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405A - 압축기 - Google Patents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405A
KR20170112405A KR1020160039425A KR20160039425A KR20170112405A KR 20170112405 A KR20170112405 A KR 20170112405A KR 1020160039425 A KR1020160039425 A KR 1020160039425A KR 20160039425 A KR20160039425 A KR 20160039425A KR 20170112405 A KR20170112405 A KR 20170112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nnular portion
wall
sealing memb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6355B1 (ko
Inventor
김홍민
임권수
임재훈
정수철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9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35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4Measures to avoid lubricant contaminating the pump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72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characterised by assembly or moun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그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모터와 상기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소자가 장착되는 연결소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에 의해 안내되어 그 실링부재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부품수 및 제조원가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버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된 냉매를 흡입하여 액화하기 쉬운 고온, 고압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압축기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압축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과 별도의 전원공급에 따른 전동모터(이하, 모터) 구동으로 압축 동작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모터의 구동으로 압축 동작을 수행하는 압축기의 경우, 하우징 내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수가 조절되면서 냉방 효율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버터는 통상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되는 인버터 수용공간 내에 구비되고,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은 실링부재에 의해 밀봉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의 압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링부재가 제1 하우징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실링부재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개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압축기는, 모터(미도시)와 압축기구(미도시)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110),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체결되어 인버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실링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을 그 인버터 수용공간의 외부로부터 밀봉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이 서로 체결되기 전에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안착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 사이에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안착될 때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을 밀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체결되는 핀(800)에 의해 안내되어 그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압축기에 있어서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실링부재(500)가 핀(800)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부품수 및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500)를 고정하기 위한 상기 핀(800)이 구비됨에 따라 압축기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증가된다. 그리고, 상기 핀(800)을 제조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에 핀 삽입공(118)을 형성하며, 상기 핀(800)을 상기 핀 삽입공(118)에 압입하는데 상당한 제조원가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564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인버터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핀에 의해 고정되지 않고, 부품수 및 제조원가가 감소될 수 있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그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체결되고,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인버터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모터와 상기 인버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소자가 장착되는 연결소자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에 의해 안내되어 그 실링부재의 위치가 고정되는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공간과 상기 인버터가 수용되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는, 상기 격벽을 관통하고, 상기 연결소자가 삽입되는 관통공; 및 상기 관통공을 에워싸고,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주벽;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격벽의 외주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환형부; 및 상기 제1 환형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벽이 삽입되는 제2 환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벽과 상기 제2 환형부는 상기 제2 환형부가 상기 주벽에 의해 상기 격벽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벽과 상기 제2 환형부는 상기 주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환형부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벽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환형부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의 내주면에는 그 제2 환형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주벽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제2 환형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주벽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환형부의 내주면 사이 거리가 상기 돌기의 돌출 길이보다 작을 때 상기 주벽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환형부의 내주면 사이 거리에 대응되게 변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벽은 그 주벽의 외주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는 그 제2 환형부의 내주면이 상기 주벽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벽과 상기 제2 환형부는 상기 격벽에 평행한 방향 상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향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은, 그 외측면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제1 면; 및 그 외측면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 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의 반대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면은,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3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3 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향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은, 그 외측면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제1 면; 및 그 외측면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제2 면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는, 인버터 수용공간을 밀봉하는 실링부재가 하우징의 일부인 연결소자 장착부에 의해 안내되어 고정됨에 따라, 부품수 및 제조원가가 감소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핀이 삭제됨에 따라 압축기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을 제조하고,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공을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하며, 상기 핀을 상기 핀 삽입공에 압입하는데 소요되는 공정이 삭제되어, 압축기 제조가 용이해지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압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링부재가 제1 하우징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실링부재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에 개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링부재에 대한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실링부재에 대한 하면도,
도 7은 도 4의 실링부재가 제1 하우징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4의 실링부재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실링부재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실링부재에 대한 하면도이고, 도 7은 도 4의 실링부재가 제1 하우징에 안착된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실링부재가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와 그 모터(200)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미도시)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110),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체결되고 상기 모터(200)를 제어하는 인버터(400)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상기 모터(200)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공간(S1)과 상기 인버터(400)가 수용되는 인버터 수용공간(S2)을 구획하는 격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112)은, 상기 인버터(400)에 대향되는 중심부(이하, 격벽 중심부)(112A) 및 상기 격벽 중심부(112A)를 둘러싸고 상기 실링부재(500)에 대향되는 외주부(이하, 격벽 외주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중심부(112A)에는 상기 모터(200)와 상기 인버터(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소자(600)가 장착되는 연결소자 장착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는, 상기 격벽(112)을 관통하는 관통공(114a) 및 상기 관통공(114a)을 에워싸는 주벽(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14a)에는 상기 연결소자(600)가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114a)에 삽입된 연결소자(600)는 상기 격벽(112)을 관통하여 상기 격벽(112)을 기준으로 일측에서 상기 모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에서 상기 인버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벽(114b)은 상기 연결소자(600)를 보호하도록 상기 격벽(112)(더욱 정확히는, 후술할 제1 면(112a))으로부터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벽(114b)은, 상기 실링부재(500)가 그 주벽(114b)에 의해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그 주벽(114b)의 외주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격벽 외주부(112B)에는 상기 실링부재(500)(더욱 정확히는, 후술할 돌출부(514))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을 체결하는 체결부재(700)가 삽입되는 제1 체결공(116)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격벽(112)은 누설거리 증가를 위해 상기 격벽 중심부(112A)와 상기 격벽 외주부(112B)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112)은 상기 제2 하우징(120)에 대향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112)의 외측면은 상기 격벽 중심부(112A)가 위치되는 제1 면(112a) 및 상기 격벽 외주부(112B)가 위치되는 제2 면(112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112a)과 상기 제2 면(112b)은 평행하되 상기 제2 면(112b)이 상기 제1 면(112a)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0)의 반대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면(112b)은 상기 제1 면(112a)에 대해 음각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면(112a)은 상기 제2 면(112b)에 대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격벽(112)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면(112a)과 상기 제2 면(112b)에 각각 절곡되어 상기 제1 면(112a)과 상기 제2 면(112b)을 연결하는 제3 면(11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격벽(112)은,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 사이 누설거리가 상기 제1 면(112a), 상기 제2 면(112b) 및 상기 제3 면(112c)에 의해 증가됨으로써,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을 더욱 효과적으로 밀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12)은, 상기 실링부재(500)가 그 격벽(112)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3 면(112c)이 상기 실링부재(500)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500)는 두께가 얇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안착될 때 상기 제3 면(112c)에 접촉(압입)되게 형성될 경우 그 제3 면(112c)에 의해 가압되어 쉽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00)가 변형되는 경우에는, 변형된 실링부재(500)의 일부가 상기 제1 하우징(110) 또는 상기 제2 하우징(120)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을 밀봉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링부재(500)와 상기 제3 면(112c)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500)가 상기 제3 면(112c)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실링부재(500)의 변형에 따른 누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상기 격벽 외주부(112B)에 대향되는 환형벽(122) 및 상기 환형벽(122)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반대측에서 상기 환형벽(122)의 내측 공간(인버터 수용공간(S2))을 복개하는 커버(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형벽(122)과 상기 커버(124)에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제1 체결공(116)에 대향되고 상기 체결부재(700)가 삽입되는 제2 체결공(1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에 의해 안내되어 그 실링부재(500)의 위치가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격벽 외주부(112B)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환형부(510) 및 상기 제1 환형부(5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의 주벽(114b)이 삽입되는 제2 환형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가 상기 격벽 중심부(112A)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2 환형부(520)는 상기 제1 환형부(510)와 일부분을 공유하며 상기 제1 환형부(5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의 일부를 감싸면서 상기 격벽 외주부(112B)에 위치되는 제1 부위(500a), 상기 제1 부위(500a)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부위(500a)의 타단부까지 상기 격벽 외주부(112B)를 따라 연장되는 제2 부위(500b) 및 상기 제1 부위(500a)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격벽 중심부(112A)를 가로질러 상기 제1 부위(500a)의 타단부까지 연장되고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의 다른 일부를 감싸는 제3 부위(500c)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위(500a)와 상기 제2 부위(500b)가 상기 제1 환형부(510)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부위(500a)와 상기 제3 부위(500c)가 상기 제2 환형부(52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환형부(510)는, 상기 제2 하우징(120)에 밀착되는 베이스부(512) 및 상기 제1 하우징(110)에 밀착되는 돌출부(5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512)는 상기 제2 환형벽(122)과 단차지지 않도록 상기 제2 환형벽(122)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512)는, 그 베이스부(512)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환형벽(122)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격벽 중심부(112A)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격벽 외주부(112B)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512)에는 상기 체결부재(700)가 관통하는 제3 체결공(5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514)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격벽 외주부(112B)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베이스부(512)를 대신하여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격벽 외주부(112B)에 밀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512)로부터 상기 제1 하우징(110)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514)는 상기 제1 부위(500a)와 상기 제2 부위(500b)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14)는, 상기 제2 환형벽(122)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격벽 중심부(112A)와 간섭되지 않도록, 그 돌출부(514)의 돌출길이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격벽 중심부(112A)와 격벽 외주부(112B) 사이 이격거리(제1 면(112a)과 제2 면(112b) 사이 수직거리)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환형부(520)는 상기 격벽(1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이하, 수직 이동)되어 상기 주벽(114b)이 상기 제2 환형부(520)에 삽입되면 상기 주벽(114b)에 의해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이하, 평행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은 상기 주벽(114b)이 상기 제2 환형부(520)에 삽입되면 상기 주벽(114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환형부(5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환형부(520)는 상기 주벽(114b)과의 접촉에 의해 평행 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 전체가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 전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 일부가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 일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 전체가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 전체에 접촉될 경우에는,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 사이 마찰력이 증가되어, 상기 제2 환형부(520)의 평행 이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제2 환형부(520)는 상기 주벽(114b)이 그 제2 환형부(520)에 삽입될 때 상기 주벽(114b)과의 수직 이동 방향 마찰에 의해 변형되어, 상기 실링부재(500)의 전체적인 형상 변형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이 밀봉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경과 상기 주벽(114b)의 외경이 동등 수준으로 설계되더라도, 공차에 의해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경이 상기 주벽(114b)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주벽(114b)이 상기 제2 환형부(520)에 삽입될 때 서로 간섭되어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변형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 환형부(520)가 상기 주벽(114b)에 의해 평행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주벽(114b)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은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 일부가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 일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은,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경이 상기 주벽(114b)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이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에는 그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돌기(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522)는 상기 주벽(114b)에 접촉되어 상기 제2 환형부(520)가 평행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환형부(520)를 상기 주벽(114b)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2 환형부(520)가 상기 주벽(114b)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522)는, 상기 주벽(114b)이 상기 제2 환형부(5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즉 상기 제2 환형부(520)가 상기 주벽(114b)과 동심을 이루며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상기 돌기(522)는 상기 제2 환형부(5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기(522)는 공차 등에 의해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 사이 거리(이하, 실제 거리)가 사전에 결정된 거리(이하, 목표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때 상기 제2 환형부(520)가 상기 주벽(114b)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522)는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 사이 목표 거리와 동등 수준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 사이 실제 거리가 목표 거리로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돌기(522)가 상기 주벽(114b)과 간섭 없이 접촉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 사이 실제 거리가 영(0)보다 크되 목표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돌기(522)가 상기 주벽(114b)과 간섭될 수 있는데, 상기 돌기(522)는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 사이 실제 거리에 대응되게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환형부(520)가 수직 이동되어 상기 주벽(114b)이 상기 제2 환형부(520)에 삽입될 때, 상기 주벽(114b)에 간섭되는 상기 돌기(522)는 상기 제2 환형부(520)를 기준으로 상기 주벽(114b)의 삽입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주벽(114b)과 간섭될 때 변형되는 상기 돌기(522)는,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 사이 실제 거리와 목표 거리 사이 차이를 흡수하면서 상기 제2 환형부(520)를 상기 주벽(114b)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제2 환형부(520)가 상기 주벽(114b)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환형부(520)와 상기 주벽(114b)은, 상기 제2 환형부(520)가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 상 상기 주벽(114b)을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이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 상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이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 상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은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 상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순서도의 시작과 종료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은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모터(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압축기구(미도시)가 상기 모터(2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흡입, 압축 및 토출하고, 토출된 냉매는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모터(200)가 상기 연결소자(6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인버터(40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냉방 효율이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경우, 상기 인버터(400)는 상기 제2 하우징(120)이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체결됨으로써 형성되는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 내에 구비되고,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은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실링부재(500)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이물질이 압축기의 외부로부터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으로 유입되어 상기 인버터(400)를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 내부의 물질(예를 들어, 냉매)가 압축기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이 체결되기 전에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2 하우징(120)과 함께 체결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안착될 때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하우징(110), 상기 실링부재(500) 및 상기 제2 하우징(120)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상기 실링부재(500)가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이 밀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1 하우징(110)에 고정될 때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일부인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에 의해 안내되어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1 하우징(110)과 별개의 부재(예를 들어, 핀)를 이용하지 않고 상기 제1 하우징(110)을 이용하여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부품수 및 제조원가가 감소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부재(500)를 고정하기 위한 핀이 삭제됨에 따라 압축기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을 제조하고, 상기 핀이 삽입되는 핀 삽입공을 상기 제1 하우징(110)에 형성하며, 상기 핀을 상기 핀 삽입공에 압입하는데 소요되는 공정이 삭제되어, 압축기 제조가 용이해지고,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그 실링부재(500)의 제2 환형부(520)가 그 제2 환형부(520)에 삽입되는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의 주벽(114b)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520)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주벽(114b)에 접촉되는 상기 돌기(522)를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500)가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되, 상기 실링부재(500)가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고, 변형된 실링부재(500)에 의해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이 밀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실링부재(500)가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를 기준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은 순서도의 시작과 종료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나,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예를 들어,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 상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순서도의 시작과 종료 기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은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 상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되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과 상이한 형상(예를 들어, 주벽(114b)의 단폭과 장폭에 대응되는 단폭과 장폭을 갖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이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 상 다각형(예를 들어, 정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이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 형상과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 형상에 대해 다양한 다른 실시예가 있을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누설거리 증가를 위해 상기 격벽(112)은 상기 격벽 중심부(112A)와 상기 격벽 외주부(112B)가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 중심부(112A)와 상기 격벽 외주부(112B)가 서로 단차지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112)은 상기 제2 하우징(120)에 대향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112)의 외측면은 상기 격벽 중심부(112A)가 위치되는 제1 면(112a) 및 상기 격벽 외주부(112B)가 위치되는 제2 면(112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112a)과 상기 제2 면(112b)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돌출부(514) 없이 상기 베이스부(512) 만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1 환형부(510) 및 그 제1 환형부(510)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환형부(5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격벽(112)을 단차지게 형성할 필요가 없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제조 용이성이 향상되고, 그 제1 하우징(110)의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00)가 단차진 상기 격벽(112)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없어, 상기 실링부재(500) 및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부재(500)의 제1 환형부(510)에 상기 돌출부(514)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상기 실링부재(500)의 제조 용이성이 향상되고, 그 실링부재(500)의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110: 제1 하우징 112: 격벽
112a: 제1 면 112b: 제2 면
112c: 제3 면 114: 연결소자 장착부
114a: 관통공 114b: 주벽
120: 제2 하우징 200: 모터
400: 인버터 500: 실링부재
510: 제1 환형부 520: 제2 환형부
522: 돌기 600: 연결소자
S1: 모터 수용공간 S2: 인버터 수용공간

Claims (12)

  1.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0)와 그 모터(200)에 의해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미도시)가 수용되는 제1 하우징(110);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체결되고, 상기 모터(200)를 제어하는 인버터(400)가 수용되는 제2 하우징(120); 및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부재(5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110)에는 상기 모터(200)와 상기 인버터(4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소자(600)가 장착되는 연결소자 장착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에 의해 안내되어 그 실링부재(500)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상기 모터(200)가 수용되는 모터 수용공간(S1)과 상기 인버터(400)가 수용되는 인버터 수용공간(S2)을 구획하는 격벽(112)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소자 장착부(114)는,
    상기 격벽(112)을 관통하고, 상기 연결소자(600)가 삽입되는 관통공(114a); 및
    상기 관통공(114a)을 에워싸고, 상기 인버터 수용공간(S2) 측으로 돌출되는 주벽(114b);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격벽(112)의 외주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1 환형부(510); 및
    상기 제1 환형부(510)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주벽(114b)이 삽입되는 제2 환형부(520);를 포함하는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114b)과 상기 제2 환형부(520)는 상기 제2 환형부(520)가 상기 주벽(114b)에 의해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되게 형성되는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114b)과 상기 제2 환형부(520)는 상기 주벽(114b)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환형부(520)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게 형성되는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에는 그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복수의 돌기(522)가 형성되는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522)는 상기 제2 환형부(5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기(522)는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 사이 거리가 상기 돌기(522)의 돌출 길이보다 작을 때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과 상기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 사이 거리에 대응되게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114b)은 그 주벽(114b)의 외주면이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환형부(520)는 그 제2 환형부(520)의 내주면이 상기 주벽(114b)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압축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벽(114b)과 상기 제2 환형부(520)는 상기 격벽(112)에 평행한 방향 상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압축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12)은 상기 제2 하우징(120)에 대향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은,
    그 외측면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제1 면(112a); 및
    그 외측면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2 면(112b);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2 면(112b)에 안착되고,
    상기 제2 면(112b)은 상기 제1 면(112a)을 기준으로 상기 제2 하우징(120)의 반대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압축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면은, 상기 제1 면(112a)과 상기 제2 면(112b)을 연결하는 제3 면(112c)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3 면(112c)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112)은 상기 제2 하우징(120)에 대향되는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면은,
    그 외측면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제1 면(112a); 및
    그 외측면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제2 면(112b);을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500)는 상기 제2 면(112b)에 안착되고,
    상기 제1 면(112a)과 상기 제2 면(112b)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압축기.
KR1020160039425A 2016-03-31 2016-03-31 압축기 KR102436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25A KR102436355B1 (ko) 2016-03-31 2016-03-31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25A KR102436355B1 (ko) 2016-03-31 2016-03-31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05A true KR20170112405A (ko) 2017-10-12
KR102436355B1 KR102436355B1 (ko) 2022-08-25

Family

ID=60140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425A KR102436355B1 (ko) 2016-03-31 2016-03-31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352A1 (ko) * 2021-12-29 2023-07-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554A (ko) * 2011-08-01 2013-02-25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회로 기판과 외부 커넥터 사이의 접속 구조, 및 커넥터
KR20130025649A (ko) 2011-09-02 2013-03-12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40039105A (ko) * 2012-09-21 2014-04-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40101181A (ko) * 2013-02-08 2014-08-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50104998A (ko) * 2014-03-07 2015-09-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554A (ko) * 2011-08-01 2013-02-25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회로 기판과 외부 커넥터 사이의 접속 구조, 및 커넥터
KR20130025649A (ko) 2011-09-02 2013-03-12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40039105A (ko) * 2012-09-21 2014-04-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40101181A (ko) * 2013-02-08 2014-08-1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20150104998A (ko) * 2014-03-07 2015-09-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352A1 (ko) * 2021-12-29 2023-07-0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355B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7781B2 (en) Electric pump having plastic circuit housing
US10371147B2 (en) Electrically-driven compressor
KR102583934B1 (ko) 압축기
US9543803B2 (en) Heat circulation pump
JP6507270B2 (ja) 圧縮機
KR102198051B1 (ko) 압축기
US10760575B2 (en) Electric compressor having electrical connection unit, and stator assembly for the same
KR20170113153A (ko) 유체 기계
US10119528B2 (en) Electric compressor with component for blocking electromagnetic noise
CN110447314B (zh) 电气零部件组装体和车辆用制动液压控制装置
US11677291B2 (en) Motor including sealing structure between a cover and a housing
KR20210144948A (ko) 전기 단자들을 플러그-인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인 연결부 밀봉 어레인지먼트 및 상기 밀봉 어레인지먼트를 구비한 압축기 구동 장치
US10107293B2 (en) Electric compressor
KR20170112405A (ko) 압축기
US11486378B2 (en) Electric compressor
US20140377097A1 (en) Motor-driven compressor
US10087759B2 (en) Electric compressor
CN109751445B (zh) 电动阀以及冷冻循环系统
WO2016199219A1 (ja) 機電一体型の回転電機装置
US20180087514A1 (en) Pump System
WO2016050174A2 (en) Refrigeration compressor and limiting device
WO2019176475A1 (ja) 電動圧縮機
EP2961001B1 (en)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JP6402678B2 (ja) 電動圧縮機
KR20210105244A (ko) 전동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