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2016A - 모발 화장료 - Google Patents

모발 화장료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2016A
KR20120092016A KR1020120007839A KR20120007839A KR20120092016A KR 20120092016 A KR20120092016 A KR 20120092016A KR 1020120007839 A KR1020120007839 A KR 1020120007839A KR 20120007839 A KR20120007839 A KR 20120007839A KR 20120092016 A KR20120092016 A KR 2012009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acid
component
mass
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573B1 (ko
Inventor
하지메 카즈모리
미사코 잇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르본
Publication of KR2012009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모발을 매끄러움과, 촉촉함의 밸런스가 양호한 상태로 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를 제공한다.
(A)바셀린, (B)상온에서 액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C)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D)고급 알코올이 배합되어 있고, (A)성분의 배합량이 0.5질량%이하이며,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B)성분으로서는 지방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모발 화장료{HAIR COSMETIC}
본 발명은 매끄러움과, 촉촉함의 밸런스가 양호한 모발로 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샴푸 후의 모발에 도포하는 트리트먼트제 등의 모발 화장료에서는, 예를 들면 모발의 매끄러움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리콘을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에 대해서는 장기 사용에 의한 영향의 지적도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이러한 모발 화장료 이외에도, 예를 들면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10-2416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2008-525333호
그런데, 모발의 매끄럽게 하는 성분으로서는 유지류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유지류를 많이 배합한 모발 화장료에서는 모발을 무겁고 끈적거리는 상태로 해버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매끄러움과 함께 양호한 촉촉함을 모발에 부여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가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매끄러움과 촉촉함의 밸런스가 양호한 모발로 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여 얻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A)바셀린[이하, 간단히 "(A)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B)상온(常溫)에서 액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이하, 간단히 "(B)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C)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이하, 간단히 "(C)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 및 (D)고급 알코올[이하, 간단히 "(D)성분"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이 배합되어 있고, 상기 (A)성분의 배합량이 0.5질량%이하이며, 수중유적(水中油滴)형 에멀젼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끄러움과 촉촉함의 밸런스가 양호한 모발로 할 수 있는 모발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A)바셀린, (B)상온(25℃, 본 명세서에서의 "상온"에 대하여 이하 동일)에서 액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C)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D)고급 알코올이 배합되어 있다. 특히 (B)성분에 의해 모발을 매끄럽게 하는 작용을 확보하는 한편, (B)성분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모발의 끈적거림을 적당한 양의 (A)성분에 의해 억제하여, 모발에 양호한 촉촉함을 부여하는 작용도 확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실리콘을 배합하지 않아도 매끄러움과 촉촉함을 밸런스 좋게 모발에 부여할 수 있다.
모발 화장료에서의 (A)성분의 배합량(모발 화장료의 전량 100질량% 중의 양. 모발 화장료에서의 각 성분의 배합량에 대하여 이하 동일)은, 모발의 촉촉함을 양호하게 하는 작용을 높이는 관점에서, 0.01질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질량%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모발 화장료 중의 (A)성분의 양이 너무 많으면 모발의 매끄러움을 양호하게 하는 작용이 손상되어 버린다. 따라서, 모발 화장료에서의 (A)성분의 배합량은 0.5질량%이하이며, 0.3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 따른 (B)상온에서 액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지방족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지방산(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B)상온에서 액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구성하는 1가의 알코올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수가 1 이상 24 이하인 알코올이면 되는데, 탄소수가 1 이상 6 이하인 알코올(저급 알코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1 이상 3 이하의 알코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성분 중 지방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트산이소프로필, 스테아린산에틸 등의 직쇄상 포화 지방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 이소스테아린산에틸, 이소스테아린산이소프로필 등의 분기상 포화 지방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 올레인산에틸, 리놀산에틸, 리놀산이소프로필 등의 불포화 지방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B)성분 중 지방산과, 저급 알코올 이외의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헥실,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미리스틴산2-헥실데실,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2-옥틸도데실, 팔미트산2-에틸헥실, 팔미트산2-헥실데실, 팔미트산이소스테아릴, 스테아린산2-에틸헥실, 스테아린산2-헥실데실 등의 직쇄상 포화 지방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헥실, 네오펜탄산2-옥틸도데실, 2-에틸헥산산2-헥실데실, 2-에틸헥산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2-에틸헥실, 이소노난산이소노닐, 디메틸옥탄산2-헥실데실, 디메틸옥탄산2-옥틸도데실, 이소팔미트산2-에틸헥실, 이소스테아린산2-헥실데실, 이소스테아린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린산2-옥틸도데실 등의 분기상 포화 지방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올레인산데실,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2-옥틸도데실, 올레인산올레일, 리시놀산세틸, 리시놀산2-옥틸도데실, 에루카산올레일 등의 불포화 지방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B)성분 중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에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저급 알코올 이외의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B)성분에는 상기 예시의 에스테르 중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처리 후의 모발의 매끄러움과, 촉촉함의 밸런스가 보다 양호해지기 때문에, 지방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처리 후의 모발의 매끄러움과, 촉촉함의 밸런스가 매우 양호해지기 때문에, 지방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병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모발 화장료에서의 (B)성분의 배합량은 모발의 매끄러움을 양호하게 하는 작용을 높이는 관점에서, 0.1질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질량%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모발 화장료 중의 (B)성분의 양이 너무 많으면 모발의 촉촉함을 양호하게 하는 작용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모발 화장료에서의 (B)성분의 배합량은 8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형태를 취하는데, (C)성분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주로 모발 화장료의 에멀젼의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모발에 흡착하여 모발을 유연하게 하는 작용도 가지고 있다.
(C)성분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지방산아미드아민염,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 벤잘코늄형 4급 암모늄, 에틸황산라놀린지방산아미노프로필에틸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아미드아민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린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모노알킬형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라우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디알킬형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디코코일디메틸암모늄, 염화디세틸디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벤잘코늄형 4급 암모늄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벤잘코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이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모발 화장료에서의 (C)성분의 배합량은 모발 화장료의 에멀젼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고, 또한 모발에 흡착하여 모발의 유연성을 양호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관점에서, 0.1질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모발 화장료 중의 (C)성분의 양을 너무 많게 해도, 그만큼의 효과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모발 화장료에서의 (C)성분의 배합량은 10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D)고급 알코올을 배합한다. 고급 알코올은 수중유적형 에멀젼의 형태를 취하는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 있어서, 유성 성분의 1종으로서 사용되는 것 외에, 모발 화장료의 점도를 높이거나, 모발 화장료의 모발에의 도포성이나 도포 후의 모발의 감촉을 높이는 작용도 가지고 있다.
(D)성분인 고급 알코올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등의 직쇄상의 포화 알코올; 이소스테아릴알코올, 옥틸도데칸올 등의 분기상의 포화 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의 불포화 알코올; 등의 탄소수가 12~22인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에는 이들 고급 알코올 중 1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모발 화장료에서의 (D)성분의 배합량은 상기의 작용을 양호하게 발휘시키는 관점에서, 1질량%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질량%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모발 화장료 중의 (D)성분의 양이 너무 많으면 모발과 어우러지기 어려워지거나, 마무리시의 모발에 뻣뻣함을 느끼게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모발 화장료에서의 (D)성분의 배합량은 15질량%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수중유적(O/W)형 에멀젼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물을 주된 매체로 한다. 또한 매체에는 물만을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저급 알코올(탄소수가 6 이하인 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를 매체 전량 중 20질량%이하 정도의 양으로 물과 병용해도 된다. 또한 모발 화장료에서의 매체의 배합량은 예를 들면 40~9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모발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는 각종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동식물 유지, 왁스, 탄화수소[(A)성분 이외의 것], 지방산, 에테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킬레이트제, 향료 등을 들 수 있고, 이러한 성분 중에서 바람직한 것을 적당히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동식물 유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보카도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참기름, 쌀겨유, 홍화유, 대두유, 옥수수유, 채종유, 로즈힙유, 마카다미아넛츠유, 면실유, 달맞이꽃유, 메도우폼오일(meadowfoam oil), 해바라기유, 포도 종자유, 팜유, 피마자유, 포도씨유, 야자유, 경화유, 시어버터 등의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왁스로서는, 예를 들면 호호바유, 카르나우바 왁스, 캔데릴라 왁스(Candelilla Wax), 쌀겨 왁스, 라놀린, 밀랍, 오렌지 러피 오일(Orange Roughy Oil) 등을 들 수 있다.
(A)성분 이외의 탄화수소로서는, 예를 들면 α-올레핀 올리고머, 세레신(Ceresin), 경질 유동 이소파라핀, 스쿠알렌, 파라핀, 유동 파라핀, 마이크로 크리스탈린 왁스 등을 들 수 있다.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라우린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베헤닌산, 올레인산, 이소스테아린산, 12-히드록시스테아린산 등을 들 수 있다. 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글리세린모노세틸에테르, 모노올레일글리세릴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 폴리옥시에틸렌라놀린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밀랍, 폴리옥시에틸렌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스테롤, 폴리에틸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레시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의 에틸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는 2~5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베헤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서의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운데실렌산, 라우린산, 팔미트산, 미리스틴산, 스테아린산, 이소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베헨산, 리놀산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면 천연 고분자, 천연 고분자 유도체, 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카라기난, 한천, 크산탄검, 젤라틴, 펙틴,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로커스트빈검, 구아검, 아라비아검, 트라가칸트검(Tragacanth Gum), 히알루론산 또는 그 염, 키토산 등의 천연 고분자;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양이온화 셀룰로오스, 전분인산에스테르, 양성 전분, 양이온화 구아검, 카르복시메틸?히드록시프로필화구아검, 히드록시프로필화구아검 등의 천연 고분자 유도체;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아크릴산?메타크릴산알킬 공중합체 등의 합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티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소르비톨, 트레할로스,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서는, 예를 들면 페녹시에탄올, 메틸클로로이소티아졸리논?메틸이소티아졸리논액, 2-메틸-4-이소티아졸린-3-원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예를 들면 dl-α-토코페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무수아황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킬레이트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4아세트산 또는 그 염, 디에틸렌트리아민5아세트산 또는 그 염, 히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3아세트산 또는 그 염, 히드록시에탄디포스폰산 또는 그 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그 제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크림상, 유액상, 로션상, 폼상(거품상) 등의 각종 제형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예를 들면 헤어 트리트먼트(헤어 컨디셔너, 헤어 린스를 포함), 스타일링제, 모발 변형제(퍼머넌트 웨이브제와 축모 교정제를 포함), 모발 변형 처리의 전처리제, 모발 변형 처리의 중간 처리제, 모발 변형 처리의 후처리제, 염모제, 염모 처리의 전처리제, 염모 처리의 중간 처리제, 염모 처리의 후처리제 등의 형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모발에 도포 후에 씻어내어 사용하는 용도, 씻어내지 않고 사용하는 용도의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씻어내어 사용하는 용도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는, 예를 들면 적량을 손에 덜어 젖은 상태의 모발 또는 건조한 상태의 모발에 적량 도포하는 방법에 의해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표 1~표 3에서는 헤어 트리트먼트 전체로 100%가 되도록 각 성분의 배합량을 %로 나타내는데, 그 %는 모두 질량%이며, 또한 표 1~표 3 중에서는 그 %의 표시를 생략하고, 배합량을 나타내는 수치만으로 표시한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의 헤어 트리트먼트를 표 1~표 3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조제하였다. 또한 조제 후의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의 헤어 트리트먼트는 모두 수중유적 에멀젼의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또한 표 1~표 3에 있어서, 물의 란의 "계 100으로 한다"란, 헤어 트리트먼트를 구성하는 물 이외의 각 성분의 합계량에 물의 양을 첨가하여 100%가 되도록 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실시예 1~9 및 비교예 1~4의 헤어 트리트먼트를 사용하여 모속(毛束)을 처리하고, 그 후의 모속에 따른 모발의 촉촉함과, 매끄러움을 평가하였다.
동일인에게서 채취한 모발을 10g씩 모아 복수의 모속으로 하고, 이들 모속의 각각을 시판의 샴푸를 사용하여 세정하였다. 세정 후의 각 모속의 각각에, 실시예 1~9 또는 비교예 1~4의 헤어 트리트먼트의 어느 하나를 1g 도포하고, 잘 어우러지도록 한 후에 수세하여 바람에 건조시켰다.
바람에 건조한 후의 각 모속에 따른 모발의 촉촉함 및 매끄러움을 전문의 평가자 5명의 각각이 평가하고, 처리 전의 각 모속에 따른 모발과 비교하여 하기 기준에 따라 채점을 행하였다.
좋다 ……2점
보통(처리 전과 동등) ……1점
나쁨 ……0점
그리고, 모속마다 전 평가자의 점수를 합계하여,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헤어 트리트먼트에 의한 모발의 촉촉함을 양호하게 하는 작용과, 모발의 매끄러움을 양호하게 하는 작용의 평가로 하였다. 이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4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성분, (B)성분, (C)성분 및 (D)성분을 배합하고, (A)성분의 배합량을 적정하게 한 실시예 1~9의 헤어 트리트먼트로 처리한 모발은 촉촉함 및 매끄러움의 모두가 양호하고, 이들 밸런스가 뛰어나다. 특히, (B)성분에 지방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1가의 저급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병용한 실시예 9의 헤어 트리트먼트로 처리한 모발은 촉촉함과 매끄러움의 밸런스가 매우 양호하다.
이에 대하여, (A)성분의 배합량이 지나치게 많은 비교예 1의 헤어 트리트먼트로 처리한 모발, 및 (B)성분을 배합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3의 헤어 트리트먼트로 처리한 모발은 매끄러움이 떨어지고 있다. 또한 (A)성분을 대신하여 유동 파라핀을 사용한 비교예 2의 헤어 트리트먼트로 처리한 모발, 및 (A)성분을 배합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4의 헤어 트리트먼로 처리한 모발은 촉촉함이 떨어지고 있다.

Claims (5)

  1. (A)바셀린,
    (B)상온(常溫)에서 액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C)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D)고급 알코올
    이 배합되어 있고, 상기 (A)성분의 배합량이 0.5질량%이하이며, 수중유적(水中油滴)형 에멀젼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2. 제1항에 있어서,
    (B)상온에서 액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지방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 및/또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3. 제1항에 있어서,
    (B)상온에서 액상인, 지방족 카르복실산과 1가의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배합량이 0.1~8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이 0.1~1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D)고급 알코올의 배합량이 1~1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화장료.
KR1020120007839A 2011-02-10 2012-01-26 모발 화장료 KR101579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26675 2011-02-10
JP2011026675A JP5748264B2 (ja) 2011-02-10 2011-02-10 毛髪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016A true KR20120092016A (ko) 2012-08-20
KR101579573B1 KR101579573B1 (ko) 2015-12-22

Family

ID=4688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839A KR101579573B1 (ko) 2011-02-10 2012-01-26 모발 화장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748264B2 (ko)
KR (1) KR101579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66264B2 (ja) * 2018-02-19 2024-04-12 株式会社ミルボン ヘアトリートメント用組成物及び毛髪処理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303A (ja) * 2004-04-28 2005-11-10 Kao Corp 毛髪化粧料
JP2008525333A (ja) 2004-12-23 2008-07-17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毛髪トリートメント用油中水型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
JP2010024169A (ja) 2008-07-17 2010-02-04 Kracie Home Products Ltd ヘアリンス組成物
JP2010180172A (ja) * 2009-02-06 2010-08-19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11098928A (ja) * 2009-11-06 2011-05-19 Kao Corp 毛髪化粧料
JP2011098927A (ja) * 2009-11-06 2011-05-19 Kao Corp 毛髪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1621A (ja) * 1993-01-19 1994-08-02 Lion Corp 化粧料
JP4726963B2 (ja) * 2009-01-14 2011-07-20 株式会社 資生堂 毛髪化粧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303A (ja) * 2004-04-28 2005-11-10 Kao Corp 毛髪化粧料
JP2008525333A (ja) 2004-12-23 2008-07-17 ユニリーバー・ナームローゼ・ベンノートシヤープ 毛髪トリートメント用油中水型マイクロエマルジョン
JP2010024169A (ja) 2008-07-17 2010-02-04 Kracie Home Products Ltd ヘアリンス組成物
JP2010180172A (ja) * 2009-02-06 2010-08-19 Shiseido Co Ltd 毛髪化粧料
JP2011098928A (ja) * 2009-11-06 2011-05-19 Kao Corp 毛髪化粧料
JP2011098927A (ja) * 2009-11-06 2011-05-19 Kao Corp 毛髪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167025A (ja) 2012-09-06
JP5748264B2 (ja) 2015-07-15
KR101579573B1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6542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hair fiber properties
CN106999396A (zh) 用于增强毛发纤维特性的组合物
US8293220B2 (en) Hair cosmetic
JP2008127337A (ja) 毛髪化粧料
JP2008169182A (ja) 毛髪化粧料組成物
JP5837330B2 (ja) 粘性組成物
PH12018000302A1 (en) Conditioning agent and conditioning composition
KR101776348B1 (ko) 샴푸 조성물
JP2012149003A (ja) 乳化型整髪料
JP5594868B2 (ja) 整髪剤組成物
JP5700926B2 (ja) 整髪剤組成物
JP5751664B2 (ja) シャンプー
JP5748264B2 (ja) 毛髪化粧料
JP5510997B2 (ja) 整髪剤組成物
JP5709475B2 (ja) 乳化型毛髪用化粧料
KR102485259B1 (ko) 모발 상태 개선용 액상 지질 복합 조성물
JP5754840B2 (ja) 多剤式毛髪化粧料および毛髪の処理方法
JPH0798736B2 (ja) 毛髪化粧料
JP6279218B2 (ja) 整髪剤
JP5069447B2 (ja) 毛髪処理剤
JP5789367B2 (ja) 毛髪処理剤
JP5871539B2 (ja) 化粧料用組成物
JP5146227B2 (ja) 毛髪用トリートメント組成物
JP2008273905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