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594B1 -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594B1
KR100629594B1 KR1020050019663A KR20050019663A KR100629594B1 KR 100629594 B1 KR100629594 B1 KR 100629594B1 KR 1020050019663 A KR1020050019663 A KR 1020050019663A KR 20050019663 A KR20050019663 A KR 20050019663A KR 100629594 B1 KR100629594 B1 KR 100629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pressor
plate
housing
termin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7371A (ko
Inventor
김호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5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자핀과 단자판에 형성된 단자홀의 접속부를 개별 또는 전체를 둘러싸면서 밀봉하는 제1밀봉부재와 제2밀봉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의 외측면과 상기 단자판에 걸쳐 압착되면서 밀봉됨에 따라, 상기 단자판의 외측에 별도의 밀봉수단을 추가로 구비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상기 단자핀과 단자홀을 밀봉하여 물 등의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된 것이다.
압축기, 전원, 접속장치

Description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ELECTRIC POWER CONNECTION SYSTEM OF COMPRESSOR}
도 1은 일반적인 압축기 전원접속장치의 분리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 전원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의 분리 결합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압축기 20 - 전원접속장치
30 - 터미널보드 31 - 단자핀
40 - 하우징 41 - 고정구
50 - 케이블 51 - 단자홀
60 - 단자판 61 - 고정걸쇠
62 - 고정판 70 - 제1밀봉부재
71 - 제2밀봉부재
본 발명은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도록 된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냉매순환기관에서 저온저압의 기상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로 압축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또, 상기 압축기는 상기 냉매순환기관이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와 냉장고 등의 제품에 사용되며, 통상 외부전원의 인가에 의해 내부의 피스톤 또는 내부의 회전자를 회전시켜 발생되는 기계적인 압력 또는 원심력 등을 사용하여 상기 냉매를 압축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고압의 압축작용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압력차이가 있는 외부와의 밀폐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밀폐된 압축기에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 왔다.
여기서, 상기 밀폐된 압축기(10)에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원접속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전원접속장치는, 단자핀(31)과, 하우징(400)과, 단자판(600)과, 단자홀(51)과, 커버(800)로 구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상기 단자핀(31)은 상기 압축기(10)의 내부에 형성된 회전자 등에 연결된 전선이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이 연장된 전선의 선단에 또 다른 부품과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봉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단자핀(31)이 체결되어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을 통해 외부로 관통되고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압축기(10)의 외측 일면에서 외측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다수의 단자핀(31)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자핀(31)이 돌출되는 방향, 즉 상기 압축기(10)의 일면 전방으로 그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판(600)은 상기 하우징(40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400)의 내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판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단자판(600)은 전원의 인가에 따른 누전 및 방전을 방지하도록 높은 전압을 받으면 저항을 잃고 전류를 접지로 흐르게 하는 과전류 보호소자(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 단자홀(51)은 상기 단자핀(31)이 삽입되어 상호 접속되도록 상기 단자판(600)에 상기 각 단자핀(31)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이 개구의 내주면에 외부로 연장된 케이블(50)이 연결된 링형상의 단자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800)는 상기 단자판(600)이 결합된 하우징(400)의 외부를 덮어 막도록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400)의 내주에 접해 결합되는 것과 상기 하우징(400)의 외주에 결합되는 것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400)과 결합되는 일면이 개방된 박스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1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봉형상을 이루고 다수의 단자핀(3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자핀(31)을 둘러싸도록 하우징(400)이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400)의 내부로 판형상의 단자판(600)이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단자판(600)에 개구된 다수의 단자홀(51)이 상기 단자핀(31)에 끼워져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400)의 내부에 단자판(60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00)의 외부에 커버(800)가 결합되어 상기 전원접속장치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접속장치는, 상기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커버(800)와 하우징(400)의 결합이 상기 하우징(400)과 커버(800)의 외주면이 상호 겹쳐서 결합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하우징(400)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800)의 외주면 사이의 미세한 틈으로 물 등의 외부 이물질이 침투되어 상기 단자핀(31) 또는 단자홀(51)에 접속되면서 상기 단자핀(31) 등에서 누전 및 방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단자판(600)은 상기 커버(800)와 하우징(400)의 결속력에 의해 상기 단자핀(31)에 결합되도록 되고 상기 커버(800)가 상기 단자판(600)의 외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체결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10)에서 발생되는 진동 등에 의해 상기 단자판(600)의 단자홀(51)이 상기 단자핀(31)에서 이탈되고 상기 단자핀(31)이 이탈된 단자판(600)이 상기 단자핀(31)에서 이탈되어 상기 압축기(10)에 원활한 전원공급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커버(800) 및 하우징(400)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커버(800) 및 하우징(400)이 부식되고, 이 부식된 부위를 통해 물 등의 외부 이물질이 상기 커버(800) 및 하우징(400)의 내부로 침투됨과 더불어, 상기 단자핀(31)에 접속되면서 방전 및 누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압축기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된 단자홀에 끼워지는 단자핀을 외부로부터 밀봉하도록 된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외부로 돌출된 단자핀 부분을 2중으로 밀봉하도록 된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단자핀과 단자홀이 접속되도록 결합되는 부품의 수가 축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 해당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단자핀과 단자홀이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홀이 지지되어 상기 단자핀과 단자홀이 상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의 일면에서 돌출된 단자핀과, 상기 단자핀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과 접하는 면에 상기 단자핀이 삽입되어 접속되도록 된 단자홀이 형성된 단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단자핀이 돌출된 압축기의 일면, 상기 단자핀의 돌출부분에 상기 압축기의 외측면과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판형상으로 터미널 보드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하우징의 양단,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외주면에 사각형상으로 개구된 고정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단자판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깊이와 동일한 깊이를 이루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단자판에 형성된 단자홀에 외부전원 또는 접지와 연결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단자판의 상호 마주보는 양단에서 외측으로 판형상을 이루는 고정판이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의 고정구에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단자판의 양단 중에서 일단에서 상기 고정판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단자판의 타단에서 상기 고정판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돌출됨과 더불어 그 선단부에 고리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고정걸쇠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단자판을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단자판에 형성된 단자홀들을 둘러싸도록 통형상의 제1밀봉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1밀봉부재는 상기 터미널보드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단자홀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도록 통형상으 로 형성된 제2밀봉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2밀봉부재와 제1밀봉부재는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일반적인 종래구조를 도시한 도 1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10)의 일측면에 전원접속장치(2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20)를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40)과 단자판(60)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40)과 단자판(60)이 결합된 것을 나타내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20)는 단자핀(31)과, 하우징(40)과, 단자판(60)과, 단자홀(51)과, 제1밀봉부재(70) 및 제2밀봉부재(7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접속장치(20)는 공기조화기 또는 냉장고에 사용되는 압축기(10)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도록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전원접속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단자핀(31)은, 상기 압축기(10)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자 등에 연결된 전선과 연결되며,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단자핀(31)은 상기 압축의 용도 및 용량 등에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전극을 포함하여 3개의 단자핀(31)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자핀(31)이 압축기(10)의 외측으로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10)의 외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에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판형상의 터미널보드(30)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기(10)의 일측 외면에 판형상의 터미널보드(30)가 부착되고, 이 터미널보드(30)의 외측으로 다수 단자핀(3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0)은 상기 단자핀(31)을 둘러싸도록 상기 단자핀(31)을 중심으로 하는 통형상으로 상기 압축기(10)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터미널보드(30)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외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상기 하우징(40)은 고정구(4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41)는 상기 하우징(40)의 마주보는 양면, 즉 상기 하우징(40)의 상/하면 또는 상기 하우징(40)의 좌/우측면에 사각형상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구(4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40)의 상/하면 중앙부가 외측으로 더 돌출된 부분에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단자판(60)은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우징(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이루는 판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40)이 상기 단자핀(31)들을 둘러싸는 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자판(60)은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로 삽입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단자판(60)은 상기 하우징(4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를 밀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우징(40)의 외측 선단에 이르는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홀(51)은 상기 단자판(60)의 중앙부에 상기 단자핀(31)들에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 상기 단자핀(31)과 접속되는 전극이 설치된다.
또, 상기 단자홀(51)은 상기 단자판(60)의 내부에서 외부전원 및 접지와 연결되는 케이블(50)과 연결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판(60)의 양단에서 고정판(6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62)은 상기 하우징(40)에 형성된 고정구(41)와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단자판(60)의 상/하단 또는 좌/우측단에서 외측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판(62)은 상기 단자판(60)의 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단자판(60)의 타면에서 고정걸쇠(61)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62)은, 상기 단자판(60)의 일면에서 상기 단자판(60)에 수평을 이루는 외측방향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판(62)의 고정구(41)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단자판(60)에서 하우징(40)의 방향으로 소정각도 기울어져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걸쇠(61)는 상기 고정판(62)이 형성된 단자판(60)의 일단 반대편 타단에서 상기 고정판(62)의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 상기 고정구(41)의 측방향에서 이동되면서 걸쳐지도록 상기 고정걸쇠(61)의 선단 상부로 돌출된 돌기가 형성된 것, 즉 상기 단자판(60)에서 소정각도를 이루는 판이 돌출됨과 더불어, 상기 고정구(41)에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굴곡되고 이 굴곡부의 외측면에서 상기 고정구(41)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제1밀봉부재(70)는 상기 단자홀(51)들을 둘러싸도록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자홀(51)이 형성된 단자판(60)의 일면에 접합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제1밀봉부재(70)는 상기 단자핀(31)과 단자홀(51)이 상호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10)의 일면에 부착된 터미널보드(30)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판(60)과 터미널보드(30)의 외주 압축기(10) 일면과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보드(30)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상기 터미널보드(30)의 외주형상과 동일한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보드(30)가 원판형상을 이루고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1밀봉부재(70)는 상기 단자판(60)과 압축기(10) 일면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밀봉부재(71)는 상기 단자홀(51)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도록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상을 이루고 형성된다.
또, 상기 제2밀봉부재(71)는 상기 단자홀(51)이 형성된 단자판(60)의 일면에서 상기 단자핀(31)이 돌출된 터미널보드(30)에 이르는 거리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밀봉부재(70)와 제2밀봉부재(71)는 고무 등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되며, 전기절연과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핀(31)이 3개로 구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단자홀(51)이 3개로 구성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자판(60)에 형성된 각 단자홀(51)의 외측에 제2밀봉부재(71)가 각각 설치되고, 이 3개의 제2밀봉부재(71)들을 둘러싸도록 제1밀봉부재(70)가 상기 단자판(60)의 일면에 부착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의 조립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압축기(10)의 내부 회전자 등과 연결된 전선의 선단에 접속된 단자핀(31)이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 외부로 봉형상을 이루고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핀(31)과 압축기(10)의 외표면이 상호 전기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단자핀(31)이 돌출 형성되는 부위에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판형상의 터미널보드(30)가 설치된다.
상기 단자핀(31)이 돌출되고 터미널보드(3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보드(3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통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40)이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40)의 외부에서 하우징(4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하우징(40)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40)의 내부로 단자판(60)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단자판(60)의 양단에서 돌출된 고정판(62) 또는 고정걸쇠(61)에 의해 상기 단자판(60)이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62)은 상기 단자판(60)의 일단에서 외측으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판(62)의 선단부를 상기 하우징(40)의 고정구(41) 내로 삽입하여 상기 단자판(60)의 일단을 먼저 고정하고, 상기 나머지 고정판(62) 또는 고정걸쇠(61)를 다른 고정구(41)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단자판(60)을 하우징(4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일단의 고정판(62)이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의 고정판(62)을 소정압력으로 구부려 상기 하우징(40)의 타단에 개구된 고정구(41)의 내부로 삽입하여 상기 단자판(60)의 양단을 하우징(40)에 고정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타단에 고정걸쇠(61)가 형성된 경우, 상기 일단의 고정판(62)이 고정구(41)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타단의 고정걸쇠(61)를 하우징(40)에 형성된 고정구(41)의 측부에서 삽입하여 상기 고정걸쇠(61)의 선단이 고정구(41)를 지나쳐 이동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고정걸쇠(61)의 상부로 돌출된 돌기가 상기 고정구(41)의 내부로 삽입되고 걸쳐지도록 하여 상기 단자판(60)의 타단이 상기 하우징(40)의 타단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단자판(60)이 고정판(62) 또는 고정걸쇠(61)에 의해 상기 하우징(40)의 내부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단자판(60)의 상기 하우징(40) 방향 일면에 체결된 제1밀봉부재(70)와 제2밀봉부재(71)가 상기 압축기(10)의 일면과 터미널보드(30)에 밀착된다.
상기 제1밀봉부재(70)는 상기 터미널보드(30)의 외주부에 밀착됨과 더불어, 그 선단이 상기 압축기(10)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제1밀봉부재(70)의 내부와 외부를 격리시키게 되고, 상기 압축기(10)의 외측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기 단자판(60)이 고정판(62)과 고정걸쇠(61)의 고정력에 의해 상기 압축기(10)의 외측면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단자판(60)에 의해 더 눌리게 되는 경우, 상기 제1밀봉부재(70)의 자체 탄력에 의해 상기 밀봉부재의 외주면이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단자판(60)과 압축기(1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또, 상기 제2밀봉부재(71)는 상기 단자판(60)이 하우징(40)의 내부로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터미널보드(30)에 그 선단이 밀착되어 상기 단자판(60)이 하우징(40)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단자홀(51)의 내부로 삽입된 단자핀(31)의 외측부가 밀봉된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에 형성된 하우징(40)에 단자판(60)이 고정판(62) 및 고정걸쇠(61)를 매개로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단자판(60)에 형성된 단자홀(51)이 상기 압축기(10)의 일측면에서 돌출된 단자핀(31)에 끼워지면서 상기 단자핀(31)과 단자홀(51)이 접속되고, 상기 단자판(60)이 하우징(40)에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단자판(60)에 부착된 제1밀봉부재(70)와 제2밀봉부재(71)가 각각 상기 압축기(10)의 외측면과 터미널보드(30)에 밀착되어 상기 단자핀(31)과 단자홀(51)을 외부로부터 격리함과 더불어, 상기 제2밀봉부재(71)에 의해 격리된 단자핀(31)과 단자홀(51)을 상기 단지밀봉부재의 외측 형성된 제1밀봉부재(70)가 2중으로 격리하여 상기 단자핀(31)과 단자홀(51)의 밀봉이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핀을 둘러싸도록 압축기에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로 단자판을 끼움과 더불어, 상기 단자핀 및 단자홀을 밀봉하도록 되어 상기 단자핀과 단자홀에 대한 밀봉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단자핀과 단자홀을 제1밀봉부재와 제2밀봉부재로써 2중으로 밀봉하도록 되어 상기 단자핀과 단자홀에 대한 밀봉효율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압축기의 일측면 외부로 돌출된 다수의 단자핀과;
    상기 단자핀을 둘러싸도록 상기 압축기의 일측면에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끼워지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단자판과;
    상기 다수의 단지핀이 끼워지도록 상기 단자판의 내부로 함몰 형성됨과 더불어 외부전원과 연결된 다수의 단자홀과;
    상기 단자판을 통해서 상기 다수의 단자홀에 접속되는 케이블과;
    상기 다수의 단자홀을 둘러싸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의 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판의 단자홀 형성방향 일면에 통형상을 이루어 상기 케이블과 겹치지 않게 형성되는 제1밀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을 개별적으로 둘러싸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단자판의 단자홀 형성방향 일면에서 통형상으로 돌출된 제2밀봉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밀봉부재와 제2밀봉부재는 탄력적인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마주보는 양단에 개구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단자판의 양단에서 상기 고정구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판의 일단에 상기 고정구와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그 외측면에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는 돌기가 돌출된 고정걸쇠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KR1020050019663A 2005-03-09 2005-03-09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KR10062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63A KR100629594B1 (ko) 2005-03-09 2005-03-09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63A KR100629594B1 (ko) 2005-03-09 2005-03-09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71A KR20060097371A (ko) 2006-09-14
KR100629594B1 true KR100629594B1 (ko) 2006-09-27

Family

ID=3762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663A KR100629594B1 (ko) 2005-03-09 2005-03-09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55B1 (ko) * 2014-01-17 2020-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CN105422420B (zh) * 2015-12-07 2017-12-29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压缩机上盖卡片、压缩机上盖组件及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71A (ko) 2006-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4334B2 (en) Compressor
KR102583934B1 (ko) 압축기
EP2039932B1 (en) Sealed terminal device for electric compressor
CN102272455B (zh) 具有端子插塞组件的压缩机
JP4562699B2 (ja) 電動圧縮機
EP1739794B1 (en) Terminal cluster block
CN113287233B (zh) 用于插塞连接电连接的装置
KR101935283B1 (ko) 전동식 압축기용 인버터 어셈블리
US8876496B2 (en) Offset electrical terminal box with angled studs
US20220278481A1 (en) Seal arrangement of a plug-in connection for establishing electrical connections and a device for driving a compressor with the seal arrangement
CN113464436A (zh) 电动压缩机
KR100629594B1 (ko)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CN109072894B (zh) 逆变器一体型电动压缩机
US10107293B2 (en) Electric compressor
KR102517731B1 (ko) 압축기
KR102289268B1 (ko) 전동 압축기
JP7400459B2 (ja) 電動圧縮機
KR102493783B1 (ko) 전동 압축기용 매그메이트 터미널
KR20200039369A (ko) 밀폐형 압축기
KR102477341B1 (ko) 카트리지형 인버터를 포함하는 압축기
WO2022202803A1 (ja) 電動圧縮機
US20230007909A1 (en) Motor-driven compressor
US11996661B2 (en) Arrangement for plug connecting electrical connections
KR20020000360A (ko) 밀폐형 압축기
CN113027732A (zh) 压缩机的壳体组件、压缩机及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