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4385A - 타이어 충전 어시스턴트 - Google Patents

타이어 충전 어시스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4385A
KR20120104385A KR1020127018894A KR20127018894A KR20120104385A KR 20120104385 A KR20120104385 A KR 20120104385A KR 1020127018894 A KR1020127018894 A KR 1020127018894A KR 20127018894 A KR20127018894 A KR 20127018894A KR 20120104385 A KR20120104385 A KR 20120104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ires
monitoring
situation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0950B1 (ko
Inventor
그레고르 쿠흘러
프랑크 피셔
위르겐 슈포트카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104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0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0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1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larm
    • B60C23/0406Alarms noticeable from outside the vehicle, e.g. indication in side mirror, front light or audible al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100)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102)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차량(100)의 타이어들(1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레벨의 적응이 예상되는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셋업된 상황 검출 유닛(104)을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상황이 검출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102)의 충전 레벨의 적응 동안에 차량(100)의 사용자를 자동으로 보조하기 위해 셋업된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충전 어시스턴트{TIRE FILLING ASSISTANT}
본 발명은 차량(vehicle)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filling level)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가하여, 본 발명은 프로그램 엘리먼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신 자동차들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복잡한 시스템들을 형성한다. 자동차의 메카트로닉 시스템을 조절하고 그리고 제어하기 위해, 많은 수의 폭넓게 다양한 제어 디바이스들이 사용된다. 지능적인 타이어 시스템들이 또한 센서들 및 자동차의 동작시 대응하는 센서 데이터의 고려를 통합시키고, 그리고 또한 예컨대 타이어 압력을 측정한다.
종래의 타이어 압력 제어 시스템들은 운전자가 언더필링(underfilling)된 타이어들을 알게 한다. 타이어를 충전할 때, 운전자는 외부 보조기구(aid)들과 측정 디바이스들에 의존한다.
본 발명은 타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하며, 여기서 운전자는 높은 레벨의 조작자 편안함을 갖고서 그리고 에러들에 대하여 강한(robust) 방식으로 차량의 타이어 압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의 청구 대상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차량의 타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레벨의 적응(adaptation)이 예상될 수 있는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셋업되는 상황 검출 유닛을 갖는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레벨의 적응 동안에 차량의 사용자를 자동으로 보조하기 위해 셋업되는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전술된 특징들을 갖는 장치를 가지는 차량(예컨대, 자동차, 특히 여객 자동차 또는 트럭 또는 오토바이)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예시적 실시예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서는, 차량의 타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레벨의 적응이 예상될 수 있는 상황이 검출된다. 게다가, 차량의 사용자는 상기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레벨의 적응 동안에 자동으로 보조받는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위에서 설명된 특징들을 갖는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하기 위해 셋업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엘리먼트(컴퓨터 프로그램 엘리먼트)는 상기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실행될 때 위에서 설명된 방법 단계들을 갖는다(또는 상기 방법 단계들을 제어하거나 또는 수행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 그리고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특별 전기 회로들, 즉 하드웨어 둘 다를 이용하여, 또는 임의의 원하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즉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및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예컨대 차량의 운전자는, 부가적인 압축 공기로 차량의 타이어 또는 복수 개의 타이어들을 충전하는 것으로, 또는 타이어(들)로부터 과도한 압축 공기를 빼내는 것으로 보조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차량 전자장치들은 예컨대 상황 검출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황 검출 유닛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의사결정 기준들에 기초하여, 충분히 높은 정도의 개연성(probability)으로, 타이어 또는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이 사용자에 의해 적응될 것임이 가정될 수 있는 상황을 결정할 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충전 또는 비움(emptying) 상황이 충분한 정도의 개연성으로 결정되었다면 ? 예컨대, 현재 시나리오에 대한 충분한 기준들 매치를 통해 표시됨 ?,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는, 충전 및/또는 비움 동작 동안에 사용자를 동반하고, 그리고 이로써 (압축 공기 공급 및 제거 유닛 외에는) 부가적인 외부 보조기구들에 대한 필요 없이, 기술적으로 정교한 환경을 통해, 에러들에 대하여 강한 방식으로, 사용자를 직관적으로 안내한다.
상기 장치의 추가의 개선사항들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상기 추가의 개선사항들은 또한 차량, 방법, 프로그램 엘리먼트 및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적용된다.
상황 검출 유닛 및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는 차량 전자장치들의 컴포넌트들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기능은, 외부 보조기구들에 대한 필요 없이, 차량 전자장치들에 의해 단독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충전 및/또는 비움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자율적 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황 검출 유닛은 아래의 기준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또는 다른 기준들이 충족된다면 충전 또는 비움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셋업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탱크 덮개의 잠금해제(unlocking)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고 그리고 사용자가 주유소에 도착했다는 표시로서 평가될 수 있다. 타이어들을 충전하거나 그리고/또는 비우기 위한 인프라스트럭처가 일반적으로 주유소에 제공되므로, 탱크 덮개가 잠금해제된 직후에 타이어의 충전 레벨의 적응이 또한 예상될 수 있는 상당한(good) 개연성이 존재한다. 다른 기준은 차량의 스위칭-오프, 특히 타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레벨이 적응되어야 한다(즉, 타이어 압력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차량의 사용자가 사전에 통보받은 이후에 차량의 엔진의 스위칭-오프의 검출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 전자장치들이 예컨대 시각적 또는 청각적 표시를 통해, 예컨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타이어들에 대하여 타이어 압력이 증가되거나 또는 감소되어야 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통보했다면, 이는, 타이어의 충전 레벨이 이제 적응되어야 한다는 표시 또는 기준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 다른 기준은 주유소에서의 차량의 스위칭-오프의 검출일 수 있다. 예컨대, 이는, 센서들을 이용하여, 예컨대, 이러한 주유소에 있는 시각적 마커를 검출할 수 있는 광센서 또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차량의 탱크 내의 연료 레벨이 미리설정된 임계치 값 아래로 떨어진 이후에, 예컨대 예비(reserve) 충전 레벨이 언더슛(undershot) 되었을 때 차량의 스위칭-오프의 검출이 또한 이러한 기준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황 검출 유닛은 상기 상황이 검출될 때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셋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차량 내에서 또한 전력 컨슈머 또는 에너지 컨슈머인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는, 충분히 높은 정도의 개연성으로,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가 충전 변화 프로세스 동안에 사용자를 보조하기로 의도되는 상황이 발생할 때까지, 비활성화된 상태 또는 슬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는, 상기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타이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타이어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반복 간격(repetition interval)을 증가시키기 위해 셋업될 수 있다. 예상되는 충전 및/또는 비움 동안에, 자동차의 정상 동작보다 시간에 따라 타이어 압력의 상당히 더 빠른 변화가 예상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반복 간격은 예컨대 몇 시간 또는 며칠로부터 몇 초 또는 그 미만으로 감소될 수 있다. 그 결과, 현재 압력은 충전 레벨의 실제 변화 동안에 높은 시간 분해능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에서, 측정 또는 송신 빈도(frequency)들을 상기 상황에 적절한 방식으로 적응시키는 실시(practice)는 (예컨대 종래에 특히 지능적이지 않은) 바퀴/타이어 모듈 내의 지능 또는 특별 디바이스를 요구할 수 있다. 하나의 전략은, 송신이 궁극적으로 분당 단 한 번(즉, 비교적 드물게) 수행되더라도, 바퀴 모듈이 예컨대 매 1초 내지 매 20초마다(즉, 비교적 빈번히)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압력 정보의 이러한 오버샘플링은, 대응하게 더 이른 시간에 압력 변화들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야기한다. 이러한 기능은 또한, 자연스러운 압력 손실 시나리오들(예컨대, 여행 동안에 외부 바디에 의해 타이어가 뚫림)을 가능한 한 신속하게 검출하여, 그 다음에 하나의 송신 빈도에서의 규칙적 송신으로부터 증가된 송신 빈도에서의 규칙적 송신으로 변경될 수 있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기능은, 특히 주행으로부터 주차로 변한 이후 특정 시간 동안에, 증가된 측정 빈도로(그러나, 송신 빈도가 없거나 또는 매우 감소된 송신 빈도로) 압력이 모니터링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센서가 자연스러운 압력 상승 또는 압력 하강(특히, 미리정의될 수 있는 임계치 값을 초과하는 압력 상승 또는 압력 하강)을 검출한다면, 송신은, 따라서 증가된 빈도로, 예컨대 초당 20번 내지 180번, 바람직하게는 초당 60번 개시될 수 있다. 특정 시간 동안에 안정적인 압력 값들이 존재한다면, 송신기는 증가된 측정 간격 ? 송신이 없거나 또는 송신이 매우 감소됨 ? 으로 되돌아간다. 추가의 미리결정된 시간이 경과된 이후, 센서는 그 다음에 주차 모드로 완전히 변하고, 상기 주차 모드로부터, 상기 센서는 예컨대 다음 차례의 여행의 시작시의 움직임의 결과로서 다시 깬다.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는, 예컨대, 바퀴/타이어 모듈과의 양방향 통신의 결여 때문에, 영향받는 송신기에 원하는 증가를 상기 송신 빈도로 통보할 수 없는 차량 컴포넌트의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가 또한, 센서 내에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행동하고, 그리고 특정한 압력 변화들이 존재할 때 송신 빈도를 자동으로 적응시켜, 그 다음에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의 차량 파트가 이제 존재하는 데이터를 증가된 반복 빈도로 프로세싱/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는, 충전 또는 비움이 특정한 타이어에 대하여 지속되어야 하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충전이 종결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셋업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는 예컨대 시각적으로 그리고/또는 청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명령들의 입력을 위한 입력 유닛을 갖는 예컨대 그래픽 디스플레이 유닛)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는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로부터의 보조 정보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셋업된다. 예컨대, 현재 타이어 압력이 너무 높거나 또는 너무 낮은지 또는 꼭 맞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액정 표시 장치가 각각의 타이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그리고/또는 청각적 방식으로 통보하는 보통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가 또한 중심부에(centrally)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는,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로부터의 보조 정보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차량 자원을 구동시키고 그리고 따라서 상기 차량 자원을 사용하기 위해 셋업될 수 있다. 예컨대, 어떻게든지 존재하는 여객 객실 조명 시스템이 충전 레벨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적인 플래싱(flashing)이 충전을 표시할 수 있고, 지속적인 일루미네이션이 허용할 수 있는 충전 레벨을 표시할 수 있으며, 그리고 더 높은 플래싱 빈도에서의 더 빠른 플래싱이 과충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운드 시스템이 또한, 예컨대 삐 하는 잡음(beeping noise)들이 충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지속적인 잡음이 충분한 충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더 빠른 삐 소리(beeping)가 과충전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 때문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부가적인 기술적 복잡성 없이, 충전을 사용자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그리고 단순하게 만들기 위해, 언급된 자원들 또는 다른 자원들(예컨대, 또한 자동차의 외부 조명)이 시너지적으로(synergistically) 부수적으로(concomitantly)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은 개연성 있는 충전 시퀀스를 예측하기 위해 그리고 보조를 위한 기초로서 이러한 시퀀스를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에 전송하기 위해 셋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을 사용할 수 있고, 충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들에 따라, 현재 사용자 또는 평균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행동한다. 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준들의 예들은, 충전 시퀀스의 스타트가 차량의 운전석의 문과 공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타이어에서 시작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앞쪽 좌측에 있는 타이어이다. 충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종종 이러한 타이어를 맨 먼저 선택할 것이다. 그러나, 매우 특정한, 상이한 타이어가 충전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사전에 통보받았다면, 사용자가 이러한 임계(critical) 타이어를 가장 먼저 충전하거나 또는 비우고 그리고 그때서야 다른 타이어들로 돌아갈 개연성이 높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충전 시퀀스가 차량의 시계 방향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정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들에 의한 상투적인 행동이다. 또 다른 기준은, 충전 시퀀스가 과거에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충전 시퀀스들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시스템은 특정한 사용자에 대하여 역사적 데이터를 레코딩할 수 있고 그리고 따라서 특정한 사용자의 버릇들을 검출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이들 버릇들에 따라, 시스템은 개연성 있는 충전 시퀀스를 적응적으로 예측할 수 있고, 상기 개연성 있는 충전 시퀀스는 보조 신뢰성을 더 증가시킨다.
상기 장치는, 차량의 타이어들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타이어들 각각에 대하여 타이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해 셋업되는 복수 개의 센서들을 갖는 충전 레벨 검출 유닛을 가질 수 있다. 개별 타이어들(또는 대응하는 림(rim)들) 상의 압력 센서들에 의해 조직화될 수 있는 이러한 현재 타이어 압력 정보가 보조를 위한 기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차량의 부가적인 개선사항들은 아래에 설명된다. 이들은 또한 장치, 방법, 프로그램 엘리먼트 및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적용된다.
차량은, 예컨대 자동차(예컨대, 자동차, 특히 여객 자동차 또는 트럭)일 수 있다. 그러나,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열차, 자전거 등에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상이한 청구 대상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다는 것이 언급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들은 장치 청구항들을 이용하여 설명되고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방법 청구항들을 이용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특정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청구 대상 중 하나의 타입에 속하는 특징들의 조합에 부가하여, 본 발명의 청구 대상들 중 상이한 타입들에 속하는 특징들의 임의의 원하는 조합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을 읽을 때 기술 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즉시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및 특징들은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아래의 예시적 설명으로부터 나온다. 본 출원의 도면의 개별 피겨(figure)들은 단지 개략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그리고 실측치로 스케일링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들을 나타낸다.
상이한 피겨들 내의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컴포넌트들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제공된다.
종래의 타이어 압력 제어 시스템들은 운전자가 언더필링된 타이어들을 알게 한다. 그러나, 타이어를 충전할 때, 차량 시스템에 의한 어떤 추가의 보조가 운전자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운전자가 외부 보조기구들 및 측정 디바이스들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기존의 타이어 압력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타이어를 충전할 때 운전자를 의도적으로 보조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리고 부가적인 외부 측정 디바이스들을 필요치 않게 만들거나 또는 부가적인 외부 측정 디바이스들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단계들은, 스타트 조건을 검출하는 단계, 순서를 규정하는 단계, 및 운전자로의 특정 출력들/통지들을 통해 충전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스타트 조건:
여기서 목적은, 운전자가 타이어를 쉽게 충전할 수 있는 상황 또는 충전이 어쨌든 이미 시작된 상황(소위 dP 방출들)을 검출하는 것이다. 적절한 트리거들은, 예컨대, 탱크 덮개의 전자적 잠금해제, 또는 압력 경고가 표시된 이후에 차량의 스위칭-오프, 또는 차량이 주유소에서 스위칭 오프 된다는 지식, 또는 탱크 내용물들이 예컨대 20% 아래로 떨어졌고 그리고 차량이 스위칭 오프 된다는 사실 등일 수 있다. 알고리듬이 충전 상황이 존재하거나 또는 충전 상황일 수 있다고 인지했다면, 충전 어시스턴트가 스타트되어야 한다.
순서(order):
순서는, 충전 동안에 운전자의 행동의 직관적 과정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동반한다. 이를 위해, 앞쪽 좌측(운전석이 오른쪽에 있는 차량들의 경우에는 앞쪽 우측)에 가장 가까운 바퀴에서 스타트하고 그리고 차량을 빙 둘러 시계 방향으로(대안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절차를 지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스타팅 포지션은, 다른 위치에 압력 문제점이 존재한다면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고, 상기 문제점은 또한 예컨대 운전자에게 이미 표시되었다. 예컨대, 특정 시나리오들에서, 다른 위치에서의 임계 부압(negative pressure)이 여행 동안에 이미 표시되었다면, 앞쪽 좌측에서 가장 먼저 스타트하는 것은 편리하지 않을 것이다. 그 다음에, 운전자는 직관적으로, 부압을 갖는 바퀴 ? 상기 부압을 갖는 바퀴에 대하여 경고가 주어졌음 ? 를 가장 먼저 충전해야 한다고 예상하고 그리고 그때서야 약간 언더필링될 수 있는 추가의 바퀴들을 보길 원할 것이다.
충전 어시스턴트:
충전 동안에, 바퀴 전자장치들은 바람직하게, 가속된 속도로 전송하도록 의도된다. 이를 위해, 차량이 스위칭 오프 된 이후(회전 상태를 빠져나올 때 바퀴 전자장치들이 회전 신호의 부재를 검출할 때), 특정량의 시간(예컨대, 5분, 10분, 20분) 동안에 증가된 반복 빈도로(예컨대 매 1초 또는 매 2초 또는 매 0.3초마다) 압력이 측정되도록 유발하는 장치가 바퀴 전자장치들 내에 요구된다. 충전이 이러한 시간 동안에 수행된다면, 바퀴 전자장치들은 사전 측정과 비교하여 압력 변화를 검출하고 그리고 가속된 라디오(radio) 모드로 변하며, 상기 가속된 라디오 모드에서는, 추가의 압력 변화가 발생하지 않을 때까지, 예컨대 매 0.5초 또는 매 1초 또는 매 2초마다 압력이 측정되고 그리고 전송된다(어쩌면, 충전 동안 짧은 일시중지들을 허용하기 위하여, 몇 초 더 길다). 차량 충전 어시스턴트는 이러한 정보(소위 dP 메시지들)를 프로세싱하고 그리고 충전이 지속되어야 하는지, 타겟 압력이 이미 도달되었는지, 또는 타겟 압력이 이미 초과되었고 그리고 다시 감소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운전자에게 시그널링한다. 유리하게, 디스플레이들의 토글링(toggling)을 방지하기 위하여, 히스테리시스(hysteresis)가 타겟 압력에 위아래로 (어쩌면 비대칭 방식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이번에는, 압력 변화들을 요구하는 타이어들을 충전할 때, 운전자가 명령받을 수 있다. 결과의 타당성(plausibility)이, 예컨대 법적 제한치들 및 임계치들의 준수에 대하여, 또는 (특정 허용오차들, 예컨대 0.2 바아(bar) 또는 0.3 바아 내에서) 축(axle)당 동일한 압력들에 대하여, 또는 동일한 부하 상태들에 대하여(앞쪽에서의 부분적으로 부하된(loaded) 압력들 및 뒤쪽에서의 완전히 부하된 압력들의 방지) 체크될 수 있다. (예컨대, 주행함으로써 또는 다른 포지션을 충전함으로써) 하나의 포지션의 충전이 중단될 때, 충전되지 않았거나 또는 정확하게 충전되지 않은 포지션들에 대하여 경고들이 어쩌면 여전히 주어지는 동안에, 상기 기능은 운전자 행동들에 유연하게 반응하고 그리고 어쩌면 정확하게 충전된 압력들을 시스템 내에 구현한다.
출력/인간-기계 인터페이스:
방대한 범위의 접근법들이 운전자 통신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전체 내부 조명 시스템 그렇지 않으면 예컨대 차량 사운드 시스템뿐만 아니라 턴 신호 광들이 적절하다. 이 경우, 포지션을 표시하기 위해 광들이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행동이 플래싱을 통해 코딩될 수 있다: 예컨대, 플래싱은 충전을 의미하고, 글로잉(glowing)은 타이어 압력이 괜찮다(alright)는 것을 의미하고, 그리고 플랜틱(frantic) 플래싱은 바람을 빼내는 것(letting out)을 의미한다. 신호 톤들 또는 바람직하게는 음성 명령들 중 어느 쪽이든 출력하기 위해 확성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통신의 추가의 수단(예컨대, 휴대폰, 디스플레이를 갖는 라디오 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아이디어는, 충전 상황, 또는 충전이 편리하고 그리고 가능한 상황을 지능적으로 검출하는 것이다. 게다가, 익숙지 않고 그리고 흔하지 않은 상황에서 운전자를 보조하기 위하여, 기존의 차량 시스템들이 최적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시스템-관련된 부가적인 비용들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자원들이 시너지적으로 부수적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타이어들(102)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차량(100)을 나타낸다.
타이어들(102) 각각은, 연관된 타이어 압력 센서(120) 및 밸브(14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140)에는, 타이어 압축 공기를 충전하거나 또는 빼내기 위한, 즉 타이어(102)를 부풀리거나 또는 공기를 빼기 위한 충전 또는 비움 디바이스(미도시)가 제공된다. 부가하여, 각각의 타이어(102)에는 액정 표시 장치(110)가 제공되고, 상기 액정 표시 장치(110)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에 무선 방식으로(대안적으로, 유선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는, 도 1에서, 대응하는 트랜스시빙 안테나들(150)에 의해 개략적으로 상징화된다.
차량(100)은, 도 1에 단지 부분적으로 도시되는 다수 개의 차량 자원들, 예컨대 탱크 캡(108), 탱크(122), 엔진(170), 내부 조명 시스템(112) 및 사운드 시스템(114)을 갖는다. 게다가, 환경 데이터를 레코딩할 수 있는 카메라(180)가 자동차(100)의 외부 구역에 설치된다.
아래의 본문은 사용자, 예컨대 차량(100)의 운전자 또는 앞좌석 여객이 타이어들(102)을 충전하거나 그리고/또는 비우는 동작 동안에 어떻게 보조받는지 또는 어떻게 명령받는지를 설명한다.
이를 위해, 차량(100)의 타이어들(1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레벨의 적응이 예상될 수 있는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셋업되는 상황 검출 유닛(104)이 가장 먼저 제공된다. 이를 위해, 상황 검출 유닛(104)은 카메라(180)로부터 차량(100)의 각각의 환경, 예컨대 주유소 정지를 표시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게다가, 사용자가 차량(100)의 탱크 캡(108)을 동작시켰다는 것을 상황 검출 유닛(104)에 전달하기 위해 센서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탱크(122)의 내용물들이 미리정의될 수 있는 임계치 값, 예컨대 예비 충전 레벨 아래로 떨어졌다는 사실이 또한 상황 검출 유닛(104)에 전달될 수 있다. 엔진(170)이 스위칭 오프 된다면, 대응하는 신호가 마찬가지로 상황 제어 유닛(104)에 전송된다. 그러므로, 상황 검출 유닛(104)은, 타이어들(102) 중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및/또는 비움이 충분한 정도의 개연성으로 임박해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해, 상기 설명된 센서 신호들 및 (설명되지 않은) 추가의 센서 신호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사용할 수 있다.
상황 검출 유닛(104)이 이러한 시나리오를 검출했다면, 상기 상황 검출 유닛(104)은 결합된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어시스턴트를 스위칭-오프 상태로부터 스위칭 온 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어시스턴트를 슬립 모드로부터 깨울 수 있다.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충전 또는 비움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102)의 충전 레벨의 적응 동안에 차량(100)의 사용자를 자동으로(즉, 사용자가 행동을 취하지 않고) 보조하기 위해 셋업된다. 다시 말해,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외부 보조기구들에 대한 필요 없이, 충전 또는 비움 동작을 통해 사용자를 직관적으로 안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실행할 수 있다.
충전 또는 비움 동작이 존재한다면,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타이어들(1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타이어 압력을 평상시보다 더 짧은 간격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타이어 압력이 원치 않는 방식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과도하게 오른다면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타이어 압력이 기준(standard)으로서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충전 또는 비움 동작 동안에, 타이어 압력이 기준 상황에서보다 더욱 빈번히 검출되는 것이 사용자에게 유리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타이어 압력이 차량의 정상 동작 동안보다 충전 또는 비움 동안에 상당히 더 빠른 방식으로 오르거나 또는 떨어지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예컨대 이러한 충전 또는 비움의 진행을, 정확하게는 충전 또는 비움 동안에, 사용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하는 압력과 비교할 때의 현재 압력이 예컨대 연관된 타이어(102)의 액정 표시 장치(110) 상에 디지털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타이어(102)를 직관적으로 충전하거나 또는 비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하여,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또한, 예컨대 충전 또는 비움 동작의 진행을 표시하기 위해, 차량 자원들, 예컨대 내부 조명 시스템(112) 또는 사운드 시스템(114)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내부 조명 시스템(112) 및/또는 사운드 시스템(114)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코드, 예컨대 충전에 대한 필요 동안 펄스된 신호, 원하는 최종 압력이 도달될 때의 영구적 신호, 그리고 허용될 수 있는 최대 압력이 초과될 때 더 높은 빈도로 펄스되는 신호를 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친화적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를 형성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장비를 제공할 필요 없이, 이미 존재하는 차량 자원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또한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116)에 의해 보조받을 수 있다. 상기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116)은, 개연성 있는 충전 시퀀스를 예측하기 위해 그리고 보조를 위한 기초로서 상기 개연성 있는 충전 시퀀스를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에 전송하기 위해 셋업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116)은 예컨대, 충전 동안에 차량(100)의 운전석의 문에서 가장 가까운 타이어(102)로 스타트하는 사용자의 버릇을 재생할 수 있다. 그러나,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116)은, 타이어들(102) 중 특정한 타이어의 원치 않는 압력이 사전에 사용자에게 통보된 상황에서 다른 예측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는 상기 타이어(102)를 가장 먼저 처리할 것이고 그리고 그때서야 필요하다면 나머지 타이어들(102)을 충전할 것이 예상될 것이다.
충전 레벨 검출 유닛(118)은, 압력 센서들(120)로부터 센서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고, 그리고 보조를 위한 기초로서, 프로세싱된 압력 값들을 충전 레벨 모니터링 어시스턴트(106)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세스 시퀀스들이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는 스타팅을 위한 전제조건들을 명확화하기 위한 시퀀스를 나타낸다. 점화가 스위칭 온 된 이후(블록(200)을 보라), 블록(202)은 부하 상태가 준비되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블록(204)은 로컬화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블록(206)은 타이어 사이즈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블록(208)은 타이어 압력들이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블록(210)에서, 충전 어시스턴트가 준비된다.
도 3은 충전 어시스턴트를 스타팅하기 위한 스타팅 조건들을 도시하는 프로세스 흐름도를 나타낸다.
충전 어시스턴트가 준비되면(블록(210)을 보라), 충전 상황이 현재 존재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수 개의 기준들이 체크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가 잠금해제/개방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체크가 수행된다(블록(300)을 보라). 블록(302)은,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 그리고 압력차(dP가 0보다 더 큼)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블록(304)은, 차량이 정지했는지, 연료 탱크가 거의 비워진 상태(20% 미만)인지 그리고 점화가 스위칭 오프 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블록(306)은, 차량이 정지했는지 그리고 내비게이션 디바이스가 차량의 현재 포지션을 주유소로서 식별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블록(308)은 충전 어시스턴트가 운전자에 의해 수동으로 (메뉴로) 스타트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블록(310)은 경고, 특히 과도하게 낮은 타이어 압력의 경고가 디스플레이된 이후에 차량이 정지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블록(312)은, 점화가 스위칭 오프 되었고 그리고 차량이 정지했다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압력 경고가 이미 예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 다음에, 충전 어시스턴트는, 블록들(302, 304, 306, 308, 310, 312)에서의 기준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기준들에 기초하여 스타트될 수 있다(블록(314)을 보라).
도 4는 충전 절차를 위한 순서의 정의를 나타내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충전 어시스턴트가 스타트된 이후에(블록(314)을 보라), 블록(400)은 압력 차이(dP)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블록(402)은 측정(measure)가 요구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절차는 블록(404)에서 종료된다. 만일 그렇다면, 블록(406)은 경고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동작은 블록(408)에서 좌측 앞쪽 타이어 포지션으로 시작한다. 만일 그렇다면, 동작은 최고 경고 우선순위를 갖는 포지션으로 시작한다(블록(410)을 보라). 블록(400)에서의 대답이 예라면, 동작은 압력 차이를 갖는 포지션으로 시작한다(블록(412)을 보라). 블록(414)은, 충전 포지션이 그 다음에 시계 방향으로 다루어진다는 것을 표시한다. 블록(416)은 필요한 조치들이 없는 포지션들을 제거한다. 블록(418)은 순서를 규정한다.
도 5는 충전 절차 동안에 프로세스 흐름도를 나타낸다. 순서가 규정되었다면(블록(418)을 보라), 블록(500)은 압력 차이(dP)가 RCP 빼기 히스테리시스 미만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블록(502)을 보라), 압력 차이(dP)가 RCP 더하기 히스테리시스보다 더 큰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체크가 수행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정지"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블록(504)을 보라). 블록(500)에서의 대답이 예라면, 압력 증가가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상에서 요청된다(블록(506)을 보라). 블록(502)에서의 대답이 예였다면, 더 낮은 압력에 대한 요건이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상에 디스플레이된다(블록(508)을 보라).
블록(504) 뒤에는 블록(510)이 이어지고, 상기 블록(510)은 추가의 타이어에 대한 측정에 대한 필요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그렇다면, 절차는 블록(500)으로 지속된다. 만일 그렇지 않다면, 충전 어시스턴트는 블록(512)에서 종료된다.
충전 어시스턴트를 위해 부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차량 자원들은 바람직하게 턴 신호들, 미러 라이트(mirror light)들, 전조등들 또는 미등들, 내부 광들, "웰컴 홈" 라이트들, 사운드 시스템의 확성기들이다. 사용될 수 있는 추가의 차량 자원들은, SMS 또는 블루투스, 디스플레이 또는 호른(horn)을 이용하는 휴대폰이다. 마찬가지로, 중앙 잠금 시스템, 윈도우 와인더(window winder)들 또는 전기적으로 접어넣을 수 있는 사이드 미러들을 사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단지 제한된 개수의 가능한 실시예 변형들만을 표현한다는 것이 언급된다. 따라서, 개별 실시예들의 특징들을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 결과로, 다수 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있는 분명한 실시예 변형들을 이용하여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개시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Claims (15)

  1. 차량(100)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102)의 충전 레벨(filling level)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차량(100)의 상기 타이어들(1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상기 충전 레벨의 적응(adaptation)이 예상될 수 있는 상황을 검출하기 위해 셋업되는 상황 검출 유닛(104); 및
    상기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102)의 상기 충전 레벨의 적응 동안에 상기 차량(100)의 사용자를 자동으로 보조하기 위해 셋업되는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
    를 갖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검출 유닛(104) 및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차량 전자장치들의 컴포넌트들인,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검출 유닛(104)은, 아래의 기준들 :
    ㆍ 탱크 덮개(108)의 잠금해제의 검출;
    ㆍ 상기 타이어들(1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상기 충전 레벨이 적응되어야 한다는 것이 상기 차량(100)의 사용자에게 사전에 통보된 이후 상기 차량(100)의 스위칭-오프의 검출;
    ㆍ 주유소에서의 상기 차량(100)의 스위칭-오프의 검출; 및
    ㆍ 상기 차량(100)의 탱크(122) 내의 연료 레벨이 사전설정된 임계치 값 아래로 떨어진 이후 상기 차량(100)의 스위칭-오프의 검출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된다면, 하나의 상황을, 상기 차량(100)의 상기 타이어들(1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충전 레벨의 적응이 예상될 수 있는 상황으로서 검출하기 위해 셋업되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황 검출 유닛(104)은, 상기 상황이 검출될 때,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를 활성화하기 위해 셋업되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상기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상기 타이어들(1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타이어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반복 간격을 증가시키기 위해 셋업되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상기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특정한 타이어(102)에 대하여 충전 또는 비움(emptying)이 지속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셋업되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로부터의 보조 정보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해, 특히 시각적으로 그리고/또는 청각적으로 상기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셋업되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110)
    를 갖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는,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로부터의 보조 정보의 아이템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기 위하여, 차량 자원, 특히 여객 객실 일루미네이션 유닛(112) 및/또는 사운드 시스템(114)을 구동시키기 위해 셋업되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연성 있는 충전 시퀀스를 예측하기 위해 그리고 보조를 위한 기초로서 이러한 시퀀스를 상기 충전 레벨 적응 어시스턴트(106)에 전송하기 위해 셋업되는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116)
    을 갖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시퀀스 예측 유닛(116)은, 사용자의 행위의 아래의 가정들 :
    ㆍ 상기 차량(100)의 운전석의 문에 공간적으로 가장 가까운 타이어(102)에서의 충전 시퀀스의 스타트;
    ㆍ 타이어(102)의 상기 충전 레벨이 적응되어야 한다는 것이 사용자에게 사전에 통보된 상기 타이어(102)에서의 상기 충전 시퀀스의 스타트;
    ㆍ 상기 차량(100)을 빙 둘러 시계 방향으로의 상기 충전 시퀀스의 진행; 및
    ㆍ 과거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충전 시퀀스들에 따른 충전 시퀀스
    중 적어도 하나의 가정에 기초하여 상기 개연성 있는 충전 시퀀스를 예측하기 위해 셋업되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00)의 상기 타이어들(102)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타이어들(102) 각각에 대한 타이어 압력을 결정하기 위해 셋업되는 복수 개의 센서들(120)을 갖는 충전 레벨 검출 유닛(118)
    을 갖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
  12. 차량(100)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차량(100)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102)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차량.
  13. 차량(100)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102)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100)의 상기 타이어들(102) 중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의 상기 충전 레벨의 적응이 예상될 수 있는 상황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상황의 존재가 검출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타이어(102)의 상기 충전 레벨의 적응 동안에 상기 차량(100)의 사용자를 자동으로 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14. 차량(100)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102)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 상기 프로그램은, 제 13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하기 위해 셋업됨 ? 을 저장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차량(100)의 복수 개의 타이어들(102)의 충전 레벨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프로그램 엘리먼트 ? 상기 프로그램 엘리먼트는, 상기 프로그램 엘리먼트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 13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어하기 위해 셋업됨 ?.
KR1020127018894A 2009-12-18 2010-12-09 타이어 충진 어시스턴트 KR1017309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8881A DE102009058881A1 (de) 2009-12-18 2009-12-18 Be- bzw. Entfüllassistent
DE102009058881.7 2009-12-18
PCT/EP2010/069234 WO2011073072A1 (de) 2009-12-18 2010-12-09 Reifenbefüllassis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385A true KR20120104385A (ko) 2012-09-20
KR101730950B1 KR101730950B1 (ko) 2017-04-27

Family

ID=4361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894A KR101730950B1 (ko) 2009-12-18 2010-12-09 타이어 충진 어시스턴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909420B2 (ko)
EP (1) EP2512837B1 (ko)
JP (1) JP5591348B2 (ko)
KR (1) KR101730950B1 (ko)
CN (1) CN102652067B (ko)
BR (1) BR112012014711B1 (ko)
DE (1) DE102009058881A1 (ko)
WO (1) WO20110730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2888B2 (en) 2009-10-15 2015-01-27 Airbiquity Inc. Extensible scheme for operating vehicle head unit as extend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US9002574B2 (en) 2009-10-15 2015-04-07 Airbiquity Inc. Mobile integration platform (MIP) integrated handset application proxy (HAP)
DE102011057100A1 (de) * 2011-12-28 2013-07-04 E-Lead Electronic Co., Ltd. Reifendruck-Anzeig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fassung des Reifendrucks
US9104538B2 (en) * 2012-06-08 2015-08-11 Airbiquity Inc. Assessment of electronic sensor data to remotely identify a motor vehicle and monitor driver behavior
JP6396320B2 (ja) 2012-12-20 2018-09-26 エアビクティ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効率的なヘッドユニット通信統合
FR3002492B1 (fr) 2013-02-28 2015-04-03 Continental Automotive France Procede auto-adaptatif d'assistance au gonflage de pneumatiques
DE102013212799A1 (de) * 2013-07-01 2015-01-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Überwachung eines Luftdrucks in wenigstens einem Reifen eines Kraftfahrzeugs
DE102014105819A1 (de) * 2014-04-25 2015-10-29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arstellung von Reifendruckinformationen
WO2016100434A1 (en) 2014-12-16 2016-06-23 Trw Automotive Us Llc Tire fill assist method and apparatus
JP2017074880A (ja) * 2015-10-15 2017-04-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載機及び車載システム
DE102016212873A1 (de) 2016-07-14 2018-01-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Fortbewegungsmittel und Verfahren zur Unterstützung eines Anwenders bei der Anpassung eines Fülldruckes einer Bereifung
CN106827976A (zh) * 2017-01-20 2017-06-13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轮胎充气提示系统及汽车轮胎充气提示方法
DE102018212838A1 (de) * 2018-08-01 2020-02-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und ein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Reifendrucks
CN113022223B (zh) * 2021-03-31 2022-04-29 黄河交通学院 一种汽车爆胎应急安全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29144U (ko) 1984-10-01 1986-08-13
DE3708677A1 (de) * 1987-03-17 1988-11-1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inrichtung zum ueberwachen des luftdruckes in mindestens einem fahrzeugluftreifen
US5231872A (en) * 1991-02-21 1993-08-03 Ttc/Truck Tech Corp. Tir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DE4224498C1 (de) 1992-07-24 1994-01-05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elektronischen Reifendruckkontrolle
FR2701430A1 (fr) * 1993-02-11 1994-08-19 Michelin & Cie Procédé d'exploitation des signaux dans un système de surveillance de pneumatiques.
DE19650687A1 (de) * 1996-12-09 1998-06-18 Oliver Kudera Beleuchteter Ventilkappenschlüssel mit Halterung sowie auch davon unabhängig einsetzbare Verfahren zur optimalen Reifendruckkontrolle
DE10144359A1 (de) * 2001-09-10 2003-04-03 Siemens Ag Vorrichtung zum Messen des Reifendrucks eines jeden Rades eines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Vorrichtung
JP3815310B2 (ja) 2001-12-04 2006-08-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タイヤの空気圧情報表示システム
US6612165B2 (en) * 2002-02-04 2003-09-02 Trw Inc.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with pressure gauge operating mode for indicating when air pressure within a tire is within a predetermined pressure range
US20030164759A1 (en) * 2002-03-01 2003-09-04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with optimal tire pressure indication during tire pressure adjustment
JP2004168185A (ja) 2002-11-20 2004-06-17 Honda Motor Co Ltd タイヤ空気圧監視装置
US7032443B2 (en) * 2003-02-15 2006-04-25 Advanced Digital Components, Inc.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4338594A (ja) * 2003-05-16 2004-12-02 Toyota Motor Corp 空気圧状態報知装置
DE10360122C5 (de) * 2003-12-20 2016-01-07 Patentportfolio S. à. r. l. Verfahren zur Drucküberwachung von Kraftfahrzeugreifen
US20060180256A1 (en) * 2005-02-14 2006-08-17 Mittal Chander P Tire pressurization system
US7528705B2 (en) 2006-07-14 2009-05-0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pressure monito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2067B (zh) 2015-05-06
WO2011073072A1 (de) 2011-06-23
JP2013514219A (ja) 2013-04-25
CN102652067A (zh) 2012-08-29
US8909420B2 (en) 2014-12-09
EP2512837A1 (de) 2012-10-24
DE102009058881A1 (de) 2011-06-22
JP5591348B2 (ja) 2014-09-17
US20120259511A1 (en) 2012-10-11
BR112012014711A2 (pt) 2016-04-12
KR101730950B1 (ko) 2017-04-27
EP2512837B1 (de) 2013-10-09
BR112012014711B1 (pt)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950B1 (ko) 타이어 충진 어시스턴트
CN101234585B (zh) 车轮状态监视系统和车轮状态检测设备
EP2557432B1 (en) Position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CN110027561B (zh) 车辆控制装置
CN103260940A (zh) 用于给混合动力或电动车辆充电的方法
US7560905B2 (en) Vehicle steering wheel power switch apparatus and method
CN112907915A (zh) 基于车辆的移动终端遗忘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5101225A (ja) 車両制御装置
US2009020700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ressure of Vehicle Tires
JP5353910B2 (ja) 緊急通報装置
JP6089841B2 (ja) 車載緊急通報装置
JP2016199254A (ja) 車両制御装置
US10065460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 air pressure in at least one tyre of a motor vehicle
JP3901566B2 (ja) 充電装置及び盗難防止装置
JP2007223471A (ja) 車両用電源制御装置
US7405540B2 (en) Secondary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activating subsystems from a vehicle steering wheel
CN118003919B (zh) 一种充电方法、系统、存储介质及车辆
US11794772B2 (en) Systems and methods to increase driver awareness of exterior occurrences
US11447988B2 (en) Turn off the car when pumping the gas in the gas stations
US20220144089A1 (en) Method for displaying a warning message
US11267302B1 (en) Sustained neutral operation of vehicles
US11884286B2 (en) Sustained neutral operation of vehicles
CN112848922A (zh) 电动汽车的溜车提醒方法、装置及电动汽车
JP2010223052A (ja) 車載機及び制御方法
CN118003919A (zh) 一种充电方法、系统、存储介质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