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338B1 -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 Google Patents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338B1
KR102395338B1 KR1020167036164A KR20167036164A KR102395338B1 KR 102395338 B1 KR102395338 B1 KR 102395338B1 KR 1020167036164 A KR1020167036164 A KR 1020167036164A KR 20167036164 A KR20167036164 A KR 20167036164A KR 102395338 B1 KR102395338 B1 KR 102395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vine
oral composition
leaf extract
vine leaf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6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5873A (ko
Inventor
겐타로 마쓰우라
이치로 가와세
아쓰시 사와무라
Original Assignee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5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61P21/02Muscle relaxants, e.g. for tetanus or cr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6Psychostimulants, e.g. nicot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iabetes (AREA)
  • Neurosurgery (AREA)
  • Obesit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위 민감증과 같은 전신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경구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위 민감증, 전신 피로, 전신 권태, 견갑 강직, 및 경부 강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상기 경구 조성물은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한다.

Description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OR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YSTEMIC SYMPTOMS INCLUDING SENSITIVITY TO COLD}
본 발명은 추위 민감증과 같은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추위 민감증은 수족이 차가운 증상 뿐만 아니라 두통 및 견갑 강직과 같은 전신 증상을 동반한다. 이러한 추위 민감증에 대처하거나 치료하기 위해 입욕, 식이요법, 운동, 및 수면이 제안되기는 하지만, 현재까지 불충분한 효과만이 달성되었다. 또한, 수면 및 식이요법 이외의 비타민 화합물, 천연물 의약품(herbal medicine) 등이 전신 피로 및 전신 권태와 같은 전신 증상에 사용된다. 그러나, 충분한 효과가 달성된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또한, 입욕, 식이요법, 안마, 항염증제, 비타민 화합물, 및 천연물 의약품이 견갑 강직 또는 경부 강직에 사용된다. 그러나, 항염증제는 위 손상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며 다른 대책은 충분한 효과를 달성하지 못한다.
한편, 레드 바인(red vine) 잎 추출물은 발부종 및 발부종과 관련된 증상, 예를 들면, 권태감, 나태감, 피로감, 긴장감, 열감, 및 가려운 느낌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의약품으로서 시판중이다(상표명: 안티스탁스(Antistax),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SSP Co., Ltd.)에 의해 제조됨). 그러나, 이러한 의약품은 이의 지시사항 및 용법에 의해 발부종의 증상 및 발의 증상에 한정되며, 전신 증상에서의 이의 효과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선행기술문헌
[비특허 문헌 1] 안티스탁스(Antistax)의 팜플렛 (에스에스 세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본 발명의 과제는, 추위 민감증, 전신 피로, 전신 권태, 및 견갑 강직 또는 경부 강직과 같은 전신 증상을 안전하고 유효하게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을, 발(예를 들면, 종아리 및 발목)부종 및 권태감, 나태감, 긴장감, 및 발부종과 관련된 통증을 동반한 경증의 비정상 정맥 환류(venous return)가 있는 환자에게 경구 투여하여, 발부종 뿐만 아니라 추위 민감증, 전신 피로, 전신 권태, 및 견갑 강직, 및 경부 강직이 개선될 수 있음을 이례적으로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이하에 <1> 내지 <8>이 제공된다.
<1> 추위 민감증, 전신 피로, 전신 권태, 및 견갑 강직 또는 경부 강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유효 성분로서의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 조성물. <2> <1>에 있어서, 상기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이, 0.2질량% 이상의 안토시안 및 4질량% 이상의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을 함유하는 레드 바인 잎을 물로 추출함으로써 수득되는 추출물인, 경구 조성물.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이 2 내지 25질량%의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를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4>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관점에서 1일 80 내지 1000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경구 조성물. <5> <1> 내지 <4>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일 1회 투여되는, 경구 조성물. <6> <1> 내지 <5>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레드 바인 나무의 잎 추출물이 레드 바인 잎 추출물(고형분 함량):이산화규소:(건조된 글루코스로서의) 글루코스 시럽 = 80:3:17(질량비)을 함유하는 혼합물인, 경구 조성물. <7>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경구 조성물. <8> <1> 내지 <6>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건강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경구 조성물.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예를 들면 1일 1회 경구 투여하면, 추위 민감증, 전신 피로, 전신 권태, 및 견갑 강직 및 경부 강직과 같은 전신 증상의 자각 증상의 개선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추위 민감증의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전신 피로의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전신 권태의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견갑 강직 또는 경부 강직의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신 증상의 개선을 위한 경구 조성물의 유효 성분은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이다. 추출 원재료로서 사용되는 레드 바인 잎은 "다이어(dyer)"로도 불리며, 이는 검푸른 과피(pericarp) 및 적색 과육(fresh pulp)를 갖는 그레이프(grape)(비티스 비니페라 린네(vitis vinifera LINNE))의 잎이다. 그레이프의 종류와는 상관없이 임의의 레드 바인 잎이 사용될 수 있다.
레드 바인 잎 중의 다양한 폴리페놀 화합물의 농도 및 이의 구조는 식물이 성장하는 장소에서 다양한 환경적 생리적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발명에서, 0.2질량% 이상의 안토시안 및 4질량% 이상의 총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레드 바인 잎을 출발 재료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안토시안은 안토시아니딘 및 이의 글리코시드, 즉, 안토시아닌을 포함한다. 또한, 총 폴리페놀은 다양한 타입의 폴리페놀의 일반명이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레드 바인 잎은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최적 수준에 도달하는 때에 수집된 레드 바인 잎, 즉, 일반적으로 바인 과실 수확철에 가까운 시점에 수집된 레드 바인 잎이다. 또한, 15cm 이하의 길이 및 12cm 이하의 폭을 갖는 레드 바인 잎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드 바인 잎은 사용시 바람직하게는 건조 및 분쇄된다. 추출에 사용되는 상기 잎은 바람직하게는 10mm 길이의 조각들로 절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레드 바인 잎으로부터의 수성 추출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레드 바인 잎으로부터 물로 추출한 추출물이다.
추출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범위의 온도에서 적어도 6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정제수를 사용하여 수행되어 높은 플라보노이드 수율을 달성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철저한 삼출(percolation)이다. 이 경우, 추출 과정에서 수득된 소위 액체 추출물은 액체 투여형의 제조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로서 더 농축된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적절한 증발기를 사용하여 용매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축 추출물은 가열 및 압력 조건하에,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50℃에서 1 내지 30초 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45℃에서 2 내지 5초 동안 유지시켜 살균 처리를 수행한다. 당해 공정에서 수득된 농축 추출물은 액체 투여형의 제조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농축 추출물은 예를 들면 진공 건조 오븐 또는 진공 건조 컨베이어를 사용하여 건조되어 고체 투여형이 제조된다. 건조 공정에서 상기 추출물에 부형제가 첨가되어 후속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형제의 예는 이산화규소, 말토덱스트린, 글루코스 시럽, 셀룰로스 등으로부터 선택된 1개 또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타입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규소 및 글루코스 시럽으로부터 선택된 1개 또는 2개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되는 부형제의 양으로서는, 특별한 제한사항이 부여된 것은 아니지만, 레드 바인 잎 추출물 혼합물(이하 당해 혼합물은 레드 바인 잎 추출물 혼합물로서 지칭된다) 중에 80질량%의 (고형분 함량 관점에서의) 레드 바인 추출물을 기준으로 하여 3질량%의 이산화규소 및 17질량%의 (건조 산물로서의) 글루코스 시럽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은, (퀘르세틴-3-0-β-D-글루쿠로니드로서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의 순수 추출물(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12.5질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75 내지 8.25질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추출물이다.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레드 바인 잎 추출물 혼합물(80질량%의 (고형분 함량으로서의) 레드 바인 추출물, 3질량%의 이산화규소, 및 17질량%의 글루코스 시럽(건조 산물)을 함유하는 고체 물질) 중에서, 당해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에 관해서는, 1.6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6.6질량%의 총 플라보노이드(퀘르세틴-3-0-β-D-글루쿠로니드)를 함유하는 레드 바인 추출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전신 증상의 개선을 위해 상기 경구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의 투여량은 레드 바인 추출물(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하여 성인 1일당 일반적으로 64 내지 800mg, 바람직하게는 240 내지 640mg, 더욱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600m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60mg 범위이다.
레드 바인 잎 추출물 혼합물의 투여량은 레드 바인 추출물 혼합물을 기준으로 하여 성인 1일당 일반적으로 80 내지 1000mg,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mg,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750mg,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450mg 범위이다.
본 발명의 전신 증상의 개선을 위한 상기 경구 조성물은 경구로 취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1일 1회 취한다. 상기 조성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오전에, 특히 조식 전에 1일 1회 취한다. 활성 성분의 양의 조절은 연령, 체중, 및 명백한 증상을 반영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레드 바인 잎 추출물 이외의 다른 활성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전신 증상의 개선을 위한 상기 경구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다양한 타입의 제재, 예를 들면, 정제, 과립제, 미립제, 산제, 캡슐제, 캐플릿제, 연질 캡슐제, 환제, 내복 액제(internal liquid), 드링크제, 젤리제, 시럽제, 드라이 시럽제, 저작성 제제, 트로키제, 발포정, 점적제, 현탁제, 및 경구 붕해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투여형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성분들 이외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부형제가 이들 제재에 요구되는 바와 같이 첨가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조성물은 마이크로캡슐, 나노캡슐, 마이크로구형(microsphere), 나노구형(nanosphere), 리보솜 등과 같은 미세입자(microparticle)로 만들어진 후에 상기 언급된 제재로 제조될 수 있다.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은 개별적인 과립제, 다중층 과립제, 다중층 정제, 또는 무수 코팅 정제, 상이한 과립제들의 정제, 마이크로캡슐제 등과 같은 투여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저작정, 경구 붕해정, 매트릭스 정제, 매트릭스 과립제, 발포정, 공분쇄 제제, 및 고용체 형태와 같은 투여형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은 당의정, 필름코팅정, 또는 코팅 과립제와 같은 코팅 제재를 포함하는 투여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조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경구 조성물의 특징은 안정성, 방출성, 지속성, 붕해능성, 용해성, 맛 차폐능, 및 투여량의 개선에 의해 특징지워지며, 이들 특징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경구 투여형은 일반적인 의약 첨가물 및 식품 첨가물,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윤활제, 코팅제, 당의제, 가소제, 소포제, 광택제, 발포제, 대전방지제, 건조제, 계면활성제, 가용화제, 완충제, 용해제, 용해 조제, 용매, 희석제, 안정제, 유화제, 현탁제, 현탁화제, 분산제, 등장화제, 흡착제, 환원제, 산화방지제, 습윤제, 습윤조건제, 충전제, 증량제, 접착제, 증점제, 유연제, pH 조정제, 방부제, 보존제, 감미제, 교정제, 냉각제, 조미제, 항료, 방향제, 및 착색제를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유효 성분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예는 문헌[Japanese Pharmaceutical Excipients Directory 2007 (Edited by International Pharmaceutical Excipients Council Japan, YAKUJI NIPPO LIMITED) and JAPANS SPECIFICATIONS AND STANDARDS FOR FOOD ADDITIVES Eighth edition (Japan Food Additives Association)]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조성물은 기타 성분들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들 기타 성분들은, 음료 및 식료품 및 의약품과 같은 최종 투여형으로 제조되며 경구 투여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경구 투여되면, 본 발명의 전신 증상의 개선을 위한 상기 경구 조성물은 추위 민감증, 전신 피로, 전신 권태, 및 견갑 강직 및 경부 강직과 같은 전신 자각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의약품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시키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캡슐 제제의 제조:
다음의 성분들을 일반적인 방법으로 충전용 분말로 제조하여 캡슐제 내에 247mg의 양으로 충전하였다.
[표 1]
레드 바인 잎 추출물 혼합물 4500g
옥수수 전분 168g
활석 168g
경질 무수 규산 52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52g
(레드 바인 잎 추출물 혼합물 ~ 건조 레드 바인 잎으로부터의 수성 추출물(고형분 함량):이산화규소:(건조 글루코스로서의) 글루코스 시럽 = 80:3:17 (질량비))
시험 실시예 1 (개체)
20 내지 50세이고 발부종과 연관된 각각의 증상 이외에 추위 민감증(차가운 손발), 전신 피로, 전신 권태, 견갑 강직, 및 경부 강직을 포함하는 증상을 갖는 성인 남성 10명 및 성인 여성 40명으로 이루어진 총 50명의 개체.
(방법)
실시예 1의 캡슐 제제를 사용하여, 2개의 캡슐제를 각각의 개체에게 12주 동안 오전에 1일 1회 투여하였다. 37개 예의 추위 민감증, 44개 예의 전신 피로, 39개 예의 전신 권태, 46개 예의 견갑 강직 또는 경부 강직에서의 각각의 증상의 개선 효과가 설문지의 결과에 의해 판정하였다. 상기 설문은 다음의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자의 배경을 조사하고 의약품 섭취 전 대상자의 병태를 설문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투여를 시작한지 1주, 2주, 3주, 4주, 6주, 9주, 및 12주가 지난 후 각각의 대상자의 병태, 즉, 상이한 총 8개의 병태를, 설문 방법을 사용하여 판정하여, 투여의 시작에 의해 시험 의약품이 투여된 이후 각각의 증상에 대한 시험 의약품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설문지 상에서의 설문 방법에서, 예를 들면, "발부종 증상이 있는가?", "전신 피로 증상이 있는가?" 및 "추위 민감증 증상이 있는가?"의 각각을 질문을 주고 받아 4개 등급 시스템에 따라 평가하였다: 1: "자주 발생함", 2: "적게 발생함", 3: "가끔 발생함", 및 4: "발생하지 않음". 각각의 등급의 정의는 질문의 항목에 따라 다음과 같이 임의로 변형되었다: 예를 들면 "자주 발생함"은 "추위에 매우 민감함" 및 "매우 강직성임"으로 변형되었다. 또한, 기타 증상에 사용하기 위해 의약품을 평가하기 위해, 의약품 투여 후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게다가, 예를 들면, 시험 의약품이 투여되는 동안 발생하는 질환 및 손상, 몇몇 치료를 수행하였는지의 여부, 몇몇 약물을 투여하였는지의 여부, 시험 의약품의 투여를 잊었는지의 여부, 및 시험 의약품을 과도하게 투여하였지의 여부를, 환자 일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결과를 도 1 내지 4에 나타낸다. 도 1 내지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추위 민감증, 전신 피로, 전신 권태, 견갑 강직, 및 경부 강직의 모든 증상에 상당한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Claims (8)

  1. 추위 민감증, 견갑 강직 또는 경부 강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전신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의 레드 바인(red vine) 잎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이, 0.2질량% 이상의 안토시안 및 4질량% 이상의 총 폴리페놀(total polyphenol)을 함유하는 레드 바인 잎을 물로 추출함으로써 수득되는 추출물인, 경구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이 2 내지 25질량%의 총 플라보노이드(total flavonoid)를 함유하는, 경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관점에서 1일 80 내지 1000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되는, 경구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1일 1회 투여되는, 경구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드 바인 잎 추출물이 레드 바인 잎 추출물(고형분 함량):이산화규소:(건조된 글루코스로서의) 글루코스 시럽 = 80:3:17(질량비)을 함유하는 혼합물인, 경구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경구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건강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경구 조성물.
KR1020167036164A 2014-05-27 2015-05-22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KR1023953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08649A JP2015224205A (ja) 2014-05-27 2014-05-27 冷え症等の全身症状改善用経口組成物
JPJP-P-2014-108649 2014-05-27
PCT/EP2015/061453 WO2015181096A1 (en) 2014-05-27 2015-05-22 Oral composition for improving systemic symptoms including sensitivity to co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873A KR20170005873A (ko) 2017-01-16
KR102395338B1 true KR102395338B1 (ko) 2022-05-10

Family

ID=5326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6164A KR102395338B1 (ko) 2014-05-27 2015-05-22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95392B2 (ko)
EP (1) EP3148561A1 (ko)
JP (2) JP2015224205A (ko)
KR (1) KR102395338B1 (ko)
CN (1) CN106470694A (ko)
AU (1) AU2015266075B2 (ko)
CA (1) CA2949421A1 (ko)
EA (1) EA034370B1 (ko)
MX (1) MX2016015423A (ko)
PH (1) PH12016502270A1 (ko)
WO (1) WO20151810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960B1 (ko) * 2016-12-30 2018-12-06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수족냉증 예방, 치료 및 완화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2085A (ja) 2003-08-05 2005-03-03 Orbis Inc 食品組成物
JP2006516542A (ja) 2002-12-31 2006-07-06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血液循環の改善方法
JP2007145809A (ja) * 2005-10-26 2007-06-14 Kao Corp 持久力向上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600B2 (ja) * 2001-08-31 2006-12-27 由紀夫 長谷部 卵殻膜含有錠剤
MXPA05007053A (es) 2002-12-31 2005-09-12 Boehringer Ingelheim Int Comprimido recubierto con una pelicula.
US20040151769A1 (en) 2002-12-31 2004-08-0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Film coated tablet containing an extract of red vine leaves
US20040151794A1 (en) * 2002-12-31 2004-08-05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Method of improvement of blood circulation
US20050038125A1 (en) 2003-08-15 2005-02-17 Smit Hobbe Friso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rthritis and pain
EP1550452A1 (en) * 2003-12-29 2005-07-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 antthrombotic age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ies
EP1550450A1 (en) 2003-12-29 2005-07-06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extract of red vine leaves and a blood circulating-improving agent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venous insufficiencies
CN101296693B (zh) * 2005-10-26 2012-07-04 花王株式会社 持久力提高剂
JP4838772B2 (ja) 2007-07-18 2011-12-14 敏 新川 肩こり・五十肩・各種関節痛等の改善を目的とした塗布剤
JP2012240956A (ja) 2011-05-19 2012-12-10 Kakei Gakuen レスベラトロールを含む剤、及び組成物
JP5848042B2 (ja) * 2011-06-29 2016-01-27 株式会社ロッテ 眼疲労抑制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飲食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6542A (ja) 2002-12-31 2006-07-06 ベーリンガー インゲルハイム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血液循環の改善方法
JP2005052085A (ja) 2003-08-05 2005-03-03 Orbis Inc 食品組成物
JP2007145809A (ja) * 2005-10-26 2007-06-14 Kao Corp 持久力向上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95392B2 (en) 2020-06-30
JP2017529314A (ja) 2017-10-05
AU2015266075A1 (en) 2016-12-08
CN106470694A (zh) 2017-03-01
EA201692438A1 (ru) 2017-10-31
KR20170005873A (ko) 2017-01-16
AU2015266075B2 (en) 2020-06-18
JP2015224205A (ja) 2015-12-14
EA034370B1 (ru) 2020-01-31
EP3148561A1 (en) 2017-04-05
WO2015181096A1 (en) 2015-12-03
JP6698034B2 (ja) 2020-05-27
MX2016015423A (es) 2017-07-04
US20170202899A1 (en) 2017-07-20
PH12016502270A1 (en) 2017-01-30
CA2949421A1 (en)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4061B2 (en) Body fat-reducing agent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20095352A (ko) 전체 바나나 열매 (musa spp.)로부터의 천연 추출물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150086655A1 (en) Morinda Citrifolia Juice Formulations Comprising Iridoids
JP6762946B2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20060130149A (ko) 적색 포도나무 잎의 수성 추출물 및 혈액 순환 개선제를포함하는, 만성 정맥 부전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KR102395338B1 (ko)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KR101821925B1 (ko)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9652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1844890B1 (ko) 고욤나무 잎 메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38206B1 (ko) 지실 및 육계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21623B1 (ko) 포도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KR101806220B1 (ko) 상추꽃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0526628B1 (ko) 모노아민산화효소 저해활성을 갖는 상심자 추출물을함유한 조성물
JP6321908B2 (ja) むくみ治療用経口組成物
KR20120017502A (ko) 참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TWI701035B (zh) 茯苓萃取物及土莫酸於保護肌肉之用途
KR20050107362A (ko) 유근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 증진용 식품
KR101732968B1 (ko) 삼채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21618B1 (ko) 노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조성물
TR2023006253A2 (tr) Hepati̇t, karaci̇ğer yağlanmasi ve si̇roz tedavi̇si̇ne yöneli̇k bi̇r kombi̇nasyon
CN111557957A (zh) 包含诃子加工物的口服用组合物以及诃子加工物的用途
KR20160016195A (ko) 여주 추출물로부터 분획되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160047732A (ko) 상추꽃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