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039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0390A
KR20120120390A KR1020127022747A KR20127022747A KR20120120390A KR 20120120390 A KR20120120390 A KR 20120120390A KR 1020127022747 A KR1020127022747 A KR 1020127022747A KR 20127022747 A KR20127022747 A KR 20127022747A KR 20120120390 A KR20120120390 A KR 20120120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ing
housing
connec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1858B1 (ko
Inventor
츠요시 오카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20120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 F16L37/3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 F16L37/3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with fluid cut-off means with fluid cut-off means in each of two pipe-end fittings at least one of two lift valves being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coupling is appl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슬릿(50)의 경사부(50B)를 따라 걸림부(50C)로부터 고정부(50A) 또는 고정부(50A) 근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링(16)이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을 따라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로 이동함과 아울러 와이어(18)의 고정부(18A)가 서로 접근하여, 와이어(18)의 고정부(18A)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이탈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상태로 전환된다. 이처럼,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에 구비된 링(16)을,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링(16)을 대기위치와 고정완료위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링(16)을 대기위치로 한 때에, 커넥터(10)가 지름방향으로 커지는 일이 없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를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동차 냉각수 배관 등의 체결부에 사용되는 커넥터로서, 파이프를 삽입 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이 커넥터 본체에 장착되는 리테이너를 구비한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리테이너가 커넥터 본체에 파이프를 삽입 가능하게 하는 임시 고정위치에 위치결정되고, 또 파이프의 삽입에 의해 커넥터 본체의 위치결정이 해제되면, 파이프 이탈방지위치(拔止位置)로 이동하여, 이 파이프를 이탈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와 리테이너 사이에는 스프링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위치결정이 해제된 리테이너를 파이프 이탈방지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의 정규 연결위치에 파이프가 연결되었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6-105241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파이프 연결시 및 분리시에 지름방향으로의 형상변화를 동반함이 없이, 최소한의 작업영역에서 연결 확인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외주면(外周面)에 환상(環狀) 플랜지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연결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통(筒) 형상의 파이프삽입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의 외주부(外周部)에 상기 파이프삽입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상기 파이프삽입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위치와, 상기 파이프를 연결위치에 보유지지하는 고정완료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링과, 상기 링에 장착되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연결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상태와 고정해제상태로 전환하는 고정기구와, 상기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링받이부와, 상기 링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기구를 상기 고정상태 또는 상기 고정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캠부와, 상기 링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삽입부의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에 의해 밀려 벌어지는 파이프검지부(檢知部)와, 상기 링에 상기 파이프검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삽입부의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검지부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상기 링받이부로부터 벗어나 상기 링을 상기 고정완료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링을 상기 고정완료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링받이부에 결합하여 상기 링의 이동을 규제하는 링규제부(規制部)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형태에서는, 링이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의 외주부에, 파이프삽입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파이프삽입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위치에 링이 있는 경우에는, 링에 형성된 링규제부가, 하우징에 형성된 링받이부에 결합해 있어, 링은 하우징에 대해, 파이프삽입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불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대기위치에서는, 링에 형성된 캠부에 의해 고정기구는 고정해제상태에 있다.
대기위치에서, 파이프를 커넥터의 파이프삽입부에 정규 위치까지 삽입하면, 파이프의 플랜지부에 의해 링에 형성한 파이프검지부가 밀려 벌어진다. 이때, 파이프검지부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링규제부가 마찬가지로 벌어져, 링받이부로부터 벗어나 링이 고정완료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링을 파이프삽입부의 축방향으로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로 이동시키면, 고정기구가 캠부에 의해 고정상태로 되어, 파이프를 연결위치에 고정한다. 이때, 링이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 후에 링의 체결을 눈으로 봄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의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로부터 파이프를 빼내는 경우에는, 링을 고정완료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기구가 캠부에 의해 고정해제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파이프가 커넥터의 파이프삽입부로부터 빠지게 된다. 또한, 링규제부가 링받이부에 결합하여 링의 이동을 규제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외주부에 구비한 링을, 파이프삽입부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링을 대기위치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이프를 빼낼 때에, 링을 대기위치로 한 때에, 커넥터가 지름방향으로 커지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슬릿이고, 상기 고정기구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슬릿을 따라 상기 고정해제상태로부터 상기 고정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링이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고정완료위치까지 이동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고정기구의 탄성에 의해 고정기구가 링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고정해제상태로부터 고정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링이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때문에, 파이프를 연결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성이 향상한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장착부와, 이 장착부로부터 굴곡(屈曲)되어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슬릿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선상(線狀) 스프링이어도 좋다.
상기 형태에서는, 고정기구를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장착부와, 장착부로부터 굴곡되어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부와, 고정부로부터 굴곡되어 슬릿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선상 스프링으로 함으로써, 고정기구를 하우징과 링 사이에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파이프 연결시 및 분리시에 지름방향으로의 형상변화를 동반함이 없이, 최소한의 작업영역에서 연결 확인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파이프를 연결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형태는, 상기 구성으로 했으므로,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파이프를 삽입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고정완료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 단면선(斷面線)에 따른 단면도이며,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5의 6-6 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파이프를 삽입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도 5의 6-6 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고정완료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도 5의 9-9 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대기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도 5의 9-9 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파이프를 삽입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도 5의 9-9 단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고정완료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파이프삽입부의 축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커넥터(10)는, 예를 들면, 차량의 엔진룸 내의 냉각수 배관 체결용으로 이용되며, 금속제 파이프(12)가 연결됨과 아울러 수지제 튜브(13)가 장착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 파이프(12)의 외주부의 길이방향 중간부에는, 링 형상의 플랜지부(12A)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는, L자 형상으로 굴곡된 통체(筒體)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커넥터 본체)(14)과, 하우징(14)의 한쪽 단부(端部)인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에 장착되는 링(16)과, 링(16)에 장착되는 고정기구의 일례로서의 와이어(고정기구)(18)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이 파이프삽입부(14A)에 파이프(12)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4)의 다른쪽은 대략 원통 형상의 튜브삽입부(14B)로 되어 있으며, 이 튜브삽입부(14B)에 튜브(13)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근원부(根元部)는, 내경(內徑)이 파이프삽입부(14A)의 다른 부위(대경부(大徑部))(14C)에 비해 작은 소경부(小徑部)(14D)로 되어 있다. 이 소경부(14D)의 내주면(內周面)에는, 오링(20, 22)이 끼워져 있으며, 오링(20)과 오링(22) 사이에는, 단면(斷面)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환상(環狀) 스페이서(24)가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가,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에 연결되면, 오링(20, 22)이 파이프삽입부(14A)의 내주면과 파이프(12)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을 메워 씰링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에 있어서의 대경부(14C)의 내주면에는, 오링(22)에 인접하여 환상(環狀) 부시(25)가 끼워 맞춰져 있다. 이 부시(25)의 내경 치수는, 파이프(12)의 외경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부시(25)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나일론 등으로 만들어져 있다.
한편, 하우징(14)의 튜브삽입부(14B)의 선단부는, 외주부가 선단측으로부터 근원측을 향해 지름이 커진 테이퍼부(14E)로 되어 있다. 테이퍼부(14E)의 선단측의 외경은, 튜브(13)의 내경보다 소경으로 되어 있어, 튜브(13)가 삽입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부(14E)의 후단부에는, 환상(環狀) 돌기부(14F)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상 돌기부(14F)의 외경은 튜브(13)의 내경보다 대경(大徑)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4)의 삽입부(14B)로 튜브(13)를 삽입한 때, 튜브(13)는 압입(壓入)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4)의 삽입부(14B)의 근원부에는, 외경이 삽입부(14B)의 외경보다 대경인 플랜지(14G)가 형성되어 있어, 튜브(13)의 선단면(先端面)(13A)이 플랜지(14G)에 접촉함으로써, 튜브(13)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는 전용 클램프 등에 의해 튜브(13)를 삽입부(14B)에 고정한다.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링받이부(40)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도 1에서는 한쪽 링받이부(40)만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링받이부(40)는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면을 따라 180도 이간(離間)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링받이부(40)는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으로 뻗는 직선 형상의 볼록부로 되어 있으며, 파이프삽입부(14A)의 근원부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 중앙부까지 이르고 있다. 또한, 링받이부(40)의 선단부는 경사면(40A)으로 되어 있으며, 링받이부(4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경사면(40A)의 근방에는 결합오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에 있어서의 각(各) 링받이부(40)의 결합오목부(42)와 인접하는 부위에는, 각각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한 쌍의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한 쌍의 슬릿(4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43)와 슬릿(46)은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면을 따라 180도 이간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리브(48)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가이드 리브(48)는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면을 따라 180도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48)는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뻗는 볼록부로 되어 있으며, 파이프삽입부(14A)의 근원부로부터 선단부에 이르고 있다. 한편, 링(16)에는, 하우징(14)의 가이드 리브(48)에 결합하는 한 쌍의 가이드홈(61)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홈(61)은 링(16)의 축방향을 따라 링(16)을 횡단(橫斷)해 있고, 가이드 리브(48)와 가이드홈(61)의 결합에 의해, 링(16)과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둘레방향의 위치관계가 정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46)은 한 쌍의 링받이부(40) 사이가 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各) 슬릿(46)의 양단부(46A)는 개구부(43)의 근방에 이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는 금속(SUS), 수지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선상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면(斷面) 원형의 선상 스프링을 굴곡시켜 고정기구(와이어(18))로 했지만, 이 대신에, 단면 직사각형의 봉재(棒材)(판금)를 굴곡시켜 고정기구로 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는 한 쌍의 고정부(18A)와, 장착부로서의 한 쌍의 직선부(장착부)(18B)와 하나의 만곡부(장착부)(18C)와, 한 쌍의 결합부(18D)를 갖고 있다. 와이어(18)의 만곡부(彎曲部)(18C)는,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만곡부(18C)의 양단부로부터 굴곡된 직선부(18B)는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부(18A)는 직선부(18B)로부터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굴곡되어 있으며, 한 쌍의 결합부(18D)는 한 쌍의 고정부(18A)로부터 만곡부(18C)를 향해 L자로 굴곡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의 만곡부(18C)는, 하우징(14)의 소경부(14D)의 외주부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플랜지(14H)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와이어(18)의 하우징(14)의 안쪽 방향(도 5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을 플랜지(14H)가 규제하고 있다. 또한, 와이어(18)의 직선부(18B)는 하우징(14)의 가이드 리브(48)를 따라 배치되어 있고, 와이어(18)의 하우징(14)의 둘레방향(도 5의 화살표 B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 리브(48)가 규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기구를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직선부(18B) 및 만곡부(18C)와, 만곡부(18C)로부터 굴곡되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부(18A)와 고정부(18A)로부터 굴곡되어 슬릿(50)에 결합하는 결합부(18D)를 갖는 와이어(18)로 함으로써, 고정기구(와이어(18))를 하우징(14)과 링(16) 사이에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링(16)은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에,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도 5의 화살표 C, D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링(16)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파이프삽입부(14A)를 통과 가능한 대기위치(도 5, 도 2의 위치)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파이프삽입부(14A)를 통과할 수 없는 고정완료위치(도 4의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16)에는 캠부로서의 한 쌍의 슬릿(캠부)(50)이 링(16)의 둘레방향을 따라 180도 이간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릿(50)의 양단부는 링(16)의 양단부 근방에 이르고 있다. 또, 슬릿(50)에 있어서의 링(16)의 파이프삽입부(14A)로의 삽입측 부위는, 링(16)의 축방향을 따라 뻗는 고정부(50A)로 되어 있다. 슬릿(50)의 고정부(50A)에 이어지는 부위는, 링(16)의 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뻗는 경사부(50B)로 되어 있으며, 슬릿(50)의 경사부(50B)에 이어지는 부위는, 링(16)의 축방향을 따라 뻗는 짧은 걸림부(50C)로 되어 있다. 또, 링(16)의 슬릿(50)에는,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삽입되어 있고, 와이어(18)의 양결합부(18D)와 슬릿(50)은 상대이동(相對移動)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의 고정부(18A)는 하우징(14)의 슬릿(46)에 삽입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슬릿(50)의 걸림부(50C)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와이어(18)는 탄성변형하고, 고정부(18A)가 서로 이간한 대기위치로 된다. 한편,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슬릿(50)의 고정부(50A) 또는 고정부(50A)의 근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는 탄성에 의해 고정부(18A)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도 12의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이동 궤적 상에 위치한다.
즉, 와이어(18)는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파이프삽입부(14A)를 통과 가능한 대기위치(열림위치)와, 파이프(12)가 정규 위치에서 연결되고,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파이프삽입부(14A)를 통과할 수 없는 고정완료위치(닫힘위치)로 탄성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16)의 축방향 중간부에는 한 쌍의 탄성편(彈性片)(60)이 링(16)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60)은 근원부(60A)가, 링(16)의 기부(基部)(16A)에 연결되어 있고, 근원부(60A)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편(60)은 링(16)의 지름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링(16)에 있어서의 탄성편(60)은 근원부(60A)의 근방에 가이드홈(61)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60)의 선단부(60B)에는 파이프검지부로서의 돌기(파이프검지부)(62)가 링(16)의 지름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편(60)의 선단부(60B)로부터는 링규제부로서의 연장형성부(延設部)(링규제부)(64)가 둘레방향을 향해 돌출형성되어 있고, 연장형성부(64)의 폭은 탄성편(60)의 폭에 비해 좁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16)의 연장형성부(64)는 하우징(14)의 링받이부(40)에 대응해서 구비되어 있으며, 링(16)을 대기위치로 하면, 연장형성부(64)가 결합오목부(42)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 링(16)의 연장형성부(64)가 하우징(14)의 링받이부(40)의 결합오목부(42)에 결합하면, 링(16)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16)의 돌기(62)는 하우징(14)의 개구부(43)를 관통하고 있으며, 돌기(62)의 선단부는, 파이프(12) 삽입측이 경사면(62A)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이프(12)를 커넥터(10)의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정규 위치까지 삽입하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돌기(62)의 경사면(62A)과 슬라이딩하여, 탄성편(60)이 외측으로 밀려 벌어진다. 이 움직임에 추종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16)의 연장형성부(64)와, 하우징(14)의 링받이부(40)의 결합오목부(42)의 결합이 해제되어 링(16)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작용ㆍ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커넥터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도 5,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에 파이프(12)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대기상태)에서는, 링(16)이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안쪽에 있다.
이 대기상태에서는,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슬릿(50)의 걸림부(50C)에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18)는 탄성변형하여, 고정부(18A)가 서로 이간된 상태(벌어진 상태)의 대기위치로 되어 있다. 또, 링(16)의 탄성편(60)에 구비된 연장형성부(64)가 하우징(14)의 링받이부(40)의 결합오목부(42)에 결합하고 있어, 링(16)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이동 불능).
이 대기상태에서, 도 3, 도 7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 내로 파이프(12)를 정규 위치까지 삽입하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가 링(16)의 탄성편(60)에 구비된 돌기(62)의 경사면(62A)과 슬라이딩하여, 탄성편(60)과 함께 돌기(62)가 외측으로 밀려 벌어진다.
이때,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60)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링(16)의 연장형성부(64)도 외측으로 밀려 벌어지기 때문에, 연장형성부(64)와 링받이부(40)의 결합오목부(42)의 결합이 해제되어 링(16)이 축방향(도 10의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16)의 탄성편(60)에 구비된 돌기(62)는,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슬릿(50)의 걸림부(50C)에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결합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링(16)을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을 따라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 방향(도 7, 10의 화살표 C 방향)을 향해 약간 이동시켜, 슬릿(50)의 걸림부(50C)와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의 결합을 해제하면(2 액션), 와이어(18)는, 한 쌍의 고정부(18A)가 서로 이간하여, 한 쌍의 고정부(18A)가 서로 접근하는 닫힘상태로 돌아오는 방향으로 부세된 열림상태로부터, 부세력에 의해 닫힘상태로 돌아온다. 이 와이어(18)의 고정부(18A)가 닫힘상태로 돌아오는 힘에 의해, 와이어(18)의 결합부(18D)와, 링(16)에 형성된 슬릿(50)의 경사부(50B)가 상대이동하여, 링(16)이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어(18)의 고정부(18A)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인출방향(도 8의 화살표 C 방향)으로의 궤적 상에 이동한다. 이 결과, 와이어(18)의 고정부(18A)에 의해, 파이프(12)의 이탈방향(도 8의 화살표 C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링(16)이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링(16)의 탄성편(60)의 탄성에 의해, 연장형성부(64)가 링받이부(40)의 경사면(40A)을 하방으로 향해 슬라이딩한다. 이 때문에, 링(16)의 돌기(62)가 파이프삽입부(14A)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인출방향(도 8의 화살표 C 방향)으로의 궤적 상에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링(16)이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을 따라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 후에 체결이 완료된 것을 링(16)의 위치를 눈으로 봄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또,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를 착색(着色)하여, 링(16)이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을 따라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로 이동한 때에, 이 착색부가 노출됨으로써, 체결완료 확인을 용이하게 해도 좋다.
한편, 커넥터(10)의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로부터 파이프(12)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링(16)을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완료위치로부터 대기위치 방향(도 11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링(16)의 연장형성부(64)가, 하우징(14)의 링받이부(40)의 경사면(40A)을 슬라이딩하여, 탄성편(60)과 함께 외측방향(도 11의 화살표 F 방향)으로 벌어진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60)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링(16)의 돌기(62)가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부로 이동한다. 또한, 링(16)이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을 따라 고정완료위치로부터 대기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슬릿(50)의 경사부(50B)를 따라 고정부(50A) 또는 고정부(50A)의 근방으로부터 걸림부(50C)로 이동하여,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슬릿(50)의 걸림부(50C)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와이어(18)의 고정부(18A)가 서로 이간하여, 플랜지부(12A)의 인출방향(도 8의 화살표 C 방향)으로의 궤적 상으로부터 벗어나, 고정해제상태로 전환된다.
이 결과, 파이프(12)가 커넥터(10)의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에 구비된 링(16)을, 파이프삽입부(14A)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링(16)을 대기위치와 고정완료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파이프 연결시 및 분리시에 지름방향으로의 형상 변화를 동반함이 없이, 최소한의 작업영역에서 연결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와이어(18)의 탄성에 의해 와이어(18)의 결합부(18D)가 링(16)에 형성된 슬릿(50)을 따라 이동하여, 링(16)이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파이프(12)를 연결위치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기구를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직선부(18B) 및 만곡부(18C)와, 만곡부(18C)로부터 굴곡되어 파이프(12)의 플랜지부(12A)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부(18A)와, 고정부(18A)로부터 굴곡되어 슬릿(50)에 결합하는 결합부(18D)를 갖는 선상(線狀) 스프링으로 구성된 와이어(18)로 했다. 이 때문에, 고정기구(와이어(18))를 하우징(14)과 링(16) 사이에 조립할 수 있어, 커넥터(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 외 실시형태) 이상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다양한 실시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 분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슬릿(50)에 걸림부(50C)를 형성하여, 이 걸림부(50C)에 와이어(18)의 양 결합부(18D)가 결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대신에 슬릿(50)에 걸림부(50C)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파이프(12)를 커넥터(10) 하우징(14)의 파이프삽입부(14A)의 정규 위치까지 삽입하여, 링(16)의 연장형성부(64)와, 하우징(14)의 링받이부(40)의 결합오목부(42)의 결합이 해제됨과 동시에(1 액션으로), 와이어(18)의 탄성에 의해 와이어(18)의 결합부(18D)가 링(16)에 형성된 슬릿(50)을 따라 이동하여, 링(16)이 대기위치로부터 고정완료위치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Claims (3)

  1. 외주면(外周面)에 환상(環狀) 플랜지부가 형성된 파이프가 연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가 삽입되는 통(筒) 형상의 파이프삽입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의 외주부(外周部)에 상기 파이프삽입부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가 상기 파이프삽입부를 통과 가능한 대기위치와, 상기 파이프를 연결위치에 보유지지하는 고정완료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링과,
    상기 링에 장착되며, 상기 파이프를 상기 연결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상태와 고정해제상태로 전환하는 고정기구와,
    상기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링받이부와,
    상기 링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기구를 상기 고정상태 또는 상기 고정해제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캠부와,
    상기 링에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삽입부의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에 의해 밀려 벌어지는 파이프검지부(檢知部)와,
    상기 링에 상기 파이프검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삽입부의 정규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파이프검지부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상기 링받이부로부터 벗어나 상기 링을 상기 고정완료위치까지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링을 상기 고정완료위치로부터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링받이부에 결합하여 상기 링의 이동을 규제하는 링규제부(規制部),
    를 갖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슬릿이고, 상기 고정기구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며, 탄성에 의해 상기 슬릿을 따라 상기 고정해제상태로부터 상기 고정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링이 상기 대기위치로부터 상기 고정완료위치까지 이동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기구는 상기 하우징의 파이프삽입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는 장착부와, 이 장착부로부터 굴곡(屈曲)되어 상기 파이프의 플랜지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로부터 굴곡되어 상기 슬릿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선상(線狀) 스프링인 커넥터.
KR1020127022747A 2010-03-04 2011-03-04 커넥터 KR101421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8447A JP5518529B2 (ja) 2010-03-04 2010-03-04 コネクタ
JPJP-P-2010-048447 2010-03-04
PCT/JP2011/055141 WO2011108728A1 (ja) 2010-03-04 2011-03-0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390A true KR20120120390A (ko) 2012-11-01
KR101421858B1 KR101421858B1 (ko) 2014-07-22

Family

ID=44542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2747A KR101421858B1 (ko) 2010-03-04 2011-03-04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18529B2 (ko)
KR (1) KR101421858B1 (ko)
CN (1) CN102782386B (ko)
WO (1) WO20111087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100390U1 (de) * 2013-01-28 2013-02-15 Schieffer Gmbh & Co. Kg Anordnung zur Verbindung von Abschnitten einer Leitung
JP6083869B2 (ja) * 2013-04-25 2017-02-22 株式会社ニフコ コネクタ
JP6168559B2 (ja) * 2014-08-07 2017-07-26 株式会社ニフコ 管状体のロック機構
FR3059756B1 (fr) * 2016-12-07 2019-08-16 Tristone Flowtech Solutions (Tfs) Dispositif pour le raccordement d'une conduite de fluide et un raccord male, et ensembl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et ledit raccord male associe
FR3077615B1 (fr) * 2018-02-02 2020-02-21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ES2784649A1 (es) * 2019-03-28 2020-09-29 Hutchinson Dispositivo de conexión de fluido
IT201900004659A1 (it) * 2019-03-28 2020-09-28 Hutchinson Dispositivo di connessione di fluido.
CN110630818B (zh) * 2019-10-09 2023-12-05 张家港派赛格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管道支撑环结构及其凸包加工装置、使用方法
JP7150210B1 (ja) * 2022-07-08 2022-10-07 三桜工業株式会社 配管継手
AT526428B1 (de) * 2023-04-06 2024-03-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91A (ja) * 1990-11-26 1993-02-09 Nitta Moore Co Ltd 管継手
US5275448A (en) * 1991-09-10 1994-01-04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Quick connect tubing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y
JPH1082491A (ja) * 1996-09-09 1998-03-31 Nifco Inc パイプコネクター
JP4299646B2 (ja) * 2003-12-05 2009-07-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管継手
JP4131409B2 (ja) * 2004-03-30 2008-08-13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イックコネクタ
JP4421439B2 (ja) * 2004-10-04 2010-02-24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1858B1 (ko) 2014-07-22
JP5518529B2 (ja) 2014-06-11
CN102782386A (zh) 2012-11-14
WO2011108728A1 (ja) 2011-09-09
JP2011185309A (ja) 2011-09-22
CN102782386B (zh)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0390A (ko) 커넥터
EP2541118B1 (en) Connector
JP6073510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1989209B1 (ko) 커넥터
US9121439B2 (en) Multi-piece shifter cable system
CN109196263B (zh) 管状体的锁定机构
US7195286B2 (en) Tube joint
JPH07151278A (ja) 波形管用継手
JP5613525B2 (ja) クリップ及び連結構造
KR20190010544A (ko) 조작봉의 연결 구조
US11098833B2 (en) Quick connector
US7533908B2 (en) Coupling assembly and retainer for use with same
JP2006503241A (ja) ボーデンケーブルのシース用アンカー手段
JP4767912B2 (ja) コネクタの脱落防止構造およびコネクタの脱落防止方法
US10443773B2 (en) Push-in connector
US11892109B2 (en) Quick connector
JP5836159B2 (ja) 誤接続防止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13227629A (zh) 联接器
JP6284075B2 (ja) コネクタ
JP2007046651A (ja) ケーブルの抜止具及びケーブルの取付構造
JPH058185U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