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5664A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5664A
KR20170045664A KR1020150145624A KR20150145624A KR20170045664A KR 20170045664 A KR20170045664 A KR 20170045664A KR 1020150145624 A KR1020150145624 A KR 1020150145624A KR 20150145624 A KR20150145624 A KR 20150145624A KR 20170045664 A KR20170045664 A KR 20170045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terminal
connector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159B1 (ko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159B1/ko
Publication of KR2017004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및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 및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A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와이어와 와이어, 와이어와 기판 또는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장 부품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수개의 (병렬) 단자(2)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단자(2)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1열(列)로 배치한 것으로, 특히, 단자(2)의 개수 증가하는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폭이 증가되거나 단자(2) 상호간의 간격의 감소 등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저하가 우려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단자(2)는 인서트 사출 또는 압입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된다. 또한 단자(2) 중 접지를 위한 것의 경우에는, 상대물인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가 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등에만 접지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삽입 후드부(7)에 플러그 커넥터(31)가 삽입되어 양자가 결합되고, 양자의 삽입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의 삽입 후드부(7)와 플러그 커넥터(7)의 종단면은 서로 대응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 후드부(7)와 플러그 커넥터(7)의 테두리면이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에 평행한 가상의 축(A1)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B1)으로 플러그 커넥터(31)가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플러그 커넥터(31)의 일부가 삽입 후드부(7)의 내부에 오삽입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31)의 하우징(33)이나 커버(37) 등에 의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의 단자(2)(10)가 손상될 우려가 발생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명칭: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면서 전체적으로 경박단소하게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삽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및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 및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A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는, 상기 리셉터클 쉘 및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쉘 접촉 리브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에 접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가 상기 결합 돌부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쉘에는, 그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공간과 연통되는 한쌍의 안내 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안내 홈부는,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리셉터클 쉘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 홈부; 및 상기 제1연장 홈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 홈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리셉터클 쉘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 홈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쉘; 상기 플러그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 요홈이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 및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클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B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가 상기 결합 요홈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플러그 쉘에는, 그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안내 돌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안내 돌부는, 상기 플러그 쉘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플러그 쉘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 돌부; 및 상기 제1연장 돌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 돌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플러그 쉘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 돌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에 접지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과 다른 열을 정의하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이 1개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제1리셉터클 터미널과 리셉터클 쉘 사이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과 플러그 쉘 사이에 제2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이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개의 터미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기적 특성을 만족하면서 경박단소하게 제품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및 플러그 터미널이 1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여 플러그 터미널이 리셉터클 쉘에 접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쉘에 적어도 한쌍의 안내 홈부가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쉘에 안내 홈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쌍의 안내 돌부가 구비됨으로써, 안내 홈부 및 안내 돌부가 서로 형합되는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양자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오삽입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이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여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셉터클 터미널 중 적어도 고속 신호용이 안내 홈부를 제외한 리셉터클 쉘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되고, 플러그 터미널 중 적어도 고속 신호용이 안내 돌부를 제외한 플러그 쉘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셉터클 터미널과 리셉터클 쉘의 상하면 사이가 동일한 거리로 유지되고, 플러그 터미널과 플러그 쉘의 상하면 사이가 동일한 거리로 유지됨으로써, 금속 재질의 리셉터클 쉘 및 터미널 쉘의 상하면과 리셉터클 터미널 및 플러그 터미널 사이의 거리의 차이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편차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1플러그 터미널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보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es)을 보인 그래프.
도 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원단 누화(Far End Crosstalk)를 보인 그래프.
도 1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근단 누화(Near End Crosstalk)를 보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오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은 종래 기술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오삽입되는 형태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1플러그 터미널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커넥터(101) 및 플러그 커넥터(201)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양자가 접속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는, 리셉터클 쉘(111), 리셉터클 하우징(120),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는, 플러그 쉘(210), 플러그 하우징(220),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24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셉터클 쉘(111)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리셉터클 쉘(111)은,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전체적으로 전후단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101S)이 정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 공간(101S)의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에 안내 홈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 홈부(113)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상면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공간(101S)과 연통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안내 홈부(113)를 포함하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종단면은 상기 안내 돌부(213)를 포함하는 상기 플러그 쉘(211)의 종단면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 홈부(113)는, 제1 및 제2연장 홈부(113A)(113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연장 홈부(113A)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상면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 홈부(113B)는, 상기 제1연장 홈부(113A)의 상단에서 상기 제1연장 홈부(113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은, 상기 결합 공간(101S)의 후단을 통하여 상기 결합 공간(101S)의 내부에 삽입된다. 예를 들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에는 결합 돌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부(121)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전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이 상기 결합 공간(101S)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 공간(101S)의 전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양측면에 삽입 개구(12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 개구(12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이 상기 리셉터클 쉘(111)이 접촉을 위하여 관통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 개구(123)는, 상기 결합 공간(101S)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양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고, 상기 제2리셉터클 커넥터(101)는, 접지를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 및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35)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일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는,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1플러그 터미널(230)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35)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타단에서 대략 직각으로 2회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35)의 선단 일부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쉘(111) 및 후술할 제2플러그 터미널(240)과 접촉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쉘(111)에 접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 및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 및 제2플러그 터미널(240)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142)가 구비된다. 상기 쉘 접촉 리브(142)는, 예를 들면,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 개구(123)를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1)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14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개구(14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가 1개의 군을 형성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의 개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의 개수의 1/2로 결정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도체, 즉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상면 사이 또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사이의 최단 거리가 일정하도록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의 전기적 특성에 편차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사이의 간격이 최적화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중심 사이의 거리(A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0mm 내지 0.36mm, 바람직하게는 0.33mm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 쉘(21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플러그 쉘(210)은,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전체적으로 전후단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돌부(213)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상면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안내 돌부(213)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결합 공간(101S)에 삽입되면, 상기 안내 홈부(113)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서 이동한다.
상기 안내 돌부(213)는, 제1 및 제2연장 돌부(213A)(213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연장 돌부(213A)는, 상기 플러그 쉘(211)의 상면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플러그 쉘(211)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연장 돌부(213A)는, 상기 제1연장 홈부(113A)와 동일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 돌부(213B)는, 상기 제1연장 돌부(213A)의 상단에서 상기 제1연장 돌부(213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즉 상기 제2연장 홈부(113B)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쉘(211)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안내 돌부(213)는, 상기 안내 홈부(113)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그 선단이 상기 결합 공간(101S)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에는 결합 요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요홈(221)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전면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 요홈(221)에는 상기 결합 돌부(121)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으로, 플러그 신호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고, 상기 제2플러그 커넥터(201)는, 접지를 위한 것으로, 플러그 접지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35)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일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는,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35)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타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35)의 선단 일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서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면 내면에 위치된다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면적을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즉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와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과 1개의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가 1개의 군을 형성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의 개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의 개수의 1/2로 결정될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 사이의 간격이 최적화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을 참조하면,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중심 사이의 거리(B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0mm 내지 0.36mm, 바람직하게는 0.33mm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는 상술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위치관계와 동일한 이유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es)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원단 누화(Far End Crosstalk)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근단 누화(Near End Crosstalk)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오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선들은 (+)와 (-)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한쌍의 터미널에서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 실선은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및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종래 기술의 경우이고, 점선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중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중심 사이의 거리(A1)(B1)가 각각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경우이며, 1점쇄선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40mm만큼 이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면, 점선과 1점쇄선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특히 점선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HDMI 단자에서 요구되는 100Ω±15%, 즉, 85~115Ω의 임피던스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임피던스의 편차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선들은, 주파수별 삽입 손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 실선은 종래 기술의 경우이고, 점선과 일점 쇄선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중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 또는 0.40mm만큼 이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삽입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삽입 손실의 감소가 현저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선들은, 각각 주파수별 원단 누화와 근단 누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 청색 선은 종래 기술의 경우이고, 적색 선과 녹색 선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중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 또는 0.40mm만큼 이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원단 누하 및 근단 누하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경우에 원단 누하 및 근단 누하 수치가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1개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가 형성하는 사영의 내부에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의 형상, 크기 및 위치와 무관하게, 즉, 각 군을 형성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230)의 전기적 특성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상기 리셉터클 쉘(111)에 접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를 접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1개의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인서트 사출 또는 압입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 또는 플러그 하우징(22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의 고정을 위한 공정이 보다 간소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01)가 삽입 방향에 평행한 가상의 축(A2)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B2)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1)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즉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오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에 구비되는 안내 돌부(213)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의 일측에 접촉되거나,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형성되는 안내 홈부(113)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의 일측에 접촉됨으로써, 특히,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일부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의 결합 공간(101S)에 삽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오삽입되고, 이에 의하여 리셉터클 터미널(140)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2)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2), 실질적으로 리셉터클 쉘(112)의 상면 및 하면 양단에 각각 안내 홈부(114)가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202), 실질적으로 플러그 쉘(212)의 상면 및 하면 양단에 각각 안내 돌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 홈부(114) 및 안내 돌부(214)는, 각각 제1 및 제2연장 홈부(114A)(114B)와 제1 및 제2연장 돌부(214A)(214B)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1: 리셉터클 커넥터 111: 리셉터클 쉘
113: 안내 홈부 120: 리셉터클 하우징
121: 결합 돌부 123: 삽입 개구
130: 제1리셉터클 터미널 140: 제2리셉터클 터미널
201: 플러그 커넥터 211: 플러그 쉘
213: 안내 돌부 220: 플러그 하우징
230: 제1플러그 터미널 240: 제2플러그 터미널

Claims (19)

  1.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202)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101S)(102S)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111)(112);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101S)(102S)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121)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120);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 및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35);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 및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중심 사이의 거리(A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 및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142)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쉘 접촉 리브(142)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에 접촉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143)가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에는, 그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공간(101S)(102S)과 연통되는 한쌍의 안내 홈부(113)(114)가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부(113)(114)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 홈부(113A)(114A); 및
    상기 제1연장 홈부(113A)(114A)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 홈부(113A)(114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 홈부(113B)(114B); 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셉터클 커넥터(101)(102);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10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201)(202);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202)는,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쉘(211)(212);
    상기 플러그 쉘(211)(212)의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 요홈(221)이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220);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240); 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 및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35);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클 터미널(2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중심 사이의 거리(B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쉘(211)(212)에는, 그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안내 돌부(213)(214)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부(213)(214)는,
    상기 플러그 쉘(211)(212)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플러그 쉘(211)(2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 돌부(213A)(214A); 및
    상기 제1연장 돌부(213A)(214A)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 돌부(213A)(214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플러그 쉘(211)(2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 돌부(213B)(214B);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에 접지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50145624A 2015-10-19 2015-10-19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36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624A KR102366159B1 (ko) 2015-10-19 2015-10-19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624A KR102366159B1 (ko) 2015-10-19 2015-10-19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64A true KR20170045664A (ko) 2017-04-27
KR102366159B1 KR102366159B1 (ko) 2022-02-22

Family

ID=5870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624A KR102366159B1 (ko) 2015-10-19 2015-10-19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1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3489A (ko) 2011-03-09 2012-09-1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KR20130022229A (ko) * 2011-08-25 2013-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US20130059460A1 (en) * 2010-04-12 2013-03-07 Fci Miniature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KR20150030414A (ko) * 2013-09-12 2015-03-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9460A1 (en) * 2010-04-12 2013-03-07 Fci Miniature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KR20120103489A (ko) 2011-03-09 2012-09-1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KR20130022229A (ko) * 2011-08-25 2013-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KR20150030414A (ko) * 2013-09-12 2015-03-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159B1 (ko) 2022-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901E1 (en) Electrical receptacle for transmitting high speed signal
US10069262B2 (en) Receptacle connector having insert molded lead-frame wafers each with upper contacts transversely offset from lower contacts
US9912111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720181B2 (en) Hybrid connector for both electrical and optical transmission
EP2148399B1 (en) Connector
US7549896B2 (en) Low profile receptacle connector straddle-mounted on the PCB
US980646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wafers with a step structure
US1067318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1080463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738754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US1130306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apacitive and resistive characteristics to satisfy required matching impedance
US797632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ground terminal
US8070531B1 (en) Keystone jack
US936268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secured therein
US20080254685A1 (en) Receptacle connector assembly for reducing EMI and/or crosstalk
TW202036988A (zh) 連接器
US10673164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097165B2 (ja) コネクタ
TWI654803B (zh) 高速連接器及其傳輸模組
KR102366174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CN211789680U (zh) 插座连接器
KR10236615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US747012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70045671A (ko)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