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3741A - 콤바인의 예취부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예취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3741A
KR20120113741A KR1020127016602A KR20127016602A KR20120113741A KR 20120113741 A KR20120113741 A KR 20120113741A KR 1020127016602 A KR1020127016602 A KR 1020127016602A KR 20127016602 A KR20127016602 A KR 20127016602A KR 20120113741 A KR20120113741 A KR 20120113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zing
conveying
confluence
grain
hard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034B1 (ko
Inventor
코우지 모리야마
유이치 쉼푸쿠
코우이치 이마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787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423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5619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42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01739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97880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1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7/00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57/22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for standing stal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01D41/142Header dr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utside Dividers And Delivering Mechanisms For Harvesters (AREA)

Abstract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 중인 각 조분의 곡간이 합류하는 합류부 근방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이 합류부 근방에서의 곡간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좌우 중앙측 3조 분 중 한 쪽 1조분의 곡간(173)을 긁어 모으는 제2 소입장치(120)의 소입륜(121)과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나머지 2조분의 곡간(174, 175)을 긁어 모으는 제3 소입장치(130)의 소입륜(131)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동력을 상기 제2 소입장치(120)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상기 소입륜 (131)으로부터 상기 소입륜(121)을 통하여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콤바인의 예취부{REAPER OF 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의 예취(刈取)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예취부의 상부 반송 장치로의 동력 전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7조 예취용 콤바인의 예취부에 관한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7조 예취용 콤바인의 예취부에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조분의 곡간(穀稈)을 긁어 모으는 소입(搔入)장치가 좌우 방향으로 3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1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소입 장치가 좌우 중앙측 소입 장치와 우측 소입 장치의 사이에 배설(配設)되어 있다. 또한, 이 예취부에는 2조분의 곡간의 밑동측을 반송하는 하부 반송 장치(밑동 반송 체인)가 좌우 방향으로 3개 나란히 설치되고, 1조분의 곡간의 밑동측을 반송하는 하부 반송 장치가 좌우 중앙측 하부 반송 장치와 우측 하부 반송 장치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이 예취부에는 2조분의 곡간의 이삭끝 측을 반송하는 상부 반송 장치(이삭끝 반송 러그)가 좌우 방향으로 3개가 나란히 설치되고, 1조분의 곡간의 이삭끝 측을 반송하는 상부 반송 장치가 좌우 중앙측 상부 반송 장치와 우측 상부 반송 장치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예취부는 콤바인에 탑재된 엔진의 동력이 1조분의 곡간의 이삭끝 측을 반송하는 상부 반송 장치에는 전동(傳動)축 등을 포함하는 전동 장치를 통하여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9-15343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는, 상기 전동 장치는 1조분의 곡간을 반송하는 상부 반송 장치 및 하부 반송 장치의 후방에 설치되기 때문에, 각 상부 반송 장치 및 각 하부 반송 장치의 반송 종단부 근방, 즉,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 중인 각 조분의 곡간이 합류하는 합류부 근방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상기 전동 장치를 포함하는 주변 부품에 반송 중인 곡간이 걸려, 이 합류부에서 곡간이 막히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 중인 곡간이 합류하는 합류부 근방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이 합류부 근방에서의 곡간의 막힘을 억제하는 콤바인의 예취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기립(引起) 장치, 소입 장치, 절단 장치, 하부 반송 장치, 상부 반송 장치 및 세로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상기 소입 장치는 좌우 한 쌍의 소입륜(搔入輪) 및 소입 벨트로 우측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1 소입 장치와, 단일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로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한 쪽 1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2 소입 장치와, 좌우 한 쌍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로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나머지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3 소입 장치와, 좌우 한 쌍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로 좌측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4 소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과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 중 상기 단일의 소입륜과 인접하는 소입륜을 서로 맞물리게 하고, 상기 상부 반송 장치는 상기 제1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1 상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2 상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3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3 상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4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4 상부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동력을 상기 제2 상부 반송 장치에 상기 제3 소입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소입 장치를 통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입 장치는 상기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과 이 단일의 소입륜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의 두께를 다른 상기 소입륜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소입 장치는 상기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을 상기 제1 소입 장치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 및 상기 제4 소입 장치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동력을 기체 본체로부터 비스듬히 앞쪽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세로 전동축으로부터 당해 세로 전동축의 앞부분에 세워 설치되는 전동축을 통하여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 중 상기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과 인접하는 소입륜에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상부 반송 장치에 상기 제1 상부 반송 장치로 반송 중인 곡간을 곡간의 합류부까지 안내하는 안내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제3 상부 반송 장치에 상기 제4 상부 반송 장치로 반송 중인 곡간을 상기 합류부까지 안내하는 안내 레버를 설치하여 이들 2개의 안내 레버를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부 반송 장치는 상기 제3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밑동을 제1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3 하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밑동을 제2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2 하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4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밑동과 상기 제1 합류부에서 합류시킨 상기 제2 하부 반송 장치로부터의 곡간의 밑동을 제3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4 하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밑동과 상기 제2 합류부에서 합류시킨 상기 제2 하부 반송 장치로부터의 곡간의 밑동과 상기 제3 합류부에서 합류시킨 제4 하부 반송 장치로부터의 곡간의 밑동을 상기 세로 반송 장치의 반송 시단부까지 반송하는 제1 하부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4 하부 반송 장치는 상기 제1 합류부 및 제3 합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이간(離間)용 회전륜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회전륜과, 상기 복수 개의 회전륜에 감기는 곡간 반송용 무단대(無端帶)와, 상기 이간용 회전륜의 위치를 상기 제1 합류부 및 상기 제3 합류부에 근접시키는 작업 위치와 상기 제1 합류부 및 상기 제3 합류부로부터 이간시키는 이간 위치의 사이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막힘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막힘 해제 수단은 예취부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간용 회전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회동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이간용 회전륜을 상기 작업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의 회동 지점을 상기 제4 하부 반송 장치의 상기 제3 합류부보다 반송 상류측에 배치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4 하부 반송 장치는 상기 콤바인에 배치되는 운전부에 대하여 좌우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상부 반송 장치로의 동력 전달 구조가 제2 소입 장치의 상방에 설치된다. 따라서,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 중인 각 조분의 곡간이 합류하는 합류부 근방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이 합류부 근방에서의 곡간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과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의 맞물림이 풀리기 어려워져 동력을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과 제4 소입 장치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의 간섭을 피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예취부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동축으로부터 제2 소입 장치 및 제3 소입 장치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를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저감할 수 있고, 제2 소입 장치 및 제3 소입 장치가 적절히 동작하며 곡간을 원활하게 긁어 모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체적으로 구성된 안내 레버가 지지 레버의 역할을 겸하고, 제2 상부 반송 장치 및 제3 상부 반송 장치가 당해 안내 레버를 통하여 서로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반송 장치 및 제3 상부 반송 장치의 덜그럭거림을 억제할 수 있어 곡간을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간용 회전륜이 이간 위치로 변경된 경우, 제1 합류부와 이간용 회전륜 사이의 거리와, 제3 합류부와 이간용 회전륜 사이의 거리가 동시에 멀어진다. 따라서, 이간용 회전륜을 이간 위치로 변경하는 한 번의 조작으로 제1 합류부 및 제3 합류부에 막힌 곡간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합류부 및 제3 합류부 각각의 막힘 해제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회동 지점을 제3 합류부보다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브래킷을 제1 합류부 및 제3 합류부에 대하여 이간할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 하부 반송 장치 사이의 거리는 제3 합류부보다 제1 합류부 쪽이 크게 멀어진다. 따라서, 막힌 곡간을 제거하기 쉬워져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4 하부 반송 장치를 운전부와 좌우 반대측에 배치함으로써, 운전부와 반대측에서 막힘 해제 수단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힘 해제 수단을 조작할 때 운전부가 방해를 받지 않아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소입 장치 및 하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소입 장치 및 상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동력 전달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제2 소입 장치 및 제3 소입 장치의 근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제2 소입 장치의 소입륜 및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제2 소입 장치 및 제2 상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제2 소입 장치 및 제2 상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제2 상부 반송 장치 및 제3 상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제2 상부 반송 장치 및 제3 상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막힘 해제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막힘 해제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예취 프레임 및 제4 하부 반송 장치를 나타내는 좌측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막힘 해제 수단의 작업 위치에서 유지를 해제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예취부의 막힘 해제 수단을 이간 위치로 변경한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7조 예취용 콤바인(1)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콤바인(1)에 있어서는 주행부(2)가 좌우 한 쌍의 주행 크롤러(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논, 밭의 곡간을 베어 내면서 거두어 들이는 예취부(4)가 주행부(2)의 앞부분에 승강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예취부(4)에 의해 베어진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5)가 주행부(2)의 좌측 상부에 배설되어 있다. 탈곡부(5)에 의해 탈곡된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부(6)가 주행부(2)의 좌측 하부에 배설되어 있다. 선별부(6)에 의해 선별된 곡립을 저장하는 곡립 탱크(7)가 주행부(2)의 우측에 배설되어 있다. 곡립 탱크(7)에 저장된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오거(auger)(8)가 주행부(2)의 우측 뒷부분에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부를 조작하는 운전부(9)가 주행부(2)의 우측 앞부분에 배설되어 있다.
다음으로 예취부(4)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부(4)는 예취 프레임(10), 분초 도구(30), 기립 장치(40), 소입 장치(100), 절단 장치(50) 및 반송 장치(60)를 구비한다.
예취 프레임(10)은 분초 도구(30)나 상기 각 장치를 지지하는 예취부(4)의 본체가 되는 것이다. 예취 프레임(10)은 예취 입력 파이프(11), 세로 전동 파이프(12), 가로 전동 파이프(13), 복수 개의 분초 프레임(14, 14, …), 구동 파이프(15), 기립 세로 전동 파이프(16), 세로 연결 프레임, 기립 가로 전동 파이프(17), 복수 개의 기립 구동 파이프(18), 연결 프레임(19) 및 중앙 반송 전동 파이프(20)로 구성된다.
예취 입력 파이프(11)는 그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주행부(2)의 좌측 앞부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세로 전동 파이프(12)는 그 축선 방향을 예취 입력 파이프(11)의 축선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하여 예취 입력 파이프(11)의 우단부에서 앞쪽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가로 전동 파이프(13)는 그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세로 전동 파이프(12)의 연장 돌출 단부(端部)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다.
각 분초 프레임(14)은 그 축선 방향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하여 가로 전동 파이프(13)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복수 개의 분초 프레임(14, 14, …)은 좌우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마다 평행하게 배열된다. 구동 파이프(15)는 그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좌우 최외측에 위치하는 분초 프레임(14, 14)의 사이에 횡가(橫架)된다. 구동 파이프(15)는 가로 전동 파이프(13)의 앞쪽 비스듬한 하방에 위치하여 당해 가로 전동 파이프(13)와 평행하게 배열된다.
기립 세로 전동 파이프(16)는 그 축선 방향을 가로 전동 파이프(13)의 축선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하여 가로 전동 파이프(13)의 좌단부에서 앞쪽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상기 세로 연결 프레임은 그 축선 방향을 가로 전동 파이프(13)의 축선 방향에 대해 직교 방향으로 하여 가로 전동 파이프(13)의 우단부에서 앞쪽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기립 가로 전동 파이프(17)는 그 축선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하여 기립 세로 전동 파이프(16)의 연장 돌출 단부와 세로 연결 프레임의 연장 돌출 단부의 사이에 횡가된다. 각 기립 구동 파이프(18)는 그 축선 방향을 대략 상하 방향으로 하여 기립 가로 전동 파이프(17)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복수 개의 기립 구동 파이프(18, 18, …)는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평행하게 배열된다.
연결 프레임(19)은 그 축선 방향을 대략 전후 방향으로 하여 기립 가로 전동 파이프(17)의 좌우 중간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연결 프레임(19)은 그 연장 돌출 단부에서 세로 전동 파이프(12)의 예취 입력 파이프(11)측에 연결된다. 중앙 반송 전동 파이프(20)는 세로 전동 파이프(12)의 가로 전동 파이프(13)측에서 앞쪽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분초 도구(30)는 논, 밭의 곡간을 1조마다 분리(분초)하는 것이다. 분초 도구(30)는 8개의 분초판(31, 31, …)을 구비한다(도 4 참조). 각 분초판(31)은 각각의 선단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각 분초판(31)은 그 선단이 전방을 향하도록 각 분초 프레임(14)의 전단부에 장착된다.
기립 장치(40)는 분초 후의 곡간을 일으키는 것이다. 기립 장치(40)는 타인 부착 체인(42)을 회전 구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립 케이스(41)를 7개 구비한다. 복수 개의 기립 케이스(41)는 각각 분초 도구(30)의 후방에 전저후고(前低後高)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마다 배열된다. 각 기립 케이스(41)는 각 분초 프레임(14)과 각 기립 구동 파이프(18)의 사이에 위치하고 이들에 지지된다.
소입 장치(100)는 기립 장치(40)에 의해 일으켜진 곡간의 밑동을 긁어 모으는 것이다. 소입 장치(100)는 기립 장치(40)의 후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입 장치(100)는 제1 소입 장치(110), 제2 소입 장치(120), 제3 소입 장치(130) 및 제4 소입 장치(140)를 구비한다. 이들 소입 장치(110~140)는 각각 기립 장치(40)의 후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마다 배열된다.
제1 소입 장치(110)는 7조분의 곡간 중 우측 2조분의 곡간(우측으로부터 세어 1조째 곡간(171)과 2조째의 곡간(172), 또한 도 4, 도 5에서는 1조분을 1주(株) 로 밖에 나타내지 않지만, 우측열에서 순서대로 각 조의 곡간을 171, 172, 173, 174, 175, 176, 177으로 함)의 밑동을 긁어 모으는 것이다. 제1 소입 장치(110)는 좌우 한 쌍의 별 형상인 소입륜(111, 112)과 좌우 한 쌍의 돌기 부착 소입 벨트(113, 114)를 구비한다. 제1 소입 장치(110)는 복수 개의 소입 장치(110~140) 중 가장 우측에 배치된다.
소입륜(111)은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입륜(112)은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입륜(111)과 소입륜(112)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맞물려진다.
대경(大徑) 풀리(115)는 소입륜(111)의 상방에 배치되고 소입륜(111)과 함께 회전축(161)에 고정된다. 소경(小經) 풀리(116)는 대경 풀리(115)의 우측 전방에 배치되고 예취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소입 벨트(113)는 대경 풀리(115)와 소경 풀리(116)에 감긴다.
대경 풀리(117)는 소입륜(112)의 상방에 배치되고 소입륜(112)과 함께 회전축(162)에 고정된다. 소경 풀리(118)는 대경 풀리(117)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고 예취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소입 벨트(114)는 대경 풀리(117)와 소경 풀리(118)에 감긴다.
이와 같이 소입 벨트(113)와 소입 벨트(114)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대향하는 벨트면 사이, 즉 소입 벨트(113)의 좌측 외측면과 소입 벨트(114)의 우측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도록, 즉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ハ자 형상이 되도록 각각 대략 전후 방향으로 장설(張設)된다.
제2 소입 장치(120)는 7조분의 곡간 중 좌우 중앙측 3조분의 한 쪽,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우측 1조분의 곡간(최우측으로부터 세어 3조째의 곡간(173))의 밑동을 긁어 모으는 것이다. 제2 소입 장치(120)는 단일이며 별 형상인 소입륜(121)과, 단일이며 돌기 부착 소입 벨트(122)를 구비한다. 제2 소입 장치(120)는 복수 개의 소입 장치(110~140) 중 좌우 중앙측에서 제1 소입 장치(110)의 좌측에 배치된다.
소입륜(121)은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회전축(16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입륜(121)은 제1 소입 장치(110)의 좌측 소입륜(112)의 좌측에 위치하고 당해 좌측 소입륜(112)과는 서로 맞물려지지 않는다.
대경 풀리(123)는 소입륜(121)의 상방에 배치되고 소입륜(121)과 함께 회전축(163)에 고정된다. 소경 풀리(124)는 대경 풀리(123)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고 예취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소입 벨트(122)가 대경 풀리(123)와 소경 풀리(124)에 감긴다.
이와 같이 소입 벨트(122)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장설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은 안내 레버가 소입 벨트(122)와 제1 소입 장치(110)의 소입 벨트(114)의 사이에 설치되고 소입 벨트(122)의 우측 외측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3 소입 장치(130)는 7조분의 곡간 중 좌우 중앙측 3조분의 나머지 2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앙 1조분과 좌측 1조분의 곡간(최우측으로부터 세어 4조째과 5조째의 곡간(174, 175))의 밑동을 긁어 모으는 것이다. 제3 소입 장치(130)는 좌우 한 쌍이며 별 형상인 소입륜(131, 132)과 좌우 한 쌍으로 돌기 부착 소입 벨트(133, 134)를 구비한다. 제3 소입 장치(130)는 복수 개의 소입 장치(110~140) 중 좌우 중앙측에서 제2 소입 장치(120)의 좌측 옆에 배치된다.
소입륜(131)은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회전축(16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입륜(132)은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회전축(16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입륜(131)과 소입륜(132)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맞물려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입륜(131)은 제2 소입 장치(120)의 소입륜(121)의 좌측방에 위치하고, 당해 소입륜(121)과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즉, 소입륜(131)은 좌측방의 소입륜(132)과 우측방의 소입륜(121)이 끼워지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소입륜(131)은 소입륜(132)과 서로 맞물려지는 동시에, 소입륜(121)과도 서로 맞물려진다.
대경 풀리(135)는 소입륜(131)의 상방에 배치되고 소입륜(131)과 함께 회전축(164)에 고정된다. 소경 풀리(136)는 대경 풀리(135)의 우측 전방에 배치되고 예취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소입 벨트(133)는 대경 풀리(135)와 소경 풀리(136)에 감긴다.
대경 풀리(137)는 소입륜(132)의 상방에 배치되고 소입륜(132)과 함께 회전축(165)에 고정된다. 소경 풀리(138)는 대경 풀리(137)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고 예취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소입 벨트(134)는 대경 풀리(137)와 소경 풀리(138)에 감긴다.
이와 같이 소입 벨트(133)와 소입 벨트(134)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대향하는 벨트면 사이, 즉 소입 벨트(133)의 좌측 외측면과 소입 벨트(134)의 우측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도록, 즉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ハ자 형상이 되도록 각각 대략 전후 방향으로 장설된다.
제4 소입 장치(140)는 7조분의 곡간 중 좌측 2조분의 곡간(우측으로부터 세어 6조째와 7조째의 곡간(176, 177))의 밑동을 긁어 모으는 것이다. 제4 소입 장치(140)는 좌우 한 쌍이며 별 형상인 소입륜(141, 142)과 좌우 한 쌍으로 돌기 부착 소입 벨트(143, 144)를 구비한다. 제4 소입 장치(140)는 복수 개의 소입 장치(110~140) 중 가장 좌측에서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측 옆에 배치된다.
소입륜(141)은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회전축(16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입륜(142)은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회전축(16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입륜(141)과 소입륜(142)은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서로 맞물려진다.
대경 풀리(145)는 소입륜(141)의 상방에 배치되고 소입륜(141)과 함께 회전축(166)에 고정된다. 소경 풀리(146)가 대경 풀리(145)의 우측 전방에 배치되고 예취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소입 벨트(143)는 대경 풀리(145)와 소경 풀리(146)에 감긴다.
대경 풀리(147)는 소입륜(142)의 상방에 배치되고 소입륜(142)와 함께 회전축(167)에 고정된다. 소경 풀리(148)는 대경 풀리(147)의 좌측 전방에 배치되고 예취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소입 벨트(144)는 대경 풀리(147)와 소경 풀리(148)에 감긴다.
이와 같이 소입 벨트(143)와 소입 벨트(144)는 좌우 방향에 인접하도록 배열되고 서로 대향하는 벨트면 사이, 즉 소입 벨트(143)의 좌측 외측면과 소입 벨트(144)의 우측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 서서히 작아지도록, 즉 정면에서 봤을 때 대략 ハ자 형상이 되도록 각각 대략 전후 방향으로 장설된다.
또한, 소입 장치(100)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소입 장치(120)의 소입륜(121)의 두께와 소입륜(121)과 서로 맞물리는 제3 소입 장치(130)의 우측 소입륜(131)의 두께는 그 외의 각 소입륜(111, 112, 132, 141, 142)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된다. 즉, 소입륜(121)의 회전축(163)의 축선 방향의 폭과 소입륜(131)의 회전축(164)의 축선 방향의 폭은 다른 소입륜(111, 112, 132, 141, 142)의 각각 대응하는 회전축(161, 162, 165, 166, 167)의 축선 방향의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소입 장치(120)의 소입륜(121)의 두께와 제3 소입 장치(130)의 우측 소입륜(131)의 두께가 모두 동일한 두께(L1)로 설정된다. 한 편, 그 외의 각 소입륜(111, 112, 132, 141, 142)의 두께가 모두 동일한 두께(L2)로 설정된다. 그리고 두께(L1)와 두께(L2)는 두께(L1)가 두께(L2)보다 두꺼운 L1>L2의 관계이다.
또한, 소입 장치(100)에 있어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소입 장치(120)의 소입륜(121)과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31, 132)은 제1 소입 장치(110)의 소입륜(111, 112) 및 제4 소입 장치(140)의 소입륜(141, 142)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소입륜(121) 및 소입륜(131, 132)의 하면이 소입륜(111, 112) 및 소입륜(141, 142)의 상면보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소입 장치(120)의 소입륜(121)의 하면 높이와 제3 소입 장치(130)의 우측 소입륜(131)의 하면 높이가 모두 동일한 하면 높이(H1)로 설정된다.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측 소입륜(132)의 하면 높이가 하면 높이(H2)로 설정된다. 제1 소입 장치(110)의 소입륜(111, 112)의 상면 높이와 제4 소입 장치(140)의 소입륜(141, 142)의 상면 높이가 모두 동일한 상면 높이(H3)로 설정된다. 그리고 하면 높이(H1, H2)와 상면 높이(H3)는 하면 높이(H1, H2)가 상면 높이(H3)보다 높은 H1, H2>H3의 관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장치(50)는 소입 장치(100)의 제1 소입 장치(110), 제2 소입 장치(120), 제3 소입 장치(130) 및 제4 소입 장치(140)에 의해 긁어 모아진 7조분의 곡간을 예인(刈刃)(51)에 의해 밑동측에서 절단하는 것이다. 절단 장치(50)는 소입 장치(100)의 하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된다.
반송 장치(60)는 절단 장치(50)에 의해 절단된 곡간을 탈곡부(5)를 향하여 반송하는 것이다. 반송 장치(60)는 기립 장치(40)의 후방으로서, 소입 장치(100) 및 절단 장치(50)의 상방에서 후측 상방에 걸쳐서 배치된다. 반송 장치(60)는 하부 반송 장치(200), 상부 반송 장치(300), 세로 반송 장치(70), 보조 반송 장치(80) 및 이삭끝 반송 장치(90)를 구비한다.
하부 반송 장치(200)는 베어 낸 곡간의 밑동을 합류시켜 세로 반송 장치(70)까지 협지 반송하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반송 장치(200)는 제1 하부 반송 장치(210), 제2 하부 반송 장치(220), 제3 하부 반송 장치(230) 및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를 구비한다.
제1 하부 반송 장치(210)는 제1 소입 장치(110)로 긁어 모은 2조분의 곡간(171, 172)의 밑동에 다른 하부 반송 장치로부터 협지 반송되어 오는 곡간(173, 174, 175, 176, 177)의 밑동을 합류시켜, 7조분의 곡간(171, 172, 173, 174, 175, 176, 177)의 밑동을 세로 반송 장치(70)까지 협지 반송하는 것이다. 제1 하부 반송 장치(210)는 제1 소입 장치(110) 및 제2 소입 장치(120)의 후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1 소입 장치(110) 근방에서 좌측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제1 하부 반송 장치(210)는 반송 체인(211), 회전축(161)에 고정 설치된 종동(縱動) 스프로킷(212), 구동 스프로킷(213) 및 이 구동 스프로킷(213)의 좌우에 설치된 유동(遊動) 풀리(214, 215)와 구동 스프로킷(213)의 우측 전방에 설치된 텐션 풀리(216)를 구비한다. 반송 체인(211)은 종동 스프로킷(212), 구동 스프로킷(213), 유동 풀리(214, 215) 및 텐션 풀리(216)에 감긴다.
또한, 제1 하부 반송 장치(210)는 반송 체인(211)을 안내하는 가이드판(511)과 반송 체인(211)의 사이에 곡간을 협지하는 협지 레버(512), 가이드 스프링(513, 514)을 구비한다(도 14 참조).
제2 하부 반송 장치(220)는 제2 소입 장치(120)로 긁어 모은 1조분의 곡간(173)의 밑동을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와의 합류부(182)까지 협지 반송하는 것이다. 제2 하부 반송 장치(220)는 제2 소입 장치(120)의 후방으로서,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의 좌측 전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2 소입 장치(120) 근방으로부터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의 반송 중간부 근방까지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여기서, 합류부(182)는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의 반송 중간부로서, 제2 하부 반송 장치(220)와 근접한 위치가 된다.
제2 하부 반송 장치(220)는 반송 체인(221), 회전축(163)에 고정 설치된 구동 스프로킷(223), 2개의 유동 풀리(224, 225) 및 텐션 풀리(226)를 구비한다. 반송 체인(221)은 구동 스프로킷(223), 유동 풀리(224, 225) 및 텐션 풀리(226)에 감긴다.
제3 하부 반송 장치(230)는 제3 소입 장치(130)로 긁어 모은 2조분의 곡간 (174, 175)의 밑동을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와의 합류부(181)까지 협지 반송하는 것이다. 제3 하부 반송 장치(230)는 제3 소입 장치(130)의 후방으로서,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우측 전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3 소입 장치(130) 근방으로부터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반송 중간부 근방까지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여기서, 합류부(181)는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반송 중간부로서, 제3 하부 반송 장치(230)와 근접한 위치가 된다.
제3 하부 반송 장치(230)는 반송 체인(231), 회전축(164)에 고정 설치된 종동 스프로킷(232), 구동 스프로킷(233) 및 이 구동 스프로킷(233)의 좌측에 설치된 유동 풀리(234)와 구동 스프로킷(233)의 전방에 설치된 텐션 풀리(235)를 구비한다. 반송 체인(231)은 종동 스프로킷(232), 구동 스프로킷(233), 유동 풀리(234) 및 텐션 풀리(235)에 감긴다.
또한, 제3 하부 반송 장치(230)는 반송 체인(231)을 안내하는 가이드판(531)과 반송 체인(231)의 사이에 곡간을 협지하는 협지 레버(532) 및 가이드 스프링(533)과 곡간을 안내하는 안내 레버(534)를 구비한다(도 14 참조).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는 제4 소입 장치(140)로 긁어 모은 2조분의 곡간(176, 177)의 밑동에 제3 하부 반송 장치(230)로부터 협지 반송되어 오는 곡간 (174, 175)의 밑동을 합류시켜, 4조분의 곡간(174, 175, 176, 177)의 밑동을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의 합류부(183)까지 협지 반송하는 것이다.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는 제4 소입 장치(140)의 후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제3 소입 장치(130) 근방으로부터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반송 종단부 근방까지 우측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여기서, 합류부(183)는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의 반송 중간부보다 하류로서,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와 근접한 위치가 된다.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는 반송 체인(241), 회전축(167)에 고정 설치된 종동 스프로킷(242), 구동 스프로킷(243) 및 이 구동 스프로킷(243)의 우측에 설치된 이간용 풀리(244) 및 유동 풀리(245)와 구동 스프로킷(243)의 전방에 설치된 텐션 풀리(246)를 구비한다. 반송 체인(241)은 종동 스프로킷(242), 구동 스프로킷(243), 이간용 풀리(244), 유동 풀리(245) 및 텐션 풀리(246)에 감긴다.
또한,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는 반송 체인(241)을 안내하는 가이드판(541)과 반송 체인(241)의 사이에 곡간을 협지하는 협지 레버(542) 및 가이드 스프링 (543, 544)을 구비한다(도 14 참조).
또한,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는 이간용 풀리(244)의 위치를 변경하는 막힘 해제 수단(600)과 막힘 해제 수단(600)이나 가이드판(541) 등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545), 중간 프레임(546), 하부 프레임(547)을 구비한다(도 14 참조).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는 평면에서 봤을 때(도 4) 세로 전동 파이프(12)의 좌측, 즉 콤바인(1)의 좌우 방향의 좌측에 배치된다.
상부 반송 장치(300)는 하부 반송 장치(200)로 협지 반송하는 곡간의 이삭끝을 계지(係止) 반송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반송 장치(300)는 하부 반송 장치(200)의 상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소입 장치(100)의 상방 부근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반송 장치(300)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와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와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와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를 구비한다.
제1 상부 반송 장치(310)는 제1 하부 반송 장치(210)로 반송되는 2조분의 곡간(171, 172)의 이삭끝에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로부터 계지 반송되는 곡간(173)의 이삭끝을 합류시켜, 3조분의 곡간(171, 172, 173)의 이삭끝을 계지 반송하는 것이다. 제1 상부 반송 장치(310)는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1 소입 장치(110) 근방에서 좌측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제1 상부 반송 장치(310)는 반송 체인(311), 이 반송 체인(311)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및 수납 가능하게 장착된 타인(312), 구동 스프로킷(313) 및 텐션 풀리(314)를 구비한다. 반송 체인(311)은 구동 스프로킷(313) 및 텐션 풀리(314)에 감긴다.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는 제2 하부 반송 장치(220)로 반송되는 1조분의 곡간(173)의 이삭끝을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와의 합류부(192)까지 계지 반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합류부(192)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의 반송 중간부로서,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와 근접한 위치가 된다.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는 제3 하부 반송 장치(230)로 반송되는 2조분의 곡간(174, 175)의 이삭끝을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와의 합류부(191)까지 계지 반송하는 것이다. 여기서, 합류부(191)는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의 반송 중간부로서,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와 근접한 위치가 된다.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는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로 반송되는 2조분의 곡간(176, 177)의 이삭끝에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로부터 계지 반송되어 오는 곡간(174, 175)의 이삭끝을 합류시켜, 4조분의 곡간(174, 175, 176, 177)의 이삭끝을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와의 합류부(193)까지 계지 반송하는 것이다.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는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상방에 배치되고 제4 소입 장치(140) 근방에서 우측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여기서, 합류부(193)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의 반송 중간부보다 하류로서,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와 근접한 위치이다.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는 반송 체인(341), 이 반송 체인(341)에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및 수납 가능하게 장착된 타인(342), 구동 스프로킷(343), 텐션 풀리 (344) 및 유동 풀리(345, 346)를 구비한다. 반송 체인(341)은 구동 스프로킷(343), 텐션 풀리(344) 및 유동 풀리(345, 346)에 감긴다.
세로 반송 장치(70)는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이어진 7조분의 곡간의 밑동을 보조 반송 장치(80)까지 협지 반송하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반송 장치(70)는 하부 반송 장치(200)의 후방에 전저후고의 경사 형상으로 배치되고 하부 반송 장치(200)의 반송 종단부 부근에서 좌측 비스듬한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보조 반송 장치(80)는 세로 반송 장치(70)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이어진 7조분의 곡간의 밑동을 탈곡부(5)까지 협지 반송하는 것이다. 보조 반송 장치(80)는 세로 반송 장치(70)의 후측 상방에 배치되고 세로 반송 장치(70)의 반송 종단부 부근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
이삭끝 반송 장치(90)는 제1 하부 반송 장치(210), 세로 반송 장치(70) 및 보조 반송 장치(80)로 반송되는 곡간의 이삭끝을 계지 반송하는 것이다. 이삭끝 반송 장치(90)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의 뒷부분 하방에 배치되고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의 반송 중간부 부근에서 후방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다(도 5 참조).
다음으로 예취부(4)의 동력 전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취 프레임(10), 즉 이것을 구성하는 각 파이프 등에는 각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전동축이 장변 방향을 따라 내삽(內揷)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 입력 파이프(11)에는 예취 입력축(411)이 내삽된다. 세로 전동 파이프(12)에는 세로 전동축(412)이 내삽된다. 가로 전동 파이프(13)에는 가로 전동축(413)이 내삽된다. 중앙 반송 전동 파이프(20)에는 중앙 반송 전동축(420)이 내삽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 입력축(411)은 주행부(2)에 탑재된 엔진에 연동 연결되는 동시에, 세로 전동축(412)에 연동 연결된다. 세로 전동축(412)은 가로 전동축(413), 중앙 반송 전동축(420) 및 그 외의 전동 축에 적절히 연동 연결된다. 이와 같이 엔진으로부터 예취 입력축(411)에 전달된 동력이 당해 예취 입력축(411)으로부터 세로 전동축(412)을 거치고, 또한 기립 장치(40), 소입 장치(100), 절단 장치(50) 및 반송 장치(60)에 전달 가능하다.
세로 전동축(412)의 중간부로부터 얻어진 동력은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의 구동 스프로킷(213)에 전달된다. 당해 동력에 의해 제1 하부 반송 장치(210) 및 제1 소입 장치(110)가 순서대로 구동된다. 또한, 세로 전동축(412)의 중간부로부터 얻어진 동력은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의 구동 스프로킷(313)에 전달된다. 당해 동력에 의해 제1 상부 반송 장치(310)가 구동된다.
가로 전동축(413)의 좌단으로부터 얻어진 동력은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구동 스프로킷(243)에 전달된다. 당해 동력에 의해 제4 하부 반송 장치(240) 및 제4 소입 장치(140)가 순서대로 구동된다. 또한, 가로 전동축(413)의 좌단으로부터 얻어진 동력은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의 구동 스프로킷(343)에 전달된다. 당해 동력에 의해 제4 상부 반송 장치(340)가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예취부(4)는 예취 작업시에 상기 각 장치를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하여 논, 밭의 곡간을 베어 내면서 거둔다. 즉, 예취부(4)에 있어서는 논, 밭의 곡간이 분초 도구(30)에 의해 1조마다 분리되도록 분초된 후, 분초된 곡간이 일으켜진다. 이어서, 소입 장치(100)로 기립 장치(40)에 의해 일으켜진 곡간의 밑동측이 긁어 모아진다.
상세하게는, 제1 소입 장치(110)에 있어서 소입륜(111) 및 대경 풀리(115)가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대경 풀리(115)의 회전에 의해 소입 벨트(113)가 회전한다. 또한, 소입륜(111)의 회전에 의해 이 소입륜(111)과 서로 맞물리는 소입륜(112)이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소입륜(112)의 회전에 의해 대경 풀리(117)가 회전한다. 그리고 대경 풀리(117)의 회전에 의해 소입 벨트(114)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우측 2조분의 곡간(171, 172)의 밑동측이 소입륜(111, 112) 및 소입 벨트(113, 114)에 의해 후방을 향하여 긁어 모아진다.
제2 소입 장치(120) 및 제3 소입 장치(130)에 있어서 소입륜(131) 및 대경 풀리(135)가 회전축(164)을 중심으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대경 풀리(135)의 회전에 의해 소입 벨트(133)가 회전한다. 또한, 소입륜(131)의 회전에 의해 이 소입륜(131)과 서로 맞물리는 소입륜(121, 132)이 각각 회전축(163, 165) 을 중심으로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소입륜(121)의 회전에 의해 대경 풀리(123)가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대경 풀리(123)의 회전에 의해 소입 벨트(122)가 회전한다. 또한, 소입륜(132)의 회전에 의해 대경 풀리(137)가 회전한다. 그리고 대경 풀리(137)의 회전에 의해 소입 벨트(134)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좌우 중앙측 3조 중 우측 1조분의 곡간(173)의 밑동측이 소입륜(121) 및 소입 벨트(122)에 의해 후방을 향하여 긁어 모아지고, 좌우 중앙측 3조 중 나머지 2조분의 곡간(174, 175)의 밑동측이 소입륜(131, 132) 및 소입 벨트(133, 134)에 의해 후방을 향해 긁어 모아진다.
제4 소입 장치(140)에 있어서, 소입륜(142) 및 대경 풀리(147)가 회전축(167)을 중심으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대경 풀리(147)의 회전에 의해 소입 벨트(144)가 회전한다. 또한, 소입륜(142)의 회전에 의해 이 소입륜(142)과 서로 맞물리는 소입륜(141)이 회전축(166)을 중심으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소입륜(141)의 회전에 의해 대경 풀리(145)가 회전한다. 그리고 대경 풀리(145)의 회전에 의해 소입 벨트(143)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좌측 2조분의 곡간(176, 177)의 밑동측이 소입륜(141, 142) 및 소입 벨트(143, 144)에 의해 후방을 향하여 긁어 모아진다.
그리고 절단 장치(50)에 의해 곡간(171, 172), 곡간(173), 곡간(174, 175), 곡간(176, 177)이 밑동측에서 절단된다. 절단 후의 각 조분의 곡간(171, 172), 곡간(173), 곡간(174, 175), 곡간(176, 177)이 반송 장치(60)에 의해 도중에 합류되면서 탈곡부(5)를 향하여 반송된다. 반송 장치(60)에서는 우선 곡간(171, 172), 곡간(173), 곡간(174, 175), 곡간(176, 177)의 밑동측이 하부 반송 장치(200)에 의해 반송되고 이삭끝 측이 상부 반송 장치(300)에 의해 반송된다.
상세하게는, 제3 하부 반송 장치(230)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233)의 회전에 의해 반송 체인(231)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3 소입 장치(130)에 의해 긁어 모아진 2조분의 곡간(174, 175)의 밑동측이 비스듬한 후측 상방의 합류부(181)까지 반송된다.
한편,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있어서 제3 하부 반송 장치(230)에 의해 밑동측이 반송되는 2조분의 곡간(174, 175)의 이삭끝 측이 비스듬한 후측 상방의 합류부(191)까지 계지 반송된다.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에 있어서는 구동 스프로킷(243)의 회전에 의해 반송 체인(241)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4 소입 장치(140)에 의해 긁어 모아진 2조분의 곡간(176, 177)의 밑동측과 함께 합류부(181)에서 이어진 곡간(174, 175)의 밑동측이 비스듬한 후측 상방의 합류부(183)까지 반송된다. 한편,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343)의 회전에 의해 반송 체인(341)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에 의해 밑동측이 반송되는 2조분의 곡간(176, 177)의 이삭끝 측이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의해 계지 반송되는 곡간(174, 175)의 이삭끝 측과 합류하고 4조분의 곡간(174, 175, 176, 177)의 이삭끝 측이 비스듬한 후측 상방의 합류부(193)까지 계지 반송된다.
제2 하부 반송 장치(220)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223)의 회전에 의해 반송 체인(221)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2 소입 장치(120)에 의해 긁어 모아진 1조분의 곡간(173)의 밑동측이 후측 상방의 합류부(182)까지 반송된다. 한편,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있어서 제2 하부 반송 장치(220)에 의해 밑동측이 반송되는 1조분의 곡간(173)의 이삭끝 측이 후측 상방의 합류부(192)까지 계지 반송된다.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213)의 회전에 의해 반송 체인(211)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소입 장치(110)에 의해 긁어 모아진 2조분의 곡간(171, 172)의 밑동측이 비스듬한 후측 상방에 반송되고, 합류부(182, 183)에서 이어진 곡간(173, 174, 175, 176, 177)의 밑동측과 함께 세로 반송 장치(70)까지 반송된다. 한편,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에 있어서 구동 스프로킷(313)의 회전에 의해 반송 체인(311)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에 의해 밑동측이 반송되는 2조분의 곡간(171, 172)의 이삭끝 측이 합류부(192)에서 이어진 곡간(173)의 이삭끝과 함께 3조분의 곡간(171, 172, 173)의 이삭끝이 비스듬한 후측 상방에 계지 반송된다.
즉, 하부 반송 장치(200)에 있어서는 제3 하부 반송 장치(23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4, 175)의 밑동측이 합류부(181)에서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6, 177)의 밑동측과 합류하여 반송 중인 곡간(174, 175, 176, 177)이 4조분의 한 다발이 되고, 이 다발이 합류부(183)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1, 172)의 밑동측이 합류부(182)에서 제2 하부 반송 장치(22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3)의 밑동측과 합류하여 반송 중인 곡간(171, 172, 173)이 3조분의 하나의 다발이 되고, 이 다발이 합류부(183)에서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4, 175, 176, 177)과 합류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다발이 된 7조분의 곡간(171, 172, 173, 174, 175, 176, 177)의 밑동측이 세로 반송 장치(70)의 반송 시단부에 인도된다.
상부 반송 장치(300)에 있어서는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4, 175)의 이삭끝 측이 합류부(191)에서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6, 177)의 이삭끝 측과 합류하여 반송 중인 곡간(174, 175, 176, 177)이 4조분의 하나의 다발이 되고, 이 다발이 합류부(193)까지 반송된다. 그리고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1, 172)의 이삭끝 측이 합류부(192)에서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3)의 이삭끝 측과 합류하여 반송 중인 곡간(171, 172, 173)이 3조분의 하나의 다발이 되고, 이 다발이 합류부(193)에서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174, 175, 176, 177)과 합류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다발이 된 이 7조분의 곡간(171, 172, 173, 174, 175, 176, 177)의 이삭끝 측이 이삭끝 반송 장치(90)의 반송 중간부에 전달된다. 또한, 이삭끝 반송 장치(90)의 반송 시단부는 합류부(192)의 하류로서,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의 하방에 설치되고 제1 하부 반송 장치(210)에서 협지 반송되는 곡간을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의 반송 도중에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와 함께 계지 반송한다.
그리고 7조분의 곡간(171, 172, 173, 174, 175, 176, 177)은 그 이삭끝 측이 이삭끝 반송 장치(90)에 의해 계지 반송되면서, 그 밑동측이 세로 반송 장치(70)에 의해 협지 반송되고, 마지막으로 보조 반송 장치(80)를 통하여 탈곡부(5)에 인도된다.
다음으로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의 상세한 구조와 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로의 동력 전달 구조를 설명한다.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는 동력이 상기 제2 소입 장치(120)의 소입륜(121)으로부터 전동 장치(150)를 통하여 전달된다.
도 8,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장치(150)는 체인(151), 구동 스프로킷(152), 종동 스프로킷(153) 및 커버 부재(154)를 구비한다. 구동 스프로킷(152)은 소입륜(121)과 함께 회전축(163)에 고정된다. 종동 스프로킷(153)은 구동 스프로킷(152)의 우측 비스듬한 후방으로서, 회전축(163)과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회전축(155)에 축지된다. 체인(151)은 구동 스프로킷(152) 및 종동 스프로킷(153)에 감긴다.
체인(151), 구동 스프로킷(152) 및 종동 스프로킷(153)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커버 부재(154)에 의해 피복된다. 커버 부재(154)의 앞측 하부에는 회전축(163)이 내삽된 원기둥 형상의 제1 전동 파이프(156)가 돌출 설치된다. 전동 장치(150)는 이 제1 전동 파이프(156)를 통하여 제2 소입 장치(120)에 지지된다. 또한, 커버 부재(154)의 후측 상부에는 회전축(155)이 내삽된 원기둥 형상의 제2 전동 파이프(157)가 돌출 설치된다.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는 제2 전동 파이프(157)를 통하여 전동 장치(150)에 지지된다.
도 8 및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는 회전판(321), 복수(4개) 개의 타인(322, 322, 322, 322), 상판(323) 및 하판(324)을 구비한다. 회전판(321)은 대략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축(155)이 회전판(321)의 중심부에 끼워 넣어지고, 당해 회전판(321)과 고정된다. 회전판(321)의 지름 방향 외주단에는 회전축(155)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대략90°) 마다 대략 へ자 형상의 타인(322)의 일단부(기부(基部)(322a, 322a))는 피벗 지지된다. 각 타인의 기부(322a, 322a)는 지축(322c)의 축선 방향으로서, 회전판(321)과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상판(323) 및 하판(324)은 상기 회전판(321)보다 큰 판면을 갖는 판재이다. 상판(323)은 회전판(321)의 상방으로서, 측면에서 봤을 때 회전판(321)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하판(324)은 회전판(321)의 하부로서, 측면에서 봤을 때 회전판(321)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상판(323) 및 하판(324)의 중심부에는 회전축(155)이 끼어 넣어진다. 그리고 상판(323)은 볼트(325, 325)에 의해 하판(324)에 체결된다.
상판(323)의 하면에는 타인(322)의 한 쪽(상측)의 기부(322a)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제1 가이드 부재(323a)와 제2 가이드 부재(323b)와 제3 가이드 부재 (323c))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 부재(323a)는 상판(323)의 일부 외주단(우측)으로서, 그 외주 형상을 따르도록 회전판(32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제2 가이드 부재(323b)는 상기 외주단보다 약간 내주(內周)이며, 대략 원호 형상이 되도록 회전판(32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제3 가이드 부재(323c)는 제2 가이드 부재(323b)의 장변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회전판(321) 방향을 향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이들 제2 가이드 부재(323b)와 제3 가이드 부재(323c)는 타인(322)이 회전했을 때 타인(322)의 한 쪽의 기부(322a)가 접접(摺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판(324)의 상면에는 타인(322)의 다른 한 쪽(하측)의 기부(322a)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제1 가이드 부재(324a)와 제2 가이드 부재(324b)와 제3 가이드 부재(324c))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 부재(324a)는 하판(324)의 일부 외주단(우측)으로서, 그 외주 형상을 따르도록 회전판(32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제2 가이드 부재(324b)는 상기 외주단보다 약간 내주이며, 대략 원호 형상이 되도록 회전판(32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제3 가이드 부재(324c)는 제2 가이드 부재(324b)의 장변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회전판(321) 방향을 향하여 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이들 제2 가이드 부재(324b)와 제3 가이드 부재(324c)는 타인(322)이 회전했을 때 타인(322)의 한 쪽의 기부(322a)가 접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부재(324a)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323a)와, 제2 가이드 부재(324b)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323b)와, 제3 가이드 부재(323c)는 상기 제3 가이드 부재(324c)와 평면에서 봤을 때 동일한 위치이다. 양쪽의 제1 가이드 부재(323a, 324a) 사이의 폭은 회전축(155)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각 타인(322)을 통과할 수 있도록 그 타인(322)의 축선 방향의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소입륜(121)의 회전에 의해 전동 장치(150)의 구동 스프로킷(152)이 회전하고 이 구동 스프로킷(152)에 감긴 체인(151)을 통해 종동 스프로킷(153)이 회전한다. 그리고 이 종동 스프로킷(153)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155)이 회전한다.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있어서 회전축(155)이 회전하면, 회전판(321)이 회전한다. 그리고 회전판(321)에 장착된 타인(322)은 그 기부(322a, 322a)가 제3 가이드 부재(323c, 324c)와 맞닿았을 때, 타인(322)의 지축(322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판(321)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타인(322)의 선단부(322b)가 제1 가이드 부재(323a, 324a)보다 외측 쪽으로 돌출한다(대략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타인(322)의 기부(322a, 322a)는 제1 가이드 부재(323a, 324a)와 제2 가이드 부재(323b, 324b)의 사이를 이동하여 타인(322)의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타인(322)의 기부(322a, 322a)가 제2 가이드 부재(323b, 323b)와 맞닿지 않게 되면, 타인(322)의 선단부(322b)가 제1 가이드 부재(323a, 324a)보다 내측 쪽에 위치하여 외측 쪽으로는 돌출되지 않고 타인(322)이 수납된다.
또한,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로 반송되는 곡간(173)의 이삭끝 측을 전동 장치(150)의 가장자리와 맞닿게 하고 안내하면서 반송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즉, 전동 장치(150)의 커버 부재(154)가 반송되는 곡간의 안내 레버를 겸용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7조 예취용 콤바인(1)의 예취부(4)는 기립 장치(40), 소입 장치(100), 절단 장치(50) 및 반송 장치(60)를 구비하는 콤바인(1)의 예취부(4)에 있어서, 상기 소입 장치(100)는 좌우 한 쌍의 소입륜(111, 112) 및 소입 벨트(113, 114)로 우측 2조분의 곡간(171, 172)을 긁어 모으는 제1 소입 장치(110)과, 단일의 소입륜(121) 및 소입 벨트(122)로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한 쪽 1조분의 곡간(173)을 긁어 모으는 제2 소입 장치(120)와, 좌우 한 쌍의 소입륜(131, 132) 및 소입 벨트(133, 134)로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나머지 2조분의 곡간(174, 175)을 긁어 모으는 제3 소입 장치(130)와, 좌우 한 쌍의 소입륜(141, 142) 및 소입 벨트(143, 144)로 좌측 2조분의 곡간(176, 177)을 긁어 모으는 제4 소입 장치(14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륜(121)과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소입륜 중 상기 단일의 소입륜과 인접하는 소입륜(131)을 서로 맞물리게 하며, 상기 반송 장치(60)는 상기 제1 소입 장치(110)로 긁어 모아진 곡간(171, 172)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와, 상기 제2 소입 장치(120)로 긁어 모아진 곡간(173)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와, 상기 제3 소입 장치(130)로 긁어 모아진 곡간(174, 175)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와, 상기 제4 소입 장치(140)로 긁어 모아진 곡간(176, 177)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를 구비하고, 동력을 상기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상기 제3 소입 장치(130)로부터 상기 제2 소입 장치(120)를 통하여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로의 동력 전달 구조가 제2 소입 장치(120)의 상방에 설치되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 장치를 반송 장치(60)에 의해 반송 중인 각 조분의 곡간이 합류하는 합류부 근방, 구체적으로는 하부 반송 장치(200)에 의해 반송 중인 곡간의 밑동측이 합류하는 합류부(182) 근방이나 상부 반송 장치(300)에 의해 반송 중인 곡간의 이삭끝이 합류하는 합류부(192) 근방에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합류부 근방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이 합류부 근방에서의 곡간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1조분의 곡간(173)의 상부를 반송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를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력은 적어도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소입륜(131)에서 소입륜(121), 전동 장치(150)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이라고 하여도,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를 충분히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입 장치(100)는 상기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륜(121)과, 이 단일의 소입륜(121)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소입륜(131)의 두께를 다른 상기 소입륜(111, 112, 132, 141, 142)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과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의 맞물림이 풀어지기 어려워진다. 즉, 소입 장치(100)에 있어서 제3 소입 장치(130)와 같이 한 쌍의 소입륜(131, 132)이 있는 경우, 곡간을 협지하여 반송할 때, 한 쌍의 소입륜(131, 132)에는 좌우 대칭에 뒤틀림이 생겨, 한 쪽의 소입륜(131)으로부터 다른 한 쪽의 소입륜(132)으로의 동력 전달에 지장은 생기지 않는다. 한편, 제2 소입 장치(120)와 같이 단일의 소입륜(121) 밖에 없는 경우, 곡간을 협지하여 반송할 때, 단일의 소입륜(121)에도 뒤틀림은 생기지만, 이 뒤틀림은 서로 맞물리는 소입륜(131)에 생긴 뒤틀림에 대응한 것이 된다고는 한정할 수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맞물림이 풀어져 소입륜(131)에서 단일의 소입륜으로의 동력 전달에 지장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단일의 소입륜(121)과 소입륜(131)은 다른 소입륜(111, 112, 132, 141, 142)보다 두께가 있기 때문에, 맞물림이 풀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동력을 제3 소입 장치(130)의 소입륜(131)으로부터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륜(121)으로 확실히 전달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제3 소입 장치(130)로부터 제2 소입 장치(120)를 통하여 확실히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입 장치(100)는 상기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륜(121)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31, 132)을, 상기 제1 소입 장치(11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11, 112) 및 상기 제4 소입 장치(14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41, 14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륜(121)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31, 132)과 제1 소입 장치(11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11, 112)과의 간섭을 피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또한,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륜(121)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31, 132)과 제4 소입 장치(14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41, 142)과의 간섭을 피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동시에, 소입 장치(100)에서는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 벨트(122)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우 한 쌍의 소입 벨트(133, 134)가 제1 소입 장치(110)의 좌우 한 쌍의 소입 벨트(113, 114) 및 제4 소입 장치(140)의 좌우 한 쌍의 소입 벨트(143, 144)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 벨트(122)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우 한 쌍의 소입 벨트(133, 134)와 제1 소입 장치(110)의 좌우 한 쌍의 소입 벨트(113, 114)와의 간섭을 피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또한,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 벨트(122)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우 한 쌍의 소입 벨트(133, 134)와 제4 소입 장치(140)의 좌우 한 쌍의 소입 벨트(143, 144)와의 간섭을 피하여 서로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소입 장치의 간격을 좌우 방향으로 좁혀 소입 장치의 설치 부분, 나아가서는 예취부(4)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한 쪽의 소입륜(131)에서 좌우 양측으로 나란히 설치된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우측의 소입륜(132) 및 상기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륜(121)에 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동력이 소입륜(131)에서 당해 소입륜(131)의 좌우 양측으로 나란히 설치된 2개의 소입륜(121, 132)에 균형있게 할당된다. 따라서, 각 소입륜(121, 131, 132)에 대한 부하가 분산되어 제2 소입 장치(120) 및 제3 소입 장치(130)의 고장율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소입 장치(120)의 소입륜(121)과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우측 소입륜(131)을 서로 맞물리게 하여 나란히 설치하고, 소입륜(121)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제2 하부 반송 장치(220)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제2 하부 반송 장치(220)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동 장치를 반송 장치(60)에 의해 반송 중인 각 조분의 곡간이 합류하는 합류부 근방, 구체적으로는 하부 반송 장치(200)에 의해 반송 중인 곡간의 밑동측이 합류하는 합류부(182) 근방이나 상부 반송 장치(300)에 의해 반송 중인 곡간의 이삭끝이 합류하는 합류부(192) 근방에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합류부 근방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이 합류부 근방에서의 곡간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부 반송 장치(22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 등의 전동 장치가 불필요해진다. 즉, 제2 하부 반송 장치(220)로의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하여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소입 장치(100)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좌우 중앙측 3조분의 곡간을 우측 1조분과 좌측 2조분으로 나누어 긁어 모아 후방으로 반송하는 구성이지만, 제2 소입 장치(120)와 제3 소입 장치(130)를 좌우 반대로 바꿔 넣고 제2 하부 반송 장치(220)와 제3 하부 반송 장치(230)를 좌우 반대로 바꿔 넣으며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와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를 바꿔 넣은 것과 같은 구조로서 좌우 중앙 3조분의 곡간을 우측 2조분과 좌측 1조분으로 나누어 긁어 모아 후방으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좌우 한 쌍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를 갖는 소입 장치를 복수 개 나란히 설치하여 짝수조 베기용 예취부를 구성하고, 이 짝수조 베기용 예취부에 단일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를 갖는 소입 장치를 추가로 나란히 설치하여 홀수조 베기용 예취부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단일의 소입륜을 좌우 한 쌍의 소입륜과 서로 맞물려 구성하는 것만으로, 단일의 소입 장치로의 동력 전달 기구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게다가 서로 맞물려진 단일의 소입륜으로부터 단일로 긁어 모은 곡간의 밑동을 반송하는 하부 반송 장치나 이삭끝을 반송하는 상부 반송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했을 때에는 이들 하부 반송 장치 및 상부 반송 장치로의 동력 전달 구조를 간편하고 용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는 반송 체인(331), 복수 개의 타인(332, 332, …), 상판(333), 하판(334), 보조판(335), 구동 스프로킷(336), 유동 스프로킷(337), 텐션 스프로킷(338) 및 텐션 조절 기구(350)를 구비한다. 반송 체인(331)의 외주단에는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へ자 형상의 타인(332, 332, …)의 일단부(기부(332a, 332a))가 피벗 지지된다. 각 타인의 기부(332a, 332a)는 지축(332c)의 축선 방향으로서, 반송 체인(331)과 반대측으로 돌출된다.
상판(333)은 반송 체인(331)의 상방으로서, 측면에서 봤을 때 반송 체인(331)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하판(334)은 반송 체인(331)의 하부로서, 측면에서 봤을 때 반송 체인(331)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 상판(333)은 볼트 너트(339) 등에 의해 하판(334)에 체결된다. 보조판(335)은 하판(334)의 뒷부분에서 우측으로 연장 돌출 설치된다.
상판(333)의 하면에는 타인(332)의 한 쪽(상측)의 기부(332a)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제1 가이드 부재(333a)와 제2 가이드 부재(333b)와 제3 가이드 부재(333c))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 부재(333a)는 상판(333)의 일부 외주단(좌측)으로서, 그 외주 형상을 따르도록 반송 체인(33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제2 가이드 부재(333b)는 상기 외주단보다 약간 내주이며, 텐션 스프로킷(338)의 뒷부분으로부터 텐션 스프로킷(338)과 유동 스프로킷(337)의 중간부에 걸쳐, 반송 체인(33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제3 가이드 부재(333c)는 제2 가이드 부재(333c)의 뒷부분으로부터 유동 스프로킷(337)의 중간부에 걸쳐, 반송 체인(33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이러한 제2 가이드 부재(333b) 및 제3 가이드 부재(333c)는 타인(332)이 회전했을 때, 타인(332)의 한 쪽의 기부(332a)가 접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판(334)의 상면에는 타인(332)의 한 쪽(하측)의 기부(332a)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제1 가이드 부재(334a)와 제2 가이드 부재(334b)와 제3 가이드 부재(334c))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 부재(334a)는 하판(334)의 일부 외주단(좌측)으로서, 그 외주 형상을 따르도록 반송 체인(33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제2 가이드 부재(334b)는 상기 외주단보다 약간 내주이며, 텐션 스프로킷(338)의 뒷부분으로부터 텐션 스프로킷(338)과 유동 스프로킷(337)의 중간부에 걸쳐, 반송 체인(33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제3 가이드 부재(334c)는 제2 가이드 부재(334c)의 뒷부분으로부터 유동 스프로킷(337)의 중간부에 걸쳐, 반송 체인(331) 방향을 향하여 띠 형상으로 돌출 설치된다. 이러한 제2 가이드 부재(334b) 및 제3 가이드 부재(334c)는 타인(332)이 회전했을 때, 타인(332)의 한 쪽의 기부(332a)가 접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부재(334a)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333a)와, 제2 가이드 부재(334b)는 상기 제2 가이드 부재(333b)와, 제3 가이드 부재(333c)는 상기 제3 가이드 부재(334c)와 평면에서 봤을 때 동일한 위치이다. 양쪽의 제1 가이드 부재(333a, 334a) 사이의 폭은 중앙 반송 전동축(42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각 타인(332)을 통과할 수 있도록 그 타인(332)의 축선 방향의 폭보다 크게 설정된다.
구동 스프로킷(336)은 보조판(335)의 상방에 배치되고 중앙 반송 전동축(420)의 선단에 장착된다. 유동 스프로킷(337)은 상판(333)과 하판(334)의 사이로서, 구동 스프로킷(336)의 좌측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텐션 스프로킷(338)은 상판(333)과 하판(334)의 사이로서, 유동 스프로킷(337)의 전방에 유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텐션 스프로킷(338)은 텐션 조절 기구(350)에 의해 상판(333) 및 하판(334)의 장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텐션 스프로킷(338)의 날밑(338a, 338a)은 타인(322)의 기부(332a, 332a)를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성한다. 구동 스프로킷(336), 유동 스프로킷(337) 및 텐션 스프로킷(338)에는 반송 체인(331)이 감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있어서는 구동 스프로킷(336)이 회전하면 반송 체인(331)이 회전한다. 그리고 반송 체인(331)에 장착된 타인(332)은 그 기부(332a, 332a)가 텐션 스프로킷(338)의 날밑(338a, 338a)과 맞닿았을 때, 타인(332)의 지축(332c)을 중심으로 하여 반송 체인(331)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타인(322)의 선단부(332b)가 제1 가이드 부재(333a, 334a)보다 외측 쪽으로 돌출한다(대략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한다). 그리고 타인(332)의 기부(332a, 332a)가 제1 가이드 부재(333a, 334a)와 날밑(338a, 338a)의 사이, 제1 가이드 부재(333a, 334a)와 제2 가이드 부재(333b, 334b)의 사이 및 제1 가이드 부재(333a, 334a)와 제3 가이드 부재(333c, 334c)의 사이를 이동하여 타인(322)의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그 후, 타인(332)의 기부(332a, 332a)가 제3 가이드 부재(333c, 334c)와 맞닿지 않게 되면, 타인(332)의 선단부(332b)가 제1 가이드 부재(333a, 334a)보다 내측 쪽에 위치하여 외측 쪽에는 돌출되지 않고 타인(332)이 수납된다.
이와 같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간(173)의 이삭끝 측을 반송 시단부(370)에서 반송 종단부(371)까지 계지 반송한다. 다시 말하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있어서 곡간(173)의 반송 경로(373)는 반송 시단부(370)에서 반송 종단부(371)까지의 경로이다. 여기서, 반송 시단부(370)는 소입륜(121)의 우측 뒷부분의 위치이고, 소입륜(121)으로 긁어 모으는 중인 곡간(173)의 이삭끝 측이 반송 가능하게 구성된다. 반송 종단부(371)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의 장변 방향 중간부의 전방의 위치, 또는 합류부(192)의 전방의 위치이고,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에 있어서 곡간(171, 172)의 반송 경로와 중복시켜 반송의 누락을 없애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반송 시단부(370) 및 반송 종단부(371)가 되도록 상기 제2 가이드 부재(323b, 324b) 및 제3 가이드 부재 (323c, 324c)가 설정된다.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는 곡간(174, 175)의 이삭끝 측을 반송 시단부(380)에서 반송 종단부(381)까지 계지 반송한다. 다시 말하면,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있어서 곡간(174, 175)의 반송 경로(382)는 반송 시단부(380)에서 반송 종단부(381)까지의 경로이다. 여기서, 반송 시단부(380)는 소입륜(131)의 좌측 뒷부분의 위치이고, 소입륜(131, 132)으로 긁어 모으는 중인 곡간(174, 175)의 이삭끝 측이 반송 가능하게 구성된다. 반송 종단부(381)는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의 장변 방향 종단부의 전방의 위치, 또는 합류부(191)의 전방의 위치이고,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에 있어서 곡간(176, 177)의 반송 경로와 중복시켜 반송의 누락을 없애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반송 시단부(380) 및 반송 종단부(381)가 되도록 날밑(338a, 338a), 제2 가이드 부재(333b, 334b) 및 제3 가이드 부재(333c, 334c)가 설정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있어서 곡간(174, 175)의 반송 경로(382)는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있어서 곡간(173)의 반송 경로(373)보다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는 반송 경로가 긴 만큼 반송 체인이 길게 구성되고, 반송 체인에 피봇 지지되는 타인의 수나 반송 체인에 감기는 스프로킷의 수도 증가하게 된다. 즉,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를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력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를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력과 비교하여 커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는 2조분의 곡간을 반송하는 구성이므로, 1조분의 곡간을 반송하는 구성인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와 비교하여 반송하는 곡간의 수가 많은 만큼,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력은 당연히 커진다. 게다가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있어서는 동력을 반송 체인(331)을 경유하여 타인(332)에 전달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 데에 반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있어서는 동력을 회전판(321)을 경유하여 타인(322)에 전달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3 상부 반송 장치(330) 쪽이 동력의 전달에 따르는 손실도 증가하여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동력이 커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2 소입 장치(120) 및 제3 소입 장치(130)와, 제2 상부 반송 장치(320) 및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로의 동력 전달 경로(동력 전달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 입력축(411)의 좌단에는 엔진의 동력이 입력되는 입력 풀리(410)가 고정 설치되고, 우단에는 베벨 기어가 고정 설치된다. 세로 전동축(412)의 후단에는 이 베벨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베벨 기어가 고정 설치된다. 예취 입력축(411)의 우단이 세로 전동축(412)의 후단과 연동 연결된다. 세로 전동축(412)의 전단에는 베벨 기어가 고정 설치되고, 이 베벨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베벨 기어는 가로 전동축(413)의 좌우 중간부에 고정 설치된다. 세로 전동축(412)의 전단은 가로 전동축(413)의 좌우 중간부와 연동 연결된다.
세로 전동축(412)의 앞부분, 상세하게는 세로 전동축(412)의 전단보다 약간 후방의 위치에 베벨 기어가 고정 설치되고, 이 베벨 기어를 통하여 중앙 반송 전동축(420)의 일단(하측)과 연동 연결된다. 중앙 반송 전동축(420)의 장변 방향 중간부에는 제3 하부 반송 장치(230)의 구동 스프로킷(233)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스프로킷(233)에는 종동 스프로킷(232)과 함께 반송 체인(231)에 감긴다. 또한, 중앙 반송 전동축(420)의 타단(위쪽)에는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의 구동 스프로킷(336)이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입력 풀리(410)에 전달된 동력은 예취 입력축(411), 세로 전동축(412)을 경유하여 중앙 반송 전동축(420)에 전달된다. 다음으로 동력이 이 중앙 반송 전동축(420)에서 제3 하부 반송 장치(230)의 반송 체인(231)을 경유하여 제3 소입 장치(130)의 소입륜(131)에 전달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입륜(131)으로부터 이 소입륜(131)과 좌우로 서로 맞물리는 소입륜(121, 132)에 전달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소입 장치(120) 및 제3 소입 장치(130)가 구동된다.
또한, 동력이 소입륜(121)에서 회전축(163), 상기 전동 장치(150)를 경유하여 회전축(155)에 전달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가 구동된다.
또한, 동력이 중앙 반송 전동축(420)에서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의 구동 스프로킷(336)에 전달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상부 반송 장치(330)가 구동된다.
종래의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는 좌우 중앙측 3조분의 곡간을 반송하는 2개의 상부 반송 장치 중,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큰 상부 반송 장치 쪽이 동력 전달 경로가 길게 구성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 동력을 더욱 소비하는 구조가 되었다. 이에, 좌우 중앙측 3조분의 곡간을 반송하는 2개의 상부 반송 장치 중, 반송 경로가 긴 한 쪽의 상부 반송 장치까지의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하여 그 동력 전달 경로를 짧고 최적으로 구성하고,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저감하여 곡간을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는 콤바인의 예취부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콤바인(1)의 예취부(4)는 기립 장치(40), 소입 장치(100), 절단 장치(50) 및 반송 장치(60)를 구비하는 콤바인(1)의 예취부(4)에 있어서, 상기 소입 장치(100)는 우측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1 소입 장치(110)와,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한 쪽 1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2 소입 장치(120)와,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나머지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3 소입 장치(130)와, 좌측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4 소입 장치(14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소입 장치(120)의 단일의 소입륜(121)과 상기 제3 소입 장치(130)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131, 132)을 좌우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반송 장치(60)는 상기 제1 소입 장치(110)로 긁어 모아진 곡간(171, 172)의 이삭끝 측을 계지 반송하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와, 상기 제2 소입 장치(120)로 긁어 모아진 곡간(173)의 이삭끝 측을 계지 반송하는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와, 상기 제3 소입 장치(130)로 긁어 모아진 곡간(174, 175)의 이삭끝 측을 계지 반송하는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와, 상기 제4 소입 장치(140)와 긁어 모아진 곡간(176, 177)의 이삭끝 측을 계지 반송하는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를 구비하고, 동력을 기체 본체로부터 비스듬히 앞측 하부로 연장 돌출되는 세로 전동축(412)으로부터 당해 세로 전동축(412)의 앞부분에 세워 설치되는 중앙 반송 전동축(420)을 경유하여 상기 3개의 소입륜(121, 131, 132) 중 좌우 중앙측의 소입륜(131)에 전달하고, 또한 상기 제2 상부 반송 장치(320) 및 상기 제3 상부 반송 장치(330) 중 반송 경로가 긴 상부 반송 장치인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반송 장치(320) 및 제3 상부 반송 장치(330) 중 반송 경로가 길어서 구동에 필요한 동력이 큰 상부 반송 장치인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대하여, 중앙 반송 전동축(420)으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하는 구조이고, 세로 전동축(412)에서 당해 제3 상부 반송 장치(330)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를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저감할 수 있고, 당해 제3 상부 반송 장치(330)가 적절히 동작하여 곡간(174, 175)을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제2 소입 장치(120) 및 제3 소입 장치(130)에 대하여 동력을 소입륜(121)에 전달한 후, 이 소입륜(121)에서 소입륜(131)을 경유하여 소입륜(132)에 전달하는 경우나, 동력을 소입륜(132)에 전달한 후 이 소입륜(132)에서 소입륜(131)을 경유하여 소입륜(121)에 전달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동력 전달 경로를 짧게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로 전동축(412)에서 제2 소입 장치(120) 및 제3 소입 장치(130)까지의 동력 전달 경로를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저감할 수 있고, 제2 소입 장치(120) 및 제3 소입 장치(130)가 적절히 동작하여 곡간(173, 174, 175)을 원활하게 긁어 모을 수 있다.
그리고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는 중앙 반송 전동축(420)에서 직접 구동되는 데 반해,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는 중앙 반송 전동축(420), 반송 체인(231), 소입륜(131), 소입륜(121), 전동 장치(150)를 통하여 구동된다(도 7 참조). 즉, 반송 경로가 길어서 2조분의 곡간을 반송하는 상부 반송 장치(제3 상부 반송 장치(330))의 동력 전달 경로는 1조분의 곡간을 반송하는 상부 반송 장치(제2 상부 반송 장치(320))의 동력 전달 경로보다 짧게 구성하여, 각 상부 반송 장치를 구동하기 위해서 필요한 동력을 가능한 한 균등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편마모 등에 의한 유지 및 보수 시기가 가능한 한 동일한 시기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는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에 있어서 후단부까지 연장 돌출되는 구성으로 하고,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에 있어서 장변 방향 중간부까지 연장 돌출되는 구성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3 상부 반송 장치(330)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로 반송 중인 곡간(171, 172)과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로 반송 중인 곡간(176, 177)이 합류하는 합류부(193)에 가까운 위치까지 반송되도록 구성하여, 반송 중인 곡간(174, 175)을 길게 안정된 자세로 반송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2 상부 반송 장치(320)는 곡간(173)의 반송 경로를 짧게 구성하여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저감시키고 있다.
다음으로 안내 레버(3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 레버(360)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로 계지 반송 중인 곡간(171, 172, 173)을 합류부(193)까지 안내하는 것이며, 또한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로 계지 반송 중인 곡간(174, 175, 176, 177)을 합류부(193)까지 안내하는 것이다. 안내 레버(360)는 둥근 막대 형상의 부재를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へ자 형상으로 만곡하여 구성되고, 그 양단부가 추가로 내측에 만곡하여 구성된다. 안내 레버(360)에 있어서는 우측 선단부(360a)와 제1 안내부(360b), 제2 안내부(360c), 좌측 선단부(360d)가 우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우측 선단부(360a)는 제1 연결 부재(361)를 통하여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장착된다. 즉, 제1 연결 부재(361)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변 방향에 있어서 외주단이 우측 선단부(360a)의 외주단과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제1 연결 부재(361)에는 장변 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2개의 장착 구멍을 뚫어 설치한다. 제1 연결 부재(361)는 상기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의 상판(323)에 재치(載置)되어 한 쪽(우측 선단부측)의 장착 구멍에 볼트(325)가 끼워 넣어지고, 상기 상판(323) 및 하판(324)과 함께 체결된다. 또한, 제1 연결 부재(361)는 중앙 반송 지지 파이프(21)에 장착된다. 즉, 중앙 반송 지지 파이프(21)는 상기 기립 가로 전동 파이프(17)의 좌우 중간부에서 앞측 하방으로 연장 돌출 설치되고, 이 중앙 반송 지지 파이프(21)의 상하 중간부로부터 우측 방향에 연결부(21a)가 형성된다. 연결부(21a)에는 장착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이 장착 구멍과 상기 제1 연결 부재(361)의 다른 한 쪽(반(反) 우측 선단부측)의 장착 구멍에 볼트(363)가 끼워 넣어지며, 당해 제1 연결 부재(361)가 중앙 반송 지지 파이프(21)에 장착된다.
제1 안내부(360b)는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이삭끝 반송 장치(90)도 포함함)로 반송 중인 곡간(171, 172, 173)을 합류부(193)까지 안내하는 것이다. 제1 안내부(360b)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와 대략 평행하게, 제1 상부 반송 장치(310)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2 안내부(360c)는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로 반송 중인 곡간(174, 175, 176, 177)을 합류부(193)까지 안내하는 것이다. 제2 안내부(360c)는 평면에서 봤을 때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와 대략 평행하게,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와 대향하여 배치된다.
좌측 선단부(360d)는 제2 연결 부재(362)를 통하여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장착된다. 즉, 제2 연결 부재(362)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주단이 좌측 선단부(360d)의 외주단과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제2 연결 부재(362)에 장착 구멍을 뚫어 설치하고, 이 장착 구멍에는 상기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의 상판(333)에서 수직 방향으로 돌출 설치하는 돌기 부재(333d)가 끼워 넣어지며, 좌측 선단부(360d)가 상기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의 상판(333)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안내 레버(360)는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와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의 사이에 가설(架設)되는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2 상부 반송 장치(320)에 상기 제1 상부 반송 장치(310)로 반송 중인 곡간(171, 172, 173)을 곡간의 합류부(193)까지 안내하는 안내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에 상기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로 반송 중인 곡간(174, 175, 176, 177)을 상기 합류부(193)까지 안내하는 안내 레버를 설치하여 이들 2개의 안내 레버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일체적으로 구성된 안내 레버(360)가 지지 레버의 역할을 겸하며, 제2 상부 반송 장치(320) 및 제3 상부 반송 장치(330)가 당해 안내 레버(360)를 통하여 상호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반송 장치(320) 및 제3 상부 반송 장치(330)의 덜그럼거림을 억제할 수 있고, 곡간(173, 174, 175)을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상부 반송 장치(310) 및 이삭끝 반송 장치(90)로 계지 반송되고 있는 곡간(171, 172, 173)은 안내 레버(360)의 제1 안내부(360b)에 따라 합류부(193)까지 안내된다. 그리고 제4 상부 반송 장치(340)에서 계지 반송 중인 곡간 (174, 175, 176, 177)은 안내 레버(360)의 제2 안내부(360c)에 따라 합류부(193)까지 안내된다. 이 때, 안내 레버(360)에 틈이 없기 때문에, 제1 상부 반송 장치(310) 및 제4 상부 반송 장치(340)로 반송 중인 곡간(171, 172, 173, 174, 175, 176, 177)이 틈에 걸리지 않게 되어 합류부(193)의 곡간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종래의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는 예취부가 하부 반송 장치에 복수 개의 합류부를 갖는 경우, 각 합류부에 막힘 해제 수단을 마련하면 합류부마다 막힘 해제 수단을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복수 개의 합류부에 동시에 곡간이 막혔을 경우, 당해 곡간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자는 합류부마다 막힘 해제 수단을 조작할 필요가 있어, 작업이 번거로워진다는 점에서 불리하였다. 이에, 하부 반송 장치의 합류부에 막힌 곡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콤바인의 예취부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상부 프레임(545), 중간 프레임(546), 하부 프레임(547) 및 막힘 해제 수단(6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45)은 원통 형상의 부재를 중간부에서 접어 구부려 형성되는 것이다. 상부 프레임(545)의 일단(후단)은 유동 풀리(245)(세로 반송 장치(70)의 전단)의 근방에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545)의 타단(전단)은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분초 프레임(14)에 고정된다(도 16 참조). 상부 프레임(545)의 일단부에는 우측을 향하여 상부 프레임판(548)이 고정(합류부(183)측으로 연장 돌출 설치)된다.
중간 프레임(546)은 가늘고 긴 판 형상의 부재이다. 중간 프레임(546)의 장변 방향 중간부는 연결 부재(549)를 통하여 상부 프레임(545)으로 연결된다.
하부 프레임(547)은 원통 형상의 부재를 중간부에서 접어 구부려 형성되는 것이다. 하부 프레임(547)의 일단(후단)은 중간 프레임(546)의 일단(후단) 하부에 고정된다(도 16 참조). 하부 프레임(547)의 타단(전단)은 가로 전동 파이프(13)에 고정된다(도 16 참조).
막힘 해제 수단(600)은 브래킷(610), 회동 지점축(620), 이간용 풀리축(630), 유동 풀리축(640), 유지 기구(650) 등을 구비한다.
브래킷(610)은 이간용 풀리(244) 및 유동 풀리(245)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브래킷(610)은 상부 브래킷(611) 및 하부 브래킷(612)을 구비한다.
상부 브래킷(611)은 복수 개의 판재를 절곡, 용접 등을 하여 형성된다. 상부 브래킷(611)의 일단(전단)측에는 상부 브래킷(61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회동 지점 구멍(6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부 브래킷(611)의 타단(후단)측에는 상부 브래킷(61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611b) 및 관통 구멍(611c)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부 브래킷(611)의 우측부에는 반송 체인(241)을 안내하는 가이드판(611d)이 고정된다.
하부 브래킷(612)는 판재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 브래킷(612)의 하면에는 가이드 스프링(514)이 고정된다. 하부 브래킷(612)의 일단(후단)측에는 하부 브래킷(612)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612a) 및 관통 구멍(612b)이 형성된다.
회동 지점축(620)은 브래킷(610)의 회동 지점이 되는 것이다. 회동 지점축(62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동 지점축(620)은 상부 브래킷(611)의 회동 지점 구멍(611a)에 상대 회전 가능해지도록 삽통(揷通)된다. 회동 지점축(620)의 하단은 중간 프레임(546)의 상면에 맞닿고 회동 지점축(620)의 상단은 상부 프레임판(548)의 하면에 맞닿는다. 헤드 부착 핀(621)이 평와셔(622), 상부 프레임판(548)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548a), 회동 지점축(620), 중간 프레임(546)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546a) 및 평와셔(623)의 순서대로 삽통됨으로써, 회동 지점축(620)은 지지된다. 또한, 헤드 부착 핀(621)의 하단부(평와셔(623)의 하방)를 핀(624)으로 계지함으로써, 헤드 부착 핀(621)이 상방에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회동 지점축(620)은 평면에서 봤을 때(도 14)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에 의한 곡간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보다 상류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에 의한 곡간의 반송 경로란,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반송 체인(241)이 반송하는 곡간이 통과하는 점의 궤적을 말한다. 또한, 회동 지점축(620)이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보다 상류측에 배치된다는 것은 회동 지점축(620)에서 곡간의 반송 경로에 대하여 수선(垂線)(도 14 내의 선 X 참조)을 그은 경우,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가 당해 수선보다 반송 방향 후측에 위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간용 풀리축(630)은 이간용 풀리(244)의 회동 지점이 되는 것이다. 이간용 풀리축(630)은 상부 브래킷(611)의 관통 구멍(611b), 이간용 풀리(244) 및 스페이서(631)의 순서대로 삽통된다. 이간용 풀리축(630)의 하단은 하부 브래킷(612)에 맞닿는다. 이간용 풀리축(630)은 하부 브래킷(612)의 하방으로부터 관통 구멍(612a)에 삽통되는 볼트(632)에 의해 하부 브래킷(612)에 고정된다.
유동 풀리축(640)은 유동 풀리(245)의 회동 지점이 되는 것이다. 유동 풀리축(640)은 상부 브래킷(611)의 관통 구멍(611c), 유동 풀리(245) 및 스페이서(641)의 순서대로 삽통된다. 유동 풀리축(640)의 하단은 하부 브래킷(612)에 맞닿는다. 유동 풀리축(640)은 하부 브래킷(612)의 하방으로부터 관통 구멍(612b)에 삽통되는 볼트(642)에 의해 하부 브래킷(612)에 고정된다.
유지 기구(650)는 브래킷(610)의 회동 위치를 소정의 위치로 유지하는 것이다. 유지 기구(650)는 조작 레버(651), 규제 부재(652), 핀(653) 등을 구비한다.
조작 레버(651)는 브래킷(610)의 회동 위치를 변경할 때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다. 조작 레버(651)는 판재에 의해 형성된다. 조작 레버(651)의 좌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파지(把持)부(651a)가 형성된다. 조작 레버(651)의 앞부분 또한 좌우 중간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51b)가 형성된다. 조작 레버(651)의 우단부에는 조작 레버(651)의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651c)이 형성된다. 조작 레버(651)의 좌우 중간부에는 조작 레버(651)의 판면을 관통하는 장공(651d)이 형성된다. 장공(651d)은 관통 구멍(651c)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르도록 형성된다.
관통 구멍(651c)에는 상방으로부터 볼트(633)가 삽통되고, 당해 볼트(633)가 이간용 풀리축(630)의 상단에 소정의 체결력으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651)는 이간용 풀리축(63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장공(651d)에는 상방으로부터 볼트(643)가 삽통되고, 당해 볼트(643)가 유동 풀리축(640)의 상단에 소정의 체결력으로 체결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651)가 이간용 풀리축(630)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량 회동하면, 볼트(643)와 장공(651d)의 일단 또는 타단이 맞닿고, 조작 레버(651)의 회동량이 제한된다. 즉, 조작 레버(651)가 회동 가능한 범위는 장공(651d)의 양단 간의 범위 내로 제한된다.
또한, 조작 레버(651)가 볼트(633, 643)에 의해 이간용 풀리축(630) 및 유동 풀리축(640)의 상단에 체결됨으로써, 상부 브래킷(611)이 상방에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이간용 풀리축(630) 및 유동 풀리축(640)에 의해 상부 브래킷(611)과 하부 브래킷(612)이 연결된다.
규제 부재(652)는 판 형상의 부재를 평면에서 봤을 때(도 14) L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려 형성된다. 규제 부재(652)는 상부 프레임(545) 및 상부 프레임판(548)의 후단부에 세워 설치된다. 규제 부재(652)의 한 쪽의 절곡부는 회동 지점축(620)의 축심과 유동 풀리축(640)의 축심을 잇는 선과 대략 평행하게 비스듬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돌출부(651b)와 맞닿는 면으로 되어 있다. 규제 부재(652)의 다른 한 쪽의 절곡부는 비스듬한 좌우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고, 파지부(651a)의 전면(前面)과 맞닿는 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규제 부재(652)의 2개의 절곡부는 각각 조작 레버(651)의 돌출부(651b) 또는 파지부(651a)와 맞닿음으로써, 당해 조작 레버(651)의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규제 부재(652)는 상부 프레임(545) 및 상부 프레임판(548)과 다른 프레임 등의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 부재로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핀(653)은 조작 레버(651)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이다. 핀(653)은 상부 프레임(545)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핀 구멍(545a)에 삽통된다. 핀 구멍(545a)에 삽통된 핀(653)의 선단부(하단부)는 상부 프레임(545)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막힘 해제 수단(600)의 동작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예취부(4)에 의해 예취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부(4)에 의해 예취 작업을 행하는 경우, 조작 레버(651)는 브래킷(610)에 대하여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조작 레버(651)의 돌출부(651b)가 규제 부재(652)에 대하여 우측으로부터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는 반송 체인(241)의 장력에 의해 브래킷(610)에는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진다. 그러나, 조작 레버(651)가 규제 부재(652)에 계지되어 있기 때문에, 브래킷(610)은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고, 상부 프레임(545)에 대하여 소정의 양만큼 우측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 이간용 풀리(244)는 합류부(183) 및 합류부(181)에 근접한 위치에 유지된다. 이하, 이 이간용 풀리(244)의 위치를 작업 위치로 정의한다.
브래킷(610)이 상부 프레임(545)에 대하여 소정의 양만큼 우측으로 돌출된 위치에서 유지되는 경우, 즉 이간용 풀리(244)가 작업 위치에 유지되는 경우, 상부 프레임(545)의 핀 구멍(545a)에는 핀(653)이 삽통되고, 핀(653)의 핀 구멍(545a)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은 조작 레버(651)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맞닿는다. 즉, 핀(653)에 의해 조작 레버(651)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651)를 규제 부재(652)에 확실히 계지시킬 수 있고, 반송 체인(241)의 장력이나 그 외의 외력이 막힘 해제 수단(600)에 가해진 경우에도 이간용 풀리(244)를 작업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합류부(183) 또는 합류부(181)에 곡간이 막혔을 때, 당해 곡간을 제거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류부(183) 또는 합류부(181)에 막힌 곡간을 제거하는 경우, 우선 작업자는 예취부(4)의 좌측방으로 이동하고 나서 상부 프레임(545)으로부터 핀(653)을 떼어낸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651)의 회동의 규제가 해제되어 조작 레버(651)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예취부(4)의 좌측으로부터 조작 레버(651)의 파지부(651a)를 잡고, 당해 조작 레버(651)를 평면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651)의 돌출부(651b)와 규제 부재(652)와의 계지가 해제된다. 즉, 브래킷(610)이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는 조작 레버(651)를 장공(651d)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에서 최대한 회동시킨 상태로, 조작 레버(651)의 파지부(651a)를 잡은 채 당해 조작 레버(651)를 예취부(4)의 좌측을 향하여 잡아 당긴다. 이에 따라, 이간용 풀리축(630)을 통하여 조작 레버(651)와 연결되어 있는 브래킷(610)이 회동 지점축(620)을 중심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이 브래킷(610)을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당해 브래킷(610)의 회동 지점이 되는 회동 지점축(620)이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보다 반송 경로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간용 풀리(244)가 합류부(183) 및 합류부(181)로부터 이간된다. 이하, 이 이간용 풀리(244)의 위치를 이간 위치라고 정의한다.
이간용 풀리(244)를 이간 위치로 변경한 경우, 합류부(183)에 있어서 반송 체인(241)과 반송 체인(231) 사이의 공간 및 합류부(181)에 있어서 반송 체인(241)과 반송 체인(211) 사이의 공간이 이간용 풀리(244)가 작업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넓어진다. 이에 따라, 합류부(183) 및 합류부(181)에 막힌 곡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합류부(183) 또는 합류부(181)에 막힌 곡간을 제거한 후, 다시 이간용 풀리(244)의 위치를 작업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간용 풀리(244)의 위치를 작업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 작업자는 조작 레버(651)의 파지부(651a)를 잡은 채 당해 조작 레버(651)를 예취부(4)의 우측을 향해 누른다. 이에 따라, 이간용 풀리축(630)을 통하여 조작 레버(651)와 연결되어 있는 브래킷(610)이 평면에서 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작업자는 이간용 풀리(244)가 작업 위치로 돌아갈 때까지 브래킷(610)을 회동시킨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조작 레버(651)를 평면에서 봤을 때 시계 방향으로 장공(651d)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에서 최대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조작 레버(651)의 돌출부(651b)와 규제 부재(652)를 계지시킨다.
마지막으로, 상부 프레임(545)의 핀 구멍(545a)에 핀(653)을 삽통함으로써, 조작 레버(651)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을 규제한다. 이에 따라, 다시 이간용 풀리(244)를 작업 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콤바인(1)의 예취부(4)는 기립 장치(40), 소입 장치(100), 절단 장치(50), 하부 반송 장치(200), 상부 반송 장치(300) 및 세로 반송 장치(70)를 구비하는 콤바인(1)의 예취부(4)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송 장치(200)는 중앙 좌측의 1조 또는 2조분의 곡간을 합류부(181)까지 반송하는 제3 하부 반송 장치(230)와, 중앙 우측의 1조 또는 2조분의 곡간을 합류부(182)까지 반송하는 제2 하부 반송 장치(220)와, 좌측의 1조 또는 2조분의 곡간과 합류부(181)로 합류시킨 제3 하부 반송 장치(230)로부터의 곡간을 합류부(183)까지 반송하는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와, 우측의 1조 또는 2조분의 곡간과 합류부(182)로 합류시킨 제2 하부 반송 장치(220)로부터의 곡간과 합류부(183)로 합류시킨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로부터의 곡간을 세로 반송 장치(70)의 반송 시단부까지 반송하는 제1 하부 반송 장치(210)를 구비하고,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는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이간용 풀리(244)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회전륜과, 상기 복수 개의 회전륜에 감기는 곡간 반송용 반송 체인(241)과, 이간용 풀리(244)의 위치를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에 근접시키는 작업 위치와,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로부터 이간시키는 이간 위치의 사이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막힘 해제 수단(600)을 구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간용 풀리(244)가 이간 위치로 변경된 경우, 합류부(181)와 이간용 풀리(244) 사이의 거리 및 합류부(183)와 이간용 풀리(244) 사이의 거리가 동시에 멀어진다. 따라서, 이간용 풀리(244)를 이간 위치로 변경하는 한 번의 조작으로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에 막힌 곡간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 각각의 막힘 해제 수단을 마련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막힘 해제 수단(600)은 예취부(4)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간용 풀리(2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610)과 브래킷(610)의 회동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이간용 풀리(244)를 상기 작업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650)를 구비하고, 브래킷(610)의 회동 지점(회동 지점축(620))을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의 합류부(183)보다 반송 상류측에 배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 인해, 회동 지점축(620)을 합류부(183)보다 상류측에 배치함으로써, 브래킷(610)을 합류부(181) 및 합류부(183)에 대하여 이간할 방향으로 회동시킨 경우,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와 제1 하부 반송 장치(210) 사이의 거리 및 제4 하부 반송 장치(240)와 제3 하부 반송 장치(230) 사이의 거리는 합류부(183)보다 합류부(181)가 크게 멀어진다. 따라서, 합류부(183)보다 반송 하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곡간이 막힐 가능성이 있는 합류부(181)에서 막힌 곡간을 제거하기 쉬워져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는 콤바인(1)에 배치되는 운전부(9)에 대하여 좌우 반대측, 즉 콤바인(1)의 좌측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 인해, 제4 하부 반송 장치(240)를 운전부(9)와 반대측에 배치함으로써, 운전부(9)와 반대측에서 막힘 해제 수단을 조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막힘 해제 수단을 조작할 때 운전부(9)가 방해를 받지 않아 유지 및 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적용할 수 있다.
1… 콤바인, 4… 예취부, 100… 소입 장치, 110… 제1 소입 장치, 120… 제2 소입 장치, 121… 소입륜, 130… 제3 소입 장치, 131… 소입륜, 132… 소입륜, 140… 제4 소입 장치, 181… 합류부(제1 합류부), 182… 합류부(제2 합류부), 183… 합류부(제3 합류부), 200… 하부 반송 장치, 210… 제1 하부 반송 장치(우측 하부 반송 장치), 220… 제2 하부 반송 장치(중앙 우측 하부 반송 장치), 230… 제3 하부 반송 장치(중앙 좌측 하부 반송 장치), 240… 제4 하부 반송 장치(좌측 하부 반송 장치), 241… 반송 체인(무단대), 244… 이간용 풀리(이간용 회전륜), 300… 상부 반송 장치, 310… 제1 상부 반송 장치, 320… 제2 상부 반송 장치, 330… 제3 상부 반송 장치, 340… 제4 상부 반송 장치, 360… 안내 레버, 412… 세로 전동축, 420… 전동축(중앙 반송 전동축), 600… 막힘 해제 수단, 610… 브래킷, 650… 유지 기구

Claims (8)

  1. 기립 장치, 소입 장치, 절단 장치, 하부 반송 장치, 상부 반송 장치 및 세로 반송 장치를 구비하는 콤바인의 예취부에 있어서,
    상기 소입 장치는,
    좌우 한 쌍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로 우측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1 소입 장치와,
    단일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로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한 쪽 1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2 소입 장치와,
    좌우 한 쌍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에서 좌우 중앙측 3조분 중 나머지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3 소입 장치와,
    좌우 한 쌍의 소입륜 및 소입 벨트로 좌측 2조분의 곡간을 긁어 모으는 제4 소입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과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 중 상기 단일의 소입륜과 인접하는 소입륜을 서로 맞물리게 하고,
    상기 상부 반송 장치는,
    상기 제1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1 상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2 상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3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3 상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4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이삭끝을 반송하는 제4 상부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동력을 상기 제2 상부 반송 장치에 상기 제3 소입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소입 장치를 통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입 장치는 상기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과 이 단일의 소입륜과 서로 맞물리는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의 두께를 다른 상기 소입륜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입 장치는 상기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 및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을 상기 제1 소입 장치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 및 상기 제4 소입 장치의 좌우 한 쌍의 소입륜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4. 제 1 항에 있어서,
    동력을 기체 본체로부터 비스듬히 앞쪽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세로 전동축으로부터 당해 세로 전동축의 앞부분에 세워 설치되는 전동축을 통하여 상기 제3 소입 장치의 소입륜 중 상기 제2 소입 장치의 단일의 소입륜과 인접하는 소입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반송 장치에 상기 제1 상부 반송 장치로 반송 중인 곡간을 곡간의 합류부까지 안내하는 안내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제3 상부 반송 장치에 상기 제4 상부 반송 장치로 반송 중인 곡간을 상기 합류부까지 안내하는 안내 레버를 설치하여,
    이들 2개의 안내 레버를 일체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반송 장치는,
    상기 제3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밑동을 제1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3 하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2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밑동을 제2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2 하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4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밑동과 상기 제1 합류부에서 합류시킨 상기 제2 하부 반송 장치로부터의 곡간의 밑동을 제3 합류부까지 반송하는 제4 하부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소입 장치로 긁어 모아진 곡간의 밑동과 상기 제2 합류부에서 합류시킨 상기 제2 하부 반송 장치로부터의 곡간의 밑동과 상기 제3 합류부에서 합류시킨 제4 하부 반송 장치로부터의 곡간의 밑동을 상기 세로 반송 장치의 반송 시단부까지 반송하는 제1 하부 반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4 하부 반송 장치는,
    상기 제1 합류부 및 제3 합류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이간용 회전륜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회전륜과,
    상기 복수 개의 회전륜에 감기는 곡간 반송용 무단대와,
    상기 이간용 회전륜의 위치를 상기 제1 합류부 및 상기 제3 합류부에 근접시키는 작업 위치와 상기 제1 합류부 및 상기 제3 합류부로부터 이간시키는 이간 위치의 사이에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막힘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막힘 해제 수단은,
    예취부 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간용 회전륜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회동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이간용 회전륜을 상기 작업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의 회동 지점을 상기 제4 하부 반송 장치의 상기 제3 합류부보다 반송 상류측에 배치하는 콤바인의 예취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하부 반송 장치는,
    상기 콤바인에 배치되는 운전부에 대하여 좌우 반대측에 배치되는 콤바인의 예취부.
KR1020127016602A 2009-12-08 2010-03-12 콤바인의 예취부 KR101749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8752A JP5654231B2 (ja) 2009-12-08 2009-12-08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JP-P-2009-278752 2009-12-08
JPJP-P-2010-015619 2010-01-27
JP2010015619A JP5654243B2 (ja) 2010-01-27 2010-01-27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JP-P-2010-017395 2010-01-28
JP2010017395A JP5797880B2 (ja) 2010-01-28 2010-01-28 コンバインの刈取部
PCT/JP2010/054223 WO2011070802A1 (ja) 2009-12-08 2010-03-12 コンバインの刈取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741A true KR20120113741A (ko) 2012-10-15
KR101749034B1 KR101749034B1 (ko) 2017-07-03

Family

ID=44145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602A KR101749034B1 (ko) 2009-12-08 2010-03-12 콤바인의 예취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49034B1 (ko)
CN (1) CN102647899B (ko)
WO (1) WO201107080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1843A (zh) * 2018-05-31 2018-09-21 河北省农业机械化研究所有限公司 谷物联合收获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21256B (zh) * 2013-12-03 2015-08-26 湖南农夫机电有限公司 半喂入式收割机的割台作物收集输送装置
DE102015115815A1 (de) * 2015-09-18 2017-03-23 Claas Hungaria Kft. Erntevorsatz
CN106034545B (zh) * 2016-07-25 2018-01-26 河南科技大学 一种青稞茎穗分流收获用茎秆定向输送割台
CN110122057A (zh) * 2019-05-21 2019-08-16 南京工程学院 一种扶持弹簧式麻类作物收割机
JP7373928B2 (ja) * 2019-06-27 2023-11-06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1429U (ja) * 1982-04-21 1983-10-27 株式会社クボタ 刈取機の茎稈導入部
JPS5918829U (ja) * 1982-07-29 1984-02-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稈搬送装置
JP3445123B2 (ja) * 1997-10-30 2003-09-0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刈取穀稈搬送装置
JP3765179B2 (ja) * 1998-03-11 2006-04-12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3968043B2 (ja) * 2003-03-12 2007-08-2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刈取部の詰まり解除装置
JP3815457B2 (ja) * 2003-04-14 2006-08-30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016463B2 (ja) * 2007-12-05 2012-09-05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5018443B2 (ja) * 2007-12-12 2012-09-05 井関農機株式会社 多条刈りコンバイン
JP5125474B2 (ja) * 2007-12-14 2013-01-23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51843A (zh) * 2018-05-31 2018-09-21 河北省农业机械化研究所有限公司 谷物联合收获机
CN108551843B (zh) * 2018-05-31 2023-09-15 河北省农业机械化研究所有限公司 谷物联合收获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7899B (zh) 2015-09-02
WO2011070802A1 (ja) 2011-06-16
CN102647899A (zh) 2012-08-22
KR101749034B1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13741A (ko) 콤바인의 예취부
EP3610717B1 (en) Slat-bar cross-members in a feederhouse crop-conveying system
JP2010004841A (ja) 多条刈コンバインの刈取搬送装置
JP2007151439A (ja) コンバインの掻き込みリール
KR20110091643A (ko) 콤바인
JP6639961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
CN111226566A (zh) 一种用于菊芋联合收获机的菊芋块茎清选装置
JP2004275014A (ja) 刈取部の詰まり解除装置
JP3628219B2 (ja) 刈取機の刈取部
WO2016194587A1 (ja) 収穫機及び普通型コンバイン
JP5797880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CN212544628U (zh) 一种复合叶片喂入脱粒滚筒及具有该脱粒滚筒的收获机
JP7275077B2 (ja) コンバイン
JP7260497B2 (ja) コンバイン
JP5055979B2 (ja) 多条刈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5468936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4951999B2 (ja) コンバイン
JP4910334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機
JP5654243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5379542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5654231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
JP3578679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構造
JP2686600B2 (ja) 刈取装置の駆動機構
JP3425678B2 (ja) 普通形コンバイン
JP5278577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