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182A - 휴대형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182A
KR20120080182A KR1020127007841A KR20127007841A KR20120080182A KR 20120080182 A KR20120080182 A KR 20120080182A KR 1020127007841 A KR1020127007841 A KR 1020127007841A KR 20127007841 A KR20127007841 A KR 20127007841A KR 20120080182 A KR20120080182 A KR 20120080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ody
image display
state
box
display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7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665B1 (ko
Inventor
게이스케 노나카
아츠시 오카모토
아키토 이와이
가즈히토 후쿠마스
마사히코 니시와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22557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921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22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921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2255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97185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80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0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s on the outside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는, 제1 박스체(1)와 제2 박스체(2)가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1, 2)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며, 양 박스체(1, 2)가 서로 포개진 전폐 상태와, 상기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2)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1, 2)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키고 또한 제1 박스체(1)의 화상 표시면에 대하여 제2 박스체(2)의 화상 표시면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양 박스체(1, 2)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 상태의 3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폐 상태, 틸트 상태 및 전개 상태의 각각으로, 제1 박스체(1)에 대한 제2 박스체(2)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형 전자기기{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한 쌍의 박스체를 서로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박스체를 서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양 박스체에 각각 화상 표시면을 배비(配備)하고, 양 화상 표시면에 의해 많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형 전자기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참조).
이러한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한 쌍의 박스체가 서로 포개져서 하측의 박스체(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제1 화상 표시면)이 상측의 박스체(제2 박스체)에 의해 덮이고,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제2 화상 표시면)만이 노출된 편면 노출 상태(전폐 상태)와, 제1 박스체에 대하여 제2 박스체가 이동하여,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이 노출된 양면 노출 상태의 사이에서, 양 박스체가 서로 상대 이동을 행한다.
양면 노출 상태에서는, 제2 박스체는, 제2 화상 표시면을 제1 화상 표시면에 대하여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로 설정되거나(특허문헌 1 참조), 혹은, 제2 화상 표시면을 제1 화상 표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全開) 상태로 설정된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 특허 제3222764호 공보 일본 특개 제2009-71588호 공보
그러나,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링크 기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종래의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양면 노출 상태에서 제2 박스체는 틸트 상태와 전개 상태의 어느 일방으로 설정되는데 지나지 않고, 틸트 상태와 전개 상태의 양방을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는 없었다.
또, 전폐 상태에서 양 박스체의 양측으로 링크 기구가 크게 돌출되게 되어, 기기의 가로 폭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전개 상태에서는, 사용자 측에서 링크 기구가 크게 보인다는 외관상의 결점이 있었다.
또한, 전폐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양 박스체가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제1 박스체에 대한 제2 박스체의 이동 궤적을 규정할 필요가 있고, 그와 같은 이동 궤적을 링크 기구의 동작에 의해 실현하고 있었기 때문에, 전개 상태에서는,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 사이에 큰 갭이 생기고, 2개의 화상 표시면을 사용하여 큰 화면에 의한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1개의 화상이 2개의 화상 표시면의 사이에서 크게 끊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된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양 박스체가 포개져서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만이 노출된 전폐 상태와, 제2 박스체를 제1 박스체에 대하여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 상태의 3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된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폐 상태에서 양 박스체의 양측으로 연결 기구가 크게 돌출되지 않고, 게다가 전개 상태에서는, 사용자 측에서 연결 기구가 크게 보이지 않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 상태에서, 2개의 화상 표시면을 1개의 화면으로 하여 양호한 화상 표시가 가능한 휴대형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1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는,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키고 또한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에 대하여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당해 틸트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는, 전폐 상태, 틸트 상태 및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상태를 이행시키는 상태 이행 수단을 구비하고, 당해 상태 이행 수단은, 틸트 상태에서 제1 박스체에 대한 제2 박스체의 자세를 부드럽게 걸어 고정함과 함께, 전개 상태에서 제2 박스체의 단부(端部)를 제1 박스체의 단부에 걸거나 뺄 수 있게 걸어맞춘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1 휴대형 전자기기는,
기단부(基端部)가 제1 추축(樞軸)에 의해 제1 박스체에 연결됨과 함께, 선단부가 상기 제1 추축과 평행한 제2 추축에 의해 제2 박스체에 연결되고,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키고 또한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에 대하여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당해 틸트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양 박스체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아암과,
상기 제2 추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 아암에 대하여 제2 박스체를 일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연결 아암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회전 가압에 저항하여 제2 박스체를 틸트 상태의 경사 각도로 받아들이는 받아들임 수단과,
상기 제1 추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 아암이 틸트 상태의 회전 각도까지 회전하였을 때, 당해 회전 각도로 상기 연결 아암을 부드럽게 걸어 고정하는 소프트 로킹(soft locking) 수단과,
상기 제1 추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 아암이 전개 상태의 회전 각도까지 회전하고,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이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제2 박스체의 단부를 제1 박스체의 단부에 걸거나 뺄 수 있게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전폐 상태에서는, 제2 박스체에 대하여 가압 수단에 의한 회전 가압력이 작용하지만, 제2 박스체의 이면이 제1 박스체의 표면에 면 영역에서 맞닿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회전 가압력이 받아들여져서, 제2 박스체는 제1 박스체 상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된다.
틸트 상태에서는, 연결 아암이 소프트 로킹 수단에 의해 부드럽게 걸려 고정되어, 틸트 상태의 회전 각도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제2 박스체에 작용하는 가압 수단의 회전 가압력은, 연결 아암 상의 받아들임 수단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이 결과, 제2 박스체는 제1 박스체 상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되게 된다.
전개 상태에서는, 제2 박스체에 작용하는 가압 수단의 회전 가압력이 연결 아암 상의 받아들임 수단에 의해 받아들여진 상태로, 제2 박스체의 단부를 제1 박스체의 단부에 걸거나 뺄 수 있게 걸어맞춘다. 이것에 의해, 제2 박스체는 제1 박스체에 대하여 안정적인 자세로 유지된다.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은, 제1 박스체 및 제2 박스체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배비되고, 각 연결 아암은, 기단부가 제1 추축에 의해 제1 박스체의 측부에 연결됨과 함께, 선단부가 제2 추축에 의해 제2 박스체의 등부(背部)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양 박스체의 전폐 상태에서는, 좌우 한 쌍의 연결 아암이 제2 박스체의 등부에 위치하게 되어, 양 연결 아암이 사용자의 시선으로부터 숨게 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제2 박스체를, 틸트 상태에서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의 열림 각도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2 박스체는, 전폐 상태로부터 틸트 상태로의 이행 과정에서, 회전 가압에 의해 일어나는 방향의 힘을 받게 되어, 전폐 상태로부터 틸트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게 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 있어서, 상기 받아들임 수단은, 연결 아암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틸트 상태에서 제2 박스체의 배면의 일부가 맞닿을 수 있는 받아들임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박스체는, 틸트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의 이행 과정에서, 제2 박스체의 배면이 연결 아암의 받아들임면에 의해 받아들여지면서, 안정적인 자세로 이동하게 된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로킹 수단은, 제1 박스체에 대하여, 연결 아암을 틸트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를 향하여 가압하는 힌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박스체를 전폐 상태로부터 틸트 상태까지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연결 아암이 상기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 들어가면, 당해 연결 아암이 틸트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를 향하여 가압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제2 박스체가 틸트 상태를 향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가압과 맞물려, 제2 박스체는, 전폐 상태에서 약간 후방으로 가압하는 것만으로, 그 후에는 자동적으로 틸트 상태까지 이동하게 된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2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적어도 2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폐 상태와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일방 혹은 양방의 박스체에는, 전폐 자세에서 상기 연결 아암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 기구는, 양 박스체의 연결 방향과는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비된 한 쌍의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각 연결 아암은, 양 박스체 화상 표시면과 교차하는 면 상에서 L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L자 형상을 나타내며, 당해 L자 형상의 모서리부에서 교차하는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를 가지고, 제1 아암부의 단부가 제1 추축에 의해 제1 박스체에 연결됨과 함께, 제2 아암부의 단부가 상기 제1 추축과 평행한 제2 추축에 의해 제2 박스체에 연결되어 있다.
또, 제1 박스체의 양 측면 후단부에는, 전폐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 아암의 제1 아암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됨과 함께, 제2 박스체의 배면 양측부에는, 전폐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 아암의 제2 아암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2 휴대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전폐 상태에서 한 쌍의 연결 아암의 제1 아암부가 제1 박스체의 수용부에 수용됨과 함께, 한 쌍의 연결 아암의 제2 아암부가 제2 박스체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고, 전폐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이행할 때에, 연결 아암의 제1 아암부 및 제2 아암부가 각각의 수용부로부터 이탈하여, 연결 아암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전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연결 아암은, 그 대략 전체가 양 박스체의 배면 측에 숨게 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3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2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는,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에서 제2 박스체를 제1 박스체 측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연결 기구와 제2 박스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3 휴대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전폐 상태로부터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 상태로 이행시킨 후, 제2 박스체를 제1 박스체 측으로 끌어당김으로써, 제1 화상 표시면과 제2 화상 표시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화상 표시면을 1개의 화면으로서 화상을 표시하는 경우, 양 화상 표시면에 표시되는 화상에 큰 끊어짐은 없어진다.
구체적 양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기단부가 제1 추축에 의해 제1 박스체에 연결됨과 함께, 선단부가 상기 제1 추축과 평행한 제2 추축에 의해 제2 박스체에 연결된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당해 연결 아암은, 전폐 상태의 회전 각도와 전개 상태의 회전 각도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제2 박스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비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 아암의 선단부가 피벗되며, 연결 아암과 제2 박스체에는, 전개 상태에서 서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받아들임면과 슬라이드면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하는 과정에서, 제2 박스체의 슬라이드면이 연결 아암의 받아들임면 위를 슬라이딩한다.
당해 구체적 양태에 의하면, 제2 박스체(2)는, 전개 상태로 슬라이드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 양태에 있어서는,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를 구성하는 캐비닛 벽의 안, 전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서로 접근하거나 이간할 수 있는 2개의 단면 벽이 각각, 금속제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당해 구체적 양태에 의하면, 전개 상태로 양 박스체를 서로 접근시킨 경우, 금속 플레이트끼리 서로 대향하기 때문에, 금속제의 플레이트를 채용하지 않고 합성수지제의 캐비닛끼리를 서로 대향시킨 일반적인 구조와 비교하여, 합성수지제 캐비닛의 두께와 금속제 플레이트의 두께의 차이만큼, 제1 화상 표시면과 제2 화상 표시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1 휴대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포개져서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만이 노출된 전폐 상태와, 제2 박스체를 제1 박스체에 대하여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 상태의 3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2 휴대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과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 상태에서 양 박스체의 양측으로 연결 기구가 크게 돌출하지 않고, 게다가 전개 상태에서는, 사용자 측에서 연결 기구가 크게 보이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제3 휴대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 상태에서, 2개의 화상 표시면을 1개의 화면으로서 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 거의 끊어짐이 없는 양호한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전폐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를 전폐 상태로 뒤집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의 틸트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의 틸트 상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의 회전운동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를 회전운동 전개 상태로 뒤집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의 슬라이드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를 슬라이드 전개 상태로 뒤집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를 뒤집은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태로부터 일부를 더 분해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태로부터 일부를 더 분해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1 박스체를 구성하는 전면(前面) 캐비닛과 제2 박스체를 구성하는 전면 캐비닛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1 박스체를 구성하는 전면 캐비닛과 제2 박스체를 구성하는 전면 캐비닛을 뒤집어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 박스체 상의 자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2 박스체 상의 슬라이드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당해 휴대형 전자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 박스체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6의 상태로부터 일부를 분해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8의 상태로부터 일부를 분해한 휴대형 전자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휴대형 전자기기의 회전운동 전개 상태 (a)로부터 슬라이드 전개 상태 (b)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회전운동 전개 상태 (a)로부터 슬라이드 전개 상태 (b)로의 이행을 나타내는 다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양 박스체의 맞닿음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전폐 상태로부터 틸트 상태를 거쳐서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 이르는 과정의 전반(前半)을 나타내는 일련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상동의 과정의 후반을 나타내는 일련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를 틸트 상태 (a) 및 슬라이드 전개 상태 (b)로 탁상에 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휴대형 전자기기는, 도 1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에 제1 화상 표시면(11)을 가지는 제1 박스체(1)와, 표면에 제2 화상 표시면(21)을 가지는 제2 박스체(2)가, 연결 기구(3)를 거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휴대형 전자기기의 구성 요소의 각 부위를 특정하는 경우, 도 1에 나타내진 휴대형 전자기기를, 도면 중의 화살표 S로 나타내는 사용자의 시선을 따라 본 경우의 「전(앞측)」 「후」 「좌」 「우」를,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휴대형 전자기기의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전」 「후」 「좌」 「우」라고 부른다.
도 1과 같이, 제2 박스체(2)의 표면에는, 그 우측부 및 후방 단부에,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커서키(24), 온 후크 조작을 위한 END키(25a), 오프 후크 조작을 위한 TALK키(25b), 홈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홈키(25c), 메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메뉴키(25d), 및 조작을 1단계만 되돌아가기 위한 BACK키(25e)가 배비되어 있다. 여기서, END키(25a) 및 TALK키(25b)는, 메커니컬한 스위치로서, 전면 캐비닛에 형성된 오목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홈키(25c), 메뉴키(25d) 및 BACK키(25e)는, 소프트웨어적인 키로서, 전면 캐비닛에 개설된 관통 구멍을 거쳐서 그 아래의 터치 패널을 조작하는 것이다.
또, 도 2와 같이, 제1 박스체(1)의 배면에는 촬영 렌즈(9)가 배비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박스체(1)의 표면에는, 그 전방 단부에, 4개의 조작키(16a, 16b, 16c, 16d)가 배비되어 있다. 이들 조작키는 소프트웨어적인 키로서, 전면 캐비닛에 개설된 관통 구멍을 거쳐서 그 아래의 터치 패널을 조작하는 것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박스체(1)의 내부에는, 제1 화상 표시면(11)에 면하여 제1 터치 패널(13)과 제1 디스플레이(12)가 배비되고, 촬영 렌즈(9)에 면하여 카메라(91)가 배비되어 있다. 또,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박스체(1)의 내부에는 전지(15)가 수용되고, 당해 전지(15)는, 전지 덮개(14)를 떼어냄으로써 교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박스체(2)의 내부에는, 도 17과 같이 제2 화상 표시면(21)에 면하여 제2 터치 패널(23)과 제2 디스플레이(22)가 배비되어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박스체(1)를 구성하는 전면 캐비닛(1a)의 후방 단부에는, 전면 캐비닛(1a)의 일부가 되는 스테인리스강제의 금속 플레이트(101)가 비스 고정되고, 제2 박스체(2)를 구성하는 전면 캐비닛(2a)의 전방 단부에는, 전면 캐비닛(2a)의 일부가 되는 스테인리스강제의 금속 플레이트(201)가 비스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금속 플레이트(101, 201)는 감합(嵌合) 구조에 의해 고정해도 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 플레이트(101, 201)의 단부와 터치 패널(13, 23)의 단부는, 양면 점착테이프(102, 202)에 의해 서로 부착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형 전자기기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박스체(1)의 표면을 제2 박스체(2)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2)의 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박스체(2)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양 박스체(1, 2)의 표면을 노출시키고 또한 제1 박스체(1)의 표면에 대하여 제2 박스체(2)의 표면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박스체(2)를 후방으로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양 박스체(1, 2)의 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회전운동 전개 상태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박스체(1, 2)의 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상태로 제2 박스체(2)를 제1 박스체(1) 측으로 슬라이드시킨 슬라이드 전개 상태의 4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박스체(1)와 제2 박스체(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 기구(3)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로 늘어나는 아암 연결부(32a)의 양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늘어나는 좌우 한 쌍의 연결 아암(31, 31)을 돌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U자 형상의 연결 부재(32)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 아암(31)은,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에 직교하는 면 상에서 L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L자 형상을 나타내고, 당해 L자 형상의 모서리부에서 서로 교차하는 제1 아암부(35)와 제2 아암부(36)로 구성되어 있다.
우측의 연결 아암(31)의 기단부[제1 아암부(35)의 기단부]는, 스프링 및 캠 기구를 내장한 주지의 힌지 유닛(4)을 개재하여, 제1 박스체(1)의 우측면 후방 단부에 연결되고, 좌측의 연결 아암(31)의 기단부[제1 아암부(35)의 기단부]는, 스프링이나 캠 기구를 내장하지 않는 더미의 힌지 유닛(41)을 개재하여, 제1 박스체(1)의 좌측면 후방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 우측의 연결 아암(31)의 선단부[제2 아암부(36)의 선단부]는, 제1 힌지 부재(5)를 개재하여, 제2 박스체(2)의 배면 우측 단부에 연결되고, 좌측의 연결 아암(31)의 선단부[제2 아암부(36)의 선단부]는, 제2 힌지 부재(51)를 개재하여, 제2 박스체(2)의 배면 좌측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양 힌지 부재(5, 51)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박스체(2)의 등부에 수용되어 있다.
힌지 유닛(4, 41)은 연결 아암(31)의 기단부를 제1 박스체(1)에 연결하는 제1 추축을 구성하는 한편, 힌지 부재(5, 51)는 연결 아암(31)의 선단부를 제2 박스체(2)에 연결하는 제2 추축을 구성하고, 제1 추축과 제2 추축은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제1 박스체(1)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 부품과 제2 박스체(2)에 내장되어 있는 전자 부품은, 플렉시블 리드(7)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당해 플렉시블 리드(7)는, 제2 박스체(2)의 내부로부터 연결 아암(31)의 내부를 거쳐서 제1 박스체(1)의 내부로 늘어나 있고, 그 길이에는, 제1 박스체(1)와 제2 박스체(2)의 상대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여유가 마련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박스체(2)는 제1 박스체(1)에 대하여 도 27(a) 내지 도 27(d) 및 도 28(a) 내지 도 28(c)에 나타내는 일련의 상대 이동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힌지 유닛(4)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틸트 상태에서 제1 박스체(1)에 대하여 연결 부재(32)를 부드럽게 걸어 고정함과 함께, 연결 부재(32)를 틸트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를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또, 힌지 유닛(4)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를 포함하는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연결 부재(32)를 회전운동 전개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를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에서는, 연결 부재(32)가 제1 박스체(1)에 의해 받아들여짐으로써, 연결 부재(32)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의 회전 각도로 유지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힌지 부재(5)에는, 그 회전축(제2 추축)을 중심으로 하여 토션 스프링(6)이 장착되고, 당해 토션 스프링(6)에 의해 제2 박스체(2)를, 도 28(b)에 나타내는 틸트 상태에서의 열림 각도 θ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고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박스체(1)의 양 측면 후단부에는, 연결 부재(32)의 연결 아암(31, 31)의 제1 아암부(35, 35)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03, 103)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박스체(2)의 배면 양측부에는, 연결 부재(32)의 아암 연결부(37)와 제2 아암부(36, 36)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04, 203, 203)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32)의 양측 연결 아암(31, 31)에는 각각, 제2 박스체(2)와 대향부에, 제2 박스체(2)를 받아들이기 위한 받아들임면(33)이 형성됨과 함께, 제2 박스체(2)의 배면 양단부에는 각각, 받아들임면(33)과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슬라이드면(29)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틸트 상태나,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에서는, 도 2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박스체(2)의 슬라이드면(29)이 연결 아암(31)의 받아들임면(33)에 맞닿고, 연결 아암(31)에 대한 제2 박스체(2)의 회전운동이 받아들여져서, 이것에 의해, 틸트 상태나 회전운동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제2 박스체(2)의 연결 아암(31)에 대한 상대 자세가 규정되게 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박스체(2)를 구성하는 배면 패널(28) 상에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가능한 U자 형상의 슬라이드 부재(83)가 배비됨과 함께, 당해 슬라이드 부재(83)를 덮어, U자 형상의 지지 부재(81)가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드 부재(83)의 좌우 양단부에는 지지 아암부(84, 84)가 돌출 설치되고, 각 지지 아암부(84)에는 슬라이딩 가이드부(8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지지 부재(81)의 좌우 양단부에는 슬라이딩부(82, 8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아암부(84, 84)에 장착된 슬라이딩 가이드부(85, 85)가,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81)의 슬라이딩부(82, 82)와 배면 패널(28)의 사이에 협지되고, 배면 패널(28) 상의 슬라이드 부재(83)의 전후 방향의 슬라이드가 안내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아암부(84, 84)에 대하여 제2 박스체(2)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8)가 구성되고, 제2 박스체(2)는, 도 5, 도 6 및 도 21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와, 도 7, 도 8 및 도 22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배면 패널(28) 상에는 마그넷(88)이 설치되는 한편, 슬라이드 부재(83)의 중앙부에는, 도 15와 같이 마그넷(88)을 포위하는 프레임부(89)가 형성되고, 당해 프레임부(89)에는, 마그넷(88)의 전방과 후방에, 도 16과 같이 한 쌍의 돌출편(86, 8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83)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한 쌍의 돌출편(86, 87) 내, 어느 일방의 돌출편이 도 20과 같이 마그넷(88)과 접촉하게 된다.
이 결과, 제2 박스체(2)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전개 상태의 각각에 있어서, 한 쌍의 돌출편(86, 87)의 어느 일방이 마그넷(88)에 흡착되고, 자기흡인력에 의해, 회전운동 전개 상태 혹은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위치가 유지되는 것이다.
회전운동 전개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게 되는 제1 박스체(1)의 후방 단면과 제2 박스체(2)의 전방 단면에는, 도 24(a), 도 2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걸거나 뺄 수 있는 볼록부(10)와 오목부(20)가 형성되어 있고, 도 24(a) 및 도 25(a)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에서는 볼록부(10)와 오목부(20)가 서로 이탈하며, 도 24(b) 및 도 25(b)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서는 볼록부(10)와 오목부(20)가 서로 걸어맞춰지게 된다.
이 결과, 도 24(b) 및 도 25(b)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서는, 볼록부(10)와 오목부(20)의 걸어맞춤에 의해 제1 박스체(1)와 제2 박스체(2)가 서로 연결되고, 제1 화상 표시면(11)과 제2 화상 표시면(21)이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된 상태가 유지된다.
도 24(a) 및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운동 전개 상태에서는, 제1 박스체(1)를 구성하는 금속 플레이트(101)와 제2 박스체(2)를 구성하는 금속 플레이트(201)의 사이에는, 충분한 크기(예를 들면 수 ㎜)의 갭(T)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24(b) 및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서는, 양 금속 플레이트(101, 201)가 서로 맞닿거나 혹은 약간의 거리(예를 들면 0.1㎜)를 두고 대향하게 된다.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 있어서, 도 26에 나타내는 각 부분 치수는, 예를 들면, a : 2.55㎜, b : 0.2㎜, c : 0.05㎜, d : 0.15㎜, e : 1.1㎜, f : 0.3㎜, g : 0.2㎜, h : 0.5㎜, i : 0.05㎜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치수 a는, 캐비닛의 단면으로부터 디스플레이(12, 22)의 화상 표시 에어리어까지의 거리, 치수 b는, 화상 표시면(11, 21)의 가장자리로부터 화상 표시 에어리어까지의 거리, 치수 h는 금속 플레이트(101, 201)의 두께, 치수 i는, 금속 플레이트(101, 201)의 캐비닛 표면으로부터의 떨어뜨림 양이다.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박스체(1)와 제2 박스체(2)가 포개져서 제2 화상 표시면(21)만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2)를 후방으로 이동시켜서 제1 화상 표시면(11)과 제2 화상 표시면(21)의 양방을 노출시키고 또한 제1 화상 표시면(11)에 대하여 제2 화상 표시면(21)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틸트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2)를 후방으로 회전운동시켜서 제1 화상 표시면(11)과 제2 화상 표시면(21)의 양방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회전운동 전개 상태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운동 전개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2)를 제1 박스체(1) 측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 화상 표시면(11)과 제2 화상 표시면(21)을 서로 접근시킨 위치에서 양 화상 표시면(11, 21)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슬라이드 전개 상태의 4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전폐 상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제1 박스체(1)의 수용부(103, 103)에 연결 아암(31, 31)의 제1 아암부(35, 35)가 수용됨과 함께, 제2 박스체(2)의 수용부(204, 203, 203)에는, 연결 부재(32)의 아암 연결부(37)와 제2 아암부(36, 36)가 수용되며, 연결 기구(3)는 양 박스체(1, 2)의 양 측면이나 후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기기 전체가 콤팩트하게 들어가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틸트 상태, 도 5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 및 도 7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전개 상태의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연결 기구(3)는 대략 전체가 양 박스체(1, 2)의 배면 측에 숨겨져 있어, 사용자의 통상의 시선(도 1의 화살표 S)에서는, 연결 기구(3)의 돌출 부분이 보이지 않는다.
도 27(a) 내지 도 27(d) 및 도 28(a) 내지 도 2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를 전폐 상태로부터 틸트 상태 및 회전운동 전개 상태를 거쳐서 슬라이드 전개 상태까지 이행시키는 과정에서, 도 27(a)에 나타내는 전폐 상태로 제2 박스체(2)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약간 이동시키면, 그 후에는 이 도면 (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토션 스프링(6)의 가압에 의해, 제2 박스체(2)는 파선의 화살표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연결 아암(31)은 실선의 화살표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제2 박스체(2)는 제2 화상 표시면(21)을 상방 혹은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한 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27(d)의 상태를 조금 지난 시점에서, 상기 힌지 유닛(4)의 가압에 의해, 연결 아암(31)은 도 28(a)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이 도면 (b)와 같이 틸트 상태의 회전 각도로 부드럽게 걸려 고정된다. 또, 제2 박스체(2)는 상기 토션 스프링(6)의 가압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기 슬라이드면(29)이 연결 아암(31)의 받아들임면(33)에 맞닿음으로써, 도 28(b)에 나타내는 틸트 상태의 자세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27(a)에 나타내는 전폐 상태에서 제2 박스체(2)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약간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그 후에는 도 28(b)에 나타내는 틸트 상태까지 자동적으로 제2 박스체(2)가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8(b)에 나타내는 틸트 상태로 제2 박스체(2)를 후방으로 가압하여, 연결 아암(31)을 약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후에는, 제2 박스체(2)의 슬라이드면(29)이 연결 아암(31)의 받아들임면(33)에 맞닿은 채, 연결 아암(31)이 상기 힌지 유닛(4)의 가압에 의해 도 28(c)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의 회전 각도까지 회전하고, 이 회전 각도로 제1 박스체(1)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이 연결 아암(31)의 회전에 수반하여 제2 박스체(2)는 후방을 향하여 회전운동하고, 최종적으로 제1 화상 표시면(11)과 제2 화상 표시면(21)이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된다.
또한, 도 28(c)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전개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2)를 제1 박스체(1) 측으로 끌어당기면, 도 23(a),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박스체(2)의 슬라이드면(29)이 연결 아암(31)의 받아들임면(33) 위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제2 박스체(2)는 도 28(d)에 나타내는 슬라이드 전개 위치까지 수평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제1 박스체(1)와 맞닿는다.
이 결과,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화상 표시면(11)과 제2 화상 표시면(21)이 서로 접근하여, 양 화상 표시면(11, 21)에 의해 1개의 큰 화면이 형성되게 된다.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서는, 도 24(b)와 같이 제1 박스체(1)의 볼록부(10)와 제2 박스체(2)의 오목부(20)가 서로 걸어맞춰서 양 박스체(1, 2)가 연결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제2 화상 표시면(21)을 강하게 터치 조작하였다고 해도, 제2 박스체(2)는 제1 박스체(1)에 대하여 일정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도 26과 같은 슬라이드 전개 상태에서는 양 박스체(1, 2)의 금속 플레이트(101, 201)끼리 서로 대향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금속 플레이트(101, 201)를 채용하지 않고 합성수지제의 캐비닛끼리를 서로 대향시키는 일반적인 구조와 비교하여, 합성수지제의 캐비닛의 두께(1.2㎜×2)와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0.5㎜×2)의 차이(1.4㎜)만큼, 제1 디스플레이(12)와 제2 디스플레이(22)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또,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는, 도 29(a)와 같이 틸트 상태로 탁상에 둔 경우나, 도 29(b)와 같이 슬라이드 전개 상태로 탁상에 둔 경우, 연결 아암(31)의 모서리부가 제1 박스체(1)의 배면보다 돌출되어, 제1 박스체(1)의 전방 단부와 연결 아암(31)의 모서리부가 접지되게 된다.
여기서, 어느 상태에서도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아암(31)의 접지점보다 제1 박스체(1) 측에 중심 G가 오도록, 제1 박스체(1)와 제2 박스체(2)에 대한 부품의 배치나 연결 아암(31)의 L자 형상이 설계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양 박스체(1, 2)의 자세의 안정화가 도모되어 있다.
따라서, 도 29(a)와 같이 틸트 상태로 탁상에 둔 경우에는, 예를 들면 후방의 제2 박스체(2)의 디스플레이(12)를 보면서 전방의 제1 박스체(1)의 터치 패널(13)을 조작할 수 있다.
또, 도 29(b)와 같이 슬라이드 전개 상태로 탁상에 둔 경우에는, 연결 아암(31)의 모서리부의 돌출량에 따라, 양 화상 표시면(11, 21)이 약간 사용자 측으로 향한 자세가 되고, 예를 들면 양 화상 표시면(11, 21)에 의해 1개의 화면을 형성하여, 큰 화면에 의한 화상의 감상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양 화상 표시면(11, 21)은 서로 충분히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양 화상 표시면(11, 21)에는 거의 끊어지지 않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1 : 제1 박스체 11 : 제1 화상 표시면
2 : 제2 박스체 21 : 제2 화상 표시면
29 : 슬라이드면 3 : 연결 기구
31 : 연결 아암 35 : 제1 아암부
36 : 제2 아암부 33 : 받아들임면
4 : 힌지 유닛 5 : 힌지 부재
6 : 토션 스프링 7 : 플렉시블 리드
8 : 슬라이드 기구 83 : 슬라이드 부재
88 : 마그넷 101 : 금속 플레이트
201 : 금속 플레이트

Claims (15)

  1.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며, 양 박스체가 서로 포개진 전폐 상태와, 상기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키고 또한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에 대하여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정렬시킨 전개 상태의 3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폐 상태, 틸트 상태 및 전개 상태의 각각으로, 제1 박스체에 대한 제2 박스체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형 전자기기.
  2.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는,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키고 또한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에 대하여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당해 틸트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폐 상태, 틸트 상태 및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상태를 이행시키는 상태 이행 수단을 구비하고, 당해 상태 이행 수단은, 틸트 상태에서 제1 박스체에 대한 제2 박스체의 자세를 부드럽게 걸어 고정함과 함께, 전개 상태에서 제2 박스체의 단부를 제1 박스체의 단부에 걸거나 뺄 수 있게 걸어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3.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기단부가 제1 추축에 의해 제1 박스체에 연결됨과 함께, 선단부가 상기 제1 추축과 평행한 제2 추축에 의해 제2 박스체에 연결되고,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키고 또한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에 대하여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90도 이상, 180도 미만의 열림 각도로 경사지게 한 틸트 상태와, 당해 틸트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양 박스체를 서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아암과,
    상기 제2 추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 아암에 대하여 제2 박스체를 일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상기 연결 아암 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 수단에 의한 회전 가압에 저항하여 제2 박스체를 틸트 상태의 경사 각도로 받아들이는 받아들임 수단과,
    상기 제1 추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 아암이 틸트 상태의 회전 각도까지 회전하였을 때, 당해 회전 각도로 상기 연결 아암을 부드럽게 걸어 고정하는 소프트 로킹 수단과,
    상기 제1 추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결 아암이 전개 상태의 회전 각도까지 회전하고,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이 동일 평면 상에 정렬된 상태에서, 제2 박스체의 단부를 제1 박스체의 단부에 걸거나 뺄 수 있게 걸어맞추게 하는 걸어맞춤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아암은, 제1 박스체 및 제2 박스체의 좌우 양단부에 각각 배비되고, 각 연결 아암은, 기단부가 제1 추축에 의해 제1 박스체의 측부에 연결됨과 함께, 선단부가 제2 추축에 의해 제2 박스체의 등부에 연결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제2 박스체를, 틸트 상태에서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의 열림 각도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압하는 것인 휴대형 전자기기.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아들임 수단은, 연결 아암의 기단부와 선단부 사이에 형성되어서 틸트 상태에서 제2 박스체의 배면의 일부가 맞닿을 수 있는 받아들임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 로킹 수단은, 제1 박스체에 대하여, 연결 아암을 틸트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를 중심으로 하는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상태에서의 회전 각도를 향하여 가압하는 힌지 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8.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적어도 2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전폐 상태와 전개 상태의 사이에서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를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어느 일방 혹은 양방의 박스체에는, 전폐 자세에서 상기 연결 아암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9.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적어도 2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양 박스체의 연결 방향과는 직교하는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배비된 한 쌍의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각 연결 아암은,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과 교차하는 면 상에서 L자 형상으로 굴곡하는 L자 형상을 나타내며, 당해 L자 형상의 모서리부에서 교차하는 제1 아암부와 제2 아암부를 가지고, 제1 아암부의 단부가 제1 추축에 의해 제1 박스체에 연결됨과 함께, 제2 아암부의 단부가 상기 제1 추축과 평행한 제2 추축에 의해 제2 박스체에 연결되며,
    제1 박스체의 양 측면 후단부에는, 전폐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 아암의 제1 아암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됨과 함께, 제2 박스체의 배면 양측부에는, 전폐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연결 아암의 제2 아암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 아암의 모서리부끼리가 아암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일체의 연결 부재가 구성되어 있으며, 제2 박스체의 배면 후단부에는, 전폐 상태에서 상기 아암 연결부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11.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가 연결 기구를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고, 양 박스체의 표면에는 각각 화상 표시면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제2 박스체의 이면에 의해 덮음과 함께 제2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노출시킨 전폐 상태와, 당해 전폐 상태로부터 제2 박스체를 이동시켜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의 적어도 2개의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형 전자기기에 있어서, 양 박스체의 화상 표시면을 동일 평면 상에 노출시킨 전개 상태에서 제2 박스체를 제1 박스체 측으로 슬라이드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상기 연결 기구와 제2 박스체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기구는, 기단부가 제1 추축에 의해 제1 박스체에 연결됨과 함께, 선단부가 상기 제1 추축과 평행한 제2 추축에 의해 제2 박스체에 연결된 연결 아암을 구비하고, 당해 연결 아암은, 전폐 상태의 회전 각도와 전개 상태의 회전 각도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슬라이드 기구는, 제2 박스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비된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고, 당해 슬라이드 부재에 연결 아암의 선단부가 피벗되며, 연결 아암과 제2 박스체에는, 전개 상태에서 서로 슬라이딩 접촉할 수 있는 받아들임면과 슬라이드면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드하는 과정에서, 제2 박스체의 슬라이드면이 연결 아암의 받아들임면 위를 슬라이딩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박스체와 제2 박스체를 구성하는 캐비닛 벽의 안, 전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서로 접근하거나 이간할 수 있는 2개의 단면 벽이 각각, 금속제의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 상태로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한 슬라이드에 수반하여 서로 접근하거나 이간할 수 있는 양 박스체의 대향부에, 서로 걸거나 뺄 수 있는 걸어맞춤 기구가 더 설치되어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KR1020127007841A 2009-09-28 2010-09-24 휴대형 전자기기 KR101442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22557A JP5199210B2 (ja) 2009-09-28 2009-09-28 携帯型電子機器
JP2009222559A JP5199211B2 (ja) 2009-09-28 2009-09-28 携帯型電子機器
JP2009222556A JP5097185B2 (ja) 2009-09-28 2009-09-28 携帯型電子機器
JPJP-P-2009-222559 2009-09-28
JPJP-P-2009-222556 2009-09-28
JPJP-P-2009-222557 2009-09-28
PCT/JP2010/066525 WO2011037176A1 (ja) 2009-09-28 2010-09-24 携帯型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182A true KR20120080182A (ko) 2012-07-16
KR101442665B1 KR101442665B1 (ko) 2014-09-22

Family

ID=4379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7841A KR101442665B1 (ko) 2009-09-28 2010-09-24 휴대형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85331B2 (ko)
KR (1) KR101442665B1 (ko)
CN (1) CN202548694U (ko)
WO (1) WO20110371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08A1 (ko) * 2016-09-21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9775A (zh) * 2012-05-07 2013-11-1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N103576753B (zh) * 2012-08-06 2016-09-07 安捷资讯科技(苏州)有限公司 平板电脑连杆机构
CN103093981B (zh) * 2013-01-18 2015-06-17 罗格朗(北京)电气有限公司 盖板结构
US8738101B1 (en) 2013-02-06 2014-05-27 Makor Issues And Rights Ltd. Smartphone-tablet hybrid device
KR102633904B1 (ko) * 2013-04-24 2024-02-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TWI476501B (zh) * 2013-06-18 2015-03-11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影像擷取裝置及方法
CN103533223A (zh) * 2013-10-21 2014-01-22 明基电通有限公司 可携式电子装置
TWI507854B (zh) * 2014-01-15 2015-11-11 Wistron Corp 具可調整角度承載座之保護殼
JP6391361B2 (ja) * 2014-08-21 2018-09-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869192B (zh) * 2015-05-06 2018-10-26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TWI664891B (zh) * 2017-05-24 2019-07-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支撐件的電子裝置
WO2020048230A1 (zh) * 2018-09-06 2020-03-1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主机端
CN109857201A (zh) * 2019-03-31 2019-06-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连接装置
US20220326741A1 (en) * 2021-04-07 2022-10-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 display panels
CN116820191B (zh) * 2023-08-30 2023-12-01 荣耀终端有限公司 铰链机构及折叠屏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44464B2 (ja) * 1989-04-11 1999-01-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
JP2549003B2 (ja) * 1990-07-03 1996-10-30 シャープ株式会社 手帳型電子機器
JP3222764B2 (ja) 1996-05-17 2001-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5847698A (en) * 1996-09-17 1998-12-08 Dataventures, Inc. Electronic book device
JP3105832B2 (ja) * 1997-06-30 2000-11-06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00841306B1 (ko) 2002-12-26 2008-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디스플레이를 갖는 폴더형 단말기
WO2005020046A1 (ja) 2003-08-21 2005-03-03 Alps Electric Co., Ltd. 電子機器
US6961234B2 (en) 2003-09-04 2005-11-01 Kabushiki Kaisha Toshiba Display support mechanism
JP2005108201A (ja) 2003-09-12 2005-04-21 Makoto Kida ヒンジ機構及びそれを備える上扉開閉式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JP4466826B2 (ja) 2003-12-10 2010-05-26 株式会社アマチ 携帯型電話機
KR20050081289A (ko)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형 표시 장치
EP1589728B1 (en) 2004-04-22 2007-12-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 transformable communication device
WO2005119404A1 (en) * 2004-06-01 2005-12-15 Beech Technology Incorporated Portable, folding and separable multi-display computing system
JP4546304B2 (ja) * 2005-03-25 2010-09-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4655772B2 (ja) 2005-06-21 2011-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20070268264A1 (en) * 2006-05-16 2007-11-22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
JP5009099B2 (ja) 2007-08-30 2012-08-22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情報端末
JP4729545B2 (ja) 2007-09-13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機
CN101388918B (zh) * 2007-09-14 2013-10-09 京瓷株式会社 电子设备
KR20090036191A (ko) * 2007-10-09 2009-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디스플레이장치 및 이를 채용한 멀티디스플레이장치
JP2009104242A (ja) 2007-10-19 2009-05-14 Toshiba Corp 電子機器
US20090170574A1 (en) * 2007-12-28 2009-07-02 Motorola Inc Methods and slider form factor devices with contiguous surfaces when open
US8265719B2 (en) 2008-03-04 2012-09-11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Link mechanism
WO2010022796A1 (en) * 2008-08-29 2010-03-04 Nokia Corporation Device with auto-slide keypa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56508A1 (ko) * 2016-09-21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0578900B2 (en) 2016-09-21 2020-03-03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548694U (zh) 2012-11-21
US20120188726A1 (en) 2012-07-26
KR101442665B1 (ko) 2014-09-22
US8885331B2 (en) 2014-11-11
WO2011037176A1 (ja) 201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0182A (ko) 휴대형 전자기기
WO2011065472A1 (ja) 携帯型電子機器
US7565185B2 (en) Three-axial rotation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9071588A (ja) 携帯通信端末機
WO2012108325A1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7189541A (ja) 折畳み式携帯機器
JP5111355B2 (ja) 開閉式小型電子機器
JP5324171B2 (ja) スライド式小型電子機器
WO2012086506A1 (ja) 携帯型電子機器
JP4633849B1 (ja) 携帯型電子機器
JP519921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46693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097185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466931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199211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2156768A (ja) 携帯型電子機器
JP5094945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566273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2093955A (ja) 携帯型電子機器
JP5730600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2114799A (ja) 携帯型電子機器
JP5730599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5730598B2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2134734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12134735A (ja) 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