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239A -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239A
KR20120112239A KR1020120033282A KR20120033282A KR20120112239A KR 20120112239 A KR20120112239 A KR 20120112239A KR 1020120033282 A KR1020120033282 A KR 1020120033282A KR 20120033282 A KR20120033282 A KR 20120033282A KR 20120112239 A KR20120112239 A KR 20120112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film
printed
film
uni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874B1 (ko
Inventor
이승헌
구범모
황인석
전상기
황지영
손용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20112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16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for offset pri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01Pad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41F3/18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of special construction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41F3/2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of special construction or for particular purposes with fixed type-beds and travelling impression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06Lithographic pri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가능한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피인쇄필름 회수부;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에 구비된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의 피인쇄필름에 인쇄물 패턴을 전사하기 위한 인쇄롤로서, 상기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이 평행하도록 구비된 인쇄롤; 상기 인쇄롤에 인쇄물을 도포하는 코팅부; 및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상에 구비된 클리쉐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본 출원은 2011년 4월 1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1-0030031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소자에 각종 기능성 재료의 패턴이 요구되고 있다. 예컨대, 전극용 도전성 패턴, 컬러필터용 블랙매트릭스 패턴 및 컬러 패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용 절연패턴 및 레지스트 패턴 등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패턴들은 포토리소그래피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공정비용이나 효율을 고려하여 인쇄 방법을 이용한 패턴 형성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인쇄 방법에서는 피인쇄체의 정확한 위치에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얼라인 문제 등 여러 가지 선행되어야 할 과제들이 존재하고 있다.
당 기술분야에서는 전자 재료 패턴을 정밀하게 형성하거나, 공정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전자 재료 패턴의 형성 방법 또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가능한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피인쇄필름 회수부;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에 구비된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의 피인쇄필름에 인쇄물 패턴을 전사하기 위한 인쇄롤로서, 상기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이 평행하도록 구비된 인쇄롤;
상기 인쇄롤에 인쇄물을 도포하는 코팅부; 및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상에 구비된 클리쉐;
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는 권출부(unwinder)이고,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는 권취부(rewinder)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가능한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피인쇄필름 회수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에 구비된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피인쇄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2) 인쇄롤 상에 인쇄물을 코팅하는 단계;
3) 상기 인쇄물이 코팅된 인쇄롤을 클리쉐에 접촉시켜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인쇄롤 상에 코팅된 인쇄물 패턴을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인쇄필름 상에 전사하는 단계; 및
5)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를 구동시켜, 인쇄물 패턴이 전사된 피인쇄필름을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로 회수하고,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로부터 미인쇄된 피인쇄필름을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적으로 구동가능한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회수부를 이용하여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인쇄 도중 연속적으로 제공되는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이 평행하도록 구비된 인쇄롤을 이용하여 피인쇄필름에 인쇄 패턴을 전사할 수 있으므로, 연속 인쇄 또는 간헐 연속 인쇄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추가 구성들에 의하여 피인쇄필름을 효율적으로 고정하고 얼라인할 수 있으므로, 정밀한 미세 패턴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리버스 오프셋 인쇄 공정을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 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 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쇄 장치의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배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도시한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단면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인쇄 장치의 피인쇄필름 니핑부를 예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인쇄 장치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위치 제어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 및 인쇄방법은 리버스 오프셋 인쇄 공정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리버스 오프셋 인쇄 공정의 일 예를 나타내었다.
도 1에 따르면, 인쇄롤은 인쇄롤 스테이지(20)와 상기 인쇄롤 스테이지의 표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블랭킷(21)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롤의 블랭킷(21) 상에 코팅부(10)를 이용하여 인쇄물(22)을 코팅한다. 이어서,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30) 상에 구비된 클리쉐(31)에 상기 인쇄롤의 블랭킷(21)을 접촉시켜, 상기 인쇄롤의 블랭킷(21)으로부터 일부 인쇄물 패턴(32)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블랭킷(21) 상에 인쇄물 패턴(4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인쇄롤의 블랭킷(21)을 피인쇄체(40)에 접촉함으로써 인쇄물 패턴(41)을 피인쇄체(40)에 전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 및 방법은 상기와 같은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에 적합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피인쇄체로서 필름을 사용하는 방법에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는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가능한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피인쇄필름 회수부;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에 구비된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의 피인쇄필름에 인쇄물 패턴을 전사하기 위한 인쇄롤로서, 상기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이 평행하도록 구비된 인쇄롤;
상기 인쇄롤에 인쇄물을 도포하는 코팅부; 및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상에 구비된 클리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인쇄필름이라는 용어는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의 구동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제공되고, 인쇄하고자 하는 인쇄물 패턴이 전사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재료나 그 두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 패턴이 전사되기 전에 상기 피인쇄필름에는 일면 또는 양면에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에 보호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에 의하여 제공된 피인쇄필름으로부터 보호필름을 제거하는 보호필름 제거용 권취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인쇄필름에 인쇄 패턴이 전사된 후, 보호필름과 같은 추가의 필름이 적층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추가의 필름의 권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인쇄 패턴의 전사 후, 보호필름이 상기 피인쇄체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추가의 필름과 피인쇄체의 라미네이터(laminator)도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피인쇄체 회수부에는 상기 피인쇄체와 상기 추가의 필름의 적층체(laminate)가 회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는 피인쇄필름이 한쪽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연속적으로 피인쇄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는 권출부(unwinder)이고,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는 권취부(rewinder)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를 권출부로 예시하고,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를 권취부로 예시하지만,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성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은 피인쇄필름 제공부, 피인쇄필름 회수부의 위치나, 인쇄 장치의 부품들의 배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정 영역의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이드 롤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상기 피인쇄필름의 인쇄 패턴이 전사되기 전의 영역이나 인쇄 패턴이 전사된 후의 영역의 진행방향은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상기 권출부 및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간헐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는 간헐 연속 인쇄가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간헐 연속 인쇄이라는 용어는,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인쇄 공정 도중 필요한 단계에서 간헐적으로 제어하면서,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에 장착된 피인쇄필름을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인쇄 패턴이 전사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피인쇄필름 권출부와 피인쇄필름 권취부의 구동 제어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피인쇄필름의 진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피더(feeder)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 권취부는 피인쇄필름의 폭과 같거나 넓은 폭을 갖는 몸체의 회전에 의하여 피인쇄필름을 권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인쇄필름 권취부의 회전축 방향 또는 피인쇄필름의 폭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피인쇄필름 권취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 권취부의 위치 제어부는 EPC(edge position controller)일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 권취부의 위치 제어부에 의하여 피인쇄필름이 피인쇄필름 권취부의 적합한 위치에 권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는 평판 형태일 수도 있고, 롤 형태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형태에 따라 도면을 예시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는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분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는 평판 형태이다. 이 실시상태의 일 예를 도 2에 예시하였다.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평판인 경우,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피인쇄필름이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공정, 즉 셋(set) 공정 동안,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의 구동은 일시 정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시 정지에 의하여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이 정밀하게 전사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는 상기 피인쇄필름의 인쇄 대상 영역이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인쇄물 패턴의 전사가 완료된 후에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의 구동을 재개하는 권출부와 권취부의 구동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는 상기 피인쇄필름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는 경우 상기 피인쇄필름에 정밀한 패턴을 인쇄하는데 유리하다. 피인쇄필름에 부여되는 장력은 피인쇄필름의 재료나 두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피인쇄필름의 장력이 1 Kgf/m(필름폭) 이상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3 Kgf/m(필름폭) 이상, 구체적인 예로서, 5-10 Kgf/m(필름폭) 이상 부여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에 부여되는 장력의 상한치는 피인쇄필름의 재료나 두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피인쇄필름의 장력이 50 Kgf/m(필름폭)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피인쇄필름의 장력이 50 Kgf/m(필름폭) 초과인 경우에는 피인쇄필름이 변형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장력은 상기 권출부와 피인쇄필름 권치부의 구동 제어부 또는 후술하는 니핑부에 의하여 부여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는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의 피인쇄필름의 장력을 감지 또는 제어하기 위한 장력 측정부 및/또는 장력 제어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로드 셀(load cell)과 파우더 클러치(powder clutch)가 구비될 수 있다. 로드 셀은 피인쇄필름의 장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파우더 클러치는 롤의 회전속도에 토크를 걸어주는 역할을 한다. 로드 셀은 피인쇄필름의 장력을 측정하고, 파우더 클러치가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속도에 토크를 걸어줌으로써, 장력을 줄 수 있다. 또 하나의 예로서 댄서(dancer)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댄서는 기계적으로 장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평판인 경우, 정밀한 패턴의 위치 제어 및 중첩 인쇄에 필요한 얼라인을 위해서는 진공 흡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부에 의하여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위치하는 피인쇄필름이 인쇄물이 전사되는 셋 공정 도중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피인쇄필름에 인쇄물이 전사되는 셋 공정은 상기 진공흡입부가 없어도 피인쇄필름에 일정 크기의 장력만 걸려 있으면 가능하다. 상기 진공 흡입부는 진공 흡입가능한 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홀 구조를 갖는 진공 흡입부의 단면 구조를 예시하였다. 상기 진공 흡입부는 홀 구조에 의한 진공 흡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진공 흡입부 표면에 홈으로 이루어진 라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라인 구조를 갖는 진공흡입부의 단면 구조를 예시하였다. 홀 구조와 라인 구조를 포함하는 진공흡입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진공흡입부를 상면에서 관찰한 평면도로서, 격자 형태의 교차점들에 홀 구조를 갖고, 나머지 직선으로 표시된 부분에 홈으로 이루어진 라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홀의 모양, 지름 또는 라인 구조의 홈의 모양, 폭, 깊이는 상기 피인쇄필름이 진공흡입부에 의해서 피인쇄필름이 변형되지 않고, 피인쇄필름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홀의 지름은 피인쇄필름의 두께의 5배 내지 15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라인 구조의 폭은 피인쇄필름의 두께의 1배 내지 10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흡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도는 상압에 비하여 작을수록 좋다.
이때, 진공은 압력이 상압(760mmHg)보다 낮은 상태를 진공이라고 말하며, 상기 진공도는 상압에 대한 진공의 상태를 비교하여, 진공으로 만든 용기 내에 남아 있는 기체의 압력을 의미한다.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도는 상기 피인쇄필름이 진공 흡입부에 의해서 피인쇄필름이 변형되지 않고, 피인쇄필름 지지부에 고정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도는 상압의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도는 50mmHg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진공 흡입부의 진공도의 하한치는 사용되는 피인쇄필름의 종류 및 두께에 따라 상기 피인쇄필름이 진공흡입부에 의해서 변형되지 않는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홀 구조 및 필요한 경우 라인 구조를 포함하는 진공흡입부에 의하여 피인쇄필름이 홀 또는 라인 구조 자국이 남거나 변형되는 등의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진공 흡입부 상에는 다공성 플레이트 또는 다공성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 및 다공성 필름은 상기 진공흡입부에 의한 진공 흡입이 가능하도록 다공성 구조를 가지면서, 피인쇄필름의 손상을 막을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조나 형태, 재질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 및 상기 다공성 필름은 피인쇄필름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당업자가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 또는 상기 다공성 필름은 평균 기공 크기가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 구체적으로 3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 또는 상기 다공성 필름은 평균 기공 크기의 하한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10 나노미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 또는 상기 다공성 필름은 기공도(porosity)가 클수록 좋으며, 구체적으로 1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출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 상기 권취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 또는 상기 권출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와 상기 권취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 모두에 상기 피인쇄필름에의 장력을 차단하는 니핑(nipping)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핑부는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어,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를 얼라인할 때 함께 움직이는 것이 좋다. 상기 니핑부는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권출부와 피인쇄필름 귄취부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피인쇄필름이 제공되기 때문에, 인쇄 도중에 정확한 위치에 패턴이 인쇄될 수 있도록 피인쇄필름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고, 이 때 필름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필름에 걸려있는 장력이 차단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니핑부에 의하여 상기 피인쇄필름에 걸려있는 장력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핑부는 상기 피인쇄필름에 일정 이상의 장력을 부여하는 기능도 할 수 있다.
상기 니핑(nipping)부는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서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도중에는 상기 피인쇄필름을 고정하고, 상기 권출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귄취부의 구동시에는 상기 피인쇄필름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니핑부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니핑부를 도 9에 예시하였다. 상기 니핑부는 2개의 롤이 피인쇄필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인접하게 배치하였다가, 상기 2개의 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2개의 롤간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인쇄필름의 진행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9에 예시된 니핑부의 경우, 피인쇄필름 지지부와 더 멀리 있는 롤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피인쇄필름이 진행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니핑부는 인쇄롤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인쇄 도중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진공 흡입부에 의하여 진공 흡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핑부는 피인쇄필름의 하면에서의 스크레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부로 이동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쇄장치는 상기 니핑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롤의 이동 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피인쇄필름의 하면에서의 스크레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상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니핑부에 피인쇄필름이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보조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고정부는 권출부와 니핑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는 피인쇄필름의 얼라인(align)을 위한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위치 제어부는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와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위치 제어부는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을 전사하기 전에, 인쇄롤에 의하여 피인쇄필름 상의 적합한 위치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도록,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스테이지를 얼라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위치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피인쇄필름은 상하 이동도 가능하며, 이에 의하여 인쇄롤의 진행경로를 방해하지 아니할 수 있으며, 피인쇄필름의 하면에 스크레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는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와 상기 권취부 사이에 구비된 건조 또는 경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또는 경화 유닛은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전사된 인쇄물 패턴을 건조 또는 경화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또는 경화 유닛은 인쇄물 패턴을 적절한 조건에서 건조 또는 경화할 수 있도록 제어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인쇄체가 필름형태이므로, 필름 재료에 따라 건조 또는 경화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는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와 상기 권취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피인쇄필름과 함께 합지하고자 하는 필름을 제공하는 제2 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권출부로부터 제공되는 필름의 종류는 상기 피인쇄필름과 합지가 요구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합지를 위하여, 상기 피인쇄필름과 상기 제2 권출부로부터 제공되는 필름이 상기 권취부로 권취되기 전에 합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가압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수단은 2개의 롤로 이루어진 구조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압 수단에 의하여 2개의 필름이 라미네이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는 롤 형태일 수 있다. 이 실시상태의 일 예를 도 3에 예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인쇄롤은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의 구동에 의한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이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인쇄롤은 코팅부에 의하여 인쇄물이 도포되고,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 상에 구비되는 클리쉐에 의하여 일부 인쇄물이 제거된 후, 남아 있는 인쇄물 패턴을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위치하는 피인쇄필름 상에 전사한다.
상기 인쇄롤은 상기 코팅부에 의해서 상기 인쇄롤에 인쇄물이 도포되는 지점, 상기 클리쉐에 의해서 상기 인쇄롤에 인쇄물 패턴이 형성되는 지점 및 상기 피인쇄필름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의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때,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평판인 경우와 달리,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는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도중에도 구동이 정지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롤인 경우에는 평판인 경우와는 달리 니핑부가 요구되지 않는다.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롤 형태인 경우,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인 롤의 구동 속도는 인쇄물 패턴을 전사하는 상기 인쇄롤의 구동 속도와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롤이 구동하는 선속도와 상기 인쇄롤이 구동하는 선속도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정밀한 패턴을 전사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쇄롤의 구동 속도 계산시, 블랭킷을 포함한 전체 인쇄롤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외, 피인쇄필름과 권취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위치 제어부, 피인쇄필름 장력 제어부, 권출부와 권취부의 구동 제어부, 보조 고정부, 건조 또는 경화 유닛, 제2 권출부, 필름 합지 수단 등과 같이,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평판인 경우의 설명은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롤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롤 형태인 경우에는 인쇄롤과 롤 형태인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정밀 패턴이 전사되도록 할 수 있다.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롤 형태인 경우에는, 진공 흡입부가 필요하지 않다.
도 2에 따르면, 상기 인쇄롤은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의 구동에 의한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이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인쇄롤에는 코팅부에 의하여 인쇄물이 도포되고,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 상에 구비되는 클리쉐에 의하여 일부 인쇄물이 제거된 후, 남아 있는 인쇄물 패턴을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위치하는 피인쇄필름 상에 전사될 수 있다면, 그 재료 및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인쇄롤은 롤형 지지체와 상기 롤형 지지체의 외주면을 덮고 있는 블랭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랭킷의 재료, 두께 또는 표면 특성은 사용하고자 하는 인쇄 조성물, 클리쉐 및 피인쇄필름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블랭킷으로는 실리콘계 고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블랭킷은 롤형 지지체에 접착제 또는 접착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할 수도 있으나, 롤형 지지체와 블랭킷의 재료들 간의 부착력에 의하여 부착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인쇄롤은 상기 오프(off) 공정에 적용된 후 상기 셋(set) 공정에 적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 또는 피인쇄필름 지지부도 역시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클리쉐는 2 점 이상의 얼라인 마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얼라인 마크는 그 형태가 인쇄 조성물에 의하여 피인쇄필름에 전사된다. 상기 얼라인 마크는 얼라인 정도에 따라 클리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클리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크기나 형태가 상관없다. 상기 클리쉐 상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는 피인쇄필름에 전사되는 형태를 기준으로 음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양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얼라인 마크가 2개 이상인 경우 클리쉐의 배치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3점 이상 또는 4점 이상의 얼라인 마크가 포함될 수도 있다. 얼라인 마크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얼라인 마크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 예컨대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크기나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클리쉐 기판에 얼라인 마크를 형성함으로써, 피인쇄필름으로서 불투명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정확도가 높은 얼라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는 상기 클리쉐 상의 얼라인 마크를 인식하기 위한 얼라인 카메라 및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위치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위치 제어부는 평면 상에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위치 제어부는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미세위치를 3가지, 즉 x 방향의 위치, y 방향의 위치 및 세타(θ) 방향의 위치로 제어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x 방향을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판면 상의 임의의 한 방향, 예컨대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가로 방향이라고 하면, y는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판면 상에서 x 방향에 수직인 방향, 예컨대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세로 방향을 의미하고, 세타(θ) 방향은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판면 상에서의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평면 상에서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에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위치 제어 방식의 일 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위치 제어부는 A, B, C 및 D를 포함한다. A, B, C 및 D는 각각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각 꼭지점 부근에 구비되어 적색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위치를 제어한다. 다시 말하면, A 및 C는 y 방향으로 위치를 제어하고, B 및 D는 x 방향으로 위치를 제어한다. A 및 C가 동일한 움직임을 갖는다면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는 y 방향으로 이동하고, B 및 D가 동일한 움직임을 갖는다면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는 x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A와 C의 움직임이 동일하지 않거나, B와 D의 움직임이 동일하지 않다면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는 세타(θ)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와 같은 얼라인 카메라에 의하여 클리쉐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의 위치 제어부에 의하여 미세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클리쉐의 위치가 적합한지 여부는 피인쇄필름에 전사된 인쇄 패턴의 얼라인 마크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쇄 장치는 각종 전자소자에 필요한 다양한 패턴을 피인쇄필름에 인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은 전자소자, 예컨대 터치 패널, 각종 디스플레이 등에서 플렉서블 기판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그 이외에 필름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전성 패턴, 절연 패턴, 레지스트 패턴, 컬러패턴, 블랙매트릭스 패턴 등을 인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인쇄필름은 그 용도에 따라 필요한 선폭과 피치를 갖는 인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선폭 120 마이크로미터 이하, 구체적으로 1 내지 120 마이크로미터의 인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서, 상기 인쇄 필름은 선폭 1 내지 5 마이크로미터 또는 선폭 15 내지 100 마이크로미터의 인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1)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가능한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피인쇄필름 회수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에 구비된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피인쇄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2) 인쇄롤 상에 인쇄물을 코팅하는 단계;
3) 상기 인쇄물이 코팅된 인쇄롤을 클리쉐에 접촉시켜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인쇄롤 상에 코팅된 인쇄물 패턴을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인쇄필름 상에 전사하는 단계; 및
5)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를 구동시켜, 인쇄물 패턴이 전사된 피인쇄필름을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로 회수하고,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로부터 미인쇄된 피인쇄필름을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4) 단계의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을 전사할 때, 상기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은 평행하다.
상기 2) 단계 후에, 상기 인쇄롤은 상기 2) 단계의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이 코팅되는 지점에서 상기 3) 단계의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이 형성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3) 단계 후에, 상기 인쇄롤은 상기 3) 단계의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상기 4) 단계의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4) 단계 후에, 상기 인쇄롤은 상기 4) 단계의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2) 단계의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이 코팅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롤을 이동시킬 때에는 그 전후의 필요에 따라, 상기 인쇄롤을 상기 각각의 지점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인쇄롤의 진행방향은 인쇄롤이 각각의 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롤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 지면과 수직한 방향 등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평판인 경우, 상기 1) 단계 이후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위치한 피인쇄필름의 양 끝단을 니핑하여 장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 이후에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위치를 제어하여 피인쇄필름의 인쇄 대상 영역을 얼라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 단계 이후에 상기 피인쇄필름을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에 진공 흡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단계와 진공 흡착 단계를 모두 수행하는 경우, 그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얼라인 단계와 진공 흡착 단계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공 흡착 단계 이후 얼라인 단계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5) 단계 전에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된 인쇄물 패턴을 경화 또는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5) 단계 전에 상기 인쇄물 패턴이 인쇄된 피인쇄필름을 제2의 필름과 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5) 단계에서는 상기 인쇄물 패턴이 인쇄된 피인쇄필름과 제2의 필름을 함께 권취부에 권취하게 된다.
상기 4) 단계에서는 상기 피인쇄필름에 장력이 1 Kgf/m(필름폭) 이상, 구체적으로 3 Kgf/m(필름폭) 이상, 더 구체적으로 5-10 Kgf/m(필름폭) 이상 부여될 수 있다. 상기 장력은 니핑부 또는 상기 권출부와 상기 권취부의 구동 조절을 통하여 부여할 수 있다.

Claims (25)

  1.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가능한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피인쇄필름 회수부;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에 구비된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의 피인쇄필름에 인쇄물 패턴을 전사하기 위한 인쇄롤로서, 상기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이 평행하도록 구비된 인쇄롤;
    상기 인쇄롤에 인쇄물을 도포하는 코팅부; 및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클리쉐 장착용 스테이지상에 구비된 클리쉐;
    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롤은 상기 코팅부에 의해서 상기 인쇄롤에 인쇄물이 도포되는 지점, 상기 클리쉐에 의해서 상기 인쇄롤에 인쇄물 패턴이 형성되는 지점 및 상기 피인쇄필름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는 간헐 연속 인쇄 방식으로 구동되는 것인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는 권출부(unwinder)이고,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는 권취부(rewinder)인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는 평판인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는 진공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는 홀 구조를 포함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는 라인 구조를 더 포함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부 상에 다공성 플레이트 또는 다공성 필름이 구비된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 또는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사이 모두에 구비된 니핑(nipping)부를 더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니핑(nipping)부는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서 피인쇄필름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도중에는 상기 피인쇄필름을 고정하고,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의 구동시에는 상기 피인쇄필름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는 롤인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는 상기 피인쇄필름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구동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니핑부는 상기 피인쇄필름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구동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과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의 위치를 제어하는 위치 제어부,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의 구동 제어부 및 피인쇄필름의 장력 제어부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에 구비된 건조 또는 경화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권출부 및 필름 합지 수단을 더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피인쇄필름의 얼라인(align)을 위한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위치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오프셋 인쇄 장치.
  19. 1) 피인쇄필름을 연속적으로 제공가능한 피인쇄필름 제공부 및 피인쇄필름 회수부를 이용하여,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 사이에 구비된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피인쇄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2) 인쇄롤 상에 인쇄물을 코팅하는 단계;
    3) 상기 인쇄물이 코팅된 인쇄롤을 클리쉐에 접촉시켜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인쇄롤 상에 코팅된 인쇄물 패턴을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인쇄필름 상에 전사하는 단계; 및
    5)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를 구동시켜, 인쇄물 패턴이 전사된 피인쇄필름을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로 회수하고,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로부터 미인쇄된 피인쇄필름을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으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의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을 전사할 때, 상기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피인쇄필름 제공부와 상기 피인쇄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제공되는 피인쇄필름의 진행방향과 상기 인쇄롤의 회전방향이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후에, 상기 인쇄롤은 상기 2) 단계의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이 코팅되는 지점에서 상기 3) 단계의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이 형성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상기 3) 단계 후에, 상기 인쇄롤은 상기 3) 단계의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 패턴이 형성되는 지점에서 상기 4) 단계의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4) 단계 후에, 상기 인쇄롤은 상기 4) 단계의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물 패턴이 전사되는 지점에서 상기 2) 단계의 상기 인쇄롤 상에 인쇄물이 코팅되는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후에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의 위치를 제어하여 피인쇄필름의 인쇄 대상 영역을 얼라인 하는 단계; 또는
    상기 피인쇄필름을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에 진공 흡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5) 단계 전에
    상기 피인쇄필름 상에 인쇄된 인쇄물 패턴을 경화 또는 건조하는 단계; 또는
    상기 인쇄물 패턴이 인쇄된 피인쇄필름을 제2의 필름과 합지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
  24.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4) 단계에서는 상기 피인쇄필름에 장력이 1 Kgf/m(필름폭) 이상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
  25.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가 평판이고, 상기 1) 단계 이후 상기 피인쇄필름 지지부 상에 위치한 피인쇄필름의 양 끝단을 니핑하여 장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버스 오프셋 인쇄 방법.


KR1020120033282A 2011-04-01 2012-03-30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KR101385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031 2011-04-01
KR20110030031 2011-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239A true KR20120112239A (ko) 2012-10-11
KR101385874B1 KR101385874B1 (ko) 2014-04-21

Family

ID=4693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282A KR101385874B1 (ko) 2011-04-01 2012-03-30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239831A1 (ko)
KR (1) KR101385874B1 (ko)
CN (1) CN103314428B (ko)
TW (1) TWI520852B (ko)
WO (1) WO201213423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560A (ko) * 2012-12-17 2014-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140103412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속 공정이 가능한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150090610A (ko) * 2014-01-29 2015-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15483A2 (ko) * 2011-02-24 2012-08-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JP6322527B2 (ja) * 2014-09-10 2018-05-09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該印刷装置で用いる担持体
JP6448132B2 (ja) * 2015-03-13 2019-01-09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機
JP6572050B2 (ja) * 2015-08-05 2019-09-04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機
JP6671122B2 (ja) * 2015-08-05 2020-03-25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機
JP6358488B2 (ja) 2015-08-26 2018-07-1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オフセット印刷用クリシェの製造方法及びオフセット印刷用クリシェ
KR101594401B1 (ko) 2015-09-17 2016-02-26 코스테크 주식회사 인쇄장치
CN108501511B (zh) * 2018-03-20 2020-04-24 温州乾含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绿色食品包装印刷装置
CN113210712B (zh) * 2021-05-07 2023-05-12 辽宁中北数据工程有限公司 一种工业互联网在线监造设备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19247A (en) * 1994-10-31 2005-04-30 Tdk Corp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apparatus for ceramic electronic components
JP3731759B2 (ja) * 1995-02-09 2006-01-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連続的フィルムラミネート及び剥離システム
JP3730002B2 (ja) * 1998-01-07 2005-12-21 光村印刷株式会社 印刷機及び印刷方法
JP2000289320A (ja) * 1999-04-02 2000-10-17 Mitsumura Printing Co Ltd 画像形成法
JP2004291450A (ja) * 2003-03-27 2004-10-21 Fuji Photo Film Co Ltd カラープリンタ及びその記録材料搬送方法
KR101256383B1 (ko) * 2005-05-03 2013-04-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스탬프로부터 기판으로 패턴을 전사하기 위한 방법 및디바이스
JP4580830B2 (ja) * 2005-07-08 2010-1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形成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4960035B2 (ja) * 2006-08-01 2012-06-27 株式会社ミヤコシ バリアブル印刷機
KR101207089B1 (ko) * 2007-07-05 2012-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101014363B1 (ko) * 2007-10-17 2011-02-15 한국기계연구원 롤투롤 윤전인쇄방식을 이용한 전자소자 제조장치
KR101611286B1 (ko) * 2009-09-03 2016-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필름에 미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마스터 몰드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하여 미세 패턴 필름을 제조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세 패턴 필름이 부착된 가전제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8560A (ko) * 2012-12-17 2014-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140103412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속 공정이 가능한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150090610A (ko) * 2014-01-29 2015-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14428A (zh) 2013-09-18
TW201304965A (zh) 2013-02-01
TWI520852B (zh) 2016-02-11
KR101385874B1 (ko) 2014-04-21
WO2012134230A2 (ko) 2012-10-04
US20130239831A1 (en) 2013-09-19
WO2012134230A3 (ko) 2012-12-06
CN103314428B (zh)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5874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JP5465489B2 (ja) ロールツーロールシステムにおける高速微細基板整列装置
JP5781639B2 (ja) グラビア印刷装置
KR101579651B1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KR20130019298A (ko) 롤투롤 인쇄 시스템
TWI538586B (zh) 用於固定印刷品之設備、印刷裝置及印刷方法
KR101530749B1 (ko) 양면 인쇄 장치 및 방법
JP5743295B2 (ja) ロールプリ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ロールプリンティング方法
KR101855844B1 (ko) 롤투롤 리버스 옵셋 인쇄 장치 및 이의 얼라인 방법
JP2009190254A (ja) 凸版印刷装置のアライメント方法及び凸版印刷装置及び印刷物
KR102574036B1 (ko) 임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프린팅 방법
CN113766735A (zh) 薄膜处理系统和方法
CN212933489U (zh) 触控薄膜
JP5916144B2 (ja) ロールプリ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ロールプリンティング方法
KR101686289B1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JP2009023321A (ja) 印刷装置
KR101710228B1 (ko) 롤 프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롤 프린팅 방법
CN113766759A (zh) 薄膜处理系统和方法
JP2005043677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