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6454A - 평벨트를 이용한 클린룸용 호이스트장치 - Google Patents

평벨트를 이용한 클린룸용 호이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6454A
KR20120106454A KR1020110024569A KR20110024569A KR20120106454A KR 20120106454 A KR20120106454 A KR 20120106454A KR 1020110024569 A KR1020110024569 A KR 1020110024569A KR 20110024569 A KR20110024569 A KR 20110024569A KR 20120106454 A KR20120106454 A KR 20120106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belt
belt
hook
hooks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to KR1020110024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06454A/ko
Priority to CN2011101811306A priority patent/CN102674153A/zh
Publication of KR20120106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64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12Slings comprising chains, wires, ropes, or bands; Nets
    • B66C1/18Band-type s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66D1/34Attachment of ropes or cables to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1Cable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대상장비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대칭적으로 연결 및 고정되는 호이스팅블럭을 지지하는 호이스트프레임; 상기 호이스트프레임에서 일측과 타측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최소 4개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구동부; 상기 호이스트프레임의 중심에서 일측과 타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후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메인드럼을 포함하는 구동축; 및 상기 메인드럼에 선단이 고정되어 상기 후크구동부에 포함되는 상기 최소 4개 이상의 후크에 연결되는 평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Hoist device using belt}
본 발명은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평벨트를 이용하여 중량물의 기울어짐이 없도록 다수의 지지점에서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어 반도체 제조장비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정밀한 위치제어를 요구하는 크린룸과 같은 청정공간에 적합하도록 한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장치는 중량물을 들어올려 운반하기 위한 건물 가설형 운반구에 관한 장치이다. 아울러 반도체 산업현장에서는 클린룸과 같은 청정공간에서 반도체 제조장치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위하여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호이스트 장치가 요구되었다.
종래의 호이스트장치는 와이어로프를 원통형 드럼에 나선형으로 감거나 풀어주는 방식을 적용한 장치와, 체인을 스프로킷을 통해 감거나 풀어주는 형식으로 회수체인보관함을 구비하는 방식으로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호이스트장치는 금속성 재질로서 제작되는 와이어로프 및 체인을 적용함에 따라서 금속성분진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크린룸과 같은 청정공간에서의 작업시에 금속성분진에 의한 오염이 발생될 수 있고, 원통형드럼이나 스프로킷을 통해 감거나 풀어주기 때문에 기울어짐이나 코임등의 정밀운반을 저해하는 자유도를 최소화해야되기 때문에 작업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에 따라 작업효율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린룸과 같은 청정공간에 적합하도록 그리스의 사용 및 금속성분진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지지점을 구비하여 평벨트를 이용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벨트를 호이스트장치에 적용함에 있어서 평벨트의 선단을 고정하는 벨트쐐기의 드럼을 구비하여 회전이나 기울어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동기구동이 가능한 최소 4개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벨트의 선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벨트쐐기방식을 적용한 드럼이 구비된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 있어서, 대상장비에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대칭적으로 연결 및 고정되는 호이스팅블럭을 지지하는 호이스트프레임; 상기 호이스트프레임에서 일측과 타측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최소 4개 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구동부; 상기 호이스트프레임의 중심에서 일측과 타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후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메인드럼을 포함하는 구동축; 및 상기 메인드럼에 선단이 고정되어 상기 후크구동부에 포함되는 상기 최소 4개 이상의 후크에 연결되는 평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은 상기 후크 구동부에서 일측에 설치되는 후크에 연결되는 평벨트의 선단과 타측에 설치되는 평벨트의 선단이 각각 고정되도록 클램프허브의 내측에 벨트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후크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설치되는 최소 4개 이상의 후크와, 상기 메인드럼에 각각 선단이 연결되는 평벨트의 끝단이 고정되어 감기 또는 풀기를 반복하는 적어도 한 쌍의 서브드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팅블럭은 상기 최소 4개 이상의 후크와 상기 한 쌍의 서브드럼에 연동되어 상기 평벨트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블럭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평벨트를 이용하여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므로 체인과 같은 금속성 재질의 수단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금속성 분진의 발생이 방지되며 그리스의 사용이 억제됨에 따라서 내부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린룸과 같은 청정공간에서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기구동이 가능하도록 최소 4개 이상의 후크를 동기 구동시키므로 회전이나 기울어짐의 영향이 최소화됨에 따라 정밀한 위치제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서 구동축을 도시한 평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서 드럼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서 드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는 대상장비(70)에 연결되는 연결수단(50)과, 상기 연결수단(50)이 고정되는 호이스팅블럭(60)과,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을 승하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포함되는 호이스트프레임(10)과,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0)에서 구동력을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축(20)과, 상기 구동축(2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20)의 구동력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최소 4개 이상의 후크구동부(3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축(20) 내지 후크구동부(30)와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이 평벨트(40)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평벨트(40)는 상기 구동축(20)의 구동에 의해서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연결수단(50)에 의해 연결되는 대상장비(70)를 승하강시키는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평벨트(40)는 금속성분진이 발생되지 않고, 구리스와 같은 윤활유가 적용되지 않는 비금속재질로서 제작된다.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0)은 내측에 구동축(20)을 수용하고 전면에서 최소 4개이상의 후크를 포함하는 후크구동부(3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0)은 하측에서 지지수단(62)을 통하여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을 지지한다.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은 상기 후크구동부(30)에 연동되어 상기 평벨트(40)가 연결되는 적어도 한 쌍의 블럭후크(61)이 설치되며 대상장비(70)에 연결되는 연결수단(50)이 고정된다.
상기 후크구동부(30)는 상기 구동축(20)을 중심으로 하여 일측과 타측에서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최소 4개 이상의 후크와, 상기 최소 4개 이상의 후크에 연동되어 정역회전하는 최소 한 쌍의 서브드럼(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소 4개 이상의 후크는, 예를 들면, 일측에서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0)의 전면에 설치된 제1후크(311)와, 상기 제1후크(311)의 상측 경사진 방향에서 설치되는 제2후크(312)와, 상기 제2후크(312)에서 하향되는 경사각을 갖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3후크(313)와, 상기 제1후크(311)와 직선상에 위치되는 제4후크(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후크(314)는 상기 구동축(20)의 정역회전방향에 따라서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축(2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서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20)의 회전력을 상기 호이스팅블럭(60)에 설치되는 블럭후크(61)에 전달한다.
상기 서브드럼(32)은 상기 구동축(20)을 중심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되고, 상기 평벨트(40)의 끝단이 고정되므로 상기 구동축(20)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평벨트(40)를 감거나 풀기동작을 수행하므로 상기 연결수단(50)에 고정되는 대상장비(70)를 이동 또는 승하강시키도록 힘을 전달하며 그 상세 구성은 하기의 구동축(20)과 함께 후술한다.
상기 구동축(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를 통하여 상기 구동축(20)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서 구동축(20)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축(20)은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0)의 중심에서 좌 우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후크구동부(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평벨트(40)의 선단(41)이 각각 고정되는 메인드럼(27)과, 샤프트(22)와, 드럼 및 구동축(20)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커넥터(24)와, 상기 회전커넥터(24)와 샤프트(22)를 연결하는 커플러(25)와, 상기 구동축(20)의 끝단을 보호하는 엔드캡(26)을 포함한다.
상기 모터(21)는 상기 회전커넥터(24)와 상기 커플러(25)를 통해 상기 샤프트(22)에 전달되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아울러 상기 모터(21)는 상기 메인드럼(27)에 연결됨에 따라서 상기 메인드럼(27)을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샤프트(22)는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상기 회전커넥터(24)와 커플러(25)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결된 메인드럼(27)을 회전시킨다.
상기 메인드럼(27)은 내측으로 모터(21)의 회전력에 의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제2후크(312)와 제3후크(313)에 각각 연결되는 평벨트(40)의 선단(41)이 각각 고정된다. 이는 하기의 도 5 내지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서 드럼을 도시한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에서 드럼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드럼(27)은 내측으로 모터(21)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모터연결축(273)과, 상기 모터연결축(273)의 외면에서 평벨트(40)를 가이드 및 양측에 연결되는 평벨트(40)의 선단(41)을 각각 고정시키는 클램프허브(271)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허브(271)는 상기 제1후크(311)와 제2후크(312) 및 제1서브드럼(321)에 연결되는 일측 평벨트(40)의 선단(41)과 상기 제3후크(313)와 제4후크(314) 및 제2서브드럼(322)에 연결되는 타측 평벨트(40)의 선단(41)을 고정하며, 상기 평벨트(40)의 선단(41)을 고정하기 위하여 쐐기형의 벨트쐐기(272)가 형성된다.
상기 벨트쐐기(272)는 상기 클램프허브(271)에서 상기 평벨트(40)의 선단(41)이 관통삽입되어 상기 클램프허브(271)의 외측으로 나갔다가 다시 처음 삽입된 경로의 상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로를 갖고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메인드럼(27)에 평벨트(4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드럼(32)은 상기 벨트쐐기(272)를 포함하고 있으며, 메인드럼(27)은 양측의 후크구동부(30)에 각각 연결되는 평벨트(40)의 선단(41)이 고정되도록 한 쌍의 벨트쐐기(272)가 형성되나 상기 서브드럼(32)은 평벨트(40)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벨트쐐기(272)가 포함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그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구동축(20)은 모터(2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메인드럼(27)은 모터(21)의 회전에 의해서 정역회전되므로 상기 벨트쐐기(272)에 의해 양측으로 연결되는 평벨트(40)를 감김 또는 풀어서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을 승하강시킨다. 이때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은 중심부에 상기 지지수단(62)에 의하여 고정됨에 따라서 상호간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블럭후크(61)에 전달되는 힘을 균형있게 분배하여야 대상장비가 기울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을 통해서 상기 대상장비의 위치제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힘을 전달하는 평벨트(40)를 다수개의 지지점을 통하여 균형있는 위치제어를 이루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메인드럼(27)에 선단(41)이 고정되는 일측과 타측의 평벨트(40)를 상기 구동축(20)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설치되는 상기 제1후크(311) 내지 제4후크(314)와, 상기 제1서브드럼(321) 및 제2서브드럼(322)을 통하여 지지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평벨트(40)는 상기 메인드럼(27)을 중심으로 하여 선단(41)이 상기 메인드럼(27)에 고정되어 일측으로 연장되므로 상기 제2후크(312)와 제1후크(311)와 제1블럭후크(61)에 각각 지지되어 상기 제1서브드럼(321)에 끝단이 고정된다. 또한 타측으로 연장되는 평벨트(40)는 선단(41)이 상기 메인드럼(27)에 고정되어 제3후크(313)와 제4후크(314) 및 제2블럭후크(61)에 지지되어 제2서브드럼(322)에 끝단이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축(20)의 정역회전과 연동되어 상기 제1서브드럼(321)과 제2서브드럼(322)이 정역회전되므로 상기 평벨트(40)를 감거나 풀게 되어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을 들어올리거나 내려놓기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4후크(314)는 상기 구동축(20)에 의한 회전력을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평벨트(40)의 지지점을 일측과 타측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제공함에 따라서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의 기울어짐이 없는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비금속성 재질로 제작된 평벨트(40)를 구비함에 따라서 구동시에 금속성 분진이 발생되지 않고, 그리스와 같은 윤활유가 필요없기 때문에 반도체 산업현장의 클린룸과 같이 청정도가 중요한 공간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10 : 호이스트프레임 20 : 구동축
21 : 모터 22 : 샤프트
23 : 감속기 24 : 회전커넥터
25 : 커플러 26 : 엔드캡
27 : 메인드럼 30 : 후크구동부
31 : 후크 32 : 서브드럼
40 : 평벨트 41 : 벨트선단
50 : 연결수단 60 : 호이스팅블럭
61 : 블럭후크 62 : 지지수단
70 : 대상장비 271 : 클램프허브
272 : 벨트쐐기 273 : 모터연결축
311 ~ 314 : 제1 내지 제4후크 321 : 제1서브드럼
322 : 제2서브드럼

Claims (4)

  1. 대상장비(70)에 연결되는 연결수단(50)이 대칭적으로 연결 및 고정되는 호이스팅블럭(60)을 지지하는 호이스트프레임(10);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0)에서 일측과 타측에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최소 4개 이상의 후크(311~314)를 포함하는 후크구동부(30);
    상기 호이스트프레임(10)의 중심에서 일측과 타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후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메인드럼(27)을 포함하는 구동축(20);
    상기 메인드럼(27)에 선단(41)이 고정되어 상기 후크구동부(30)에 포함되는 상기 최소 4개 이상의 후크(311~314)에 지지되어 상기 호이스팅블럭(60)에 연결되는 대상장비를 승하강시키는 힘을 전달하는 평벨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드럼(27)은
    상기 후크 구동부에서 일측에 설치되는 후크에 연결되는 평벨트(40)의 선단(41)과 타측에 설치되는 평벨트(40)의 선단(41)이 각각 고정되도록 클램프허브(271)의 내측에 벨트쐐기(27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구동부(30)는
    상기 구동축(20)을 중심으로 일측과 타측에서 상호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평벨트를 지지하는 최소 4개 이상의 후크(311~314)와, 상기 메인드럼(27)에 연결되는 평벨트(40)의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메인드럼과 동기화되어 상기 평벨트(40)를 감기 또는 풀기하는 적어도 한 쌍의 서브드럼(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팅블럭(60)은
    상기 최소 4개 이상의 후크(311~314)와 상기 한 쌍의 서브드럼(32)에 연동되어 상기 평벨트(40)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블럭후크(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벨트를 이용한 호이스트장치.
KR1020110024569A 2011-03-18 2011-03-18 평벨트를 이용한 클린룸용 호이스트장치 KR20120106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69A KR20120106454A (ko) 2011-03-18 2011-03-18 평벨트를 이용한 클린룸용 호이스트장치
CN2011101811306A CN102674153A (zh) 2011-03-18 2011-06-30 一种在无尘室中使用传送带的起重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569A KR20120106454A (ko) 2011-03-18 2011-03-18 평벨트를 이용한 클린룸용 호이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6454A true KR20120106454A (ko) 2012-09-26

Family

ID=4680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569A KR20120106454A (ko) 2011-03-18 2011-03-18 평벨트를 이용한 클린룸용 호이스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106454A (ko)
CN (1) CN10267415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5414A1 (de) * 2014-10-30 2016-05-04 GKS Stahl- und Maschinenbau GmbH Lastaufnahmemittel
KR20200125874A (ko) 2019-04-26 2020-11-05 주식회사 대경 크린룸 전동 벨트 호이스트
CN112158717A (zh) * 2020-10-30 2021-01-0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管节吊装装置及吊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9302B (zh) * 2021-02-05 2022-10-28 池州市经盛产业投资运营有限公司 一种吊装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1567B (sv) * 1986-02-10 1987-10-19 Volvo Ab Beltesatdragande anordning i fordon
JPH10194410A (ja) * 1997-01-09 1998-07-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搬送台車における昇降ベルトの巻取構造及び搬送台車
JP4174659B2 (ja) * 2002-08-29 2008-11-05 株式会社安川電機 クレーンの振れ角検出方法およびクレーンの振れ角検出システム
CN201580928U (zh) * 2009-11-04 2010-09-15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卷扬机式吊具抗扭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15414A1 (de) * 2014-10-30 2016-05-04 GKS Stahl- und Maschinenbau GmbH Lastaufnahmemittel
KR20200125874A (ko) 2019-04-26 2020-11-05 주식회사 대경 크린룸 전동 벨트 호이스트
CN112158717A (zh) * 2020-10-30 2021-01-01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管节吊装装置及吊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74153A (zh)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82395T3 (es) Método y aparato de cableado
KR20120106454A (ko) 평벨트를 이용한 클린룸용 호이스트장치
KR101510273B1 (ko) 행거
TW201425179A (zh) 物品搬送裝置及具有該裝置的物品收納設備
RU2345196C2 (ru) Лен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набжения и эксплуатации
JP6174510B2 (ja) クレーン
GB2529433A (en) Winch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150008532A (ko) 크레인의 리프팅 장치
JP2011057429A (ja) 天井クレーン
JP6128085B2 (ja) 昇降装置および補助駆動ユニット
KR100847906B1 (ko) 멀티 크레인
CN210365589U (zh) 一种提升机用拼接式输送带
JP2015218035A (ja) 吊り下げ反転装置と吊り下げ反転方法
CN108083085B (zh) 一种吊具上架、起升机构及起重机
JP4509875B2 (ja) 建物外壁部施工用の資材搬送システム
JP2008094526A (ja) 昇降体支持旋回装置
JP4981425B2 (ja) クレーンの吊具傾転・旋回装置およびコンテナクレーン
KR200424489Y1 (ko) 싱글레일형 크레인 구조
KR20150014187A (ko) 크레인용 트롤리 회전장치
KR20190130320A (ko) 선박용 접안장치
JP6825774B2 (ja) アンローダ及びそのグラブバケットの交換方法
CN113178815A (zh) 电缆敷设装置
CN111533007A (zh) 一种建筑施工用顶管吊运输送装置及其工作方法
JP2017165534A (ja) 物品搬送装置
JP5319144B2 (ja) ベルトコンベアのベルト入替装置およびベルト入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