감염 또는 건강관리-연관 감염으로 통상 알려진), 즉 스파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메티실린 저항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MRSA), 수도모나스 에어루기노사,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 스테노트로포모나스 말토필리아,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레,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큘로시스 및 반코마이신-저항 엔테로코커스에 걸리는 위험이 본 발명에서 정의된 화합물을 예방적 방식으로 최소화되기 때문에, 입원 환자의 관리에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관점은 모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영향을 받지않는 대상체보다 미생물 감염에 더 취약한 외상을 가진 대상체, 화상을 가진 대상체 및 상처를 가진 대상체의 관리에 특히 유용한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은 목적하는 세포에 대한 측량할 수 있는 효과 (예, 세포독성 또는 세포정지 효과) 및/또는 목적하는 상태에 대한 측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양이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직접적으로 세포를 사멸시키거나 그 성장을 저해하는 데 충분한 양이다. 이러한 양은 투여량을 결정하는 데 표준 실행서를 참고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고 기술자들은 그 경험으로부터 및 그에게 가능한 통상적인 실험의 도움으로 성공적인 치료의 증거를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대상체는 임의의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 대상체일 수 있으며, 더 상세하게는 척추동물, 즉, 포유류, 조류, 양서류, 조류 및 파충류로부터 선택된 동물일 수 있다. 상기 동물은 가축 또는 집안 동물이나 실험실 동물이나 동물원이나 놀이 동산에 있는 동물을 위시한 상업적인 동물일 수 있다. 따라서 대표적인 동물은 개, 고양이, 토끼, 생쥐, 기니아 피그, 햄스터, 말, 돼지, 양, 염소, 소, 닭, 칠면조, 뿔닭 (guinea fowl), 오리, 거위, 앵무새, 애완용 앵무새(budgerigar), 비둘기, 연어, 송어, 대구, 해덕대구 및 잉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의 용도를 망라한다. 상기 대상체는 환자로서 간주될 수 있다. 바람직한 대상체는 인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합물의 항미생물 효과에 있어, 본 발명은 의학 용도 (즉 감염증의 치료나 예방)에 한정되지 않고, 비의료적 용도 또한 망라되어, 소독 또는 청결 목적을 위해, 예를 들어 미생물 오염이나 군집화와 싸운다 (예, 무생물 장소나 위치에 또는 그 속에서).
따라서, 더욱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미생물 세포 (또는 대안적으로 미생물)의 활성 및/또는 성장을 저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을 사용하여 세포 (또는 미생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방법은 시험관 내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은 대안적으로 미생물의 활성 및/또는 성장을 저해하거나, 또는 미생물 오염이나 군집화에 대해 싸우는 방법으로서 간주되며, 이는 상기 부위를 상기 정의한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로 접촉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싸우다”는 미생물 오염이나 군집화를 저해하는 것 (즉, 감소시키거나 예방하는) 것은 물론 기존의 오염이나 군집화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용어 “접촉하는 것”은 미생물이나 부위에 상기 화합물을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이거나 전달하는 임의의 수단을 포함하며, 따라서 상기 화합물을 미생물이나 부위에 적용하는 또는 상기 미생물이나 부위에 상기 화합물을 노출시키는 것, 예, 상기 화합물을 직접적으로 상기 미생물이나 부위에 적용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미생물이나 부위는 상기 알지네이트 화합물의 유효량, 특히, 미생물의 활성을 저해 (예 죽이는) 또는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데 직접적으로 효과적인 화합물의 양과 접촉될 것이다.
상기 미생물의 부위나 장소는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생물은 표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부위는 제한되지 않고, 미생물이 발생하는 또는 미생물 접촉이나 오염에 노출된 임의의 부위를 포함한다. 따라서 특히, 기계류 (상의 부위), 특히 산업기계류 또는 의료기구나 수중 환경에 노출되는 임의의 부위 (예, 해양 기구, 또는 배나 보트 또는 이들의 부품이나 구성요소), 또는 환경, 예를 들어, 파이프나 빌딩등의 임의의 부분에 노출된 임의의 부위를 포함한다. 미생물 접촉 또는 오염에 노출된 그러한 무생물적 부위는 특히: 음식이나 음료 공정, 제조, 저장 또는 분배 기계나 기구, 에어컨 장치, 산업 기계류, 예를 들어, 화학 이나 생물기술적 공정 공장, 저장 탱크, 의료 및 외과 장비 및 세포와 조직 배양 장비의 임의의 부분을 포함한다. 물질을 운반하고, 수송하고 또는 전달하는 임의의 장치나 장비는 미생물 오염에 되기 쉽다. 그러한 표면들은 특히 파이프 (이 용어는 임의의 도관이나 라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넓게 사용한다)를 포함할 것이다. 대표적인 무생물 또는 비생물적인 표면은 음식 공정, 저장, 분배 또는 제조 장비 또는 표면, 탱크, 컨베이어, 마루, 배수로, 냉장고, 냉동고, 장비 표면, 벽, 밸브, 벨트, 파이프, 에어컨 도관, 냉장 장치, 음식 또는 음료 분배 라인, 열교환기, 보트 선체, 또는 물에 노출된 보트 구조물의 임의의 부분, 치과 수로, 석유 굴착기 도관, 콘택트 렌즈와 보관 케이스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의료 또는 외과 기구나 장비는 미생물 오염이 형성될 수 있는 표면의 특별한 종류를 대표한다. 이것은, 카테터 (예, 중심정맥과 요도 카테터)를 위시한 임의의 관, 보철 기구, 예, 심장 판막, 인공 관절, 의치, 치아 크라운, 치아 캡, 및 연질 조직 임플란트 (예, 가슴, 둔부 및 입술 임플란트)을 포함한다. 임의의 종류의 임플란트될 수 있는 (또는 “내재하는 (in-dwelling)) 의료 장치가 포함된다 (예, 스텐트, 자궁내 장치, 심박조율기(pacemaker), 기관내 삽관, 보철 또는 보철 기구, 관 또는 카테터). “내재하는” 의료 기구들은 그 임의의 부분이 신체 내에 포함되는 장치, 즉, 장치가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포함되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부위는 또한 음식, 예를 들어, 소고기, 가금류, 돼지고기, 채소, 과일, 생선, 조개류, 이들의 조합 등, 개인 위생 제품, 화장실용품, 화장품 등; 화학 또는 산업 생산품 및 시약 등; 임상적, 과학적 또는 산업 폐기물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합물들은 물질, 특히 액체 및 용액에서의 보존제 또는 탈오염제로서 사용될 있다.
본 발명의 특정의 유용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들은 이차 또는 추가 항미생물제 (이하 “추가 항미생물제”)와 연계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의료 용도에 맥락에서, 그러한 항미생물 제제는 임의의 임상적으로 유용한 항미생물 제제 및 특히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 또는 항진균제일 수 있다. 비임상적 용도의 맥락에서, 상기 항미생물제제는 그러한 용도로 사용된 임의의 항미생물 제제, 예, 소독, 멸균, 청정 또는 살균제일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독립적으로 또는 동일한 조성에서 함께, 동시에, 연속적 또는 분리적으로, 예를 들어, 임의의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항미생물제제의 선택은 물론 관련되 치료나 용도에 적절할 필요가 있지만, 예를 들어, 항미생물제, 예, 항생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소독제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및/또는 조사 (예, UV, X-선, 감마선), 극도의 온도 및 극도의 pH와 같은 살균 조건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가 항미생물제는 상기 화합물 전, 동시에 또는 후에 적용할 수 있다. 편리하게는, 상기 추가 항미생물제는 상기 화합물과 거의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적용된다. 상기 추가 항미생물제의 항미생물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사용된 제제에 적절한 시점에서 반복적으로 주어질 수 (예, 투여 또는 전달될 수) 있다. 당해분야의 숙련자는 적절한 용량이나 용법을 정할 수 있다. 장기간 처치에서, 상기 화합물 또한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빈도는 미생물, 부위, 질병, 효용, 조성물 및 사용된 항미생물제 등에 의존할 것이고, 숙련자는 용량 또는 용량 패턴을 적정화하여 결과를 최적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도,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암요법의 맥락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른 항암제, 예를 들어, 화학요법제 또는 항신생물제 또는 암발생 또는 혈액학적 징후에 대해 처방된 임의의 제제와 조합 또는 연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일 약학 제형 또는 조성물에서 다른 치료제, 예를 들어 같이 투여되는 제제와 조합하여 또는 따로 (예, 분리, 연속 또는 동시 투여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차 (또는 추가) 치료적으로 활성인 제제와 같이, 예를 들어, 약학 키트에서 또는 조합된 (조합) 생성물로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암 또는 미생물 세포의 활성 및/또는 성장을 저해하는 데 또는 더 상세하게는 암을 치료하는 데 있어서 또는 부위, 또는 본 발명에서 설명하거나 정의된 용도의 임의의 것의 미생물 감염이나 미생물 오염 또는 집단화와 싸우는 데 있어서 분리, 동시 또는 연속 사용 용도 (예, 미생물 또는 부위에 적용 및/또는 대상체에 적용)의 조합 제조물로서 본 발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핵산 분자 및 제2 활성 제제 (예, 항암 또는 항미생물제)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제공한다.
숙련자들은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핵산 분자를 세포로 도입하는 적절한 방법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몇 가지 적절한 방법이 하기에서 간단히 설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펩타이드-매개 전달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세포투과 펩타이드들(CPPs) 짧은, 특정한 경우 다중양이온성, 서열로서, CPP들을 함유하는 또는 CPP들에 연결된 펩타이드류, 단백질류 또는 뉴클레오타이드 분자의 세포 흡수를, 예를 들어, 포유동물 세포의 엔도좀으로 흡수를 증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서열이다. 마이크로캡슐화는 생물활성 물질을 보호하기 위한 및 내포된 물질 또는 그 생성물을 제어된 방식으로 방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반투과 중합체 막안에 생물활성 물질을 내포하는 간단하고 비용효과적인 방식을 제공한다. 광화학적 내면화 (PCI)에서, 목적 분자 및 광센싱 화합물을 라이소좀 이나 엔도좀에 의해 세포로 흡수한다. 다음 상기 세포를 적절한 파장의 광에 노출하여 광센싱 화합물을 활성화시키면서 광센싱 화합물이 라이소좀이나 엔도좀의 막을 파괴하도록 하고, 이럼으로써 목적 분자를 세포 원형질로 방출하게 한다.
다른 방법들은 미세주사법, 파열 적혈구 매개 융합법 (red blood cell ghost-mediated fusion), 리포좀 융합법, 피노좀의 삼투 용해법, 스크레이프 로딩법, 전기천공법, 인산 칼슘 법 및 바이러스-매개 형질감염법, 및 공중합체 담체의 사용을 포함한다.
키토산과 수용성 키토산 유도체, 특히 글리콜 키토산들은, 이들의 생체적합성거과 생분해성 때문에 최적의 약물 담체로서 떠오르고 있다. 바람직한 예는 5β-콜란산으로 소수성적으로 변형된 글리콜 키토산이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표준 유전자 코드에 의해 암호화되지 않은 측쇄를 가진 하나 이상의 즉 적어도 1, 2, 3, 4 또는 5개 아미노산, 이른바 “비-암호화 아미노산”을 내포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오르니틴 또는 타우린과 같이, 동화과정을 통해 생성된 아미노산, 및/또는 9 H - 플루오렌 -9- 일메톡시카르보닐 (Fmoc), (터트)-부틸옥시카르보닐 (Boc), 2,2,5,7,8-펜타메틸크로만-6-설포닐 (Pmc) 보호 아미노산, 또는 벤질옥시-카르보닐 (Z) 기를 가진 아미노산과 같이 인공적으로 변형된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의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 안정성은 당해분야에 공지된 안정화 또는 보호 수단, 예를 들어, 보호 또는 안정화 기의 첨가, 아미노산 유도체 또는 유사체의 도입 또는 아미노산의 화학적 변형을 통해 향상되거나 개선될 수 있다. 그러한 보호 또는 안정화기는 예를 들어 N 및/또는 C-말단에서 첨가될 수 있다. 그러한 기의 예는 아세틸기 및 다른 보호기이고 또는 펩타이드기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기는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하기 실시예는, D-아미노산을 포함하도록 변형된 및/또는 서열번호 1의 역서열이 이용되는 본 발명의 변형된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이 본 발명의 항암 및/또는 항미생물 활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L-배치 (configuration)를 가지는 아미노산 만을 포함하나, 다른 구체예에서는 D 배치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존재한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적어도 1, 2, 3, 4, 5, 6, 7, 8, 9, 10, 11 또는 12 D-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모두 D-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올리고 펩타이드 화합물의 인베르소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인베르소 유사체 (및 특히 인베르소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특히 설정된 바와 같이, 잔기 (예, 아미노산 잔기)가 모체 또는 표준 화합물 (예 펩타이드)의 반대방향으로 조합된 “리트로”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리트로 펩타이드)가 포함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40의 서열이 역전된 화합물이 포함된다. 상기 역전 서열은 서열번호 2와 41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
리트로-인베르소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모체 또는 표준 화합물 서열에 역 (반대) 순서로 D-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리트로-인베르소 유사체들은 예를 들어, 펩타이드 결합의 역전된 말단 및 역전된 순서를 가지면서 모체 또는 표준 서열에서와 같이 측쇄의 위상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부분적인, 인베르소, 리트로 또는 리트로-인베르소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에에서, 상기 화합물을 인베르소이고 특정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서열은 EIYRKYIAKAVRLTK (서열번호 2)이거나 이를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리트로-인베르소, 즉, 서열번호 2 또는 서열번호41의 서열의 D-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또는 이를 포함한다.
용어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나 동등 결합에 의해 서로 연결된 등가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화합물을 의미한다. 따라서, 용어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펩타이드 및 펩티도미메틱을 포함한다.
“등가의 소단위체”는 아미노산에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유사한 소단위체를 의미한다. 상기 소단위체의 백본 분체(moiety)는 표준 아미노산과 다를 수 있다. 즉 이것은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 대신에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내포할 수 있다.
“펩티도미메틱”은 펩타이드와 기능적으로 등가 또는 유사하고 및 그의 펩타이드 카운터파트와 유사한 삼차원 구조를 취할 수 있으나, 펩타이드 결합에 의해서 연결된 아미노산으로만 전적으로 구성된 것이 아닌 화합물을 의미한다. 펩티도미메틱들의 바람직한 유형은 펩토이드류, 예, N-치환된 글리신류이다. 펩토이드류는 그들의 천연 펩타이드 카운터파트와 밀접하게 연관되나, 그들의 측쇄가 그것들이 아미노산에서와 같이 α-탄소라기 보다는 분자의 백본을 따라 질소 원자에 부착된다는 점에서 화학적으로 상이하다.
펩티도미메틱들은 환자의 신체 내에서 더 긴 반감기를 가지며, 따라서 더 길게가는 효과가 요구되는 구체예에서는 바람직하다. 이것은 조성물이 다시 투여되는 빈도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다른 구체예에서는 생체-안전성 이유로, 더 짧은 반감기가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한 구체예에서는 펩타이드들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펩타이드인 경우이다.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디-아미노산 및/또는 β-아미노산을 내포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α-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접두어 “올리고”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 예를 들어, 2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90, 80, 70 60 또는 50 개 이하의 아미노산과 같은 소단위체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따라서 적어도 7 및 200 개 이하의 소단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것은 적어도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또는 24개 소단위체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정의하는 바, 그것은 50, 45, 40, 35, 30, 29, 28, 27, 26 또는 25 개 이하의 소단위체를 포함한다. 대표적인 소단위체 범위는 따라서, 10-40, 10-35, 10-30, 10-25, 10-20, 10-15, 10-12 등을 포함하고, 10-20과 10-30이 바람직하다. 다른 대표적인 범위는 15-50, 15-45, 15-40, 15-35 및 15-30를 포함하고, 특히 20-50, 20-45, 20-40, 20-30, 25-50, 25-45, 25-40, 25-35, 25-32 및 25-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서열번호 1, 2, 40 또는 41에 설정된 서열과 적어도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또는 100%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을 포함하거나 그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열 상동성은 임의의 편리한 방법에 의해 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서열간의 서열 상동성의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서열의 다중 배열을 만드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유용하며, 예를 들어, Clustal W (Thompson 등., (1994) Nucleic Acids Res., 22: 4673-4680)가 있다. ALIGN (Myers 등., (1988) CABIOS, 4: 11-17), FASTA (Pearson 등, (1988) PNAS, 85:2444-2448; Pearson (1990), Methods Enzymol., 183: 63-98) 및 gapped BLAST (Altschul 등, (1997) Nucleic Acids Res., 25: 3389-3402)와 같이, 서열의 쌍을 비교하고 배열하는 프로그램이 또한 이러한 목적에 유용하다. 또한, 유럽 생물정보 연구소 (European Bioinformatics institute)의 달리 (Dali) 서버는 단백질 서열의 구조-기반 배열을 제공한다 (Holm (1993) J. Mol. Biol., 233: 123-38; Holm (1995) Trends Biochem. Sci., 20: 478-480; Holm (1998) Nucleic Acid Res., 26: 316-9).
다중 서열 배열 및 퍼센트 동일성 계산은 표준 BLAST 변수 (이용가능한 모든 유기체로부터 나온 서열을 이용하는, 매트릭스 블로섬 (Blosum) 62, 갭 비용(gap costs): 존재 (existence) 11, 확장 (extension) 1)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기 프로그램 및 변수들을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Align Plus 4, 버전 4.10 (Sci Ed Central Clone Manager Professional Suite). DNA 비교: 글로벌 비교(Global comparison), 표준 선형 채점 매트릭스 (Standard Linear Scoring matrix), 오류쌍 (Mismatch) 페널티 = 2, 오픈 갭 (open gap) 페널티 = 4, 연장 갭 (Extend gap) 페널티 = 1. 아미노산 비교: 글로벌 비교, BLOSUM 62 채점 매트릭스.
따라서, 상기 변이체 올리고펩타이드가 모체의 기능적 활성을 보유하는 한, 예를 들어, 변이체가 기능적으로 등가인, 즉 그것들이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이 모체 화합물의 활성을 가지거나 나타내는 한 (예, 암 및/또는 미생물 세포의 성장 및/또는 활성에 대한 저해 효과, 세포독성 활성, 항종양 또는 항균 활성 등), 상기 설명된 또는 주어진 서열의 변이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러한 변이체들은 모체서열의 아미노산 치환물, 첨가물 또는 삭제물 (일 또는 양 말단에서의 절단 (truncation)을 포함하는)의 하나 이상의, 예를 들어, 1 내지 6 개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포함되는 것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화학적으로 유도된, 예를 들어 화학기와 치환된 기능적으로 등가인 유도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들은 그것들이 요청된 활성을 지니기만 하면, 서열번호1, 2, 40 또는 41의 단편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서열번호1 또는 2의 단편물은, 예를 들어, 길이에서, 7 내지 14개 잔기, 예 12 내지 13 개 잔기 길이일 수 있다. 서열번호 40 또는 41의 단편물은 길이에서 13 내지 26 개 잔기, 예를 들어, 13, 14, 15, 16 또는 17 내지 26개 잔기의 길이일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서열번호 40의 펩타이드는 pH 7.0에서 12의 순하전 및 12.4의 높은 등전점을 가지는 강한 양이온성 펩타이드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이들의 단편물을 위시한 이들의 기능적 등가 변이체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언하면, 단편물을 포함한 상기 변이체는 모체 화합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특징은 특히, 그것이 양이온성이라는 것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40의 펩타이드는 α-나선 구조를 가진다. 특정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α-나선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것은 필수적인 특징이 아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화합물은 β-시트 구조를 가질 수 있거나, 다른 또는 비규칙적인 구조, 예, 코일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상기 화합물은 상이한 구조의 도메인을 가진 복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대표적인 구체예에서, 서열번호 1, 2, 40 또는 41과 기능적으로 등가인 변이체와 단편물을 위시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하기 특성을 가질 수 있다:
pH7.0에서 10-13, 예, 11-12.5의 순하전;
12 내지 13의 pI;
0.7 내지 1.0, 예, 0.8 내지 1.0의 평균 소수성;
45-60%, 예, 46-58%, 48-58%, 또는 50-56%의 소수성 잔기/총잔기 수의 비율.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은 더 큰 단위체의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것은 폴리펩타이드에 융합하여 재조합 융합 단백질을 형성하거나 구조물 (scaffold)에 부탁되어 펩타이드 앱타머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을 내포하는 융합 단백질 또는 앱타머들은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을 형성한다. 또 다른 관점은 그러한 융합 단백질 또는 앱타머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그러한 융합 단백질 또는 앱타머를 전술한 바와 같이 요법 또는 치료 방법에 사용하는 용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의한 바와 같은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및/또는 벡터를 세포나 세포 배양물에 시험관내 투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시험관 내
방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의 세포독성 효과를 연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펩타이드 1, 및 이에 기반한 변형된 펩타이드들은 다양한 암세포주에 대해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항종양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들은 그람 양성은 물론 그람 음성균 둘다에 살균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펩타이드 1, 및 이에 기반한 변형된 펩타이드들은 인간에서 종양성 질환과 박테리아 감염에 대하여 치료제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비제한적 실시예에서 더욱 설명될 것이며 하기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스크리닝하기 위해 고안된 96 개 합성 펩타이드로 24 시간 처리된 후 세포 생존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펩타이드 1”로 정해진, 서열번호 40의 펩타이드는 가장 낮은 흡광도를 결과하였고, 이는 최저 세포 생존을 나타낸다 (펩타이드 1은 도 1의 도면 상에서 최단 막대 다음의 화살표에 의해 지적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96개 펩타이드들 중 세 개로 배양물을 20분간 처리 후, 세포 상에 대한 형태학적 효과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모두 L-아미노산 형태인 펩타이드(서열번호 40), 리트로-인베르소 (ri) 형태인, 즉 역전서열로서 모두 D-아미노산인 펩타이드 1 (서열번호 41) 및 모두 D-아미노산 형태인 펩타이드 1 (서열번호 40)의 단층 배양물에 있는 세포 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HFF1 (인간 포피 섬유아세포) T986 (신경아세포종), GaMG (교모세포종) 및 A172 (교모세포종)에 대하여 상이한 시점에서 상이한 펩타이드 농도로 투여시 펩타이드 1의 MTT 분석을 나타낸다. HFF1 세포에 비하여 더 낮은 생존 분율이 상기 종양 세포주에 대하여 관찰된다.
도 5는 두 개 암세포주 (143개 암종 세포 및 HOS 육종 세포주)는 물론 두 개 정상 세포주 (142 세포 및 HFF1 cells)를 2.5 내지 30 μg/ml 펩타이드로 처리하여 생/사멸 생존 시험법으로 얻은 결과를 나타낸다. 정상적인 세포주에 비해, 강한 세포독성 활성이 두 개 암세포주에 대해 관찰되었다.
도 6(A)는 펩타이드 1으로 처리한 후 세포를 고해상도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나타낸다. (B)는 플루오레세인 티오시아네이트로 표지한 상기 펩타이드의 N 말단부를 나타낸다.
도 7은 마우스에서 펩타이드 1을 4T1 종양으로 국소 주사하여 4T1 종양의 강한 성장 저해 효과를 유도한 것을 나타낸다.
도 8은 4T1 암세포를 피하 주입한 치료 및 미치료 동물을 비교하는 카플란 마이어 생존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동물은 심한 종양이 되는 기준으로, 전신 질병의 징후를 나타낼 때 희생되었다.
도 9는 상기 카플란 마이어 실험으로부터 얻은 종양의 조직학적 분석을 나타낸다.
도 10은 지질 이중층에서 인지질의 상이한 조성을 가지는 200 nm 리포좀들을 나타낸다. 상기 리포좀들은 형광 색소가 적재되었고 색소의 유출은 펩타이드 1 (도 10 상에서 펩타이드 X)의 처리후 측정되었다. 상기 색소는 플루오로포어 ANTX, 및 Quencer, DPX로 언급될 수 있고 색소의 방출은 계면활성제 (detergent, Triton x100)를 사용한 전체 방출의 %로 지칭된다.
도 11은 상이한 시점에서 막파괴 및 세포로부터 ds Red의 방출을 나타내는 완속 촬영 (time-lapse) 공촛점 현미경 사진을 보여준다. 흰색 화살들은 막 파괴에 의해 야기된 ds Red의 원형질 내용물의 갑자기 잃게되는 세포를 표시한다.
도 12는 관찰된 막 파괴 효과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나타낸다.
도 13은 세 가지 균주가 펩타이드 1으로 2 시간 처리될 때 및 처리되지 않을 때의 성장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4는 pH7.0에서 펩타이드 1의 순하전이 12이고; 등전점이 12.4이고; 평균 소수성이 1이고; 및 소수성 잔기/총 잔기 수의 비율이 56%인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실시예 1 - 96개 펩타이드들의 시초 설계와 스크리닝 및 암세포 생존과 형태에 대한 효과
펩타이드 설계 및 생산
공지된 종양 억제자 (표2 참조)로부터 얻은 가능한 보존된 요소 및 활성 부위를 탐색 엔진 Expasy 및 Swissprot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96개 펩타이드들이 확인되었다. 세포내 전달을 위해 TAT 서열을 N-말단에 부착하였다. 펩타이드들은 Cambridge Peptides (캠브리지, 영국) 및 Genscript (뉴저지, 미국)에서 합성하였다. 모두 아미드화 및 아세틸화시켰다. 합성된 펩타이드들은 물에 용해하여 최종 농도 1 mg/ml로 만들었다.
세포 배양
세포주 U87, MCF7, SF295. T47D 및 4T1를 노르웨이의 베르겐 대학에 있는 종양 은행으로부터 수득하였다. 섬유아세포들은 건강한 제공자로부터 얻었다. 모든 세포주는, 10% 우태아 혈청을 포함하고, NEAA, 100 U/ml Pen/Strep 및 400 μM L-글루타민이 첨가된 DMEM (Sigma, St. Louis, MO, USA)에서 배양되었고, 상기 시약은 Cambrex (East Rutherford, NJ,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1x104 세포들이 96-웰 플레이트에 분배되었다.
세포 생존
동정된 96 개 펩타이드로 24 시간 배양 후, 신경교종 세포주 u87의 처음 스크리닝에서 세포 생존의 결과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세 개 펩타이드가 상기 암세포의 생존성에 대하여 뚜렷한 부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것 중, 펩타이드 1 (서열번호 41)을 선택하여 더 연구하였다.
“펩타이드 1”은 서열번호 36의 HIV-TAT 서열을 그의 N-말단에 가지고, 서열번호 1의 펩타이드 서열과 상응하는 것이다.
세포 형태
상기 96개 펩타이드 중 세 개로 20분간 배양한 후 세포 형태를 광학 현미경 및 저속 촬영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그 결과는 세포 과정의 대량 수축과 핵응축 세포의 출현을 나타내며, 이는 세포사멸을 나타내는 것이다.
펩타이드 안정화
일반적으로 펩타이드들에 대한 주요 문제점은 그것들이 단백질 분해, 특히 혈청에 존재하는 단백질효소에 의해서 종속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따라서 L-아미노산을 D-아미노산으로 치환함으로써 펩타이드를 안정화시키는 전략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상기 펩타이드들이 혈청 보충된 배지에서 그들의 효과를 잃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실, 상기 펩타이드들은 트립신에서 단백질 분해에 저항적이었다. 도 3은 단일층 배양에서 치환된 펩타이드의 효능을 나타내며, 이는 치환된 펩타이드들이 원래의 펩타이드보다 훨씬 더 잘 작동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실시예 2 -암세포에 대한 펩타이드 1의 시험관내 효과
세포 활성, 정상 세포 및 암세포주 간의 시험관 내에서의 비교
MTT 세포 활성 시험법:
MTT (티아졸릴 블루 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를 세포 분열의 측정법으로서 방사성 동위원소를 혼합하는 것을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연구에서 세포 증식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MTT는 황색 용액이고 및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디하이드로게나제에 의해 암청색의 수불용성 MTT-포르마잔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청색 산성화된 이소프로판올로 가용화되며 그 정도는 570 nm 파장에서 발색측정법으로 측정된다 (MTT 분석법에 대한 방법은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사용되었다). MTT 세포 활성 분석법을 사용하여, 정상적인 인간 포피 섬유아 세포 (HFF1)과 세 개 암세포주 T986 (신경모세포종 세포), GaMG (교모세포종), 및 A172 (교모세포종) 간에 비교하였다. 20μg/ml의 농도에서, 생존 분율은 펩타이드 1에 90 분간 노출 후 19 및 43% 사이에 있다. 비교하면, 정상 HFF1 세포에 대한 생존 분율은 58% 이고 이는 암세포에 대한 상기 펩타이드가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4 참조).
분자 프로브 ( live / dead (생/사) 키트 )를 사용한 세포 활성 ( viability ) 비교
LIVE/DEAD®활성/세포독성 키트는 포유동물 세포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형광 색소를 사용한다. 칼세인AM 및 에티디움 호모다이머-1 (EthD-1)은 이러한 목적에 최적의 색소로 나타나고 있다. 살아있는 세포는 세포내 에스테라제 활성의 존재에 의해 죽은 세포와 구별되는 데, 이것은 비-형광성 칼세인 AM을 강한 형광성 칼세인으로 효소적으로 전환시키는 것에 의해 결정된다. 칼세인은 다중양이온성 색소로서, 살아있는 세포 내부에 잘 유지되면서, 강한 일정한 녹색 형광을 발생시킨다. EthD-1은 살아있는 세포의 온전한 막에 의해 배제되나, 손상된 세포막을 가진 세포에는 들어가고 핵산과 결합하여, 죽은 세포에서는 밝은 적색 형광을 발생할 것이다. 상기 생/사 키트를 사용하는 방법은 제작사에 의해 공급된다.
펩타이드 1의 세포독성 활성을 정량화하기 위해, 20 000개 세포를 24-웰 다중웰 용기에 두었다. 48시간 후, 펩타이드 1을 0.1 내지 35 μg/ml의 농도로 웰에 첨가하였다. 1-3-6 시간 후, 세포 활성을 분자 프로브 LIVE/DEAD 키트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세포를 인산염 완충액 (PBS)으로 간단히 세척하고 이때 10 μM EthD-1 및 5 μM 칼세인을 상기 웰에 첨가하였다. 다음 상기 세포를 37℃에서 30분간 조직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다음 FITC (녹색 형광) 및 TRITC (적색 형광) 광학 필터를 갖춘 역상 형광 현미경(Nikon Eclipse 2000E, 동경, 일본)을 사용하여 세포를 관찰하였다. 다음, 형광 세포를 100x 배율에서 사진 찍었다. 살아있는 세포의 비율 (녹색 형광 세포) 및 죽은 세포의 비율 (적색 형광)를 100 개 세포를 세어 산출하였다.
대조군 세포는 녹색 형광을 가진 세포를 포함하는 융합(confluent) 단층을 나타내었다. 아무런 적색 형광 세포가 관찰되지 않으면 100% 생존을 가르키는 것이다 (도 5). 동일한 형광이 0.1, 1, 및 5 μg/ml 펩타이드를 받은 세포에서 관찰되었다. 그러나, 특정 적색 세포가 10 μg/ml 펩타이드를 받은 단층에서 발견되었고, 이는 이러한 농도에서 약간 세포독성 활동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반대로, 15 μg/ml 펩타이드를 받은 세포는 상당히 큰 비율의 죽은 세포를 나타냈다 (도 5). 30 μg/ml 펩타이드를 받은 단층은 거의 100% 죽은 세포로 지적되어 강한 세포독성 작용을 보였다 (도 5 참조).
상이한 농도에서 살아있는 및 죽은 세포의 백분율은 표 3에 나타났다. 상기 펩타이드의 용해 작용은 1 시간 후에 발생하고 3 및 6 시간에 더 이상 추가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형태
고해상도 주사 전자 현미경은 펩타이드 처리 후 전체적으로 플라즈마 막이 구별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고, 이는 상기 펩타이드가 강한 세포용해 작용을 발휘하여, 플라즈마 막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낸다 (도 6A). 더 상세한 시험관내 형태적 분석을 하면, 세포성 단편화의 증거가 또한 있고, 이는 어팝토시스의 유도를 가르키는 것이다. 우리는 따라서 상기 펩타이드들의 N-말단부를 플루오레세인 티오시아네이트 (FITC)로 표지하였고 이를 시험관내 처리하였다. 처리후 짧은 시간 내의 면역형광은 상기 펩타이드가 또한 핵내에 축적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상기 펩타이드들은 또한 핵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어팝토시스를 개시하는 증거가 있다.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펩타이드 1은 또한 핵내에 축적된다. 조직 배양에서 수행된 형태적 관찰에 기준하여, 상기 펩타이드가 또한 어팝토시스를 개시한다는 증거가 있다.
실시예 3 - 암세포에 대한 펩타이드 1의 생체내 효과
4T1 유선 암종은 이식 가능한 종양 세포주로서 매우 종양생성적이고 공격성이 강하며, 대부분의 종양 모델들과는 달리, 유선내의 원발 종양에서부터 림프절, 혈액, 간, 폐, 뇌 및 뼈를 포함한 다중의 다른 부위로 자연적으로 전이할 수 있다. 4T1 종양은 인간 유선 암에 대해 적절한 동물 모델에 되게하는 몇가지 특성을 가진다. 먼저, 종양 세포들은 유선으로 용이하게 이식되어 원발 종양이 해부학적으로 정확한 부위에서 성장한다. 둘째, 인간 유방암에서와 같이, 4T1 전이성 질병은 원발 종양으로부터 자연적으로 발전한다. 또한, 배출 림프절 및 다른 기관으로의 4T1 전이의 단계적 확산은 인간 유선 암의 것과 매우 유사하다. 1x106 4T1 세포를 12마리 암컷 BALBc 생쥐에 피하 주사하였다. 처리군의 6 마리 동물 및 대조군의 6 마리 동물이 스크램블 펩타이드 서열을 받았다. 종양이 0.8cm 크기로 자랐을 때 (10일 후), 종양에 400μg 펩타이드를 100μl로 세번 국소 주사하여 투여하였다. 투여된 펩타이드의 총 농도는 1200μg였다. 다음 종양을 4일마다 캘리퍼스로 측정하였다.
종양 성장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펩타이드를 4T1 종양에 국소 주사하면 생체내에서 4T1 종양에 대하여 강한 성장 억제 효과를 유도하였다. 데이터의 점들은 대조군 및 처리군에서의 6 마리 동물에서 평균값을 나타낸다.
동물 생존
우리는 4T1 암세포로 피하 주사한 처리 및 미처리된 동물을 비교하면서, 카플란 마이어 생존 실험을 하였다. 상기 동물들이 심한 종양 적재량을 기준으로, 전신 질환의 징후를 보일 때 희생시켰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군은 미처리군에 비하여 상당한 생존적 장점을 가졌다. 종양을 수집하여 조직학적 분석을 하엿다. 적출된 종양을 4% 완충된 포름알데히드에 고정하였다. 파라핀 포매된 5-μm 절편을 H&E로 염색하였다. 세포 배양물을 4% PFA에 고정시키고 Nikon Eclipse TE2000-E 형광 현미경 (Nikon, 동경, 일본)하에서 촬영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량 세포 사멸 후에 심한 괴사가 발견되었고 이는 상기 펩타이드의 강한 세포독성 작용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4 - 시험관내 생체내 막 파괴 실험
지질 이중층 내에 상이한 인지질 구성을 함유하는 200nm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상기 리포좀들은 형광 색소가 적재되었고 형광 유출은 펩타이드 1 (도 10 상에서 펩타이드 X)으로 처리 후 측정되었다. 상기 색소는 플루오로포어 ANTX, 및 Quencer, DPX이고, 색소 유출은 계면활성제 (Triton x100)를 사용한 총 유출의 %를 지칭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펩타이드 1은, 특히 인지질이 음하전되어 있는 경우 베지클 파괴자로서 강한 기능을 가진다 (PBPS:EYL; 청색 표시; S0.5 (최대 절반 효과에 대해)= 8.5μg/ml; 2,46μM). 상기 펩타이드는 또한 중성 (극성) 인지질 상에 특정 효과를 가지나 (EYL: 녹색 심볼), 이러한 효과는 음하전 인지질에서보다 덜하다. 대조군 펩타이드 (펩타이드 A)를 동일한 크기를 가지지만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참조물로서 사용하였다. 펩타이드 A는 연구된 농도에서 효과를 가지지 않았다.
4T1 유선 암종 세포를 렌티바이러스 벡터를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형질전환하여 형광 마커 dsRed를 발현하였다. 형질감염된 세포는 세포질에서 dsRed를 축적할 것이고 형광 현미경에서 용이하게 가시화될 수 있다 (도 11 참조). 다음 상기 세포를 20μg/ml 펩타이드 1에 노출시키고, 저속 촬영 (time-lapse) 공촛점 현미경술을 3 시간 동안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로 암세포에서 막 파괴의 직접적인 가시화가 가능하다.
도 12는 관찰된 효과에 대한 이론적 설명을 나타낸다. 암세포들은 정상 세포에 비하여 음하전되어 있는 세포막을 공공연히 가진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양이온성 펩타이드는 대부분 인지질 이중층에서의 증가된 플립-플롭 활성으로 인해 외부 표면에 더 산성인 인지질과 포스파티딜세린을 가진, 암세포막에 비해 덜 하전된 세포막을 가지는 정상 세포에 효과를 미치지 못한다. 펩타이드 1은 음하전 인지질에 결합하기 쉽고, 이로써 인지질 이중층에 구멍을 낸다. 많은 세균 세포막이 음하전되어 있기 때문에, 우리는 또한 다양한 세포 균주에 대한 상기 펩타이드의 작용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5 -세균에 대한 펩타이드 1의 효과
펩타이드 1은 또한 살세균 활성을 보여, 두 시간 내에 세균을 사멸시킨다. 시험된 균주는 E. coli, S. 아우레우스 엔테로코커스였다. 이것은 상기 펩타이드가 또한 그람 양성은 물론 그람 음성 세균에 용해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가르킨다. 도 13은 전술한 세균이 펩타이드 1으로 두 시간 동안 배양되었거나 되지않았을 때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6 - 펩타이드 1의 물리적 특성
pH7.0에서 펩타이드 1의 순하전은 12이고; 등전점은 12.4이고; 평균 소수성은 1이고; 및 소수성 잔기/총 잔기수의 비율이 56%이라는 것이 결정되었다. 펩타이드 1은 따라서 강력한 양이온성이고 높은 등전점을 가진다. 이러한 결과들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다.
펩타이드 스크리닝에 사용된 공지된 종양 억제자
PTEN
p15
p12
p27
par-4
P53BP1
PML
ATM
chd5
Apc
smad4
Puma
망막모세포종
NF1
Patched
Numb
Axin
WT
SMAD2
SMAD3
P16
상이한 농도에서의 살아있는 및 죽은 세포의 백분율, 두 개 세포주(142 및 HFF1)와 두 개 암세포주 (143 암종 및 육종) 간의 비교
펩타이드 농도 살아있는 세포의 비율 (%)
정상 세포 종양 세포
142 HFF1 143 암종 HOS 육종
2.5 μg/ml 99 100 90 90
5 μg/ml 100 99 90 91
10 μg/ml 99 100 89 88
15 μg/ml 90 95 75 78
20 μg/ml 97 98 50 35
25 μg/ml 89 90 45 8
30 μg/ml 90 88 30 10
35 μg/ml 90 89 29 2
논의
상기 실험은 펩타이드 1, 및 이에 기반한 변형된 펩타이드들이 다양한 암세포주에 대해 시험관내 및 생체내에서 항종양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펩타이드들은 생쥐에 복강내 주입으로 시험관 내 인간 섬유아 세포에 대하여 독성을 또한 보이지 않았다. 사실 18gr, nod-scid 생쥐에 피하로 상기 펩타이드를 1000 μg 주사해도 아무런 독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상기 펩타이드들은 시험관내에서 많은 암세포주의 성장을 정지시키는 반면, 정상 세포들은 동일한 농도에서 덜 영향을 받는다. 마우스에서 고형 종양으로 직접 펩타이드 주사함으로써, 후속적인 성장 저해를 동반하면서 24 시간 후에 심한 괴사가 관찰된다. 또한, 이것은 미처리된 동물에 비해 상당한 동물 생존으로 연결될 것이다. 분율 연구는 물론 주사 전자 현미경술에 의해, 상기 펩타이드가 암세포막에 막 파괴를 야기하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밝혀진다. 따라서, 신규한 서열을 가지는 펩타이드 1 및 이의 변형물은 다양한 암 (예, 뇌, 폐, 유방 및 결장)의 종양 성장을 저해하는 치료적 분자를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단순한 조작에 의해, 상기 펩타이드들이 단백질 분해에 대하여 안정화 (저항적)이 될 수 있고, 이는 항종양 화합물로서 그들의 능력을 더 증가시키는 것임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은 상기 펩타이드들이 그람 양성은 물론 그람 음성균 둘다에 살균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펩타이드들은 따라서 인간에서 다양한 박테리아 감염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110> Cytovation AS <120> Oligopeptid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130> PIA01507EP <150> GB 1001602.0 <151> 2010-02-01 <160> 4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1 Lys Thr Leu Arg Val Ala Lys Ala Ile Tyr Lys Arg Tyr Ile Glu 1 5 10 15 <210> 2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eptide <400> 2 Glu Ile Tyr Arg Lys Tyr Ile Ala Lys Ala Val Arg Leu Thr Lys 1 5 10 15 <210> 3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400> 3 Arg Gln Ile Lys Ile Trp Phe Gln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10 15 <210> 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4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210> 5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5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210> 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6 Gln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210> 7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7 Phe Gln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10 <210> 8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8 Arg Arg Glu Lys Trp Lys Lys 1 5 <210> 9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9 Arg Arg Gln Lys Trp Lys Lys 1 5 <210> 10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10 Lys Arg Met Lys Trp Lys Lys 1 5 <210> 11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11 Arg Lys Met Lys Trp Lys Lys 1 5 <210> 12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220> <221> MOD_RES <222> (3) <223> Orn <400> 12 Arg Arg Xaa Lys Trp Lys Lys 1 5 <210> 13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13 Arg Arg Met Lys Gln Lys Lys 1 5 <210> 14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14 Arg Arg Met Lys Trp Phe Lys 1 5 <210> 1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220> <221> MOD_RES <222> (2) <223> Orn <400> 15 Arg Xaa Arg Lys Trp Lys Lys 1 5 <210> 16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16 Arg Arg Met Trp Lys Lys Lys 1 5 <210> 17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netratin derivative <400> 17 Arg Arg Met Lys Lys Trp Lys 1 5 <210> 18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D-penetratin <400> 18 Arg Gln Ile Lys Ile Trp Phe Gln Asn Arg Arg Met Lys Trp Lys Lys 1 5 10 15 <210> 19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gelin <400> 19 Arg Gly Gly Arg Leu Ser Tyr Ser Arg Arg Arg Phe Ser Thr Ser Thr 1 5 10 15 Gly Arg <210> 20 <211> 13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0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Pro Pro Gln 1 5 10 <210> 21 <211> 11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21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1 5 10 <210> 22 <211> 33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P22 <400> 22 Asp Ala Ala Thr Ala Thr Arg Gly Arg Ser Ala Ala Ser Arg Pro Thr 1 5 10 15 Glu Arg Pro Arg Ala Pro Ala Arg Ser Ala Ser Arg Pro Arg Arg Val 20 25 30 Asp <210> 23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AP <400> 23 Lys Leu Ala Leu Lys Leu Ala Leu Lys Ala Leu Lys Ala Ala Leu Lys 1 5 10 15 Leu Ala <210> 24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ansportan <400> 24 Gly Trp Thr Leu Asn Ser Ala Gly Tyr Leu Leu Gly Lys Ile Asn Leu 1 5 10 15 Lys Ala Leu Ala Ala Leu Ala Lys Lys Ile Leu 20 25 <210> 25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ansportan-10 <400> 25 Ala Gly Tyr Leu Leu Gly Lys Ile Asn Leu Lys Ala Leu Ala Ala Leu 1 5 10 15 Ala Lys Lys Ile Leu 20 <210> 26 <211> 3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KALA <400> 26 Trp Glu Ala Lys Leu Ala Lys Ala Leu Ala Lys Ala Leu Ala Lys His 1 5 10 15 Leu Ala Lys Ala Leu Ala Lys Ala Leu Lys Ala Cys Glu Ala 20 25 30 <210> 27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1 <400> 27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Ser Gln Pro Lys 1 5 10 15 Lys Lys Arg Lys Val 20 <210> 28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2 <400> 28 Lys Glu Thr Trp Phe Glu Thr Trp Phe Thr Glu Trp Ser Gln Pro Lys 1 5 10 15 Lys Lys Arg Lys Val 20 <210> 29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PG <400> 29 Gly Ala Leu Phe Leu Gly Phe Leu Gly Ala Ala Gly Ser Thr Met Gly 1 5 10 15 Ala Trp Ser Gln Pro Lys Ser Lys Arg Lys Val 20 25 <210> 30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ctocell peptide <400> 30 Val Lys Arg Gly Leu Lys Leu Arg His Val Arg Pro Arg Val Thr Arg 1 5 10 15 Met Asp Val <210> 31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ctocell peptide <400> 31 Ser Arg Arg Ala Arg Arg Ser Pro Arg His Leu Gly Ser Gly 1 5 10 <210> 32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ctocell peptide <400> 32 Leu Arg Arg Glu Arg Gln Ser Arg Leu Arg Arg Glu Arg Gln Ser Arg 1 5 10 15 <210> 33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Vectocell peptide <400> 33 Gly Ala Tyr Asp Leu Arg Arg Arg Glu Arg Gln Ser Arg Leu Arg Arg 1 5 10 15 Arg Glu Arg Gln Ser Arg 20 <210> 34 <211> 2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Wr-T rtansporter <400> 34 Lys Glu Thr Trp Trp Glu Thr Trp Trp Thr Glu Trp Trp Thr Glu Trp 1 5 10 15 Ser Gln Gly Pro Gly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20 25 <210> 35 <211> 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7 <400> 35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210> 36 <211> 12 <212> PRT <213>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400> 36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Gly 1 5 10 <210> 37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8 <400> 37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210> 38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11 <400> 38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10 <210> 39 <211> 10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QSR8 <400> 39 Gln Ser Arg Arg Arg Arg Arg Arg Arg Arg 1 5 10 <210> 40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eptide <400> 40 Tyr Gly Arg Lys Lys Arg Arg Gln Arg Arg Arg Gly Lys Thr Leu Arg 1 5 10 15 Val Ala Lys Ala Ile Tyr Lys Arg Tyr Ile Glu 20 25 <210> 41 <211> 27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eptide <400> 41 Glu Ile Tyr Arg Lys Tyr Ile Ala Lys Ala Val Arg Leu Thr Lys Gly 1 5 10 15 Arg Arg Arg Gln Arg Arg Lys Lys Arg Gly Tyr 20 25

Claims (32)

  1. (i) 아미노산 서열 YGRKKRRQRRRGKTLRVAKAIYKRYIE (서열번호 40); 또는
    (ii) 서열번호 40의 서열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 또는
    (iii) 서열번호 40의 역서열 전체 또는 일부인, 또는 서열번호 40의 서열에 적어도 85%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의 역서열인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미생물 및/또는 암세포의 성장 및/또는 생존성 (viability)을 저해하는 데 활성을 가지는, 올리고 펩타이드 화합물.
  2. 제 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40의 서열을 가지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모두 D-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인베르소 화합물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상기 아미노산 서열이 역전된 리트로 화합물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리트로-인베르소 화합물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역전 서열은 서열번호 41에 설정된 바와 같은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하기 특성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a) pH 7.0에서 10-13의 순하전,
    b) 12 내지 13의 pI;
    c) 0.7 내지 1.0의 평균 소수성; 및/또는
    d) 45-60%의 소수성 잔기/총 잔기수의 비율.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항균성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세포독성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11. 제 1항 내지 제 8항 또는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세포 용해 및/또는 어팝토시스를 유도할 수 있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12. 제 1항 내지 제 8항 또는 제 10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세포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세포독성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13. 제 1항 내지 제 8항 또는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종양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14.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정의된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핵산 분자 또는 상기 핵산 분자의 보체.
  15. 제 14항의 핵산분자를 포함하는 벡터.
  16. 제 14항 또는 제 15항의 핵산분자 또는 벡터를 도입함으로써 변형된 세포.
  17.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핵산 분자를 약학적 허용가능한 부형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18. 치료 용도의,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또는 조성물.
  19. 미생물 감염에 대항하는 용도의,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또는 조성물.
  20. 암 치료 용도의,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또는 조성물.
  21. 미생물 감염과 싸우고 및/또는 암을 치료하는 의약물의 제조에 사용하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핵산 분자의 용도.
  22. 미생물 감염과 싸우고 및/또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또는 조성물을 필요한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3. 제1항 내지 제18항,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암의 치료에 사용시 암은 뇌, 폐, 유방 또는 결장암 또는 흑색종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조성물, 용도 또는 방법.
  24. 제1항 내지 제18항, 제20항, 제 21항 또는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 치료에 사용시, 상기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조성물 또는 의약물은 암에 국소 전달용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조성물, 용도 또는 방법.
  25. 제 1항 내지 제19항 또는 제2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미생물 감염과 싸우는 데 사용시, 미생물 감염은 세균 감염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조성물, 용도 및 방법.
  26.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또는 조성물, 및 암 또는 미생물 세포의 생존성 및/또는 성장을 저해하는 데 별도로, 동시에 또는 연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조합된 제조물로서 제 2 치료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생성물.
  27.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핵산 분자 또는 조성물 및 제 2 치료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키트.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치료적 활성 성분은 미생물 감염 또는 암에 대항하여 활성인, 키트 또는 생성물.
  29. 제 26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치료적 활성 성분은 화학요법제 또는 항신생물제인, 키트 또는 생성물.
  30. 제 26항 내지 제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치료적 활성 성분은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또는 항진균제인 키트 또는 생성물.
  31. 미생물의 생존성 및/또는 성장을 저해하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을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의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과 접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32. 암세포의 생존성 및/또는 성장을 저해하는 시험관내 또는 생체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를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또는 핵산 분자와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27022641A 2010-02-01 2011-02-01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1848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1001602.0A GB201001602D0 (en) 2010-02-01 2010-02-01 Oligopeptidic compounds and uses therof
GB1001602.0 2010-02-01
PCT/EP2011/051422 WO2011092347A1 (en) 2010-02-01 2011-02-01 Oligopeptid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8135A true KR20120128135A (ko) 2012-11-26
KR101848518B1 KR101848518B1 (ko) 2018-04-12

Family

ID=4208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641A KR101848518B1 (ko) 2010-02-01 2011-02-01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8754042B2 (ko)
EP (1) EP2531518B1 (ko)
JP (1) JP5934654B2 (ko)
KR (1) KR101848518B1 (ko)
CN (1) CN102781953B (ko)
CA (1) CA2788726C (ko)
CY (1) CY1117872T1 (ko)
DK (1) DK2531518T3 (ko)
ES (1) ES2585595T3 (ko)
GB (1) GB201001602D0 (ko)
HR (1) HRP20160922T1 (ko)
HU (1) HUE028094T2 (ko)
LT (1) LT2531518T (ko)
PL (1) PL2531518T3 (ko)
PT (1) PT2531518T (ko)
RS (1) RS54992B1 (ko)
SI (1) SI2531518T1 (ko)
SM (1) SMT201600261B (ko)
WO (1) WO20110923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559A1 (ko) * 2019-05-02 2020-11-05 주식회사 엘베이스 신규한 올리고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001602D0 (en) 2010-02-01 2010-03-17 Cytovation As Oligopeptidic compounds and uses therof
CN103012562B (zh) * 2011-09-24 2015-01-28 复旦大学 一种双重靶向的d构型多肽及其递药系统
US10039777B2 (en) 2012-03-20 2018-08-07 Neuro-Lm Sas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treatment of autistic syndrome disorders
CN103720655B (zh) * 2012-10-11 2016-05-25 上海纳米技术及应用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d型多肽介导的靶向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82634B1 (ko) * 2015-06-29 2017-10-25 주식회사 큐라클 Amigo2와 3-포스포이노시티드-의존 키나아제 1의 결합 억제용 데코이 펩타이드
EP3596103A4 (en) * 2017-03-16 2021-01-20 Microsintesis Inc. COMPOSITIONS AND PROCESSES INVOLVING PROBIOTIC MOLECULES
CN108314741B (zh) * 2018-03-22 2021-08-03 中国人民解放军第四军医大学 一种肿瘤血管靶向抗癌肽nkl-dota及其制备方法
GB201810058D0 (en) * 2018-06-19 2018-08-08 Cytovation As Combination therapy using a peptide
KR102073144B1 (ko) * 2018-12-13 2020-02-04 주식회사 엘베이스 올리고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0408699A (zh) * 2019-07-11 2019-11-05 福建卫生职业技术学院 肠癌肠道菌群标志物及其应用
GB202000167D0 (en) 2020-01-07 2020-02-19 Cytovation As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neoplastic lesions
CN115044520B (zh) * 2022-08-12 2022-11-15 北京百奥茵诺生物科技有限公司 一株交替单胞菌及使用其生产单葡萄糖醛酸甘草次酸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5542A1 (de) 1989-08-02 1990-02-15 Kallos Verlag Und Versand Gmbh Glueckwunschkarte
US5534110A (en) 1993-07-30 1996-07-09 Lam Research Corporation Shadow clamp
US5595756A (en) 1993-12-22 1997-01-21 Inex Pharmaceuticals Corporation Liposomal compositions for enhanced retention of bioactive agents
FR2739621B1 (fr) 1995-10-05 1997-12-05 Centre Nat Rech Scient Peptides utilisables comme vecteurs pour l'adressage intracellulaire de molecules actives
WO1999011780A2 (de) 1997-09-02 1999-03-11 Max-Delbrück-Centrum für Molekulare Medizin Conductinprotein und verwandtes mittel zur diagnose und zur therapie von tumorerkrankungen
AU1818299A (en) 1997-12-10 1999-06-28 Washington University Anti-pathogen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GB9814527D0 (en) 1998-07-03 1998-09-02 Cyclacel Ltd Delivery system
CZ20011671A3 (cs) 1998-11-13 2001-10-17 Cyclacel Limited Peptidová nosná skupina pro transport
FR2849603B1 (fr) 2003-01-07 2006-09-08 Centre Nat Rech Scient Composition pour le transport intracellulaire de macromolecules ou particules biologiques
US7442681B2 (en) * 2004-02-10 2008-10-28 University Of Virginia Patent Foundation Method of inhibiting vascular permeability
JP5596975B2 (ja) * 2006-10-26 2014-10-01 ジェネン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腫瘍と関連している遺伝的変異
WO2008051048A2 (en) * 2006-10-27 2008-05-02 Jeong Moon Kim Method and materials for inhibiting a nuclear export of gsk3
GB0803352D0 (en) * 2008-02-22 2008-04-02 Ntnu Technology Transfer As Oligopeptid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GB201001602D0 (en) 2010-02-01 2010-03-17 Cytovation As Oligopeptidic compounds and uses ther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2559A1 (ko) * 2019-05-02 2020-11-05 주식회사 엘베이스 신규한 올리고펩티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88726C (en) 2019-04-02
GB201001602D0 (en) 2010-03-17
US8754042B2 (en) 2014-06-17
PL2531518T3 (pl) 2017-01-31
ES2585595T3 (es) 2016-10-06
US9353156B2 (en) 2016-05-31
DK2531518T3 (en) 2016-08-15
PT2531518T (pt) 2016-08-12
JP5934654B2 (ja) 2016-06-15
WO2011092347A1 (en) 2011-08-04
CN102781953B (zh) 2015-02-04
RS54992B1 (sr) 2016-11-30
CN102781953A (zh) 2012-11-14
US20150038407A1 (en) 2015-02-05
KR101848518B1 (ko) 2018-04-12
JP2013517787A (ja) 2013-05-20
LT2531518T (lt) 2016-09-26
HRP20160922T1 (hr) 2016-10-07
EP2531518A1 (en) 2012-12-12
US20130023461A1 (en) 2013-01-24
EP2531518B1 (en) 2016-05-04
HUE028094T2 (en) 2016-11-28
CY1117872T1 (el) 2017-05-17
SI2531518T1 (sl) 2016-09-30
CA2788726A1 (en) 2011-08-04
SMT201600261B (it)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518B1 (ko) 올리고펩타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Gennaro et al. Structural featur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cathelicidin‐derived antimicrobial peptides
Sani et al. How membrane-active peptides get into lipid membranes
Kosikowska et al. Antimicrobial peptides (AMPs) as drug candidates: a patent review (2003–2015)
Luisa Mangoni et al. Naturally occurring peptides from Rana temporaria: Antimicrobial properties and more
Sun et al. Insights into the membrane interaction mechanism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of chensinin-1b
Mangoni et al. Temporins and their synergism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and in lipopolysaccharide detoxification
Kim et al. C-terminal amidation of PMAP-23: translocation to the inner membrane of Gram-negative bacteria
Song et al. Cell sele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of antimicrobial model peptides containing peptoid residues
Lorenzón et al. Effects of dimerization on the structure and biological activity of antimicrobial peptide Ctx-Ha
Monroc et al. De novo designed cyclic cationic peptides as inhibitors of plant pathogenic bacteria
NO333073B1 (no) Cytotoksiske peptider modifisert med en eller flere ikke-genetiske, voluminose og/eller lipofile aminosyrer.
Nan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bactericidal mechanism and LPS‐neutralizing activity of the cell‐penetrating peptide pVEC and its analogs
Dawson et al.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antimicrobial peptides in biodefense against biological warfare threat agents
KR20180002618A (ko) 항균 펩티드 및 이의 사용방법
Wood et al. Modified cysteine-deleted tachyplesin (CDT) analogs as linear antimicrobial peptides: Influence of chain length, positive charge, and hydrophobicity on antimicrobial and hemolytic activity
Bhat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an artificially designed peptide against fish pathogens
Cytryńska et al. Defense peptides: recent developments
Xie et al.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action mechanism studies of transportan 10 and its analogues against multidrug‐resistant bacteria
Liu et al. A novel amphibian antimicrobial peptide, phylloseptin-PV1, exhibits effective anti-staphylococcal activity without inducing either hepatic or renal toxicity in mice
Hu et al. Lysine stapling screening provides stable and low toxic cationic antimicrobial peptides combating multidrug-resistant bacteria in vitro and in vivo
Santos‐Filho et al. Effect of C‐terminal and N‐terminal dimerization and alanine scanning on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analogs of the peptide p‐BthTX‐I
WO2011027980A2 (en) Tumor cell-killing peptides
Cárdenas-Martínez et al. Effects of substituting arginine by lysine in bovine lactoferricin derived peptides: pursuing production lower costs, lower hemolysis, and sustained antimicrobial activity
He et al. Boosting stability and therapeutic potential of proteolysis-resistant antimicrobial peptides by end-tagging β-naphthylalan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