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5244A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5244A
KR20210105244A KR1020200019974A KR20200019974A KR20210105244A KR 20210105244 A KR20210105244 A KR 20210105244A KR 1020200019974 A KR1020200019974 A KR 1020200019974A KR 20200019974 A KR20200019974 A KR 20200019974A KR 20210105244 A KR20210105244 A KR 20210105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asket
inverter unit
spacer memb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김홍민
임권수
정수철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5244A/ko
Publication of KR20210105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5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7/00Sealing arrangements in 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04C2240/403Electric motor with inverter for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05B2260/964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by d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인버터부와 체결되는 상기 모터부의 격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축방향 이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모터부 및 압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인버터부의 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인버터부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며, 인버터부의 기판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ELECTRIC COMPRESSOR}
본 발명은,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버터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냉매를 압축할 수 있도록 한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축기는 증발기로부터 증발이 완료된 냉매를 흡입하여 액화하기 쉬운 고온, 고압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압축기는 차량의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압축 동작을 수행하는 기계식 압축기와 별도의 전원공급에 따른 전동모터(이하, 모터) 구동으로 압축 동작을 수행하는 전동 압축기로 구분되고, 전동 압축기의 경우 통상적으로 모터의 회전수가 조절되면서 냉방 효율이 가변적으로 조절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종래의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첨부된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동 압축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10), 상기 모터부(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20) 및 상기 모터부(10)를 제어하는 인버터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부(10)는 상기 인버터부(30)가 체결되는 격벽(12)을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부(30)는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0)에 의해 상기 격벽(12)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격벽(12)과 상기 인버터부(30)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개스킷(60)이 개재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는, 인버터부(30)가 격벽(12)에 밀착되어 있어, 상기 모터부(10) 및 상기 압축부(2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인버터부(30)의 기판(32)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진동에 의해 인버터부(30)가 오작동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버터부(30)가 체결부재(40)에 의해 격벽(12)에 체결될 때 격벽(12)에 눌려, 인버터부(30)에 응력이 가해지고, 이러한 응력에 의해 인버터부(30)의 기판(32)이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5649호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부 및 압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인버터부의 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버터부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인버터부의 기판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인버터부와 체결되는 상기 모터부의 격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축방향 이격수단;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를 제공한다.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는 개스킷이 개재되고, 상기 인버터부는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격벽에 대향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개스킷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제1 면에 접촉되는 제1 실링면 및 상기 개스킷 안착면에 접촉되는 제2 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이격수단이 상기 개스킷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실링면과 상기 제2 실링면 사이 거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개스킷 안착면 사이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개스킷은 상기 개스킷 안착면과 상기 제2 면 사이 단차면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격벽에는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격벽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축방향 이격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 이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버터부는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격벽에 대향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이격부재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제1 면에 접촉되는 제1 이격부재면 및 상기 이격부재 안착면에 접촉되는 제2 이격부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격부재면과 상기 제2 이격부재면 사이 거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이격부재 안착면 사이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인버터부의 기판 측에 대향되는 격벽 중심부 및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모터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공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중심부와 상기 체결공 주변부는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압축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인버터부와 체결되는 상기 모터부의 격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축방향 이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모터부 및 압축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인버터부의 기판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인버터부가 격벽에 체결될 때, 인버터부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인버터부의 기판이 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개스킷이 격벽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부분 확대도,
도 9는 도 7의 전동 압축기에서 격벽 및 와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전동 압축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의 전동 압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개스킷이 격벽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100), 상기 모터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200), 상기 모터부(100)를 제어하는 인버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100)는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자(122) 및 상기 고정자(122)와의 상호 작용으로 회전되는 회전자(124)를 갖는 모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200)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고정되는 고정 스크롤(210) 및 상기 고정 스크롤(210)과 치합되고 상기 모터(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선회 운동되는 선회 스크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모터(120), 고정 스크롤(210) 및 상기 선회 스크롤(220)은 상기 제1 하우징(110)에 함께 수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하우징(110)이 모터 하우징과 스크롤 하우징으로 분할되고, 상기 모터(120)가 상기 모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고정 스크롤(210)과 상기 선회 스크롤(220)이 상기 스크롤 하우징에 수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압축부(200)가 상기 고정 스크롤(210) 및 상기 선회 스크롤(220)을 포함하는 소위 스크롤 방식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예를 들어, 보어의 내부에서 피스톤이 왕복하며 냉매를 압축하는 왕복동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인버터부(300)는 제2 하우징(310) 및 상기 제2 하우징(310)의 내부에 수용되는 PCB 기판(이하, 기판)(320)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320)에는 각종 소자들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부(300)(더욱 정확히는, 제2 하우징(310))는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00)에 의해 상기 모터부(100)(더욱 정확히는, 제1 하우징(110))에 체결되되, 상기 모터부(100)로부터 상기 기판(320)으로 진동 및 응력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모터부(100)에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하우징(110)은 상기 제2 하우징(310)이 체결되는 격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112)은 상기 기판(320) 측에 대향되는 격벽 중심부 및 상기 격벽 중심부를 둘러싸는 격벽 외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격벽 중심부에는 상기 모터부(100)와 상기 인버터부(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5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격벽 외주부에는 상기 모터부(100)와 상기 인버터부(30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개스킷(600)이 안착되는 개스킷 안착면(112b)이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b)에는 상기 체결부재(400)가 삽입되는 제1 체결공(11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310)은 상기 격벽(112)에 대향되며 상기 기판(320)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312)의 외주부에는 상기 제1 체결공(112c)에 대향되고 상기 체결부재(400)가 삽입되는 제2 체결공(312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 안착부(312)는 상기 격벽(112)에 대향되는 제1 면(312a)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 중심부는 상기 제1 면(312a)에 대향되는 제2 면(112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b)은 상기 개스킷(600)이 수용되는 개스킷 수용홈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2 면(112a)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312a)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b)은 상기 제2 면(112a)과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스킷(600)은 상기 제1 면(312a)에 접촉되는 제1 실링면(610) 및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b)에 접촉되는 제2 실링면(62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면(312a)이 상기 개스킷(600)에 의해 상기 제2 면(112a)으로부터 축방향(도 4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캐스킷(600)이 상기 제1 면(312a)과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에 개재되기 이전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실링면(610)과 상기 제2 실링면(620) 사이 거리(개스킷(600)의 두께)가 상기 제1 면(312a)과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b) 사이 거리(개스킷 수용홈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스킷(600)이 상기 제1 면(312a)과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에 개재되어 체결력에 의한 압축변형이 발생되면, 상기 제1 실링면(610)과 상기 제2 실링면(620) 사이 거리(개스킷(600)의 두께)는 다소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스킷(600)은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b)과 상기 제2 면(112a) 사이 단차면(112d)(개스킷 수용홈의 내주면)에 반경방향(도 4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인 700은 상기 개스킷(600)을 사전에 결정된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 핀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상기 모터(1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선회 스크롤(220)이 상기 모터(1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선회 운동되며 상기 고정 스크롤(210)과 함께 냉매를 흡입, 압축 및 토출하고, 토출된 냉매는 전동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이 반복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모터(120)가 상기 커넥터(5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기판(320)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냉방 효율이 가변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압축기의 경우, 상기 개스킷(600)의 두께가 상기 개스킷 수용홈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300)가 상기 격벽(112)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실링면(610)과 상기 제2 실링면(620) 사이 거리가 상기 개스킷 안착면(112b)과 상기 제2 면(112a) 사이 거리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 면(312a)과 상기 제2 면(112a)이 축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모터부(100) 및 상기 압축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기판(320)으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고, 진동에 의한 상기 기판(320)의 오작동 및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부(300)가 상기 격벽(112)에 체결될 때 상기 기판 안착부(312)가 상기 격벽(112)에 눌려 상기 기판 안착부(312)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이 억제되고, 응력에 의한 상기 기판(320)의 휘어짐 및 손상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스킷(600)이 상기 단차면(112d)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됨에 따라, 상기 모터부(100) 및 상기 압축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된 진동이 상기 기판(320)으로 전달되는 것이 더욱 억제되고, 진동에 의한 상기 기판(320)의 오작동 및 손상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버터부(300)가 상기 개스킷(600)에 의해 상기 격벽(112)으로부터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이격된다. 즉, 상기 개스킷(600)이 축방향 이격수단 및 반경방향 이격수단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버터부(300)가 다른 수단에 의해 격벽(112)으로부터 축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400)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인버터부(300)와 상기 격벽(112)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800)가 구비되고, 상기 격벽(112)은 상기 제2 면(112a)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312a)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와셔 안착면(112e)을 포함하며, 상기 와셔(800)는 상기 제1 면(312a)에 접촉되는 제1 와셔면(810) 및 상기 와셔 안착면(112e)에 접촉되는 제2 와셔면(820)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와셔면(810)과 상기 제2 와셔면(820) 사이 거리(와셔의 두께)는 상기 제1 면(312a)과 상기 와셔 안착면(112e) 사이 거리(와셔 안착홈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면(312a)이 상기 제2 면(112a)으로부터 축방향(도 8에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셔(800)가 상기 와셔 안착면(112e)과 상기 제2 면(112a) 사이 단차면(112f)(와셔 안착홈의 내주면)에 반경방향(도 8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면(112a)과 상기 와셔 안착면(112e) 사이에 그루브(112g)가 형성되어, 상기 와셔 안착면(112e)이 상기 그루브(112g)에 의해 상기 제2 면(112a)과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이 진동 감쇠 측면에서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셔(800)을 대체하여, 상기 체결부재(400)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제1 체결공(112c)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축방향 이격수단으로 작용하는 이격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격벽은 상기 제2 면(112a)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312a)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이격부재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제1 면(312a)에 접촉되는 제1 이격부재면 및 상기 이격부재 안착면에 접촉되는 제2 이격부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 이격부재면과 상기 제2 이격부재면 사이 거리가 상기 제1 면과 상기 이격부재 안착면 사이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스킷(600), 상기 와셔(800) 및 상기 이격부재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반경방향 이격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체결공(112c)을 갖는 부위를 체결공 주변부라 하면, 상기 격벽 중심부와 상기 체결공 주변부 사이에 상기 그루브(112g)가 형성되어 상기 격벽 중심부와 상기 체결공 주변부가 반경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100: 모터부
112: 격벽
112a: 제2 면
112b: 개스킷 안착면
112d: 개스킷 안착면과 제2 면 사이 단차면
112e: 와셔 안착면
112f: 와셔 안착면과 제2 면 사이 단차면
112g: 그루브
200: 압축부
312: 기판 안착부
320: 기판
300: 인버터부
312a: 제1 면
400: 체결부재
600: 개스킷
610: 제1 실링면
620: 제2 실링면
800: 와셔
810: 제1 와셔면
820: 제2 와셔면

Claims (9)

  1.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인버터부; 및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인버터부와 체결되는 상기 모터부의 격벽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축방향 이격수단;을 포함하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는 개스킷이 개재되고,
    상기 인버터부는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격벽에 대향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개스킷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개스킷은 상기 제1 면에 접촉되는 제1 실링면 및 상기 개스킷 안착면에 접촉되는 제2 실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축방향 이격수단이 상기 개스킷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제1 실링면과 상기 제2 실링면 사이 거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개스킷 안착면 사이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동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스킷은 상기 개스킷 안착면과 상기 제2 면 사이 단차면에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상기 인버터부를 상기 격벽에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축방향 이격수단이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격벽 사이에 이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동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기판이 안착되는 기판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 안착부는 상기 격벽에 대향되는 제1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제1 면에 대향되는 제2 면 및 상기 제2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이격부재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제1 면에 접촉되는 제1 이격부재면 및 상기 이격부재 안착면에 접촉되는 제2 이격부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격부재면과 상기 제2 이격부재면 사이 거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이격부재 안착면 사이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동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압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인버터부의 기판 측에 대향되는 격벽 중심부 및 상기 인버터부와 상기 모터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체결공을 갖는 체결공 주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 중심부와 상기 체결공 주변부는 반경방향으로 이격되는 전동 압축기.
KR1020200019974A 2020-02-18 2020-02-18 전동 압축기 KR20210105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974A KR20210105244A (ko) 2020-02-18 2020-02-18 전동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974A KR20210105244A (ko) 2020-02-18 2020-02-18 전동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5244A true KR20210105244A (ko) 2021-08-26

Family

ID=77465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974A KR20210105244A (ko) 2020-02-18 2020-02-18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52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649A (ko) 2011-09-02 2013-03-12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5649A (ko) 2011-09-02 2013-03-12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9542B2 (en) Electric compressor
JP6650524B2 (ja) 圧縮機
EP2075470B1 (en) Motor-driven compressor
KR20170113153A (ko) 유체 기계
WO2013183436A1 (ja) 気体圧縮機
JP5007169B2 (ja) 電動コンプレッサ
JP4549968B2 (ja) 電動圧縮機
KR20210105244A (ko) 전동 압축기
JP7306282B2 (ja) 電動圧縮機
KR20160064995A (ko) 모터-구동식 압축기
KR102265656B1 (ko) 전동 압축기
JPH0454075B2 (ko)
KR102379078B1 (ko) 전동식 압축기
KR20220132435A (ko) 전동 압축기
JP2009221969A (ja) コンプレッサ
WO2016189973A1 (ja) 気体圧縮機用の電磁クラッチ及び気体圧縮機
KR200265571Y1 (ko) 받침대를 갖춘 압축기 조립체
KR20200101879A (ko) 전동 압축기
JP2011196212A (ja) 圧縮機
JP2017155717A (ja) 分割式ハウジングの位置決め構造、これを備えた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106614B1 (ko) 압축기
KR102436355B1 (ko) 압축기
KR20220032323A (ko) 압축기
KR20230098433A (ko) 전동 압축기
KR20170075972A (ko)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