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7399A - 푸시-풀 상호 연결 시스템 - Google Patents

푸시-풀 상호 연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7399A
KR20120097399A KR1020127018599A KR20127018599A KR20120097399A KR 20120097399 A KR20120097399 A KR 20120097399A KR 1020127018599 A KR1020127018599 A KR 1020127018599A KR 20127018599 A KR20127018599 A KR 20127018599A KR 20120097399 A KR20120097399 A KR 20120097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ocket
contact
brace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르노 뒤랑
Original Assignee
라디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디알 filed Critical 라디알
Publication of KR2012009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3)를 포함하고, 플러그(3)는 케이블(10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contact, 41) 및 세로의 축(X)을 따라 확장된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그 안에 수용되는(housed) 상기 콘택트(41)를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41)는 상기 본체 안에서 병진운동으로(translatably) 이동하는(X) 받침대(mounting)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푸시-풀 상호 연결 시스템{Push-pull interconnection system}
본 발명은 상호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고, 특히 혹독한 야외 환경에서 이더넷(Ethernet)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것이다.
그러한 상호 연결 시스템은 듀플렉스(duplex) LC, RJ45, USB 및 다른 연결기들과 같은 다른 연결 인터페이스들에 조정될 수 있다.
상호 연결 시스템은 플러그 및 소켓을 포함하고, 소켓은 예를 들어 케이싱 안에 받아지는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고객 기기(customer equipment)의 섀시(chassis)상에 설치된다.
소켓에 대한 케이싱의 위치는 하나의 어셈블리(assembly)로부터 다른 것까지 정확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케이싱의 다른 위치들 및 고객 기기의 다른 유형들 때문이고, 섀시가 포함되는 평면에서 케이싱의 위치의 좌표(coordinates)에 관하여 1 밀리미터(millimetre)의 오더(order)의 톨러런스(tolerance)는 용인되고(acceptable), 반면 상기 평면의 수직인 방향으로 케이싱의 위치의 좌표에 대한 톨러런스는 몇 밀리미터정도까지 일 수 있고, 이 좌표는 이하에서 "깊이(depth)"라고 부른다. 따라서 케이싱은 하나의 고객 어셈블리로부터 다른 것까지 소켓에 대해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
미국 특허 7,338,214에 따른 플러그의 콘택트들은 플러그의 받침대(rest)에 대해 고정되고, 그것들은 일부 고객 어셈블리들의 전자 부품들의 연결을 위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데, 소켓에 대해 그것들을 받는 케이싱들의 특정 위치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WO 2009/100796는 플러그 안에서 콘택트들이 속이 빈(hollow) 본체에 뜨는 방식(floating manner)으로 설치되는 플러그를 제안하여, 섀시 안의 상기 전자 부품의 깊이를 고려하여 전자 부품에의 콘택트들의 수동(manual)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그러한 플러그의 사용은 오퍼레이터가 전자 부품에의 연결을 이루기 위한 무시할 수 없는 조작 시간을 필요로 하고, 이 연결은 블라인드(blind)로 이루어질 수 없다. 게다가, 그러한 플러그는 깊이와 다른 차원(dimensions)의 방향으로 소켓에 대해 전자 부품을 받는 케이싱의 위치에의 변화의 보상을 허용하지 않는다.
애플리케이션 US 2007/0128901는 전자 케이블에 연결되는 콘택트들을 받는 버팀대(support)를 포함하는 연결기를 개시하고, 연결기는 본체를 포함하고, 버팀대는 본체 내부에 수용된다(housed).
특허 US 7 422 456은 고정된 파트(fixed part)를 구비하는 연결기를 개시하고, 고정된 파트에 대해 내부 컨덕터(internal conductor) 및 외부 컨덕터(external conductor)는 병진운동으로(translatably) 이동한다. 이 특허 US 7 422 456는 컨덕터들을 운반하는 어떤 병진운동으로 이동하는 버팀대를 개시하지 않는다.
특허 US 7 338 214 및 애플리케이션 US 2007/0047877는 하나의 그리고 동일한 광콘택트(optical contact)상의 2개의 돌출부들(lugs)의 창작물을 개시하고, 이 2개의 돌출부들은 서로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 문헌들은 콘택트상의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나의 광콘택트를 운반하는 버팀대 상의 제1 돌출부의 창작물을 개시하지 않고, 제1 및 제2 돌출부는, 콘택트가 버팀대상에 설치될 때 서로 접촉될 수 있음을 개시하지 않는다.
섀시에 의해 운반되는 고객 기기의 전자 부품에 플러그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고, 소켓에 대해 부품을 받는 케이싱의 위치에 관해 3차원으로 톨러런스들(tolerances)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섀시는 소켓에 고정되고, 이 연결 및 분리 동작들은 바람직하게는 간단하고, 빠르고, 그리고 블라인드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양태는
- 케이블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contact), 및
- 세로의 축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콘택트가 그 안으로 받아지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본체 안에서 병진운동으로(in translation) 이동하는 버팀대(support, 40)에 의해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때문이다.
본체에서 콘택트의 움직임은, 플러그가 연결될 수 있는 전자 부품을 받는 케이싱의 소켓에 관한 위치의 깊이에 대한 톨러런스의 보상을 허용한다.
상기 플러그는 유리하게 상기 본체의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콘택트를 이동시키도록 조정된 복원력을 가하는 수단을 상기 본체 안에 포함한다.
콘택트상에 가해지는 복원력은 앞서 언급한 움직임을 허용한다.
본체는 예를 들어 하나의, 2개의 또는 2개보다 많은 콘택트들을 받도록 구성된다. 콘택트들은 광콘택트들, 특히 LC 콘택트들, 또는 RJ45, USB 또는 다른 콘택트들과 같은 다른 유형의 콘택트일 수 있다.
케이블은 유리하게 광케이블이다.
복원력을 가하는 수단은 유리하게 본체에 연결되는 하나의 말단 및 버팀대에 연결되는 다른 말단을 구비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스프링은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콘택트는 유리하게 상기 콘택트의 받침대(rest)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돌출부(lug)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버팀대는 유리하게 상기 버팀대의 받침대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의 상기 돌출부 및 상기 버팀대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콘택트가 상기 버팀대 안에 설치될 때 서로 접촉하도록 조정된다.
상기 돌출부를 운반하는 콘택트의 파트 및 다른 상기 돌출부를 운반하는 버팀대의 파트는, 그것들이 다른 것에 대하여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유리하게 하나의 세로의 말단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 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양각 부분(raised portion)을 포함하는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양각 부분 및 상기 버팀대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 안의 상기 버팀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조정된다. 다시 말해서, 양각 부분이 버팀대의 돌출부상에 힘을 가하지 않는, 본체 내 버팀대의 위치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체는 본체 내 버팀대의 어떤 위치를 위해 콘택트들을 지나 확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연결 및/또는 분리 동작들 동안 콘택트들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콘택트 및 버팀대의 돌출부들의 앞서 언급한 구성 및 안쪽으로 돌출되는 양각 부분을 포함하는 구역의 앞서 언급한 구성은,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어셈블리의 소켓으로/소켓으로부터 플러그를 연결 및/또는 분리 동작들의 단순화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버팀대는 유리하게, 상기 본체의 상기 축을 따라 확장되고,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 벽에서 제공되는 가이드들(guides)과 협력하는(cooperating with) 말단 표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arm)을 포함하고, 그러한 암은 본체 안의 버팀대의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따라서 용이하게 한다.
플러그는 유리하게 케이블상에 플러그를 유지하기 위한 시스템, 예를 들어 글랜드를 포함한다. 상기 글랜드는 유리하게 상호 보완적인(complementary) 형태의 2개의 고정시키는(retaining) 부재들, 예를 들어 2개의 하프-부재들(half-members)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부재들을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한 부재를 포함한다. 글랜드는 유리하게 본체 및 유연한 뒤쪽 파트상에 설치되기 위한 앞쪽 파트를 포함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글랜드는 케이블에 붙여 눌린 스플릿(split) 고리 모양의 밀봉 물질(sea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글랜드는, 케이블의 굽힘(flexing)을 수반하는 것과 동시에 플러그 및 케이블 사이의 실링된(sealed) 기계적 연결의 생성을 허용한다.
플러그는 유리하게 위에서 교체가능하게(interchangeably) 언급된 여러 가지 유형들의 콘택트들을 받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앞에서 기술된 플러그에 연결하도록 조정되는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어셈블리는:
- 전자 부품을 받도록 조정된 케이싱 및 섀시를 포함하는 고객 기기 - 상기 케이싱은 상기 섀시에 의해 운반되고, 하우징을 정의하고, 그리고 상기 섀시의 구멍을 향하도록 배치됨 - 및
- 소켓 - 소켓은 튜브 부분, 상기 섀시에 그것을 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 및 상기 튜브 부분을 막도록 조정된 커버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펙을 포함하고, 상기 펙은, 상기 튜브 부분 쪽으로 뻗도록(extend) 조정되고 - 상기 커버가 그것에 대해 제자리에 있을(in place) 때임 - , 상기 펙은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우징과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에 대해 상기 소켓의 센터링(centring)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버의 펙 및 케이싱의 하우징의 협력(cooperation)은, 섀시의 평면에서 섀시의 구멍 안에 케이싱의 위치에 대한 톨러런스들(tolerances)을 없애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펙은 유리하게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우징 안에 받아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펙은 유리하게 상기 커버의 받침대(rest)상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소켓의 튜브 부분 및 고정(fixing) 플레이트는 하나의 부품으로(in one piece)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호 연결 시스템을 제공하고, 상기 상호 연결 시스템은:
- 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플러그, 및
- 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의 내부 쪽으로 돌출된 상기 양각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플러그의 상기 본체의 상기 구역은, 상기 본체의 외부 쪽으로 돌출된 양각 부분을 유리하게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소켓의 상기 튜브 부분은 홈을 유리하게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어셈블리를 연결할 때 그 홈으로 상기 양각 부분이 고정될(clip) 수 있어, 상기 어셈블리상에 상기 플러그의 보유(retention)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상호 연결 시스템은 유리하게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의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버팀대는 상기 본체 안 상기 콘택트의 상기 플러그가 풀어지는 위치에 있도록 구성되고, 즉, 상기 콘택트의 상기 돌출부는 어떤 외부 스트레스도 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상으로 제한되는 이것들이 없으면, 콘택트의 돌출부는 계속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본체의 상기 구역의 구성이 양각 부분, 버팀대의 돌출부, 콘택트의 돌출부 및 복원력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기 때문이고, 앞서 언급한 구성은 예를 들어, 힘이 어셈블리에 연결된 플러그에 가해질 때, 상기 수단은 하나의 위치에서 버팀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데, 그 위치에서 버팀대의 돌출부를 통해 양각 부분은 콘택트의 돌출부를 어셈블리의 고객 기기의 연결 인터페이스에 콘택트의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유지되고, 그리고 이 연결이 이루어지면, 본체 안의 버팀대는 콘택트의 돌출부가 풀어지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렇지 않으면, 콘택트의 돌출부는, 오직 그것이 어셈블리의 고객 기기의 연결 인터페이스와 접촉할 때에만 스트레스를 받는다.
상기 양각 부분, 상기 버팀대의 상기 돌출부, 상기 콘택트의 상기 돌출부 및 복원력을 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본체의 구역들은, 견인력이 상기 플러그에 상기 어셈블리로부터 그것을 분리시키도록 인가될 때, 상기 버팀대는 상기 본체 안에서 위치로 이동하는데, 그 위치에서 상기 버팀대의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양각 부분은 상기 콘택트의 상기 돌출부를 상기 어셈블리로부터 그것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유지하도록 유리하게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의 상기 본체는, 상기 소켓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를 유리하게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소켓은, 상기 플러그의 상기 본체마다, 적어도 하나의 홈을 유리하게 포함하고, 상기 홈 및 상기 리브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어셈블리에 연결할 때 극화(polarization)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홈은 오직 상기 플러그의 상기 본체의 길이의 파트 또는 상기 소켓 위로 유리하게 확장되고, 상기 홈의 상기 폐쇄된 말단은 상기 플러그를 상기 어셈블리에 연결할 때 접합(abutment) 위치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상호 연결 시스템은 분리마다 플러그 및 어셈블리의 연결을 감소된 개수의 단계들로, 특히 단일 단계로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강력한(robust) 그리고 적절한 전자기 특성을 갖는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플러그는 IP67 또는 IP68의 국제전기표준회의(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보호 인덱스(protection index)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상호 연결 시스템은 조립식 형태(kit form)로 제공될 수 있고, 전문가 기구(specialist tools)없이 사용자에 의해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고객 기기의 섀시상에 소켓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소켓은 튜브 부분, 고정(fixing) 플레이트 및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튜브 부분을 막도록 조정되고, 상기 커버가 그것에 대해 제자리에 있으면(in place) 상기 튜브 부분 쪽으로 뻗는(extend) 펙을 포함하고, 상기 섀시는 상기 섀시의 구멍을 향하도록 케이싱을 운반하고, 상기 케이싱은 하우징을 정의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소켓이 상기 섀시 가까이 배치되어, 상기 펙이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우징과 협력하도록 하고, 그리고
-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소켓은 상기 섀시에 고정된다.
상기 소켓은 상기 섀시에 붙여(against) 배치되어, 상기 커버의 상기 펙이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우징 안으로 받아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케이블상에 플러그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글랜드를 제공하고, 그것은 케이블상에 상호 보완적인(complementary) 형태의 2개의 고정시키는(retaining)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글랜드는 유리하게 상기 2개의 부재들을 클램핑하기 위한 부재, 플러그의 본체 및 유연한 뒤쪽 파트상에 설치되도록 조정된 앞쪽 파트를 포함하는 너트를 포함한다. 상기 글랜드 유리하게 케이블에 붙여 눌린 고리 모양의 스플릿 밀봉 물질(split seal)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징 및 구성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한하지 않는 다음의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검토한 이후에 명확해질 것이고, 그 도면에서:
- 도 1은 어셈블리 및 플러그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호 연결 시스템을 도식적으로(diagrammatically) 나타내고,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셈블리의 분해도이고,
- 도 3은 조립된(assembled)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예시의 다른 형태를 나타내고,
- 도 5는 도 2의 어셈블리의 상세도이고,
- 도 6은 커버가 부가된 도 4에서 선 VI-VI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고,
- 도 7은 커버가 끼워질 때 도 4로부터의 어셈블리를 나타내고,
- 도 8은 도 7에서 선 VIII-VIII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고,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플러그의 분해도이고,
- 도 10은 조립되었을 때 도 9에 도시된 플러그의 단면도이고,
- 도 11은 본 발명의 콘택트들(contacts)의 예를 나타내고,
- 도 12는 도 11의 콘택트들을 받기 위한 버팀대(support)의 예를 나타내고,
- 도 13은 도 11의 콘택트들이 버팀대상에 설치되었을 때 도 12의 버팀대를 나타내고,
- 도 14는 어셈블리에 플러그를 연결하는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 도 15 내지 도 17은 어셈블리에 플러그를 연결할 때의 여러 가지 단계들을 나타내고, 도 15는 도 14에서 선 XV-XV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고,
- 도 18은 어셈블리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동작을 도식적으로 나타내고,
- 도 19 내지 도 21은 어셈블리로부터 플러그를 분리하는 동안의 여러 가지 단계들을 나타내고, 도 19는 도 18에서 선 XIX-XIX을 따라 얻어진 단면도이고,
-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커버를 나타내고, 그리고
- 도 24는 도 22 및 도 23으로부터의 커버를 구비하는 어셈블리의 전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상호 연결 시스템(interconnection system, 1)이 도식적으로(diagrammatically) 표현된다.
상호 연결 시스템(1)은 예를 들어 혹독한 야외 환경(severe outdoor environment)에서 이더넷(Ethernet)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시스템이다.
상호 연결 시스템(1)은 어셈블리(assembly, 2) 및 플러그(plug, 3)를 포함하고, 플러그(3) 및 어셈블리(2)는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설명될 예시들에서, 상호 연결 시스템은 광연결(optical connection)을 만들고, 플러그는 광케이블(optical cable, 100)상에 설치되나, 본 발명은 그러한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어셈블리(2)는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다음에 설명된다.
도 2에서, 이 어셈블리(2)는 섀시(chassis, 5) 및 섀시(5)에 의해 운반되는 케이싱(casing, 6)을 포함하는 고객 기기(customer equipment, 4)를 포함하고, 케이싱(6)은, 트랜시버(transceiver)로도 알려진 광전자 컨버터(opto-electronic converter)와 같은 전자 부품(electronic component, 7)을 하우징(housing, 30) 내에 받도록 조정된다(adapted to).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인터페이스(8)는 부품(7)의 말단(9)에 배치되고, 부품(7)은 섀시(5)에서 제공되는 구멍(opening, 10) 안에 받게 된다. 이 구멍(10)은 원형이고,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될 수 있는 것과 같다.
도 2의 예시에서, 섀시는 2개의 구멍들(10)을 포함하나, 본 발명은 특정 개수의 구멍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섀시(5)는 오직 하나의 구멍(1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들(holes, 11)은 이하에 설명되는 것과 같이 베이스(base, 12)를 고정시키기 위해 섀시(5) 벽의 두께 안에 생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싱(6)은 인쇄 회로 카드(printed circuit card , 17)상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소켓(12)은 튜브 부분(tubular portion, 13) 및 그것을 섀시(5)에 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plate, 14)를 포함한다. 튜브 부분(13)은 구멍(15)을 정의하고(define)하고, 구멍(15)의 지름은 섀시(5) 내 구멍(10)의 그것과 대체로(substantially) 동일할 수 있다. 플레이트(14)는 예를 들어 정사각형의 또는 직사각형의 형태이고, 컷-아웃들(16)이 플레이트(14)의 코너들(corners)에서 제공될 수 있어, 스크루들(18)이 그것을 지나가도록 허용하여 소켓(12)을 섀시(5)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어셈블리(2)는 대체로 정사각형의 또는 직사각형의 외부 윤곽(exterior contour)을 구비하는 플랜지(19) 및 그것의 4개의 코너들에서 플레이트(14)의 컷-아웃들(16) 위에 겹쳐 놓여지는 홀들(20)을 포함하고, 플랜지가 소켓(12)상에 설치되면, 소켓은 그때 플랜지(19) 및 섀시(5) 사이에 끼이게 된다(being sandwiched).
이 플랜지(19)는, 소켓(12)의 튜브 부분(13)을 받도록 조정된 원형의 구멍(21)을 구비한다.
도 2의 예시에서 도시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컷-아웃들(16)은 스크루들(18)에 비해 더 커(oversized), 소켓(12)의 움직임(movement)을 가능하게 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에서, 어셈블리는 플랜지(19)를 구비하지 않고, 그때 컷-아웃들(16)은 플랜지(19)가 존재하는 경우보다 더 크다.
도 5에서 도시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리브(rib) 또는 홈(groove)과 같은 릴리프(relief, 23)가 튜브 부분(13)의 내부 벽(internal wall)에 제공될 수 있고, 이 릴리프(23)의 기능은 이하에 설명된다.
소켓(12)은 커버(cover, 2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그것의 일 실시예가 도 6의 단면도에서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 커버는 튜브 부분(27) - 그것의 외부 벽(external wall)은 소켓(12)의 튜브 부분(13)의 내부 벽과 접촉하도록(come into contact with) 조정됨 - 및 커버(25)의 중간 부분(median region)에 제공되는 펙(peg, 29)을 포함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커버는 외부에서(externally) 밀어 넣어져(pressed) 튜브 부분(27)의 베이스에 붙여진(against) 고리 모양의 밀봉 물질(annular seal, 2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25)는 금속으로 또는 메탈로 코팅된 플라스틱으로 생성될 수 있다.
펙(29)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속이 비어(hollow)있을 수 있고, 또는 도 22 및 도 2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속이 꽉 차(solid) 있을 수 있다.
펙(29)은 도 6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의 받침대(rest)와 함께 하나의 부품으로(in one piece) 생성될 수 있고, 또는 도 22 및 도 23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의 받침대에 제거 가능하게(removably) 고정될 수 있다.
커버(25)가 소켓(12) 위 제자리에 있고, 후자가 섀시(5)에 붙여져 있으면, 펙(29)은 섀시(5)의 구멍(10) 내부 쪽으로 뻗도록 배치된다(The peg 29 is disposed so as to extend toward the interior of the opening 10 of the chassis 5 when the cover 25 is in place on the socket 12 with the latter resting against the chassis 5).
펙(29)의 바깥치수(exterior dimensions)는 그것이 케이싱(6) 안에 제공되는 하우징(30) 안으로 받아질 수 있도록 선택되는 것이 이해될 수 있는데, 도 6의 평면에 수직인 평면에서 케이싱(6)에 관하여 소켓(12)을 센터에 두기 위해, 이 평면에서 케이싱(6)의 위치를 고려하기 위해서이고, 그 위치는 하나의 고객 어셈블리로부터 다른 것까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센터링(centring)이 이루어지면, 소켓(12)은 스크루들(18)에 의해 섀시(5)에 고정된다.
소켓(12)이 섀시(5)에 고정된 채로, 전자 모듈(electronic module, 7)이 하우징(30) 안으로 배치될 수 있고,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거 가능한 펙(29)이 제거된 채로 커버(25)가 소켓상에 설치되어 그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면 획득된 어셈블리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다.
도 6 및 도 8에서 도시될 수 있는 것과 같이, 고리 모양의 홈(28)은 소켓의 내부 벽(interior wall)상에, 고정된 플레이트(14)와 같은 높이에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플러그(3)는 도 9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다음에 설명된다.
플러그는 세로 축 X를 따라 확장되는 본체(body, 33)를 포함한다. 이 본체(33)는 앞쪽 부분(front portion) 및 뒤쪽 부분(rear portion, 34)을 구비하고, 앞쪽 부분은 축 X를 따라 확장되는 속이 빈 파트(hollow part, 35)를 포함하고, 여기에 설명된 예시에서는 튜브 형태이다. 예를 들어, 파트(35)는 플라스틱 물질로 생성된다.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어셈블리(2)에 플러그를 연결하자마자 파트(35)의 앞쪽 말단(front end, 80)은 소켓(12)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파트(35)의 내부 쪽으로 돌출된(projecting) 적어도 하나의 양각 부분(raised portion, 90)은 파트(35)에 의해 그것의 앞쪽 말단(80)에서 구역(area, 99) 안에서 붙어 있을(carried) 수 있다. 컷-아웃들(91)은 파트(35)의 앞쪽 말단(80)에서 생성될 수 있고, 이 컷-아웃들은, 플러그를 인쇄 회로 카드에 연결하자마자 인쇄 회로 카드와 인터페이스하는 어셈블리(2)의 위험 요인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파트(35)의 앞쪽 부분은 금속 외피(metal envelope, 81)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금속 외피(81)는 그것의 길이 부분 위에서 밖으로 돌출되고, 홀딩 구역(holding area, 39)을 구비하는 비드(82)를 포함하고, 홀딩 구역(39)은 예를 들어 널링(knurling)에 의해 또는 거친(rough) 구역의 제공에 의해 생성된다. 도 15 내지 도 21에 도시된 고리 모양의 밀봉 물질(98)은 비드(82)의 베이스에 붙여(against)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될 수 있는 것과 같이, 파트(35)의 앞쪽 말단(80)에 가까운 본체(33)의 앞쪽 부분은, 축 X 둘레에 각지게(angularly) 배치된 하나의 양각 부분(37) 또는 복수의 양각 부분들(37)이 붙어 있을(carry) 수 있다.
리브(rib)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양각 부분(38)은 외피(81) 길이의 전체 또는 일부 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리브들은 예를 들어 파트(35)와 함께 하나의 부품으로(in one piece) 생성되고, 외피(81) 안에 제공된 구멍들을 지나간다. 고리 모양의 밀봉 물질(86)은 파트(35)의 외부 벽에 제공된 하우징 안에 받아지고, 이 밀봉 물질(86)은 파트(35) 및 금속 외피(81) 사이의 밀봉 물질(seal)을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버팀대(support, 40) - 버팀대(40)는 예를 들어 2개의 LC 콘택트들(41)을 운반하도록 구성된 듀플렉스(duplex) 버팀대임 - 는 속이 빈 파트(35)의 안에 배치된다. 버팀대는 돌출부(lug, 48) 및 각 콘택트(41)를 받기 위한 2개의 하우징들(84)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8)는, 파트(35)의 축 X에 수직인 축 Y1에 대해(about) 버팀대(40)의 받침대(rest)에 관하여(relative to) 회전(pivot)하도록 설치된다. 콘택트들(41)은 광케이블(100)의 광컨덕터들(101)상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버팀대(40)는 말단 표면(end surface, 43)을 구비하는 암들(arms, 4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말단 표면(43)은 축 X 둘레에 부분적으로 확장되고, 파트(35)의 내부 표면의 형태를 지지한다(espousing).
가이드들(guides)은 파트(35)의 내부 벽상에 제공될 수 있어, 파트(35) 안에서 축 X를 따른 버팀대(40)의 움직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0에서 도시될 수 있는 것과 같이, 콘택트들(41)이 본체(33) 내 제자리(in place)에 있으면, 속이 빈 파트(35)의 앞쪽 말단(80)은 콘택트들(41)을 지나 밖으로 뻗어, 플러그의 어셈블리(2)로의/로부터 연결 및/또는 분리의 동작들 동안 콘택트들(41)을 보호한다. 다른 형태에서, 콘택트들은 금속 외피(81)에 의해 보호될 수 있고, 이 경우에 금속 외피(81)는 속이 빈 파트(35)보다 길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콘택트(41)는 그것의 상부 표면(upper surface, 46) 위에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47)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47)는 세로 축 X에 수직인 축 Y2에 대해 콘택트(41)의 받침대에 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축들 Y1 및 Y2는 평행하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택트들(41)이 버팀대(40)의 하우징들(84) 안 제자리(in place)에 있으면, 버팀대의 돌출부(48)는 콘택트들(41)의 돌출부들(47)보다 위에 위치되어, 회전된 이후 돌출부(48)는 돌출부들(47)과 접촉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본체(33)는 속이 빈 파트(35)의 뒤쪽 부분을 커버하는 금속 슬리브(metal sleeve, 51)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 슬리브는 튜브 형태이다. 그러한 슬리브(51)는 전자기 누설(electromagnetic leaks)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본체(33)의 뒤쪽 부분(34)은 예를 들어 본체 둘레(perimeter)의 전체 위로 확장되고,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쪽 말단(frond end)에 외부 나사산(exterior thread, 93)을 포함하고, 외부 나사산(93)은 속이 빈 파트(35)의 내부 표면의 뒤쪽 말단(rear end)에서 제공되는 나사산(95)과 협력하기(cooperate with) 위한 것이다. 뒤쪽 부분(34)은 고리 모양의 밀봉 물질(96) 및 외부 나사산(97)을 포함할 수 있는데, 고리 모양의 밀봉 물질(96)은 그것의 외부 표면 둘레의 전체 위로 확장되고, 외부 나사산(97)은 뒤쪽 부분(34)의 뒤쪽 말단에서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러그(3)는 스프링(spring, 49)을 포함하고, 스프링(49)은 하나의 말단에서 뒤쪽 부분(34)에 연결되고, 다른 말단에서 버팀대(40)에 연결되어, 이 스프링(49)은 축 X를 따라 버팀대(40)상에 탄성 복원력(elastic return force)을 가한다.
설명된 예시에서, 플러그(3)는 글랜드(gland, 60)를 더 포함하고, 글랜드(60)는 본체(33)의 뒤쪽 부분(34)상에 예를 들어 나사로 고정되어 설치된다.
글랜드(60)는 예를 들어 스플릿 밀봉 물질(split seal, 61)을 포함하고, 스플릿 밀봉 물질(61)은 실리콘으로 생성되고, 광케이블(100)에 실링된(sealed) 연결을 제공한다.
기술된 예시에서, 글랜드(60)는 또한 케이블(100)에 붙여 밀봉 물질(61)을 유지하기 위한, 대응하는 형태의 2개의 부재들(62 및 63)을 포함한다. 기술된 예시에서, 이 부재들(62 및 63)은 동일한 형태이고, 플라스틱 물질로 생성될 수 있고, 특히 힌지(hinge)에 의해 연결된 하나의 부품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글랜드(60)는 또한 광케이블(100)상에 폐쇄된(closed) 부재들(62 및 63)을 유지하기 위한 스플릿 클램핑 콘(split clamping cone, 65)을 더 포함한다.
글랜드(60)는 너트(nut, 66)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너트(66)는 플라스틱 물질로 생성되고, 본체(33)의 뒤쪽 부분(34)의 나사산(97)과 협력하기 위한 내부 나사산을 구비하는 앞쪽 부분을 포함한다. 설명된 예시에서, 너트(66)는 유연한 구조(flexible structure)의 형태를 취하는 뒤쪽 부분(67)을 더 포함한다. 이 유연한 구조는 예를 들어 나선체(helicoidal) 형태이고, 또한 예를 들어 "돼지 꼬리(pig' tail)"라고 부른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케이블(100)의 광컨덕터들(101)은 본체(33) 안에서 커브를 따르고(follow), 이 커브는 본체(33) 내 버팀대(40)의 위치에 따라 더 또는 덜 굴곡진다(pronounced).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어셈블리(2)에 플러그(3)를 연결하는 일 예시가 다음에 설명된다.
움직이지 않을 때(at rest), 플러그는 도 15에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49)은 하나의 위치로 버팀대(40)를 유지하는데, 그 위치에서 양각 부분(90)은 돌출부(48) 위를 누르고, 돌출부(48)는 돌출부(47) 위를 누른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33)의 속이 빈 파트(35)의 앞쪽 말단(80)이 소켓(12)의 튜브 부분(13) 안으로 삽입될 때까지, 플러그(3)는 힘(force, F)을 인가함으로써 병진운동으로(in translation) 움직이게 된다. 그러면 앞에서 언급한 리브 또는 리브들(38)은 앞에서 언급한 홈 또는 홈들(23)과 협력할 수 있어, 소켓(12)에 대하여 플러그(3)를 극화(polarize)시킬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켓(12)의 튜브 부분(13) 안으로 본체의 앞쪽 부분의 삽입으로, 튜브 부분(13)의 내부 벽은 양각 부분들(37)상에 압축력(compression force)을 가한다. 돌출부(48)를 통해 양각 부분(90)에 의해 돌출부(47) 상에 가해지는 힘은 그것을 낮아진(lowered) 위치로 유지한다. 그렇지 않으면, 돌출부(47)를 낮추는 것은, 그것 위에 로드(load)를 가하는, 어셈블리(2)의 고객 기기(4)의 연결 인터페이스(8)에 의해 이루어진다.
스프링(49)에 의해 버팀대(40)상에 가해지는 힘은 연결 인터페이스(8)로의 콘택트들(41)의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양각 부분들(37)이 소켓(12)의 내부 벽에 제공되는 홈(28)에 닿으면(reach), 그것들은 튜브 부분(13)에 의해 가해지는 어떤 압축력도 더 이상 받지 않고, 이 홈(28) 안에 고정될(clip) 수 있다. 이 고정(clipping)은 플러그(3)를 어셈블리(2) 쪽으로 유지한다. 게다가, 연결 인터페이스(8)는 콘택트들(41)상으로 힘을 가하는데, 그 힘은 스프링(49)에 의해 가해지는 복원력에 반대되고, 버팀대(40) 및 콘택트들(41)의 움직임을 약간 뒤쪽으로(rearward) 야기한다. 그러면 버팀대는 본체(33) 안에서 하나의 위치에 있는데, 그 위치에서 양각 부분(90)은 돌출부(48) 위에 힘을 가하지 않는다. 그러면 후자(the latter)는 돌출부(47) 위를 누르지 않고, 돌출부(47)는 게다가 연결 인터페이스(8)에 의해 가해지는 어떤 로드도 받지 않는다. 그러면 돌출부(47)는 풀어지고(released), 결국(in turn) 회전할 수 있고, 어셈블리(2)의 고객 기기(4)의 연결 인터페이스(8) 안으로 콘택트(40)를 잠근다(locking).
소켓(2)에 대한 플러그(3)의 움직임의 접합(abutment) 위치는, 소켓의 튜브 부분(13)의 내부 벽상에 제공되는 릴리프(23)의 폐쇄된 말단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면 상호 연결 시스템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다.
외피(81)가 콘택트들을 보호하면, 연결 동안 그것의 뒤쪽의(rearward) 움직임은 더 클 수 있고, 어셈블리(2)의 인쇄 회로 카드와의 간섭의 모든 위험 요인의 제거가 가능하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고하여 바로 전에 설명된 상호 연결 시스템(1)을 분리하는(disconnecting) 동작의 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이 분리 동작 동안, 오퍼레이터(operator)는 홀딩 구역(39)을 통해 플러그(3)에 견인력(traction force, F')을 인가하고, 속이 빈 파트(35)의 양각 부분들(37)에 압력을 전달한다. 이 압력은 양각 부분들(37)의 굽힘(flexing)을 야기하고, 따라서 홈(28)으로부터 그것들을 풀어 준다. 이 풀림(unclipping)은 본체(33)가 풀어지게 한다.
플러그(3)에 인가되는 힘(F')은 파트(35) 및 따라서 양각 부분(90)을 병진운동으로(in translation) 끌고 가고(entrain), 따라서 양각 부분(90)은 돌출부(48)를 누르게 된다. 그러면 후자는(the latter)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낮아지고, 결국(in turn) 콘택트들(41) 각각의 돌출부(47) 위에 압력을 가하고, 전자 부품(7)의 연결 인터페이스(8)로부터 콘택트들(41)의 배출(ejection)을 초래한다.
본 발명은 고객 기기의 섀시에 의해 운반되는 케이싱 안에 받아지는 전자 부품에 플러그의 블라인드 연결(blind connection)을 가능하게 하고, 섀시에 관한 케이싱 위치의 3차원적인 차이들을 고려한다.
본 발명은 바로 전에 설명된 예시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표현 "하나를 포함하는"은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과 동의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7)

  1. 플러그(3)는:
    - 케이블(100)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트(contact, 41), 및
    - 세로의 축(X)을 따라 확장되고, 상기 콘택트(41)가 그 안으로 받아지는 본체(33)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41)는 상기 본체(X) 안에서 병진운동으로(in translation) 이동하는 버팀대(support, 40)에 의해 운반되고, 상기 콘택트(41)는 상기 콘택트(41)의 받침대(rest)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돌출부(lug, 47)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버팀대(40)는 상기 버팀대(40)의 받침대에 대해 회전하도록 설치된 돌출부(48)를 포함하고, 상기 콘택트의 상기 돌출부(47) 및 상기 버팀대의 상기 돌출부(48)는, 상기 콘택트(41)가 상기 버팀대(40) 안에 설치될 때 서로 접촉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축(X)을 따라 상기 콘택트(41)를 이동시키도록 조정된 복원력을 가하는 수단(49)을 상기 본체(33) 안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본체(33)에 연결되는 하나의 말단(end) 및 상기 버팀대(40)에 연결되는 다른 말단을 구비하는 스프링(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33)는 하나의 세로의 말단에서, 상기 본체의 내부 쪽으로 돌출된(projecting) 적어도 하나의 양각 부분(raised portion, 90)을 포함하는 구역(area, 99)을 구비하고, 상기 양각 부분(90) 및 상기 버팀대의 상기 돌출부(48)는 상기 본체 안의 상기 버팀대의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팀대(40)는, 상기 본체의 상기 축(X)을 따라 확장되고,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기 내부 벽에서 생성되는 가이드들(guides)과 협력하는(cooperating with) 말단 표면(43)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암(arm, 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00)상에 상기 플러그를 유지시키는(holding) 글랜드(gland, 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글랜드(60)는 상기 케이블상에 상호 보완적인(complementary) 형태의 2개의 고정시키는(retaining) 부재들(62; 63), 상기 2개의 부재들(62; 63)을 클램핑(clamping)하기 위한 부재(65) 및 스플릿 밀봉 물질(split sea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플러그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어셈블리(2)는:
    - 전자 부품(7)을 받도록 조정된 케이싱(6) 및 섀시(5)를 포함하는 고객 기기(4) - 상기 케이싱(6)은 상기 섀시(5)에 의해 운반되고, 하우징을 정의하고, 그리고 상기 섀시의 구멍(10)을 향하도록(facing) 배치됨 - 및
    - 소켓(12) - 상기 소켓(12)은 튜브 부분(13), 상기 섀시(5)에 그것을 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14) 및 상기 튜브 부분(13)을 막도록 조정된 커버(25)를 포함함 -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25)는 펙(peg, 29)을 포함하고, 상기 펙(29)은, 상기 튜브 부분(13) 쪽으로 뻗도록(extend) 조정되고 - 상기 커버(25)가 그것에 대해 제자리에 있을(in place) 때임 - , 상기 펙(29)은 상기 케이싱(6)의 상기 하우징과 협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6)에 대해 상기 소켓(12)의 센터링(centring)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펙(29)은 상기 케이싱(6)의 상기 하우징 안에 받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펙(29)은 상기 커버(25)의 받침대(rest)상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1. 상호 연결 시스템(1)은: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플러그(3), 및
    -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어셈블리(2)를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3)는 제4항에 따르고,
    상기 본체의 내부 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양각 부분(90)을 포함하는, 상기 플러그(33)의 상기 본체(33)의 상기 구역(99)은, 상기 본체의 외부 쪽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양각 부분(37)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소켓(12)의 상기 튜브 부분(13)은 홈(groove, 28)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및 상기 소켓을 연결할 때 그 홈(28)으로 상기 양각 부분(37)이 고정될(clip)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1).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제4항에 따르고,
    연결이 이루어지면, 상기 버팀대(40)는 상기 본체(33) 안 상기 콘택트(41)의 상기 돌출부(47)가 풀어지는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제4항에 따르고,
    상기 본체(33)의 상기 구역(99)은, 상기 양각 부분(90), 상기 버팀대(40)의 상기 돌출부(48), 상기 콘택트(41)의 상기 돌출부(47)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축을 따라 상기 콘택트를 이동시키도록 조정된 복원력을 가하는 상기 수단(49)을 포함하고, 견인력이 상기 플러그(3)에 상기 어셈블리(2)로부터 그것을 분리시키도록 인가될 때, 상기 버팀대(40)는 상기 본체(33) 안에서 위치로 이동하는데, 그 위치에서 상기 버팀대(40)의 상기 돌출부(48)를 통해 상기 양각 부분(90)은 상기 콘택트(41)의 상기 돌출부(47)를 상기 어셈블리(2)로부터 그것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3)의 상기 본체(33)는, 상기 소켓(12)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rib, 38)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소켓(12)은, 상기 플러그의 상기 본체(33)마다, 적어도 하나의 홈(23)을 포함하고, 상기 홈(23) 및 상기 리브(38)는,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연결할 때 극화(polarization)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23)은 상기 플러그의 상기 본체(33)의 오직 하나의 부분(only a portion) 또는 상기 소켓(12) 위로 확장되고, 상기 홈(23)의 상기 폐쇄된 말단은 상기 플러그를 상기 소켓에 연결할 때 접합(abutment) 위치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고객 기기(4)의 섀시(5)상에 소켓(12)을 설치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켓(12)은 튜브 부분(13), 고정(fixing) 플레이트(14) 및 커버(25)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25)는 상기 튜브 부분(13)을 막도록 조정되고, 상기 커버(25)가 그것에 대해 제자리에 있으면(in place) 상기 튜브 부분(13) 쪽으로 뻗는(extend) 펙(29)을 포함하고,
    상기 섀시(5)는 상기 섀시의 구멍(10)을 향하도록(facing) 케이싱(6)을 운반하고, 상기 케이싱은 하우징을 정의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소켓(12)이 상기 섀시(5)에 붙여(against) 배치되어, 상기 펙(29)이 상기 케이싱(6)의 상기 하우징과 협력하도록 하고, 그리고
    - 이와 같이 배치된 상기 소켓(12)은 상기 섀시(5)에 고정되는 방법.
KR1020127018599A 2009-12-17 2010-12-17 푸시-풀 상호 연결 시스템 KR201200973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9137A FR2954608B1 (fr) 2009-12-17 2009-12-17 Systeme d'interconnexion push-pull
FR0959137 2009-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399A true KR20120097399A (ko) 2012-09-03

Family

ID=42352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599A KR20120097399A (ko) 2009-12-17 2010-12-17 푸시-풀 상호 연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84139B2 (ko)
EP (1) EP2514042A2 (ko)
KR (1) KR20120097399A (ko)
CN (1) CN102668263A (ko)
FR (1) FR2954608B1 (ko)
WO (1) WO201107395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2431B1 (en) * 2009-09-28 2019-03-27 TE Connectivity Nederland B.V. Sealing enclosure for a connector on a cable, such as a standardised fibre-optic connector
EP2700992B1 (en) 2012-08-24 2019-08-07 Ridgemount Technologies Limited Fibre Optic Connector
DE102013206443B4 (de) * 2013-04-11 2021-07-29 Robert Bosch Gmbh System aus einem Gehäuse und einem Stecker für eine automatisierte, maschinelle Kabelbaumdirektmontage, wobei das System zwei Dichtmittel und zwei Verriegelungsmittel zur irreversiblen Verriegelung umfasst und zugehöriges Herstellungsverfahren
JP5860948B1 (ja) * 2014-12-24 2016-02-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内蔵プラグ
CN105576433B (zh) 2015-12-03 2019-06-14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转接器及使用该转接器的转接器组件
CN105508743A (zh) * 2016-01-08 2016-04-20 成都前宏通讯有限责任公司 一种快接头密封套管
US11192019B2 (en) * 2016-07-19 2021-12-07 Unlimited Engineering, SL Skateboard modular electric powertrain
FR3063838A1 (fr) 2017-03-10 2018-09-14 Radiall Ensemble de connexion d'une fiche a une embase de panneau de boitier d'equipement electronique, integrant un moyen de regulation thermique, fiche et embase associees
CN109239856A (zh) * 2018-09-20 2019-01-18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一种sfp与光纤连接器的二次锁结构
DE102019002345A1 (de) * 2019-03-29 2020-10-01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Verschlusskappe zum Verschließen einer Steckverbinder-Buchse, System bestehend aus einer Steckverbinder-Buchse und einer universellen Verschlusskappe, und Verfahren zum Verschließen einer Steckverbinder-Buchse
US11165205B2 (en) * 2019-04-19 2021-11-02 Dana Tm4 Inc. Multi-phase connector for electric powertrain system
CN111679376B (zh) * 2020-04-23 2022-05-17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0878B1 (en) * 1995-10-04 2001-04-24 Methode Electronics, Inc. Optoelectronic module with grounding means
DE19918339A1 (de) 1998-04-23 1999-10-28 Whitaker Corp Steckverbinder zur Verriegelung in einem Montageausschnitt
TW549463U (en) * 2002-09-11 2003-08-2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connector
EP1406353A1 (en) * 2002-10-02 2004-04-07 Agilent Technologies, Inc. - a Delaware corporation - A cover for modular rack apertures
CA2454438A1 (en) * 2003-02-07 2004-08-07 Hypertronics Corporation Connecting device
US20050232551A1 (en) * 2004-04-16 2005-10-20 Cheng-Pei Chang Devices for preventing lens contamination in optoelectronic modules and connectors
GB2420184A (en) * 2004-11-10 2006-05-17 Tronic Ltd Optic fibre connector with interengaging parts for underwater use
US7325980B2 (en) * 2005-08-26 2008-02-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uplex style fiber optic connector interface assembly
DE202005019035U1 (de) * 2005-12-06 2007-04-19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ein axial verschiebbares Steckerkabel in einem Steckergehäuse
US7484896B2 (en) * 2005-12-21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integrated electromagnetic shield
US7211739B1 (en) * 2006-03-27 2007-05-01 Emc Corporatio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shield for a cable-bulkhead interface
US7338214B1 (en) * 2006-08-25 2008-03-0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ling fiber optic connector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JP4450242B2 (ja) * 2007-04-10 2010-04-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FR2916090B1 (fr) 2007-05-11 2009-07-17 Legrand France Dispositif de branchement electrique etanche a configurations multiples
US7507105B1 (en) * 2007-07-17 2009-03-24 Ventek, Llc Hazardous area coupler device
CN101952757B (zh) 2008-02-16 2012-12-12 胡贝尔和茹纳股份公司 具有上游安装固定件的电缆插入件
EP2345115B1 (en) * 2008-11-03 2019-04-03 Finisar Corporation Transceiver module for communications network
JP5707808B2 (ja) * 2010-09-21 2015-04-30 富士通株式会社 結合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84139B2 (en) 2014-07-22
FR2954608B1 (fr) 2013-10-18
FR2954608A1 (fr) 2011-06-24
WO2011073953A2 (fr) 2011-06-23
US20120282819A1 (en) 2012-11-08
WO2011073953A3 (fr) 2011-12-22
EP2514042A2 (fr) 2012-10-24
CN102668263A (zh)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7399A (ko) 푸시-풀 상호 연결 시스템
US9448370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03809249B (zh) 光连接器插座、插座壳体、光连接器适配器、适配器壳体
EP2759860B1 (en) Sealing enclosure for a connector on a cable, such as a standardised fibre-optic connector
US6866424B2 (en) Optical connector with shutter
US20080170375A1 (en) Optoelectronic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push-in cage
US854523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pluggable transceiver module
CN109425941B (zh) 连接器组件及其插头连接器、插芯单元
ZA946486B (en) Modular multifiber connector
KR20100112085A (ko) 연결 시스템
JP3682022B2 (ja) 差込み可能なトランシーバのラッチメカニズム
JP2016514863A (ja) 光コネクタ組立体
EP3475746B1 (en) Enclosure for a connector on a cable
JP6824703B2 (ja) コンタクトデバイス止めばね、電気コンタクトデバイスアセンブリおよび電気コネクタ
CN112327422B (zh) 一种导针的固定座及光纤连接公头
JP2023538779A (ja) コネクタプラグ及びソケット
CN105593730B (zh) 连接器组件
CN211528771U (zh) 一种光模块
CN110927889B (zh) 一种一次对接的光纤插头连接器及组件
CN102393551B (zh) 防误插lc插头及包含该插头的lc连接器组件
CN114792904A (zh) 浮动对接的芯片测试用连接器
US20100247057A1 (en) Plug housing and plug apparatus
CN109286090B (zh) 一种电连接器的自锁连接结构
KR101337219B1 (ko) 커넥터
JP7047457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