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2224A -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2224A
KR20120112224A KR1020120033158A KR20120033158A KR20120112224A KR 20120112224 A KR20120112224 A KR 20120112224A KR 1020120033158 A KR1020120033158 A KR 1020120033158A KR 20120033158 A KR20120033158 A KR 20120033158A KR 20120112224 A KR20120112224 A KR 20120112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ver
valve body
relief
relief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675B1 (ko
Inventor
요시노리 이노우에
겐타 니시무라
고지 이시이
아츠오 스미
아츠시 시바타
도루 미즈타니
데루나오 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20112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2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0Valves;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04C29/126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of the non-retur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Compressor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는 밸브 본체, 릴리프 포트, 캡과 커버를 포함한다. 릴리프 포트는 밸브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압축기 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된다면 냉매 가스가 릴리프 포트를 통하여 방출된다. 커버가 밸브 본체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걸림부는 밸브 본체와 맞물릴 수 있도록 커버에 형성된다. 커버가 캡을 통하여 밸브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릴리프 포트는 캡의 단부에 의해 덮고, 제 1 간극은 릴리프 포트와 연통하도록 캡과 밸브 본체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를 위한 유동 유로는 릴리프 포트로부터 제 1 간극을 통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FOR COMPRESSOR}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에 설치된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에 관한 것이다.
차량 공조기용 압축기는 차량의 엔진룸에 장착되고 차량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되어서 냉매 가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 가스를 차량 공조기의 냉매 회로로 공급한다. 차량 엔진의 회전 속도는 차량의 주행 속도 변화에 비례하여 바뀐다. 차실 내 냉방 부하도 바뀌므로, 압축기는 바람직하게도 가변 용량형이어야 한다. 압축기의 운전 조건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압축기의 온도와 압력도 크게 변한다. 예를 들어, 압축기의 압력은 가혹한 기상 조건에 의해 과도하게 증가될 수도 있다. 어떤 압착기는 이러한 과도하게 증가된 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릴리프 밸브를 갖춘다. 압축기의 릴리프 밸브가 작동될 때, 압축기 내 냉매 가스의 일부는 릴리프 밸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압축기 외부로 방출된다. 압축기 외부로 방출되는 고압 냉매 가스는 차량의 엔진룸에 배치된 주변 기기에 직접 닿아서, 이러한 주변 기기의 손상을 유발한다.
일본 특허 제 3266985 호는, 압축기로부터 방출되는 고압 냉매 가스에 대해 압축기와 인접하여 배치된 주변 기기를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를 위한 캡을 개시한다. 캡은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다. 캡은 릴리프 밸브의 육각 너트의 외주면과 맞물린다. 캡은 다각형 각기둥의 밑면의 두 바닥 변을 제외한 다각형 각기둥 및, 릴리프 밸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를 릴리프 밸브의 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다각형 각기둥의 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캡 단부를 가진다. 다각형 각기둥은 캡 단부와 대향한 그것의 단부에 다각형 각기둥과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탄성 변형 가능한 유지 아암 및, 유지 아암과 인접하여 형성된 한 쌍의 슬릿을 가진다. 캡의 다각형 각기둥의 한 쌍의 유지 아암이 탄성 변형된 후 밸브 본체의 실린더형 케이스와 맞물리도록 릴리프 밸브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밸브 본체에 대해 캡을 이동시킴으로써 캡이 밸브 본체에 장착된다. 다각형 각기둥은 캡 단부에 의해 릴리프 밸브의 배출구를 덮도록 릴리프 밸브의 육각 너트의 외주면과 맞물린다. 릴리프 밸브에서, 배출구와 캡 단부 사이에 가이드 포트와 연통하는 간극이 형성된다. 전술한 일본 특허 제 3266985 호에 개시된 릴리프 밸브의 캡에 따르면, 릴리프 밸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는 일 방향으로 확실하게 안내된다.
일본 특허 제 3038681 호는 다른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를 개시한다. 이 릴리프 밸브에서, 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커버는 밸브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버는 육각 차폐부, 3 개의 제 1 레그 및 2 개의 제 2 레그를 포함한다. 제 1 레그는 커버 차폐부의 육각형의 3 개의 번갈아 놓인 변으로부터 연장되도록 직각으로 커버의 일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커버의 각 제 1 레그는 밸브 본체의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한 쌍의 고정 후크를 가진다. 미리 정해진 두께의 육각 블록 형상을 가지는 탄성 부재는 릴리프 밸브의 릴리프 포트를 덮도록 커버에 장착된다. 탄성 부재는 내부에 U 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에서 탄성 부재는 릴리프 밸브와 접촉한다. 탄성 부재가 차폐부와 제 1 및 제 2 레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고 커버 및 탄성 부재가 릴리프 밸브의 축선방향으로 함께 밀착되어서 커버의 제 1 레그의 제 1 고정 후크와 밸브 본체의 돌출부와 맞물리도록 릴리프 밸브의 축선방향으로 릴리프 밸브에 대해 커버와 탄성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와 탄성 부재가 밸브 본체에 장착된다. 탄성 부재는 릴리프 밸브의 배출구를 덮고 압축된 상태에서 커버의 차폐부와 밸브 본체 사이에 개재되도록 밸브 본체에 장착된다. 냉매 가스용 유로는 밸브 본체의 단부 면과 탄성 부재에 형성된 홈 사이에 형성된다. 전술한 일본 특허 제 3038681 호에 개시된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에 따르면, 릴리프 밸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방출된 냉매 가스는 홈을 통하여 유동하고 커버 외부로 안내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10-53750 호는 또다른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를 개시한다. 캡은 밸브 본체의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탄성 부재는 캡과 밸브 본체의 헤드 사이에 개재된다. 캡은 밸브 본체의 헤드의 형상과 동일한 육각형 형상을 가지는 캡 단부, 캡 단부의 대향한 두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U 자형으로 구부러지는 2 개의 고정 후크, 및 2 개의 후크를 위한 전술한 두 변을 제외한 캡 단부의 임의의 세 변으로부터 연장되고 구부러지는 3 개의 유지편을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C 자형 단면, 미리 정해진 두께 및 탄성 부재의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탄성 부재가 밸브 본체의 헤드에서 개방된 밸브 본체의 배출구를 둘러싸는 면을 덮고 또한 탄성 부재의 개구부가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해 있으면서 캡의 고정 후크가 밸브 본체의 헤드와 맞물리도록 캡과 탄성 부재가 릴리프 밸브의 축선방향을 따라 밸브 본체에 장착된다. 탄성 부재는 압축된 상태에서 밸브 본체의 헤드와 캡의 캡 단부 사이에 개재되고, 냉매 가스용 유로는 탄성 부재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밸브 본체의 헤드와 캡 단부 사이에 형성된다. 전술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10-53750 호에 따르면, 릴리프 밸브의 배출구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는 C 자형 탄성 부재의 개구부를 통하여 릴리프 밸브 밖으로 유동한다.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일본 특허 제 3266985 호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캡은 품질이 저하될 수도 있고, 유지 아암의 강도가 감소될 수도 있다. 즉, 캡이 환경 변화 (특히, 고온) 때문에 발생된 부하 및 냉매 가스의 방출 압력의 영향을 받게 되어서, 캡의 품질 저하 우려가 있다. 또한, 냉매 가스의 부하에 기인한 피로 파괴 또는 소형 변형에 의해 유지 아암이 파괴되거나 변형될 수도 있는 우려가 있다. 캡의 품질 저하 또는 유지 아암의 강도 감소에 대한 조치로서, 캡의 벽을 두껍게 만들 수도 있는데, 이것은 단지 캡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전술한 일본 특허 제 3038681 호와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 2010-53750 호에 개시된 릴리프 밸브에 따르면, 밸브 본체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탄성 부재는 밸브 본체와 접촉면에서 내부에 홈을 형성하여서, 압축된 상태에서 커버에 의해 밸브 본체로 탄성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냉매 가스의 유동이 조절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는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요구되는데, 이것은 캡의 크기를 대형화시킨다. 캡의 크기가 증가되면 캡이 차량의 작은 엔진실 내 다른 주변 기기와 간섭할 수도 있는 우려를 초래한다. 게다가,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를 밸브 본체에 장착하는데 추가의 힘이 요구되는데, 이것은 릴리프 밸브의 조립시 작동 효율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릴리프 밸브의 캡 크기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주변 기기가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는 밸브 본체, 릴리프 포트, 캡 및 커버를 포함한다. 밸브 본체는 단부와 주위면 (peripheral surface) 을 포함한다. 릴리프 포트는 밸브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압축기 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된다면 냉매 가스는 릴리프 포트를 통하여 방출된다. 캡은 단부 및 밸브 본체의 주위면과 맞물릴 수 있는 주위면을 포함한다. 커버는 단부, 캡의 주위면과 맞물릴 수 있는 주위면 및 커버가 밸브 본체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밸브 본체와 맞물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커버가 캡을 통하여 밸브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릴리프 포트는 캡의 단부에 의해 덮어지고, 제 1 간극은 릴리프 포트와 연통하도록 캡의 단부와 밸브 본체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를 위한 유동 유로는 릴리프 포트로부터 제 1 간극을 통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장점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과 함께 다음 상세한 설명에서 분명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과 더불어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다음 설명을 참조하여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릴리프 밸브가 조립되어 압축기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 의 릴리프 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릴리프 밸브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 1 의 릴리프 밸브의 배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의 릴리프 밸브의 커버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 는 도 1 의 릴리프 밸브의 조립 프로세스를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인데, 도 5a 는 커버가 릴리프 밸브의 캡에 연결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고, 도 5b 는 서로 연결된 커버와 캡이 밸브 본체의 측면 (lateral side) 에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5c 는 커버와 캡이 밸브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도 5d 는 커버와 캡이 밸브 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6 은 냉매 가스가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방출될 때 릴리프 밸브의 작동을 도시한, 도 1 의 릴리프 밸브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7a 와 도 7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조립 프로세스를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인데, 도 7a 는 커버가 릴리프 밸브의 캡에 연결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고, 도 7b 는 커버와 캡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8a 는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캡의 사시도이다.
도 8b 는 도 8a 의 화살표 방향으로 보았을 때 릴리프 밸브의 캡의 측면도이다.
도 9 는 릴리프 밸브가 압축기에 장착된 상태에서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냉매 가스가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방출되고 있을 때 릴리프 밸브의 작동을 도시한, 도 9 의 릴리프 밸브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1a 는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캡의 사시도이다.
도 11b 는 캡이 곡선 가장자리를 가지고 형성된 상태에서 도 11a 의 캡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 는 릴리프 밸브의 배면에서 보면 냉매 가스가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방출되고 있을 때 릴리프 밸브의 작동을 도시한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개략도이다.
도 13 은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 캡의 사시도이다.
도 14 는 냉매 가스가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방출되고 있을 때 릴리프 밸브의 작동을 도시한, 도 13 의 릴리프 밸브의 개략도이다.
도 15 는 바람직한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캡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냉매 가스가 릴리프 밸브를 통하여 방출되고 있을 때 릴리프 밸브의 작동을 도시한, 도 15 의 릴리프 밸브의 개략도이다.
도 17 은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의 캡의 사시도이다.
다음은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설명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도면 부호 11 은 압축기의 하우징을 나타내고, 육각 각기둥 형상의 밸브 본체 (12) 가 하우징 (11) 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 (13) 에 의해 하우징 (11) 의 외벽에 장착된다. 밸브 본체 (12) 는 릴리프 포트 (14) 를 가지는데, 이 포트는 밸브 본체 (12) 의 단부의 축선방향 중심에서 개방되고 이 포트를 통하여 냉매 가스가 방출된다. 밸브 본체 (12) 의 단부에 형성된 릴리프 포트 (14) 는 하우징 (11) 에 형성된 배출 챔버 (미도시) 와 연통한다. 육각 각기둥 형상의 밸브 본체 (12) 는 6 개의 측면을 가지는 외주면 (23) 을 가진다. 절개부 (cut) (15) 가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의 각각의 두 인접한 측면 사이에 형성된다. 임의의 3 개의 절개부 (15) 는 나중에 설명될 걸림부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형성된 한 쌍의 유지 아암 (21) 과 맞물릴 수 있는 리테이닝부로서 역할을 한다. 각각의 절개부 (15) 는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의 임의의 두 인접한 측면 사이의 옆모서리 일부를 모따기함으로써 형성되고 도 1 과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밸브 본체 (12) 의 옆모서리와 축선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선과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면을 가진다. 각 절개부 (15) 는 나사 (13) 측에서 밸브 본체 (12) 의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에 대해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 가장자리 (15A) 를 가지는데, 이것은 절개부 (15) 의 단부에 형성되고 밸브 본체 (12) 의 배면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면을 가지고, 절개부 (15) 의 모따기된 면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도 2 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10 은 밸브 본체 (12), 커버 (17) 및 캡 (25) 으로 구성된 릴리프 밸브 (10) 를 표시한다 (도 1). 커버 (17) 는 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밸브 본체 (12) 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캡 (25) 은 판으로 만들어지고 릴리프 포트 (14) 를 덮기 위해서 밸브 본체 (12) 와 커버 (17) 사이에 배치된다. 커버 (17) 는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둘레에 끼움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커버 벽 (19), 커버 단부 (20) 및 한 쌍의 유지 아암 (21) 을 포함한다. 컷아웃 (cutout) (18) 이 커버 벽 (19) 에 형성된다. 커버 단부 (20) 는 실질적으로 육각형이고 커버 벽 (19) 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커버 벽 (19) 의 타단부는 한 쌍의 슬릿 (22) 및 밸브 본체 (12) 의 임의의 두 절개부 (15) 와 맞물릴 수 있도록 슬릿 (22) 과 인접하여 형성된 한 쌍의 유지 아암 (21) 을 가진다. 다시 말해서, 커버 벽 (19) 은 실질적으로 정육각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커버 (17) 의 주위면에 대응하고, 커버 단부 (20) 는 커버 (17) 의 단부에 대응한다.
커버 벽 (19) 은 커버 단부 (20) 의 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육각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커버 단부 (20) 의 네 변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도 1 에 나타낸 것처럼, 바닥에서 2 개의 인접한 변이 커버 벽 (19) 에서 생략되고, 이 두 변을 생략하여 커버 (17) 의 컷아웃을 형성한다. 컷아웃 (18) 은 커버 (17) 의 주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커버 (17) 의 개구부에 대응한다. 컷아웃 (18) 은 커버 (17) 의 정육각 각기둥 형상의 커버 벽 (19) 의 2 개의 인접한 측면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커버 벽 (19) 은 실질적으로 육각형인 커버 단부 (20) 의 각각의 네 변으로부터 연장된 4 개의 커버 벽면 (19A, 19B, 19C, 19D) 을 가진다. 커버 벽면 (19A, 19D) 은 컷아웃 (18) 의 대향한 측에 위치한다. 도 1 에 나타낸 것처럼, 각각의 유지 아암 (21) 은 각각의 커버 벽면 (19A, 19D) 으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데, 각 커버 벽면은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의 각 대향 측으로 연속된다. 각각의 커버 벽면 (19A, 19D) 의 일부에 구비된 한 쌍의 유지 아암 (21) 은, 한 쌍의 유지 아암 (21) 이 그것의 원위 단부를 향하여 서로 접근하도록 중간 선을 따라 안쪽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지 아암 (21) 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가, 도 1에서 너비 (L1) 로 표시된, 커버 벽면 (19A, 19D) 사이의 거리보다 짧도록 구부러진다. 도 1 에서 화살표 (P) 로 나타낸 방향을 따라 밸브 본체 (12) 에 커버 (17) 를 장착할 때, 유지 아암 (21) 은 펼쳐지도록 바깥쪽으로 확실히 변형된 후 유지 아암 (21) 이 임의의 2 개의 절개부 (15) 와 맞물리면서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끼움장착된다. 고정 후크 (24) 는 도 3 에 나타낸 것처럼 밸브 본체 (12) 의 하나의 절개부 (15) 와 맞물릴 수 있도록 유지 아암 (21) 또는 컷아웃 (18) 에 대향하여 위치한 커버 벽면 (19B, 19C) 사이의 옆모서리의 단부에서 커버 벽 (19) 에 형성된다.
커버 (17) 는 탄성을 가지는 단일 강판 (steel plate) 으로 만들어지고, 강판은 금속판으로서 사용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커버 (17) 를 위한 강판은 두 부분, 즉 커버 단부 (20) 에 대응하는 한 부분과 커버 벽 (19) 에 대응하는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 강판은 도 4 에서 점선 (29A ~ 29D) 을 따라 구부러져 커버 (17) 를 도 1 과 도 3 에 나타낸 형상으로 형성한다. 특히, 강판은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점선 (29A) 을 따라 구부러진 후 커버 벽 (19) 이 실질적으로 정육각 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약 120 도의 각도로 점선 (29B ~ 29D) 을 따라 구부러진다. 커버 단부 (20) 는 커버 단부 (20) 의 한 변에서만 커버 벽 (19) 으로 연속되어서, 도 1 에 나타낸 것처럼 강판이 알맞게 구부러질 때 간극 (31) 이 커버 단부 (20) 와 커버 벽 (19) 사이에 형성된다.
캡 (25) 은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린다. 캡 (25) 은 캡 벽 (27) 및 캡 단부 (28) 를 포함한다. 컷아웃 (26) 은 캡 (25) 의 캡 벽 (27) 에 형성되고, 캡 단부 (28) 는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캡 벽 (27) 의 단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축선방향으로 유출되는 냉매 가스가 릴리프 포트 (14) 의 축선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캡 단부 (28) 는 캡 벽 (27) 과 연결된다. 캡 벽 (27) 은 실질적으로 정육각 각기둥 형상을 가지는 캡 (25) 의 주위면에 대응하고, 캡 단부 (28) 는 캡 (25) 의 단부에 대응한다. 캡 벽 (27) 은 캡 단부 (28) 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육각형인 캡 단부 (28) 의 네 변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두 개의 인접한 변이 도 1 에 나타낸 것처럼 캡 벽 (27) 에서 생략되어서, 캡 (25) 에 컷아웃 (26) 을 형성한다. 컷아웃 (26) 은 캡 (25) 의 주위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캡 (25) 의 개구부와 대응하고 실질적으로 정육각 각기둥 형상의 캡 (25) 의 2 개의 인접한 측면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캡 벽 (27) 은 캡 단부 (28) 의 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캡 단부 (28) 의 각 네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캡 벽부 (27A ~ 27D) 를 가지고, 캡 벽부 (27A, 27D) 는 컷아웃 (26) 의 대향한 측에 위치한다. 캡 (25) 과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의 정해진 자리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2 에 나타낸 것처럼, 캡 (25) 의 컷아웃 (26) 과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이 서로 일치하여 릴리프 밸브 (10) 에 배출구 (30) 를 형성하도록 캡 (25) 과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대해 배치된다.
캡 (25) 은 커버 (17) 를 위한 판보다 얇은 판으로 만들어지고 낮은 탄성을 가지며, 도면처럼 프로세싱하여 형성되어서, 캡 벽 (27) 과 캡 단부 (2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캡 단부 (28) 가 릴리프 포트 (14) 를 덮고 캡 벽 (27) 이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리도록 도 1 의 화살표 (P)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25) 을 이동시킴으로써 캡 (25)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캡 (25) 의 컷아웃 (26) 의 위치와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커버 (17) 는 밸브 본체 (12) 에 이미 장착된 캡 (25) 위에 장착된다.
도 1 의 L1 은 컷아웃 (18) 의 대향 측에 위치한 커버 벽면 (19A, 19D) 사이에서 측정된 커버 (17) 의 너비를 나타내고, L2 는 컷아웃 (26) 의 대향 측에 위치한 캡 벽부 (27A, 27D) 사이에서 측정된 캡 (25) 의 너비인데, 너비 (L1) 는 너비 (L2) 보다 약간 크다. 또한, L3 은 밸브 본체 (12) 의 육각형 외주면 (23) 의 두 대향한 면 사이에서 측정했을 때 밸브 본체 (12) 의 너비를 나타낸다. 너비 (L2) 는 너비 (L3) 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커버 (17) 의 축선방향으로 커버 단부 (20) 와 유지 아암 (21) 사이에서 측정된 커버 (17) 의 축선방향 길이 (M1) 는 캡 (25) 의 축선방향으로 캡 벽 (27) 의 축선방향 길이 (M2) 보다 길다. 도 2 에 나타낸 것처럼, 밸브 본체 (12) 에 캡 (25) 과 커버 (17) 를 배치했을 때 캡 단부 (28) 와 릴리프 포트 (14) 를 가지는 밸브 본체 (12) 의 단부 사이에 간극 (G) 이 형성되고, 간극 (G) 은 배출구 (30) 와 연통한다. 간극 (G) 은 캡 단부 (28) 와 밸브 본체 (12) 사이에 형성되고 릴리프 포트 (14) 와 배출구 (30) 사이에서 연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간극과 대응한다.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된 냉매 가스의 유동 유로는 간극 (G) 과 배출구 (30) 에 의해 형성된다. 캡 (25) 과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유지 아암 (21) 과 고정 후크 (24) 는, 도 3 에 나타난 것처럼,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형성된 6 개의 절개부 (15) 의 번갈아 놓인 세 위치에서 밸브 본체 (12) 와 맞물린다.
다음은 캡 (25) 과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 릴리프 밸브 (10) 의 조립 프로세스를 도 5a 내지 도 5d 를 참조로 설명할 것이다. 도 5a 에 나타난 것처럼, 캡 (25) 은 임시 연결을 위해 커버 (17) 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도 5a 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캡 (25) 은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을 통하여 커버 (17) 안으로 삽입된다. 너비 (L1) 가 너비 (L2) 보다 약간 크기 때문에, 캡 (25) 은 커버 (17) 안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17) 의 커버 벽 (19) 및 커버 단부 (20) 는 각각 캡 (25) 의 캡 벽 (27) 및 캡 단부 (28) 와 직접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커버 (17) 의 컷아웃 (18) 과 캡 (25) 의 컷아웃 (26) 은 서로 일치한다.
그 뒤 도 5b 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16 은 커버 (17) 와 캡 (25) 을 함께 연결함으로써 형성된 캡 유닛을 나타낸다. 캡 유닛 (16) 은, 도 5b 에 나타낸 것처럼, 밸브 본체 (12) 의 측면에 놓여진다. 도 5b 에서, 도 5b 의 시트와 수직 방향은 릴리프 밸브 (10) 의 축선방향에 대응하고, 릴리프 밸브 (10) 의 축선에 대한 방사상 방향은 릴리프 밸브 (10) 의 방사상 방향에 대응한다. 도 5b 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릴리프 밸브 (10) 의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유닛 (16) 을 이동시킴으로써 밸브 본체 (12) 에 캡 유닛 (16) 을 장착하기 전에, 캡 단부 (28) 및 커버 단부 (20) 가 밸브 본체 (12) 의 릴리프 포트 (14) 를 향하도록 캡 유닛 (16) 이 밸브 본체 (12) 에 대해 배치된다. 캡 벽 (27) 과 커버 벽 (19) 은 밸브 본체 (12) 와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한 쌍의 유지 아암 (21) 은 2 개의 절개부 (15) 와 각각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캡 유닛 (16) 은 캡 유닛 (16) 을 밸브 본체 (12) 상에 밀어줌으로써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것은, 한 쌍의 유지 아암 (21) 의 원위 단부를 외부로 탄성 변형시키고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미끄럼 접촉시키면서 도 5c 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유닛 (16) 을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도 5c 는, 유지 아암 (21) 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가 최대로 증가되고 캡 벽 (27) 의 일부가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과 맞물리는 유지 아암 (21) 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5d 를 참조하면, 캡 유닛 (16) 은 화살표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를 따라 더 밀어져서, 유지 아암 (21) 은 그것의 원위 단부에서 도 5d 의 바닥에 위치한 절개부 (15) 와 접촉하고 유지 아암 (21) 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를 감소시켜서 절개부 (15) 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커버 (17) 의 고정 후크 (24) 는, 도 5d 에 나타난 것처럼, 최상부에 위치한 절개부 (15) 와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캡 벽 (27) 은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리고 캡 단부 (28) 는 릴리프 포트 (14) 를 향하게 위치한다. 커버 (17) 는 밸브 본체 (12) 에 대해 또는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b, 도 5c 및 도 5d 는 도면의 최상부에서 캡 유닛 (16)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대안적으로, 캡 유닛 (16) 은 밸브 본체 (12) 의 6 개의 방사상 방향 중 임의의 한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음은 전술한 릴리프 밸브 (10) 의 작동을 설명할 것이다. 캡 유닛 (16)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 전술한 릴리프 밸브 (10) 를 갖춘 압축기에서, 압축기 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한다면, 릴리프 밸브 (10) 는 과도하게 고압인 냉매 가스의 일부가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될 수 있도록 작동된다. 도 6 을 참조하면,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된 냉매 가스는 캡 (25) 의 캡 단부 (28) 에 닿고 캡 단부 (28) 의 면과 실질적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여서, 냉매 가스는 배출구 (30) 로 유동한다.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압력은 릴리프 포트 (14) 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또는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캡 단부 (28) 를 밀어서, 커버 (17) 의 유지 아암 (21) 과 고정 후크 (24) 가 절개부 (15) 의 선단 가장자리 (15A) 와 맞물리게 되는 위치로 캡 유닛 (16) 이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밸브 본체 (12) 는 그것의 축선방향으로 더 움직이는 것이 제한된다. 릴리프 밸브 (10) 의 이 상태는 도 6 에 나타나 있는데, 밸브 본체 (12) 의 단부와 캡 단부 (28) 사이의 간극 (G) 이 최대로 증가된다.
릴리프 포트 (14) 를 덮도록 배치된 캡 (25) 은 앞서 언급한 대로 드로잉 작용에 의해 형성되므로, 캡 벽 (27) 과 캡 단부 (2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릴리프 포트 (14) 에서 방출된 냉매 가스는 간극 (G) 으로 유동하고 릴리프 밸브 (10) 외부로 방출되도록 배출구 (30) 로 안내된다. 냉매 가스는 배출구 (30) 이외의 릴리프 밸브 (10) 의 임의의 부분을 통하여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배출구 (30) 는 릴리프 포트 (14) 의 원주에서 임의의 위치에서 릴리프 밸브 (10) 에 형성될 수도 있다.
캡 (25) 은 릴리프 포트 (14) 를 덮기 위해 밸브 본체 (12) 에 고정 장착되고, 커버 (17) 는 밸브 본체 (12) 상의 캡 (25) 에 고정 장착된다. 이렇게 구성된 릴리프 밸브 (10) 에 따르면,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가 주변 기기에 닿지 않도록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이 조절될 수도 있다. 캡 (25) 과 커버 (17) 는 얇은 판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게다가,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측정했을 때 냉매 가스를 위한 유동 유로의 길이는 간극 (G) 과 대응하여서,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릴리프 밸브 (10) 의 돌출이 감소될 수도 있다. 냉매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릴리프 밸브 (10) 부재 및 누설 방지 부재를 밸브 본체 (12) 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가 분리되어 제공되어서, 부재에 가해진 부하가 분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냉매 가스와 닿음으로써 발생하는 주변 기기의 손상 및 릴리프 밸브 (10) 의 크기 증가를 방지하면서 릴리프 밸브 (10) 는 원하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릴리프 밸브 (10) 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1) 밸브 본체 (12) 의 릴리프 포트 (14) 를 덮기 위한 캡 (25) 이 밸브 본체 (12) 에 고정 장착되고, 커버 (17) 는 밸브 본체 (12) 에서 캡 (25) 에 고정 장착되어서, 냉매 가스가 임의의 주변 기기에 닿지 않도록 릴리프 밸브 (10) 로부터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이 조절된다. 캡 (25) 과 커버 (17) 는 얇은 판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릴리프 밸브 (10) 로부터 방출되는 냉매 가스를 위한 유동 유로가 간극 (G) 에 대응하는 거리에 대해서만 밸브 본체 (12) 로부터 그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서,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릴리프 밸브 (10) 의 돌출이 종래의 릴리프 밸브와 비교했을 때 감소될 수도 있다. 따라서, 냉매 가스와 닿음으로써 발생하는 주변 기기의 손상 및 릴리프 밸브 (10) 의 크기 증가를 방지하면서 릴리프 밸브 (10) 는 원하는 강도를 유지한다.
(2) 릴리프 포트 (14) 를 덮기 위해 배치된 캡 (25) 은 드로잉 작용에 의해 캡 단부 (28) 의 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캡 단부 (28) 의 네 변에서 연장되는 캡 벽부 (27A ~ 27D) 및 캡 단부 (28) 를 포함한다. 따라서, 캡 (25) 에서, 캡 벽부 (27A ~ 27D) 와 캡 단부 (28)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고,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된 냉매 가스는 배출구 (30) 를 향하여 안내되면서 간극 (G) 을 통하여 유동한 후, 릴리프 밸브 (10) 의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냉매 가스의 유동은 캡 (25) 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고 배출구 (30) 이외에 릴리프 밸브 (10) 의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냉매 가스의 누설이 방지될 수도 있다. 게다가, 커버 (17) 의 주위면에 의해 형성된 배출구 (30) 는 냉매 가스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은 이러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캡 (25) 의 컷아웃 (18) 의 위치와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캡 (25) 과 커버 (17) 가 서로 연결되어서,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는 효율적으로 간극 (G) 을 통하여 배출구 (30) 로 안내되고 배출구 (30) 를 통하여 압축기 외부로 방출될 수도 있다.
(3) 캡 (25) 은 임시로 커버 (17) 에 연결되어서 캡 유닛 (16) 을 형성한 후, 릴리프 밸브 (10)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유닛 (16) 을 이동시킴으로써 캡 유닛 (16) 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커버 (17) 의 컷아웃 (18) 과 캡 (25) 의 컷아웃 (26) 을 일치시킴으로써 릴리프 밸브 (10) 에 형성된 배출구 (30) 는,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유닛 (16) 의 각위치 (angular position) 를 변경함으로써 밸브 본체 (12) 의 원주 방향을 따라 6 개의 위치 중 임의의 한 위치에 제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출구 (30) 가 릴리프 밸브 (10) 로부터 방출된 냉매 가스에 대해 주변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최적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배출구 (30) 의 위치가 주위 조건에 따라 변경 가능하므로, 주변 기기의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4) 한 쌍의 유지 아암 (21) 과 고정 후크 (24) 는 밸브 본체 (12) 의 절개부 (15) 와 맞물리도록 커버 (17) 에 형성된다. 유지 아암 (21) 과 고정 후크 (24) 는 일정한 간격으로 밸브 본체 (12) 의 원주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형성된 6 개의 절개부 (15) 중 번갈아 놓인 세 위치에서 밸브 본체 (12) 와 맞물린다. 따라서, 커버 (17) 를 누르고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영향하에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25) 을 이동시킴으로써 캡 (25) 은 용이하게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되고,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된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은 이러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한 구조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5) 캡 (25) 이 커버 (17) 에 임시로 연결되어서 캡 유닛 (16) 을 만든 후 캡 유닛 (16) 은 밸브 본체 (12) 에 고정 장착된다. 캡 유닛 (16) 은 릴리프 밸브 (10) 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유닛 (16) 을 이동시킴으로써 수동으로 형성되고 밸브 본체 (12) 에 용이하게 고정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릴리프 밸브 (10) 의 조립 프로세스는 더 용이해지고 릴리프 밸브 (10) 의 조립 시간은 단축될 수도 있다.
(6) 커버 (17) 는 탄성을 가지는 판을 구부려서 형성되는데, 이것은 커버 (17) 의 제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돕는다. 캡 (25) 은 탄성이 작은 얇은 판으로 만들어지고 드로잉 작용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것은 캡 (25) 제조를 단순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7) 릴리프 밸브 (10) 의 방사상 방향으로 캡 (25) 에 대해 커버 (17) 를 이동시킴으로써 캡 (25) 에 커버 (17) 를 장착할 때, 유지 아암 (21) 의 원위 단부는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에 의해 서로 멀어지게 펼쳐진 후 안쪽으로 이동되어서 절개부 (15) 와 맞물린다. 따라서,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커버 (17) 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커버 (17) 는 밸브 본체 (12) 에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8) 커버 단부 (20) 와 유지 아암 (21) 사이의 커버 (17) 의 축선방향 길이 (M1) 는 캡 (25) 의 캡 벽 (27) 의 축선방향 길이 (M2) 보다 길다. 따라서,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커버 (17) 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때, 커버 (17) 의 유지 아암 (21) 과 캡 (25) 의 캡 벽 (27) 은 서로 접촉하여서, 유지 아암 (21) 이 캡 (25) 의 캡 벽 (27) 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커버 (17) 장착은 비교적 작은 힘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은 도 7a 와 도 7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용 캡 유닛 (40) 을 설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커버 (17) 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지만, 나머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제 1 실시형태의 구조와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의 공통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부품은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 또는 부품의 설명이 생략될 것이고 변형된 것만 설명될 것이다.
도 7a 에 나타난 것처럼, 도면 부호 41 은 커버를 나타내고, 커버 (41) 는 커버 벽 (43) 의 일부에 형성된 컷아웃 (42) 을 가지는 커버 벽 (43), 커버 단부 (44) 및 한 쌍의 유지 아암 (45) 을 포함한다. 커버 (41) 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커버 (17) 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7a 의 L4 는 커버 (41) 의 컷아웃 (42) 의 대향 측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커버 벽면 (43A, 43D) 사이의 커버 (41) 의 너비를 나타낸다. 도 7a 의 L2 는 컷아웃 (26) 의 대향 측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캡 벽부 (27A, 27D) 사이의 캡 (25) 의 너비를 나타낸다. 너비 (L4) 는 너비 (L2) 보다 약간 작다. 도 7a 에 나타낸 것처럼, 커버 벽면 (43A, 43D) 사이의 너비가 컷아웃 (42) 을 향하여 감소되는 경사도로 커버 벽면 (43A, 43D) 이 형성된다. 너비 (L4) 는 커버 벽면 (43A, 43D) 사이에서 최저 너비를 나타낸다. 따라서, 커버 벽면 (43A, 43D) 사이의 거리가 컷아웃 (42) 까지 감소되도록 커버 벽면 (43A, 43D) 은 경사진다.
캡 (25) 과 커버 (41) 를 연결할 때, 캡 (25) 은 컷아웃 (42) 으로부터 또는 컷아웃 (42) 을 통하여 커버 (41) 안으로 삽입된다. 비록 너비 (L4) 가 너비 (L2) 보다 약간 작을지라도, 캡 (25) 이 커버 벽면 (43A, 43D) 을 바깥쪽으로 밀면서 커버 (41) 안으로 삽입될 때 커버 벽면 (43A, 43D) 이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어서 커버 벽면 (43A, 43B) 사이의 거리를 확대시킴으로써 너비 (L4) 가 너비 (L2) 보다 크도록 증가된다.
결과적으로, 캡 유닛 (40) 은 캡 (25) 과 커버 (41) 를 연결함으로써 형성된다. 캡 (25) 의 캡 벽부 (27A, 27D) 는 커버 (41) 의 커버 벽면 (43A, 43D) 의 탄성에 의해 안쪽으로 눌러져서, 캡 벽부 (27A, 27D) 는 커버 벽면 (43A, 43D) 에 의해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처럼,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유닛 (40) 을 이동시킴으로써 캡 유닛 (40) 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수도 있다. 커버 (41) 와 캡 (25) 은 하나의 유닛으로서 취급될 수 있는데, 이것은 릴리프 밸브 (10) 의 조립을 더욱 간단하게 하도록 돕는다. 이 바람직한 제 2 실시형태도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와 관련하여 언급한 유리한 효과 (1) 내지 (8) 를 제공한다.
다음은 도 8a, 도 8b,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설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캡 (25) 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지만, 나머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구조와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의 공통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부품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 또는 부품의 설명이 생략될 것이고 변형된 것만 설명될 것이다.
도 8a 와 도 8b 를 참조하면, 캡 (50) 은 캡 벽 (52) 과 캡 단부 (53) 를 포함한다. 캡 (50) 은 내부에 컷아웃 (51) 이 형성된다. 도 9 에 나타난 것처럼, 캡 (50) 은 그것의 캡 벽 (52) 에서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린다. 캡 단부 (53) 는 캡 벽 (52) 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밸브 본체 (12) 의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을 밸브 본체 (12) 의 축선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환하는데 사용된다. 캡 벽 (52) 은 캡 (50) 의 정육각기둥 형상의 주위면에 대응하고, 캡 단부 (53) 는 캡 (50) 의 단부에 대응한다.
캡 벽 (52) 은 캡 단부 (53) 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육각형인 캡 단부 (53) 면의 네 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바닥에서 2 개의 인접한 변이 도 8a 에 나타난 것처럼 캡 벽 (52) 에서 생략되고, 이 두 인접한 변을 생략하여 컷아웃 (51) 을 형성한다. 캡 (50) 의 컷아웃 (51) 은 주위면에 형성된 캡 (50) 의 개구부와 대응한다. 캡 (50) 은 두 인접한 측면을 가지지 않으면서 실질적으로 정육각기둥 형상을 가진다. 캡 벽 (52) 은 캡 단부 (53) 와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캡 단부 (53) 의 네 변에서 연장되는 캡 벽부 (52A, 52B, 52C, 52D) 를 가진다. 캡 벽부 (52A, 52D) 는 컷아웃 (51) 의 대향 측에 위치한다. 도 8b 에 나타난 것처럼,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캡 벽부 (52A, 52D) 는 실질적으로 육각기둥 형상의 캡 벽 (52) 의 주위면을 구성하고 연장면으로서 컷아웃 (51) 측에서 더 연장된다.
도 8a 와 도 8b 에 나타난 것처럼, 캡 단부 (53) 는 컷아웃 (51) 측 또는 컷아웃 (51) 을 통하여 연장되게 형성되고, 컷아웃 (51) 측에서 캡 단부 (53) 의 단부는 절곡부 (54) 를 형성하도록 구부린다. 절곡부 (54) 와 캡 벽부 (52A, 52D)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절곡부 (54) 는 캡 (50)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유동 전환판으로서 역할을 한다. 캡 (5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때 절곡부 (54) 가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접촉하지 않도록 캡 (50) 이 형성된다. 도 8a 에서 절곡부 (54) 의 축선방향 길이 (N) 는 나중에 설명될 간극 (G) 의 축선방향 길이보다 길다. 캡 (50) 의 주위면은 캡 벽부 (52B, 52C) 에 의해 형성되고, 각각의 캡 벽부 (52A, 52D) 는 연장면과 절곡부 (54) 를 가진다. 캡 벽부 (52B, 52C) 와 연장부를 제외한 캡 벽부 (52A, 52D) 는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린다.
도 9 를 참조하면, 캡 단부 (53) 가 릴리프 포트 (14) 를 덮고 또한 캡 벽 (52) 이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과 맞물리도록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50) 을 이동시킴으로써 캡 (5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커버 (17) 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 캡 (50) 을 덮고 캡 (50) 의 컷아웃 (51) 의 위치 및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커버 (17) 의 장착이 실행된다.
도 9 와 도 10 을 참조하면, 캡 (50) 과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 상태에서, 릴리프 포트 (14) 가 형성되는 밸브 본체 (12) 의 단부와 캡 단부 (53) 사이에 간극 (G) 이 형성된다. 간극 (R) 은 압축기의 하우징 (11) 을 향하여 개방되도록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절곡부 (54) 사이에 형성된다. 간극 (R) 은 제 2 간극으로서 역할을 하고 간극 (G) 과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서, 릴리프 포트 (14) 로부터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 유로는 간극 (R) 과 간극 (G) 을 통하여 형성된다.
도 10 을 참조하면, 릴리프 포트 (14) 로부터 방출되고 간극 (G) 으로 유입되는 냉매 가스는 캡 (50) 의 절곡부 (54) 를 향하여 안내되고, 냉매 가스가 간극 (R) 을 통하여 압축기의 하우징 (11) 을 향하여 유동하도록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이 절곡부 (54) 에 의해 바뀐다. 밸브 본체 (12) 가 장착된 하우징 (11) 을 향하여 배출구 (30) 가 개방된다. 따라서, 냉매 가스가 주변 기기에 닿는 것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캡 (50) 의 절곡부 (54) 와 캡 벽부 (52A, 52D)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고 간극 (G, R) 을 통하여 유동하는 냉매 가스는 밸브 본체 (12) 의 어떠한 다른 부분을 통하여 누설되지 않으면서 압축기의 하우징 (11) 을 향한다. 이 효과는 밸브 본체 (12) 에 대한 커버 (17) 의 각위치와 관계없이 달성된다.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유리한 효과들 (4) 와 (6) 내지 (8) 이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서도 달성되므로 이러한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다음은 도 11 과 도 12 를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설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캡 (25) 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지만, 나머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구조와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의 공통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부품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 또는 부품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것이고 변형된 것만 설명될 것이다.
도 11a 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60 은 내부에 컷아웃 (61) 이 형성된 캡 벽 (62) 및 캡 벽 (62) 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캡 단부 (63) 를 포함하는 캡을 나타낸다. 캡 (60) 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캡 (25) 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11a 에 나타낸 것처럼, 캡 단부 (63) 는 곡선 가장자리 (64) 를 갖도록 형성된다. 캡 (60) 이 도 12 에 나타난 것처럼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때 곡선 가장자리 (64) 가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접촉하지 않도록 컷아웃 (61) 을 향하여 도 11b 의 점선 (65) 을 따라 캡 단부 (63) 의 가장자리를 구부림으로써 곡선 가장자리 (64) 가 형성된다.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곡선 가장자리 (64) 의 연장 길이는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간극 (G) 길이보다 길다. 캡 (6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때 캡 (60) 의 곡선 가장자리 (64) 사이에서 릴리프 밸브 (10) 에 배출구 (30) 가 형성된다.
캡 단부 (63) 가 릴리프 포트 (14) 를 덮고 캡 벽 (62) 이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리도록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60) 을 이동시킴으로써 캡 (6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커버 (17) 가 캡 (60) 을 덮고 캡 (60) 의 컷아웃 (61) 의 위치와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커버 (17) 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와 조립된다.
도 12 를 참조하면,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는 간극 (G) 을 통하여 배출구 (30) 로 유동한다. 캡 단부 (63) 의 곡선 가장자리 (64) 는, 도 12 에 나타난 것처럼, 냉매 가스가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분산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으면서 배출구 (30) 를 향하여 냉매 가스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은 배출구 (30) 를 향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유리한 효과 (1) 내지 (4) 및 (6) 내지 (8) 은 이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서도 달성되고 이러한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다음은 도 13 과 도 1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설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캡 (25) 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지만, 나머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구조와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의 공통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부품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 또는 부품의 설명이 생략될 것이고 변형된 것만 설명될 것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캡 (70) 은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릴 수 있고 컷아웃 (71) 을 가지는 캡 벽 (72), 및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을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해 캡 벽 (72) 과 연결되어 형성된 캡 단부 (73) 를 포함한다. 캡 벽 (72) 은 정육각기둥 형상의 캡 (70) 의 주위면에 대응하고, 캡 단부 (73) 는 캡 (70) 의 단부에 대응한다.
캡 벽 (72) 은 캡 단부 (73) 면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정육각형 형상의 캡 단부 (73) 의 6 개의 변으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된다. 캡 벽 (72) 은 정육각형의 캡 단부 (73) 의 6 개의 변으로부터 연장된 캡 벽부 (72A, 72B, 72C, 72D, 72E, 72F) 를 가지고, 컷아웃 (71) 은 캡 벽부 (72E, 72F) 사이에서 캡 벽 (72) 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캡 벽 (72) 에 형성된다. 컷아웃 (71) 은 캡 (70) 의 주위면에 형성된 개구부와 대응한다.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의 위치와 캡 (70) 의 컷아웃 (71)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커버 (17) 와 캡 (70) 이 함께 조립되어서, 배출구 (30) 를 형성한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캡 단부 (73) 가 릴리프 포트 (14) 를 덮고 캡 벽 (72) 이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리도록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70) 을 이동시킴으로써 캡 (7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커버 (17) 가 캡 (70) 의 최상부에서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 캡 (70) 을 덮고 캡 (70) 의 컷아웃 (71) 의 위치와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커버 (17) 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도 14 를 참조하면,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는 간극 (G) 을 통하여 배출구 (30) 를 향하여 유동한다. 캡 벽부 (72E, 72F) 사이에 형성된 캡 (70) 의 컷아웃 (71) 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 14 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냉매 가스는 배출구 (30) 를 통하여 유출된다. 따라서,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은 배출구 (30) 를 향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의 다른 유리한 효과 (1), (3), (4) 와 (6) 내지 (8) 은 이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에서도 달성되고 이러한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다음은 도 15 와 도 1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6 실시형태에 따른 릴리프 밸브를 설명할 것이다.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의 캡 (70) 의 형상이 변형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제 6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와 상이하지만, 나머지 구조는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의 구조와 동일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제 6 실시형태의 공통되거나 유사한 요소 또는 부품은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 또는 부품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것이고 변형된 것만 설명될 것이다.
도 15 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80 은 내부에 컷아웃 (71) 이 형성된 캡 벽 (72) 및, 캡 벽 (72) 과 연결된 캡 단부 (73) 를 포함하는 캡 (80) 을 나타낸다. 캡 (80) 은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의 캡 (70) 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캡 (80) 에서, 컷아웃 (71) 은 캡 벽부 (72E, 72F) 의 옆모서리로부터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는 2 개의 가이드 벽 (81) 사이에 형성된다.
캡 단부 (73) 가 릴리프 포트 (14) 를 덮고 캡 벽 (72) 이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맞물리도록 밸브 본체 (12) 의 축선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80) 을 이동시킴으로써 캡 (8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커버 (17) 가 캡 (80) 의 최상부로부터 밸브 본체 (12) 에서 캡 (80) 을 덮고 캡 (80) 의 컷아웃 (71) 의 위치와 커버 (17) 의 컷아웃 (18) 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도록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커버 (17) 를 이동시킴으로써 커버 (17) 가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도 16 을 참조하면,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는 간극 (G) 을 통하여 배출구 (30) 를 향하여 유동한다. 가이드 벽 (81) 은 캡 벽부 (72E, 72F) 에 직접 연결되는데 그 사이에 컷아웃 (71) 이 형성된다. 가이드 벽 (81) 에 의해 안내된 냉매 가스는 도 16 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배출구 (30) 를 통하여 유출된다. 따라서, 릴리프 포트 (14) 를 통하여 방출되는 냉매 가스의 유동 방향은 배출구 (30) 를 향하여 조절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제 6 실시형태는 바람직한 제 5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 1 내지 제 6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다음은 제 1 내지 제 6 실시형태에 대한 여러 변형예를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먼저 커버 (17 또는 41) 와 캡 (25) 은 분리되어 만들어진 후 임시로 서로 연결되어서 캡 유닛 (16 또는 40) 을 형성한다. 그 후에, 캡 유닛 (16 또는 4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분리되어 만들어진 커버 (17 또는 41) 와 캡 (25) 은 점용접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결과적인 캡 유닛 (16 또는 40) 은 하나의 일체 부품으로서 취급될 수 있어서, 릴리프 밸브 (10) 의 조립 프로세스가 용이해질 수도 있다. 게다가, 캡 유닛 (16 또는 4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되기 전에 캡 유닛 (16 또는 40) 이 커버와 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먼저 커버 (17 또는 41) 와 캡 (25) 은 분리되어 만들어지고 임시로 서로 연결되어서 캡 유닛 (16 또는 40) 을 형성한다. 그 후에, 캡 유닛 (16 또는 40)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다. 대안적으로, 먼저 캡 (25) 이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된 후 커버 (17 또는 41) 가 캡 (25) 을 덮도록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밸브 본체 (12) 의 절개부 (15) 와 맞물릴 수 있는 단일 고정 후크 (24 또는 46) 는 한 쌍의 유지 아암 (21 또는 45) 의 대향 측에서 커버 벽 (19 또는 43) 에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하나를 초과하는 고정 후크 (24 또는 46) 는 커버 벽 (19 또는 43) 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캡 (25) 은 드로잉 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캡 (25) 은 기계 가공 또는 주조와 같은 그 밖의 다른 작용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캡 (25) 은 커버 (17) 의 경우에서처럼 판을 구부림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캡 벽 (27) 과 캡 단부 (28) 사이에 작은 틈이 형성되어서, 이러한 틈을 통해 냉매 가스가 누설될 수 있다. 하지만, 릴리프 밸브 (10) 로부터 방출된 냉매 가스의 대부분은 릴리프 포트 (14) 로부터 배출구 (30) 까지 간극 (G) 을 통하여 형성된 냉매 가스를 위한 유동 유로를 통하여 유동한다. 따라서, 냉매 가스를 위한 유동 유로는 릴리프 포트 (14) 로부터 방출된 냉매 가스가 주변 기기에 닿지 않도록 형성된다.
캡 (25) 은 수지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수지로 만들어진 캡 (25) 은 제조하기에 용이하고 커버 단부 (20) 와 커버 벽 (19) 사이에 틈이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면, 캡 (25) 과 밸브 본체 (12) 사이에 간극 (G) 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그 사이에 간극 (G) 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캡 단부 (28) 가 일반적으로 릴리프 포트 (14) 와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지만, 캡 단부 (28) 는 릴리프 포트 (14) 로부터 방출된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릴리프 포트 (14) 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어서, 캡 단부 (28) 와 릴리프 포트 (14) 사이에 간극 (G) 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곡부 (54) 는 편평항 형상을 가진다. 대안적으로, 절곡부 (54) 는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과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R 과 같은 제 2 간극이 절곡부 (54) 면과 밸브 본체 (12) 의 외주면 (23)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르면, 절곡부 (54) 는 캡 (50) 의 개구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유동 전환판으로서 역할을 한다. 대안적으로, 개구부가 캡 (50) 의 절곡부 (54) 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 에 나타난 것처럼, 개구부로서 역할을 하는 구멍 (91) 은 이 대안 실시형태에서 절곡부 (54) 를 관통하여 캡 (90) 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구멍 (91) 은 간극 (R) 과 연통하고, 냉매 가스를 위한 추가 유로가 간극 (R) 과 구멍 (91) 을 통하여 연장되고 냉매 가스가 압축기 외부로 유동할 수 있게 형성된다. 구멍 (91) 은, 냉매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서, 절곡부 (54) 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형태에 따르면, 캡 단부 (63) 로부터 연장된 곡선 가장자리 (64) 의 축선방향 길이가 간극 (R) 의 축선방향 길이보다 길다. 대안적으로, 곡선 가장자리 (64) 는 간극 (G) 의 축선방향 길이보다 짧은 축선방향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한 제 1 실시형태에서처럼, 캡 (60) 은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으로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60) 을 이동시킴으로써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캡 (60) 은 커버 (17) 에 연결된 후 밸브 본체 (12) 의 방사상 방향을 따라 밸브 본체 (12) 에 대해 캡 (60) 을 이동시킴으로써 밸브 본체 (12) 에 장착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단부와 주위면을 포함하는 밸브 본체;
    밸브 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압축기 내 압력이 과도하게 증가된다면 냉매 가스가 방출되는 릴리프 포트;
    단부, 및 밸브 본체의 주위면과 맞물릴 수 있는 주위면을 포함하는 캡; 및
    단부, 캡의 주위면과 맞물릴 수 있는 주위면 및 커버가 밸브 본체에 대해 움직이지 못하도록 밸브 본체와 맞물릴 수 있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커버가 캡을 통하여 밸브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릴리프 포트는 캡의 단부에 의해 덮이고, 제 1 간극은 릴리프 포트와 연통되도록 캡의 단부와 밸브 본체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릴리프 밸브로부터 방출되는 냉매 가스를 위한 유동 유로는 릴리프 포트로부터 제 1 간극을 통하여 형성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주위면을 관통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단부와 커버의 걸림부 사이에서 측정했을 때 커버의 축선방향 길이가 캡 주위면의 축선방향 길이보다 긴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주위면은 정육각 각기둥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의 주위면은 정육각 각기둥 형상을 가지고, 커버의 개구부는 커버의 주위면이 네 측면을 가지도록 정육각 각기둥 형상의 커버의 주위면의 두 인접한 측면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되고, 걸림부는 커버 개구부의 각각의 대향 측으로 각각 연속되는 네 측면 중 각각의 두 측면으로부터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된 한 쌍의 유지 아암이고, 유지 아암의 원위 단부 사이의 거리는 커버 개구부의 대향 측 사이의 거리보다 짧은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네 측면 중 두 측면은, 두 측면 사이의 거리가 커버의 개구부까지 감소되도록 경사진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주위면을 관통하여 개구부가 형성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개구부는 정육각 각기둥 형상의 캡의 주위면의 두 인접한 측면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8. 제 6 항에 있어서,
    유동 전환판이 상기 캡의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냉매 가스를 위한 유동 유로의 방향이 상기 유동 전환판에 의해 변경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전환판은 캡 개구부의 일 측에서 캡 단부의 일부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금속판으로 만들어지고, 커버 단부의 일부가 정육각 각기둥 형상의 커버의 주위면의 일측에서만 커버의 주위면으로 연속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11. 제 2 항에 있어서,
    고정 후크는 밸브 본체와 맞물릴 수 있도록 커버의 개구부와 대향하여 위치한 커버 주위면의 옆모서리의 단부에서 커버의 주위면에 형성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캡을 통하여 밸브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 2 간극은 제 1 간극과 연통하도록 캡의 주위면과 밸브 본체의 주위면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KR1020120033158A 2011-03-31 2012-03-30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KR101360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9421 2011-03-31
JPJP-P-2011-079421 2011-03-31
JP2011180301A JP5201248B2 (ja) 2011-03-31 2011-08-22 圧縮機の安全弁
JPJP-P-2011-180301 2011-08-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2224A true KR20120112224A (ko) 2012-10-11
KR101360675B1 KR101360675B1 (ko) 2014-02-07

Family

ID=45952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158A KR101360675B1 (ko) 2011-03-31 2012-03-30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2786B2 (ko)
EP (1) EP2505885B1 (ko)
JP (1) JP5201248B2 (ko)
KR (1) KR101360675B1 (ko)
CN (1) CN102734135B (ko)
BR (1) BR10201200706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27A (ko) * 2018-10-01 2020-04-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79392B2 (ja) * 2013-12-26 2017-08-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圧縮機
JP6296968B2 (ja) 2014-12-04 2018-03-20 太平洋工業株式会社 リリーフバルブ
US10781812B2 (en) * 2018-04-30 2020-09-22 Valeo North America, Inc. Compressor provided with safety relief valve assembly
US20230313895A1 (en) * 2022-03-31 2023-10-05 Ernest Lambert Nelson Oil pressure regulator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406A (en) * 1898-02-21 1900-01-02 La Verne W Noyes Pump-cylinder with relief-valve.
US1032482A (en) * 1911-04-21 1912-07-16 American Steam Gauge & Valve Mfg Company Safety-valve.
US1482517A (en) * 1923-02-26 1924-02-05 Paul C Swole Signal valve
US2113691A (en) * 1934-07-28 1938-04-12 Baldwin Southwark Corp Compressor
JPS58165212A (ja) 1982-03-26 1983-09-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透明導電膜の形成方法
JP3266985B2 (ja) * 1993-06-14 2002-03-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カーエアコン用圧縮機の安全弁のキャップ
JP3038681B2 (ja) 1995-12-13 2000-05-08 サンデン株式会社 圧縮機の安全弁
US6796321B2 (en) * 2002-06-19 2004-09-28 Garnder Denver, Inc. Pressure relief valve
DE202005014946U1 (de) * 2005-09-22 2006-01-19 Hidde, Axel R., Dr.-Ing. Druckausgleichsverschraubung
JP5115337B2 (ja) * 2008-05-30 2013-01-09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JP5448394B2 (ja) 2008-08-27 2014-03-1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圧縮機の安全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7527A (ko) * 2018-10-01 2020-04-0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15163A (ja) 2012-11-08
CN102734135B (zh) 2015-02-11
KR101360675B1 (ko) 2014-02-07
US20120247586A1 (en) 2012-10-04
CN102734135A (zh) 2012-10-17
EP2505885B1 (en) 2014-07-09
EP2505885A2 (en) 2012-10-03
BR102012007062A2 (pt) 2017-10-31
JP5201248B2 (ja) 2013-06-05
EP2505885A3 (en) 2013-05-01
US9062786B2 (en)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675B1 (ko) 압축기용 릴리프 밸브
EP0784173B1 (en) Safety relief valve assembly for a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US5722237A (en) Muffler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30110885A1 (en) Differential cover for a vehicle that provides uniform sealing
JP2010053750A (ja) 圧縮機の安全弁
JP2015068304A (ja) 圧縮機
KR20100066684A (ko) 고압 릴리프 밸브
KR20170108166A (ko) 단일 탄성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모터/펌프 유닛
US20180180046A1 (en) Electric compressor
EP1995461A1 (en) Leakage prevention in a compressor utilized in a refrigeration cycle
CN106224207A (zh) 压缩机及其缸头组件
JP6179392B2 (ja) 圧縮機
US10487829B2 (en) On-vehicle electric compressor having a protecting member protecting a cover for a motor driving circuit against an external force caused when a vehicle has a collision
JP2011075031A (ja) 弾性シール材の取付構造
JP6579304B2 (ja) 漏水防止部材
JP7409340B2 (ja) コネクタ用保護カバー
CA2354891A1 (en) Gas conducting system with filter for moisture removal
EP3017195A1 (en) Sealing assembly for reciprocating hermetic compressor
KR200311645Y1 (ko) 압축기용 어큐뮤레이터의 고정장치
EP3798438B1 (en) Suction member opening/closing mechanism
KR0111787Y1 (ko) 냉동공조기용 방진구
JP2009275572A (ja) 圧縮機の吐出弁装置
KR20170112405A (ko) 압축기
JP2010121525A (ja) 圧縮機
US20170232370A1 (en) Self-cleaning oil filter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