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955B1 -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955B1
KR102137955B1 KR1020140006245A KR20140006245A KR102137955B1 KR 102137955 B1 KR102137955 B1 KR 102137955B1 KR 1020140006245 A KR1020140006245 A KR 1020140006245A KR 20140006245 A KR20140006245 A KR 20140006245A KR 102137955 B1 KR102137955 B1 KR 102137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pressor
coupled
oil level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082A (ko
Inventor
허진혁
김성조
조현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955B1/ko
Priority to CN201410790646.4A priority patent/CN104792387B/zh
Publication of KR20150086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35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8Safety arrangements;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2Fluid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30Casings or hous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는, 유면센서의 터미널부와 센서부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압축기의 조립시 터미널부가 미리 결합된 바디쉘에 고정자를 열박음한 상태에서 센서부를 터미널부에 체결하여 분리형 유면센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면센서를 서브베어링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부캡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크랭크축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전체적으로 압축기 길이가 짧아져 재료비용이 절감되고 압축기의 진동 소음이 감소되며 오일의 봉입량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SEPERATING TYPE OIL SENSOR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압축기 내에 설치되어 오일 량을 감지하는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기구부와 그 전동기구부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기체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함께 구비되는 밀폐형 압축기가 구비되어 있다. 밀폐형 압축기는 기체의 압축방식에 따라 왕복동식, 로터리식, 스크롤식, 베인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밀폐형 압축기의 케이싱에는 압축기구부를 윤활하거나 또는 전동기구부를 냉각하도록 일정량의 오일이 채워져 있고, 이 오일의 일부는 압축기구부에 의해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면서 항상 일정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조절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압축기의 구조가 점점 복잡해지고 대형화 되면서 배관의 길이도 길어져 압축기에서 토출된 오일의 일부가 긴 배관에 잔류하여 압축기로 원활하게 회수되지 못하면서 압축기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압축기의 운전 초기에는 적정량의 오일을 압축기에 공급하더라도 냉동사이클의 운전 중에 상기 압축기 내에 저장되는 오일량이 불규칙적으로 변하면서 압축기 내 각 습동부로의 오일 공급이 일정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압축기의 신뢰성이 더욱 저하될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 내의 오일량의 변화를 확인하여 필요할 때마다 압축기 내부로 오일을 모으는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통상 압축기 내 오일량의 변화는 오일 레벨의 변화를 통해 확인하게 되는데, 상기 압축기내 오일 레벨은 투명창을 이용하여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유면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육안으로 오일 레벨의 변화를 확인하는 방식은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어서, 오일 레벨의 변화에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주기적으로 오일 회수 운전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압축기에 오일량이 충분한 경우에도 오일 회수 운전을 강제로 실시하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소모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면센서를 통해 감지된 오일 레벨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오일 회수 운전이 수행되도록 하는 방안이 알려져 있다. 이는 불필요한 오일 회수 운전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 소모량을 줄이고 압축기의 운전 시간을 늘릴 수 있어 효율적이다.
도 1은 종래 스크롤 압축기에서 유면센서가 설치된 예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10)의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케이싱(10)의 밀폐공간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전동기구부(20) 및 그 전동기구부(20)에 크랭크축(30)으로 결합되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함께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10)은 원통모양의 바디쉘(11)과, 그 바디쉘(11)의 상하 양단을 밀봉하는 상부캡(12)과 하부캡(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케이싱(10)의 바디쉘(11)에는 전동기구부(20)의 고정자(21)가 열박음으로 고정되고, 고정자(21)의 하부에는 크랭크축(30)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브베어링(70)이 고정자(21)와 함께 바디쉘(11)에 열박음 또는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10)의 바디쉘(11)과 하부캡(13)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에는 일정량의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저장부(17)가 형성되고, 하부캡(13)에는 오일저장부(17)에 잔류하는 오일량을 검출하는 유면센서(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서와 같이, 유면센서(80)는 하부캡(13)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터미널부(81)와, 그 터미널부(81)에 고정되어 오일저장부(17)로 길게 연장되는 센서부(85)로 이루어져 있다. 터미널부(81)와 센서부(85)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5는 흡입공간, 16은 토출공간, 25는 코일, 26은 모터측 터미널, 40은 메인프레임, 50은 선회스크롤, 51은 선회스크롤의 경판부, 52는 선회랩, 53은 보스부, 60은 고정스크롤, 61은 고정스크롤의 경판부, 62는 고정랩, 63은 흡입구, 64는 토출구, 82는 단자핀, 86a 및 86b는 전극판, 87은 지지판, 88은 도체판, SP는 흡입관, DP는 토출관, S는 압축실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유면센서(80)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정자(21)의 열박음 작업 또는 유면센서(80)의 장착 작업이 곤란하였다. 즉, 바디쉘(11)에는 고정자(21)와 서브베어링(70)이 고정되지만 일체형 유면센서(80)가 바디쉘(11)에 먼저 결합되는 경우에는 고정자(21)의 열박음 작업이 어려워지게 되는 반면, 고정자(21)가 바디쉘(11)에 먼저 열박음되는 경우에는 서브베어링(70)과 유면센서(80)의 설치위치가 간섭되어 일체형 유면센서(80)를 조립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일체형 유면센서(80)를 서브베어링(70)의 하측에서 하부쉘(13)에 결합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크롤 압축기는, 일체형 유면센서(80)가 서브베어링(70)의 하측에서 하부쉘(13)에 결합되는 것이나, 이 경우에는 크랭크축(30)과 하부쉘(13)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어, 재료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것은 물론 압축기의 진동 소음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길이를 늘리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량의 오일이 담긴 압축기용 케이싱에 결합되어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압축기용 케이싱에 담긴 오일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압축기용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터미널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유면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용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접하는 상기 터미널부의 내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센서부의 일측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부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핀이 관통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부에는 센싱된 값을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브라켓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단자브라켓은 상기 단자핀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브라켓은 상기 센서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자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쪽 단부에서 연장된 부위를 말아 복수 개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 사이에 상기 단자핀을 삽입하여 그 단자핀이 상기 체결부들 사이에서 탄력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연장된 부위를 말아 단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에 상기 단자핀을 삽입하여 탄력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전극판; 및 복수 개의 전극판의 양단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판에 상기 단자브라켓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부와 이에 대응하는 센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터미널부 또는 센서부가 삽입되는 지지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축; 및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고정자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디쉘; 및 상기 바디쉘의 상하 양단을 밀봉하는 상부캡 및 하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쉘에 앞서 설명한 분리형 유면센서가 설치되는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및 상기 케이싱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의 하측에서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저면보다 높거나 같은 위치에 앞서 설명한 분리형 유면센서가 설치되는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는, 유면센서의 터미널부와 센서부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압축기의 조립시 터미널부가 미리 결합된 바디쉘에 고정자를 열박음한 상태에서 센서부를 터미널부에 체결하여 분리형 유면센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면센서를 원하는 위치, 즉 서브베어링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부캡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크랭크축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전체적으로 압축기 길이가 짧아져 재료비용이 절감되고 압축기의 진동 소음이 감소되며 오일의 봉입량도 낮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유면센서가 설치된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유면센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면센서가 설치된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I-I"선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따른 유면센서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및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II-II"선단면도,
도 8은 도 6에서 센서부를 지지하는 다른 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6에서 단자브라켓의 체결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면센서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면센서가 설치된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I-I"선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기구부(20)가 설치되고, 상기 전동기구부(20)의 상측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동기구부(20)와 압축기구부는 크랭크축(30)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전동기구부(20)의 회전력이 압축기구부로 전달되어 그 압축기구부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은 흡입관(SP)이 연결되는 흡입공간(15)과 토출관(DP)이 연결되는 토출공간(16)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10)은 상하 양단이 개구된 원통모양으로 바디쉘(11)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쉘(11)의 상하 양단을 상부캡(12)과 하부캡(13)으로 밀봉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디쉘(11)과 하부캡(13)으로 이루어진 하부공간에는 오일이 담겨지는 오일저장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쉘(11)에는 전동기구부(20)의 일부를 이루는 고정자(21)가 열박음되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쉘(11)의 일단에는 고정자(21)에 구비된 코일(25)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모터용 터미널(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반대쪽, 즉 후술할 유면센서(100)의 터미널부(110)가 장착된 쪽으로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모터용 터미널(26)이 유면센서의 터미널부(110)에 비해 크고 복잡하기 때문에 모터용 터미널(26)이 장착된 쪽으로 삽입할 경우 고정자(21)와 간섭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자(21)의 안쪽에는 회전자(22)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회전자(22)에는 크랭크축(30)이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30)의 상부는 후술할 메인베어링(40)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크랭크축(30)의 하부는 후술할 서브베어링(70)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메인베어링(40)과 서브베어링(70)은 모두 바디쉘(11)에 압입되어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축(30)의 상단에는 압축기구부를 이루는 선회스크롤(50)이 결합되고, 상기 선회스크롤(50)에는 고정스크롤(60)이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경판부(51)에는 선회랩(52)이, 상기 고정스크롤(60)의 경판부(61)에는 고정랩(62)이 인벌류트 형상 또는 이를 변형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랩(52)과 고정랩(62)의 사이에는 양쪽 스크롤의 상대운동에 의해 흡입실, 중간압실, 토출실로 이어지는 압축실(S)이 연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50)의 하측에는 메인베어링(40)이 위치하고, 상기 메인베어링(40)에는 고정스크롤(60)이 고정되거나 또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인베어링(40)과 고정스크롤(60) 사이에 선회스크롤(5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30)의 내부에는 축방향으로 오일유로(3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오일유로(31)의 하단에는 케이싱(10)의 오일을 펌핑하도록 오일펌프(3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30)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브베어링(70)은 고정자(21)와 함께 바디쉘(11)에 열박음 또는 용접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베어링(70)은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축수부(71)의 외주면에 복수 개의 고정부(72)를 가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고정부(72)를 갖는 경우 그 고정부(72)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상기 오일저장부(17)에 저장된 오일량을 검출하기 위한 유면센서(100)가 설치될 있다. 물론, 서브베어링(70)이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유면센서가 서브베어링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이면 어디에나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와 같이 유면센서가 분리형인 경우에는 고정자의 열박음 작업과 무관하게 유면센서를 고정자보다 나중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유면센서의 위치는 서브베어링의 상측에도 설치할 수 있고 하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유면센서(100)는 열반응센서 또는 전위차센서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전극판을 이용하여 오일량에 따른 물성치 변화를 직접 비교하여 오일부족 여부를 검출하는 유면센서가 적용된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3에 따른 유면센서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및 조립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유면센서(100)는 외부의 제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부(110)와 상기 오일저장부(17)의 오일량을 검출하는 센서부(120)가 서로 분리 가능한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미널부(110)는 통상의 모터용 터미널과 같이 하우징(111)이 캡 모양으로 형성되어 바디쉘(11)에 구비되는 관통구멍(11a)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주벽면에 확장부(111a)가 형성됨에 따라 케이싱(1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삽입시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확장부(111a)가 관통구멍(11a) 주변의 바디쉘(1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실링력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111b)이 바디쉘(11)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확장부(111a)는 물론 후술할 단자핀(112)(113)이 고정자(21)의 열박음시 간섭되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1)의 바닥면(111b)에는 외부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단자핀(112)(113)이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자핀(112)(113)은 그 내측단이 확장부(111a)의 끝단보다 길지 않은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고정자(21)의 열박음시 간섭되지 않아 바람직할 수 있다. 또, 상기 단자핀(112)(113)은 도체이고, 상기 센서부(12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과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1)에 용접으로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써, 단자핀(112)(113)은 후술할 단자브라켓(125)(126)에 삽입된 상태에서 탈거되지 않고 센서부(120)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20)는 좌우 양측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복수 개의 전극판(121)(122)과,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판(121)(122)의 양단을 각각 지지하여 그 복수 개의 전극판(121)(122)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지지판(123)(12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판(123)(124)은 복수 개의 전극판(121)(122)이 서로 절연될 수 있도록 절연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판(121)(122)의 양측면, 즉 좌측 전극판(121)의 바깥면과 우측 전극판(122)의 바깥면에는 상기 단자핀(112)(1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단자브라켓(125)(126)이 각각 용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단자브라켓(125)(126)은 도 7에서와 같이 전극판(121)(122)에 고정되는 고정부(125a)(126a)와, 그 고정부(125a)(126a)의 양단에서 안쪽으로 둥글게 감기며 그 단부가 고정부(125a)(126a)와 이격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체결부(125b)(126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양쪽 체결부(126a)(126b) 사이에 단자핀(112)(113)을 삽입하는 경우, 양쪽 체결부(125b)(126b)가 단자핀(112)(113)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체결되어 센서부(120)가 터미널부(1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미널부(110)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센서부(120)의 지지판 테두리를 감싸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지지돌기(111c)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센서부(120)의 단자브라켓(125)(126)에 터미널부(110)의 단자핀(112)(113)을 삽입할 때 상기 센서부(120)의 지지판(124)의 테두리가 터미널부(110)의 지지돌기(111c)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120)는 단자핀(112)(113)과 단자브라켓(125)(126) 사이의 탄성력 외에 지지판(124)과 지지돌기(111c) 사이의 지지력까지 합해져 상기 센서부(1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체결부 사이에 단자핀을 끼워 탄력 지지되는 경우를 살펴보았으나, 도 9에서와 같이 한 개의 체결부(125b)(126b) 안쪽에 단자핀(112)(113)을 삽입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구성이나 작용 효과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체결부(125b)(126b)가 한 개이면서도 단자핀(112)(113)을 삽입하여 체결함에 따라 센서부(120)를 안적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단자핀을 이용하여 센서부를 지지하는 것이었으나, 별도의 체결돌기와 체결홈을 형성하여 센서부를 체결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른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대동소이하다.
상기와 같이 터미널부와 센서부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에 따라, 압축기의 조립시 터미널부가 미리 결합된 바디쉘에 고정자를 열박음한 상태에서 센서부를 터미널부에 체결하여 분리형 유면센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면센서를 원하는 위치, 즉 서브베어링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하부캡의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크랭크축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전체적으로 압축기 길이가 짧아져 재료비용이 절감되고 압축기의 진동 소음이 감소되며 오일의 봉입량도 낮출 수 있다.
11 : 바디쉘 11a : 관통구멍
100 : 유면센서 110 : 터미널부
111 : 하우징 112,113 : 단자핀
120 : 센서부 121,122 : 전극판
123,124 : 지지판 125,126 : 단자브라켓
125a,126a : 고정부 125b,126b : 체결부

Claims (10)

  1. 소정량의 오일이 담긴 압축기용 케이싱에 결합되어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압축기용 케이싱에 담긴 오일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압축기용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터미널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미널부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핀이 관통되어 고정 결합되고, 상기 센서부에는 센싱된 값을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단자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브라켓이 고정 결합되며,
    상기 단자브라켓은 상기 단자핀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 유면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부와 이에 대응하는 센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터미널부 또는 센서부가 삽입되는 지지돌기가 더 형성되는 분리형 유면센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브라켓은 상기 센서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단자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부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유면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쪽 단부에서 연장된 부위를 말아 복수 개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 개의 체결부 사이에 상기 단자핀을 삽입하여 그 단자핀이 상기 체결부들 사이에서 탄력 지지되도록 하는 분리형 유면센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서 연장된 부위를 말아 단수개로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에 상기 단자핀을 삽입하여 탄력 지지되도록 하는 분리형 유면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 개의 전극판; 및
    복수 개의 전극판의 양단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 개의 전극판에 상기 단자브라켓이 각각 결합되는 분리형 유면센서.
  8. 소정량의 오일이 담긴 압축기용 케이싱에 결합되어 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부; 및
    상기 압축기용 케이싱에 담긴 오일량을 검출하도록 상기 압축기용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터미널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터미널부와 이에 대응하는 센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상기 터미널부 또는 센서부가 삽입되는 지지돌기가 더 형성되는 분리형 유면센서.
  9.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축; 및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고정자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디쉘; 및
    상기 바디쉘의 상하 양단을 밀봉하는 상부캡 및 하부캡;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쉘에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분리형 유면센서가 설치되는 압축기.
  10. 밀폐된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자;
    상기 고정자의 안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자;
    상기 회전자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크랭크축;
    상기 크랭크축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작동하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구부; 및
    상기 케이싱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고정자의 하측에서 상기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의 저면보다 높거나 같은 위치에 제1항, 제4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의 분리형 유면센서가 설치되는 압축기.
KR1020140006245A 2014-01-17 2014-01-17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KR102137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245A KR102137955B1 (ko) 2014-01-17 2014-01-17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CN201410790646.4A CN104792387B (zh) 2014-01-17 2014-12-18 分离式液面传感器以及具有该液面传感器的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245A KR102137955B1 (ko) 2014-01-17 2014-01-17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082A KR20150086082A (ko) 2015-07-27
KR102137955B1 true KR102137955B1 (ko) 2020-07-27

Family

ID=5355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245A KR102137955B1 (ko) 2014-01-17 2014-01-17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7955B1 (ko)
CN (1) CN10479238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4544B2 (ja) * 2016-02-15 2018-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109863373B (zh) * 2016-10-19 2021-12-07 三菱电机株式会社 制冷循环装置
KR102045463B1 (ko) 2018-05-28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DE112019002722B4 (de) 2018-05-28 2022-11-17 Lg Electronics Inc. Ölerkennungsgerät für einen kompressor und dasselbe umfassenden kompressor
KR102163896B1 (ko) 2018-11-09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오일 검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압축기
LU100941B1 (en) * 2018-10-02 2020-04-02 Luxembourg Patent Co Capacitive level gauge with lamellar electrodes connected by pressure contact
CN212658310U (zh) * 2020-05-08 2021-03-05 艾默生电气(珠海)有限公司 液位传感器
CN112576491B (zh) * 2020-11-13 2022-0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信号采集系统、压缩机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9160A (ja) * 2004-07-14 200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圧縮機
KR100629594B1 (ko) * 2005-03-09 2006-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전원접속장치
KR100853686B1 (ko) * 2007-01-15 2008-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의 유면 측정 장치
JP2009030674A (ja) * 2007-07-25 2009-02-12 Smc Corp 位置検出センサの取付機構
KR101690127B1 (ko) * 2010-04-28 201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JP5838408B2 (ja) * 2011-10-27 2016-01-06 株式会社生方製作所 静電容量式液面センサー
CN202485749U (zh) * 2011-11-29 2012-10-10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传感器以及包括传感器的压缩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082A (ko) 2015-07-27
CN104792387B (zh) 2019-03-12
CN104792387A (zh) 201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955B1 (ko) 분리형 유면센서 및 이 유면센서를 구비한 압축기
US9133843B2 (en) Scroll compressor having first and second oil grooves formed in fixed and orbiting scroll that are communicable
US10648471B2 (en) Scroll compressor
US8858196B2 (en) Hermetic compressor
EP3263900B1 (en) Scroll-type compressor
CN104603460B (zh) 电动压缩机
EP2390507A2 (en) Shaft bearing clearances for an hermetic compressor.
US6386840B1 (en) Oil return for reduced height scroll compressor
EP2594737A2 (en) Rotary Com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342827B2 (en) Hermetic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ving the same
WO2016125228A1 (ja) 圧縮機
JP6023973B2 (ja) 電動圧縮機
JP2014136985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101099114B1 (ko) 차량용 스크롤 압축기 제어방법
JP5136018B2 (ja) 電動圧縮機
JP201615629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277211B1 (ko) 밀폐형 압축기
JP6574519B2 (ja) 密閉型ロータリ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H0718425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0186475B1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용기 결합장치
KR101161463B1 (ko) 고정자 일체형 프레임을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및 이의제작방법
KR100608868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조립구조
JP201414188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5078665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1391227B1 (ko) 스크롤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