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3489A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3489A
KR20120103489A KR1020120023901A KR20120023901A KR20120103489A KR 20120103489 A KR20120103489 A KR 20120103489A KR 1020120023901 A KR1020120023901 A KR 1020120023901A KR 20120023901 A KR20120023901 A KR 20120023901A KR 20120103489 A KR20120103489 A KR 20120103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parallel
mating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지 하야시
노부카즈 카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3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리셉터클 커넥터는 5매의 긴 판상의 병렬 단자가 일면측을 각각 노출한 상태로 병렬 단자 매설부에 매설된 커넥터 본체부와, 커넥터 본체부의 외주측을 씌움과 아울러 내부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와, 커넥터 본체부의 병렬 단자의 병렬 방향의 적어도 일방부에 설치된 증설 단자 매설부와, 증설 단자 매설부에 병렬 방향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매설된 증설 단자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TO BE F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Micro-USB 규격에 기초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컴퓨터의 주변기기(키보드, 프린터, 모뎀, 등)를 접속하는데 USB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지만, 대용량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나, 대용량의 신호를 기기 간에 서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USB 커넥터로는 시간이 걸린다.
한편, USB 커넥터는, 예를 들면, 노트북 등의 기기에 탑재하는 경우, 커넥터가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필요 때문에 소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래서, USB 커넥터보다 단자수가 많고, 소형인 Micro-USB 커넥터의 규격이 설정되어(비특허문헌 1), 이 규격에 기초하는 Micro-USB 커넥터가 많은 기기에 탑재되고 있다. Micro-USB 커넥터는 USB 커넥터보다 소형이면서 단자수가 많으므로, 용량이 큰 신호를 빨리 전송할 수 있다.
Universal Serial Bus Micro-USB Cable and connecters Specification Revision 1.01, April 4, 2007
(발명의 개요)
최근, 예를 들면 영상신호 등은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송하는 신호의 용량이 커져, 신호전송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더욱 대용량의 신호를 재빠르게 전송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대용량의 신호를 재빠르게 전송하기 위하여, Micro-USB 커넥터의 단자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Micro-USB 규격에 의해 형상, 치수 등이 규정되어 있으므로, 단자수를 단순하게 늘릴 수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Micro-USB 커넥터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Micro-USB 규격에 기초하는 상대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호환성을 갖고, 또한 대용량의 신호를 재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5매의 긴 판상의 병렬 단자가 일면측이 각각 노출된 상태로 병렬 단자 매설부에 매설된 커넥터 본체부와, 이 커넥터 본체부의 외주측을 씌움과 아울러 내부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와, 커넥터 본체부의 병렬 단자의 병렬 방향의 적어도 일방부에 설치된 증설 단자 매설부와, 증설 단자 매설부에 병렬 방향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매설된 증설 단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부의 병렬 단자의 병렬 방향의 적어도 일방부에 증설 단자 매설부를 설치하고, 이 증설 단자 매설부에 병렬 방향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증설 단자를 매설함으로써 단자수를 적어도 1개 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송하는 신호의 용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병렬 단자의 병렬 방향의 적어도 일방부에 증설 단자를 매설하므로, 커넥터 자체의 크기가 대형화되지 않아, 종래와 동일한 크기로, 단자수를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증설 매설부가 병렬 단자의 병렬 방향의 양쪽의 측부에 설치되고, 증설 단자가 각각의 증설 매설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증설 단자의 수를 2개로 할 수 있으므로, 단자수를 보다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병렬 단자 및 증설 단자는 상대 커넥터측의 단자와 각각 접속되어, 고속 시리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대용량의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가 Micro-USB 플러그와 끼워맞춤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가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Micro-USB 플러그와 끼워맞출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병렬 단자에는 커넥터 본체부가 기기측에 설치된 상태로 기기측의 기판 위에 접속되는 기판단자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기기의 기판상에 직접 접속하는 소위 표면 실장 단자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의 기판에 대한 탑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플러그는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플러그로서, 커넥터 본체부를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과,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벽에 설치되어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춘 커넥터 본체부의 병렬 단자와 접촉?접속하는 5매의 상대 병렬 단자가 병렬상태로 지지되는 상대 병렬 단자 지지면과, 커넥터 본체부의 증설 단자와 접촉?접속하는 증설 단자가 지지되는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플러그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전송하는 신호의 용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에 상대 증설 단자가 지지되어 있어, 플러그 자체의 크기가 대형화하지 않아, 종래와 동일한 크기로, 단자수를 늘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플러그는, 하우징에는,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벽에, 상대 병렬 단자 및 상대 증설 단자가 휘어질 수 있는 휨 절결 공간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병렬 단자는 상대 병렬 단자와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증설 단자는 상대 증설 단자와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른 플러그는, 상대 병렬 단자에는, 하우징이 기기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기기측과 접속되는 기기 접속 단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의 기기에 대한 탑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표면측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이면측의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매설된 병렬 단자 및 증설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표면측의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에 매설된 상대 병렬 단자 및 상대 증설 단자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를 나타내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는 Micro-USB 규격에 기초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치수, 판 두께 등은 모두 Micro-USB 규격에 규정된 치수, 판 두께 등에 따르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는, 5매의 긴 판상의 병렬 단자(2)가 일면측(3)을 각각 노출한 상태로 병렬 단자 매설부(4)에 매설된 커넥터 본체부(5)와, 커넥터 본체부(5)의 외주측을 씌움과 아울러 내부에 상대 커넥터(31)(도 4 참조)가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커넥터(1)는 커넥터 본체부(5)의 병렬 단자(2)의 병렬 방향(a)의 한 쌍의 측부(8)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증설 단자 매설부(9)와, 증설 단자 매설부(9)에 병렬 방향(a)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매설된 증설 단자(10)를 더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는, 증설 단자 매설부(9)가 병렬 단자(2)의 병렬 방향의 한 쌍의 측부(8, 8)의 양쪽에 설치되고, 증설 단자(10, 10)가 각각의 측부(8, 8)에 매설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한다.
커넥터 본체부(5)는, 도 1, 2,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基部)(11)와, 기부(11)와 일체로 돌출 성형된 판상의 접속판부(12)로 형성된다. 기부(11)에는, 후술하는 병렬 단자(2)(도 3 참조)의 중간부가 매설된다. 접속판부(12)에는 병렬 단자(2)의 접속 단자부(21)가 매설된다. 접속판부(12)에는 병렬 단자(2)가 매설된 병렬 단자 매설부(4)와, 증설 단자(10)가 매설된 증설 단자 매설부(9)가 설치된다.
병렬 단자 매설부(4)에는, 기부(11)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5개의 접속홈(15)이 병렬로 설치된다. 접속홈(15)에는, 매설된 병렬 단자(2)의 접속면(일면측)(3)이 노출되어 있다. 접속판부(12)에 매설된 5매의 병렬 단자(2)는 접속판부(12)에 병렬상태로 매설되어 있다. 접속홈(15) 내에 상대 커넥터(후술하는 플러그(31))의 상대 병렬 단자(16)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병렬 단자(2)가 상대 병렬 단자(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증설 단자 매설부(9)는 병렬 단자(2)의 병렬 방향(a)의 양측, 즉 접속판부(12)의 양쪽의 측벽(17)에 설치된다. 증설 단자 매설부(9)에는, 후술하는 증설 단자(10)가 각각 매설된다. 증설 단자(10)의 일면측은 병렬 단자(2)의 병렬 방향(a)을 향하여(접속판부(12)의 측벽(17)측)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노출되어 있는 증설 단자(10)의 일면측에 있어서 상대 증설 단자(18)가 병렬 단자(2)의 병렬 방향(a)으로부터 접촉하고, 증설 단자(10)가 상대 증설 단자(18)와 접속된다.
병렬 단자 매설부(4)에 매설된 5개의 병렬 단자(2)의 노출부분과, 증설 단자 매설부(9)에 매설된 2개의 증설 단자(10)의 노출부분이 끼워맞춤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증설 단자 매설부(9)에 매설되고 일면이 노출된 상태의 증설 단자(10)는, 접속판부(12)의 측벽(17)과 면 일치 상태로 노출되어 매설되어 있어도 되고, 접속판부(12)의 측벽(17)으로부터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상태로 노출되어 매설되어 있어도 되고, 접속판부(12)의 측벽(17)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노출되어 있어도 된다. 측벽(17)으로부터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상태로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상대 증설 단자(18)와의 접촉위치가 접속판부(12)의 내측이 되므로, 접속판부(12) 주위의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와의 간극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는, 도 1, 2,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 형상이다.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의 일방의 개구단(19)이 커넥터 본체부(5)의 기부(11)에 고정되어,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가 접속판부(12)의 주위를 덮도록 일체로 조립된다.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의 타방의 개구단(20)에는, 상대 커넥터(후술하는 플러그(31))를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27, 27)가 설치된다. 상대 커넥터가 타방의 개구단(20)으로부터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의 내부에 삽입되어 끼워맞추어진다. 그리고, 병렬 단자(2)가 상대 커넥터의 상대 병렬 단자(16)와 접속된다. 또한 증설 단자(10)가 상대 커넥터의 상대 증설 단자(18)와 접속된다.
병렬 단자(2)는,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판상이며, 중간부가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병렬 단자(2)의 일단측에는 접속 단자부(21)가 설치된다. 병렬 단자(2)의 타단측에는 기판 접속 단자부(22)가 형성된다. 접속 단자부(21)의 일면측(23)은 접속판부(12)에 매설된 상태로 접속홈(15)측에 노출된다. 노출된 일면측(23)이 끼워맞춤 접촉면이 된다. 기판 접속 단자부(22)는 접속 단자부(21)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기판 접속 단자부(22)는 리셉터클 커넥터(1)가 탑재되는 기기(도시하지 않음)측의 기판 위에 직접 접속되는 표면 실장 단자(Surface Mount Terminal)로 되어 있다.
증설 단자(10)는 긴 막대 형상이며, 병렬 단자(2)와 마찬가지로 중간부가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다. 증설 단자(10)의 일단측에는 접속 단자부(24)가 설치된다. 증설 단자(10)의 타단측에는 기판 접속 단자부(25)가 형성된다. 접속 단자부(24)의 일면측(26)은 접속판부(12)에 매설된 상태로 노출된다. 노출된 일면측(26)이 끼워맞춤 접촉면이 된다. 기판 접속 단자부(25)는 도중이 굴곡되어 접속 단자부(24)와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기판 접속 단자부(25)는 리셉터클 커넥터(1)가 탑재되는 기기(도시하지 않음)측의 기판 위에 직접 접속되는 표면 실장 단자(Surface Mount Terminal)로 된다.
다음에,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추어지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3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추는 플러그(31)는 하우징(33)과, 상대 병렬 단자 지지면(34)과,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35)을 구비한다. 하우징(33)은 커넥터 본체부(5)를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오목부(32)를 갖는다. 상대 병렬 단자 지지면(34)은 끼워맞춤 오목부(32)의 내벽에 설치되고, 5매의 상대 병렬 단자(16)를 병렬상태에서 지지한다. 5매의 상대 병렬 단자(16)는 끼워맞춤 오목부(32)에 끼워맞춘 커넥터 본체부(5)의 병렬 단자(2)와 접촉?접속한다.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35)은 상대 증설 단자(18)를 지지한다. 상대 증설 단자(18)는 커넥터 본체부(5)의 증설 단자(10)와 접촉?접속한다. 끼워맞춤 오목부(32)의 내벽에는, 상대 병렬 단자(16)가 각각 휘어질 수 있는 5개소의 휨 절결 공간(36)과, 상대 증설 단자(18)가 각각 휘어질 수 있는 2개소의 휨 절결 공간(39)이 설치된다.
하우징(33)은 합성 수지제로 절연성을 갖은 평판상의 블록으로 형성되고, 외주 부분은 금속제의 커버(37)로 씌워진다. 커버(37)로 씌워진 하우징(33)의 외형 형상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끼워맞춤 오목부(32)는 하우징(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의 접속판부(12)가 끼워맞춤 오목부(32)의 내부에 삽입?끼워맞추어진다. 그리고, 접속판부(12)에 매설된 병렬 단자(2)가 끼워맞춤 오목부(32)의 상대 병렬 단자 지지면(34)에 지지된 상대 병렬 단자(16)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증설 단자(10)가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35)에 지지된 상대 증설 단자(18)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대 병렬 단자 지지면(34)에 설치된 휨 절결 공간(36)은 하우징(33)의 단면(38)측과 끼워맞춤 오목부(32)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2)의 안쪽에 매설 지지된 상대 병렬 단자(16)가 각각 휨 절결 공간(36) 내에 수용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2)의 길이 방향(병렬 방향(a))의 양쪽 내벽에는,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35)이 설치된다.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35)에 설치된 휨 절결 공간(39)은 하우징(33)의 단면(38)측과 끼워맞춤 오목부(32)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32)의 안쪽에 매설 지지된 상대 증설 단자(18)가 각각 휨 절결 공간(39) 내에 수용된다.
상대 병렬 단자(16)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판상이다. 상대 병렬 단자(16)의 일단측에는 접속 단자부(40)가 설치된다. 상대 병렬 단자(16)의 타단측에는 기기 접속 단자부(41)이 형성된다. 접속 단자부(40)의 선단측에는 절곡 접촉부(42)가 형성된다. 절곡 접촉부(42)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병렬 단자(2)와의 접촉부가 된다. 접속 단자부(40)의 후단측에는 기기 접속 단자부(41)가 형성된다. 기기 접속 단자부(41)는 플러그(31)가 탑재되는 기기(도시하지 않음)측의 기판 위에 직접 접속되는 표면 실장 단자(Surface Mount Terminal)가 된다.
상대 증설 단자(18)는 긴 막대 형상이다. 상대 증설 단자(18)의 일단측에는, 접속 단자부(43)가 설치된다. 상대 증설 단자(18)의 타단측에는 기기 접속 단자부(44)가 형성된다. 접속 단자부(43)의 선단측에는 절곡 접촉부(45)가 형성된다. 절곡 접촉부(45)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증설 단자(10)와의 접촉부가 된다. 접속 단자부(43)의 후단측에는 기기 접속 단자부(44)가 형성된다. 기기 접속 단자부(44)는 플러그(31)가 탑재되는 기기(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측의 기판 위에 직접 접속되는 표면 실장 단자(Surface Mount Terminal)가 된다.
플러그(31)를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추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31)의 끼워맞춤 오목부(32)에 리셉터클 커넥터(1)의 접속판부(12)를 삽입하도록 위치 맞춤한 상태에서, 하우징(33)을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 내에 삽입한다.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의 형상은 하우징(33)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하우징(33)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33)은 끼워맞춤 오목부(32) 내에 접속판부(12)가 삽입가능한 위치에서만,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의 내부에 끼워맞추어진다.
하우징(33)을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의 내부에 삽입하면, 접속판부(12)가 끼워맞춤 오목부(32) 내에 삽입된다. 그리고, 접속판부(12)의 병렬 단자(2)가 끼워맞춤 오목부(32) 내의 상대 병렬 단자(16)의 절곡 접촉부(42)에 맞닿고, 접속판부(12)의 증설 단자(10)가 끼워맞춤 오목부(32) 내의 상대 증설 단자(18)의 절곡 접촉부(45)에 맞닿는다. 또한 상대 병렬 단자(16)가 상대 병렬 단자 지지면(34)에 설치된 휨 절결 공간(36) 내로 휜다. 상대 증설 단자(18)가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35)에 설치된 휨 절결 공간(39) 내로 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33)을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 내로 더 삽입하면, 끼워맞춤 오목부(32)의 상대 병렬 단자(16)가 접속판부(12)의 병렬 단자(2)와 슬라이딩 하고, 끼워맞춤 오목부(32)의 상대 증설 단자(18)가 접속판부(12)의 증설 단자(10)와 슬라이딩 한다. 하우징(33)을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 내로 완전히 삽입하면, 병렬 단자(2)가 상대 병렬 단자(16)와 접속되고, 증설 단자(10)가 상대 증설 단자(18)와 접속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에 플러그(31)는 다른 Micro-USB 규격에 기초하여 형성된 일반적인 플러그를 끼워맞추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플러그에는 상대 증설 단자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상대 병렬 단자(16)만이 설치되어 있을 뿐이므로, 증설 단자(10)는 사용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부(5)의 병렬 단자(2)의 병렬 방향(a)의 한 쌍의 측부(8)의 적어도 일방에 증설 단자 매설부(9)를 설치하고, 이 증설 단자 매설부(9)에 병렬 방향(a)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증설 단자(10)를 매설한다. 이 때문에, 단자수를 적어도 1개 늘릴 수 있으므로, 전송하는 신호의 용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병렬 단자(2)의 병렬 방향(a)의 한 쌍의 측부(8)의 적어도 일방에 증설 단자(10)를 매설하므로, 커넥터 자체의 크기가 대형화되지 않아, Micro-USB 규격에 기초하여 종래와 동일한 크기로, 단자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증설 단자 매설부(9)를 병렬 단자(2)의 병렬 방향(a)의 한 쌍의 측부(8)의 양쪽에 설치하고, 각각 증설 단자(10)를 매설하는 것에 의해, 증설 단자(10)를 2개로 함으로써 증설 단자(10)의 수를 보다 늘릴 수 있다.
또한 병렬 단자(2) 및 증설 단자(10)는 상대 커넥터(플러그(31))측의 상대 병렬 단자(16) 및 상대 증설 단자(18)와 각각 접속되어, 고속 시리얼 신호를 전송할 수 있어, 대용량의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는 Micro-USB형 플러그와 끼워맞춤 가능한 것에 의해, 이미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Micro-USB형 플러그와 끼워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1)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병렬 단자(2)에는, 커넥터 본체부(5)가 기기측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기판 접속 단자부(22)가 기기의 기판상에 직접 접속되는 소위 표면 실장 단자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1) 기기의 기판에 대한 탑재성이 향상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31)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부(5)가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오목부(32)를 갖는 하우징(33)과, 끼워맞춤 오목부(32)의 내벽에 설치되고 끼워맞춤 오목부(32)에 끼워맞춘 커넥터 본체부(5)의 병렬 단자(2)와 접촉?접속하는 5매의 상대 병렬 단자(16)가 병렬상태에서 지지되는 상대 병렬 단자 지지면(34)과, 커넥터 본체부(5)의 증설 단자(10)와 접촉?접속하는 상대 증설 단자(18)가 지지되는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35)을 구비한다. 이 때문에, 플러그(31)를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추어지게 함으로써 전송하는 신호의 용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31)는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35)에 상대 증설 단자(18)가 지지되어 있고, 플러그 자체의 크기가 대형화하는 것이 아니다. 이 때문에, 플러그(31)는 종래의 Micro-USB 플러그와 동일한 크기로, 종래의 Micro-USB 플러그보다도 단자수를 늘릴 수 있다.
또한 하우징(33)에는, 끼워맞춤 오목부(32)의 내벽에, 상대 병렬 단자(16) 및 상대 증설 단자(18)가 휘어질 수 있는 휨 절결 공간(36, 39)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병렬 단자(2)는 상대 병렬 단자(16)와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고, 증설 단자(10)는 상대 증설 단자(18)와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 병렬 단자(16)는, 하우징(33)이 기기측에 설치된 상태로 기기측과 접속되는 기기 접속 단자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기에 대한 탑재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가 커넥터 본체부(5)에 일체로 조립된 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는 리셉터클 커넥터(1)가 탑재되는 기기측에 설치해도 되고, 별체의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7)를 기기측에 조립 고정해도 된다.

Claims (8)

  1.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5매의 긴 판상의 병렬 단자가 일면측을 각각 노출한 상태로 병렬 단자 매설부에 매설된 커넥터 본체부와,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외주측을 씌움과 아울러 내부에 상대 커넥터가 삽입되는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와,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상기 병렬 단자의 병렬 방향의 한 쌍의 측부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증설 단자 매설부와,
    상기 증설 단자 매설부에 병렬 방향을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매설된 증설 단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설 매설부가 각각의 상기 측부에 설치되고,
    상기 증설 단자가 각각의 상기 증설 매설부에 매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단자 및 상기 증설 단자는 상대 커넥터측의 단자와 각각 접속되어 고속 시리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커넥터 삽입 후드부는 Micro-USB 플러그와 끼워맞춤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 단자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부가 기기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기측의 기판 위에 접속되는 기판 단자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 1 항에 기재된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플러그로서,
    상기 커넥터 본체부를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오목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벽에 설치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춘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상기 병렬 단자와 접촉?접속하는 5매의 상대 병렬 단자가 병렬상태에서 지지되는 상대 병렬 단자 지지면과,
    상기 커넥터 본체부의 상기 증설 단자와 접촉?접속하는 상대 증설 단자가 지지되는 상대 증설 단자 지지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벽에, 상기 상대 병렬 단자 및 상기 상대 증설 단자가 휘어질 수 있는 휨 절결 공간이 각각 설치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 병렬 단자에는 상기 하우징이 기기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기측과 접속되는 기기 접속 단자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120023901A 2011-03-09 2012-03-08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KR201201034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51940 2011-03-09
JP2011051940A JP2012190614A (ja) 2011-03-09 2011-03-09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の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に嵌合するプラグ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3489A true KR20120103489A (ko) 2012-09-19

Family

ID=4679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901A KR20120103489A (ko) 2011-03-09 2012-03-08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231673A1 (ko)
JP (1) JP2012190614A (ko)
KR (1) KR20120103489A (ko)
CN (1) CN10268394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37B1 (ko) 2014-09-02 2016-02-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60051104A (ko) 2014-10-31 2016-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60051088A (ko) 2014-10-31 2016-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77907B1 (ko) 2015-05-20 2016-1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60136546A (ko) 2015-05-20 2016-1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25128A (ko) 2015-08-27 2017-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45664A (ko) 2015-10-19 2017-04-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45665A (ko) 2015-10-19 2017-04-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7667A (ja) * 2013-02-14 2014-08-28 Tyco Electronics Japan Kk 電気コネクタ
JP5781107B2 (ja) 2013-02-22 2015-09-16 株式会社東芝 Usb装置
JP6133107B2 (ja) 2013-04-08 2017-05-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US8956187B2 (en) * 2013-04-18 2015-02-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D839202S1 (en) 2014-03-20 2019-01-29 Son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11777241B2 (en) * 2019-08-05 2023-10-03 Aces Japan Co., Ltd. Connector, wiring structure and inter-board connection method
DE102021201904A1 (de) 2021-03-01 2022-09-01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Kontaktsystem mit mindestens zwei parallel geführten Leitern
CN116892707A (zh) * 2023-08-18 2023-10-17 武汉通用联合科技有限公司 一种卡接式led发光模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130767Y (zh) * 2007-10-12 2008-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160133Y (zh) * 2008-01-17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35829U (en) * 2008-02-01 2008-07-01 Taiwin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socket
CN201312041Y (zh) * 2008-08-25 2009-09-1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TWM357092U (en) * 2008-12-09 2009-05-1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plug connector
CN201352665Y (zh) * 2009-01-05 2009-11-25 香港商安费诺(东亚)有限公司 插座连接器
US7727028B1 (en) * 2009-07-14 2010-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terminals designed to improve impedance
CN201690002U (zh) * 2010-03-26 2010-12-29 富港电子(东莞)有限公司 通用串行总线连接器
CN201829767U (zh) * 2010-04-26 2011-05-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及与之对接的插座连接器
US7931501B1 (en) * 2010-06-15 2011-04-26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8197281B2 (en) * 2010-08-27 2012-06-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US20130023162A1 (en) * 2011-07-20 2013-01-2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537B1 (ko) 2014-09-02 2016-02-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160051104A (ko) 2014-10-31 2016-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60051088A (ko) 2014-10-31 2016-05-1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77907B1 (ko) 2015-05-20 2016-11-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60136546A (ko) 2015-05-20 2016-11-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25128A (ko) 2015-08-27 2017-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45664A (ko) 2015-10-19 2017-04-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45665A (ko) 2015-10-19 2017-04-2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90614A (ja) 2012-10-04
US20120231673A1 (en) 2012-09-13
CN102683943A (zh)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3489A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CN101615749B (zh) 插座电连接器及插头电连接器
US10276982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12277B1 (ko) 커넥터
US9461424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 connector
JP6325505B2 (ja) コネクタ
CN101577392B (zh) 插座电连接器、插头电连接器及其组件
TWI416809B (zh) 連接器
JP3150774U (ja) 2型対応ソケットコレクタ
JP3150980U (ja) コネクタ
CN103270652B (zh) 电子部件的连接结构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12004124A (ja) 電気コネクタ
US9379475B2 (en) Electric connector
TW201526420A (zh) 連接器
JP2012004125A (ja) 電気コネクタ
CN204271330U (zh) 用于连接器的壳体
US10714859B2 (en)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CN104332767A (zh) 板对板连接器
US20100087093A1 (en) Connector for adapting adaptors of various protocols
US20210242616A1 (en) Connector assembly
CN201478607U (zh) 插头连接器
RU2009118937A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штекерных разъемов, имеющее компактную и упрощен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US2010030460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connecting element thereof
CN203521680U (zh) 一种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