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795B1 -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 Google Patents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795B1
KR102550795B1 KR1020180051259A KR20180051259A KR102550795B1 KR 102550795 B1 KR102550795 B1 KR 102550795B1 KR 1020180051259 A KR1020180051259 A KR 1020180051259A KR 20180051259 A KR20180051259 A KR 20180051259A KR 102550795 B1 KR102550795 B1 KR 102550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ealing cover
coupling
clust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104A (ko
Inventor
최낙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1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7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본체를 수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의 내면에 삽입되는 터미널 본체 및 상기 터미널 본체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터미널과,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차폐하는 실링 커버, 및 상기 실링 커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에 결합되는 외측 내부단자를 가지는 외측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A terminal device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밀폐형 압축기는 케이스의 밀폐된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전동기구부와, 상기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형 압축기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을 상기 전동기구부에 전달하기 위한 터미널(terminal)을 더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에는, 외부전원과 상기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과, 상기 전동기구부의 고정자와 상기 터미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클러스터(cluster)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에는 관통 결합되는 복수 개의 단자핀이 구비되며, 상기 단자핀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서 상기 터미널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실링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경우, 상기 케이스의 외면과 상기 실링 커버가 접촉하는 부분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를 통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 또는 이물질이 침투하여 상기 단자핀 간에 쇼트가 발생함으로써 터미널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파손(폭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폐형 압축기의 터미널 실링 구조에 관한 종래 출원을 실시한 바 있다.
1. 출원번호(출원일) : 특2002-0000360 (공개일자: 2002년 1월 5일)
2. 발명의 명칭 : 밀폐형 압축기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출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터미널에 구비된 복수 개의 단자핀 각각에 해당하는 리드선을 일일이 확인하며 연결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리드선을 복수 개의 단자핀 각각에 연결하는 과정에서 오 조립하는 실수가 있었고, 그 결과 쇼트가 발생하여 터미널에 고장(화재)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셋째, 터미널 장치를 조립하는 하기 위해서는, 압축기 케이스의 외면에 실링부재를 설치하고, 복수 개의 단자핀에 리드선을 각각 연결시키고, 실링 부재의 상면에 실링 커버를 안착시킨 후, 마지막으로 볼트와 너트를 체결해야 하므로, 부품 수가 많고 조립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특2002-0000360 (2002년 1월 5일) 2. 발명의 명칭 : 밀폐형 압축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에 구비된 복수 개의 단자핀에 리드선을 한 번에 결합시킬 수 있는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터미널을 차폐하는 실링 커버가 압축기 케이스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리드선과, 단자핀 간의 오 조립이 방지될 수 있는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는,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결합부의 내면에 삽입되는 터미널 본체 및 상기 터미널 본체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터미널과,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차폐하는 실링 커버, 및 상기 실링 커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에 결합되는 외측 내부단자를 가지는 외측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측 클러스터는, 상기 실링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측 클러스터 본체, 및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외측 클러스터 본체에 형성되며, 외부전원의 리드선이 연결되는 외측 내부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커버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 상기 외측 내부단자는 상기 단자핀에 한 번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해지고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실링 커버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클러스터는, 상기 실링 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 커버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 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함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링 커버가 상기 케이스로부터 쉽게 탈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부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관통부의 가장자리 나머지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의 돌출 길이(L2)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돌출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 커버는, 상기 실링 커버의 개방된 면에 해당하는 단부로부터 절개되어 상기 제 2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링 커버의 하단부 단차 구조에 의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오 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본체는, 상기 단자핀이 관통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장치는, 압축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관통 삽입되는 터미널 본체 및 상기 터미널 본체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터미널과,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차폐하는 실링 커버, 및 상기 실링 커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에 결합되는 외측 내부단자를 가지는 외측 클러스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실링 커버가 압축기의 케이스에 결합될 때, 실링 커버에 결합된 클러스터의 단자가 터미널에 구비된 복수 개의 단자핀에 한 번에 결합되므로, 조립이 간단해지고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다. 또한, 터미널 장치를 조립하는 공정 수가 획기적으로 줄어들 수 있으므로, 제품 단가가 현저히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둘째, 압축기 케이스의 외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결합부가 구비되고, 이 결합부의 외주면에 실링 커버가 밀착되도록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에는 실링 커버에 형성된 홈에 밀착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므로, 실링 커버가 케이스로부터 쉽게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기 결합부는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실링 커버의 하단부에는 제 2 결합부에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므로, 클러스터와 단자핀 간의 오 조립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 장치는 압축기 케이스의 상면뿐 아니라, 측면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다양한 압축기 제품에 적용될 수 있어서 범용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3은 상기 터미널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터미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터미널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밀폐형 압축기로서, 일례로 로터리 타입의 압축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터리 타입의 압축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스크롤 타입 또는 왕복동식 타입의 압축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압축기(1)는 로터리 압축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축기(1)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a)와, 상기 케이스(1a)의 상측에 결합되는 탑 커버(10), 및 상기 케이스(1a)의 하측에 결합되는 바텀 커버(1c)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케이스(1a)와 상기 탑 커버(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상기 케이스(1a)와 상기 바텀 커버(1c)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a)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a)에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의 연결배관(1d)이 접속되는 가이드부(1e)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e)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연결배관(1d)을 상기 가이드부(1e)의 내측으로 삽입하도록 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에서 상기 압축기(1)의 흡입부로 냉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탑 커버(10)는 상기 케이스(1a)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 커버(10)는, 상기 케이스(1a)의 개방된 상면에 상응하는 면적을 가지는 상면(11)과, 상기 상면(1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은 상기 케이스(1a)의 개방된 상면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장부(14)의 외주면이 상기 케이스(1a)의 내주면에 용접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케이스(1a)의 개방된 상면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커버(10)에는 상기 압축기(1)의 실린더(6)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토출관(1f)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에는 토출관 삽입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토출관 삽입구(12)에 상기 토출관(1f)이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토출관 삽입구(12)는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에서 중심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토출관 삽입구(12)는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 어느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a)의 내부에는 모터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는 인가된 전원에 의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2,stator)와, 상기 스테이터(2)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에 의하여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 기구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 및 압축 기구부(3)를 "압축기 본체"로써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압축 기구부(3)는, 상기 스테이터(2)의 내측에 제공되어 회전하는 로터(3a,ro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2) 및 로터(3a)는 상기 모터의 구성요소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 기구부(3)는 상기 로터(3a)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3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축(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는 상기 회전축(4)의 하부에 편심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4)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편심 궤적을 가지고 회전되는 롤러(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는 상기 롤러(5)가 수용되는 실린더(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6)는 냉매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서 흡입된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압축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6)의 흡입부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연결배관(1d)과 연결되어 냉매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는 상기 롤러(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실린더(6)에 형성된 슬롯 내를 왕복운동 하면서 흡입실과 압축실을 분리하는 베인(미도시,van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는 상기 실린더(6)의 압축공간에서 압축된 냉매를 토출시키는 토출부(미도시)와, 상기 토출부의 상부에 제공되어 냉매의 토출 소음을 저감시키는 머플러(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부는 상기 실린더(6)의 압축실내 압력이 토출 압력 이상이 될 때,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통로이다.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는 상기 압축된 냉매의 토출을 제어하는 토출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는 상기 실린더(6)의 상측에 위치하는 메인 베어링(7)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토출부를 통하여 토출된 냉매는 상기 메인 베어링(7)의 상측에 위치된 머플러(9)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기(1)는 상기 실린더(6)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실린더(6)를 지지하는 메인 베어링(7) 및 서브 베어링(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어링(7)과 서브 베어링(8)은 대략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어, 상기 실린더(6)의 상측 및 하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어링(7)은 상기 실린더(6)의 상측에 제공되어, 상기 실린더(6) 내에서 발생되는 냉매의 압축력 또는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힘을 상기 케이스(1a) 측으로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베어링(8)은 상기 실린더(6)의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실린더(6) 내에서 발생되는 냉매의 압축력 또는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힘을 상기 케이스(1a) 측으로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구성에 따른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회전축(4)이 회전되면, 상기 롤러(5)는 일정한 편심 궤적을 그리면서 상기 실린더(6)의 내주면을 따라 자전 및 공전한다. 그리고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 냉매는 상기 연결배관(1d)을 통하여 상기 실린더(6)의 압축실 내로 유입되며, 상기 롤러(5)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축실에서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압축실내 압력이 토출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토출부의 일측에 제공되는 토출 밸브가 개방되고, 압축 냉매는 개방된 토출 밸브를 통하여 상기 토출부에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된 압축 냉매는 상기 토출관(1f)을 통해 냉동 사이클 장치(미도시)로 토출되었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통해 상기 실린더(6)의 압축실 내로 다시 흡입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상기 압축기(1)는, 상기 탑 커버(10)에 설치되는 터미널 장치(1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탑 커버(10)의 외측에 설치되며, 외부전원을 상기 모터(2, 3a)에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미널 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터미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터미널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터미널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탑 커버(1b)의 상면(11)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을 관통하는 터미널(110)과, 상기 터미널(110)의 외측(케이스의 외부)에 결합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측 클러스터(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터미널(110)의 내측(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측 클러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클러스터는, 상기 스테이터(2)에 권선되어 자속(magnetic flux)을 형성하는 코일(미도시)의 리드선(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 클러스터에 의해서 상기 터미널(110)과 상기 모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10)은, 상기 탑 커버(10)에 삽입되는 터미널 본체(111) 및 상기 터미널 본체(111)를 관통하는 복수의 단자핀(112)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터미널 본체(111)는, 복수의 단자핀(112)이 관통되는 상면부(111a)와, 상기 상면부(111a)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11b) 및 상기 연장부(111b)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터미널 본체(111)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뚜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면부(111a)는 평평하게 이루어지며,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11b)는,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 어느 지점에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에는 일정 크기의 관통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13)에 상기 연장부(111b)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1b)는 상기 관통부(13)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연장부(111b)의 외주면은, 상기 관통부(13)의 내면에 접촉되어 용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111b)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은,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5,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17)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 본체(111)의 연장부(111b)와 용접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 본체(111)와 상기 탑 커버(10) 간의 용접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터미널(110)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15,17)는, 제 1 결합부(15)와, 상기 제 2 결합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부(15)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결합부(17)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 나머지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 결합부(15)와 상기 제 2 결합부(17)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원형의 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결합부(15)에 해당하는 호(A1)의 길이는, 상기 제 2 결합부(17)에 해당하는 호(A2)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15)의 원주 방향의 길이는, 상기 제 2 결합부(17)의 원주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17)의 높이, 즉 상기 제 2 결합부(17)가 상방으로 연장되는 길이(L2)는, 상기 제 1 결합부(15)의 높이, 즉 상기 제 1 결합부(15)가 상방으로 연장되는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15,17)는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이루되,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15)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5a)는 상기 제 1 결합부(15)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15a)는 후술될 실링 커버(150)의 돌기 결합홈(153)에 끼워져서, 상기 실링 커버(150)가 탈거되는 것을 막는 기능을 한다.
상기 돌기(15a)는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수 개의 돌기(15a)는 상기 제 1 결합부(15)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11c)는, 상기 내측 클러스터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111b)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상기 단자핀(112)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 본체(111)의 상면부(111a)를 관통한다. 상기 단자핀(112)은 하나 또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핀(112)이 3개로 이루어지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단자핀(112)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동일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단자핀(112)의 상부(또는 외측부)는, 상기 터미널 본체(111)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단자핀(112)의 하부(또는 내측부)는, 상기 터미널 본체(111)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즉, 상기 단자핀(112)의 외측부는 상기 압축기(1)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핀(112)의 내측부는 상기 압축기(1)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단자핀(112)의 외측부는, 상기 클러스터(120)의 후술될 내부단자(123)에 연결되며, 상기 단자핀(112)의 내측부는, 상기 내측 클러스터의 내측 내부단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단자핀(112)은 구리와 같은 도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110)은 상기 복수의 단자핀(112)을 절연상태로 지지하는 절연부재(11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절연부재(113)는, 상기 터미널 본체(1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즉 외부공기나 수분에 의한 단락을 고려한 절연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절연부재(113)는 유리(glass) 또는 실리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자핀(112) 중 상기 절연부재(113)가 제공되지 않는 외측부의 일부분은 상기 외측 내부단자(1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외측 통전부(112a)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부재(113)는 상기 단자핀(112)의 내측부에도 절연높이까지 연장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112)의 내측부 중 상기 절연부재(113)가 제공되지 않는 내측부의 일부분은 상기 내측 내부단자에 연결될 수 있는 내측 통전부(112b)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단자핀(112)에는, 상기 단자핀(112)과 상기 외측 내부단자(123)의 연결을 가이드 하는 핀 가이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핀 가이드는 상기 단자핀(112)의 외측 통전부(112a)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핀 가이드는, 상기 외측 내부단자(123)의 일측에 형성된 핀구멍(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는, 상기 터미널(110)에 결합되는 외측 클러스터 본체(121)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는 후술될 실링 커버(150)를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외측 클러스터 본체(121)는 절연성을 가지도록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측 클러스터 본체(121)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면이 상기 단자핀(112)에 접촉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측 클러스터 본체(121)는, 상기 터미널(110)의 단자핀(112)이 삽입되는 외측 핀구멍(122) 및 상기 외측 핀구멍(122)의 내측에 배치되며 외부전원의 리드선(115)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측 내부단자(123)를 포함한다.
상기 외측 핀구멍(122)은 상기 외측 클러스터 본체(121)의 일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핀(112)은 상기 단자핀(112)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외측 핀구멍(122)의 함몰 깊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를 상기 단자핀(112)에 결합하는 동작에 의하여, 복수 개의 외측 내부단자(123)가 복수 개의 단자핀(112)에 한 번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편해지고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탑 커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링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 커버(150)는 상기 탑 커버(10)에 결합된 상기 터미널(110)을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 커버(15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로부터 상기 터미널(11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커버(150)는 난연(flame resising) 재질로 형성되어, 화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실링 커버(150)는 난연 재질로 사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탄성력을 가져서 탄성 변형 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링 커버(150)는 상기 터미널(110)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커버 본체(151)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본체(151)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본체(151)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실링 커버(150)는 상기 제 1 결합부(15)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실링 커버(150)는, 상기 커버 본체(151)의 하부에 형성되는 돌기 결합홈(153)을 더 포함한다.
상기 돌기 결합홈(153)은, 상기 실링 커버(150)가 상기 탑 커버(10)에 결합될 때, 상기 제 1 결합부(15)에 형성된 돌기(15a)에 끼워지는 홈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돌기 결합홈(153)은 상기 커버 본체(151)의 외주면 하부에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 결합홈(153)은 상기 돌기(15a)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돌기(15a)의 개수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돌기 결합홈(153)은 상기 커버 본체(151)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커버(150)가 상기 탑 커버(10)에 결합되면, 상기 돌기(15a)가 상기 돌기 결합홈(153)에 밀착되어 체결되므로, 상기 실링 커버(150)가 탈거되거나 헐거워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 커버(150)는, 상기 커버 본체(151)의 하부에 형성되는 삽입홈(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55)은, 상기 실링 커버(150)가 상기 탑 커버(10)에 결합될 때, 상기 제 2 결합부(17)에 삽입되는 홈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홈(155)은 상기 커버 본체(151)의 하단부로부터 상부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155)에 의하여, 상기 실링 커버(150)의 하단부는 단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홈(155)의 크기 및 형상은, 상기 제 2 결합부(17)의 크기 및 형상과 상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커버(150)가 상기 탑 커버(10)에 결합될 때, 상기 커버 본체(151)의 일부는, 상기 제 1 결합부(15)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고, 상기 커버 본체(151)의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결합부(17)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실링 커버(150)가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15,17)에 결합되면, 상기 돌기(15a)의 체결에 의하여 상기 실링 커버(150)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상기 삽입홈(155)의 단차에 의하여 상기 실링 커버(150)의 오 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는 상기 실링 커버(150)의 일면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는 상기 단자핀(112)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 본체(151)의 외주면에는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가 인입되기 위한 슬릿(152)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52)은 상기 커버 본체(151)의 외주면에서 일정 방향으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슬릿(152)은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의 폭 및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가 상기 슬릿(152)을 통하여 상기 커버 본체(151)의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슬릿(152)과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의 사이의 틈새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가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부에 최대한 삽입되면,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의 삽입 방향의 전단부가 상기 커버 본체(151)의 내면에 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가 상기 실링 커버(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측 내부단자(123)는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가 상기 실링 커버(1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 커버(150)가 상기 탑 커버(10)에 결합되면, 상기 복수의 외측 내부단자(123)는 상기 복수의 단자핀(112)에 한 번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외부전원이 상기 모터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터미널 장치(100)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외부전원에 연결되는 다수의 리드선(115)을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의 내부로 삽입시킨 후 각각의 외측 내부단자(123)에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측 내부단자(123)에 상기 리드선(115)이 모두 연결되면, 상기 외측 클러스터 본체(121)의 내부공간에 몰딩 물질을 주입한다. 주입된 몰딩 물질이 경화되면, 경화된 몰딩 물질에 의해서 상기 리드선(11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에 상기 리드선(115)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를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부에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 커버(150)의 슬릿(152)으로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를 인입시킨다. 이때,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의 단부가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면에 밀착될 때까지 계속 인입시켜,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를 상기 실링 커버(150)에 완전히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가 결합된 상기 실링 커버(150)를 상기 터미널(110)에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링 커버(150)를 상기 터미널(110)의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의 외측 내부단자(123)를 상기 터미널(110)의 단자부(112)에 각각 삽입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실링 커버(150)를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15,17)에 결합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15)의 돌기(15a)가 상기 실링 커버(150)의 돌기 결합홈(153)에 체결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결합부(17)가 상기 실링 커버(150)의 삽입홈(155)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돌기(15a)가 상기 돌기 결합홈(153)에 밀착되어 체결되므로, 상기 실링 커버(150)가 쉽게 탈거되거나 헐거워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삽입홈(155)의 단차에 의하여 상기 실링 커버(150)의 오 조립이 방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와 상기 실링 커버(1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실링 커버(150)를 상기 탑 커버(10)에 한 번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해지고 공정 자동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링 커버(150)의 하단부 단차에 의하여 상기 실링 커버(150)의 오 조립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효율이 향상되며, 돌기 체결 구조에 의해서 상기 실링 커버(150)가 탈거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실링 커버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이를 원용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탑 커버(1b)의 상면(11)에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을 관통하는 터미널(110)과, 상기 터미널(1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측 클러스터(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터미널(110)의 내측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내측 클러스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10)과, 상기 외측 클러스터(120) 및 내측 클러스터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 장치(100)는, 상기 탑 커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실링 커버(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실링 커버(150)는 상기 탑 커버(10)에 결합된 상기 터미널(110)을 덮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실링 커버(15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이물질로부터 상기 터미널(110)을 보호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실링 커버(150)는 상기 터미널(110)을 둘러싸도록 결합되는 커버 본체(151)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본체(151)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본체(151)는 하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링 커버(150)가 상기 커버 본체(151)의 하부에 삽입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커버 본체(151)의 하단부는 단차를 가지지 않으며,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에 모두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에는 상기 터미널(110)이 삽입되기 위한 관통부(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 커버(10)의 상면(11)에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결합부(15,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17)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 본체(111)의 연장부(111b)와 용접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 본체(111)와 상기 탑 커버(10) 간의 용접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터미널(110)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17)는, 제 1 결합부(15)와, 상기 제 2 결합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부(15)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결합부(17)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 나머지 일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결합부(15)와 상기 제 2 결합부(17)는 서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 1 결합부(15)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 일부를 따라 대략 "C"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7)는 상기 관통부(13)의 가장자리 나머지 일부를 따라 형성되되, 상기 제 1 결합부(15)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결합부(15)는 일측이 개방된 "C"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결합부(17)는 상기 제 1 결합부(15)의 개방된 부분을 외측에서 커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부(15)의 개방된 부분과, 상기 제 2 결합부(17)의 사이 영역에 상기 실링 커버(150)가 삽입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결합부(15)의 외주면에 의해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측이 지지되고, 상기 제 2 결합부(17)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실링 커버(150)의 외측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링 커버(150)가 상기 탑 커버(10)에 결합되면, 상기 실링 커버(150)의 외주면은 상기 제 2 결합부(17)의 내주면과 접촉되고,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주면은 상기 제 1 결합부(15)의 외주면과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실링 커버(150)의 일부분은, 상기 제 1 결합부(15)와 상기 제 2 결합부(17)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주면은 상기 터미널(110)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링 커버(150)의 내측은 상기 제 1 결합부(1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실링 커버(150)의 외측은 상기 제 2 결합부(17)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실링 커버(150)가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터미널 장치(100)는 압축기의 탑 커버(10)뿐 아니라, 케이스(1a)의 측면에 설치되더라도, 상기 제 2 결합부(17)의 지지에 의해서 상기 실링 커버(150)가 하중에 의해 아래로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즉, 터미널 장치(100)가 케이스(1a)의 측면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 2 결합부(17)는 상기 실링 커버(150)의 하부에 해당하는 케이스(1a)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 장치는 압축기 케이스의 어느 부분이라도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20)

  1. 압축기 외관을 형성하며, 외면에 형성된 관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냉매를 압축하는 모터가 구비되는 압축기 본체; 및
    상기 결합부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을 상기 모터에 공급하는 터미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장치는,
    상기 결합부의 내면에 삽입되는 터미널 본체 및 상기 터미널 본체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터미널;
    상기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차폐하는 실링 커버; 및
    상기 실링 커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에 결합되는 외측 내부단자를 가지는 외측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부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관통부의 가장자리의 나머지 일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의 돌출 길이(L2)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돌출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 커버는,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 커버의 하단부 일부에는, 상부로 절개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 커버의 측면 일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실링 커버의 삽입홈은, 상기 제 2 결합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클러스터는,
    상기 실링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측 클러스터 본체; 및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외측 클러스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전원의 리드선이 연결되는 외측 내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커버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면, 상기 외측 내부단자는 상기 단자핀에 결합되는 압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클러스터는, 상기 실링 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압축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실링 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는 압축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본체는,
    상기 단자핀이 관통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압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장치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핀과 상기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측 클러스터를 더 포함하는 압축기.
  11. 압축기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에 관통 삽입되는 터미널 본체 및 상기 터미널 본체를 관통하여 고정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터미널;
    상기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을 차폐하는 실링 커버; 및
    상기 실링 커버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단자핀에 결합되는 외측 내부단자를 가지는 외측 클러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본체는,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형성된 관통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결합부의 내면에 삽입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관통부의 가장자리의 일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관통부의 가장자리의 나머지 일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의 돌출 길이(L2)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돌출 길이(L1)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실링 커버는, 상면이 폐쇄되고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실링 커버의 하단부 일부에는, 상부로 절개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 커버의 측면 일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실링 커버의 삽입홈은, 상기 제 2 결합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클러스터는,
    상기 실링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는 외측 클러스터 본체; 및
    상기 실링 커버의 내부에 해당하는 상기 외측 클러스터 본체에 형성되며, 외부전원의 리드선이 연결되는 외측 내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실링 커버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면, 상기 외측 내부단자는 상기 단자핀에 결합되는 터미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클러스터는, 상기 실링 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터미널 장치.
  14. 삭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커버의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에 끼워지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터미널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본체는,
    상기 단자핀이 관통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결합부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터미널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핀과, 압축기의 모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내측 클러스터를 더 포함하는 터미널 장치.
KR1020180051259A 2018-05-03 2018-05-03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KR102550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59A KR102550795B1 (ko) 2018-05-03 2018-05-03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259A KR102550795B1 (ko) 2018-05-03 2018-05-03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04A KR20190127104A (ko) 2019-11-13
KR102550795B1 true KR102550795B1 (ko) 2023-07-04

Family

ID=6853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259A KR102550795B1 (ko) 2018-05-03 2018-05-03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07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360A (ko) 2000-06-23 2002-01-05 구자홍 밀폐형 압축기
JP4789477B2 (ja) * 2005-02-08 2011-10-12 三洋電機株式会社 ターミナルカバー及びそのターミナルカバーを備えた密閉型電動圧縮機及びその密閉型電動圧縮機により冷媒回路が構成される冷媒サイクル装置
KR102286802B1 (ko) * 2015-02-04 2021-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용 터미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04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50524B2 (ja) 圧縮機
JP6507270B2 (ja) 圧縮機
KR101442101B1 (ko) 전동 압축기
JP6574044B2 (ja) 電気的連結手段を備えた電動圧縮機およびそのための固定子組立体
US20110158833A1 (en) Electric compressor
KR102286802B1 (ko) 밀폐형 압축기용 터미널 장치
KR101616624B1 (ko) 전동 압축기
EP1689044B1 (en) Terminal cover
EP2620648A2 (en) Motor-driven compres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881378B2 (ja) 電動圧縮機
KR102550795B1 (ko)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US10107293B2 (en) Electric compressor
CN112583192B (zh) 电动压缩机
KR20170120775A (ko) 압축기
CN111852864B (zh) 电动压缩机及电动压缩机的组装方法
CN110323871B (zh) 电动压缩机
KR102250820B1 (ko) 전동 컴프레서용 터미널장치
KR102625341B1 (ko) 전동 압축기
US11658538B2 (en) Motor operated compressor
KR102289268B1 (ko) 전동 압축기
KR102232268B1 (ko) 전동식 압축기
WO2023090066A1 (ja) 電動圧縮機
JP2017004891A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および電動圧縮機
KR20210004245A (ko) 압축기 및 그 제조방법
JP4062060B2 (ja) 密閉型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