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1257B1 -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1257B1
KR100221257B1 KR1019930703628A KR930703628A KR100221257B1 KR 100221257 B1 KR100221257 B1 KR 100221257B1 KR 1019930703628 A KR1019930703628 A KR 1019930703628A KR 930703628 A KR930703628 A KR 930703628A KR 100221257 B1 KR100221257 B1 KR 100221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ir
air heat
return air
externa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렌 쇼
러셀 에스코오트 럭스톤
Original Assignee
피터 로보트슨 하아트
루미니스 프러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러셀 에스코오트 럭스톤
알렌 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로보트슨 하아트, 루미니스 프러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러셀 에스코오트 럭스톤, 알렌 쇼 filed Critical 피터 로보트슨 하아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1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1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최대탈습이 이루어지도록 열교환기(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최대온도에서 수분함유 외부공기를 처리할 때에 최소 습윤표면 온도를 얻을 수 있도록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도관(23)을 통하여 급냉기(11)로부터 냉각수가 펌프된다. 외부공기열교환기(10)로부터의 이탈냉각수는 귀환공기를 냉각하고 탈습시키는 귀환공기열교환기(12)로 보내어지는 냉각수의 공급원이다. 귀환 및 외부공기열교환기(12,10)로부터의 이탈공기는 과냉각이나 재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고 환기공기의 설계상 유량을 떨어뜨리지 않아 질병감염신드롬의 조건이 없어 경제적으로 탈습되는 공기조화된 실내용으로 공급공기가 공급되도록 혼합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습윤기후용으로 공기조화를 위하여 사용시 특히 유용한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열대성기후와 습윤기후에서는 실내감열부하 및 잠열부하조건과 기후조건의 여러 조합으로 중대한 설계상의 문제점을 보인다. 또한 이들 문제점은 온대기후에서는 실내감열부하가 낮고 실내잠열부하가 높은 비첨두습윤기후조건에서 종종 야기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방법과 이러한 방법이 수행되는데 요구되는 장치는 기후변화와, 환기조건변화 및 실내감열과 잠열부하의 변화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의 동태에 관점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설비에 대한 낮은 운전비용, 최적기준내에서의 양호한 성능, 낮은 초기비용 및 임차공간에 공기 조화설비의 낮은 설치비용이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주요목적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시스템의 최대작동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는 개선된 시스템성능을 제공하고, 습윤공기, 부적합한 환기와 이들에 관련된 건강장애로부터 야기되는 문제점(감염신드롬)을 극복하는데 있다.
현재의 공기조화시스템에는 많은 상호변수를 가지므로서 최대최적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성능의 과학적으로 확실한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든 시도는 항시 실시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어느 한 특정운전조건에서 하나의 특정파라메타, 즉 하나의 특정변수의 범위의 최적화는 연구 가치가 없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정도까지 다른 변수에 영향을 준다. 이들 다른 변수들은 특정운전조건에서 필연적으로 영향을 받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온대기후에서 사용토록 선택된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상 최대냉각조건은 높은 환기 공기공급을 요구하는 많은 사람이 모인 과밀부하가 열전도가 최대인 무더운 날의 오후 절정기에 일치할 때에 요구된다. 첨두부하 조건에서 상기 설계조건에 만족스럽게 부합하는 반면에 장래의 변경을 위한 준비가 마련되고 부하평가의 오류에 대하여 안전한 여유가 마련된 탈습기 코일이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어떠한 임계부분부하조건중에 이러한 탈습기코일의 성능은 설계자가 첨두부하조건을 만족토록 선택하는 방법에 따라서 좌우된다. 탁월한 첨두부하선택은 부분부하에서 다습으로 질병의 감염우려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고, 현행 규정으로 정하여진 최소레벨이하인 외부공기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선 기술]
열대기후에서는 통상적으로 외부공기를 예비냉각하고 있으나 이는 실내감열 및 잠열부하를 정확히 상쇄시킬 수 없으므로 외부공기 열교환기를 떠난 냉각수가 항시 귀환공기열교환기로 보내어지지 않는다.
급냉된 물은 환기설계내용에 기초한 외부공기 유동량이 작도록 할 뿐이며 대규모 귀환공기 유동량은 계획된 실내건구온도와 공급공기 사이의 실내감열차이에 의하여 결정된다. 싱가포르에서는 고층건물설계를 위하여 외부공기대 귀환공기 유동량의 비율이 동상 1 대 10 또는 그 이하이다.
종래 급랭된 물의 유동량은 외부공기열교환기를 위하여 약 8℃의 수온상승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어, 공기로부터 습기의 전달양이 감소될 수 있게 되어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부공기열교환기에 이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비교적 적은 외부공기유동량에 대하여 매우 큰 급냉수유동량이 공급된다. 그 이유는 외부공기냉매가 유동하는 귀환공기의 첨두동시요구의 요구조건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는 직접 대조적으로 외부 공기열교환기를 통한 수온상승이 1℃ 이하로 매우 낮다. 높은 급냉수유동량, 낮은 수온상승,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한 높은 물의 유속과 비교적 짧은 경로의 많은 회로를 갖는 외부 공기열교환기설계의 조합으로 최대 탈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잇점은 또한 실내감열비율이 낮고 외부공기조건이 높은 습도비율을 가질 때 임계습윤 부분부하조건중에 외부공기코일 조건을 포화곡선에 근접시키므로서 증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한 코일조건곡선의 경로는 건습도 도표의 포화선에 인접하여 하강한다. 따라서 외부공기코일조건 곡선의 경로의 경사도는 물리적으로 가능한 최대로 경사지고 귀환공기코일조건곡선의 경로보다 경사가 매우 급하다. 귀환공기는 처리된 외부공기와 혼합되기 전에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별도로 처리되거나 두 공기가 귀환공기코일을 통하여 함께 통과되기 전에 혼합될 수 있으나, 어느 경우든지 요구된 공급공기조건이 보다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탈외부공기와 귀환공기의 혼합시에 실내에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이슬점이 낮아진다. 외부공기 열교환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급속탈습은 과냉각 및 재가열 등이 습윤 및 열대기후에서의 지나친 습윤환경을 방지토록 하는데 필요한 방법을 대신할 수 있다. 제8도는 부분부하조건에서 외부공기 및 귀환공기열교환기의 경로를 건습도 도표에 보인 것이다.
예를 들어, 50% 실내감열부하에서는 일정한 인구밀도의 건물에서 외부공기유동량은 귀환공기 유동량에 대하여 백분율의 항목에서 두배가 될 때에 그밖의 탁월한 가변공기량시스템성능에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습윤상태에서 외부공기조건중에 이러한 문제점은 과잉상대습도의 결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혀 다르다. 외부공기는 공급 공기가 낮은 이슬점을 갖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 동일부하비율선에 대하여 실내상대습도가 낮도록 한다.
또한 외부공기를 사전에 예비냉각하는 종래기술은 중요관점에서 본 발명과 상이하다. 첫째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중앙열교환기에 공급되는 급냉수가 통상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귀환공기열교환기측으로 흐르지 않으므로 냉각수유동경로가 상이하다. 둘째로, 종래기술에 있어서 동시 발생피이크 운전중에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한 급냉수 유동량은 귀환공기 열교환기콤플렉스의 급냉수요구조건에 기초를 두고 있지 않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회로와 코일 설계가 종래 기술과 매우 상이하고, 전체 기후범위에 걸쳐 감열 및 잠열부하를 상쇄시키기 위한 유체유동 및 열과 질량 전달방법(그 내부변수를 포함한다)이 근본적으로 크게 다르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낮은 실내감열임계비율을 포함하는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언제나 최대유량이 확보될 수 있도록 스로틀형 귀환공기열교환기의 둘레에 어떠한 바이패스 구조를 포함하지 아니하며, 실내 감염비율이 낮을 때에 임계조건을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는 귀환공기열교환기설계가 콤팩트하게 되어 천장공간과 같은 소규모 공간에 조립해 넣을 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조이다.
또한 종래 기술은 외부공기열교환기에 귀환공기열교환에 의하여 요구된것과는 다른 별도의 냉각수원이 공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외부공기열교환기가 귀환공기열교환기콤플렉스의 역할 일부를 맡는 귀환공기열교환기 콤플렉스에 대한 냉각수 유량이 감소된다.
따라서, 외부공기열교환기가 대규모 귀환공기열교환기 콤플렉스를 작동시키는 건물에 있어서는 귀환공기열부하의 일부를 상쇄하는 그 기능이 부분적으로 제거되므로서 귀환공기열교환기콤플렉스는 그 크기가 작아지고 소규모 냉각수 라이저를 요구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비록 무시되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계공학설계가 피이크열부하와 부분부하성능 사이의 상호관계의 이해하에 전반적인 기후범위에서 건물열부하에 대한 지식이 이용된다. 이러한 데이터가 도표(1)과 도표(2), 그리고 제3도 성능 도표에 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피이크귀환공기상태에서는 약 7℃ 또는 8℃의 수온상승을 위하여 설계되었다. 탁월한 피이크 부하성능을 얻을 수는 있었다. 그러나, 열교환기의 크기가 일정하게 정하여진 경우 열부하가 감소되면 수온 상승이 증가하므로 임계부분부하조건에서 냉각수온도상승은 다음의 도표(5) 표준부분부하조건에서 보인 바와 같이 7.6℃ 이상이다. 부분부하에서 실내조건은 습도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도표(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수온 상승이 7.6℃ 이상을 넘지 않도록 수온 상승은 최대로 3.2℃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부분부하성능이 피이크부하 물유동량을 결정한다.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들 기본관계가 설계에 고려되지 않았다.
임계조건중에 실내의 습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습윤 및 열대기후에서 사용되어온 기존시스템의 실패는 그 원인이 실내 이슬점이 응축원인이 되는 공급공기온도보다 너무 높으므로, 공급공기 확산기에 인접한 실내에서 이 실내에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온도가 습기를 응축시키기 때문이다. 종래 공급공기 온도를 높이도록 이용된 방법중의 하나는 이러한 응축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는 실내습도를 쾌적한 레벨로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대신에 귀환공기열교환기가 탈습효과를 떨어뜨리므로서 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허용기준치를 능가하지 아니하고 쾌적하고 공급공기확산기에서의 응축없이 낮은 공급공기 온도가 이용될 수 있도록 실내 습도를 낮게 하는데 있다.
종래 기술에 사용된 다른 제어수단은 냉각수유동을 제한하는 것을 포함하였으나, 우리의 미국특허 제4,876,858호등에서 밝힌 바와 같이 실내열부하가 감소될 때에 공기정량 및 공기 가변량 시스템 모두에서 냉각제유동을 제한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단일탈습코일이 사용되는 경우 그 범위가 제한된다.
이는 냉각수유동을 제한하므로서 광범위한 조건에서 기계공학상 적합한 규정내에 항시 놓이도록 실내건구온도와 실내습도조건 모두를 제어하는 것이 열역학적으로 가능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제3도와 제5도는 단계 1 에서 종래 곡선을 참조바람). 냉각수유동량이 감소하므로 또한 코일의 탈습 용량이 감소된다. 이는 낮은 실내 감열부하와 일정하거나 증가하는 실내잠열부하에서 코일의 탈습용량이 증가되는 것이 요구되는 사실에 대하여 크게 상충된다. 그 결과도 실내습도조건이 규정이상으로 높아지고, 심각한 건강장애가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실내감열비율이 낮을 때에 야기된다(감염 비율은 실내총열에 대한 실내감염의 비율이며, 물론 총열은 실내감열 및 잠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광범위한 기후조건에서 감열 및 잠열 조합을 상쇄하고자하는 필요성에 입각하고 있다. 부과된 여러 코일조건의 역학이 다수의 상반된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
종래기술은 실내 및 외부공기조건의 변화효과를 전적으로 고려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공기조화방법과 장치를 개선하고, 양호한 성능, 인간의 건강과 안락함, 그리고 낮은 운전비용을 위한 요구조건에 보다 효과적으로 부합되도록 하는데 있다.
명세서, 도표와 도면에는 다음의 표준약자가 사용되었다.
[발명의 간단한 요약]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조화시스템의 탈습기는 두 부분, 즉 외부공기열교환기와 귀환공기열교환기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공기조화시스템의 구성은 냉각수가 먼저 외부공기가 유동하는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관을 통하여 유동토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냉각수, 즉, 급냉수는 이 냉각수가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관을 통하여 유동하고 귀환공기가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통과하기 전에 외부공기 열교환기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수온상승이 작다. 이러한 구성으로 냉각되지 않은 외부공기는 냉각수가 수분의 최대평균분압차와 외부 습윤공기와 열교환기의 습윤냉각면 사이의 최대이슬점온도차를 보이는 최저평균온도일 때에 냉각수에 의하여 냉각된다. 코일조건곡선이 건습도 도표의 포화선 곡선을 따라 하강토록되어 있기 때문에 질량전달때 열전달의 높은 비율에서 외부공기의 탈습화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부공기는 처리된 귀환공기의 탈습화에 도움이 되도록 귀환공기와 혼합된다.
만약 외부공기열교환기가 귀환공기열교환기에 직접 결합된 경우에 외부공기열교환기의 탈습성능은 부분부하중에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한 냉각수유동량이 귀환공기코일 콤플렉스 내에서의 제한으로 감소될 때에 부분적으로 저하된다. 이는 사용된 시스템이 예를 들어 본문에 인용되는 싱가포로 계단교실(Singapore lecture theatre)의 경우와 같은 크기인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설계를 포함하여 저면 속도/고냉각수 속도기술을 이용시 그리 심각한 문제는 아니다. 이러한 설계는 귀환공기열교환기 크기의 3가지 계획을 가지며 결과적으로 귀환공기열교환기에 대한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직접결합특성에도 불구하고 설계내용에 부합토록 외부공기유동처리부터 충분한 도움을 받는다. 실제로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공급공기이슬점보다 낮은 이슬점을 갖도록 외부공기열교환기로부터 이탈조건을 요구할 필요가 없다. 제2도, 제3도, 제4도, 제5도 및 도표(1), (2)가 이러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규정상 면속도가 높고 크기가 고정된 귀환공기 코일이 사용될 때에 보다 큰 보조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한 냉각수유동은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유동하는 냉각수를 제한하므로서 제한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과정은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한 요구된 냉각수유동을 유지토록 설계된 바이패스 및 조절밸브에 의하여 수행된다. 다음의 도표(4)는 바이패스 및 밸브 조립체에 의하여 냉각수유동량이 제한되지 않도록 중앙 배치된 외부공기열교환기의 한 설계예를 보인 것이다.
제6도는 이러한 바이패스를 포함하는 다이아그램으로 여기에서 단일 외부공기열교환기는 급냉기에 근접한 원격위치로부터 다수의 귀환공기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제1도는 유사한 바이패스 및 밸브구성을 보인 것으로 여기에서 외부공기열교환기가 이에 공급되는 귀환공기열교환기에 인접하여 있음을 보이고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탈습기를 외부공기열교환기와 귀환공기열교환기로 구성되는 귀환공기처리수단으로 나누는 수단과, 상기 열교환기들을 연결하는 냉각수유동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관과 탈습기의 구조는 상기 냉각수가 먼저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도관을 통하여 유동하고 이어서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 도관을 통하여 유동토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한 냉각수유동량은 피이크부하에서 귀환공기열교환기 전체 콤플렉스의 최대동시요구에 기초하고 범위내의 모든 부하조건에서 일어나고 최대허용설계한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내 상대습도가 충분히 낮게 되는 수온상승에 비교될 수 있도록 피이크 부하에서의 수온상승에 따라 좌우되고, 외부공기를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코일전체에 유동토록하고, 귀환공기를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도관에 유동토록 하며, 상기 공기유동이 혼합되게 하여 외부공기열교환기에서 공기유동과 냉각수 사이에 최대온도차를 보이도록하는 공기유동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부공기 및 귀환공기열교환기 사이에서 냉각수유동의 직접결합을 포함하나 그 관점중의 하나가 총 냉각수유동량이 낮게 요구될 때에 외구공기코일섹션에 공급되는 냉각수가 귀환공기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일부가 되도록 구성된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상기 도관에 구성된 스로틀링 수단을 포함한다.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한 바이패스도관에 의하여 유동량은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높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외부공기는 충분히 탈습되어 귀환공기코일측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온도증가가 작도록 매우 낮은 이슬점온도로 냉각될 수 있다. 그리고 귀환공기의 상당량과 혼합될 때에 이 외부공기는 조절되어 공급공기온도가 실내목표 건구온도를 유지하는 조건에 놓이고 실내습도가 최적조건내에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공기량 가변형 및 공기량 정량형의 설비에 공유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제1도에서 보인 평형도관과 같이 그밖에 사용된 표준형 온도 및 스로틀링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설명될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외부공기코일에서 급냉각수(냉각수가 사용된 경우) 5℃-9℃의 최소수온상승은 냉각수펌프비용을 최소화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환기코일을 통한 수온상승이 3℃이하, 그리고 피이크시에 0.80℃를 넘지않는 도표(4)의 경우와 같이 때로는 1℃이하일 수 있다. 더우기 도표(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쾌적한 규정을 만족시킬때에 본 발명의 경우에 비하여 종래 VAV 시스템의 운전비용은 37.3%이상이고, 종래 CAV시스템은 102.0% 이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한 냉각수의 유동을 변화시키므로서 공기조화된 공간내에서의 습도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귀환공기열교환기는 주로 상기 공간내에서 발생된 감열 및 잠열의 부하를 상쇄시키도록 한다.
쾌적조건의 한계내에 포함될 설계를 통하여 습도의 범위설정이 자유로우므로 별도의 습도조절수단이 필요치 않다.
본 발명은 보다 통상적인 공기량 가변형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부분부하에 대한 최대 환기조건을 가능케 한다. 비록 본 발명이 별도의 큰 잇점을 가지고 이용될 수 있으나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 제 4 876 858호의 고냉각수속도/저면속도 다단형 시스템과 조합되는 경우 에너지를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도면 및 도표의 간단한 요약]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외부공기열교환기가 귀환공기열교환기에 인접한 단일 지역시스템용으로서 외부공기와 귀환공기를 이용한 공기조화시스템의 개요도, 이는 귀환공기열교환기유동이 부분부하상태 중에 제한될 때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최대냉각수 유동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압력제어를 조절하는 선택적인 바이패스를 포함한다. 탁월한 잠열부하가 건물내부로부터 유래되는 경우에 바이패스는 귀환공기코일에 주요탈습부하를 전달하도록 외부공기코일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도는 선택적인 바이패스없이 제1도에서 보인 시스템의 코일의 상세회로를 보인 개요도이다.
제3도는 부하에 의하여 결정되고 제2도의 밸브구성을 이용하는 제3단계공기조화사이의 상태를 설명하는 선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이 다단계형 귀환공기열교환기를 갖는 시스템과 결합되어 사용될 때 피이크 상태에 대하여 이후 설명되는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건습도 도표, 외부공기열교환기는 공급공기 DPT 이하의 이탈 코일상태를 갖도록 요구되지 않는다. 이 시스템은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RA 냉각수유동량에 직접결합된 OA 냉각수유동량을 갖는다. 성능 내용이 완전히 만족하게 된다.
제5도는 제2도의 3단계 코일의 성능을 보이고 제3도 실시예에서 보인 실내가 만원일 때에 전체 기후범위에 걸쳐 상대습도에 대한 통상적인 VAV 및 CAV 성능과 비교한 설명도이다.
제6도는 별도의 귀환공기 열교환기로부터 원격한 위치에 배치되고 조절밸브와 별도 귀환공기 처리수단을 갖는 바이패스를 포함하는 단일 외부공기열교환기를 갖는 본 발명의 중앙 외부공기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다층형 설비를 보인 그래프이다.
제7도는 고정크기의 외부공기 열교환기콤플렉스로부터 원격한 위치에 배치되고 조절밸브를 갖는 바이패스를 포함하는 단일 외부공기열교환기를 가지므로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를 떠나는 상기 외부공기의 상태가 두 공기가 혼합될 때 상기 귀환공기 코일을 떠나는 귀환공기의 이슬점온도를 더욱 낮추도록 되어 있어 소형 귀환공기코일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다층중앙외부공기처리 시스템용으로서 피이크 상태에 대하여 이후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건습도 도면이다.
제8도는 제7도의 동일 시스템을 위하여 부분부하습도조건에 대한 이후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건습도 도표이다. 여기에서 외구공기코일은 귀환공기코일로부터 요구된 감열냉각을 감소시키는 이탈조건을 갖는다.
도표 1은 열부하하강을 위하여 제3도의 3단계 실시예에서 변환값을 설명한다.
도표 2는 열부하상승을 위하여 도표 1의 3단계실시예에서 변환값을 설명한다.
도표 3은 도표 1과 2의 구성에 대한 값의 일부를 보인 것으로,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 제4 876 858호에 기술되고 그 조합이 외부공기/귀환공기/저면속도/고냉각수속도, 즉 OA/RA/LFV/HCV 시스템인 LFV/HCV를 이용하는 귀환공기코일을 갖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종래의 VAV와 CAV 시스템과 비교될 때의 성능을 비교설명 한다.
도표 4는 제7도와 제8도에 상응하는 피이크 및 부분부하에서 성능을 포함하는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도표 5는 복합사무실건물에 대하여 코스트가 낮은 단일단계 스탠다드 시스템과 두 단계를 이용하는 프레스티지 시스템 귀환공기코일을 비교하며, 이들 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명확한 비교가 이루어지도록 프레스티지와 스탠다드 시스템은 처리된 외부공기를 처리된 귀환공기와 혼합한다. 그러나 조건에 따라서 설계자는 처리된 외부공기를 귀환공기코일의 상류측에서 귀환공기와 혼합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찾아 낼 것이다.
도표 6은 통상적인 VAV 설비와 제2도, 제3도, 제4도와 제5도의 계단교실 예를 든 통상적인 CAV 설비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연간운전비용을 설명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일부 잇점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우리의 상기 언급된 미국 특허 제4 876 858호에서 설명된 저면속도/고냉각수속도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경우에 최대효율을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특허의 주요내용을 LFV/HCV의 약자로 표시하였다).
제1도는 매우 간략화된 실시형태로 본 발명의 원리를 보인 것으로, 여기에서 외부공기열교환기(10)가 급냉기(11)로 부터 급냉각된 물을 공급받도록 배치되고, 급냉각수는 온도를 약 1℃-2℃만을 높이는 외부공기열교환기(10)를 통하여 유통하며 이어서 귀환공기열교환기(12)를 통하여 유동하고, 물이 두 라인을 통하여 통과하며, 하측 라인은 열교환기(12)와 펌프(14)를 통하여 유동되고 재순환토록 급냉기를 통하여 역류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스로틀링 밸브인 조절밸브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한 냉각수 유동량은 피이크 부하에서 귀환공기열교환기(제6도에서 보인바와 같은 열교환기의 뱅크일 수 있다)의 최대동시요구에 기초하나 피이크 부하는 좀처럼 존재하지 않으며 단일고정크기 RA 열교환기가 설비될 때에 이들은 부분부하상태중에 설계내용과 일치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실제로 열교환기(12)와 조절밸브(13)의 조합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도관(16)과 조절밸브(17)로 구성되는 바이패스 도관밸브조립체(15)가 제공되므로서 해결된다. 따라서 외부공기열교환기(10)에는 많은 냉각수가 유동되고 귀환공기코일 콤플렉스의 부족분은 외부공기코일의 개선된 성능에 의하여 상쇄된다. 다른 바이패스, 즉, 평형도관(16a)과 밸브(17a)가 외부공기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0)를 통과한 외부공기와 열교환기(12)를 통과한 귀환공기는 열교환기를 통과한 후에 혼합되고 공기조화될 공간(실내)로 공기를 공급토록 공급공기송풍기, 즉 팬(18)에 의하여 구동된다.
제2도에서, 외부공기열교환기는 공기유동에 대하여 수직으로 귀환공기열교환기와 같은 동일단면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는 3개의 상이한 활동열교환기크기를 나타내는 3개의 상이한 단계를 허용하는 귀환공기열교환기를 보이고 있다. 밸브 A와 밸브 B가 개방될 때에 전체 귀환공기열교환기는 단계 1에서 활동한다. 밸브 B가 폐쇄될 때에 열교환기는 중간크기를 가지고, 양측 밸브 A와 B가 폐쇄되면 열교환기는 그 활동크기가 최소가 된다. 아울러 통상적인 조절 밸브는 귀환매니폴드를 떠나는 귀환급냉각수도관에 배치된다. 상기 단계가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 제4 876 858호에 기술되어 있다. 단계사이의 변환점이 하강 및 상승 실내감열부하에 대한 성능도표 (1)(2)에 표시되어 있다.
제2도는 바이패스조립체(15)와 평형도관(16a)이 생략되고 급냉각수가 매니폴드(12)로 공급되어 이 매니폴드를 통하여 일련의 병렬회로(냉각수유동에 대하여)에서 외부공기열교환기(10)측으로 안내되는 제1도에서 보인 형태보다 간단한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각 4개의 통로를 갖는 18개의 회로를 보이고 있다. 하류측 매니폴드(26)는 이에 귀환공기열교환기(12)로부터의 냉각수가 공급되며 냉각수를 조절밸브(27)를 통해 급냉기로 안내한다. 코일의 외부공기 섹션과 매니폴드(22)사이에 다른 매니폴드를 개재하고 이송파이프를 매니폴드(22)에 연결하므로서 외부공기코일섹션(10)이 귀환공기코일섹션(12)으로부터 원격하게 착설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공통으로 사용되는 물리적인 구성은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시스템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비교적 크고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도관(30)을 통하여 다층건물의 일련의 레벨에 공기를 공급하는 단일 외부공기열교환기(10)를 이용하고 , 이로부터 공기는 유출도관(32)에서 혼합되도록 측부도관(31)을 통하여 공급되며 공기조화된 공간에 공급되기 전에 공기는 귀환공기열교환기(12)를 통하여 공기조화된 공간으로부터 보내어진다. 귀환공기중 10%-30%사이는 통상 공기조화된 실내로부터 분할 즉, 누설되고 외부공기열교환기(10)를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로 대체된다. 이와 같이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콤플렉스가 있으며, 급냉기(제6도에서는 3개)로부터의 냉각수유동량은 필수적으로 피이크부하에서 귀환공기열교환기(12)를 통과한 모든 공기의 최대동시요구에 기초하며, 이들 요구 이하여서는 안되고, 좋기로는 조금 많아야 한다. 이는 다시 범위내의 모든 부하조건에서 일어나는 수온상승에 비교되어야 하고 최대허용설계한계를 넘지않는 실내상대습도를 얻도록 충분히 낮아야하는 피이크부하에서의 수온상승에 따라 좌우된다. 공기조화공간의 범위는 온도가 22℃-27℃사이이고, 상대습도가 30%-60% 사이이다.
상기 언급된 미국특허 제4 876 858호(또는 다른 관련된 유사 특허의 어느 하나)는 이 명세서에 인용내용으로 포함되고 이러한 특허 문헌에 명백히 설명된 단계들의 제어수단이 사용되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간단히 하였다.
제3도와 제4도는 습도를 줄이는데 어려움이 있는 싱가포르의 계단교실에서 3단계 공기조화를 설명하고, 도표(1)(도표 1a와 도펴 1b로 구성됨)에서도 설명된다. 도표(1)는 제3도의 하강부하에 관련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제4도는 이러한 설명에 관한 것으로, 제4도는 32℃의 온도를 갖는 외부공기의 피이크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외부공기습구온도는 27℃(이에 상응하는 습도비율은 약 0.020)이다. 외부공기코일상태곡선은 귀환공기코일상태곡선보다 경사도가 매우 가파르다.
LFV/HCV설계방법론의 특징은 플랜드용으로 이용되는 완벽한 작동범위를 나타내는 설계조건의 범위가 탈습코일의 선택과정에서 고려되는 것이다. 설계조건의 전 범위에 걸친 코일의 성능을 망라하는 세계 성능선도가 작성되며 이것이 제3도에서 설명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3단계를 보이고 있는바, 제3도에서는 최대 150으로부터 최소 5의 범위인 조화된 실내의 사람수를 나타내는 8개의 선이 좌측으로 상향경사지게 표시되어 있다. 제3도의 선도에서 보인 변환제어는 실제로 상기 언급된 우리의 미국특허 제4 876 858호에 기술된 것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그러나, 주요 제어대항은 스로틀밸브(13) 또는 가변공급펌프(35),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하여 조절되는 냉각수 속도이다.
제3도의 상부 우측에서, 서로 결합된 귀환공기열교환기에 외부공기열교환기가 인접하여 있고, 3단계의 귀환공기코일사이즈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공지의 공기량 정량형(CAV)시스템과 공지의 공기량 가변형(VAV) 시스템 사이를 비교한 내용이 실려있다. 설계내용에 부합토록 바이패스는 요구되지 않는다.
제3도의 성능선도로부터 얻은 데이터가 도표(1)에 요약있다. 선도(제3도)는 도표에 열거된 일부 또는 모든 변수와 파라메타를 포함한다.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외부공기상태와 사람수의 범위를 나타내도록 플랜트의 기계적인 작동을 보이는 활동코일회로의 급냉각수속도에 대하여 성취된 쾌적레벨을 나타내는 실내상습도의 좌표로서 설명된다. 전자의 파라메타들을 보인 한 실시예에서 이들 파라메타는 외부에서 가하여지고 내부에서 발생된 부하를 각각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를 위하여 실내의 사람수는 변하지 않아 실내잠열부하가 거의 일정하나 실내감열부하가 전달부하 및 작동되는 설비에서의 변화를 통하여 변화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도에서 보인 변수와 파라메타는 부과된 부하에 대하여 플랜트에 대한 정보와 그 작동을 전달하는데 최상이 되도록 선택된다.
도면과 도표들은 하강부하의 상태에 관한 것이나 거의 상승부하와 동일하며 후자가 도표(2)에서 별도로 설명된다. 설명된 실시형태는 싱가포르와 같은 열대지방 항구에 있는 계단교실용으로 설계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의 부하변화와 이에 수반되는 환기부하는 실시예로서 극단적으로 선택되었다. 설계목적은 좌석용량이 150인 것으로부터 개인교습급의 5-10명의 학생이 앉을 수 있는 용량의 범위인 학생수에 대하여 열적인 쾌적상태와 필요한 환기공기량 모두를 유지하는데 있다.
성능은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18개 회로를 갖는 귀환공기탈습기코일에 의하여 얻는다. 환기공기세그먼트의 모든 18개 회로는 회로당 4개의 통로를 가지고 항시 활동한다. 이들 모두는 과부하범위일때에 활동한다.
단계1 (밸브A와 B가 개방됨)에서 14개 회로만이 활동하고 밸브 A가 개방되고 밸브 B가 폐쇄된 경우(단계 2)는 중간부하인 경우이며, 활동회로수는 밸브 A와 B 가 폐쇄된 저부하( 단계 3)인 경우에 12로 감소된다. 일측단계로부터 다른 단계로 변화하는 과정을 변환이라 하였다. 급냉각수공급수는 단 하나이다. 급냉각수는 먼저 외부공기코일(10)을 통과하고, 이어서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콤플렉스의 귀환공기코일(12)을 통하여 통과한다. 그러나 이 3단계 코일 설계에서 제1도에서 보인 바이패스는 필요치 않다. 도표 (1)의 제1컬럼에서 부호 T는 단계의 상부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러한 단계의 활동회로에서 냉각수속도가 최대임을 나타낸다. 부호 B는 냉각수속도가 최저값인 단계의 하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부호 B2는 단계 2의 하부를 나타낸다. 작동범위를 정의하는 각 설계조건에 대해 전체냉각요구조건의 Ref Cap로 표시된 컬럼에서 보이고 있다.
일측단계로부터 타측단계로의 변환을 위한 설정점은 제어시스템의 선택을 피하도록 상승부하에 대한 것으로부터 하강부하에 대한 설정점이 상이하다.
제5도에서 도표(1)과 (2)의 OA/RA/LFV/HCV 시스템의 실내감열부하의 변화로 실내상대습도를 계획하는 효과가 150명의 학생으로 만원이 된 계단교실의 조건하에서 고정단계 CAV와 VAV 시스템과 비교된다.
OA/RA/LFV/HCV에 대한 것과 같은 종래의 CAV와 VAV 시스템에 대한 동일성능을 얻기 위한 에너지 조건이 도표(6)에 나타나 있으며, 또한 이 도표에서는 연간운전 비용을 비교한다.
공급공기건구온도는 공급공기확산기에서 형성되는 응축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각각의 경우에서 선택된다. LFV/HCV시스템으로 얻을 수 있는 낮은 공급공기온도가 낮은 실내이슬점에 반영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낮은 온도, 즉 25℃와, 공기조화되는 실내에 대한 만족스러운 조건에 부합토록 요구되는 비교적 높은 외부공기 습도, 즉 95%의 상황에서는 어려움이 있으며, 제8도는 본 발명이 이와 같이 매우 중요한 결과를 어떻게하여 얻을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제7도와 제8도 그래프는 본 발명의 잇점을 설명한다. 건습도 도표는 외부공기 이슬점온도 25.3℃와 외부온도와 거의 일정한 급냉각수 온도 7℃ 사이의 큰 차이를 보이며 이로써 외부공기코일조건곡선이 포화선을 따라 좌측으로 급격히 하강하게 화고 이와 같은 경우 건조공기 킬로그램당 0.019kg으로부터 0.007로 습도가 감소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귀환공기코일조건곡선은 매우 평탄한 경사도를 가지므로 귀환공기열교환기는 외부공기열교환기로부터의 보조된 탈습화에 따라 좌우된다. 특히 이 방법은 고면속도를 갖는 단일고정크기의 귀환공기열교환기가 적은 공간에 적합토록 사용된 경우에 요구된다.
도표 (4)는 피이크부하와 임계부분부하에서 싱가포르에 위치하는 가상적인 10층 사무실빌딩에 사용되는 3,333리터/초의 중앙 OA 처리 유니트의 외부공기조건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 점유공간에 공급되는 공기량은 33,330 리터/초이다. 귀환공기는 각각 총공급기의 10%, 즉 빌딩전체에 분포된 총외부 공기와 같은 3,333리터/초를 각각 처리하는 적어도 10개의 귀환 공기 열교환기에 의하여 처리된다. 제7도와 제8도의 건습도 도표는 외부공기열교환기와 이에 결합된 귀환공기열교환기에 대한 피이크 및 부분부하의 코일상태곡선을 보이고 있다.
제8도의 부분부하분포는 제6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귀환공기열교환기 둘레에 비이패스 및 밸브를 갖는 라이저를 갖는 조립체가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표(5)는 동일 피이크 및 부분부하하에서 공기조화의 4개의 최상값을 보이는 성능을 나타내며, 한편으로는 2단계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저면속도 VAV 시스템에 적용된 본 발명을 표준형 고면속도 VAV 시스템과 비교한다. 도표(4)는 제6도의 구성에서 귀환공기열교환기가 결합된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성능을 보이고 있다.
상기 언급된 LFV/HCV 방법의 특징은 습도가 조절될 필요가 없으며, 본 발명의 조합으로 공기조화시스템의 설계에 있어서 고유한 별도의 습도조절이 필요없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조화된 공간내에서 습도변화의 범위는 LFV/HCV 시스템과 다단계형인 경우에 낮을 것이다. 도표(5)에서 이러한 구성을 프레스티지형 설계라 하였다. 이러한 프레스티지형 설계에 있어서, 급냉각수유량은 현저히 감소된다. 이는 피이크시 초당 4.6리터가 필요한 반면에 77.4KW용으로서 요구된 스탠다드형 설계에 있어서는 초당 6.5리터의 현저히 낮은 급냉각수유량이 요구된다. 비교컨데, 이러한 77.4KW용은 외부공기가 그 열교환기에 유입전 사전혼합될 때 피이크 부하조건에서 13.1 리터, 초의 냉각수를 필요로 할 것이다.
주 :
1. OA/RA/LFV/HCV의 선택은 3열 6fpi 914mm 높이이고 외부공기섹션은 폭이 772mm이며 귀환공기섹션은 폭이 1397mm임.
2. 종래기술의 선택은 4열 12fpi, 610mm 높이×1313mm 폭이다.
3. 냉각전력소모는 4.0 선능계수와 0.8의 콤프레사효율을 이용하여 냉각용량으로부터 유도됨.
4. 부하조건 A는 피크부하를 나타내고 조건 D는 최저실내감열비율을 나타낸다.
주 :
중앙 OA 처리유니트의 설계는 싱가포르 사무실빌딩 10층용으로 귀환공기처리유니트로부터 공기와 혼합토록 처리된 환기공기를 공급한다.

Claims (22)

  1. 공기조화기의 탈습기를 외부공기열교환기와, 적어도 하나의 귀환공기열교환기로 구성된 귀환공기처리수단으로 나누는 수단과, 상기 열교환기들을 연결하는 냉각수유동도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도관과 탈습기의 구조는 상기 냉각수가 먼저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도관을 통하여 유동한 다음 적어도 하나의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 도관을 통하여 유동토록 구성되고, 피이크부하시 귀환공기처리수단을 통과하는 수분함유 공기로부터 열과 질량전달의 최대귀환공기열교환기의 동시 요구에 부합토록 충분한 유동량으로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냉각수를 펌프하는 용량을 갖는 펌프수단, 전체작동범위에 걸쳐 최대허용설계한계를 초과하지 않는 실내상대습도를 얻도록 충분히 낮게 유지되는 냉각수온도상승에 응답토록 상기 각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해 상기 유동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외부공기를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도관전체를 통하여 유동토록 안내하고 귀환공기를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도관의 전체에 걸쳐 유동토록 안내하는 공기유동 안내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공기유동은 혼합되어 공기유동과 냉각수 사이의 최대 온도차이가 외부공기 열교환기에서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기후용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유동하는 모든 냉각수가 상기 귀환공기처리수단을 통하여서도 유동하도록 상기 도관이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를 상기 귀환공기열교환기에 직접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공기처리수단이 각각 별도로 그러나 직접적으로 상기 도관에 의하여 상기 외부열교환기에 결합된 다수의 상기 열교환기와 별도의 온도제어수단에 응답하여 각 귀환공기열교환기측으로 유동하는 냉각수의 유동을 별도로 제한하는 냉각수 제한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유동하는 상기 냉각수가 상기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유동토록 분할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1-3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공기처리 수단이 공기조화된 공간에 상기 혼합체가 공급되기 전에 상기 외부공기 및 귀환공기열교환기에 의하여 별도로 냉각된 공기혼합체의 이탈온도에 감응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되고, 부하변화에 응답하여 외부공기열교환기의 냉각수온도를 변화시키도록 직접 결합되는 제어수단은 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 열 교환기가 부분부하상태중에 상기 귀환공기처리수단 또는 외부공기처리수단에 의하여 요구되지 않은 냉각수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외부 공기의 탈습화가 공기 조화된 공간에서 요구된 습도비율을 얻도록 요구된 레벨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에 상기 귀환공기열교환기에서 요구된 설계상 감열냉각이 유지되도록 하는 바이패스도관 및 밸브조립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공기처리수단이 냉각수유동에 대하여 병렬어레이로 배열된 다수의 상기 귀환공기열교환기로 구성되고 또한 온도 변화에 독립적으로 응답하여 상기 각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수유동을 제어하는 각각의 제어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환공기처리수단이 다수의 별도 귀환공기 열교환기, 귀환공기열교환기를 기능적으로 병렬이 되게 병렬어레이로 연결하고 귀환공기열교환기측으로 유동하는 모든 냉각수유동이 외부공기열교환기의 하류측으로부터 이루어지며 모든 공기처리유니트로 부터의 모든 냉각수유동이 적어도 하나의 급냉기를 통하여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상류측으로 유동되는 구조로 외부공기열교환기를 연결하는 냉각수유동도관, 상기 유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도관의 회로내에 배치된 펌프,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부공기 및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상기 하류측과 상류측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서 작동하는 압력 감응밸브가 구성되어 있는 바이패스도관 및 밸브조립체와,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와 귀환공기열교환기사이에서 작동하는 가변유동펌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감응벨브가 귀환공기열교환기 조립체의 상류측과 하류측사이의 압력을 유지하고, 상기 가변출력 펌프의 속도가 그 요구에 응답하여 상기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한 냉각수유동량을 제어하므로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가 6열 깊이 이하의 냉각수코일로 구성되고, 공기 조화기가 그 온도 및 습도의 설계범위에서 작동될 때에 상기 냉각수코일을 통하여 통과하는 중에 상기 냉각수의 온도상승이 3℃를 넘지않는 상기 코일을 통해 냉각수를 충분히 펌프하는 냉각수유동펌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의 냉각수 코일이 냉각수유동에 대하여 병렬어레이로 배치된 다수의 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회로가 상기 코일의 하류측에 상류측을 연결하는 냉각제유동도관의 5개 이상 통로로 구성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11. 다음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방법.
    (a)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도관을 통하여 냉각수를 펌프하는 단계, (b) 공기를 냉각 및 탈습하고 3℃를 넘지않게 냉각수의 온도상승이 이루어지도록 외부공기를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상기 열교환도관으로 보내는 단계, (c) 귀환공기처리수단에 구성되어 있고 외부공기열교환기로 부터 별도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귀환공기열교환기의 열교환도관을 통하여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펌프하는 단계, (d) 상기 귀환공기를 냉각토록 귀환공기로서 상기 실내공기의 일부를 상기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재순환시키는 단계, (e) 외부공기와 귀환공기가 상기 각 열교환도관을 통과한 후 외부공기와 귀환공기를 혼합하여 상기 실내를 상기 혼합된 공기로 공기조화시키는 단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가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를 실내에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이슬점이하로 냉각시키는 온도와 유량으로 펌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단계(e)에서 혼합된 공기의 설계상 공급온도를 얻기 위하여 상기 각 귀환공기열교환기로부터 이탈온도가 되도록 서머스타트수단에 의하여 단계(c)에서 냉각수유동량을 제어하는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가변공급 펌프로 상기 냉각수를 펌프하므로서 단계(c)에서 냉각수유동량을 제어하는 단계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스로틀링 밸브로 유동량을 제한하므로서 단계(c)에서 상기 각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해 냉각수유동량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공기의 하류측에 배치된 서머스타트로 스로트링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5개 이상의 냉각수 통로로 구성되지 않는 회로에서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의 다수의 열교환기회로를 통하여 동시에 단계(a)에 따라 냉각수를 펌프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단계(a)에서 상기 냉각수의 유입온도가 9℃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귀환공기처리수단에 구성된 어느 열교환기에서나 냉각수 온도상승이 10℃를 넘지 않도록 단계 (c)에서 냉각수유동량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탈습조건에 따라 변화하도록 다수의 단계에 대한 귀환공기열교환기를 제어하는 단계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급공기의 이슬점이하로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공기를 필수적으로 냉각시키지는 않는 온도와 유동량으로 상기 냉각수를 펌프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가 실내 공급공기의 이슬점 온도이하로 상기 외부공기를 냉각시키는 온도와 유동량에서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해 펌프되고 , 상기 외부공기와 귀환공기의 상기 혼합체가 실내부하를 완전히 상쇄시키기에 충분하도록 귀환공기를 냉각 및 탈습시키는 온도와 유동량으로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해 펌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가 실내 공급공기의 이슬점이하의 이슬점온도로 건습도 도표의 포화선을 따라 근접하도록 상기 외부공기코일조건곡선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해 충분히 낮은 온도와 충분히 높은 유동량으로 펌프되고, 상기 냉각수가 상기 외부공기 및 귀환공기의 혼합체가 실내부하를 상쇄시키는 조건에서 코일조건곡선을 끝나게 하도록 충분히 낮은 온도와 충분히 높은 유동량에서 상기 귀환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펌프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1-2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체 작동범위에서 전시스템의 상기 외부공기열교환기의 높은 탈습레벨을 유지하도록 부분부하조건중에 외부공기열교환기의 하류측으로부터 상기 귀환공기처리수단에 의하여 요구되지 않는 과잉냉각수를 급냉기를 통해 외부공기열교환기의 상류측으로 바이패스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외부공기열교환기를 통하여 높은 냉각수 유동량을 유지하기 위해 압력감응 바이패스밸브를 포함하는 바이패스도관과 밸브조립체를 통하여 바이패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30703628A 1991-05-24 1992-05-25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 KR100221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K630491 1991-05-24
AUPK6304 1991-05-24
PCT/AU1992/000235 WO1992020973A1 (en) 1991-05-24 1992-05-25 Air conditioning for humid climat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1257B1 true KR100221257B1 (ko) 1999-09-15

Family

ID=3775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628A KR100221257B1 (ko) 1991-05-24 1992-05-25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61877A (ko)
KR (1) KR100221257B1 (ko)
GB (1) GB2273350B (ko)
HK (1) HK1007593A1 (ko)
WO (1) WO19920209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6797C (fi) * 1993-08-10 1999-01-19 Abb Installaatiot Oy Järjestelmä tuloilman jäähdyttämiseksi ilmastointilaitoksessa
SE9400414D0 (sv) * 1994-02-08 1994-02-08 Svante Thunberg Flexibelt system till klimatanläggningar avsedda för uppvärmning och kylning av ventilatonsluft
AU728987B2 (en) * 1997-07-10 2001-01-25 Smac Technologies Pty Ltd Air conditioning control system for variable evaporator temperature
AUPO783697A0 (en) * 1997-07-10 1997-07-31 Shaw, Allan A low energy high performance variable coolant temperature air conditioning system
US6012296A (en) * 1997-08-28 2000-01-11 Honeywell Inc. Auctionee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ler with reheat
AU2006203595B2 (en) * 2001-11-30 2008-05-01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Dual-compartment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 having a shared heating coil
WO2003046446A1 (en) * 2001-11-30 2003-06-05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Single-coil twin-fan variable-air volume (vav) system for energy-efficient conditioning of independent fresh and return air streams
JP4207166B2 (ja) * 2006-08-17 2009-01-14 木村工機株式会社 除湿空調機
US20080179408A1 (en) * 2007-01-30 2008-07-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ensor-free optimal control of air-side economizer
US7827813B2 (en) * 2007-01-30 2010-11-0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daptive real-time optimization control
WO2008103694A2 (en) * 2007-02-20 2008-08-28 B/E Aerospace, Inc. Aircraft galley refrigeration system with multi-circuit heat exchanger
CN101861552B (zh) 2007-07-17 2014-08-20 约翰逊控制技术公司 带有执行器饱和控制的极值搜索控制
DE112008001872B4 (de) 2007-07-17 2016-08-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Extremwertregelung mit Rücksetzsteuerung
JP5132334B2 (ja) * 2008-01-28 2013-01-30 株式会社東芝 空調制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調制御システム
US8880224B2 (en) * 2009-05-21 2014-11-04 Lennox Industries Inc. Airflow managing system, a method of monitoring the airflow in an HVAC system and a HVAC system
US9606520B2 (en) 2009-06-22 2017-03-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utomated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8532839B2 (en) 2009-06-22 2013-09-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tatistical control and fault detection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1269303B2 (en) 2009-06-22 2022-03-0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energy usage in a building
US8788097B2 (en) 2009-06-22 2014-07-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rule-based fault detection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9196009B2 (en) 2009-06-22 2015-11-2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energy usage in a building
US8600556B2 (en) 2009-06-22 2013-12-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mart building manager
US9753455B2 (en) 2009-06-22 2017-09-0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fault analysis
US9286582B2 (en) 2009-06-22 2016-03-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energy usage in a building
US8731724B2 (en) 2009-06-22 2014-05-2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utomated fault detection and diagnostics in a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10739741B2 (en) 2009-06-22 2020-08-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energy usage in a building
WO2011100255A2 (en) 2010-02-09 2011-08-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verifying energy savings in buildings
US8412357B2 (en) 2010-05-10 2013-04-0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Process control systems and methods having learning features
US8473080B2 (en) 2010-05-10 2013-06-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ntrol of cooling towers for chilled fluid systems
JP2012154596A (ja) * 2011-01-28 2012-08-16 Azbil Corp 空調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9291377B2 (en) 2011-05-20 2016-03-22 Richard J. Cathriner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discharged heat driving compression of system refrigerant
US9390388B2 (en) 2012-05-31 2016-07-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verifying energy usage in a building
RU2528165C1 (ru) * 2013-08-29 2014-09-10 Лев Ефимович Герцма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лажн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и воздуха
US9121620B2 (en) 2013-10-31 2015-09-01 Robert M. Rohde Energy efficient HVAC system
US20150267951A1 (en) * 2014-03-21 2015-09-24 Lennox Industries Inc. Variable refrigerant charge control
US9778639B2 (en) 2014-12-22 2017-10-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updating equipment models
US20180304724A1 (en) * 2015-11-03 2018-10-25 Carrier Corporation Transport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US10907845B2 (en) 2016-04-13 2021-02-02 Trane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al heat pump apparatus
US10274228B2 (en) 2016-04-28 2019-04-30 Trane International Inc. Packaged HVAC unit with secondary system capability
US10876746B2 (en) * 2016-10-11 2020-12-29 Innovative Lighting, LLC Air distribution hub
JP2019074269A (ja) * 2017-10-17 2019-05-16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セントラル式空調設備
CN110529939B (zh) * 2019-09-27 2023-09-26 海信空调有限公司 室内空气处理系统及空气处理一体机
US11946661B2 (en) 2021-01-29 2024-04-02 Robert M. Rohde Variable airflow energy efficient HVAC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28464A (en) * 1953-10-21 1958-03-25 Stone J & Co Ltd Control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DE2116857B2 (de) * 1971-04-06 1974-02-07 Gesellschaft Fuer Kernforschung Mbh, 7500 Karlsruhe Verfahren zum Kühlen und Entfeuchten von Luft
JPS5478850A (en) * 1977-12-07 1979-06-23 Hitachi Ltd Temperature control circuit for air conditioner
AU530554B2 (en) * 1979-03-28 1983-07-21 Luminis Pty Limited Method of air conditioning
DE3168741D1 (en) * 1980-05-19 1985-03-21 Borg Warner Lt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US4457357A (en) * 1982-01-12 1984-07-03 Arnhem Peter D Van Air-conditioning apparatus
SE8500584L (sv) * 1985-02-08 1986-08-09 Munters Ab Carl Sett och anordning for konditionering av gas
AU597757B2 (en) * 1986-11-24 1990-06-07 Luminis Pty Limit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dehumidifier control
US4841733A (en) * 1988-01-07 1989-06-27 Dussault David R Dri-Pc humidity and temperature controller
US5058388A (en) * 1989-08-30 1991-10-22 Allan Shaw Method and means of air conditio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61877A (en) 1995-10-31
WO1992020973A1 (en) 1992-11-26
GB2273350A (en) 1994-06-15
GB9324599D0 (en) 1994-02-16
GB2273350B (en) 1995-10-11
HK1007593A1 (en) 199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1257B1 (ko) 습윤기후용 공기조화방법 및 장치
US1087674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atent heat extraction
US6976524B2 (en) Apparatus for maximum work
Mumma Designing dedicated outdoor air systems
KR100891581B1 (ko) 공조기
US20100242507A1 (en) Dynamic outside ai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11320161B2 (en) Air conditioning with recovery wheel, dehumidification wheel, and cooling coil
US4034801A (en) Optimum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a building
US1197684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latent heat extraction
JP4651377B2 (ja) 空調システム
US4519217A (en) Supermarket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Liptak Optimization of unit operations
CN100366986C (zh) 用于独立的新鲜和返回空气流的节能调节的单盘管双风扇变风量(vav)系统
US3067587A (e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90301758A1 (en) Variable air volume multi-zone system and method thereof
WO2013104350A2 (de) Verfahren zur geregelten luftkonditionierung in einer lufttechnischen anlage und vorrichtung
US4014381A (en) Air conditioning system
AU662336B2 (en) Air conditioning for humid climates
TWI761726B (zh) 用於潛熱抽取之方法及設備
CN219140941U (zh) 用于室内空间的空气处理系统以及空气循环装置
US12044421B2 (en) Air conditioning with recovery wheel, dehumidification wheel, cooling coil, and secondary direct-expansion circuit
CN214701042U (zh) 一种新型的新风机结构
WO2023148854A1 (ja) 熱交換型換気装置
Int-Hout Methods for effective room air distribution: Part two
Tam A comparison study for active chilled beam and variable air volume systems for an office building/Tam Jun Ha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