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537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537B1
KR101593537B1 KR1020140116307A KR20140116307A KR101593537B1 KR 101593537 B1 KR101593537 B1 KR 101593537B1 KR 1020140116307 A KR1020140116307 A KR 1020140116307A KR 20140116307 A KR20140116307 A KR 20140116307A KR 101593537 B1 KR101593537 B1 KR 101593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ing
terminals
shortest distanc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편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접촉편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1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1단자; 상기 접촉편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2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단자; 상기 접촉편의 저면에 위치되는 제3접촉부, 상기 제3접촉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3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3단자; 및 상기 접촉편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4접촉부, 상기 제4접촉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부, 및 상기 제4연장부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4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4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1개의 열(列)을 형성하고, 상기 제3리드부는, 상기 제1리드부가 형성하는 열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는, 상기 제1 및 제3리드부가 형성하는 각각의 열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및 교호(交互)되게 배치되어 또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ER}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와이어와 와이어, 와이어와 기판 또는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커넥터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기계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HDMI 커넥터는, HDMI 리셉터클과 HDMI 플러그의 형태로 구성되고, 전자기기, 예를 들면, 디지털 TV와 셋톱 박스, 디지털 TV와 DVD 플레이어 등에 각각 구비되어 일방향으로 또는 양방향으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에는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위한 다수개의 단자가 구비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터미널(1)은 다수개의 (병렬) 단자(2)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단자(2)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1열(列)로 배치한 것으로, 특히, 단자(2)의 개수 증가에 의하여 단자(2)가 상하 2열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단자(2) 상호간의 간격 등에 따라서 전기적 특성의 저하가 우려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명칭: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효율적인 전기적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편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접촉편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1접촉부, 상기 제1접촉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및 상기 제1연장부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1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1단자; 상기 접촉편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2접촉부, 상기 제2접촉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 및 상기 제2연장부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2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단자; 상기 접촉편의 저면에 위치되는 제3접촉부, 상기 제3접촉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부, 및 상기 제3연장부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3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3단자; 및 상기 접촉편의 저면에 위치되는 제4접촉부, 상기 제4접촉부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부, 및 상기 제4연장부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4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4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드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1개의 열(列)을 형성하고, 상기 제3리드부는, 상기 제1리드부가 형성하는 열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는, 상기 제1 및 제3리드부가 형성하는 각각의 열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및 교호(交互)되게 배치되어 또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3리드부가 형성하는 각각의 열 사이에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가 형성하는 열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리드부 중 어느 2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4리드부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리드부 중 어느 1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3리드부 중 어느 2개는 다른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리드부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4리드부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리드부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1) 상에 위치되고,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리드부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리드부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3리드부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2)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리드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리드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리드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리드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는 모두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리드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리드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리드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리드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는, 1.8mm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접촉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1접촉부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접촉부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2접촉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1접촉부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접촉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3접촉부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접촉부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4접촉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3접촉부가 각각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넉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접촉부와 상기 제3 및 제4접촉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연장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연장부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2연장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연장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3연장부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연장부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4연장부의 양측에는, 상기 제3연장부가 각각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연장부에 비하여 상기 제2 및 제4연장부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및 제4연장부에 비하여 상기 제3연장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 상기 결합 공간과 구획되는 설치 공간, 상기 결합 공간과 설치 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부 단자홀과 하부 단자홀, 및 상기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내지 제3단자홀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기설정된 각도로 적어도 1회 밴딩되어 상기 상부 단자홀 및 제1단자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단자; 기설정된 각도로 적어도 1회 밴딩되어 상기 상기 상부 단자홀 및 제3단자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단자; 기설정된 각도로 적어도 1회 밴딩되어 상기 상기 하부 단자홀 및 제2단자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3단자; 및 상기 상기 하부 단자홀 및 제3단자홀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4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홀은,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1개의 열(列)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자홀은, 상기 제1단자홀이 형성하는 열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3단자홀은,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이 형성하는 각각의 열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및 교호되게 배치되어 또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이 형성하는 각각의 열 사이에 상기 제3단자홀이 형성하는 열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단자홀 중 어느 2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3단자홀 중 상기 제4단자가 관통하는 어느 1개는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3단자홀 중 상기 제2단자가 관통하는 어느 1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2단자홀 중 어느 2개는 다른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단자홀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3단자홀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단자홀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1) 상에 위치되고,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단자홀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단자홀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2단자홀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2)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단자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단자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단자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단자홀의 중심에서 상기 제3단자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2단자홀의 중심에서 상기 제3단자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는 모두 동일한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단자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단자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단자홀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단자홀의 중심에서 상기 제3단자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2단자홀의 중심에서 상기 제3단자홀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는, 1.8mm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상부 단자홀은,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편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단자홀은,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편의 하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단자의 양측에 상기 제1단자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단자가 위치되고 상기 제2단자의 양측에 상기 제1단자가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단자홀을 관통하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단자의 양측에 상기 제3단자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단자가 위치되고 상기 제4단자의 양측에 상기 제3단자가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 단자홀을 관통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편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어 그 일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되고, 나머지의 일부가 기판에 납땜되는 제1 내지 제4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되는 일부는, 상기 접촉편의 상면에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되는 일부는, 상기 접촉편의 저면에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단자의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3단자의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열과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및 제4단자의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일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및 교호되게 배치되어 제3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상기 제2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3단자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상기 3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및 제4단자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의 중심에서 상기 제3열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단자의 중심에서 상기 제3열까지의 최단 거리(D5)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 중 어느 2개와 상기 제3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4단자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3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2단자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2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3단자 중 어느 2개는 다른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단자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4단자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단자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1) 상에 위치되고,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단자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단자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3단자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2)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상기 제2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3단자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상기 3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및 제4단자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의 중심에서 상기 제3열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단자의 중심에서 상기 제3열까지의 최단 거리(D5)는 1.8mm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되는 일부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단자의 양측에 상기 제1단자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단자가 위치되고 상기 제2단자의 양측에 상기 제1단자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되는 일부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단자의 양측에 상기 제3단자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단자가 위치되고 상기 제4단자의 양측에 상기 제3단자가 각각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의 두께(t1)(t2)에 비하여 상기 제3 및 제4단자의 두께(t3)(t4)가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양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의 두께(t1)(t2)는 0.25mm이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의 두께(t3)(t4)는 0.20mm이다.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단자에 비하여 제3 및 제4단자의 두께를 작은 값으로 설정하고, 제1단자의 리드부가 형성하는 열, 제3단자의 리드부가 형성하는 열, 및 제2 및 제4단자의 리드부가 형성하는 열 사이의 간격 등을 기설정된 값으로 설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4단자의 설계에 의하여 종래에 비하여 향상된 전기적 특성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 및 제4단자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종래 기술에서의 임피던스를 보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임피던스를 보인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전면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후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배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단자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3 및 제4단자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종래 기술에서의 임피던스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임피던스를 보인 그래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외관을 하우징(100)이 정의한다. 상기 하우징(100)은, 절연 성능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은, 일면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결합 공간(S1) 및 설치 공간(S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공간(S1)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미도시)가 삽입되는 곳이고, 상기 설치 공간(S2)은 후술할 단자(210)(220)(230)(240)가 설치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결합 공간(S1) 및 설치 공간(S2)은 상기 하우징(100)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구획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 공간(S1)은 전방을 향하여 개방되고, 상기 설치 공간(S2)은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다.
상기 결합 공간(S1)의 내부에는 접촉편(110)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편(110)은, 각각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 즉 상기 결합 공간(S1)의 후면에서, 상기 결합 공간(S1)의 개방된 일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이때 상기 접촉편(1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 즉 상기 결합 공간(S1)의 상하면 및 양측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게 연장된다.
상기 결합 공간(S1) 및 설치 공간(S2) 사이에는 다수개의 상부 단자홀(121) 및 하부 단자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단자홀(121) 및 하부 단자홀(122)은, 단자(210)(220)(230)(240)가 각각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상부 단자홀(121) 및 하부 단자홀(122)은, 상기 접촉편(110)의 좌우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각각 배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단자홀(121) 및 하부 단자홀(122)은 각각 상기 접촉편(110)의 상하방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단자홀(121)의 하단은 상기 접촉편(110)의 상면과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단자홀(122)의 상단은 상기 접촉편(11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 공간(S2)의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제1 내지 제3단자홀(131)(132)(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단자홀(131)(132)(133)은 상기 상부 단자홀(121) 또는 하부 단자홀(122)을 관통한 단자(210)(220)(230)(240)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단자홀(131)(132)(133)은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열(列)을 각각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단자홀(131)(132)(133)이 각각 형성하는 열은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즉, 상기 제1단자홀(131)이 형성하는 열은 상기 설치 공간(S2)의 선단에 인접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2단자홀(132)이 형성하는 열은 상기 설치 공간(S2)의 내측단에 인접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3단자홀(133)이 형성하는 열은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131)(13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단자(210)(220)(230)(24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210)(220)(230)(240)는, 예를 들면, 신호 단자, 전원 단자, 및 접지 단자 중 서로 상이한 신호의 전달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단자(210)(220)(230)(240)는, 상기 상부 단자홀(121) 및 하부 단자홀(122)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1 내지 제3단자홀(131)(132)(133) 중 어느 1개를 관통하여 그 일부는 상기 결합 공간(S1) 및 설치 공간(S2)의 내부에 위치되고, 그 나머지는 상기 설치 공간(S2)의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210)(220)(230)(240)는, 상기 결합 공간(S1)의 내부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미도시)와 각각 접촉되고, 상기 설치 공간(S2)의 외부에서 기판(미도시)에 납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자(210)(220)(230)(240)가 다수개의 제1 내지 제4단자(210)(220)(230)(240)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단자(210) 중 어느 2개와 상기 제4단자(240) 중 어느 1개가 1개의 군(群)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자(220)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3단자(230) 중 어느 2개가 다른 1개의 군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단자(210)는, 제1접촉부(211), 제1연장부(212) 및 제1리드부(2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단자(210)와 동일하게, 상기 제2 내지 제4단자(220)(230)(240)는, 제2 내지 제4접촉부(221)(231)(241), 제2 내지 제4연장부(222)(232)(242), 및 제2 내지 제4리드부(223)(233)(2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접촉부(211)(221)(231)(241)는,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되는 곳이다.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211)(221)는, 상기 결합 공간(S1)의 내부, 즉 상기 접촉편(110)의 상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접촉부(231)(241)는, 상기 접촉편(110)의 저면에 각각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211)(221)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접촉부(231)(241)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연장부(212)(222)는,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211)(221)의 후단에서 상기 상부 단자홀(121)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공간(S2)의 내부로 각각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및 제4연장부(232)(242)는, 상기 하부 단자홀(122)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공간(S2)의 내부로 각각 연장된다.
한편 상기 제1리드부(213)는, 상기 제1연장부(212)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 예를 들면, 직교되게 밴딩됨으로써,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단자홀(131)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공간(S2)의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드부(223)는, 상기 제2연장부(222)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단자홀(133)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공간(S2)의 외부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3리드부(233)는, 상기 제3연장부(232)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단자홀(132)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공간(S2)의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4리드부(234)는, 상기 제4연장부(242)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단자홀(133)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공간(S2)의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장부(212)에 비하여 상기 제2 및 제4연장부(222)(242)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및 제4연장부(222)(242)에 비하여 상기 제3연장부(23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설정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리드부(213)(223)(233)(243)는, 상기 제1 내지 제4연장부(212)(222)(232)(242)의 후단과 상기 제1 내지 제3단자홀(131)(132)(133)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하방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수직 방향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리드부(213)(223)(233)(243)의 일부, 실질적으로 상기 설치 공간(S2)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1 내지 제4리드부(213)(223)(233)(243)의 일부는 상기 기판의 랜드부(미도시)에 납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접촉부(211)의 양측에 상기 제1접촉부(211)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접촉부(221)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2접촉부(221)의 양측에는, 상기 제1접촉부(211)가 각각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접촉부(231)의 양측에는, 상기 제3접촉부(231)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접촉부(241)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4접촉부(241)의 양측에는, 상기 제3접촉부(231)가 각각 위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연장부(212)의 양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212)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연장부(222)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2연장부(222)의 양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212)가 각각 위치된다.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연장부(232)의 양측에는, 상기 제3연장부(232)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연장부(242)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4연장부(242)의 양측에는, 상기 제3연장부(232)가 각각 위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리드부(213)의 양측에는, 다른 2개의 상기 제1리드부(213)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리드부(233)의 양측에는 다른 2개의 상기 제3리드부(233)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는 서로 교호(交互)되게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단자홀(131)을 관통한 상기 제1단자(210), 즉 상기 제1리드부(213) 중 어느 2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3단자홀(133)을 관통한 상기 제4단자(240), 즉 상기 제4리드부(234)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된다. 이와 동일하게, 상기 제3단자홀(133)을 관통한 상기 제2단자(220), 즉 상기 제2리드부(223) 중 어느 1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2단자홀(132)을 관통한 상기 제3단자(230), 즉 상기 제3리드부(233) 중 어느 2개는 다른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된다.
이때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리드부(213)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4리드부(234)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리드부(233)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1) 상에 위치된다. 그리고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리드부(213)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리드부(223)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3리드부(233)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2) 상에 위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리드부(21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리드부(23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리드부(213)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리드부(233)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가 모두 동일한 값, 예를 들면, D1 내지 D5는, 1.8mm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단자(210)(220)의 두께(t1)(t2)에 비하여 상기 제3 및 제4단자(230)(240)의 두께(t3)(t4)가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단자(210)(220)의 두께(t1)(t2)는 0.25mm로 설정되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230)(240)의 두께(t3)(t4)는 0.2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1 내지 제4리드부(213)(223)(233)(24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D2)(D3)(D4)(D5)와 상기 제1 내지 제4단자(210)(220)(230)(240)의 두께(t1)(t2)(t3)(t4)는,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적으로 HDMI 단자에서는 100Ω±15%, 즉, 85~115Ω의 임피던스가 요구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하여 배치된 단자 중 4개의 군을 구성하는 단자의 임피던스값의 평균은, 상술한 임피던스 범위를 초과한다. 이에 반하여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단자 중 4개의 군을 구성하는 단자의 임피던스값의 평균이, 상술한 임피던스 범위 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리드부(213)(223)(233)(24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D2)(D3)(D4)(D5)와 상기 제1 내지 제4단자(210)(220)(230)(240)의 두께(t1)(t2)(t3)(t4)는, 상기 제1 내지 제3단자홀(131)(132)(133)에 대해서도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110: 결합편
121: 상부 단자홀 122: 하부 단자홀
131: 제1단자홀 132: 제2단자홀
133: 제3단자홀 210, 220, 230, 240: 단자
211, 221, 231, 241: 접촉부 212, 222, 232, 242: 연장부
213, 223, 243: 리드부 S1: 결합 공간
S2: 설치 공간

Claims (25)

  1.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편(110)이 구비되는 하우징(100);
    상기 접촉편(110)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1접촉부(211), 상기 제1접촉부(211)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12), 및 상기 제1연장부(212)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1리드부(213)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1단자(210);
    상기 접촉편(110)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2접촉부(221), 상기 제2접촉부(221)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22), 및 상기 제2연장부(222)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2리드부(223)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2단자(220);
    상기 접촉편(110)의 저면에 위치되는 제3접촉부(231), 상기 제3접촉부(231)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연장부(232), 및 상기 제3연장부(232)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3리드부(233)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3단자(230); 및
    상기 접촉편(110)의 저면에 위치되는 제4접촉부(241), 상기 제4접촉부(241)의 후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4연장부(242), 및 상기 제4연장부(242)의 후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기판에 납땜되는 제4리드부(243)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개의 제4단자(2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리드부(213)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1개의 열(列)을 형성하고,
    상기 제3리드부(233)는, 상기 제1리드부(213)가 형성하는 열과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는, 상기 제1 및 제3리드부(213)(233)가 형성하는 각각의 열과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및 교호(交互)되게 배치되어 또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하며,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리드부(21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리드부(23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리드부(213)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리드부(233)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는 모두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리드부(213)(233)가 형성하는 각각의 열 사이에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가 형성하는 열이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드부(213) 중 어느 2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4리드부(234)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리드부(223) 중 어느 1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3리드부(233) 중 어느 2개는 다른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리드부(213)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4리드부(234)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리드부(233)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1) 상에 위치되고,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리드부(213)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리드부(223)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3리드부(233)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2) 상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삭제
  6. 제 3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리드부(21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리드부(23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리드부(213)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리드부(233)의 중심에서 상기 제2 및 제4리드부(223)(24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는, 1.8mm인 리셉터클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접촉부(211)의 양측에는, 상기 제1접촉부(211)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접촉부(221)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2접촉부(221)의 양측에는, 상기 제1접촉부(211)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접촉부(231)의 양측에는, 상기 제3접촉부(231)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접촉부(241)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4접촉부(241)의 양측에는, 상기 제3접촉부(231)가 각각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접촉부(211)와 상기 제1 및 제2접촉부(211)(221)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접촉부(231)와 상기 제3 및 제4접촉부(231)(241)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연장부(212)의 양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212)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연장부(222)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2연장부(222)의 양측에는, 상기 제1연장부(212)가 각각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연장부(232)의 양측에는, 상기 제3연장부(232)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연장부(242)가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4연장부(242)의 양측에는, 상기 제3연장부(232)가 각각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장부(212)에 비하여 상기 제2 및 제4연장부(222)(242)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설정되고,
    상기 제2 및 제4연장부(222)(242)에 비하여 상기 제3연장부(232)가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설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S1), 상기 결합 공간(S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촉편(110), 상기 결합 공간(S1)과 구획되는 설치 공간(S2), 상기 결합 공간(S1)과 설치 공간(S2)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상부 단자홀(121)과 하부 단자홀(122), 및 상기 설치 공간(S2)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1 내지 제3단자홀(131)(132)(133)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
    기설정된 각도로 적어도 1회 밴딩되어 상기 상부 단자홀(121) 및 제1단자홀(131)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단자(210);
    기설정된 각도로 적어도 1회 밴딩되어 상기 상부 단자홀(121) 및 제3단자홀(133)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단자(220);
    기설정된 각도로 적어도 1회 밴딩되어 상기 하부 단자홀(122) 및 제2단자홀(13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3단자(230); 및
    상기 하부 단자홀(122) 및 제3단자홀(133)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4단자(2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홀(131)은,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1개의 열(列)을 형성하고,
    상기 제2단자홀(132)은, 상기 제1단자홀(131)이 형성하는 열과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3단자홀(133)은,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131)(132)이 형성하는 각각의 열과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및 교호되게 배치되어 또 다른 1개의 열을 형성하며,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단자홀(131)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단자홀(132)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단자홀(13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단자홀(131)의 중심에서 상기 제3단자홀(13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2단자홀(132)의 중심에서 상기 제3단자홀(13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는 모두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홀(131)(132)이 형성하는 각각의 열 사이에 상기 제3단자홀(133)이 형성하는 열이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홀(131) 중 어느 2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3단자홀(133) 중 상기 제4단자(240)가 관통하는 어느 1개는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3단자홀(133) 중 상기 제2단자(220)가 관통하는 어느 1개와 이에 인접하는 상기 제2단자홀(132) 중 어느 2개는 다른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단자홀(131)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3단자홀(133)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단자홀(132)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1) 상에 위치되고,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단자홀(131)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단자홀(133)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2단자홀(132)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2) 상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단자홀(131)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단자홀(132)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3단자홀(133)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단자홀(131)의 중심에서 상기 제3단자홀(13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2단자홀(132)의 중심에서 상기 제3단자홀(13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L3)까지의 최단 거리(D5)는, 1.8mm인 리셉터클 커넥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단자홀(121)은,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편(110)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단자홀(122)은,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편(110)의 하방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210)(220)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단자(210)의 양측에 상기 제1단자(210)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단자(220)가 위치되고 상기 제2단자(220)의 양측에 상기 제1단자(210)가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상부 단자홀(121)을 관통하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230)(240)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단자(230)의 양측에 상기 제3단자(230)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단자(240)가 위치되고 상기 제4단자(240)의 양측에 상기 제3단자(230)가 각각 위치되도록 상기 하부 단자홀(122)을 관통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9.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편(110)이 구비되는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에 구비되어 그 일부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되고, 나머지의 일부가 기판에 납땜되는 제1 내지 제4단자(210)(220)(230)(2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단자(210)(220)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되는 일부는, 상기 접촉편(110)의 상면에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230)(240)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되는 일부는, 상기 접촉편(110)의 저면에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단자(210)의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1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3단자(230)의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열과 이격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열을 형성하며,
    상기 제2 및 제4단자(220)(240)의 상기 기판에 납땜되는 일부는, 상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및 제2열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및 교호되게 배치되어 제3열을 형성하고,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210)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상기 제2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3단자(230)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상기 3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및 제4단자(220)(240)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210)의 중심에서 상기 제3열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단자(230)의 중심에서 상기 제3열까지의 최단 거리(D5)는 동일한 리셉터클 커넥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210) 중 어느 2개와 상기 제3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4단자(240)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3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2단자(220)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2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3단자(230) 중 어느 2개는 다른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단자(210)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4단자(240)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3단자(230)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1) 상에 위치되고,
    가상의 제1예각 삼각형(T1)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1단자(210) 중 어느 1개, 및 가상의 제2예각 삼각형(T2)의 꼭지점 상에 위치되는 상기 제2단자(220) 중 어느 1개와 상기 제3단자(230) 중 어느 1개는 가상의 직선(L2) 상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210)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1), 상기 제2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3단자(230)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2), 상기 3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2 및 제4단자(220)(240)의 중심 사이의 최단 거리(D3), 상기 제1열을 형성하는 상기 제1단자(210)의 중심에서 상기 제3열까지의 최단 거리(D4), 및 상기 제3단자(230)의 중심에서 상기 제3열까지의 최단 거리(D5)는 1.8mm인 리셉터클 커넥터.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210)(220)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되는 일부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1단자(210)의 양측에 상기 제1단자(210)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2단자(220)가 위치되고 상기 제2단자(220)의 양측에 상기 제1단자(210)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230)(240)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되는 일부에서는, 상기 하우징(100)의 폭 방향으로 상기 제3단자(230)의 양측에 상기 제3단자(230) 중 다른 1개와 상기 제4단자(240)가 위치되고 상기 제4단자(240)의 양측에 상기 제3단자(230)가 각각 위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14 항, 제 1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210)(220)의 두께(t1)(t2)에 비하여 상기 제3 및 제4단자(230)(240)의 두께(t3)(t4)가 상대적으로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2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내지 제 14 항, 제 16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단자(210)(220)의 두께(t1)(t2)는 0.25mm이고,
    상기 제3 및 제4단자(230)(240)의 두께(t3)(t4)는 0.20mm인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140116307A 2014-09-02 2014-09-02 리셉터클 커넥터 KR101593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307A KR101593537B1 (ko) 2014-09-02 2014-09-02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6307A KR101593537B1 (ko) 2014-09-02 2014-09-02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537B1 true KR101593537B1 (ko) 2016-02-26

Family

ID=5544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307A KR101593537B1 (ko) 2014-09-02 2014-09-02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53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4139A (ja) * 2007-03-30 2007-08-23 Taiko Denki Co Ltd レセプタクルの実装構造
KR20120103489A (ko) 2011-03-09 2012-09-1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14139A (ja) * 2007-03-30 2007-08-23 Taiko Denki Co Ltd レセプタクルの実装構造
KR20120103489A (ko) 2011-03-09 2012-09-19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51606B2 (en) Receptacle connector equipped with cable instead of mounting to PCB
US972889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684772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3883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igh frequency signal transmission environment
US85740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60126677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43798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US20180212338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US10084271B2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arrangement structure between outer case and printed circuit board
US8684770B2 (en) Cable end connector and cable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US9583887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spacer
WO2016035844A1 (ja) 通信用コネクタ
JP6281481B2 (ja) コネクタ及び電線ユニット
US20170302030A1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6035841A1 (ja) 通信用コネクタ
TW201342744A (zh) 連接器組合
JP6097165B2 (ja) コネクタ
JP5857892B2 (ja) 多極コネクタ
US930634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insulative housing
KR10159353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866291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150030414A (ko) 리셉터클 커넥터
KR20170045665A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3187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170025128A (ko)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이들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