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5128A -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5128A
KR20170025128A KR1020150121103A KR20150121103A KR20170025128A KR 20170025128 A KR20170025128 A KR 20170025128A KR 1020150121103 A KR1020150121103 A KR 1020150121103A KR 20150121103 A KR20150121103 A KR 20150121103A KR 20170025128 A KR20170025128 A KR 20170025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terminal
connecto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1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5128A/ko
Publication of KR20170025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및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RECEPTACLE CONNECTER, PLUG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S}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와이어와 와이어, 와이어와 기판 또는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장 부품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수개의 (병렬) 단자(2)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단자(2)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1열(列)로 배치한 것으로, 특히, 단자(2)의 개수 증가하는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폭이 증가되거나 단자(2) 상호간의 간격의 감소 등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저하가 우려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단자(2)는 인서트 사출 또는 압입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된다. 또한 단자(2) 중 접지를 위한 것의 경우에는, 상대물인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가 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등에만 접지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명칭: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면서 전체적으로 경박단소하게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및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은, 접지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 및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는, 상기 리셉터클 쉘 및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쉘 접촉 리브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에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가 상기 결합 돌부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쉘; 상기 플러그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 요홈이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 및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이고,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은, 접지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가 상기 결합 요홈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 및 상기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설치되는 1개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은, 상기 리셉터클 쉘 및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터미널과 접촉되는 1개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바디; 및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바디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바디에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바디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터미널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양태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쉘; 상기 플러그 쉘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신호 터미널; 및 상기 플러그 신호 터미널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설치되는 1개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은, 1개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바디;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 바디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 터미널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 바디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 컨택트부 및 플러그 접지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플러그 신호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러그 커넥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에 접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른 양태는,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러그 커넥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은,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에 접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과 다른 열을 정의하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이 1개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제1리셉터클 터미널과 리셉터클 쉘 사이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과 플러그 쉘 사이에 제2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이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개의 터미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기적 특성을 만족하면서 경박단소하게 제품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및 플러그 터미널이 1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여 플러그 터미널이 리셉터클 쉘에 접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플러그 커넥터(200)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양자가 접속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쉘(110), 리셉터클 하우징(120),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는, 플러그 쉘(210), 플러그 하우징(220),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24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셉터클 쉘(110)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리셉터클 쉘(110)은,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전체적으로 전후단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셉터클 쉘(110)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100S)이 정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 공간(100S)의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은, 상기 결합 공간(100S)의 후단을 통하여 상기 결합 공간(100S)의 내부에 삽입된다. 예를 들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에는 결합 돌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부(121)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전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이 상기 결합 공간(100S)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 공간(100S)의 전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양측면에 삽입 개구(12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 개구(12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이 상기 리셉터클 쉘(110)이 접촉을 위하여 관통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 개구(123)는, 상기 결합 공간(100S)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양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고, 상기 제2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접지를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1플러그 터미널(230)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의 다른 일부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되어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그리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쉘(110) 및 후술할 제2플러그 터미널(240)과 접촉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상기 리셉터클 쉘(110)에 접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 및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는, 상기 리셉터클 쉘(110) 및 제2플러그 터미널(240)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110)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142)가 구비된다. 상기 쉘 접촉 리브(142)는, 예를 들면,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 개구(123)를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0)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14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개구(14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가 1개의 군을 형성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의 개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의 개수의 1/2로 결정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도체, 즉 상기 리셉터클 쉘(110)의 상면 사이 또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사이의 최단 거리가 일정하도록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의 전기적 특성에 편차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 쉘(21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플러그 쉘(210)은,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전체적으로 전후단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그 선단이 상기 결합 공간(100S)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에는 결합 요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요홈(221)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전면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 요홈(221)에는 상기 결합 돌부(121)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으로, 플러그 신호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고, 상기 제2플러그 커넥터(200)는, 접지를 위한 것으로, 플러그 접지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의 다른 일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 위치되어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면 내면에 위치된다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면적을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즉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와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과 1개의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가 1개의 군을 형성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의 개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의 개수의 1/2로 결정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는 상술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의 위치관계와 동일한 이유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상기 리셉터클 쉘(110)에 접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를 접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1개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가 형성하는 사영의 내부에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의 형상, 크기 및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230)의 전기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1개의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인서트 사출 또는 압입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 또는 플러그 하우징(22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의 고정을 위한 공정이 보다 간소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리셉터클 쉘
120: 리셉터클 하우징 121: 결합 돌부
123: 삽입 개구 130: 제1리셉터클 터미널
140: 제2리셉터클 터미널 200: 플러그 커넥터
210: 플러그 쉘 220: 플러그 하우징
230: 제1플러그 터미널 240: 제2플러그 터미널

Claims (28)

  1.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100S)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110);
    상기 리셉터클 쉘(1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110)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100S)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121)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120);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접지를 위한 것인 리셉터클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 및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 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는, 상기 리셉터클 쉘(110) 및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110)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142)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쉘 접촉 리브(142)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에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0)에 접촉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143)가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141)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쉘(210);
    상기 플러그 쉘(210)의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 요홈(221)이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220);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240); 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접지를 위한 것인 플러그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 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는 플러그 커넥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241)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7.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100S)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110);
    상기 리셉터클 쉘(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리셉터클 하우징(120);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130); 및
    상기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130)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에 설치되는 1개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140); 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140)은,
    상기 리셉터클 쉘(110) 및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터미널과 접촉되는 1개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바디(141); 및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바디(141)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리드부(145); 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바디(141)에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0)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142)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바디(141)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 터미널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143)가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 리드부(1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1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2.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쉘(210);
    상기 플러그 쉘(2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플러그 하우징(220);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신호 터미널(230); 및
    상기 플러그 신호 터미널(230)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에 설치되는 1개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240); 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240)은,
    1개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바디(241);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 바디(241)의 일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지 터미널과 접촉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 바디(241)의 타단에서 연장되고,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플러그 접지 터미널 리드부(245); 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플러그 접지 터미널 리드부(2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플러그 신호 터미널(2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는 플러그 커넥터.
  25.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1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러그 커넥터(200);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0)에 접지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7. 제 17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셉터클 커넥터(100);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 22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의 플러그 커넥터(200);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접지 터미널(240)은, 상기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0)에 접지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50121103A 2015-08-27 2015-08-27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251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03A KR20170025128A (ko) 2015-08-27 2015-08-27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103A KR20170025128A (ko) 2015-08-27 2015-08-27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128A true KR20170025128A (ko) 2017-03-08

Family

ID=5840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103A KR20170025128A (ko) 2015-08-27 2015-08-27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51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489A (ko) 2011-03-09 2012-09-1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489A (ko) 2011-03-09 2012-09-1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901E1 (en) Electrical receptacle for transmitting high speed signal
US1023663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separate grounding pieces
US960187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8128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ing contact
US9153926B2 (en) USB plug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169340B2 (en) Interconnection system
US9722374B2 (en) Stacked receptacle connector integrated with RJ-45 connector and USB type-C connector
US2016012667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944829B2 (en) Connector
TW201914120A (zh) 電連接器
JP2015002057A (ja) 電気コネクタ
US958387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ecting structure
US10122133B2 (en) Communication connector
US2016032966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hereof
US936268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secured therein
US9905960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8021406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US9312650B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70018885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ing to a part of contacts thereof
US9397449B2 (en) Receptacle connector flexibly connected to a mother board
US7470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16106343A (ja) Usb規格準拠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20170025128A (ko)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66174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N219040804U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