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860A - 점착식 클리너 - Google Patents

점착식 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860A
KR20120095860A KR1020127009185A KR20127009185A KR20120095860A KR 20120095860 A KR20120095860 A KR 20120095860A KR 1020127009185 A KR1020127009185 A KR 1020127009185A KR 20127009185 A KR20127009185 A KR 20127009185A KR 20120095860 A KR20120095860 A KR 20120095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support roller
axial direction
adhesive
tape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5488B1 (ko
Inventor
요시히로 하시즈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89989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9586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Publication of KR20120095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청소 도구 본체에 장착된 점착 테이프 롤을 원터치로 안전하게 착탈할 수 있는 점착식 클리너를 제공한다. 청소 도구 본체(3)의 지지 롤러(6)의 양단에 설치된 점착 테이프 롤(2)의 빠짐 방지용 스토퍼(63, 64)의 어느 일방에, 그 걸림 장착 상태를 원터치로 해제하는 해제 수단으로서의 손잡이부(7)를 설치한다.

Description

점착식 클리너{ADHESIVE CLEANER}
본 발명은, 먼지 포착용의 점착면이 표면측을 향하도록 권회된 점착 테이프 롤을 사용하여 피청소면 상을 청소하는 점착식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면, 원터치로 점착 테이프 롤을 청소 도구 본체로부터 착탈할 수 있는 점착식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착식 클리너는, 기재(基材)의 일방의 면에 먼지 포착용의 점착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표면측을 향하도록 롤 형상으로 권회한 점착 테이프 롤과, 동 점착 테이프 롤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를 구비한 청소 도구 본체로 이루어지고, 카펫 등의 피청소면 상에서 점착 테이프 롤을 굴림으로써, 피청소면 상의 먼지를 점착면에서 보충하도록 하고 있다.
청소 도구 본체에는, 점착 테이프 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롤러가 설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지지 롤러는, 그립부로부터 인출된 금속제 샤프트의 일단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장착된 수지제의 통체로 이루어지고, 지지 롤러의 자유단(自由端)측으로부터 점착 테이프 롤을 끼워넣음으로써, 지지 롤러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통상, 지지 롤러의 양단에는, 점착 테이프 롤 빠짐 방지용의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는, 지지 롤러의 단연(端緣)의 일부를 외경 방향으로 향하여 클로 형상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스토퍼가, 점착 테이프 롤의 측면에 걸어멈춰짐으로써, 점착 테이프 롤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청소 도구 본체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의 청소 도구 본체는, 점착 테이프 롤을 끝까지 다 씀으로써, 종이관이 지지 롤러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어, 점착 테이프가 남은 상태로 분리하기는 어려웠다.
특히, 최근의 가옥에서는, 카펫이나 다다미 등 이외에 플로어링이나 코르크 보드 등 다종의 바닥재가 사용되고 있어, 1개의 청소 도구 본체에 용도에 따른 점착 테이프 롤을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되었다.
또한, 종래의 스토퍼는, 점착 테이프 롤을 끼워넣는 방향으로 테이퍼가 형성되고, 빼내는 방향으로는 갈고리가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 중의 교환이 어려울뿐만 아니라, 억지로 빼내려고 한 경우, 지지 롤러가 파손되거나, 힘이 넘쳐 빠진 점착 테이프 롤이 손가락에 닿아 상처를 입을 우려도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65401호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청소 도구 본체에 장착된 점착 테이프 롤을 원터치로 안전하게 착탈할 수 있는 점착식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서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몇 가지 특징을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의 일방의 면에 먼지 포착용의 점착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과,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가지는 청소 도구 본체를 구비하는 점착식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 통과 가능한 통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지지 롤러의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이 끼워넣어지는 일단측에는,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탄성편과,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측으로부터 외경 방향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걸어멈춤 클로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가지고, 상기 스토퍼에는,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측을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내경보다 내측으로 축경(縮徑)시켜 상기 걸어멈춤 클로에 의한 걸림 장착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측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 설치된 손가락 삽입 통과용의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를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측이 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축선 방향의 단면(端面)의 높이가, 외경측으로부터 내경측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을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조작 버튼을 가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판이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에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풀탭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풀탭부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연결판이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돌출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선단측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장착된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는, 일단측이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가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돌출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축의 일부에는, 상기 너트가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을 직선 상태로부터 굴곡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도구 본체는, 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롤러의 기단(基端)측에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이 동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도구 본체는, 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을 더 구비하고, 상기 그립의 일단측에 상기 지지 롤러의 기단측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 롤러의 스토퍼에 각 탄성편의 자유단측을 점착 테이프 롤의 내경보다 내측으로 축경시켜, 걸어멈춤 클로에 의한 걸림 장착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수단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비록 사용 도중이라도 점착 테이프 롤을 안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제 수단은, 각 탄성편의 자유단측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 설치된 손가락 삽입 통과용의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를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측이 축경됨으로써, 간단히 점착 테이프 롤의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단면의 축선 방향의 높이가 점차 중앙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손잡이부끼리를 손가락으로 집는 것이 아니라, 단면을 손가락의 지문부로 중심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도, 각 손잡이부끼리가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걸어멈춤 클로가 내경 방향으로 쓰러져 록이 해제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을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연결판이 축선 방향으로 탄성 변형됨에 수반하여, 탄성편의 자유단측을 축경하여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조작 버튼을 가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가압함으로써, 연결판이 축선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록이 해제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에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풀탭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풀탭부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연결판이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록이 해제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돌출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선단측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장착된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는, 일단측이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가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지레의 원리로 조작 레버로 연결판을 탄성 변형시키기 때문에, 보다 작은 힘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돌출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축의 일부에는, 상기 너트가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너트를 조이는 동작에 의해 연결판을 탄성 변형시켜 록을 해제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을 직선 상태로부터 굴곡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함으로써, 조작 레버로 연결판을 S자 형상 등으로 굴곡 변형시켜 록을 해제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와, 그립부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지지 롤러의 기단측에 샤프트의 타단이 동축적으로 연결된 청소 도구 본체에서 점착 테이프 롤을 원터치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의 일단측에 지지 롤러의 기단측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타입의 청소 도구 본체라도, 점착 테이프 롤을 원터치로 분리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점착식 클리너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상기 지지 롤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b)는 상기 지지 롤러의 자유단측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상기 지지 롤러의 단면도, 도 3(b)는 손잡이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a)는 손잡이부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b)는 손잡이부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의 모식도이다.
도 5(a)는 지지 롤러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5(b)는 확대 부분 단면도 및 도 5(c)는 해제 수단의 조작 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a)는 지지 롤러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6(b)는 확대 부분 단면도 및 도 6(c)는 해제 수단의 조작 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지지 롤러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7(b)는 확대 부분 단면도 및 도 7(c)는 해제 수단의 조작 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지지 롤러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8(b)는 확대 부분 단면도 및 도 8(c)는 해제 수단의 조작 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a)는 지지 롤러의 제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9(b)는 확대 부분 단면도 및 도 9(c)는 해제 수단의 조작 순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착식 클리너(1)는, 점착면이 표면측을 향하도록 권회된 점착 테이프 롤(2)과, 동 점착 테이프 롤(2)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청소 도구 본체(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점착식 클리너(1)에는, 청소 도구 본체(3)에 점착 테이프 롤(2)을 장착한 상태에서, 점착 테이프 롤(2)을 덮어 가리기 위한 커버(1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10)는 임의적 사항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점착 테이프 롤(2)은, 기재의 일방의 면에 먼지 포착용의 점착면을 가지는 점착 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표면측을 향하도록 코어(21)를 따라 다중으로 권회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점착 테이프 롤(2)에는, 대략 1주장(周長)마다 더럽혀진 점착 테이프를 잘라 벗겨내기 위한 자름선(모두 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점착 테이프 롤(2)은, 어디까지나 청소용으로서 점착면이 표면측을 향하도록 권회되어 있으면 되고, 점착제의 재질이나 두께, 점착면의 패턴 형상, 또는 자름선의 유무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임의로 선택되어도 된다.
청소 도구 본체(3)는, 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4)와, 동 그립부(4)의 일단(도 1에서는 하단)에 동축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5)와, 샤프트(5)의 타단측에 동축적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 롤러(6)를 구비하고 있다.
그립부(4)는, 합성 수지제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약간 편평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립부(4)의 상단측에는, 이 점착식 클리너(1)를 예를 들어 훅 등의 매다는 도구에 매달아 보관하기 위한 훅 구멍(4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그립부(4)는, 합성 수지제로 단면(斷面)이 타원 형상인 스트레이트 막대체로 이루어지는데, 금속제여도 되며, 형상은 T자 형상이나 L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더욱 손으로 파지하기 쉽도록 표면에 요철이나 이지(梨地) 처리 등을 실시해도 되고, 그립부(4)의 구체적인 재질이나 형상은, 사양에 따라 임의로 변경되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5)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걸쳐 소정 형상으로 절곡 혹은 만곡된 금속 막대로 이루어진다. 샤프트(5)는, 지지 롤러(6)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축 지지하는 축 지지부(51)와, 축 지지부(51)로부터 커버(10)의 측면 및 상면 중앙을 따라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된 만곡부(52)와, 만곡부(52)로부터 절곡부(53)를 거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그립부(4)에 동축적으로 접속되는 스템(5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샤프트(5)는, 금속 막대를 절곡 혹은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 이외에 프레스 성형 등으로 성형해도 된다. 또한, 샤프트(5)는 금속제 이외에 수지제여도 된다.
도 3을 아울러 참조하여, 지지 롤러(6)는,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전체가 점착 테이프 롤(2)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 통과 가능한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 롤러(6)는, 점착 테이프 롤(2)의 축선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걸쳐지는 1쌍의 지지판(61a, 61b)과, 동 지지판(61a, 61b)의 단면(端面)을 덮는 단판(端板)(62a, 62b)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61a, 61b) 및 단판(62a, 62b)은,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다.
지지판(61a, 61b)은, 점착 테이프 롤(2)의 축선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단면(斷面) T자 형상의 빔 부재로서, 회전 축선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판(61a, 61b)의 일부에는, 보강용 리브(611, 611)가 축선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2지점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61a, 61b)은, 원주 방향의 외접원이 점착 테이프 롤(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예에 있어서, 지지판(61a, 61b)은 단면 T자 형상이며, 그 부근의 정점을 연결하는 외접원이 점착 테이프 롤(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지지판(61a, 61b)은 모두 동일 형상이며, 단면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외접원이 점착 테이프 롤(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해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그 수와 형상은 사양에 따라 임의여도 된다.
단판(62a, 62b)은, 점착 테이프 롤(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의 외경을 가지는 원반체로 이루어지고, 지지판(61a, 61b)의 단부(端部)를 막도록 장착되어 있다. 2장의 단판(62a, 62b) 중, 일방의 단판(62a)(도 3에서는 좌측)에는, 샤프트(5)의 축 지지부(51)가 끼워넣어지는 베어링 구멍(621)이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61a, 61b)을 사이에 두고 축선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샤프트(5)의 축 지지부(51)를 베어링하는 베어링부(65)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65)는, 지지판(61a, 61b)과 함께 일체 성형되어 있고,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금속제의 베어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부(65)에 축 지지부(61)의 선단이 동축적으로 끼워넣어짐으로써, 지지 롤러(6)는 베어링부(65)의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단판(62a)에는, 점착 테이프 롤(2)의 축선 방향의 일단(22)측의 빠짐 방지용의 제1 스토퍼(63)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스토퍼(63)는, 단판(62a)의 외주연(外周緣)으로부터 점착 테이프 롤(2)의 측단면(22)을 향하여 연장 설치된 슬리브부(631)와, 동 슬리브부(631)의 선단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플랜지부(6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스토퍼(63)는, 단판(62a)에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슬리브부(631)는, 점착 테이프 롤(2)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서, 점착 테이프 롤(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을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632)는, 점착 테이프 롤(2)의 내경보다 큰 직경의 원반체로 이루어지고, 슬리브부(631)와 플랜지부(632)의 단차면(633)이 점착 테이프 롤(2)의 단면(端面)에 맞닿음으로써, 점착 테이프 롤(2)의 축선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단판(62b)에는, 점착 테이프 롤(2)의 축선 방향의 타단(23)측의 빠짐 방지를 방지하는 제2 스토퍼(64)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스토퍼(64)는, 단판(62b)의 외주면의 일부로부터 단판(62b)과는 이반(離反)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탄성편(641, 641)을 구비하고 있다.
탄성편(641, 641)은, 단판(62b)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배치된 판체로서, 선단이 점착 테이프 롤(2)의 타단(23)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641, 641)은, 그 외접원이, 점착 테이프 롤(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이 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탄성편(641)의 선단에는, 점착 테이프 롤(2)의 타단(23)을 지지하는 걸어멈춤 클로(642)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멈춤 클로(642)는, 점착 테이프 롤(2)의 내주면으로부터 타단(23)을 따라 외경측으로 연장되는 볼록편으로서, 탄성편(641)과 걸어멈춤 클로(642)의 단차면(643)에서 점착 테이프 롤(2)의 타단(23)을 받아냄으로써, 점착 테이프 롤(2)의 축선 방향의 빠짐 방지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걸어멈춤 클로(642)의 선단측[도 3(a)에서는 우측]에는, 점착 테이프 롤(2)을 지지 롤러(6)에 끼워넣을 때에, 그 안내 역할을 하는 테이퍼면(644)이 설치되어 있다. 테이퍼면(644)은, 걸어멈춤 클로(642)의 선단으로부터 외경측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으로서, 테이퍼면(644)을 따라 점착 테이프 롤(2)의 코어(21)가 맞닿으면서 이동함으로써, 각 탄성편(641)이 내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되어, 점착 테이프 롤(2)이 원활하게 안내된다.
탄성편(641) 선단의 내경측에는, 걸어멈춤 클로(642)의 걸어멈춤 상태를 원터치로 해제하는 제1 해제 수단으로서의 손잡이부(7)가 설치되어 있다. 도 3(b)를 아울러 참조하여, 손잡이부(7)는, 탄성편(641)의 원주 방향의 양단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손가락(F)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삽입 통과 구멍(71)이 형성되어 있다.
각 손잡이부(7)는, 지지 롤러(6)의 축선 방향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탄성편(641)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손잡이부(7)는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손가락(F)이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71)을 구비하고 있으면, 그 밖의 형상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4(a)를 아울러 참조하여, 각 손잡이부(7)는, 그 축선 방향의 단면(端面)(72)이 외경측으로부터 내경측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 축선 방향의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7)는 중심을 향하여 막자사발 형상으로 움푹 패어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손잡이부(7)는, 축선을 사이에 두고 1쌍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손잡이부(7)는 적어도 2개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60도 간격으로 3지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손잡이부(7)의 설치 수나 형상은, 사양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이에 의하면,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손잡이부(7)에 예를 들어 집게 손가락(F)을 끼워넣고, 타방의 손잡이부(7)에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F)을 끼워넣어 손가락끼리를 서로 집음으로써, 각 손잡이부(7, 7)끼리가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걸어멈춤 클로(642, 642)가 내경 방향으로 쓰러짐으로써 록이 해제된다.
또한, 단면(72)의 축선 방향의 높이가 점차 중앙을 향하여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손잡이부(7, 7)끼리를 손가락(F)으로 집지 않고, 단면(72)을 손가락(F)의 지문부로 눌러 중심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도, 각 손잡이부(7, 7)끼리가 서로 근접하도록 탄성 변형되어, 걸어멈춤 클로(642, 642)가 내경 방향으로 쓰러짐으로써 록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5(a)?(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지 롤러의 제2 실시형태의 해제 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거나 혹은 동일하다고 간주되는 지점에는,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형태의 지지 롤러(6A)에는, 각 탄성편(641, 641)끼리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켜, 걸어멈춤 클로(642, 642)의 록을 원터치로 해제하는 제2 해제 수단(8A)이 설치되어 있다.
도 5(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제 수단(8A)은, 각 탄성편(641, 641)의 선단끼리에 걸쳐진 연결판(81)과, 연결판(81)의 대략 중앙에 일체 성형되어, 힌지부(81)를 지지 롤러(6)의 축선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판(81)은, 손의 가압에 의해 적당히 탄성 변형되는 박육판으로 이루어지고, 양단이 탄성편(641, 641)의 내경측 선단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길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82)는, 적당한 강성을 가지는 원반체로 이루어지고, 연결판(81)의 중앙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82)에는, 예를 들어 「PUSH」 등의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문자가 각인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82)를 손가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조작부(82)에 연결된 연결판(81)이 내측으로 밀어넣어진다. 이에 수반하여, 연결판(81)의 연결단(連結端)인 탄성편(641, 641)끼리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절곡되어, 록이 해제된다.
이 예에 있어서, 해제 수단(8A)은 조작부(82)를 축선 방향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록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는데, 연결판(81)을 지지 롤러(6)의 축선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시키면, 탄성편(641, 641)끼리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절곡된다.
즉, 도 6(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해제 수단(8B)은, 연결판(81b)의 조작부로서의 풀탭부(82b)가 설치되어 있다. 풀탭부(82b)는, 손가락이 삽입 통과 가능한 삽입 통과 구멍(83b)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판(81a)의 대략 중앙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풀탭부(82b)에는, 잡아당기는 동작을 상기시키는 「PULL」 등의 문자가 각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풀탭부(82b)를 손가락에 걸어 축선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풀탭부(82b)의 기단측에 연결된 연결판(81b)이 잡아당겨진다. 이에 수반하여, 탄성편(641, 641)끼리가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절곡되어, 록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지지 롤러의 제4 실시형태의 해제 수단에 대해, 도 7(a)?(c)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해제 수단(8C)은, 상기 제2,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각 탄성편(641, 641)의 선단측에 걸쳐진 연결판(81c)을 가지고, 연결판(81c)의 일부에는, 연결판(81c)을 굴곡시키는 조작부(82c)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82c)는, 연결판(81c)의 어느 일단측 근방(이 예에서는 하단 근방)에 일체적으로 장착된 베이스부(83c)와, 베이스부(83)의 일부에 연결된 레버부(84c)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판(81c) 및 조작부(82c)는 모두 일체 성형되어 있다.
베이스부(83c)는, 단면 T자 형상을 나타내고, T자의 선단부에 레버부(84c)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84c)를 앞쪽으로 잡아당겨 쓰러뜨림으로써, 베이스부(83c)가 앞쪽으로 경사져 직선 형상의 연결판(81c)이 S자 형상으로 굴곡된다. 또한, 레버부(84c)를 잡아당겨 쓰러뜨림으로써, 연결판(81c)이 탄성 변형되고, 각 탄성편(641, 641)이 내경측으로 절곡되어 록이 해제된다.
다음으로, 도 8(a)?(c)를 참조하여 해제 수단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해제 수단(8D)은, 상기 제2, 제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각 탄성편(641, 641)의 선단측에 걸쳐진 연결판(81d)을 가지고, 연결판(81d)의 일부에는, 연결판(81d)을 굴곡시키는 조작부(82d)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82d)는, 단판(62b)의 중심으로부터 동축적으로 돌출 설치된 지지축(82c)과, 지지축의 선단측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장착된 조작 레버(83d)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축(82c)은, 단판(62b)의 중심으로부터 연결판(81d)을 관통하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측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 운동 가능한 조작 레버(84d)가 장착된다.
조작 레버(84d)는, く자 형상으로 형성된 플라스틱편으로 이루어지고, 회전축부터 선단까지의 길이가, 회전축부터 연결판(81d)까지의 거리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을 해제함에 있어서는, 조작 레버(84d)를 축선 방향의 앞쪽으로 잡아당겨 쓰러뜨림으로써, 지레의 원리에 의해, 조작 레버(84d)의 선단(841)이 연결판(81d)을 축선 방향을 따라 밀어넣어져, 보다 작은 힘으로 각 탄성편(641, 641)을 내경측으로 절곡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조작부(82d)는 회전식의 조작 레버(84d)가 사용되고 있으나, 조작 레버(84d) 대신에, 예를 들어 나비 너트나 아이 너트를 사용해도 된다. 즉, 지지축(82c)의 선단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그곳에 나비 너트를 박아, 연결판(81d)을 축선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9(a)?(c)를 참조하여 해제 수단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해제 수단(8E)은, 각 탄성편(641, 641)의 선단측에 걸쳐진 1쌍의 조작부(81e)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81e)는, 각 탄성편(641, 641)의 선단의 내경측으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설편(舌片)으로 이루어지고, 적당한 강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조작부(81e)는 탄성편(641, 641)과 동일한 합성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81e)를 손가락으로 축선 방향으로 누르는 것만으로, 각 탄성편(641, 641)을 내측으로 절곡할 수 있다. 이 예에 있어서, 조작부(81e)는 설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막대 형상이어도 되고,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각 탄성편(641, 641)을 내측으로 절곡할 수 있는 형상이면, 사양에 따라 임의로 변경 가능하다.
이 예에 있어서, 점착식 클리너(1)는, 그립부(4)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된 샤프트(5)의 타단에 지지 롤러(6)를 가지는 청소 도구 본체(2)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이것 이외에 그립의 일단에 지지 롤러가 직접 장착된 타입(예를 들어, 본 출원에 의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289301호)의 청소 도구 본체의 자유단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양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1 점착식 클리너
2 점착 테이프 롤
3 청소 도구 본체
4 그립부
5 샤프트
6 지지 롤러
61a, 61b 지지판
62a, 62b 단판
63 제1 스토퍼
631 슬리브부
632 걸어멈춤 클로
64 제2 스토퍼
641 탄성편
642 걸어멈춤 클로
643 단차면
644 테이퍼면
65 베어링부

Claims (11)

  1. 기재(基材)의 일방의 면에 먼지 포착용의 점착면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그 점착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권회하여 이루어지는 점착 테이프 롤과,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롤러를 가지는 청소 도구 본체를 구비하는 점착식 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지지 롤러는,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 통과 가능한 통 형상을 나타내고, 상기 지지 롤러의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이 끼워넣어지는 일단측에는,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고, 탄성 변형 가능한 적어도 2개의 탄성편과,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自由端)측으로부터 외경 방향을 향하여 돌출 설치된 걸어멈춤 클로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를 가지고,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측을 상기 점착 테이프 롤의 내경보다 내측으로 축경(縮徑)시켜 상기 걸어멈춤 클로에 의한 걸림 장착을 해제하기 위한 해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측의 서로 대향하는 내주면에 설치된 손가락 삽입 통과용의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를 서로 근접시킴으로써, 상기 탄성편의 자유단측이 축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축선 방향의 단면(端面)의 높이가, 외경측으로부터 내경측의 중심을 향함에 따라, 점차 낮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 수단은, 상기 각 탄성편의 자유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을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시키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조작 버튼을 가지고, 상기 조작 버튼을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가압함으로써, 상기 연결판이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에는, 손가락을 걸기 위한 풀탭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풀탭부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연결판이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돌출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선단측에 회전 운동 자유롭게 장착된 조작 레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작 레버는, 일단측이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가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의 일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지지 롤러의 축선 방향을 따라 동축적으로 돌출 설치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축의 일부에는, 상기 너트가 나선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연결판을 직선 상태로부터 굴곡시키기 위한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도구 본체는, 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부와, 상기 그립부의 일단으로부터 인출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롤러의 기단(基端)측에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이 동축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 도구 본체는, 손에 의해 파지되는 그립을 더 구비하고, 상기 그립의 일단측에 상기 지지 롤러의 기단측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식 클리너.
KR1020127009185A 2009-10-21 2009-12-18 점착식 클리너 KR1016054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42198A JP5349248B2 (ja) 2009-10-21 2009-10-21 粘着式クリーナ
JPJP-P-2009-242198 2009-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860A true KR20120095860A (ko) 2012-08-29
KR101605488B1 KR101605488B1 (ko) 2016-03-22

Family

ID=4389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185A KR101605488B1 (ko) 2009-10-21 2009-12-18 점착식 클리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349248B2 (ko)
KR (1) KR101605488B1 (ko)
CN (1) CN102573597B (ko)
HK (1) HK1171931A1 (ko)
WO (1) WO201104864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575A (ko) * 2020-11-16 2022-05-25 에스에프테크 (주) 역회동방지수단을 구비한 테이프롤러클리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8736B2 (ja) * 2012-02-02 2017-03-01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式クリーナー
JP5978704B2 (ja) * 2012-03-28 2016-08-24 レック株式会社 清掃具
JP6050646B2 (ja) * 2012-10-10 2016-12-21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式クリーナー
CN103082980B (zh) * 2013-01-08 2014-11-05 郑运婷 弹性粘发扫装置
JP6100539B2 (ja) * 2013-01-25 2017-03-22 株式会社ニトムズ 有機質汚れ除去用粘着クリーナー
CN103181745A (zh) * 2013-03-27 2013-07-03 太仓市光荻橡塑制品有限公司 清洁滚筒
KR102053788B1 (ko) * 2013-10-11 2019-12-09 가부시키가이샤 니토무즈 청소구
JP6248052B2 (ja) * 2014-03-28 2017-12-13 株式会社ニトムズ 清掃具用ケース
CN106725242B (zh) * 2017-03-04 2018-11-30 姚自动 一种碎屑式杂物清洁装置
JP2020054693A (ja) * 2018-10-03 2020-04-09 レック株式会社 粘着式クリーナ
CN109589083B (zh) * 2018-11-30 2020-06-12 南京溧水高新创业投资管理有限公司 滚动除尘与自动清扫滚筒表层一体化的滚筒式除尘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7071U (ja) * 1981-12-14 1984-02-20 ダスキンフランチヤイズ株式会社 ごみ取りロ−ルの支持具
JPS61233215A (ja) * 1985-04-04 1986-10-17 Kimurashin Kk ロ−ル支持具
JPH0617722Y2 (ja) * 1990-06-24 1994-05-11 モロフジ株式会社 被覆板付き包装用袋
JPH0560466U (ja) * 1992-01-22 1993-08-10 株式会社川口技研 粘着クリーナー
JP3011644U (ja) * 1994-11-28 1995-05-30 富士精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保持具
JP3011644B2 (ja) * 1995-08-31 2000-02-21 三洋電機株式会社 物品監視装置及び物品監視システム
JP4674182B2 (ja) * 2006-04-24 2011-04-20 株式会社ニトムズ 粘着式クリーナー
CN201117954Y (zh) * 2007-09-20 2008-09-17 襄樊学院 卡扣式电源插头及插座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575A (ko) * 2020-11-16 2022-05-25 에스에프테크 (주) 역회동방지수단을 구비한 테이프롤러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488B1 (ko) 2016-03-22
JP5349248B2 (ja) 2013-11-20
HK1171931A1 (en) 2013-04-12
JP2011087684A (ja) 2011-05-06
CN102573597A (zh) 2012-07-11
CN102573597B (zh) 2014-11-26
WO2011048643A1 (ja)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5860A (ko) 점착식 클리너
EP1031666B1 (en) Hand operated drain cleaning tool
EP2040886A2 (en) Quick-release handle and interchangeable cleaning system
WO2006071252A2 (en) Quick release paint roller asembly
FR2816194A1 (fr) Dispositif de conduit d'aspiration secondaire pour aspirateur
JP5137650B2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2007282596A (ja) スピニングリール取付用のリールシート
JP2011067122A (ja) 筒状リールシート
TW201916982A (zh) 具有止擋裝置之扳手
JP5171774B2 (ja) 粘着クリーナー
KR200483035Y1 (ko) 롤러식 먼지제거기
KR200462320Y1 (ko) 상자 포장용 수동 테이프 디스펜서
JP5118536B2 (ja) 釣竿
JP4974779B2 (ja) 清掃用具
JP5940697B2 (ja) 粘着式クリーナ
EP0961751B1 (en) Corkscrew assembly
WO2011055563A1 (ja) 模型部品分離治具及び模型用樹脂成形部品
JP6284577B2 (ja) リールシート
KR20210000007U (ko) 롤러식 먼지제거기
JP6062159B2 (ja) 伸縮シャフトおよび清掃具
JP2008044303A (ja) 筆記具
JPH0560466U (ja) 粘着クリーナー
CN113288395B (zh) 椎弓根螺钉用多功能上钉起子
JP4446381B2 (ja) リールシートのフード用の化粧カバー及び釣り竿
JP3138165U (ja) 清掃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