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894A - 갠트리 크레인을 갖는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 - Google Patents

갠트리 크레인을 갖는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894A
KR20120095894A KR1020127011672A KR20127011672A KR20120095894A KR 20120095894 A KR20120095894 A KR 20120095894A KR 1020127011672 A KR1020127011672 A KR 1020127011672A KR 20127011672 A KR20127011672 A KR 20127011672A KR 20120095894 A KR20120095894 A KR 2012009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iso container
container
crane boom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르만 프란젠
알민 비쉐만
마이크 헤게발트
야니스 모우트소카파스
Original Assignee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9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8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7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갠트리 크레인(6)과 이 갠트리 크레인에 인접한 선적/하역 구역(7)을 갖는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로 ISO 컨테이너용 운송차량(15)이 드나들 수 있고, 상기 갠트리 크레인은 제1 이동 크레인(10)과 제2 이동 크레인(12)을 포함하는데, 이들 크레인 사이에서 ISO 컨테이너가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동 크레인(10)은 제1 크레인 붐 (10a)을 갖는데, 여기에는 제1크레인 붐의 해상측과 육지측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제1 하중 수용 수단(10e)을 갖는 제1 크레인 트롤리(10b)를 포함하고, 제2 이동 크레인(12)은 제1 크레인 붐의 육지측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크레인 붐(12a)을 갖는데, 이 붐(12a)에는 제2 하중 수용 수단(12c)을 갖는 제2 크레인 트롤리(12b)가 포함된다. ISO 컨테이너(2)의 수동적 이송지점(14)이 제2 크레인 붐(12a)에 설치되고, ISO 컨테이너(2)는 이 수동적 이송지점(14)과 선적/하역 구역(7)에 있는 운송차량(15)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다.

Description

갠트리 크레인을 갖는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 {HANDLING SYSTEM FOR ISO CONTAINERS HAVING A GANTRY CRANE}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교(bridge) 및 이 컨테이너 선교에 인접한 선적/하역 구역을 갖는 ISO 컨테이너 화물 취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적/하역 구역으로 ISO 컨테이너용 운송차량이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고, 컨테이너 선교는 제1 이동 크레인과 제2 이동 크레인을 갖는데, ISO 컨테이너가 제1 이동 크레인과 제2 이동 크레인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다. 제1 이동 크레인에는 제1 크레인 붐(boom)이 있고, 여기에는 제1 크레인 트롤리(trolley)가 설치되고, 이 제1 크레인 트롤리에 있는 제1 하중 수용 수단이 제1 크레인 붐의 해상측 부분과 육지측 부분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 크레인에는, 제1 크레인 붐의 육지측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크레인 붐이 있는데 이 제2 크레인 붐에는 제2 크레인 트롤리가 설치되고 여기에는 제2 하중 수용 수단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독일 공개문헌 DE 199 58 501 A1에 따르면, 육지와 바다 사이에서 ISO 컨테이너를 취급하는 컨테이너 선교(container bridge)가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컨테이너 선교는, 가상의 직사각형 모서리에 위치하는 지지대를 갖는 갠트리 프레임(gantry frame)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들 지지대 중 두 개는 해상측에, 다른 두 개는 육지측에 설치된다. 이 갠트리 프레임은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 배치된 이동 기구에 의해서 부두를 따라 레일 위에서 이동한다. 갠트리 프레임이 제1 크레인 붐(crane boom)을 지지하는데, 이 붐은 컨테이너 선교가 부두를 따라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수평으로 횡방향을 향하고 있다. 제1 크레인 붐은 부두에 연해 있는 항만 유역 위로, 그리고 부두에 정박해 있으며 선적 또는 하역해야 할 선박 위로 뻗어 있는 해상측 부분과, 갠트리 프레임 영역 및 이에 인접한 선적/하역 구역 위로 뻗어 있는 육지측 부분을 갖는다. 제1 크레인 트롤리(trolley)가 제1 크레인 붐에 매달려 있어서 제1 크레인 붐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ISO 컨테이너를 집기 위한 제1 하중 수용 수단이 이 크레인 트롤리에 매달려서 상승 및 하강한다. 또한, 제2 크레인 트롤리가 컨테이너 선교에 설치되는데, 이는 제1 크레인 붐에 평행하며 제1 크레인 붐 아래로 뻗어 있는 제2 크레인 붐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붐은 갠트리 프레임의 육지측 지지대 및 해상측 지지대 영역에서 처음 및 마지막에 지지된다. 제1 크레인 트롤리에 의해서, ISO 컨테이너는 선박 및 선적/하역 구역 사이에서, 그리고 선박 및 제2 크레인 트롤리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크레인 트롤리는, ISO 컨테이너가 위로부터 제2 크레인 트롤리 속으로 이동해 들어갈 수 있도록 제작되고, ISO 컨테이너를 제2 크레인 트롤리의 제2 하중 수용 수단 위에 내려 놓을 수 있다. 제2 하중 수용 수단은 제2 크레인 트롤리에 케이블에 의해 매달리지 않고 망원경 구조로 설치된다. ISO 컨테이너가 제2 하중 수용 수단 위에 내려진 후에, 제2 크레인 트롤리는 제2 크레인 붐을 따라 부두에서 대기하고 있는 무인 자동화 차량이 있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ISO 컨테이너는 제2 하중 수용 수단에 의해서 무인 자동화 차량의 적재 플랫폼에 내려진다. 반대로, 컨테이너는 또한, 제2 하중 수용 수단에 의해서 적재 플랫폼으로부터 집어올려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선교를 갖는 ISO 컨테이너 화물 취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장치는 구조적으로 단순하지만, 화물 취급 성능은 우수하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화물 취급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그 종속항 2~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테이너 선교(bridge) 및 이 컨테이너 선교에 인접한 선적/하역 구역을 갖는 ISO 컨테이너 화물 취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적/하역 구역으로 ISO 컨테이너용 운송차량이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 선교는 제1 이동 크레인과 제2 이동 크레인을 가지며, ISO 컨테이너가 제1 이동 크레인과 제2 이동 크레인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고, 제1 이동 크레인에는 제1 크레인 붐(boom)이 있고, 여기에는 제1 크레인 트롤리(trolley)가 설치되고, 이 제1 크레인 트롤리에 있는 제1 하중 수용 수단이 제1 크레인 붐의 해상측 부분과 육지측 부분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 크레인에는 제1 크레인 붐의 육지측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크레인 붐이 있는데 이 제2 크레인 붐에는 제2 크레인 트롤리가 설치되고 여기에는 제2 하중 수용 수단이 있어서 이동할 수 있는 ISO 컨테이너용 화물 취급 장치에 있어서, ISO 컨테이너의 수동적 이송지점을 제2 크레인 붐에 설치하되, ISO 컨테이너가 이송지점과, 선적/하역 구역에 위치해 있는 운송차량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적으로 단순화됨과 동시에 우수한 화물 취급 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동적 이송지점은 상기 제2 크레인 붐에 매달려 설치되는, ISO 컨테이너 지지 프레임 만으로 구성되는(이 지지 프레임은 능동적으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없음) 이송지점으로서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이 이송지점에서, ISO 컨테이너는 제2 하중 수용 수단 또는 승강부가 설치된 운송차량을 통해서만 집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상기 이송지점은 실질적으로, 제2 크레인 붐에 매달려 설치되는 I자 형태의 지지팔을 포함하고, 이 지지팔의 제2 크레인 붐에서 먼 쪽 끝부분에는 받침팔이 포함되는데, 이 받침팔에는 이송지점에 내려놓인 ISO 컨테이너가 안착됨으로써, 구조적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편리하다. 따라서 이송지점에는 복잡한 구동 요소가 전혀 없다.
상기 수동적 이송지점과의 협동 작용을 위해, 운송차량에는 이송지점으로부터 ISO 컨테이너를 상승시키거나 이송지점 위로 하강시키는 승강부가 포함된다.
상기 승강부가 승강 플랫폼 형태로 형성되며, 하강되고 비워진 승강부를 갖는 운송차량이 이송지점 아래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ISO 컨테이너가 상승된 승강부를 갖는 운송차량에 의해 이송지점 내로 이동할 수 있어서 그에 따라 ISO 컨테이너가 받침팔 위에 위치하게 된다면, 구조적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편리할 것이다.
컨테이너 선교가 부두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그리고 이송지점의 길이가 부두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SO 컨테이너의 취급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2 크레인 붐은 제1 크레인 붐의 해상측 부분을 향하고 있는 갠트리측 부분과 이에 인접한 선적 구역측 부분을 포함한다. 제2 크레인 붐의 선적 구역측 부분에 있는 이송지점은 제2 크레인 붐에 부착된다. 따라서 이송지점에서 운행되는 운송차량은 컨테이너 크레인이 이동하는 영역 밖에서 이동가능하고, 이에 따라 서로의 경로를 지나지 않으면서도 부두 상에서 각자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화물 취급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이송지점을 제2 크레인 붐 상에 부두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매달아 설치한다.
두 이동 크레인의 이송 동작을 분리함으로써, 컨테이너 크레인의 화물 취급 용량을 보다 더 증대시키기 위하여, 제2 이동 크레인의 영역에 제2 크레인 붐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ISO 컨테이너 중간 보관지점을 배치하고, 이곳 위에 ISO 컨테이너를 내려놓거나 또는 이곳으로부터 제1 이동 크레인 및 제2 이동 크레인을 이용하여 ISO 컨테이너를 집어올린다.
본 발명에 따른 ISO 컨테이너용 화물 취급 장치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화물 취급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아래의 도면으로 도시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컨테이너 선교 및 이 컨테이너 선교에 인접한 선적/하역 구역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ISO 컨테이너용 화물 취급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선적/하역 구역의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중간 보관지점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SO 컨테이너(2)용 화물 취급 장치(1)를 나타내는데, 이 장치를 이용하여 ISO 컨테이너들이 부두(3)와 이 부두(3)에 연해 있는 선박(4) 사이에서 이송된다. 통상적으로, 선박(4)은 부두(3)에 인접해 있는 항만 유역(5)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화물 취급 장치(1)는 실질적으로, 컨테이너 크레인(6)과, 이 컨테이너 크레인(6)에 인접하며 부두(3) 내에 있는 선적/하역 구역(7)으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6)은 갠트리 프레임(8)을 갖는데, 이 프레임에는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또는 부두(3)를 따라 컨테이너 크레인(6)의 진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두 개의 해상측 지지대(8a)와, 마찬가지로 이와 상응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가상적 사각형의 모서리 위치에 배치되는 육지측 지지대(8b)를 포함한다. 해상측 지지대와 육지측 지지대(8a, 8b)의 하단부에는, 이동기구(8c)가 배치되는데, 이 기구에 의해서 갠트리 프레임(8) 및 전체 컨테이너 크레인(6)이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부두(3) 위에 설치된 레일(도시 안함) 위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해상측 지지대 및 육지측 지지대(8a, 8b)의 상단부에는, 이동기구(8c)로부터 먼쪽에, 제1 이동 크레인(10)의 제1 크레인 붐(10a)이 부착되는데, 그 방향은 부두(3)의 길이 방향에 거의 직각 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어있다. 제1 크레인 트롤리(10b)는 제1 크레인 붐(10a)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제1 크레인 붐(10a)은 추상적으로, 해상측 부분(10c)과 육지측 부분(10d)으로 나눠진다. 해상측 부분(10c)은 항만 유역(5), 및 부두(3)에 정박해 있으며 ISO 컨테이너(2)가 적층 선적되어 있는 선박(4)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1 크레인 붐(10a)의 육지측 부분(10d)은 ISO 컨테이너(2)의 선적/하역 구역(7)까지 뻗어 있고 부두(3) 상의 컨테이너 크레인(6)의 갠트리 프레임(8)의 이동 영역(11)에까지 뻗어 있다. 이동 영역(11)에는 또한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제1 크레인 트롤리(10a)는 승강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데, 그 위에는 제1 하중 수용 수단(10e)이 ISO 컨테이너(2)를 잡는 집개(spreader) 형태로서 승강 케이블을 통해 매달려 있다. 제1 하중 수용 수단(10e)에 의해서 ISO 컨테이너(2)를 집어 올리고 내려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중 수용 수단(10e)은, 한편으로는, 선박(4)에 선적된 ISO 컨테이너(2)에까지 이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육지에서, ISO 컨테이너(2)를 직접 운송차량(도시 안함)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수 있다.
제1 이동 크레인(10) 뿐만 아니라, 제2 이동 크레인(12)은 컨테이너 크레인(6)의 갠트리 프레임(8) 영역에 설치되고, 따라서, 제1 크레인 붐(10a)의 육지측 부분(10d)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제2 이동 크레인(12)도 실질적으로 제2 크레인 붐(12a)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방향은 부두(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어 있다. 제2 크레인 붐(12a)은 제1 크레인 붐(10a)의 아래에, 갠트리 프레임(8)의 해상측 지지대 및 육지측 지지대(8a, 8b)에 의해 지지되며 프레임에 평행하게 뻗어있다. 제2 크레인 트롤리(12b)는 상기 제2 크레인 붐(12a) 위에서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 크레인 트롤리(12b)도 승강 기구(도시 안함)를 갖고 있는데, 그 위에는 ISO 컨테이너(2)를 집었다 놓았다 할 수 있는 집개 형태의 제2 하중 수용 수단(12e)이 케이블에 매달려 있어서, 올라갔다 내려갔다 할 수 있다. 이 제2 크레인 붐(12a)은 갠트리 프레임(8)의 이동 영역(11)까지 뻗어 있으며, 해상측 지지대와 육지측 지지대(8a, 8b) 사이에 뻗어 있는 갠트리측 부분(12c)과, 이에 인접하여 선적/하역 구역(7)까지 뻗어 있는 선적 구역측 부분(12d)으로 나눌 수 있다. 제2 크레인 붐(12a)의 갠트리측 부분(12c)과 이에 인접한 해상측 지지대(8a)의 영역에는, 중간 보관지점(13)이 제2 크레인 붐(12a) 아래에 위치한다. 이 중간 보관지점(13)은 ISO 컨테이너(2)를 제1 이동 크레인(10)과 제2 이동 크레인(12) 사이에서 (또는 그 반대로) 이송할 때에 컨테이너를 중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 이 중간 보관지점(13)은 해상측 지지대(8a)에 위치하는데, 부두(3)위로 일정 거리 떨어져 위치한다.
선박(4)에서 화물을 하역하는 절차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가능하다. 제1 이동 크레인(10)이 40피트 짜리 한 개 또는 20피트짜리 두 개의 ISO 컨테이너(2)를 선박(4)으로부터 제1 하중 수용 수단(10e)에 의해 집어서, 이 ISO 컨테이너(2)를 제1 크레인 트롤리(10b)를 통해서 제1 크레인 붐(10a) 쪽으로 들어올리고, 제1 크레인 붐(10a)을 따라 육지측 부분(10d)을 향해 이동시킨다. 제1 크레인 트롤리(10b)가 중간 보관지점(13) 위에 도달하면, 제1 하중 수용 수단(10e)이 내려와 ISO 컨테이너(2)를 중간 보관지점(13)에 내려 놓는다. 중간 보관지점(13) 영역에서, ISO 컨테이너(2)의 하부 모서리에 설치된 비틀림 잠금장치를 손으로 풀 수 있다. 그 다음, 제1 하중 수용 수단(10e)이 해제되면 이 하중 수용 수단(10e)은 중간 보관지점(13)을 떠나서 다음 ISO 컨테이너(2)를 하역하기 위해 선박(4) 쪽으로 다시 이동한다. 이어서, 제2 크레인 트롤리(12b)가 제2 하중 수용 수단(12e)과 함께, 중간 보관지점(13)에 있는 ISO 컨테이너(2) 위로 이동하고, 제2 하중 수용 수단(12e)을 ISO 컨테이너(2) 쪽으로 내려서 제2 하중 수용 수단(12e)에 ISO 컨테이너(2)를 고정한다. 다음에 ISO 컨테이너(2)를 제2 하중 수용 수단(12e)을 이용해 들어올려 중간 보관지점(13)로부터 옮겨서 선적 구역측 부분(12d) 쪽으로 제2 크레인 붐(12a)을 따라 이동시킨다. 제2 크레인 붐(12a)의 선적 구역측 부분(12d)에는, 다수의 이송지점(14)이 제2 크레인 붐(12a)의 길이 방향(l)으로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들 이송지점(14)은 필수적으로, 전체적으로 I자 형상을 갖는 수직 지지팔(support arm)(14a)로 구성되며, 그 하부에는 제2 크레인 붐(12a)으로부터 먼 쪽에 수평으로 안쪽을 향해 있는 받침팔(bearing arm)(14b)을 갖는다. 따라서 수직 지지팔(14a)은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양측에서 이송지점(14)의 경계를 구획하며, ISO 컨테이너(2)의 폭보다 약간 더 큰 간격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따라서 이송지점(14)에는 20 피트, 40 피트, 45 피트 컨테이너를 수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대향하는 받침팔(14b)이 안쪽으로 향해 있다. 다음에, ISO 컨테이너(2)를 제2 하중 수용 수단(10e)을 이용하여 이송지점(14) 속으로 하강시키고, 수직으로 세워져 있는 견고한 지지팔(14a)을 따라 받침팔(14b)을 향해서, ISO 컨테이너(2)가 받침팔(14b) 위에 안착될 때까지 내린다. 베어링필(14b)은 ISO 컨테이너(2)의 길이에 맞게 설치되어 있다. 그 다음에, 제2 하중 수용 수단(12e)을 풀고 이송지점(14)에서 위로 지지팔(14a)을 따라 이동시킨다. 대향하는 지지팔(14a) 사이의 거리는, ISO 컨테이너(2)가 상승 및 하강 이동 시에 양측의 지지팔(14a)에 대해 충분한 간격을 갖도록 결정한다. 이송지점(14)은 수동적인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의 관점에서 볼 때, 지지팔(14a)과 받침팔(14b)이 수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이송지점(14)은 ISO 컨테이너(2)의 또다른 중간 보관위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2 이동 크레인(12)의 이송 동작과는 무관하게 운송차량(15)에 ISO 컨테이너(2)를 적재할 수 있다.
운송차량(15)은, 수직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플랫폼 형태의 승강부(15a)를 갖는 무인 자동화 차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운송차량(15)은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적/하역 구역(7)으로 들어간다. 운송차량(15)이 무인 자동화 차량이기 때문에, 이 운송차량을 이송지점(14)에 있는 ISO 컨테이너(2) 아래에 자동으로 매우 정밀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해당 위치에서, 운송차량은 이송 위치에 안착된다. 그러면 승강부(15a)가 ISO 컨테이너(2)를 향해 수직 위로 상승한다. 승강부(15a)는 안쪽을 향하고 있는 받침팔(14b)보다 좁게 만들어서, ISO 컨테이너(2)가 받침팔(14b)로부터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운송차량은, 올라가 있는 승강부(15a)와 그 위에 올려진 ISO 컨테이너(2)와 함께 부두(3)의 길이 방향 L을 따라 이동하여 부두의 길이 방향으로 계속 가서 이송지점(14)으로부터 벗어난다. 운송차량(15)은 부두(3)의 길이 방향(L)에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이송지점(14)의 지지팔(14a)을 따라 그 사이를 통해 ISO 컨테이너(2)를 이동시킨다. 운송차량(15)이 이송지점(14)을 떠난 다음에 승강부(14a)는 하강하고, 운송차량(15)은 ISO 컨테이너(2)를 하강시킨 상태로 계속 이동한다.
이송지점(14)에 ISO 컨테이너(2)를 적재하는 것은 위와 대응하는 반대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송차량(15)은 이송지점(14)을 향해 부두(3)의 길이 방향 L을 따라 이동한다. 이송지점(14)에 도달하기 직전에, 운송차량(15)은 정지하고, 승강부(14a) 및 그 위에 있는 ISO 컨테이너(2)는 수직으로 들어 올려지는데, ISO 컨테이너(2)의 하부가 지지팔(14a)의 받침팔(14b) 위에 올 때까지 들어올린다. 그 다음에 무인 자동화 운송차량(15)이 ISO 컨테이너(2)가 받침팔(14b) 위에 위치해 있는 이송지점(14) 속으로 이동한다. 운송차량(15)이 이송 위치에 도달하면, 이 차량은 정지하고 승강부(15a)를 하강시켜서 ISO 컨테이너(2)를 받침팔(14b) 위로 내려 놓는다. 이송지점(14)은, 선박(4)에의 선적 또는 선박(4)으로부터의 하역 동안에 컨테이너 크레인(6)과 함께, 부두(3)를 따라 그 위치가 변한다.
컨테이너 크레인(6)이 하역 또는 선적 과정 중에 부두(3)를 따라 단계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선적/하역 구역(7)도 또한 부두(3)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부두(3) 위에서 이동 가능한 운송차량(15)을, 위치가 이동되는 선적/하역 구역(7)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선적/하역 구역(7)을 확대한 것이다. 두 이송지점(14)을 볼 수 있는데, 이들이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송지점에서 수직을 향하고 있는 지지팔(14a)의 하부가 도시되어 있는데, 그 하단부에는 안쪽으로 향하고 있는 받침팔(14b)이 연결되어 있다. 이 받침팔에 ISO 컨테이너(2)가 수용된다. 무인 자동화 차량(15) 및 이에 설치된 승강부(15a)가 상승된 상태로 함께 두 이송지점(14) 속으로 이동하였다. 즉, ISO 컨테이너(2)가 이송지점(14)의 받침팔(14b) 위의 측면 및 하면 사이의 모서리가 이루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승강부(15a)에 의해서, 운송차량(15)과 ISO 컨테이너(2)는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지점(14)을 통해 이동할 수 있다. 상승된 승강부(15a) 및 ISO 컨테이너(2)와 함께 운송차량(15)이 이송 위치에 도달하면, 승강부(15a)가 하강하여, 첫번째 단계로서, ISO 컨테이너(2)를 받침팔(14b)의 측면 영역에 내려놓는다. 그 다음에 운송차량(15) 쪽으로 더 내려가서, ISO 컨테이너(2) 하면 또는 받침팔(14b)과 운송차량(15) 또는 그 승강부(15a)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생기도록 한다. 이로써 운송차량(15)이 이송지점(14) 아래에서 벗어나서 항구에 돌아가 다음 운송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ISO 컨테이너(2)가 내려진 위치에서부터 컨테이너는 제2 이동 크레인(12)에 의해 후속 취급될 수 있다.
이송지점(14)을 제2 크레인 붐(12a)에 두 개 이상 또는 한 개만 설치하는 것도 또한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
도 3은 도 2의 측면도로서, 상승 상태의 운송차량(15) 위에 20 피트 길이의 ISO 컨테이너(2) 두 개가 적재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송지점(14)의 지지팔(14a)을 프레임 등의 구조물로 보강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3은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이송지점(14)의 길이를 ISO 컨테이너(2)의 길이에 맞추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운송차량(15)과 그 승강부(15a)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운송차량(15)에는 두 개의 승강부(15a)가 있는데, 이들은 차량의 이동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로써, 20 피트 길이의 ISO 컨테이너(2)를 각각 별도로 취급할 수 있다. 이보다 긴 ISO 컨테이너(2), 즉, 40 피트 또는 45 피트짜리 컨테이너에 대해서는 두 승강부(15a)가 연동하여 상승 또는 하강한다.
도 4는 도 1의 중간 보관지점(13)의 확대도이다. 갠트리 프레임(8)의 해상측 지지대(8a)에 캔틸레버(cantilever)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중간 보관지점(13) 위에 강단(연단) 형태의 받침부(13a)가 설치되어 있다. 받침부의 상부 받침면의 크기는, 운송차량(15)의 승강부(15a)와 마찬가지로 ISO 컨테이너(2)보다 좁아서, 그 위에 올려지는 ISO 컨테이너의 측면 영역 및 모서리가 받침부(13a) 위에 오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ISO 컨테이너(2)를 쌓기 위하여 ISO 컨테이너(2)의 하부 모서리에 있는 비틀림 잠금장치를 탈착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여기서도, 입방형 받침부(13a) 위에 ISO 컨테이너(2)를 올려놓아 중간 보관하고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1 화물 취급 장치
2 ISO 컨테이너
3 부두
4 선박
5 항만 유역
6 컨테이너 크레인
7 선적/하역 구역
8 갠트리 프레임
8a 해상측 지지대
8b 육지측 지지대
8c 이동기구
10 제1 이동 크레인
10a 제1 크레인 붐
10b 제1 크레인 트롤리
10c 해상측 부분
10d 육지측 부분
10e 제1 하중 수용 수단
11 이동 영역
12 제2 이동 크레인
12a 제2 크레인 붐
12b 제2 크레인 트롤리
12c 갠트리측 부분
12d 선적 구역측 부분
12e 제2 하중 수용 수단
13 중간 보관구역
13a 받침부
14 이송지점
14a 지지팔
14b 받침팔
15 운송차량
15a 승강부
a 이송지점(14)의 길이방향 거리
l 제2 크레인 붐(12a)의 길이 방향

Claims (8)

  1. 컨테이너 선교(bridge) 및 이 컨테이너 선교에 인접한 선적/하역 구역을 갖는 ISO 컨테이너 화물 취급 장치로서, 상기 선적/하역 구역으로 ISO 컨테이너용 운송차량이 들어가거나 나올 수 있고, 상기 컨테이너 선교는 제1 이동 크레인과 제2 이동 크레인을 가지며, ISO 컨테이너가 제1 이동 크레인과 제2 이동 크레인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고, 제1 이동 크레인에는 제1 크레인 붐(boom)이 있고, 여기에는 제1 크레인 트롤리(trolley)가 설치되고, 이 제1 크레인 트롤리에 있는 제1 하중 수용 수단이 제1 크레인 붐의 해상측 부분과 육지측 부분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 크레인에는 제1 크레인 붐의 육지측 부분 아래에 위치하는 제2 크레인 붐이 있는데 이 제2 크레인 붐에는 제2 크레인 트롤리가 설치되고 여기에는 제2 하중 수용 수단이 있어서 이동할 수 있는 ISO 컨테이너용 화물 취급 장치에 있어서, ISO 컨테이너(2)의 수동적 이송지점(14)이 제2 크레인 붐(12a)에 설치되며, ISO 컨테이너(2)는 이송지점(14)과, 선적/하역 구역(7)에 위치해 있는 운송차량(15)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SO 컨테이너용 화물 취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지점(14)은 제2 크레인 붐(12a)에 매달려 있는 I자 형태의 지지팔(14a)을 포함하고, 이 지지팔(14a)의 제2 크레인 붐(12a)에서 먼 쪽 끝부분에는 받침팔(14b)이 포함되는데, 이 받침팔에는 이송지점(14)에 내려놓인 ISO 컨테이너(2)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운송차량(15)은 이송지점(14)으로부터 ISO 컨테이너(2)를 상승시키거나 이송지점(14) 위로 하강시키는 승강부(15a)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승강부(15a)는 승강 플랫폼 형태로 형성되며, 하강되고 비워진 승강부(15a)를 갖는 운송차량(15)은 이송지점(14) 아래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ISO 컨테이너(2)는 상승된 승강부(15a)를 갖는 운송차량(15)에 의해 이송지점(14) 내로 이동할 수 있어서 그에 따라 ISO 컨테이너(2)가 받침팔(14b) 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5.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크레인(6)은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송지점(14)의 길이가 부두(3)의 길이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6.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크레인 붐(12a)은 제1 크레인 붐(10a)의 해상측 부분(10c)을 향하고 있는 갠트리측 부분(12c)과 이에 인접한 선적 구역측 부분(12d)을 포함하고, 제2 크레인 붐(12a)의 선적 구역측 부분(12d)에 있는 이송지점(14)은 제2 크레인 붐(12a)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7.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이송지점(14)이, 제2 크레인 붐(12a) 상에 부두(3)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매달려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8.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이동 크레인(12)의 영역에 제2 크레인 붐(12a) 아래에, 적어도 하나의 ISO 컨테이너(2) 중간 보관지점(13)이 위치하며, 이곳 위에 ISO 컨테이너(2)가 내려지거나 또는 이곳으로부터 제1 이동 크레인(10) 및 제2 이동 크레인(12)이 ISO 컨테이너(2)를 집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취급 장치.
KR1020127011672A 2009-11-06 2010-11-03 갠트리 크레인을 갖는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 KR20120095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53235.8 2009-11-06
DE102009053235A DE102009053235A1 (de) 2009-11-06 2009-11-06 Umschlagsystem für ISO-Container mit einer Containerbrüc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894A true KR20120095894A (ko) 2012-08-29

Family

ID=4350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672A KR20120095894A (ko) 2009-11-06 2010-11-03 갠트리 크레인을 갖는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090436B2 (ko)
EP (1) EP2496510B1 (ko)
JP (1) JP5755654B2 (ko)
KR (1) KR20120095894A (ko)
DE (1) DE102009053235A1 (ko)
DK (1) DK2496510T3 (ko)
ES (1) ES2439547T3 (ko)
PL (1) PL2496510T3 (ko)
PT (1) PT2496510E (ko)
WO (1) WO20110548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64932B2 (en) * 2013-05-10 2017-09-19 Paceco Corp. Jacking tower installation system
DE102014100658A1 (de) * 2014-01-21 2015-07-23 Terex Mhps Gmbh Stapelkran mit Containerzwischenlagerplatz
JP2017511801A (ja) * 2014-02-28 2017-04-27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ヴァシティ オブ ミシガン BETブロモドメイン阻害剤としての9H−ピリミド[4,5−b]インドールおよび関連類似体
DE102015202734A1 (de) 2015-02-16 2016-08-18 Terex Cranes Germany Gmbh Kran und Verfahren zum Beeinflussen einer Verformung eines Auslegersystems eines derartigen Krans
CN105174072B (zh) * 2015-08-10 2018-02-16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解决自动化集装箱码头agv与岸桥互等的装卸方法及岸桥
DE102015119379B3 (de) 2015-11-10 2017-03-30 Terex Global Gmbh Mobilkran und Verfahren zum Abwinkeln einer Hauptauslegerverlängerung relativ zu einem Hauptausleger eines Mobilkrans
DE102015119381B3 (de) 2015-11-10 2017-04-27 Terex Global Gmbh Mobilkran und Verfahren zum Abwinkeln einer Hauptauslegerverlängerung relativ zu einem Hauptausleger eines Mobilkrans
DE102015120350B3 (de) 2015-11-24 2017-05-24 Terex Global Gmbh Mobilkran zum Abwinkeln einer Hauptauslegerverlängerung relativ zu einem Hauptausleger eines Mobilkrans
CN106946154B (zh) * 2017-05-04 2018-11-20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岸桥柔性立柱
DE102017121496A1 (de) * 2017-09-15 2019-03-21 Konecranes Global Corporation Verfahren zur Steuerung des Befahrens einer Übergabezone für Container von Transportfahrzeugen in einer Umschlaganlage für Container, Steuerungssystem hierfür und Umschlaganlage mit einem solchen Steueru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1588A (en) * 1954-05-03 1958-04-22 Unibox Corp Inc Freightage means
US3247974A (en) * 1964-05-11 1966-04-26 Harnischfeger Corp Grab stabilizer for cranes
GB1207602A (en) * 1968-05-13 1970-10-07 Matbr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s for handling freight containers
JPS5141273B1 (ko) * 1970-12-30 1976-11-09
JPS5351877A (en) * 1976-10-22 1978-05-11 Hitachi Ltd Container crane
US4358020A (en) * 1980-12-31 1982-11-09 J. I. Case Company Apparatus for aligning trolleys
JPS62205916A (ja) * 1986-03-07 1987-09-10 Honda Motor Co Ltd 自動車車体の移載装置
US5089972A (en) * 1990-12-13 1992-02-18 Nachman Precision Systems, Inc. Moored ship motion determination system
JP2888078B2 (ja) * 1993-02-22 1999-05-10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用ハンガーの支持アーム回転装置
US5603598A (en) * 1994-04-11 1997-02-18 Paceco Corp. Guide chute for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s
US5775866A (en) * 1994-05-20 1998-07-07 Tax Ingenieurgesellschaft Mbh Cargo loading crane
BR9508854A (pt) * 1994-09-20 1997-12-30 Fantuzzi Reggiane Spa Planta de manuseio de frete em depósitos e depósitos relacionados
US5810183A (en) * 1995-05-26 1998-09-22 Marine Travelift, Inc. Gantry crane with elevating operator cab
JPH09315759A (ja) * 1996-05-24 1997-12-0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クレーン
DE19740814A1 (de) * 1997-09-16 1999-04-01 Hamburger Hafen Und Lagerhaus Containerbrückensystem
DE19958501A1 (de) 1999-11-30 2001-06-07 Mannesmann Ag Hubeinrichtung zur Erhöhung der Leistung eines Umschlaggerätes für ISO-Container
US6349793B1 (en) * 2000-01-27 2002-02-26 Duane Kincaid Vehicle mounted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20092820A1 (en) 2000-11-14 2002-07-18 Nigel Chattey Crane apparatus for direct transshipment of marine containers between transportation modes without need of ground placement
US20020100740A1 (en) * 2000-11-30 2002-08-01 Amoss Robert S. Gantry with boom crane
WO2007041890A1 (fr) * 2005-10-08 2007-04-19 Shanghai Zhenhua Port Machinery Co., Ltd. Grue à conteneur à double chariot pouvant soulever deux conteneurs de 40 pieds
ITMI20052338A1 (it) * 2005-12-06 2007-06-07 Fata Fab App Sollevamento Impianto di trasferimento di container fra nave e magazzino
KR20090068323A (ko) * 2006-10-19 2009-06-26 고트발트 포르트 테히놀로지 게엠베하 특히 컨테이너들의 운송을 위한, 바닥에 바인딩되는 운송수단
DE102007039780A1 (de) * 2007-08-23 2009-02-2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Sichern eines Containers auf einer Plattform eines Transport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90436B2 (en) 2015-07-28
DK2496510T3 (da) 2013-12-16
US20120243966A1 (en) 2012-09-27
JP2013510057A (ja) 2013-03-21
WO2011054856A1 (de) 2011-05-12
EP2496510A1 (de) 2012-09-12
PL2496510T3 (pl) 2014-02-28
JP5755654B2 (ja) 2015-07-29
ES2439547T3 (es) 2014-01-23
EP2496510B1 (de) 2013-09-25
DE102009053235A1 (de) 2011-05-19
PT2496510E (pt)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5894A (ko) 갠트리 크레인을 갖는 iso 컨테이너 취급 장치
JP5676338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とその制御方法
KR101653672B1 (ko) 크레인을 지지하고 컨테이너를 운반하도록 컨테이너의 상부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베이스 부재와 크레인을 구비하는 컨테이너 취급 시스템
KR102059451B1 (ko)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KR20170137711A (ko) 로봇 컨테이너 핸들링 디바이스 및 방법
CN104379490B (zh) 包括起重机和位于起重机的主体中且用于保持和堆叠舱口盖的底座的在港口操作中装载和卸载的系统
JP5480902B2 (ja) 特にisoコンテナを荷役するためのブリッジまたはガントリクレーン
US20160332847A1 (en) Stacker crane with an intermediate storage area for containers
US6554557B1 (en) Inter-box connector (IBC) installation and removal system
JP2656626B2 (ja) 船舶におけるコンテナ積卸し装置
KR101328193B1 (ko) 화물선에서의 화물 취급 장치
US7004338B2 (en) Empty container storage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of empty ISO containers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AU2013100395A4 (en) Structure for use with container-handling apparatus
US4610594A (en) Container conveyor system
CN108495783B (zh) 在集装箱船和码头之间转移标准化集装箱的方法
KR20130091757A (ko) 운송 컨테이너
KR20110040122A (ko) 이동식 버퍼 플랫폼을 가진 컨테이너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100480473B1 (ko)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이송장치
JPH10316247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19023118A (ja) 橋形クレーン
KR20110041775A (ko) 레일을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장치
JPH11292210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H10279279A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の天井クレーン
WO2007132416A2 (en) The displacement of containers with respect to a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