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391A -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 Google Patents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391A
KR20120075391A KR1020110142173A KR20110142173A KR20120075391A KR 20120075391 A KR20120075391 A KR 20120075391A KR 1020110142173 A KR1020110142173 A KR 1020110142173A KR 20110142173 A KR20110142173 A KR 20110142173A KR 20120075391 A KR20120075391 A KR 201200753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intermediate wiring
brush holder
opening
gea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아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3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9/00Motors or generators having non-mechanical commutating devices, e.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Abstract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는 요크 하우징, 기어 하우징 및 양 하우징들이 서로 마주보는 양 개구부들을 폐쇄하는 브러시 홀더를 구비한다. 해당 브러시 홀더는 해당 요크 하우징의 개구부내에 감합되는 요크측 감합벽과 해당 기어 하우징의 개구부내에 감합되는 기어측 감합벽을 구비한다. 해당 브러시 홀더에는 해당 기어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부에서 해당 브러시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이 배치되어 있다. 해당 터미널은 해당 커넥터부에 배치되는 접촉 단자부와 해당 브러시 홀더를 관통하여 해당 브러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선부와 해당 접촉 단자부에서 해당 인출선부까지 연장되는 중간 배선부를 구비한다. 해당 중간 배선부는 한 쌍의 폭이 넓은 면을 가지며, 한쪽의 폭이 넓은 면이 해당 기어측 및 요크측 감합벽 중 적어도 기어측 감합벽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중간 배선부가 동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Description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BRUSH MOTOR WITH SPEED REDUCER}
본 발명은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감속기 부착 모터가 알려져 있어 자동차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속기 부착 모터로는 브러시와 정류자를 통하여 회전자에 전류를 공급하여 모터를 구동하는, 즉 브러시가 부착된 모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감속기 및 브러시가 부착된 모터에는 정류자의 각 세그먼트에 슬라이딩 콘택되는 브러시를 지지하는 브러시 홀더가 모터 본체와 감속기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모터에서는, 모터를 다용도로 대응시키기 위해 브러시에 연결된 피그테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을 금형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브러시 홀더를 성형하는 인서트 성형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터미널이 브러시 홀더와 일체화되어 있다.
그러나 인서트 성형을 위한 금형 설계 및 동(同) 금형을 사용한 인서트 사출 성형은 고도의 설계 기술 및 많은 고도의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모터의 생산 효율이 저하된다. 게다가 규격 외의 제품이 발생하기 쉬워 제품의 수율이 나빠져서 원가가 높아진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9-03395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에 의해 터미널이 브러시 홀더에 지지되도록 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요크 하우징, 기어 하우징 및 양 하우징들의 서로 마주보는 양 개구부들을 폐쇄하는 브러시 홀더를 구비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가 제공된다. 해당 요크 하우징 내에는 정류자가 배치되어 있으며, 해당 정류자는 세그먼트를 가진다. 해당 브러시 홀더는 해당 세그먼트와 슬라이딩 콘택되는 브러시를 지지하고, 해당 브러시 홀더에는 해당 기어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부에서 해당 브러시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이 배치되어 있다. 해당 브러시 홀더는 해당 요크 하우징과 해당 기어 하우징에 의해 협지되면서, 해당 요크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 감합되는 요크측 감합벽과 해당 기어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 감합되는 기어측 감합벽을 구비한다. 해당 터미널은 해당 커넥터부에 배치되는 접촉 단자부와 해당 브러시 홀더를 관통하여 해당 브러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선부와 해당 접촉단자부에서 해당 인출선부까지 연장되는 중간 배선부를 구비한다. 해당 중간 배선부는 한 쌍의 폭이 넓은 면을 가지며, 한쪽의 폭이 넓은 면이 해당 기어측 및 요크측 감합벽 중 적어도 기어측 감합벽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중간 배선부가 상기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터미널을 브러시 홀더에 장착할 때, 해당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를 각각 세로로 배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을 간단히 상기 브러시 홀더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가 제1 및 제2 감합벽의 내측면과 제1 내지 제5 협지편 사이에서 협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을 상기 브러시 홀더에 대하여 덜걱거리는 일없이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이 상기 브러시 홀더와는 별체이며, 상기 브러시 홀더에 대하여 장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고도의 기술 및 고가의 금형을 필요로 하는 인서터 성형으로 상기 브러시 홀더에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을 일체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간단하고 낮은 가격으로 브러시 모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5 협지편으로 상기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를 협지하기 때문에, 부품 성형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 재료를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브러시 홀더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의 폭이 넓은 면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였으므로,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이 점유하는 면적이 상기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의 폭이 좁은 면의 면적만큼 되어,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을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의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를 각각 세로로 배치하기 때문에, 전원 플러그를 뽑고 꽂음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의 내저부에는 이탈 방지 돌기가 형성되므로, 암플러그형의 전원 플러그를 커넥터부의 삽입구에서 뽑았을 때, 플러그를 뽑음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이 기어 하우징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플러그형의 전원 플러그를 커넥터부의 삽입구에 꽂을 때, 플러그를 꽂음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의 폭이 좁은 면을 통하여 상기 외측 덮개부의 제2 바닥 기판이 막아내므로, 전원 플러그를 꽂을 때에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이 요크 하우징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이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되는 다음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 및 이점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하기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의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요크 하우징과 기어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브러시 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브러시 홀더와 요크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기어 하우징의 개구부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를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1)는, 예를 들면 차량에 탑재된 와이퍼 장치(도시되지 않음)의 구동원으로 이용되며, 모터 본체(2)와 모터 본체(2)의 회전을 감속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 본체(2)의 토크를 증대시켜 상기 와이퍼 장치에 전달하는 감속기(3)를 구비한다.
모터 본체(2)의 요크 하우징(4)은 도전성 금속 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바닥부를 갖는 통(筒)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크 하우징(4)의 개구부(4a)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4b)가 형성되며, 감속기(3)의 기어 하우징(6)의 개구부(6a)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지(6b)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플런지(4b)가 플런지(6b)에 볼트(B)로 연결 고정된다. 요크 하우징(4)의 개구부(4a)에는 브러시 홀더(5)가 상기 개구부(4a)를 폐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브러시 홀더(5)는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5)이 볼트(B)로 연결 고정될 때 플런지들(4b, 6b) 사이에 협지 고정된다.
요크 하우징(4)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마그넷(MG)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서로 마주보는 마그넷(MG)이 둘러싸는 공간에는 회전자(7)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회전자(7)에는 회전축(8)이 고착(固着)되어 있으며, 회전축(8)의 기단부(基端部)는 요크 하우징(4)의 내저부(內底部)에 마련된 베어링(9a)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8)의 선단부(先端部)는 기어 하우징(6) 내로 돌출되면서 브러시 홀더(5)의 중앙 위치에 부착된 베어링(9b)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브러시 홀더(5)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크 하우징(4)에 형성된 개구부(4a)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내측 덮개부(11)와 내측 덮개부(11)에서 연장되는 외측 덮개부(12)를 구비한다. 내측 덮개부(11)는 상기 개구부(4a) 안쪽으로 끼워지며, 외측 덮개부(12)는 기어 하우징(6)에 형성된 개구부(6a) 일부에 안쪽으로 끼워진다.
내측 덮개부(11)는 요크 하우징(4)의 개구부(4a)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한 제1 바닥 기판(11a)과 이러한 제1 바닥 기판(11a)의 외주부로부터 요크 하우징(4) 및 기어 하우징(6)을 향하여 연장된 제1 감합벽(嵌合壁)(11b, 요크측 감합벽)을 구비한다. 즉, 제1 감합벽(11b)은 제1 바닥 기판(11a)의 외주부와 같은 형상의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이다. 내측 덮개부(11)는 이러한 제1 감합벽(11b)이 요크 하우징(4)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요크 하우징(4)의 개구부(4a) 내에 감합된다. 이에 따라, 제1 바닥 기판(11a)이 개구부(4a)를 폐쇄한다.
제1 바닥 기판(11a)의 중앙 위치에는 회전축(8)의 선단부(先端部)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9b)이 마련되어 있다. 제1 감합벽(11b)의 외측 덮개부(12)가 형성된 부분과는 반대 부분에서 스토퍼 편(片)(11c)이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스토퍼 편(11c)과 제2 바닥 기판(12a)이 요크 하우징(4)의 플런지(4b)에 맞닿고, 이에 의해 브러시 홀더(5)가 그 이상 요크 하우징(4) 내로 삽입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감합벽(11b)의 선단면에 있어서, 회전축(8)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 한 쌍의 점대칭 위치에는 바닥면을 갖는 감합 구멍(14a)을 그 선단에 갖는 위치 결정 바(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위치 결정 바(14)는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을 연결할 때, 기어 하우징(6)의 개구부(6a)에 관통하여 삽입되어 요크 하우징에 대하여 기어 하우징(6)을 위치 결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닥 기판(11a)의 요크 하우징(4)에 대향하는 측면(11d)에는 제1 및 제2 브러시(B1, B2)를 각각 수용하는 브러시 수용부(15)가 마련되어 있다. 브러시 수용부(15)에 수용된 제1 및 제2 브러시(B1, B2)는 회전자(7)에 마련된 정류자(7a)의 세그먼트(SG)와 각각 슬라이딩 콘택되어 이와 같은 세그먼트(SG)에 전류를 공급한다.
제1 감합벽(11b)에서 지름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바닥 기판(12a)은 지름 방향으로 장변을 갖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바닥 기판(12a)의 제1 감합벽(11b) 근처 부분을 제외한 외주부에는, 기어 하우징(6)을 향하여 "ㄷ"자 형상의 제2 감합벽(12b, 기어측 감합벽)이 연장되어 있다. 외측 덮개부(12)는, 이러한 제2 감합벽(12b)이 기어 하우징(6) 내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기어 하우징(6)의 개구부(6a) 내에 감합된다.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이 형성된 브러시 홀더(5)에는 기어 하우징(6)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터미널(T1)은 동판(銅版)을 프레스기로 형상을 떠내어 절곡기로 절곡하여 성형한다. 제1 터미널(T1)의 선단부(先端部)에는 기어 하우징(6)측으로 연장되는 제1 접촉 단자부(T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터미널(T1)의 기단부(基端部)에는 내측 덮개부(11)의 제1 바닥 기판(11a)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20)을 관통하여 제1 브러시(B1)의 피그테일(PT1)에 접속되는 제1 인출선부(T1b)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가 제1 접촉 단자부(T1a)와 제1 인출선부(T1b)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는 제1 접촉 단자부(T1a)와 제1 인출선부(T1b) 사이에서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 측의 폭이 넓은 면(S1a)이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의 내측면(11e, 12e)에 맞닿도록 굴곡하여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의 내측면(11e, 12e)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제2 바닥 기판(12a)에서는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의 제1 접촉 단자부(T1a) 근방에서부터 제1 협지편(21, 협지 부재)이 기어 하우징(6)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바닥 기판(12a)에서는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의 제1 인출선부(T1b) 근방에서부터 제2 협지편(22, 협지 부재)이 기어 하우징(6)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협지편(21, 22)은,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의 내측면(11e, 12e)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제1 및 제2 협지편(21, 22)은 대응하는 내측면(11e, 12e)과 함께 작용하여,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를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의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측의 폭이 넓은 면(S1a) 및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과는 반대측의 폭이 넓은 면(S1b)에서 협지 고정하며, 이에 따라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의 덜걱거림을 억제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제2 바닥 기판(12a)의 제2 감합벽(12b)의 제1 감합벽(11b) 근방의 위치에는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를 따라 제3 협지편(23, 협지 부재)이 기어 하우징(6)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3 협지편(23)은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2e)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3 협지편(23)은 내측면(12e)과 함께 작용하여,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를 이 폭이 넓은 두 면(S1a, S1b)에서 협지 고정하고, 이에 따라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의 덜걱거림을 억제한다.
제2 터미널(T2)은 동판(銅版)을 프레스기로 형상을 떠내고, 절곡기로 절곡하여 성형된다. 제2 터미널(T2)의 선단부(先端部)에는 기어 하우징(6)측으로 연장되는 제2 접촉 단자부(T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 터미널(T2)의 기단부(基端部)에는 내측 덮개부(11)의 제1 바닥 기판(11a)에 형성된 제2 관통 구멍(30)을 관통하여 제2 브러시(B2)의 피그테일(PT2)에 접속되는 제2 인출선부(T2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가 제2 접촉 단자부(T2a)와 제2 인출선부(T2b)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는 제2 접촉 단자부(T2a)와 제2 인출선부(T2b) 사이에서 제2 감합벽(12b)측의 폭이 넓은 면(S2a)이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2e)에 맞닿도록, 상기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2e)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2 바닥 기판(12a)에서는,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의 제2 접촉 단자부(T2a) 근방에서부터 제4 협지편(31, 협지 부재)이 기어 하우징(6)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협지편(31)은,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2e)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4 협지편(31)은 내측면(12e)과 함께 작용하여,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를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의 제2 감합벽(12b)측의 폭이 넓은 면(S2a) 및 제2 감합벽(12b)과는 반대측의 폭이 넓은 면(S2b)에서 협지 고정하고, 이에 의해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의 덜걱거림을 억제한다.
제2 바닥 기판(12a)에서는 제2 감합벽(12b)의 제1 감합벽(11b) 근방의 위치에서부터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를 따라 제5 협지편(32, 협지 부재)이 기어 하우징(6)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5 협지편(32)은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2e)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제5 협지편(32)은 내측면(12e)과 함께 작용하여,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를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의 폭이 넓은 두 면(S2a, S2b)에서 협지 고정하고, 이에 따라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의 덜걱거림을 억제한다.
제2 감합벽(12b)의 제1 및 제2 접촉 단자부(T1a, T2a)를 외측에서부터 지지하는 부분에는 제2 감합벽(12b)을 따라 외측 감합벽(40)이 연장되어 있다. 외측 감합벽(40)과 그 외측 감합벽(40)에 연결되는 내측면에는 제1 접촉 단자부(T1a, 제1 터미널(T1))와 제2 접촉 단자부(T2a, 제2 터미널(T2))를 구획하는 구획벽(41)이 형성되어 있다. 구획벽(41)의 선단에는 제1 접촉 단자부(T1a) 및 제2 접촉 단자부(T2a)를 내측에서 양 측방을 향하여 지지하는 내측 감합벽(42)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6)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기어 하우징(6)은 내측 덮개부(11) 및 외측 덮개부(12)에 형성된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의 외형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양 감합벽(11b, 12b)과 제1 감합벽(11b)에 형성된 스토퍼편(11c)을 내포하기 위해 형성된 개구부(6a)를 구비한다.
여기서, 기어 하우징(6)의 개구부(6a)는 브러시 홀더(5)의 내측 덮개부(11)와 대응하는 부분에 있는 내측 덮개 대향 개구부(H1)와 브러시 홀더(5)의 외측 덮개부(12)와 대응하는 부분에 있는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 커넥터부측 개구부)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 하우징(6)의 개구부(6a)의 선단 개구면(61)은 요크 하우징(4)의 플런지(4b)와 맞닿는 평면을 이룬다.
내측 덮개 대향 개구부(H1)에 연결되는 기어 하우징(6) 내에는 감속 기어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에 연결되는 기어 하우징(6) 내에는 전원 플러그(도시되지 않음)가 꽂히는 통형상의 커넥터부(60)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6)은 브러시 홀더(5)로부터 돌출된 회전축(8), 돌출된 회전축(8)에 연결된 워엄축(62) 및 워엄축(62)에 맞물리는 워엄휠(63) 등이 형성된 감속 기어 기구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6) 내에는 워엄축(62)의 기단부(基端部) 및 선단부(先端部)를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64a, 64b)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워엄축(62)과 맞물리는 워엄휠(63)의 축 중심에는, 출력축(65)이 마련되어 있다. 기어 하우징(6)에 수용된 감속 기어 기구는 그 출력축(65)으로부터 회전축(8)의 회전을 감속하여 출력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덮개 대향 개구부(H1)의 내저면에 있어서, 워엄축(6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한 쌍의 점대칭 위치에는 위치 결정 돌기(68)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68)는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을 연결할 때, 브러시 홀더(5)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결정 바(14)의 감합 구멍(14a)에 감합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위치 결정 바(14)의 감합 구멍(14a)에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68)를 감입(嵌入)시킴으로써,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은 지름 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 바(14)의 감합 구멍(14a)에 위치 결정 돌기(68)를 감입시켰을 때, 감합 구멍(14a)의 상기 바닥면에 위치 결정 돌기(68)의 선단면이 맞닿는다. 이에 따라,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은 축 방향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내측 덮개 대향 개구부(H1)의 일단에는 내측 덮개부(11)의 제1 감합벽(11b)에 형성된 스토퍼편(11c)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H1a)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편(11c)은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이 연결될 때, 수용 오목부(H1a)에 수용된다. 위치 결정 바(14) 및 위치 결정 돌기(68)에 의한 감입에 더하여 수용 오목부(H1a)의 내저면에 스토퍼편(11c)의 기어 하우징(6)의 면이 맞닿는 것에 의해서도,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은 축 방향에 대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이 위치 결정으로 연결되면,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의 내측면에 외측 덮개부(12)가 감입되며, 이에 의해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는 외측 덮개부(12)에 의해 폐쇄된다.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의 내저부에는 한 쌍의 관통 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이 위치 결정으로 연결되었을 때, 브러시 홀더(5)에 부착된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의 제1 및 제2 접촉 단자부(T1a, T2a)가 상기 한 쌍의 관통 구멍(69)을 통하여 통 형상의 커넥터부(60)의 삽입구(60a)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접촉 단자부(T1a, T2a)가 상기 커넥터부에 배치된다. 삽입구(60a)로 돌출된 제1 및 제2 접촉 단자부(T1a, T2a)는 암플러그형의 전원 플러그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되며 모터 본체(2)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력이 인가된다.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의 내저부에는 외측 덮개 외향 개구부(H2)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 쌍의 이탈 방지 돌기(70, 이탈 방지 부재)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이탈 방지 돌기(70)는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에 외측 덮개부(12)가 감합되었을 때,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의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의 폭이 좁은 면, 즉 폭이 넓은 면(S1a, S1b 또는 S2a, S2b)을 연결하는 면으로 기어 하우징(6)에 대향하는 면과 각각 대치된다. 이탈 방지 돌기(70)는 요크 하우징(4, 모터 본체(2))에서 기어 하우징(6, 감속기(3))을 분리했을 때,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이 기어 하우징(6)에 남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기능을 한다. 즉, 이탈 방지 돌기(70)는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가 브러시 홀더(5)에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와 계합이 가능하다. 또한, 이탈 방지 돌기(70)는 암플러그형의 전원 플러그를 커넥터부(60)의 삽입구(60a)에서 뽑았을 때, 암플러그형의 전원플러그를 뽑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이 필요 이상으로 기어 하우징(6)을 향하여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해 기능한다.
기어 하우징(6)의 개구부(6a)의 외주부에는 개구부(6a)의 선단 개구면(61)에 대하여 약간 오목한 단차면이 형성되어 있다. 해당 단차면에는 요크 하우징(4)의 플랜지(4b)에 형성된 볼트 삽입 구멍(71)과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나사 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요크 하우징(4)에 기어 하우징(6)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제1 터미널(T1)에 대하여 상기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의 폭이 넓은 면(S1a)을 제1 및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1e, 12e)에 맞닿도록 하면서, 제1 인출선부(T1b)를 제1 바닥 기판(11a)에 형성된 제1 관통 구멍(20)에 삽입하여 통과시키고, 제1 접촉 단자부(T1a)를 외측 감합벽(40), 구획벽(41) 및 내측 감합벽(42)으로 구획 지어진 공간에 배치한다.
이에 따라,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의 폭이 넓은 양면(S1a, S1b)은 제1 내지 제3 협지편(21, 22, 23)과 제1 및 제2 감합벽(11b, 12b) 사이에서 협지 고정되며, 브러시 홀더(5)로의 제1 터미널(T1)의 부착은 종료된다.
제2 터미널(T2)에 대하여 해당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의 폭이 넓은 면(S2a)을 제1 및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1e, 12e)에 맞닿게 하면서, 제2 인출선부(T2b)를 제1 바닥 기판(11a)에 형성된 제2 관통 구멍(30)에 삽입하여 통과시키고, 제2 접촉 단자부(T2a)를 외측 감합벽(40), 구획벽(41) 및 내측 감합벽(42)으로 구획 지어진 공간에 배치한다.
이에 의하여,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의 폭이 넓은 양면(S2a, S2b)은 제4 및 제5 협지편(31, 32)과, 제2 감합벽(12b) 사이에서 협지 고정되고, 브러시 홀더(5)로의 제2 터미널(T2)의 부착은 종료된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이 장착된 브러시 홀더(5)는 요크 하우징(4)에 감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회전자(7)에 장착된다.
이때, 회전자(7)에 고착(固着)된 회전축(8)의 선단에 부착된 베어링(9b)이 브러시 홀더(5)의 베어링 구멍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이어서, 제1 바닥 기판(11a)의 요크 하우징(4)에 대향하는 측면(11d)에 마련된 브러시 수용부(15)에 제1 및 제2 브러시(B1, B2)가 각각 수용되며, 정류자(7a)의 세그먼트(SG)와 맞닿게 한다. 이어서, 제1 바닥 기판(11a)의 제1 관통 구멍(20)을 관통한 제1 터미널(T1)의 제1 인출선부(T1b)를 제1 브러시(B1)의 피그테일(PT1)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동일하게, 제1 바닥 기판(11a)의 제2 관통 구멍(30)을 관통한 제2 터미널(T2)의 제2 인출선부(T2b)를 제2 브러시(B2)의 피그테일(PT2)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브러시 홀더(5)를 부착한 회전자(7)는 마그넷(MG)을 수용한 요크 하우징(4)에 개구부(4a)를 통하여 수납된다. 이때, 회전자(7)에 고착된 회전축(8)의 기단(基端)에 부착된 베어링(9a)이 요크 하우징(4)의 내저부에 지지되어 고정된다. 요크 하우징(4)의 개구부(4a)는 브러시 홀더(5)에 의해 폐쇄된다. 이렇게 하여, 모터 본체(2)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모터 본체(2)를 감속기(3)와 일체화하여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1)를 만들기 위해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을 연결한다.
이 경우, 기어 하우징(6)의 내측 덮개 대향 개구부(H1)의 내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68)에 브러시 홀더(5)에 형성된 한 쌍의 위치 결정 바(14)의 감합 구멍(14a)이 감입되도록,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에 브러시 홀더(5)의 외측 덮개부(12)를 감합시킨다. 브러시 홀더(5)에 부착된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의 제1 접촉 단자부(T1a)와 제2 접촉 단자부(T2a)가 관통 구멍(69)에 삽입하여 관통되고, 커넥터부(60)의 삽입구(60a) 내로 돌출된다. 이렇게 하여, 위치 맞춤을 완료한다.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을 볼트(B)로 체결함으로써,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 사이에서 브러시 홀더(5)가 협지 고정된 감속기 부착 브러시 홀더(1)가 완성된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실시 형태의 이점들을 다음에 기재한다.
(1) 전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을 브러시 홀더(5)에 장착할 때, 해당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를 각각 세로로 배치하였다. 즉,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의 폭이 넓은 면(S1a, S2a)을 제1 및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1e, 12e)에 맞닿게 하면서, 제1 내지 제5 협지편(21 내지 23, 31, 32)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을 간단히 브러시 홀더(5)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는 제1 및 제2 감합벽(12b)의 내측면(11e, 12e)과 제1 내지 제5 협지편(21 내지 23, 31, 32) 사이에서 협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을 브러시 홀더(5)에 대하여 덜걱거리는 일없이 지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은 브러시 홀더(5)와는 별체이며, 브러시 홀더(5)에 대하여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고도의 기술 및 고가의 금형을 필요로 하는 인서터 성형으로 브러시 홀더(5)에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을 일체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경우에 비하여 고도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일없이 간단히 또한 낮은 가격으로 브러시 모터를 만들 수 있다.
(2)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내지 제5 협지편(21 내지 23, 31, 32)으로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를 협지하였다. 따라서 충실체(充實體)인 브러시 홀더에 홈을 형성하여, 그 홈에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를 삽입하는 구조에 비하여, 부품 성형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 재료를 줄일 수 있으며, 브러시 홀더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의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를 세로로 배치하면서,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의 폭이 넓은 면(S1b, S2b)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였으므로,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이 점유하는 면적이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의 폭이 좁은 면의 면적만큼 되어,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을 장착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의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를 각각 세로로 배치하였으므로, 전원 플러그를 뽑고 꽂음에 있어서,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에 가해지는 힘에 대하여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이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4) 상술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의 내저부에는 이탈 방지 돌기(70)가 형성된다. 따라서 암플러그형의 전원 플러그를 커넥터부(60)의 삽입구(60a)에서 뽑았을 때, 플러그를 뽑음으로써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이 기어 하우징(6)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암플러그형의 전원 플러그를 커넥터부(60)의 삽입구(60a)에 꽂을 때, 플러그를 꽂음으로써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에 가해지는 힘은,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의 폭이 좁은 면을 통하여 외측 덮개부(12)의 제2 바닥 기판(12a, 요크 하우징(4)의 브러시(4b))이 막아낸다. 이에 의해, 전원 플러그를 꽂을 때, 제1 및 제2 터미널(T1, T2)이 요크 하우징(4)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협지 부재로서의 제1 내지 제5 협지편(21 내지 23, 31, 32)을 판 형상으로 형성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기둥, 삼각 기둥, 또는 원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 홀더(5)의 성형에 사용되는 합성 수지 재료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바닥 기판(11a)의 외주에 형성된 요크측 감합벽으로서의 제1 감합벽(11b) 및 제2 바닥 기판(12a)의 외주에 형성된 기어측 감합벽으로서의 제2 감합벽(12b)은 각각 둘레 방향으로 연속되는 벽이었다. 이 대신에, 제1 감합벽(11b) 및 제2 감합벽(12b)은 둘레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축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갖는 연속되지 않는 벽일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터미널(T1)의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는 제1 내지 제3 협지편(21 내지 23)에 의해 협지되며,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는 제4 및 제5 협지편(31, 32)에 의해 협지되고 있다. 이 대신에,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는 제1 내지 제3 협지편(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협지되고,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2c)는 제4 및 제5 협지편(31, 32)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협지될 수도 있다.
물론, 제1 터미널(T1)의 제1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는 제1 내지 제3 협지편(21 내지 23) 중 어느 하나를 생략한 나머지 2개로 협지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이탈 방지 부재로서의 이탈 방지 돌기(70)를 외측 덮개 대향 개구부(H2)의 내저부에,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의 폭이 좁은 면과 각각 대치하도록 형성하였다. 이 대신에, 요크 하우징(4)과 기어 하우징(6)을 연결했을 때에 이탈 방지 돌기(70)가 제1 및 제2 판 형상의 중간 배선부(T1c, T2c)의 폭이 좁은 면과 각각 맞닿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1)는 차량에 탑재되는 와이퍼 장치의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와이퍼 구동용 모터였으나, 전동 파워 스테어링 장치(EPS)에 사용되는 EPS용 모터, 파워 윈도우용 모터, 와이퍼 구동용 모터 등 그 외 차량에 탑재되는 모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물론, 차량 외의 장치, 기계 등에 사용되는 구동원으로 사용되는 모터에 대해 적용할 수도 있다.
1: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2:모터 본체
3:감속기 4:요크 하우징
4a:브러시 5:브러시 홀더
6:기어 하우징 6b:플런지
7:회전자 7a:정류자
8:회전축 11:내측 덮개부
12: 외측 덮개부 11a:제1 바닥 기판
11b:제1 감합벽 12a:제2 바닥 기판
12b:제2 감합벽 14:위치 결정 바
15:브러시 수용부 21:제1 협지편
22:제2 협지편 23:제3 협지편
31:제4 협지편 32:제5 협지편
40:외측 감합벽 42:내측 감합벽
60:커넥터부 60a:커넥터부의 삽입구
69:관통 구멍 70:이탈 방지 돌기
B1:제1 브러시 B2:제2 브러시
SG:정류자의 세그먼트 T1:제1 터미널
T1a:제1 접촉 단자부 T1b:제1 인출선부
T1c:제1 중간 배선부 T2:제2 터미널
T2a:제2 접촉 단바주 T2b:제2 인출선부
T2c:제2 중간 배선부

Claims (7)

  1. 요크 하우징, 기어 하우징 및 상기 양 하우징들이 서로 마주보는 양 개구부들을 폐쇄하는 브러시 홀더를 구비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에 있어서,
    상기 요크 하우징 내에는 정류자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정류자는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세그먼트와 슬라이딩 콘택되는 브러시를 지지하고, 상기 브러시 홀더에는 상기 기어 하우징에 마련된 커넥터부에서 상기 브러시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요크 하우징과 상기 기어 하우징에 의해 협지되면서, 상기 요크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 감합하는 요크측 감합벽과 상기 기어 하우징의 개구부 내에 감합되는 기어측 감합벽을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은 상기 커넥터부에 배치되는 접촉 단자부와 상기 브러시 홀더를 관통하여 상기 브러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선부와 상기 접촉 단자부에서 상기 인출선부까지 연장되는 중간 배선부를 구비하며,
    상기 중간 배선부는 한 쌍의 폭이 넓은 면을 가지고, 한쪽의 폭이 넓은 면이 상기 기어측 및 요크측 감합벽 중 적어도 상기 기어측 감합벽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상기 중간 배선부가 상기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는, 상기 기어측 및 요크측 감합벽 중 적어도 상기 기어측 감합벽의 내측면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협지 부재를 가지며,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내측면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중간 배선부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배선부는 상기 한 쌍의 폭이 넓은 면 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폭이 좁은 면을 가지며,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중간 배선부가 상기 브러시 홀더에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 배선부와 계합이 가능한 이탈 방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접촉 단자부가 삽입하여 통과되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삽입구 내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배선부는 상기 한 쌍의 폭이 넓은 면 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폭이 좁은 면을 가지며,
    상기 기어 하우징의 개구부는 상기 커넥터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있는 커넥터부측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측 개구부의 내저부에는 상기 중간 배선부의 폭이 좁은 면과 계합이 가능한 이탈 방지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은 이들의 중간 배선부의 폭이 넓은 면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 하우징의 개구부는 상기 커넥터부와 대응하는 부분에 있는 커넥터부측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측 개구부의 내저부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접촉 단자부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삽입구 내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KR1020110142173A 2010-12-28 2011-12-26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KR201200753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1611 2010-12-28
JP2010291611A JP5759719B2 (ja) 2010-12-28 2010-12-28 減速機付きブラシモ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391A true KR20120075391A (ko) 2012-07-06

Family

ID=4635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173A KR20120075391A (ko) 2010-12-28 2011-12-26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759719B2 (ko)
KR (1) KR20120075391A (ko)
CN (1) CN1025454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46A (ko) * 2016-06-07 2017-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실링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2680B2 (ja) * 2013-09-18 2017-02-15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5959499B2 (ja) * 2013-12-27 2016-08-02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モータ
CN105337439B (zh) * 2014-06-09 2019-03-15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驱动装置及其电机
JP6306947B2 (ja) * 2014-06-10 2018-04-04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ギヤボックス、減速機付モータおよびギヤボックスの製造方法
JP6536136B2 (ja) * 2015-04-02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
EP3163719B1 (en) * 2015-10-26 2020-07-15 LG Innotek Co., Ltd. Sealing cover and actuator having same
JP6720884B2 (ja) * 2017-01-25 2020-07-0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電動ブレーキ用モータユニット
JP2019115153A (ja) * 2017-12-22 2019-07-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モータ
JP6957360B2 (ja) 2018-01-05 2021-11-02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0987B2 (ja) * 1995-03-28 1998-08-27 株式会社ミツバ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におけるターミナル接続部構造
JPH10225048A (ja) * 1997-01-31 1998-08-21 Mabuchi Motor Co Ltd 減速機付き小型モータ
US6710484B2 (en) * 2001-05-28 2004-03-23 Asmo Co., Ltd. Motor having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5008073B4 (de) * 2004-02-24 2014-01-16 Asmo Co., Ltd. Motor mit einem Steuerschaltungsteil, ein Steuerschaltungstei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Motors
JP4499458B2 (ja) * 2004-03-26 2010-07-07 株式会社ショーワ 電動モータの製造方法
CN100517914C (zh) * 2004-08-24 2009-07-22 阿斯莫株式会社 具有旋转位置检测器的电机装置
JP5118548B2 (ja) * 2007-05-14 2013-01-1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JP5188885B2 (ja) * 2007-06-28 2013-04-24 株式会社ミツバ モータ装置
JP5185676B2 (ja) * 2008-03-28 2013-04-17 アスモ株式会社 ブラシホルダ及び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8246A (ko) * 2016-06-07 2017-12-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실링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59719B2 (ja) 2015-08-05
JP2012139079A (ja) 2012-07-19
CN102545484B (zh) 2014-10-15
CN102545484A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75391A (ko) 감속기 부착 브러시 모터
US4673836A (en) Motor with integral bracket brush holder
JP6793659B2 (ja) ターミナルアセンブリー及びこれを含むモーター
JP5185676B2 (ja) ブラシホルダ及びブラシホルダの製造方法
US7705498B2 (en) Electric motor
US10312773B2 (en) Motor apparatus
US6745865B2 (en) Electric motor apparatus
US20140062234A1 (en) Rotating electrical machine
JP2013247698A (ja) 電動モータ
JP6306947B2 (ja) ギヤボックス、減速機付モータおよびギヤボックスの製造方法
JP2018182908A (ja) 回転電機
US11973388B2 (en) Rotating electric machine, insula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JP7185431B2 (ja) モータ
JP2009278852A (ja) 給電装置及びブラシレスモータ
WO2020080548A1 (ja) モータ
US20200106329A1 (en) Motor unit and electric pump device
JP2011041408A (ja) モータ
CN106849488B (zh) 密封盖及具有该密封盖的致动器
CN113615052A (zh) 马达
CN217135324U (zh) 磁性组件、电机、电动助力转向系统和车辆
JP4937469B2 (ja) 電動モータ
JP2013207885A (ja) モータ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H0635646Y2 (ja) 回転電機のリード線引出構造
US20240088746A1 (en) Brushless motor
KR20210095381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24

Effective date: 20151028