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656B1 - 전동 압축기 - Google Patents

전동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656B1
KR102265656B1 KR1020190135301A KR20190135301A KR102265656B1 KR 102265656 B1 KR102265656 B1 KR 102265656B1 KR 1020190135301 A KR1020190135301 A KR 1020190135301A KR 20190135301 A KR20190135301 A KR 20190135301A KR 102265656 B1 KR102265656 B1 KR 102265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late thickness
housing
body wal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9636A (ko
Inventor
코헤이 후쿠미츠
스에히로 후카자와
타카유키 오타
카즈야 마츠모토
타카히로 스즈키
아츠시 니시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200049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9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2Pumps characterised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F04C29/0085Prime m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F04C2240/403Electric motor with inverter for spee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5Fastening means, e.g.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80Other components
    • F04C2240/808Electronic circuits (e.g. inverters) installed inside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ressor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전동 압축기는, 압축 기구와, 전동 모터와, 인버터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획정하는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는, 판 형상의 본체벽과, 상기 본체벽의 주연을 관통하는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다. 상기 본체벽은, 상기 수용실 내에서 상기 인버터와 대향하는 제1 면과, 제2 면과, 제1 판두께를 갖는 제1 판두께부와, 상기 삽입 통과 구멍 중 적어도 1개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2 판두께부로서, 상기 본체벽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패임으로써, 상기 제1 판두께보다도 얇은 제2 판두께를 갖는 제2 판두께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전동 압축기{MOTOR-DRIVEN COMPRESSOR}
본 개시는 전동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177826호는 전동 압축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전동 압축기는, 압축 기구와, 전동 모터와, 인버터와, 하우징과,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압축 기구는 냉매를 압축한다. 전동 모터는 압축 기구를 구동시킨다. 인버터는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한다. 하우징은, 내부에 압축 기구와 전동 모터를 수용하고 있다. 커버는,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하우징에 체결됨으로써, 하우징과의 사이에 인버터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획정(劃定)하고 있다.
커버는,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판 형상의 본체벽을 갖고 있다. 본체벽은, 수용실 내에서 인버터와 대향하는 제1 면과, 제1 면의 반대측의 제2 면을 갖는다. 본체벽은, 본체벽의 주연(周緣)을 관통하는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을 갖는다. 각 삽입 통과 구멍에는, 체결구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본체벽은, 제1 면으로부터 인버터를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리브를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전동 압축기가 작동할 때에, 압축 기구 및 전동 모터에서 발생한 진동이 하우징에 전해지면, 하우징이 진동한다. 진동이 하우징으로부터 커버에 전해지면, 커버가 진동함으로써, 소음이 커진다. 이 점, 상기 공보의 전동 압축기는, 복수의 리브에 의해 본체벽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있기 때문에, 작동시에 하우징의 진동이 커버에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3-177826호
그러나, 상기 공보의 전동 압축기는, 복수의 리브가 제1 면으로부터 인버터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만큼, 수용실이 작아진다. 그 결과, 수용실 내에서 인버터와 복수의 리브가 간섭하기 쉽다.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용실을 크게 하고자 하면, 커버가 축방향으로 대형화하기 때문에, 전동 압축기가 대형화함과 함께 중량이 증대한다.
수용실의 대형화를 피하면서, 인버터와 리브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리브를 제2 면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면은 전동 압축기의 외부에 면하기 때문에, 제2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리브에는 이물, 예를 들면 먼지 또는 염분이 퇴적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커버에 부식이 발생하기 쉬워져, 내구성이 저하한다. 또한, 리브가 제2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 커버, 나아가서는 전동 압축기가 축방향으로 대형화하게도 된다.
본 개시는, 작동시의 소음을 억제 가능함과 함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 가능한 전동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개시된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전동 압축기는, 유체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기구와,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인버터와, 상기 압축 기구 및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로서,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획정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판 형상의 본체벽과, 상기 본체벽의 주연을 관통하는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으로서, 상기 체결구가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을 갖고, 상기 본체벽은, 상기 수용실 내에서 상기 인버터와 대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의 제 2면과, 제1 판두께를 갖는 제1 판두께부와, 상기 삽입 통과 구멍 중 적어도 1개의 주위에 위치하는 제2 판두께부로서, 상기 본체벽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패임으로써, 상기 제1 판두께보다도 얇은 제2 판두께를 갖는 제2 판두께부를 갖는다.
도 1은 실시예의 전동 압축기의 배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전동 압축기가 구비하는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전동 압축기가 구비하는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른 단면의 확대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전동 압축기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전동 압축기는 차량에 탑재되어 있고, 차량용 공조 장치의 냉동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전동 압축기는, 하우징(1)과, 전동 모터(3)와, 압축 기구(5)와, 커버(7)와, 인버터(9)와, 위치 결정체(31)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은, 제1 하우징 부재(11)와 제2 하우징 부재(13)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동 압축기의 상, 하, 좌 및 우의 각 방향을 도 1에 나타내는 좌표축을 이용하여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도 2∼도 5에서는, 도 1에 대응하는 좌표축을 이용하여 상, 하, 좌 및 우의 각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 도 2 및 도 5에서는, 제1 하우징 부재(11)에 대하여 제2 하우징 부재(13)가 위치하는 측을 전동 압축기의 전방으로 하고, 제1 하우징 부재(11)에 대하여 커버(7)가 위치하는 측을 전동 압축기의 후방으로 하여, 전동 압축기의 전후 방향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이들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을 위한 일 예이고, 전동 압축기는, 탑재되는 차량 등에 대응하여, 그 자세가 적절히 변경된다.
도 2에 나타내는 제1 하우징 부재(11)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제1 하우징 부재(11)는, 제1 단벽(端壁)(제1 저벽)(11a)과, 제1 주벽(제1 측벽)(11b)과, 제1 플랜지부(11c)를 갖고 있다. 제1 단벽(11a)은, 제1 하우징 부재(11)의 후단이고, 전동 압축기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주벽(11b)은, 제1 단벽(11a)과 연속해 있고, 제1 단벽(11a)으로부터 전동 압축기의 축선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단벽(11a)은 제1 주벽(11b)의 후단을 닫는 단벽으로서, 제1 주벽(11b)의 전단은 개구하고 있다. 제1 하우징 부재(11)는 중공(hollow)으로서, 전방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제1 플랜지부(11c)는, 제1 주벽(11b)과 일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1 주벽(11b)으로부터 전동 압축기의 우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제1 플랜지부(11c)는, 제1 삽입 통과 구멍(110)을 갖는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부재(11)는, 모터 수용부(111)와, 브릿지부(113)를 갖고 있다. 모터 수용부(111)는, 제1 하우징 부재(11)의 하측 부분이다. 모터 수용부(111)는, 대략 원통 형상이다. 모터 수용부(111)는, 제1 주벽(11b)에 개구하는 흡입구(도시 생략)를 갖는다. 브릿지부(113)는, 모터 수용부(111)와 연속해 있고, 모터 수용부(11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브릿지부(113)는, 제1 하우징 부재(11)의 상측 부분이다. 브릿지부(113)는, 대략 직사각형의 상자 형상이다. 또한, 모터 수용부(111) 및 브릿지부(113)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제1 하우징 부재(11)는, 제1∼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15f)과, 접속구(17)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 부재(11)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위치 결정 핀)(19a, 19b)을 구비한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은, 「끼워맞춤부」의 일 예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15f)의 각각은, 제1 단벽(11a) 내 및 제1 주벽(11b) 내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11)의 축 방향, 즉 전동 압축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15f)의 각각은, 제1 단벽(11a)에 개구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4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15d)은, 제1 하우징 부재(11)의 하측 부분, 즉, 모터 수용부(111)에 배치되어 있다. 제1∼4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15d)은, 전동 모터(3)를 둘러싸도록 모터 수용부(111)의 주(周)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제5 및 제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e, 15f)은, 제1 하우징 부재(11)의 상측 부분인 브릿지부(113)에 배치되어 있다. 제5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e)은, 브릿지부(113)의 좌단에 배치되어 있고, 제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f)은, 브릿지부(113)의 우단에 배치되어 있다.
접속구(17)는, 제1 단벽(11a)에 있어서, 제5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e)과 제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f)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브릿지부(113)의 내부는, 접속구(17)를 통하여 모터 수용부(111)와 연통(communication)하고 있다. 접속구(17) 내에는, 봉지 부재(21)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은, 제1 단벽(11a)에 일부가 매설된 상태로 제1 단벽(11a)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은, 제1 단벽(11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은, 제1 하우징 부재(11)의 축선을 따라 제1 단벽(11a)으로부터 커버(7)의 주벽(73)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주벽(73)에 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은, 제1 하우징 부재(11)의 하측 부분인 모터 수용부(111)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끼워맞춤 핀(19a)은, 모터 수용부(111)의 좌단 근처이며, 제1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과 제3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c)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끼워맞춤 핀(19b)은, 모터 수용부(111)의 우단 근처이며, 제2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b)과 제4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d)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2 끼워맞춤 핀(19b)은, 모터 수용부(111)에 있어서, 제1 끼워맞춤 핀(19a)보다도 약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제2 하우징 부재(13)는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제2 하우징 부재(13)는, 제2 단벽(제2 저벽)(13a)과, 제2 주벽(제2 측벽)(13b)과, 제2 플랜지부(13c)를 갖고 있다. 제2 단벽(13a)은, 제2 하우징 부재(13)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고, 전동 압축기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주벽(13b)은, 제2 단벽(13a)으로부터 전동 압축기의 축선을 따라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단벽(13a) 및 제2 주벽(13b)을 갖는 제2 하우징 부재(13)는, 후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통 형상이다.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기는 하지만, 제2 하우징 부재(13)는, 제1 하우징 부재(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2 하우징 부재(13)는, 대략 원통의 하측 부분과 대략 통 형상의 상측 부분을 갖는다. 제2 플랜지부(13c)는, 제2 주벽(13b)의 외면으로부터 우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플랜지부(13c)는, 제2 삽입 통과 구멍(130)을 갖는다.
제2 하우징 부재(13)는, 제2 플랜지부(13c)가 제1 하우징 부재(11)의 제1 플랜지부(11c)와 위치 맞춤된 상태로 제1 하우징 부재(11)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하우징 부재(11)와 제2 하우징 부재(13)는, 제1 및 제2 삽입 통과 구멍(110, 130)에 삽입 통과된 볼트(23)에 더하여, 도시하지 않는 복수의 볼트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 부재(11)와 제2 하우징 부재(13)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11, 13)는 알루미늄 합금 이외의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전동 모터(3)는, 제1 하우징 부재(11)의 모터 수용부(1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전동 모터(3)는, 스테이터(25)와, 로터(27)와, 구동축(29)과, 접속부(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스테이터(25)는, 모터 수용부(111) 내에서 제1 주벽(11b)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스테이터(25)는, 도시하지 않는 코일을 갖고 있다. 로터(27)는, 스테이터(25)의 내주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축(29)은, 로터(27)에 고정되어 있고, 로터(27)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접속부는, 브릿지부(113) 내에 수용된 클러스터 블록(도시 생략)과 접속되어 있다. 클러스터 블록은, 브릿지부(113) 내에서 접속 단자(도시 생략)와 접속되어 있다.
압축 기구(5)는, 모터 수용부(111) 내에 있어서, 전동 모터(3)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압축 기구(5)는, 예를 들면, 전형적인 스크롤형 압축 기구이다. 압축 기구(5)는, 제1 주벽(11b)의 내주면에 고정된 고정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에 대향하여 배치된 가동 스크롤을 갖고 있다. 가동 스크롤은 구동축(29)과 동력 전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구동축(29)에 의해 회전된다. 고정 스크롤은 가동 스크롤과 맞물려 있고, 양 스크롤의 사이에는 압축실이 획정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과 제2 하우징 부재(13)의 사이에는 토출실이 획정되어 있다. 고정 스크롤, 가동 스크롤, 압축실 및 토출실에 대해서는, 모두 도시를 생략한다. 압축 기구(5)는, 베인형 압축 기구라도 좋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커버(7)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이다. 커버(7)는, 본체벽(71)과, 주벽(73)과,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을 갖고 있다.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은, 「삽입 통과 구멍」의 일 예이다. 커버(7)는, 수지제여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벽(71)은, 커버(7)의 후단이고, 전동 압축기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벽(71)은, 제1 면(71a)과 제2 면(71b)을 갖는 판 형상이다. 제1 면(71a)은 전면이다. 제2 면(71b)은, 제1 면(71a)의 반대측의 후면이고, 전동 압축기의 외부를 향하고 있다. 본체벽(71)의 상세는 후술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벽(73)은, 제1 면(71a)의 외연 전체를 따르도록, 본체벽(71)과 일체화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벽(73)은, 본체벽(71)으로부터 제1 하우징 부재(11)를 향하여 커버(7)의 축선을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체벽(71) 및 주벽(73)을 갖는 커버(7)는, 전방을 향하여 개구하는 대략 통 형상이다. 커버(7)는, 제1 하우징 부재(1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커버(7)는, 모터 수용부(111)에 대응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제1 부위(7a)와, 브릿지부(113)에 대응하는 대략 상자 형상의 제2 부위(7b)를 포함한다. 커버(7)의 형상은, 제1 하우징 부재(11) 및 인버터(9) 등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주벽(73)은, 관통 구멍(711a)을 갖는다. 관통 구멍(711a)은, 주벽(7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후술하는 수용실(37)은, 관통 구멍(711a)을 통하여 커버(7)의 외부 공간에 연통하고 있다. 주벽(73)은, 커넥터부(715)와 일체화되어 있다. 커넥터부(715)는, 관통 구멍(711a)을 포위하는 대략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주벽(7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관통 구멍(711a) 및 커넥터부(715)는, 본체벽(71)에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본체벽(71) 및 주벽(73)은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은, 본체벽(71)의 주연을 따라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본체벽(71) 및 주벽(73)을 커버(7)의 축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은, 각각 도 3에 나타내는 제1∼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15f)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d)은, 제1 부위(7a)에 배치되고, 제1 부위(7a)의 주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제1∼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d)은, 「특정 삽입 통과 구멍」이다. 제5 및 제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e, 75f)은, 커버(7)의 제2 부위(7b)에 배치되어 있다. 제5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e)은 제2 부위(7b)의 좌단에 배치되어 있고, 제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f)은 제2 부위(7b)의 우단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벽(71)은, 제1 판두께부(711)와, 제2 판두께부(713a∼713d)를 갖는다. 제1 판두께부(711)가 본체벽(71)에 차지하는 비율은, 제2 판두께부(713a∼713d)가 본체벽(71)에 차지하는 비율보다도 많다. 환언하면, 본체벽(71)의 대부분은 제1 판두께부(711)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판두께부(711)의 두께는 제1 판두께(T1)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판두께부(713a)는, 제1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판두께부(713a)는, 대략 부채 형상으로, 제1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에 대하여 동심원상을 이루도록 제1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의 주위를 연장하고 있고, 제2 판두께부(713a)의 주방향 양단이 주벽(73)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판두께부(713b∼713d)는, 각각 제2∼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b∼75d)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제2 판두께부(713b∼713d)는 대략 부채 형상으로, 각각 제2∼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b∼75d)에 대하여 동심원상을 이루도록 제2∼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b∼75d)의 주위를 연장하고 있고, 제2∼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b∼75d)의 각각의 주방향 양단이 주벽(73)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판두께부(713a∼713d)는, 커버(7)의 제1 부위(7a)에 있어서, 본체벽(71)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 판두께부(713a∼713d)는, 본체벽(71)에 중앙 부위(C)를 획정하고 있다. 중앙 부위(C)는, 제1 판두께부(711) 중, 제2 판두께부(713a∼713d)보다도 본체벽(71)의 중앙에 가까운 부위이다. 제1 판두께부(711)의 판두께가 제1 판두께(T1)이기 때문에, 중앙 부위(C)의 판두께는 제1 판두께(T1)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벽(71)은 제1 면(71a)으로부터 제2 면(71b)을 향하여 패이는 복수(예를 들면 4개)의 오목부를 갖고, 이들 오목부의 내저면과 제2 면(71b)의 사이의 부위가, 각각 제2 판두께부(713a∼713d)이다. 제2 판두께부(713b∼713d)는, 제1 판두께(T1)보다도 얇은 제2 판두께(T2)를 갖는다. 제2 판두께(T2)는 제1 판두께(T1)의 약 반만큼의 두께여도 좋다. 본체벽(71)에 있어서, 판두께가 얇은 제2 판두께부(713b∼713d)의 강성은, 제1 판두께부(711)의 강성에 비하여 낮다. 또한, 제2 판두께(T2)는, 제1 판두께(T1)보다도 작으면 되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7)의 주벽(73)은,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를 갖는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는, 「피(被)끼워맞춤부」의 일 예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위치 결정체(31)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과, 제1 및 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의 각각은, 주벽(73)의 단면에 개구함과 함께, 커버(7)의 축선을 따라 전동 압축기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 내에는, 각각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을 삽입 통과 가능하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는, 본체벽(71)을 관통하지 않도록 깊이가 설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는,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끼워맞춤 오목부(77a)는, 주벽(73)에 있어서, 제1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과 제3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c)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b)는, 주벽(73)에 있어서, 제2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b)과 제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d)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끼워맞춤 오목부(77a)는 제2 판두께부(713c)와 인접하고 있고,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b)는 제2 판두께부(713b)와 인접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판두께부(713c)의 원호상의 외연의 좌단이 접속되는 주벽(73)의 부위에 제1 끼워맞춤 오목부(77a)가 배치되고, 제2 판두께부(713b)의 원호상의 외연의 하단이 접속되는 주벽(73)의 부위에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b)가 배치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7)는, 본체벽(71)의 제1 면(71a)이 제1 하우징 부재(11)의 제1 단벽(11a)에 대향하도록, 제1 하우징 부재(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7)와 제1 하우징 부재(11)의 사이에는 개스킷(33)이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동 압축기는, 제1 끼워맞춤 오목부(77a) 내에 삽입 통과되는 제1 끼워맞춤 핀(19a)과,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b) 내에 삽입 통과되는 제2 끼워맞춤 핀(19b)을 갖는다.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은, 각각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와 끼워맞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15f)이, 각각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과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 부재(11)와 커버(7)가 위치 결정된다.
제1 하우징 부재(11)와 커버(7)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 있어서, 커버(7)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6 볼트(35a∼35f)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11)에 체결되어 있다. 제1∼6 볼트(35a∼35f)는, 「체결구」의 일 예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볼트(35a)는, 본체벽(71)의 제2 면(71b)측으로부터, 제1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과 제1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볼트(35b)는, 제2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b)과 제2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b)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제3 볼트(35c)는, 제3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c)과 제3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c)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제4 볼트(35d)는, 제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d)과 제4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d)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제5 볼트(35e)는, 제5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e)과 제5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e)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제6 볼트(35f)는, 제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f)과 제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f)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7)의 제1 부위(7a)가 제1∼4 볼트(35a∼35d)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11)의 모터 수용부(111)에 체결되어 있음과 함께, 커버(7)의 제2 부위(7b)가 제5 및 제6 볼트(35e, 35f)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11)의 브릿지부(113)에 체결되어 있다. 제1∼6 볼트(35a∼35f) 중, 제1∼4 볼트(35a∼35d)는, 「특정 체결구」이다. 또한, 제1∼6 볼트(35a∼35f)의 개수, 나아가서는,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 및 제1∼6 하우징측 삽입 통과 구멍(15a∼15f)의 개수는, 제1 하우징 부재(11) 및 커버(7)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커버(7)가 제1 하우징 부재(11)에 체결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벽(11a)과 제1 면(71a)의 사이에 수용실(37)이 획정된다. 주벽(73)에 의해 포위된 수용실(37)은, 관통 구멍(711a)을 제외하고, 전동 압축기의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개스킷(33)은, 수용실(37)과 제1 하우징 부재(11)의 사이를 봉지하고 있다.
인버터(9)는, 제1 단벽(11a)에 고정되어 수용실(37) 내에 수용되어 있다. 수용실(37) 내에 있어서, 인버터(9)는 본체벽(71)의 제1 면(71a)과 대향하고 있다. 상세한 도시를 생략하기는 하지만, 인버터(9)는, 회로 기판과,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반도체 소자와, 회로 기판에 접속된 리드선을 갖고 있다. 리드선은, 도 3에 나타내는 접속구(17)를 통하여 브릿지부(113) 내로 연장되어, 접속 단자와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9)가 전동 모터(3)와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7)의 관통 구멍(711a) 내에는, 급전 어셈블리(39)가 배치되어 있다. 급전 어셈블리(39)는, 제1 단자(391), 제2 단자(392) 및 버스바(393)가 절연성 수지(394)에 인서트 성형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급전 어셈블리(39)는, 수용실(37) 내에 있어서, 버스바(393)를 통하여 인버터(9)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전동 압축기에서는, 커버(7)의 커넥터부(715)가 도시하지 않는 케이블을 통하여, 전동 압축기의 외부에 배치된 전원(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인버터(9)에는 급전 어셈블리(39)를 통하여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력이 공급된다. 인버터(9)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면서, 전동 모터(3)에 교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동 모터(3)의 구동을 제어한다. 전동 모터(3)에 교류 전력이 공급되면, 로터(27) 및 구동축(29)이 회전한다. 이에 따라, 압축 기구(5)가 구동한다. 압축 기구(5)는, 흡입구로부터 흡입된 냉매 가스를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 가스를 토출구로부터 토출한다. 또한, 냉매 가스는, 「유체」의 일 예이다.
전동 압축기의 커버(7)는,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에 삽입 통과된 제1∼6 볼트(35a∼35f)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11)에 체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동 모터(3) 및 압축 기구(5)가 작동할 때에는,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이 제1∼6 볼트(35a∼35f)를 통하여 커버(7)에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의 주위에는, 제1∼6 볼트(35a∼35f)를 통하여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이 전달되기 쉽다. 또한, 전동 모터(3)는 제1 하우징 부재(11)의 모터 수용부(111)에 수용되기 때문에, 커버(7)의 제1 부위(7a) 중, 제1∼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d)의 주위에는, 제1∼4 볼트(35a∼35d)를 통하여 모터 수용부(111)의 진동이 전달되기 쉽다.
전동 압축기의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은, 본체벽(71)의 주연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벽(71)은, 제1 판두께부(711)와 제2 판두께부(713a∼713d)를 갖고, 제2 판두께부(713a∼713d)는, 제1 판두께부(711)의 제1 판두께(T1)보다도 얇은 제2 판두께(T2)를 갖는다. 그리고, 제2 판두께부(713a∼713d)는, 제1∼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d)의 주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1∼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d)을 각각 둘러싸는 제2 판두께부(713a∼713d)는, 본체벽(71)의 강성을 부분적으로 저하시키고 있다. 즉, 이 전동 압축기의 본체벽(71)은, 주연의 강성이 낮다. 단, 제1 판두께부(711)는, 제2 판두께부(713a∼713d)보다도 두꺼운 제1 판두께(T1)를 갖기 때문에, 본체벽(71)의 중앙 부위(C)를 포함하고, 본체벽(71)의 주연 이외에는, 본체벽(71)의 주연보다도 높은 강성을 갖는다. 그리고, 제1 판두께부(711)는, 본체벽(71)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본체벽(71), 나아가서는 커버(7)의 강성을 전체적으로 충분히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있다.
전동 압축기가 작동할 때에는,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에 의해, 커버(7)의 제2 판두께부(713a∼713d)가 진동하기 쉽다. 이에 따라, 모터 수용부(111)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을 제2 판두께부(713a∼713d), 즉, 제1∼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d)의 주변 부위에 있어서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모터 수용부(111)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이 본체벽(71)의 중앙 부위(C)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전동 압축기의 작동시에 본체벽(71)의 중앙 부위(C)가 진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진동에 기인하는 소음은 본체벽(71)의 중앙 부위(C)에서 발생한다. 그 때문에, 제2 판두께부(713a∼713d)에 의해 제1∼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d)의 주변 부위를 적극적으로 진동시킴과 함께 중앙 부위(C)에서의 진동을 억제하면, 작동시에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이 커버(7)에 전달되어도 소음은 발생하기 어렵다.
제2 판두께부(713a∼713d)는, 제1 면(71a)으로부터 제2 면(71b)을 향하여 패인 부위이다. 그 때문에, 제2 판두께부(713a∼713d)의 존재가 수용실(37)을 작게 하는 요인이 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동 압축기에 있어서 큰 수용실(37)을 확보하기 위해, 커버(7)를 축방향으로 대형화시킬 필요가 없다.
제1 하우징 부재(11)에 커버(7)가 체결되면, 제2 판두께부(713a∼713d)는 수용실(37)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판두께부(713a∼713d)에는 이물, 예를 들면 먼지 또는 염분이 퇴적하기 어렵다. 전동 압축기의 외부에 면하는 제2 면(71b)은 평탄하기 때문에, 제2 면(71b)으로의 이물의 퇴적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동 압축기의 커버(7)는 부식하기 어렵다.
따라서, 실시예의 전동 압축기는, 작동시의 소음을 억제 가능함과 함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대략 부채 형상의 제2 판두께부(713a∼713d)는, 각각 제1∼4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d)을 둘러싸면서 주벽(73)에 접속한다. 이 때문에, 본체벽(71)에 차지하는 제2 판두께부(713a∼713d)의 비율을 가급적 적게 하면서,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이 본체벽(71)의 중앙 부위(C)에 전달되는 것을 적합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동시에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이 본체벽(71)의 중앙 부위(C)에 전달되는 것의 억제와, 커버(7)의 강성의 확보를 적합하게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커버(7)가 갖는 주벽(73)에 의해, 전동 압축기의 외부와 수용실(37)을 적합하게 구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 부재(11)가, 커버(7)를 향하여 연장되는 주벽을 갖는 경우에 비하여, 제1 하우징 부재(11)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제1 하우징 부재(11)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체(31)에 의해, 제1 하우징 부재(11)와 커버(7)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 하우징 부재(11)와 커버(7)를 용이하게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위치 결정체(31)가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과,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치 결정체(31)의 구성을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1 끼워맞춤 오목부(77a)는 제2 판두께부(713c)와 인접하고 있고,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b)는 제2 판두께부(713b)와 인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과, 제1 및 제2 끼워맞춤 오목부(77a, 77b)를 통하여, 제1 하우징 부재(11)의 진동이 본체벽(71)의 중앙 부위(C)에 전달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설명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한정을 목적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청구의 범위 및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판두께부(713a∼713d)의 형상은, 대략 부채 형상 이외로 변경해도 좋다. 또한, 제2 판두께부(713a∼713d)가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져도 좋다.
또한, 본체벽(71)은, 제2 판두께부(713a∼713d)에 더하여, 제5 및 제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e, 75f)의 주위에도 제2 판두께부를 가져도 좋다.
혹은, 본체벽(71)은,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 중 어느 1개의 주위에만 제2 판두께부(713a)를 가져도 좋다.
또한, 제1∼6 볼트(35a∼35f)의 두부(頭部)가 커버(7)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벽(71)의 제2 면(71b)은, 제1∼6 커버측 삽입 통과 구멍(75a∼75f)을 둘러싸는 오목부를 가져도 좋다.
커버(7)의 주벽(73)을 대신하여, 제1 단벽(11a)을 포위하면서 커버(7)를 향하여 연장되는 주벽을 제1 하우징 부재(11)가 가져도 좋다.
제1 단벽(11a)은, 제1 끼워맞춤 핀(19a)만을 가져도 좋고, 혹은,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에 더하여 다른 끼워맞춤 핀을 가져도 좋다. 또한, 제1 끼워맞춤 핀(19a)을 모터 수용부(111)에 배치하고, 제2 끼워맞춤 핀(19b)을 브릿지부(113)에 배치해도 좋다. 혹은, 제1 및 제2 끼워맞춤 핀(19a, 19b)의 양쪽을 브릿지부(113)에 배치해도 좋다.
압축 기구(5)는, 냉매 가스 이외의 유체를 압축해도 좋다.
본 발명은 차량 등의 공조 장치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유체를 압축하도록 구성된 압축 기구와,
    상기 압축 기구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인버터와,
    상기 압축 기구 및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복수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커버로서,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상기 인버터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획정(劃定)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는,
    판 형상의 본체벽과,
    상기 본체벽의 주연(周緣)을 관통하는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으로서, 상기 체결구가 삽입 통과되는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을 갖고,
    상기 본체벽은,
    상기 수용실 내에서 상기 인버터와 대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 1면의 반대측의 제2 면과,
    제1 판두께를 갖는 제1 판두께부와,
    상기 삽입 통과 구멍 중 적어도 1개의 주위에 상기 삽입 통과 구멍의 외주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제2 판두께부로서, 상기 본체벽이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면을 향하여 패임으로써, 상기 제1 판두께보다도 얇은 제2 판두께를 갖는 제2 판두께부
    를 갖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벽의 외연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되는 주벽(周壁)을 갖고,
    상기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은, 상기 본체벽 및 상기 주벽을 관통하고,
    상기 각 제2 판두께부는, 대응하는 상기 삽입 통과 구멍에 대하여 동심원상을 이루도록 당해 삽입 통과 구멍의 주위를 연장하고 있고, 상기 제2 판두께부의 주(周)방향 양단이 상기 주벽에 접속해 있는,
    전동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동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체결구는, 상기 커버를 상기 모터 수용부에 체결하는 특정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삽입 통과 구멍은, 상기 특정 체결구가 삽입 통과된 특정 삽입 통과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판두께부는, 상기 특정 삽입 통과 구멍의 주위에 배치되는,
    전동 압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커버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위치 결정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위치 결정체는,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끼워맞춤부와, 상기 주벽에 형성되어 상기 끼워맞춤부와 끼워맞춤하는 피(被)끼워맞춤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끼워맞춤부는, 상기 제2 판두께부에 인접해 있는 전동 압축기.
  4. 삭제
KR1020190135301A 2018-10-31 2019-10-29 전동 압축기 KR102265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05907A JP7040406B2 (ja) 2018-10-31 2018-10-31 電動圧縮機
JPJP-P-2018-205907 2018-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9636A KR20200049636A (ko) 2020-05-08
KR102265656B1 true KR102265656B1 (ko) 2021-06-15

Family

ID=6828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301A KR102265656B1 (ko) 2018-10-31 2019-10-29 전동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24660B2 (ko)
EP (1) EP3647592B1 (ko)
JP (1) JP7040406B2 (ko)
KR (1) KR102265656B1 (ko)
CN (1) CN1111203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0406B2 (ja) * 2018-10-31 2022-03-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KR20230137148A (ko) * 2022-03-21 2023-10-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32042B (zh) * 2008-09-01 2015-04-01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电动压缩机
JP5382036B2 (ja) * 2011-03-16 2014-01-0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KR20130025649A (ko) * 2011-09-02 2013-03-12 한라공조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JP2013177826A (ja) 2012-02-28 2013-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電動圧縮機
JP6098128B2 (ja) * 2012-11-15 2017-03-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JP6258615B2 (ja) * 2013-07-12 2018-01-10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動圧縮機
JP5888298B2 (ja) * 2013-08-23 2016-03-1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KR102257795B1 (ko) * 2014-08-29 2021-05-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CN104265638B (zh) * 2014-09-18 2016-08-31 乔建设 低电压强电流进排气口可变位式电动涡旋压缩机
JP2016151246A (ja) 2015-02-19 2016-08-22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動圧縮装置
KR102202419B1 (ko) * 2015-04-17 2021-01-1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동 압축기
KR102194807B1 (ko) * 2015-12-24 2020-12-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CN207777168U (zh) * 2017-04-28 2018-08-28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压缩机
CN106989018B (zh) * 2017-04-28 2020-06-02 上海海立新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压缩机
JP7040406B2 (ja) * 2018-10-31 2022-03-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動圧縮機
DE102020203260A1 (de) * 2019-03-28 2020-10-01 Kabushiki Kaisha Toyota Jidoshokki Elektrischer k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70763A (ja) 2020-05-07
EP3647592B1 (en) 2022-11-30
CN111120327B (zh) 2022-07-12
JP7040406B2 (ja) 2022-03-23
EP3647592A1 (en) 2020-05-06
CN111120327A (zh) 2020-05-08
US20200136463A1 (en) 2020-04-30
KR20200049636A (ko) 2020-05-08
US11424660B2 (en) 202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8703B2 (en) Motor driven compressor
JP5209259B2 (ja) 駆動回路一体型電動圧縮機
EP2075470B1 (en) Motor-driven compressor
JP6258615B2 (ja) 電動圧縮機
KR102265656B1 (ko) 전동 압축기
CN101413496A (zh) 电动压缩机的制造方法和电动压缩机
JP6766666B2 (ja) 電動圧縮機
KR101919062B1 (ko) 차량 탑재용 유체 기계
US6737773B2 (en) Wiring structure of motor in hybrid compressor
KR20170094081A (ko) 전동 압축기
JP7153169B2 (ja) 電動圧縮機
KR102289268B1 (ko) 전동 압축기
JP2020517863A (ja) 車両用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6125427A (ja) 電動圧縮機
CN108240313A (zh) 电动压缩机
EP2623786B1 (en) Motor-driven compressor
CN113811688A (zh) 电动压缩机
JP2020105932A (ja) 電動圧縮機
JP6974768B2 (ja) 圧縮機
JP2009052459A (ja) 流体機械の端子保護構造
WO2023017828A1 (en) An electric machine
KR102550795B1 (ko)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JP2017004891A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および電動圧縮機
CN116569454A (zh) 电机
KR20100018228A (ko) 전동식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