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793A -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793A
KR20120087793A KR20110142159A KR20110142159A KR20120087793A KR 20120087793 A KR20120087793 A KR 20120087793A KR 20110142159 A KR20110142159 A KR 20110142159A KR 20110142159 A KR20110142159 A KR 20110142159A KR 20120087793 A KR20120087793 A KR 20120087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otal
airflow
volume
ai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14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986B1 (ko
Inventor
료우타 다자이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87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44Systems in which all treatment is given in the central station, i.e. all-ai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24With control of flow by a condition or characteristic of a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계 풍량이 부족한 경우에, 합계 풍량을 합계 풍량 하한값 이상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실내 온도의 제어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조 제어 장치(15)는 급기 온도 계측값이 급기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급기 온도 제어부(150)와, 각 변풍량 유닛에 공급되는 풍량의 합계인 합계 풍량값을 계측 또는 연산하는 합계 풍량 도출부(152)와, 합계 풍량값에 따라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급기 풍량 제어부(151)와, 합계 풍량값과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풍량 부족 판정부(154)와,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되는 경우에, 변풍량 유닛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는 급기 온도 설정부(15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
본 발명은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조기와 복수의 변풍량 유닛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에서의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VAV(Variable Air Volume) 유닛이 설치된 피제어 공간의 공조 제어는 각 VAV 유닛이 배출하는 풍량을 부하에 따라 연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미리 공조기의 급기 정격(예컨대, 4000 CMH) 및 최소 외기량(예컨대, 1000 CMH)이 정해지고, 또한, 각 VAV 유닛의 최대 풍량(예컨대, 1000 CMH) 및 최소 풍량(예컨대, 200 CMH)이 정해지고 있다. 피제어 영역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환기의 필요성에 따라 피제어 공간으로 보내지는 풍량의 합계에는, 최저한의 필요량 등의 제약이 있다. 그 합계 풍량의 하한값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피제어 영역의 VAV 유닛의 최소 풍량이 0보다도 큰 수치로 고정되어 있다.
도 5는 종래의 공조 시스템에서의 최소 풍량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공조 시스템은 공조기(1)와, 공조기(1)로의 냉수의 양을 제어하는 냉수 밸브(2)와, 공조기(1)로의 온수의 양을 제어하는 온수 밸브(3)와, 공조기(1)로부터의 급기를 피제어 공간(9)으로 공급하는 급기 덕트(7)와, 피제어 공간(9)에 공급하는 급기의 양을 피제어 영역(Z1?Z4)마다 제어하는 VAV 유닛(8-1?8-4)과, VAV 유닛(8-1?8-4)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인 VAV 제어 유닛(11-1?11-4)과, 피제어 공간(9)의 실내 온도를 피제어 영역(Z1?Z4)마다 계측하는 온도 센서(12-1?12-4)와, 공조기(1)에 도입하는 외기의 양을 조정하는 외기 댐퍼(13)와, 급기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14)를 포함한다. 공조기(1)는 냉각 코일(4)과, 가열 코일(5)과, 급기 팬(6)을 갖는다. 도 5에서 도면부호 10-1?10-4는 급기의 배출구이다.
도 5의 예에서는, 피제어 영역(Z1)의 VAV 유닛(8-1)의 풍량이 900 CMH, 피제어 영역(Z2)의 VAV 유닛(8-2)의 풍량이 700 CMH, 피제어 영역(Z3, Z4)의 VAV 유닛(8-3, 8-4)의 풍량이 200 CMH로 되어 있다. 즉, 피제어 영역(Z3, Z4)에 대해서는 공조 부하가 적기 때문에, VAV 유닛(8-3, 8-4)의 풍량이 최소 풍량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VAV 유닛(8-3, 8-4)의 풍량이 최소 풍량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풍량을 더 낮출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제어 가능한 온도 범위에 제약이 생겨 냉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난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합계 풍량을 합계 풍량 하한값 이상의 값으로 유지하면서, 각 피제어 영역의 풍량이 최소 풍량 설정값에 의해 제약됨에 따른 제어의 한계를 개선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각 피제어 영역의 요구 풍량(조작량)의 합계가 합계 풍량 하한값을 하회한 경우, 각 피제어 영역의 합계 풍량이 합계 풍량 하한값 이상의 값이 되도록 한 후에, 각 VAV 유닛의 풍량을 결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 기초한 최소 풍량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예에서는, 피제어 영역(Z1)의 VAV 유닛(8-1)의 풍량이 900 CMH, 피제어 영역(Z2)의 VAV 유닛(8-2)의 풍량이 700 CMH, 피제어 영역(Z3)의 VAV 유닛(8-3)의 풍량이 50 CMH, 피제어 영역(Z4)의 VAV 유닛(8-4)의 풍량이 100 CMH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합계 풍량은 900 CMH+700 CMH+50 CMH+100 CMH=1750 CMH이다.
이와 같이, 도 6의 예에서는, 합계 풍량이 합계 풍량 하한값 1000 CMH 이상의 값이 되도록 하면서, 피제어 영역(Z3, Z4)의 VAV 유닛(8-3, 8-4)의 최소 풍량 설정값을 피제어 영역(Z3, Z4)의 부하에 따라 낮추기 때문에, 최소 풍량 설정값의 제약을 완화할 수 있어, 냉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난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예에서는, 합계 풍량을 삭감함으로써, 도 5의 예에 비해 소비 에너지를 삭감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0-7937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79381호 공보
종래의 기술에서는, VAV 유닛의 정지나 공조 부하의 저하에 의해 합계 풍량이 합계 풍량 하한값을 하회하면, 최소 풍량 설정값을 높여 대응하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도 7, 도 8은 종래의 문제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7의 예에서는, 피제어 영역(Z1)의 VAV 유닛(8-1)의 풍량이 750 CMH, 피제어 영역(Z2)의 VAV 유닛(8-2)의 풍량이 100 CMH, 피제어 영역(Z3, Z4)의 VAV 유닛(8-3, 8-4)의 풍량이 0 CMH로 되어 있다. 이 중, 피제어 영역(Z3)의 VAV 유닛(8-3)에 대해서는 공조 부하가 없다는 이유로 풍량이 0 CMH인 것이라 하고, 피제어 영역(Z4)의 VAV 유닛(8-4)에 대해서는 제어가 정지된 있다는 이유로 풍량이 0 CMH인 것이라 한다. 합계 풍량은 750 CMH+100 CMH+0 CMH+0 CMH=850 CMH으로서, 합계 풍량 하한값 1000 CMH를 하회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도 7에 도시된 상태가 되면, 전체의 합계 풍량을 유지하기 위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풍량 설정값을 높여 대응한다. 도 8의 예에서는, 피제어 영역(Z2, Z3)의 VAV 유닛(8-2, 8-3)의 최소 풍량 설정값을 125 CMH로 한다. 이에 따라, 합계 풍량은 750 CMH+125 CMH+125 CMH+0 CMH=1000 CMH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합계 풍량을 합계 풍량 하한값 이상의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피제어 영역(Z2)에 대해서는 부하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풍량을 100 CMH에서 125 CMH로 높이게 되고, 피제어 영역(Z3)에 대해서는 부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풍량을 0 CMH에서 125 CMH로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풍량을 공급하게 되어 냉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난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높아질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동일한 문제는 외기가 부족한 경우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풍량이 부족한 경우에, 합계 풍량을 합계 풍량 하한값 이상의 값으로 증가시키는 동시에, 실내 온도의 제어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조기와, 이 공조기로부터 복수의 피제어 영역에 공급되는 급기의 풍량을 피제어 영역의 부하 상황에 따라 제어하는 복수의 변풍량 유닛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에서의 공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급기 온도 계측값이 급기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급기 온도 제어 수단과, 피제어 영역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풍량에 대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풍량 부족 판정 수단과, 이 풍량 부족 판정 수단이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변풍량 유닛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상기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는 급기 온도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각 변풍량 유닛에 공급되는 풍량의 합계인 합계 풍량값을 계측 또는 연산하는 합계 풍량 도출 수단과, 상기 합계 풍량값에 따라, 상기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급기 풍량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수단은 상기 합계 풍량값과 미리 정해진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복수의 피제어 영역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CO2 농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로의 외기 도입량을 제어하는 CO2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수단은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조 제어 장치의 일 구성예는 상기 복수의 피제어 영역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CO2 농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로의 외기 도입량을 제어하는 CO2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수단은 상기 합계 풍량값과 상기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합계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합계 풍량 부족과 외기 부족 중 적어도 한쪽이 성립되는 경우에,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조기와, 이 공조기로부터 복수의 피제어 영역에 공급되는 급기의 풍량을 피제어 영역의 부하 상황에 따라 제어하는 복수의 변풍량 유닛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에서의 공조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급기 온도 계측값이 급기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급기 온도 제어 단계와, 피제어 영역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풍량에 대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풍량 부족 판정 단계와,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변풍량 유닛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상기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는 급기 온도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변풍량 유닛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함으로써, 동작중인 각 변풍량 유닛이 각각 대응하는 피제어 영역의 부하 상황에 따라 풍량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풍량이 증가하여도, 실내 온도 계측값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냉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난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합계 풍량이 부족한 경우에, 합계 풍량을 합계 풍량 하한값 이상의 값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실내 온도의 제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공조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공조 제어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종래의 공조 시스템에서의 최소 풍량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종래의 공조 시스템에서의 최소 풍량 설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공조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8은 종래의 공조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한 도면이다.
[발명의 원리]
본 발명에서는, 각 VAV 유닛의 합계 풍량이 피제어 공간에 최저한 필요한 합계 풍량 하한값을 하회하는 경우, 또는 공조기에 도입하는 외기가 부족한 경우,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여 각 VAV 유닛의 풍량을 늘리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풍량 증가의 필요성이 없는 피제어 영역에 대하여 필요 이상의 풍량을 공급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공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공조 시스템은 공조기(1)와, 냉수 밸브(2)와, 온수 밸브(3)와, 급기 덕트(7)와, VAV 유닛(8-1?8-4)과, VAV 제어 유닛(11-1?11-4)과, 온도 센서(12-1?12-4)와, 외기 댐퍼(13)와, 온도 센서(14)와, 공조 제어 장치(15)를 포함한다.
공조기(1)는 냉각 코일(4)과, 가열 코일(5)과, 급기 팬(6)을 갖는다. VAV 유닛(8-1?8-4)과 VAV 제어 유닛(11-1?11-4)은 피제어 공간(9)의 피제어 영역(Z1?Z4)마다 설치된다. VAV 유닛(8-1?8-4)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댐퍼가 설치되어 있고, VAV 유닛(8-1?8-4)을 통과하는 급기의 양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1?10-4는 급기의 배출구이다.
공조기(1)에서의 급기 팬(6)의 회전수와, 냉수 밸브(2) 및 온수 밸브(3)의 개방도는 공조 제어 장치(15)에 의해 제어된다. 공조 제어 장치(15)는 급기 온도 설정값과 온도 센서(14)에 의해 계측된 급기 온도 계측값의 편차에 기초하여, 예컨대 PID 연산에 의해 조작량을 연산하고, 이 조작량을 냉수 밸브(2) 또는 온수 밸브(3)에 출력하여 밸브 개방도를 제어한다. 냉각 동작의 경우, 조작량에 따라 냉수 밸브(2)의 개방도가 결정됨으로써, 공조기(1)의 냉각 코일(4)에 공급되는 냉수의 양이 제어된다. 한편, 가열 동작의 경우, 조작량에 따라 온수 밸브(3)의 개방도가 결정됨으로써, 공조기(1)의 가열 코일(5)에 공급되는 온수의 양이 제어된다. 즉, 공조 제어 장치(15)는 공조기(1)의 냉각 동작 시에, 온수 밸브(3)의 개방도를 0%로 하고, 급기 온도 계측값이 급기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냉수 밸브(2)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또한, 공조 제어 장치(15)는 공조기(1)의 가열 동작 시에, 냉수 밸브(2)의 개방도를 0%로 하고, 급기 온도 계측값이 급기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온수 밸브(3)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냉각 코일(4)에 의해 냉각된 공기 또는 가열 코일(5)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급기 팬(6)에 의해 송출된다. 급기 팬(6)에 의해 송출된 공기(급기)는 급기 덕트(7)를 통해 각 피제어 영역(Z1?Z4)의 VAV 유닛(8-1?8-4)으로 공급되고, VAV 유닛(8-1?8-4)을 통과하여 각 피제어 영역(Z1?Z4)에 공급되게 된다.
VAV 제어 유닛(11-1?11-4)은 각 피제어 영역(Z1?Z4)의 온도 센서(12-1?12-4)에 의해 계측된 실내 온도 계측값과 실내 온도 설정값의 편차에 기초해서, 예컨대 PID 연산에 의해 각 피제어 영역(Z1?Z4)의 요구 풍량을 연산하여 요구 풍량값을 공조 제어 장치(15)에 보내는 한편, 그 요구 풍량을 확보하도록 VAV 유닛(8-1?8-4) 내의 댐퍼(도시되지 않음)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단, 각 VAV 제어 유닛(11-1?11-4)에는, 공조 제어 장치(15)로부터 최소 풍량 설정값이 설정된다. VAV 제어 유닛(11-1?11-4)은, 연산한 요구 풍량값이 최소 풍량 설정값을 하회하는 경우, 최소 풍량 설정값을 요구 풍량값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최소 풍량 설정값이 0 CMH로 설정된다.
공조 제어 장치(15)는 각 VAV 제어 유닛(11-1?11-4)으로부터 송신된 계측 풍량값으로부터 시스템 전체의 합계 풍량값을 연산하고, 이 합계 풍량값에 따른 급기 팬 회전수를 구하여, 이 구한 급기 팬 회전수가 되도록 공조기(1)를 제어한다.
이상의 동작은 종래의 공조 시스템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공조 제어 장치(15)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공조 제어 장치(15)는 급기 온도 제어부(150)와, 급기 풍량 제어부(151)와, 합계 풍량 도출부(152)와, 합계 풍량 하한값 기억부(153)와, 풍량 부족 판정부(154)와, 급기 온도 설정부(155)와, CO2 제어부(156)와, 외기 부족 판정부(157)를 포함한다.
급기 온도 제어부(150)는 공조기(1)의 냉수 밸브(2) 및 온수 밸브(3)의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공조기(1)가 공급하는 급기의 온도를 제어한다. 급기 풍량 제어부(151)는 공조기(1)의 급기 팬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공조기(1)가 공급하는 급기의 풍량을 제어한다. 합계 풍량 도출부(152)는 각 VAV 제어 유닛(11-1?11-4)으로부터 송신된 계측 풍량값의 합계인 합계 풍량값을 연산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VAV 유닛(8-1?8-4)이 계측한 계측 풍량값을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을 통해 수신하여 합계 풍량값을 연산하지만, 합계 풍량값 그 자체를 계측할 수도 있다. 이 계측은 급기 덕트(7)의 근본[온도 센서(14)가 설치되는 위치]에 풍량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합계 풍량 도출부(152)는 공조기(1)의 팬 회전수를 조정하는 인버터 출력값으로부터 합계 풍량값을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합계 풍량값은 공조기 정격 풍량값과 인버터 출력값(%)을 곱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다. 또한, 합계 풍량 도출부(152)는 각 VAV 제어 유닛(11-1?11-4)으로부터 송신된 요구 풍량값의 합계를 합계 풍량값으로서 연산할 수도 있다.
합계 풍량 하한값 기억부(153)는 실압(室壓)이나 환기량 등으로부터 결정되는 피제어 공간(9)에 최저한 필요한 합계 풍량을 나타내는 합계 풍량 하한값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풍량 부족 판정부(154)는 합계 풍량 도출부(152)가 계측 또는 연산한 합계 풍량값과 합계 풍량 하한값 기억부(153)에 기억되어 있는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급기 온도 설정부(155)는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된 경우,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한다.
CO2 제어부(156)는 정해진 CO2 농도 설정값과 도시하지 않은 CO2 센서에 의해 계측된 피제어 공간(9)의 CO2 농도 계측값의 편차에 기초하여, 예컨대 PID 연산에 의해 조작량을 연산하고, 이 조작량을 외기 댐퍼(13)에 출력하여 댐퍼 개방도를 제어한다. 이렇게 해서, 피제어 공간(9)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CO2 농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외기 도입량을 제어한다. 외기 부족 판정부(157)는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공조 제어 장치(15)의 동작을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급기 온도 제어부(15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공조기(1)의 냉수 밸브(2) 및 온수 밸브(3)의 개방도를 제어한다(도 3 단계 S1).
CO2 제어부(156)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기 도입량을 제어한다(단계 S2).
합계 풍량 도출부(152)는 합계 풍량값을 계측 또는 연산한다(단계 S3).
급기 풍량 제어부(151)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합계 풍량값에 따라 공조기(1)의 급기 팬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공조기(1)가 공급하는 급기의 풍량을 제어한다(단계 S4).
풍량 부족 판정부(154)는 합계 풍량 도출부(152)가 계측 또는 연산한 합계 풍량값과 합계 풍량 하한값 기억부(153)에 기억되어 있는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합계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5). 풍량 부족 판정부(154)는 합계 풍량값이 합계 풍량 하한값을 하회하는 경우, 합계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한다.
한편, 외기 부족 판정부(157)는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6).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는 이하와 같이 하여 판정된다. 먼저, 외기 부족 판정부(157)는 CO2 제어 출력이 최대인지의 여부, 즉 CO2 제어부(156)가 연산한 조작량이 최대값 100%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외기 부족 판정부(157)는 급기 풍량 제어부(151)가 연산한 급기 풍량 제어 출력이 일정값(예컨대, 70%)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외기 부족 판정부(157)는 CO2 제어 출력이 최대, 또한 급기 풍량 제어 출력이 일정값 이하인 경우, 외기 부족이라고 판정한다. 합계 풍량 부족과 외기 부족 중 적어도 한쪽이 성립된 경우,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되게 된다.
급기 온도 설정부(155)는 합계 풍량 부족과 외기 부족 중 적어도 한쪽이 성립된 경우,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급기 온도 설정값을 정해진 폭(예컨대, 2℃)만큼 변경한다(단계 S7). 공조기(1)가 실내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냉풍을 배출하고 있는 경우,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이란, 급기 온도 설정값을 높이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공조기(1)가 실내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온풍을 배출하고 있는 경우,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이란, 급기 온도 설정값을 낮추는 방향을 가리킨다. 냉풍인지 온풍인지는, 예컨대 각 피제어 영역(Z1?Z4)의 실내 온도 계측값을 대응하는 VAV 유닛(8-1?8-4)의 풍량에 가중시킨 가중 평균값과 급기 온도를 비교하여 판단하거나, 피제어 공간(9)으로부터 공조기(1)로 복귀되는 환기의 온도를 실내 온도로 하고, 이 실내 온도와 급기 온도를 비교하여 판단할 수 있다.
공조 제어 장치(15)는 이상과 같은 단계 S1?S7의 처리를 공조 제어가 정지될 때까지(도 3의 단계 S8에서 YES), 일정 시간마다 실시한다.
단계 S7에서, 급기 온도 설정부(155)가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면,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은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예컨대, 공조기(1)가 냉풍을 배출하고 있는 경우에 급기 온도 설정값이 높아지면, 급기 온도 제어부(150)에 의한 냉수 밸브 제어에 의해 급기 온도가 올라가고, 결과적으로 실내 온도 계측값이 높아지기 때문에,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은 VAV 유닛(8-1?8-4)의 풍량을 증가시켜, 실내 온도 계측값이 실내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공조기(1)가 온풍을 배출하고 있는 경우에 급기 온도 설정값이 내려 가면, 급기 온도 제어부(150)에 의한 온수 밸브 제어에 따라 급기 온도가 내려가고, 결과적으로 실내 온도 계측값이 내려가기 때문에,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은 VAV 유닛(8-1?8-4)의 풍량을 증가시키고, 실내 온도 계측값이 실내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합계 풍량 도출부(152)가 계측 또는 연산하는 합계 풍량값이 증가한다(단계 S3).
급기 풍량 제어부(151)는 합계 풍량값의 상승에 따라 급기 풍량을 증가시키게 된다(단계 S4). 이렇게 해서, 합계 풍량값이 합계 풍량 하한값 이상이 될 때까지, 급기 온도 설정값이 반복하여 변경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설명한 도면이다. 또한, 도 4의 예는 공조기(1)가 냉각 동작을 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계 풍량값이 합계 풍량 하한값 1000 CMH를 하회하는 경우, 혹은 외기 부족인 경우, 급기 온도 설정부(155)는 급기 온도 설정값을 상승시킨다. 이 결과,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은 VAV 유닛(8-1?8-4)의 풍량을 증가시킨다. 도 7, 도 4의 예에서는, 피제어 영역(Z3)의 VAV 유닛(8-3)에 대해서는 공조 부하가 없다는 이유로 풍량이 0 CMH이고, 피제어 영역(Z4)의 VAV 유닛(8-4)에 대해서는 제어가 정지된다는 이유로 풍량이 0 CMH이다. 그래서, 바람을 배출할 필요가 있는 VAV 유닛(8-1, 8-2)에 대해서 VAV 제어 유닛(11-1, 11-2)이 풍량을 증가시킨다.
이 결과, VAV 유닛(8-1)에 대해서는 풍량이 750 CMH에서 825 CMH로 변경되고, VAV 유닛(8-2)에 대해서는 풍량이 100 CMH에서 175 CMH로 변경된다. 이 때의 합계 풍량은 825 CMH+175 CMH+0 CMH+0 CMH=1000 CMH으로서, 합계 풍량 하한값 1000 CMH와 일치하는 값까지 합계 풍량이 증가하게 된다. 피제어 영역(Z1, Z2)에 대해서는 풍량이 증가하지만, 실내 온도 계측값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냉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낮아지거나, 난방 운전의 경우에 실온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합계 풍량 부족과 외기 부족 중 적어도 한쪽이 성립되는 경우에,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함으로써, VAV 제어 유닛(11-1?11-4)이 각각 대응하는 피제어 영역의 부하 상황에 따라 풍량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합계 풍량이 부족한 경우 또는 외기가 부족한 경우에, 합계 풍량을 합계 풍량 하한값 이상의 값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또한 실내 온도의 제어성을 개선할 수 있어, 지나치게 차가워지거나 지나치게 따뜻해지는 등의 실내 환경의 악화를 가능한 한 줄일 수 있다.
또한, 풍량이 부족하지 않고, 또한 외기도 부족하지 않은 경우에, 급기 온도 설정부(155)는 통상의 VAV 급기 온도 최적 설정 제어(로드 리셋 제어) 등에 의해 급기 온도 설정값을 최적값으로 결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급기 온도 설정부(155)는 합계 풍량값이 정해진 합계 풍량 상한값을 상회한 경우, 각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줄이는 방향으로 급기 온도 설정값을 정해진 폭(예컨대, 2℃)만큼 변경할 수도 있다. 공조기(1)가 실내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냉풍을 배출하고 있는 경우,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줄이는 방향이란, 급기 온도 설정값을 내리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공조기(1)가 실내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온풍을 배출하고 있는 경우, VAV 제어 유닛(11-1?11-4)이 풍량을 줄이는 방향이란, 급기 온도 설정값을 높이는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할 때에 정해진 폭만큼 변경하도록 하고 있지만, PID 제어와 같은 로직으로 급기 온도 설정값의 변경폭을 연산하도록 하여도 좋다.
CO2 제어부(156)와 외기 부족 판정부(157)는 필수 구성 요건은 아니다. CO2 제어가 도입되지 않은 공조 시스템의 경우, 도 3의 단계 S2, S6의 처리가 실시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급기 온도 설정부(155)는 합계 풍량 부족의 경우에,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면 좋다(단계 S7).
또한, 도 3의 단계 S5의 합계 풍량 부족 판정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단계 S6의 외기 부족 판정 처리만을 실시하여, 외기 부족의 경우에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하여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VAV 제어 유닛(11-1?11-4)과 공조 제어 장치(15) 각각은 CPU, 기억 장치 및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컴퓨터와, 이들 하드웨어 자원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각 장치의 CPU는 기억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처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은 공조기와 복수의 변풍량 유닛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1 : 공조기 2 : 냉수 밸브
3 : 온수 밸브 4 : 냉각 코일
5 : 가열 코일 6 : 급기 팬
7 : 급기 덕트 8-1?8-4 : VAV 유닛
9 : 피제어 공간 10-1?10-4 : 배출구
11-1?11-4 : VAV 제어 유닛 12-1?12-4, 14 : 온도 센서
13 : 외기 댐퍼 15 : 공조 제어 장치
150 : 급기 온도 제어부 151 : 급기 풍량 제어부
152 : 합계 풍량 도출부 153 : 합계 풍량 하한값 기억부
154 : 풍량 부족 판정부 155 : 급기 온도 설정부
156 : CO2 제어부 157 : 외기 부족 판정부

Claims (8)

  1. 공조기와, 이 공조기로부터 복수의 피제어 영역에 공급되는 급기의 풍량을 피제어 영역의 부하 상황에 따라 제어하는 복수의 변풍량 유닛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에서의 공조 제어 장치에 있어서,
    급기 온도 계측값이 급기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급기 온도 제어 수단과,
    피제어 영역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풍량에 대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풍량 부족 판정 수단과,
    이 풍량 부족 판정 수단이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변풍량 유닛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상기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는 급기 온도 설정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각 변풍량 유닛에 공급되는 풍량의 합계인 합계 풍량값을 계측 또는 연산하는 합계 풍량 도출 수단과,
    상기 합계 풍량값에 따라, 상기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급기 풍량 제어 수단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수단은 상기 합계 풍량값과 미리 정해진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제어 영역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CO2 농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로의 외기 도입량을 제어하는 CO2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수단은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제어 영역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CO2 농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로의 외기 도입량을 제어하는 CO2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수단은 상기 합계 풍량값과 상기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합계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합계 풍량 부족과 외기 부족 중 적어도 한쪽이 성립되는 경우에,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장치.
  5. 공조기와, 이 공조기로부터 복수의 피제어 영역에 공급되는 급기의 풍량을 피제어 영역의 부하 상황에 따라 제어하는 복수의 변풍량 유닛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에서의 공조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급기 온도 계측값이 급기 온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급기 온도 제어 단계와,
    피제어 영역의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풍량에 대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풍량 부족 판정 단계와,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상기 변풍량 유닛이 풍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상기 급기 온도 설정값을 변경하는 급기 온도 설정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각 변풍량 유닛에 공급되는 풍량의 합계인 합계 풍량값을 계측 또는 연산하는 합계 풍량 도출 단계와,
    상기 합계 풍량값에 따라, 상기 공조기가 공급하는 급기의 풍량을 제어하는 급기 풍량 제어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단계는 상기 합계 풍량값과 미리 정해진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제어 영역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CO2 농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로의 외기 도입량을 제어하는 CO2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단계는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제어 영역의 CO2 농도가 미리 설정된 CO2 농도 설정값과 일치하도록, 상기 공조기로의 외기 도입량을 제어하는 CO2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풍량 부족 판정 단계는 상기 합계 풍량값과 상기 합계 풍량 하한값을 비교하여 합계 풍량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외기 부족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합계 풍량 부족과 외기 부족 중 적어도 한쪽이 성립되는 경우에, 풍량 부족이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 제어 방법.
KR1020110142159A 2011-01-28 2011-12-26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30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16251 2011-01-28
JP2011016251A JP2012154596A (ja) 2011-01-28 2011-01-28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793A true KR20120087793A (ko) 2012-08-07
KR101330986B1 KR101330986B1 (ko) 2013-11-18

Family

ID=4656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159A KR101330986B1 (ko) 2011-01-28 2011-12-26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58920B2 (ko)
JP (1) JP2012154596A (ko)
KR (1) KR101330986B1 (ko)
CN (1) CN1026203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37263B1 (en) * 2011-07-29 2016-04-27 Carrier Corporation Hvac systems
JP5969909B2 (ja) * 2012-12-10 2016-08-17 アズビル株式会社 Co2センサの自動調整装置および方法
JP2014240707A (ja) * 2013-06-11 2014-12-25 アズビル株式会社 Vav制御システムおよびvav制御方法
JP6257936B2 (ja) * 2013-07-03 2018-01-10 株式会社東芝 空調制御システム及び空調制御方法
CN104654538A (zh) * 2013-11-21 2015-05-27 深圳市中兴康讯电子有限公司 一种控制风量输出的方法及装置
JP6310349B2 (ja) * 2014-07-15 2018-04-11 アズビル株式会社 風量制御システムおよび風量制御方法
ES2750617T3 (es) * 2014-11-19 2020-03-26 Mitsubishi Electric Corp Sistema de aire acondicionado de tipo conducto
CN104807142B (zh) * 2015-04-29 2018-09-04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空调智能控制器
KR101797685B1 (ko) * 2016-06-15 2017-11-15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풍량 방식을 이용한 선박용 hvac 제어 방법
JP7226969B2 (ja) * 2018-11-05 2023-02-21 アズビル株式会社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CN113728203B (zh) 2019-04-15 2022-10-11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系统
JP6860106B2 (ja) 2019-04-15 2021-04-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2104054B1 (ko) 2019-11-19 2020-04-23 주식회사 선우오토텍 실내 상황에 적응하여 풍량 조절하는 공조 시스템
WO2022164503A1 (en) 2021-02-01 2022-08-04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Reprocessable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3409A (en) * 1979-12-26 1982-10-12 The Tran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ariable air volume temperature conditioning system
US4540118A (en) * 1984-04-11 1985-09-10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Variable air volume air conditioning system
JPH02195144A (ja) * 1989-01-24 1990-08-01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KR100221257B1 (ko) * 1991-05-24 1999-09-15 피터 로보트슨 하아트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
JPH05288385A (ja) * 1992-04-02 1993-11-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給気温度設定値演算装置
JP3300964B2 (ja) * 1994-07-13 2002-07-08 株式会社山武 Vav制御システム
JP3143020B2 (ja) * 1994-08-29 2001-03-07 クボタ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3272551B2 (ja) * 1994-10-03 2002-04-08 クボタ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JPH09196437A (ja) * 1996-01-18 1997-07-31 Yamatake Honeywell Co Ltd 外気取り入れ制御装置
US5976010A (en) * 1997-06-27 1999-11-02 York International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air quality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US6161764A (en) * 1999-01-22 2000-12-1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Enhanced economizer controller
US6826454B2 (en) * 2001-09-19 2004-11-30 Louis E. Sulfstede Air conditioning diagnostic analyzer
US6698219B2 (en) * 2001-11-30 2004-03-02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Energy-efficient variable-air-volume (VAV) system with zonal ventilation control
US7726582B2 (en) * 2005-01-18 2010-06-01 Federspi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constant-volume supply fans to variable flow operation
US20070289322A1 (en) * 2006-04-28 2007-12-20 Mathews Thomas J Air handler unit fan installation and control method
WO2007145979A2 (en) * 2006-06-05 2007-12-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iquid composition for deposition of organic active materials in the field of oled printing
US20100017045A1 (en) * 2007-11-30 2010-01-2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lectrical demand response using energy storage in vehicles and buildings
JP5345816B2 (ja) * 2008-09-24 2013-11-20 アズビル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345815B2 (ja) * 2008-09-24 2013-11-20 アズビル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1440988B (zh) * 2008-12-29 2010-07-07 贵州汇通华城楼宇科技有限公司 中央空调均衡送风动态调节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20380A (zh) 2012-08-01
US8958920B2 (en) 2015-02-17
US20120192955A1 (en) 2012-08-02
JP2012154596A (ja) 2012-08-16
KR101330986B1 (ko) 2013-11-18
CN102620380B (zh) 201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986B1 (ko) 공조 제어 장치 및 방법
EP2806223B1 (en) Air-conditioning system that adjusts temperature and humidity
KR101317614B1 (ko)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171583B1 (ko) 공조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982988B (zh) 防止一拖多空调过度制热的方法及装置
US11879658B2 (en) Air-conditioning ventilation system
CN109612047B (zh) 变风量空调系统的送风温度控制方法
KR20090010888A (ko) 공조 제어장치 및 공조 제어방법
JP6239423B2 (ja) 可変風量方式空調システム
JP6239424B2 (ja) Vav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86627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498041B2 (ja) 空調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4594146B2 (ja) 空調システムの変風量最適制御方法
KR102655143B1 (ko) Vav 공조 시스템 및 공조 제어 방법
EP37450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climate control
JP4657654B2 (ja) スポット空調装置
CN113639388B (zh) 用于控制机房内空调出风的方法及装置、空调、存储介质
WO2021084568A1 (ja) 制御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2746680B2 (ja) 空調システム
JP2770070B2 (ja) 空気調和機
JP5538293B2 (ja) 空気調和機
JP2021092374A (ja) 空調システム
CN116026006A (zh) 空调的除湿控制方法及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