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3106A -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 - Google Patents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3106A
KR20120123106A KR1020127022131A KR20127022131A KR20120123106A KR 20120123106 A KR20120123106 A KR 20120123106A KR 1020127022131 A KR1020127022131 A KR 1020127022131A KR 20127022131 A KR20127022131 A KR 20127022131A KR 20120123106 A KR20120123106 A KR 20120123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ingredient
formulation
bioavailability
weight
promo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086B1 (ko
Inventor
로사리오 리치오
미하엘 고트샬크
미하엘 담
노베르트 빈다브
멜라니 리프케
귄터 슈미트
에르나 로트
뤼디거 알렉소브스키
Original Assignee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23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55Protease inhibitors
    • A61K38/56Protease inhibitors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7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with an outer layer or coating comprising drug; with chemically bound drugs or non-active substances on their surface
    • A61K9/167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with an outer layer or coating comprising drug; with chemically bound drugs or non-active substances on their surface having a drug-free core with discrete complete coating layer containing dru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61K31/727Heparin; Hepar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61K38/095Oxytocins; Vasopressins; Related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2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05Wall or coating material
    • A61K9/502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5036Polysaccharides, e.g. gums, alginate; Cyclodextrin
    • A61K9/5042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e.g. phthalate or acetate succinate esters of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50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 A61K9/5073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 A61K9/5078Microcapsules having a gas, liquid or semi-solid filling; Solid microparticles or pellets surrounded by a distinct coating layer, e.g. coated microspheres, coated drug crystals having two or more different coatings optionally including drug-containing subcoatings with drug-free co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이며, 상기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에 비해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5배 이상 증가시키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PHARMACEUTICAL OR NEUTRACEUTICAL FORMULATION}
본 발명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 19724458 A1은 제약 활성 성분의 흡수 향상을 위한 단백질분해 효소의 사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EP 1302201 A1은 경구 흡수가능성이 향상된 제약 조성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물,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및 산성의 물질을 포함한다.
EP 1466626 A1은 경구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의료 조성물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거기에는, 생물학적 활성 펩티드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한 제제로서,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가 기술되어 있다.
WO2005007139A2는 50 내지 2500 ㎛ 범위의 크기를 갖는 펠릿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a) 해당 유도체 또는 접합체를 포함한 펩티드 또는 단백질로서, 점액접착성(mucoadhesive) 효과를 가지며 임의로 다른 제약상 통상적인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는 중합체 매트릭스 중에 매립되어 있는(embedded)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내부 매트릭스 층, 및
b) 임의로는 제약상 통상적인 부형제, 특히 가소제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는 음이온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필름 코팅
으로 구성되고, 함유되어 있는 펠릿이 위의 pH 범위에서 방출되도록 제제화되며, 음이온성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또는 그의 부형제와의 배합의 선택, 및 그의 층 두께를 통하여 코팅이 pH 범위 4.0 내지 8.0의 장내에서 15 내지 60분 이내에 용해됨으로써, 활성 물질-함유 점액접착성 매트릭스 층이 노출되고 장 점막에 결합되어 거기에서 활성 물질을 방출할 수 있도록, 외부 코팅이 조정되고, 여기서 점액접착성 효과를 갖는 중합체는 그것이 ηb = 150 내지 1000 mPaㆍs의 점액접착성 효과, 및 외부 코팅이 용해되기 시작하는 pH 대비 +/- 0.5 pH 단위 범위에서 15분 이내에 10 내지 750 %인 물 흡수를 나타내도록 선택되고, 매트릭스 층 중 활성 물질 함량은 점액접착성 효과를 갖는 중합체 함량의 최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구용 다중미립자 제약 형태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 점액점착성 매트릭스 층은 추가적인 부형제 예컨대 프로테아제 억제제, 예를 들면 대두 트립신 억제제, 또는 침투 촉진제를 함유할 수 있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10,000 이상의 Mw를 갖는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량 (Mw) 활성 성분과의 조합으로써만 침투 촉진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있다. 프로테아제 억제제는 3,000 내지 10,000의 Mw를 갖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 및 친유성성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지방산 또는 지방 알콜과 같은 안정화제와의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프로테아제 억제제와 침투 촉진제가 조합되는 구체적인 예는 없다.
EP 1771157 B1은 저-용성(low-soluble) 활성 물질을 위한 다중입자(multiparticle) 제약 투약 형태, 및 상기 제약 투약 형태의 제조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WO 2006/061069 A1은 점액접착성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핵산을 포함하는 다중입자 투여 형태, 및 상기 투여 형태의 제조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보우만-버크(Bowman-Birk) 억제제 (BBI)는 대두 및 다양한 다른 종자, 주로 콩과의 종자 및 식물성 재료에서 발견되는 안정한 저분자량의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 억제제 류의 잘 알려져 있는 명칭이다. 예를 들면, US 5,962,414 또는 US 6,767,564를 참조하라.
US 6,767,564 B2는 다발 경화증 및 기타 자가면역 질환 예컨대 길랑 바레 증후군 및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를 위한 보우만 버크 억제제 (BBI)의 사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경구 섭치된 보우만 버크 억제제는 흡수되어 전신성 효과를 갖는 것으로 언급되어 있다. 섭취된 보우만 버크 억제제 중 대략 50 %가 혈류로 흡수된다. 프로테아제 억제제가 풍부한 대두 유래의 추출물인 보우만 버크 억제제 농축물 (BBIC)이 오늘날까지 기술된 임의의 다른 생리적 프로테아제 억제제보다도 인간 키마제의 더 우수한 억제제인 것으로 전해진다는 것 역시 언급되어 있다.
과제 및 해결
해당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가 시험관내 세포 검정에서 우수한 세포 침투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시험관내에서 활성 성분 데스모프레신을 사용하여 수득되는 유망한 결과는 생체내에서의 실망적인 결과로만 이어진다. 해당 제제를 미니피그의 생체내에서 시험하여, 혈장 농도 수준으로 생체내에서 측정하였을 때, 저조한 생체이용률만을 검출할 수 있었다.
데스모프레신은 펩티드이므로, 생체내에서의 췌장 효소에 의한 펩티드의 효소 분해를 방지할 수 있는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의 첨가를 먼저 시험관내에서, 다음에 생체내에서 시험하였다. 상이한 펩티다제 및 프로테이나제들을 함유하는 췌장 효소 칵테일 존재하의 시험관내 검정에서는,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로서의 보우만-버크 억제제 (BBI) 첨가의 소정의 보호 효과가 관찰되었다. 생체내 시스템에서도 동일하거나 약간 더 낮은 수준으로 이와 같은 효과가 발견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이 매우 놀랍게도, 보우만-버크 억제제 첨가의 생체내 효과는 예상되었던 것보다 각각 5배 초과 내지 거의 10배 더 높았다. 생체내 효과가 시험관내 결과에 비해 너무 크게 더 높았다는 사실로 볼 때,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효과가 단순하게 췌장 효소에 대한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의 보호 효과에 의해서는 설명될 수 없다는 것을 알리는 바이다. 더하여, 청구되는 바와 같은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과 조합됨으로써, 일반적으로는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의 첨가에 의해, 또는 적어도 식물 유래의 그와 같은 것에 의해, 또는 적어도 보우만-버크 억제제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미지의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본 발명자들은 청구되는 바와 같은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가 펩티드 또는 단백질이 아닌 다른 활성 성분에도 역시 적용가능할 것으로 믿는다.
경구 적용을 위한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을 포함하며 증가된 생체이용률을 갖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한 가지 목적이었다.
상기 문제점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하는 코어, 및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에 비해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5배 이상 증가시키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에 의해 해결되었다.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
본 발명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에 관한 것이다.
단순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는 코팅된 매트릭스 정제이다. 그러나,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는 다중미립자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미립자의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투약 단위에 다수의 입자들을 포함하는 다중미립자의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코팅 또는 비코팅 펠릿이다.
바람직한 입자 크기는 0.2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mm일 수 있다. 비교적 작은 입자 크기는 적어도 코팅된 펠릿의 경우에 위로부터 십이지장으로 빠르고도 확실하게 전달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모든 경우에, 활성 성분 투약량의 고도의 표준화 및 장에서의 우수한 분배라는 장점이 존재한다.
다중미립자의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코팅 또는 비코팅 펠릿인 1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개의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형태 의약은 주로 다중미립자의 제약 또는 기능식품 형태로 이해된다.
상기 다중미립자 형태는 예를 들면 다수의 활성 성분 함유 입자 또는 펠릿으로 충진된 펠릿-함유 정제 또는 압축 정제, 미니정제, 사쉐(sachet) 또는 캡슐일 수 있다.
이러한 모든 용어들은 약학 및 생약학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펠릿-함유 정제 또는 압축 정제라는 용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와 같은 정제는 예를 들면 5 내지 25 mm 가량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거기에는 보통, 잘 알려져 있는 정제 형태를 생성시키기 위하여 결합 부형제와 함께 정해진 다수의 소형 활성 성분 함유 펠릿들이 압축되어 있다. 경구 섭취 및 체액과의 접촉 후, 정제 형태는 붕괴되며, 펠릿들이 방출된다. 압축 정제는 섭취를 위한 단일 투여 형태의 장점과 다수 형태의 장점, 예를 들면 투약 정밀도를 조합한다.
미니정제라는 용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미니정제는 통상적인 정제보다 더 작아서, 1 내지 4 mm 가량, 또는 5 mm 미만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펠릿과 마찬가지로, 미니정제는 다수 투약으로 사용되는 단일 투약 형태이다. 동일한 크기일 수 있는 펠릿과 비교하면, 미니정제는 보통 더 정밀하고 더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는 더욱 규칙적인 표면을 갖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미니정제는 젤라틴 캡슐과 같은 캡슐에 봉입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캡슐은 경구 섭취 후 붕괴되고, 위액 또는 장액과 접촉됨으로써, 미니정제가 방출된다. 미니정제의 또 다른 적용분야는 활성 성분 투약량의 개별적인 미세 조정이다. 이 경우에는, 환자가 치료할 질환의 중증도는 물론 그의 개별적인 체중에 맞추어 정해진 수의 미니정제를 바로 섭취할 수 있다. 미니정제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은 펠릿-함유 압축 정제와는 다르다.
사쉐라는 용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것은 종종 펠릿 함유 액체 형태로, 또는 건조 펠릿 또는 분말 형태로도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소형의 밀봉된 패키지를 지칭한다. 사쉐 자체는 단지 포장 형태로서, 섭취를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사쉐의 내용물은 물에 용해될 수 있거나, 또는 유리한 특징으로서, 침지되거나, 추가적인 액체 없이 바로 섭취될 수 있다. 후자는 물이 가용하지 않은 상황에서 투약 형태가 섭취되어야 하는 경우에 환자에게 유리한 특징이다. 사쉐는 정제, 미니정제 또는 캡슐의 대안적인 투약 형태이다.
캡슐이라는 용어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사쉐와 마찬가지로, 캡슐은 펠릿 함유 액체나, 또한 건조 펠릿 또는 분말을 위한 용기이다. 그러나, 사쉐와는 달리, 캡슐은 젤라틴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와 같이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로 구성되며, 정제와 같이 섭취되도록 의도된다. 캡슐은 경구 섭취 후 붕괴되고, 위액 또는 장액과 접촉됨으로써, 함유되어 있는 다수의 단위가 방출된다. 제약 목적의 캡슐은 여러 표준화된 크기로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펠릿
펠릿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한다.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코팅 (장용 코팅)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HPMC) 또는 젤라틴 캡슐이 다수의 장용 코팅된 펠릿으로 충진될 수 있다.
펠릿이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코팅을 가지지 않는 경우라면, 투약 단위가 그와 같은 중합체 코팅을 포함해야 한다. 예를 들면, HPMC 또는 젤라틴 캡슐이 장용 코팅이 없는 펠릿을 포함할 수 있으나, 그렇다면 캡슐 자체가 장 중합체에 의해 코팅된다. 캡슐, 특히 HPMC 캡슐의 장용 코팅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EP 1117386 A1에 공지되어 있다.
코팅 또는 비코팅 펠릿 크기의 평균 입자 직경은 100-1500 ㎛,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800 ㎛의 범위일 수 있다.
바람직한 펠릿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생체이용률 촉진제 및 임의로 장용 코팅을 포함하는 코어로 구성된다.
가장 바람직한 펠릿은 본질적으로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생체이용률 촉진제, 분리 또는 동기화(synchronisation) 층 및 장용 코팅으로 구성되는 코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형태는 부형제의 수를 감소시키는 장점을 갖는 그의 본질적인 요소로 감축되는 것으로써, 활성 성분과의 상호작용 위험성 또는 환자에 대하여 있을 수 있는 못견딤이 감소되기 때문에, 이는 항상 유리하다.
바람직한 펠릿, 입자 또는 코어는 점액접착성 효과를 갖는 중합체를 조금도, 또는 어떠한 본질적 양으로도 함유하지 않는다. 점액접착성 효과를 갖는 중합체의 본질적 양은 최종 제제 중 대략 10 중량%를 초과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입자는 ηb = 1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600 mPaㆍs의 점액접착성 효과, 및 외부 코팅이 용해되기 시작하는 pH 대비 +/- 0.5, 바람직하게는 +/- 0.3 pH 단위 범위에서 15분 이내에 10 내지 7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60 %인 물 흡수를 나타내는 점액접착성 중합체를 조금도, 또는 어떠한 본질적 양으로도 함유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입자는 20-4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60 내지 80 중량%의 메타크릴산 또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또는 가교 및/또는 비가교 폴리아크릴산 또는 렉틴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또는 펙틴으로 구성되는 키토산 또는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조금도, 또는 어떠한 본질적 양으로도 함유하지 않는다.
점액접착성 특성의 측정
점액접착성 특성을 특성화하기 위한 적합한 측정 방법은 문헌 [Hassan and Gallo (1990)]에 포함되어 있다 (문헌 [Hassan E.E. and Gallo J.M. "A Simple Rheological Method for the in Vitro Assessment of Mucin-Polymer Bioadhesive Bond Strength" Pharma Res. 7(5), 491 (1990)] 참조). 상기 방법은 중합체의 뮤신(mucin)과의 혼합물의 점도 (η, 동점도 또는 점도 계수)가 개별 성분 점도의 합계와 다르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한다. 적용되는 관계는 η중합체의 뮤신과의 혼합물 = η뮤신 + η중합체 + ηb로서, 여기서 ηb는 차이를 나타낸다. 더 높은 ηb는 더 큰 점액접착성 특성을 의미한다. 개별 성분들은 처음에 회전 점도계를 사용하여 해당 점도가 측정된다. 점액접착성 중합체의 0.5 % 농도 (w/w) 수용액 및 돼지 위 뮤신의 15 % 농도 용액이 사용된다. 점액접착성 특성 ηb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뮤신과 중합체가 단독으로 측정된 후, 언급된 농도로 혼합된다.
수화 및 물 흡수
중합체의 수화는 흡수된 물에 대한 중합체의 친화성을 바탕으로 한다. 중합체는 이와 같은 물 흡수로 인하여 팽창된다. 이는 중합체 중 물과 주변 매체 중 물의 화학적 전위 사이의 불균형과 관련된다. 물은 중합체의 삼투압으로 인하여 내부 상과 외부 상 사이에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흡수된다. 다음에, 중합체는 100 % 수화된다. 다음에, 낮은 평균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는 용액 형태가 된다. 더 높은 분자량을 갖는 중합체 또는 가교된 중합체의 경우에는, 겔이 생성된다.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물 흡수는 예를 들면 중합체 중량의 1000 %에 해당하는 고유 중량의 10배에까지 달할 수 있다.
%물 흡수 측정
%물 흡수(percentage water uptake)의 측정은 당업자에게 익숙한 것이다. 적합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문헌 [Lehrbuch der pharmazeutischen Technologie/Rudolf Voigt, Basel: Verlag Chemie, 5th completely revised edition, 1984, page 151, 7.7.6 under "Aufsaugvermogen"]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유리 흡입 필터 깔때기가 배관에 의해 눈금 피펫에 연결되어 있는 소위 엔슬린(Enslin) 장치를 사용한다. 피펫은 그것이 유리 프릿(frit)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정확하게 수평으로 탑재된다. 본 발명의 경우, 100 %의 물 흡수는 15분 이내에 점액접착성 효과를 갖는 중합체 1 g 당 물 1 ml의 물 흡수로 정의된다.
코어
코어는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한다. 코어는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와는 다른 추가적인 제약 또는 기능식품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또한 임의로 동기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락토스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결합제에 결합되어 예를 들면 분무 기술에 의해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그 위에 적용되는 중성의 코어 입자 (최상급)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중성의 코어 입자 (최상급)를 포함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하거나, 본질적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습식 압출, 용융 압출, 회전응집 또는 구체화와 같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구형 펠릿의 형태이다. 코어는 매트릭스 구조의 형태 또는 층 구조의 형태로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함유할 수 있다. 층 구조는 공지의 분무 코팅 기술에 의해 생성 또는 적용될 수 있다.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함께 혼합되어 독특한 매트릭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코어는 총 90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의 추가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본질적 양의 부형제를 함유하지 않거나, 또는 어떠한 추가적인 부형제도 함유하지 않는다.
코어는 동기화 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장용 코팅에 의해 추가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코어는 동기화 층, 그리고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에 의해 추가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코팅되었거나 아니거나에 관계없이, 코어는 당과 같은 결합제 및 예컨대 안료를 포함하는 빠르게 용해되는 탑 코트(top coat)에 의해 추가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음이온성 활성 성분에 대한 구체적인 생약학적 접근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이 음이온성이고, 침투 촉진제가 양이온성인 경우, 물질들이 그의 전하와 관련하여 대략 등몰량인 양으로 함께 혼합되거나, 활성 성분이 침투 촉진제에 비해 과량으로 존재하게 되면, 침투 촉진제의 침전 또는 침투 특성 탈활성화와 같은 원치않는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와 같은 원치 않는 상호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과 침투 촉진제가 별도의 층으로 분리될 수 있다 (층상화된 코어 구조). 개별 층들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와는 다른 추가적인 부형제, 예컨대 결합제 예를 들면 폴리비닐 피롤리돈 또는 락토스 또는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스 또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침투 촉진제의 침전 또는 침투 특성 탈활성화를 방지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은 원치않는 이온성 상호작용을 약화시키는 부형제, 예컨대 염, 예컨대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Mg-스테아레이트 등, 친양쪽성 중합체 또는 수소 결합 비-이온성 중합체를 첨가하여, 매트릭스 구조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제는 추가적으로 활성 성분이 음이온성이고, 침투 촉진제가 양이온성이며, 양 성분 사이의 이온성 상호작용이 하기 중 어느 것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Figure pct00001
제제의 동일 구획에서의 양 성분의 혼합물 중 과량의 침투 촉진제, 또는
Figure pct00002
제제의 상이한 구획에서의 양 성분의 지역적 분리, 또는
Figure pct00003
제제의 동일 구획에서의 양 성분의 혼합물에 대한 염, 친양쪽성 중합체 또는 수소 결합 비-이온성 중합체의 첨가.
제제의 구획이라는 용어는 활성 성분 및 침투 촉진제를 포함하는 균질한 매트릭스 구조를 갖는 코어 (동일 구획에서의 양 성분의 혼합물), 또는 활성 성분, 및 침투 촉진제를 함유할 수 있는 별도의 층, 또는 그의 역을 갖는 코어 (상이한 구획에서의 지역적 분리)를 의미하여 이른다.
최종 제제 중 주 성분들의 양
섭취될 총 단일 투약량을 의미하는 최종 제제에서의 침투 촉진제의 양은 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침투 촉진제가 키토산과 같이 점액접착성 효과를 갖는 중합체이기도 한 경우, 최종 제제 중 양은 제제가 점액접착성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10 중량%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충분한 침투 촉진제 효과를 확보하는 데에 10 중량%를 초과하는 침투 촉진제의 양이 필요한 경우, 키토산과 같이 점액접착성 효과를 갖는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유드라지트(EUDRAGIT)? E와 같이 그와 같은 점액접착성 효과가 없는 침투 촉진제와 조합되어야 한다.
구체적인 양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mg/ml,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mg/ml 사이의 관련 생리학적 액체, 예를 들면 장액 100 ml 중 최종 농도를 수득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는 활성 제제로 데스모프레신을 사용하고 수송 장벽으로서 카코(Caco)-2-세포 단층 배양물을 사용하는 수송 실험에서 측정하였을 때, 30분 후 1 mg/ml 농도의 침투 촉진제의 존재하에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인 시험관내 시험 시스템에서의 카코-II-세포의 경상피 전기 저항 (TEER-값)에 해당할 수 있다.
섭취될 총 단일 투약량을 의미하는 최종 제제 중 생체이용률 촉진제의 양은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5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양은 바람직하게는 0.004 내지 0.1 mg/ml,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04 mg/ml 사이의 관련 생리학적 액체, 예를 들면 장액 100 ml 중 최종 농도를 수득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이는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에 비해 5배 이상인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 증가에 해당할 수 있다.
제제에서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의 양은 치료적으로 요구되는 양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다. 예를 들면, 데스모프레신의 총 치료적 필요량은 투약 형태 당 약 200 ㎍인 반면, 헤파린의 총 치료적 필요량은 투약 형태 당 약 200 mg일 수 있다.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활성 성분은 경구 전달이 바람직한 모든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은 경구 흡수의 향상이 바람직한 BCS-류 III 및 IV의 군에 속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은 생물학적 기원의 분자, 예를 들면 단백질 또는 펩티드, 핵산, 지질 또는 탄수화물,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천연 또는 합성 유도체이다.
활성 성분은 3000 Da 미만의 평균 분자량 Mw를 갖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펩티드의 예는 구체적으로 아바렐릭스, 안지오텐신 II, 아니둘라푼진, 안티드, 아르기프레신, 아잘린 및 아잘린 B, 봄베신 길항제, 브라디키닌, 부세렐린, 세트로렐릭스, 시클로스포린 A, 데스모프레신, 데티렐릭스, 엔세팔린 (Leu-, Met-), 가니렐릭스, 고나도렐린, 고세렐린, 성장 호르몬 분비촉진제, 미카푼진, 나파렐린, 류프롤리드, 류프로렐린, 옥트레오티드, 오른티드, 옥시토신, 라모렐릭스, 세크레틴, 소마토트로핀, 테를리프레신, 테트라코삭티드, 테베렐릭스, 트립토렐린, 티롤리베린, 티로트로핀, 바소프레신이다.
활성 성분은 3000 내지 10,000 Da의 평균 분자량 Mw를 갖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예는 구체적으로 칼시토닌, 코르티코트로핀, 엔도르핀, 상피 성장 인자, 글루카곤, 인슐린, 노볼린, 부갑상샘 호르몬, 릴랙신, 프로-소마토스타틴, 연어 세크레틴이다.
활성 성분은 10,000을 초과하는 평균 분자량 Mw를 갖는 단백질 또는 펩티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백질 또는 펩티드의 예는 구체적으로 인터페론 (알파, 베타, 감마), 인터류킨 (IL1, IL2), 소마토트로핀, 에리트로포이에틴, 종양 괴사 인자 (TNF 알파, 베타), 릴랙신, 엔도르핀, 도마세 알파, 난포 자극 호르몬 (FSH), 인간 융모막 고나도트로핀 (HCG), 인간 성장 호르몬 방출 인자 (hGRF), 황체형성 호르몬 (LH) 또는 표피 성장 인자이다.
활성 성분은 데스모프레신, 또는 상이한 염들 또는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 또는 데스모프레신 락테이트와 같은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은 폴리사카라이드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은 헤파린, 또는 비분별 헤파린 또는 중간 분자량 헤파린 및 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초저분자량 헤파린과 같은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활성 성분은 핵산, 또는 예컨대 5-플루오로-우라실과 같은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기능식품 활성 성분의 예는 비타민, 필수 지방산, 항산화제로서의 포도 생성물 유래 레스베라트롤, 가용성 식이 섬유 생성물, 예컨대 고콜레스테롤혈증 감소를 위한 질경이 종자 껍질, 암 보존제로서의 브로콜리 (술판), 및 동맥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콩 또는 클로버 (이소플라보노이드)이다. 다른 기능식품 물질의 예는 플라보노이드, 항산화제, 아마 종자 유래의 알파-리놀레산, 금잔화 꽃잎 유래의 베타-카로텐, 또는 베리 유래의 안토시아닌이다.
기능식품 물질의 다른 예로는 비타민 및 무기질, 타우린, 오메가-3, 녹차 카테킨, 코-엔자임 Q10, 알로에 베라, 글루코사민, 콘트로이틴, 유장 단백질, 구아라나, 징코,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이 있다. 기타 기능식품 물질은 식물성 물질, 프로바이오틱스, 프리바이오틱스, 식물 스테롤 및 효소의 류에서 선택될 수 있다.
BCS 류 III 및 IV
활성 성분(들)은 예를 들면 BCS 류 III 및 IV (아미돈(Amidon) 교수에 따른 생물제약 분류 시스템; 문헌 [Amidon et al., Pharm. Res. 12, 413-420 (1995)])의 군, 및/또는 항안드로겐제, 항우울제, 항당뇨병제, 항류마티스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세포증식억제제, 편두통약, 신경이완제, 항생제, 에스트로겐, 비타민, 향정신약, ACE 억제제, β-차단제, 칼슘 채널 차단제, 이뇨제, 심 글리코시드, 항간질제, 이뇨제/항녹내장제, 요산생성억제제(uricostatics), H2 수용체 차단제 및 바이러스억제제의 군에 속할 수 있다.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는 1종 이상, 일반적으로는 단지 1종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2종 이상 활성 성분의 조합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활성 성분 역시 단일 활성 성분으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다수의 개별 활성 성분들로도 구성될 수 있다.
BCS 류 III - 낮은 투과도, 높은 용해도
투과율에 의해 흡수가 제한되나, 약물이 매우 빠르게 용매화됨.
BCS 류 IV - 낮은 투과도, 낮은 용해도
본 화합물은 저조한 생체이용률을 가짐. 이것은 보통 장 점막상에서 잘 흡수되지 않으며, 고도의 가변성이 예상됨.
BCS 류 III 및 IV의 활성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물질-수지(mass-balance) 측정을 기준으로, 또는 정맥내 투여량과 비교하여 투여된 투여량의 90 % 미만인 투과도를 갖는다. 투과도는 간접적으로는 인간에서의 약물 물질의 흡수 정도를, 직접적으로는 인간 장 멤브레인을 가로지르는 물질 전달률의 측정치를 기준으로 한다. 다르게는, 인간에서의 약물 흡수를 예시할 수 있는 약물 흡수 시스템을 예시할 수 있는 비-인간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시험관내 배양법). 인간에서의 흡수의 정도가 물질-수지 측정을 기준으로, 또는 정맥내 투여량과 비교하여 투여된 투여량의 90 % 이상인 것으로 측정될 때, 약물 물질은 고도로 투과성인 것으로 간주된다.
BCS 류 IV의 활성 성분은 3.3 g/l 이하의 탈염수 중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BCS 류 III의 활성 성분은 물에서 우수한 용해도를 갖는다. BCS 류 IV의 활성 성분은 낮은 투과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점은 특히 BCS 류 III의 활성 성분에 대하여 발휘되는데, 여기에서는 활성 성분의 투과도가 그의 생체이용률의 유일한 제약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증가된 투과도는 BCS 류 IV의 활성 성분 경우에서도 이 활성 성분의 물에서의 저조한 용해도의 제약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점차적인 소정의 생체이용률 향상을 달성하는 데에 유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성분(들)은 비칼루타미드, 아나스트로졸, 알벤다졸, 아미트립틸린, 아르테메테르, 클로르프로마진, 시프로플록사신, 클로파지민, 답손, 딜록사니드, 에파비렌즈, 엽산, 푸로세미드, 글리벤클라미드, 그리세오풀빈, 할로페리돌, 이베르멕틴, 이부프로펜, 이디나비르, 로피나비르, 루메판트린, 메벤다졸, 메플로퀸, 니클로사미드, 넬피나비르, 니페디핀, 니트로퓨란토인, 페니토인, 피란텔, 피레메타민, 레티놀, 리토나비르, 스피로노락톤, 술파디아진, 술파살라진, 술파메톡사졸, 트리클라벤다졸, 트리메토프림, 발프로산, 베라파밀, 와르파린, 날리딕스산, 네비라핀, 프라지쿠안텔, 리팜피신, 글리미피리드, 닐루타미드, 브로모크립틴, 케토티펜, 레트로졸, 나라트립탄, 간시클로비르, 오를리스타트, 미소프로스톨, 그라니스트론, 피오글리타존, 라미부딘, 로시글리타존, 지도부딘, 에날라프릴, 아테놀롤, 나돌롤, 펠로디핀, 베프리딜, 디곡신, 디기톡신, 카르바마제핀, 아세타졸라미드, 알로퓨리놀, 시메티딘, 라니티딘 또는 옥스카르바제핀일 수 있다.
물에서의 용해도
활성 성분은 3.3 g/l 이하, 바람직하게는 3.3 g/l 이하, 특히 1.1 g/l 이하의 탈염수 중 용해도를 가질 수 있다.
활성 성분의 물에서의 용해도는 DAB 10 (문헌 [Deutsches Arzneibuch [German Pharmacopoeia], 10th edition with 3rd revision 1994, Deutscher Apothekerverlag, Stuttgart and Govi Verlag, Frankfurt am Main, 2nd revision (1993), IV Allgemeine Vorschriften [IV General methods], p. 5-6, "Loslichkeit und Losungsmittel" ["Solubility and solvents"]]; [Ph. Eur. 4.07, 2004]도 참조)에 따라 정의될 수 있다.
활성 성분 효소 분해의 억제
활성 성분이 생물학적 기원의 분자, 예를 들면 단백질 또는 펩티드, 핵산, 지질 또는 탄수화물,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천연 또는 합성 유도체인 경우, 위장관로의 환경 조건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활성 성분의 효소 분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억제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억제제는 생체이용률 촉진제와는 다르므로, 부가적으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의 효소 분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그와 같은 억제제는 생물학적 기원의 활성 성분에 대하여 어느 정도 특이적이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의 효소 분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억제제는 동물 또는 인간에서의 소정의 적용과 관련하여 제약상 허용가능해야 한다. 제약상 허용가능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안전 상태로 인식된다는 것 (GRAS), 또는 GRAS 상태에 필적하는 무엇인가가 존재한다는 의미로 정의될 수 있다.
활성 성분이 주로 트립신 또는 키모트립신의 기질인 단백질 또는 펩티드인 경우에는, 보통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데,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이미 그와 같은 억제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단백질분해 효소가 분해의 원인이 되는 경우로 다른 단백질분해 효소가 부가될 수 있다는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제제에 생체이용률 촉진제 이외에 다른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성분이 핵산, 바람직하게는 DNA 또는 RNA인 경우, 효소 분해의 억제제는 DNAse- 또는 RNAse-억제제, 바람직하게는 포유 동물 또는 인간 공급원 유래의 DNAse- 또는 RNAse-억제제이다.
활성 성분이 예를 들면 프로테오글리칸, 헤파린 또는 헤파란술페이트와 같은 글리코시드 물질, 바람직하게는 술폰화 또는 비-술폰화 글루코스아미노글리칸인 경우, 효소 분해의 억제제는 헤파라나제 (EC. 3.2.1.B2) 또는 헤파린 라이아제 (EC. 4.2.2.7) 또는 헤파린술페이트 라이아제 (EC. 4.2.2.8)의 억제제일 수 있다. 다른 억제제는 L-이듀로니다제 (EC 3.2.1.76), N-술포글루코사민-3-술파타제 (EC 3.1.6.15), 이듀로네이트-2-술파타제 (EC 3.1.6.13), 헤파린-알파-글루코사미니드 N-아세틸트랜스퍼라제 (EC 2.3.1.78), 알파- 및 베타-아밀라제 (EC 3.2.1.1, EC 3.2.1.2), 글루칸 1,4-알파-글루코시다제 (EC 3.2.1.3), 알파,알파-트레할라제 (EC 3.2.1.28) 또는 슈크로스 알파-글루코시다제 (EC 3.2.1.48)의 억제제일 수 있다.
헤파라나제 (EC. 3.2.1.B2)는 세포 표면 및 기저 멤브레인-헤파란술페이트-프로테오글리칸으로부터 헤파란술페이트-사슬을 특이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내생 효소이다.
헤파라나제 효소 분해 억제제의 예는 바람직하게는 스틸벤, 플라보노이드 또는 안토시안의 군에 속하는 폴리페놀이다. 바람직한 것은 예를 들면 폴리고눔 쿠스피다툼( Polygonum cuspidatum ) 또는 포도나무에서 분리될 수 있는 레스베라트롤 (트랜스-3,4,5-트리히드록시스틸벤)이다. 헤파라나제에 대한 레스베라트롤의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문헌 [Ahn et . al . (2006) Life Sciences 79, 1661-1665]에 제시되어 있다.
침투 촉진제
본 발명에 있어서, 침투 촉진제는 시험관내 시험 시스템에서 카코-II-세포의 경상피 전기 저항 (TEER-값)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침투 촉진제는 수송 장벽으로서 카코-2-세포 단층 배양물에서 측정하였을 때, 침투 촉진제가 없는 완충제 용액의 최초 TEER-값 (100 %)을 60분 후 1 mg/ml 농도의 침투 촉진제의 존재하에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각각 카코-2-세포 단층 배양물 장벽을 통하는 카코-2-세포 단층 배양물을 사용한 수송 실험에서 TEER-값을 시험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충분히 확립되어 알려져 있다.
불명확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시예 12에서도 사용되는 바와 같은 개략적인 조건이 하기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카코-2 계대 수 50회 미만; 배양물 연령 트랜스웰(Transwell)™ 필터상에서 14 내지 30일; 200 Ωㆍcm2을 상회하는 수송 전 및 후의 TEER 값 (세포 단층의 완전성 및 견고성을 나타냄); 1ㆍ10-6 cmㆍs-1 미만인 저투과성 마커 (플루오레세인)의 겉보기 투과도 계수 (정점/기저측부(apical/basolateral) 및 기저측부/정점 (ab 및 ba)) (세포 단층의 견고성을 입증하는 저투과성 수송을 확인하기 위한 모델의 적합성을 나타냄); 4ㆍ10-6 cmㆍs-1을 초과하는 로다민 123의 겉보기 투과도 계수 (ba) (P-글리코단백질의 분명한 발현을 나타냄); 5ㆍ10-6 cmㆍs-1을 초과하는 프로프라놀롤의 겉보기 투과도 계수 (ab) (고투과성 수송을 확인하기 위한 모델의 적합성을 나타냄); 정점 또는 기저측부 측에 대한 수송 실험에 사용될 수 있는 완충제는 정점 측의 경우 pH 6.5 내지 7.4의 HBSS 완충제이며, 기저측부 측의 경우 pH 7.4의 HBSS 완충제임 (pH는 개별 조정됨); 세포 배양 배지: 바람직하게는 당업계 공지의 비-필수 아미노산 및 젠타마이신 술페이트가 보충된 둘베코 개질 이글 배지 (DMEM).
바람직한 침투 촉진제는 중합체 물질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양이온성 중합체 물질이다.
바람직한 침투 촉진제는 3급 아미노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침투 촉진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 내지 C4-알킬 에스테르 30 내지 80 중량%, 및 알킬 라디칼에 3급 아미노 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70 내지 20 중량%로 구성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배제될 수 있는 침투 촉진제는 특히 가소제 예를 들자면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부틸 세바케이트, 중합체 예컨대 카르보머,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카르보필-시스테인, 장쇄 지방산, 그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모노 및 디글리세리드) 및 그의 염 예컨대 라우르산, 라우린술폰산, 팔미트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올레산, 아실카르니틴, 킬레이팅제 예컨대 EDTA, 살리실레이트, 시클로덱스트린, 폴리아크릴산, 담즙산 예컨대 콜산, 콜리타우린, 콜릴사르코신, 케노데옥시콜산 및 그의 염 예컨대 Na 콜레이트, Na 글리코콜레이트, Na 타우로콜레이트, Na 타우로디히드로퓨시데이트, Na 글리코디히드로퓨시데이트, 계면활성제 및 유화제 예컨대 특히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 (SDS), 폴리소르베이트 80 (트윈 80), 폴리에톡실화 피마자 오일 (크레모포르(Cremophor) EL), 독소인 조눌라 오클루덴스(zonula occluden) 독소 (ZOT) 및 비타민 예컨대 비타민 E (토코페롤) 또는 비타민 B12이다.
유드라지트? E 유형
3급 아미노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알킬 라디칼에 3급 아미노 기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EP 0 058 765 B1에 공지되어 있다.
3급 아미노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자유-라디칼식으로 중합된 C1- 내지 C4-알킬 에스테르 30 내지 80 중량%, 및 알킬 라디칼에 3급 아미노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70 내지 2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관능성 3급 아미노 기를 갖는 적합한 단량체에 대해서는 US 4 705 695의 컬럼 3, 64 줄 내지 컬럼 4, 13 줄에 상술되어 있다. 특히, 디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2-디메틸아미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벤질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벤질 메타크릴레이트, (3-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3-디에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및 (디에틸아미노-2,2-디메틸)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이다.
공중합체에서의 3급 아미노 기를 갖는 단량체의 함량은 유리하게는 20 내지 70 중량% 사이,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 사이일 수 있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 내지 C4-알킬 에스테르의 비율은 70-30 중량%이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3급 아미노 기를 갖는 적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20-3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0-30 중량%의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60-40 중량%의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3급 아미노 기를 갖는 특히 적합한 시중의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25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 중량%의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50 중량%의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형성된다 (유드라지트? E 100 또는 유드라지트? E PO (분말 형태)). 유드라지트? E 100 및 유드라지트? E PO는 대략 pH 5.0 미만에서 수용성이며, 그에 따라 또한 위액-가용성이다.
침투 촉진제는 유드라지트? E 유형의 것인 소위 "아미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USP/NF)", "염기성 부틸화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Ph. Eur)" 또는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E (JPE)"일 수 있다.
카르보네이트화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사용
3급 아미노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서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침투 촉진제는 유리하게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카르보네이트화된 수성 매체의 형태로 예를 들면 분무 코팅에 의해 코어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매트릭스 구조 또는 층상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코어의 제제에 침투 촉진제를 첨가함으로써, 매트릭스 또는 코어 주변의 층 중 침투 촉진제가 어떠한 미량의 산도 함유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구현하는 데에, 이산화탄소에 의해 카르보네이트화된 수성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아미노 기가 수성 상 중에 용해된 탄산/수소 카르보네이트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화되며, 그에 따라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적어도 분산되거나, 부분적으로 용해되거나, 또는 심지어는 완전히 용해되거나, 아니면 이러한 상태들 사이의 어느 것이 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함유 카르보네이트화 수성 매체는 유기 용매 용액과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유기 용매가 아닌 카르보네이트화된 물이 제거된다. 이산화탄소는 증기와 함게 제거되기 때문에, 이는 본 발명의 분산액 또는 용액으로부터 제조되는 건조된 코팅이 어느 정도 순수한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 구성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고체 또는 액체 산에 의해 부분적으로 중화되며, 건조된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제제와 함께 산 또는 기타 부형제가 항상 잔존하는 수성 분산액에 비해 놀라운 장점이다.
따라서, 탈염수에 가용성이 아닌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성 매체를 사용하는 것은 유리한데, 여기서 상기 매체는 매체 중에 용질 형태로 존재하게 되는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에 영향을 주는 충분한 양의 이산화탄소로 수성 상이 충전되도록, 60 중량% 이상의 수성 상 함량, 및 40 중량% 이하의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체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생체이용률 촉진제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로서,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에 비해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5배 이상 증가시킨다.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의 억제제이다.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는 실시예 14 효소 억제 실험의 경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는 1 mg/ml를 초과하지 않는 농도로, 10 mg/ml의 농도를 갖는 판크레아틴(pancreatin) 용액의 존재하에, pH 6.5, 37℃의 HBSS 완충제 중 180분의 인큐베이션 시간에서 최초량 20 ㎍의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ml용액이 80 % 미만까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는 억제제로 정의될 수 있다.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5배, 바람직하게는 6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7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8배이상, 바람직하게는 9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증가시킴으로써,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 또는 동일 제제에 비교한 상대적인 생체이용률으로 생체내에서 측정되는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기원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위장관로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이다.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에는 펩티다제 또는 프로테이나제의 억제제가 포함된다.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침투 촉진제와는 다르다.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3급 아미노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는 다르다.
제약상 적합한 프로테아제 억제제의 예는 안티페인, 아프로티닌, 바시트라신, 벤즈아미딘, 베스타틴, 키모스타틴, 닭 오보억제제(ovoinhibitor), 키토산-EDTA 접합체, 류펩틴, 펩스타틴, 대두 트립신 억제제, 티오르판, tos-lys 클로로메틸 케톤, 감자 카르복시펩티다제 억제제이다.
바람직하게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이다. 바람직하게는, 펩티다제- 또는 프로테이나제-억제제는 3,00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3,000 내지 10,000 (g/mol)의 분자량 (중량 평균 Mw)을 갖는 펩티드 또는 단백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는 인간 트립신 또는 키모트립신과 같은 포유동물 기원 펩티다제 또는 프로테이나제의 단백질분해 활성을 억제한다.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는 천연 발생 효소 또는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천연 발생 효소로부터 유래하는 것은 그의 단편 또는 변종을 의미한다. 그의 단편 또는 변종은 유전자 기술 방법에 의한 합성 처리 또는 변형에 의해 가용하다.
단백질분해 효소의 바람직한 억제제는 예를 들면 대두, 병아리콩 또는 리마콩과 같은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기원한다.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가 분리될 수 있는 통상적인 원료 또는 공급원은 콩 분 또는 플레이크, 병아리콩 분, 리마콩 분, 또는 산업용 콩 단백질 농축물 또는 통상적인 콩 단백질 공정으로부터 제조되는 콩 유장일 수 있다.
보우만-버크 억제제 (BBI)는 대두 및 다양한 다른 종자, 주로 콩과의 종자 및 식물성 재료에서 발견되는 안정한 저분자량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 억제제 류의 잘 알려져 있는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 명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우만-버크 억제제 (BBI)는 보우만-버크 억제제 효소 류의 적어도 1종 이상 구성원을 의미할 수 있다.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는 보우만-버크 억제제 또는 그의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보우만-버크 억제제는 바람직하게는 트립신 및 키모트립신에 대하여 별개의 억제 측을 갖는 대두 유래의 71 아미노산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보우만-버크 억제제는 수 추출,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및 이후의 용리에 의해 상기 언급된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공지의 방식으로 단리될 수 있다. 다르게는, 보우만-버크 억제제는 여러 공급처로부터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보우만-버크 억제제의 유도체는 그의 단편 또는 변종일 수 있다. 그의 단편 또는 변종은 유전자 기술 방법에 의한 합성 처리 또는 변형에 의해 가용하다. 이와 같은 취지에서의 유도체라는 용어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의 중량 기준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활성 성분 중량 대비 0.1 내지 100 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인 생체이용률 촉진제의, 본 발명 제제에서의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부형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증가된 경구 생체이용률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5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6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7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8배이상, 바람직하게는 9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배 이상 증가시키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이다.
증가된 경구 생체이용률의 계산
경구 생체이용률이라는 용어 및 상대적인 경구 생체이용률의 계산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활성 성분 경구 생체이용률의 증가 배수는 제제의 경구 전달 후 농도-시간 곡선 아래의 면적 (AUC0 -∞ [pg/mL·분])으로 표현되는 시험 동물 군의 혈액 수준 농도를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의 경구 전달 후 해당 시험 동물 군의 상응하는 혈액 수준 농도로 나누는 것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시험 동물 군은 대표 군, 또는 각각 통계적으로 적절한 군이어야 한다. 당업자라면, 관련 통계에 대해 익숙하다. 따라서, 대표 군, 또는 통계적으로 적절한 시험 동물 수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험 동물은 미니피그 (괴팅겐(Goettingen))이다. 대표 군 또는 통계적으로 적절한 미니피그 시험 동물의 군은 예를 들면 8 마리의 동물로 구성될 수 있다 (n=8).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를 갖는 실시예 11에 따른 제제를 사용한 데스모프레신의 경구 전달 후 미니피그 혈액으로부터의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AUC0 -∞ [pg/mL·분])이 본 발명의 실시예 16에 제시되어 있는 바, 53823 pg/mL·분이다. 이는 AUC0 -∞가 5155 pg/mL·분인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 (실시예 10)의 AUC0 -∞와 비교된다. 따라서, 경구 생체이용률의 증가 배수는 53823/5155 = 10.44로 계산된다.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장용 코팅
적어도 입자 또는 투약 단위의 코어는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은 각각 장용 코팅 층인 장용 코팅이다.
장용 코팅 층은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의 가소제 또는 활택제와 같은 추가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용 코팅 층은 추가적인 부형제를 본질적 양으로는 함유하지 않거나, 더 이상 함유하지 않는다.
장용 코팅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장용 코팅은 위액에서는 가용성이 아니지만, 장액에서는 가용성이다. 위 저항성(gastric resistance)은 pH 1.2의 완충제에서 120분 이내에 10 % 이하의 활성 성분이 방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액에서 가용성이라는 것은 십이지장, 공장, 회장 또는 결장에서, 그것이 그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5.0 내지 7.5 사이의 소정 pH 값에서 용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은 카르복실 관능성 공중합체 음이온성 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성 중합체 또는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카르복실 관능성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셀룰로스성 중합체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그의 염 (CMC, Na-CMC, 블라노스, 타일로푸르), 카르복시메틸에틸 셀룰로스 및 그의 염,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CAP),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CAS),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트리멜리에이트 (CAT),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프탈레이트 (HPMCP, HP50, HP55),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HPMCAS-LF, -MF, -HF)에서 선택될 수 있다.
적합한 카르복시 관능성 공중합체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또는 비닐아세테이트와 크로톤산의 9:1 공중합체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이 아닌 다른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비닐 공중합체이다.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다.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장 중합체로도 지칭될 수 있다.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자유-라디칼 중합된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 내지 C4-알킬 에스테르 2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95, 특히 60 내지 40 중량%, 및 음이온성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75 내지 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5, 특히 4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한다.
언급된 비율들은 합계 100 중량%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예를 들면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같이 비닐계 공중합을 할 수 있는 추가적인 단량체 0 내지 10, 예를 들면 1 내지 5 중량% 범위 소량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 역시 가능할 수 있는데, 이것이 본질적인 특성의 손상 또는 변경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비닐계 공중합을 할 수 있는 그와 같은 다른 단량체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 내지 C4-알킬 에스테르는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이다.
음이온성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이다.
적합한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40 내지 60 중량%의 메타크릴산, 및 60 내지 4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60 내지 40 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것들 (유드라지트? L 또는 유드라지트? L 100-55 유형)이다.
유드라지트? L은 5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50 중량%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이다. 장액 또는 모사 장액에서의 특정 활성 성분 방출의 개시 pH는 pH 6.0인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유드라지트? L 100-55는 50 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50 중량%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이다. 유드라지트? L 30 D-55는 30 중량%의 유드라지트? L 100-55를 포함하는 분산액이다. 장액 또는 모사 장액에서의 특정 활성 성분 방출의 개시 pH는 pH 5.5인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합한 것은 20 내지 40 중량%의 메타크릴산 및 80 내지 6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유드라지트? S 유형)이다. 장액 또는 모사 장액에서의 특정 활성 성분 방출의 개시 pH는 pH 7.0인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적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10 내지 30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50 내지 70 중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5 내지 15 중량%의 메타크릴산으로 구성되는 것들 (유드라지트? FS 유형)이다. 장액 또는 모사 장액에서의 특정 활성 성분 방출의 개시 pH는 pH 7.0인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유드라지트? FS는 25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65 중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10 중량%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이다. 유드라지트? FS 30 D는 30 중량%의 유드라지트? FS를 포함하는 분산액이다.
추가적으로 적합한 것은
20 내지 34 중량%의 메타크릴산 및/또는 아크릴산,
20 내지 69 중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0 내지 40 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경우에 따라
0 내지 10 중량%의, 비닐 공중합을 할 수 있는 추가적인 단량체
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로서, 단, ISO 11357-2, 부단원 3.3.3에 따른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는 60℃ 이하이다. 이와 같은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그의 우수한 파단 신율 특성으로 인하여, 펠릿을 정제로 압축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추가적으로 적합한 것은
20 내지 33 중량%의 메타크릴산 및/또는 아크릴산,
5 내지 30 중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20 내지 40 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10 중량% 초과 내지 30 중량%의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경우에 따라
0 내지 10 중량%의, 비닐 공중합을 할 수 있는 추가적인 단량체
(여기서 단량체들의 비율은 합계 100 중량%가 됨)
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로서, 단, ISO 11357-2, 부단원 3.3.3에 따른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중앙점 온도 T mg )는 55 내지 70℃이다. 이와 같은 유형의 공중합체는, 그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으로 인하여, 펠릿을 정제로 압축하는 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언급된 공중합체는 특히 자유-라디칼 중합된 하기의 단위체들로 구성된다: 20 내지 33,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2, 특히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1 중량%의 메타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 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8,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의 메틸 아크릴레이트,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10 초과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특히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2 중량%의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여기서 단량체 조성은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5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59 내지 66℃,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65℃가 되도록 선택됨).
이와 관련하여, 유리 전이 온도는 구체적으로 ISO 11357-2, 부단원 3.3.3에 따른 중앙점 온도 T mg 를 의미한다. 측정은 가소제의 첨가 없이, 100 ppm 미만의 잔류 단량체 함량 (REMO)으로, 10℃/분의 가열 속도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하에 이루어진다.
본질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된 양 범위의 단량체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90, 95 또는 99 내지 100 중량%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예를 들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피롤리돈, 비닐말론산, 스티렌, 비닐 알콜, 비닐 아세테이트 및/또는 그의 유도체와 같이 비닐계 공중합을 할 수 있는 추가적인 단량체 0 내지 10, 예컨대 1 내지 5 중량% 범위 소량이 추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것이 반드시 본질적인 특성의 손상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단량체의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공지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EP 0 704 207 A2 및 EP 0 704 208 A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는 예를 들면 DE-C 2 135 073에 기술되어 있는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유화제의 존재하에 수성 상 중에서, 자유-라디칼 유화 중합에 의해 공지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용액 중에서 자유-라디칼 형성 개시제, 및 경우에 따라서는 희석되지 않은 분자량을 조정하기 위한 조절제의 존재하에 연속식 또는 불연속식으로 (배치 공정), 통상적인 자유-라디칼 중합 공정에 의해, 비드(bead) 중합에 의해, 또는 유화액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평균 분자량 Mw (중량 평균, 예를 들면 용액 점도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됨)는 예를 들면 80,000 내지 1,000,000 (g/mol)의 범위일 수 있다. 수용성 개시제 및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유화제 존재하의 수성 상 중에서의 유화 중합이 바람직하다.
벌크 중합의 경우, 공중합체는 분쇄, 압출, 과립화 또는 고온 절단에 의해 고체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자유-라디칼, 벌크, 용액, 비드 또는 유화 중합에 의해 공지의 방식으로 수득된다. 처리 전에, 그들은 적합한 분쇄, 건조 또는 분무 공정에 의해 본 발명의 입자 크기 범위로 될 수 있다. 이는 압출 및 냉각된 펠릿의 간단한 분쇄 또는 고온 절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분말의 사용은 특히 다른 분말 또는 액체와의 혼합물에서 유리할 수 있다. 분말을 생성시키기 위한 적합한 장치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익숙하며, 예를 들면 공기 분사 제분기, 고정 디스크 제분기, 격실 제분기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적절한 체질 단계를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 규모의 대량을 위한 적합한 제분기는 예를 들면 약 6 bar의 게이지 압력으로 작동되는 대향 분사 제분기 (멀티(Multi) No. 4200)이다.
부분적 중화
본 발명의 목적상 적합한 염기는 EP 0 088 951 A2 또는 WO 2004/096185에 언급되어 있는 것들, 또는 그로부터의 유도가능한 것들이다. 중화를 위한 다른 적합한 염기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수산화칼륨 용액 (KOH), 수산화암모늄 또는 유기 염기 예를 들자면 트리에탄올아민, 나트륨 카르보네이트, 칼륨 카르보네이트, 나트륨 비카르보네이트, 트리나트륨 포스페이트, 트리나트륨 시트레이트 또는 암모니아, 또는 생리학상 허용되는 아민 예컨대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이다.
다른 적합한 양이온성 유기 염기는 염기성 아미노산인 히스티딘, 알기닌 및/또는 리신이다.
혼합에 의한 부분적 중화도의 조정
혼합이 부분적 중화도 조정에 있어서의 기술적 장점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내부 코팅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 내지 C4-알킬 에스테르 25 내지 95 중량% 및 음이온성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75 중량%의 자유-라디칼 중합된 단위체들로 구성되는 부분적 중화도가 서로 다른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들의 혼합물이 사용되는데, 여기서 함유된 음이온성 기 중 혼합물에 대한 평균으로 계산하여 1 내지 80 %는 염기에 의해 중화되어 있다.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중화되어 있지 않으며,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 내지 C4-알킬 에스테르 25 내지 95 중량% 및 음이온성 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5 내지 75 중량%의 자유-라디칼 중합된 단위체들로 구성되는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언급된 양 범위 내의 동일한 단량체 조성을 갖는 부분적으로 중화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함유되어 있는 음이온성 기 중 혼합물에 대한 평균으로 계산하여 1 내지 80 %가 중화되도록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혼합물은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중화된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분산액으로부터 예컨대 분무 건조 또는 냉동 건조에 의해 수득된 분말을 부분적으로 중화되지 않은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분산액 내에서 교반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코어의 일부로서의 동기화 층
임의의 동기화 층 (서브-코트(sub-coat) 층)이 코어에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층은 활성 성분과 생체이용률 촉진제의 용해를 동기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동기화 층은 서브-코트 층 또는 분리 층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서브-코트 층은 코어의 물질을 서로 비상용성일 수 있는 장용 코팅 층의 물질로부터 분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코어 내의 침투 촉진제가 3급 아미노 기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고, 외부 장용 코팅이 음이온성 셀룰로스 중합체 또는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인 경우, 원치 않는 상호작용이 존재할 수 있는데, 서브-코트를 첨가함으로써 그것이 방지될 수 있다. 서브 코트는 방출 특성에 대해서는 본질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는다. 서브 코트는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수용성인데, 예를 들면 그것은 필름 형성제로서의 히드록실 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HPMC)와 같은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하위코트 층의 평균 두께는 매우 얇은, 예를 들면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이다.
서브-코트 층은 50 중량% 이상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코트 층은 9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의 생체이용률 촉진제 총량을 제제 중에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성분의 분자량이 생체이용률 촉진제의 분자량보다 더 작거나 훨씬 더 작은 경우, 활성 성분은 생체이용률 촉진제보다 더 빠르게 코어 물질로부터 확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활성 성분은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동반하지 않고 표적 세포에 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양 물질이 함께 세포에 도달할 경우에 기대되는 바와 같은 원하는 효과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코트 층은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의 각각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인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코어로부터의 활성 성분의 방출 전에 빠르게 용해되는 서브-코트로부터 나오는 적어도 소량의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표적 세포로 가는 길에 이미 존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활성 성분과 생체이용률 촉진제의 방출을 동기화하는 것을 돕는다 (동기화 층).
반대로, 서브-코트 층이 20 % 이하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활성 성분의 분자량이 펩티다제- 또는 프로테이나제-억제제의 분자량에 비해 더 크거나 훨씬 더 큰 경우, 활성 성분은 펩티다제- 또는 프로테이나제-억제제보다 느리게 코어 물질로부터 확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펩티다제- 또는 프로테이나제-억제제는 활성 성분을 동반하지 않고 표적 세포에 도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양 물질이 함께 세포에 도달할 경우에 기대되는 바와 같은 원하는 효과에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코트 층은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의 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코어로부터의 펩티다제- 또는 프로테이나제-억제제의 방출 전에 빠르게 용해되는 서브-코트로부터 나오는 적어도 소정 양의 활성 성분이 표적 세포로 가는 길에 이미 존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는 활성 성분과 펩티다제- 또는 프로테이나제-억제제를 동기화하는 것을 돕는다 (동기화 층).
존재하는 경우, 동기화 층은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의 추가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기화 층은 추가적인 부형제를 본질적 양으로는 함유하지 않거나, 더 이상 함유하지 않는다.
다중미립자 제약 형태의 제조
활성 물질-함유 펠릿 코어는 제약상 통상적인 부형제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식으로, 함유된 펠릿이 위의 pH 범위에서 방출되도록 제제화된 다중미립자 제약 형태, 특히 펠릿-함유 정제, 미니정제, 캡슐, 사쉐 또는 재구성용 분말로 가공될 수 있다. 다중미립자 제약 형태로서의 제제는 높은 투약량 신뢰성을 제공하며, 장 내강에서의 펠릿의 균일한 분포라는 장점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다중미립자 제약 형태는 또한 상이한 활성 물질들 및/또는 상이한 펠릿 구조를 갖는 상이한 펠릿 유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압축 정제
활성 성분-함유 입자와의 제약상 통상적인 결합제의 압축에 의한 다중미립자 제약 형태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문헌 [Beckert et al. (1996), "Compression of enteric-coated pellets to disintegrating tablets",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ceutics 143, pp . 13-23], 및 WO 96/01624에 기술되어 있다.
활성 성분-함유 펠릿상의 필름 코팅은 보통 유동화 상 장치에서 적용된다. 제제화 예는 본 출원에서 언급되어 있다. 필름 형성제는 보통 적합한 공정에 의해 가소제 및 방출제와 혼합된다. 이와 같은 경우, 필름 형성제는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인 것이 가능하다. 필름 형성을 위한 부형제 역시 용해되거나 현탁될 수 있다. 유기 또는 수성 용매 또는 분산제가 사용될 수 있다. 분산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안정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 트윈 80 또는 기타 적합한 유화제 또는 안정화제).
방출제의 예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또는 기타 적합한 지방산 유도체, 실리카 유도체 또는 활석이다. 가소제의 예는 프로필렌 글리콜, 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세바케이트 또는 시트레이트, 그리고 문헌에 언급되어 있는 기타 물질들이다.
코팅된 입자로 구성되는 정제를 제조하기 위한 혼합물은 펠릿을 적합한 정제화용 결합제와 혼합하고, 필요에 따라 붕해-촉진 물질을 첨가한 후, 필요에 따라 윤활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혼합은 적합한 기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하지 않은 혼합기는 코팅된 입자에 대한 손상으로 이어지는 것들, 예를 들면 플로우셰어(plowshare) 혼합기이다. 적합한 짧은 붕해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코팅된 입자에 특정 순서로 부형제들을 첨가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코팅된 입자를 윤활제 또는 이형제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예비혼합함으로써, 그의 표면이 소수성이 되어 접착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제화에 적합한 혼합물은 보통 3 내지 15 중량%의 붕해 보조제, 예컨대 콜리돈(Kollidon) CL, 및 예를 들면 0.1 내지 1 중량%의 윤활제 및 이형제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결합제의 비율은 코팅 입자의 요구 비율에 의해 결정된다.
통상적인 결합제의 예는 셀락토스?,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칼슘 포스페이트, 루디프레스?, 락토스 또는 다른 적합한 당, 칼슘 술페이트 또는 전분 유도체이다. 낮은 벌크 밀도를 갖는 물질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붕해 보조제 (붕해제)는 가교된 전분 유도체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그리고 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이다. 셀룰로스 유도체가 역시 적합하다. 적합한 결합제의 선택을 통하여 붕해 보조제의 사용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상적인 윤활제 및 이형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다른 적합한 지방산의 염, 또는 이와 같은 목적으로 문헌에 상술되어 있는 물질들 (예컨대 라우르산, 칼슘 스테아레이트, 활석 등)이다. 적합한 기계 (예컨대 외부 윤활을 사용하는 정제 프레스) 또는 적합한 제제화의 사용시에는 혼합물에서의 윤활제 및 이형제의 사용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동을 개선하기 위한 보조제 (예컨대 콜로이드 실리카 유도체, 활석 등)을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제화는 통상적인 정제 프레스, 편심 또는 회전 정제 프레스에서 5 내지 40 kN, 바람직하게는 10-20 kN 범위의 압축력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정제 프레스에는 외부 윤활을 위한 시스템이 장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임펠러 외륜에 의한 다이 충진을 방지하는 특별한 다이 충진용 시스템이 사용된다.
추가의 다중미립자 제약 형태
압축 정제 또는 미니정제에 대한 대안으로, 활성 물질-함유 코팅 펠릿이 임의의 다른 경구 투여 다중미립자 제약 형태로 가공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코팅된 펠릿은 캡슐, 예컨대 젤라틴 캡슐 내에 포장될 수 있거나, 또는 사쉐 또는 재구성가능 분말로 제제화될 수 있다.
용도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인 생체이용률 촉진제의, 본 발명 제제에서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부형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는 인간 또는 수의 적용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기능식품 물질
기능식품 물질은 인간 건강에 대한 의료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주장되는 식품의 추출물로 정의될 수 있다. 기능식품 물질은 보통 정해진 투여량으로 캡슐, 정제 또는 분말과 같은 의료용 구성물에 함유되어 있다. 기능식품 물질의 예는 항산화제로서의 포도 생성물 유래 레스베라트롤, 가용성 식이 섬유 생성물, 예컨대 고콜레스테롤혈증 감소를 위한 질경이 종자 껍질, 암 보존제로서의 브로콜리 (술판), 및 동맥 건강을 향상시키기 위한 콩 또는 클로버 (이소플라보노이드)이다. 다른 기능식품 물질의 예는 플라보노이드, 항산화제, 아마 종자 유래의 알파-리놀레산, 금잔화 꽃잎 유래의 베타-카로텐, 또는 베리 유래의 안토시아닌이다. 종종 기능식품 물질(neutraceuticals)이라는 표현이 기능식품 물질에 대한 동의어로서 사용된다.
부형제
코어, 임의로 동기화 층 및 장용 코팅은 그의 본질적 성분들 이외에도 본질적 성분과는 다른 추가적인 부형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질적 성분은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생체이용률 촉진제, 및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이다. 동기화 층의 경우에는, 물론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또는 생체이용률 촉진제 중 어느 하나의 일부와 함께 바람직하게는 수용성인 필름 형성 중합체에 의해 층이 형성되는 것이 본질적이다.
임의의 동기화 층이 없는 코어는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의 추가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추가적인 부형제를 본질적 양으로는 함유하지 않거나, 더 이상 함유하지 않는다.
존재하는 경우, 동기화 층은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의 추가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동기화 층은 추가적인 부형제를 본질적 양으로는 함유하지 않거나, 더 이상 함유하지 않는다.
장용 코팅 층은 50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의 추가적인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용 코팅 층은 추가적인 부형제를 본질적 양으로는 함유하지 않거나, 더 이상 함유하지 않는다.
제약 또는 기능식품 부형제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제약 또는 기능식품 부형제는 실시상의 이유로, 예를 들면 점착성을 방지하거나, 색상을 부가하기 위하여 함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형제들은 보통 본원에서 청구되는 바와 같은 발명 자체에는 기여하지 않거나, 효과를 조금도, 또는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 그들은 가공 보조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신뢰성 있고 재현가능한 제조 방법은 물론, 우수한 장기간 저장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거나, 또는 제약 형태에서의 추가적인 유리한 특성을 달성한다.
적합한 부형제는 항산화제, 증백제, 결합제, 향미제, 유동 보조제, 방향제, 활택제, 침투-촉진제, 안료, 가소제, 중합체, 기공-형성제 또는 안정화제일 수 있다. 물론, 사용되는 모든 물질은 독성학적으로 안전해서, 환자에 대한 위험성 없이 제약 물질 또는 기능식품 물질에 사용되어야 한다.
가소제
가소제는 중합체와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첨가된 양에 따라 유리 전이 온도의 감소 및 필름 형성의 촉진을 달성한다. 적합한 물질은 보통 100 내지 20,000 사이의 분자량을 가지며, 분자에 하나 이상의 친수성 기, 예컨대 히드록실, 에스테르 또는 아미노 기를 포함한다.
적합한 가소제의 예는 알킬 시트레이트, 글리세롤 에스테르, 알킬 프탈레이트, 알킬 세바케이트, 슈크로스 에스테르, 소르비탄 에스테르,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부틸 세바케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내지 12,000이다. 바람직한 가소제는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TEC), 아세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ATEC), 디에틸 세바케이트 및 디부틸 세바케이트 (DBS)이다. 실온에서 보통 액체인 시트레이트, 프탈레이트, 세바케이트 또는 피마자 오일과 같은 에스테르들을 추가적으로 언급할 수 있다. 시트르산 및 세바스산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제제에 대한 가소제의 첨가는 수용액에서 바로, 또는 혼합물의 열적 예비-처리 후에 공지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가소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활택제/방출제/점착방지제:
활택제, 방출제 또는 점착방지제(detackifier)는 보통 친유성 특성을 가지며, 보통 분무 현탁액에 첨가되어 있다. 그들은 코어 제제 또는 장용 코팅에 첨가될 수 있다. 그들은 필름 형성 동안의 코어의 응집, 또는 코팅된 펠릿의 응집을 방지한다. 그 예는 활석, Mg- 또는 Ca-스테아레이트, 분쇄 실리카, 카올린, 또는 2 내지 8 사이의 HLB 값을 갖는 비이온성 유화제이다. 본 발명의 코팅 및 결합제에서의 활택제의 표준 사용 비율은 코어 중량 대비, 또는 장용 코팅 중량 대비 0.5 내지 70 중량% 사이의 범위이다.
데이터 계산
계산은 MS 엑셀 스프레드시트 패키지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겉보기 투과도 계수 (Papp)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Papp를 계산하였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4
ΔQ/Δt: 시간에 대한 기질 수송량의 프로파일로부터 수득되는 투과율 (정상 상태 수송 속도) [㎍ 또는 dpmㆍs-1]. 시간 및 농도의 선형 회귀에 의해 계산됨.
A: 노출된 세포 단층의 면적 [cm2]
m0: 공여체 구획에서의 시험 화합물의 최초 질량 [㎍ 또는 dpm]
VD: 공여체 구획의 완충제 부피 [cm3]
경상피 전기 저항 (TEER)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TEER을 계산하였다.
<수학식 2>
Figure pct00005
Rc (A): 면적 A를 갖는 단층의 전기 저항 [Ωㆍcm2]
Rc +f: 필터를 포함하는 단층의 전기 저항 [Ω]
Rf: 세포가 없는 필터의 전기 저항 [Ω]
A: 단층의 면적 [cm2]
1.13 cm2의 면적을 갖는 세포가 없는 필터의 전기 저항은 100 Ω이다.
플럭스
하기 수학식 3에 따라 플럭스(Flux)를 계산하였다.
<수학식 3>
Figure pct00006
CAK120: 120분 후 수용체에서의 API의 농도 [㎍ㆍmL-1]
CD0: 실험 개시시 (0분)의 공여체에서의 API의 농도 [㎍ㆍmL-1]
[실시예]
재료
유드라지트? E는 25 중량%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25 중량%의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50 중량%의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공중합체이다. 유드라지트? E PO는 약 15 ㎛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유드라지트? E의 분말 형태이다.
유드라지트? L 30 D-55는 30 중량%의 유드라지트? L 100-55를 포함하는 분산액이다. 유드라지트? L 100-55는 50 중량%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50 중량%의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이다.
미니린(Minirin)?은 정제 형태의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 함유 의약이다. 하나의 미니린? 정제는 200 mg의 중량으로, 공칭 함량 200 ㎍의 데스모프레신을 함유한다.
대두 공급원으로부터의 보우만-버크 억제제 (BBI)를 사용하였다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 독일).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LMW-헤파린); 프락시파린(Fraxiparin) (TM) (나드로파린 칼슘); 글락소 스미스 클라인(Glaxo Smith Kline).
제제 실시예 1 내지 11
실시예 1
실시예 1용 데스모프레신 제제로는, 데스모프레신을 함유하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정제를 사용하였다 (미니린?).
다른 데스모프레신 제제와 동일한 중량을 수득하기 위하여, 하나의 미니린? 정제를 셀렛(cellet)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펠릿)과 함께 혼합함으로써, 미니린 대조 제제를 수득하였다.
하나의 미니린? 정제 (공칭 함량 200 ㎍의 데스모프레신을 함유하는 200 mg)를 반으로 절단하였다. 350 mg의 총 중량이 달성되도록, 상기 조각을 셀렛? 500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펠릿)과 혼합하였다.
실시예 2
데스모프레신 및 침투 촉진제로서의 유드라지트 ? E PO 펠릿 제조
2 단계로 실시예 2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제1 단계는 분무 코팅 용액의 제조이다. 제2 단계는 분무 코팅 공정에서의 분무 코팅 용액의 적용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자 크기 분획 400-710 ㎛의 유드라지트? E/데스모프레신 펠릿을 수득하였다.
분무 용액의 제조
83 g의 유드라지트? E PO를 1000 ml 유리 비커에 충진하였다. 700 rpm에서의 기계식 교반 동안 1 N HCl 총량 및 물 총량의 90 %를 중합체 분산액에 첨가하였다. 일정하게 10분 동안 교반한 후, 8.3 g의 트윈? 80을 분산액에 첨가하였다. 850 rpm에서의 추가적인 1시간 교반 후, 중간 점도를 가지며 약간의 거품이 형성된 투명 용액을 수득하였다. 0.315 mm 와이어 메시를 통한 HCl 중화 유드라지트? E PO 용액의 여과 후, 데스모프레신 용액을 첨가하였다. 전체 용액을 추가 10분 동안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분무 코팅 공정에 의한 데스모프레신 / 유드라지트 ? E PO 펠릿의 제조
데스모프레신/유드라지트? E PO 코어의 제조를 위한 개시 재료는 50 g의 최상급 당 펠릿 250-355 ㎛ 분획이었다. 여기에, 분무 코팅에 의해, 데스모프레신을 함유하는 591.3 ml의 HCl 중화 유드라지트? E PO 용액을 적용하였다.
요약하면, 공정은 하기와 같이 전개되었다.
유입구 공기를 35-51℃로 조정하고, 생성물 온도를 29-35℃로 설정하였다. 분무 속도는 0.3 내지 2.5 g용액/분으로 개시하였으며, 기류는 16 내지 20 m3/시간으로 유지하였다. 327분 후에, 분무 공정을 종료하였다. 종료시, 710 ㎛ 체를 통하여 체질하면서, 펠릿을 10분 동안 기계에서 건조하였다. 수득된 최종 수율은 이론적 중량의 95 %에 해당하는 139.77 g이었다.
실시예 3
데스모프레신 , 침투 촉진제로서의 유드라지트 ? E PO 보우만 - 버크 억제제 ( BBI )의 펠릿 제조
2 단계로 실시예 3의 제제를 제조하였다. 제1 단계는 분무 코팅 용액의 제조이다. 제2 단계는 분무 코팅 공정에서의 분무 코팅 용액의 적용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자 크기 분획 400-710 ㎛의 유드라지트? E/데스모프레신/BBI 펠릿을 수득하였다.
분무 용액의 제조
189.9 g의 유드라지트? E PO를 1000 ml 유리 비커에 충진하였다. 600 rpm의 기계식 교반하에서, 물 총량 중 60 %에 용해된 16.31 g의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를 중합체에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한 후, 182.7 g의 10 % 아세트산 용액을 중합체의 응결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천히 비커에 첨가하였다. 30분 후, 용융 카프르산의 총량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850 rpm에서의 추가적인 2시간 교반 후, 중간 점도를 가지며 약간의 거품이 형성된 투명 용액을 수득하였다. 25.31 g의 보우만 버크 억제제 (BBI) 및 나머지 양의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를 250 ml 유리 병을 사용하여 물 190.4 g에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중합체 용액에 첨가하였다. 50 ml 유리 비커를 사용하여, 나머지 물 중 10 %에 데스모프레신을 용해시켰다. 0.315 mm 와이어 메시를 통한 중화된 유드라지트? E PO 용액의 여과 후, 데스모프레신 용액을 첨가하였다. 전체 용액을 추가 1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의 균질성을 수득하였다.
분무 코팅 공정에 의한 데스모프레신 / 유드라지트 ? E PO / BBI 펠릿의 제조
데스모프레신/유드라지트? E PO/BBI 코어의 제조를 위한 개시 재료는 50 g의 최상급 당 펠릿 250-355 ㎛ 분획이었다.
공정은 하기와 같이 전개되었다.
유입구 공기를 40-48℃로 조정하고, 생성물 온도를 29-33℃로 설정하였다. 분무 속도는 0.8 내지 4.0 g용액/분으로 개시하였으며, 기류는 16 내지 27 m3/시간으로 유지하였다. 314분 후에, 분무 공정을 종료하였다. 종료시, 710 ㎛ 체를 통하여 체질하면서, 펠릿을 10분 동안 기계에서 건조하였다. 수득된 최종 중량은 데스모프레신/유드라지트? E PO/BBI 펠릿 총 중량 중 데스모프레신/유드라지트? E PO/BBI 400-710 ㎛ 펠릿의 77 %에 해당하는 146.15 g이었다.
실시예 4
추가적인 HPMC 코팅 층을 갖는 실시예 2 유래 펠릿의 제조
실시예 2 유래의 펠릿을 취하여, HPMC로 추가 코팅하였다. 제1 단계에서는, HPMC 분무 코팅 용액이 제조된다. 제2 단계에서는, 분무 코팅 공정에서 HPMC 분무 코팅 용액을 펠릿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자 크기 분획 400-710 ㎛의 HPMC 코팅을 갖는 유드라지트? E/데스모프레신 펠릿을 수득하였다.
HPMC 분무 용액의 제조
252.8 g의 물을 250 ml 유리 병에 충진하고, 자석 교반기를 사용한 교반하에서 약 70℃까지 가열하였다. 총량 25 g의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를 고온의 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한 후, 용액을 가열기로부터 제거하여,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증발에 의해 손실된 물을 채워넣었다. 0.315 mm 와이어 메시를 통하여 HPMC 용액을 여과하였다.
HPMC 코팅을 갖는 데스모프레신 / 유드라지트 ? E PO 펠릿의 제조
코팅 펠릿의 제조를 위한 개시 재료는 체질된 실시예 2 펠릿의 <600 ㎛ 분획 100 g이었다. 여기에, 분무 코팅에 의해, 277.8 g의 HPMC 분무 코팅 용액을 적용하였다.
공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되었다: 개시시에 30℃인 유입구 공기 온도를 공정 공기 습도에 따라 공정 종료시에는 55℃로 증가시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물 온도를 29-35℃로 설정하였다. 0.7 내지 1.4 g용액/분으로 분무를 개시하였으며, 기류는 12 내지 16 m3/시간으로 설정하였다. 215분 후에, 분무 공정을 종료하였다. 10 m3/시간 및 34 내지 35℃의 생성물 온도에서 분무 코팅 장치를 사용하여 10분 동안 펠릿을 건조한 다음, 600 ㎛ 체를 통하여 체질하였다. 수득된 최종 중량은 총 이론적 예상 중량 중 <600 ㎛ 코팅 펠릿의 98 %에 해당하는 122.99 g이었다.
실시예 5
BBI 를 함유하는 추가적인 HPMC 동기화 층을 갖는 실시예 3 유래 펠릿의 제조
실시예 3 유래의 펠릿을 취하여, BBI를 함유하는 HPMC로 추가 코팅하였다. 제1 단계에서는, HPMC/BBI 분무 코팅 용액이 제조된다. 제2 단계에서는, 분무 코팅 공정에서 HPMC/BBI 분무 코팅 용액을 펠릿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자 크기 분획 400-710 ㎛의 HPMC/BBI 코팅을 갖는 유드라지트? E/데스모프레신/BBI 펠릿을 수득하였다.
BBI 를 함유하는 HPMC 분무 용액의 제조
178 g의 물을 250 ml 유리 병에 충진하고, 자석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약 70℃까지 가열하였다. 총량 19.5 g의 HPMC를 고온의 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일정하게 교반한 후, 용액을 가열기로부터 제거하여,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증발에 의해 손실된 물을 채워넣었다. 2.6 g의 보우만 버크 억제제 (BBI)를 50 ml 유리 비커를 사용하여 45.5 g의 물에 용해시켰다. 0.315 mm 와이어 메시를 통한 투명 HPMC 용액의 여과 후, BBI 용액을 첨가하였다. 전체 용액을 추가 15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의 균질성을 수득하였다.
HPMC / BBI 코팅을 갖는 데스모프레신 / 유드라지트 ? E PO / BBI 펠릿의 제조
체질된 실시예 3 유래 펠릿의 500-710 ㎛ 분획 130 g을 개시 재료로 사용하였다. 여기에, 분무 코팅에 의해 245.6 ml의 HPMC/BBI 코팅 용액을 적용하였다.
공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되었다: 유입구 공기를 30-45℃로 조정하고, 생성물 온도를 29-33℃로 설정하였다. 분무 속도는 0.6으로 개시하여, 2.2 g용액/분으로 상승시켰으며, 기류는 18 내지 24 m3/시간으로 유지하였다. 134분 후에, 분무 공정을 종료하였다. 종료시, 710 ㎛ 체를 통하여 체질하면서, 펠릿을 10분 동안 기계에서 건조하고, 칭량에 의해 수율을 조사하였다. 수득된 최종 중량은 총 이론적 예상 중량 중 <710 ㎛ 코팅 펠릿의 98 %에 해당하는 149.23 g이었다.
실시예 6
추가적인 유드라지트 ? L 30 D-55 장용 코팅 층을 갖는 실시예 4 유래 펠릿의 제조
실시예 4 유래의 펠릿을 취하여, 유드라지트? L 30 D-55로 추가 코팅하였다. 제1 단계에서는, 유드라지트? L 30 D-55 분무 코팅 용액이 제조된다. 제2 단계에서는, 분무 코팅 공정에서 유드라지트? L 30 D-55 분무 코팅 용액을 펠릿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자 크기 분획 400-710 ㎛의 HPMC 코팅 및 유드라지트? L 30 D-55 장용 코팅을 갖는 유드라지트? E/데스모프레신 펠릿을 수득하였다.
유드라지트 ? L 30 D-55 분무 분산액의 제조
100 ml 유리 병에, 105 g의 물을 충진하고, 자석 교반기를 사용한 교반하에서 약 80℃까지 가열하였다. 자석 교반기 속도를 증가시킨 후, 3.6 g의 트윈 80 용액 (33.33 %)을 고온의 물에 첨가한 다음, 3.0 g의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강하게 교반한 후, 분산액을 가열기로부터 제거하고, 강하게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증발에 의해 손실된 물을 채워 넣었다.
133.3 g의 체질된 유드라지트? L 30 D-55 분산액 및 72.4 g의 물을 250 ml 유리 병에서 혼합하였다. 교반하에서, 4 g의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를 분산액에 첨가하였다. 추가 10분의 교반 후, 제조된 상기 언급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분산액을 첨가하였다. 전체 분산액을 추가 4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분무 용액의 균질성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유래 장용 코팅 펠릿의 제조
코팅 펠릿의 제조를 위한 개시 재료는 체질된 실시예 4 펠릿의 <600 ㎛ 분획 100 g이었다. 여기에, 분무 코팅에 의해 321.3 g의 유드라지트? L 30 D-55 분무 분산액을 적용하였다.
공정은 하기와 같이 수행되었다: 개시시에 37℃인 유입구 공기 온도를 공정 공기 습도에 따라 공정 종료시에는 52℃로 증가시켜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생성물 온도를 30-36℃로 설정하였다. 0.6으로 분무 공정을 개시하여, 2.6 g용액/분으로 증가시켰으며, 기류는 개시시의 16 m3/시간 내지 18 m3/시간으로 설정하였다. 213분 후에, 분무 공정을 종료하였다. 10 m3/시간 및 35 내지 36℃의 생성물 온도에서 분무 코팅 장치를 사용하여 10분 동안 펠릿을 건조한 다음, 710 ㎛ 체를 통하여 체질하였다. 추가적으로, 건조 오븐에서 40℃로 2시간 동안, 펠릿을 추가 건조하였다. 수득된 최종 중량은 총 이론적 예상 중량 중 <710 ㎛ 코팅 펠릿의 98 %에 해당하는 145.03 g이었다.
실시예 7
추가적인 유드라지트 ? L 30 D-55 장용 코팅 층을 갖는 실시예 5 유래 펠릿의 제조
실시예 5 유래의 펠릿을 취하여, 유드라지트? L 30 D-55로 추가 코팅하였다. 제1 단계에서는, 유드라지트? L 30 D-55 분무 코팅 용액이 제조된다. 제2 단계에서는, 분무 코팅 공정에서 유드라지트? L 30 D-55 분무 코팅 용액을 펠릿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입자 크기 분획 400-710 ㎛의 HPMC/BBI 코팅 및 유드라지트? L 30 D-55 장용 코팅을 갖는 유드라지트? E/데스모프레신/BBI 펠릿을 수득하였다.
유드라지트 ? L 30 D-55 분무 분산액의 제조
100 ml 유리 병에, 52.5 g의 물을 충진하고, 자석 교반기를 사용한 교반하에서 약 80℃까지 가열하였다. 분산액을 강하게 교반하면서 1.8 g의 트윈80 용액 (33.33 %)을 고온의 물에 첨가한 후, 1.5 g의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강하게 교반한 후, 분산액을 가열기로부터 제거하고, 강하게 교반하면서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증발에 의해 손실된 물을 채워 넣었다. 66.7 g의 체질된 유드라지트? L 30 D-55 분산액 및 36.2 g의 물을 250 ml 유리 병에 혼입하였다. 교반하에서, 2 g의 트리에틸 시트레이트를 분산액에 첨가하였다. 추가 10분의 교반 후, 제조된 상기 언급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분산액을 첨가하였다. 전체 분산액을 추가 40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분무 용액의 균질성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유래 장용 코팅 펠릿의 제조
코팅 펠릿의 제조를 위한 개시 재료는 체질된 실시예 4 펠릿의 <710 ㎛ 분획 100 g이었다. 여기에, 분무 코팅에 의해 160.7 ml의 상기한 유드라지트? L 30 D-55 분무 분산액을 적용하였다.
유입구 공기를 35-46℃로 조정하고, 생성물 온도를 30-33℃로 설정하였다. 분무 속도는 0.3으로 개시하여, 1.6 g용액/분으로 상승시켰으며, 기류는 16 내지 18 m3/시간으로 유지하였다. 146분 후에, 분무 공정을 종료하였다. 다음에, 710 ㎛ 체를 통하여 체질하면서, 펠릿을 10분 동안 기계에서 건조하고, 칭량에 의해 수율을 조사하였다. 수득된 최종 중량은 총 이론적 예상 중량 중 <710 ㎛ 코팅 펠릿의 100 %에 해당하는 123.98 g이었다.
실시예 8 (약물 대조 (캡슐))
실시예 1의 펠릿을 HPMC 캡슐 크기 1에 충진하였음
실시예 1의 혼합물을 350 mg의 총 중량이 달성되도록 충진 깔때기를 사용하여 HPMC 캡슐 크기 1에 충진하였다. 캡슐 중량의 균일성은 350.2 mg +/- 0.9 (표준 편차, n=10)이었다. 캡슐 중 데스모프레신의 함량 균일도는 215.62 +/- 5.55 ㎍ (표준 편차, n=10)이었다.
실시예 9 (본 발명이 아닌 제제 (캡슐))
실시예 2의 펠릿을 HPMC 캡슐 크기 1에 충진하였음
하나의 캡슐에 대하여, 약 205 ㎍의 데스모프레신 함량을 갖는 107 mg의 실시예 2 펠릿을 충진 재료로서의 셀렛츠(Cellets)? 500과 혼합함으로써, 총 중량 350 mg이 되도록 HPMC 크기 1 캡슐을 충진하였다. 캡슐 중량의 균일성은 350.5 mg +/- 0.3 (표준 편차, n=10)이었다. 캡슐 중 데스모프레신의 함량 균일도는 204.57 +/- 2.42 ㎍ (표준 편차, n=10)이었다.
실시예 10 (본 발명이 아닌 제제 (캡슐))
실시예 6의 펠릿을 HPMC 캡슐 크기 1에 충진하였음
하나의 캡슐에 대하여, 약 225 ㎍의 데스모프레신 함량을 갖는 195.6 mg의 실시예 6 펠릿을 충진 재료로서의 셀렛츠? 500과 혼합함으로써, 총 중량 350 mg이 되도록 HPMC 크기 1 캡슐을 충진하였다. 캡슐 중량의 균일성은 350.1 mg +/- 0.2 (표준 편차, n=10)이었다. 캡슐 중 데스모프레신의 함량 균일도는 225.4 +/- 0.51 ㎍ (표준 편차, n=10)이었다.
실시예 11 (본 발명의 제제 (캡슐))
실시예 7의 펠릿을 HPMC 캡슐 크기 1에 충진하였음
하나의 캡슐에 대하여, 약 211 ㎍의 데스모프레신 함량을 갖는 145.5 mg의 실시예 7 펠릿을 충진 재료로서의 셀렛츠? 500과 혼합함으로써, 총 중량 350 mg이 되도록 HPMC 크기 1 캡슐을 충진하였다. 캡슐 중량의 균일성은 350.0 mg +/- 0.2 (표준 편차, n=10)이었다. 캡슐 중 데스모프레신의 함량 균일도는 211.31 +/- 1.19 ㎍ (표준 편차, n=10)이었다.
시험 실시예 12 내지 16
실시예 12 (TEER)
카코II -세포에서의 실시예 1, 4 및 5 제제의 시험관내 시험 ( TEER -값)
경상피 전기 저항 ( TEER ) 측정을 위한 카코II -세포-단층의 제조
수송 실험을 위하여, 트랜스웰™ 필터 삽입물에 제곱 센티미터 당 60,000 세포의 밀도로 카코-2 세포를 파종하고, 그것을 12-웰 플레이트 저부 군집(bottom cluster) 플레이트에 위치시켰다. 상기 삽입물 (정점 구획)에는 0.5 mL의 DMEM 배양 배지를, 외부 웰 (바탕 구획)에는 1.5 mL의 DMEM 배양 배지를 공급하였다. DMEM 배양 배지 중에서 37℃, 10 % CO2 및 90 % 상대 습도로, 그것이 융합성 단층을 형성할 때까지 14 내지 30일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는 매 2-3일 마다 교체하였다. 에봄(EVOM)™ 전압저항측정기(voltohmmeter)를 사용하여 경상피 전기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세포 단층의 융합성 및 견고성을 일상적으로 조사하였다.
카코-2 단층 배치는 트랜스웰™ 필터 상에서 동일한 조건하에 평행하게 파종 및 배양된 카코-2 세포로 정의된다. 선택된 수송 마커에 의한 카코-2 단층 배치의 품질인증은 각 수송 조건에 대하여 3반복으로 수행된다. 투과도 연구를 위하여 단층 배치가 분양되기 전에, 하기의 품질 기준이 충족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07
카코-2 계대 수 50회 미만
Figure pct00008
배양물 연령 트랜스웰™ 필터상에서 14 내지 30일
Figure pct00009
200 Ωㆍcm2을 상회하는 수송 전 및 후의 TEER 값 (세포 단층의 완전성 및 견고성을 나타냄)
Figure pct00010
1ㆍ10-6 cmㆍs-1 미만인 저투과성 마커 (플루오레세인)의 겉보기 투과도 계수 (ab 및 ba) (세포 단층의 견고성을 입증하는 저투과성 수송을 확인하기 위한 모델의 적합성을 나타냄)
Figure pct00011
4ㆍ10-6 cmㆍs-1을 초과하는 로다민 123의 겉보기 투과도 계수 (ba) (P-글리코단백질의 분명한 발현을 나타냄)
Figure pct00012
5ㆍ10-6 cmㆍs-1을 초과하는 프로프라놀롤의 겉보기 투과도 계수 (ab) (고투과성 수송을 확인하기 위한 모델의 적합성을 나타냄)
시험 화합물을 사용한 투과도 연구에 사용되는 각 개별 단층에 대해서는 하기의 품질 기준이 충족되어야 한다.
Figure pct00013
단층이 품질인증된 배치의 일부임
Figure pct00014
예비-인큐베이션 (30-45분) 후, TEER이 200 Ωㆍcm2를 초과해야 함, 아니면 단층은 거부됨
Figure pct00015
수송-연구 후, TEER이 200 Ωㆍcm2를 초과해야 함, 더 낮은 TEER 값은 연구에 대한 단층의 완전성의 결핍을 나타냄
정점 또는 기저측부 측에 대한 실험에 사용되는 완충제
<표 1>
Figure pct00016
샘플의 제조 및 측정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1의 미니린? 분말화 정제 또는 실시예 4 및 5 유래 미가공 펠릿 1 mg을 공여체 구획에 적용하였다. 추가적인 대조로서,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와 셀레츠? 700의 혼합물을 적용하였다.
수송 실험 동안의 TEER 모니터링에 의해, TEER에 대한 펠릿 제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TEER은 0, 15, 30, 60, 120 및 240분에 측정하였다. 최종 TEER 측정 후, 정점 구획 및 기저측부의 내용물을 제거하고, 세포를 세척한 후, 세포 배양 배지에서 추가 20시간 동안 재배양하였다. 다시 TEER을 측정하여, 투과 향상의 가역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표 2>
Figure pct00017
실시예 4 및 5 유래 펠릿의 TEER 값은 완충제 대조에 비해 15 % 미만으로 감소되었다. 이와 달리, 실시예 1 유래 제제는 70 %로의 감소만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플럭스)
카코II -세포에서의 실시예 1, 4 및 5 제제의 시험관내 시험 ( 플럭스 측정)
플럭스 측정을 위한 카코II -세포-단층의 제조
실시예 12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카코-II-세포 단층을 제조하였다.
샘플의 제조 및 측정
완충제 10 ml에 물질 10 mg을 용해시킴으로써, pH 6.5의 HBSS 완충제에서 1000 ㎍ㆍmL-1을 함유하는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의 용액을 제조하였다. 펠릿 제제 또는 분말화 미니린 정제 1 mg과 함께, 상기 용액을 공여체 구획에 적용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1의 미니린? 분말화 정제 또는 실시예 4 및 5 유래 미가공 펠릿 1 mg을 공여체 구획에 적용하였다. 추가적인 대조로서,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와 셀레츠? 700의 혼합물을 적용하였다.
예비-인큐베이션이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수송 용액에서 관찰된 시험 화합물의 농도를 최초 공여체 농도 (cD0)로 취하였다. 120분 후, 수용체 구획 및 공여체 구획으로부터 100 μL의 샘플을 취하였다. 샘플링 시점 사이에, CO2 인큐베이터에서 37℃로 단층을 인큐베이션하였다.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대조로는, 불활성 펠릿 (셀렛)을 사용하였다.
220 nm의 파장에서 고정 상으로 RP-18-컬럼을 사용하고 용리 상으로 물/아세토니트릴-혼합물 (80:20)을 사용하는 HPLC에 의해, 용액을 분석하였다. 플럭스는 공여체 측에 적용된 100 % 양을 나타내는 데스모프레신 1000 ㎍ㆍml-1 중 백분율로서 계산하였다. 적용된 펠릿 중 데스모프레신 함량 (약 2 ㎍)은 계산상 무시하였다.
결과
"플럭스"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요약하였다.
<표 3>
Figure pct00018
결과로서, 실시예 4 및 5 유래 제제가 카코II-세포에서의 데스모프레신의 플럭스를 20 %를 초과하는 값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실시예 14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
실시예 1, 4 및 5 제제의 시험관내 췌장 효소 억제 시험
실험 설계
펠릿의 용해를 고려한 새로운 연구 설계를 사용하여 억제 실험을 수행하였다.
pH 5.8의 HBSS 10 ml 중에서 가능한 가장 낮은 교반 속도로 80 mg의 각 제제를 교반하였다. 30분 후 교반을 중지하고, 현탁액이 침강되도록 방치한 후, 분취량 (2 ml)을 취출하여, pH 6.5의 HBSS 완충제 중에 80 ㎍ㆍml-1의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2 mL와 혼합하였다. 용액의 pH를 측정하였으나, 조정하지는 않았다.
음성 대조로서, 2 ml의 HBSS 완충제를 pH 6.5의 HBSS 완충제 중에 80 ㎍ㆍml-1의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2 ml와 혼합하였다. 용액의 pH를 측정하였으나, 조정하지는 않았다.
양성 대조로는, HBSS ml 당 4 mg의 BBI를 함유하는 용액을 사용하였다. 2 ml의 용액을 pH 6.5의 HBSS 완충제 중에 80 ㎍ㆍml-1의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용액 2 ml와 혼합하였다. 용액의 pH를 측정하였으나, 조정하지는 않았다.
200 μL의 제조된 용액들을 200 μl의 판크레아틴 용액 (20 mgㆍml-1)과 혼합하고, 37℃에서 1, 2 및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실험은 3반복으로 (3회의 개별적으로 제조된 용액) 수행하였다 (양성 대조에서의 최종 농도: 1 mg / ml BBI , 20 ㎍/ ml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 및 10 mg / ml 의 판크레아틴).
100 % 값 용으로, 80 mg의 펠릿을 pH 5.8의 HBSS 10 ml 중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울트라투락스를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현탁액을 추가 15분 동안 교반하고, 방치하여 침강시켰다. 상청액을 수집하고, 상기한 바와 같은 pH 6.5의 HBSS 완충제 중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추가 희석하였다. 용액의 pH를 측정하였으나, 조정하지는 않았다.
개시 값 (t0)용으로, 혼합물을 바로 400 μl의 아세토니트릴에 첨가하고, pH 6.5인 HBSS 완충제 1200 μL로 희석하였다. 220 nm의 파장에서 고정 상으로 RP-18-컬럼을 사용하고 용리 상으로 물/아세토니트릴-혼합물 (80:20)을 사용하는 HPLC에 의해, 용액을 분석하였다.
결과
효소 억제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요약하였다.
<표 4>
Figure pct00019
제제 및 대조에 대하여 수득된 결과 (n=3). 정제 제제 (미니린?) 및 실시예 4 유래의 펠릿은 거의 억제 특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분해 동역학이 음성 대조 (완충제)와 유사하였다. 용해된 (30분) 것과 균질화된 샘플 사이에서 차이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양성 대조 및 실시예 5 유래의 펠릿만이 판크레아틴에 의한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의 분해를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BBI의 부재하에서도, 60 %를 초과하는 데스모프레신의 회수율이 관찰된다. 이는 BBI의 효과가 검출가능하기는 하나, 크지는 않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15 (동기화)
데스모프레신 보우만 - 버크 억제제의 동기화에 대한 실시예 5, 7 및 11 제제의 시험관내 시험
USP 장치 2에 의해, 37℃, 외륜 속도 100 rpm, 포스페이트 완충제 pH 6.0, n=6, 약 1400-2100 ㎍의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에 해당하는 용기 당 1 g으로, 펠릿의 용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추가적으로, 장용 펠릿은 0.1 N 염산 중에서 2시간 동안 처리한 후, pH 6.0에서 전환하였다.
캡슐의 용해 시험은 n=6, 총 1080 ㎍의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에 해당하는 용기 당 5 캡슐로,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HPLC를 사용하여 수집된 샘플을 분석하였으며, 데스모프레신 및 BBI는 210 nm에서 UV 검출을 사용하여 별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하기 표 5, 6 및 7에, 동기화 효과를 각 물질 총량 중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데스모프레신 BBI 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나타낸 pH 6.0 포스페이트 완충제에서의 실시예 5 유래 펠릿의 용해 프로파일
<표 5>
Figure pct00020
데스모프레신 BBI 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나타낸 0.1 N HCl 2시간 및 pH 6.0으로의 변경 후 실시예 7 유래 펠릿의 용해 프로파일
<표 6>
Figure pct00021
데스모프레신 BBI 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나타낸 0.1 N HCl 2시간 및 pH 6.0으로의 변경 후 실시예 11 유래 캡슐의 용해 프로파일
<표 7>
Figure pct00022
실시예 5 및 7 유래 펠릿, 및 실시예 11 유래 캡슐의 용해 프로파일은 동기화된 물질에서의 데스모프레신 및 BBI의 pH 6.0에서의 빠르고 (20분 후 >90 %) 완전한 (30분 후 거의 100 %) 방출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시점 (실시예 5에서의 20/30분, 또는 실시예 7 및 11에서의 140/150분)에서의 편차는 5 % 미만이다.
실시예 16 (생체내 연구)
미니피그에서의 실시예 8, 9, 10 및 11 제제의 생체내 시험 (상대적 생체이용률)
방법 설명
미니피그가 인간에서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연구하기 위한 우수한 모델인 것으로 선택되었다. 미니피그는 사육 돼지에 비해 더 작으며, 그에 따라 취급하기가 더 용이하다.
종: 미니피그 (괴팅겐).
공급처: 엘레가아드 괴팅겐 미니피그스(Ellegaard Goettingen Minipigs) A/S 사 (독일 달모스).
수, 성별: 8 마리의 수컷; 여분의 동물은 포함되지 않았음. 동물들 중 어느 것에서도 예기치 않은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음.
연령, 체중: 동물들은 투여 시점에 7-8개월령이었으며, 12 kg의 평균 체중을 가졌음. TNO 도착시, 동물들을 칭량하고, 2개의 군으로 할당하였음. 각 투여 회기 1일 전에, 동물의 중량을 기록하였음.
순화: 연구 개시 전에, 3주 동안 평일에 매일 훈련시킴으로써, 동물들을 실험실 조건, 생물공학 작업자, 그리고 투여 및 샘플링 절차에 대하여 순화시켰음.
건강 조건: 도착시, 동물들을 검역실로 데려가 비건강 및 이상의 분명한 신에 대하여 조사하였음. 이후, 실험실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검역실을 세척하였음.
환경: 통상적인 조건하에서 1개 실에 동물들을 수용하였음. 시험 동안 해당 실에는 다른 시험 시스템은 수용하지 않았음. 시간 당 약 10회의 공기 교체로 실을 환기하였으며, 실 세척시 이외에는, 22℃ +/- 2℃의 온도 및 40 % 이상 70 % 이하의 상대 습도로 유지하였음. 조명은 명 12시간 및 암 12시간의 순서를 갖는 인공의 것이었음.
수용: 순화 동안 및 연구 동안, 침구 및 완구로서의 짚이 제공된 울타리 내에 울타리 당 4 마리의 미니피그로, 동물들을 수용하였음. 혈액 수집일에는, 동물들을 개별적으로 수용하였음. 투여 2주차 동안, 동물들은 서로 싸우기 시작하였는데, 그에 따라 깨문 상처를 방지하기 위하여 그때부터 계속 개별적으로 수용하였음.
식별: 공급자에 의한 고유 번호를 사용하여, 동물들의 귀에 태그를 부착하였음. 연구 내내 상기 태그를 유지하였음. 또한, 동물들은 앞이마에 기재된 수에 의해 1 내지 8로 번호가 매겨졌음.
식이: 하루에 2회 350 g 가량의 시중 미니피그 규정식 (엠피그(Mpig)-H)을 동물들에게 섭취시켰음. 이와 같은 규정식의 각 배치는 공급자 (스니프 스페지알디아텐 게엠베하(Ssniff Spezialdiaten GmbH), 독일 소에스트)에 의해 영양분 및 오염물에 대하여 분석되어 있음.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배치에 부속된 분석 증명서가 연구 파일에 포함되어 있음.
음용수: 음용수는 무제한 제공하였음. 음용수는 인간이 섭취하기에 적합한 것이었음.
시험 제제
실시예 8, 9, 10 및 11 유래의 캡슐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함량: 캡슐 당 약 215 ㎍의 데스모프레신
저장 조건: +2 내지 +8℃
안정성: 저장 조건하에서 안정
실험 절차
동물들은 각 제제의 단일 투여량 (1 캡슐)을 투여받았으며, 각 투여 후에는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동물 1-4는 하기의 순서로 4종의 제제를 투여받았다: 실시예 9, 10, 11 및 8 유래의 캡슐.
동물 5-8은 동일한 제제를 역순으로 투여받았다.
이와 같은 절차 (교차(cross-over) 연구)는 그 자체의 약동학을 좌우하는 파라미터에 대한 데스모프레신 반복 투여의 있을 수 있는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 (예컨대 항체 생성) 또는 제제의 고려되지 않은 효과 (예컨대 장 기능에 대한 효과)를 고려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투여량 수준, 투여, 군 크기 및 식별
투여량 수준은 체중 70 kg의 인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무수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 약 215 ㎍으로 선택되었다. 각 군은 4 마리의 수컷 미니피그로 구성되었다. 분명한 군 식별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연구 동안 처리 군에 할당되는 동물 번호를 기록하였다.
해당하는 양의 시험 물질을 함유하는 1개의 캡슐을 기준으로 시험 항목을 각 동물에게 경구 투여하였다. 경구 투여는 동물의 치아 사이에 바이트 스틱(bite stick) (그 중심이 천공되어 있음)을 위치시킴으로써 수행하였다. 구멍을 통하여 미니피그의 입에 배관 (대략 0.5 cm 직경을 가짐)이 장착된 필 건(pill gun)을 삽입하고, 캡슐을 바로 목구멍에 발사하였다. 동물이 삼킨 후에는, 바이트 스틱을 제거하였다. 투여 직후, 동물들을 꼭지에서 신선하게 떨어지는 음용수에 접근시켰다.
각 제제를 1회만 제공하였으며, 각 투여 후에는, 1주의 약효세척(wash-out) 기간이 이어졌다.
혈액 수집
2회의 샘플링 회기 사이에 샘플링 부위가 회복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회기별로 다른 측에서, 각 투여 15, 30, 45, 60, 90, 120, 180, 240, 360, 480분 후에, 각 동물의 경정맥으로부터 각각 대략 0.5 ml의 혈액 샘플을 수집하였다.
샘플은 K2EDTA를 함유하는 진공기(vaccutainer)에 수집하였다. 수집 후 30분 이내에 +4℃에서 튜브를 원심분리하고 (3000 rpm으로 10분 동안), 혈장을 2개의 분취량 (A 및 B)으로 폴리에틸렌 튜브에 수집하였다. 상기 혈장 샘플을 드라이 아이스 상에서의 분석 위치로의 수송시까지 <-70℃로 냉동 저장하였다.
각 샘플은 연구 번호, 동물 코드, 샘플 유형, 샘플링 일자, 샘플링 시간으로 식별하였다.
생물분석: RIA법에 의해 데스모프레신 농도에 대하여 혈장 샘플을 분석하였다.
약동학 분석 및 통계
키네티카(Kinetica)R v.4.2를 사용하여 생물분석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명확한 결과로부터 혈장 농도 대 시간 곡선을 작성하고, 비-구획(non-compartmental) 분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데이터가 허용할 경우, 하기의 약동학 파라미터들을 계산하였다: C최대, T최대, 최종 반감기 (T1/2), 분포 부피 (Vz), 총 청소율 (CIT),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AUC0-∞).
실시예 8 (미니린?) 유래 캡슐의 AUC0 -∞와 각각 실시예 9, 10 및 11 제제의 AUC0-∞ 평균 사이의 비로,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계산하였다.
결과를 총 곡선하 면적 및 백분율로 나타내어, 하기 표 8에 기록하였다.
<표 8>
Figure pct00023
실시예 9 및 10은 약물 대조에 비해 59 및 68 % 가량인 상대적 생체이용률을 나타냄으로써, 참조 실시예 8 (미니린?, 약물 대조)에 비해 더 우수하지 않았다. 그러나, 실시예 9 및 10은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제품을 바탕으로 하는 약물 대조 실시예 8과 필적하는 범위일 것으로 생각될 수 있다. 반면, 실시예 11의 제제는 약물 대조 실시예 8 (100 %)에 비해 7배 더 높은 상대적 생체이용률 AUC0 -∞ (711 %)을 나타내었다.
청구되는 바와 같은 경구 생체이용률의 증가는 실시예 11의 실시예 10과의 비교에 의해 계산된다.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1에 따른 제제를 사용한 데스모프레신의 경구 전달 후 미니피그 혈액으로부터의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 (AUC0 -∞ [pg/mL·분])은 53823 pg/mL·분이다. 이는 해당 AUC0 -∞가 5155 pg/mL·분 (= 100 %)인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 (실시예 10)의 AUC0 -∞와 비교된다. 따라서, 경구 생체이용률의 증가 배수는 53823/5155 = 10.44 (= 1044 %)로 계산된다.
실시예 8, 9, 10 및 11 유래 캡슐에 함유되어 있는 펠릿은 각각 실시예 1, 4, 6 및 7의 펠릿에 해당한다. 제제 6 및 7은 각각 실시예 4 및 5의 장용 코팅된 펠릿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및 5의 펠릿은 실시예 12 및 13 (TEER 및 플럭스 값)에서 나타낸 시험관내 세포 분석에서 우수한 세포 침투 효과를 제공하였다. 실시예 4 및 5 유래의 제제는 카코II-세포에서의 데스모프레신의 플럭스를 20%를 초과하는 값으로 증가시켰다. 실시예 4 및 5 유래 펠릿의 TEER 값은 완충제 대조에 비해 15 % 미만으로 감소되었다. 이와 달리, 실시예 1 유래 제제 (미니린?)는 70 %로의 감소만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각각 장용 코팅 없이 또는 그와 함께 실시예 9 및 10의 캡슐에 들어가는 실시예 4 펠릿의 시험관내에서 수득된 유망한 결과는 생체내에서 실망적인 결과로만 이어진다. 해당 제제를 미니피그의 생체내에서 시험하였을 때, 저조한 생체이용률만이 검출될 수 있었다. 그것은 실시예 1의 참조 제제를 함유하는 실시예 8의 캡슐 (약물 대조)에 대하여 수득되는 값 미만이었다.
생체이용률 촉진제 BBI를 함유하는 유일한 것이었던 실시예 11 유래의 캡슐 제제 (실시예 5 펠릿의 장용 코팅 버젼인 실시예 7 유래의 펠릿을 함유)만이 실시예 11의 본 발명 제제에 상응하는 제제인 실시예 10 대조 제제와 비교하였을 때, 10.44배의 분명한 생체이용률 증가를 나타내었다.
상대적 생체이용률의 강한 증가가 실시예 14에서 나타낸 BBI의 효소 억제 활성의 미약한 효과로만 단순하게 설명될 수는 없다.
생체내 효과가 시험관내 결과에 비해 훨씬 더 높았다는 사실로 볼 때, 본 발명자들은 이와 같은 효과가 췌장 효소에 대한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의 보호 효과에 의해 단순하게 설명될 수는 없다고 믿는다. 더하여, 청구되는 바와 같은 시스템의 다른 요소들과 조합됨으로써, 일반적으로는 단백질분해 효소 억제제의 첨가에 의해, 또는 적어도 식물 기원의 그와 같은 것에 의해, 또는 적어도 보우만-버크 억제제 (BBI)에 의해 야기되는, 활성 성분의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미지의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17 (TEER, 순수 침투 촉진제)
본 발명에 있어서 침투 촉진제는 수송 장벽으로서 카코-2-세포 단층 배양물에서 측정하였을 때, 침투 촉진제가 없는 완충제 용액의 최초 TEER-값 (100 %)을 60분 후 1 mg/ml 농도의 침투 촉진제의 존재하에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예 12와 유사하게 TEER-시험을 수행하였다. 유드라지트? E 아세테이트 = 투명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아세트산의 첨가에 의해 물에 용해된 유드라지트? E 이며; 유드라지트? E PO 베이스 = 물 중 유드라지트? E PO (유드라지트? E의 분말 형태)의 분산액 (용해되는 것이 아님)이고; 키토산 아세테이트 = 투명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아세트산의 첨가에 의해 물에 용해된 키토산이다.
<표 9>
Figure pct00024
유드라지트? E 아세테이트, 유드라지트? E PO 베이스 및 키토산 아세테이트는 침투 촉진제를 위한 TEER 요건을 충족하였는데, 그들이 0.005 % = 0.05 mg/ml (1 mg/ml 미만)의 농도에서도 60분 후에 TEER을 50 % 미만으로 감소시켰기 때문이다.
실시예 18 (TEER, 양이온성 침투 촉진제/음이온성 활성 성분)
실시예 12와 유사하게 TEER-시험을 수행하였다.
<표 10>
Figure pct00025
제제의 설명: HBSS-완충제 중 하기 혼합물들을 시험하였다.
약어:
데스모프레신 아세테이트 = 데스모
유드라지트? E 카르보네이트 = E (s. 설명: 카르보네이트화 아미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보우만 버크 억제제 = BBI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LMW-헤파린); 프락시파린(Fraxiparin) (TM) (나드로파린 칼슘); 피하 주사용 즉시 사용가능 0.6 ml 주사기 (5700 IU anti-Xa/mg); Ch.B.: 3394-1; 글락소 스미스 클라인
실시예 18a: 데스모 0.01 % / E 0.1 % / BBI 0.01 %
실시예 18b: 데스모 0.01 % / BBI 0.01 %
실시예 18c: 데스모 0.01 % (활성 성분 대조)
실시예 18d: 헤파린 0.1 % (활성 성분 대조)
실시예 18e: 헤파린 0.1 % / E 0.4 % / BBI 0.01 %
실시예 18f: 헤파린 0.1 % / E 0.1 % / BBI 0.01 %
실시예 18g: 헤파린 0.1 % / E 0.25 % / BBI 0.01 %
실시예 18h: 나트륨 도데실술페이트 (SDS) 0.1 % (양성 대조)
실시예 18i: HBSS-완충제 (음성 대조)
결과 논의:
실시예 18a, 18e, 18f 및 18g는 본 발명 제제 코어 (위장관 코팅 없음)의 질적 조성을 대표한다. 실시예 18a 및 18e는 TEER-값의 감소에 효과적인 반면, 실시예 18f 및 18g는 그렇지 않다. 실시예 18a는 강한 TEER 값 감소를 나타내는데, 이는 유드라지트? E의 존재로 인한 것으로서, 각각 유드라지트? E가 없거나 유드라지트? E와 BBI가 없는 비교용 실시예 18b 및 18c로 볼때, 분명해진다.
실시예 18e, 18f 및 18g에서는, 강한 음이온성 활성 성분의 예로서 헤파린이 사용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헤파린은 침투 촉진제로서의 양이온성 유드라지트? 및 BBI와 혼합된다. 실시예 18f 및 18g에서는, TEER의 감소가 없다. 이는 양이온성 침투 촉진제 활성을 방해하여 그의 기능성을 억제하는 과량의 음이온성 헤파린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실시예 18e에서는, 지연된 TEER의 감소가 관찰된다. 이는 음이온성 헤파린에 비해 과량인 양이온성 침투 촉진제 활성으로 인하여 침투 촉진제 활성이 실시예 18f 및 18g에서와 같이 완전히 억제되지 않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실시예 18e, 18f 및 18g는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물질이 그의 전하와 관련하여 대략 등몰량인 양으로 함께 혼합되는 경우, 또는 활성 성분이 침투 촉진제에 비해 과량으로 존재하는 경우에, 침투 촉진제 활성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예를 들면 실시예 1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활성 성분에 비해 침투 촉진제의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Claims (15)

  1. 활성 제약 또는 기능식품 성분, 침투 촉진제 및 생체이용률 촉진제를 포함하는 코어와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이며,
    상기 생체이용률 촉진제는, 생체이용률 촉진제가 없는 상응하는 제제에 비해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5배 이상 증가시키는,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
  2. 제1항에 있어서, 단백질분해 효소의 억제제가 보우만-버크 억제제 또는 그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BCS-류 III 및 IV에 따라 낮은 투과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생물학적 기원을 갖는 것이며, 활성 성분의 효소 분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는 억제제가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단백질 또는 펩티드, 지질, 폴리사카라이드 또는 핵산, 또는 이러한 물질들의 천연 또는 합성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6. 제5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데스모프레신 또는 그의 유도체, 또는 헤파린 또는 그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투약 단위에 다수의 입자를 포함하는 다중미립자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 제제 중 생체이용률 촉진제의 양이 0.1 내지 10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투 촉진제가 양이온성 중합체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침투 촉진제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C1- 내지 C4-알킬 에스테르 30 내지 80 중량%, 및 알킬 라디칼에 3급 아미노 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70 내지 20 중량%로 구성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가 동기화(synchronisation)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2. 제11항에 있어서, 동기화 층이 생체이용률 촉진제 총량의 9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의 위장관 표적 방출을 위한 중합체 코팅이 음이온성 셀룰로스 중합체 또는 음이온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이 음이온성이고, 침투 촉진제가 양이온성이며, 양 성분 사이의 이온성 상호작용이
    Figure pct00026
    제제의 동일 구획에서의 양 성분의 혼합물 중 과량의 침투 촉진제에 의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27
    제제의 상이한 구획에서의 양 성분의 지역적 분리에 의하거나, 또는
    Figure pct00028
    제제의 동일 구획에서의 양 성분의 혼합물에 대한 염, 친양쪽성 중합체 또는 수소 결합 비-이온성 중합체의 첨가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제.
  15. 단백질분해 효소의 제약상 허용되는 억제제인 생체이용률 촉진제의,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제에서의 활성 성분의 경구 생체이용률을 증가시키는 부형제로서의 용도.
KR1020127022131A 2010-02-25 2010-02-25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 KR1017080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52401 WO2011103920A2 (en) 2010-02-25 2010-02-25 Pharmaceutical or neutraceutical formul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106A true KR20120123106A (ko) 2012-11-07
KR101708086B1 KR101708086B1 (ko) 2017-02-17

Family

ID=4402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131A KR101708086B1 (ko) 2010-02-25 2010-02-25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765152B2 (ko)
EP (1) EP2538955B1 (ko)
JP (1) JP6000128B2 (ko)
KR (1) KR101708086B1 (ko)
CN (1) CN103037884A (ko)
AU (1) AU2010346995B2 (ko)
BR (2) BR112012021445B8 (ko)
CA (1) CA2790918C (ko)
ES (1) ES2561652T3 (ko)
HU (1) HUE026713T2 (ko)
IL (1) IL221087A (ko)
MX (1) MX346316B (ko)
PL (1) PL2538955T3 (ko)
RU (1) RU2604861C2 (ko)
SI (1) SI2538955T1 (ko)
WO (1) WO201110392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46817A1 (en) * 2014-09-24 2016-03-31 Vital Beverages Global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elective gi tract delivery
RU2639414C1 (ru) * 2017-02-06 2017-12-2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учреждение науки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Институт нефтехимического синтеза им. А.В. Топчиева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ИНХС РАН) Антипротеиназный препарат
AU2019275409A1 (en) 2018-05-24 2020-07-16 Celanese Eva Performance Polymers Llc Implantable device for sustained release of a macromolecular drug compound
SG11202005947RA (en) 2018-05-24 2020-07-29 Celanese Eva Performance Polymers Corp Implantable device for sustained release of a macromolecular drug compound
RU2747401C1 (ru) * 2020-06-22 2021-05-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х лекарственных форм на основе сополимеров метилметакрилат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1329A1 (en) * 1988-07-30 1990-02-22 Kanji Takada Enteric formulations of physiologically active peptides and proteins
KR20060041227A (ko) * 2003-07-15 2006-05-11 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점막점착성으로 제형화된 펩티드 또는 단백질 활성 성분을포함하는 다입자형 약제학적 투여 형태 및 이 약제학적투여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
KR20090038438A (ko) * 2006-07-27 2009-04-20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다층의 분리층을 가지는 의약 제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5073C3 (de) 1971-07-14 1974-07-11 Roehm Gmbh Überzugsmittel für Arzneiformen
DE3106449A1 (de) 1981-02-20 1982-09-09 Röhm GmbH, 6100 Darmstadt "in magensaft loesliche oder quellbare ueberzugsmasse und ihre verwendung in einem verfahren zum ueberziehen von arzneiformen"
DE3208791A1 (de) 1982-03-11 1983-09-22 Röhm GmbH, 6100 Darmstadt Verfahren zum ueberziehen von arzneiformen mittes eines in wasser dispergierten ueberzugsmittels
EP0164669B1 (de) 1984-06-13 1991-01-23 Röhm Gmbh Verfahren zum Überziehen von Arzneiformen
US6331318B1 (en) * 1994-09-30 2001-12-18 Emisphere Technologies Inc. Carbon-substituted diketopiperazine delivery systems
WO1993013753A1 (de) 1992-01-17 1993-07-22 Alfatec-Pharma Gmbh Peptidarzneistoffe enthaltende pellets und ihre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SE9402431D0 (sv) 1994-07-08 1994-07-08 Astra Ab New tablet formulation
DE9414065U1 (de) 1994-08-31 1994-11-03 Roehm Gmbh Thermoplastischer Kunststoff für darmsaftlösliche Arznei-Umhüllungen
DE9414066U1 (de) 1994-08-31 1994-11-03 Roehm Gmbh Überzugs- und Bindemittel für Arzneiformen sowie damit hergestellte Arzneiform
DE19724458A1 (de) 1997-06-10 1998-12-24 Mucos Pharma Gmbh & Co Verwendung proteolytischer Enzyme zur Verbesserung der Absorption von Arzneimitteln
US5962414A (en) 1997-11-26 1999-10-05 Birk; Yehudith Modified Bowman-Birk inhibitor
ID28275A (id) 1998-09-28 2001-05-10 Warner Lambert Co Penghantaran kolon dan enterik yang menggunakan kapsul-kapsul hpmc
MXPA03000520A (es) 2000-07-17 2003-10-06 Yamanouchi Pharma Co Ltd Composicion farmaceutica mejorada en absorbabilidad peroral..
US6767564B2 (en) 2000-09-02 2004-07-27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Use of bowman birk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multiple sclerosis and other autoimmune diseases
CN100450547C (zh) 2002-01-16 2009-01-14 安斯泰来制药有限公司 改善口服吸收用药物组合物
MXPA04010956A (es) 2003-01-30 2005-01-25 Roehm Gmbh Forma de dosis farmaceutica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la misma.
DE102004036437A1 (de) 2004-07-27 2006-03-23 Röhm GmbH & Co. KG Multipartikuläre Arzneiform für wenig lösliche Wirkstoffe,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Arzneiform
CN101242748A (zh) 2004-11-26 2008-08-13 荷兰纽迪希亚公司 含有蛋白酶抑制剂的婴儿营养品
DE102004059792A1 (de) 2004-12-10 2006-06-14 Röhm GmbH & Co. KG Multipartikuläre Arzneiform, enthaltend mucoadhaesiv formulierte Nukleinsäure-Wirkstoffe,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Arzneiform
WO2009118722A2 (en) 2008-03-26 2009-10-01 Oramed Pharmaceutical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of proteins
IT1393244B1 (it) 2008-07-18 2012-04-12 Universita' Degli Studi Di Milano Sistema per il rilascio al colon di farmaci suscettibili di degradazione enzimatica e/o scarsamente assorbiti nel tratto gastrointestina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0001329A1 (en) * 1988-07-30 1990-02-22 Kanji Takada Enteric formulations of physiologically active peptides and proteins
KR20060041227A (ko) * 2003-07-15 2006-05-11 룀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점막점착성으로 제형화된 펩티드 또는 단백질 활성 성분을포함하는 다입자형 약제학적 투여 형태 및 이 약제학적투여 형태를 제조하는 방법
KR20090038438A (ko) * 2006-07-27 2009-04-20 에보니크 룀 게엠베하 다층의 분리층을 가지는 의약 제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uropean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1996, 4, 323-3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38955A2 (en) 2013-01-02
JP2013520451A (ja) 2013-06-06
BR112012021455A2 (pt) 2016-05-31
MX2012009764A (es) 2012-10-05
ES2561652T3 (es) 2016-02-29
WO2011103920A3 (en) 2013-03-28
MX346316B (es) 2017-03-15
EP2538955B1 (en) 2015-12-02
CN103037884A (zh) 2013-04-10
RU2012140651A (ru) 2014-03-27
AU2010346995A1 (en) 2012-08-16
BR112012021445B8 (pt) 2022-07-05
PL2538955T3 (pl) 2016-04-29
IL221087A (en) 2015-07-30
KR101708086B1 (ko) 2017-02-17
RU2604861C2 (ru) 2016-12-10
US8765152B2 (en) 2014-07-01
AU2010346995B2 (en) 2014-12-04
SI2538955T1 (sl) 2016-03-31
BR112012021445B1 (pt) 2020-12-01
US20120315334A1 (en) 2012-12-13
CA2790918A1 (en) 2011-09-01
JP6000128B2 (ja) 2016-09-28
CA2790918C (en) 2019-08-06
BR112012021445A2 (pt) 2016-05-31
HUE026713T2 (en) 2016-07-28
WO2011103920A2 (en)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81131A1 (en) Formulations
US8273375B2 (en) Multiparticle pharmaceutical dosage form for a low-soluble active substan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pharmaceutical dosage form
DE60038097T2 (de) Feste orale dosierungsform enthaltend einen resorptionsverstärker
KR101873075B1 (ko) 하나 이상의 알긴산 염을 포함하는 위 내성 제약 또는 건강기능식품 제제
ES2625017T3 (es) Composición farmacéutica o nutracéutica gastrorresistente con resistencia contra la influencia de etanol
JP5026787B2 (ja) ムコ粘着性組成化ペプチド−又はタンパク質−作用物質を含有する多層粒子形剤形、及びこの剤形の製法
US20090011007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Polymers and Active Agents Poorly Soluble in Water
MX2015002582A (es) Composicion farmaceutica o nutraceutica con liberacion sostenida caracteristica y con resistencia conta la influencia del etanol.
EP2364360A1 (en) Antisens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ES2838816T3 (es) Composición farmacéutica o nutracéutica con resistencia contra la influencia de etanol
US20170224622A1 (en) Application of andrographolide in the preparation of a pharmaceutical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rographolide enteric targeting micropellet,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708086B1 (ko) 제약 또는 기능식품 제제
KR20220021488A (ko) 공중합체 혼합물 및 수용성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분말 조성물
US20140079775A1 (en) Agents to treat/prevent amoebiasis
TW201300106A (zh) 治療hcv感染之醫藥組合物
MXPA06000430A (en) Multiparticle pharmaceutical dosage form containing a mucoadhesively formulated peptide or protein active substances method for producing said pharmaceutical dosage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