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360A - 밀폐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360A
KR20020000360A KR1020000034925A KR20000034925A KR20020000360A KR 20020000360 A KR20020000360 A KR 20020000360A KR 1020000034925 A KR1020000034925 A KR 1020000034925A KR 20000034925 A KR20000034925 A KR 20000034925A KR 20020000360 A KR20020000360 A KR 20020000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casing
terminal cover
terminal
hermetic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4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동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34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0360A/ko
Publication of KR20020000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36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04B39/121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207/00External parameters
    • F04B2207/01Load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된 전동모터부 및 압축부를 외부에 대해 밀폐시키는 케이싱과; 상기 전동모터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터미널과; 탄성부재로 적어도 일영역이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둘레에 배치되는 판상의 실링부재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측 단부로부터 상기 케이싱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연부를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외측리브를 가지고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의 대향측에 상기 실링부재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터미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외부에 대해 기밀적으로 유지시키는 터미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우수 등의 수분이 터미널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부품의 단락 또는 금속부품의 부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HERMETIC COMPRESSOR}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우수 등의 수분이 터미널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부품의 단락 또는 금속부품의 부식을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밀폐형 압축기는,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냉매을 압축하는 압축부와, 압축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부를 가진다. 이러한 밀폐형 압축기는 냉장고 또는 공기조화기 등의 냉동사이클의 구성요소를 이루게 되며,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통상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유니트의 내부에 수용설치되어 구성요소를 이루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2의 터미널커버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링부재의 확대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형 압축기는, 외부에 대해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냉매흡입관(103) 및 냉매토출관(105)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 케이싱(101)과, 케이싱(101)의 내부 하부영역에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111)와, 압축부(111)의 상측에 배치되어 압축부(11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부(121)를 가진다. 압축부(111)는 냉매의 압축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113)와, 전동모터부(121)의 회전축(127)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실린더(113)내에 편심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롤러(1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동모터부(121)는, 케이싱(101)의 내부에 고정배치되는 고정자(123)와, 고정자(123)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자(125)와, 회전자(125)의 축심을 따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12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회전축(127)의 하부에는 롤러(115)를 편심운동시킬 수 있도록 편심부(12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편심부(128)에는 롤러(115)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101)의 상부영역에는 고정자(123)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의 터미널(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터미널(131)의 일측에는 전동모터부(121)의 과부하방지를 위한 과부하보호기(133)가 구비되어 있다. 이들 터미널(131) 및 과부하보호기(133)의 둘레에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고 이들을 외부에 대해 차단/보호하는 터미널커버(135)가 결합되어 있으며, 터미널커버(135)의 중앙영역에는 일단이 케이싱(10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141)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공(136)이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커버(135)와 케이싱(101)사이에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외부로부터의 우수 등의 수분이 터미널커버(135)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137)가 개재되어 있다.
실링부재(137)는 비교적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며, 판면에는 터미널(131) 및 과부하보호기(133)가 통과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한 쌍의 관통공(138)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138)의 사이에는 고정볼트(141)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공(140)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공(140)의 일측에는 케이싱(101)의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냉매토출관(105)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절취된 절취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케이싱(101)의 상면에 판상의 실링부재(137)의 하측면이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실링부재(137)의 상면에 터미널커버(135)를 단순히 올려 놓고 고정볼트(141)를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 케이싱(101)과 실링부재(137)의 상호 접촉면 또는 실링부재(137)와 터미널커버(135)의 상호 접촉면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거나 변형 등에 의한 굴곡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실링부재(137)는 그에 대응하여 탄성변형이 가능하지만 터미널커버(135)는 탄성변형이 불가하여 실링부재(137)로부터 이격되는 소위 “들뜸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137)와 터미널커버(135)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우수 등의 수분이 쉽게 유입되어 내부의 터미널(131), 과부하보호기(133) 등의 전기부품의 단락(short)을 유발시키거나 이들 부품을 포함하여 금속부품의 부식을 촉진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이 터미널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전기부품의 단락 또는 금속부품의 부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2의 터미널커버영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실링부재의 확대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터미널커버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케이싱 15 : 냉매토출관
21 : 압축부 31 : 전동모터부
41 : 터미널 43 : 과부하보호기
45 : 터미널커버 51 : 실링부재
54,65 : 볼트공 56 : 함몰부
57 : 고정볼트 61 : 외측리브
63 : 내측리브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전동모터부 및 압축부를 외부에 대해 밀폐시키는 케이싱과; 상기 전동모터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터미널과; 탄성부재로 적어도 일영역이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둘레에 배치되는 판상의 실링부재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측 단부로부터 상기 케이싱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연부를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외측리브를 가지고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의 대향측에 상기 실링부재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터미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외부에 대해 기밀적으로 유지시키는 터미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리브의 대향측에 상기 터미널커버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리브의 돌출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연장형성되는 내측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리브 및 상기 내측리브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게 상기 실링부재의 두께에 비해 작은 돌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커버 및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터미널커버 및 상기 실링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형 압축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도 4의 터미널커버영역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Ⅵ-Ⅵ선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밀폐형 압축기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냉매흡입관(13) 및 냉매토출관(15)이 결합되어 있는 케이싱(11)과, 케이싱(11)의 내부에 수용설치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21)와, 케이싱(11)의 내부 압축부(21)의 상측에 배치되어 압축부(2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부(31)를 가진다. 케이싱(11)의 상부영역에는 전동모터부(31)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터미널(41)이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터미널(41)의 일측에는 전동모터부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과부하보호기(43)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1)의 상측에는 터미널(41) 및 과부하보호기(43)영역을 보호할 수 있도록 터미널커버(45)가 결합되어 있으며, 터미널커버(45)와 케이싱(11)사이에는 실링부재(51)가 개재되어 있다.
실링부재(51)는 소정 두께(t)를 가지는 판상의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터미널(41)과 과부하보호기(43)의 둘레영역에 배치될 수 있도록 폐루프형상을 가진다. 실링부재(51)의 중앙영역에는 터미널(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미도시)이 케이싱(11)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52)의 일측에는 터미널커버(45)를 통과하여 케이싱(11)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57)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공(5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2)의 대향측에는 케이싱(11)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압축된 냉매가 토출되는 냉매토출관(15)을 둘레방향을 따라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5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터미널커버(45)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개구측 단부에는 케이싱(11)측으로 돌출되고 실링부재(51)의 외측연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구간 즉, 실링부재(51)의 돌출부(52)를 제외한 길이구간에 걸쳐 연장된 외측리브(61)가 형성되어 있다. 터미널커버(45)의 개구측단부에는 또한, 실링부재(51)를 사이에 두고 개구측 단부로부터 외측리브(61)의 돌출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실링부재(51)의 내측연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거의 외측리브(61)에 대응되도록 연장된 내측리브(63)가 형성되어 있으며, 터미널커버(45)의 중앙영역에는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공(65)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외측리브(61) 및 내측리브(63)의 개구측단부로부터의 돌출길이(L)는, 케이싱(11)과 실링부재(51)의 상호 접촉면 또는 실링부재(51)와 터미널커버(45)의 상호 접촉면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되거나 혹은 접촉면의 변형에 기인한 굴곡이 발생된 경우에도 실링부재(51)가 충분히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51)의 두께(t)에 비해 작은 치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링부재(51)의 함몰부(56)에 케이싱(11)으로부터 돌출된 냉매토출관(15)이 수용됨과 동시에 케이싱(11)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볼트공(54)이 대응되도록 실링부재(51)를 케이싱(11)의 상면에 결합한다. 다음, 터미널커버(45)의 외측리브(61)와 내측리브(63)사이에 실링부재(51)가 수용되도록 터미널커버(45)를 결합하고, 고정볼트(57)를 터미널커버(45) 및 실링부재(51)에 각각 형성된 볼트공(65,54)을 차례로 통과하여 케이싱(11)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하여 이들이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고정볼트(57)를 케이싱(11)에 체결하면 외측리브(61) 및 내측리브(63)사이에 수용된 실링부재(51)는 두께방향으로 압축되어 실링부재(51)와 케이싱(11)의 상부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내외공간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싱(11)과 실링부재(51)의 상호 접촉면 또는 실링부재(51)와 터미널커버(45)의 상호 접촉면사이에 이물질이 개재될 경우에도, 고정볼트(57)를 체결하게 되면 실링부재(51)는 고정볼트(57)의 체결력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압축됨과 동시에 두께방향에 가로로 즉, 실링부재(51)의 판면방향을 따라 팽창되어 외측리브(61) 및 내측리브(63)의 내측연부면에 탄성적으로 접촉됨으로써 터미널커버(45)의 내외공간의 기밀을 유지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터미널커버의 개구측 단부에 실링부재의 외측 및 내측에 각각 배치되는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가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외측리브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외측리브 및 내측리브가 거의 동일한 길이구간에 형성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외측리브를 실링부재의 전 둘레길이구간에 걸쳐 형성하고 내측리브는 터미널 및 과부하보호기의 일부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연속적인 형태의 단일의 내측리브가 아닌 상호 이격배치된 복수의 내측리브의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커버에 실링부재의 외측연부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외측리브를 형성하여 터미널커버와 실링부재가 상호 탄성적으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수분이 터미널커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전기부품의 단락 또는 금속부품의 부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밀폐형 압축기가 제공된다.

Claims (4)

  1. 내부에 수용된 전동모터부 및 압축부를 외부에 대해 밀폐시키는 케이싱과; 상기 전동모터부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터미널과; 탄성부재로 적어도 일영역이 고리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둘레에 배치되는 판상의 실링부재와;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며 상기 개구측 단부로부터 상기 케이싱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실링부재의 외측연부를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형성되는 외측리브를 가지고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싱의 대향측에 상기 실링부재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터미널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외부에 대해 기밀적으로 유지시키는 터미널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외측리브의 대향측에 상기 터미널커버의 단부로부터 상기 외측리브의 돌출방향을 따라 돌출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구간에 걸쳐 연장형성되는 내측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리브 및 상기 내측리브는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수 있게 상기 실링부재의 두께에 비해 작은 돌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커버 및 상기 실링부재에는 상기 터미널커버 및 상기 실링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는 고정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볼트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
KR1020000034925A 2000-06-23 2000-06-23 밀폐형 압축기 KR200200003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925A KR20020000360A (ko) 2000-06-23 2000-06-23 밀폐형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4925A KR20020000360A (ko) 2000-06-23 2000-06-23 밀폐형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360A true KR20020000360A (ko) 2002-01-05

Family

ID=1967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925A KR20020000360A (ko) 2000-06-23 2000-06-23 밀폐형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036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104A (ko) 2018-05-03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US11193476B2 (en) 2016-12-21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oll compress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3476B2 (en) 2016-12-21 2021-12-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roll compressor
KR20190127104A (ko) 2018-05-03 2019-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3934B1 (ko) 압축기
CN102272455B (zh) 具有端子插塞组件的压缩机
US8210833B2 (en) Motor-driven compressor
WO2014068914A1 (ja) 電動圧縮機
US7175448B2 (en) Compressor having a terminal cluster block with locking end fittings
US20110103979A1 (en) Electric compressor
EP1887225A1 (en) Electric compressor
US20220278481A1 (en) Seal arrangement of a plug-in connection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a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with the seal arrangement
CN111033040B (zh) 密闭型压缩机
KR102289268B1 (ko) 전동 압축기
KR20020000360A (ko) 밀폐형 압축기
WO2022172712A1 (ja) 端子ユニット及び圧縮機
JP2002005019A (ja) 電装部品の保護装置
KR930001917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
US6674199B2 (en) Electric motor housing
KR100629594B1 (ko)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JP2007192184A (ja) 電動圧縮機
JPH05321840A (ja) 圧縮機の密封ターミナル装置
JP2017004891A (ja) シールドケーブルおよび電動圧縮機
EP4365449A1 (en) Electric compressor
JP3384620B2 (ja) 密閉型電動圧縮機
JP2000104692A (ja) 圧縮機のガスケット
KR200162038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단자
KR0131399Y1 (ko) 밀폐형 회전 압축기
JP2022147520A (ja) 電動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