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9754A -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9754A
KR20120089754A KR1020127015958A KR20127015958A KR20120089754A KR 20120089754 A KR20120089754 A KR 20120089754A KR 1020127015958 A KR1020127015958 A KR 1020127015958A KR 20127015958 A KR20127015958 A KR 20127015958A KR 20120089754 A KR20120089754 A KR 20120089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s
liposome
cholesterol
irinotecan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5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 통
구오펭 레이
쳉시아 유
리앙 첸
Original Assignee
샹하이 헨그루이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지앙수 헨그루이 메디슨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샹하이 헨그루이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지앙수 헨그루이 메디슨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샹하이 헨그루이 파마수티컬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20089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97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745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 system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henantr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2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4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xygen, halogen, nitrogen or sulfur, e.g. cyclomethicone or phospholip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1Non-conventional liposomes, e.g. PEGylated liposomes, liposomes coated wit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61K9/1277Processes for preparing; Proliposomes
    • A61K9/1278Post-loading, e.g. by ion or pH gra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anufacturing Of Micro-Capsules (AREA)

Abstract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리포좀은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며, 이때 콜레스테롤 대 중성 인지질의 중량비는 1:3 내지 5이다. 상기 리포좀은 이온 구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Description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LIPOSOME OF IRINOTECAN OR ITS HYDROCHLORI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주사제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리노테칸은 캄토테신의 반합성 유도체이다. 캄토테신은, 가역적 DNA 단일-가닥 절단을 유도한 후 DNA 이중-가닥 구조를 풀 수 있는 토포이소머라제 I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리노테칸 및 그의 활성 대사물인 SN-38은 토포이소머라제 I-DNA 복합체에 결합하여, 단일-가닥 파손의 재-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리노테칸의 세포독성은 DNA 합성시 DNA 이중-가닥을 절단하는, 레플리카제 및 토포이소머라제 I-DNA-이리노테칸(또는 SN-38) 삼중 복합체의 상호작용에 기인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명백한 약리학적 효과 및 임상 효능의 이점하에 악성 종양의 치료에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는 다른 캄토테신 유도체와 동일한 문제를 갖는다: 이리노테칸 구조내 포화 락톤 고리는 pH-의존성이며 생리학적 조건하에서 가역적으로 그의 카복실레이트 형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항종양 활성이 약화된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기존의 상업적 제형은 액체 주사제 및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이다. 임상에서 정맥내 투여후, 유리 약물은 그 구조중 락톤 고리가 알칼리성 생리적 환경에서 카복실레이트 형태로 가수분해되기 쉽기 때문에 활성을 상실하여, 약물 효능을 간접적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형은 심각한 부작용을 갖는데, 주로 호중구감소증 및 지연성 설사이다.
리포좀은 최근 수년동안 약물 전달체로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다. 리포좀의 주 특징으로는 캡슐화 약물 보호, 약물 안정성 증대, 약물의 생체내 분포 양태 변화, 및 수동적 또는 능동적 표적화에 의한 질병 부위로의 약물 전달이 포함된다. 항암 약물의 우수한 전달체로서, 리포좀은 약물 효능을 개선시키고 약물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국제 출원 WO 2005/117878 호는 이리노테칸 리포좀의 제형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였다. 상기 제형은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레시틴 및 카르디올리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중국 특허출원 CN 1994279A 호도 또한 이리노테칸 리포좀의 제형 및 그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였는데, 여기서는 실시예 5에서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해 포스파티딜콜린을 인지질로 사용한다.
상기 특허 문헌들에 언급된 제형들은 우수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제형이 인간에서 사용될 때, 안정성, 입자 크기 등은 여전히 불만족스럽다.
본 발명은 보다 높은 약물-부하 용량, 높은 캡슐화 효율,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며 제형으로 제조되기에 적합한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을 제공한다.
지금까지, 일부의 문헌(예를 들면, 국제 출원 WO 2005/117878 호 및 CN 1994279A 호)이 이리노테칸 리포좀의 조성 및 제조 방법을 기술하였다. 이들중 일부 제형에서, 몇몇 지표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안정성 및 입자 크기 제어에 대한 정보는 없다. 리포좀에 대한 추가의 연구 후에, 본 발명자들은 불활성 성분의 선택된 유형 및 제형에 사용된 양이 일부 조건을 충족시킬 때 콜레스테롤의 양이 특히 리포좀의 입자 크기 및 안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내어 놀라웠다. 본 발명자들은 성공적으로 작고 균일한 입자 크기 분포를 갖는 리포좀을 제조하고 중성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의 비를 제어함으로써 그 안정성을 개선시켰다. 다른 제형에 비해, 본 출원의 리포좀은 보다 높은 저장 안정성, 및 또한 상당히 개선된 다른 지표들을 갖는다. 또한, 국제 출원 WO 2005/117878 호 및 CN 1994279A 호에 기술된 기술과 비교해, 상기 생성물들은 염기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및 양이온성 지질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리포좀은 우수한 항종양 효과, 및 간단한 제형, 높은 약물-부하 용량 및 우수한 저장 안정성의 일부 이점들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의 입자 크기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의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의 생체내 항암 효과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며, 콜레스테롤 대 중성 인지질의 중량비는 1:3 내지 5, 바람직하게는 1:3.5 내지 4.5, 가장 바람직하게는 1:4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중성 인지질은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HSPC), 계란 포스파티딜콜린(EPC), 대두 포스파티딜콜린(SPC)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효과는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이 중성 인지질로 사용될 때 최상이 된다. 리포좀의 약물-부하 용량은 약물 대 인지질의 중량비가 다음과 같이 더 조정될 때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중성 인지질 2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
본 발명의 리포좀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리포좀 제조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이온 구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온 구배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리포좀의 내부 수상과 외부 수상 사이에 완충제에 의해 형성된 이온 구배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리포좀의 내부 수상은 외부 수상보다 높은 이온 농도를 갖는데, 이것은 저장 기간동안 리포좀의 입자 크기 안정성을 개선하고, 보다 우수한 약물 효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리포좀의 평균 입자 크기를 작고 균일하게 제어할 수 있고, 저장 기간동안 리포좀의 입자 크기의 변화가 최소로 감소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 기간동안 리포좀의 입자 크기의 변화는 제형에 친수성 중합체의 지질 유도체를 첨가함으로써 최소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생체내에서 리포좀의 주기 시간은 제형내에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를 첨가함으로써 연장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DSPE-PEG2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0-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다이팔미토일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0-다이팔미토일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약물의 장기 효능을 개선하기 위해, 친수성 중합체의 지질 유도체가 본 발명의 리포좀에 첨가되기에 바람직하다. 상기 제형비를 기준으로, DSPE-PEG2000이 가장 현저한 효과를 갖는다. 지질 유도체 대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바람직한 중량비는 0.2 내지 0.4이다.
리포좀은 또한 다이라우로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팔미토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다이미리스테이트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올레산 포스파티딜세린, 다이올레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라우로일 포스파티드산, 다이미리스테이트 포스파티드산,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드산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전된 인지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하전된 인지질 대 중성 인지질의 중량비는 1:5 내지 1:100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리포좀은 하기 중량비의 성분들을 포함하며, 콜레스테롤 대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 콜린의 비는 1:4이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3.4 내지 3.8;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0.34 내지 0.38; 콜레스테롤 0.8 내지 0.95.
본 발명은 또한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당해 분야에 숙련된 자는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제형에 따라 리포좀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포좀의 제형에, 이온 구배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1) 하기 방법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블랭크(blank) 리포좀의 제조:
A.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에탄올과 3급-부틸 알콜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완충제와 혼합시켜 감압 증류에 의해 에탄올을 제거한 후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B.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클로로폼 또는 클로로폼-메탄올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회전 증발기에 의해 지질막을 형성하고, 수화용 완충제를 첨가하여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C. 중성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완충제를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혼합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D.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에탄올과 3급-부틸 알콜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완충제와 혼합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2) 블랭크 리포좀의 내부 수상 및 외부 수상 사이에 이온 구배의 형성: 블랭크 리포좀의 외부 수상을 대체시켜 블랭크 리포좀의 내부 수상과 외부 수상 사이에 이온 구배를 형성한다;
(3) 약물-부하된 리포좀의 제조: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액을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한 다음, 가열 및 교반하에 상기 분산액을 배양하여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한다.
약물-부하된 리포좀 제조의 상기 단계 (3) 후에, 상기 방법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 유리 약물의 제거 및 샘플의 농축: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에 완충제 매질을 가하고, 접선방향 유동(tangential flow)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적절한 부피로 농축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주사제를 제공한다. 리포좀이 인간 용도에 적합한 주사제로 제조되는 경우, 안정화제를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정화제는 통상적인 안정화제, 예를 들면, 비타민 E,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등일 수 있다. 안정화제는 제형의 안정성에 유용하다. 전술한 제형의 경우, 안정화제에 대한 연구는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또는 그의 염이 다른 안정화제에 비해 가장 우수한 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이들은 리포좀의 안정성을 개선하는데 유리하다. 따라서, 안정화제는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나트륨 및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칼슘 또는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첨가되는 안정화제의 비는 0 내지 0.5%(w/v)이며, 최소량은 0%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산화방지제 및 유용성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유용성 산화방지제는 α-토코페롤, α-토코페롤 숙시네이트, 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수용성 산화방지제는 아스콜브산, 중아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L-시스테인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첨가되는 산화방지제의 비는 0 내지 0.5%(w/v)이며, 최소량은 0%가 아니다.
주사제는 주사용 액체 또는 동결건조 분말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형은 글루코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히스티딘 및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글리신 및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라이신, 세린, 글루탐산, 아르기닌, 발린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포함할 수 있다. 첨가되는 삼투압 조절제의 비는 0 내지 5%(w/v)이고, 최소량은 0%가 아니다.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 형태의 제형에, 상기 주사제는 또한 동결건조보호제를 포함하며, 상기 주사제는 동결-건조후에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로 제조된다. 동결건조보호제는 글루코스, 슈크로스, 트레할로스, 만니톨, 덱스트란, 락토스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리포좀 주사제는 다음 중량비의 성분들을 포함하며, 콜레스테롤 대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의 비는 1:4이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3.4 내지 3.8;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0.34 내지 0.38; 콜레스테롤 0.8 내지 0.95;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나트륨 0.05 내지 0.09.
전술한 주사제의 제조 방법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한다:
(1) 하기 방법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블랭크 리포좀의 제조:
A.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에탄올과 3급-부틸 알콜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완충제와 혼합시켜 감압 증류에 의해 에탄올을 제거한 후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B.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클로로폼 또는 클로로폼-메탄올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회전 증발기에 의해 지질막을 형성하고, 수화용 완충제를 첨가하여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C. 중성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완충제를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혼합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D.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에탄올과 3급-부틸 알콜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완충제와 혼합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2) 블랭크 리포좀의 내부 수상 및 외부 수상 사이에 이온 구배의 형성: 블랭크 리포좀의 외부 수상을 대체시켜 블랭크 리포좀의 내부 수상과 외부 수상 사이에 이온 구배를 형성한다;
(3) 약물-부하된 리포좀의 제조: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액을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한 다음, 가열 및 교반하에 상기 분산액을 배양하여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한다.
약물-부하된 리포좀 제조의 상기 단계 (3) 후에, 상기 방법은 또한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4) 유리 약물의 제거 및 샘플의 농축: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에 완충제 매질을 가하고, 접선방향 유동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적절한 부피로 농축한다.
리포좀이 수득된 후에, 약물 농도는 계량된 부피로 희석시켜 조정한다; 리포좀은 여과에 의해 멸균된 후, 충전 및 밀봉되어 리포좀 주사제를 수득한다. 또는, 동결건조보호제를 리포좀 약물 샘플에 첨가한 후, 계량된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하고, 리포좀을 여과에 의해 멸균한 다음, 충전, 밀봉 및 동결-건조시켜 리포좀을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로 수득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효과들: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제형은 기존 제품 및 기술의 많은 결점을 극복하였다. 리포좀의 내부 수상내에 약물을 캡슐화시킴으로써 약물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약물은 생체내에서 락톤 고리의 형태이기 때문에, 혈장내 활성 대사물 SN-38의 농도는 장기간 유지된다. 일반적으로,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제형은 제형의 효능을 증가시키고 약물의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제형은 약물,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 사이의 특정 비를 제어함으로써 리포좀에서 낮은 약물-부하 용량 문제를 해결하였다. 리포좀 주사제내 약물 대 지질의 비는 0.25(w/w) 이상이며, 캡슐화 효율은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리포좀은 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지며, 콜레스테롤 및 인지질의 투여량을 최적화함으로써 안정성을 개선시킨다. 안정화제를 선별함으로써, 바람직하게는 특정 퍼센트의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염을 제형에 첨가하여 리포좀의 안정성을 상당히 개선시키며, 리포좀의 입자 크기 분포는 균일하게 10 내지 220 nm의 범위이다.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의 영향 요인 실험의 결과는 샘플의 입자 크기 및 캡슐화 효율이 40 ℃에서 10 일동안 방치시 별다른 변화가 없고 지표들이 모두 필요조건을 충족시킴을 보여주었다. 상업적으로 시판하는 제형들에 비해,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는 종양 억제율에 상당한 증가 및 그 독성에 상당한 감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어떤 식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제형: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28 g 0.28 g 0.28 g 0.28 g 0.28 g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1 g 1 g 1 g 1 g 1 g
콜레스테롤 0.4 g 0.33 g 0.25 g 0.2 g 0.167 g
DSPE-PEG2000 0.1 g 0.1 g 0.1 g 0.1 g 0.1 g
황산암모늄 5 g 5 g 5 g 5 g 5 g
염화나트륨 0.45 g 0.45 g 0.45 g 0.45 g 0.45 g
콜레스테롤:인지질 1:2.5 1:3 1:4 1:5 1:6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HSPC) 및 콜레스테롤(CHOL)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황산암모늄 용액(100 ml)과 혼합하고, 에탄올을 감압 증류시켜 제거한 다음,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고압 균질화기(1000 바)에서 5 주기의 균질화후에, 리포좀을 압출 장치상에서 압출시켜(압출 장치 상에 2개의 0.1 ㎛ 압출막, 5회 압출) 리포좀의 입자 크기를 제어한 다음, DSPE-PEG2000 수용액을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20 분간 배양하였다. 과정동안 주사용수를 계속 공급하면서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 리포좀을 투석시킨 후, 블랭크 리포좀을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1:3.5의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 HSPC의 중량비에 따라 상기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60 ℃로 가열하고 20 분간 배양한 후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였다. 샘플을 약 50 ml로 농축한 후에, 0.45 g의 염화나트륨을 가하여 삼투압을 조정하였다. 계량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한 후,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하고,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각 제형의 입자 크기의 변화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샘플의 입자 크기가 인지질 대 콜레스테롤의 중량비가 4:1일 때 가장 작았음을 나타내었다.
HSPC:CHOL 제조 절차 평균 입자 크기

6:1
균질화 후 138.7
0.1 ㎛
5회 압출
92.26

5:1
균질화 후 136.2
0.1 ㎛
5회 압출
89.5

4:1
균질화 후 123.4
0.1 ㎛
5회 압출
87.26

3:1
균질화 후 145.1
0.1 ㎛
5회 압출
93.4

2.5:1
균질화 후 142
0.1 ㎛
5회 압출
98.56
제조된 샘플의 안정성은 25 ℃에서 인지질 대 콜레스테롤의 다양한 중량비에서 조사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25 ℃에서 60 일간 저장한 후, 샘플의 입자 크기 및 캡슐화 효율은 인지질 대 콜레스테롤의 중량비가 4:1인 경우 별로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다른 인지질 대 콜레스테롤 중량비를 갖는 샘플의 경우, 샘플의 크기는 증가하였고 캡슐화 효율은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샘플의 안정성은 인지질 대 콜레스테롤의 중량비가 4:1이었을 때 더 우수하였다.
HSPC:
CHOL
저장시간
(25℃)
(일)

외관
캡슐화
효율
(%)
입자크기
(z-v)
(nm)
전위
(mv)
함량
(mg/ml)
총불순물
(%)
리소
인지질

6:1
0 회색 현탁액 98.86 92.3 -30.5 5.05 0.58 0.39
30 회색 현탁액 98.56 94.3 -26.8 5.04 0.75 0.56
60 회색 현탁액 98.20 95.9 -24.9 5.06 0.85 0.66

4:1
0 회색 현탁액 99.37 87.3 -32.1 5.10 0.55 0.40
30 회색 현탁액 99.25 87.5 -30.9 5.11 0.64 0.50
60 회색 현탁액 99.18 87.8 -28.6 5.09 0.70 0.62

2.5:1
0 회색 현탁액 99.27 98.5 -35.8 5.12 0.60 0.38
30 회색 현탁액 98.75 100.2 -28.6 5.09 0.73 0.51
60 회색 현탁액 98.19 101.7 -25.3 5.07 0.84 0.67
결론:
모든 지표들을 고려하여, 콜레스테롤 대 인지질의 비가 1:3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1:4인 경우 더 우수한 결과를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2
제형: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28 g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HSPC) 1 g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SPE-PEG2000)
0.1 g
콜레스테롤 0.25 g
황산암모늄 5 g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나트륨 0.02 g
염화나트륨 0.45 g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황산암모늄 용액(100 ml)과 혼합하고, 무수 에탄올을 감압 증류시켜 제거한 다음,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고압 균질화기(1000 바)에서 5 주기의 균질화후에, 리포좀을 압출 장치상에서 압출시켜(압출 장치 상에 2개의 0.1 ㎛ 압출막, 5회 압출) 리포좀의 입자 크기를 제어한 다음, DSPE-PEG2000 수용액을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20 분간 배양하였다. 과정동안 주사용수를 계속 공급하면서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 리포좀을 투석시킨 후, 블랭크 리포좀을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1:3.5의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 HSPC의 중량비에 따라 상기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60 ℃로 가열하고 20 분간 배양한 후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였다. 샘플을 약 50 ml로 농축한 후에, 0.45 g의 염화나트륨을 가하여 삼투압을 조정하였다. 일정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한 후,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하고,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3
블랭크 리포좀의 제형 및 제조 방법은, 리포좀 제조 공정에서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 HSPC의 중량비가 1:1.5, 1:2, 1:3.5, 1:4 및 1:5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샘플의 캡슐화 효율 및 입자 크기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CPT11:HSPC 캡슐화 효율
(%)
약물-부하 함량
(mg/ml)
입자 크기
(nm)
1:1.5 83.2 5.11 87.1
1:2 90.8 5.15 86.5
1:3.5 99.4 5.08 85.9
1:4 99.1 4.81 85.4
1:5 99.4 4.25 86.7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대 HSPC의 중량비가 1:1.5인 경우 캡슐화 효율이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상기 비가 1:5인 경우 약물-부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두 조건 모두에서 임상 용도로 사용되는 제형을 제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캡슐화 효율 및 약물-부하 함량은 상기 비가 1:2 내지 1:4였을 때 더 높았다.
실시예 4
블랭크 리포좀 및 약물-부하된 리포좀의 제형 및 제조 방법은 제형중 HSPC를 고순도 계란 포스파티딜콜린(EPC), 고순도 대두 포스파티딜콜린(SPC) 각각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였다. 생성된 리포좀 샘플의 안정성은 25 ℃에서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시험 결과는 HSPC에 의해 제조된 리포좀 샘플의 안정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주요 지표들은 25 ℃에서 2 개월간 저장시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PC 조성 캡슐화 효율
(%)
약물-부하 함량
(mg/ml)
입자 크기
(nm)

0 M
HSPC 99.4 5.08 85.9
EPC 99.5 5.10 87.5
SPC 99.2 5.01 86.9

1 M
HSPC 99.5 5.10 85.5
EPC 92.4 5.07 88.2
SPC 93.9 5.05 87.3

2 M
HSPC 98.7 5.07 86.5
EPC 85.8 5.06 93.2
SPC 89.6 5.02 91.5
실시예 5
제형: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28 g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HSPC) 1 g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SPE-PEG2000)
0.1 g
콜레스테롤 0.25 g
식염수 용액 50 ml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1>:
에탄올 주입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DSPE-PEG2000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식염수 용액내에 주입하였다. 감압 증류에 의해 에탄올을 제거한 다음,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고압 균질화기(1000 바)에서 5 주기의 균질화후에, 리포좀을 압출 장치상에서 압출시켜(압출 장치 상에 2개의 0.1 ㎛ 압출막, 5회 압출) 리포좀의 입자 크기를 제어하였다. 계량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하고,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하고,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제조 방법 <2>:
필름 분산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DSPE-PEG2000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한 양의 클로로폼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회전 증발기에 의해 필름으로 제조한 다음 클로로폼을 제거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식염수 용액을 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동안 배양하였다. 고압 균질화기(1000 바)에서 5 주기의 균질화후에, 리포좀을 압출 장치상에서 압출시켜(압출 장치 상에 2개의 0.1 ㎛ 압출막, 5회 압출) 리포좀의 입자 크기를 제어하였다. 계량된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하고,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하고,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제조 방법 <1>, <2> 및 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의 캡슐화 효율 및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샘플 캡슐화 효율(%) 입자 크기(nm)
실시예 2 99.4 85.9
제조 방법 <1> 15.3 87.9
제조 방법 <2> 17.8 90.2
목표 생성물은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을 제조하는 경우 에탄올 주입 방법 및 필름 분산 방법과 같은 수동적 약물-부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포좀은 낮은 캡슐화 효율을 가지며, 단지 소량의 약물만이 리포좀내에 부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능동적 약물-부하 방법(실시예 2)에 의해 제조된 샘플은 높은 캡슐화 효율 및 약물-부하 함량을 가졌다. 또한, 능동적 약물-부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샘플은 작고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가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능동적 약물-부하 방법을 이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이온 구배 방법에 의해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을 제조하는 것은 대단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제형 제형 1 제형 2 제형 3 제형 4
HSPC 1 g 1 g 1 g 1 g
콜레스테롤 250 mg 250 mg 250 mg 250 mg
PEG2000-DSPE 0.1 g 0.1 g 0.1 g 0.1 g
비타민 E / 0.02 g / 0.02 g
EDTA-2Na / / 0.02 g 0.02 g
황산암모늄 용액(300mM) 100 ml 100 ml 100 ml 100 ml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3 g 0.3 g 0.3 g 0.3 g
제조 방법:
블랭크 리포좀: 지질 에탄올 용액을 주입하고, 용액을 1000 바에서 6 회 균질화시키고; 200 nm에서 3회, 100 nm에서 5회 압출시키고; PEG2000-DSPE를 가하고, 혼합물을 60 ℃에서 30 분간 배양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접선방향 유동 장치를 사용하여 매회 50 ml씩 3회 투석하였는데, 이때 비타민 E(VE)를 인지질 유기 용매에 가하고 EDTA를 황산암모늄 용액에 가하였다.
약물-부하 리포좀: 약 10 mg/ml의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블랭크 리포좀에 가한 후, 혼합물을 60 ℃에서 15 분간 배양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장치를 사용하여 샘플을 약 50 ml로 농축하고 5 mg/ml의 샘플을 수득하였다.
안정성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샘플의 모든 지표는 EDTA를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에 주목할 만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상기 EDTA는 리포좀의 안정성을 상당히 개선시켰다. 그러나, 다른 안정화제는 리포좀의 안정성을 별로 개선시키지 않았다.
샘플 저장 시간
(25℃, 일)
외관 캡슐화
효율(%)
입자크기
(z-v)(nm)
함량
(mg/ml)
총불순물
(%)
리소인지질
(mg/ml)
HSPC
0 회색 현탁액 99.70 85.6 5.42 0.65 0.40
30 회색 현탁액 91.51 87.7 5.40 0.74 0.65
HSPC+
VE
0 회색 현탁액 97.10 89.0 5.01 0.48 0.35
30 회색 현탁액 93.49 93.4 5.03 0.56 0.43
HSPC+
EDTA
0 회색 현탁액 95.67 87.2 4.94 0.56 0.38
30 회색 현탁액 95.67 86.5 4.98 0.60 0.40
HSPC+
VE+
EDTA
0 회색 현탁액 98.92 89.2 5.55 0.61 0.39
30 입자 침전 87.31 99.7 5.51 0.61 0.47
실시예 7
제형 (1):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5 g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1.5 g
콜레스테롤 0.4 g
황산망간 10 g
만니톨 2.5 g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황산망간 용액(100 ml)과 혼합하였다. 감압 증류에 의해 무수 에탄올을 제거한 후,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리포좀을 압출 장치상에서 압출시켜(압출 장치 상에 2개의 0.1 ㎛ 압출막, 5회 압출) 리포좀의 입자 크기를 제어하였다. 과정동안 주사용수를 계속 공급하면서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 리포좀을 투석시킨 후,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50 ℃로 가열하고 20 분간 배양한 후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한 다음, 2.5 g의 만니톨을 가하여 삼투압을 조정하였다. 일정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한 후,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하고,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리포좀의 입자 크기는 나노 입자 크기 분석기로 측정하였으며(89.3 nm), 캡슐화 효율은 97.5%이었다.
제형 (2):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g
수소화 계란 레시틴(HEPC) 3.45 g
콜레스테롤 0.8 g
황산마그네슘 10 g
히스티딘 2.5 g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계란 레시틴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황산망간 용액(100 ml)과 혼합하였다. 리포좀을 압출 장치상에서 압출시켜(압출 장치 상에 2개의 0.1 ㎛ 압출막, 5회 압출) 리포좀의 입자 크기를 제어하였다. 과정동안 주사용수를 계속 공급하면서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 리포좀을 투석시킨 후,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50 ℃로 가열하고 20 분간 배양한 후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약 50 ml로 농축하였다. 이어서, 2.5 g의 히스티딘을 가하여 삼투압을 조정하였다. 계량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한 후,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하고,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리포좀의 입자 크기는 나노 입자 크기 분석기로 측정하였으며(87.6 nm), 캡슐화 효율은 98.1%이었다.
제형 (3):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3 g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HSPC) 1 g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SPE-PEG2000)
0.05 g
콜레스테롤 0.25 g
황산암모늄 5 g
염화나트륨 0.45 g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황산암모늄 용액(100 ml)과 혼합하였다. 감압 증류에 의해 무수 에탄올을 제거한 후,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고압 균질화기(1000 바)에서 5 주기의 균질화 후에, DSPE-PEG2000 수용액을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20 분간 배양하였다. 과정동안 주사용수를 계속 공급하면서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 리포좀을 투석시킨 후,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60 ℃로 가열하고 20 분간 배양한 후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약 50 ml로 농축하였다. 이어서, 0.45 g의 염화나트륨을 가하여 삼투압을 조정하였다. 계량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한 후,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하고,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리포좀의 입자 크기는 나노 입자 크기 분석기로 측정하였으며(87.3 nm), 캡슐화 효율은 99.2%이었다.
실시예 8
제형: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5 g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HSPC) 1 g
심근 인지질(CL) 0.5 g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SPE-PEG5000)
0.5 g
α-토코페롤 0.05 g
콜레스테롤 0.35 g
시트르산 5.76 g
염화나트륨 약 3.6 g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심근 인지질, DSPE-PEG5000, 콜레스테롤 및 α-토코페롤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시트르산 용액(100 ml)과 혼합하였다. 감압 증류에 의해 무수 에탄올을 제거한 후,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고압 균질화기(1000 바)에서 5 주기의 균질화 후에, 과정동안 염화나트륨 용액(0.9 %, 400 ml)을 계속 공급하면서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 리포좀을 투석시킨 후,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60 ℃로 가열하고 20 분간 배양한 후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약 50 ml로 농축하였다. 일정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한 후,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한 다음,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리포좀의 입자 크기는 나노 입자 크기 분석기로 측정하였으며(85.8 nm), 캡슐화 효율은 98.6%이었다.
실시예 9
제형: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8 g
다이팔미토일 포스파티 콜린(DPPC) 2 g
다이팔미토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DPPG) 0.2 g
콜레스테롤 0.5 g
아스콜브산 0.05 g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나트륨 0.05 g
황산암모늄 5 g
염화나트륨 약 3.6 g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제형량의 DPPC, DPPG 및 콜레스테롤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황산암모늄 용액(100 ml,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나트륨 함유)과 혼합하였다. 감압 증류에 의해 에탄올을 제거한 후,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고압 균질화기(1000 바)에서 5 주기의 균질화 후에, 과정동안 염화나트륨 용액(0.9 %, 400 ml)을 계속 공급하면서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 리포좀을 투석시킨 후,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60 ℃로 가열하고 20 분간 배양한 후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약 50 ml로 농축하였다. 일정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한 후,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한 다음, 질소 보호하에 충전시키고 작은 병에 밀봉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주사제를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리포좀의 입자 크기는 나노 입자 크기 분석기로 측정하였으며(89.4 nm), 캡슐화 효율은 97.2%이었다.
실시예 10
제형: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5 g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HSPC) 1 g
폴리에틸렌 글리콜 5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DSPE-PEG5000)
0.1 g
α-토코페롤 0.05 g
콜레스테롤 0.3 g
황산암모늄 5 g
염화나트륨 약 3.6 g
슈크로스 2 g
만니톨 1 g
주사용수 필요한 부피까지
제조 방법:
제형량의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콜레스테롤 및 α-토코페롤을 적절한 양의 무수 에탄올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지질 용액을 황산암모늄 용액(100 ml)과 혼합하였다. 감압 증류에 의해 에탄올을 제거한 후,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고압 균질화기(1000 바)에서 5 주기의 균질화 후에, 리포좀을 압출 장치상에서 압출시켰다(압출 장치상에 5개의 100 nm 압출막, 5회 압출). DSPE-PEG5000 수용액을 가하고, 혼합물을 교반하에 20 분간 배양하였다. 과정동안 염화나트륨 용액(0.9 %, 400 ml)을 계속 공급하면서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블랭크 리포좀을 투석시킨 후,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주사용수를 사용하여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용액을 제조하고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하였다. 교반하에, 혼합물을 60 ℃로 가열하고 20 분간 배양한 후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접선방향 유동 한외여과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약 50 ml로 농축하였다. 이어서, 슈크로스 및 만니톨을 혼합물에 가하고 균질하게 혼합하였다. 일정 부피로 희석시켜 약물 농도를 조정한 후, 리포좀을 0.22 ㎛ 필터로 여과시켜 멸균한 다음, 페니실린 병에 충전시키고 동결건조하였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주사용 리포좀 동결건조 분말을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의 수화후에 리포좀의 입자 크기(90.8 nm)를 측정하였으며, 캡슐화 효율은 97.5%이었다.
실험 1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생성물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실시예 2의 생성물을 사용하였다:
[입자 크기 분포]: 적절한 양의 샘플을 물로 희석한 다음 동적 광산란(Dynamic Light Scattering, DLS)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검출 파장: λ = 633 nm; 검출 각도: 173˚; 검출 온도: 25 ℃. 입자 크기는 강도로 나타내었다. 입자 크기 분포는 도 1에 나타내었다. 평균 입자 크기는 85.9 nm이었다.
[형태]: 적절한 양의 희석 샘플을 취하고, 구리 메시를 깨끗한 여과지 위에 놓고, 샘플을 구리 메시위에 적하하고, 포스포텅스트산으로 염색시키고, 건조시킨 후 투사 전자 현미경(TEM, JEM2010, 재팬 일렉트로닉스 캄파니, 리미티드(Japan Electronics Co., Ltd.))으로 관찰하였다. 형태는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의 외관은 전형적인 이층 구조였으며, 대부분의 입자 크기는 200 nm 이하였다. 이것은 동적 광산란에 의해 측정된 결과와 일치한다.
[캡슐화 효율]: 약물 함량 측정 방법: 컬럼: 에이질런트 조르박스 에클립스(Agilent ZORBAX Eclipse) XDB-C18(4.6 x 150 mm, 5 ㎛); 이동상: 아세토니트릴 - 0.05M KH2PO4 완충액(pH 값은 4로 조정하였으며, 1% 트라이에틸아민 함유) = 20:80; 컬럼 온도: 40 ℃; 주사 부피: 20 ㎕; 유량: 1.0 ml/분.
캡슐화 효율 측정 방법:
1 ml의 샘플 용액을 10 ml의 부피 플라스크내에 피펫팅하고 물로 표시까지 희석하였다. 이어서, 균질하게 교반시키고 8010 한외여과기(밀리포어 캄파니(MILLIPORE Co.))로 한외여과시켰다. 초기 여액을 폐기하고 후속 여액을 샘플 용액으로 수용하였다. 20 ㎕의 샘플 용액 및 대조군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내에 피펫팅하고 크로마토그램을 기록하였다. 제형의 유리 약물 함량을 외부 표준화 방법에 의해 계산하고 W로 기록하였다. 상기 생성물 중 약물의 총량은 함량 측정 방법으로 계산하고 W0로 기록하였다. 캡슐화 효율은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캡슐화 효율 = (W0 - W)/W0 x 100%
측정 결과: 생성물의 캡슐화 효율은 99.4%이었다.
[영향 요인 시험]: 생성물을 상이한 조건하에 둠으로써 영향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조건 저장시간
(일)
외관 pH 입자크기
(nm)
함량
(%)
캡슐화
효율(%)
총불순물
(%)
리소인지질
(mg/ml)
조명
4500lx
±
500lx
0 회색 현탁액 6.39 85.9 98.14 99.40 0.43 0.19
5 황토색현탁액 6.30 86.3 78.99 99.11 14.4 0.23
10 황토색현탁액 6.40 86.5 76.39 99.20 19.5 0.30

40℃
0 회색 현탁액 6.39 85.9 98.14 99.40 0.43 0.19
5 회색 현탁액 6.35 87.1 98.77 99.29 0.45 0.29
10 회색 현탁액 6.47 88.7 98.86 96.82 0.55 0.44
저온 3 주기 회색 현탁액 6.41 89.1 100.07 99.16 0.44 0.38
냉동-해동 3 주기 백색 현탁액 6.38 110.5 95.22 99.28 0.46 0.23
결과는 샘플이 감광성임을 나타내었다. 밝은 빛 아래서, 샘플의 외관은 황색으로 변하였고, 함량은 감소되었으며, 관련 물질들은 상당히 증가되었다. 샘플의 캡슐화 효율 및 입자 크기는 40 ℃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없었던 반면, 관련 물질들은 약간 증가되었다. 거대 크기의 입자들이 저온 또는 냉동-해동 조건하에서 샘플중에 생성되었다. 고온하에서 인지질의 불안정성 및 영향 요인 시험의 결과를 고려할 때, 생성물은 저온 및 어두운 조건하에서 저장되어야 한다.
[생체내 항종양 치료 효능 시험]
약물명: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CPT-11 리포좀)(실시예 2에 따라 제조)은 상하이 흥루이 파마슈티칼 캄파니 리미티드(Shanghai Hengrui Pharmaceutical Co., LTD.)에 의해 제공되었다.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주사제(CPT-11)는 지앙수 흥루이 메디신 캄파니 리미티드(Jiangsu Hengrui Medicine Co., LTD.)에 의해 제공되었다.
제조 방법: 약물을 식염수 용액으로 필요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실험 동물: BALB/cA-누드 마우스, 6 내지 7주, 암컷, 상하이 슬랙 래버러토리 애니멀 캄피나 리미티드(Shanghai Slac Laboratory Animal Co., LTD.)에서 구입. 인증 번호: SCXK(상하이) 2007-0005. 환경: SPF 수준.
실험 프로토콜:
누드 마우스에게 Ls-174t 인간 대장암 세포를 피하로 접종하였다. 종양이 150 내지 300 mm3까지 성장한 후, 마우스를 무작위로 팀으로 나누었다(d0). 투여량 및 투여법은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종양의 부피 및 마우스의 중량을 측정하고 주당 2 내지 3회 기록하였다. 종양 부피(V)는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V = 1/2 x a x b2 (여기서, a, b는 각각 길이 및 너비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D 0: 1차 투여 시간; RTV: 상대 종양 부피; P값은 대조군에 대한 값을 의미한다. 대조군 n = 12, 처리군 n = 6
결과:
CPT-11 리포좀 및 CPT-11은 둘 다 누드 마우스에서 Ls-174t 인간 대장암의 성장을 상당히 억제하였다. CPT-11 리포좀은 Ls-174t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용량-의존성이었다. CPT-11 리포좀을 고용량(3 mg/kg)으로 투여한 경우 4/14 종양이 부분적으로 퇴화되었다. CPT-11 리포좀이 저용량(1 mg/kg)으로 투여된 경우 CPT-11 리포좀의 치료 효능은 CPT-11(10 mg/kg)과 동등하였다. 이것은 CPT-11 리포좀의 치료 효능이 CPT-11 주사제보다 10배 이상 촉진되었을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상세한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Claims (23)

  1.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포함하고, 콜레스테롤 대 중성 인지질의 중량비가 1:3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성 인지질 대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중량비가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중성 인지질 2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
  3. 청구항 1에 있어서,
    중성 인지질이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4. 청구항 3에 있어서,
    중성 인지질이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레스테롤 대 중성 인지질의 비가 1:3.5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 구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7. 청구항 6에 있어서,
    리포좀의 내부 수상과 외부 수상 사이에 완충제에 의해 형성된 이온 구배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리포좀의 내부 수상이 외부 수상보다 높은 이온 농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의 지질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DSPE-PEG200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친수성 중합체의 지질 유도체 대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중량비가 0.2 내지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이라우로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팔미토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미리스테이트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올레산 포스파티딜세린, 다이올레일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다이라우로일 포스파티드산, 다이미리스테이트 포스파티드산,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드산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전된 인지질을 추가로 포함하고, 하전된 인지질 대 중성 인지질의 중량비가 1:5 내지 1: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11. 청구항 1에 있어서,
    하기 중량비의 성분들을 포함하며, 콜레스테롤 대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의 비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3.4 내지 3.8,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0.34 내지 0.38,
    콜레스테롤 0.8 내지 0.95.
  12.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포좀의 제조 방법:
    (1) 하기 방법 A 내지 D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A.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에탄올과 3급-부틸 알콜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완충제와 혼합시켜 감압 증류에 의해 에탄올을 제거한 후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B.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클로로폼 또는 클로로폼-메탄올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회전 증발기에 의해 지질막을 형성하고, 수화용 완충제를 첨가하여 조 블랭크 리포좀을 수득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C. 중성 인지질, 콜레스테롤 및 완충제를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혼합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D. 중성 인지질 및 콜레스테롤을 목적하는 제형에 따라 무수 에탄올 또는 무수 에탄올과 3급-부틸 알콜의 혼합 용매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완충제와 혼합한 다음, 고압 균질화기 및/또는 압출 장치를 사용하여 목적하는 입자 크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을 제조한다;
    (2) 블랭크 리포좀의 내부 수상과 외부 수상 사이에 이온 구배를 형성하되, 블랭크 리포좀의 외부 수상을 대체시켜 블랭크 리포좀의 내부 수상과 외부 수상 사이에 이온 구배를 형성하는 단계;
    (3)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제조하되,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수용액을 제조하고, 상기 용액을 이온 구배를 갖는 블랭크 리포좀의 분산액에 가한 다음, 가열 및 교반하에 상기 분산액을 배양하여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수득하는 단계.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약물-부하된 리포좀을 제조하는 단계 (3) 후에, 하기의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유리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농축하되,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리포좀에 완충제 매질을 가하고, 접선방향 유동 장치를 사용하여 비-캡슐화 약물을 제거하고, 샘플을 적절한 부피로 농축하는 단계.
  14.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완충제가 Na+, K+, Fe2 +, Ca2 +, Ba2 +, Mn2 +, Mg2 +, Li+, NH4 +, H+ 이온 염을 포함하는 완충제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리노테칸 또는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을 포함하는 리포좀 주사제.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나트륨,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칼슘 및 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안정화제를 포함하고, 첨가되는 안정화제의 비가 0 내지 0.5%(w/v)이며, 최소량이 0%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주사제.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액체 주사제 또는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주사제.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글루코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히스티딘 및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글리신 및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라이신, 세린, 글루탐산, 아르기닌, 발린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삼투압 조절제를 포함하고, 첨가되는 삼투압 조절제의 비가 0 내지 5%(w/v)이고, 최소량이 0%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주사제.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수용성 산화방지제 및 유용성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용성 산화방지제가 α-토코페롤, α-토코페롤 숙시네이트, α-토코페롤 아세테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산화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수용성 산화방지제가 아스콜브산, 중아황산나트륨, 아황산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L-시스테인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첨가되는 산화방지제의 비가 0 내지 0.5%(w/v)이고, 최소량이 0%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주사제.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동결건조보호제를 포함하는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이고, 동결-건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주사제.
  21. 청구항 15에 있어서,
    하기 중량비의 성분들을 포함하고, 콜레스테롤 대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의 비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포좀 주사제:
    이리노테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
    수소화 대두 포스파티딜콜린 3.4 내지 3.8,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0 - 다이스테아로일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 0.34 내지 0.38,
    콜레스테롤 0.8 내지 0.95,
    에틸렌 다이아민 테트라아세트산 이나트륨 0.05 내지 0.09.
  22. 청구항 12 또는 청구항 13에 따른 제조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2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포좀 주사제의 제조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부피 계량, 멸균 및 소포장 단계로서, 리포좀의 약물 농도를 조정하고, 부피를 계량하고, 여과에 의해 멸균하고, 바이알에 충전하고, 밀봉하여 리포좀 주사제를 수득하거나; 또는 리포좀 약물 샘플에 동결건조보호제를 첨가하고, 약물 농도를 조정하고, 부피를 계량하고, 여과에 의해 멸균하고, 바이알에 충전하고, 밀봉한 다음, 동결 건조시켜 주사용 동결건조 분말을 수득하는 단계.
KR1020127015958A 2009-12-03 2009-12-03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200897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09/075298 WO2011066684A1 (zh) 2009-12-03 2009-12-03 伊立替康或盐酸伊立替康脂质体及其制备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432A Division KR101780915B1 (ko) 2009-12-03 2009-12-03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9754A true KR20120089754A (ko) 2012-08-13

Family

ID=441145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5958A KR20120089754A (ko) 2009-12-03 2009-12-03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167033432A KR101780915B1 (ko) 2009-12-03 2009-12-03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3432A KR101780915B1 (ko) 2009-12-03 2009-12-03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20120282325A1 (ko)
EP (1) EP2508170B1 (ko)
JP (1) JP5645954B2 (ko)
KR (2) KR20120089754A (ko)
CN (1) CN102271659B (ko)
AU (1) AU2009356132B2 (ko)
BR (1) BR112012012151B8 (ko)
CA (1) CA2782911C (ko)
CY (1) CY1116811T1 (ko)
DK (1) DK2508170T3 (ko)
ES (1) ES2547698T3 (ko)
HK (1) HK1159482A1 (ko)
HR (1) HRP20150911T1 (ko)
HU (1) HUE027467T2 (ko)
MX (1) MX2012005775A (ko)
PL (1) PL2508170T3 (ko)
PT (1) PT2508170E (ko)
RU (1) RU2526114C2 (ko)
SI (1) SI2508170T1 (ko)
SM (1) SMT201500245B (ko)
WO (1) WO2011066684A1 (ko)
ZA (1) ZA2012033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5066B (zh) * 2011-08-16 2014-09-17 齐鲁制药有限公司 一种伊立替康脂质体制剂及其制备方法
EP2768484B1 (en) 2011-10-21 2019-07-24 Jazz Pharmaceuticals Research LLC Lyophilized liposomes
KR101842279B1 (ko) * 2012-03-29 2018-03-2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리노테칸의 안정성증진을 위한 주사제용 조성물
US9949927B2 (en) 2012-04-10 2018-04-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is-polymer lipid-peptide conjugates and nanoparticles thereof
RU2014144945A (ru) * 2012-04-10 2016-05-27 Те Риджентс Оф Те Юниверсити Оф Калифорния Бис-полимерные липид-пептидные конъюгаты и наночастицы из них
US9717724B2 (en) 2012-06-13 2017-08-01 Ipsen Biopharm Ltd. Methods f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using combination therapies
AU2013202947B2 (en) 2012-06-13 2016-06-02 Ipsen Biopharm Ltd. Methods for treating pancreatic cancer using combination therapies comprising liposomal irinotecan
CN102697720B (zh) * 2012-06-29 2014-01-15 海南灵康制药有限公司 盐酸伊立替康脂质纳米粒注射剂
CN103181898B (zh) * 2012-11-23 2016-03-09 杭州师范大学 一种奥沙利铂脂质体及其应用
EA023079B1 (ru) * 2012-12-24 2016-04-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Технология Лекарств"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посомальной формы иринотекана (варианты)
CN104906586A (zh) * 2014-03-10 2015-09-16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种盐酸伊立替康复合磷脂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SI3138555T1 (sl) 2014-04-30 2021-06-30 Fujifilm Corporation Liposomski sestavek in proizvodni postopek zanj
US10098813B2 (en) * 2014-09-03 2018-10-16 Sun Pharmaceutical Industries Limited Perfusion dosage form
CN105796495B (zh) * 2014-12-29 2020-10-23 南京绿叶制药有限公司 一种盐酸伊立替康脂质体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1318131B2 (en) 2015-05-18 2022-05-03 Ipsen Biopharm Ltd. Nanoliposomal irinotecan for use in treating small cell lung cancer
JP2017008047A (ja) * 2015-06-25 2017-01-12 参天製薬株式会社 注射剤
ES2848118T3 (es) 2015-08-20 2021-08-05 Ipsen Biopharm Ltd Terapia de combinación que usa irinotecán liposomal y un inhibidor de PARP para el tratamiento del cáncer
TWI778942B (zh) 2015-08-21 2022-10-01 英商益普生生物製藥有限公司 使用包含微脂伊立替康(irinotecan)及奧沙利鉑(oxaliplatin)之組合療法治療轉移性胰臟癌的方法
RU2732567C2 (ru) 2015-10-16 2020-09-21 Ипсен Биофарм Лтд.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е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камптотецина
CN107281102A (zh) * 2016-04-11 2017-10-24 江苏竞诺择生物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结直肠肿瘤治疗的药物微粒组合物
CN107456456A (zh) * 2016-06-03 2017-12-12 江苏恒瑞医药股份有限公司 伊立替康或其可药用盐在制备治疗乳腺癌的药物中的用途
CN109475497A (zh) * 2016-06-28 2019-03-15 奇默里克斯公司 布林西多福韦的制剂
CN106109415B (zh) * 2016-07-26 2019-01-29 金华市人民医院 一种载喜树碱类抗肿瘤药物脂质体、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8048752A1 (en) 2016-09-09 2018-03-15 Irisys, Inc. Lipsomal anticancer compositions
SG11201903326RA (en) * 2016-10-28 2019-05-30 Servier Lab Liposomal formula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ancer
BR112019007844A2 (pt) * 2016-11-02 2019-07-16 Ipsen Biopharm Ltd tratamento de câncer gástrico usando terapias de combinação compreendendo irinotecano lipossômico, oxaliplatina, 5-fluoroacila (e leucovorina)
US10722465B1 (en) * 2017-12-08 2020-07-28 Quicksilber Scientific, Inc. Transparent colloidal vitamin supplement
CN109675047B (zh) * 2019-01-07 2020-12-04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对具有游离羟基的化合物进行脂质体修饰的方法
US11291702B1 (en) 2019-04-15 2022-04-05 Quicksilver Scientific, Inc. Liver activation nanoemulsion, solid binding composition, and toxin excretion enhancement method
US11273124B2 (en) * 2019-05-23 2022-03-15 Brown University Antifungal nanoparticles for targeted treatment of fungal infections
CN114177278A (zh) * 2021-10-18 2022-03-15 山东多美康生物医药有限公司 脂质体制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0335B1 (en) * 1997-09-16 2004-05-25 Osi Pharmaceuticals, Inc. Liposomal camptothecin formulations
KR100679906B1 (ko) * 1998-09-16 2007-02-07 알자 코포레이션 리포솜-엔트랩된 토포이소머라제 억제제
US8518437B2 (en) * 2001-11-13 2013-08-27 Celator Pharmaceuticals, Inc. Lipid carrier compositions with enhanced blood stability
CN107811971B (zh) * 2004-05-03 2021-10-29 益普生生物制药公司 用于药物输送的脂质体
ES2594621T3 (es) * 2004-06-01 2016-12-21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Preparación de irinotecán
CN1326525C (zh) * 2004-11-26 2007-07-18 复旦大学 10-羟基喜树碱长循环脂质体及其冻干制剂
EP1976485A4 (en) * 2005-12-22 2011-10-26 Celator Pharmaceuticals Inc LIPOSOMAL FORMULATIONS COMPRISING SECONDARY AND TERTIARY AMINE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SAID FORMULATIONS
US7489990B2 (en) * 2006-07-17 2009-02-10 Fehr Stephen L Systems and methods for calculating and predicting near term production cost, incremental heat rate, capacity and emissions of electric generation power plants based on current operating and, optionally, atmospheric conditions
CN101019834A (zh) * 2006-12-31 2007-08-22 西安力邦医药科技有限责任公司 注射用7-乙基-10羟基喜树碱脂质体的制备方法
CN1994279A (zh) * 2006-12-31 2007-07-11 西安力邦医药科技有限责任公司 注射用盐酸伊立替康脂质体的制备方法
AU2008227852B2 (en) 2007-03-19 2011-02-24 Fresenius Kabi Oncology Ltd. Proliposomal and liposomal compositions
CN101283983A (zh) * 2007-10-26 2008-10-15 南京长澳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稳定的喜树碱类药物脂质体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992A (ko) 2016-12-07
US10022365B2 (en) 2018-07-17
RU2012123875A (ru) 2014-01-20
KR101780915B1 (ko) 2017-09-21
PL2508170T3 (pl) 2015-12-31
CA2782911A1 (en) 2011-06-09
EP2508170A1 (en) 2012-10-10
AU2009356132A1 (en) 2012-06-21
JP5645954B2 (ja) 2014-12-24
EP2508170B1 (en) 2015-07-29
RU2526114C2 (ru) 2014-08-20
HK1159482A1 (en) 2012-08-03
SI2508170T1 (sl) 2015-12-31
US20120282325A1 (en) 2012-11-08
HRP20150911T1 (hr) 2015-10-23
ES2547698T3 (es) 2015-10-08
CY1116811T1 (el) 2017-03-15
CN102271659A (zh) 2011-12-07
CA2782911C (en) 2016-08-23
BR112012012151B1 (pt) 2021-01-19
US20170189392A1 (en) 2017-07-06
CN102271659B (zh) 2013-09-18
AU2009356132B2 (en) 2015-01-22
BR112012012151A2 (pt) 2016-04-12
MX2012005775A (es) 2012-06-13
DK2508170T3 (en) 2015-09-21
WO2011066684A1 (zh) 2011-06-09
HUE027467T2 (en) 2016-10-28
SMT201500245B (it) 2015-10-30
JP2013512262A (ja) 2013-04-11
EP2508170A4 (en) 2014-01-15
BR112012012151B8 (pt) 2021-05-25
PT2508170E (pt) 2015-10-16
ZA201203316B (en) 201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915B1 (ko) 이리노테칸 또는 그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리포좀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858958B2 (en) Blank liposome with ginsenoside Rg3 or its analog as membrane materials and preparations and uses thereof
AU2008227852B2 (en) Proliposomal and liposomal compositions
JP4990786B2 (ja) 薬物リポソーム製剤を安定化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7485320B2 (en) Liposome for incorporating large amounts of hydrophobic substances
EP2007355A2 (en) Liposomal compositions
JP6884783B2 (ja) リポソームの製造方法
CN106913882B (zh) 一种聚乙二醇-藤黄酸脂质体和制备方法及其在治疗恶性肿瘤中的应用
AU2018374593B2 (en) Composition of docetaxel liposomal injection with high drug loading
KR101007925B1 (ko) 경구용 지질 나노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0754B1 (ko) 난용성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화합물의 용해도가 향상된 약학적 조성물
TWI500430B (zh) 伊立替康或鹽酸伊立替康脂質體及其製備方法
KR20120140591A (ko) 난용성 트리사이클릭 유도체 화합물의 용해도가 향상된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