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5352A - 전체 바나나 열매 (musa spp.)로부터의 천연 추출물 - Google Patents

전체 바나나 열매 (musa spp.)로부터의 천연 추출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5352A
KR20120095352A KR1020127006462A KR20127006462A KR20120095352A KR 20120095352 A KR20120095352 A KR 20120095352A KR 1020127006462 A KR1020127006462 A KR 1020127006462A KR 20127006462 A KR20127006462 A KR 20127006462A KR 20120095352 A KR20120095352 A KR 201200953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natural
natural extract
powder
mamm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6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니색하 매다사니
Original Assignee
무니색하 매다사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니색하 매다사니 filed Critical 무니색하 매다사니
Publication of KR20120095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3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11Aromat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42Amino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68Ster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84Horm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3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sisting of whole pieces or fragments without mashing the original pieces
    • A23L19/07Fruit waste products, e.g. from citrus peel or see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electrolyt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iabetes (AREA)
  • Bio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bes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Abstract

주로 천연 멜라토닌, 세로토닌, 카테콜아민 및 이의 전구체; 아미노산 트립토판 및 티로신; 미네랄 칼륨, 마그네슘, 인 및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익지 않거나 익은 바나나 (Musa Spp) 전체 열매로부터의 천연 추출물이 제공된다. 이러한 천연 추출물은 매우 소량의 탄수화물을 함유하거나 전혀 함유하지 않는다. 최종 추출물은 액체, 반고체 또는 분말 형태이다. 본 추출물은 포유동물 및 동물에 대하여 분말 중에 1 내지 1,000 mg의 복용량 또는 매일 분말에 대해 균등한 양으로 사용된다. 본 추출물은 액체, 젤, 캡슐, 캐플릿, 또는 정제 형태의 영양 보충제, 약품 또는 어주번트로서 사용된다. 물리적 처리, 효소 공정 및 수지 추출은 주로 추출을 위해 사용된다. 보존제 또는 항산화제와 같은 식품 또는 약제학적 등급 첨가제가 저장 수명을 위해 첨가된다. 다른 추출물, 비타민, 미네랄 및 아미노산은 효능 및 사용의 추가 향산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본 추출물은 하나의 이상의 상태에서, 포유동물 및 동물에 대하여 기분 상승,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증의 감소; 기초대사율(BMR)의 증가, 열발생, 비만,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당뇨병, 수면 장애, 신경학적 질환, 근 질환, 발기 부전을 위해 및 신체에서 칼륨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Description

전체 바나나 열매 (MUSA SPP.)로부터의 천연 추출물 {NATURAL EXTRACT FROM WHOLE BANANA FRUIT (MUSA SPP.)}
바나나는 파초과(family Musaceae) 및 무사 종(genus Musa)의 초본 식물의 열매에 대한 일반명이다. 이러한 것들은 동남 아시아의 열대 지역이 원산지이다. 바나나는 주로 열매를 위해 및 섬유 및 장식용을 위해 재배된다.
전세계에 약 170개 국가에서 바나나가 생산되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 바나나는 주식으로서 여겨진다. 이는 즉각적인 에너지(instant energy), 섬유, 미네랄 및 비타민이 풍부한 소스를 제공한다. 이는 식물 영양소, 스테롤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약 200개의 휘발성 성분을 지니고 있다.
한 컵의 전유와 함께 바나나는 주식으로서 여겨지고, 신체에 대한 전체 영양소 필요량을 제공한다. 이는 식이 요법자에게 가장 바람직한 식이요법으로서 여겨진다. 신경전달물질 및 이의 전구체가 풍부한 공급원으로서, 이는 일시적 기분 상승(instant mood elevation)을 제공한다. 칼륨이 풍부한 바나나는 고혈압 환자에게 만족할 만하다. 이는 유아에서 노인까지 매우 안전한 것으로 여겨지는 유일한 열매이다.
통상적으로, 이는 임의의 위 자극, 궤양, 변비에 대해 좋은 것으로 여겨진다. 이의 전분은 위에서 보호층을 제공하며, 이의 비-소화성 섬유는 콜레스테롤의 저하 및 변비를 위해 좋다. 아프리카 원주민은 벌레 불린데 및 피부 질환(skin problem)에 대해 바나나 껍질의 안쪽 부분을 사용한다. 아유르베다(Ayurveda)에서, 이들은 칼륨의 양호한 공급원이면서 식용 가능한 부분에 더욱 많이 존재하는 당을 함유하지 않는 바, 당뇨병을 위해 바나나 껍질의 섭취를 제안하고 있다.
고대 사용 및 최신 연구에서는 바나나가 양호한 항산화 성질을 가지고 전해질 불균형을 바로 잡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항우울증 및 항불안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은 주로 두 가지 부류로 분류된다: 즉,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 (SNRI), 및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세로토닌-특이적 재흡수 억제제 (SSRI). 이러한 약물들은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함으로써 작용한다. 이는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세포외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신경전달을 증가시킨다.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단어 '추출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을 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단어 '발명자'는 본 특허 출원에서 명명된 발명자를 칭하는 것이다.
모든 통상적인 용도 및 최신의 발명은 플라보노이드, 페놀 및 휘발성 성분의 분리를 위해 바나나의 식용 가능한 부분 또는 껍질 중 하나를 사용한다. 본 발명자는 바나나로부터 천연 칼슘의 분리를 위한 특허를 적용한다.
문헌에서의 본 발명자의 연구는 주로 바나나의 분말, 퓌레(puree), 시럽 및 주스를 나타내고 있다. 바나나 분말은 80% 초과의 탄수화물을 함유한다. 바나나 퓌레는 주로 바나나의 식용 가능한 부분으로 제조되고 유아 식품 및 디저트용으로 사용된다. 바나나 주스는 주로 바나나의 식용 가능한 부분으로 제조되고, 천연 당을 함유한다. 효소 공정을 이용하고 효모 발효를 이용하여 당을 알코올로 변환시키는 바나나 와인의 제조에 대한 몇몇 연구 문헌이 존재한다. 연구 목적을 위해 주로 바나나 렉틴이 사용된다. 바나나 에센스(essence)는 바나나의 껍질로부터 분리되고, 이는 주로 식품 첨가제 및 방향제로서 사용된다. 불용성 바나나 섬유, 바나나 전분 및 바나나 펙틴은 분리되고 상이한 산업적 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물리적 처리, 효소 공정 및 수지 처리에 의한, 열매의 식용 가능한 부분 및 껍질을 포함하는, 바나나의 전체 열매 추출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질소 함유 분자, 예를 들어 아미노산, 단백질, 글리코-단백질, 신경전달물질 및 이들의 전구체(이로 제한되지 않음)의 분리를 위한 것이다. 이러한 추출물은 매우 소량으로 단당 및 섬유를 함유하거나 이를 전혀 함유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진보성 및 신규성은 주로 신경전달물질; 미네랄 및 질소 함유 분자, 예를 들어 아미노산, 단백질, 글리코-단백질 및 항산화제를 함유하는 전체 바나나 열매의 특정 추출이다. 바나나의 이러한 순수한 및 특정 추출물은, 상기 영양소의 추출물의 생체이용성이 전체 바나나를 섭취하는 것과 비교하여 더욱 높기 때문에 1회 복용 당 100 mg 정도 적은 양으로 인간 소비하는데 효과적이고 심지어 1회 복용 당 1,000 mg에서도 비독성이다.
추출물에 양호한 항산화제 성질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본 발명자들은 추출물에 천연 노르에피네프린 및 에피네프린을 보유하도록 처리하는데, 이는 신체 지방을 연소시킴으로써 신체 열 발생 및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것이다. 노르에피네프린 및 에피네프린은 녹차 중에 존재하는 지방 연소 능력을 갖는 것으로 여겨지는 성분들이다. 도파민이 또한 추출물에 보유되는데, 이러한 도파민은 기분 상승 및 발기 부전을 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조합은 미토콘드리아 수준에서 호흡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체의 에너지 수준을 증가시키고 또한 기분 상승 및 동기 부여(motivation)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놀라운 결과로는, 이러한 추출물이 열 발생을 야기시켜, 추위 적응(cold adoption)을 개선시키고 갑작스런 냉기 노출에 대해 견뎌낼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발견하였다.
이 시점에 본 발명자들에게 정보가 입수 가능한 한, 추출물에 대한 당해 기술에서, 기분 상승, 디스트레싱(destressing) 성질을 위해 좋고 수면 장애를 다루고 열 발생을 증가시킴으로써 신체 지방을 연소시키는, 카테콜아민, 항산화제, 미네랄 및 미량 영양소가 풍부한 전체 바나나 열매 추출물에 대해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추출물은 껍질 및 식용 가능성 부분의 우수한 성질을 제공하는 단순한 환약 형태로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신체에 과도한 당, 탄수화물 및 섬유를 제공하지 않으면서 단일 천연 추출물에 의해 상기 고통당하는 모든 인간에 대해 천연 요법을 제공한다.
인간 신체는 혈액-뇌-장벽 (BBB) 기능을 통해 뇌에 도파민, 세로토닌, 노르에피네프린의 수준을 유지시킨다. 예를 들어, 도파민의 섭취는 L-도파(L-Dopa)로 전환되고, 이후에 뇌로 전달된 후에, 도파민으로 다시 전환된다. 이러한 BBB 기능과 관련하여, 인간 신체는 뇌로 신경전달물질의 임의의 과도한 유입을 막는다. SSRI 및 SNRI와 같은 신체의 자연적인 기능을 방해하는 것 대신에, 총체적인 및 통상적인 약품에서, 신체에 의해 요구되는 것을 제공하고 시스템에 조화를 이루게 하는 방법이 알려진다는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추출물은 신체의 자연적인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자연적 완화(natural relief)를 제공한다.
본 추출물은 항우울제와 같은 유사한 결과, 즉 신체에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의 자연적인 증가를 제공함으로써, SSRI 및 SNRI와 유사한 효과를 자연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추출물은 수용성이며, 이에 따라 신체는 요망되는 신경전달물질을 사용하고 배설을 통해 과도한 양을 제거한다. 수행되는 경구 및 세포독성 시험에서는, 추출물이 보다 높은 복용량에서도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정 수준의 미네랄 또는 신경전달물질을 갖는 표준화된 추출물은 이러한 추출물로 제조될 수 있거나 천연 신경전달물질은 이러한 공정 또는 추출물로부터 분리되고 표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부류의 표준화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는 것이 이해되고 청구된다.
바나나 생성물의 약 30%는 가공 및 세계 임의의 지역에 이동에서 폐기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의 일부는 동물에 대한 사료이지만, 대부분은 아니다. 본 발명은 손상된 바나나를 가치가 부가된 제품으로 가공하기 위해 바나나 농부에 대한 범위를 제공하며, 이는 국가적 및 국제적 중요성을 가질 것이다.
청구범위에서 제안된 방법은 주로 3가지 양태로 상이하다: 즉, 최소량의 단당을 가지거나 이를 전혀 가지지 않음, 최소량의 불용성 섬유를 가지거나 이를 전혀 가지지 않음, 분말 형태로 전환될 때 보다 높은 백분율의 신경전달물질 (w/w)를 가짐. 이러한 3 가지 추가적인 특징은 함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신규하고 진보적이게 한다.
본 발명자들은 바나나로부터 추출된 천연 칼륨으로 신체 저장의 포화에 대한 이전 특허를 출원하였다. 본 발명이 여러 방식으로 이전 특허의 잇점을 대신하는 바, 이전 특허는 현재 포기되었다.
또한, 하전된 이전교환 수지로의 제안된 처리는 주스/시럽/퓌레를 분류하고 미네랄, 단백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주스/시럽/퓌레 제조에서 사용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해된다. 그러나, 수지에 수집되는 구성성분들은 본 발명에서 논의되거나 청구된 목적을 위해 결코 사용된 바 없다. 주스/시럽/퓌레 제조 산업에서 회수된 구성성분들은 또한 심지어 단지 열매의 식용 가능한 부분 또는 전체 열매로부터 회수되더라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특허 참고문헌:
1. US 5989559 Banana peel extract composition and method for extraction
2. US 4273792 Banana Processing
3. US 4874617 Banana Processing
4. US 3974301 Dehydrated banana product
5. US 4921709 Banana peel processing
6. US 6013260 Banana peel extract composition and method for extraction for TOPICAL MEDICINE
7. US 6753019 Food supplement
8. US 7098029 Product and method for control of obesity
9. US 5470879 Treatment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10 US RE34237 Banana processing
비-특허 참고문헌:
1. 바나나 (Musa paradisiaca)f로부터의 플라보노이드의 항산화 활성은 일반 뿐만 아니라 고지방 음식이 공급된 랫트에서 연구되었다. 과산화 생성물, 즉 말론디알데히드, 과산화수소, 및 컨주게이트된 디엔의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된 반면, 카탈라아제 및 수퍼옥사이드 디스무타제의 활성은 크게 향상되었다. 글루타티온의 농도는 또한 처리된 동물에서 상승되었다.[Antioxidant activity of banana flavonoids S. Vijayakumar et al./Fitoterapia 79 (2008) 279-282]
2. 150개 이상의 휘발성 화합물은 바나나에서 다양한 조사에 의해 식별되었다. 대부분의 성분들은 지방족 에스테르, 알코올, 및 카보닐이었다. [BIOGENESIS OF BANANA VOLATILES J. Agr. FoodChem., Vol. 21, Ne. 4, 1973]
3. 바나나 (Musa acuminata, cv Dwarf Cabvendish) 단백질은 상이한 숙성 단계에서 과육 조직으로부터 추출되고 2차원 전기영동에 의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는 숙성 동안에 차별적인 단백질 축적의 증거를 제공한다. 두 개의 세트의 폴리펩티드는 익은 열매에서 실질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폴리펩티드는 웨스턴 블롯팅에 의해 글리코단백질로서 및 결합 검정에 의해 콘카나발린 A로서 특정되었다. [Differential Protein Accumulatioii in Banana Fruit during Ripening, Plant Physiol. (1992) 98, 157-162]
4. 본 연구는, 바나나가 강력한 항산화제인 도파민을 많은 양으로 함유함을 나타내었다. 도파만의 항산화성 효력은 BHA, BHT, 플라보노이드, 글루타티온, 및 카테킨 보다 우수하고, 강력한 항산화제인 갈로카테킨 갈레이트 및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하였다. [Banana Antioxidant J. Agric. Food Chem., Vol. 48, No. 3, 2000]
5. 도파민은 에이코사노이드 합성을 조정함으로써 내장 점막 손상에 대해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MacNaughton and Wallace, 1989;Alanko et al., 1992]
6. 이러한 스크리닝의 결과는, 익지 않고 익은 황색 바나나의 과육이 5-히드록시트립타민을 각각 31.4 및 18.5 ng/g의 농도로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0 g의 열매 또는 식물성 조직에서 멜라토닌의 평균 양은 하기와 같다: 바나나, 47 ng [Me1 tonin, Serotonin, and Tryptamine in Some Egyptian Food and Medicinal Plants,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ume 5, Number 3, 2002]
7. 익은 바나나 및 플랜틴(plantain) 열매에서의 비교적 많은 양의 만노즈-특이적 자칼린-관련 렉틴의 존재는 이러한 루이트(ruite)-관련 생물학적 활성 단백질의 의문을 증가시킨다 [Banana and Plantain freit lectins, Planta (2000) 211:546-554]
8. 도파민은 카테킨 보다 빠른 라디칼-포획 속도를 가지고 갈로카테킨 갈레이트와 유사하다. 아스코르브산은 가장 강력한 수용성 항산화제이다. 도파민은 아스코르브산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숙성 단계를 기초로 하여, 바나나는 8-118 mg/100 g의 껍질 및 0.8-2.10 mg/100 g의 과육을 함유한다. [High Content of Dopamine, a Strang Antioxidant, in Cavendish Banana J. Agric. Food Chem. 2000, 4g 844-848]
9. 연구자들은, 녹차그룹이 이를 섭취하지 않은 그룹 보다 35% 초과의 지방을 연소시켰음을 발견하였다. 노르에피네프린의 측정은 또한 최대 37%까지 올라갔다. 녹차는 신체에서 노르에피네프린의 파괴를 방지하지만, 이의 지방-연소 작업을 이루기 위해 이용 가능한 보다 높은 수준의 노르에피네프린을 초래한다. [http://findarticle.com/p/articles/,i_m0KFY/is_4_20/ai_98464596/pg_2/]
10. 카테콜아민 호르몬, 예를 들어 노르에피네프린 및 에피네프린은 열발생 및 지질 분해를 증가시켜,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고 지방 저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Rote of Tea in Weight Magement]
11. 전체적으로 3개의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시스템 (도파민,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에서의 신경 세포는, 이러한 시스템들 중 1 미만이 뇌의 현저한 조절곤란(dysregulation), 및 가끔 파국적 정신의학적 증상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 외의 경우에, 일부 타입의 주요 우울증의 경우에서와 같이, 충격은 보다 크고 더욱 장시간이지만, 또한 최종적인 자발적 퇴행으로 처리된다. [Handbook of clinical psychopharmacology for therapists By John Preston. John H. O'Neal, Mary C. Talegr]

Claims (20)

  1. 주로 천연 멜라토닌, 세로토닌, 카테콜아민 및 이들의 전구체; 아미노산 트립토판 및 티로신; 미네랄 칼륨, 마그네슘, 인 및 산화제를 함유하고, 탄수화물을 매우 소량으로 또는 전혀 함유하지 않는, 익지 않거나 익은 바나나 (Musa Spp .)의 전체 열매 (식용 가능한 부분 및 껍질 포함)로부터의 천연 추출물.
  2. 제 1항에 있어서, 천연 추출물이 세라토닌, 멜라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에피네프린 또는 이들의 산화 형태를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신경전달물질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3.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의 미네랄 함량이 20 중량% 내지 80 중량%인 천연 추출물.
  4.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의 탄수화물이 0.05 중량% 내지 30 중량%인 천연 추출물.
  5.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의 pH가 4 내지 7인 천연 추출물.
  6.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의 단당이 10 중량% 미만인 천연 추출물.
  7.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 중의 전분, 섬유 및 펙틴이 함께 20 중량% 미만인 천연 추출물.
  8.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물에 용해 가능한 천연 추출물.
  9. 제 2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15% 미만의 수분 함량을 갖는 분말 형태인 천연 추출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전체 바나나가 킹덤(kigdom); 식물계 과(Plantae, family); 무코세아에 종(Musaceae, Genus): 무사(Musa)로부터 선택된 천연 추출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분말, 겔, 페이스트, 반고체, 액체 형태인 천연 추출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포유동물 및 동물에서 식물 보충물, 약품, 식품 첨가제, 어주번트 (adjuvant); 또는 식품 보충물 또는 식품 또는 드링크 또는 드링크 믹스(drink mix) 또는 약품에 대한 어주번트로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포유동물 및 동물에 경구로, 피하로, 비강으로, 경피로, 피부로, 설하로 또는 다른 경로에 의해 투여되거나, 나노입자 또는 나노겔의 형태이거나 부형제에 흡착된 형태인 천연 추출물.
  14.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포유동물 및 동물에 투여하기 위한, 정제, 캐플릿, 캡슐, 패치, 소프트젤(softgel), 토피칼 젤(topical gel), 드링크, 분말, 발포정, 드링크 믹스, 츄어블(cheable), 츄잉 검, 검질 정제로서 (이로 제한되지 않음) 제형화되는 천연 추출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다른 식물 또는 동물 추출물, 미네랄, 비타민, 단백질, 아미노산, 지방산, 항산화제, 착향제, 정미 증강제(taste enhancer), 결합제, 보존제 및 어주번트가 활성, 정미(taste), 향, 저장 수명 효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로 제한되지 않음) 첨가될 수 있는 천연 추출물.
  16. 제 12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포유동물 및 동물에 대하여, 하나 이상의 상태에서, 기분 상승, 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증의 감소; 기초대사율(BMR)의 증가, 열발생, 비만,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혈압, 당뇨병, 수면 장애, 신경학적 질환, 근 질환, 발기 부전을 위해 및 신체에서 칼륨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
  17. 제 1항의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기 주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바나나를 세척하고 살균하는 단계,
    - 전체 바나나를 페이스트로 절단하고 으깨고 소정 양의 물과 혼합하는 단계,
    - 상기 혼합물을 약 75℃ 초과의 온도에서 요리하여 섬유 및 전분을 분해시키는 단계;
    - 섬유, 전부 및 펙틴을 분해시키고 소화시키기 위해, 섬유, 전부 및 펙틴을, 셀룰라제 효소, 아밀라제 효소, 아밀로즈, 아밀로펙틴, 펙티나제 효소와 같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은 효소로 처리하는 단계;
    - 미네랄, 신경전달물질, 단백질, 아미노산 및 질소 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렉틴 및 다른 성분들을 수집하거나 회수하기 위해 하전된 이온교환수지를 통해 상기 액체를 통과시키는 단계,
    - pH 조절된 유기 또는 무기 액체로 처리하여 이온교환수지로부터 상기 구성성분들을 회수하고 수집하는 단계,
    - 액체를 진공 하, 70℃ 미만에서 증발시켜 물 함량을 감소시키는 단계,
    - 스프레이 건조, 드럼 건조기, 짧은 경로 증류, 동결, 미세 증발기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이용가능한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분말로 건조시키는 단계,
    - 미세 분말로 제조하기 위해 연마하고 시빙(sieving)하는 단계,
    - 항산화제, 보존제, 및 케이킹제(caking agent)와 같은 승인된 첨가제를 첨가하는 단계.
  18. 제 17항에 있어서, 미네랄, 신경전달물질, 단백질, 아미노산 및 질소 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렉틴 및 다른 성분들이 또한 HPLC, 겔 컬럼, 디켄터, 원심분리, 압력 필터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른 방법들을 이용함으로써 회수될 수 있는 천연 추출물.
  19. 제 17항에 있어서, 미네랄, 신경전달물질, 단백질, 아미노산 및 질소 함유 화합물, 예를 들어 렉틴 및 다른 성분들이, 주스/시럽/퓌레를 생산하기 위해 단지 식용 가능한 부분 또는 전체 열매를 사용하든지 간에, 주스 제조 산업에서 양이온 수지와 같은, 그러나 이로 제한되지 않는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회수되며, 포유동물 및 동물에 대해 약제, 식품 보조제, 어주번트 또는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
  20. 제 1항 내지 제 19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포유동물 및 동물에 대해 일일 1 내지 1,000 mg 분말 또는 이에 대한 균등량의 분말의 투여량으로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
KR1020127006462A 2009-08-12 2010-08-11 전체 바나나 열매 (musa spp.)로부터의 천연 추출물 KR201200953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916CH2009 2009-08-12
IN1916/CHE/2009 2009-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352A true KR20120095352A (ko) 2012-08-28

Family

ID=4358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6462A KR20120095352A (ko) 2009-08-12 2010-08-11 전체 바나나 열매 (musa spp.)로부터의 천연 추출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496977B2 (ko)
EP (1) EP2464363A4 (ko)
JP (1) JP2013501772A (ko)
KR (1) KR20120095352A (ko)
CN (1) CN102481329A (ko)
AU (1) AU2010283544B2 (ko)
CA (1) CA2769758A1 (ko)
EA (1) EA028836B1 (ko)
WO (1) WO201101870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950B1 (ko) * 2013-05-07 2013-10-23 (주)에이씨티 바나나 잎,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5455A (ko) * 2017-02-10 2019-07-18 티씨아이 코 엘티디 Tph1 유전자, ddc 유전자 및/또는 aanat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바나나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10835567B2 (en) 2017-02-10 2020-11-17 Tci Co., Ltd. Method for regulating expressions of TPH1 gene, DDC gene, and/or AANAT gene by using banana peel extract
KR20210106604A (ko) * 2020-02-20 2021-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나나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0841A2 (en) * 2010-08-30 2012-03-08 Bananalogix, Inc. Improved means of supplying essential elements and nutrients
CN102633707A (zh) * 2012-04-11 2012-08-15 杨公明 一种利用香蕉皮制备天然5-羟色胺盐酸盐的方法
CN102697988B (zh) * 2012-06-04 2014-10-29 杨公明 一种从香蕉皮中提取黄酮的方法
CN105007754A (zh) * 2012-12-27 2015-10-28 百事可乐公司 芭蕉属和相关物种的加工
WO2015035500A1 (en) 2013-09-11 2015-03-19 Shapiro Colin Use of l-tryptophan for the treatment of parasomnias
JP6523647B2 (ja) * 2013-11-14 2019-06-05 大谷 勝 バナナ由来組成物の製造方法
US20190275098A1 (en) * 2016-11-16 2019-09-12 Solana Mar Skin Science, Llc Novel formulations and uses therefor
TWI670059B (zh) 2017-11-22 2019-09-01 大江生醫股份有限公司 沒食子兒茶素之應用
US11273123B2 (en) 2018-07-18 2022-03-15 USpharma Ltd Chewable pharmaceutical dosage forms
CN110547108B (zh) * 2019-09-29 2021-12-03 贵州黔西南喀斯特区域发展研究院 一种减少油茶嫁接砧木萌发量的方法
CN111394496A (zh) * 2020-03-26 2020-07-10 中国农业科学院油料作物研究所 一种提高油菜低氮胁迫耐受性和氮吸收累积的方法
CA3138558C (en) 2020-11-16 2024-01-30 Church & Dwight Co., Inc. Teeth cleaning composition comprising banana extrac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4301A (en) 1973-06-25 1976-08-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Dehydrated banana product
US4267196A (en) * 1977-09-02 1981-05-12 Johnston Ian F Food from non-edible fruit by-products and method for production
US4273792A (en) 1978-11-08 1981-06-16 Gerber Products Company Banana processing
US4921709A (en) 1987-12-04 1990-05-01 Chiquita Brands, Inc. Banana peel processing
US4874617A (en) * 1987-12-04 1989-10-17 United Brands Company Banana processing
USRE34237E (en) 1987-12-04 1993-04-27 Chiquita Brands, Inc. Banana processing
JPH0356424A (ja) * 1989-07-21 1991-03-12 Otsuka Shokuhin Kk カリウム補給用剤、その製法及びこれを含む飲食・医薬品
FR2695317B1 (fr) 1992-09-07 1995-03-10 Monal Lab Composition apte à stimuler la sécrétion d'insuline destinée au traitement du diabète non insulino-dépendant.
US5989559A (en) * 1998-01-29 1999-11-23 Delft Pharma International Banana peel extract composition and method for extraction
AUPP291598A0 (en) 1998-04-14 1998-05-07 Allrad 3 Pty Ltd Food supplement
AUPQ387599A0 (en) 1999-11-05 1999-12-02 Metabolic Pharmaceuticals Limited Product and method for control of obesity
GB0302872D0 (en) * 2003-02-10 2003-03-12 Univ Liverpool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JP3641479B1 (ja) * 2004-04-21 2005-04-20 株式会社ユース・テクノコーポレーション バナバ淡白色エキスの製造方法
CA2567637A1 (en) * 2004-05-31 2005-12-08 Munisekhar Medasani Using organic and/or inorganic potassium and its salts to treat autoimmune and other health disorders and methods of administering the same
IL181431A0 (en) * 2007-02-19 2007-07-04 Micha Shemer Fruit juice and puree with a lowered amount of available sugars
CN101228942B (zh) * 2008-02-21 2011-02-16 海南耶肽生物工程有限公司 香蕉提取物的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950B1 (ko) * 2013-05-07 2013-10-23 (주)에이씨티 바나나 잎,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85455A (ko) * 2017-02-10 2019-07-18 티씨아이 코 엘티디 Tph1 유전자, ddc 유전자 및/또는 aanat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기 위한 바나나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US10835567B2 (en) 2017-02-10 2020-11-17 Tci Co., Ltd. Method for regulating expressions of TPH1 gene, DDC gene, and/or AANAT gene by using banana peel extract
KR20210106604A (ko) * 2020-02-20 2021-08-3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바나나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우울 및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64363A1 (en) 2012-06-20
WO2011018700A1 (en) 2011-02-17
CN102481329A (zh) 2012-05-30
EA028836B1 (ru) 2018-01-31
AU2010283544B2 (en) 2016-05-26
AU2010283544A1 (en) 2012-03-29
EP2464363A4 (en) 2013-08-07
CA2769758A1 (en) 2011-02-17
US8496977B2 (en) 2013-07-30
US20120219510A1 (en) 2012-08-30
EA201270274A1 (ru) 2012-09-28
JP2013501772A (ja)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95352A (ko) 전체 바나나 열매 (musa spp.)로부터의 천연 추출물
US20120087997A1 (en) Edible products with thermostatic and cognitive effects
WO200907960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blingual guarana administration
JP2013535500A (ja) 活性型フラボノイド化合物の含量が増加されたウルシ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30248796A1 (en) Composition for stress relief containing fermented ripened noni and calamansi extract as active ingredients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TWI225789B (en) Compositions inhibiting muscle atrophy
KR20110105627A (ko) 누에 체액을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045279B1 (ko) 비만억제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의 조성물
KR101045025B1 (ko) 천식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CN109090585A (zh) 一种解酒、护胃、护肝、护脑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20504144A (ja) 胃炎または消化性潰瘍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2395338B1 (ko)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CN112106880A (zh) 一种解酒压片糖果及其制备方法
JP2001046019A (ja) 柑橘系由来の栄養組成物
KR102345335B1 (ko) 다닥냉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스트레스 완화 및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항스트레스용 조성물
CN114631632B (zh) 一种护肝解酒的刺梨组合物及其制剂与应用
US20220160810A1 (en) Methods for continuous extraction and purification of a unique flavan-3-ol extract from immature whole grape clusters and compositions thereof
KR20220097225A (ko) 발효숙성노니 및 깔라만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용 조성물
KR20230059238A (ko) 홍잠이 강화된 숙취 예방 및 해소용 기능성식품 조성물
KR20220165292A (ko) 감각 활성화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각 활성화제
JP2020189822A (ja) シワ予防・改善用の医薬品、医薬部外品、化粧料又は飲食品組成物
WO2019121583A1 (en) Cocoa extract and uses
EP2052728A1 (en) Hypoglycemic composition containing component originating in the bark of tree belonging to the genus acacia
KR20130137920A (ko) 식욕 억제 및 비만 예방용 슬림엑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